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8916A - 콘크리트 타설막이의 지지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지지구조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타설막이의 지지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지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8916A
KR20190128916A KR1020180053256A KR20180053256A KR20190128916A KR 20190128916 A KR20190128916 A KR 20190128916A KR 1020180053256 A KR1020180053256 A KR 1020180053256A KR 20180053256 A KR20180053256 A KR 20180053256A KR 20190128916 A KR20190128916 A KR 201901289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rod body
concrete
support rod
reinforcing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3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마가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마가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마가산업
Priority to KR10201800532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28916A/ko
Publication of KR201901289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89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4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365Stop-end shutte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02Conveying or working-up concrete or similar masses able to be heaped or 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타설현장에서 수직으로 설치된 콘크리트 타설막이를 지지하기 위해 보다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구조의 콘크리트 타설막이의 지지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막이의 지지장치는, 길이방향이 가로방향으로 설치되어 직립의 콘크리트 타설막이를 후방에서 받치는 지지봉체와, 상기 지지봉체에 설치되고 콘크리트 타설막이를 통과하여 후방을 향해 돌출된 철근을 파지함으로써 상기 지지봉체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복수의 파지부재와, 상기 지지봉체 또는 파지부재에 설치되어 파지부재가 지지봉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하는 슬라이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콘크리트 타설막이의 지지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지지구조{SUPPORTING DEVICE OF INTERCEPTION WALL FOR POURING THE CONCRETE AND SUPPORTING STRUCTUR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콘크리트 타설막이의 지지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지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타설되는 콘크리트를 소정영역에 한정시키도록 설치하는 콘크리트 타설막이가 콘크리트의 하중을 받은 상태에서도 직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후방에서 콘크리트 타설막이를 받치는 지지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지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의 슬라브, 바닥 블럭 등을 구축하는 작업에 있어서 한번에 모든 면적이나 모든 크기의 구역을 타설할 수 없으므로 타설면적을 일정영역씩 나누어서 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 경우, 한 번에 할 수 있는 작업구역을 차후 작업을 실시할 부분과 나누어 구획시키기 위해, 콘크리트의 유출을 방지하는 차단부재 즉 타설막이를 설치하게 된다.
종래의 콘크리트 타설막이(1)는 차단프레임(2)의 다수의 체결공에 차단봉(3)이 삽입되어 잇는 구조로서, 작업이 정해진 구역의 경계에서 콘크리트 타설물이 일정영역 안에만 머물면서 양생되도록 직립상태로 설치되어 차단벽을 형성시킬 수 있다.
참고로, 콘크리트 타설막이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는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127298호, 한국등록특허 제10-1783167호, 한국등록특허 제10-1007041호 등을 통해 알 수 있다.
그러나,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하중이 크고 유동성이 있으므로, 타설된 콘크리트의 유출을 막고 있는 콘크리트 타설막이는 상당히 큰 하중을 받게 되고, 쓰러지지 않기 위해 견고한 지지상태를 필요로 한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콘크리트 타설막이(1)의 후방에서 콘크리트 타설막이(1)를 지지할 수 있도록 수직의 지지목(4)을 설치하여 콘크리트 타설막이(1)에 밀착시키고, 받침대(5)가 지지목(4)을 후방에서 받쳐 지지하는 구조를 다수 설치하고 있었다.
이러한 지지목(4)과 받침대(5)의 설치구조는 다수의 지점에 설치해야 함과 아울러, 콘크리트 바닥면에 지지목(4)과 받침대(5)를 고정시키기 위한 받침턱(6) 등의 고정작업과 목공작업이 동반되게 되므로, 전체적인 작업량을 증가시키고 작업의 진행을 지연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899277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68965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콘크리트 타설현장에서 수직으로 설치된 콘크리트 타설막이를 지지하기 위해 보다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구조의 콘크리트 타설막이의 지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막이의 지지장치는, 길이방향이 가로방향으로 설치되어 직립의 콘크리트 타설막이를 후방에서 받치는 지지봉체와, 상기 지지봉체에 설치되고 상기 콘크리트 타설막이를 통과하여 후방을 향해 돌출된 철근을 파지함으로써 상기 지지봉체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복수의 파지부재와, 상기 지지봉체 또는 상기 파지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파지부재가 상기 지지봉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하는 슬라이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슬라이딩수단이, 상기 지지봉체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지지봉체에 형성된 슬라이딩레일과, 상기 파지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딩레일에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딩레일과 미끄럼운동하여 상기 파지부재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레일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파지부재는, 상기 철근이 진입하는 입구와 상기 철근이 안착되는 안착공간을 가지고 상기 안착공간에 안착된 상기 철근의 외주면을 감싸는 클립부와, 상기 클립부에 설치되어 상기 안착공간에 안착된 철근에 밀착하도록 조임되는 조임부를 포함하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입구가 상기 지지봉체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측방향을 향해 형성되어 상기 클립부가 “ㄷ" 자 형상을 가지고, 상기 조임부는 상기 클립부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안착공간에 안착되는 상기 철근을 하측에서부터 상측방향으로 밀어붙여 밀착하는 것으로서, 상기 철근과 밀착하여 마찰력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표면돌기가 구비된 마찰곡판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막이의 지지장치는, 길이방향이 가로방향으로 설치되어 직립의 콘크리트 타설막이를 후방에서 받치는 지지봉체와, 상기 콘크리트 타설막이를 통과하여 후방을 향해 돌출된 철근을 파지함으로써 상기 지지봉체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복수의 파지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파지부재는, 상기 지지봉체의 후방에서 상기 지지봉체가 후방으로 밀리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상기 지지봉체에 밀착하여 지지하는 지지돌부와, 상기 지지돌부의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철근을 감싸는 파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관점의 본 발명에서 상기 파지부재는 상기 철근을 사이에 두고 서로 합쳐져 결합됨으로써 상기 철근에 밀착하여 파지하는 제1파지편과 제2파지편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돌부는 상기 제1파지편의 제1지지돌부와 상기 제2파지편의 제2지지돌부에 의해 형성되되, 상기 제1지지돌부의 상단에는 상기 제2지지돌부의 상단을 감싸안아 서로 결합되도록 고리형상의 꺾임고리부가 설치되고, 상기 파지부의 하측에서 상기 제1지지편과 상기 제2지지편이 결합볼트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지지돌부는 상기 지지봉체와 밀착하는 부분이 상기 철근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예각을 이루는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또 다른 관점에서 직립으로 설치된 콘크리트 타설막이와, 상기 콘크리트 타설막이를 후방에서 받치도록 상기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막이의 지지장치가 설치된 콘크리트 타설막이의 지지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막이의 지지구조는, 상기 콘크리트 타설막이의 전면에서 길이방향이 상기 지지봉체와 평행한 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콘크리트 타설막이의 전방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단턱을 형성시키는 단턱형성부재와, 상기 단턱형성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콘크리트 타설막이를 관통하여 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지지봉체를 관통한 체결부재와, 상기 지지봉체를 관통한 상기 체결부재를 상기 지지봉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타설막이의 지지장치 및 지지구조는 지지장치가 콘크리트 타설막이를 통과하여 후방으로 돌출된 철근을 파지함으로써,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콘크리트 타설막이에 가해지는 하중을 부담하고 지지함으로써 콘크리트 타설막이의 직립인 설치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종래 콘크리트 타설막이의 설치작업에 동반되었던, 지지목과 받침대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작업과 목공작업이 제거될 수 있고, 전체적인 작업량을 감소시키고 공기를 단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타설막이의 지지장치는, 지지봉체에 설치되는 다수의 파지부재가 슬라이딩수단에 의해 지지봉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서, 불규칙한 철근의 설치간격에 대응하도록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견고한 지지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는 종래 콘크리트 타설막이가 설치된 상태에서 콘크리트 타설막이를 지지하는 지지목 및 받침대의 설치구조를 도시하는 사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막이의 지지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막이의 지지장치가 설치된 지지구조를 측단면으로 도시하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막이의 지지장치가 설치된 지지구조를 후방에서 본 구성을 도시하는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막이의 지지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콘크리트 타설막이의 지지장치가 설치되기 위한 준비 단계를 도시하는 구성도
도 7은 도 5의 콘크리트 타설막이의 지지장치가 철근에 설치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막이의 지지장치의 구성에서 지지봉체 및 슬라이딩수단을 변경한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막이의 지지장치가 설치된 지지구조를 측면에서 도시하는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막이의 지지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막이의 지지장치가 설치된 지지구조를 후방에서 본 구성을 도시하는 구성도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막이의 지지장치가 설치된 상태에서 파지부재의 작용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막이의 지지장치에 단턱형성부재, 연결부재 및 보조지지봉체가 추가적으로 설치된 구성을 측단면으로 도시하는 구성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막이의 지지장치에 단턱형성부재, 연결부재 및 보조지지봉체가 추가적으로 설치된 구성을 후방에서 본 구성을 도시하는 구성도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막이의 지지장치는, 길이방향이 가로방향으로 설치되어 직립의 콘크리트 타설막이(40)를 후방에서 받치는 지지봉체(10)와, 상기 지지봉체(10)에 설치되고 콘크리트 타설막이(40)의 사이사이에서 후방을 향해 돌출된 철근(50)을 파지함으로써 지지봉체(10)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복수의 파지부재(20)와, 상기 지지봉체(10) 또는 파지부재(20)에 설치되어 파지부재(20)가 지지봉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하는 슬라이딩수단(30)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봉체(10)는 콘크리트 타설막이(40)의 후면에서 등을 맞대고 접촉하여 콘크리트 타설막이(40)가 타설되는 콘크리트로부터 받는 하중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콘크리트 타설막이(40)가 설치되는 가로방향을 따라 길이방향이 가로방향으로 설치된다.
지지봉체(10)는 가로로 놓인 사각의 통체인 기둥의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원형봉의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상기 파지부재(20)는 지지봉체(10)에 복수개가 설치되는 것으로서, 콘크리트 타설막이(40)의 사이사이에서 후방을 향해 돌출된 철근(50)을 파지함으로써 지지봉체(10)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부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콘크리트(C)의 타설현장에서는 콘크리트(C)가 소정영역 내에서 타설되고 양생될 수 있도록 콘크리트 타설막이(40)가 세워진 벽체를 형성하여 영역을 구획하고 있고, 콘크리트(C) 내에서 함께 결합될 철근(50)이 콘크리트 타설막이(40)를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소정영역에서 타설되고 양생된 콘크리트(C)에 이어서 인접한 영역에도 콘크리트(C)가 타설되므로 그 연속적인 콘크리트(C) 구조체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철근(50)은 상기 소정영역의 외부까지 연장되어 있는 것이다.
콘크리트 타설막이(40)는 상부의 차단프레임(41)과 그 차단프레임(41)의 구멍에 서로 나란히 삽입되어 수직으로 세워지는 차단봉(42)으로 이루어지고, 철근(50)은 차단봉(42)의 사이에서 외부로 돌출된다. 참고로, 차단프레임(41)의 하측부분에는 차단봉(42)의 외면을 형성하도록 표면에 씌워지는 발포폼(스펀지)형태의 탄성폼이 포함됨으로써 차단봉(42) 사이사이의 틈이 메워지고 있다. 철근(50)은 그 탄성폼 사이를 비집고 콘크리트 타설막이(40)를 통과하여 후방인 외부로 돌출되게 된다.
한편, 상기 파지부재(20)는 콘크리트 타설막이(40)의 차단봉(42) 사이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철근(50)들을 각각 파지함으로써 지지봉체(10)가 지지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파지부재(20)는 철근(50)이 진입하는 입구(21a)와 상기 철근(50)이 안착되는 안착공간(21b)을 가지고 안착공간(21b)에 안착된 철근(50)의 외주면을 감싸는 클립부(21)와, 상기 클립부(21)에 설치되어 안착공간(21b)에 안착된 철근(50)에 밀착하도록 조임되는 조임부(23)를 포함한다.
상기 클립부(21)는 철근(50)의 외주면을 감싸는 것으로서, 철근(50)이 진입하는 입구(21a)와 철근(50)이 안착되는 안착공간(21b)이 내부에 형성된다.
클립부(21)는 탄성이 있어 입구(21a)를 통해 철근(50)의 진입시 입구(21a)가 벌어질 수 있도록 하고, 안착공간(21b)에 철근(50)이 안착시에는 클립부(21)가 탄성에 의해 철근(50)에 밀착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임부(23)는 클립부(21)의 일측에 설치되어 파지부재(20)가 철근(50)을 견고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안착공간(21b)의 철근(50)에 보다 밀착되도록 한다.
조임부(23)는 클립부(21)에 용접으로 설치된 너트(23b)와, 그 너트(23b)에 나선결합되고 단부가 클립부(21)를 관통하여 안착공간(21b)까지 진입하는 조임볼트(23a)로 이루어진다. 조임볼트(23a)를 너트(23b)에서 회전시키면 안착공간(21b)으로 더 진입하여 철근(50)에 밀착함으로써 파지부재(20)와 철근(50)의 결합을 보다 견고히 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수단(30)은 지지봉체(10) 또는 파지부재(20)에 설치되어 파지부재(20)가 지지봉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봉체(10)와 파지부재(20)에 슬라이딩수단(30)이 분할된 상태로 설치되어 나누어진 수단들이 서로 결합됨으로써 파지부재(20)의 슬라이딩이 가능하게 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슬라이딩수단(30)은, 지지봉체(10)의 길이방향으로 지지봉체(10)에 형성된 슬라이딩레일(31)과, 상기 파지부재(20)에 설치되고 슬라이딩레일(31)에 결합되어 슬라이딩레일(31)과 미끄럼운동하여 파지부재(20)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레일결합부(32)를 포함한다.
상기 슬라이딩레일(31)은 지지봉체(10)의 내부에서 지지봉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레일결합부(32)가 걸려 위치하게 되는 슬라이딩공간(31a)과, 슬라이딩공간으로 레일결합부(32)가 연결될 수 있도록 연결홈(31b)으로 구성된다.
상기 레일결합부(32)는 클립부(21)에 용접에 의해 결합되고 슬라이딩공간(31a)에 위치하고 슬라이딩공간(31a)에 걸려 파지부재(20)가 매달릴 수 있도록 하며, 슬라이딩공간(31a)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파지부재(20)가 철근(50)에 결합되어 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막이의 지지장치가 콘크리트 타설막이(40)를 지지하는 지지구조를 형성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다.
콘크리트 타설막이의 지지장치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파지부재(20)를 슬라이딩레일(31)을 따라 철근(50)의 간격에 대응하도록 조절한 후, 콘크리트 타설막이(40)의 차단봉(42)의 후면에 등을 맞대도록 위치시킨다.
지지봉체(10)를 콘크리트 타설막이(40)와 접촉하도록 설치함과 동시에 위치가 조절되어 있는 파지부재(20)의 클립부(21)에 철근(50)을 끼워넣어 안착공간(21b)에 철근(50)을 각각 안착시킨다.
이후, 각 파지부재(20)의 조임부(23)의 조임볼트(23a)를 조여 파지부재(20)와 철근(50)의 결합을 보다 견고히 할 수 있다.
그 설치가 완료되어 지지구조가 형성된 상태에서는, 콘크리트(C)가 타설되어 콘크리트 타설막이(40)에 가해지는 하중을, 철근(50)을 파지하고 있는 콘크리트 타설막이의 지지장치가 받아 버틸 수 있으므로, 콘크리트 타설막이(40)의 직립인 설치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한편, 도 5는 상기 실시예에서 파지부재(20)의 구성을 변경하여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도 파지부재(20)는 상기 철근(50)이 진입하는 입구(21a)와 상기 철근(50)이 안착되는 안착공간(21b)을 가지고 안착공간(21b)에 안착된 철근(50)의 외주면을 감싸는 클립부(21)와, 상기 클립부(21)에 설치되어 안착공간(21b)에 안착된 철근(50)에 밀착하도록 조임되는 조임부(23)를 포함한다.
상기 입구(21a)는 지지봉체(10)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측방향을 향해 형성되어 클립부(21)가 “ㄷ" 자 형상을 가진다.
또한, 상기 조임부(23)는 상기 클립부(21)의 하부에 설치되고 안착공간(21b)에 안착되는 철근(50)을 하측에서부터 상측방향으로 밀어붙여 밀착하는 것으로서, 철근(50)과 밀착하여 마찰력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표면돌기가 구비되어 철근(50)에 밀착하는 마찰곡판(23c)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입구(21a)가 지지봉체(10)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측방향을 향해 형성되어 클립부(21)가 “ㄷ" 자 형상을 가짐으로써, 지지봉체(10)를 콘크리트 타설막이(40)의 후면에 설치하기 전에 복수의 파지부재(20)를 철근(50)의 간격에 대응하도록 조절하는 작업이 제거될 수 있으므로, 설치작업이 보다 용이해질 수 있다.
즉, 도 6과 같이, 지지봉체(10)에서 복수의 파지부재(20)의 간격을 대략적으로 설정한 후, 지지봉체(10)을 콘크리트 타설막이(40)의 후면에 위치시킨다.
이후, 도 7과 같이, 각각의 파지부재(20)을 수평으로 슬라이딩시키면 각각의 파지부재(20)에 철근(50)이 안착될 수 있도록 하고, 철근(50)이 안착된 후, 조임부(23)를 조여 마찰곡판(23c)을 철근(50)에 밀착시킴으로써 설치를 완료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의 구조에서는,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지지봉체(10)에서 복수의 파지부재(20)의 간격을 철근(50)들의 간격에 대응하도록 미리 맞춘 후에 지지봉체(10)을 콘크리트 타설막이(40)의 후면에 설치하는 과정이 필요하지 않고, 대략적으로 서로 벌려 놓은 상태에서 지지봉체(10)를 콘크리트 타설막이(40)의 후면에 가설한 후, 파지부재(20)은 최종적으로 수평으로 슬라이딩시키면서 철근(50)과 결합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파지부재(20)의 간격을 지지봉체(10) 상에서 정확한 위치 및 간격으로 위치시키기 위한 사전작업이 불필요하므로, 작업의 노력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한편, 도 8은 전술한 실시예에서 지지봉체(10) 및 슬라이딩수단(30)의 구성을 변경한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지지봉체(10)을 원형파이프의 구성으로 형성하는 경우, 슬라이딩수단(30)은 지지봉체(10)의 외면을 타고 지지봉체(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파지부재(20)에 지지봉체(10)을 감쌀 수 있는 환형의 슬라이딩수단(30)을 구비하여 슬라이딩수단(30)에 지지봉체(10)을 끼운 구조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파지부재(20)는 원형파이프 형상의 지지봉체(10)의 외면을 타고 이동할 수 있다.
한편,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막이의 지지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콘크리트 타설막이의 지지장치도 길이방향이 가로방향으로 설치되어 직립의 콘크리트 타설막이(40)를 후방에서 받치는 지지봉체(10)와, 상기 콘크리트 타설막이(40)의 사이사이에서 후방을 향해 돌출된 철근(50)을 파지함으로써 지지봉체(10)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복수의 파지부재(20)를 포함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파지부재(20)가 지지봉체(10)에 결합된 상태로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각각 독립적으로 설치되어 최종적으로 서로 접촉하는 결합을 이루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파지부재(20)는, 상기 지지봉체(10)의 후방에서 지지봉체(10)가 후방으로 밀리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지지봉체(10)에 밀착하여 지지하는 지지돌부(28)와, 상기 지지돌부(28)의 하측에 형성되어 철근(50)을 감싸는 파지부(29)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돌부(28)는 파지부재(20)의 파지부(29)가 철근(50)을 감싼 상태에서 고정되는 경우, 파지부(29)의 상측으로 경사돌출된 구성으로서, 지지봉체(10)를 받쳐 지지봉체(10)가 콘크리트 타설막이(40)를 후방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지지돌부(28)는 상측으로 경사진 접촉면을 가지되 상기 지지봉체(10)와 밀착하는 부분이 상기 철근(5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예각을 이루는 경사면(28c)으로 형성된다.
상기 파지부(29)는 지지돌부(28)의 하측에 형성되어 철근(50)을 감싸게 됨으로써 철근(50)과 견고하게 결합되는 부분이고, 철근(50)이 안착되는 파지공(29c)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서는 파지부(29)가 철근(50)을 감싸 안아 고정되는 작업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파지부재(20)가 제1파지편(20a)과 제2파지편(20b)으로 분할된다.
이에 따라, 제1파지편(20a)과 제2파지편(20b)이 철근(50)을 사이에 두고 서로 합쳐져 결합됨으로써 철근(50)에 밀착하여 파지된 상태가 이루어질 수 있다.
파지부재(20)가 제1파지편(20a)과 제2파지편(20b)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지지돌부(28)도, 제1파지편(20a)의 제1지지돌부(28a)와 제2파지편(20b)의 제2지지돌부(28b)가 서로 합쳐짐으로써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제1지지돌부(28a)의 상단에는 제2지지돌부(28b)의 상단을 감싸안아 서로 결합되도록 고리형상의 꺾임고리부(24)가 설치되어 제2지지돌부(28b)의 상단을 제1지지돌부(28a)의 꺾임고리부(24)에서 끼움공간(24a)에 끼움으로써 별도의 고정수단없이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파지부(29)의 하단부에서는 제1파지편(20a)과 제2파지편(20b)이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볼트(25)가 결합공(25a)에 삽입되어 너트(25b)에 의해 체결되는 구조를 가진다. 결합볼트(25), 결합공(25a) 및 너트(25b)에 의해 이루어지는 결합수단은 타 결합수단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상기 파지부(29)에서 철근(50)과 접촉하는 내면에는 마찰돌기가 설치되되, 철근(50)과의 마찰접촉이 주로 발생하게 될 상부와 하부에 상측마찰돌기(27a)와 하측마찰돌기(27b)를 각각 형성시킨다.
도 12는 전술한 파지부재(20)가 지지봉체(10)를 지지하는 작용을 설명하고 있다.
즉, 파지부재(20)의 지지돌부(28)가 지지봉체(10)와 밀착하는 부분이 철근(5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예각을 이루는 경사면(28c)이 형성된 상태가 됨으로써, 지지봉체(10)에 접촉하는 지지돌부(28)는 지지봉체(10)를 경사면(28c)이 상측후방에서 누르는 상태가 되어 지지봉체(10)의 이탈을 방지하고 있다.
그러한 상태에서 후방으로 작용하는 타설된 콘크리트(C)의 하중(F)은 지지봉체(10)를 통해 도 12와 같이, 지지돌부(28)의 경사면(28c)에 경사방향의 하중(f)를 전달하고, 파지부재(20)에는 경사방향의 하중(f)에 의해 파지부(29)을 중심으로 하는 모멘트(M)가 발생한다.
이러한 외력은 철근(50)에 고정된 파지부재(20)를 들어올리려는 모멘트(M)이므로, 철근(50)과 파지부재(20)의 파지부(29) 사이에서는 파지부(29)의 전단에서 철근(50)의 하면과 보다 밀착하는 밀착력(P1)과, 파지부(29)의 후단에서 철근(50)의 상면과 보다 밀착하는 밀착력(P2)을 발생시킨다.
이에 따라, 파지부(29)의 내면에 형성된 상측마찰돌기(27a) 및 하측마찰돌기(27b)가 철근(50)의 표면에 보다 밀착됨으로써, 철근(50)과의 파지력을 보다 증가시켜 후방으로 밀리지 않는 지지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한편, 도 13 및 도 14에는 단턱형성부재(71)가 설치된 콘크리트 타설막이(40)의 지지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즉, 상기 콘크리트 타설막이(40)의 전면에서 길이방향이 지지봉체(10)와 평행한 방향으로 설치되고 콘크리트 타설막이(40)의 전방에 타설되는 콘크리트(C)에 단턱을 형성시키는 단턱형성부재(71)와, 상기 단턱형성부재(71)에 결합되고 콘크리트 타설막이(40)를 관통하여 후방으로 돌출되어 지지봉체(10)를 관통한 체결부재(72)와, 상기 지지봉체(10)를 관통한 상기 체결부재(72)를 상기 지지봉체(10)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73)를 포함한다.
상기 단턱형성부재(71)를 설치하는 것은 콘크리트(C)의 타설 및 양생이 완료되고, 그 콘크리트(C) 구조에 이어서 인접한 영역에 연속적으로 콘크리트(C)를 타설하는 구조인 경우, 순차적으로 진행된 콘크리트(C) 구조와 구조의 사이에 발생하는 경계면에서 습기가 상측으로 진행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것이다.
즉, 콘크리트(C)의 타설 및 양생이 완료된 후, 콘크리트 타설막이(40) 및 단턱형성부재(71)를 모두 제거하면, 콘크리트(C) 구조의 가장자리에 단턱형성부가 위치했던 오목한 단턱이 형성되고 그 구조에 이어서 추가적인 콘크리트(C)의 타설이 이루어지는 경우, 이웃하는 콘크리트(C) 구조와 접촉하는 경계면이 수직면이 아니라 단턱에 의해 꺾인 굴곡진 경계면(이웃하는 콘크리트와의 접촉면)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굴곡진 경계면은 하측에서부터 습기가 경계면을 따라 상승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단턱형성부재(71)는 속이 비어있는 사각의 기둥형상으로서 목재기둥을 대신하여 합성수지 또는 금속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결부재(72)는 콘크리트 타설막이(40)의 전면에 설치되는 단턱형성부재(71)를 위치를 유지하도록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단턱형성부재(71)에 결합되고 콘크리트 타설막이(40)를 관통하여 후방으로 돌출되어 지지봉체(10)를 관통하도록 끼워진다.
체결부재(72)는 머리부를 가진 바(bar)형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고, 머리부가 단턱형성부재(71)에 걸린 상태에서 단턱형성부재(71)를 관통하고 콘크리트 타설막이(40)의 차단봉(42) 사이를 통과한 후, 지지봉체(10)를 관통하며, 지지봉체(10)의 후방으로 후단이 돌출된다.
상기 고정부재(73)는 체결부재(72)가 지지봉체(10)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체결부재(72)의 후단에 형성된 키(key)홀에 끼우는 키(key)이다.
한편, 도 13 및 도 14에는 연결부재(61) 및 그 연결부재(61)에 의해 지지되는 보조지지봉체(62)가 설치된 콘크리트 타설막이(40)의 지지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콘크리트 타설막이의 지지장치가 콘크리트 타설막이(4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되고 그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61) 및 그 연결부재(61)에 의해 지지되는 보조지지봉체(62)가 설치될 수 있다.
즉, 연결부재(61)는 상측의 콘크리트 타설막이의 지지장치에서 지지봉체(10)와, 하측의 콘크리트 타설막이의 지지장치에서 지지봉체(10′)에 양단이 각각 체결되어 콘크리트 타설막이(40)의 후측에 수직으로 설치된다.
상기 연결부재(61)는 콘크리트 타설막이(40)의 차단봉(42)과의 사이에 보조지지봉체(62)가 삽입될 수 있도록 오목홈(61a)이 복수개 설치된다.
상기 연결부재(61)는 지지봉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보조지지봉체(62)는 연결부재(61)의 오목홈(61a)에 끼워짐으로써 지지받는 것으로서, 하나의 보조지지봉체(62)는 서로 이웃하는 복수의 연결부재(61)의 오목홈(61a)에 순차적으로 끼워져 설치된다.
이에 따라, 보조지지봉체(62)도 콘크리트 타설막이(40)의 차단봉(42)의 후면에 밀착한 상태에서 지지력을 발휘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상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 있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동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내에서 다른 변형된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지지봉체 20; 파지부재
20a; 제1파지편 20b; 제2파지편
21; 클립부 21a; 입구
21b; 안착공간 23; 조임부
23a; 조임볼트 23b; 너트
23c; 마찰곡판 24; 꺾임고리부
24a; 끼움공간 25; 결합볼트
25a; 결합공 25b; 너트
27a; 상측마찰돌기 27b; 하측마찰돌기
28; 지지돌부 28c; 경사면
29; 파지부 30; 슬라이딩수단
31; 슬라이딩레일 31a; 슬라이딩공간
31b; 연결홈 32; 레일결합부
40; 콘크리트 타설막이 41; 차단프레임
42; 차단봉 50; 철근
61; 연결부재 61a; 오목홈
62; 보조지지봉체 71; 단턱형성부재
72; 체결부재 73; 고정부재

Claims (7)

  1. 길이방향이 가로방향으로 설치되어 직립의 콘크리트 타설막이(40)를 후방에서 받치기 위한 지지봉체(10)와,
    상기 지지봉체(10)에 설치되고 상기 콘크리트 타설막이(40)의 사이사이에서 후방을 향해 돌출된 철근(50)을 파지함으로써 상기 지지봉체(10)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복수의 파지부재(20)와,
    상기 지지봉체(10) 또는 상기 파지부재(20)에 설치되어 상기 파지부재(20)가 상기 지지봉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하는 슬라이딩수단(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막이의 지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수단(30)은,
    상기 지지봉체(10)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지지봉체(10)에 형성된 슬라이딩레일(31)과,
    상기 파지부재(20)에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딩레일(31)에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딩레일(31)과 미끄럼운동하여 상기 파지부재(20)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레일결합부(32)를 포함하고,
    상기 파지부재(20)는,
    상기 철근(50)이 진입하는 입구(21a)와 상기 철근(50)이 안착되는 안착공간(21b)을 가지고 상기 안착공간(21b)에 안착된 상기 철근(50)의 외주면을 감싸는 클립부(21)와,
    상기 클립부(21)에 설치되어 상기 안착공간(21b)에 안착된 철근(50)에 밀착하도록 조임되는 조임부(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막이의 지지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21a)는 상기 지지봉체(10)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측방향을 향해 형성되어 상기 클립부(21)가 “ㄷ" 자 형상을 가지고,
    상기 조임부(23)는 상기 클립부(21)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안착공간(21b)에 안착되는 상기 철근(50)을 하측에서부터 상측방향으로 밀어붙여 밀착하는 것으로서, 상기 철근(50)과 밀착하여 마찰력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표면돌기가 구비된 마찰곡판(23c)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막이의 지지장치
  4. 길이방향이 가로방향으로 설치되어 직립의 콘크리트 타설막이(40)를 후방에서 받치는 지지봉체(10)와,
    상기 콘크리트 타설막이(40)의 사이사이에서 후방을 향해 돌출된 철근(50)을 파지함으로써 상기 지지봉체(10)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복수의 파지부재(20)를 포함하되,
    상기 파지부재(20)는,
    상기 지지봉체(10)의 후방에서 상기 지지봉체(10)가 후방으로 밀리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상기 지지봉체(10)에 밀착하여 지지하는 지지돌부(28)와,
    상기 지지돌부(28)의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철근(50)을 감싸는 파지부(29)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막이의 지지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재(20)는
    상기 철근(50)을 사이에 두고 서로 합쳐져 결합됨으로써 상기 철근(50)에 밀착하여 파지하는 제1파지편(20a)과 제2파지편(20b)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돌부(28)는
    상기 제1파지편(20a)의 제1지지돌부(28a)와 상기 제2파지편(20b)의 제2지지돌부(28b)에 의해 형성되되,
    상기 제1지지돌부(28a)의 상단에는 상기 제2지지돌부(28b)의 상단을 감싸안아 서로 결합되도록 고리형상의 꺾임고리부(24)가 설치되고, 상기 파지부(29)의 하측에서 상기 제1지지편과 상기 제2지지편이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지지돌부(28)는 상기 지지봉체(10)와 밀착하는 부분이 상기 철근(5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예각을 이루는 경사면(28c)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막이의 지지장치
  6. 직립으로 설치된 콘크리트 타설막이(40)와,
    상기 콘크리트 타설막이(40)를 후방에서 받치도록 상기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막이의 지지장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막이의 지지구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타설막이(40)의 전면에서 길이방향이 상기 지지봉체(10)와 평행한 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콘크리트 타설막이(40)의 전방에 타설되는 콘크리트(C)에 단턱을 형성시키는 단턱형성부재(71)와,
    상기 단턱형성부재(71)에 결합되고 상기 콘크리트 타설막이(40)를 관통하여 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지지봉체(10)를 관통한 체결부재(72)와,
    상기 지지봉체(10)를 관통한 상기 체결부재(72)를 상기 지지봉체(10)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7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막이의 지지구조
KR1020180053256A 2018-05-09 2018-05-09 콘크리트 타설막이의 지지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지지구조 KR201901289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3256A KR20190128916A (ko) 2018-05-09 2018-05-09 콘크리트 타설막이의 지지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지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3256A KR20190128916A (ko) 2018-05-09 2018-05-09 콘크리트 타설막이의 지지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지지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8916A true KR20190128916A (ko) 2019-11-19

Family

ID=68771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3256A KR20190128916A (ko) 2018-05-09 2018-05-09 콘크리트 타설막이의 지지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지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2891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65034A (zh) * 2020-07-30 2020-12-11 江苏昊钢建筑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钢筋桁架楼承板底模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9658B1 (ko) 2006-12-26 2007-03-08 박동수 콘크리트의 이어치기 및 끊어치기를 위한 마감부재
KR100899277B1 (ko) 2009-02-05 2009-05-26 이숙희 콘크리트 타설막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9658B1 (ko) 2006-12-26 2007-03-08 박동수 콘크리트의 이어치기 및 끊어치기를 위한 마감부재
KR100899277B1 (ko) 2009-02-05 2009-05-26 이숙희 콘크리트 타설막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65034A (zh) * 2020-07-30 2020-12-11 江苏昊钢建筑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钢筋桁架楼承板底模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08812B2 (en) Pour stop anchor apparatus and system
US1729935A (en) Wall anchor
KR102143636B1 (ko) 폼패널을 이용한 조립식 보 거푸집
JP3866284B2 (ja) 吊床の構築方法
KR101747821B1 (ko) 배수로 시공설비 및 배수로 시공방법
KR100697555B1 (ko) 벽체 거푸집 사선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벽체 거푸집 설치 구조
KR20190128916A (ko) 콘크리트 타설막이의 지지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지지구조
KR101739126B1 (ko) 탑다운 방식 지하 구조물 형성 방법
KR102444870B1 (ko) 고소작업용 합벽지지대 설치장치
KR102448993B1 (ko) 연결철물을 이용하여 공기단축이 가능한 장수명 라멘조 공동주택 pc 공법
JP6373218B2 (ja) 高さ調整治具及びスラブの立ち上がり部の形成方法
CN112096096B (zh) 预埋钢板的定位装置及其施工方法
JP2006183266A (ja) 積層ゴム支承による免震構造物の建築構法
JPH08170366A (ja) 柱・梁接合部材のための仮止め装置
JPH0782753A (ja) 布基礎の施工方法
JP2716357B2 (ja) 立上り部型枠固定治具
CN215948908U (zh) 梁模板结构的夹固装置
KR102046876B1 (ko) Pc 오픈 발코니
CN216922117U (zh) 一种应用于长大盾构井二衬的单侧支模结构
KR20190000607U (ko) 거푸집 멍에용 안전난간대
JP6309685B1 (ja) 型枠支保工法及び型枠支保構造体
JPS5834887Y2 (ja) 布基礎コンクリ−ト打用アンカ−ボルト支持具
JPH06257214A (ja) 急勾配屋根を有する最上階のコンクリート打設方法
JPS5925969Y2 (ja) 基礎金物
JPH05133199A (ja) 止水板の設置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