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5422A - 치료용 탄화수소 오일 - Google Patents

치료용 탄화수소 오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5422A
KR20190125422A KR1020197029349A KR20197029349A KR20190125422A KR 20190125422 A KR20190125422 A KR 20190125422A KR 1020197029349 A KR1020197029349 A KR 1020197029349A KR 20197029349 A KR20197029349 A KR 20197029349A KR 20190125422 A KR20190125422 A KR 201901254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hydrocarbon oil
ppm
oil
hydrocarb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93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68811B1 (ko
Inventor
벵자멩 스워보다
필리페 르메르
Original Assignee
토탈 마케팅 서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토탈 마케팅 서비스 filed Critical 토탈 마케팅 서비스
Publication of KR201901254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54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88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88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1Hydrocarb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3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0Alcohols; Phenols; Salts thereof, e.g. glycerol; Polyethylene glycols [PEG]; Poloxamers; PEG/POE alkyl 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4Esters of carboxylic acids, e.g. fatty acid monoglycerides, medium-chain triglycerides, parabens or PEG fatty acid es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1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nitrogen, e.g. nitro-, nitroso-, azo-compounds, nitriles, cyanates
    • A61K47/18Amines; Amides; Ureas;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Amino acids; Oligopeptides having up to five amino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1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nitrogen, e.g. nitro-, nitroso-, azo-compounds, nitriles, cyanates
    • A61K47/18Amines; Amides; Ureas;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Amino acids; Oligopeptides having up to five amino acids
    • A61K47/186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e.g. benzalkonium chloride or cetrimi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22Heterocyclic compounds, e.g. ascorbic acid, tocopherol or pyrrolid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44Oils, fats or waxes according to two or more groups of A61K47/02-A61K47/42; Natural or modified natural oils, fats or waxes, e.g. castor oil, polyethoxylated castor oil, montan wax, lignite, shellac, rosin, beeswax or lanol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4Skin, i.e. galenical aspects of topical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6Ointments; Bases therefor; Other semi-solid forms, e.g. creams, sticks, 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61K9/107Emulsions ; Emulsion preconcentrates; Micel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4Antipruri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6Antipsoria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8Antiseborrhe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2Keratolytics, e.g. wart or anti-corn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8Antioxidants, e.g. antiradic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0Antimyco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9/00General protective or antinoxious agents
    • A61P39/06Free radical scavengers or antioxid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04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2013Organic compounds, e.g. phospholipids, fats
    • A61K9/2018Sugars, or sugar alcohols, e.g. lactose, mannitol; Derivatives thereof, e.g. polysorb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4816Wall or shell material
    • A61K9/4825Proteins, e.g. gelat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erma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nc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Bio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Toxic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heumatolog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Cosmetic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약물로서 사용하기 위한 탄화수소 오일로서, 상기 탄화수소 오일은 90 내지 100 중량%의 이소파라핀 함량, 0 내지 10 중량%의 노말 파라핀 함량을 포함하고, 탄화수소 오일의 총 중량에 대하여 생물학적 기원의 탄소 함량을 90 % 이상 갖는다.

Description

치료용 탄화수소 오일
본 발명은 약물로서 사용하기 위한 생물학적 기원의 주로 이소파라핀계의, 생분해성으로 분류되는 탄화수소 오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약물로서 사용하기 위한 생물학적 기원의 주로 이소파라핀계 및 적어도 하나의 4 차 암모늄의, 생분해성으로 분류되는 탄화수소 오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과 또는 제약 시장은 점점 그들의 제품 형성을 위해 생물학적 기원의 성분을 요구하고 있다. 활성 성분, 유화제 및 바이오소싱 (biosourced) 식물성 오일은 지난 몇 년 동안 고도로 개발되어 현재 시장에서 널리 이용가능하지만, 바이오소싱 활성 성분, 특히 100 % 생물학적 기원의 탄화수소 활성 성분은 여전히 드물다.
지금까지 항산화, 항염증 효과가 있거나 세포 노화를 억제할 수 있는 오일은 천연 또는 합성의 산소화된 오일로, 예컨대 트리글리세리드, 에스테르, 알코올이 있다. 예를 들어 올리브 오일, 망고 오일, 산자나무 오일 또는 코코아 오일과 같은 많은 식물성 오일이 있다.
그러나, 이 모든 오일은 실질적으로 산화에 민감하고, 충분히 안정적이지 않아 냄새 및 특성의 변화를 초래한다. 이들 식물성 오일의 불안정성은 특히 상당량의 헤테로 원자 및/또는 불포화를 포함하는 분자의 존재에 기인한다.
문헌 US 5,882,663은 통증 완화를 위한 C12 내지 C18 이소파라핀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이 문헌은 본 발명에서 정의된 탄화수소 오일을 개시하지 않았다.
따라서, 효과가 있고 특히 안정성, 휘발성, 피부에 퍼짐, 냄새, 부드러운 느낌 및 광택 측면에서 만족스러운 물리-화학적 및 감각 특성을 가져서 제제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새로운 생물학적 기원의 활성 성분을 가질 필요가 있다.
출원인은 놀랍게도 이소파라핀을 주로 포함하는 생물학적 기원의 탄화수소 오일의 사용을 통해 이러한 요구가 충족될 수 있음을 발견했다.
본 발명은 항산화제 및/또는 자유 라디칼 차단제 및/또는 항-염증제 및/또는 항-아폽토시스 및/또는 항박테리아제 및/또는 항진균제로서 사용될 수 있는 약물 활성 성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피부 질환 치료, 특히 염증 감소 및/또는 상처 치유 장애의 치료를 위한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개선된 항-아폽토시스 효과를 갖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은 인간 및/또는 동물 신체의 치료를 위한 탄화수소 유형의 새로운 활성 성분으로 인해 달성된다.
본 발명은 약물로 사용되는 탄화수소 오일에 관한 것으로, 상기 탄화수소 오일은 90 내지 100 중량%의 이소파라핀 함량, 0 내지 10 중량%의 노말 파라핀(normal paraffin) 함량을 포함하고, 탄화수소 오일의 총 중량에 대해 90 % 이상의 생물학적 기원의 탄소 함량을 갖는다.
바람직하게, 상기 탄화수소 오일은 항산화제 및/또는 항-라디칼제 및/또는 항-염증제 및/또는 항-아폽토시스 및/또는 항박테리아 및/또는 항진균제로서 사용되도록 의도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탄화수소 오일은 건선, 티눈 및 사마귀, 여드름, 지루성 장애, 헤르페스, 진균증, 습진, 대상 포진 및/또는 상처 치유 장애와 같은 피부 질환 치료에 사용되도록 의도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탄화수소 오일은 국소 적용을 위해 사용되도록 의도된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탄화수소 오일은 전신 투여를 위해 사용되도록 의도된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탄화수소 오일은 이소파라핀 함량을 탄화수소 오일의 총 중량에 대하여 95 % 내지 100 중량%, 바람직하게는 98 % 내지 100 중량%를 포함한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탄화수소 오일은 14 내지 18 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비-시클릭(non-cyclic) 이소파라핀 중에서 선택된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탄화수소 오일은 하기를 포함한다:
- 탄화수소 오일의 총 중량에 대해 5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2 중량% 이하의 노말 파라핀 함량; 및/또는
- 탄화수소 오일의 총 중량에 대하여 1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0.5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100 ppm 이하의 나프텐계 화합물 함량; 및/또는
- 탄화수소 오일의 총 중량에 대하여 500 ppm 이하, 바람직하게는 300 ppm 이하, 바람직하게는 100 pp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ppm 이하, 유리하게는 20 ppm 이하 중량의 방향족 화합물 함량.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탄화수소 오일은 하기를 갖는다:
- 표준 ASTM D86에 따라 230 내지 340 ℃, 바람직하게는 235 내지 330 ℃, 더욱 바람직하게는 240 내지 325 ℃의 끓는점; 및/또는
- 표준 EN ISO 2719에 따라 110 ℃ 이상의 인화점; 및/또는
- 20 ℃에서 0.01kPa 이하의 증기압.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탄화수소 오일은 80 내지 180 ℃의 온도 및 50 내지 160 bar의 압력에서 생물학적 기원의 탈산소화된 및/또는 이성질화된 공급 원료의 촉매 수소화 방법에 의해 수득된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탄화수소 오일은 본 발명에 정의된 적어도 하나의 탄화수소 오일을 약학적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80 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0 중량%, 유리하게는 5 내지 30 중량%로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의 형태를 갖는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하기를 포함한다:
- 식물성 오일, 청구항 1 내지 10에 정의된 탄화수소 오일 이외의 탄화수소 오일, 식물성 버터, 지방족 알코올 및 에테르, 유성 에스테르, 알칸 및 실리콘 오일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지방질 물질 및/또는
-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무수 조성물, 에멀졀으로 예컨대 유중수형 에멀젼 (W/O), 수중유형 에멀젼 (O/W) 또는 다중 에멀젼 (구체적으로 W/O/W 또는 O/W/O), 나노에멀젼, 또는 분산액 또는 겔이다.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탄화수소 오일은 본 발명에 정의된 적어도 하나의 탄화수소 오일을, 의료용 식품의 총 중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80 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0 중량%, 유리하게는 5 내지 30 중량%의 양으로 포함하는 의료용 식품의 형태를 갖는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도록 의도되는 탄화수소 오일은 4차 암모늄, 방향족 알코올 및 이소티아졸리논(isothiazolinones) 중에서 선택된 화합물과 조합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화합물은 4 차 암모늄 중에서 선택되며, 상기 4 차 암모늄은 보다 바람직하게 벤잘코늄 클로리드(benzalkonium chloride) 및 디데실디메틸암모늄 클로리드(didecyldimethylammonium chloride) 중에서 단독으로 또는 혼합물로 선택된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화합물은 탄화수소 오일 및 화합물 조합 또는 약학적 조성물 또는 의료용 식품의 총 중량에 대하여 0.1 ppm 내지 40 중량%, 바람직하게는 0.5 ppm 내지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1 ppm 내지 2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3 ppm 내지 10 중량%, 이상적으로는 5 ppm 내지 1 중량%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약물, 바람직하게는 활성 성분으로서 사용되도록 의도된 탄화수소 오일에 관한 것으로, 상기 탄화수소 오일은 탄화수소 오일의 총 중량에 대하여 90 내지 100 중량%의 이소파라핀 함량, 0 내지 10 중량%의 노말 파라핀 함량 및, 95 % 초과의 생물학적 기원의 탄소 함량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정의된 탄화수소 오일은 인간 및/또는 동물 신체의 치료, 구체적으로 치료적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정의된 탄화수소 오일은 특히 항산화제, 자유 라디칼 차단제 및/또는 항-염증제 및/또는 항-아폽토시스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된 탄화수소 오일은 비자극성, 생분해성 및 비취성(non-odorous)으로 분류되는 약학적 조성물을 가질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된 탄화수소 오일은 특히 불포화 화합물 및/또는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화합물을 낮은 비율로 포함하는, 심지어 실질적으로 또는 전혀 함유하지 않는 본 발명에 정의된 탄화수소 오일로 인해 특히 안정한 약학적 조성물을 얻을 수 있게 한다.
예비적으로, 상세한 설명 및 하기의 청구 범위에서, "내지 (between)"라는 표현은 언급된 한계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탄화수소 오일: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된 탄화수소 오일은 바람직하게는 탄화수소 오일의 총 중량에 대하여 90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95 중량% 이상, 유리하게는 98 중량% 이상의 이소파라핀계 화합물 함량을 포함한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된 탄화수소 오일에 존재하는 이소파라핀계 화합물은 12 내지 30 개의 탄소 원자, 바람직하게는 13 내지 19 개의 탄소 원자, 보다 바람직하게는 14 내지 18 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된 탄화수소 오일은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5 중량% 이하 및 유리하게는 2 중량% 이하의 노말 파라핀 함량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된 탄화수소 오일은 유리하게는 대부분의 이소파라핀 및 소수의 노말 파라핀을 포함한다. 이들 이소파라핀은 유리하게는 비-시클릭 이소파라핀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화수소 오일은 이소파라핀 대 노말 파라핀 질량비가 적어도 12 : 1, 바람직하게는 15 : 1,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 1이다. 더욱 유리하게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된 탄화수소 오일은 임의의 노말 파라핀을 포함하지 않는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된 탄화수소 오일은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100 중량%의 이소파라핀 및 0 내지 10 중량%의 노말 파라핀 함량, 바람직하게는 95 내지 100 중량%의 이소파라핀 및 0 내지 5 중량%의 노말 파라핀 함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98 내지 100 중량%의 이소파라핀 함량 및 0 내지 2 중량%의 노말 파라핀 함량을 포함한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된 탄화수소 오일은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100 중량%의 이소파라핀 함량 및 0 내지 10 중량%의 노말 파라핀 함량, 바람직하게는 95 내지 100 중량%의 이소파라핀 함량을 포함하고, 상기 이소파라핀은 12 내지 30 개의 탄소 원자, 보다 바람직하게는 14 내지 18 개의 탄소 원자, 보다 바람직하게는 14 내지 17 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알칸 중에서 선택된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된 탄화수소 오일은 하기를 포함한다:
- 탄화수소 오일의 총 중량에 대해 80 내지 98 중량%의 조합된 양으로 조합된 15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이소파라핀 및 16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이소파라핀, 또는
- 탄화수소 오일의 총 중량에 대해 80 내지 98 중량%의 조합된 양으로 16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이소파라핀, 17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이소파라핀 및 18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이소파라핀, 또는
- 탄화수소 오일의 총 중량에 대해 80 내지 98 중량%의 조합된 양으로 17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이소파라핀 및 18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이소파라핀.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된 탄화수소 오일은 바람직하게는 1 % 이하, 바람직하게는 0.5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ppm 이하 중량의 나프텐계 화합물 함량을 포함한다.
다른 바람직한 구체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된 탄화수소 오일은 90 내지 100 중량%의 이소파라핀 함량, 0 내지 10 중량%의 노말 파라핀 함량 및 1 중량% 이하의 나프텐 함량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탄화수소 오일은 95 내지 100 중량%의 이소파라핀 함량, 0 내지 5 중량%의 노말 파라핀 함량 및 0.5 중량% 이하의 나프텐 함량을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는 98 내지 100 중량%의 이소파라핀 함량, 0 내지 2 중량%의 노말 파라핀 함량 및 100 ppm 이하 중량의 나프텐 함량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라 구현된 탄화수소 오일은 유리하게는 방향족 화합물이 없다. 예를 들어, 방향족 화합물의 함량은 중량 기준으로 500 ppm 이하, 바람직하게는 300 ppm 이하, 바람직하게는 100 pp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ppm 이하, 유리하게는 20 ppm 이하인 것으로 이해되고, 예를 들어 UV 분광 분석법에 의해 측정되었다.
상기 탄화수소 오일 중 이소파라핀, n-파라핀, 나프텐 및/또는 방향족 화합물의 중량 기준 함량은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는 방법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방법을 언급할 수 있다.
다른 바람직한 구체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된 탄화수소 오일은 90 내지 100 중량%의 이소 파라핀 함량, 0 내지 10 중량%의 노말 파라핀 함량, 1중량% 이하의 나프텐 및 500 ppm 이하 중량의 방향족 화합물 함량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화수소 오일은 95 % 내지 100 중량%의 이소 파라핀 함량, 0 내지 5 중량% 노말 파라핀 함량, 0.5 중량% 이하의 나프텐 함량 및 300 ppm 이하, 바람직하게는 100 ppm 미만, 바람직하게는 50 ppm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ppm 미만 중량의 방향족 화합물 함량을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탄화수소 오일은 95 내지 100 중량%의 이소파라핀 함량, 0 내지 5 중량%의 노말 파라핀 함량 및 100 ppm 이하 중량의 방향족 화합물 함량을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는 98 내지 100 중량%의 이소파라핀 함량, 0 내지 2 중량%의 노말 파라핀 함량, 100 ppm 이하 중량의 나프텐 함량 및 100 ppm 이하 중량의 방향족 화합물 함량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탄화수소 오일은 생물학적 기원의 탄소 함량을 95 % 이상, 바람직하게는 98 % 이상, 바람직하게는 100 %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라 구현된 탄화수소 오일은 또한 황 화합물을 바람직하게는 극미량, 전형적으로 5 ppm 이하, 바람직하게는 3 pp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ppm 이하로, 기존의 저-함량 황 분석기를 사용하여 감지하기에는 너무 낮은 수준의 중량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라 구현된 탄화수소 오일은 또한 표준 EN ISO 2719에 따라 인화점이 110 ℃ 이상, 바람직하게는 120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40 ℃ 이상이다. 높은 인화점, 전형적으로 110 ℃ 초과의 인화점은 한편으로 탄화수소 오일에 너무 민감한 인화성을 피함으로써 저장 및 운송 중 안전 문제를 극복할 수 있게 한다.
탄화수소 오일은 또한 더욱 바람직하게 20 ℃에서 0.01 kPa 이하의 증기압을 갖는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라 구현된 탄화수소 오일은 또한 바람직하게 표준 EN ISO 2719에 따라 110 ℃ 이상의 인화점 및 20 ℃에서 0.01 kPa 이하의 증기압을 갖는다. 바람직하게, 상기 탄화수소 오일은 120 ℃ 이상의 인화점 및 20 ℃에서 0.01 kPa 이하의 증기압을 갖는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는 130 ℃ 이상의 인화점 및 20 ℃에서 0.01 kPa 이하의 증기압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라 구현된 탄화수소 오일은 인화성, 냄새 및 휘발성의 문제를 극복할 수 있게 하는 끓는점, 인화점 및 증기압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탄화수소 오일은 표준 EN ISO 3104에 따라 40 ℃에서 5 cSt 이하, 바람직하게는 4 cSt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 cSt 이하의 동점도를 갖는다.
수득 방법:
이러한 탄화수소 오일 조성물은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수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된 탄화수소 오일은 바이오매스의 전환으로부터 유래되는 탄화수소 분획이다.
바이오매스의 전환으로부터 유래되는 이라는 용어는 생물학적 기원의 원재료로부터 생성된 탄화수소 분획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 생물학적 기원의 탄화수소 분획은 수소첨가탈산소화 반응 (hydrodeoxygenation, HDO) 및 이성질화 (isomerisation, ISO)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수득된다. 수소첨가탈산소화 반응(HDO) 단계는 생물학적 에스테르 또는 트리글리세리드 성분의 구조 분해, 산소화된, 인 및 황 화합물의 제거 및 올레핀 결합의 수소화로 이어진다. 이어서 수소첨가탈산소화 반응으로부터 유래되는 생성물이 이성질화된다. 분별 단계는 바람직하게는 수소첨가탈산소화 반응 및 이성질화 단계 다음에 수행한다. 유리하게는, 관심 분획은 본 발명에 따라 원하는 탄화수소 오일의 사양을 얻기 위해 수소 처리 단계 그 다음에 증류 단계를 거친다.
이 HDO/ISO 방법은 식물성 오일, 동물성 지방, 어유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바이오매스 또는 생물학적 기원의 원재료라고도 하는 가공되지 않은 생물학적 공급 원료에서 구현된다. 생물학적 기원의 적합한 원재료는 예를 들어 유채씨유, 카놀라유, 톨올(tallol) 또는 톨유(tall oil), 해바라기유, 대두유, 햄프씨드유, 올리브유, 아마씨유, 겨자유, 팜유, 땅콩유, 피마자유, 코코넛유, 탤로(tallow)와 같은 동물성 지방, 재생된 식이 지방, 유전자 조작된 원재료 및 조류(algae) 및 박테리아와 같은 미생물로부터 생산된 생물학적 원재료이다. 가공되지 않은 생물학적 물질로부터 수득된 축합 생성물, 에스테르 또는 다른 유도체 또한 원재료로서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생물학적 기원의 원재료는 에스테르 또는 트리글리세리드 유도체이다. 이 물질은 성분인 에스테르 또는 트리글리세리드의 구조를 분해하고 산소화된, 인 및 황 화합물을 제거와 동시에 올레핀 결합의 수소화를 위해 먼저 수소첨가탈산소화 반응 (HDO) 단계를 거친다. 생물학적 기원의 원재료의 수소첨가탈산소화 반응 (HDO) 단계에 이어서 수득된 생성물의 이성질화에 의해 탄화수소 사슬의 분지화를 야기하고 저온에서 파라핀의 특성을 개선시킨다.
HDO 단계 동안, 수소 및 생물학적 기원의 원재료는 동일한 방향 또는 반대 방향으로, 동시에 촉매 수소첨가탈산소화 반응 층을 통과한다. HDO 단계 동안, 압력 및 온도는 각각 20 내지 150 bar 및 200 내지 500 ℃이다. 통상적이고 공지된 수소첨가탈산소화 반응 촉매가 이 단계 동안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생물학적 기원의 원재료는 HDO 단계 전에 이중 결합의 2 차 반응을 방지하기 위해 온화한 조건에서 사전-수소화될 수 있다. 수소첨가탈산소화 반응 단계 후, 반응에서 나오는 생성물은 수소와 생성물, 및 선택적으로 n-파라핀의 혼합물이 동일한 방향 또는 반대 방향으로 동시에 촉매 수소첨가탈산소화 반응 층을 통과하는 이성질화 (ISO) 단계를 거친다. ISO 단계 동안, 압력과 온도는 각각 20 내지 150 bar, 및 200 내지 500 ℃ 이다. 통상적이고 공지된 이성질화 촉매가 이 단계 동안 사용된다.
추가적인 2 차 방법 (예 : 중간체 혼합물, 트래핑 또는 다른 종류의 방법)도 구현될 수 있다.
HDO/ISO 단계로부터 나오는 생성물은 관심 있는 분획을 얻기 위해 선택적으로 분별될 수 있다.
다양한 HDO/ISO 방법이 문헌에 기재되어 있다. 출원 WO2014/033762는 사전-수소화 단계, 수소첨가탈산소화 반응 단계 (HDO) 및 반대 방향을 수행하는 이성질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기재하고 있다. 특허 출원 EP1728844는 식물 및 동물 기원 화합물의 혼합물로부터 탄화수소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기재하고 있다. 이 방법은, 예를 들어 알칼리 금속 염과 같은 오염물을 제거할 수 있게 하는 혼합물을 전처리하는 단계, 이어서 수소첨가탈산소화 반응 단계 (HDO) 및 이성질화 단계를 포함한다. 특허 출원 EP2084245는 예를 들어 해바라기유, 유채씨유, 카놀라유, 팜유 또는 파인유와 같은 식물성 오일과 같은 유리 지방산과 선택적으로 혼합물을 이루는 지방산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생물학적 기원의 혼합물의 수소첨가탈산소화 반응에 의해 디젤 또는 디젤의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는 탄화수소 혼합물의 제조 방법과 특정 촉매에 대한 히드로이성질체화를 기재한다. 출원 WO2016/185046은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된 탄화수소 오일을 수득하는 방법을 기재하고, 여기서 탄화수소 오일은 80 내지 180 ℃의 온도 및 50 내지 160 bar의 압력에서 생물학적 기원의 탈산소화 및 이성질화된 공급 원료의 촉매 수소화 방법에 의해 수득된다.
유리하게는, 생물학적 기원의 원재료는 표준 EN ISO 20846에 따라 황을 중량 기준으로 15 ppm 미만, 바람직하게는 8 ppm 미만, 바람직하게는 5 ppm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1 ppm 미만으로 포함한다. 이상적으로, 공급 원료는 바이오소싱 기원의 원재료로서 황을 포함하지 않는다.
수소 처리 단계 전에, 사전-분획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수소화 장치의 입력에서 더 좁은 분획은 장치의 출력에서 좁은 분획을 얻을 수 있게 한다. 실제로, 사전-분획되지 않은 분획은 전형적으로 150 내지 360 ℃의 끓는점을 갖는 반면, 사전-분획된 분획의 끓는점은 220 내지 330 ℃이다.
이어서 HDO/ISO 방법으로부터 나오는 탈산소화 및 이성질화된 공급 원료가 수소화된다. 수소화 장치에 사용된 수소는 일반적으로 고도로 정제된 수소이다. 용어 고순도는, 예를 들어 99 % 초과의 순도의 수소를 의미하며, 다른 등급도 사용될 수 있다.
수소화 단계는 촉매로 인해 수행된다. 전형적인 수소화 촉매는 벌크로 또는 지지될 수 있으며, 니켈, 백금, 팔라듐, 레늄, 로듐, 니켈 텅스테이트, 니켈-몰리브덴, 몰리브덴, 코발트-몰리브덴과 같은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체는 실리카, 알루미나, 실리카-알루미나 또는 제올라이트일 수 있다.
바람직한 촉매는 비표면적이 100 내지 200 m2/g로 다양한 촉매 또는 니켈에 기초한 벌크의 촉매인 알루미나 지지체 상에 니켈 염기를 갖는 촉매이다. 수소화 조건은 전형적으로 하기와 같다:
- 압력: 50 내지 160 bar,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50 bar,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120 bar;
- 온도: 80 내지 180 ℃, 바람직하게는 120 내지 160 ℃,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 내지 160 ℃
- 액 공간 속도 (Liquid Hourly Space velocity, LHSV): 0.2 내지 5 시간-1, 바람직하게는 0.4 내지 3 시간-1,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0.8 시간-1;
- 수소 처리 속도: 상기 언급된 조건에 적합하고 처리될 공급 원료의 최대 200 Nm3/톤 범위에 이를 수 있다.
반응기의 온도는 전형적으로 약 100 bar의 압력에서 150 내지 160 ℃이며, 시간당 공간 속도는 처리될 공급 원료의 품질 및 제 1 수소화 반응기의 파라미터에 따라 적합한 처리 속도로 약 0.6 시간-1이다.
수소화는 하나 또는 여러 반응기에서 연속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반응기는 하나 또는 여러개의 촉매층을 포함할 수 있다. 촉매층은 일반적으로 고정식 촉매층이다.
수소화 방법은 바람직하게 2 개 또는 3 개의 반응기, 바람직하게는 3 개의 반응기를 포함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 개의 반응기에서 연속적으로 수행된다.
제 1 반응기는 황 화합물의 포획 및 실질적으로 모든 불포화 화합물 및 방향족 화합물의 최대 약 90 %로 수소화를 가능하게 한다. 제 1 반응기로부터 나오는 생성물은 실질적으로 황 화합물을 포함하지 않는다. 제 2 단계에서, 즉 제 2 반응기에서, 방향족의 수소화가 계속되고 따라서 방향족의 최대 99 %가 수소화된다.
제 3 반응기의 제 3 단계는, 예를 들어 300 ℃를 초과하는 끓는점이 높은 제품의 경우에도 500 ppm 이하, 바람직하게는 300 ppm 이하, 바람직하게는 100 pp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ppm 이하, 이상적으로는 20 ppm 이하의 방향족을 수득할 수 있게 하는 마무리 단계이다.
2 개 또는 3 개 또는 그보다 많은 촉매층을 갖는 반응기를 사용할 수 있다. 촉매는 각각의 반응기에 가변 또는 본질적으로 동일한 양으로 존재할 수 있으며; 3 개의 반응기의 경우, 중량에 따른 양은 예를 들어 0.05-0.5/0.10-0.70/0.25-0.85, 바람직하게는 0.07-0.25/0.15-0.35/0.4-0.78, 보다 바람직하게는 0.10-0.20/0.20-0.32/0.48-0.70일 수 있다.
또한, 3 개 대신에 1 개 또는 2 개의 수소화 반응기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 1 반응기는 대안적으로 구현된 트윈 반응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작동 방법은 특히 촉매의 용이한 로딩 및 언로딩을 가능하게 한다: 제 1 반응기가 먼저 포화된 촉매를 포함할 때 (실질적으로 모든 황이 포획되거나 및/또는 촉매상에) 자주 변경되어야 한다.
둘, 셋 또는 그보다 많은 촉매층이 설치된 단일 반응기도 사용될 수 있다.
각 반응의 온도 및 열수 균형을 제어하기 위해 하나의 반응기에서 다른 반응기로 또는 하나의 촉매층에서 다른 촉매층으로 유출물을 냉각시키기 위해 재순환 시스템 또는 반응기 사이에 퀀치(quench) 박스를 삽입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바람직한 구체예에 따르면, 냉각 또는 퀀칭 매개체가 없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방법으로부터 나오는 생성물 및/또는 분리된 가스는 수소화 반응기의 공급 시스템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재순환된다. 이 희석은 반응의 발열을 제어된 범위, 특히 제 1 단계에서 유지하는데 기여한다. 재순환은 또한 반응 전에 열 교환을 가능하게 하고 또한 온도를 보다 잘 제어할 수 있게 한다.
수소화 장치의 유출물은 주로 수소화된 생성물 및 수소를 포함한다. 플래쉬 분리기는 유출물을 기체상, 주로 잔사인 수소로, 액체상으로, 주로 수소화된 탄화수소 분획으로 분리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방법은 고압에서 1개, 중간 압력에서 1 개 및 대기압에 매우 가까운 저압에서 1 개로 총 3개의 플래시 분리기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플래쉬 분리기의 상부에 수집된 기체 수소는 수소화 장치의 공급 시스템에서 또는 반응기들 사이의 수소화 장치에서 상이한 수준으로 재순환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최종 생성물은 대기압에서 분리된다. 그런 다음 진공 분획 장치에 직접 공급한다. 바람직하게는, 분획은 10 내지 50 mbar의 압력,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30 mbar에서 일어날 것이다.
분획화는 분획 칼럼으로부터 다양한 탄화수소 유체를 동시에 제거할 수 있고 끓는점이 미리 결정될 수 있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초기 및 최종 끓는점을 통해 공급 원료를 조정함으로써, 수소화 반응기, 분리기 및 분별 장치는 중간 탱크를 사용할 필요없이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수소화 및 분획화의 이러한 통합은 장치 수의 감소 및 에너지 절약과 함께 최적화된 열 통합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서 구현되는 탄화수소 오일은 표준 ASTM D86에 따라 측정하여 유리하게는 230 ℃내지 340 ℃, 바람직하게는 235 ℃ 내지 330 ℃, 보다 바람직하게는 240 ℃ 내지 325 ℃, 더욱 바람직하게는 240 ℃ 내지 290 ℃, 또는 240 ℃ 내지 270 ℃의 증류 범위 DR (℃)을 갖는 탄화수소 분획이다. 바람직하게, 초기 끓는점과 최종 끓는점 사이의 차이는 80 ℃ 이하, 바람직하게는 7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 이하, 유리하게는 40 내지 50 ℃이다. 탄화수소 오일은 상기 기재된 범위 내의 증류 범위의 하나 또는 여러 분획을 포함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본 발명에서 구현된 탄화수소 오일은 완전히 포화된다. 바람직하게는, 탄화수소 오일의 성분은 12 내지 30 개의 탄소 원자, 바람직하게는 13 내지 19 개의 탄소 원자, 보다 바람직하게는 14 내지 18 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이소파라핀 중에서 선택된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된 탄화수소 오일은 유리하게는 이소헥사데칸 함량을 50 % 이하로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된 탄화수소 오일은 이상적으로 생물학적 기원의 원재료의 처리로부터 유래된다. 용어 "바이오-탄소" 는 탄소가 천연 기원이며 하기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이오 물질로부터 유래됨을 나타낸다. 바이오-탄소의 함량과 바이오 물질의 함량은 동일한 값을 나타내는 표현이다. 재생 가능한 기원의 물질 또는 생체 물질은 탄소가 대기로부터의 광합성에 의해 최근에 (인간 규모로) 고정된 CO2로부터 나온 유기 물질이다. 바이오 물질 (100 % 천연 기원의 탄소)은 10-12보다 큰 동위 원소 비율 14C/12C, 전형적으로 약 1.2 x 10-12이며, 화석 물질은 0의 비율을 갖는다. 실제로, 동위 원소 14C는 대기 중에서 형성되고 수십 년의 시간 규모에 따라 광합성을 통해 통합된다. 14C의 반감기는 5,730 년이다. 따라서, 광합성, 즉 일반적으로 식물로부터 나오는 물질은 동위 원소 14C에서 최대 함량을 가져야 한다.
생체 물질 또는 바이오-탄소의 함량 측정은 표준 ASTM D 6866-12, 방법 B (ASTM D 6866-06) 및 ASTM D 7026 (ASTM D 7026-04)에 따라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된 탄화수소 오일은 생체 물질 함량이 적어도 90 % 이다. 이 함량은 유리하게는 더 높고, 특히 95 % 이상, 바람직하게는 98 % 이상, 유리하게는 100 % 이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된 탄화수소 오일은 특히 높은 함량의 생체 물질 이외에도 특히 우수한 생분해성을 갖는다. 유기 화학 제품의 생분해는 미생물의 대사 활동으로 인한 화학 화합물의 복잡성 감소를 의미한다. 호기성 조건에서, 미생물은 유기 물질을 이산화탄소, 물 및 바이오매스로 변환한다. OECD 306 방법은 해수에서 개별 물질의 생분해성 평가에 사용된다. 이 방법에 따르면, 탄화수소 오일은 28 일에 적어도 60 %,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70 %,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75 %, 유리하게는 적어도 80 %의 생분해성을 갖는다.
탄화수소 오일의 사용
본 발명자들은 상기 정의된 탄화수소 오일이 항산화제 및/또는 항-라디칼제로서 사용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실제로, 놀랍게도, 본 발명에서 정의된 탄화수소 오일이 자유 라디칼을 차단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또한, 탄화수소 오일은 인간 또는 동물 신체의 치료를 위한 약물의 활성 성분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탄화수소 오일은 특히 항산화, 항-라디칼, 항-염증, 세포성 항-변성 또는 항-아폽토시스, 항박테리아 및/또는 항진균 작용을 갖는다.
탄화수소 오일은 특히 P2X7 수용체의 활성화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된 탄화수소 오일은 또한 벤잘코늄 클로리드와 같은 분자의 아폽토시스 효과를 차단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정의된 탄화수소 오일은 피부 질환 및/또는 두피 질환 및/또는 상처 치유 장애의 치료에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피부 및/또는 두피의 질환은 건선, 티눈 및 사마귀, 여드름, 지루성 장애, 헤르페스, 진균증, 습진, 대상 포진 중에서 선택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약물로서 사용된 탄화수소 오일은 피부, 두피, 모발 및 점막상에 국소 적용으로서 또는 예를 들어 피하 주사를 통해 경구, 장 또는 비경구 또는 국소 투여될 수 있다.
탄화수소 오일은 단독으로 또는 탄화수소 오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의 형태로, 조성물의 총중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80 %,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0 % 및 유리하게는 5 내지 30 중량%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탄화수소 오일은 예를 들어 얼굴 또는 신체의 피부, 두피 또는 모발에 국소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 정의된 탄화수소 오일은 치유를 가속화 및/또는 개선하기 위해 피부 또는 두피의 상처 또는 염증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된 탄화수소 오일은 제약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다른 지방 물질과 매우 우수한 혼화성을 갖는다. 특히,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된 탄화수소 오일은 식물성 오일, 탄화수소 오일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며 상기 정의된 탄화수소 오일 이외), 식물성 버터, 지방족 알코올 및 에테르, 유성 에스테르 및 알칸 및 실리콘 오일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지방 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탄화수소 오일은 일반적으로 석유 화학 방법에서 나오는 지방 물질이다. 예로서, 미네랄 오일, 이소파라핀, 왁스, 파라핀, 폴리이소부텐 또는 폴리데센이 언급될 수 있다.
식물성 오일의 예는 특히 맥아, 해바라기, 포도씨, 참깨, 옥수수, 살구, 피마자, 시어, 아보카도, 올리브, 콩기름, 스위트 아몬드, 팜, 유채, 면화, 헤이즐넛, 마카다미아, 호호바, 알팔파, 양귀비, 호박, 참깨, 호박, 유채, 블랙커런트, 달맞이꽃, 기장, 보리, 퀴노아, 호밀, 홍화씨, 캔들넛, 패션 플라워, 로즈힙 또는 동백 오일이다.
식물성 버터는 식물성 오일과 동일한 특성을 갖는 지방체이다. 이 둘의 차이점은 버터가 주변 온도에서 고체 형태라는 사실에 있다. 또한, 식물성 오일과는 달리, 버터를 추출하는 원재료 (펄프, 씨 또는 아몬드)는 지방 추출을 위해 분쇄된 후 가열된다. 식물성 오일로서, 버터는 보다 나은 보존을 제공하고, 냄새를 중화시키며, 색 및 일관성을 개선시키기 위해 정제될 수 있다. 항산화 성분이 풍부하고 영양이 풍부한 식물성 버터는 피부 탄력을 향상시키고 표피에 보호막을 남겨 외부 공격으로부터 보호하고 피부의 자연적인 수성지질막을 재생하여 탈수 감소, 수선 및 진정시키는 미용 특성을 가지고 있다. 식물성 버터의 예는 특히 시어 버터, 코코아 버터, 망고 버터, 쇼리아 버터 또는 올리브 버터이다.
지방 알코올 및 에테르는 현저한 특성, 특히 막-형성, 진정, 보습, 연화 및 보호 특성을 갖는 지방 왁스성 장쇄 물질이다. 이들은 보습 오일과 유화제 역할을 한다. 지방 알코올 또는 에테르의 예는 세틸 알코올(cetyl Alcohol), 스테아릴 알코올(Stearyl Alcohol), 미리스틸 알코올(myristyl alcohol), 라우릴 알코올(lauryl alcohol), 베헤닐 알코올(behenyl alcohol), 세테아릴 알코올(cetearyl alcohol), 디카프릴릴 에테르(dicaprylyl ethers), 스테아릴 에테르(stearyl ethers) 또는 옥틸도데칸올(octyldodecanol) (이들의 INCI 명칭으로 식별됨)이다.
유성 에스테르 또는 에스테르화된 오일은 지방산 (예를 들어 스테아르산, 올레산, 팔미트산과 같은 장쇄 산)과 알코올 (지방 알코올 또는 글리세롤과 같은 폴리올) 간 반응의 생성물이다. 이들 오일에는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의 경우와 같이 석유 화학 물질에서 나오는 물질이 들어있을 수 있다. 유성 에스테르의 예는 카프릴릭 카프릭 트리글리세리드(caprylic capric triglyceride), 코코 카프릴레이트 카프레이트(coco caprylate caprate), 올레일 에루케이트(oleyl erucate), 올레일 리놀레에이트(oleyl linoleate), 데실 올레에이트(decyl oleate) 또는 PPG-3 벤질 에테르 미리스테이트(PPG-3 benzyl ether myristate) (이들의 INCI 명칭으로 식별됨)이다.
용어 실리콘 오일 또는 폴리실록산(polysiloxane)은 적어도 하나의 실리콘 원자, 특히 적어도 하나의 Si-O기를 포함하는 오일을 의미한다. 실리콘 오일로서, 특히 페닐프로필디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phenylpropyldimethylsiloxysilicate), 디메티콘(dimethicones) 또는 시클로펜타실록산(cyclopentasiloxane) (이들의 INCI 명칭으로 식별)이 언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된 탄화수소 오일은 또한 제약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아쥬반트 또는 첨가제와 혼합될 수 있다. 물론, 당업자는 첨부된 유리한 특성이 고려된 첨가에 의해 실질적으로 변경되지 않는 방식으로 조성물의 임의의 첨가제 또는 첨가제들을 선택할 것이다. 포함될 수 있는 (이러한 보조제의 수용성 또는 지용성 성질에 따라) 일반적인 첨가제 중에서, 특히 음이온성 발포 계면 활성제 (예를 들어 소듐 라우릴 에테르 술페이트, 소듐 알킬 포스페이트, 소듐 트리 데세스 술페이트), 양쪽성 계면 활성제 (예를 들어 알킬 베타인, 디소듐 코코암포디아세테이트) 또는 10보다 큰 HLB를 가지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예를 들어 POE/PPG/POE, 알킬폴리글루코 시드, 폴리글리세릴-3히드록시라우릴 에테르); 방부제; 금속이온봉쇄제(sequestering agents) (EDTA); 항산화제; 향수; 가용성 염료, 안료 및 진주층과 같은 염료; 매티파잉(mattifying), 텐서(tensor), 미백 또는 각질 제거 필러; 선스크린 필터; 피부, 피부의 미용 특성을 개선시키는 효과를 갖는 미용 또는 피부과 활성 성분 및 작용제, 친수성 또는 친유성; 전해질; 친수성 또는 친유성, 음이온성, 비이온성, 양이온성 또는 양쪽성, 증점제, 겔화 또는 분산 중합체가 언급될 수 있다. 이들 다양한 보조제의 양은 고려되는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 예를 들어 조성물 총 중량의 0.01 내지 20 %이다. 탄화수소 오일과 함께 사용될 수 있는 활성 성분으로서, 예를 들어 수용성 또는 지용성 비타민, 예컨대 비타민 A (레티놀), 비타민 E (토코페롤), 비타민 C (아스코르브 산), 비타민 B5 (판테놀), 비타민 B3 (니아신아미드), 이들 비타민의 유도체 (특히 에스테르) 및 이들의 혼합물; 글루타티온; 방부제; 2,4,4'-트리클로로-2'-히드록시 디페닐 에테르 (또는 트리클로산), 3,4,4'-트리클로로카르바닐리드 (또는 트리클로카르반)와 같은 항박테리아 활성 성분; 항-혈청제; 벤조일 퍼옥시드, 니아신 (vit. PP)과 같은 항미생물제; 카페인과 같은 슬리밍제; 형광 증백제, 및 조성물의 최종 목적을 위한 임의의 활성 성분, 및 이들의 혼합물이 언급될 수 있다.
따라서, 약학적 조성물은 식물성 오일, 식물성 버터, 지방족 알코올 및 에테르, 유성 에스테르, 알칸 및 실리콘 오일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지방 물질 및 상기 언급 된 첨가제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 및 약물 활성 성분으로서 전술한 탄화수소 오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매질, 즉 유해한 2 차 효과를 갖지 않으며 특히 사용자에게 발적, 플레어-업(flare-ups), 압박감 또는 따끔함을 유발하지 않는 매질을 포함한다. 이 매질은 상기 언급된 탄화수소 오일 이외에 물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오일을 지방 물질로서 임의로 포함한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약학적 조성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5 내지 80 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0 중량%, 유리하게는 5 내지 30 중량%의 상기 기재된 탄화수소 오일 함량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된 약학적 조성물은 무수 조성물, 에멀젼으로 예컨대 유중수형 에멀젼 (W/O), 수중유형 에멀젼 (O/W) 또는 다중 에멀젼 (특히 W/O/W 또는 O/W/O), 나노 에멀젼, 또는 분산액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된 약학적 조성물은 다소 유연한 크림 또는 기화성 에멀젼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르면, 약학적 조성물은 유중수형 에멀젼 (W/O) 또는 다중 에멀젼 (특히 W/O/W 또는 O/W/O) 또는 분산액의 형태를 갖는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일광의 자외선에 노출되는 것과 관련된 인간 피부 질환, 보다 구체적으로 화상, 일광화상, 발진, 피부암을 예방 및/또는 치료하기 위한 치료적 치료 방법에서의 그의 사용을 위한, 질량의 100 %를 포함하는 수중유 (E) 유형의 국소 사용을 위한 에멀젼에 관한 것이 아니다:
- 50 % 내지 90 중량%의 미용으로 허용되는 수성상 (A),
- 10 % 내지 50 중량%의 질량의 100 %를 포함하는 지방상 (F):
- 10 % 내지 50 중량%, 보다 구체적으로 15 % 내지 40 중량%의, 선형 또는 분지형, 시클릭 또는 비시클릭 포화 탄화수소의 혼합물 (M1)로 이중 적어도 95 중량%는 15 내지 19 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한다;
- 0.5 % 내지 15 중량%의 수중유 유형의 적어도 하나의 계면 활성제,
- 5 % 내지 30 중량%의 일광으로부터의 자외선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보호제,
- 오일 및/또는 왁스가 혼합물 (M1)의 정의를 만족시키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하여, 0 내지 8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오일 및/또는 하나의 왁스.
또한 더욱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은 인간 피부를 위한 케어 제품으로서, 질량의 100 %를 포함하는 수중유 (E) 유형의 국소 사용을 위한 에멀젼에 관한 것이 아니다:
- 1 중량% 내지 30 중량%의 글리세롤로부터 질량의 100 %를 포함하는, 40 % 내지 90 중량%의 미용으로 허용되는 수성상 (A), 및
- 10 % 내지 60 중량%의 지방상 (F)은 1 % 내지 25 중량%의 선형 또는 분지형, 시클릭 또는 비시클릭 포화 탄화수소의 혼합물 (M1)로, 질량의 100 %를 포함하고, 이중 적어도 95 %의 중량은 15 내지 19 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고, 0.5 % 내지 15 % 의 수중유 유형의 적어도 하나의 계면 활성제를 포함한다.
탄화수소 오일 또는 약학적 조성물은 또한 정제, 코팅 정제, 필름-코팅 정제, 과립, 캡슐, 연질 캡슐, 용액, 시럽, 에멀젼, 현탁액 또는 에어로졸 혼합물의 형태, 바람직하게는 캡슐 및 연질 캡슐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탄화수소 오일은 전신 경로, 바람직하게는 경구로 투여될 수 있다. 따라서 탄화수소 오일은 의료용 식품에서 활성 성분으로 사용되도록 의도될 수 있다. 당업자는 일반적인 지식에 따라 이러한 의료용 식품을 제형화하는 방법을 알 것이다. 예를 들어, 정제, 임의로 코팅된 및 경질 젤라틴 캡슐, 락토오스, 옥수수 전분 또는 이의 유도체의 제조, 탈크, 스테아르 산 또는 이의 염이 사용될 수 있고, 연질 젤라틴 캡슐, 지방, 왁스의 제조, 반고체 또는 액체 폴리올이 지지체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정의된 탄화수소 오일 또는 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유리하게는 4 주 이상, 유리하게는 6 주 이상의 지속 안정성을 가지며, 상기 안정성은 저장 후 주위 온도, 40 ℃ 및 50 ℃에서 교반하지 않고 착색 및 그 측면의 시각적 평가뿐만 아니라 후각 평가 및/또는 점도의 측정에 상응하여 평가하였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탄화수소 오일은 국소 약학적 조성물 또는 의료용 식품 내에서 약물의 유일한 활성 성분이다. 물론, 그러한 경우에, 약학적 조성물 또는 식품은 일반적으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지지체를 포함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정의된 탄화수소 오일은 항산화 및/또는 항-라디칼 및/또는 항-아폽토시스 및/또는 항-염증 및/또는 항균 및/또는 항진균 효과를 갖는다. 따라서 탄화수소 오일은 치유를 개선 및/또는 가속화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된 탄화수소 오일은 또한 4 차 암모늄, 방향족 알코올 및 이소티아졸리논 중에서 선택된 화합물과 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화합물은 4 차 암모늄 및 이소티아졸리논 중에서, 바람직하게는 4 급 암모늄 중에서 선택된다.
4 차 암모늄 중에서, 예를 들어 벤잘코늄 클로리드, 디데실디메틸암모늄 클로리드 등이 언급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4 차 암모늄은 벤잘코늄 클로리드이다.
방향족 알코올 중에서 예를 들어 페녹시에탄올이 언급될 수 있다.
이소티아졸리논 중에서, 예를 들어 메틸이소티아졸리논이 언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합물은 탄화수소 오일 및 화합물 조합 또는 상기 탄화수소 오일 및 화합물 조합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또는 상기 탄화수소 오일 및 화합물 조합을 포함하는 의료용 식품의 총 중량에 대하여 0.1 ppm 내지 40 중량%, 바람직하게는 0.5 ppm 내지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1 ppm 내지 20 중량%,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3 ppm 내지 10 중량%, 이상적으로는 5 ppm 내지 1 중량%을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합물은 4 차 암모늄이고 탄화수소 오일 및 4 차 암모늄 조합 또는 상기 탄화수소 오일 및 4 차 암모늄 조합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또는 상기 탄화수소 오일 및 4 차 암모늄 조합을 포함하는 의료용 식품의 총 중량에 대하여 0.1 ppm 내지 40 중량%, 바람직하게는 0.5 ppm 내지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1 ppm 내지 20 중량%,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3 ppm 내지 10 중량%, 이상적으로는 5ppm 내지 1 중량%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정의된 탄화수소 오일과 4 차 암모늄 및 이소티아졸리논 중에서 선택된 화합물의 조합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기재한다. 이러한 조성물은 하기를 포함할 수 있다:
- 적어도 90 내지 100 중량%의 이소파라핀 함량, 0 내지 10 중량%의 노말 파라핀 함량을 포함하고, 탄화수소 오일의 총 중량에 대해 생물학적 기원의 탄소 함량이 90 % 이상을 가지며,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적어도 50 중량%의 탄화수소 오일;
- 4 차 암모늄 및 이소티아졸리논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정의된 탄화수소 오일 및 상기 정의된 4 차 암모늄의 조합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기재한다. 이러한 조성물은 하기를 포함할 수 있다:
- 적어도 90 내지 100 중량%의 이소파라핀 함량, 0 내지 10 중량%의 노말 파라핀 함량을 포함하고, 탄화수소 오일의 총 중량에 대해 생물학적 기원의 탄소 함량이 90 % 이상을 가지며,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적어도 50 중량%의 탄화수소 오일;
-4 차 암모늄 유형의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
4 차 암모늄 또는 이소티아졸리논 유형의 화합물은 일반적으로 화장품, 피부과 또는 약학적 조성물에서 보존제로서 사용된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화합물, 특히 상기 조성물로 구현된 4 차 암모늄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ppm 내지 40 중량%, 바람직하게는 0.5 ppm 내지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1 ppm 내지 20 중량%,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3 ppm 내지 10 중량%, 이상적으로는 5 ppm 내지 1 중량%을 나타낸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에서 구현된 탄화수소 오일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적어도 60 중량%,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70 중량%,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80 중량%,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0 중량%, 이상적으로는 적어도 99 중량%을 나타낸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본 발명에서 정의된 다량의 탄화수소 오일 및 소량의 화합물, 구체적으로 4 차 암모늄을 포함한다.
용어 "다량"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적어도 50 중량%의 양을 의미한다.
용어 "소량"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절대적으로 50 중량%보다 적은 양을 의미한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적어도 60 중량%,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70 중량%,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80 중량%,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0 중량%, 이상적으로는 적어도 99 중량%의 탄화수소 오일, 및 40 중량% 미만, 바람직하게는 30 중량% 미만, 바람직하게는 20 중량% 미만,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미만, 이상적으로는 1 중량% 미만의 4 차 암모늄 및 이소티아졸리논 중에서 선택된 화합물, 바람직하게는 벤잘코늄 클로리드 (BAC) 및 메틸이소티아졸리논 중에서 선택된 화합물을 포함하고, 상기 백분율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표현된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적어도 60 중량%,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70 중량%,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80 중량%,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0 중량%, 이상적으로는 적어도 99 중량%의 탄화수소 오일, 및 40 중량% 미만, 바람직하게는 30 중량% 미만, 바람직하게는 20 중량% 미만,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미만, 이상적으로는 1 중량% 미만의 4 차 암모늄을 포함하고, 상기 4 차 암모늄은 더욱 바람직하게는 벤잘코늄 클로리드 (BAC)이며, 상기 백분율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표현된다.
치료적 치료 방법:
본 발명은 또한 약물로서 상기 정의된 탄화수소 오일의 투여 단계를 포함하는 치료적 치료 방법을 기재한다.
탄화수소 오일은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약학적 조성물 또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의료용 식품을 통해 적용될 수 있다.
탄화수소 오일은 피부, 두피, 모발 또는 점막에 국소적으로 또는 경구로 투여될 수 있다. 국소 경로에 의한 적용의 경우, 탄화수소 오일은 예를 들어 상처 또는 염증에 적용될 수 있다.
치료적 치료는 특히 피부 염증과 같은 염증을 감소시키거나 또는 치유를 개선 및/또는 가속화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상기 방법은 항산화제 및/또는 항-라디칼 및/또는 항-아폽토시스 및/또는 항-염증 및/또는 항균 및/또는 항진균 효과를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실시예
본 명세서의 나머지 부분에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정보를 목적으로 제공되며, 어떠한 경우에도 그 범위를 제한하는 것을 목표로 하지 않는다.
테스트된 탄화수소 오일:
표 1은 평가된 다양한 탄화수소 오일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정리한 것이다. 오일 A 및 B는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된 탄화수소 오일이다.
특성 오일 A 오일 B
향료 (ppm) <20 <20
황 (ppm) 0.1 0.11
이소파라핀 % (w/w) 98.9 96.2
n-파라핀 % (w/w) 1.1 3.8
나프텐산 % (w/w) 0 0
C13 (iso) 0.66 0
C14 (iso) 4.15 0
C15 (iso) 48.35 0
C16 (iso) 42.80 1.58
C17 (iso) 2.52 14.17
C18 (iso) 0.38 79.69
C19 (iso) 0 0.12
C20 (iso) 0 0.38
C27 (iso) 0 0.29
생물학적 기원의 탄소의 양 (%) 97 98
초기 끓는점 (℃) 247.0 293.6
끓는점 5% (℃) 255.7 296.7
끓는점 50% (℃) 258.9 298.5
끓는점 95% (℃) 266.8 305.3
최종 끓는점 (℃) 269.0 324.1
OECD 생분해성 (28 일) (%) 80 83
20℃ 에서 굴절률 1.4336 1.4394
15℃ 에서 밀도 (kg/m3) 776.4 787.2
인화점 (℃) 115 149
40℃에서 동점도 (cSt) 2.49 3.87
20℃ 에서 증기압 (kPa) <0.01 <0.01
아닐린점 (℃) 93.2 99.5
상기 특성을 측정하기 위해 하기 표준 및 방법이 사용되었다:
- 인화점 : EN ISO 2719
- 15 ℃에서 밀도 : EN ISO 1185
- 40 ℃에서 점도 : EN ISO 3104
- 아닐린점 : EN ISO 2977
- 끓는점 : ASTM D86
- 생분해성 : OECD 방법 306
- 20 ℃에서 굴절률 : ASTM D 1218
- 증기압 :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방법에 따라 계산됨
세포 효과에 대한 실험
실험 준비 :
- 마이크로 플레이트의 준비 : 오일 A 및 B와의 인큐베이션 24 시간 전에, HaCaT 세포를 96-웰 마이크로 플레이트 (Corning)에 100,000 세포/ml의 세포 밀도로 접종하였다. 이어서, 마이크로 플레이트를 37 ℃의 인큐베이터에 넣었다. 마이크로 플레이트에서, 각 조건은 적어도 3 번 실험되었다. 결과의 재현성을 검증하고 통계적 분석을 수행하기 위해 각각의 실험을 독립적으로 적어도 3 회 수행하였다.
- 오일 A 또는 B와 함께 세포의 인큐베이트 : 생성물을 순수하게 시험하기 위해 2 개의 인큐베이트 기간을 선택하였다 : 15 분 동안 인큐베이트 및 1 시간 동안 인큐베이트. 이들 인큐베이트 시간 후, 마이크로 플레이트를 비우고, 세포를 헹구고, 1 중량%의 글루타민 및 0.5 중량%의 항생제를 포함하는 10 %의 FBS (Foetal Bovine Serum)가 풍부한 배양 배지 DMEM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으로 24 시간 동안 인큐베이트하였다.
분석
세포 효과는 세포 형광 측정 미세 적정법(MiFALC 시험-살아있는 세포에 대한 미세 적정 형광측정 분석법)에 의해 부착되어 있는 살아있는 세포에 대해 직접 평가하였다. 이 연구에 사용된 마이크로 플레이트 판독기는 Safire cytometer (Tecan)이다.
산화 스트레스의 평가 :
산화 스트레스는 산화 종 (주로 반응성 산소 종)과 항산화 방어 메커니즘 사이의 불균형에 해당한다. 이 불균형은 염증, 세포 변성 등 유형의 유해한 영향을 초래한다.
반응성 산소 종의 생성을 평가하기 위해 테스트 H2DCF-DA (2',7'-디히드로디클로로플루오레세인 디아세테이트(2',7'-dihydrodichlorofluoresceine diacetate))가 사용되었다. 이 형광발생 분자는 수동 확산을 통해 세포 내로 들어가서 세포의 에스테라제(esterase)에 의해 가수 분해될 곳인 세포기질에 축적된다. 반응성 산소 종의 존재하에, 형성된 생성물은 형광 유도체로 산화될 수 있다. 따라서, 형광 강도의 증가는 반응성 산소 종 (ROS) 생성의 증가와 결합되고, 함께 연구된 세포에서 산화 스트레스의 증가가 외삽법에 의해 도출된다.
배양 배지 (CM)에 대한 백분율로 표현된 반응성 산소 종 (ROS)의 생성은 하기 표 2에 나타나 있다.
반응성 산소 종의 생산 (CM 대비 %)
CM 오일 A 오일 B
ROS의 생산 15분 인큐베이트된 H2DCF-DA 100 84* 88
1시간 인큐베이트된 H2DCF-DA 100 73* 100
*p<0.05; **p<0.01.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정의된 탄화수소 오일은 15 분 후 또는 1 시간 후에 반응성 산소 종의 과잉 생산을 유도하지 않는다. 오일 A 및 B는 대조 배양 배지에 비해 반응성 산소 종의 생성을 감소시켰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정의된 탄화수소 오일은 항산화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약학적 조성물에서 첨가제로서 사용된 보존제를 평가하였다. 평가된 보존제는 페녹시에탄올 (POE) 및 메틸이소티아졸리논 (MIT)이다.
이 테스트를 위해, HaCat 세포를 오일 A 또는 B (예를 들어, POE로 실험하는 경우 15 분 동안)와 인큐베이트하고 나서 보존제 POE 또는 MIT (예를 들어 페녹시에탄올 용액 250 ㎍/mL로 30 분 동안)와 인큐베이트했다.
ROS의 생성은 하기 표 2비스에 나타나있다.
Figure pct00001
표 2비스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된 오일 A 및 B는 보존제의 존재 하에서 반응성 산소 종의 생성을 감소시키며, 이는 ROS의 생성을 증가시키는 경향이 있다.
세포의 항-변성 평가
염색질(chromatin)의 응축 평가 :
이 실험을 위해, HaCat 세포를 오일 A 또는 B와 함께 또는 올리브 오일과 함께 1 시간 동안 인큐베이트한 다음, 8 ppm 중량의 함량으로 존재하는 벤잘코늄 클로리드 (BAC)와 함께 20 분 동안 인큐베이트하였다. 염색질의 응축을 평가하기 위해 HOECHST 33342 실험을 수행하였다.
벤잘코늄 클로리드는 아폽토시스 (프로그램된 세포 사멸) 현상을 발생시킨다. 올리브 오일 (OO)은 벤잘코늄 클로리드에 대한 세포를 보호하는 것으로 알려진 오일이다.
배양 배지 (CM)에 대한 백분율로 표현된 염색질의 응축 측정은 하기 표 3에 나타나있다.
염색질 응축 측정 (CM 대비 %)
CM CM + BAC OO OO+BAC 오일 A 오일 A
+ BAC
오일 B 오일 B
+ BAC
측정 100 138*** 96 112 91 100 86 94
***p<0.001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일 A 및 B는 항-아폽토시스 효과를 갖는다. 또한, 벤잘코늄 클로리드의 아폽토시스 효과는 탄화수소 오일 A 또는 B의 존재 하에서 크게 감소되며, 이 감소는 올리브 오일로 얻은 것보다 훨씬 더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수용체 P2X7의 활성화 평가:
피부를 포함하여 많은 조직에 존재하는 P2X7 수용체는 특히 아폽토시스에 의한 염증 및 세포 사멸의 현상에 관여한다.
실험 YO-PRO-1은 P2X7 수용체의 활성화를 평가할 수 있게 한다. 이 형광 센서는 막 투과성이 P2X7 수용체의 활성화 (막 기공의 개방)를 통해 변형된 경우에만 세포 내로 들어간다. 사용된 센서는 DNA에 고정되어 형광을 방출할 수 있다. P2X7의 활성화가 더 실질적일수록, 형광 강도는 더 높아진다.
배양 배지 (CM)에 대한 백분율로 표현된 P2X7의 활성화는 표 4에 나타나있다.
P2X7 활성화 (CM 대비 %)
CM 오일 B
P2X7의 활성화 15분 인큐베이트된 YO-PR0-1 100 109
1시간 인큐베이트된 YO-PR0-1 100 135*
* p<0.05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탄화수소 오일 B는 P2X7 수용체의 활성화를 감소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정의된 탄화수소 오일은 세포 사멸 현상을 차단하는 항-아폽토시스 효과를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정의된 탄화수소 오일은 예를 들어 항-아폽토시스 및 항-염증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7)

  1. 약물로서 사용하기 위한 탄화수소 오일로서, 상기 탄화수소 오일은 90 내지 100 중량%의 이소파라핀(isoparaffins) 함량, 0 내지 10 중량%의 노말 파라핀(normal paraffin) 함량을 포함하고, 탄화수소 오일의 총 중량에 대하여 생물학적 기원의 탄소 함량을 90 % 이상 갖는 것인 탄화수소 오일.
  2. 청구항 1에 있어서, 항산화제 및/또는 항-라디칼제 및/또는 항-염증제 및/또는 항-아폽토시스 및/또는 항박테리아제 및/또는 항진균제로서 사용되는 것인 탄화수소 오일.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건선, 티눈 및 사마귀, 여드름, 지루성 장애, 헤르페스, 진균증, 습진, 대상 포진 및/또는 상처 치유 장애와 같은 피부 질환 치료에 사용되는 것인 탄화수소 오일.
  4.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국소 적용을 위한 것인 탄화수소 오일.
  5.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신 투여를 위한 것인 탄화수소 오일.
  6.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화수소 오일은 탄화수소 오일의 총 중량에 대하여 95 내지 100 중량%, 바람직하게는 98 내지 100 중량%의 이소파라핀 함량을 포함하는 것인 탄화수소 오일.
  7.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화수소 오일은 14 내지 18 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비-시클릭 이소파라핀 중에서 선택되는 것인 탄화수소 오일.
  8. 청구항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상기 탄화수소 오일은 노말 파라핀 함량을 탄화수소 오일의 총 중량에 대하여 5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2 중량% 이하로 포함하고; 및/또는
    - 상기 탄화수소 오일은 나프텐계 화합물 함량을 탄화수소 오일의 총 중량에 대하여 1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0.5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100 ppm 이하로 포함하며; 및/또는
    - 상기 탄화수소 오일은 방향족 화합물 함량을 탄화수소 오일의 총 중량에 대하여 500 ppm 이하, 바람직하게는 300 ppm 이하, 바람직하게는 100 pp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ppm 이하, 유리하게는 20 ppm 중량 이하로 포함하는 것인 탄화수소 오일.
  9. 청구항 1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상기 탄화수소 오일은 표준 ASTM D86에 따라 230 내지 340 ℃, 바람직하게는 235 내지 330 ℃, 보다 바람직하게는 240 내지 325 ℃의 끓는점을 가지며; 및/또는
    - 상기 탄화수소 오일은 표준 EN ISO 2719에 따라 110 ℃ 이상인 인화점을 가지며; 및/또는
    - 상기 탄화수소 오일은 20 ℃에서 0.01 kPa 이하의 증기압을 갖는 것인 탄화수소 오일.
  10. 청구항 1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화수소 오일은 80 내지 180 ℃의 온도 및 50 내지 160 bar의 압력에서 탈산소화 및/또는 이성질화된 생물학적 기원의 공급 원료의 촉매 수소화 방법에 의해 수득되는 것인 탄화수소 오일.
  11. 청구항 1 내지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청구항 1 내지 10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적어도 하나의 탄화수소 오일을 약학적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80 %,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0 %, 유리하게는 5 내지 30 중량%의 양으로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의 형태를 갖는 것인 탄화수소 오일.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식물성 오일, 청구항 1 내지 10 에 정의된 탄화수소 오일 이외의 탄화수소 오일, 식물성 버터, 지방족 알코올 및 에테르, 유성 에스테르, 알칸 및 실리콘 오일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지방 물질을 포함하는 것인 탄화수소 오일.
  13. 청구항 11 또는 12에 있어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무수 조성물, 에멀젼으로 예컨대 유중수형 에멀젼 (W/O), 수중유형 에멀젼 (O/W) 또는 다중 에멀젼 (특히 W/O/W 또는 O/W/O), 나노 에멀젼, 또는 분산액 또는 겔인 것인 탄화수소 오일.
  14. 청구항 1 내지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청구항 1 내지 10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적어도 하나의 탄화수소 오일을 의료용 식품 (medical food)의 총 중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80 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0 중량%, 유리하게는 5 내지 30 중량%의 양으로 포함하는 의료용 식품의 형태를 갖는 것인 탄화수소 오일.
  15. 청구항 1 내지 1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4 차 암모늄, 방향족 알코올 및 이소티아졸리논 중에서 선택된 화합물과 조합된 것인 탄화수소 오일.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4 차 암모늄 중에서 선택되고, 상기 4 차 암모늄은 바람직하게 벤잘코늄 클로리드 및 디데실디메틸암모늄 클로리드 중에서 단독으로 또는 혼합물로 선택되는 것인 탄화수소 오일.
  17. 청구항 15 또는 16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탄화수소 오일 및 화합물 조합 또는 약학적 조성물 또는 의료용 식품의 총 중량에 대하여 0.1 ppm 내지 40 중량%, 바람직하게는 0.5 ppm 내지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1 ppm 내지 20 중량%,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3 ppm 내지 10 중량%, 이상적으로는 5 ppm 내지 1 중량%를 나타내는 것인 탄화수소 오일.
KR1020197029349A 2017-03-20 2018-03-16 치료용 탄화수소 오일 KR1026688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7305306.7 2017-03-20
EP17305306.7A EP3378467A1 (fr) 2017-03-20 2017-03-20 Huile hydrocarbonee pour une utilisation therapeutique
PCT/EP2018/056771 WO2018172227A1 (fr) 2017-03-20 2018-03-16 Huile hydrocarbonee pour une utilisation therapeutiqu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5422A true KR20190125422A (ko) 2019-11-06
KR102668811B1 KR102668811B1 (ko) 2024-05-24

Family

I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093754A1 (en) 2020-03-26
WO2018172227A1 (fr) 2018-09-27
EP3600242A1 (fr) 2020-02-05
EP3378467A1 (fr) 2018-09-26
CN110545792A (zh) 2019-12-06
US11179347B2 (en) 2021-11-23
JP2020511485A (ja) 2020-04-16
CN110545792B (zh) 2024-02-23
EP3600242B1 (fr) 2023-10-04
JP7169288B2 (ja) 2022-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57579B1 (ko) 생원천의 연화제 조성물
KR20190126000A (ko) 바이오소싱된 겔화 조성물
US20220110840A1 (en) Biobased thickening composition comprising a poly(farnesene)
US20230355490A1 (en) Non-therapeutic use of a biodegradable hydrocarbon oil
KR102668811B1 (ko) 치료용 탄화수소 오일
US11179347B2 (en) Hydrocarbon oil for a therapeutic use
US11718571B2 (en) Emollient composition
BR112018005110B1 (pt) Composição emoliente e sua utilização cosmética, composição cosmética, dermatológica ou farmacêutica e sua utilização cosmética e processo de tratamento cosmético da pe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