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2130B1 - 차량용 안마시트 - Google Patents

차량용 안마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2130B1
KR102092130B1 KR1020180125581A KR20180125581A KR102092130B1 KR 102092130 B1 KR102092130 B1 KR 102092130B1 KR 1020180125581 A KR1020180125581 A KR 1020180125581A KR 20180125581 A KR20180125581 A KR 20180125581A KR 102092130 B1 KR102092130 B1 KR 1020921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plate
spaced apart
coupled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55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선우현
Original Assignee
(주)굿프렌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굿프렌드 filed Critical (주)굿프렌드
Priority to KR10201801255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21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21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21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90Details or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976Details or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ssag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46Electric motors therefor
    • B60N2/023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착석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와, 착석자가 앉을 수 있는 좌석과, 착석자의 머리를 지지하는 헤드레스트를 갖는 차량의 시트에 설치되는 안마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좌석에 설치되고, 일측에 제1 결합부가 형성된 좌석 커버부와, 등받이에 설치되며, 하부에 제1 결합부와 힌지결합되도록 형성된 제2 결합부를 갖는 보디, 보디의 내부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진동유니트를 갖는 등받이 커버부 및, 등받이 커버부의 일측면에 높이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된 제1 결합구, 등받이 커버부의 타측면에 높이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제1 결합구와 결합되는 제2 결합구를 갖는 결합유니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안마시트{A Massage Seat for Vehicle}
본 개시는 차량의 좌석시트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안마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안마시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좌석시트는 등받이 부분을 운전자나 착석자의 체형에 맞게 앞뒤로 각도 조절하여 사용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시트의 등받이 부분을 조절하더라도 장시간 운전을 하다보면 착석자나 운전자의 등부분에 혈액순환 등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 운전자나 착석자가 통증을 느낌은 물론 피로가 누적되기 쉬우며, 더 나아가 피로와 통증에 의해 불쾌감을 느낄 수 있고, 운전시 집중력이 많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모터(1)를 내장하여 진동안마기능을 갖도록 한 시트커버(2)가 고안되기도 하였지만, 시트커버(2)에 내장된 진동모터(1)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어 항상 인체의 일정한 부위만 안마할 수 밖에 없으며,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안마부위를 효과적으로 안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가 자신의 신체 조건에 맞게 진동발생기의 위치를 조절하여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안마부위를 효과적으로 안마할 수 있는 차량용 안마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안마시트는 착석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와, 착석자가 앉을 수 있는 좌석과, 착석자의 머리를 지지하는 헤드레스트를 갖는 차량의 시트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좌석에 설치되고, 일측에 제1 결합부가 형성된 좌석 커버부와, 등받이에 설치되며, 하부에 제1 결합부와 힌지결합되도록 형성된 제2 결합부를 갖는 보디, 보디의 내부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진동유니트를 갖는 등받이 커버부와, 등받이 커버부의 일측면에 높이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된 제1 결합구, 등받이 커버부의 타측면에 높이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제1 결합구와 결합되는 제2 결합구를 갖는 결합유니트를 포함한다.
또한, 진동유니트는 보디의 내부 중심영역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일측에 구동모터가 설치된 중간판과, 중간판 상에 축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단이 구동모터에 결합된 회전축과, 중간판의 상측에 중간판으로부터 이격되게 위치되고, 양측이 보디의 좌, 우측면에 형성된 한 쌍의 상부 슬롯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부면에 길이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된 한 쌍의 상부 결합부를 갖는 상부판과, 중간판의 하측에 중간판으로 이격되게 위치되고, 양측이 보디의 좌, 우측면에 형성된 한 쌍의 하부 슬롯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부면에 길이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된 한 쌍의 하부 결합부를 갖는 하부판과, 회전축 상에 상호 이격되게 결합되어 회전축의 회전시 회전축의 축선방향을 따라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되는 한 쌍의 이동체와, 상부판과 중간판의 사이에 위치되고. 각각의 일단이 상부판의 길이방향 일부영역에 이격되게 결합되고, 각각의 타단이 한 쌍의 이동체에 결합된 한 쌍의 상부링크와, 하부판과 중간판의 사이에 위치되고, 각각의 일단이 하부판의 길이방향 일부영역에 이격되게 결합되고, 각각의 타단이 한 쌍의 이동체에 결합된 한 쌍의 하부링크와, 한 쌍의 상부 결합부에 결합되도록 일측에 결합된 상부 결합핀, 한 쌍의 하부 결합부에 결합되도록 타측에 결합된 하부 결합핀을 갖는 작동판 및, 작동판의 중심영역에 설치된 진동발생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한 쌍의 이동체의 하면에는 한 쌍의 가이드돌기가 이격되게 돌출 형성되고, 중간판의 상면에는 한 쌍의 가이드돌기가 안착되는 한 쌍의 가이드홈이 이격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차량용 안마시트는 사용자가 자신의 신체 조건에 맞게 진동발생기의 위치를 조절하여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안마부위를 효과적으로 안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안마시트의 사시도.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안마시트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유니트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A"의 부분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유니트의 작동 상태도.
도 7은 본 개시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진동유니트의 사시도.
도 8은 도 7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B"의 부분 분해 사시도.
도 10은 본 개시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진동유니트의 작동 상태도.
본 개시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안마시트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안마시트(100)는 착석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미도시)와, 착석자가 앉을 수 있는 좌석(미도시)과, 착석자의 머리를 지지하는 헤드레스트(미도시)를 갖는 차량의 시트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좌석 커버부(110), 등받이 커버부(120), 결합유니트(160)로 구성된다.
좌석 커버부(110)는 좌석에 설치되고, 일측에 제1 결합부(112)가 형성된다. 여기서, 제1 결합부(112)에는 제1 결합부(112)의 길이방향으로 슬롯홀(112a)이 형성된다.
또한, 좌석 커버부(110)의 내부에는 사용자의 둔부를 마사지하기 위한 진동부(114)가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등받이 커버부(120)는 등받이에 설치되며, 하부에 제1 결합부(112)와 힌지결합되도록 형성된 제2 결합부(124)를 갖는 보디(122)와, 보디(122)의 내부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진동유니트(130)를 갖는다.
여기서, 등받이 커버부(120)가 제2 결합부(124)를 통해 좌석 커버부(110)의 제1 결합부(112)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기 때문에 시트의 등받이가 좌석에 대해 회전을 하더라도 등받이 커버부(1210)가 등받이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좌석 커버부(110)와 등받이 커버부(120)에는 별도의 커버(110a, 120a)가 씌워진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유니트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A"의 부분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유니트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진동유니트(130)는 중간판(131), 회전축(132), 상부판(133), 하부판(134), 한 쌍의 이동체(135), 한 쌍의 상부링크(136), 한 쌍의 하부링크(137), 작동판(138), 진동발생기(139)로 이루어진다.
중간판(131)은 보디(122)의 내부 중심영역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일측에 구동모터(131a)가 설치된다. 또한, 중간판(131)의 상면에는 한 쌍의 가이드홈(131b)이 이격되게 형성된다.
회전축(132)은 중간판(131) 상에 축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단이 구동모터(131a)에 결합된다. 여기서, 회전축(132) 상에는 후술하는 한 쌍의 이동체(135)가 동시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오른나사산과 왼나사산이 회전축(132)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대칭되게 형성된다.
상부판(133)은 중간판(131)의 상측에 중간판(131)으로부터 이격되게 위치되고, 양측이 보디(122)의 좌, 우측면에 형성된 한 쌍의 상부 슬롯홀(122a)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상부판(133)의 상부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이격되게 한 쌍의 상부 결합부(133a)가 형성된다.
하부판(134)은 중간판(131)의 하측에 중간판(131)으로 이격되게 위치되고, 양측이 보디(122)의 좌, 우측면에 형성된 한 쌍의 하부 슬롯홀(122b)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하부판(134)의 상부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이격되게 한 쌍의 하부 결합부(134a)가 형성된다.
한 쌍의 이동체(135)는 회전축(132) 상에 상호 이격되게 결합되어 회전축(132)의 회전시 회전축(132)의 축선방향을 따라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된다. 여기서, 한 쌍의 이동체(135)의 하면에는 중간판(131)에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홈(131b)에 안착되는 한 쌍의 가이드돌기(135a)가 이격되게 돌출 형성된다.
한 쌍의 상부링크(136)는 상부판(133)과 중간판(131)의 사이에 위치되고. 각각의 일단이 상부판(133)의 길이방향 일부영역에 이격되게 결합되고, 각각의 타단이 한 쌍의 이동체(135)에 결합된다.
한 쌍의 하부링크(137)는 하부판(134)과 중간판(131)의 사이에 위치되고, 각각의 일단이 하부판(134)의 길이방향 일부영역에 이격되게 결합되고, 각각의 타단이 한 쌍의 이동체(135)에 결합된다.
작동판(138)은 한 쌍의 이동체(135)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상부판(133)과 하부판(134)이 중간판(131)을 향해 이동될 때 사용자의 등을 향해 돌출 변형되어 후술하는 진동발생기(139)의 위치를 조절하는 것으로서, 일측에는 한 쌍의 상부 결합부(133a)에 결합되는 상부 결합핀(138a)이 결합되고, 타측에는 한 쌍의 하부 결합부(134a)에 결합되는 하부 결합핀(138b)이 결합된다.
진동발생기(139)는 작동판(138)의 중심영역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등 부위에 진동을 주어 마사지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실시예에 따른 진동유니트(130)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구동모터(131a)를 작동시키면, 회전축(132)이 회전을 하면서 회전축(132) 상에 이격되게 설치된 한 쌍의 이동체(135)가 서로 가까워지도록 슬라이드 이동하게 된다.
한 쌍의 이동체(135)가 서로 가까워지도록 이동하게 되면, 한 쌍의 이동체(135)에 한 쌍의 상부링크(136)와 한 쌍의 하부링크(137)를 통해 결합된 상부판(133)과 하부판(134)이 중간판(131)을 향해 이동하게 된다.
상부판(133)과 하부판(134)이 중간판(131)을 향해 이동하게 되면, 상부 결합핀(138a)이 상부판(133)에 형성된 한 쌍의 상부 결합부(133a)에 결합되고, 하부 결합핀(138b)이 하부판(134)에 형성된 한 쌍의 하부 결합부(134a)에 결합된 작동판(138)이 사용자의 등 부위를 향해 돌출되게 된다.
이때, 작동판(138)의 중심영역에 결합된 진동발생기(139)도 사용자의 등 부위를 향해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진동발생기(139)가 사용자의 등을 향해 돌출되는 위치를 조절하면서 등 부위를 마사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진동유니트의 사시도, 도 8은 도 7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B"의 부분 분해 사시도, 도 10은 본 개시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진동유니트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7 내지 10를 참조하면, 변형 실시예에 따른 진동유니트(140)는 중간판(141), 회전축(142), 상부판(143), 하부판(144), 한 쌍의 이동체(145), 한 쌍의 상부링크(146), 한 쌍의 하부링크(147), 작동판(148), 진동발생기(149), 승하강부재(150)로 이루어진다.
중간판(141)은 보디(1220)의 좌, 우측면에 형성된 한 쌍의 슬롯홀(122a)의 중심영역에 양측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측에 구동모터(141a)가 설치된다. 또한, 중간판(141)의 상면에는 한 쌍의 가이드홈(141b)이 이격되게 형성된다.
회전축(142)은 중간판(141) 상에 축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단이 구동모터(141a)에 결합된다. 여기서, 회전축(142) 상에는 후술하는 한 쌍의 이동체(145)가 동시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오른나사산과 왼나사산이 회전축(142)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대칭되게 형성된다.
상부판(143)은 중간판(141)의 상측에 중간판(141)으로부터 이격되게 위치되고, 양측이 한 쌍의 슬롯홀(122a)의 상부영역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상부판(143)의 상부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이격되게 한 쌍의 상부 결합부(143a)가 형성된다.
하부판(144)은 중간판(141)의 하측에 중간판(141)으로 이격되게 위치되고, 양측이 한 쌍의 슬롯홀(122a)의 하부영역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하부판(144)의 상부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이격되게 한 쌍의 하부 결합부(144a)가 형성된다.
한 쌍의 이동체(145)는 회전축(142) 상에 상호 이격되게 결합되어 회전축(142)의 회전시 회전축(142)의 축선방향을 따라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된다.
여기서, 한 쌍의 이동체(145)의 하면에는 중간판(141)에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홈(141b)에 안착되는 한 쌍의 가이드돌기(145a)가 이격되게 돌출 형성된다.
한 쌍의 상부링크(146)는 상부판(143)과 중간판(141)의 사이에 위치되고. 각각의 일단이 상부판(143)의 길이방향 일부영역에 이격되게 결합되고, 각각의 타단이 한 쌍의 이동체(145)에 결합된다.
한 쌍의 하부링크(147)는 하부판(144)과 중간판(141)의 사이에 위치되고, 각각의 일단이 하부판(144)의 길이방향 일부영역에 이격되게 결합되고, 각각의 타단이 한 쌍의 이동체(145)에 결합된다.
작동판(148)은 한 쌍의 이동체(145)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중간판(141)이 상부판(143)을 향해 이동되고, 하부판(144)이 중간판(141)을 향해 이동될 때 사용자의 등을 향해 돌출 변형되어 후술하는 진동발생기(149)의 위치를 조절하는 것으로서, 일측에는 한 쌍의 상부 결합부(143a)에 결합되는 상부 결한핀(148a)이 결합되고, 타측에는 한 쌍의 하부 결합부(144a)에 결합되는 하부 결합핀(148b)이 결합된다.
진동발생기(149)는 작동판(148)의 중심영역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등 부위에 진동을 주어 마사지를 한다.
승하강부재(150)는 보디(122)의 내부 상부영역에 고정되게 설치되어 상부판(143)을 보디(122)의 높이방향으로 승하강시킨다. 즉, 상부판(143), 중간판(141), 하부판(144)을 보디(122)의 높이방향으로 승하강시켜 보디(122)의 높이방향에 대한 진동발생기(149)의 위치를 조절한다.
이러한, 승하강부재(150)는 보디(122)의 내부 상부영역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일측에 승하강모터(152a)가 설치된 고정판(152)과, 고정판(152) 상에 축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단이 승하강모터(152a)에 결합된 회전축(154)과, 회전축(154) 상에 상호 이격되게 결합되어 회전축(154)의 회전시 회전축(154)의 축선방향을 따라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되는 한 쌍의 슬라이더(156) 및, 상부판(143)과 고정판(152) 사이에 위치되고, 각각의 일단이 상부판(143)의 길이방향 일부영역에 이격되게 결합되고, 각각의 타단이 고정판(152)의 길이방향 일부영역에 이격되게 결합된 한 쌍의 승하강링크(158)를 포함한다.
이때, 한 쌍의 승하강링크(158)는 서로 교차되게 각각의 일단이 상부판(143)에 이격되게 결합되고, 각각의 타단이 고정판(152)에 이격되게 결합된다.
또한, 한 쌍의 슬라이더(156)의 하면에는 한 쌍의 가이드돌기(156a)가 이격되게 돌출 형성되고, 고정판(152)의 상면에는 한 쌍의 가이드돌기(156a)가 안착되는 한 쌍의 가이드홈(152b)이 이격되게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변형 실시예에 따른 진동유니트(140)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구동모터(141a)를 작동시키면, 회전축(142)이 회전을 하면서 회전축(142) 상에 이격되게 설치된 한 쌍의 이동체(145)가 서로 가까워지도록 슬라이드 이동하게 된다.
한 쌍의 이동체(145)가 서로 가까워지도록 이동하게 되면, 상부판(143)이 고정판(152)에 대해 한 쌍의 승하강링크(158)를 통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한 쌍의 상부링크(146)를 통해 상부판(143)과 연결되어 있는 중간판(141)이 상부판(143)을 향해 이동하게 되고, 한 쌍의 하부링크(147)를 통해 중간판(141)과 연결되어 있는 하부판(144)이 중간판(141)을 향해 이동하게 된다.
중간판(141)이 상부판(143)을 향해 이동하고, 하부판(144)이 중간판(141)을 향해 이동하게 되면, 상부 결합핀(148a)이 상부판(143)에 형성된 한 쌍의 상부 결합부(143a)에 결합되고, 하부 결합핀(148b)이 하부판(144)에 형성된 한 쌍의 하부 결합부(144a)에 결합된 작동판(148)이 사용자의 등 부위를 향해 돌출되게 된다.
이때, 작동판(148)의 중심영역에 결합된 진동발생기(149)도 사용자의 등 부위를 향해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진동발생기(149)가 사용자의 등을 향해 돌출되는 위치를 조절하면서 등 부위를 마사지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승하강부재(150)를 작동시켜 한 쌍의 승하강링크(158)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상부판(143)이 보디(122)의 높이방향으로 승하강되도록 하여 진동발생기(149)의 위치를 보디(1220)의 높이방향에 대해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중간판(141)과 하부판(144)은 상부판(143)과 함께 이동된다.
결합유니트(160)는 등받이 커버부(120)를 등받이에 견고하게 고정되게 하는 것으로서, 등받이 커버부(120)의 일측면에 높이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된 제1 결합구(162)와, 등받이 커버부(120)의 타측면에 높이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제1 결합구(162)와 결합되는 제2 결합구(164)를 갖는다.
이와 같은 결합유니트(160)는 좌석 커버부(110)를 좌석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좌석의 전면과 후면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은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좌석 커버부
120; 등받이 커버부
130, 140; 진동유니트
150; 승하강부재
160; 결합유니트

Claims (6)

  1. 착석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와, 착석자가 앉을 수 있는 좌석과, 착석자의 머리를 지지하는 헤드레스트를 갖는 차량의 시트에 설치되는 안마시트에 있어서,
    상기 좌석에 설치되고, 일측에 제1 결합부가 형성된 좌석 커버부; 및,
    상기 등받이에 설치되며, 하부에 상기 제1 결합부와 힌지결합되도록 형성된 제2 결합부를 갖는 보디와, 상기 보디의 내부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진동유니트를 갖는 등받이 커버부; 및,
    상기 등받이 커버부의 일측면에 높이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된 제1 결합구와, 상기 등받이 커버부의 타측면에 높이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상기 제1 결합구와 결합되는 제2 결합구를 갖는 결합유니트;를 포함하되,
    상기 진동유니트는,
    상기 보디의 내부 중심영역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일측에 구동모터가 설치된 중간판;
    상기 중간판 상에 축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단이 상기 구동모터에 결합된 회전축;
    상기 중간판의 상측에 상기 중간판으로부터 이격되게 위치되고, 양측이 상기 보디의 좌, 우측면에 형성된 한 쌍의 상부 슬롯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부면에 길이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된 한 쌍의 상부 결합부를 갖는 상부판;
    상기 중간판의 하측에 상기 중간판으로 이격되게 위치되고, 양측이 상기 보디의 좌, 우측면에 형성된 한 쌍의 하부 슬롯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부면에 길이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된 한 쌍의 하부 결합부를 갖는 하부판;
    상기 회전축 상에 상호 이격되게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시 상기 회전축의 축선방향을 따라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되는 한 쌍의 이동체;
    상기 상부판과 상기 중간판의 사이에 위치되고. 각각의 일단이 상기 상부판의 길이방향 일부영역에 이격되게 결합되고, 각각의 타단이 상기 한 쌍의 이동체에 결합된 한 쌍의 상부링크;
    상기 하부판과 상기 중간판의 사이에 위치되고, 각각의 일단이 상기 하부판의 길이방향 일부영역에 이격되게 결합되고, 각각의 타단이 상기 한 쌍의 이동체에 결합된 한 쌍의 하부링크;
    상기 한 쌍의 상부 결합부에 결합되도록 일측에 결합된 상부 결합핀과, 상기 한 쌍의 하부 결합부에 결합되도록 타측에 결합된 하부 결합핀을 갖는 작동판; 및,
    상기 작동판의 중심영역에 설치된 진동발생기;를 포함하고,
    상기 좌석 커버부와 상기 등받이 커버부에는 별도의 커버가 씌워지고,
    상기 결합유니트는 상기 좌석의 전면과 후면에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 설치되며,
    상기 한 쌍의 이동체의 하면에는 한 쌍의 가이드돌기가 이격되게 돌출 형성되고, 상기 중간판의 상면에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돌기가 안착되는 한 쌍의 가이드홈이 이격되게 형성되는 차량용 안마시트.
  2. 삭제
  3. 착석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와, 착석자가 앉을 수 있는 좌석과, 착석자의 머리를 지지하는 헤드레스트를 갖는 차량의 시트에 설치되는 안마시트에 있어서,
    상기 좌석에 설치되고, 일측에 제1 결합부가 형성된 좌석 커버부; 및,
    상기 등받이에 설치되며, 하부에 상기 제1 결합부와 힌지결합되도록 형성된 제2 결합부를 갖는 보디와, 상기 보디의 내부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진동유니트를 갖는 등받이 커버부; 및,
    상기 등받이 커버부의 일측면에 높이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된 제1 결합구와, 상기 등받이 커버부의 타측면에 높이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상기 제1 결합구와 결합되는 제2 결합구를 갖는 결합유니트;를 포함하되,
    상기 진동유니트는,
    상기 보디의 좌, 우측면에 형성된 한 쌍의 슬롯홀의 중심영역에 양측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측에 구동모터가 설치된 중간판;
    상기 중간판 상에 축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단이 상기 구동모터에 결합된 회전축;
    상기 중간판의 상측에 상기 중간판으로부터 이격되게 위치되고, 양측이 한 쌍의 슬롯홀의 상부영역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부면에 길이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된 한 쌍의 상부 결합부를 갖는 상부판;
    상기 중간판의 하측에 상기 중간판으로 이격되게 위치되고, 양측이 한 쌍의 슬롯홀의 하부영역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부면에 길이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된 한 쌍의 하부 결합부를 갖는 하부판;
    상기 회전축 상에 상호 이격되게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시 상기 회전축의 축선방향을 따라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되는 한 쌍의 이동체;
    상기 상부판과 상기 중간판의 사이에 위치되고. 각각의 일단이 상기 상부판의 길이방향 일부영역에 이격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한 쌍의 이동체에 결합된 한 쌍의 상부링크;
    상기 하부판과 상기 중간판의 사이에 위치되고, 각각의 일단이 상기 하부판의 길이방향 일부영역에 이격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한 쌍의 이동체에 결합된 한 쌍의 하부링크;
    상기 한 쌍의 상부 결합부에 결합되도록 일측에 결합된 상부 결합핀과, 상기 한 쌍의 하부 결합부에 결합되도록 타측에 결합된 하부 결합핀을 갖는 작동판;
    상기 작동판의 중심영역에 설치된 진동발생기; 및,
    상기 보디의 내부 상부영역에 고정되게 설치되어 상기 상부판을 상기 보디의 높이방향으로 승하강시키는 승하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승하강부재는,
    상기 보디의 내부 상부영역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일측에 승하강모터가 설치된 고정판;
    상기 고정판 상에 축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단이 상기 승하강모터에 결합된 회전축;
    상기 회전축 상에 상호 이격되게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시 상기 회전축의 축선방향을 따라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되는 한 쌍의 슬라이더; 및,
    상기 상부판과 상기 고정판 사이에 위치되고, 각각의 일단이 상기 상부판의 길이방향 일부영역에 이격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고정판의 길이방향 일부영역에 이격되게 결합된 한 쌍의 승하강링크;를 포함하며,
    상기 좌석 커버부와 상기 등받이 커버부에는 별도의 커버가 씌워지고,
    상기 결합유니트는 상기 좌석의 전면과 후면에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 설치되며,
    상기 한 쌍의 이동체의 하면에는 한 쌍의 가이드돌기가 이격되게 돌출 형성되고, 상기 중간판의 상면에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돌기가 안착되는 한 쌍의 가이드홈이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슬라이더의 하면에는 한 쌍의 가이드돌기 이격되게 돌출 형성되고, 상기 고정판의 상면에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돌기가 안착되는 한 쌍의 가이드홈이 이격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안마시트.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80125581A 2018-10-19 2018-10-19 차량용 안마시트 KR1020921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5581A KR102092130B1 (ko) 2018-10-19 2018-10-19 차량용 안마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5581A KR102092130B1 (ko) 2018-10-19 2018-10-19 차량용 안마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2130B1 true KR102092130B1 (ko) 2020-03-23

Family

ID=69998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5581A KR102092130B1 (ko) 2018-10-19 2018-10-19 차량용 안마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21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2552A (ko) 2021-12-17 2023-06-26 김용남 차량용 안마시트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4538A (ko) * 1999-04-06 1999-08-05 박상규 복합 물리치료용 의자
KR200155082Y1 (ko) * 1997-05-23 1999-08-16 강근구 안마용 의자
KR200324066Y1 (ko) * 2003-05-30 2003-08-21 안은환 전동안마기능을 갖는 시트커버
KR101616979B1 (ko) * 2015-10-05 2016-04-29 (주)디에스시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
KR20180089012A (ko) * 2017-01-31 2018-08-08 주식회사 메디언스 차량용 안마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5082Y1 (ko) * 1997-05-23 1999-08-16 강근구 안마용 의자
KR19990064538A (ko) * 1999-04-06 1999-08-05 박상규 복합 물리치료용 의자
KR200324066Y1 (ko) * 2003-05-30 2003-08-21 안은환 전동안마기능을 갖는 시트커버
KR101616979B1 (ko) * 2015-10-05 2016-04-29 (주)디에스시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
KR20180089012A (ko) * 2017-01-31 2018-08-08 주식회사 메디언스 차량용 안마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2552A (ko) 2021-12-17 2023-06-26 김용남 차량용 안마시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69962B1 (en) Lower leg massager and chair type massaging apparatus comprising the massager
US7914471B2 (en) Shoulder massage chair
US6190339B1 (en) Massage device
US20170258669A1 (en) Massage mechanism and legless chair-type massage machine including this massage mechanism
WO2017071162A1 (zh) 一种舱式按摩椅
KR102092130B1 (ko) 차량용 안마시트
CN106038158A (zh) 按摩装置
KR20020069501A (ko) 의자식 마사지기
KR101440147B1 (ko) 차량의 시트 사이드 볼스터 장치
KR20230092552A (ko) 차량용 안마시트
JP3485722B2 (ja) マッサージ機の施療指
JP7398801B2 (ja) マッサージ機
JP6770604B2 (ja) マッサージ機
WO2019159811A1 (ja) 椅子型マッサージ機
KR102660083B1 (ko) 마사지 장치
KR20210021208A (ko) 안마장치
JPH11244348A (ja) マッサージ機
KR102474164B1 (ko) 마사지 장치
JP2019141571A (ja) 椅子型マッサージ機
CN110621281A (zh) 按摩器
KR20240038473A (ko) 안마장치
JP3490836B2 (ja) マッサージ機
KR102556692B1 (ko) 탈착식 다리 마사지부를 포함하는 마사지 장치
KR102533006B1 (ko) 슬라이딩 및 틸팅 타입 경추 근육 이완 장치
JP2005080782A (ja) 下肢用マッサージ機とこのマッサージ機を用いた椅子型マッサージ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