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2543A - 금속사가 함입된 도전사 - Google Patents

금속사가 함입된 도전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2543A
KR20060122543A KR1020050045106A KR20050045106A KR20060122543A KR 20060122543 A KR20060122543 A KR 20060122543A KR 1020050045106 A KR1020050045106 A KR 1020050045106A KR 20050045106 A KR20050045106 A KR 20050045106A KR 20060122543 A KR20060122543 A KR 200601225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metal
fiber
conductive
metal ya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51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용
유재흥
Original Assignee
김주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주용 filed Critical 김주용
Priority to KR10200500451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22543A/ko
Publication of KR200601225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25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38Threads in which fibres, filaments, or yarns are wound with other yarns or filaments, e.g. wrap yarns, i.e. strands of filaments or staple fibres are wrapped by a helically wound binder yarn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1/00General methods for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 D01F1/02Addition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 D01F1/09Addition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for making electroconductive or anti-static filament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0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by the materials from which they are made
    • D02G3/12Threads containing metallic filaments or strip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36Cored or coated yarns or thread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44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D02G3/441Yarns or threads with antistatic, conductive or radiation-shielding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101/00Inorganic fibres
    • D10B2101/20Metallic fibr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6Physical properties antistatic; conductive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의류에 사용되는 금속사를 함입한 도전사에 관한 것이면, 구체적으로 탄소 미립자를 합성섬유의 원료 중에 혼입시킨 섬유를 소재로 하는 도전성 소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도전사는 0.03 ㎜ 내지 0.08 ㎜의 직경을 가진 구리 금속사 및 상기 금속사를 커버링하고 있는 절연성을 가진 섬유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전사는 스마트 의류에 장착되는 디지털 디바이스의 작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시에 의류 자체의 착용감을 저하시키지 않도록 하는 이점을 가진다.
도전사, 스마트 의류, 디지털 디바이스, poly 200D

Description

금속사가 함입된 도전사{A Conducting Fiber Containing Metal Yarn}
도 1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도전사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1의 (b)는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전사의 전기적 특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구리 금속사를 이용하여 제조된 도전사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스마트 의류에 사용되는 금속사를 함입한 도전사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탄소 미립자를 합성섬유의 원료 중에 혼입시킨 섬유를 소재로 하는 도전성 소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전사는 스마트 의류에 포함되어 있는 전기회로의 유지 및 관리를 위해 요구되는 기본적인 전기적인 성능과 의류에서 요구되는 기초 물성 및 패션성과 관련된다. 또한 도전사는 가공사는 물성 및 감정 조절 기술을 이용하여 개발 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도전사와 관련된 종래의 도전성 섬유의 개발 방향은 섬유 자체의 도전성을 부여하는 전기 도전 섬유(electric conductive fiber)의 개발이 아니라 단순히 정전기 제거의 기능에 제한되었다. 이러한 정전기 제거 방지 기능과 관련된 소재로서 정전기 대전 방지 소재는 발생한 정전기(전하)를 공기 중의 수분 등에 내보냄으로서 정전기 장해의 발생을 어렵게 한 소재를 말한다. 그리고 도전성 소재란 정전기를 끌어들이는 탄소 미립자를 합성 섬유의 원료 중에 혼입시켜 제조한 섬유 소재를 의미한다. 이와 같이 도전사의 제조 방법은 크게 복합사 방법, 코팅 방법 및 블렌딩 방법 등으로 나누어지고, 그리고 도전사는 스마트 의류와 관련된다.
일반적으로 스마트 의류란 의류에 설치되는 다양한 디지털 디바이스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제조된 의류로서 예를 들어 휴대 전화 기능과 같이 항상 휴대 및 착용할 수 있는 전자 기기의 작동이 가능하도록 제조된 것을 말한다. 이와 같은 스마트 의류를 이용하여 디지털 디바이스를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의류 자체가 전도성을 가지도록 만들어질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이러한 스마트 의류의 전도성 유지를 위하여 스마트 의류 자체가 전도성을 가진 섬유로 제조되어야 하며, 이와 같은 전도성을 가진 섬유를 도전사라 한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기기의 작동을 위한 연결 도구로는 케이블이 사용되지만 스마트 의류의 경우에는 착용감으로 인하여 케이블은 적용되기 어렵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이로 인하여 스마트 의류에 사용되는 도전사는 설치된 디지털 디바이스를 원활하게 작동시킬 수 있어야 하며 동시에 의류 자체의 편안한 착용감을 방해하지 않아야 한다는 조건을 충족시켜야 한다. 이와 같 은 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주로 고분자 섬유의 물리적 특성을 이용한 도전사가 개발되고 있으며 또한 금속 섬유를 이용하여 필요한 신축성 및 유연성을 가지도록 가공하는 기술이 개발되어 왔다.
도전성 소재는 주로 전하를 유도할 수 있는 탄소 미립자를 합성 섬유의 원료 중에 혼입시켜 섬유 형태로 제조하는 방법에 의하여 만들어진다. 그리고 이와 같은 제조되는 도전사를 제조 형태에 따라 분류하면 이미 설명한 것과 같이 복합사, 코팅사 및 블렌딩 사로 나누어 질 수 있다.
복합사는 도전성 카본 블랙을 분해하여 제조한 도전성 물질 또는 금속 층을 코어로 하고 그 위에 비전도성 층을 피복하여 제조된 층이 2개 이상인 도전사를 말한다. 그리고 복합사의 전도성을 높이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 코어는 원형이 아닌 이형 형태로 제조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코팅사는 비전도성 물질의 표면에 전도성 물질을 코팅한 도전사로서 도전 성능이 우수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일반적으로 코팅사는 구리를 이용하여 코팅이 되므로 내구성이 약하고 그리고 가격 경쟁력이 낮다는 단점을 가진다.
또 다른 도전사인 블렌딩 사는 금속선을 반복 다이스(Dies)에 통과시켜 가는 선 형태로 만들거나 또는 탄소나 활성탄을 고르게 분포시켜 도전성을 가지도록 제조된 것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블렌딩 사는 아크릴, 카이놀계 비닐론 섬유에 적용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으로 만들어진 도전사는 전체적으로 전기적 성능이 현저하게 낮아져서 스마트 의류에 장착된 디지털 디바이스를 적절하게 작동시키기 어 렵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이와 같은 도전사에 관련된 선행 기술로는 특허출원번호 제10-1990-0008436호 “도전성 폴리에스텔 섬유”가 있다. 상기 선행 기술은 복합사와 관련되고, 그리고 위에서 제시된 문제점을 여전히 지닌다는 단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아래와 같은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스마트 의류에 제조에 사용되는 도전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도전사는 금속사가 함입된 형태로 제조되고, 이와 같은 제조된 도전사는 스마트 의류에 장착된 디지털 디바이스를 작동시키기에 충분한 전기적 특성을 가지게 된다.
아래에서 본 발명에 따른 도전사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금속 도전사는 0.03 ㎜ 내지 0.08 ㎜의 직경을 가진 구리 금속사 및 상기 금속사를 커버링하고 있는 절연성을 가진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금속사는 1 내지 3 가닥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섬유는 PET, 나일론 또는 양모(cotton) 중의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금속 도전사는 0.03 ㎜ 내지 0.08 ㎜의 직경을 가진 구리 금속사 및 40 내지 80 데니어의 재봉사를 400 내지 800 Tm으로 가연하여 제조할 수 있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를 이용하여 실시 예로서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도 1의 (a) 및 (b)은 본 발명에 따른 도전사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의 (a)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도전사는 금속사(2)를 실로 커버링(1)을 하는 형태로 제조된다. 상기 금속사(2)는 도전성을 가진 임의의 금속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구리선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금속사(2)를 커버링(1)을 하는 실은 이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합성 섬유 또는 인조 섬유가 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절연성이 우수한 합성 섬유가 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로 제조된 폴리 200D와 같은 것이 사용될 수 있다. 금속사(2)는 일반적으로 저항이 작을수록 전기적 특성이 우수하므로 단면적이 큰 금속사(2)가 스마트 의류에 설치된 디지털 디바이스의 작동을 위하여 유리하다. 그러나 착용감 및 제조비용을 고려하는 경우에는 단면적이 작을수록 유리하다. 그러므로 금속사(2)의 단면적은 위와 같은 두 가지 관점을 고려하여 결정되어야 하고 사용되는 디지털 디바이스의 개수, 필요로 하는 전력량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금속사의 직경은 0.03 내지 0.08 ㎜가 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05 ㎜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금속사(2)는 실에 의하여 커버링(1)이 된다. 일반적으로 커버링(1)은 PET, 나일론, 양모(cotton) 등이 될 수 있고, 커버링(1)을 위하여 금속사의 단위 길이 당 실의 회전수가 많을수록 유리하다. 다만 회전수가 많을 경우 무게가 증가하므로 스마트 의류의 착용감에 나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러므로 위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실의 회전수를 결정하여야 한다.
도 1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도전사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b)에 도시된 것처럼 금속사(3)는 1가닥 이상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커버링이 되는 금속사(3)의 수는 제한되지 않으며 도 1의 (b)에는 금속사(3)가 3 가닥인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만약 금속사(3)가 구리가 되고, 금속사(3)의 직경이 5 ㎜라면 1가닥의 금속사에 대한 저항은 0.1 Ω/㎝가 된다. 그러므로 3가닥의 금속사(3)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약 0.033 Ω/㎝가 되어 전기적 특성의 관점에서는 유리하지만 스마트 의류의 무게가 증가한다는 단점을 가진다. 그러므로 금속사는 1 내지 3 가닥이 적당하다. 금속사가 2 가닥 이상이 되는 경우에도 커버링을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 실의 종류 및 커버링 방법 등은 금속사가 1 가닥인 경우와 동일하다.
본 발명에 따른 도전사가 스마트 의류의 제조에 사용되는 경우 일정한 길이를 가지게 되고, 일반적으로 저항은 도전사, 보다 정확하게는 금속사의 길이에 비례하여 증가하게 된다. 그러므로 금속사의 선택 및 선택된 금속사의 직경을 결정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다른 도전사의 제조에서 고려되어야 할 다른 요소는 금속사의 인 정 특성이 된다.
일반적으로 스마트 의류에 사용되는 도전사는 하중의 영향을 받게 되고 이로 인하여 도전사는 인장력을 받게 된다. 이와 같은 인장력으로 인하여 금속사의 길이의 변화가 발생하게 되고 아울러 하중이 클 경우에는 금속사가 절단될 수 있다. 아울러 스마트 의류는 사용자가 착용하는 경우 정적 상태에 있는 것이 아니라 동적 상태에 있기 때문에 금속사는 적절한 복원력 및 신축성을 가져야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전사에서 직경이 0.5 ㎜인 금속사를 사용하는 경우의 인장 특성이 도 2의 (a) 및 (b)에 도시되어 있다. 도 2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도전사에서의 하중에 따른 표면 변화를 도시한 것이고 도 2의 (b)는 굽힘 길이를 측정한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2의 (a)는 INSTRON(등록 상표)를 이용하여 파지 길이 25 ㎝ 및 인장속도 300 mm/min으로 실험한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동일한 조건에서의 하중에 따른 길이 및 저항의 변화는 아래의 표 1과 같이 나타났다.
표 1: 하중에 따른 길이 및 저항의 변화
하중 200gf 400 gf 600 gf
길이 증가 4.63 ㎜ 8.82 ㎜ 13.5 ㎜
저항 25.5 Ω 25.9 Ω 26.4 Ω
도 2의 (a) 및 표 1에 나타난 것처럼 하중에 의해 길이는 증가하였지만 저항은 원래 값을 유지하고 표면 변화는 무시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 2의 (b)는 FAST(등록 상표)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평균 굽힘 길이는 1.22 ㎝ 정도로 양호한 상태로 나타났고 인장 측정에서도 도 2의 (b)에 제시된 것처럼 의류 소재로서 적절성을 보여주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전사의 또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도전사는 금속사(4)와 섬유를 함께 가연(5)을 하는 방법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금속사(4)는 도 1에서 제시된 실시 예에서의 금속사와 유사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금속사의 직경도 유사한 범위가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0.03 내지 0.08 ㎜의 직경을 가진 금속사(4)와 60‘S(deniers) 3합 재봉사를 600 Tm으로 가연(5)을 하여 도전사를 제조할 수 있다. 재봉사의 섬도는 금속사(4)의 직경에 따라 40 내지 100’S의 사이의 값을 가질 수 있고 재봉사는 PET, 나일로 및 양모와 같은 것이 될 수 있지만 이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절연성을 가진 섬유가 될 수 있다. 또한 가연(5)의 수는 400 내지 800 Tm가 될 수 있지만 가연의 수가 커질수록 저항이 높아진다는 점을 감안할 때 바람직하게는 600 Tm이 될 수 있다.
위에서 본 발명이 실시 예로서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제시된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이며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 실시 예로부터 변형 또는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위와 같은 변형 또는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된다.
본 발명에 따른 금속사를 포함하는 도전사는 스마트 의류에 장착되는 디지털 디바이스의 작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시에 의류 자체의 착용감을 저하시키지 않도록 하는 이점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도전사는 특히 피부 친화적인 의복 소재로서 사용됨으로서 환자가 24시간 동안 계속 착용할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서 예를 들어 휴대 전화의 기능을 할 수 있는 것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디지털 디바이스가 장착이 된 스마트 의류에 확대 적용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진다.

Claims (4)

  1. 스마트 의류에 사용되는 금속 도전사에 있어서,
    0.03 ㎜ 내지 0.08 ㎜의 직경을 가진 구리 금속사 및 상기 금속사를 커버링하고 있는 절연성을 가진 섬유를 포함하는 금속 도전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금속사는 1 내지 3 가닥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도전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섬유는 PET, 나일론 또는 양모(cotton) 중의 어느 하나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도전사.
  4. 스마트 의류에 사용되는 금속도전사에 있어서,
    0.03 ㎜ 내지 0.08 ㎜의 직경을 가진 구리 금속사 및 40 내지 80 데니어의 재봉사를 400 내지 800 Tm으로 가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도전사.
KR1020050045106A 2005-05-27 2005-05-27 금속사가 함입된 도전사 KR200601225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5106A KR20060122543A (ko) 2005-05-27 2005-05-27 금속사가 함입된 도전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5106A KR20060122543A (ko) 2005-05-27 2005-05-27 금속사가 함입된 도전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2543A true KR20060122543A (ko) 2006-11-30

Family

ID=37707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5106A KR20060122543A (ko) 2005-05-27 2005-05-27 금속사가 함입된 도전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22543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6549B1 (ko) * 2007-02-16 2008-09-04 한국과학기술원 의복 내 rf 안테나 제조방법
KR100908874B1 (ko) * 2008-01-09 2009-07-23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경사용 금속복합사의 제조방법
CN102439205A (zh) * 2009-05-20 2012-05-02 阿莫绿色技术有限公司 银丝、银合捻丝、使用该银合捻丝的功能性织物及其制造方法
KR101334797B1 (ko) * 2012-02-15 2013-12-02 김준식 전도성 방모 방적사
KR101334796B1 (ko) * 2012-02-15 2013-12-02 김준식 전도성 소모 방적사
KR101403411B1 (ko) * 2013-01-18 2014-06-03 윤주영 스마트 기능 접목을 위한 특수복 소재용 전도성 원사 및 그 제조방법
KR20190126480A (ko) 2018-05-02 2019-11-12 주식회사 더뉴히어로즈 은사를 포함하는 기능성 원단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의류
KR20200077708A (ko) * 2018-12-21 2020-07-01 주식회사 덕우실업 센서용 직물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6549B1 (ko) * 2007-02-16 2008-09-04 한국과학기술원 의복 내 rf 안테나 제조방법
KR100908874B1 (ko) * 2008-01-09 2009-07-23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경사용 금속복합사의 제조방법
CN102439205A (zh) * 2009-05-20 2012-05-02 阿莫绿色技术有限公司 银丝、银合捻丝、使用该银合捻丝的功能性织物及其制造方法
US8549829B2 (en) 2009-05-20 2013-10-08 Amogreentech Co., Ltd. Silver yarn, plied yarn silver yarn, functional fabric using sam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KR101334797B1 (ko) * 2012-02-15 2013-12-02 김준식 전도성 방모 방적사
KR101334796B1 (ko) * 2012-02-15 2013-12-02 김준식 전도성 소모 방적사
KR101403411B1 (ko) * 2013-01-18 2014-06-03 윤주영 스마트 기능 접목을 위한 특수복 소재용 전도성 원사 및 그 제조방법
KR20190126480A (ko) 2018-05-02 2019-11-12 주식회사 더뉴히어로즈 은사를 포함하는 기능성 원단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의류
KR20200077708A (ko) * 2018-12-21 2020-07-01 주식회사 덕우실업 센서용 직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122543A (ko) 금속사가 함입된 도전사
RU2449069C2 (ru) Гибкая печатная проводящая ткань и способ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US6855421B2 (en) Temperature dependent electrically resistive yarn
CN1286000C (zh) 导电的纺织品
CA2493145C (en) Electrically conductive yarn
US20030178414A1 (en) Knitted thermal textile
US20170350044A1 (en) Fiber product and metal fiber
CN1924131A (zh) 导电的、可弹性伸长的混合纱线,其制造方法和具有这种混合纱线的纺织产品
SE1551703A1 (sv) Elektriskt ledande garn och produkt innehållande detta garn
JP2010509108A6 (ja) 伝導性ファブリック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11525198B2 (en) Warp-knitted spacer fabric
JP2011074512A (ja) e−テキスタイル用導電糸およびそれを用いた織編物
JP2018009259A (ja) 電気回路縫い糸
CN221040632U (zh) 柔性双绞线、纺织物以及可穿戴设备
CN217629111U (zh) 一种导电织物
CN212175124U (zh) 一种金银丝导电混纺纱
CN220661905U (zh) 一种防静电编织带
KR100956887B1 (ko) 전도성 원단의 제조방법
CN212152627U (zh) 一种弹性导电织带
KR100956885B1 (ko) 전도성 원단
KR20180115487A (ko) 경편 편직용 금속합연실의 제조방법 및 이를 활용한 전도성 경편직 원단의 제조방법
CN206598599U (zh) 一种防静电布料
KR100957643B1 (ko) 전도성 원단의 제조방법
KR100956886B1 (ko) 전도성 원단
KR100957644B1 (ko) 전도성 원단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