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6979B1 -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6979B1
KR101616979B1 KR1020150139830A KR20150139830A KR101616979B1 KR 101616979 B1 KR101616979 B1 KR 101616979B1 KR 1020150139830 A KR1020150139830 A KR 1020150139830A KR 20150139830 A KR20150139830 A KR 20150139830A KR 101616979 B1 KR101616979 B1 KR 1016169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coupled
wire
plate
fixed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9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수
김진오
이상훈
조영석
방태영
Original Assignee
(주)디에스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에스시 filed Critical (주)디에스시
Priority to KR10201501398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69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69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69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4Back-rests or cushions
    • B60N2/66Lumbar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4Back-rests or cush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차량 시트 내부의 시트백 프레임에 설치되어 탑승자의 등 및 허리 부위를 지지하는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시트백 프레임에 설치되는 고정와이어와, 상기 고정와이어의 상단 소정 위치에 일부분이 인서트 사출에 의해 결합되는 크로스와이어와, 상기 고정와이어의 상부 소정 위치에 형성된 절곡부에 상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탑승자의 등 및 허리 부위를 지지하는 컴포트매트와, 상기 고정와이어에 설치되어 상기 컴포트매트의 하단을 탑승자의 등 부위를 향해 회동시키는 회동수단과, 상기 고정와이어에 설치되어 상기 회동수단을 컴포트매트 측으로 돌출되게 변형시키는 작동수단 및, 상기 고정와이어에 설치되어 상기 회동수단을 고정와이어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승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Lumbar Support Assembly}
본 발명은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차량 시트백 내부에 설치되어 탑승자의 등 및 허리 부위를 편안하게 지지할 수 있는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내부에는 탑승자가 앉을 수 있도록 시트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시트는 탑승자의 둔부를 지지하는 시트 쿠션과 등을 지지하는 시트 백, 탑승자의 팔을 올려놓을 수 있는 암레스트 및 머리를 지지하는 헤드레스트로 이루어진다.
그 중 본 발명과 관련이 있는 시트백을 살펴보면, 시트백의 내부에는 시트백의 뼈대가 되는 시트백 프레임이 설치되고, 시트백 프레임에는 컴포트매트를 통해 탑승자의 등을 지지하는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가 설치된다.
이러한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는 차량 운행중 탑승자의 피로를 효과적으로 줄이기 위해 탑승자의 등 및 척추 형상에 맞출 수 있도록 가변형 구조를 가진다.
종래의 가변형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를 살펴보면, 시트백 프레임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회전봉에 돌출부를 형성한 뒤, 이 돌출부에 탑승자의 허리를 지지하는 컴포트매트를 설치하여, 시트에 앉은 탑승자의 자세에 따라 회전봉이 회전하면서 컴포트매트를 시트백 프레임에 전후로 이동시켜 탑승자의 등 및 허리를 받쳐주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가변형 럼버 서포트 구조는, 회전봉의 설치 위치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컴포트매트가 회전봉의 회전에 의해 전후로만 이동하게 되어, 시트에 앉은 탑승자가 자신의 신체 조건에 맞게 컴포트매트의 변형을 조절하는 것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탑승자가 자신의 신체 조건에 맞게 컴포트매트의 변형을 조절하여 등 및 허리 부위를 최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부품을 단순화할 수 있어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제조가 용이한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및 기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 시트 내부의 시트백 프레임에 설치되어 탑승자의 등 및 허리 부위를 지지하는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시트백 프레임에 설치되는 고정와이어와, 상기 고정와이어의 상단 소정 위치에 일부분이 인서트 사출에 의해 결합되는 크로스와이어와, 상기 고정와이어의 상부 소정 위치에 형성된 절곡부에 상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탑승자의 등 및 허리 부위를 지지하는 컴포트매트와, 상기 고정와이어에 설치되어 상기 컴포트매트의 하단을 탑승자의 등 부위를 향해 회동시키는 회동수단과, 상기 고정와이어에 설치되어 상기 회동수단을 컴포트매트 측으로 돌출되게 변형시키는 작동수단 및, 상기 고정와이어에 설치되어 상기 회동수단을 고정와이어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승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상기 회동수단은 상기 작동수단을 사이에 두고 상기 고정와이어에 길이방향으로 이동되게 결합된 상부 및 하부 플레이트와, 상기 상부 및 하부 플레이트 각각의 상부에 구비된 결합부에 결합된 상부 및 하부 힌지핀과, 상기 상부 힌지핀에 각각의 일단이 등 간격 이격되어 힌지 결합되고, 상기 하부 힌지핀에 각각의 타단이 등 간격 이격되게 힌지결합되어 상기 컴포트매트를 지지하는 한 쌍의 판 스프링을 포함하되, 상기 상부 및 하부 플레이트 각각의 하부면에는 상기 고정와이어에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의 내부 양측면에는 상기 삽입홈의 중심을 향하도록 한 쌍의 가이드리브가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부의 내부 양측면에는 상기 결합부의 중심을 향하도록 한 쌍의 가이드리브가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판 스프링의 길이방향 소정 위치에는 강도 보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작동수단은 양단이 상기 고정와이어에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플레이트와, 상기 이동플레이트의 일측에 설치된 구동모터와, 상기 이동플레이트 상에 축회전 가능하게 상기 구동모터에 결합된 스핀들 축과, 상기 스핀들 축 상에 서로 이격되게 결합되고, 상기 스핀들 축의 회전시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되는 한 쌍의 스핀들너트와, 상기 한 쌍의 스핀들너트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 사이에 결합된 한 쌍의 상부 링크와, 상기 한 쌍의 스핀들너트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 사이에 결합된 한 쌍의 하부 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고정와이어에 결합된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일측에 설치된 구동모터와, 상기 고정플레이트 상에 축회전 가능하게 상기 구동모터에 결합된 스핀들 축과, 상기 스핀들 축 상에 서로 이격되게 결합되고, 상기 스핀들 축의 회전시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되는 한 쌍의 스핀들너트와, 상기 한 쌍의 스핀들너트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 사이에 결합된 한 쌍의 승강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탑승자가 자신의 신체 조건에 맞게 컴포트매트의 변형을 조절하여 등 및 허리 부위를 최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부품을 단순화할 수 있어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제조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회동수단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작동수단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승강수단의 분해 사시도.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의 작동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첨부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럼버 서포트 어셉블리(100)는 고정와이어(110), 크로스와이어(120), 컴포트매트(130), 회동수단(140), 작동수단(150), 승강수단(1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고정와이어(110)는 소정 굵기의 와이어가 절곡되어 전체적으로 상단이 개방된 'U'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하단이 고정클립에 의해 시트백 프레임(미도시)에 결합된다.
여기서, 시트백 프레임은 차량 시트백의 내부에 설치되어 시트백의 형상을 유지시키고, 시트 쿠션과 연결되어 탑승자의 하중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시트백의 외곽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크로스와이어(120)는 고정와이어(110)의 상단 소정 위치에 일부분이 인서트 사출에 의해 결합된다. 즉, 크로스와이어(120)의 일부분이 고정와이어(110)의 상단 소정 위치에 인서트 사출을 통해 형성된 사출부(112)에 의해 결합되기 때문에 크로스와이어(120)와 고정와이어(110) 사이에서 발생되는 마찰에 의한 소음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컴포트매트(130)는 고정와이어(110)의 상부 소정 위치에 형성된 절곡부(110a)에 상단이 회동가능하게 피봇 결합되어 차량 탑승자의 허리(척추) 및 등 부위를 지지하는 것으로서, 합성수지 또는 금속재질로 제작된다.
이러한, 컴포트매트(130)는 그 중앙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되게 형성되고, 컴포트매트(130)의 상부 양측에는 고정와이어(120)의 절곡부(110a)에 결합될 수 있게 결합부(132)가 형성된다.
회동수단(140)은 고정와이어(110)에 설치되어 컴포트매트(130)의 하단을 탑승자의 등 부위를 향해 회동시키는 것으로서, 고정와이어(110)에 길이방향으로 이동되게 결합된 상부 및 하부 플레이트(142, 143)와, 상부 및 하부 플레이트(142, 143) 각각의 상부에 구비된 결합부(142a, 143a)에 결합된 상부 및 하부 힌지핀(144, 145)과, 상부 힌지핀(144)에 각각의 일단이 등 간격 이격되어 힌지 결합되고, 하부 힌지핀(145)에 각각의 타단이 등 간격 이격되게 힌지결합되어 컴포트매트(130)를 지지하는 한 쌍의 판 스프링(146)으로 구성된다.
즉, 상부 플레이트(142), 하부 플레이트(143) 및, 한 쌍의 판스프링(146)이 고정와이어(110)에 설치되어 컴포트매트(130)의 하단을 탑승자의 등 부위를 향해 회동시키는 회동수단으로서의 기능하게 된다.
여기서, 상부 및 하부 플레이트(142, 143) 각각의 하부면에는 상부 및 하부 플레이트(142, 143)가 고정와이어(110)에 슬라이드 이동되게 결합되도록 고정와이어(110)에 삽입되는 삽입홈(142b, 143b)이 형성된다.
이때, 삽입홈(142b, 143b)의 내부 양측면에는 삽입홈(142b, 143b)의 중심을 향하도록 한 쌍의 가이드리브(142c, 143c)가 경사지게 형성되는데, 이 가이드리브(142c, 143c)는 고정와이어(110)에 삽입홈(142b, 143b)이 삽입될 때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게 안내함과 더불어 고정와이어(110)에 삽입홈(142b, 143b)이 삽입되었을 때 가이드리브(142c, 143c)의 단부가 고정와이어(110)의 외주면을 가압지지하여 고정와이어(110)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한다.
이와 더불어, 결합부(142a, 143a)의 내부 양측면도 결합부(142a, 143a)의 중심을 향하도록 한 쌍의 가이드리브(142d, 143d)가 경사지게 형성되는데, 이는 상부 및 하부 힌지핀(144, 145)이 결합부(142a, 143a)에 삽입될 때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게 안내함과 더불어 상부 및 하부 핀지핀(144, 145)이 결합부(142a, 143a)에 삽입되었을 때 가이드리브(142d, 143d)의 단부가 상부 및 하부 힌지핀(144, 145)의 외주면을 가압지지하여 상부 및 하부 힌지핀(144, 145)이 결합부(142a, 143a)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한다.
판 스프링(146)의 길이방향 소정 위치에는 강도 보강부(146a)가 형성되는데, 이 강도 보강부(146a)는 판 스프링(146)의 중심부가 후술하는 작동수단(150)에 의해 컴포트매트(130)를 향해 반복적으로 돌출 변형됨에 따라 탄성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한다.
작동수단(150)은 회동수단(140)을 컴포트매트(130) 측으로 돌출되게 변형시키는 것으로서, 상부 및 하부 플레이트(142, 143) 사이에 위치되게 고정와이어(110)에 설치되어, 컴포트매트(130)가 탑승자의 등 부위를 향해 회동(혹은 돌출)될 수 있게 판 스프링(146)의 중심부를 컴포트매트(130)를 향해 돌출되게 변형시킨다.
이러한, 작동수단(150)은 양단이 고정와이어(110)에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플레이트(151)와, 이동플레이트(151)의 일측에 설치된 구동모터(152)와, 이동플레이트(151) 상에 축 회전 가능하게 구동모터(152)에 결합된 스핀들 축(153)과, 스핀들 축(153) 상에 서로 이격되게 결합되고, 스핀들 축(153)의 회전시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되는 한 쌍의 스핀들 너트(154)와, 한 쌍의 스핀들 너트(154)와 상부 플레이트(142) 사이에 결합된 한 쌍의 상부 링크(155)와, 한 쌍의 스핀들 너트(154)와 하부 플레이트(143) 사이에 결합된 한 쌍의 하부 링크(156)로 구성된다.
여기서, 스핀들 축(153) 상에는 한 쌍의 스핀들 너트(154)가 동시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오른나사산과 왼나산이 스핀들 축(153)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대칭되게 형성된다.
또한, 이동플레이트(151)는 고정와이어(11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이동클립(114)을 통해 고정와이어(110)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승강수단(160)은 회동수단(140)을 고정와이어(1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서, 고정와이어(110)의 상부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판 스프링(146)이 고정와이어(110)의 상하길이방향으로 이동되게 상부 플레이트(142)를 이동시킨다.
이러한, 승강수단(160)은 상부 플레이트(142)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고정와이어(110)에 결합된 고정플레이트(161)와, 고정플레이트(161)의 일측에 설치된 구동모터(162)와, 고정플레이트(161) 상에 축회전 가능하게 구동모터(162)에 결합된 스핀들 축(163)과, 스핀들 축(163) 상에 서로 이격되게 결합되고, 스핀들 축(163)의 회전시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되는 한 쌍의 스핀들 너트(164)와, 한 쌍의 스핀들 너트(164)와 상부 플레이트(142) 사이에 결합된 한 쌍의 승강링크(165)로 구성된다.
이때, 한 쌍의 승강링크(165)는 서로 교차되게 각각의 일단이 스핀들 너트(164)에 결합되고, 각각의 타단이 상부 플레이트(142)에 결합된다.
또한, 스핀들 축(163) 상에는 한 쌍의 스핀들 너트(164)가 동시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오른나사산과 왼나산이 스핀들 축(163)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대칭되게 형성된다.
고정플레이트(161)는 고정와이어(110)의 상단 소정 위치에 인서트 사출을 통해 결합된 고정클립(116)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작동수단(150)과 승강수단(160)의 구동모터(152, 162)는 몸체(152a, 162a)와, 몸체(152a, 162a)의 일측에 결합되는 커버(152b, 162b)로 이루어지는데, 이때, 커버(152b, 162b)의 외주면에는 몸체(152a, 162a)의 외주면에 형성된 걸림홈(152c, 162c)에 걸림, 결합되는 걸림돌기(152d, 162d)가 형성된다.
이하,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의 작동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탑승자가 작동수단(150)의 구동모터(152)를 작동시키면, 스핀들 축(153)이 회전을 하면서 스핀들 축(153) 상에 서로 등거리로 이격되게 설치된 한 쌍의 스핀들 너트(154)가 서로 가까워지도록 슬라이드 이동하게 된다.
한 쌍의 스핀들 너트(154)가 서로 가까워지도록 이동하게 되면, 한 쌍의 스핀들 너트(154)의 일측과 타측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상부 및 하부 플레이트(142, 143)에 결합된 한 쌍의 상부 및 하부 링크(155, 156)에 의해 이동플레이트(151)와 하부 플레이트(143)가 상부 플레이트(142)를 향해 이동하게 된다.
이동플레이트(151)와 하부 플레이트(143)가 상부 플레이트(142)를 향해 이동되면, 일단이 상부 플레이트(142)에 결합되고, 타단이 하부 플레이트(143)에 결합된 한 쌍의 판 스프링(146)이 탑승자의 등을 향해 돌출되면서 컴포트매트(130)를 사용자의 등을 향해 밀어올리게 된다.
이에 따라, 컴포트매트(130)는 고정와이어(110)의 절곡부(110a)에 피봇 결합된 상단을 중심으로 컴포트매트(130)의 하단이 탑승자의 등 및 허리 부위를 향해 회동함으로써 탑승자의 등 부위를 밀착 지지하게 된다.
아울러, 탑승자가 승강수단(160)의 구동모터(162)를 작동시켜 스핀들 축(163)이 회전을 하면서 스핀들 축(163) 상에 서로 등 거리로 이격되게 설치된 한 쌍의 스핀들 너트(164)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게 된다.
한 쌍의 스핀들 너트(164)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게 되면, 한 쌍의 스핀들 너트(164)의 일측에 각각의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상부 플레이트(142)에 등 거리로 이격되게 결합된 한 쌍의 승강링크(165)에 의해 상부 플레이트(142)가 고정플레이트(161)를 향해 당겨지게(상승이동하게) 된다.
상부 플레이트(142)가 고정플레이트(161)를 향해 당겨지게 되면, 한 쌍의 판스프링(146)과 , 한 쌍의 판스프링(146)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는 상부 및 하부 플레이트(142, 143) 그리고, 상부 및 하부 플레이트(142, 143)의 사이에 위치되어 상부 및 하부 링크(155, 156)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작동수단(150)이 함께 일체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한 쌍의 판스프링(146)의 상하 위치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은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고정와이어 152; 구동모터
110a; 절곡부 153; 스핀들 축
112; 사출부 154; 스핀들 너트
114; 이동클립 155; 상부 링크
116; 고정클립 156; 하부 링크
120; 크로스와이어 160; 승강수단
130; 컴포트매트 161; 고정플레이트
140; 회동수단 162; 구동모터
142; 상부 플레이트 163; 스핀들 축
143; 하부 플레이트 164; 스핀들 너트
142a, 143a; 결합부 165; 승강링크
142b, 143b; 삽입홈
142c, 143c; 가이드리브
144; 상부 힌지핀
145; 하부 힌지핀
146; 판스프링
146a; 강도 보강부
150; 작동수단
151; 이동플레이트

Claims (6)

  1. 차량 시트 내부의 시트백 프레임에 설치되어 탑승자의 등 및 허리 부위를 지지하는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시트백 프레임에 설치되는 고정와이어;
    상기 고정와이어의 상단 소정 위치에 일부분이 인서트 사출에 의해 결합되는 크로스와이어;
    상기 고정와이어의 상부 소정 위치에 형성된 절곡부에 상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탑승자의 등 및 허리 부위를 지지하는 컴포트매트;
    상기 고정와이어에 설치되어 상기 컴포트매트의 하단을 탑승자의 등 부위를 향해 회동시키는 회동수단;
    상기 고정와이어에 설치되어 상기 회동수단을 컴포트매트 측으로 돌출되게 변형시키는 작동수단; 및,
    상기 고정와이어에 설치되어 상기 회동수단을 고정와이어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승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회동수단은,
    상기 작동수단을 사이에 두고 상기 고정와이어에 길이방향으로 이동되게 결합된 상부 및 하부 플레이트와, 상기 상부 및 하부 플레이트 각각의 상부에 구비된 결합부에 결합된 상부 및 하부 힌지핀과, 상기 상부 힌지핀에 각각의 일단이 등 간격 이격되어 힌지 결합되고, 상기 하부 힌지핀에 각각의 타단이 등 간격 이격되게 힌지결합되어 상기 컴포트매트를 지지하는 한 쌍의 판 스프링을 포함하되,
    상기 작동수단은,
    양단이 상기 고정와이어에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플레이트와, 상기 이동플레이트의 일측에 설치된 구동모터와, 상기 이동플레이트 상에 축회전 가능하게 상기 구동모터에 결합된 스핀들 축과, 상기 스핀들 축 상에 서로 이격되게 결합되고, 상기 스핀들 축의 회전시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되는 한 쌍의 스핀들너트와, 상기 한 쌍의 스핀들너트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 사이에 결합된 한 쌍의 상부 링크와, 상기 한 쌍의 스핀들너트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 사이에 결합된 한 쌍의 하부 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및 하부 플레이트 각각의 하부면에는 상기 고정와이어에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의 내부 양측면에는 상기 삽입홈의 중심을 향하도록 한 쌍의 가이드리브가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의 내부 양측면에는 상기 결합부의 중심을 향하도록 한 쌍의 가이드리브가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판 스프링의 길이방향 소정 위치에는 강도 보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고정와이어에 결합된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일측에 설치된 구동모터와, 상기 고정플레이트 상에 축회전 가능하게 상기 구동모터에 결합된 스핀들 축과, 상기 스핀들 축 상에 서로 이격되게 결합되고, 상기 스핀들 축의 회전시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되는 한 쌍의 스핀들너트와, 상기 한 쌍의 스핀들너트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 사이에 결합된 한 쌍의 승강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
KR1020150139830A 2015-10-05 2015-10-05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 KR1016169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9830A KR101616979B1 (ko) 2015-10-05 2015-10-05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9830A KR101616979B1 (ko) 2015-10-05 2015-10-05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6979B1 true KR101616979B1 (ko) 2016-04-29

Family

ID=55916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9830A KR101616979B1 (ko) 2015-10-05 2015-10-05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697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7461B1 (ko) * 2018-04-26 2019-12-20 주식회사 디에스시동탄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
KR102092130B1 (ko) * 2018-10-19 2020-03-23 (주)굿프렌드 차량용 안마시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0939B1 (ko) * 2011-02-08 2013-02-07 (주)디에스시 럼버서포트 어셈블리
KR101444192B1 (ko) * 2013-09-24 2014-09-26 대동모벨시스템 주식회사 시트 등받이의 돌출량 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0939B1 (ko) * 2011-02-08 2013-02-07 (주)디에스시 럼버서포트 어셈블리
KR101444192B1 (ko) * 2013-09-24 2014-09-26 대동모벨시스템 주식회사 시트 등받이의 돌출량 조절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7461B1 (ko) * 2018-04-26 2019-12-20 주식회사 디에스시동탄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
KR102092130B1 (ko) * 2018-10-19 2020-03-23 (주)굿프렌드 차량용 안마시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93582C2 (ru) Посадочный узел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варианты)
US9744891B2 (en) Lumbar support assembly
KR101664697B1 (ko)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
KR101672686B1 (ko) 차량 시트의 시트 부품
CN104553890B (zh) 一种车辆座椅总成
US9688170B2 (en) Seat assembly having a tiltable front cushion module
US705208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scissors ergonomic support
BR102016001224A2 (pt) Extensão de coxa independente e portador de acabamento de suporte
JPH09507419A (ja) 調節自在なサポートを提供するシート装置
US20090200850A1 (en) Reclining device for seats in vehicles
WO1999055200A1 (en) An adjustable lumbar seat support
KR101616979B1 (ko)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
JP4078122B2 (ja) 自動車用シートバック
KR102057461B1 (ko)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
CN112550096A (zh) 车辆用后座椅
JP4301014B2 (ja) シートバックのサイドサポート構造
KR101608069B1 (ko) 차량 시트의 암레스트
JP3953723B2 (ja) 車両用シートのランバーサポート装置
KR20130012317A (ko) 4-방향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
KR101220939B1 (ko) 럼버서포트 어셈블리
KR101664949B1 (ko) 자동차용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
KR20120047421A (ko)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
JPH0714944U (ja) シートのクッション長さ調整装置
KR200225492Y1 (ko) 승객보호용회전식시트
KR20090118219A (ko) 자동차 시트용 헤드레스트의 수평이동 지지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