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5293A - 암레스트 힌지 장치 - Google Patents

암레스트 힌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5293A
KR20140065293A KR1020120132646A KR20120132646A KR20140065293A KR 20140065293 A KR20140065293 A KR 20140065293A KR 1020120132646 A KR1020120132646 A KR 1020120132646A KR 20120132646 A KR20120132646 A KR 20120132646A KR 20140065293 A KR20140065293 A KR 201400652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rest
guide
hinge
guide groove
b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26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찬욱
서진호
Original Assignee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다이모스(주) filed Critical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to KR10201201326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65293A/ko
Publication of KR201400652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52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63Arm-rests adjust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018Anti-tamper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암레스트 힌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탑승자가 암레스트를 인출할 경우 암레스트의 인출 속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레스트 힌지 장치에 관한 것이며, 이를 위하여 암레스트에 형성된 힌지축; 힌지축에서 소정의 거리에서 회전 반경을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홈이 구비된 가이드 부쉬; 가이드홈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는 연동핀; 및 부쉬와 맞물려 상하로 이동하며 회전하는 회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레스트 힌지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암레스트 힌지 장치{HINGE DEVICE OF ARMREST}
본 발명은 암레스트 힌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탑승자가 암레스트를 인출할 경우 암레스트의 인출시 낙하 속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레스트 힌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승용차의 실내에는 운전자 또는 탑승자를 위한 다양한 편의 장치가 구비되어 있으며, 그 중 하나로 탑승자가 팔을 기대고 편안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암레스트가 구비된다.
이러한 암레스트는 탑승자의 편의와 안전을 도모하기 위한 것으로, 예컨대 승객이 장시간 탑승으로 인한 팔의 피로를 해소시켜 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이러한 암레스트는 자동차의 급격한 출발 주행시 급격한 회전 및 급제동시 승객이 한쪽으로 갑자기 쏠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차량에 구비되는 암레스트는 콘솔이 마련되어 운전자가 오른쪽 팔을 올려 기댈 수 있도록 한 콘솔 암레스트, 도어트림에 마련되는 도어 암레스트, 및 뒷좌석 시트에 마련되는 리어시트 암레스트로 구분된다.
상기 암레스트 중 리어시트 암레스트는 회동이 가능한 상태에서 리어시트 백에 형성된 수용부에 장착되는 것으로, 사용시에는 수용부에 수용된 암레스트를 회동시켜 리어시트 쿠션 위에 올려놓아 수평상태로 사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암레스트의 개폐 동작은 힌지 장치로서, 도 1를 참조하여 힌지 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힌지 장치(10)가 장착된 암레스트(1)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A는 암레스트(1)에 장착된 힌지 장치(10)를 확대한 도면이다.
암레스트(1)에는 탑승자의 휴대폰, 액세서리 등을 수납할 수 있는 트레이가 구비되고, 트레이를 개폐시키는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시트에 앉은 탑승자가 팔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커버가 구비된다.
또한, 암레스트(1)는 리어시트 백에 형성된 수용부(미도시)에 장착되며, 수용부(미도시)에 수용된 암레스트(1)는 리어시트 백과 힌지 장치(10)로 회동되도록 결합되어 수용부(미도시)에서 인출된다.
힌지 장치는 암레스트(1) 일측에 부착되는 힌지 브라켓(20), 힌지 브라켓(20)에 수용되어 암레스트(1)를 회동하는 힌지축(30) 및 연동핀(40)으로 구성된다.
힌지 브라켓(20)은 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암레스트(1)의 인출시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시트의 수용홈(미도시)에 수용된 형태로 암레스트(1)의 일측에 부착되며, 힌지 브라켓(20)의 소정의 위치에 반원 형상의 가이드홈(22)이 구비된다.
힌지축(30)은 힌지 브라켓(20)이 부착되는 암레스트(1)의 일측에 힌지체결되어 힌지 브라켓(20)의 홀에 돌출되게 수용되어, 탑승자가 암레스트(1)를 인출하면 힌지축(30)이 회전하면서 암레스트(1)를 인출시킨다.
연동핀(40)은 가이드홈(22)과 맞물리도록 결합하여 암레스트(1)를 인출하면 힌지축(30)이 회전하는 동시에 연동핀(40)이 반원 형상으로 형성된 가이드 홈(22)을 따라 회동하여 암레스트(1)를 인출시킨다.
탑승자가 암레스트(1)를 사용하기 위해 수용부(미도시)에서 암레스트(1)를 당길 때, 연동핀(40)이 가이드홈(22)의 상측에 위치하고 있다가 힌지축(30)이 회전하면 동시에 가이드홈(22)의 반원을 그리며 하측으로 회전하며 이동하게 되며, 연동핀(40)이 가이드홈(22)의 하측으로 이동이 완료되면 암레스트(1)의 인출이 완료된다.
그러나 종래의 암레스트 힌지 장치는 암레스트의 인출시, 암레스트가 초기에는 서서히 열리다가 어느 정도 열려지면 갑자기 속도가 붙으면서 열리게 되면서 예상치 못한 부상을 당한다거나 암레스트가 열리면서 시트와 맞닿아 발생되는 소음이 생기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10-2012-0037652(2012년 4월 20일 공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 완충력을 가지는 회동부재를 사용하여 암레스트의 인출시 낙하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암레스트 힌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암레스트에 형성된 힌지축; 힌지축에서 소정의 거리에서 회전 반경을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홈이 구비된 가이드 부쉬; 가이드홈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는 연동핀; 및 부쉬와 맞물려 상하로 이동하며 회전하는 회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레스트 힌지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가이드 부쉬는 반원 형상이고, 반원 둘레에 치형의 가이드 기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가이드 홈은 소정의 위치에서 반원 형상을 따라 장공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회동부재는 회전기어와, 회전시 완충력을 회전기어에 작용하는 구동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구동부는 오일 댐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구동부는 완충 코일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회동부재는 2개 이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2개 이상의 회동부재는 가이드 부쉬의 일면에 서로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힌지축에 축결합되고, 가이드 부쉬가 고정되는 힌지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회전축, 연동핀 및 회동부재는 같은 방향으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암레스트 힌지 장치에 따르면, 가이드 부쉬에 기어를 형성하고, 완충력을 가지는 회동부재가 기어와 맞물려 기어를 따라 천천히 이동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이에 종래와 달리 암레스트 인출시 암레스트의 인출시 낙하 속도를 조절할 수 있어 시트와 맞닿아 생기는 소음이 발생되지 않고 그리고 예상치 않은 부상을 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암레스트 힌지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발명에 따른 암레스트 힌지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암레스트 힌지 장치를 구비한 암레스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암레스트 힌지 장치로서 도 2의 B 부분을 확대한 도;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암레스트 힌지 장치에서 가이드 부쉬와 회동부재를 확대한 도;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암레스트 힌지 장치가 장착한 암레스트의 구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 및 후술되어 있는 내용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 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암레스트 힌지 장치가 구비된 암레스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암레스트(200)에는 탑승자의 휴대폰, 액세서리 등을 수납할 수 있는 트레이가 구비되고, 트레이를 개폐시키는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시트에 앉은 탑승자가 팔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커버가 구비된다.
또한, 암레스트(200)는 리어시트 백(미도시)에 형성된 수용부(300)에 장착되며, 수용부(300)에 수용된 암레스트(200)는 리어시트 백(미도시)과 힌지 장치(100)로 회동되도록 결합되어 수용부(300)에서 인출된다.
암레스트(200)와 리어시트 백에 장착되는 힌지 장치(100)는 도 3을 통하여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도 2의 B부분을 확대한 도면이고, 도 4는 가이드 부쉬의 가이드 기어와 회동부재를 확대한 도면이다.
힌지 장치(100)는 힌지 브라켓(110), 힌지축(120), 가이드 부시(130), 연동핀(140), 및 회동부재(150)로 구성된다.
힌지 브라켓(110)은 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암레스트(200)가 인출될 때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리어시트 백(미도시)에 형성된 수용부(미도시)에 부설되어 암레스트(200) 일측에 장착된다.
또한, 힌지 브라켓(110)의 일측 중심에는 홀이 형성되어 있고, 이 홀에 암레스트(200)를 회전시키는 힌지축(120)이 돌출되어 수용되며, 힌지축(120)은 암레스트(200)와 힌지 결합되기 때문에 암레스트(200)가 힌지축(120)을 기준으로 회동된다.
가이드 부쉬(130)는 힌지축(120)에서 소정의 거리에 힌지축(120)의 회전 반경을 따라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힌지 브라켓(110)에 고정되고, 가이드 부쉬(130)의 반원 둘레에 치형의 가이드 기어(132)가 구비되며, 소정의 위치에서 반원 형상을 따라 장공의 가이드 홈(134)이 형성되어 구비된다.
연동핀(140)은 암레스트(200)의 일측에서 가이드 부쉬(130)에 형성된 가이드 홈(134)에 대응되게 돌출되어 구비되고, 가이드 홈(134)과 맞물린 상태에서 가이드 홈(134)을 따라 이동되도록 형성된다.
회동부재(150)는 가이드 부쉬(130)의 가이드 기어(132)와 맞물려 상하로 이동하도록 암레스트(200)에 구비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하는 회전 기어(152), 및 회전 기어(152) 일측에 형성되고 회전 기어(152)를 구동하여 완충력을 작용하는 구동부(154)로 구성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구동부(154)로 오일 댐퍼가 사용된다.
회전 기어(152)는 가이드 부쉬(130)에 가이드 기어(132)의 형상과 같은 치형으로 형성되고, 회전 기어(152)가 회전하면서 가이드 부쉬(130)의 가이드 기어(132)와 맞물려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일 실시예에 관련된 도면과 위의 설명은 오일 댐퍼를 구동부(154)로 설명하고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구성이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회동부재(150)의 구동부(154)를 유압식이 아닌 완충력을 갖는 코일 스프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즉, 회전 기어(152)를 구동시켜 완충력을 작용할 수 있다면 어떠한 구성이라도 자유롭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서 회동부재(150) 한 개가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회동부재(150)가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두 개 이상 구비될 수 있으며, 암레스트(200)의 인출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암레스트 힌지 장치(100)의 구동 방법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승자가 수용부(미도시)에서 암레스트(200)를 인출할 때, 힌지축(120)은 회전을 하게 되며, 힌지축(120)의 회전과 동시에 연동핀(140)과 가이드 기어(132)에 맞물린 회전 기어(152)가 하방향(화살표 A)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힌지축(120), 연동핀(140), 및 회전 기어(152)는 동일한 방향으로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힌지축(120)의 회전이 완료되면, 동시에 연동핀(140)은 가이드 홈(134)을 따라 이동하여 가이드 홈(134)의 하측까지 이동하며, 회전 기어(152)는 가이드 부쉬(130)에 형성된 가이드 기어(132)를 따라 가이드 기어(132)의 하측까지 이동을 완료하면, 암레스트(200)는 리어시트 쿠션 위에 수평상태로 놓여져 있다.
이때, 가이드 부쉬(130)의 가이드 기어(132)는 고정된 상태에서 회전 기어(152)가 가이드 기어(132)에 맞물려 이동할 때 회동부재(150)의 완충력이 암레스트(200)에 작용하기 때문에 암레스트(200)의 인출 속도를 조절할 수 있어, 암레스트와 시트가 맞닿아 생기는 소음이 발생되지 않고 그리고 예상치 않은 부상을 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본 발명의 암레스트 힌지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변경 및 다양한 변형 실시예가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명백하다.
100 : 힌지 장치 110 : 힌지 브라켓
120 : 힌지축 130 : 가이드 부쉬
132 : 가이드 기어 134 : 가이드 홈
140 : 연동핀 150 : 회동부재
152 : 회전 기어 154 : 구동부
200 : 암레스트 300 : 수용부

Claims (12)

  1. 암레스트에 형성된 힌지축;
    상기 힌지축에서 소정의 거리에서 회전 반경을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홈이 구비된 가이드 부쉬;
    상기 가이드홈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는 연동핀; 및
    상기 부쉬와 맞물려 상하로 이동하며 회전하는 회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레스트 힌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쉬는 반원 형상이고, 반원 둘레에 치형의 가이드 기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레스트 힌지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홈은 소정의 위치에서 상기 반원 형상을 따라 장공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레스트 힌지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재는 회전기어와 회전시 완충력을 회전기어에 작용하는 구동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레스트 힌지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오일 댐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레스트 힌지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재는 2개 이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레스트 힌지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2개 이상의 회전부재는 상기 가이드 부쉬의 일면에 서로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레스트 힌지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완충 코일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레스트 힌지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재는 2개 이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레스트 힌지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2개 이상의 회전부재는 상기 가이드 부쉬의 일면에 서로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레스트 힌지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에 축결합되고, 상기 가이드 부쉬가 고정되는 힌지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레스트 힌지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 상기 연동핀 및 상기 회동부재는 같은 방향으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레스트 힌지 장치.
KR1020120132646A 2012-11-21 2012-11-21 암레스트 힌지 장치 KR201400652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2646A KR20140065293A (ko) 2012-11-21 2012-11-21 암레스트 힌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2646A KR20140065293A (ko) 2012-11-21 2012-11-21 암레스트 힌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5293A true KR20140065293A (ko) 2014-05-29

Family

ID=50892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2646A KR20140065293A (ko) 2012-11-21 2012-11-21 암레스트 힌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6529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5352A (ko) * 2017-03-15 2018-09-28 안성호 빔 프로젝트를 구비하는 침대 시스템
KR20190109918A (ko) 2018-03-19 2019-09-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암레스트 힌지 장치
CN113147544A (zh) * 2021-06-01 2021-07-23 江苏开沃汽车有限公司 一种简易的扶手翻转限位机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5352A (ko) * 2017-03-15 2018-09-28 안성호 빔 프로젝트를 구비하는 침대 시스템
KR20190109918A (ko) 2018-03-19 2019-09-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암레스트 힌지 장치
CN113147544A (zh) * 2021-06-01 2021-07-23 江苏开沃汽车有限公司 一种简易的扶手翻转限位机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21370B2 (en) Vehicle seat
US10513210B2 (en) Retractable seat control interface assembly and vehicle seat with retractable seat control interface
KR20140065293A (ko) 암레스트 힌지 장치
KR200471361Y1 (ko) 차량용 시트의 암레스트
KR101470213B1 (ko) 차량의 시트 사이드 볼스터 장치
US9566889B2 (en) Vehicle seat
KR101724915B1 (ko)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닝 장치
US9227539B2 (en) Portable padded armrest
KR101600199B1 (ko) 자동차 시트의 헤드레스트 조절장치
KR20230020153A (ko) 자동차용 시트
KR101440147B1 (ko) 차량의 시트 사이드 볼스터 장치
WO2016051610A1 (ja) 車両用シート
JP2005014672A (ja) 車両用シート
KR200473233Y1 (ko) 암레스트 힌지 장치
KR20200021041A (ko) 시트쿠션 길이 조절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시트
KR101805868B1 (ko) 차량 시트의 토션스프링 조립장치
JP2016203692A (ja) 車室内構造
KR102552156B1 (ko) 차량의 기기 거치형 콘솔 암레스트
KR101835546B1 (ko) 차량용 리어시트 암레스트
CN113997836A (zh) 座椅倾斜装置
KR101407261B1 (ko) 차량용 시트장치
KR101869086B1 (ko) 자동차의 수납박스
JP5817100B2 (ja) コンソールボックス
KR20060091755A (ko) 차량 시트 백 폴딩을 위한 스트라이커의 자동격납장치
KR101470184B1 (ko) 차량용 헤드레스트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