KR20190033356A - 이젝터 효과를 이용한 자원 절감형 수배관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젝터 효과를 이용한 자원 절감형 수배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3356A
KR20190033356A KR1020170122030A KR20170122030A KR20190033356A KR 20190033356 A KR20190033356 A KR 20190033356A KR 1020170122030 A KR1020170122030 A KR 1020170122030A KR 20170122030 A KR20170122030 A KR 20170122030A KR 20190033356 A KR20190033356 A KR 201900333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gas
pipe
auxiliary
p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20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8854B1 (ko
Inventor
양재구
양재율
양지석
오재욱
Original Assignee
플로우테크 주식회사
양지석
양재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플로우테크 주식회사, 양지석, 양재구 filed Critical 플로우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220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8854B1/ko
Priority to PCT/KR2018/011213 priority patent/WO2019059701A1/ko
Publication of KR201900333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33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88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88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1/00Pipe-line systems
    • F17D1/08Pipe-line systems for liquids or viscous products
    • F17D1/12Conveying liquids or viscous products by pressure of another fl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FPUMPING OF FLUID BY DIRECT CONTACT OF ANOTHER FLUID OR BY USING INERTIA OF FLUID TO BE PUMPED; SIPHONS
    • F04F5/00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 F04F5/02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the inducing fluid being liquid
    • F04F5/04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the inducing fluid being liquid displacing elastic fl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3/00Arrangements for supervising or controlling working operations
    • F17D3/01Arrangements for supervising or controlling working operations for controlling, signalling, or supervising the conveyance of a produ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04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with the water under high pressure
    • F24D3/06Arrangements or devices for maintaining high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0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0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 F24D3/1008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expansion ta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03Exclusively-fluid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2Fluid distribution means
    • F24D2220/0207Pumps

Abstract

본 발명은 수배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펌프의 후단측에서 주배관으로부터 분기되어 압력탱크로 연결되는 보조배관을 설치하고, 이젝터 효과에 의해 기체가 보조배관으로 흡입된 후 압력탱크 내부로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공기압축기 또는 질소발생기 등 동력에 의해 구동되는 기체공급장치 없이 압력탱크 내부에 기체를 충진할 수 있는 자원 절감형 수배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젝터 효과를 이용한 자원 절감형 수배관 시스템{RESOURCE SAVING WATER PIPING SYSTEM USING EJECTOR EFFECT}
본 발명은 수배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펌프의 후단측에서 주배관으로부터 분기되어 압력탱크로 연결되는 보조배관을 설치하고, 이젝터 효과에 의해 기체가 상기 보조배관으로 흡입된 후 압력탱크 내부로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공기압축기 또는 질소발생기 등 동력에 의해 구동되는 기체공급장치없이 압력탱크 내부에 기체를 충진할 수 있는 자원 절감형 수배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냉난방을 위한 순환배관 시스템 또는 유체이송 배관 시스템에서는 펌프의 급정지나 밸브 급폐쇄의 경우 유량/유속이 급격히 변화함으로써 발생되는 수충격을 방지하거나, 순환 배관계의 배관수 팽창/수축으로 인한 배관계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각각 압력탱크가 포함된 수충격방지설비 또는 압력유지설비가 구비된다.
압력탱크 내부에는 비압축성유체와 압축성기체가 공존해 있으며, 배관계에서 팽창/수축 또는 수충격이 발생했을 때, 압축성기체를 이용하여 압력탱크 내부의 비압축성유체를 배관계로 배출하거나 배관계의 비압축성유체를 압력탱크 내부로 유입시킴으로써 배관계에 발생되는 고압을 완화하고 저압 또는 부압을 방지한다.
관로유동이해를 통하여 압력탱크의 용량이 정해지고, 압력탱크 내부에 필요한 압축성기체의 양 역시 정해지지만, 이 압축성기체는 영구적인 것이 아니라 일부는 접합부에서 발생되는 누기를 통해 소모되고, 일부는 비압축성유체에 용해되어 소모된다. 또한, 배관계의 비압축성유체의 압력에 따라 압축성기체의 체적이 변화하게 되는데, 이는 압력탱크 내부 비압축성유체의 수위를 변화시키게 된다.
압력탱크의 수위 변동은 배관계 전체의 기준압력 변동을 의미하는바, 압력이 상승할 때에는 배관계의 장비나 배관을 파손시킬 수 있으며, 배관계의 압력이 하강하여 액체의 포화증기압 이하로 낮아지면 수주분리 후 재결합시 충격파로 장비나 배관을 파손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배관 시스템을 안정적으로 유지시키기 위해 압력탱크 내부 비압축성유체의 수위가 적정 범위로 항시 유지되도록 제어되어야 한다.
이러한 압력탱크의 수위 제어는 압력탱크 내 압축공기 또는 질소와 같은 압축성 기체의 충진 또는 배기에 의해 수행된다. 즉,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관계에 연결된 압력탱크(100)에는 레벨트랜스미터(LT) 또는 레벨스위치가 설치되고, 상기 레벨트랜스미터(LT) 또는 레벨스위치에 의해 실시간으로 압력탱크(100)의 수위가 감지된다. 압력탱크(100) 내부의 수위 상승시 제어부(400)는 충진밸브(S1)를 개방하여 공기압축기 또는 질소발생기와 같은 기체공급장치(200)로부터 압력탱크(100) 내부에 압축성기체를 충진함으로써 비압축성유체의 수위를 적정 수위로 낮추어 조정하고, 수위 하락시에는 배기밸브(S2)를 개방하여 압력탱크(100)로부터 기체를 외부로 배기시켜 수위를 상승시킴에 의해 압력탱크(100) 내부 비압축성유체의 수위를 미리 설정된 적정 범위로 유지시킨다.
위와 같이, 종래의 수배관 시스템에서는 압력탱크 내부에 압축공기를 충진하거나 배기함에 의해 수위를 조절하는데, 수위 변화에 따른 공기압축기의 빈번한 운전으로 인하여 동력 소모가 매우 크다는 단점이 존재하였다. 또한, 압축공기 대신에 질소를 충진 기체로 사용하는 경우 질소봄베나 질소발생기를 사용하는데, 이 경우에도 질소발생기의 운전으로 인한 동력 소모가 크고 질소 소모량이 많아 유지 비용이 많이 든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69126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수배관 시스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별도의 공기압축기 또는 질소발생기 없이도 압력탱크 내부에 기체 충진이 가능하여 자원 절감이 가능한 수배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배관 시스템은, 펌프와; 상기 펌프에 의해 가압된 유체를 이송하는 주배관과; 상기 주배관에 분기 연결된 압력탱크와; 상기 펌프 토출측에서 분기되어 상기 압력탱크에 연결되는 보조배관과; 상기 펌프 운전 중 보조배관을 통해 이송되는 유체의 흐름에 의해 기체를 흡인하여 보조배관 내부로 유입시키는 기체흡인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배관 시스템은 펌프와; 상기 펌프에 의해 가압된 유체를 이송하는 주배관과; 상기 주배관에 분기 연결된 압력탱크와; 상기 압력탱크와 충진관에 의해 연결되어 압력탱크에 기체를 공급하는 기체공급장치와; 상기 펌프 토출측에서 분기되어 상기 충진관에 연결되는 보조배관과; 상기 펌프 운전 중 보조배관을 통해 이송되는 유체의 흐름에 의해 기체를 흡인하여 보조배관 내부로 유입시키는 기체흡인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기체흡인부는 상기 보조배관으로부터 분기 연결되어 기체가 유입되는 기체유입관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체흡인부는 상기 기체유입관을 통해 유입되는 기체를 단속하는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밸브는 체크밸브, 진공차단밸브, 공기밸브, 전동밸브, 전자밸브 중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체흡인부는 상기 보조배관의 일측에 형성되어 기체가 유입되는 기체유입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체흡인부는 상기 기체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기체를 단속하는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밸브는 체크밸브, 진공차단밸브, 공기밸브, 전동밸브, 전자밸브 중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체흡인부는 측면에 기체유입구가 형성된 이젝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체흡인부는 상기 기체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기체를 단속하는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밸브는 체크밸브, 진공차단밸브, 공기밸브, 전동밸브, 전자밸브 중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기체흡인부는 측면에 기체유입구가 형성된 벤츄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체흡인부는 상기 기체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기체를 단속하는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밸브는 체크밸브, 진공차단밸브, 공기밸브, 전동밸브, 전자밸브 중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보조배관에는 서브펌프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주배관에는 유량조절밸브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조배관의 기체흡인부 후단측에 보조탱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보조탱크는 길이 방향으로 비교적 길게 형성된 탱크로 구성될 수도 있고, 상기 보조배관 보다 직경이 더 큰 파이프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배관에는 상기 보조탱크와 기체흡인부 내부의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제1플러싱밸브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보조탱크에는 보조탱크와 기체흡인부 내부 세정을 위한 유체 주입을 위해 제2플러싱밸브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압력탱크 내부 수위가 표준 수위 범위 미만인 경우 압력탱크 내부 기체를 외부로 배기하기 위한 배기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압력탱크 내부 수위가 표준 수위 범위 미만인 경우 압력탱크 내부 기체를 외부로 배기하도록 압력탱크의 표준 수위 지점에 설치되는 공기밸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압력탱크 내부의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드레인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압력탱크는 복수개가 주배관에 병렬로 분기 설치되되, 인접한 압력탱크끼리 상부가 연결관에 의해 상호 연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펌프의 후단측과 압력탱크를 보조배관으로 연결하고, 이젝터 효과에 의해 기체를 흡인하여 보조배관을 통하여 압력탱크로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공기압축기 또는 질소발생기 등 동력에 의해 구동되는 기체공급장치를 구비하지 않고 압력탱크에 기체를 충진할 수 있어 기체공급장치 제작 비용, 구동 동력 및 유지 관리 비용 등 자원 절감 효과를 갖는다.
도 1 은 종래 일반적인 수배관 시스템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수배관 시스템 개요도,
도 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수배관 시스템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수배관 시스템 구성도,
도 5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수배관 시스템 구성도,
도 6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실시예에 따른 수배관 시스템 구성도,
도 7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5실시예에 따른 수배관 시스템 구성도,
도 8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6실시예에 따른 수배관 시스템 구성도,
도 9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7실시예에 따른 수배관 시스템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이젝터 효과를 이용한 수배관 시스템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과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배관 시스템은, 도 2 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압력 시스템과 동일하게 펌프(1), 주배관(2), 그리고 주배관(2)으로부터 분기 연결된 압력탱크(3)를 포함하되, 압력탱크(3) 내부로 압축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동력에 의해 구동되는 기체공급장치(공기압축기, 질소발생기, 질소봄베 등)를 구비하지 않고 기체를 흡인하여 압력탱크(3)로 유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수배관 시스템은, 보조배관(5)과 기체흡인부(10)를 포함한다. 상기 보조배관(5)은 펌프(1)의 토출측에서 분기되어 상기 압력탱크(3)로 유체를 이송하는 배관으로, 도 2 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은 상기 주배관(2)의 펌프(1) 후단측에 분기 연결되고 타단은 압력탱크(3)에 연결되어, 펌프(1) 운전시 펌프(1)로부터 토출된 유체(물)가 보조배관(5)으로 분기된 후 압력탱크(3)로 유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일반적인 수배관 시스템에서는 도 2 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펌프(1)가 서로 병렬로 배치되고, 각 펌프(1)의 후단측에는 펌프연결관(1a)에 의해 헤더(H)에 연결되며, 각 펌프연결관(1a)에 체크밸브(4)가 각각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헤더(H)는 주배관(2)에 연결딘다. 이러한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배관(5)의 일단은 펌프(1)를 헤더(H)에 연결하는 펌프연결관(1a)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압력탱크(3)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조배관(5)은 펌프연결관(1a)의 체크밸브(4) 전단측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보조배관(5)은 특정한 하나의 펌프연결관(1a)에만 연결될 수도 있고, 복수의 각 펌프연결관(1a)에 각각 연결될 수도 있다. 복수의 탱크연결관(1a)과 압력탱크(3)를 각각 연결하는 복수의 보조배관(5)이 구비될 수도 있으며, 하나의 탱크연결관(1a)과 압력탱크(3)를 연결하는 하나의 보조배관(5)이 설치되되 나머지 탱크연결관(1a)에는 설치된 보조배관(5)으로부터 분기 형성된 분기관과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보조배관(5)은 펌프(1)의 토출측과 연결된 주배관(2) 또는 펌프연결관(1a)과 같은 배관에 연결되지 않고 펌프(1)에 직결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즉, 펌프(1)의 토출구를 복수개 구성하여 각 토출구에 주배관(2)과 보조배관(2)을 각각 연결할 수도 있고, 펌프(1)의 단일 토출구에 분기 커넥터 등을 연결하여 주배관(2)과 보조배관(2)을 연결하는 등 펌프(1)의 토출측에서 주배관(2)과 다른 유로를 형성하도록 다양한 분기 연결 구조를 채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2 에서는 펌프(1)가 주배관(2)과 직결되는 경우(a)와 복수개의 펌프(1)가 펌프연결관(1a)과 헤더(H)를 거쳐 주배관(2)과 연결되는 경우(b)로 나누어 설명하였으나, 상기 펌프연결관(1a)과 헤더(H)가 주배관(2)에 포함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음은 자명하며, 이하 특별한 언급이 없다면 후술하는 모든 실시예에서 주배관(2)이라 함은 상기 펌프연결관(1a)과 헤더(H) 부분까지 다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보조배관(5)이 압력탱크(3)에 연결될때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외부(여기서 ‘외부’는 보조배관(5)의 외부를 의미, 이하 동일)로부터 흡입된 기체(공기)가 압력탱크(3)의 상층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단부가 상기 압력탱크(3)의 상부측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수배관 시스템에서는 주배관(2)의 압력탱크 연결 부위와 압력탱크(3)의 중앙 표준 수위선(NWL;Normal Water Level) 사이에 예컨대 대략 5m 정도의 높이차(△h)가 존재하기 때문에, 압력탱크(3)내 압축공기의 압력이 약 5m(0.5Bar)의 수두압력만큼 낮다. 따라서, 이러한 압력차를 갖는 주배관(2)과 압력탱크(3)를 연결하는 보조배관(5)으로 펌프(1)에서 토출된 유체가 비교적 고속으로 원활하게 흘러가게 된다.
상기 보조배관(5)이 펌프(1) 후단측 주배관(2)에 연결되는 경우, 도 2 의 (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펌프(1) 후단측 주배관(2)에 형성된 체크밸브(4)의 전단측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배관(2)을 흐르는 유체의 압력은 체크밸브(4)에서의 마찰손실로 인하여 체크밸브(4) 전단측의 압력이 체크밸브(4) 후단측의 압력 보다 더 크다. 이에 따라, 보조배관(5)이 체크밸브(4)의 전단측에 연결되는 경우가 체크밸브(4) 후단측에 연결되는 경우 보다 보조배관(5)을 따라 흐르는 유체의 유속이 비교적 빨라지므로 후술하는 바와 같은 이젝터 효과를 극대화함으로써 보조배관(5)으로의 원활한 기체의 유입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기체흡인부(10)는 보조배관(5)을 통하여 압력탱크(3)로 유체가 비교적 높은 속도로 이송될때 이젝터 효과(ejector effect)를 이용하여 주변 외부 기체(공기)를 흡입하여 보조배관(5)을 통해 압력탱크(3)로 공급하기 위한 수단이다. 이젝터는 압력을 갖는 물, 증기, 공기 등을 분출구에서 높은 속도로 분출하여 주위의 유체를 다른 곳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일종의 제트 펌프를 말하는 것으로, 주로 우수나 진흙탕물의 퍼올림과 복수기에 사용되기도 하고, 증기나 물을 배출하거나 응축시키는데 사용되기도 한다(네이버 지식백과 환경공학용어사전 참조). 즉, 이젝터 효과는 유체가 높은 속도로 분출되는 경우 그 주위에 저압부가 형성되어 주위의 다른 유체를 유인(흡인)하고 이것을 다른 장소로 이송시킬 수 있는 효과이다. 본 발명은 공기압축기와 같은 기체공급장치 없이 기체를 압력탱크(3)로 공급시킬 수 있도록, 펌프(1) 토출측의 주배관(2)과 압력탱크(3)를 보조배관(5)으로 연결하여 펌프(1)로부터 토출된 유체를 고속으로 이송시키고, 상기 보조배관(5)에 기체흡인부(10)를 형성하여 기체가 이젝터 효과에 의해 보조배관(5)으로 유입된 후 압력탱크(3)로 이송되도록 한 것이다. 한편,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배관(5)의 기체흡인부(10)와 압력탱크(3) 사이 구간에는 기체유입차단밸브(5a)가 설치되어 필요에 따라 압력탱크(3) 내부로의 기체 공급을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하 설명하는 모든 실시예에서 상기 보조배관(5)을 통하여 압력탱크(3)로 이송되는 물은 주배관(2)과 연결된 펌프(1)의 가압력에 의해 이동되는바, 주배관(2)을 통해 유체를 이송하기 위해 이미 사용되고 있는 펌프(1)의 동력을 이용하므로 추가적인 동력이 소요되지 않아 공기압축기를 사용하지 않는 만큼 동력 절감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이와 같은 보조배관(5)을 통한 유체의 이송은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압력탱크(3)와 주배관(2)의 체크밸브(4) 전단측 사이에 압력차가 존재하기 때문에 별도의 동력 없이 펌프(1)의 가압력만으로 가능한데, 배관 시스템의 상태에 따라 압력탱크(3)와 주배관(2)의 체크밸브(4) 전단측 사이에 압력차가 미미하거나 압력의 평형이 이루어지는 등 보조배관(5)을 통하여 유체가 원활하게 이송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다. 이런 경우를 대비하여 도 2 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배관(5)에는 서브펌프(SP;Sub-Pump)가 추가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배관(5)은 이젝터 효과에 의해 기체를 흡인하여 이송하는 목적으로 설치되는 것이기 때문에 유체의 유속이 클수록 기체 흡인에 유리하다. 따라서, 상기 보조배관(5)의 직경은 주배관(2)의 직경 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에 따라, 상기 서브펌프(SP)로 주배관(2)에 연결된 펌프(1) 보다 용량이 상대적으로 작은 소형펌프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서브펌프(SP) 운전으로 인한 동력 소모는 공기압축기의 운전에 소요되는 동력 보다 더 적다 할 것이다. 따라서, 서브펌프(SP)를 운전하는 경우에도 동력 절감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이하 특별한 언급이 없더라도 후술하는 모든 실시예에 상기 서브펌프(SP)가 채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도 2 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배관(5)에는 유량조절밸브(FRV; Flow Regulating Valve)가 추가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량조절밸브(FRV)는 펌프(1)에서 토출되어 주배관(2)으로 이송되는 유체의 유량(유속)을 조절하는 것으로 전동밸브나 비례제어밸브 등과 같이 개도를 조정하여 유량(유속)을 조절 가능하다. 즉, 상기 유량조절밸브(FRV)의 개도를 조정하면 주배관(2) 뿐만 아니라 보조배관(5)을 따라 이송되는 유체의 유량(유속)도 변화되기 때문에 기체흡인부(10)에서의 기체 흡인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예컨대, 압력탱크(3)로 많은 양의 기체 충진이 필요한 경우라면 유량조절밸브(FRV)의 개도율을 낮춰 주배관(2)으로 이송되는 유량은 줄이고 보조배관(5)으로 이송되는 유량(유속)은 증가시킴으로써 이젝터 효과가 극대화되어 기체흡인부(10)에서 다량의 기체가 흡인되고 흡인된 기체가 보조배관(5)을 통해 압력탱크(3)로 충진될 수 있다. 이하, 특별한 언급이 없더라도 후술하는 모든 실시예에 상기 유량조절밸브(FRV)가 채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3 에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제1실시예가 도시된다. 여기서, 상기 기체흡인부(10)는 기체유입관(12)과, 상기 기체유입관(12)을 단속하는 밸브(1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기체유입관(12)은 상기 보조배관(5)으로부터 일측으로 분기 연결되되, 이젝터 효과의 극대화를 위해 유속이 급격히 증가하는 구역인 보조배관(5) 초입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체유입관(12)의 단부는 기체가 유입될 수 있도록 개방된 상태로 유지되되, 기체의 유입, 차단 또는 역류 방지 등을 위해 유입되는 기체를 단속하는 밸브(14)가 설치된다. 상기 밸브(14)는 유입된 기체 또는 보조배관(5)을 통해 흐르는 유체가 기체유입관(1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체크밸브로 구성할 수도 있고, 내부가 외부 보다 압력이 낮을 때 개방하여 기체 유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전자밸브로 구성할 수도 있으며, 기타 공기밸브 또는 진공차단밸브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들 밸브들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펌프(1) 운전시 펌프(1)로부터 가압 토출되는 유체가 일부는 주배관(2)을 통하여 흘러가고, 일부는 보조배관(5)으로 분기되어 흘러가게 되고, 보조배관(5)에서 유속의 급작스런 증가로 인하여 기체유입관(12) 연결 부위에 저압이 발생하게 되어 기체가 기체유입관(12)을 통하여 유입된다. 이렇게 유입된 기체는 보조배관(5)을 따라 유체와 함께 압력탱크(3)로 이송된다. 압력탱크(3) 내부로 공급된 유체는 하중에 의해 압력탱크(3)의 하측으로 이동하고 기체는 압력탱크(3)의 상측으로 이동하여 압력탱크(3) 내부에 기체와 유체가 상하로 분리 저장된다. 이와 같이 이젝터 효과를 이용하여 공기압축기나 질소발생기와 같은 동력에 의해 기체를 공급하는 기체공급장치의 설치 없이 압력탱크(3) 내부에 기체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도 4 에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제2실시예가 도시된다. 위에서, 상기 기체흡인부(10)로써 기체유입관(12)과 밸브(14)를 포함하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기체유입관(12) 없이 상기 보조배관(5)의 일측에 기체유입구(11)가 형성되어 보조배관(5)을 통하여 유체가 이송될 때 기체유입관(12)을 통하여 외부 기체가 보조배관(5) 내부로 유입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도 4 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체유입구(11)에 직접 밸브(14)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밸브(14)는 유입된 기체 또는 보조배관(5)을 통해 흐르는 유체가 기체유입관(1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체크밸브로 구성할 수도 있고, 내부가 외부 보다 압력이 낮을 때 개방하여 기체 유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전자밸브로 구성할 수도 있으며, 기타 공기밸브 또는 진공차단밸브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들 밸브들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 설치될 수 있다.
도 5 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가 도시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젝터 효과의 극대화를 위해, 상기 보조배관(5)에 통상의 이젝터(16)가 설치된다. 도 5 에는 보조배관(5)에 이러한 이젝터(16)가 설치된 구조가 예시적으로 도시된다. 도 5 의 원 내부에 통상적인 이젝터(16)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젝터(16)는 일측에 유체가 유입된 후 분출되는 노즐(16a)이 구비되고, 타측에는 상기 노즐(16a)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일직선상으로 배치되는 디퓨저(16b)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노즐(16a)과 디퓨저(16b) 사이를 둘러싸는 흡인실(16c)이 형성되며, 상기 흡인실(16c) 일측에 기체가 흡인되도록 기체유입구(11)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이젝터(16)는 보조배관(5)에 연결되되 노즐(16a)의 유입구는 보조배관(5)에 의해 주배관(2)과 연결되고, 디퓨저(16b)의 토출구는 보조배관(5)에 의해 압력탱크(3)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이젝터(16)의 기체유입구(11)에는 기체유입관(12)이 연결됨과 아울러 기체유입관(12)에 밸브(14)가 설치될 수도 있고, 상기 기체유입구(11)에 밸브(14)가 직접 설치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밸브(14)는 마찬가지로 체크밸브, 전동밸브, 전자밸브, 공기밸브, 진공차단밸브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이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펌프(1)로부터 토출된 유체가 보조배관(5)으로 분기되어 이젝터(16)의 노즐에서 고속으로 분사되면서 디퓨저(16b)를 따라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흡인실(16c) 내부에 저압이 발생하게 되어 기체유입구(11)를 통해 외부 기체가 유입된다. 유입된 기체는 노즐(16a)에서 분사된 유체와 함께 디퓨저(16b)를 통해 토출되어 보조배관(5)을 거쳐 압력탱크(3)로 공급된다.
도 6 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4실시예가 도시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5 의 이젝터(16) 대신에 벤츄리(17)가 설치된다. 도 6 에는 보조배관(5)에 이러한 벤츄리(17)가 설치된 구조가 예시적으로 도시된다. 도 6 의 원 내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벤츄리는 유입측과 토출측이 비교적 직경이 크고 중앙부 직경이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어 유체가 직경이 작은 중앙부를 지날 때 유속이 급격히 증가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벤츄리(17)의 중앙부 일측에 기체유입구(11)를 형성하여 유체가 벤츄리(17)의 중앙부를 통과할 때 유속의 증가에 따라 저압부가 발생되도록 함으로써 기체가 원활하게 유입되도록 하였다. 상기 벤츄리(17)의 기체유입구(11)에는 마찬가지로 기체유입관(12)과 밸브(14)가 설치될 수도 있고, 기체유입구(11)에 직접 밸브(14)가 설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마찬가지로 상기 밸브(14)는 체크밸브, 전동밸브, 전자밸브, 공기밸브, 진공차단밸브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조에 따르면, 펌프(1) 운전중에는 보조배관(5)을 통하여 유체와 기체가 계속 압력탱크(3)로 공급되므로 압력탱크(3) 내부의 기체의 양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게 되고, 압력탱크(3) 내부로 유입된 유체와 기체의 양만큼 압력탱크(3)에 미리 저장되어 있던 유체가 압력탱크 연결관(4)을 통하여 다시 주배관(2)으로 배출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압력탱크(3) 내 기체의 양이 지속적으로 증가되어 수위는 하락하게 된다. 한편, 주배관(2)의 압력이 증가하는 경우에는 주배관(2)으로부터 압력탱크 연결관(4)을 통하여 유체가 압력탱크(3)로 유입되어 수위가 상승하게 된다. 이와 같이, 압력탱크(3)의 수위는 압력탱크(3) 내 기체의 양과 주배관(2)의 압력 변화에 따라 변동되는바, 이러한 압력탱크(3)의 수위는 표준 수위(NWL; Normal Water Level)로 항시 유지되어야 한다. 따라서, 압력탱크(3)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조절 수단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압력탱크(3)는 추가적으로 수위감지구(6), 배기밸브(VV) 및 드레인밸브(DV)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로써,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위감지구(6)는 압력탱크(3) 내부 수위 전구간을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는 전자식 레벨트랜스미터(LT)일 수도 있고, 표준 수위선(NWL), 상한 수위선(HWL) 및 하한 수위선(LWL)에 각각 설치되는 접점 방식 레벨스위치(LSN,LSH,LSL)일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상한 수위선(HWL)은 압력탱크(3)의 적정 표준 수위 범위의 상한선을 의미하고, 하한 수위선(HWL)은 압력탱크(3)의 적정 표준 수위 범위의 하한선을 의미한다. 즉, 압력탱크(3) 내부의 수위는 상기 상한 수위선(HWL)과 하한 수위선(LWL) 사이로 정의되는 표준 수위 범위에서 항시 유지되어야 한다.
한편, 상기 압력탱크(3)의 상부에는 배기밸브(VV)가 구비되고, 압력탱크(3)의 하부 또는 압력탱크 연결관(4)으로부터 분기된 드레인관(7)에 드레인밸브(DV)가 구비될 수 있다.
배기밸브(VV)는 압력탱크(3) 내부 기체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레벨트랜스미터(LT) 또는 레벨스위치(LSN,LSH,LSL)에서 압력탱크(3) 내부의 수위가 표준 수위 범위 미만, 즉, 하한 수위선(LWL) 미만으로 하강된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배기밸브(VV)가 개방되어 압력탱크(3) 내부 기체가 외부로 배출됨에 따라 수위를 상승시키는 기능을 한다.
한편,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밸브(VV) 대신에 압력탱크(3)의 표준 수위 지점에 공기밸브(AV)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공기밸브(AV)는 밸브하우징 내부에 볼 부유구가 구비되어, 밸브하우징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경우에는 볼 부유구가 상승하여 배출구가 폐쇄되었다가 물이 없는 경우에는 볼 부유구가 하강하여 배출구가 개방되어 기체가 배출되도록 구성된 공지의 밸브이다. 이러한 공기밸브를 압력탱크의 표준 수위 지점에 설치하면, 압력탱크(3) 내부의 수위가 표준 수위 미만으로 하강할 경우 압력탱크(3) 내부의 기체가 외부로 배출되어 압력탱크(3) 내부 수위가 더 이상 하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드레인밸브(DV)는 펌프 정지시에 압력탱크(3) 내부의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예컨대, 펌프(1)를 운전하기 전 시운전 단계에서 압력탱크(3)에 기체 충진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 드레인밸브(DV)를 통하여 압력탱크(3) 내부 유체를 배출한 후 기체를 충진한다.
도 7 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5실시예가 도시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압력탱크(3) 내 기체의 초기 충진, 펌프(1)의 온오프가 잦은 시스템에서의 효과적인 기체 충진 및 이젝터(16) 또는 벤츄리(17)와 같은 기체흡인부(10)와 배관의 효율적인 세정을 위해, 보조탱크(18)와 플러싱밸브가 추가로 구비된다.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탱크(18)는 보조배관(5)의 기체흡인부(10; 도면에서는 이젝터(16)를 예로 도시하였음)의 토출측에 설치되며, 내부에 다량의 기체를 저장할 수 있도록 길이 방향으로 비교적 길게 형성된 탱크 또는 보조배관(5) 보다 직경이 비교적 큰 파이프 형태로 구성된다. 그리고, 보조배관(5)의 하측에는 상기 보조탱크(18)와 이젝터(16) 등의 기체흡인부(10) 내부의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여 세정하기 위한 플러싱관(8)이 분기 연결되고, 상기 플러싱관(8)에는 제1플러싱밸브(S1)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제1플러싱밸브(S1)는 보조배관(5)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상기 보조탱크(18)의 상부에는 제2플러싱밸브(S2)가 구비되고, 상기 보조탱크(18)와 압력탱크(3) 사이에는 체크밸브(CV) 또는 기체유입차단밸브(5a; 도 2 및 도 3 참조)가 설치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펌프(1) 정지시 제1플러싱밸브(S1)를 개방하면 보조탱크(18)와 압력탱크(3) 사이에 설치된 체크밸브(CV) 또는 기체유입차단밸브(5a)이하의 모든 배관(보조배관(5), 보조탱크(18), 이젝터(16), 플러싱관(8)) 내 유체가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제2플러싱밸브(S2)를 열고 고압의 청수(clean water) 또는 압축공기 등 세정을 위한 유체를 주입하여 보조탱크(18), 이젝터(16) 및 보조배관(5)을 세정할 수 있다.
또한, 펌프(1) 초기 가동시 또는 정지 후 재가동시에는 보조탱크(18) 내부에 다량의 기체가 채워져 있으므로, 펌프(1) 가동에 의해 보조탱크(18) 내부 다량의 기체가 압력탱크(3)로 유입됨에 따라 펌프(1) 가동 초기 압력탱크(3)의 신속한 기체 충진이 가능하다.
도 8 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배관 시스템이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주배관(2)에 복수개의 압력탱크(3,3')가 병렬로 분기 설치되고, 적어도 어느 하나의 압력탱크(3)에는 보조배관(5)이 연결되며, 인접한 압력탱크(3,3')끼리는 상부가 연결관(20)에 의해 상호 연통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관(20)에는 개폐밸브(VOC)가 구비된다.
이러한 구성은 복수개의 압력탱크가 구비된 수배관 시스템에서 하나의 이젝터(16)로 복수의 압력탱크를 충진하기 위한 것이다. 펌프(1) 운전중에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보조배관(5)을 통해 유체가 비교적 높은 속도로 이송되고 이에 따라 기체흡인부(10)에서 기체가 흡인되어 유입된다. 유입된 기체는 보조배관(5)에 연결된 압력탱크(3)로 공급된다. 이때, 보조배관(5)에 연결된 압력탱크(3)와 인접한 다른 압력탱크(3')와 연결된 연결관(20)의 개폐밸브(VOC)를 개방하면 보조배관(5)에 연결된 압력탱크(3)에 저장된 기체가 인접한 다른 압력탱크(3')로 공급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이젝터(16) 하나로 복수개의 압력탱크(3,3')에 기체 충진이 가능하다. 도 8 에서는 2개의 압력탱크(3,3')가 병렬로 연결된 것만 예로 들었으나, 병렬 연결되는 압력탱크의 갯수에는 제한이 없다. 이 경우, 서로 인접하는 압력탱크끼리 각각 연결관으로 연결하고, 필요에 따라 각 연결관에 설치된 개폐밸브를 개폐하여 각 압력탱크의 기체 충진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지금까지는 별도의 공기압축기나 질소발생기 등 기체공급장치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는 바, 이 경우에는 보조배관(5)이 모두 압력탱크(3)에 직접 연결되는 구조였다. 그러나, 기존에 압력탱크(3)에 압축공기나 질소를 충진하기 위해 압력탱크에 연결되어 있던 공기압축기 또는 질소발생기와 같은 질소공급장치(9)와 본 발명에 따른 기체흡인부(10)의 병용을 위하여,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배관(5)은 상기 기체공급장치(9)와 압력탱크(3)를 연결하는 충진관(9a)에 연결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기체공급장치(9)를 가동하여 압축공기 또는 질소등의 기체를 압력탱크(3)에 직접 충진할 수도 있고, 기체공급장치(9)의 가동을 중지하고 본 발명에 따른 기체흡인부(10)를 통해 기체를 충진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기체공급장치(9)와 본 발명에 따른 기체흡인부(10)의 선택적인 사용을 위하여,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배관(5)과 충진관(9a)의 연결부에 삼방밸브(9b)를 설치할 수도 있고, 보조배관(5)과 충진관(9a)에 각각 별도의 밸브가 설치될 수도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질적 균등범위까지 포함된다 할 것이다.
1 : 펌프 2 : 주배관
3 : 압력탱크 5 : 보조배관
10 : 기체흡인부 12 : 기체유입관
14 : 밸브 16 : 이젝터
17 : 벤츄리 18 : 보조탱크

Claims (68)

  1. 펌프와;
    상기 펌프에 의해 가압된 유체를 이송하는 주배관과;
    상기 주배관에 분기 연결된 압력탱크와;
    상기 펌프 토출측에서 분기되어 상기 압력탱크에 연결되는 보조배관과;
    상기 펌프 운전 중 보조배관을 통해 이송되는 유체의 흐름에 의해 기체를 흡인하여 보조배관 내부로 유입시키는 기체흡인부를 포함하는 수배관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흡인부는 상기 보조배관으로부터 분기 연결되어 기체가 유입되는 기체유입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관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흡인부는 상기 기체유입관을 통해 유입되는 기체를 단속하는 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관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체크밸브, 진공차단밸브, 공기밸브, 전동밸브, 전자밸브 중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관 시스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배관에는 서브펌프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관 시스템.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주배관에는 유량조절밸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관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흡인부는 상기 보조배관의 일측에 형성되어 기체가 유입되는 기체유입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관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흡인부는 상기 기체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기체를 단속하는 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관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체크밸브, 진공차단밸브, 공기밸브, 전동밸브, 전자밸브 중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관 시스템.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배관에는 서브펌프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관 시스템.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주배관에는 유량조절밸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관 시스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흡인부는 측면에 기체유입구가 형성된 이젝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관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이젝터의 측면 기체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기체를 단속하는 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관 시스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체크밸브, 진공차단밸브, 공기밸브, 전동밸브, 전자밸브 중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관 시스템.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배관에는 서브펌프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관 시스템.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주배관에는 유량조절밸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관 시스템.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흡인부는 측면에 기체유입구가 형성된 벤츄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관 시스템.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벤츄리의 측면 기체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기체를 단속하는 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관 시스템.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체크밸브, 진공차단밸브, 공기밸브, 전동밸브, 전자밸브 중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관 시스템.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배관에는 서브펌프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관 시스템.
  21.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주배관에는 유량조절밸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관 시스템.
  2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배관의 기체흡인부 후단측에 보조탱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관 시스템.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탱크는 길이 방향으로 비교적 길게 형성된 탱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관 시스템.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탱크는 상기 보조배관 보다 직경이 더 큰 파이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관 시스템.
  25.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배관에는 상기 보조탱크와 기체흡인부 내부의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제1플러싱밸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관 시스템.
  26.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탱크에는 보조탱크와 기체흡인부 내부 세정을 위한 유체 주입을 위해 제2플러싱밸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관 시스템.
  27.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배관에는 서브펌프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관 시스템.
  28.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주배관에는 유량조절밸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관 시스템.
  2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탱크 내부 수위가 표준 수위 범위 미만인 경우 압력탱크 내부 기체를 외부로 배기하기 위한 배기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관 시스템.
  3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탱크 내부 수위가 표준 수위 범위 미만인 경우 압력탱크 내부 기체를 외부로 배기하도록 압력탱크의 표준 수위 지점에 설치되는 공기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관 시스템.
  3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탱크 내부의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드레인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관 시스템.
  3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탱크는 복수개가 주배관에 병렬로 분기 설치되되, 인접한 압력탱크끼리 상부가 연결관에 의해 상호 연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관 시스템.
  3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배관에는 서브펌프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관 시스템.
  3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배관에는 유량조절밸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관 시스템.
  35. 펌프와;
    상기 펌프에 의해 가압된 유체를 이송하는 주배관과;
    상기 주배관에 분기 연결된 압력탱크와;
    상기 압력탱크와 충진관에 의해 연결되어 압력탱크에 기체를 공급하는 기체공급장치와;
    상기 펌프 토출측에서 분기되어 상기 충진관에 연결되는 보조배관과;
    상기 펌프 운전 중 보조배관을 통해 이송되는 유체의 흐름에 의해 기체를 흡인하여 보조배관 내부로 유입시키는 기체흡인부를 포함하는 수배관 시스템.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흡인부는 상기 보조배관으로부터 분기 연결되어 기체가 유입되는 기체유입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관 시스템.
  37.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흡인부는 상기 기체유입관을 통해 유입되는 기체를 단속하는 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관 시스템.
  38.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체크밸브, 진공차단밸브, 공기밸브, 전동밸브, 전자밸브 중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관 시스템.
  39.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배관에는 서브펌프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관 시스템.
  40.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주배관에는 유량조절밸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관 시스템.
  41.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흡인부는 상기 보조배관의 일측에 형성되어 기체가 유입되는 기체유입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관 시스템.
  42.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흡인부는 상기 기체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기체를 단속하는 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관 시스템.
  43.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체크밸브, 진공차단밸브, 공기밸브, 전동밸브, 전자밸브 중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관 시스템.
  44.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배관에는 서브펌프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관 시스템.
  45.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주배관에는 유량조절밸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관 시스템.
  4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흡인부는 측면에 기체유입구가 형성된 이젝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관 시스템.
  47. 제 46 항에 있어서,
    상기 이젝터의 측면 기체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기체를 단속하는 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관 시스템.
  48. 제 47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체크밸브, 진공차단밸브, 공기밸브, 전동밸브, 전자밸브 중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관 시스템.
  49. 제 46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배관에는 서브펌프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관 시스템.
  50. 제 46 항에 있어서,
    상기 주배관에는 유량조절밸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관 시스템.
  51.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흡인부는 측면에 기체유입구가 형성된 벤츄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관 시스템.
  52. 제 51 항에 있어서,
    상기 벤츄리의 측면 기체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기체를 단속하는 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관 시스템.
  53. 제 52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체크밸브, 진공차단밸브, 공기밸브, 전동밸브, 전자밸브 중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관 시스템.
  54. 제 5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배관에는 서브펌프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관 시스템.
  55. 제 51 항에 있어서,
    상기 주배관에는 유량조절밸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관 시스템.
  5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배관의 기체흡인부 후단측에 보조탱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관 시스템.
  57. 제 56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탱크는 길이 방향으로 비교적 길게 형성된 탱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관 시스템.
  58. 제 56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탱크는 상기 보조배관 보다 직경이 더 큰 파이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관 시스템.
  59. 제 56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배관에는 상기 보조탱크와 기체흡인부 내부의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제1플러싱밸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관 시스템.
  60. 제 56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탱크에는 보조탱크와 기체흡인부 내부 세정을 위한 유체 주입을 위해 제2플러싱밸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관 시스템.
  61. 제 56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배관에는 서브펌프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관 시스템.
  62. 제 56 항에 있어서,
    상기 주배관에는 유량조절밸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관 시스템.
  63.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탱크 내부 수위가 표준 수위 범위 미만인 경우 압력탱크 내부 기체를 외부로 배기하기 위한 배기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관 시스템.
  64.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탱크 내부 수위가 표준 수위 범위 미만인 경우 압력탱크 내부 기체를 외부로 배기하도록 압력탱크의 표준 수위 지점에 설치되는 공기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관 시스템.
  65.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탱크 내부의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드레인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관 시스템.
  6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탱크는 복수개가 주배관에 병렬로 분기 설치되되, 인접한 압력탱크끼리 상부가 연결관에 의해 상호 연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관 시스템.
  67.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배관에는 서브펌프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관 시스템.
  68.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주배관에는 유량조절밸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관 시스템.
KR1020170122030A 2017-09-21 2017-09-21 이젝터 효과를 이용한 자원 절감형 수배관 시스템 KR1024988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2030A KR102498854B1 (ko) 2017-09-21 2017-09-21 이젝터 효과를 이용한 자원 절감형 수배관 시스템
PCT/KR2018/011213 WO2019059701A1 (ko) 2017-09-21 2018-09-21 이젝터 효과를 이용한 자원 절감형 수배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2030A KR102498854B1 (ko) 2017-09-21 2017-09-21 이젝터 효과를 이용한 자원 절감형 수배관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3356A true KR20190033356A (ko) 2019-03-29
KR102498854B1 KR102498854B1 (ko) 2023-02-10

Family

ID=65811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2030A KR102498854B1 (ko) 2017-09-21 2017-09-21 이젝터 효과를 이용한 자원 절감형 수배관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98854B1 (ko)
WO (1) WO201905970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4233A (ko) * 2021-06-04 2022-12-13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우수관로 설치형 임펠러리스 펌프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8950Y1 (ko) * 1994-05-06 1998-07-15 이정표 급수장치
JP2001070773A (ja) * 1999-09-02 2001-03-21 Miura Co Ltd 微細気泡発生装置
JP2002336677A (ja) * 2001-03-08 2002-11-26 L'air Liquide Sa Pour L'etude & L'exploitation Des Procede S Georges Claude 洗浄機能を有する原料液供給装置
KR101069126B1 (ko) 2010-09-09 2011-09-30 양재구 레벨트랜스미터와 레벨스위치를 이용한 배관 시스템의 압력탱크 수위 제어 방법
KR20140033960A (ko) * 2012-09-11 2014-03-19 (주)서광부스타이엔지 수격방지설비 겸용 가압펌프
KR20170034101A (ko) * 2015-09-18 2017-03-28 플로우테크 주식회사 수배관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4793B1 (ko) * 1999-05-06 2001-07-04 송재윤 가압분사식 기체용해수의 제조방법
KR101134613B1 (ko) * 2009-08-17 2012-04-09 양철수 수충격방지 기능을 갖는 질소가압형 밀폐식 팽창탱크
KR101344479B1 (ko) * 2012-09-11 2014-01-13 (주)서광부스타이엔지 에너지 절약형 수격 방지 설비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8950Y1 (ko) * 1994-05-06 1998-07-15 이정표 급수장치
JP2001070773A (ja) * 1999-09-02 2001-03-21 Miura Co Ltd 微細気泡発生装置
JP2002336677A (ja) * 2001-03-08 2002-11-26 L'air Liquide Sa Pour L'etude & L'exploitation Des Procede S Georges Claude 洗浄機能を有する原料液供給装置
KR101069126B1 (ko) 2010-09-09 2011-09-30 양재구 레벨트랜스미터와 레벨스위치를 이용한 배관 시스템의 압력탱크 수위 제어 방법
KR20140033960A (ko) * 2012-09-11 2014-03-19 (주)서광부스타이엔지 수격방지설비 겸용 가압펌프
KR20170034101A (ko) * 2015-09-18 2017-03-28 플로우테크 주식회사 수배관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4233A (ko) * 2021-06-04 2022-12-13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우수관로 설치형 임펠러리스 펌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59701A1 (ko) 2019-03-28
KR102498854B1 (ko) 2023-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111983A (ko) 고압 공기 공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압력탱크 고압 기체 충진 기능을 구비하는 수배관 시스템
KR101392847B1 (ko) 수격방지설비 겸용 가압펌프
CN105113581A (zh) 一种供水稳压罐补气装置及能自动补气的供水稳压罐系统
KR20190033356A (ko) 이젝터 효과를 이용한 자원 절감형 수배관 시스템
KR101435426B1 (ko) 부압방지수단이 구비된 에어챔버
KR101774892B1 (ko) 플러싱 시스템
US10801736B2 (en) Liquid distribution unit
KR20140002105A (ko) 관세척장치
JP4442465B2 (ja) 給水装置
KR101056147B1 (ko) 송수관의 부압 방지장치
KR102395944B1 (ko) 고수위 공급용 상수도 시스템
CN102562597B (zh) 用于喷液冷却式单螺杆压缩机的防液击装置
DE60308833D1 (de) Hydraulische Anordnung für Fahrzeuggetriebe
KR100757490B1 (ko) 물탱크 유닛
KR200487848Y1 (ko) 압축기체용 분배기
KR102123162B1 (ko) 부스터 펌프용 하우징 장치
KR102173945B1 (ko) 퀵오픈 릴리프 밸브에 의한 수충격 완화장치
KR100805615B1 (ko) 저장조 내부의 부착광 제거용 빅 블라스터 장치
KR0118950Y1 (ko) 급수장치
KR101544428B1 (ko) 소방차용 양수장치
JP5917131B2 (ja) エゼクタ式真空ポンプ
KR102532956B1 (ko) 압력탱크 이상 감지 및 슬램 방지 기능을 구비하는 듀얼 탱크 수배관 시스템
SU853192A1 (ru) Пневматический насос замещени
KR200491015Y1 (ko) 에어챔버의 사수배출장치
KR101825946B1 (ko) 에어챔버의 침전물 세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