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3734A - 조형 헤드 - Google Patents

조형 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3734A
KR20190123734A KR1020197024920A KR20197024920A KR20190123734A KR 20190123734 A KR20190123734 A KR 20190123734A KR 1020197024920 A KR1020197024920 A KR 1020197024920A KR 20197024920 A KR20197024920 A KR 20197024920A KR 20190123734 A KR20190123734 A KR 201901237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ing
hole
shaping
guide
lo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49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0854B1 (ko
Inventor
마이 카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Publication of KR201901237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37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08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08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3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means for ve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16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characterised by the actuating means
    • B65D83/2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characterised by the actuating means operated by manual action, e.g. button-type actuator or actuator c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16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characterised by the actuating means
    • B65D83/2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characterised by the actuating means operated by manual action, e.g. button-type actuator or actuator caps
    • B65D83/205Actuator caps, or peripheral actuator skirts, attachable to the aerosol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28Nozzles, nozzle fitt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5D83/30Nozzles, nozzle fitt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guiding the flow of spray, e.g. funnels, ho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75Aerosol containe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5D83/16 - B65D83/74
    • B65D83/753Aerosol containe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5D83/16 - B65D83/74 characterised by details or accessories associated with out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52Actuation means
    • B05B11/1053Actuation means combined with means, other than pressure, for automatically opening a valve during actuation; combined with means for automatically removing closures or covers from the discharge nozzle during actu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36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allowing operation in any orientation, e.g. discharge in inverted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38Details of the container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40Closure c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44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Regulating devices
    • B65D83/48Lift valves, e.g. operated by push a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75Aerosol containe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5D83/16 - B65D83/74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조형 헤드(10)는 토출 구멍(19a)의 상방에 배치되어 설치되는 동시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성형 구멍(26)이 형성된 정상벽부(24)를 가지며, 정상벽부 중 상방을 향하는 조형면(27)에 성형 구멍을 통과한 내용물을 토출시키는 외장부(15)와, 외장부 내에 배치되어, 정상벽부 중 하방을 향하는 공급면(28)과의 사이에, 토출 구멍으로부터의 내용물을 조형면을 따르는 지름 방향으로 확산하여 성형 구멍에 공급하는 확산실을 구획하는 중간 접시(16)를 구비하고, 확산실로부터의 내용물이 복수의 성형 구멍을 각별하게 통과하여 형성되는 복수의 조형편을, 조형면에서 조합하여 조형물을 형성하는 조형 헤드로서, 복수의 성형 구멍 중 적어도 하나의 내면, 또는 복수의 성형 구멍 중 적어도 하나의 공급면에서의 개구 주연부에는, 내용물을 충돌시켜 성형 구멍에서의 조형면측 개구에 안내하는 안내 돌기부(40)가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조형 헤드
본 발명은 조형 헤드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2017년 2월 28일자로 일본에 출원된 특허 출원 제2017-037727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종래부터, 예를 들면, 하기 특허문헌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내용물이 토출되는 토출 구멍의 상방에 배치되어 설치되는 동시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성형 구멍이 형성된 정상벽부를 가지고, 정상벽부 중 상방을 향하는 조형면에 성형 구멍을 통과한 내용물을 토출시키는 외장부와, 외장부 내에 배치되어, 정상벽부 중 하방을 향하는 공급면과의 사이에, 토출 구멍으로부터의 내용물을 조형면을 따르는 지름 방향으로 확산하여 성형 구멍에 공급하는 확산실을 구획하는 중간 접시를 구비하는 조형 헤드가 알려져 있다. 이 조형 헤드에서는 확산실로부터의 내용물을, 복수의 성형 구멍을 각별하게 통과시켜 형성되는 복수의 조형편을, 조형면에서 조합하여 조형물이 형성된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6-010919호 공보
그러나 상기 종래의 조형 헤드에서는 예를 들면, 복수의 성형 구멍 중에서, 토출 구멍에서 멀리 떨어져 위치해 있는 성형 구멍, 또는 예리하게 굴곡지면서 연장해 있는 긴 구멍 형상의 성형 구멍 등의 경우, 조형편을 고정밀도로 형성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예를 들어, 성형 구멍을 단순히 크게 하면, 조형편을 조형면 상에서 원하는 형상 및 자세로 유지시키기 어려워, 역시 조형편을 고정밀도로 형성하는 것이 곤란하다.
따라서, 성형 구멍의, 토출 구멍으로부터의 거리, 형상 및 크기 등에 의존하지 않고, 조형편의 형태를, 정밀도를 유지하면서 조정하는 것은 상당히 곤란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성형 구멍의, 토출 구멍으로부터의 거리, 형상 및 크기 등에 의존하지 않고, 조형편의 형태를, 정밀도를 유지하면서 조정할 수 있는 조형 헤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조형 헤드는, 내용물이 토출되는 토출 구멍의 상방에 배치하여 설치되는 동시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성형 구멍이 형성된 정상벽부를 가지고, 상기 정상벽부 중 상방을 향하는 조형면에 상기 성형 구멍을 통과한 내용물을 토출시키는 외장부와, 상기 외장부 내에 배치되어, 상기 정상벽부 중 하방을 향하는 공급면과의 사이에, 상기 토출 구멍으로부터의 내용물을 상기 조형면을 따르는 지름 방향으로 확산하여 상기 성형 구멍에 공급하는 확산실을 구획하는 중간 접시를 구비하고, 상기 확산실로부터의 내용물이 상기 복수의 성형 구멍을 각별하게 통과하여 형성되는 복수의 조형편을, 상기 조형면에서 조합하여 조형물을 형성하는 조형 헤드로서, 상기 복수의 성형 구멍 중 적어도 하나의 내면, 또는, 상기 복수의 성형 구멍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공급면에서의 개구 주연부에는, 내용물을 충돌시켜 상기 성형 구멍에서의 상기 조형면측 개구에 안내하는 안내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외장부에 안내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토출 구멍으로부터 확산실에 유입한 내용물을, 안내 돌기부에 충돌시킴으로써, 성형 구멍에서의 조형면측 개구에 안내하는 것이 가능해져, 이 성형 구멍으로부터 조형면에 토출되는 조형편의 형상, 자세, 및 크기 등의 형태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예리하게 굴곡지면서 연장해 있는 긴 구멍 형상의 성형 구멍 등이어도, 조형편을 고정밀도로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성형 구멍의, 토출 구멍으로부터의 거리, 형상 및 크기 등에 의존하지 않고, 조형편의 형태를, 정밀도를 유지하면서 용이하게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져, 여러 가지 형태의 조형물을 용이하게 또한 고정밀도로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성형 구멍 중 적어도 하나는 상하 방향을 따르는 종단면에서 보아, 적어도 상기 조형면측 단부가, 상기 공급면측에서 상기 조형면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대향하는 다른 쪽 내면에서 이간하도록 연장하는 안내면을 가져도 좋다.
이 경우, 성형 구멍이, 상기 종단면에서 보아, 적어도 조형면측 단부가, 공급면측에서 조형면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대향하는 다른 쪽 내면에서 이간하도록 연장하는 안내면을 갖는다. 따라서, 내용물이 성형 구멍에서 조형면에 토출될 때에, 다른 쪽 내면에서 이간하는 방향으로 안내되게 되어, 조형편을, 조형면에서 상방을 향해 똑바로 연재하지 않고, 조형면에 대해 다른 쪽 내면에서 이간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한 상태로 상방을 향해 연재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조형면에 대해 경사진 상태로 상방을 향해 연장하는 조형편을 정밀도 좋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내면 중, 적어도 상기 조형면측 단부는, 상기 종단면에서 보아 돌출 곡선 형태를 나타낼 수도 있다.
이 경우, 안내면 중, 적어도 조형면측 단부가, 상기 종단면에서 보아 돌출 곡선 형태를 나타낸다. 따라서, 성형 구멍이, 예를 들어, 예리하게 굴곡지면서 연장하는 긴 구멍 형상 등의 복잡한 형상이어도, 조형면에 대해 경사진 상태로 상방을 향해 연장하는 조형편을 정밀도 좋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내 돌기부는 상기 종단면 모습에 있어서, 상기 공급면에서의 상기 성형 구멍의 개구 주연부 중, 상기 성형 구멍의 상기 안내면에 이어지는 부분에서 하방을 향해 돌출하는 외측 돌기부를 구비해도 좋다.
이 경우, 확산실을 지름 방향으로 유동하여 공급면에서의 성형 구멍의 개구 주연부에 도달한 내용물을, 외측 돌기부에 충돌시킴으로써, 상방을 향하게 하여 성형 구멍 내에 도입시키는 것이 가능해져, 내용물을 성형 구멍에서의 조형면측 개구에 원활하게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내 돌기부는 상기 종단면 모습에 있어서, 상기 성형 구멍에서의 상기 다른 쪽 내면에서 상기 안내면을 향해 돌출하는 제1 내측 돌기부를 구비해도 좋다.
이 경우, 확산실로부터 성형 구멍에 유입한 내용물을, 제1 내측 돌기부에 충돌시킴으로써, 다른 쪽 내면에서 이간시켜, 안내면을 향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때, 안내면 중, 적어도 조형면측 단부가, 공급면측에서 조형면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다른 쪽 내면에서 이간하도록 연장해 있다. 따라서, 제1 내측 돌기부에서 안내면측으로 유도된 내용물을, 성형 구멍에서의 조형면측 개구에 원활하게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종단면 모습에 있어서, 상기 성형 구멍의 상기 안내면 중, 상기 다른 쪽 내면에 형성된 상기 제1 내측 돌기부보다 하방에 위치하는 부분에, 상기 다른 쪽 내면을 향해 돌출하는 제2 내측 돌기부가 형성되어도 좋다.
이 경우, 상기 종단면 모습에 있어서, 안내면 중, 제1 내측 돌기부보다 하방에 위치하는 부분에, 상기 다른 쪽 내면을 향해 돌출하는 제2 내측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 내측 돌기부에 충돌한 내용물 중 일부가, 하방을 향해 역류하려고 해도, 제2 내측 돌기부에 의해 가로막아 안내면에 안내하는 것이 가능해져, 제1 내측 돌기부에서 안내면측으로 유도된 내용물을, 성형 구멍에서의 조형면측 개구를 향해 보다 한층 원활하게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성형 구멍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조형면측 개구 면적이, 상기 공급면측 개구 면적보다 작아도 좋다.
이 경우, 성형 구멍에서의 조형면측 개구 면적이, 공급면측 개구 면적보다 작다. 따라서, 조형편의 원형 변화를 억제하면서, 확산실의 내용물을 성형 구멍에 유입시키기 쉽게 하는 것이 가능해져, 내용물이 확산실에서 유입하기 어려운 성형 구멍이라도, 조형편을 확실하게 고정밀도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성형 구멍 중 적어도 하나는 긴 구멍이 되고, 상기 안내 돌기부는 상기 긴 구멍을 구획하는 내면 중, 상기 긴 구멍이 연장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측면, 또는, 상기 공급면에서의 상기 긴 구멍의 개구 주연부 중, 상기 측면에 이어지는 부분에 형성되어도 좋다.
이 경우, 안내 돌기부가 긴 구멍의 측면, 또는, 공급면에서의 긴 구멍의 개구 주연부 중, 측면에 이어지는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내용물이 확산실에서 유입하기 어려운 긴 구멍이라도, 이 긴 구멍을 통과하여 조형편을 고정밀도로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성형 구멍의, 토출 구멍으로부터의 거리, 형상 및 크기 등에 의존하지 않고, 조형편의 형태를, 정밀도를 유지하면서 조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토출 용기의 일부 종단면도로서, 중간 접시가 대기 위치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토출 용기의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토출 용기의 일부 종단면도로서, 중간 접시를 토출 위치에 하강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토출 용기 중 용기 본체를 제외한 부분의 상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내는 토출 용기 중 용기 본체를 제외한 부분의 하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나타내는 토출 용기의 고정 부재의 상면도이다.
도 7A는 도 1에 나타내는 토출 용기의 외장부에서의 상면도이다.
도 7B는 도 1에 나타내는 토출 용기의 외장부에서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토출 용기의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관한 토출 용기의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관한 토출 용기의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4 실시형태에 관한 토출 용기의 제1 변형예를 나타내는 외장부의 정상벽부의 횡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4 실시형태에 관한 토출 용기의 제2 변형예의 일부 종단면도로서, 중간 접시가 대기 위치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에 나타내는 토출 용기의 고정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14는 도 12에 나타내는 토출 용기의 변환기구의 전개도이다.
도 15는 도 12에 나타내는 토출 용기의 일부 종단면도로서, 중간 접시가 토출 위치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관한 검증 시험에서의 실시예 2의 조형 헤드의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 17A는 본 발명에 관한 검증 시험에서의 실시예 1의 조형 헤드에 의한 시험 결과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17B는 본 발명에 관한 검증 시험에서의 실시예 1의 조형 헤드에 의한 시험 결과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18A는 본 발명에 관한 검증 시험에서의 실시예 2의 조형 헤드에 의한 시험 결과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18B는 본 발명에 관한 검증 시험에서의 실시예 2의 조형 헤드에 의한 시험 결과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제1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토출 용기(1)는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 본체(12)를 구비하는 용기체(11)와, 토출기(14)와, 조형 헤드(10)를 구비한다. 토출 용기(1)는 예를 들면, 거품체나 고점성 재료 등, 토출 후에 적어도 일정 시간, 형상을 유지 가능한 내용물을 토출한다.
여기서, 용기 본체(12)는 바닥이 있는 통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하, 용기 본체(12)의 횡단면에서의 중심을 지나는 직선을 용기축(O)이라 하고, 용기축(O)을 따르는 방향 중 용기 본체(12)의 바닥부측을 하측이라 하며, 용기 본체(12)의 입구부(12a)측을 상측이라 하고, 용기축(O)을 따르는 방향을 상하 방향이라 한다. 토출 용기(1)의 상면 모습에 있어서, 용기축(O)과 직교하는 방향을 지름 방향이라 하고, 용기축(O) 주위를 주회하는 방향을 둘레 방향이라 한다.
용기체(11)는 용기 본체(12)와, 용기 본체(12)의 입구부(12a)에 장착된 고정 부재(13)를 구비한다. 용기 본체(12)의 내부는 입구부(12a)가 정상판(17)으로 덮여 밀폐되어 있다. 정상판(17)에는, 둘레 방향으로 연장하는 환 형상 오목부(18)가 형성되어 있다.
토출기(14)는 용기 본체(12)의 입구부(12a)에 상방 가압 상태로 하방 이동 가능하게 세워진 스템(19)을 구비한다. 스템(19)은 용기축(O)과 동축으로 배치되어, 환 형상 오목부(18)보다 지름이 작게 형성되어 있다. 스템(19)은 정상판(17)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토출기(14)의 내부에 있어서, 용기 본체(12) 내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도시하지 않는 토출 밸브, 및 스템(19)을 상방 가압하는 가압 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용기 본체(12)에 대해 스템(19)이 눌러지면, 상기 토출 밸브가 열려, 용기 본체(12) 내의 내용물이 스템(19) 안을 통과하여 스템(19)의 상단 개구부(토출 구멍)(19a)로부터 토출된다. 이 때, 스템(19)의 상단 개구부(19a)로부터 예를 들어, 거품 상태로 된 내용물이 토출된다. 또한, 스템(19)의 상단 개구부(19a)에서 토출되는 내용물은 거품 상태가 아니어도 좋다. 스템(19)의 누름을 해제하면, 스템(19)에 작용하는 가압 수단으로부터의 상방 가압력에 의해 스템(19)이 상승하여 상기 토출 밸브가 닫히고, 내용물의 토출이 정지된다.
또한, 용기 본체(12) 및 토출기(14)는, 용기 본체(12) 내에 수용된 내용물을 스템(19)에서 토출하는 토출 용기 본체를 구성하고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토출 용기 본체로서, 내부에 액상 내용물이 수용된 에어졸 캔을 채용하고 있다.
고정 부재(13)는 지름 방향으로 외측에서 스템(19)을 둘러싸도록 용기 본체(12)의 입구부(12a)에 고정된다. 고정 부재(13)는 용기 본체(12)의 입구부(12a)에, 용기축(O) 주위를 회전 불가능하게, 또한 상승 불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고정 부재(13)는 용기 본체(12)의 입구부(12a)에 정상판(17)을 통해 외삽된 외삽통(63)과, 외삽통(63)을 지름 방향으로 외측에서 둘러싸는 위요통(61)과, 외삽통(63)과 위요통(61)을 접속하고, 또한 둘레 방향으로 간극을 두고 복수 배치된 접속부(62)와, 상기 정상판(17)의 환 형상 오목부(18) 내에 끼워맞춰진 내통부(65)와, 용기 본체(12)의 입구부(12a)의 상단 개구연을 지름 방향으로 넘어 외삽통(63)의 상단부와 내통부(65)의 상단부를 연결한 바닥부를 갖는 바닥이 있는 통 형태의 돌출통부(84)를 구비한다.
위요통(61), 외삽통(63), 내통부(65), 및 돌출통부(64)는, 용기축(O)과 동축으로 배치되어 있다. 위요통(61)의 내주면에는, 둘레 방향으로 연장하는 상측 걸어맞춤부(61a)가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다. 상측 걸어맞춤부(61a)는 위요통(61)의 내주면에서 지름 방향으로 내측을 향해 돌출해 있다. 상측 걸어맞춤부(61a)는 둘레 방향으로 연장하는 융기(ridge)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상측 걸어맞춤부(61a)의, 위요통(61) 내주면에서 지름 방향으로 내측을 향한 돌출량은, 지름 방향으로 위요통(61)의 내주면과 외삽통(63)의 외주면 사이의 간극보다 작게 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속부(62)는 위요통(61)과 외삽통(63)을 지름 방향으로 접속한다. 접속부(62)의 상면에서 본 형상은, 둘레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형태로 되어 있다. 접속부(62)는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복수 배치되어 있다. 둘레 방향으로 접속부(62) 길이는 둘레 방향에서 서로 인접하는 접속부(62)끼리의 사이에 있는 간극의 둘레 방향 길이보다 짧게 되어 있다. 접속부(62)끼리 사이의 간극은 상하 방향으로 관통해 있다.
또한, 둘레 방향으로 상측 걸어맞춤부(61a) 길이는 둘레 방향에서 서로 인접하는 접속부(62)끼리 사이에 있는 간극의 둘레 방향 길이 이상으로 되어 있다. 상측 걸어맞춤부(61a)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상하 방향에서 본 평면 모습에서, 둘레 방향에서 서로 인접하는 접속부(62)끼리 사이의 간극 내측에 위치해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통부(65)는 환 형상 오목부(18)에 있어서, 지름 방향으로 내측을 향하는 외주면에, 지름 방향으로 내측에서 끼워맞춰져 있다. 내통부(65)에는, 지름 방향으로 내측을 향해 돌출하고, 또한 후술하는 가압 부재(21)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받침판부(65a)가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돌출통부(64)의 주벽 외주면은 후술하는 중간 접시 본체(30)의 내주면에 맞닿아 있거나 또는 근접해 있다.
조형 헤드(10)는 외장부(15)와, 중간 접시(16)를 구비한다.
외장부(15)는 스템(19)의 상단 개구부(19a) 상방에 배치되어 설치되는 동시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성형 구멍(26)이 형성된 정상벽부(24)를 가지고, 정상벽부(24) 중 상방을 향하는 조형면(27)에 성형 구멍(26)을 통과한 내용물을 토출시킨다. 외장부(15)는 정상벽부(24), 및 정상벽부(24)의 외주연에서 하방을 향해 연장하는 주벽부(15a)를 구비하는 천장이 있는 통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외장부(15)는 용기축(O)과 동축으로 배치되어 있다.
정상벽부(24)에는, 하방을 향해 돌출한 심체(25)가 형성되어 있다. 심체(25)는 용기축(O)과 동축으로 배치되어 있다. 심체(25)는 스템(19)보다 상측에 위치해 있다. 심체(25)의 외부 직경은 스템(19)의 내부 직경보다 작고, 심체(25)는 스템(19)의 상단 개구부(19a)와 상하 방향으로 대향하고 있다. 심체(25)는 내부 공간이 없는 봉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심체(25)는 하방을 향함에 따라 점차, 지름이 축소한다. 심체(25)의 상단부에서의 외부 직경은 스템(19)의 내부 직경 및 후술하는 중간 접시(16)의 연통 구멍(34)의 내부 직경보다 작다.
복수의 성형 구멍(26)은 정상벽부(24)에 있어서 상측을 향하는 조형면(27), 및 하측을 향하는 공급면(28)에 각별하게 개구해 있다. 또한, 조형면(27) 및 공급면(28)은 용기축(O)과 직교한다.
도 4,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성형 구멍(26)은 둘레 방향으로 연장하는 긴 구멍으로 되어 있다.
성형 구멍(26)은 둘레 방향 및 지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배치되어 있다.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성형 구멍(26)이, 구멍 열 L1을 이루고 있고, 이 구멍 열 L1이 용기축(O)을 중심으로 하여 다중으로 배치되어 있다. 구멍 열 L1은 상면에서 보아, 심체(25)를 지름 방향으로 외측에서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조형물로서는, 예를 들면, 장미, 해바라기, 벚꽃 등의 꽃, 문자, 및 로고 타입 등의 형상을 조형할 수 있다. 성형 구멍(26)의 갯수나 형상을 적절히 변경하는 것으로, 조형하는 조형물의 형상을 변경할 수 있다. 토출하는 내용물의 용도 등에 따라, 성형 구멍(26)의 갯수나 형상을 적절히 변경해도 좋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성형 구멍(26) 중 적어도 하나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상하 방향을 따르는 종단면에서 보아, 적어도 조형면(27)측 단부가, 공급면(28)측에서 조형면(27)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대향하는 다른 쪽 내면(이하, 대향면이라 함)(26a)에서 이간하도록 연장하는 안내면(26b)을 가지고 있다. 안내면(26b) 중, 적어도 조형면(27)측 단부가 상기 종단면에서 보아 돌출 곡선 형태를 나타낸다.
도시한 예에서는 안내면(26b)에서의 전역에 걸쳐, 공급면(28)측에서 조형면(27)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대향면(26a)에서 이간하도록 연장해 있다. 안내면(26b) 중, 조형면(27)측 단부가, 상기 종단면에서 보아 돌출 곡선 형태를 나타내고, 이 부분보다 공급면(28)측에 위치하는 부분은, 상기 종단면에서 보아 직선 형태를 나타낸다. 성형 구멍(26)의 내면을 구획하는, 둘레 방향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측면 중, 지름 방향으로 내측에 위치하여, 지름 방향으로 외측을 향하는 내측면이 대향면(26a)이 되고, 지름 방향으로 외측에 위치하여, 지름 방향으로 내측을 향하는 외측면이 안내면(26b)이 되어 있다. 상면에서 보아, 안내면(26b)은 스템(19)의 상단 개구부(19a)에 대해 대향면(26a)보다 떨어져 위치해 있다. 안내면(26b)의 상하 방향에 대한 경사각도는 대향면(26a)의 상하 방향에 대한 경사각도보다 커져 있다. 대향면(26a)은 상기 종단면에서 보아 상하 방향으로 똑바로 연장해 있다. 또한, 안내면(26b)을 전역에 걸쳐 돌출 곡면 형태로 형성해도 좋다.
안내면(26b)은 복수의 성형 구멍(26) 중, 지름 방향으로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성형 구멍(26)의 내면이 갖춰진다. 복수의 구멍 열 L1 중, 지름 방향으로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구멍 열 L1을 구성하는 복수의 성형 구멍(26) 전체의 내면이 안내면(26b)을 갖추고 있다. 또한, 안내면(26b)은 본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복수의 성형 구멍(26) 중, 지름 방향으로 가장 내측에 위치하는 성형 구멍(26)의 내면에 갖추도록 하는 등, 조형면(27) 상에서 형성하는 조형물에 따라서 적절히 변경해도 좋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성형 구멍(26) 중 적어도 하나의 내면, 또는, 복수의 성형 구멍(26) 중 적어도 하나의, 공급면(28)에서의 개구 주연부에, 내용물을 충돌시켜 성형 구멍(26)에서의 조형면(27)측 개구에 안내하는 안내 돌기부(40)가 형성되어 있다.
안내 돌기부(40)는 복수의 성형 구멍(26) 중, 지름 방향으로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성형 구멍(26)의 내면, 또는, 이 성형 구멍(26)의, 공급면(28)에서의 개구 주연부에 형성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복수의 구명 열 L1 중, 지름 방향으로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구멍 열 L1을 구성하는 복수의 성형 구멍(26) 모두에 대해서, 안내 돌기부(40)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안내 돌기부(40)를 배치하는 성형 구멍(26)은, 본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복수의 성형 구멍(26) 중, 지름 방향으로 가장 내측에 위치하는 성형 구멍(26)에 배치하는 등, 조형면(27) 상에서 형성하는 조형물에 따라서 적절히 변경해도 좋다.
안내 돌기부(40)는 성형 구멍(26)의 대향면(26a), 또는, 공급면(28)에서의 성형 구멍(26)의 개구 주연부 중, 성형 구멍(26)의 안내면(26b)에 이어지는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안내 돌기부(40)는 상기 종단면 모습에 있어서, 성형 구멍(26)에서의 대향면(26a)에서 안내면(26b)을 향해 돌출하는 제1 내측 돌기부(40a)를 구비한다.
제1 내측 돌기부(40a)는 성형 구멍(26)의 대향면(26a)에서의 둘레 방향으로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제1 내측 돌기부(40a)는 성형 구멍(26)의 대향면(26a) 상부에서의 전역에 걸쳐 배치되어 있다. 제1 내측 돌기부(40a)의 상하 방향 길이는, 성형 구멍(26)의 상하 방향 길이의 절반보다 짧게 되어 있다. 제1 내측 돌기부(40a)의 상단면은, 조형면(27)과 동일 평면으로 되어 있다. 제1 내측 돌기부(40a)의 하단면은, 하방을 향하는 평탄면으로 되어 있다. 제1 내측 돌기부(40a)에 있어서, 안내면(26b)측을 향하는 선단면은 상하 방향으로 똑바로 연장해 있다. 상기 종단면 모습에 있어서, 제1 내측 돌기부(40a)의 선단면 길이는 제1 내측 돌기부(40a)의 하단면 길이보다 짧게 되어 있다.
상기 종단면 모습에 있어서, 성형 구멍(26)의 안내면(26b) 중, 대향면(26a)에 형성된 제1 내측 돌기부(40a)보다 하방에 위치하는 부분에, 대향면(26a)을 향해 돌출하는 제2 내측 돌기부(41)가 형성되어 있다.
제2 내측 돌기부(41)는 성형 구멍(26)의 대향면(26a)에서의 둘레 방향으로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제2 내측 돌기부(41)는 성형 구멍(26)의 안내면(26b) 하부에서의 전역에 걸쳐 배치되어 있다. 제2 내측 돌기부(41)의 상하 방향 길이는 성형 구멍(26)의 상하 방향 길이의 절반보다 짧게 되어 있다. 제2 내측 돌기부(41)의 하단면은, 공급면(28)과 동일 평면으로 되어 있다. 제2 내측 돌기부(41)의 상단면은, 상방을 향하는 평탄면으로 되어 있다. 제2 내측 돌기부(41)에 있어서, 대향면(26a)측을 향하는 선단면은, 상하 방향으로 똑바로 연장해 있다. 상기 종단면 모습에 있어서, 제2 내측 돌기부(41)의 선단면 길이는, 제2 내측 돌기부(41)의 상단면 길이와 동등하게 되어 있다.
제2 내측 돌기부(41)의 상단면은, 제1 내측 돌기부(40a)의 하단면보다 하방에 위치해 있다.
제2 내측 돌기부(41)의 선단면과, 제1 내측 돌기부(40a)의 선단면 사이에는 지름 방향으로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성형 구멍(26) 중 적어도 하나는, 조형면(27)측 개구 면적이, 공급면(28)측 개구 면적보다 작게 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복수의 성형 구멍(26) 중, 지름 방향으로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성형 구멍(26)에 있어서, 조형면(27)측 개구 면적이, 공급면(28)측 개구 면적보다 작게 되어 있다. 복수의 구멍 열 L1 중, 지름 방향으로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구멍 열 L1을 구성하는 복수의 성형 구멍(26) 모두에 있어서, 조형면(27)측 개구 면적이, 공급면(28)측 개구 면적보다 작게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복수의 성형 구멍(26) 중, 지름 방향으로 가장 내측에 위치하는 성형 구멍(26)에 대해, 조형면(27)측 개구 면적을 공급면(28)측 개구 면적보다 작게 하는 등, 조형면(27) 상에서 형성하는 조형물에 따라서 적절히 변경해도 좋다.
외장부(15)의 주벽부(15a)는, 고정 부재(13)에서의 외삽통(63)과 위요통(61) 사이에 끼워져 있다. 주벽부(15a)의 외주면에는, 지름 방향으로 외측을 향해 돌출하고, 또한 위요통(61)의 상측 걸어맞춤부(61a)에, 상측 걸어맞춤부(61a)의 하방에서 걸어맞춤하는 하측 걸어맞춤부(15b)가 형성되어 있다. 하측 걸어맞춤부(15b)의 둘레 방향 길이는, 상측 걸어맞춤부(61a)의 둘레 방향 길이보다 길고, 하측 걸어맞춤부(15b)의 수량은, 상측 걸어맞춤부(61a)의 수량보다 적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하 방향에서 본 평면 모습에 있어서, 하나의 하측 걸어맞춤부(15b)에 대해, 둘레 방향에서 서로 인접하는 2개의 상측 걸어맞춤부(61a)가 걸어맞춤하고 있다. 복수의 상측 걸어맞춤부(61a) 모두가, 하측 걸어맞춤부(15b)에 걸어맞춤하고 있다.
외장부(15)의 주벽부(15a)에는, 지름 방향으로 관통하여 하방을 향해 개구한 삽입 관통 구멍(29)이 형성되어 있다. 삽입 관통 구멍(29)은, 도 7A 및 도 7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름 방향으로 외측에서 보아 상하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삽입 관통 구멍(29)은, 주벽부(15a)에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4개 형성되고, 이중 2개가 1조가 되어, 둘레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고, 각 조는 주벽부(15a)에 있어서 지름 방향에서 서로 대향하는 부분에 각별하게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주벽부(15a)에 형성된 하측 걸어맞춤부(15b)는, 삽입 관통 구멍(29)에 의해 둘레 방향으로 분단되어 있다. 더욱 하측 걸어맞춤부(15b)는, 주벽부(15a)의 외주면 중, 둘레 방향에서 서로 인접하는 2개의 삽입 관통 구멍(29)끼리 사이에 위치하는 삽입벽부(15c)를 회피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둘레 방향으로 하측 걸어맞춤부(15b)의 단부는 주벽부(15a)에서의 삽입 관통 구멍(29)의 개구 주연부에 위치해 있다.
중간 접시(16)는 외장부(15) 내에 배치되어 설치되고, 정상벽부(24)의 공급면(28)과의 사이에, 스템(19)의 상단 개구부(19a)로부터의 내용물을 조형면(27)을 따르는 지름 방향으로 확산하여 성형 구멍(26)에 공급하는 확산실(35)을 구획한다.
중간 접시(16)는 천장이 있는 통 형태로 형성되고, 또한 외장부(15) 내에 상하 슬라이딩 이동이 자유롭게 끼워맞춰진 중간 접시 본체(30)와, 외장부(15)에서 지름 방향으로 외측을 향해 돌출한 누름부(32)를 구비한다. 중간 접시(16)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간 접시 본체(30)의 천장벽이, 공급면(28)에 맞닿거나 또는 근접하는 상방의 대기 위치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간 접시 본체(30)의 천장벽이, 공급면(28)에서 하방으로 이간하여 확산실(35)을 형성하고, 또한 스템(19)을 하강시켜, 스템(19)의 상단 개구부(19a)로부터의 내용물을 확산실(35) 내에 공급하는 하방의 토출 위치와의 사이를 상하 이동한다.
확산실(35)은 용기축(O)과 동축으로 배치되어 있다. 확산실(35)은 상하 방향보다도 지름 방향으로 큰 편평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확산실(35)의 벽면 일부는 공급면(28), 및 중간 접시 본체(30)의 천장벽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중간 접시 본체(30)의 천장벽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연통 구멍(34)이 형성되어 있다. 연통 구멍(34)은 용기축(O)과 동축으로 배치되어 있다. 연통 구멍(34) 내에, 외장부(15)의 심체(25)가 삽입되어 있다. 연통 구멍(34)의 내부 직경은 스템(19)의 외부 직경보다 작다. 또한,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간 접시(16)가 토출 위치에 위치했을 때에, 연통 구멍(34)은 스템(19) 내와 확산실(35)을 연통하고, 중간 접시 본체(30)는 심체(25)보다 하방에 위치하고, 심체(25)는 확산실(35) 내에 돌출해 있다.
중간 접시 본체(30)의 천장벽에서의 연통 구멍(34)의 개구 주연부에는, 하방을 향해 연장하는 걸림부(36)가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다. 걸림부(36)는 중간 접시(16)의 하강에 수반하여, 걸림부(36)의 하단부가 스템(19)의 상단 개구연에 걸어 멈춰지는 것으로, 스템(19)을 하강시킨다.
중간 접시 본체(30)의 천장벽에는, 용기축(O)과 동축으로 배치되어 하방을 향해 연장하는 가이드통(31)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통(31)의 내주면에, 복수의 걸림부(36) 각각의 지름 방향으로 외단 가장자리가 접속되어 있다. 중간 접시(16)의 하강 시에, 가이드통(31)의 하단부 내에 스템(19)의 상단부가 진입한다. 가이드통(31)의 내주면에서의 하단부는, 하방을 향함에 따라 점차 지름이 확장되고 있다. 이에 의해, 중간 접시(16)가 하강하면, 스템(19)이 원활하게 가이드통(31) 내에 진입한다.
누름부(32)는 표리면이 외장부(15)의 외주면을 따라 연장하는 측판(39)과, 측판(39)에서 지름 방향으로 외측을 향해 돌출하고 또한 표리면이 상하 방향을 향하는 누름판(33)과, 측판(39)과 중간 접시 본체(30)를 연결하여 외장부(15)의 삽입 관통 구멍(29)에 삽입 관통된 연결판(38)을 구비한다.
누름부(32)는 2개 배치되어 설치되고, 중간 접시 본체(30)의 외주면에 있어서 용기축(O)을 지름 방향으로 사이에 끼우는 위치에 각별하게 배치되어 있다.
연결판(38)은 중간 접시 본체(30)의 외주면 하단부에서, 지름 방향으로 외측을 향해 돌출해 있다. 연결판(38)은 하나의 측판(39)에 대해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도시한 예에서는 2개) 배치되어 있다. 둘레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연결판(38)끼리 사이의 간극에, 외장부(15)의 삽입벽부(15c)가, 측판(39)과 중간 접시 본체(30)의 외주면 사이의 지름 방향으로 간극을 통해서, 중간 접시(16)의 상방에서 삽입되어 있다. 이 때문에, 외장부(15)의 주벽부(15a)에 형성된 하측 걸어맞춤부(15b)는, 주벽부(15a)의 외주면 중, 누름부(32)가 배치되어 설치되어 있는 둘레 방향의 위치를 회피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연결판(38)은 삽입 관통 구멍(29)의 개구 주연부 중, 상단에 위치하여 하방을 향하는 상단 가장자리에 맞닿거나 또는 근접해 있다. 연결판(38)은 삽입 관통 구멍(29)의 개구 주연부 중, 둘레 방향으로 양단에 위치하여 둘레 방향을 향하는 측 가장자리에 맞닿아 있거나 또는 근접해 있다. 이 때문에, 중간 접시(16)의 외장부(15)에 대한 회전 이동이 규제되어 있다.
측판(39)의 하단부에 연결판(38)이 연결되고, 측판(39)의 상단부에 누름판(33)이 연결되어 있다. 측판(39)과 중간 접시 본체(30)의 외주면 사이에는 지름 방향으로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누름판(33)의 상면은, 외장부(15)의 조형면(27)보다 하방에 위치해 있다. 또한, 누름판(33)의 상면을, 조형면(27)과 동일 평면으로 해도 좋다.
여기서,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누름부(32)의 둘레 방향 길이는 고정 부재(13)의 접속부(62)의 둘레 방향 길이보다 길다. 누름부(32)의 둘레 방향 단부, 및 하측 걸어맞춤부(15b)와 상측 걸어맞춤부(61a)가 서로 걸어맞춤하고 있는 부분에서의 둘레 방향 단부 각각의 둘레 방향을 따르는 위치가, 서로 인접해 있다. 누름부(32)는 고정 부재(13)에서의 복수의 접속부(62) 중 하나의 적어도 일부와 상하 방향에서 중복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설치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누름부(32)의 둘레 방향으로 중앙부와, 복수의 접속부(62) 중 하나의 둘레 방향으로 중앙부가, 상하 방향에서 서로 중복해 있다. 또한, 누름부(32)의 둘레 방향으로 중앙부와, 복수의 접속부(62) 중 하나의 둘레 방향으로 중앙부가, 상하 방향에서 중복해 있지 않아도 좋고, 누름부(32)와, 복수의 접속부(62) 중 하나의 적어도 일부가, 상하 방향에서 중복해 있으면 좋다.
도 1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 부재(13)와 중간 접시(16) 사이에, 예를 들면, 코일 스프링 등의 가압 부재(21)가 배치되어 설치되어 있다. 가압 부재(21)는 상하 방향으로 용기체(11)와 중간 접시(16) 사이의 간극에 배치되어 설치되어 있다. 가압 부재(21)는 중간 접시(16)가 토출 위치에 위치해 있을 때에, 하단부가 고정 부재(13)의 받침판부(65a) 상면에 맞닿아 있고, 또한 상단부가 중간 접시 본체(30)의 하면에 맞닿은 상태로, 상하 방향으로 압축된다. 이에 의해, 가압 부재(21)는 토출 위치에 위치하는 중간 접시(16)를 상방 가압한다. 또한, 가압 수단으로서 금속제의 코일 스프링을 사용한 경우에는 중간 접시(16)에 충분한 상방 가압력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해져, 후술하는 확산실(35) 내의 내용물을 확실하게 조형면(27)에 압출할 수 있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에 관한 토출 용기(1)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누름판(33)을 가압 부재(50)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눌러, 중간 접시(16)를 하강시키면, 중간 접시(16)의 걸림부(36)가 스템(19)의 상단 개구연에 걸어 멈춰진다. 더욱 중간 접시(16)를 계속해서 하강시키면, 걸림부(36)에 의해 스템(19)이 상방 가압력에 저항하여 하강함으로써, 용기 본체(12) 내의 내용물이, 스템(19)의 상단 개구부(19a), 및 연통 구멍(34)을 통해 확산실(35)에 유입한다. 확산실(35)에 유입한 내용물은, 심체(25)의 외주면 상을 상하 방향으로 유동하여 심체(25)에 유지된다. 이 때, 내용물은 예를 들면, 평면에서 보아 심체(25)를 중심으로 한 원형 형상을 이루도록 심체(25)에 유지된다. 내용물의 스템(19)으로부터의 토출량 증가에 수반하여, 심체(25)로의 내용물 공급량이 증가하면, 내용물이 심체(25) 상에서 성장하여, 지름 방향으로 외측을 향해 점차 팽창한다. 더욱, 전술한 바와 같이 확산실(35)이 편평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확산실(35) 내에 공급된 내용물은 지름 방향으로 확산되어 복수의 성형 구멍(26)에 공급된다. 성형 구멍(26)에 유입한 내용물은, 제1 내측 돌기부(40a)의 하단면에 충돌하여, 제2 내측 돌기부(41)의 상단면을 따라 안내면(26b)을 향해 흐른 후, 안내면(26b)을 따라 조형면(27)을 향해 흐른다. 그리고, 복수의 성형 구멍(26)을 통과한 내용물은, 조형면(27)에 토출되어 복수의 조형편을 형성하고, 각 조형편이 조합되어 조형물이 형성된다. 그 후, 누름판(33)의 누름 조작을 해제하면, 스템(19)이 상방을 향해 복원 변위하면서, 중간 접시(16)가 가압 부재(21)에 의해 상방을 향해 복원 변위하여, 중간 접시 본체(30)의 천장벽이, 외장부(15)의 공급면(28)에 맞닿거나 또는 근접한다. 이에 의해, 확산실(35)의 내용적이 감소 또는 삭감하여, 확산실(35)에 잔존해 있던 내용물이 확산실(35)에서 성형 구멍(26)을 통과해 조형면(27)에 배출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토출 용기(1)에 의하면, 외장부(15)에 제1 내측 돌기부(40a)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스템(19)의 상단 개구부(19a)에서 확산실(35)에 유입한 내용물을, 제1 내측 돌기부(40a)의 하단면에 충돌시킴으로써, 성형 구멍(26)에서의 조형면(27)측 개구에 안내하는 것이 가능해져, 이 성형 구멍(26)에서 조형면(27)에 토출되는 조형편의 형상, 자세, 및 크기 등의 형태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복수의 성형 구멍(26) 중에서, 스템(19)의 상단 개구부(19a)에서 멀리 떨어져 위치해 있는 성형 구멍, 또는 예리하게 굴곡지면서 연장해 있는 긴 구멍 형상의 성형 구멍 등, 조형편을 고정밀도로 형성하기 어려운 성형 구멍이어도, 조형편을 고정밀도로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성형 구멍(26)의, 스템(19)의 상단 개구부(19a)로부터의 거리, 형상 및 크기 등에 의존하지 않고, 조형편의 형태를, 정밀도를 유지하면서 용이하게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져, 여러 가지 형태의 조형물을 용이하게 또한 고정밀도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성형 구멍(26)이, 상기 종단면에서 보아, 적어도 조형면(27)측 단부가, 공급면(28)측에서 조형면(27)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대향면(26a)에서 이간하도록 연장하는 안내면(26b)을 갖는다. 따라서, 내용물이 성형 구멍(26)에서 조형면(27)에 토출될 때에, 대향면(26a)에서 이간하는 방향으로 안내되어지고, 조형편을, 조형면(27)에서 상방을 향해 똑바로 연재하지 않고, 조형면(27)에 대해 대향면(26a)에서 이간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한 상태로 상방을 향해 연재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조형면(27)에 대해 경사진 상태로 상방을 향해 연장하는 조형편을 정밀도 좋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안내면(26b) 중, 적어도 조형면(27)측 단부가, 상기 종단면에서 보아 돌출 곡선 형태를 나타낸다. 따라서, 성형 구멍(26)이, 예를 들면, 예리하게 굴곡지면서 연장하는 긴 구멍 형상 등의 복잡한 형상이라도, 조형면(27)에 대해 경사진 상태로 상방을 향해 연장하는 조형편을 정밀도 좋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1 내측 돌기부(40a)가, 상기 종단면 모습에 있어서, 대향면(26a)에서 안내면(26b)을 향해 돌출해 있다. 따라서, 확산실(35)에서 성형 구멍(26)으로 유입한 내용물을, 제1 내측 돌기부(40a)의 하단면에 충돌시킴으로써, 대향면(26a)에서 이간시켜, 안내면(26b)을 향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때, 안내면(26b) 중, 적어도 조형면(27)측 단부가, 공급면(28)측에서 조형면(27)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대향면(26a)에서 이간하도록 연장해 있다. 따라서, 제1 내측 돌기부(40a)에서 안내면(26b)측에 안내된 내용물을, 성형 구멍(26)에서의 조형면(27)측 개구에 원활하게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종단면 모습에 있어서, 안내면(26b) 중, 제1 내측 돌기부(40a)보다 하방에 위치하는 부분에, 대향면(26a)을 향해 돌출하는 제2 내측 돌기부(41)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 내측 돌기부(40a)의 하단면에 충돌한 내용물 중 일부가, 하방을 향해 역류하려고 해도, 제2 내측 돌기부(41)에 의해 막아 안내면(26b)에 안내하는 것이 가능해져, 제1 내측 돌기부(40a)에서 안내면(26b)측에 안내된 내용물을, 성형 구멍(26)에서의 조형면(27)측 개구를 향해 보다 한층 원활하게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성형 구멍(26)에서의 조형면(27)측 개구 면적이, 공급면(28)측 개구 면적보다 작다. 따라서, 조형편의 원형 변화를 억제하면서, 확산실(35)의 내용물을 성형 구멍(26)에 유입시키기 쉽게 하는 것이 가능해져, 내용물이 확산실(35)로부터 유입하기 어려운 성형 구멍(26)이어도, 조형편을 확실하게 고정밀도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성형 구멍(26)이 둘레 방향으로 연장하는 긴 구멍으로 되어 있어, 제1 내측 돌기부(40a)가 둘레 방향으로 연장하는 대향면(26a), 또는, 공급면(28)에서의 성형 구멍(26)의 개구 주연부 중, 둘레 방향으로 연장하는 안내면(26b)에 이어지는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내용물이 확산실(35)에서 유입하기 어려운 긴 구멍이어도, 이 긴 구멍을 통과하는 것으로 조형편을 고정밀도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누름부(32)의 연결판(38)이, 삽입 관통 구멍(29)의 개구 주연부의 상단 가장자리에 맞닿거나 또는 근접해 있기 때문에, 누름부(32)를 끌어올리면 외장부(15)도 끌어올려져, 외장부(15)의 하측 걸어맞춤부(15b)가, 고정 부재(13)의 상측 걸어맞춤부(61a)에 상측 걸어맞춤부(61a)의 하측에서 걸린다. 이에 의해, 누름부(32)에 가한 인상력이, 고정 부재(13)에서의 접속부(62)를 통해 외삽통(63)에 전파하여, 외삽통(63) 중, 이 접속부(62)와의 접속 부분에, 지름 방향으로 외측을 향해 국소적인 큰 힘이 가해지게 된다. 따라서, 이 부분을 기점으로 하여, 외삽통(63)을 전체 둘레에 걸쳐 변형시키는 것이 가능해져, 고정 부재(13)를 용기 본체(12)의 입구부에서 분리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예를 들면, 용기 본체(12) 내의 내용물을 다 사용한 후에, 필요에 따라서 외장부(15)와 중간 접시(16)를, 고정 부재(13)와 함께 용기 본체(12)에서 분리하여, 용기 본체(12)를 교환하거나 할 수 있다.
또한, 하측 걸어맞춤부(15b)가, 외장부(15)의 주벽부(15a)의 외주면 중, 누름부(32)가 배치되어 설치되어 있는 둘레 방향을 따르는 위치를 회피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외장부(15)에 중간 접시(16)를 조립할 때에, 외장부(15)의 하측 걸어맞춤부(15b)가 누름부(32)에 간섭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내용물을 토출시킬 때에 누르는 누름부(32)가, 내용물이 토출되는 조형면(27)을 갖는 외장부(15)와는 별도의 중간 접시(16)에 구비되어 있다. 이 때문에, 외장부(15)의 조형면(27)에 접촉하지 않고, 내용물을 토출시키는 것이 가능해져, 내용물이 손에 부착하는 것을 막을 수 있음은 물론, 외장부(15)가 흔들리는 것이 억제되어, 조형면(27) 상의 조형물이 원형 변화되거나, 조형면(27)에서 조형물의 일부가 흘러 떨어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용기체(11) 내의 내용물이 확산실(35) 내에서 지름 방향으로 확산된 후에 성형 구멍(26)에 공급된다. 따라서, 조형면(27)에 있어서 특정한 개소에 배치된 일부의 성형 구멍(26)에 내용물이 집중하는 것을 억제하여, 복수의 성형 구멍(26)에 불균일이 적게 내용물을 공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조형면(27)에 토출되는 내용물의 토출량이 위치마다 불균일하게 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져, 조형물을 정밀도 좋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중간 접시(16)의 누름부(32)가 삽입 관통된 삽입 관통 구멍(29)에 의해, 둘레 방향으로 연장하는 하측 걸어맞춤부(15b)가 분단되어 있고, 누름부(32)의 둘레방향 단부, 및 하측 걸어맞춤부(15b)와 상측 걸어맞춤부(61a)가 서로 걸어맞춤하고 있는 부분에서의 둘레 방향 단부 각각의 둘레 방향을 따르는 위치가, 서로 인접해 있다. 따라서, 누름부(32)에 가해진 인상력을, 외장부(15)의 주벽부(15a) 상에서 분산시키지 않고 직접, 하측 걸어맞춤부(15b)와 상측 걸어맞춤부(61a)가 서로 걸어맞춤하고 있는 부분에 전달시키는 것이 가능해져, 외삽통(63)과 접속부(62)의 접속 부분에, 지름 방향으로 외측을 향해 국소적인 큰 힘을 효과적으로 가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접속부(62) 중 하나의 적어도 일부가, 누름부(32)와 상하 방향에서 중복해 있다. 따라서, 누름부(32)에 가해진 인상력을, 복수의 접속부(62) 중 하나에 우선하여 전달시키기 쉬워져, 외삽통(63)과 접속부(62)의 접속 부분에, 지름 방향으로 외측을 향해 국소적인 큰 힘을 용이하게 가할 수 있다.
또한, 상측 걸어맞춤부(61a)가, 상하 방향에서 본 평면 모습에서, 둘레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접속부(62)끼리 사이의 간극 내측에 위치해 있고, 상측 걸어맞춤부(61a)와 접속부(62)가, 상하 방향에서 본 평면 모습에서 중복해 있지 않다. 따라서, 접속부(62) 및 상측 걸어맞춤부(61a)를 갖는 고정 부재(13)의 성형 시에, 상하 방향만을 금형의 빼는 방향으로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금형 구조를 복잡하게 하지 않고, 고정 부재(13)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외장부(15)의 주벽부(15a) 중, 둘레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삽입 관통 구멍(29)끼리 사이에 위치하는 삽입벽부(15c)에, 하측 걸어맞춤부(15b)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중간 접시 본체(30)의 외주면과 측판(39) 사이의 지름 방향으로 간극을 넓게 하지 않아도, 삽입벽부(15c)를, 중간 접시(16)에서의 둘레 방향에서 서로 인접하는 연결판(38)끼리 사이에 원활하게 삽입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이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1 실시형태에서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성형 구멍(26)에서는, 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안내면(26b)에, 제2 내측 돌기부(41)가 형성되어 있지 않고, 안내면(26b)은 상기 종단면에서 보아, 전역에 걸쳐 공급면(28)측에서 조형면(27)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대향면(26a)에서 이간하도록 직선 형태로 연장해 있다. 또한, 이 성형 구멍(26)에서는, 조형면(27)측 개구 면적이, 공급면(28)측 개구 면적 이상으로 되어 있다. 제1 내측 돌기부(40a)의 상하 방향 길이는 성형 구멍(26)의 상하 방향 길이의 절반 이상으로 되어 있다. 상기 종단면 모습에 있어서, 제1 내측 돌기부(40a)의 선단면 길이는 제1 내측 돌기부(40a)의 하단면 길이 이상으로 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외장부(15)에 제1 내측 돌기부(40a)가 형성되고, 또한, 성형 구멍(26)이 안내면(26b)을 갖고 있다. 따라서,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여러 가지 형태의 조형물을 용이하게 또한 고정밀도로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로, 조형면(27)에 대해 경사진 상태로 상방을 향해 연장하는 조형편을 정밀도 좋게 형성하거나 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이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2 실시형태에서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성형 구멍(26)에서는, 도 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안내 돌기부(40)가, 상기 종단면 모습에 있어서, 공급면(28)에서의 성형 구멍(26)의 개구 주연부 중, 이 성형 구멍(26)의 안내면(26b)에 이어지는 부분에서 하방을 향해 돌출하는 외측 돌기부(40b)를 갖추고 있다. 외측 돌기부(40b)의 상하 방향 길이는, 성형 구멍(26)의 상하 방향 길이와 동등하게 되어 있다. 외측 돌기부(40b)는 용기축(O)과 동축으로 배치된 환 형상으로 형성되고, 외장부(15)에서의 주벽부(15a)의 내주면 및 정상벽부(24)의 공급면(28)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확산실(35)은 외측 돌기부(40b)의 내주면 및 공급면(28)을 벽면에 갖는 지름이 작은 공간과, 외측 돌기부(40b)의 하방에 위치하는 지름이 큰 공간을 구비한다. 외측 돌기부(40b)의 내주면은, 안내면(26b)에 단차 없이 이어져 있다.
대향면(26a)에 제1 내측 돌기부(40a)가 형성되어 있지 않고, 대향면(26a)은 상기 종단면에서 보아 상하 방향으로 전역에 걸쳐 상하 방향으로 똑바로 연장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안내 돌기부(40)가 외측 돌기부(40b)를 구비한다. 따라서, 확산실(35)을 지름 방향으로 유동하여 공급면(28)에서의 성형 구멍(26)의 개구 주연부에 도달한 내용물을, 외측 돌기부(40b)에 충돌시킴으로써, 상방을 향하게 하여 성형 구멍(26) 내에 도입시키는 것이 가능해져, 내용물을 성형 구멍(26)에서의 조형면(27)측 개구에 원활하게 안내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의 조형물을 용이하게 또한 고정밀도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성형 구멍(26)이 안내면(26b)을 갖고 있다. 따라서,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조형면(27)에 대해 경사진 상태로 상방을 향해 연장하는 조형편을 정밀도 좋게 형성하거나 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이 제4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3 실시형태에서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성형 구멍(26)에서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측 돌기부(40b)가, 외장부(15)의 주벽부(15a) 내주면에서 지름 방향으로 내측으로 이간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안내 돌기부(40)가 외측 돌기부(40b)를 갖추고, 또한, 성형 구멍(26)이 안내면(26b)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제3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여러 가지 형태의 조형물을 용이하게 또한 고정밀도로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 조형면(27)에 대해 경사진 상태로 상방을 향해 연장하는 조형편을 정밀도 좋게 형성하거나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여러 가지 변경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 안내 돌기부(40)가, 제1 내측 돌기부(40a) 및 외측 돌기부(40b)의 양쪽을 구비하는 구성 등, 상기 실시형태를 적절히 조합해도 좋다.
성형 구멍(26)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도 11에 도시되는 제1 변형예와 같은 성형 구멍(26)을 채용해도 좋다. 이 성형 구멍(26)은 외장부(15)의 정상벽부(24)의, 용기축(O)과 직교하는 횡단면에서 보아, 제1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 부분(26c)과, 제1 방향과는 다른 제2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2 부분(26d)이 제1 변곡부(26e)를 통해 연결되어, 전체로서 예리하게 굴곡진 긴 구멍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성형 구멍(26)은 상기 횡단면에서 보아, 제1 부분(26c), 제2 부분(26d), 및 제1 변곡부(26e)를 하나씩 갖는 긴 구멍이, 제1 변곡부(26e)와는 역 방향으로 굴곡지는 제2 변곡부(26f)를 통해 이어져 되는 M자 형태를 나타낸다.
이러한 성형 구멍(26)에서는, 조형편을 조형면(27) 상에서 기울어진 자세로 하는 것이 특별히 곤란함에도 불구하고, 외장부(15)의 정상벽부(24)에 안내 돌기부(40)가 배치되어 형성되는 것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이, 내용물을 확산실(35)에서 성형 구멍(26)에서의 조형면(27)측 개구에 안내하는 것이 가능해져, 기울기 자세의 조형물이라도 고정밀도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누름판(33)을 누르는 것으로, 내용물을 스템(19)의 상단 개구부(19a)에서 토출하는 구성을 나타내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도 12 내지 도 15에 나타내는 제2 변형예와 같은 구성을 채용하는 등 적절히 변경해도 좋다.
제2 변형예의 고정 부재(13)는 외삽통(63)과, 외삽통(63)의 상단부에서 지름 방향으로 내측을 향해 연장하는 환 형상의 연결부(23)와, 연결부(23)의 내주연에서 하방을 향해 연장하는 내통부(22)와, 내통부(22)의 하단부에서 지름 방향으로 내측을 향해 연장하는 환 형상의 받침부(54)와, 받침부(54)의 내주연에서 상방을 향해 연장하는 외변환통부(55)를 구비하고 있다.
외삽통(63)의 하단부에는, 지름 방향으로 내측을 향해 돌출하는 끼워맞춤 돌기부(63a)가 형성되어 있다. 끼워맞춤 돌기부(63a)는,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다(도 13을 참조). 끼워맞춤 돌기부(63a)가 정상판(17)의 외주연부에 언더컷 끼워맞춤하는 동시에, 외삽통(63)이 입구부(12a)에 외삽되는 것으로, 고정 부재(13)의 용기축(O) 주위의 회전 이동, 및 고정 부재(13)의 상승 이동이 규제되어 있다. 평면에서 보아, 외삽통(63)은 용기축(O)과 동축으로 배치된 원형 형상을 나타낸다. 외삽통(63)의 상하 방향으로 중앙부에는 지름 방향으로 외측을 향해 돌출하는 플랜지부(63b)가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부(63b)의 외주연에는 하방을 향해 연장하는 위요통부(63c)가 형성되어 있다.
받침부(54)의 상면에 가압부재(21)의 하단부가 맞닿아 있다.
연결부(23)는 내통부(22) 및 외삽통(63) 각각의 상단부끼리를 연결하고 있다.
연결부(23)는 용기 본체(12)의 입구부(12a)의 상단 개구연을 지름 방향으로 넘고 있다. 연결부(23)에는, 이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23a)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 구멍(23a)은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다(도 13을 참조). 연결부(23)의 외주연에는, 상방을 향해 연장하는 끼워맞춤통부(23b)가 형성되어 있다. 끼워맞춤통부(23b)는, 외삽통(63)보다 지름 방향으로 외측에 위치하고, 위요통부(63c)보다 지름 방향으로 내측에 위치한다. 끼워맞춤 통부(23b)의 외주면에는 지름 방향으로 외측을 향해 돌출하는 피끼워맞춤부(23c)가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내통부(22)는 정상판(17)의 환 형상 오목부(18) 내에 위치해 있고, 환 형상 오목부(18)의 지름 방향으로 내측을 향하는 외주면에, 지름 방향으로 내측에서 고정되어 있다.
중간 접시(16)는 용기축(O)과 직교하는 평면 내에 연재하는 판 형태의 접시 본체(130)와, 접시 본체(130)에서 하방을 향해 연장하고, 또한 용기축(O)과 동축으로 배치된 내변환통부(132)를 구비한다. 내변환통부(132)는 접시 본체(130)에 형성된 가이드통(31)을 지름 방향으로 외측에서 둘러싸고 있다. 내변환통부(132)의 하단부는, 가이드통(31)의 하단부보다 하방에 위치해 있다.
접시 본체(130)는 외장부(15) 내에 끼워맞춰져, 외주연이 외장부(15)의 내주면 위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한다. 접시 본체(130)의 상면은, 가압 부재(21)의 상방 가압력에 의해, 외장부(15)의 공급면(28)에 맞닿아 있거나 또는 근접해 있다. 평면에서 보아, 접시 본체(130) 및 공급면(28)은, 서로 동등한 형상 또한 동등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내변환통부(132)의 외부 직경은, 외변환통부(55)의 내부 직경보다 작다. 내변환통부(132)는 외변환통부(55)의 내측에 배치되어 설치되어 있다. 내변환통부(132)의 하단부는, 외변환통부(55)의 상하 방향에서의 중앙부에 위치해 있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간 접시(16)가 토출 위치에 위치할 때에는, 접시 본체(130)에서의 연통 구멍(34)의 개구 주연부(이하, 걸림부(136)라 함)가, 스템(19)에 걸려 멈춰진다. 걸림부(136)는 스템(19)의 상단 개구연에 상방에서 맞닿아, 중간 접시(16)의 하강에 따라 스템(19)을 하강시킨다.
외장부(15)의 주벽부(15a)에서의 내주면에는, 지름 방향으로 내측을 향해 돌출하는 볼록부(15d)가 형성되어 있다. 볼록부(15d)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해 있고,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다. 볼록부(15d)에, 중간 접시(16)의 접시 본체(130)에서의 외주연에 형성된 오목부(130a)가 걸어맞춤하는 것으로, 외장부(15)에 대한 접시 본체(130)의 용기축(O) 주위의 회전 이동이 규제된다. 이에 의해, 외장부(15)와 중간 접시(16)는, 용기축(O) 주위를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볼록부(15d) 및 오목부(130a)는, 용기축(O)을 지름 방향으로 사이에 끼워 서로 대향하는 각 위치에 배치되어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외장부(15)와 중간 접시(16)를 확실하게 일체로 하여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외장부(15) 및 중간 접시(16)를 일체로 회전시키기 위한 형태는, 상기 볼록부(15d) 및 오목부(130a)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볼록부(15d) 및 오목부(130a)의 수를 적절히 변경해도 좋다. 또는, 외장부(15)에 오목부가 형성되고, 이 오목부에 걸어맞춤하는 볼록부가 중간 접시(16)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외장부(15)의 주벽부(15a)에서의 하단부에는, 지름 방향으로 내측을 향해 돌출하는 끼워맞춤부(15e)가 형성되어 있다. 끼워맞춤부(15e)는 고정 부재(13)의 피끼워맞춤부(23c)에 언더컷 끼워맞춤하고 있다. 이에 의해, 외장부(15)의 고정 부재(13)에 대한 상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다. 또한, 외장부(15)의 하단 개구연은, 고정 부재(13)의 플랜지부(63b)의 상면에 맞닿거나 또는 근접해 있다. 이에 의해, 외장부(15)의 고정 부재(13)에 대한 하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다.
제2 변형예의 토출 용기(1)는, 외장부(15) 및 중간 접시(16)의 용기체(11)에 대한 용기축(O) 주위의 회전 동작을, 중간 접시(16)의 상하 방향의 동작으로 변환하는 변환기구(37)를 구비한다. 변환기구(37)는 중간 접시(16) 및 용기체(11) 중 어느 한 쪽에 형성된 슬라이딩 이동 돌기부(42)와, 어느 다른 한 쪽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부(43)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슬라이딩 이동 돌기부(42)는, 내변환통부(132)의 외주면에서 지름 방향으로 외측을 향해 돌출해 있고, 가이드 돌기부(43)는 용기체(11)의 외변환통부(55)에서의 내주면에서 지름 방향으로 내측을 향해 돌출해 있다. 가이드 돌기부(43)는 외변환통부(55)의 상단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중앙부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딩 이동 돌기부(42)의 상단부는, 가이드 돌기부(43)의 상단부보다 하측에 위치해 있다.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이드 돌기부(43)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 수직면(43a)과, 제1 수직면(43a)의 하단부에서 상방을 향함에 따라 점차, 제1 수직면(43a)에서 둘레 방향의 일방측에 이간하는 제1 경사면(43b)을 가지며, 하방을 향해 돌출하는 각부를 갖는 대략 삼각형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제1 수직면(43a)의 하단과 제1 경사면(43b)의 하단은, 하방을 향해 돌출한 곡면(43c)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슬라이딩 이동 돌기부(42)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2 수직면(42a)과, 제2 수직면(42a)의 상단부에서 하방을 향함에 따라 점차, 제2 수직면(42a)에서 둘레 방향으로 타방측으로 이간하는 제2 경사면(42b)를 가지며, 상방을 향해 돌출하는 각부를 갖는 대략 삼각형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제2 경사면(42b)의 상단부는, 상방을 향해 돌출한 곡면(42c)으로 되어 있다.
슬라이딩 이동 돌기부(42)는, 전체로서 가이드 돌기부(43)보다 작고, 가이드 돌기부(43)와 대략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수직면(43a) 및 제1 경사면(43b)이 이루는 각도와, 제2 수직면(42a) 및 제2 경사면(42b)이 이루는 각도는 서로 동등하게 되어 있다.
제1 경사면(43b) 및 제2 경사면(42b)에 의해, 중간 접시(16)의 용기체(11)에 대한 평면 모습에서의 시계 방향(둘레 방향에서의 타방측)의 회전이 허용되어 있다. 또한, 제1 수직면(43a) 및 제2 수직면(42a)과, 가압 부재(21)에 의한 중간 접시(16)에의 상방 가압력에 의해, 중간 접시(16)의 용기체(11)에 대한 평면 모습에서의 반시계 방향(둘레 방향에서의 일방측)의 회전이 규제된다. 이와 같이, 슬라이딩 이동 돌기부(42), 가이드 돌기부(43), 및 가압 부재(21)는, 중간 접시(16)의 용기체(11)에 대한 용기축(O) 주위의 회전을 일 방향으로만 허용하는 래칫 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이 래칫 기구는 평면에서 보아 중간 접시(16)의 용기체(11)에 대한 반시계 방향의 회전을 허용하고, 시계 방향의 회전을 규제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도 13은 고정 부재(13)의 평면도이며, 도 12에 나타내는 A-A 절단선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본 중간 접시(16)의 형상을 2점 쇄선으로 표시한다.
가이드 돌기부(43)는 외변환통부(55)의 내주면에,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외변환통부(55)의 내주면에는, 가이드 돌기부(43)를 회피한 도망부(55e)가 형성되어 있다. 도망부(55e)는 가이드 돌기부(43)에서의 둘레 방향으로 양측에 배치되어 형성되어 있다. 도망부(55e)의 둘레 방향에서의 폭은, 슬라이딩 이동 돌기부(42)의 둘레 방향에서의 폭보다 크다. 이 때문에, 도망부(55e)에 슬라이딩 이동 돌기부(42)가 위치해 있는 상태에서는, 슬라이딩 이동 돌기부(42)와 가이드 돌기부(43) 사이에, 둘레 방향으로 여유가 생긴다. 이에 의해, 중간 접시(16)에 과잉으로 큰 회전력이 가해졌을 때, 예를 들면, 슬라이딩 이동 돌기부(42)가 복수의 가이드 돌기부(43)를 연속해서 둘레 방향으로 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져, 내용물이 연속해서 토출되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슬라이딩 이동 돌기부(42)는, 내변환통부(132)의 외주면에,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딩 이동 돌기부(42)는, 가이드 돌기부(43)와 동 수(도시한 예에서는 4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딩 이동 돌기부(42)는 가이드 돌기부(43)와 동 수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좋고, 예를 들면, 가이드 돌기부(43)보다 적어도 좋다.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아, 슬라이딩 이동 돌기부(42)의 둘레 방향에서의 일 방향측 단부와, 가이드 돌기부(43)의 둘레 방향에서의 타 방향측 단부가 근접한 상태에 있어서, 이들 단부끼리의 기울기는 대략 일치해 있다. 마찬가지로, 슬라이딩 이동 돌기부(42)의 둘레 방향에서의 타방측 단부와, 가이드 돌기부(43)의 둘레 방향에서의 일방측 단부를 근접시키면, 이들 양단부끼리의 기울기는 대략 일치한다. 이에 의해, 제1 수직면(43a)과 제2 수직면(42a)의 접촉 면적, 및 제1 경사면(43b)과 제2 경사면(42b)의 접촉 면적을 크게 할 수 있다.
다음에,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토출 용기(1)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외장부(15)를 용기체(11)에 대해 용기축(O) 주위를 둘레 방향으로 타방측을 향해 회전시키면, 중간 접시(16)가 외장부(15)와 일체로 고정 부재(13)에 대해 용기축(O) 주위를 회전하여, 제1 경사면(43b)과 제2 경사면(42b)이 둘레 방향에서 맞닿는다. 계속해서 외장부(15)를 더 회전시키면, 도 14의 화살표시 M1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경사면(43b)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돌기부(42)가 하강한다. 이에 의해, 가압부재(21)의 상방 가압력에 저항하여 중간 접시(16)가 하강하고, 중간 접시(16)의 걸림부(136)가 스템(19)을 하강시키는 동시에, 중간 접시(16)와 외장부(15) 사이의 확산실(35)의 내용적을 증대시키면서, 내용물이 스템(19)의 상단 개구부(19a), 연통 구멍(34), 확산실(35), 및 성형 구멍(26)을 통해 조형면(27)에 토출된다.
외장부(15)를 계속해서 더 회전시키면, 도 14의 화살표시 M2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딩 이동 돌기부(42)가, 가이드 돌기부(43)의 제1 경사면(43b)에서의 하단부에 달하고, 곡면(43c)을 둘레 방향으로 타방측에 넘어 도망부(55e)에 도달한다. 도망부(55e)에서는 슬라이딩 이동 돌기부(42)의 상방을 향한 이동이 허용되기 때문에, 가압부재(21)의 상방 가압력에 의해, 중간 접시(16)가 대기 위치까지 상승한다.
내용물을 다시 토출시키는 경우에는, 외장부(15)를 같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조작을 행함으로써, 상술한 작용이 반복되어, 내용물을 반복 토출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토출 용기(1)에서는, 외장부(15)를 용기체(11)에 대해 용기축(O) 주위를 회전시키는 조작에 의해, 내용물을 스템(19)의 상단 개구부(19a)에서 토출시키는 동시에, 이 토출을 정지시켜 중간 접시(16)를 대기 위치까지 복원 변위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예를 들면, 중간 접시(16)를 손으로 눌러 스템(19)의 상단 개구부(19a)에서 내용물을 토출시키는 경우와 비교하여 조작력을 저감하고, 내용물의 토출량을 안정시키면서, 내용물이 스템(19)의 상단 개구부(19a)에서 토출되고 있는 동안에 조형면(27)에 토출되는 내용물의 흐름과, 스템(19)의 상단 개구부(19a)로부터의 토출을 정지하여 확산실(35) 내의 내용물을 조형면(27)에 압출하는 동안에 조형면(27)에 토출되는 내용물의 흐름을 연속적으로 하여, 조형물을 고정밀도로 조형시킬 수 있다.
또한, 가압부재(21)의 탄성력을 받아들이는 받침부(54)가, 정상판(17)의 환 형상 오목부(18) 내에 고정되는 내통부(22)에서 지름 방향으로 내측을 향해 연장하고, 가이드 돌기부(43)가 형성된 외변환통부(55)가 이 받칩부(54)의 내주연에서 상방을 향해 연장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받침부(54) 및 외변환통부(55)의 강성이 높아져, 가압부재(21)의 탄성력에 의해 외변환통부(55)가 변형 또는 변위하는 것이 억제되기 때문에, 가이드 돌기부(43)와 슬라이딩 이동 돌기부(42)의 위치 관계를 안정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은 가이드 돌기부(43) 및 슬라이딩 이동 돌기부(42)에 의한 우수한 작용 효과를 확실하게 발휘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 가압부재(21) 및 외변환통부(55)를 용기 본체(12)의 입구부(12a) 내측에 컴팩트하게 배치되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돌기부(43)의 제1 수직면(43a) 및 제1 경사면(43b)이 이루는 각도와, 슬라이딩 이동 돌기부(42)의 제2 수직면(42a) 및 제2 경사면(42b)이 이루는 각도가 서로 동등하기 때문에, 슬라이딩 이동 돌기부(42)가 가이드 돌기부(43)를 둘레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때에, 제1 경사면(43b)과 제2 경사면(42b)의 접촉 면적을 크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예를 들면, 슬라이딩 이동 돌기부(42)와 가이드 돌기부(43)가 슬라이딩 이동할 때에 양자가 마모하는 것을 억제하여, 동작을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경사면(43b) 및 제2 경사면(42b)의 각도가 서로 동등하게 되어 있고, 또한, 가이드 돌기부(43) 및 슬라이딩 이동 돌기부(42)가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외장부(15)의 회전 조작 시에, 중간 접시(16)의 중심축이 용기축(O)에 대해 경사지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져, 중간 접시(16)를 용기체(11)에 대해 걸리지 않고 원활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더욱, 가이드 돌기부(43) 및 슬라이딩 이동 돌기부(42)의 양쪽이,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는 수직면(43a, 42a)을 갖고 있다. 따라서, 외장부(15) 및 중간 접시(16)의 용기체(11)에 대한 용기축(O) 주위의 회전을 일 방향으로만 허용하는 동시에, 도망부(55e)에 도달한 슬라이딩 이동 돌기부(42)를 가압부재(21)의 상방 가압력에 의해 상방을 향해 빠르게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외장부(15)를 용기체(11)에 대해 회전시킬 때의 조작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조형면(27)에 토출되는 내용물의 속도 및 양을 안정시켜, 조형물의 조형 정밀도를 보다 확실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돌기부(43)가 하방을 향해 돌출한 곡면(43c)을 가지며, 슬라이딩 이동 돌기부(42)가 상방을 향해 돌출한 곡면(42c)을 갖고 있음으로써, 슬라이딩 이동 돌기부(42)가 가이드 돌기부(43)를 둘레 방향으로 원활하게 뛰어 넘을 수 있다.
상기 제2 변형예에서는, 슬라이딩 이동 돌기부(42)가 중간 접시(16)에 형성되고, 가이드 돌기부(43)가 고정 부재(13)에 형성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슬라이딩 이동 돌기부(42)가 고정 부재(13)에 형성되고, 가이드 돌기부(43)가 중간 접시(16)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 제2 변형예에서는, 가이드 돌기부(43)가 용기 본체(12)에 고정된 고정 부재(13)에 형성되고, 용기 본체(12)에 간접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가이드 돌기부(43)가, 용기 본체(12)의 입구부(12a)에 일체로 형성되어, 용기 본체(12)에 직접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슬라이딩 이동 돌기부(42) 및 가이드 돌기부(43)로서는, 상기 제2 변형예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 형태를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2 변형예에서는, 슬라이딩 이동 돌기부(42) 및 가이드 돌기부(43)가 각각 4개 형성되어 있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슬라이딩 이동 돌기부(42) 및 가이드 돌기부(43)는 예를 들면, 하나씩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하나의 도망부(55e)가 평면에서 보아 C자 형태로 형성되고, 그 양 주단부가 가이드 돌기부(43)를 둘레 방향으로 사이에 끼우고 있어도 좋다.
또한, 제1 경사면(43b)과 제1 수직면(43a)이 이루는 각도와, 제2 경사면(42b)과 제2 수직면(42a)이 이루는 각도는 서로 동등하지 않아도 좋다. 또한, 슬라이딩 이동 돌기부(42)는 내변환통부(132)에서 지름 방향으로 외측을 향해 돌출하는 원주 형태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 제2 변형예에서는, 외장부(15) 및 중간 접시(16)의 용기체(11)에 대한 용기축(O) 주위의 회전을 일방향으로만 허용하는 래칫 기구를 채용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외장부(15) 및 중간 접시(16)가 용기체(11)에 대해 용기축(O) 주위의 양 방향으로 일체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더욱, 조형물을 보다 정밀도 좋게 형성하기 위해서, 토출기(14)의 토출 밸브 대신에, 예를 들면, 스템(19)의 한 번의 누름 조작에 의해 일정량의 내용물이 토출되는 정량 밸브를 채용해도 좋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상기 실시형태에서의 구성요소를 주지의 구성요소로 치환하는 것은 적절히 가능하며, 또한, 상기한 변형예를 적절히 조합하여도 좋다.
다음에, 이상 설명한 작용 효과의 검증 시험에 대해 설명한다.
본 검증 시험에서는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조형 헤드를 준비했다.
실시예 1로서, 상기 제1 실시형태에서 나타낸 조형 헤드(10)에 있어서, 내면에, 제1 내측 돌기부(40a), 및 제2 내측 돌기부(41)가 형성된 성형 구멍(26)이, 외장부(15)의 정상벽부(24)의 외주연부에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정상벽부(24)에 있어서 외주연부보다 지름 방향으로 내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성형 구멍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구성을 채용했다.
실시예 2로서, 도 1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실시예 1의 성형 구멍(26)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고, 또한 성형 구멍(26)의 폭 방향으로 중앙부를 지나는 직선을 기준으로 거울상 관계에 있는 성형 구멍(126)이, 외장부(15)의 정상벽부(24)의 외주연부에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고, 정상벽부(24)에 있어서 외주연부보다 지름 방향으로 내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성형 구멍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조형 헤드를 채용했다. 실시예 2에서는, 대향면(26a)이 지름 방향으로 외측에 위치하여 지름 방향으로 내측을 향하고, 안내면(26b)이 지름 방향으로 내측에 위치하여 지름 방향으로 외측을 향하고 있다.
실시예 1의 성형 구멍(26) 및 실시예 2의 성형 구멍(126) 각각의 크기는 서로 동일하게 했다. 실시예 1, 2와 함께, 스템(19)의 상단 개구부(19a)를, 정상벽부(24)의 공급면(28)에서의 지름 방향으로 중앙부에 대향시켰다.
그리고,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각 조형 헤드의 성형 구멍(26, 126)을 통과하여 조형면(27)에 도달한 내용물 M을 사진 촬영했다.
결과를 도 17A, 도 17B, 도 18A 및 도 18B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에서는, 도 17A 및 도 1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용물 M을 지름 방향으로 외측을 향해 경사진 상태로 조형면(27) 상에 위치시킬 수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2에서는, 도 18A 및 도 1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용물 M을, 지름 방향으로 내측을 향해 기울어진 상태로 조형면(27) 상에 위치시킬 수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즉, 안내 돌기부(40)의 형상을 변경시킴으로써, 조형면(27) 상에 대해 조형편이 기울어지는 방향을 설정할 수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성형 구멍의, 토출 구멍으로부터의 거리, 형상 및 크기 등에 의존하지 않고, 조형편의 형태를, 정밀도를 유지하면서 조정할 수 있다.
10 조형 헤드
15 외장부
16 중간 접시
19a 토출 구멍(스템의 상단 개구부)
24 정상벽부
26, 126 성형 구멍
26a 대향면(다른 쪽의 내면, 측면) 
26b 안내면(측면)
27 조형면
28 공급면
35 확산실
40 안내 돌기부 
40b 외측 돌기부
40a 제1 내측 돌기부
41 제2 내측 돌기부

Claims (16)

  1. 내용물이 토출되는 토출 구멍의 상방에 배치되어 설치되는 동시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성형 구멍이 형성된 정상벽부를 가지고, 상기 정상벽부 중 상방을 향하는 조형면에 상기 성형 구멍을 통과한 내용물을 토출시키는 외장부와,
    상기 외장부 내에 배치되어, 상기 정상벽부 중 하방을 향하는 공급면과의 사이에, 상기 토출 구멍으로부터의 내용물을 상기 조형면을 따르는 지름 방향으로 확산하여 상기 성형 구멍에 공급하는 확산실을 구획하는 중간 접시를 구비하고,
    상기 확산실로부터의 내용물이 상기 복수의 성형 구멍을 각별하게 통과하여 형성되는 복수의 조형편을, 상기 조형면에서 조합하여 조형물을 형성하는 조형 헤드로서,
    상기 복수의 성형 구멍 중 적어도 하나의 내면, 또는, 상기 복수의 성형 구멍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공급면에서의 개구 주연부에는, 내용물을 충돌시켜 상기 성형 구멍에서의 상기 조형면측 개구에 안내하는 안내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조형 헤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성형 구멍 중 적어도 하나는, 상하 방향을 따르는 종단면에서 보아, 적어도 상기 조형면측 단부가, 상기 공급면측에서 상기 조형면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대향하는 다른 쪽 내면에서 이간하도록 연장하는 안내면을 갖는 조형 헤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면 중, 적어도 상기 조형면측 단부는, 상기 종단면에서 보아 돌출 곡선 형태를 나타내는 조형 헤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돌기부는, 상기 종단면 모습에 있어서, 상기 공급면에서의 상기 성형 구멍의 개구 주연부 중, 상기 성형 구멍의 상기 안내면에 이어지는 부분에서 하방을 향해 돌출하는 외측 돌기부를 구비하는 조형 헤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돌기부는, 상기 종단면 모습에 있어서, 상기 공급면에서의 상기 성형 구멍의 개구 주연부 중, 상기 성형 구멍의 상기 안내면에 이어지는 부분에서 하방을 향해 돌출하는 외측 돌기부를 구비하는 조형 헤드.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돌기부는, 상기 종단면 모습에 있어서, 상기 성형 구멍에서의 상기 다른 쪽 내면에서 상기 안내면을 향해 돌출하는 제1 내측 돌기부를 구비하는 조형 헤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종단면 모습에 있어서, 상기 성형 구멍의 상기 안내면 중, 상기 다른 쪽 내면에 형성된 상기 제1 내측 돌기부보다 하방에 위치하는 부분에, 상기 다른 쪽 내면을 향해 돌출하는 제2 내측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조형 헤드.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성형 구멍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조형면측 개구 면적이, 상기 공급면측 개구 면적보다 작은 조형 헤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성형 구멍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조형면측 개구 면적이, 상기 공급면측 개구 면적보다 작은 조형 헤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성형 구멍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조형면측 개구 면적이, 상기 공급면측 개구 면적보다 작은 조형 헤드.
  11.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성형 구멍 중 적어도 하나는 긴 구멍이 되고,
    상기 안내 돌기부는, 상기 긴 구멍을 구획하는 내면 중, 상기 긴 구멍이 연장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측면, 또는, 상기 공급면에서의 상기 긴 구멍의 개구 주연부 중, 상기 측면에 이어지는 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조형 헤드.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성형 구멍 중 적어도 하나는 긴 구멍이 되고,
    상기 안내 돌기부는, 상기 긴 구멍을 구획하는 내면 중, 상기 긴 구멍이 연장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측면, 또는, 상기 공급면에서의 상기 긴 구멍의 개구 주연부 중, 상기 측면에 이어지는 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조형 헤드.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성형 구멍 중 적어도 하나는 긴 구멍이 되고,
    상기 안내 돌기부는, 상기 긴 구멍을 구획하는 내면 중, 상기 긴 구멍이 연장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측면, 또는, 상기 공급면에서의 상기 긴 구멍의 개구 주연부 중, 상기 측면에 이어지는 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조형 헤드.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성형 구멍 중 적어도 하나는 긴 구멍이 되고,
    상기 안내 돌기부는, 상기 긴 구멍을 구획하는 내면 중, 상기 긴 구멍이 연장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측면, 또는, 상기 공급면에서의 상기 긴 구멍의 개구 주연부 중, 상기 측면에 이어지는 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조형 헤드.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성형 구멍 중 적어도 하나는 긴 구멍이 되고,
    상기 안내 돌기부는, 상기 긴 구멍을 구획하는 내면 중, 상기 긴 구멍이 연장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측면, 또는, 상기 공급면에서의 상기 긴 구멍의 개구 주연부 중, 상기 측면에 이어지는 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조형 헤드.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성형 구멍 중 적어도 하나는 긴 구멍이 되고,
    상기 안내 돌기부는, 상기 긴 구멍을 구획하는 내면 중, 상기 긴 구멍이 연장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측면, 또는, 상기 공급면에서의 상기 긴 구멍의 개구 주연부 중, 상기 측면에 이어지는 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조형 헤드.
KR1020197024920A 2017-02-28 2018-02-21 조형 헤드 KR1024708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037727 2017-02-28
JP2017037727A JP7122807B2 (ja) 2017-02-28 2017-02-28 造形ヘッド
PCT/JP2018/006206 WO2018159410A1 (ja) 2017-02-28 2018-02-21 造形ヘッ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3734A true KR20190123734A (ko) 2019-11-01
KR102470854B1 KR102470854B1 (ko) 2022-11-28

Family

ID=63371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4920A KR102470854B1 (ko) 2017-02-28 2018-02-21 조형 헤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254487B2 (ko)
EP (1) EP3590868B1 (ko)
JP (1) JP7122807B2 (ko)
KR (1) KR102470854B1 (ko)
CN (1) CN110366530A (ko)
WO (1) WO2018159410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55575A2 (de) * 1986-05-09 1988-02-10 Haunschild, Oliver Nagellack-Sprühapplikator
JP2002066388A (ja) * 2000-08-29 2002-03-05 Toyo Aerosol Ind Co Ltd エアゾール用噴射ノズル
JP2006150279A (ja) * 2004-11-30 2006-06-15 Kao Corp 発泡吐出器
JP2016010919A (ja) 2014-06-30 2016-01-21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吐出容器に装着される造形ヘッド
JP2016026962A (ja) * 2014-06-30 2016-02-18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吐出容器に装着される造形ヘッド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90331A (en) * 1971-06-14 1974-02-05 M Backer Extruding flower designs
US4341348A (en) * 1980-11-10 1982-07-27 Dearling Neal S Direct and indirect fragrance dispensing device
JPH03100186U (ko) * 1990-02-01 1991-10-18
FR2744104B1 (fr) * 1996-01-29 1998-03-20 Oreal Dispositif de conditionnement, de distribution et d'application d'un gel ou mousse
JP6598677B2 (ja) * 2015-06-30 2019-10-30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吐出面に内容物を吐出する吐出容器
JP6481859B2 (ja) 2015-08-07 2019-03-13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コネクタ嵌合装置
WO2017111130A1 (ja) * 2015-12-25 2017-06-29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吐出面に内容物を吐出する吐出容器
JP6910142B2 (ja) * 2016-12-28 2021-07-28 株式会社吉野工業所 造形面に内容物を吐出する吐出容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55575A2 (de) * 1986-05-09 1988-02-10 Haunschild, Oliver Nagellack-Sprühapplikator
JP2002066388A (ja) * 2000-08-29 2002-03-05 Toyo Aerosol Ind Co Ltd エアゾール用噴射ノズル
JP2006150279A (ja) * 2004-11-30 2006-06-15 Kao Corp 発泡吐出器
JP2016010919A (ja) 2014-06-30 2016-01-21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吐出容器に装着される造形ヘッド
JP2016026962A (ja) * 2014-06-30 2016-02-18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吐出容器に装着される造形ヘッ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590868A4 (en) 2020-11-04
JP2018140837A (ja) 2018-09-13
WO2018159410A1 (ja) 2018-09-07
US20200024064A1 (en) 2020-01-23
JP7122807B2 (ja) 2022-08-22
EP3590868B1 (en) 2023-10-11
KR102470854B1 (ko) 2022-11-28
EP3590868A1 (en) 2020-01-08
US11254487B2 (en) 2022-02-22
CN110366530A (zh) 2019-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69460B2 (en) Molding head mounted on discharge container
WO2012105207A1 (ja) 泡吐出器
EP3779171B1 (en) Valve device
KR20130100002A (ko) 거품 토출기
EP3564154B1 (en) Discharge container for discharging contents onto modeling surface
JP6277094B2 (ja) 吐出面に内容物を吐出する吐出容器
KR20190123734A (ko) 조형 헤드
JP6568806B2 (ja) 吐出面に内容物を吐出する吐出容器
JP6389770B2 (ja) ノズル部材
JP2015163518A (ja) 泡吐出器
JP5000200B2 (ja) 吐出容器
KR102606672B1 (ko) 토출면에 내용물을 토출하는 토출 용기
EP1518525B1 (en) A droplet nozzle for use in eye drop container
JP2014009013A (ja) 塗布容器
US20230018794A1 (en) Valve device
JP2008260539A (ja) ピストンおよびそのピストンを使用した流動体容器
JP2018052566A (ja) 造形面に内容物を吐出する吐出容器
JP6431318B2 (ja) エアゾール容器用吐出ヘッド
JP6240522B2 (ja) フォーマディスペンサ
JP6902968B2 (ja) 造形ヘッド
JP6598675B2 (ja) 吐出面に内容物を吐出する吐出容器
JP2017225478A (ja) 液体容器
JP2015127222A (ja) 繰出容器
JP2011046431A (ja) 中皿上昇式吐出容器
JP2000238823A (ja) 液体噴出ポン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