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7261B1 - 차량용 시트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시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7261B1
KR101407261B1 KR1020130077734A KR20130077734A KR101407261B1 KR 101407261 B1 KR101407261 B1 KR 101407261B1 KR 1020130077734 A KR1020130077734 A KR 1020130077734A KR 20130077734 A KR20130077734 A KR 20130077734A KR 101407261 B1 KR101407261 B1 KR 1014072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cushion frame
seat cushion
heigh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7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진호
박찬욱
김명섭
김주중
Original Assignee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다이모스(주) filed Critical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to KR10201300777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72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72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72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4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with logic circuits
    • B60N2/0252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with logic circuits with relations between different adjustments, e.g. height of headrest following longitudinal position of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60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characterised by the cinematic
    • B60N2/161Rods
    • B60N2/1615Parallelogram-like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63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characterised by the drive mechanism
    • B60N2/164Linear actuator, e.g. screw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til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8Seat frames
    • B60N2/682Join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시트쿠션프레임의 양 측부에 전방 및 후방으로 각각 마련되며, 일단이 시트쿠션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시트레일브라켓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하이트링크; 및 상기 시트레일브라켓에 고정되는 구동부 및 상기 하이트링크의 타단에 연결되어 구동부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돌출됨으로써 하이트링크가 회전되어 시트쿠션프레임을 상향시키는 리드부로 구성된 높이조절 작동부;를 포함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시트장치가 소개된다.

Description

차량용 시트장치 {VEHICLE SEAT APPARATUS}
본 발명은 차량의 시트 높이를 조절함과 동시에 시트백의 눕힘 각도가 증대됨으로써 시트 조절범위가 확대되어 탑승자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시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차량 내부에는 탑승자가 편안하게 탑승할 수 있도록 시트가 마련되는데, 이러한 시트는 탑승자의 엉덩이 부분을 지지하는 시트쿠션과 탑승자의 등과 허리를 지지하여 기댈 수 있는 시트백으로 구성된다.
더욱이, 시트에는 탑승자의 안락감과 편의를 위해 탑승자의 종아리 부분이 지지되도록 구성된 레그 서포트가 마련되어 시트에 착좌한 탑승자의 등, 허리, 엉덩이, 다리까지 지지하여 편안하게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차량용 시트에는 시트쿠션을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고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시트백을 임의의 각도로 조절할 수 있는 시트장치가 설치됨으로써 탑승자가 자신의 신체조건에 맞추어 시트의 높낮이 및 눕힘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위와 같은 시트에서 탑승자가 휴식을 취하기 위해 시트백을 뒤로 젖히고, 레그 서포트를 틸팅시키는데, 시트백의 눕힘각도가 제한되어 탑승자가 원하는 시트의 조절에 한계가 발생되었다. 이렇게, 시트의 조절 범위가 제한됨에 따라 탑승자가 원하는 최상의 착좌감을 구현하지 못하여 시트의 감성품질이 저하되었다.
따라서, 시트쿠션의 조절 범위의 확대를 통해 시트를 이용하는 탑승자에게 최상의 착좌감을 제공함으로써 고객 감성 품질을 만족할 수 있는 시트장치가 필요하였다.
10-1998-045357 (1998.09.15)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시트쿠션의 높이를 조절함과 동시에 시트백의 눕힘각도를 증대시킴으로써 시트의 조절 범위확대를 통해 시트를 이용하는 탑승자가 원하는 착좌감을 제공할 수 있는 차량용 시트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장치는 시트쿠션프레임의 후단부에 힌지구조로 연결된 시트백 프레임; 시트쿠션프레임의 양 측부에 전방 및 후방으로 각각 마련되며, 일단이 시트쿠션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시트레일브라켓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하이트링크; 및 상기 시트레일브라켓에 고정되는 구동부 및 상기 하이트링크의 타단에 연결되어 구동부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돌출됨으로써 하이트링크가 회전되어 시트쿠션프레임을 상향시키는 리드부로 구성된 높이조절 작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시트백 프레임은 시트쿠션프레임의 상향시 후방으로 젖혀지도록 한다.
시트백 판넬의 양 측부에는 슬롯이 형성된 가이드가 마련되고, 상기 시트백 프레임의 양 측부에는 슬롯에서 슬라이딩되는 연결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이트링크는 초기상태에서 타단이 전방에 배치되고 일단이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높이조절 작동부의 구동부가 작동되어 리드부가 돌출되면 타단이 후방으로 밀림으로써 일단이 전방으로 회전되어 시트쿠션프레임을 상향시키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하이트링크의 타단에는 측방으로 플랜지가 연장되고, 상기 높이조절 작동부의 리드부는 하향으로 기울어지도록 연장되어 상기 플랜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높이조절 작동부의 구동부는 시트레일브라켓의 내측부에 설치고정되고, 리드부가 시트쿠션프레임의 후방에 마련된 하이트링크의 타단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높이조절 작동부의 구동부는 회전모터이고, 리드부는 회전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전후방으로 이동되는 리드 스크류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용 시트장치는 시트레일브라켓과 시쿠션프레임을 하이트링크를 통해 연결하고, 높이조절 작동부를 통해 하이트링크를 밀어 회전시킴으로써 시트쿠션프레임을 상향동작되도록 한다. 아울러, 시트쿠션프레임과 힌지구조로 연결된 시트백 프레임이 시트쿠션프레임이 상향됨에 따라 후방으로 젖혀지면서 시트백의 눕힘각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탑승자가 요구하는 시트의 조절 범위를 확대하여 시트를 이용하는 탑승자에게 시트 이용에 따른 만족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장치에 대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시트장치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시트장치의 작동 전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시트장치의 작동 후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장치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장치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시트장치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차량용 시트장치는 시트쿠션프레임(100)의 후단부에 힌지구조(H)로 연결된 시트백 프레임(500); 시트쿠션프레임(100)의 양 측부에 전방 및 후방으로 각각 마련되며, 일단(220)이 시트쿠션프레임(10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240)이 시트레일브라켓(30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하이트링크(200); 및 상기 시트레일브라켓(300)에 고정되는 구동부(420) 및 상기 하이트링크(200)의 타단(240)에 연결되어 구동부(420)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돌출됨으로써 하이트링크(200)가 회전되어 시트쿠션프레임(100)을 상향시키는 리드부(440)로 구성된 높이조절 작동부(40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시트쿠션프레임(100)의 상향시 시트백 프레임(500)이 후방으로 젖혀지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따른 차량용 시트장치를 표현함에 있어서, 시트쿠션프레임(100), 시트레일브라켓(300), 시트백 프레임(500), 시트백 판넬(600)은 차량의 시트를 이루기 위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며, 이는 당업자로 하여금 자명한 것이기에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시트쿠션프레임(100)의 후단부에 힌지구조(H)로 연결되는 시트백 프레임(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 볼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차량용 시트장치는 상측에서 순차적으로 시트백 프레임(500), 시트백프레임(500)에 힌지 연결되는 시트쿠션프레임(100), 시트쿠션프레임(100)과 하이트링크(200)를 통해 연결되는 시트레일브라켓(300)으로 구성된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은 시트백 프레임(500)의 눕힘 각도가 증대되어 탑승자의 착좌감을 향상시키는 것인바, 탑승자의 다리부분을 지지할 수 있는 레그서포트(10)를 더 구비함으로써 탑승자의 등, 허리, 엉덩이, 다리까지 모두 지지하여 탑승자에게 최상의 착좌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대해서 설명하면,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시트쿠션프레임(100)의 양 측부에 전방 및 후방으로 각각 마련되며, 일단(220)이 시트쿠션프레임(10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240)이 시트레일브라켓(30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하이트링크(200);가 구비된다.
이러한 하이트링크(200)는 시트쿠션프레임(100)의 양 측부에 전방 및 후방으로 각각 마련되어 시트레일브라켓(300)으로부터 시트쿠션프레임(100)을 지지하며, 하이트링크(200)의 일단(220)과 타단(240)이 각각 시트쿠션프레임(100)과 시트레일브라켓(300)에 상호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어 높이조절 작동부(400)가 작동됨에 따라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시트레일브라켓(300)은 차체에 고정되기 때문에 하이트링크(200)의 타단(240)이 회전중심이 되는 것이고, 높이조절 작동부(400)의 구동력을 전달되면 하이트링크(200)는 타단(240)을 중심으로 일단(220)이 회전됨으로써 시트쿠션프레임(100)이 상향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하이트링크(200)는 타단(240)을 중심으로 일단(220)이 회전됨에 따라 시트쿠션프레임(100)이 상향됨과 동시에 전방으로 진출되는 것이다.
한편, 높이조절 작동부(400)는 시트레일브라켓(300)에 고정되는 구동부(420)와 구동부(420)에서 연장되어 하이트링크(200)의 타단(240)에 연결된 리드부(440)로 구성되며, 구동부(420)의 구동력에 의해 리드부(440)가 돌출되어 하이트링크(200)의 타단(240)을 밀어줌으로써 하이트링크(200)가 회전되어 시트쿠션프레임(100)을 상향시킨다.
위와 같은 구성을 통해 상향으로 동작되는 시트쿠션프레임(100)의 하단부에는 시트백 프레임(500)이 힌지구조(H)를 통해 연결된다. 즉, 시트백 프레임(500)과 시트쿠션프레임(100)은 힌지구조(H)를 통해 상호 회전이 가능하도록 연결됨으로써 시트쿠션프레임(100)이 상향 동작됨과 동시에 전방을 향해 진출되면 시트백 프레임(500) 하단부가 전방으로 진출되고 상단부가 후방으로 회전되어 젖혀지는 것이다.
이를 위해, 시트백 판넬(600)의 양 측부에는 슬롯(625)이 형성된 가이드(620)가 마련되고, 상기 시트백 프레임(500)의 양 측부에는 슬롯(625)에서 슬라이딩되는 연결부재(520)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을 참고하여 시트백 구조를 보면, 시트백 판넬(600)의 양 측부에는 슬롯(625)이 형성된 가이드(620)가 마련되는데, 슬롯(625)은 상측이 후방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된다. 한편, 이러한 가이드(620)의 슬롯(625)에는 시트백 프레임(500)의 양 측부에 형성된 연결부재(520)가 삽입됨으로써 시트쿠션프레임(100)이 상향동작됨과 동시에 전방으로 진출시 시트백 프레임(500)의 하단부가 전방으로 진출되고, 시트백 프레임의 상단부가 후방으로 젖혀지는 것을 자연스럽게 유도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하이트링크(200)는 초기상태에서 타단(240)이 전방에 배치되고 일단(220)이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높이조절 작동부(400)의 구동부(420)가 작동되어 리드부(440)가 돌출되면 타단(240)이 후방으로 밀림으로써 일단(220)이 전방으로 회전되어 시트쿠션프레임(100)을 상향시키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높이조절 작동부(400)의 구동부(420)는 시트레일브라켓(300)의 내측부에 설치고정되고, 리드부(440)가 시트쿠션프레임(100)의 후방에 마련된 하이트링크(200)의 타단(24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이트링크(200)의 타단(240)에는 측방으로 플랜지(242)가 연장되고, 상기 높이조절 작동부(400)의 리드부(440)는 하향으로 기울어지도록 연장되어 상기 플랜지(24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의 초기상태는 시트쿠션프레임이 상향동작되지 않고, 시트레일브라켓(300)에 연결된 하이트링크(200)에 의해 단순히 지지되는 상태이다. 이때, 하이트링크(200)는 수평상태를 이루거나, 시트쿠션프레임(100)에 연결된 일단(220)이 상측으로 소정각도 틸팅된 상태이다.
구체적으로, 하이트링크(200)의 시트레일브라켓(300)에 연결된 타단(240)이 시트레일쿠션에 연결된 일단(220)보다 전방에 배치되며, 높이조절 작동부(400)의 구동부(420)는 시트레일브라켓(300)의 내측부에 설치고정되되 시트쿠션프레임(100)의 후방에 마련된 하이트링크(200)보다 전방에 배치한다. 여기서, 높이조절 작동부(400)의 리드부(440)는 후방을 향해 돌출되도록 구성되고, 하이트링크(200)의 타단(240)에 연결됨으로써 구동부(420)의 구동력에 의해 리드부(440)가 후방을 향해 돌출됨에 따라 하이트링크(200)의 타단(240)을 후방으로 밀어주면 하이트링크(200)의 일단(220)이 전방으로 회전되는 것이다.
이렇게, 하이트링크(200)의 일단(220)이 전방으로 회전됨으로써 시트쿠션프레임(100)이 전방으로 진출하게 되고, 이로 인해 시트백 프레임(500)의 하단부가 시트쿠션프레임(100)을 따라 전방으로 진출됨에 따라 시트백 프레임(500)이 후방으로 젖혀지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시트레일브라켓(300)에 구동부(420)를 설치하게 되면 시트 하부의 레이아웃 상으로도 유리하며, 구동부(420)의 리드부(440)와 하이트링크(200)의 타단(240)을 일직선으로 연결이 가능함으로써 동력전달에 유리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이트링크(200)의 타단(240)에는 측방으로 플랜지(242)가 연장되고, 상기 높이조절 작동부(400)의 리드부(440)는 하향으로 기울어지도록 연장되어 상기 플랜지(242)에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높이조절 작동부(400)의 리드부(440)를 하이트링크(200)의 플랜지(242)에 연결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리드부(440)와 하이트링크(200)의 연결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하이트링크(200)의 타단(240)이 리드부(440)가 돌출됨에 따라 밀어주는 구동력을 전달받음에 유리하도록 할 수 있다. 더욱이, 리드부(440)를 하향으로 기울어지도록 연장하여 플랜지(242)에 결합함으로써 구동부(400)의 돌출력이 하이트링크(200)의 회전력으로 원활히 전환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높이조절 작동부(400)의 구동부(420)는 회전모터이고, 리드부(440)는 회전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전후방으로 이동되는 리드 스크류로 구성할 수 있다.
즉, 회전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전후방으로 돌출되는 리드스크류를 적용함으로써 시트쿠션프레임(100)의 상향동작이 부드럽게 구현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시트장치의 고급화를 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용 시트장치는 시트레일브라켓(300)과 시트쿠션프레임(100)을 하이트링크(200)를 통해 연결하고, 높이조절 작동부(400)를 통해 하이트링크(200)를 밀어 회전시킴으로써 시트쿠션프레임(100)을 상향동작됨과 동시에 전방으로 진출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시트쿠션프레임(100)과 힌지구조(H)로 연결된 시트백 프레임(500)이 후방으로 젖혀짐으로써 탑승자가 요구하는 시트의 조절 범위의 확대됨에 따라 탑승자에게 시트 이용에 따른 만족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시트쿠션프레임 200:하이트링크
300:시트레일브라켓 400:높이조절 작동부
420:구동부 440:리드부
500:시트백 프레임

Claims (6)

  1. 시트쿠션프레임의 후단부에 힌지구조로 연결된 시트백 프레임;
    시트쿠션프레임의 양 측부에 전방 및 후방으로 각각 마련되며, 일단이 시트쿠션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시트레일브라켓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하이트링크; 및
    상기 시트레일브라켓에 고정되는 구동부 및 상기 하이트링크의 타단에 연결되어 구동부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돌출됨으로써 하이트링크가 회전되어 시트쿠션프레임을 상향시키는 리드부로 구성된 높이조절 작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시트백 프레임은 시트쿠션프레임의 상향시 후방으로 젖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시트백 판넬의 양 측부에는 슬롯이 형성된 가이드가 마련되고, 상기 시트백 프레임의 양 측부에는 슬롯에서 슬라이딩되는 연결부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이트링크는 일단이 후방에 배치되고 타단이 전방에 배치되며, 상기 높이조절 작동부의 구동부가 작동되어 리드부가 돌출되면 타단이 후방으로 밀림으로써 일단이 전방으로 회전되어 시트쿠션프레임을 상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 작동부의 구동부는 시트레일브라켓의 내측부에 설치고정되고, 리드부가 시트쿠션프레임의 후방에 마련된 하이트링크의 타단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이트링크의 타단에는 측방으로 플랜지가 연장되고, 상기 높이조절 작동부의 리드부는 하향으로 기울어지도록 연장되어 상기 플랜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 작동부의 구동부는 회전모터이고, 리드부는 회전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전후방으로 이동되는 리드 스크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장치.
KR1020130077734A 2013-07-03 2013-07-03 차량용 시트장치 KR1014072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7734A KR101407261B1 (ko) 2013-07-03 2013-07-03 차량용 시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7734A KR101407261B1 (ko) 2013-07-03 2013-07-03 차량용 시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7261B1 true KR101407261B1 (ko) 2014-06-13

Family

ID=51132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7734A KR101407261B1 (ko) 2013-07-03 2013-07-03 차량용 시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726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6457B1 (ko) * 2015-12-24 2017-06-14 현대다이모스(주)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닝 장치
US10926666B2 (en) 2016-07-19 2021-02-23 Hyundai Dymos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rear-seat leg support of vehicle sea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08735A (ja) 1998-10-08 2000-04-18 Fuji Heavy Ind Ltd シート高さ調整装置
KR20010058906A (ko) * 1999-12-30 2001-07-06 이계안 자동차용 시트의 높이조절장치
JP2009523645A (ja) 2006-01-19 2009-06-25 ジョンソン・コントロールズ・ゲー・エム・ベー・ハー 高さ調節可能領域と下降位置とを備える車両用シー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08735A (ja) 1998-10-08 2000-04-18 Fuji Heavy Ind Ltd シート高さ調整装置
KR20010058906A (ko) * 1999-12-30 2001-07-06 이계안 자동차용 시트의 높이조절장치
JP2009523645A (ja) 2006-01-19 2009-06-25 ジョンソン・コントロールズ・ゲー・エム・ベー・ハー 高さ調節可能領域と下降位置とを備える車両用シー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6457B1 (ko) * 2015-12-24 2017-06-14 현대다이모스(주)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닝 장치
US10926666B2 (en) 2016-07-19 2021-02-23 Hyundai Dymos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rear-seat leg support of vehicle sea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621873B (zh) 用于车辆的座椅位置调节装置
KR101592723B1 (ko) 레그 레스트 장치
KR101585850B1 (ko) 파워 헤드레스트 장치
JP2007216751A (ja) 運転姿勢調節装置
KR101725414B1 (ko) 차량 시트용 레그 레스트 장치
JP2008247287A (ja) 運転姿勢調整装置
KR101428285B1 (ko) 리어시트용 헤드레스트의 리클라이닝 장치
KR101381575B1 (ko) 차량용 시트
KR101470213B1 (ko) 차량의 시트 사이드 볼스터 장치
KR101620231B1 (ko) 차량용 후석 리클라이닝 장치
KR101724915B1 (ko)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닝 장치
KR20230020154A (ko) 자동차용 시트
KR101407261B1 (ko) 차량용 시트장치
US11453314B2 (en) Seat adjustment apparatus for vehicle
KR101592758B1 (ko) 차량용 후석 시트 리클라이닝 장치
KR101600199B1 (ko) 자동차 시트의 헤드레스트 조절장치
KR101440147B1 (ko) 차량의 시트 사이드 볼스터 장치
JP2006273021A (ja) 自動車のシート位置調整装置
KR101407262B1 (ko) 차량용 시트의 틸팅 장치
KR101746457B1 (ko)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닝 장치
KR101372108B1 (ko) 시트 높이 조절 연동형 슬라이딩 레버장치
KR20150045020A (ko) 차량용 리어시트의 시트쿠션 틸팅장치
JPH115479A (ja) 車両用シート
JP4244773B2 (ja) 車両用シート
KR200482595Y1 (ko) 시트백 틸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