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4426A - 단일 모터를 이용한 사이드 볼스터 장치 - Google Patents

단일 모터를 이용한 사이드 볼스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4426A
KR20190124426A KR1020180048373A KR20180048373A KR20190124426A KR 20190124426 A KR20190124426 A KR 20190124426A KR 1020180048373 A KR1020180048373 A KR 1020180048373A KR 20180048373 A KR20180048373 A KR 20180048373A KR 20190124426 A KR20190124426 A KR 201901244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main guide
bolsters
bracket
sea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83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7462B1 (ko
Inventor
김정수
황인창
김동화
서강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에스시동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에스시동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에스시동탄
Priority to KR10201800483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7462B1/ko
Publication of KR201901244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44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74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74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8Elastically mounted back-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8Seat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단일의 모터를 통해 볼스터들의 제어가 가능하고, 설치공간이 최소화되며, 안정적으로 탑승자를 지지하는 사이드 볼스터 장치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이드 볼스터 장치는 양단이 연장되어 시트프레임의 양측과 각각 결합되는 메인가이드, 상기 메인가이드의 일단에 결합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에 일단이 기어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메인가이드의 타단에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리드스크류, 상기 시트프레임의 양측에 핀을 통해 힌지 결합되는 볼스터들 및 각각의 일단은 상기 리드스크류의 일단 및 타단에 종동되게 체결되고, 각각의 타단은 상기 핀이 해당하는 위치보다 후방에서 구동핀을 통해 상기 볼스터들 각각과 힌지 결합되는 브라켓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의 구동으로 회전하는 상기 리드스크류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볼스터들의 일부분은 상기 핀을 축으로 서로 인접하도록 이동하거나 서로 이격될 수 있다.

Description

단일 모터를 이용한 사이드 볼스터 장치{SIDE BOLSTER APPARATUS}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사이드 볼스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단일의 모터를 통해 볼스터들을 구동하는 사이드 볼스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식별항목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식별항목에 기재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시트는 시트 프레임에 장착되는 헤드레스트(head rest), 시트백(seat back) 및 시트쿠션(seat cushion)을 포함하는 다양한 장치들을 통해 탑승자가 목적지까지 안락하게 운전하기 적합한 환경을 제공한다.
시트쿠션 및 시트백에는 전면 양측에서 전방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탑승자를 지지하는 볼스터들이 형성되고, 탑승자의 제어 또는 차량의 자체 제어를 통해 제어되어 편안하게 탑승자의 신체를 지지한다.
사이드 볼스터 장치는 고속으로 이동하는 차량 내부에서도 탑승자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구조가 필요하고, 뒷좌석 및 트렁크의 공간 확보를 위해 시트에 설치된 상태에서 시트 자체의 두께 증가를 회피하는 설계가 필요하다.
또한, 연비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차량 자체의 중량을 감소시키기 위해 단일의 모터를 통해 효과적으로 볼스터들을 제어하면서 낮은 비용으로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구조가 필요하다.
이와 관련되어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25413호는 차량용 시트 사이드 볼스터 장치를 개시하고 있고,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64066호는 차량용 시트 사이드 볼스터 유닛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사이드 볼스터 장치 관련 기술들은 단일의 모터를 사용하고, 안정적으로 탑승자를 지지하면서 슬림한 형태를 가지는 기술은 개시하지 않고 있다.
단일의 모터를 통해 볼스터들의 제어가 가능하고, 설치공간이 최소화되며, 안정적으로 탑승자를 지지하는 사이드 볼스터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사이드 볼스터 장치는 양단이 연장되어 시트프레임의 양측과 각각 결합되는 메인가이드, 상기 메인가이드의 일단에 결합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에 일단이 기어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메인가이드의 타단에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리드스크류, 상기 시트프레임의 양측에 핀을 통해 힌지 결합되는 볼스터들 및 각각의 일단은 상기 리드스크류의 일단 및 타단에 종동되게 체결되고, 각각의 타단은 상기 핀이 해당하는 위치보다 후방에서 구동핀을 통해 상기 볼스터들 각각과 힌지 결합되는 브라켓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의 구동으로 회전하는 상기 리드스크류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볼스터들의 일부분은 상기 핀을 축으로 서로 인접하도록 이동하거나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라켓부들 각각의 타단은 상기 메인가이드와 서로 다른 수평선상에서 인접한 상기 볼스터들 각각과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라켓부들 각각은 일단은 상기 메인가이드의 후방에 형성되고, 타단은 하부를 향해 연장된 후 상기 시트프레임을 향해 절곡되어 상기 구동핀과 힌지 결합되는 브라켓 및 일단은 상기 메인가이드의 배면에 밀착되어 상기 브라켓의 일단과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일부분이 상기 메인가이드의 양단에 인접하도록 형성된 중공을 관통하고 전방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리드스크류와 종동되도록 형성되는 링크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이드 볼스터 장치는 일단은 상기 메인가이드의 양단 및 상기 중공들 각각의 사이에서 상기 메인가이드로부터 후방을 향해 돌출되는 부분과 면결합되고, 타단은 후방을 향해 연장된 후 상기 시트프레임을 향해 절곡 및 연장되어 상기 시트프레임과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마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드스크류는 양쪽이 서로 다른 방향의 나사산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사이드 볼스터 장치는 각각의 일단은 상기 시트프레임에 밀착 결합되고, 타단은 후방으로 연장된 후 일부분이 서로를 향해 절곡 및 연장되어 상기 브라켓의 배면을 커버하도록 형성되는 사이드 마운트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이드 볼스터 장치는 각각이 상기 사이드 브라켓들 각각의 일단에 서로 마주하도록 돌출 형성되어 상기 핀을 통해 상기 볼스터들 각각과 힌지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힌지부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이드 볼스터 장치는 단일의 구동부를 통해 양측의 볼스터들을 제어하므로 중량 및 제작비용이 절감되고, 메인가이드와 다른 수평선상에 볼스터들이 배치되어 전체적인 두께가 감소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사이드 볼스터 장치는 웜기어 및 웜휠 구조를 통해 구동부의 구동력이 볼스터들에 전달되므로 상대적으로 제작비용이 낮은 장점이 있고, 백래쉬가 상대적으로 낮아 볼스터들이 안정적으로 탑승자를 지지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사이드 볼스터 장치는 리드스크류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제작비용이 상대적으로 낮고, 볼스터들 및 메인가이드 각각이 시트프레임에 결합되어 내구성이 향상되며 안정적으로 탑승자를 지지하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이와 같은 기재된 본 발명의 효과는 발명자가 인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기재된 내용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발명자가 파악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 및 2들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볼스터 장치들의 사시도들.
도 3은 도 1의 사이드 볼스터 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1의 사이드 볼스터 장치의 저면도.
도 5는 도 1의 사이드 볼스터 장치의 일측을 나타내는 사시도들.
도 6은 도 1의 사이드 볼스터 장치의 타측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도 1의 사이드 볼스터 장치의 구동부 및 브라켓부의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볼스터 장치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및 2들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볼스터 장치들의 사시도들을 도시한다. 도 3은 도 1의 사이드 볼스터 장치의 분해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 내지 3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 볼스터 장치(100)는 메인가이드(200), 구동부(300), 리드스크류(400), 제1 볼스터(500), 제2 볼스터(520), 제1 브라켓부(600), 제2 브라켓부(650), 제1 및 제2 마운트(700, 720), 제1 및 제2 사이드마운트(800, 820) 및 제1 및 제2 힌지부(840, 860)들을 포함한다.
사이드 볼스터 장치(100)는 단일의 구동부(300)를 통해 제1 및 제2 볼스터(500, 520)들의 회동을 제어하여 전체적인 중량이 낮아지고, 제1 및 제2 볼스터(500, 520)들 각각이 메인 가이드(200)와 서로 다른 수평선상에 설치되어 상대적으로 작은 시트에서도 설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메인가이드(200)는 시트 프레임(5)의 양측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일단은 구동부(300)가 설치되는 시트 프레임(5)의 일측에 결합되고, 타단은 시트 프레임(5)의 타측에 결합된다.
구동부(300)는 모터(310) 및 기어박스(320)를 포함한다.
구동부(300)는 메인가이드(200)의 일단에 결합되어 시트 프레임(5)의 일측에 배치되고, 구동부(300)의 구동에 따라 제1 및 제2 볼스터(500, 520)들 각각은 서로를 향해 이동하여 시트에 착석한 탑승자의 신체 양측을 압박하거나 서로 이격되어 신체와 분리된다.
모터(310)는 구동축이 하부를 향하도록 메인가이드(200)의 일단에 배치되고, 기어박스(320)는 상기 구동축을 둘러싸도록 형성된 웜기어와 맞물리도록 웜휠이 형성되며, 상기 웜휠의 중심은 리드스크류(400)의 일단을 둘러싸는 형태로 리드스크류(400)와 결합된다.
리드스크류(400)의 일단은 메인가이드(200)의 전방에서 기어박스(320)의 내부에서 상기 웜휠과 결합되고, 타단은 시트 프레임(5)의 타측을 향해 메인가이드(200)와 평행하도록 연장되어 메인가이드(200)의 타단과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리드스크류(400)는 중앙의 일부분을 사이에 두고 일단 및 타단 각각의 외측면에 서로 다른 방향의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1 및 제2 종동부(410, 420)들을 포함한다.
리드스크류(400)는 일체형으로 형성되므로 제작이 용이하고, 내구성이 개선되므로, 효과적으로 구동부(300)의 구동력을 제1 및 제2 볼스터(500, 520)들 각각에 전달하는 장점이 있다.
제1 볼스터(500)는 일단에 인접한 부분이 상하부로 길게 연장된 제1 핀(10)을 통해 시트 프레임(5)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1 사이드마운트(800)에 부착된 제1 힌지부(840)와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제1 볼스터(500)의 일단은 제1 핀(10)이 결합된 위치보다 상대적으로 후방에 형성되어 제1 브라켓부(600)를 통해 리드스크류(400)의 일단과 연결되고, 타단은 시트 프레임(5)의 전방을 향해 확장 연장되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된다.
제2 볼스터(520)는 일단에 인접한 부분이 상하부로 길게 연장된 제2 핀(20)을 통해 시트 프레임(5)의 타측에 결합되는 제2 사이드마운트(820) 및 제2 힌지부(860)와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제2 볼스터(520)의 일단은 제2 핀(20)이 결합된 위치보다 상대적으로 후방에 형성되어 제2 브라켓부(650)를 통해 리드스크류(400)의 타단과 연결되고, 타단은 시트 프레임(5)의 전방을 향해 확장 연장되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된다.
제1 브라켓부(600)는 제1 브라켓(620) 및 제1 링크 브라켓(640)을 포함하고, 제2 브라켓부(650)는 제2 브라켓(670) 및 제2 링크브라켓(690)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브라켓부(600, 650)들 각각의 일단은 리드스크류(400)의 일단 및 타단에 종동되게 체결되고, 각각의 타단은 제1 및 제2 핀(10, 20)들이 설치되는 위치보다 후방에서 상하부로 길게 연장되도록 제작된 제1 및 제2 구동핀(30, 40)들을 통해 제1 및 제2 볼스터(500, 520)들 각각과 힌지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제1 브라켓(620)은 일단은 메인가이드(200)의 후방에서 제1 링크 브라켓(640)을 통해 메인가이드(200)의 일단과 결합되고, 타단은 하부를 향해 연장된 후 시트 프레임(5)의 일측을 향해 절곡 및 연장되어 제1 구동핀(30)을 통해 제1 볼스터(500)의 일단과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제1 링크 브라켓(640)은 일단이 메인가이드(200)의 배면과 밀착된 상태에서 제1 브라켓(620)의 일단과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일부분이 메인가이드(200)의 일단에 형성된 중공을 관통하고 전방을 향해 돌출되어 제1 종동부(410)를 둘러싸는 형태로 제1 종동부(410)와 종동되도록 결합된다.
제2 브라켓(670)은 일단은 메인가이드(200)의 후방에서 제2 링크 브라켓(690)을 통해 메인가이드(200)의 타단과 결합되고, 타단은 하부를 향해 연장된 후 시트 프레임(5)의 타측을 향해 절곡 및 연장되어 제2 구동핀(40)을 통해 제2 볼스터(520)의 일단과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제2 링크 브라켓(690)은 일단이 메인가이드(200)의 배면과 밀착된 상태에서 제2 브라켓(670)의 일단과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일부분이 메인가이드(200)의 일단에 형성된 중공을 관통하고 전방을 향해 돌출되어 제2 종동부(420)를 둘러싸는 형태로 제2 종동부(420)와 종동되도록 결합된다.
따라서, 모터(310)의 구동으로 리드스크류(400)가 정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 브라켓부(600) 및 제2 브라켓부(650)들 각각은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제1 및 제2 볼스터(500, 520)들 각각의 타단은 제1 및 제2 핀(10, 20)들을 축으로 서로를 향해 이동한다.
또한, 제1 및 제2 링크 브라켓(640, 670)들 각각은 반복되는 리드스크류(400)의 회전으로 제1 및 제2 링크 브라켓(640, 670)들 각각의 타단 내측면에 형성된 나사산의 정비가 필요한 경우 편리하게 제1 및 제2 링크 브라켓(640, 670)들 각각을 제1 및 제2 브라켓(620, 670)들 각각으로부터 탈착 후 교체가 가능하여 정비성이 높은 장점이 있다.
또한, 제1 브라켓(620) 및 제2 브라켓(670)들을 통해 제1 및 제2 볼스터(500, 520)들은 메인가이드(200)와 서로 다른 수평선상에 배치되므로, 제1 및 제2 볼스터(500, 520)들과 메인가이드(200) 각각이 시트프레임(5)에 직접적으로 결합될 수 있어 사이드 볼스터 장치(100)가 견고하게 시트 프레임(5)에 설치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1 브라켓(620) 및 제2 브라켓(670)들이 메인가이드(200)의 직하방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메인가이드(200)의 전방에 제1 및 제2 브라켓(620, 670)들이 위치한 구조보다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게 형성이 가능하므로, 사이드 볼스터 장치(100)를 시트 프레임(5)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시트 자체의 두께 역시 감소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메인가이드(200)의 양단에 제1 링크 브라켓(640) 및 제2 링크 브라켓(690)들 각각의 타단이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중공들은 제작되는 중공의 길이 조절에 따라 제1 및 제2 링크 브라켓(640, 690)의 이동거리가 제한되므로 별도의 스토퍼 제작 없이도 제1 및 제2 볼스터(500, 520)들이 과도하게 탑승자의 신체를 향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1 브라켓(620) 및 제2 브라켓(670)들 각각의 일단 및 타단 사이에는 중앙 일부분이 전방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제1 및 제2 볼스터(500, 520)들 각각에 탑승자의 하중 및 차량 이동에 따른 하중이 가중되는 경우, 제1 브라켓(620) 및 제2 브라켓(670)들 각각의 변형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도 4는 도 1의 사이드 볼스터 장치의 저면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도 1의 사이드 볼스터 장치의 일측을 나타내는 사시도들을 도시한다. 도 6은 도 1의 사이드 볼스터 장치의 타측을 나타내는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 내지 6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310)가 구동하여 상기 구동축이 정회전하면, 제1 종동부(410)는 정회전하며 제1 링크 브라켓(640) 및 제2 링크 브라켓(690)들을 서로 이격되도록 이동시킨다.
제1 및 제2 링크 브라켓(640, 690)들이 시트프레임(5)의 양측을 향해 이동하면, 제1 및 제2 브라켓(620, 670)들의 타단이 같은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1 및 제2 볼스터(500, 520)들의 일단을 시트프레임(5)을 향해 밀어내고, 제1 및 제2 볼스터(500, 520)들 각각의 타단은 서로를 향해 이동한다.
반대로 모터(310)가 구동하여 상기 구동축이 역회전하면, 제1 종동부(410)는 역회전하며, 제1 링크 브라켓(640) 및 제2 링크 브라켓(690)들은 서로를 향해 슬라이딩 이동한다.
제1 및 제2 링크 브라켓(640, 690)들이 서로를 향해 이동하면, 제1 및 제2 브라켓(620, 670)들의 타단이 같은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1 및 제2 볼스터(500, 520)들의 일단을 당기고, 제1 및 제2 볼스터(500, 520)들 각각의 타단은 시트프레임(5)의 양측을 향해 이동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가이드(200)의 일단 및 제1 링크 브라켓(640)의 타단이 관통하는 메인가이드(200)의 중공 사이에 해당하는 제1 돌출부(220)는 후방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제1 마운트(700)의 일단과 면결합된다.
제1 마운트(700)의 일단은 제1 돌출부(220)와 면결합되고, 타단은 후방을 향해 연장된 후 시트 프레임(5)의 일측을 향해 절곡 및 연장되어 시트프레임(5)을 둘러싸는 형태로 시트프레임(5)과 결합된다.
제1 마운트(700)는 제1 돌출부(220)를 통해 메인가이드(200)를 시트프레임(5)에 연결시키고, 메인가이드(200)의 일단은 기어박스(320)의 일측면과 면결합되도록 형성되어 견고하게 구동부(300)를 시트 프레임(5)에 고정시킨다.
따라서, 제1 마운트(700)는 차량이 고속으로 이동중에 제1 및 제2 볼스터(500, 520)들 각각에 높은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메인가이드(200) 및 리드스크류(400)의 변형을 방지하여 제1 및 제2 볼스터(500, 520)들의 안정적인 구동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제2 마운트(720)의 일단은 메인가이드(200)의 타단과 인접한 위치에서 메인가이드(200)로부터 전방을 향해 돌출되는 제2 돌출부(240)와 면결합되고, 타단은 후방을 향해 연장된 후 시트 프레임(5)의 타측을 향해 절곡 및 연장되어 시트프레임(5)을 둘러싸는 형태로 시트프레임(5)과 결합된다.
제2 마운트(720)는 제2 돌출부(240)를 통해 메인가이드(200)를 시트프레임(5)에 연결시키고, 메인가이드(200)의 타단은 제2 종동부(420)와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 마운트(700, 720)들은 차량이 고속으로 이동중에 제1 및 제2 볼스터(500, 520)들 각각에 높은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메인가이드(200) 및 리드스크류(400)의 변형을 방지하여 제1 및 제2 볼스터(500, 520)들의 안정적인 구동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3 및 5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사이드마운트(800)의 일단은 제1 브라켓(620)의 타단 후방에 형성되고, 타단은 시트 프레임(5)의 일측을 향해 연장된 후 전방을 향해 절곡되어 시트 프레임(5) 일측의 내측면에 면결합된다.
제1 힌지부(840)는 제1 사이드마운트(800)의 타단 내측면에 결합되고, 시트 프레임(5)의 안쪽을 향해 상하부에 위치한 양단이 돌출되어 제1 핀(10)을 통해 제1 볼스터(500)의 일단과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따라서, 제1 볼스터(500)는 제1 힌지부(840) 및 제1 사이드마운트(800)를 통해 안정적으로 시트 프레임(5)에 결합되므로, 리스스크류(400)의 구동력이 제1 링크 브라켓(640) 및 제1 브라켓(620)을 통해 제1 블스터(500)에 효과적이고 안정적으로 전달된다.
또한, 제1 볼스터(500)에 탑승자의 하중 및 차량의 고속 이동에 의한 높은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탑승자의 신체가 차량의 코너링을 통해 시트프레임(5)의 일측으로 기울어져도 제1 볼스터(500)가 안정적으로 탑승자를 지지하는 장점이 있다.
도 3 및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사이드마운트(820)의 일단은 제2 브라켓(670)의 타단 후방에 형성되고, 타단은 시트 프레임(5)의 타측을 향해 연장된 후 전방을 향해 절곡되어 시트 프레임(5) 타측의 내측면에 면결합된다.
제2 힌지부(860)는 제2 사이드마운트(820)의 타단 내측면에 결합되고, 시트 프레임(5)의 안쪽을 향해 상하부에 위치한 양단이 돌출되어 제2 핀(20)을 통해 제2 볼스터(520)의 일단과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따라서, 제2 볼스터(520)는 제2 힌지부(860) 및 제2 사이드마운트(820)를 통해 안정적으로 시트 프레임(5)에 결합되므로, 리스스크류(400)의 구동력이 제2 링크 브라켓(690) 및 제2 브라켓(670)을 통해 제2 볼스터(520)에 효과적이고 안정적으로 전달된다.
또한, 제2 볼스터(520)에 탑승자의 하중 및 차량의 고속 이동에 의한 높은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탑승자의 신체가 차량의 코너링을 통해 시트프레임(5)의 타측으로 기울어져도 제2 볼스터(520)가 안정적으로 탑승자를 지지하는 장점이 있다.
도 7은 도 1의 사이드 볼스터 장치의 구동부 및 브라켓부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어박스(320)는 웜휠(322) 및 웜기어(324)를 포함한다.
웜휠(322)은 리드스크류(400)의 일단을 둘러싸는 형태로 리드스크류(400)와 결합되고, 외측면은 모터(310)의 구동축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웜기어(324)와 맞물리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리드스크류(400)는 웜휠(322) 및 웜기어(324)를 통해 모터(310)와 연결되므로, 다른 기어들 형태와 달리 제작 단가가 낮고, 백래쉬 가능성이 낮아서 안정적으로 탑승자를 지지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모터(310)의 구동축이 시트 프레임(5) 일측의 상하부 연장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모터(310)가 시트 프레임(5)의 일측 내측면에 배치될 수 있어 사이드 볼스터 장치(100) 자체가 슬림하게 제작 가능하고 공간 활용성이 높은 장점이 있다.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가이드(200)의 일측에 형성되는 중공은 중앙의 일부분을 절단한 후 절단면들에 해당하는 일부분들을 후방을 향해 절곡시켜 제작되고, 메인가이드(200) 일측의 중공 상하부에 해당하는 일부분들 역시 후방을 향해 절곡되어 후방에 상하부로 이격된 공간들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1 링크 브라켓(640) 및 제1 브라켓(620)의 일단이 메인가이드(200)와 결합된 상태에서 제1 링크 브라켓(640) 및 제1 브라켓(620)을 관통하며 메인가이드(200)와 결합되는 볼트들의 끝단들은 상기 공간들에 삽입되어 메인가이드(200)와 분리되므로, 제1 링크 브라켓(640) 및 제1 브라켓(620)의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중공의 상하부에 해당하는 메인가이드(200)의 절곡된 부분들은 제1 볼스터(500)에 탑승자의 하중 및 차량의 고속 이동에 의한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메인가이드(200)가 변형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사이드 볼스터 장치 200: 메인가이드
300: 구동부 400: 리드스크류
500: 제1 볼스터 520: 제2 볼스터
600: 제1 브라켓부 650: 제2 브라켓부
700: 제1 마운트 720: 제2 마운트
800: 제1 사이드마운트 820: 제2 사이드마운트

Claims (7)

  1. 양단이 연장되어 시트프레임의 양측과 각각 결합되는 메인가이드;
    상기 메인가이드의 일단에 결합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에 일단이 기어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메인가이드의 타단에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리드스크류;
    상기 시트프레임의 양측에 핀을 통해 힌지 결합되는 볼스터들; 및
    각각의 일단은 상기 리드스크류의 일단 및 타단에 종동되게 체결되고, 각각의 타단은 상기 핀이 해당하는 위치보다 후방에서 구동핀을 통해 상기 볼스터들 각각과 힌지 결합되는 브라켓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의 구동으로 회전하는 상기 리드스크류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볼스터들의 일부분은 상기 핀을 축으로 서로 인접하도록 이동하거나 서로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볼스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부들 각각의 타단은 상기 메인가이드와 서로 다른 수평선상에서 인접한 상기 볼스터들 각각과 힌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볼스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부들 각각은,
    일단은 상기 메인가이드의 후방에 형성되고, 타단은 하부를 향해 연장된 후 상기 시트프레임을 향해 절곡되어 상기 구동핀과 힌지 결합되는 브라켓; 및
    일단은 상기 메인가이드의 배면에 밀착되어 상기 브라켓의 일단과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일부분이 상기 메인가이드의 양단에 인접하도록 형성된 중공을 관통하고 전방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리드스크류와 종동되도록 형성되는 링크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볼스터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일단은 상기 메인가이드의 양단 및 상기 중공들 각각의 사이에서 상기 메인가이드로부터 후방을 향해 돌출되는 부분과 면결합되고, 타단은 후방을 향해 연장된 후 상기 시트프레임을 향해 절곡 및 연장되어 상기 시트프레임과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마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볼스터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스크류는,
    양쪽이 서로 다른 방향의 나사산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볼스터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일단은 상기 시트프레임에 밀착 결합되고, 타단은 후방으로 연장된 후 일부분이 서로를 향해 절곡 및 연장되어 상기 브라켓의 배면을 커버하도록 형성되는 사이드 마운트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볼스터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각각이 상기 사이드 브라켓들 각각의 일단에 서로 마주하도록 돌출 형성되어 상기 핀을 통해 상기 볼스터들 각각과 힌지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힌지부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볼스터 장치.








KR1020180048373A 2018-04-26 2018-04-26 단일 모터를 이용한 사이드 볼스터 장치 KR1020574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8373A KR102057462B1 (ko) 2018-04-26 2018-04-26 단일 모터를 이용한 사이드 볼스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8373A KR102057462B1 (ko) 2018-04-26 2018-04-26 단일 모터를 이용한 사이드 볼스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4426A true KR20190124426A (ko) 2019-11-05
KR102057462B1 KR102057462B1 (ko) 2019-12-20

Family

ID=68577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8373A KR102057462B1 (ko) 2018-04-26 2018-04-26 단일 모터를 이용한 사이드 볼스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7462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5413B1 (ko) * 2015-12-24 2017-04-12 현대다이모스(주) 차량용 시트 사이드 볼스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7462B1 (ko) 2019-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57634B2 (ja) 自動車ドア用のアームレスト組立体
EP1924465B1 (en) Active head restraint system
CN101456369B (zh) 具有第一和第二座椅部件的座椅深度可调的车辆座椅
CN101670794B (zh) 用于车辆的动力座椅设备
US7559597B2 (en) Vehicle roof automatic opening/closing device
JP7058578B2 (ja) シートスライド装置
EP1975001B1 (en) Step apparatus for vehicle
CN104245414A (zh) 座椅倾斜度调节机构、车辆座椅以及用于安装车辆座椅的方法
WO2004037045A1 (en) Seat bolster system apparatus and method
CN104334488B (zh) 用于电梯的缓冲单元
KR20130032599A (ko) 시트쿠션의 높낮이 및 경사 조절구조가 단일화된 차량시트
JP2022546051A (ja) 自動車シート及びそれを含む自動車
JP2013244862A (ja) アームレスト装置
KR102057462B1 (ko) 단일 모터를 이용한 사이드 볼스터 장치
KR101470223B1 (ko) 차량의 시트 사이드 볼스터 장치
KR102651079B1 (ko) 차량 시트용 등받이 및 등받이 헤드 모듈
JPH0537860Y2 (ko)
KR102096378B1 (ko)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
CN102310789A (zh) 车辆座椅
CN104334487A (zh) 用于电梯的缓冲单元
KR20140065293A (ko) 암레스트 힌지 장치
KR20220014463A (ko) 시트용 리클라이닝 장치
KR101956985B1 (ko) 차량용 프런트시트의 틸팅장치
CN214984977U (zh) 一种利于调节的汽车后头枕骨架
CN220639465U (zh) 车门内扶手以及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