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6480A - 은사를 포함하는 기능성 원단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의류 - Google Patents

은사를 포함하는 기능성 원단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의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6480A
KR20190126480A KR1020180050404A KR20180050404A KR20190126480A KR 20190126480 A KR20190126480 A KR 20190126480A KR 1020180050404 A KR1020180050404 A KR 1020180050404A KR 20180050404 A KR20180050404 A KR 20180050404A KR 20190126480 A KR20190126480 A KR 201901264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lver
yarn
functional
fabric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0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더뉴히어로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더뉴히어로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더뉴히어로즈
Priority to KR10201800504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26480A/ko
Publication of KR201901264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64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4Other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primarily by the use of particular thread material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36Cored or coated yarns or thread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38Threads in which fibres, filaments, or yarns are wound with other yarns or filaments, e.g. wrap yarns, i.e. strands of filaments or staple fibres are wrapped by a helically wound binder yarn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4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4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 D04B1/26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stocking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83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metals; with metal-generat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Reduction of metal compounds on textil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3Physical properties anti-allergenic or anti-bacterial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2Underwear
    • D10B2501/021Hosiery; Panti-ho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Fi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은 성분이 보이는 항균, 탈취, 피부보호, 상처치유, 전자파 차단, 정전지 방지 등의 효과를 장시간 사용과 수많은 회수의 세탁 후에도 여전히 보유할 수 있는 기능성 원단과 이를 이용한 기능성 의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은사 원단과 이를 이용한 기능성 의류는 은 성분이 보이는 항균, 탈취, 피부보호, 상처치유, 전다파 차단, 정전지 방지 등의 효과를 보일 뿐 아니라, 장시간 사용과 수많은 회수의 세탁 후에도 여전히 그 성능을 유지하는 우수한 내구성을 보인다.

Description

은사를 포함하는 기능성 원단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의류{Functional fabric comprising silver yarn, and functional clothing manufactured by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은사를 이용한 기능성 원단 및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의류에 관한 것이다.
본초강목은 은(Ag, silver)에 대한 효능에 대하여, "은(銀)은 몸에 지니고 있으면 오장이 편안하고, 심신이 안정되며 사기(邪氣)를 내쫓고 몸을 가볍게 하여 명(命)을 길게 한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또한, 동의보감에서도 "은(銀)은 간질 및 경기 등 정신질환과 냉 대하와 같은 부인병 예방 및 치료에 효험이 있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은(Ag)은 살균 및 탈취작용이 매우 뛰어나고, 전자파나 수맥파 차단 등의 효과도 매우 뛰어나다. 또한, 은(Ag)은 음이온을 비롯한 원적외선의 방사 효과가 뛰어나고, 항균 및 항곰팡이의 작용 또한 매우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은'은 특유의 항균 효과와 해독작용 등을 보이는 물질로 오래 전부터 인식되어, 인류의 역사에서 오래 전부터 해독제로 사용되어 왔으며, 특히 중금속이나 각종 유해성분을 중화 또는 흡착하여 변색되는 특성도 가지고 있어, 우리나라에서도 물과 음식물 속의 독극물을 탐지하고 예방하는 물질로 사용되어 궁중에서 은수저나 은식기 등의 재료로 활용되어 왔다. 근래에는 섬유제품에 응용되어 의학용 붕대에서부터 가정용 변기 커버 등에 이르기까지 여러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최근 '은'을 기존 섬유사 위에 코팅하거나 섬유 속에 직접 함유시키는 기술이 개발됨에 따라서, 은사(silver yarn 또는 silver fiber) 제품들이 속옷이나 양말, 스포츠웨어, 침구류 등에 사용되는 사례들이 속속 나오고 있다. 최근 사례 속에서 은사 섬유는 박테리아의 확산을 막을 수 있으며, 수백 번 세탁을 해도 그 기능성을 잃지 않는 내구성을 보이고 있다. 대부분의 은 가공 섬유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은의 기능성이 감소하지만 은이 섬유 속에 직접 포함된 제품은 많은 세탁을 거친 후에도 기능성이 유지되는 내구성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은사 섬유는 섬유에 냄새를 발생시키는 박테리아를 제거할 수 있어 일반 섬유제품에 비해 세탁을 덜하고 오래 입을 수 있고, 이로 인해 에너지를 저감할 수 있고, 멀게는 온실가스 배출과 오염물질의 사용을 줄일 수 있는 장점까지 지닐 수 있다.
이와 같은 은사 또는 도전성 섬유를 제조하는 종래의 방법은 크게 은을 나노화시킨 미세한 입자의 분말을 원사의 원료에 투입하여 혼합시켜 방사함으로써 은 입자를 원사에 함침시키는 원사혼합법과, 직조된 원단 또는 원사의 표면에 바인더 등을 이용하여 은을 코팅하는 코팅 방법으로 구별된다.
먼저 원사혼합법에 따른 종래기술로서 특허 제613189호에 제안되어 있는 은 나노 합성섬유의 제조방법은 은 나노를 전처리하여 안정화하고 그 안정화된 은 나노의 표면을 폴리머로 코팅하여 은 나노 입자간의 뭉침 현상을 방지하는 단계(S100)와, 원료 중합 칩을 건조시킴과 아울러 상기 전처리된 은 나노를 혼합하는 단계(S200)와, 상기 전처리된 은 나노가 혼합된 원료 중합 칩을 용융시키고 방사하여 은 나노 입자가 고르게 분포하는 은 나노 합성 섬유사를 획득하는 단계(S300)로 이루어진다. 상기 은 나노를 전처리하는 단계(S100)는 은 나노 입자에 실리콘 산화물을 코팅하여 안정화하는 단계(S110)와, 상기 실리콘 산화물이 표면에 코팅된 은 나노 입자의 표면에 다시 폴리머를 코팅하는 단계(S120)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은 나노 합성 섬유의 제조공정은 원사혼합법의 일종으로 원사에 적용시킬 때는 특히 화섬사의 경우에 은을 나노화시켜서 된 미세한 입자의 분말을 원사의 원료에 투입하고 혼합시켜 방사함으로써 은 입자가 원사에 함침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는 원사에 은 입자가 고른 분포를 가져야 하는 어려움을 가지고 있고, 고른 분포를 가진다고 해도 원사의 내부의 표면으로 돌출되지 못한 은 입자의 경우에는 은 고유의 특성을 발휘하지 못하게 되므로 첨가되는 은의 양에 비하여 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또한, 원사를 방사하는 과정에서 은의 함침량을 늘리게 되면 원사의 방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여 절사 등의 불량이 자주 발생하기 때문에 문제점이 있고, 상기 화섬사 이외의 면사 등과 같은 천연소재의 경우에는 은을 함침시킬 수 없어서 사용에 한계가 따르는 등의 문제점도 내포하고 있다. 또한, 원사혼합법에 따른 은 섬유는 전기적 특성에 있어서 전자파 차폐 및 전도성이 떨어지고, 폴리에스텔을 비롯한 화섬사의 경우에만 가능하며, 이 경우 함침되는 은의 양이 미세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은의 효과를 크게 기대하기 어렵다.
이러한 원사혼합법에 따른 종래 기술로서 특허 제573029호(은 섬유 및 그의 제조방법)에는 섬유 제조용 폴리머와 은 입자를 방사하기 전 혼합한 후 노즐을 통하여 방사하여 원사를 만드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얻어진 원사 내부에는 균일하게 은 입자가 분포되어 있으나, 상기한 바와 같은 동일한 문제를 가지고 있다. 또한, 특허 제588763호(은 나노입자-함유 항균섬유의 제조방법 및 제조된 항균섬유)에도 은 나노입자 콜로이드 용액을 회전 하에 예열된 중합체에 첨가하고 수분을 제거함으로써 은 나노입자가 응집 없이 중합체 내에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는 은 나노입자-함유 항균섬유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항균섬유가 개시되어 있으며, 이는 은 나노입자와 중합체를 혼합 방사한 것이므로 상기와 동일한 문제를 가지고 있다.
한편, 코팅 방법에 따른 종래기술로서 공개특허공보 제2004-78826호에 제안되어 있는 비철금속을 함유한 기능성 섬유 제조방법은, 원료를 용융시켜 노즐을 통하여 배출되는 화이바 원사를 제조한 후, 노즐 배출구에 설치한 정제수를 수조에 담고 노즐을 통과한 화이바에 방전극을 대각선 방향으로 다수개 배열하고 전원을 공급하되 방전극이 골고루 방전되도록 교번공급과 서로 교차하여 공급하도록 구성한 수조를 화이바 원사를 통과시켜 섬유에 고착되게 하는 기술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방전극을 이용하여 방전시킴으로써 섬유에 비철금속을 함유시키는 것은 일종의 은 코팅법으로 그 공정이 번거롭고 불편하며 원가를 상승시키는 단점을 내포하고 있다. 또한, 방전극의 배열이 일정하지 않아서 섬유에 일정하게 비철금속을 코팅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고 코팅된 은은 견고한 결합관계를 유지하지 못하므로 세탁 등의 과정을 통해 코팅된 은이 쉽게 탈피될 수 있어 초기에 갖고 있는 살균력이 그대로 유지되기 어려운 단점을 내포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원사혼합법 또는 코팅법 등은 각기 은 고유의 특성을 발휘하지 못하거나 코팅 작업이 번거롭고 불편한 추가 공정이 있거나 전기적 성능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등의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었다.
1. 한국 등록특허 제10-573029호 2. 한국 등록특허 제10-588763호 3. 한국 공개특허 제10-2004-78826호 4. 한국 등록특허 제10-542007호 5. 한국 공개특허 제10-2006-122543호 6. 한국 등록특허 제10-706669호 7. 한국 등록특허 제10-688899호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은 성분이 보이는 항균, 탈취, 피부보호, 상처치유, 전자파 차단, 정전지 방지 등의 효과를 장시간 사용과 수많은 회수의 세탁 후에도 여전히 보유할 수 있는 기능성 원단과 이를 이용한 기능성 의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A) 제1 심사의 표면에 은 박막층을 코팅하여 은사(silver yarn)를 수득하는 단계, (B) 상기 은사를 권취사로 사용하고 코어사를 제2 심사로 사용하여, 상기 코어사에 상기 은사를 권취하여 커버링사(silver-yarn-covered core yarn)를 수득하는 단계, (C) 상기 커버링사와 오가닉 코튼사와 편직하여 원단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은사 원단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본 발명의 여러 구현예에 따라 제조된 은사 원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본 발명의 여러 구현예에 따라 제조된 은사 원단을 직조하여 제조되는 기능성 의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은사 원단과 이를 이용한 기능성 의류는 은 성분이 보이는 항균, 탈취, 피부보호, 상처치유, 전다파 차단, 정전지 방지 등의 효과를 보일 뿐 아니라, 장시간 사용과 수많은 회수의 세탁 후에도 여전히 그 성능을 유지하는 우수한 내구성을 보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은사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커버링사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원단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A) 제1 심사의 표면에 은 박막층을 코팅하여 은사(silver yarn)를 수득하는 단계, (B) 상기 은사를 권취사로 사용하고 코어사를 제2 심사로 사용하여, 상기 코어사에 상기 은사를 권취하여 커버링사(silver-yarn-covered core yarn)를 수득하는 단계, (C) 상기 커버링사와 오가닉 코튼사와 편직하여 원단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은사 원단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심사 및 상기 제2 심사는 재질이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천연섬유이거나 합성섬유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천연섬유는 한지, PLA (폴리유산) 섬유, 면, 마, 모, 견 중에서 선택된 1종일 수 있다.
상기 합성섬유는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염화비닐계,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폴리아미드계, 폴리올레핀계, 폴리우레탄계, 폴리플로오르에틸렌계 중에서 선택된 1종일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A) 단계는 상기 제1 심사를 은 코팅액에 침지 처리 후 건조 처리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은 코팅액은 와이어 형태의 제1 은 전구체 5 내지 10 중량%, 입자 형태의 제2 은 전구체 5 내지 10 중량%, 바인더 3 내지 5 중량% 및 용매 80 내지 85 중량%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은 전구체는 길이가 1 내지 10 μm이고 직경이 1 내지 100 nm인 탄소 나노튜브 및 길이가 1 내지 10 μm이고 직경이 1 내지 100 nm인 은 나노와이어가 질량비 95 : 5 내지 99 : 1로 혼합된 혼합물이고, 상기 제2 전도성 물질은 직경이 80 내지 200 nm인 은 입자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바인더는 폴리우레탄, 아크릴, 폴리에스터, 멜라민, 염화비닐, 폴리이미드, 폴리올레핀, 페놀, PVA, 에폭시, 실리콘 및 불소수지 중 선택된 1종 이상의 바인더 주재, 및 폴리숙신이미드와 히드록시 말단 실록산이 질량비 1 : 0.8 내지 1.2로 혼합된 바인더 첨가재로 구성되고, 상기 바인더 첨가재는 상기 바인더 주재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5 내지 10 중량부일 수 있다.
위와 같은 바인더 첨가재에 의해 원단으로부터 은 탈리율이 현격하게 감소할 뿐만 아니라, 상기 바인더 첨가재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100 ℃ 이상의 온도에서 수행해야만 했던 상기 (A) 단계의 건조 처리 단계를 실온에서 처리하더라도 은 코팅이 쉽게 탈리되지 않는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본 발명의 여러 구현예에 따라 제조된 은사 원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본 발명의 여러 구현예에 따라 제조된 은사 원단을 직조하여 제조되는 기능성 의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의류에는 양말, 속옷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 실시예 등을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하며, 다만 이하에 실시예 등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와 내용이 축소되거나 제한되어 해석될 수 없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를 포함한 본 발명의 개시 내용에 기초한다면, 구체적으로 실험 결과가 제시되지 않은 본 발명을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음은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하다.
또한 이하에서 제시되는 실험 결과는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대표적인 실험 결과만을 기재한 것이며, 아래에서 명시적으로 제시하지 않은 본 발명의 여러 구현예의 각각의 효과는 해당 부분에서 구체적으로 기재하도록 한다.
실시예
제조예 1: 폴리숙신이미드 제조
DMF(N, N-dimethylformamide), 메시틸렌(mesitylene), 설퍼레인(sulforane), PBS(phosphate buffered saline, pH 7.4) 및 DMSO-d6(dimethyl sulfoxide-d6)은 알드리치(Aldrich) 및 Sigma(시그마)로부터 구입하여 용매로 사용하였다. 피렌(Pyrene)은 알드리치로부터 구입하여 형광표지(fluorescence probe)로 사용하였다. L-아스파르트산(L-Aspartic acid, 시그마) 및 포스포릭산(85%)(알드리치)은 각각 PSI의 합성을 위한 모노머 및 촉매로 사용하였다. 옥타데실아민(알드리치), O-(2-아미노에틸)-O'-메틸폴리에틸렌 글리콜 5000(Fluka, Buchs, 스위스) 및 1-(3-아미노프로필)이미다졸(알드리치)는 그라프트 공중합체 준비를 위하여 각각 소수성, 친수성 및 pH 민감성 부분으로서 사용하였다.
기계식 교반기, 응축기(condenser), 질수 주입구(nitrogen inlet) 및 딘-스탁 트랩(dean-stark trap)으로 구성된 500 ml 3구 환저 플라스크(3-neck round bottom flask)에 설퍼레인 30g과 메시틸렌 70g이 포함된 용액을 첨가한 다음, 모노머인 L-아스파르트산 25g을 넣고 충분히 교반하여 서스펜션 상태를 수득하였다. 후속하여, 반응물에 O-포스포릭산(O-phosphoric acid) 0.643 ml를 첨가하고, 온도를 170℃로 유지하면서 질소분위기 하에서 환류시켰고, 이때 생성된 물은 딘-스탁 트렙(Dean-Stark trap)을 통해 제거하였다. 5시간이 경과된 후 메탄올 200 ml로 침전시키고, 중성이 될 때까지 물로 세척한 뒤, 오븐에서 70℃, 24시간 동안 건조시켜 폴리숙신이미드(PSI)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2: 히드록시 말단 실록산 제조
500 mL 3구 플라스크에 콘덴서를 장착하고, 질소 분위기 하에서 HBAC 17.8g(0.100 mole)을 톨루엔 100 mL에 녹인 후, Karstedt's 촉매 0.04g(Platinum(0)-1,3-divinyl-1,1,3,3-tetramethyldisiloxane complex solution in vinyl polymer, Pt 1.8%)을 첨가하였다. 상기 용액을 가열하여 80℃~90℃ 유지 하에, 다미폴리켐 사의 PMS-19 75.6g(0.049 mole)을 30분 동안 천천히 첨가하고, 100℃ 온도 하에서 5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이 끝난 용액으로부터 톨루엔 용매를 제거한 후, 진공 오븐에서 24시간 건조시킴으로써 하기 화학식 E1의 히드록시 말단 실록산을 제조하였다.
Figure pat00001
실시예 1: 기능성 은사 제조
제1 전도성 물질로, 평균 길이가 1 내지 10 μm이고 평균 직경이 1 내지 100 nm인 단일벽 탄소 나노튜브와 평균 길이가 1 내지 10 μm이고 평균 직경이 1 내지 100 nm인 은 나노와이어가 질량비 97 : 3으로 혼합된 혼합물 8 중량%와 평균 직경이 100 내지 200 nm인 은 나노입자인 제2 전도성 물질 8 중량%, 고형분 10 중량%인 수분산 아크릴 바인더로 평균 직경이 10 내지 1,000 nm인 나노입자인 바인더 주재와 제조예 1과 2에서 제조한 고분자의 혼합물인 바인더 첨가재로 구성된 바인더 4 중량%, 물 80 중량%를 혼합하여, 은 코팅액을 제조하였다.
이때, 바인더 첨가재는 바인더 주재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7 중량부를 첨가하여 바인더를 제조하였으며, 바인더 첨가재는 제조예 1에서 제조한 고분자와 제조예 2에서 제조한 고분자를 질량비 1 : 1로 혼합하여 수득하였다. 이렇게 제조한 은 코팅액에 폴리에스테르 직물 원단을 픽업(pick up)율 100%로 패딩(padding) 처리한 후 실온에서 10 분 동안 건조하였다.
비교예 1: 기능성 은사 제조
바인더 첨가재를 사용하지 않고 바인더 주재만을 4 중량% 사용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기능성 은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기능성 은사 제조
바인더 첨가재를 사용하지 않고 바인더 주재만을 4 중량% 사용하고, 실온에서 건조하는 대신 150 ℃에서 건조한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기능성 은사를 제조하였다.
시험예 및 비교시험예 1 및 2: 항균성 시험
테스트 박테리아로 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 (화농균)을 이용하여,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및 2에서 제조한 기능성 은사에 대해, KS K 0693 시험방법에 따라 항균성을 시험하였다. 배지에 박테리아를 접종한 때로부터 18 시간 경과 후 각 기능성 은사에 잔존하는 박테리아 숫자의 감소율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실시예 1에서 제조한 기능성 은사인 경우 99.9% 이상인 반면, 비교예 1과 비교예 2에서 제조한 기능성 은사는 각각 87%와 91%에 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30회 세탁 후, 위 항균성 시험을 반복한 경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기능성 은사는 박테리아 숫자 감소율이 여전히 99%로 높게 유지되는 반면, 비교예 1은 65%로 큰 폭으로 저하되었고, 다만 비교예 2에서는 86%로 실시예 1보다는 낮지만 비교예 1보다는 높은 감소율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 기능성 커버링사 제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기능성 은사(120 데니아, 겉보기 25 데니아) 1 가닥과 본 발명의 출원인의 선행특허인 한국 등록특허 제10-1387709호에 따라 제조한 폴리유산 섬유 1 가닥을 350 T/M으로 권취하여 기능성 커버링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기능성 원단 제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기능성 커버링사를 다시 75 데니아 옥수수전분으로 만든 섬유인 PLA와 편직하여 기능성 원단을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기능성 원단은 최종 염색공정을 통해 다양한 색상으로 염색하였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기능성 원단은 양말과 속옷 등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서 무좀 방지 및 악취 방지, 땀 흡수 건조기능, 온도 조절에 의한 발한량 감소 기능 등의 효과를 동시에 보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본 발명에 따라 양말을 재직 사용함으로써 신발 및 발에서 발생하는 악취(황색포도상구균)를 제거하고 무좀의 원인인 백선균을 제거하여, 발 건강을 항상 유지키겨 줌으로써 건강한 생활을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Claims (6)

  1.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은사 원단 제조방법:
    (A) 제1 심사의 표면에 은 박막층을 코팅하여 은사(silver yarn)를 수득하는 단계,
    (B) 상기 은사를 권취사로 사용하고 코어사를 제2 심사로 사용하여, 상기 코어사에 상기 은사를 권취하여 커버링사(silver-yarn-covered core yarn)를 수득하는 단계,
    (C) 상기 커버링사와 오가닉 코튼사와 편직하여 원단을 수득하는 단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심사 및 상기 제2 심사는 재질이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천연섬유이거나 합성섬유이며,
    상기 천연섬유는 한지, PLA (폴리유산) 섬유, 면, 마, 모, 견 중에서 선택된 1종이고,
    상기 합성섬유는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염화비닐계,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폴리아미드계, 폴리올레핀계, 폴리우레탄계, 폴리플로오르에틸렌계 중에서 선택된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사 원단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제1 심사를 은 코팅액에 침지 처리 후 건조 처리함으로써 수행되고,
    상기 은 코팅액은 와이어 형태의 제1 은 전구체 5 내지 10 중량%, 입자 형태의 제2 은 전구체 5 내지 10 중량%, 바인더 3 내지 5 중량% 및 용매 80 내지 85 중량%로 구성되며,
    상기 제1 은 전구체는 길이가 1 내지 10 μm이고 직경이 1 내지 100 nm인 탄소 나노튜브 및 길이가 1 내지 10 μm이고 직경이 1 내지 100 nm인 은 나노와이어가 질량비 95 : 5 내지 99 : 1로 혼합된 혼합물이고, 상기 제2 전도성 물질은 직경이 80 내지 200 nm인 은 입자이며,
    상기 바인더는 폴리우레탄, 아크릴, 폴리에스터, 멜라민, 염화비닐, 폴리이미드, 폴리올레핀, 페놀, PVA, 에폭시, 실리콘 및 불소수지 중 선택된 1종 이상의 바인더 주재, 및 폴리숙신이미드와 히드록시 말단 실록산이 질량비 1 : 0.8 내지 1.2로 혼합된 바인더 첨가재로 구성되고, 상기 바인더 첨가재는 상기 바인더 주재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5 내지 1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사 원단 제조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라 제조된 은사 원단.
  5. 제4항에 따른 은사 원단을 직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의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는 양말 또는 속옷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의류.
KR1020180050404A 2018-05-02 2018-05-02 은사를 포함하는 기능성 원단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의류 KR201901264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0404A KR20190126480A (ko) 2018-05-02 2018-05-02 은사를 포함하는 기능성 원단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의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0404A KR20190126480A (ko) 2018-05-02 2018-05-02 은사를 포함하는 기능성 원단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의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6480A true KR20190126480A (ko) 2019-11-12

Family

ID=68577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0404A KR20190126480A (ko) 2018-05-02 2018-05-02 은사를 포함하는 기능성 원단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의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2648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99837A (zh) * 2019-11-14 2020-01-17 江苏翔宇工艺编织有限公司 一种羊毛针织物的静电消除加工方法
KR20230038949A (ko) 2021-09-13 2023-03-21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살균 기능을 가지는 원단, 의류 및 원단의 제조방법
CN116289180A (zh) * 2023-02-08 2023-06-23 江苏大同宝富纺织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导电功能的合纤织物成型及染整加工方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8826A (ko) 2003-03-05 2004-09-13 안정오 금 또는 은, 동, 알루미늄의 기능성 섬유제조방법 및 기능성 섬유
KR100542007B1 (ko) 2000-03-29 2006-01-16 세이렌가부시끼가이샤 도전성직물
KR100573029B1 (ko) 2002-05-28 2006-04-24 주식회사 삼흥 은섬유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588763B1 (ko) 2005-03-07 2006-06-09 이정훈 은나노입자-함유 항균섬유의 제조방법 및 제조된 항균섬유
KR20060122543A (ko) 2005-05-27 2006-11-30 김주용 금속사가 함입된 도전사
KR100688899B1 (ko) 2006-01-20 2007-03-02 주식회사 세올 도전성강력금속복합사의 제조방법 및 도전성강력금속복합사
KR100706669B1 (ko) 2006-05-25 2007-04-13 김수복 은 분말이 결합된 은사 및 그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2007B1 (ko) 2000-03-29 2006-01-16 세이렌가부시끼가이샤 도전성직물
KR100573029B1 (ko) 2002-05-28 2006-04-24 주식회사 삼흥 은섬유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40078826A (ko) 2003-03-05 2004-09-13 안정오 금 또는 은, 동, 알루미늄의 기능성 섬유제조방법 및 기능성 섬유
KR100588763B1 (ko) 2005-03-07 2006-06-09 이정훈 은나노입자-함유 항균섬유의 제조방법 및 제조된 항균섬유
KR20060122543A (ko) 2005-05-27 2006-11-30 김주용 금속사가 함입된 도전사
KR100688899B1 (ko) 2006-01-20 2007-03-02 주식회사 세올 도전성강력금속복합사의 제조방법 및 도전성강력금속복합사
KR100706669B1 (ko) 2006-05-25 2007-04-13 김수복 은 분말이 결합된 은사 및 그 제조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99837A (zh) * 2019-11-14 2020-01-17 江苏翔宇工艺编织有限公司 一种羊毛针织物的静电消除加工方法
CN110699837B (zh) * 2019-11-14 2021-08-17 江苏翔宇工艺编织有限公司 一种羊毛针织物的静电消除加工方法
KR20230038949A (ko) 2021-09-13 2023-03-21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살균 기능을 가지는 원단, 의류 및 원단의 제조방법
CN116289180A (zh) * 2023-02-08 2023-06-23 江苏大同宝富纺织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导电功能的合纤织物成型及染整加工方法
CN116289180B (zh) * 2023-02-08 2024-01-02 江苏大同宝富纺织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导电功能的合纤织物成型及染整加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adi et al. Evolution in the surface modification of textiles: a review
KR20190126480A (ko) 은사를 포함하는 기능성 원단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의류
JP4235244B1 (ja) ストレッチ布帛
JP5902630B2 (ja) 機能化されたセルロース成形体およびそれの製造のための方法
CN106637924B (zh) 一种抗菌纺织品及其制备方法
JP4100327B2 (ja) 複合繊維
Bashari et al. Functional finishing of textiles via nanomaterials
KR20070089792A (ko) 탄소 나노튜브를 포함하는 복합 섬유, 복합 섬유의 제조방법과 그 응용
US20150135445A1 (en) Fabric having ultraviolet radiation protection
CN101307526A (zh) 一种竹炭纤维面料的生产工艺
CN100363541C (zh) 纳米纤维集合体、聚合物合金纤维、混合纤维、纤维结构体以及它们的制造方法
Buschmann et al. Medical, cosmetic and odour resistant finishes for textiles
GB2524849A (en) Antibacterial fibre fabric with wicking properties
CN106435819A (zh) 一种新型高性能功能化石墨烯复合多孔纳米抗菌纤维材料及其制备方法
JPH11124729A (ja) 抗菌性繊維及びその製造方法
RU2402655C2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антимикробного серебросодержащего волокна на основе природного полимера
CN110219066A (zh) 内衣用抗静电竹炭纤维
CN114703654A (zh) 一种抗菌面料及其制备方法
CN111850823B (zh) 金属一维纳米材料与纤维复合网状结构
CN114481392A (zh) 一种纳米纤维包覆纱及其制备方法、纳米纤维包覆纱股线及其应用
Jayan et al. Sustainable nanotextiles: emerging antibacterial fabrics
Mondal et al. Metal and metal oxides nanoparticles in healthcare and medical textiles
CN113604923A (zh) 石墨烯/银复合弹性包芯纱及其制备方法与应用
JP5636616B2 (ja) ストレッチ布帛
Chowdhury et al. Nanomaterials for Multifunctional Texti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