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4428B1 - 소방차용 양수장치 - Google Patents

소방차용 양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4428B1
KR101544428B1 KR1020140085821A KR20140085821A KR101544428B1 KR 101544428 B1 KR101544428 B1 KR 101544428B1 KR 1020140085821 A KR1020140085821 A KR 1020140085821A KR 20140085821 A KR20140085821 A KR 20140085821A KR 101544428 B1 KR101544428 B1 KR 1015444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compressed air
flow path
fire water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5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석봉
Original Assignee
(주)한서정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서정공 filed Critical (주)한서정공
Priority to KR10201400858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44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44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44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28Accessories for delivery devices, e.g.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7/00Fire-fighting land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02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 A62C35/023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the extinguishing material being expelled by compressed gas, taken from storage tanks, or by generating a pressure g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FPUMPING OF FLUID BY DIRECT CONTACT OF ANOTHER FLUID OR BY USING INERTIA OF FLUID TO BE PUMPED; SIPHONS
    • F04F5/00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 F04F5/54Installations characterised by use of jet pumps, e.g. combinations of two or more jet pumps of different typ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방차용 양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진공오일과 부동액의 사용하지 않고서도 방화수를 펌핑하여 원거리 화재지점까지 이송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진공오일과 누유방지 부품 및 부동액의 주기적인 교체와 보충 및 관리가 필요없고, 이를 통해 관리비용의 소모를 최소화시켜 원가절감의 효과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방화수 탱크의 방화수를 펌핑하여 원거리 화재지역까지 이송시키는 소방차용 양수장치에 있어서, 고압의 압축공기를 토출하는 에어컴프레서와; 에어컴프레서에서 토출된 압축공기를 도입하여 내부유로로 통과시키는 과정에서 부압(負壓)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부압을 통해 방화수 탱크의 방화수를 흡입하여 내부유로의 압축공기와 함께 방화수 토출구로 토출하는 벤츄리식 제트펌프(Venturi Type Jet Pump)를 포함하며; 제트펌프의 내부유로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다수의 유로부들이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되, 유로부들은, 직경이 작은 것부터 큰 순서대로 방화수 토출구를 향해 배열되어, 압축공기의 통과 시에 작은 직경의 유로부와 큰 직경의 유로부의 연결부분에서 부압(負壓)을 발생시키며, 부압이 발생된 연결부분으로 방화수 탱크의 방화수가 흡입되는 구조이다.

Description

소방차용 양수장치{WATER PUMPING DEVICE FOR FIRE TRUCK}
본 발명은 소방차용 양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진공오일과 부동액의 사용하지 않고서도 방화수를 펌핑하여 원거리 화재지점까지 이송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진공오일과 누유방지 부품 및 부동액의 주기적인 교체와 보충 및 관리가 필요없고, 이를 통해 관리비용의 소모를 최소화시켜 원가절감의 효과를 도모할 수 있는 소방차용 양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소방차는, 방화수를 펌핑하여 원거리 화재지역까지 이송시키는 양수장치를 갖추고 있으며, 이러한 양수장치는 방화수를 펌핑하는 유체펌프를 갖추고 있다.
유체펌프는, 진공방식의 유체펌프, 예를 들면, 베인펌프(Vane Pump), 피스톤 펌프(Piston Pump)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방화수 저장탱크에 저장된 방화수를 펌핑하여 고압으로 토출한다. 따라서, 토출된 고압의 방화수가 원거리 화재지역까지 이송될 수 있게 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유체펌프는, 진공방식의 펌프로 구성되므로, 진공오일(Oil)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으며, 이러한 단점 때문에 관리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진공오일을 주기적으로 보충해야 하고, 진공오일의 누유 방지를 위한 부품, 예를 들면, 각종 가스켓 등을 주기적으로 교체해야 하는 등, 주기적인 관리가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으며, 이러한 단점 때문에 인적, 물적 비용이 소모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겨울철에는 진공오일이 동결되어 동파의 우려가 있으므로, 부동액을 주입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으며, 이러한 단점 때문에 계절에 따라 더욱 세심한 관리가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결과적으로, 종래의 양수장치는, 고장의 염려가 매우 많고, 많은 인적, 물적 관리비용이 소모된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사용하기가 매우 불편하다는 결점이 지적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진공오일 없이도 고압의 방화수를 토출하여 원거리까지 이송시킬 수 있는 소방차용 양수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진공오일 없이도 고압의 방화수를 토출하여 원거리까지 이송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진공오일과 누유방지 부품의 주기적인 교체와 보충 및 관리가 필요없는 소방차용 양수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진공오일과 누유방지 부품의 주기적인 교체와 보충 및 관리가 필요없도록 구성함으로써, 관리비용의 소모를 최소화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원가절감의 효과를 도모할 수 있는 소방차용 양수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장의 염려가 적고, 겨울철, 동결방지를 위한 부동액의 주입없이도 고압의 방화수를 토출하여 원거리까지 이송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고장으로 인한 수리비용과 부동액의 주입으로 인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원가절감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소방차용 양수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소방차용 양수장치는, 방화수 탱크의 방화수를 펌핑하여 원거리 화재지역까지 이송시키는 소방차용 양수장치에 있어서, 고압의 압축공기를 토출하는 에어컴프레서와; 상기 에어컴프레서에서 토출된 압축공기를 도입하여 내부유로로 통과시키는 과정에서 부압(負壓)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부압을 통해 상기 방화수 탱크의 방화수를 흡입하여 상기 내부유로의 압축공기와 함께 방화수 토출구로 토출하는 벤츄리식 제트펌프(Venturi Type Jet Pump)를 포함하며; 상기 제트펌프의 내부유로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다수의 유로부들이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되, 상기 유로부들은, 직경이 작은 것부터 큰 순서대로 상기 방화수 토출구를 향해 배열되어, 상기 압축공기의 통과 시에 작은 직경의 유로부와 큰 직경의 유로부의 연결부분에서 부압(負壓)을 발생시키며, 부압이 발생된 상기 연결부분으로 상기 방화수 탱크의 방화수가 흡입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트펌프는, 상기 방화수 탱크의 방화수를 도입하기 위한 방화수 도입구 및, 상기 방화수 도입구에 도입된 방화수가 상기 유로부들의 각 연결부분으로 흡입될 수 있도록, 상기 방화수 도입구와 상기 유로부들의 각 연결부분을 각각 연결시키는 다수의 연결유로들을 더 구비하며, 상기 연결유로들 각각에는, 상기 방화수 도입구에서 상기 연결부분으로의 방화수가 흡입은 허용하고, 상기 연결부분에서 상기 방화수 도입구측으로의 방화수 역류는 차단하는 플랩식(Flap Type) 역류방지 밸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트펌프는, 상기 에어컴프레서의 압축공기가 도입될 시에만, 상기 방화수 도입구를 개방하는 밸브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밸브장치는, 압축공기 도입구로 도입되는 상기 에어컴프레서의 압축공기에 의해 일측방향으로 운동하도록 설치되는 수압(受壓)피스톤과; 상기 방화수 도입구에 대해 운동하면서 상기 방화수 도입구를 개폐하는 밸브와; 상기 수압피스톤이 상기 압축공기 도입구로 도입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일측방향으로 운동할 시에, 상기 밸브도 상기 방화수 도입구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연동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수압 피스톤과 상기 밸브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로드 및; 상기 수압피스톤에 작용하는 압축공기가 소거될 시에, 상기 밸브가 상기 방화수 도입구를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밸브를 상기 방화수 도입구를 차단하는 방향으로 탄성가압하는 밸브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소방차에 설치된 다른 유체펌프가 작동될 시에, 상기 제트펌프도 동시에 연동시키는 연동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연동수단은, 상기 유체펌프의 방화수 토출구측으로부터 토출되는 방화수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감지센서와; 상기 압력감지센서에서 방화수 토출 신호가 입력될 시에, 상기 유체펌프가 작동되는 것으로 판단하여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에어컴프레서의 압축공기 토출구측을 개방하여, 상기 에어컴프레서로부터 상기 제트펌프로의 압축공기 도입을 허용하는 개폐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소방차용 양수장치에 의하면, 고압의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방화수를 펌핑하는 구조이므로, 진공오일 없이도 고압의 방화수를 토출하여 원거리 화재지점까지 이송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진공오일 없이도 고압의 방화수를 토출하여 원거리까지 이송시킬 수 있는 구조이므로, 진공오일과 누유방지 부품의 주기적인 교체와 보충 및 관리가 필요없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진공오일과 누유방지 부품의 주기적인 교체와 보충 및 관리가 필요없는 구조이므로, 관리비용의 소모를 최소화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원가절감의 효과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압의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방화수를 펌핑하는 구조이므로, 고장의 염려가 적고, 겨울철, 동결방지를 위한 부동액의 주입없이도 고압의 방화수를 토출하여 원거리까지 이송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장의 염려가 적고, 부동액의 주입없이도 고압의 방화수를 토출하여 원거리까지 이송시킬 수 있으므로, 고장으로 인한 수리비용과 부동액의 주입으로 인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원가절감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방차용 양수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방차용 양수장치의 작동예를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소방차용 양수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소방차용 양수장치는, 방화수 탱크(10)에 저장된 방화수를, 고압의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펌핑하는 압축공기식 방화수 펌핑수단(20)을 포함한다.
압축공기식 방화수 펌핑수단(20)은, 에어컴프레서(30)와, 에어컴프레서(30)에서 토출된 고압의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방화수 탱크(10)에 저장된 방화수를 흡입하고, 흡입된 방화수를 토출하는 벤츄리식 제트펌프(Venturi Type Jet Pump)(40)를 구비한다.
벤츄리식 제트펌프(40)는, 벤츄리 효과를 이용하는 것으로, 펌프몸체(42)를 구비하며, 이 펌프몸체(42)는, 압축공기 도입구(44)와 방화수 도입구(45)와 방화수 토출구(46)를 갖추고 있다.
압축공기 도입구(44)는, 에어컴프레서(30)와 연결되며, 에어컴프레서(30)에서 토출된 고압의 압축공기를 도입한다.
방화수 도입구(45)는, 방화수 탱크(10)와 연결되며, 방화수 탱크(10)에 저장된 방화수를 도입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방화수 토출구(46)는, 압축공기 도입구(44)로 도입된 압축공기와, 방화수 도입구(45)로 도입된 방화수를 토출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펌프몸체(42)는, 압축공기 도입구(44)로 도입된 압축공기를 방화수 토출구(46)측으로 이송시키는 내부유로(47)를 구비한다.
내부유로(47)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다수의 유로부(47a, 47b, 47c, 47d)들이 서로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며, 이들 유로부(47a, 47b, 47c, 47d)들은, 압축공기 도입구(44)측으로부터 방화수 토출구(46)를 향해 직선 형태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각 유로부(47a, 47b, 47c, 47d)들은, 직경이 제일 작은 것부터 큰 순서대로 방화수 토출구(46)를 향해 배열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내부유로(47)가, 4개의 유로부(47a, 47b, 47c, 47d)들로 이루어진 것을 일례로하여 설명하고, 이하에서는, 4개의 유로부(47a, 47b, 47c, 47d)들 중 직경이 제일 작은 것부터 큰 순서대로 "제 1유로부(47a)"와 "제 2유로부(47b)"와 "제 3유로부(47c)"와 "제 4유로부(47d)"로 칭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내부유로(47)의 제 1 내지 제 4유로부(47a, 47b, 47c, 47d)들은, 압축공기 도입구(44)로 도입된 압축공기를 이송시키는 과정에서, 작은 직경의 유로부와 큰 직경의 유로부 간의 직경 차이를 이용하여 작은 직경의 유로부와 큰 직경의 유로부의 연결부분(47a-1, 47b-1, 47c-1)에서 부압(負壓)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발생된 부압을 통해 방화수 저장탱크(10)의 방화수를 흡입하고, 흡입된 방화수를 내부유로(47)로 도입시키며, 내부유로(47)로 도입된 방화수가 고압의 압축공기와 함께 방화수 토출구(46)측으로 이송될 수 있게 한다. 그 결과, 방화수 토출구(46)가 고압의 압축공기와 방화수를 토출할 수 있게 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벤츄리식 제트펌프(40)는, 방화수 도입구(45)와 제 1 내지 제 4유로부(47a, 47b, 47c, 47d)들의 각 연결부분(47a-1, 47b-1, 47c-1)을 연결시키는 다수의 연결유로(48)들을 더 구비한다.
연결유로(48)들은, 방화수 도입구(45)로부터 각각 분지된 상태에서, 그 끝부분이 제 1 내지 제 4유로부(47a, 47b, 47c, 47d)의 연결부분(47a-1, 47b-1, 47c-1)과 연결된다.
이러한 각각의 연결유로(48)들은, 내부유로(47)로 고압의 압축공기가 통과하는 과정에서, 제 1 내지 제 4유로부(47a, 47b, 47c, 47d)의 각 연결부분(47a-1, 47b-1, 47c-1)에서 부압이 발생될 시에, 발생된 부압이 방화수 도입구(45)이 작용할 수 있게 한다. 이로써, 방화수 도입구(45)에 작용하는 부압으로 인해 방화수 저장탱크(10)에 저장된 방화수가 흡입될 수 있게 한다.
그 결과, 방화수 저장탱크(10)의 방화수가 방화수 도입구(45)로 흡입되면서 제 1 내지 제 4유로부(47a, 47b, 47c, 47d)의 각 연결부분(47a-1, 47b-1, 47c-1)으로 도입될 수 있게 하고, 도입된 방화수가 제 1 내지 제 4유로부(47a, 47b, 47c, 47d)로 유입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제 1 내지 제 4유로부(47a, 47b, 47c, 47d)로 유입된 방화수가, 상기 제 1 내지 제 4유로부(47a, 47b, 47c, 47d)를 따라 이송되는 고압의 압축공기에 섞이면서 방화수 토출구(46)측으로 이송될 수 있게 한다. 이로써, 방화수 토출구(46)로 이송된 방화수가 고압의 압축공기와 함께 높은 압력을 가지며 상기 방화수 토출구(46)로부터 토출될 수 있게 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벤츄리식 제트펌프(40)는, 각 연결유로(48)에 설치되는 역류방지 밸브(49)들을 더 포함한다.
역류방지 밸브(49)는, 플랩식(Flap Type) 밸브로서, 각 연결유로(48)상에 설치되는 탄성플랩(49a)을 포함한다.
탄성플랩(49a)은, 휨변형 가능한 재질, 예를 들면, 고무, 합성수지, 탄성을 갖는 금속판 등으로 구성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연결유로(48)에 방화수가 흡입될 시에는, 방화수의 흡입방향으로 휨변형되면서 각 연결유로(48)를 개방하고, 방화수의 흡입이 중단될 경우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위치로 복원되면서 각 연결유로(48)를 차단한다.
따라서, 탄성플랩(49a)은, 각 연결유로(48)에 방화수가 흡입될 시에는, 방화수 흡입을 허용하고, 방화수 흡입이 중단될 경우에는 각 연결유로(48)를 차단하여 방화수의 역류를 방지한다.
한편, 각 연결유로(48)에는, 원위치로 복귀한 탄성플랩(49a)을 지지하는 스토퍼 돌기(49b)들이 형성되어 있다. 스토퍼 돌기(49b)들은, 원위치로 복귀한 탄성플랩(49a)이 방화수 도입구(45)측으로 휨변형되는 것을 제한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제트펌프(40)는, 압축공기 도입구(44)에 에어컴프레서(30)의 압축공기가 도입될 시에만, 방화수 도입구(45)를 개방하는 밸브장치(50)를 더 구비한다.
밸브장치(50)는, 펌프몸체(42)의 압축공기 도입구(44)에 설치되는 수압(受壓)피스톤(52)과, 방화수 도입구(45)를 개폐하는 밸브(54)와, 수압피스톤(52)과 밸브(54)를 연결하는 연결로드(56) 및, 밸브(54)를 방화수 도입구(45)를 차단하는 방향으로 탄성가압하는 밸브스프링(58)을 포함한다.
수압피스톤(52)은, 압축공기 도입구(44)에 왕복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공기 도입구(44)에 도입되는 에어컴프레서(30)의 압축공기에 의해 일측방향으로 운동하도록 구성된다.
밸브(54)는, 방화수 도입구(45)에 설치되며, 상기 방화수 도입구(45)에 대해 운동하면서 상기 방화수 도입구(45)를 개폐하도록 구성된다.
연결로드(56)는, 일단이 수압피스톤(52)에 지지되고 타단이 밸브(54)에 지지되는 것으로, 수압피스톤(52)과 밸브(54)를 서로 연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특히, 수압피스톤(52)이 압축공기 도입구(44)로 도입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일측방향으로 운동할 시에, 밸브(54)도 방화수 도입구(45)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연동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압축공기 도입구(44)에 에어컴프레서(30)의 압축공기가 도입되면, 밸브(54)도 동시에 방화수 도입구(45)를 개방할 수 있게 한다. 이로써, 압축공기 도입구(44)에 에어컴프레서(30)의 압축공기가 도입될 시에만, 방화수 도입구(45)가 개방될 수 있게 한다.
한편, 밸브스프링(58)은, 연결로드(56)의 외주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일단이 수압피스톤(52)에 지지되고, 타단이 펌프몸체(42)에 지지되는 것으로, 상기 수압피스톤(52)을 압축공기 도입구(44)측으로 탄성가압한다.
따라서, 수압피스톤(52)과 연결된 밸브(54)를, 방화수 도입구(45)를 차단하는 방향으로 탄성가압한다. 이로써, 밸브(54)가 방화수 도입구(45)를 폐쇄할 수 있게 한다.
특히, 압축공기 도입구(44)로 도입되던 에어컴프레서(30)의 압축공기가 차단되면, 상기 밸브(54)가 방화수 도입구(45)측으로 복귀하면서 상기 방화수 도입구(45)를 자동으로 차단할 수 있게 한다.
이로써, 압축공기 도입구(44)에 에어컴프레서(30)의 압축공기가 도입될 경우에만, 방화수 도입구(45)가 개방되면서 방화수 도입이 허용되게 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양수장치는, 압축공기식 방화수 펌핑수단(20)을, 소방차에 설치된 다른 유체펌프(P)와 연동시키기 위한 연동수단(60)을 더 구비한다.
연동수단(60)은, 소방차에 설치된 다른 유체펌프(P)의 방화수 토출구(Pa)측에 설치되는 압력감지센서(62)와, 압력감지센서(62)에서 입력된 방화수 토출 신호(S1)에 따라 제어신호(S2)를 출력하는 제어부(64) 및, 제어부(64)의 제어신호(S2)에 따라 에어컴프레서(30)의 압축공기 토출구(30a)측을 개방하는 개폐밸브(66)를 포함한다.
압력감지센서(62)는, 유체펌프(P)가 작동되면서 고압의 방화수를 토출할 시에, 토출되는 방화수의 압력을 감지하고, 감지된 "방화수 토출 신호(S1)"를 제어부(64)로 출력한다. 따라서, 소방차에 설치된 다른 유체펌프(P)가 작동(ON)되고 있음을 감지한다.
제어부(64)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갖추고 있는 것으로, 압력감지센서(62)에서 "방화수 토출 신호(S1)"가 입력되면, 소방차에 설치된 다른 유체펌프(P) 및, 이와 관련된 소방설비들이 작동(ON)되는 상태인 것으로 인식하고, 이러한 인식에 따라 압축공기식 방화수 펌핑수단(20)도 작동시킬 필요가 있다고 판단한다. 그리고 이러한 판단에 따라 제어신호(S2)를 출력한다.
개폐밸브(66)는, 상시폐쇄형(常時閉鎖型) 밸브로서, 제어부(64)로부터 제어신호(S2)가 입력되면, 에어컴프레서(30)의 압축공기 토출구(30a)측을 개방한다.
따라서, 에어컴프레서(30)에서 토출된 고압의 압축공기가, 제트펌프(40)의 압축공기 도입구(44)에 도입될 수 있게 한다. 이로써, 제트펌프(40)가 방화수 탱크(10)의 방화수를 펌핑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연동수단(60)은, 소방차에 설치된 소방설비가 작동될 시에, 압축공기식 방화수 펌핑수단(20)도 동시에 연동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압축공기식 방화수 펌핑수단(20)을 작동시키기 위해서 별도의 스위치 조작이 필요없다. 따라서, 사용하기 편리하고, 이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최대한 향상시킨다.
즉, 제어부(64)에서 소방차에 설치된 다른 유체펌프(P)가 별도의 구동원(도시 생략)에 의해 작동(ON)되는 것을 인식하면, 제어신호(S2)를 출력하여 연동수단(60)의 개폐밸브(66)를 개방한다.
그러면 에어컴프레서(30)의 압축공기가 제트펌프(40) 내부로 도입되어 방화수 토출구(46)를 통해 빠져나가면서, 제트펌프(40) 내부에는 부압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방화수 탱크(10)와 연결된 배관 내의 공기 및 물이, 방화수 도입구(45)를 통해 유입된 후 고압의 압축공기와 함께 방화수 토출구(46)를 통해 배출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소방차용 양수장치에 의하면, 고압의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방화수를 펌핑하는 구조이므로, 진공오일 없이도 고압의 방화수를 토출하여 원거리 화재지점까지 이송시킬 수 있다.
또한, 진공오일 없이도 고압의 방화수를 토출하여 원거리까지 이송시킬 수 있는 구조이므로, 진공오일과 누유방지 부품의 주기적인 교체와 보충 및 관리가 필요없다.
또한, 진공오일과 누유방지 부품의 주기적인 교체와 보충 및 관리가 필요없는 구조이므로, 관리비용의 소모를 최소화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원가절감의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고압의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방화수를 펌핑하는 구조이므로, 고장의 염려가 적고, 겨울철, 동결방지를 위한 부동액의 주입없이도 고압의 방화수를 토출하여 원거리까지 이송시킬 수 있다.
또한, 고장의 염려가 적고, 부동액의 주입없이도 고압의 방화수를 토출하여 원거리까지 이송시킬 수 있으므로, 고장으로 인한 수리비용과 부동액의 주입으로 인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원가절감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10: 방화수 탱크(Tank) 20: 압축공기식 방화수 펌핑수단
30: 에어컴프레서(Air-compressor) 30a: 압축공기 토출구
40: 제트펌프(Jet Pump) 42: 펌프몸체
44: 압축공기 도입구 45: 방화수 도입구
46; 방화수 토출구 47: 내부유로
47a, 47b, 47c, 47d: 유로부 47a-1, 47b-1, 47c-1: 연결부분
48: 연결유로 49: 역류방지 밸브(Valve)
49a: 탄성플랩(Flap) 50: 밸브장치
52: 수압(受壓)피스톤(Piston) 54: 밸브(Valve)
56: 연결로드(Rod) 58: 밸브스프링(Valve Spring)
60: 연동수단 62: 압력감지센서(Sensor)
64: 제어부 66: 개폐밸브(Valve)
P: 유체펌프(Pump) Pa: 방화수 토출구

Claims (4)

  1. 방화수 탱크(10)의 방화수를 펌핑하여 원거리 화재지역까지 이송시키는 소방차용 양수장치에 있어서,
    고압의 압축공기를 토출하는 에어컴프레서(30)와;
    상기 에어컴프레서(30)에서 토출된 압축공기를 도입하여 내부유로(47)로 통과시키는 과정에서 부압(負壓)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부압을 통해 상기 방화수 탱크(10)의 방화수를 흡입하여 상기 내부유로(47)의 압축공기와 함께 방화수 토출구(46)로 토출하는 벤츄리식 제트펌프(Venturi Type Jet Pump)(40)를 포함하며;
    상기 제트펌프(40)의 내부유로(47)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다수의 유로부(47a, 47b, 47c, 47d)들이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되, 상기 유로부(47a, 47b, 47c, 47d)들은, 직경이 작은 것부터 큰 순서대로 상기 방화수 토출구(46)를 향해 배열되어, 상기 압축공기의 통과 시에 작은 직경의 유로부와 큰 직경의 유로부의 연결부분(47a-1, 47b-1, 47c-1)에서 부압(負壓)을 발생시키며, 부압이 발생된 상기 연결부분(47a-1, 47b-1, 47c-1)으로 상기 방화수 탱크(10)의 방화수가 흡입되는 구조이고,
    상기 제트펌프(40)는,
    상기 에어컴프레서(30)의 압축공기가 도입될 시에만, 상기 방화수 도입구(45)를 개방하는 밸브장치(50)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밸브장치(50)는,
    압축공기 도입구(44)로 도입되는 상기 에어컴프레서(30)의 압축공기에 의해 일측방향으로 운동하도록 설치되는 수압(受壓)피스톤(52)과;
    상기 방화수 도입구(45)에 대해 운동하면서 상기 방화수 도입구(45)를 개폐하는 밸브(54)와;
    상기 수압피스톤(52)이 상기 압축공기 도입구(44)로 도입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일측방향으로 운동할 시에, 상기 밸브(54)도 상기 방화수 도입구(45)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연동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수압 피스톤(52)과 상기 밸브(54)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로드(56) 및;
    상기 수압피스톤(52)에 작용하는 압축공기가 소거될 시에, 상기 밸브(54)가 상기 방화수 도입구(45)를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밸브(54)를 상기 방화수 도입구(45)를 차단하는 방향으로 탄성가압하는 밸브스프링(5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차용 양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트펌프(40)는,
    상기 방화수 탱크(10)의 방화수를 도입하기 위한 방화수 도입구(45) 및;
    상기 방화수 도입구(45)에 도입된 방화수가 상기 유로부(47a, 47b, 47c, 47d)들의 각 연결부분(47a-1, 47b-1, 47c-1)으로 흡입될 수 있도록, 상기 방화수 도입구(45)와 상기 유로부(47a, 47b, 47c, 47d)들의 각 연결부분(47a-1, 47b-1, 47c-1)을 각각 연결시키는 다수의 연결유로(48)들을 더 구비하며,
    상기 연결유로(48)들 각각에는,
    상기 방화수 도입구(45)에서 상기 연결부분(47a-1, 47b-1, 47c-1)으로의 방화수가 흡입은 허용하고, 상기 연결부분(47a-1, 47b-1, 47c-1)에서 상기 방화수 도입구(45)측으로의 방화수 역류는 차단하는 플랩식(Flap Type) 역류방지 밸브(49)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차용 양수장치.
  3. 삭제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소방차에 설치된 다른 유체펌프(P)가 작동될 시에, 상기 제트펌프(40)도 동시에 연동시키는 연동수단(6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연동수단(60)은,
    상기 유체펌프(P)의 방화수 토출구(Pa)측으로부터 토출되는 방화수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감지센서(62)와;
    상기 압력감지센서(62)에서 방화수 토출 신호(S1)가 입력될 시에, 상기 유체펌프(P)가 작동되는 것으로 판단하여 제어신호(S2)를 출력하는 제어부(64) 및;
    상기 제어부(64)의 제어신호(S2)에 따라 상기 에어컴프레서(30)의 압축공기 토출구(30a)측을 개방하여, 상기 에어컴프레서(30)로부터 상기 제트펌프(40)로의 압축공기 도입을 허용하는 개폐밸브(6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차용 양수장치.
KR1020140085821A 2014-07-09 2014-07-09 소방차용 양수장치 KR1015444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5821A KR101544428B1 (ko) 2014-07-09 2014-07-09 소방차용 양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5821A KR101544428B1 (ko) 2014-07-09 2014-07-09 소방차용 양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4428B1 true KR101544428B1 (ko) 2015-08-17

Family

ID=54061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5821A KR101544428B1 (ko) 2014-07-09 2014-07-09 소방차용 양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44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82541A (zh) * 2022-07-25 2022-11-04 刘金清 严寒、寒冷地区消防水管路的防冻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47926B2 (ja) 1989-06-08 1998-05-06 有光工業株式会社 噴霧装置
JP3075691B2 (ja) 1996-03-26 2000-08-14 株式会社栗本鐵工所 断熱複合板及び該板用取付部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47926B2 (ja) 1989-06-08 1998-05-06 有光工業株式会社 噴霧装置
JP3075691B2 (ja) 1996-03-26 2000-08-14 株式会社栗本鐵工所 断熱複合板及び該板用取付部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82541A (zh) * 2022-07-25 2022-11-04 刘金清 严寒、寒冷地区消防水管路的防冻系统
CN115282541B (zh) * 2022-07-25 2024-01-16 刘金清 严寒、寒冷地区消防水管路的防冻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596623B (zh) 用于机动车辆的燃料箱
KR101430848B1 (ko) 펌프
CN105121027B (zh) 粉末输送设备和相关联的操作方法
KR20110089809A (ko) 액상물 충전기의 충전통로 개폐장치
KR101693140B1 (ko) 서징을 언더부스팅시키는 공압식 컴프레서 재순환 밸브 시스템
WO2016088339A1 (ja) 高圧ポンプ、及び、それを用いる燃料供給システム
CN103635665A (zh) 喷射装置
KR101544428B1 (ko) 소방차용 양수장치
CN103140679A (zh) 中央流双隔膜泵
CN108252893B (zh) 一种无气耗气体增压系统
JP2017166321A (ja) 高圧洗浄装置及び高圧洗浄車
CN102072342B (zh) 同轴双止回阀瓣差程装置
CN105378284B (zh) 真空泵以及用于运行真空泵的方法
JP2015031273A (ja) ポンプ装置
DE60308833D1 (de) Hydraulische Anordnung für Fahrzeuggetriebe
US10954934B2 (en) Pumping installation comprising a pneumatic pump and a valve for regulating supply of the pump with compressed gas
KR102498854B1 (ko) 이젝터 효과를 이용한 자원 절감형 수배관 시스템
CN109469563A (zh) 具有至少两个箱的水喷射设备
CN204532579U (zh) 一种油气发动机中化油器的进油开关结构
CN201277178Y (zh) 矿用空气压缩机气路集成控制器
JP4908075B2 (ja) 蒸気エゼクタ装置
JP2007120446A (ja) エア駆動ダイアフラムポンプ
US3427981A (en) Gear pump with valve mechanism
US11530671B2 (en) Multiple pump fuel system
KR101448886B1 (ko) 부스터 펌프의 역류방지 배관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