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4427A -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4427A
KR20190124427A KR1020180048374A KR20180048374A KR20190124427A KR 20190124427 A KR20190124427 A KR 20190124427A KR 1020180048374 A KR1020180048374 A KR 1020180048374A KR 20180048374 A KR20180048374 A KR 20180048374A KR 20190124427 A KR20190124427 A KR 201901244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oupled
support assembly
operating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83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7461B1 (ko
Inventor
조찬기
김진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에스시동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에스시동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에스시동탄
Priority to KR10201800483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7461B1/ko
Publication of KR201901244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44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74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74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4Back-rests or cushions
    • B60N2/66Lumbar supports
    • B60N2/666Lumbar supports vertically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4Back-rests or cushions
    • B60N2/66Lumbar supports
    • B60N2/667Lumbar supports having flexible support member bowed by applied forces
    • B60N2/6673Lumbar supports having flexible support member bowed by applied forces with motor driven adjust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탑승자의 신체 조건에 적합하도록 컴포트 매트의 구동이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탑승자를 지지하는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는 상하부로 길게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시트백 프레임에 결합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컴포트매트, 상기 프레임과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하부로 축소 또는 확장하는 구동을 통해 일부가 전방으로 돌출되거나 후방으로 함몰하는 회동부, 상기 프레임과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회동부와 연결되어 구동을 통해 상기 회동부를 상하부 방향으로 축소 또는 확장시키는 작동부 및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프레임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작동부와 나사 결합되어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작동부를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이동시키는 승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LUMBAR SUPPORT ASSEMBLY}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시트백 내부에 설치되어 탑승자를 지지하는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식별항목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식별항목에 기재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차량의 내부에는 탑승자의 둔부를 지지하는 시트 쿠션, 등을 지지하는 시트백, 탑승자의 팔을 올려놓을 수 있는 암레스트 및 머리를 지지하는 헤드레스트로 구성되고, 탑승자의 제어를 통해 탑승자에게 적합한 형태로 시트를 변형시킬 수 있다.
시트백의 경우, 시트백의 내부에는 시트백 프레임이 설치되고, 시트백 프레임에는 컴포트매트를 통해 탑승자의 허리 또는 등을 지지하는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가 설치된다.
그러나 기존의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는 승강수단을 구동시키는 모터가 상부에 배치되어 상부의 중량이 상대적으로 높아 시트백 프레임에 가해지는 하중이 높고, 고속으로 이동하는 차량의 특성상 높은 하중이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에 가해지는 경우 변형 가능성이 높은 단점이 있었다.
이와 관련되어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64697호는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를 개시하고 있고,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16979호는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의 구조는 탑승자가 시트에 착석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 중앙을 지지하는 구조는 개시하지 않고 있다.
탑승자의 신체 조건에 적합하도록 컴포트 매트의 구동이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탑승자를 지지하는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는 상하부로 길게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시트백 프레임에 결합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컴포트매트, 상기 프레임과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하부로 축소 또는 확장하는 구동을 통해 일부가 전방으로 돌출되거나 후방으로 함몰하는 회동부, 상기 프레임과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회동부와 연결되어 구동을 통해 상기 회동부를 상하부 방향으로 축소 또는 확장시키는 작동부 및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프레임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작동부와 나사 결합되어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작동부를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이동시키는 승강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승강부는 일단은 상기 프레임의 하부 양측을 연결하는 형태로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의 중앙에서 상부를 향해 연장되고 양측으로 분리 및 연장되어 상기 프레임의 양측에 결합되는 승강프레임, 상기 승강프레임의 일단에 결합되는 승강모터와 일단이 기어 결합되고, 타단은 상부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승강프레임과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된 승강축 및 일단은 상기 승강축의 일부를 둘러싸며 나사결합하고, 타단은 상기 작동부와 결합되는 결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동부는 각각이 상기 작동부의 상부 및 하부에서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는 상부 및 하부플레이트들, 상기 상부 및 하부 플레이트들 각각의 상부에 형성된 결합부에 힌지 결합되도록 양측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1 및 제2 힌지핀들 및 각각의 일단은 상기 제1 힌지핀에 서로 이격되도록 힌지 결합되고, 각각의 타단은 하부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제2 힌지핀과 서로 이격되도록 힌지 결합되는 한 쌍의 판스프링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동부는 상기 프레임과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이동플레이트,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서 상기 이동플레이트와 결합되는 작동모터, 상기 작동모터에 기어결합되어 상기 프레임의 타측을 향해 연장되는 작동축, 각각이 상기 결합부재의 양측에서 상기 작동축과 서로 이격되며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너트들 및 각각의 일단은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양측에 결합되고, 각각의 타단은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양측에 결합되며, 중앙부는 상기 너트들 각각에 결합되는 와이어 형태의 링크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시트백 프레임과 결합되는 고정와이어 및 양단이 상기 고정와이어의 상단과 고분자 재질의 사출부를 통해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크로스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홈의 내부 양측에는 상기 삽입홈의 중심을 향하도록 한 쌍의 가이드리브가 상부로 경사지게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동축은 중앙부를 기준으로 양측이 서로 반대 방향의 나사산이 형성되어,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너트들을 서로 인접하도록 이동시키거나 이격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는 승강부가 하부에 설치되어 상대적으로 하부의 중량이 높게 형성되어 시트백 프레임과 결합된 상태에서 시트백 프레임의 상단에 가해지는 하중이 감소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는 프레임의 양측을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승강프레임을 통해 고속으로 이동하는 차량에서 탑승자가 시트에 가하는 하중에 의한 변형이 방지되고, 안정적으로 작동부 및 회동부의 이동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승강부가 하부에 배치되어 회동부 및 작동부가 상부를 향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공간이 확보되고, 다양한 위치에서 탑승자를 지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이와 같은 기재된 본 발명의 효과는 발명자가 인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기재된 내용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발명자가 파악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의 작동부의 사시도.
도 4는 도 1의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의 작동부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1의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의 승강부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1의 작동부 및 회동부의 구동을 나타내는 측면도들.
도 7은 도 1의 승강부의 구동을 나타내는 정면도들.
도 8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의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1의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의 작동부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 내지 3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100)는 프레임(200), 컴포트 매트(300), 회동부(400), 작동부(500) 및 승강부(600)를 포함한다.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100)는 차량 시트 내부의 시트백 프레임에 결합되고, 작동부(500)를 통해 변형하는 회동부(400)를 통해 시트에 착석하는 탑승자의 등 및 척추를 안락하게 지지할 수 있는 적합한 형태로 가변된다.
또한, 승강부(600)의 제어를 통해 작동부(500)의 위치를 이동시켜 탑승자의 등 및 척추 형상에 적합한 위치로 회동부(400)의 상하부 이동이 가능하고, 승강부(600)의 무게 중심이 하부를 향해 배치되어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시트백 프레임 자체의 내구성이 개선되며 안정적으로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장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프레임(200)은 고정와이어(220), 크로스와이어(240) 및 사출부(260)를 포함한다.
프레임(200)의 일단은 하부에 배치되고, 타단은 상부를 향해 연장되어 전체적으로 사각 형태로 형성되며, 고정클립(미도시)를 통해 상기 시트백 프레임과 결합된다.
고정와이어(220)는 일단은 프레임(200)의 하부에서 와이어가 서로 연결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타단은 일단의 양측 일부분이이 절곡된 후 상부를 향해 연장되어 전체적으로 'U'자 형태로 형성된다.
크로스와이어(240)는 고정와이어(220)의 타단 양끝단에 결합되는 사출부(260)를 통해 고정와이어(220)의 타단과 간접적으로 결합되고, 이를 통해 고정와이어(220)의 타단 및 크로스와이어(240)의 사이에서 발생되는 마찰에 의한 소음 발생이 억제된다.
사출부(260)에는 크로스와이어(240)가 삽입 및 고정되는 결합홈(27)이 형성되고, 고정와이어(220)의 타단이 절곡된 상태로 삽입되는 삽입공간이 결합홈(27)을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된다.
결합홈(27)은 양측 하단에 경사지게 결합홈(27)의 중앙을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된 가이드리브들을 통해 크로스와이어(240)의 삽입은 원활하도록 가이드함과 동시에 크로스와이어(240)가 결합홈(27)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가이드리브들의 끝단이 크로스와이어(240)를 가압하여 크로스와이어(240)가 결합홈(27)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컴포트 매트(300)는 고정와이어(220)의 타단 소정의 위치에 형성된 절곡된 부분에 일단이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하부를 향해 연장되어 회동부(400) 및 작동부(500)의 구동에 의해 차량 시트에 탑승한 탑승자의 허리를 지지하도록 전방으로 돌출되거나 또는 후방으로 이동한다.
컴포트 매트(300)의 일단 양측에는 고정와이어(220) 타단의 절곡된 부분에 결합되도록 결합부재가 형성되고, 탑승자의 신체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고분자 또는 금속재질로 제작된다.
회동부(400)는 상부플레이트(410), 하부플레이트(420), 제1 힌지핀(430), 제2 힌지핀(440), 제1 판스프링(450) 및 제2 판스프링(460)을 포함한다.
회동부(400)는 프레임(20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상하부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프레임(200)과 결합되고, 상부 또는 하부로 축소 또는 확장하는 구동을 통해 일부가 전방으로 돌출되어 컴포트 매트(300)의 타단을 전방으로 밀거나 후방으로 이동한다.
상부플레이트(410)는 양단이 고정와이어(220)의 양측에 고정와이어(22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하부플레이트(420)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배치된다.
하부플레이트(420)는 양단이 고정와이어(220)의 양측에 고정와이어(22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하부플레이트(420)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배치된다.
상부 및 하부 플레이트(410, 420)들 각각의 양단 하부에는 고정와이어(220)를 둘러싸는 형태의 삽입홈(20, 25)들이 각각 형성되고, 고정와이어(220)는 삽입홈(20, 25)에 삽입된 상태에서 삽입홈(20, 25)의 하부에 형성되는 상부 및 하부 플레이트(410, 420)들 각각의 돌출부들에 의해 고정된다.
구체적으로, 삽입홈(20, 25)들의 각각의 하부 양측에는 삽입홈(20, 25)들 각각의 중앙을 향하도록 한 쌍의 가이드리브가 상부 및 하부 플레이트(410, 420)들에서 경사지게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고정와이어(220)가 삽입홈(20, 25)들에 원활하게 삽입되도록 가이드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리브들은 삽입홈(20, 25)에 고정와이어(220)가 삽입된 상태에서, 끝단이 고정와이어(220)와 밀착하여 삽입홈(20, 25)에 삽입된 고정와이어(220)가 삽입홈(20, 25)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제1 및 제2 판스프링(450)들 각각은 일단은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제1 힌지핀(430)을 통해 서로 결합되고, 각각의 타단은 하부를 향해 연장되어 제2 힌지핀(440)을 통해 서로 결합된다.
제1 힌지핀(430)은 상부플레이트(410)의 상부에 형성된 복수의 결합홈(10)들을 통해 제1 힌지핀(430)의 연장방향을 축으로 상부플레이트(410)와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제2 힌지핀(440)은 하부플레이트(420)의 상부에 형성된 복수의 결합홈(15)들을 통해 제2 힌지핀(440)의 연장방향을 축으로 하부플레이트(420)와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결합홈(10, 15)들 각각은 삽입홈(20, 25)들 각각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어, 양측 상단에 형성된 가이드리브들을 통해 제1 힌지핀(430) 및 제2 힌지핀(440)의 삽입은 원활하도록 가이드함과 동시에 제1 및 제2 힌지핀(430, 440)들이 결합홈(10, 15)들 각각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가이드리브들의 끝단이 제1 및 제2 힌지핀(430, 440)들을 가압하여 제1 및 제2 힌지핀(430, 440)들이 결합홈(10, 15)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상부플레이트(410) 및 하부플레이트(420)들이 고정와이어(220)의 연장방향을 따라 서로 인접하도록 이동하거나 서로 이격되도록 이동하는 과정에서 제1 및 제2 판스프링(450, 460)들 각각은 휘어지며 중앙부가 전방을 향해 돌출되거나 상하부로 펼쳐진다.
도 4는 도 1의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의 작동부의 분해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 내지 4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부(500)는 이동플레이트(510), 작동모터(520), 작동축(530), 제1 너트(540), 제2 너트(550), 제1 링크(560), 제2 링크(570), 이동클립(575) 및 연결부(580)를 포함한다.
작동부(500)는 프레임(200)과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회동부(400)와 연결되어 구동을 통해 회동부(400)를 프레임(20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축소 또는 확장시킨다.
구체적으로, 이동플레이트(510)의 양단은 상부플레이트(410) 및 하부플레이트(420)의 사이에서 이동클립(575)들을 통해 고정와이어(220)의 연장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고정와이어(220)와 결합된다.
이동플레이트(510)의 중앙부는 승강부(600)와 결합되고, 승강부(600)의 구동을 통해 고정와이어(22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슬라이딩 이동한다.
작동모터(520)는 프레임(200)의 일측에 배치되어 이동플레이트(510)와 결합되고, 기어 박스를 통해 작동축(530)의 일단과 결합되며, 구동을 통해 작동축(530)을 회전시킨다.
작동축(530)의 일단은 작동모터(520)와 기어 결합되고, 타단은 프레임(200)의 타측을 향해 연장되어 제1 너트(540) 및 제2 너트(550)를 통해 이동플레이트(510)와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연결부(580)는 작동축(530)을 둘러싸는 원통형태로 형성되어 작동축(530)과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하부 일부분은 이동플레이트(510)를 관통하여 후술될 결합부재(518)를 통해 승강부(600)와 결합된다.
작동축(530)은 작동축(530) 중앙부에 결합된 연결부(580)를 사이에 두고 양측의 외측면에 형성된 나사산이 서로 대칭이 되도록 형성되어, 작동축(530)의 양측에 결합된 제1 및 제2 너트(540, 550)들 각각은 작동축(53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서로 인접하거나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제1 링크(560)의 일단은 볼 형태로 형성되어 상부플레이트(410)의 일단에 형성된 결합홈(415)의 상부에 삽입되고 소정의 거리만큼 하강한 후 상부플레이트(410)에 고정된다.
제1 링크(560)의 타단은 볼 형태로 형성되어 제1 링크(560)의 일단과 와이어를 통해 연결되고, 하부플레이트(420)의 일단에 형성된 결합홈(425)의 하부에서 상부를 향해 삽입되어 하부플레이트(420)에 고정된다.
결합홈(415)은 제1 링크(560)의 일단이 삽입되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하부를 향해 연장될수록 공간이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제1 링크(560)의 일단이 소정의 거리만큼 하강하면 이동이 제한되어 상부플레이트(410)에 고정된다.
결합홈(425)은 제1 링크(560)의 타단이 삽입되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부를 향해 연장될수록 공간이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제1 링크(560)의 타단이 소정의 거리만큼 상승하면 이동이 제한되어 하부플레이트(420)에 고정된다.
결합홈(415, 425)들 각각의 상부에는 제1 링크(560)의 양단을 연결하는 와이어가 결합홈(415, 425)들 각각에 삽입될 수 있는 측면홈이 형성되고, 상기 측면홈의 크기는 제1 링크(560)의 양단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어 제1 링크(560)의 양단은 상기 측면홈을 통해 결합홈(415, 425)에서 이탈하는 것이 방지된다.
제1 링크(560)는 중앙에 원통형으로 형성된 삽입부재(565)가 형성되어 작동모터(520)와 인접한 위치에서 작동축(530)과 나사 결합되는 제1 너트(540)의 상부에 형성된 고정부재(515)와 결합된다.
고정부재(515)는 작동모터(520)와 인접한 위치에 해당하는 부분이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되고, 삽입부재(565) 및 삽입부재(565)의 양측에 연결된 와이어들을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제1 너트(540)가 제2 너트(550)를 향해 이동하는 경우 삽입부재(565)를 연결부(580)를 향해 안정적으로 이동시킨다.
제2 링크(570)의 일단은 볼 형태로 형성되어 상부플레이트(410)의 타단에 형성된 결합홈(417)의 상부에 삽입되고 소정의 거리만큼 하강한 후 상부플레이트(410)에 고정된다.
제2 링크(570)의 타단은 볼 형태로 형성되어 제2 링크(570)의 일단과 와이어를 통해 연결되고, 하부플레이트(420)의 타단에 형성된 결합홈(427)의 하부에서 상부를 향해 삽입되어 하부플레이트(420)에 고정된다.
결합홈(417)은 제2 링크(570)의 일단이 삽입되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하부를 향해 연장될수록 공간이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제2 링크(570)의 일단이 소정의 거리만큼 하강하면 이동이 제한되어 상부플레이트(410)에 고정된다.
결합홈(427)은 제2 링크(570)의 타단이 삽입되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부를 향해 연장될수록 공간이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제2 링크(570)의 타단이 소정의 거리만큼 상승하면 이동이 제한되어 하부플레이트(420)에 고정된다.
결합홈(417, 427)들 각각의 상부에는 제2 링크(570)의 양단을 연결하는 와이어가 결합홈(417, 427)들 각각에 삽입될 수 있는 측면홈이 형성되고, 상기 측면홈의 크기는 제2 링크(570)의 양단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어 제2 링크(570)의 양단은 상기 측면홈을 통해 결합홈(417, 427)에서 이탈하는 것이 방지되며 상기 와이어는 상기 측면홈을 통해 결합홈(417, 427)에서 이탈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2 링크(570)는 중앙에 원통형으로 형성된 삽입부재(575)가 형성되어 작동연결부(580)를 사이에 두고 제1 너트(540)와 이격되어 작동축(530)과 나사 결합되는 제2 너트(550)의 상부에 형성된 고정부재(517)와 결합된다.
고정부재(517)는 작동축(530)의 타단의 위치와 인접한 부분이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되고, 삽입부재(575) 및 삽입부재(575)의 양측에 연결된 와이어들을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제2 너트(550)가 제1 너트(540)를 향해 이동하는 경우 삽입부재(575)를 연결부(580)를 향해 안정적으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제1 및 제2 링크(560, 570)들 각각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제작이 용이하고 제작 단가가 낮으며, 양단을 상부플레이트(410) 및 하부플레이트(420) 각각에서 분리시킨 후 삽입부재(565, 575)들을 이동플레이트(510)에서 탈착하는 것만으로 편리하게 분리할 수 있어 정비성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제1 및 제2 링크(560, 570)들 각각은 와이어 형태로 형성되어 중량이 상대적으로 낮으므로, 시트의 프레임에 가해지는 하중이 감소하여 시트의 내구성을 개선하고,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100) 자체의 이송 비용이 감소하는 장점이 있다.
도 5는 도 1의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의 승강부의 분해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도 1의 작동부 및 회동부의 구동을 나타내는 측면도들을 도시한다. 도 7은 도 1의 승강부의 구동을 나타내는 정면도들을 도시한다.
도 5 내지 7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부(600)는 컴포트매트(300)의 하부에서 프레임(200)과 결합되고, 프레임(200)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작동부(500)와 나사 결합되어 회전 구동을 통해 작동부(500)를 프레임(20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이동시킨다.
구체적으로, 승강부(600)는 승강프레임(620), 승강축(630) 및 승강모터(640)를 포함한다.
승강프레임(620)은 일단은 프레임(200)의 하부 양측을 연결하는 형태로 프레임(200)과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의 중앙에서 프레임(20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상부를 향해 연장되며, 타단 끝단은 양측으로 분리 및 연장되어 프레임(200)의 양측에 결합된다.
따라서, 승강프레임(620)은 프레임(200)의 상부 및 하부에서 프레임(200)의 양측을 연결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탑승자가 시트에 착석한 경우 안정적으로 탑승자를 지지하고 프레임(200)의 변형이 최소화되는 장점이 있다.
승강모터(640)는 승강프레임(620)의 일단에 결합되고, 승강모터(640)의 구동축이 승강프레임(620)의 일단 중앙을 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구동축은 승강축(630)과 기어 결합된다.
승강축(630)의 일단은 승강모터(640)의 구동축과 기어 박스를 통해 결합되고, 타단은 승강프레임(620)을 따라 연장되어 승강프레임(620)의 타단과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승강축(630)의 중앙부는 이동플레이트(510)의 저면에서 승강축(630)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결합부재(518)와 나사 결합되고, 승강축(630)의 회전 방향에 따라 결합부재(518)는 승강축(6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이동한다.
결합부재(518)의 상부 일부분은 이동플레이트(510)를 관통하여 연결부(580)와 결합되고, 결합부재(518)가 승강모터(640)의 구동에 의해 상부 또는 하부를 이동하면, 작동부(500) 역시 결합부재(518)의 이동에 따라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이동한다.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100)는 결합부재(518)를 통해 이동플레이트(510)가 견고하게 승강축(630)과 결합되고, 작동부(500)의 구동으로 제1 및 제2 판스프링(450, 460)들이 전방으로 돌출되어 탑승자의 허리 또는 등을 지지하는 상태에서도 승강축(630)의 회전을 통해 안정적으로 전방으로 돌출된 제1 및 제2 판스프링(450, 460)들을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 내지 7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모터(520)가 정회전 구동하여 제1 및 제2 너트(540, 550)들 각각이 연결부(580)를 향해 이동하는 경우, 삽입부재(565, 575)들 각각이 연결부(580)를 향해 이동하면서, 제1 및 제2 링크(560, 570)들 각각의 양단이 상부플레이트(410) 및 하부플레이트(420)를 이동플레이트(510)를 향해 끌어당긴다.
상부플레이트(410) 및 하부플레이트(420)가 서로 인접하도록 이동하면서, 제1 및 제2 힌지판(430, 440)들 각각이 서로 인접하도록 이동하고 제1 및 제2 판스프링(450, 460)들 각각의 중앙부는 전방을 향해 휘어지면서 돌출된다.
제1 및 제2 판스프링(450, 460)들 각각의 중앙부가 돌출되면서 컴포트 매트(300)의 하단부가 일단을 축으로 전방을 향해 이동하여 시트에 착석한 탑승자의 허리 또는 등을 지지한다.
반대로 작동모터(520)가 역회전 구동하면, 제1 및 제2 너트(540, 550)들 각각이 연결부(580)와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삽입부재(565, 575)들 각각이 연결부(580)와 이격되도록 이동한다.
그리고 제1 및 제2 링크(560, 570)들 각각이 느슨해지면, 제1 및 제2 판스프링(450, 460)들 각각의 탄성에 의해 제1 및 제2 판스프링(450, 460)들 각각이 프레임(200)의 연장방향과 평행하도록 펼쳐지고, 상부플레이트(410) 및 하부플레이트(420)는 이동플레이트(510)와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며, 컴포트 매트(300)의 하단부는 일단을 축으로 하강한다.
따라서, 해당 탑승자는 작동부(500)의 제어를 통해 컴포트 매트(300)의 하단부의 돌출되는 거리를 제어할 수 있어 탑승자의 신체조건에 적합한 형태로 시트의 형태를 변형시킬 수 있다.
또한,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100)는 승강모터(640)의 정회전으로 승강축(630)이 정회전하면, 연결부(580)를 통해 결합부재(518)와 연결된 이동플레이트(510)가 승강축(630)을 따라 상부를 향해 이동한다.
이동플레이트(510)가 상부를 향해 이동하면, 제1 및 제2 링크(560, 570)들 각각의 타단이 하부플레이트(420)를 상부를 향해 이동시키고, 하부플레이트(420)에 결합된 제1 및 제2 판스프링(450, 460)들이 상부플레이트(410)를 상부를 향해 이동시킨다.
반대로, 승강모터(640)의 역회전으로 승강축(630)이 역회전하면, 이동플레이트(510)는 승강축(630)을 따라 하부를 향해 이동하고, 제1 및 제2 링크(560, 570)들 각각의 일단이 상부플레이트(410)를 하부를 향해 이동시킨다.
하부플레이트(420)가 제1 및 제2 링크(560, 570)들 각각에 의해 하강하면, 제1 및 제2 판스프링(450, 460)들 각각의 일단이 상부플레이트(410)를 하부를 향해 끌어당겨 상부플레이트(410) 역시 하부를 향해 이동한다.
따라서,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100)는 승강프레임(620)이 회동부(400) 및 작동부(500)의 후방에 위치하면서 고정와이어(220)와 결합되어 탑승자가 시트에 장시간 착석하는 경우 안정적으로 회동부(400) 및 작동부(500)를 지지한다.
또한,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100)는 승강프레임(620)이 승강축(630)의 하부에 배치되어, 탑승자가 시트에 착석한 상태에서 프레임(200)의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작동부(500)가 승강축(630)을 따라 원활하게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중량이 상대적으로 높은 승강부(600)의 승강모터(640)가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100)의 하부에 위치하여 무게중심이 하부에 배분되므로,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100)의 상단에 가해지는 하중이 줄어들어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100)의 변형이 최소화되고, 시트 포지션 변경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제1 및 제2 링크(560, 570)들 각각은 와이어 형태로 형성되어 상대적으로 중량이 낮고, 구조가 단순하여 제작이 용이하며 정비가 필요한 경우 편리하게 탈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8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120)는 회동부(700) 및 작동부(800)를 제외하면, 도 1 내지 7들의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번호와 명칭을 사용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120)는 회동부(700) 및 작동부(800)를 포함한다.
회동부(700)는 상부플레이트(710), 하부플레이트(720), 제1 힌지핀(430), 제2 힌지핀(440), 제1 판스프링(450) 및 제2 판스프링(460)을 포함한다.
상부플레이트(710) 및 하부플레이트(720)는 작동부(800)를 사이에 두고 고정와이어(22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고정와이어(220)와 결합된다.
제1 힌지핀(430) 및 제2 힌지핀(440)들 각각은 상부플레이트(710) 및 하부플레이트(720) 각각에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제1 판스프링(450) 및 제2 판스프링(460) 각각의 일단은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제1 힌지핀(430)과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제1 판스프링(450) 및 제2 판스프링(460)들 각각의 타단은 하부를 향해 연장되어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하부플레이트(720)와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부플레이트(710) 및 하부플레이트(720)가 서로 인접하거나 이격되는 경우 제1 판스프링(450) 및 제2 판스프링(460)들 각각은 중앙부가 휘어져 전방을 향해 돌출되거나 펼쳐진다.
작동부(800)는 이동플레이트(810), 작동모터(820), 작동축(830), 스핀들너트(840)들, 상부링크(850) 및 하부링크(860)를 포함한다.
작동부(800)는 상부 및 하부 일부분이 회동부(700)와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구동하면 상부 및 하부 일부분이 상부플레이트(710) 및 하부플레이트(720)를 당겨서 제1 및 제2 판스프링(450, 460)들의 중앙부가 전방을 향해 돌출되도록 변형시킨다.
구체적으로, 이동플레이트(810)는 상부플레이트(710) 및 하부플레이트(720)의 사이에 형성되어 고정와이어(220)와 상하부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작동모터(820)는 이동플레이트(810)의 일측에 결합되고, 작동축(830)의 일단은 작동모터(820)의 구동축과 기어 결합한 상태에서 일직선으로 이동플레이트(810)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이동플레이트(810)와 결합된다.
작동축(830)의 중앙에는 연결부(580)가 형성되어 승강부(600)의 결합부재(518)와 연결되어 승강부(600)의 구동에 의해 작동부(800) 및 회동부(700)는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슬라이딩 이동한다.
작동축(830)의 중앙에 위치한 연결부(580)의 양측에 해당하는 작동축(830)의 외측면에는 연결부(58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 방향으로 나사산이 형성되고, 스핀들너트(840)들 각각은 연결부(580)의 양측에서 작동축(830)과 나사 결합된다.
따라서, 작동모터(820)가 정회전하면, 작동축(830)이 정회전 하면서 스핀들너트(840)들 각각은 서로를 향해 이동하고, 작동모터(820)가 역회전하면, 스핀들너트(840)들 각각은 서로 이격되도록 이동한다.
상부링크(850)들 각각의 일단은 스핀들너트(840)들 각각의 상부에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각각의 타단은 상부플레이트(710)에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하부링크(860)들 각각의 일단은 스핀들너트(840)들 각각의 하부에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각각의 타단은 하부플레이트(720)에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따라서,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120)는 작동축(830)이 정회전하면 스핀들너트(840)들이 서로 인접하도록 이동하여 제1 및 제2 판스프링(450, 460)들을 변형시켜 시트에 착석한 탑승자의 허리를 지지한다.
반대로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120)는 작동축(830)이 역회전하면 스핀들너트(840)들이 서로 이격되도록 이동하여 제1 및 제2 판스프링(450, 460)들이 상하부로 펼쳐지고, 탑승자의 허리를 지지하는 컴포트 매트(300)의 하단부는 후방을 향해 이동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120: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 200: 프레임
300: 컴포트매트 400, 700: 회동부
500, 800: 작동부 600: 승강부

Claims (6)

  1. 시트 내부의 시트백 프레임에 설치되는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하부로 길게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시트백 프레임에 결합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컴포트매트;
    상기 프레임과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하부로 축소 또는 확장하는 구동을 통해 일부가 전방으로 돌출되거나 후방으로 함몰하는 회동부;
    상기 프레임과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회동부와 연결되어 구동을 통해 상기 회동부를 상하부 방향으로 축소 또는 확장시키는 작동부; 및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프레임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작동부와 나사 결합되어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작동부를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이동시키는 승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일단은 상기 프레임의 하부 양측을 연결하는 형태로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의 중앙에서 상부를 향해 연장되고 양측으로 분리 및 연장되어 상기 프레임의 양측에 결합되는 승강프레임;
    상기 승강프레임의 일단에 결합되는 승강모터와 일단이 기어 결합되고, 타단은 상부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승강프레임과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된 승강축; 및
    일단은 상기 승강축의 일부를 둘러싸며 나사결합하고, 타단은 상기 작동부와 결합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는,
    각각이 상기 작동부의 상부 및 하부에서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는 상부 및 하부플레이트들;
    상기 상부 및 하부 플레이트들 각각의 상부에 형성된 결합부에 힌지 결합되도록 양측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1 및 제2 힌지핀들; 및
    각각의 일단은 상기 제1 힌지핀에 서로 이격되도록 힌지 결합되고, 각각의 타단은 하부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제2 힌지핀과 서로 이격되도록 힌지 결합되는 한 쌍의 판스프링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상기 프레임과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이동플레이트;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서 상기 이동플레이트와 결합되는 작동모터;
    상기 작동모터에 기어결합되어 상기 프레임의 타측을 향해 연장되는 작동축;
    각각이 상기 결합부재의 양측에서 상기 작동축과 서로 이격되며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너트들; 및
    각각의 일단은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양측에 결합되고, 각각의 타단은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양측에 결합되며, 중앙부는 상기 너트들 각각에 결합되는 와이어 형태의 링크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시트백 프레임과 결합되는 고정와이어; 및
    양단이 상기 고정와이어의 상단과 고분자 재질의 사출부를 통해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크로스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홈의 내부 양측에는 상기 삽입홈의 중심을 향하도록 한 쌍의 가이드리브가 상부로 경사지게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축은,
    중앙부를 기준으로 양측이 서로 반대 방향의 나사산이 형성되어,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너트들을 서로 인접하도록 이동시키거나 이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

KR1020180048374A 2018-04-26 2018-04-26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 KR1020574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8374A KR102057461B1 (ko) 2018-04-26 2018-04-26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8374A KR102057461B1 (ko) 2018-04-26 2018-04-26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4427A true KR20190124427A (ko) 2019-11-05
KR102057461B1 KR102057461B1 (ko) 2019-12-20

Family

ID=68577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8374A KR102057461B1 (ko) 2018-04-26 2018-04-26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74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79124A (zh) * 2021-08-05 2021-10-08 诺创汽车科技(上海)有限公司 座椅组件和车辆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5637A (ko) 2021-07-23 2023-01-31 주식회사 디에스시동탄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
KR102415251B1 (ko) * 2021-12-10 2022-06-30 주식회사 금창 푸시형 작동블록을 구비한 차량용 럼버서포트
KR102415256B1 (ko) * 2021-12-14 2022-06-30 주식회사 금창 회동형 서포팅로드를 구비한 차량용 럼버서포트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4192B1 (ko) * 2013-09-24 2014-09-26 대동모벨시스템 주식회사 시트 등받이의 돌출량 조절장치
KR101616979B1 (ko) * 2015-10-05 2016-04-29 (주)디에스시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79124A (zh) * 2021-08-05 2021-10-08 诺创汽车科技(上海)有限公司 座椅组件和车辆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7461B1 (ko) 2019-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7461B1 (ko)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
EP2322058B2 (en) Adjusting device for a lumbar support and method of adjusting a lumbar support
CN103661047B (zh) 腰部支撑系统
CN100528634C (zh) 可调整的座垫支撑机构
US7950737B2 (en) Motor vehicle seat
CN111032424B (zh) 坐垫延伸装置
MXPA05006109A (es) Metodo y aparato para un soporte ergonomico de tijera.
KR101664697B1 (ko)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
KR20160105198A (ko) 4-방향 럼버 서포트
WO2006029204A1 (en) Mechanism for thin seat lumbar
WO2014012438A1 (en) A vehicle seat
CN107920663A (zh) 用于剧院的双运动斜地面倾斜机构
CN105916407A (zh) 腰部支撑系统
US5924668A (en) Motorized vehicle seat lift mechanism
KR101470223B1 (ko) 차량의 시트 사이드 볼스터 장치
KR102164044B1 (ko) 윙아웃 헤드레스트 장치
KR101440147B1 (ko) 차량의 시트 사이드 볼스터 장치
CN110126745A (zh) 可调式升降扶手箱
KR101326505B1 (ko) 차량용 후석 시트백 리클라이너
CN114983177A (zh) 一种拉力弹簧转椅底盘
KR20120098236A (ko) 4-방향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
KR20120119281A (ko) 4-방향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
CN209938380U (zh) 一种座椅调整装置
CN216805196U (zh) 用于车辆座椅的座部倾角调节机构
CN110861553B (zh) 一种座椅扶手及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