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3611A - 프로폴리스와 참다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및 항진균 천연물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프로폴리스와 참다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및 항진균 천연물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3611A
KR20190123611A KR1020180047506A KR20180047506A KR20190123611A KR 20190123611 A KR20190123611 A KR 20190123611A KR 1020180047506 A KR1020180047506 A KR 1020180047506A KR 20180047506 A KR20180047506 A KR 20180047506A KR 20190123611 A KR20190123611 A KR 201901236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natural product
propolis
product composition
bac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7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중모
권이성
서동석
이정원
엄미정
김태현
김태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포코리아
서동석
권이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포코리아, 서동석, 권이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포코리아
Priority to KR10201800475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23611A/ko
Publication of KR201901236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361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3Arthropods
    • A61K35/64Insects, e.g. bees, wasps or fleas
    • A61K35/644Beeswax; Propolis; Royal jelly; Hone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08Tissues; Wipes; Pa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species other than mammals or birds
    • A61K8/988Honey; Royal jelly, Propol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34Urogenital system, e.g. vagina, uterus, cervix, penis, scrotum, urethra, bladder; Personal lubric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5/00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 A61P15/02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for disorders of the vagin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0Antimyco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rd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Gynecology & Obstetrics (AREA)
  • Onc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docrin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로폴리스 및 참다래 추출물을 활성 성분으로 포함하는 질염의 원인이 되는 진균류인 칸디다알비칸스(Candida albicans)에 대한 항진균활성과 일반세균인 가드네렐라 바지날리스(Gardnerella Vaginalis)에 대한 항균활성이 우수한 천연물 조성물과 이 천연물 조성물을 포함하여 제조되는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프로폴리스와 참다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및 항진균 천연물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Anti-bacterial and anti-fungal natural product composition comprising propolis and kiwi extract and Ladies genital area cleanser composition manufactured using the anti-bacterial and anti-fungal natural product composition}
본 발명은 항균 및 항진균 효과를 갖는 천연물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질염의 원인이 되는 진균류인 칸디다알비칸스(Candida albicans)에 대한 항진균활성과 일반세균인 가드네렐라 바지날리스(Gardnerella Vaginalis)에 대한 항균활성이 우수한 천연물 조성물과 상기 천연물 조성물을 포함하여 제조되는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여성의 질은 외음부와 자궁의 연결 통로로 여성의 몸에서 가장 습기가 많고 따뜻한 곳이다 따라서 질염의 주원인인 세균이나 곰팡이가 서식하기 적합한 환경이므로 그로 인한 질환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정상적인 조건에서는 질 내부에 많은 유산균이 서식하면서 질 내부를 약산성으로 만들어 병원균이나 곰팡이가 증식하는 것을 억제하지만, 항생제 장기복용이나 피임약 장기복용, 탐폰이나 루프사용 또는 임신이나 출산, 수유, 폐경 등으로 여성 호르몬의 균형 변화 등의 이유로 질 내부의 균형이 깨어질 때 질 내에서 정상적인 조건에서는 성장이 통상적으로 억제되는 기회감염성 병원체의 증식이 일어나 질염이 발병할 수 있다.
질염은 세균성 질염(bacterial vaginosis), 칸디다성 질염(Candida vaginitis), 트리코모나스 질염(Trichomonas vaginitis), 위축성 질염(Atrophic vaginitis)등이 보고되어 있다.
가장 흔한 질환은 세균성 질염(Bacterial vaginosis)으로, 가드네렐라 바지날리스(Gardnerella vaginalis)에 의해 발병한다. 이 질염은 질 내 산도의 불균형으로 질 내에 서식하는 유산균이 줄어드는 반면 1% 미만으로 존재하던 혐기성 세균이 과증식하여 발생한다.
정상 질 세균의 변화를 일으키는 유발인자에 관해서는 알려지지 않았으나, 잦은 성교나 질 세척으로 질의 반복되는 알칼리성화가 그 역할을 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정상적으로 있어야 할 과산화수소를 생성하는 유산균이 소실되면 정상 질 세균총의 재생은 어려워지기 때문에 세균성 질염의 재발이 자주 일어난다.
또한, 세균성 질염을 앓은 여성은 골반 내 감염 (Pelvic inflammatory disease, PID), 유산 후 PID, 자궁 절제술 후 질정염(postoperative cuff cellulitis), 비정상 자궁경부 세포진 등 심각한 후유증의 빈도가 높아지며 임산부는 조기 양막파수, 조기진통, 조산, 융모양막염(chorioamnionitis), 제왕절개술 후 자궁내막염 등의 위험이 있다.
세균성 질염과 함께 흔한 질환인 칸디다성 질염 (Candida vaginitis)은 진균인 칸디다 알비칸스 (Candida albicans)균이 습한 음부에 서식하면서 염증을 일으키는 질환으로서, 약 75%의 여성이 살아가는 동안 한 번 이상 질과 외음부의 칸디다성 질염을 겪으며 45%의 여성이 1년에 2회 이상의 재발을 겪는 흔한 질환이다 건강한 사람의 구강, 장, 질 등에 정상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칸디다(주로 Candida albicans)가 임신이나 경구용 피임약 장기 복용 등으로 여성 호르몬의 상태가 비정상적일 때, 감기나 당뇨병, 에이즈의 이유로 면역성이 극도로 쇠약할 때 감염을 유발하게 된다 비만, 항생제의 알레르기나 관절염 등의 치료제로 쓰이는 부신 피질 호르몬의 복용 등에 의해서도 발병할 수 있다.
항생제의 투여로 인한 발병은 항생제가 질 내의 유익한 유산균을 죽임으로써 발생하는데 이런 경우 재발의 가능성도 크다 너무 꼭 끼는 거들이나 바지 등을 입어 통풍이 안 되거나 목욕 후 외음부의 물기를 잘 닦지 않아 젖은 팬티를 입은 경우, 생리 중 패드를 자주 갈지 않는 경우에도 잘 발생한다. 질에 칸디다 알비칸스가 서식하고 있는 여성의 50%만이 증상이 있는데 주증상은 냉이 많아지고 피부에 염증 반응이 생겨서 가려운 것이며, 병의 종류와 정도 또는 2차 세균 감염 등에 따라서 피부가 벗겨지거나 고름이 나오는 등 차이가 있다 특징적 증상으로는 짙고 하얀 분비물이 나오며, 외음부는 매우 신경이 예민하여 아프거나 때로 부종과 염증이 생기기도 한다 작열감, 성교통, 부종, 외음부 통증 등이 있고 임상 소견으로는 외음부 및 질의 홍반, 울혈, 표피박리, 소포, 농포, 등을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여성 질환을 예방하기 위하여 청결제(질 세정제), 외음부 세정제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질염을 예방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국부용 세정제로는 지방산류 또는 증류된 라우릴 알코올(lauryl alcohol) 등을 설폰화 하고 완화제, 점증제, 영양제, 기포제, 유기 살균제 등을 합성한 투명 또는 로숀(lotion) 타입의 것이 출하된 바 있다 또한 세정력을 지닌 계면 활성제 및 의약품으로서의 포비돈-요오드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도 있다 상기한 화학적 합성에 의한 소독제인 포비돈-요오드는 칸디다성 질염, 트리코모나스 질염 및 기타 질 감염증의 예방 및 치료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요오드 등의 과민 증상이나 점막 손상에 의한 소양감, 작열감, 피부 궤양, 접촉성 피부염 등을 일으킬 우려가 있으며 질 내 무기 요오드 또는 혈중 총 요오드 수치가 상승하여 갑상선 기능 저하증을 유발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의약품으로서의 소독제의 사용에 의한 부작용을 해소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로서는, 건강한 여성은 질 내 유익 미생물에 의한 젖산 분비에 의해 질 내 산도가 pH 3.2로 유지되며 이러한 낮은 산도에서는 대부분의 유해균이 증식 억제 내지 사멸한다는 점에 기초하여, 젖산을 주성분으로 하며 우유에서 추출한 락토세럼(lactoserum)을 첨가한 pH 3.5의 완충 용액 제제가 제안되어 있으나, 이것은 여성용 청결제라고 보기는 어려우며 질 내 pH를 정상 상태로 유지시키는 질 내 적정 산도 유지제이며, 근본적인 치료와 예방을 기대하기는 힘들다.
또한, 질염의 일반적인 치료제로서 Polyene계 약물에는 nyststin, amphotericinB가 있다 Azole계 약물에는 ketoconazole, miconazole과 같은 imidazole계 약물과 itraconazole, fluconazole과 같은 triazole계 약물이 있다.
상기와 같은 항생제가 적절한 항생제라 할지라도, 충분치 못 한 양을 투여했을 경우에는 병균은 죽지 않고 내성으로 인하여 오히려 차후 치료에 더 큰 어려움을 낳는다 또 한 세정제로 사용되는 물리화학적 질 세정제는 장기간 사용시 세정효과가 저하되고 잡균은 제거되는 대신 진균이 증가하며, 악취 및 불쾌한 냄새 제거 효과가 저해되는 등 한계가 존재하였다 상기와 같은 많은 방법이 개발이 되어 있더라도 재발이 잘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질염 예방 및 치료제의 결점을 보완하고자, 생약을 이용하여 제조된 생리대 도포용 조성물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1-0014909호) 및 생리대 패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2-0062474호), 한천을 이용한 국부세척용 세제(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001672호)가 개시되어 있으며, 여성 국부세정용 조성물과 관련하여 점막부위에 세정 제거가 용이하며 안전한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 (대한민국 특허 출원 제10-2004-0072503호), 죽염 및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대한민국 특허 출원 제10-2004-0085458호), 석류피 추출물을 함유한 질 세정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대한민국 특허 출원 제10-2004-0085204호), 질염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한 유효성분의 추출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추출된 추출물을 함유하는 세정제 조성물(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10-2003-004587호), 고삼, 애엽, 작약 및 홍삼을 포함하는 여성 국부세정용 한방 조성물(대한민국 특허 출원 제10-2009-0023172호)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조성물 이외에도 다양한 종류의 여성 국부 세정용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질 세정 및 이상증상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여러 가지 약물이 제시되고 있으나 사용의 부위가 매우 민감한 점막 부위임을 염두에 둔 자극성이 없는 약물의 제시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자극성과 부작용이 없는 천연추출물을 이용한 조성물에 대한 지속적인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새로운 기술의 개발이 필요한 현실이다.
1. 대한민국 특허 출원 제10-2004-0085458호 2. 대한민국 특허 출원 제10-2009-0023172호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천연물 이용하여, 질염 원인균 세균 및 진균에 대하여 모두 우수한 항균력을 보일 뿐만 아니라, 안정성이 높으며, 질염 원인균을 항균하는 기능 외에 질 내의 pH를 유지하여 질 내의 유산균을 보존시키는 기능을 하는 천연물로 구성된 항균 및 항진균 효과를 갖는 항균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인체 친화적인 천연물을 이용하여, 부작용이 있는 기존의 화학 약품과 달리, 부작용 및 자극성이 없고 질염 환자의 병변을 경감시키고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요인을 예방함으로써 증상의 예방, 치료에 우수하며, 그 효과의 우수성을 제품화하는 과정 또는 본 발명의 항균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여러 가지 제형을 갖는 세정제 등의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에 적용할 때, 그 제형 가공이 편리하고 제품에 적용시에 효과가 저하되는 현상이 전혀 없어 다양한 형태의 제형 제조 및 이에 맞게 적용, 사용되도록 제품화하여 질염 환자가 편리하게 여러 가지 제형을 사용 가능할 수 있는 조성물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프로폴리스 및 참다래 추출물을 활성 성분으로 포함하여 항균 및 항진균 효과를 나타내는 천연물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항균 및 항진균 효과를 나타내는 천연물 조성물은 연잎 추출물, 키토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항균 및 항진균 효과를 나타내는 천연물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참다래 추출물은 상기 프로폴리스 100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25중량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항균 및 항진균 효과를 나타내는 천연물 조성물에 있어서, 연잎 추출물, 키토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는 프로폴리스 100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35중량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항균 및 항진균 효과를 나타내는 천연물 조성물은 진균류인 칸디다알비칸스(Candida albicans)와 세균인 가드네렐라 바지날리스(Gardnerella Vaginalis)에 대하여 활성을 보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프로폴리스 및 참다래 추출물을 활성 성분으로 포함하는 천연물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은 연잎 추출물, 키토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천연물 조성물은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1.0 ~ 50중량%로 포함되어 있고, 상기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은 칸디다성 질염 및 세균성 질염의 예방용으로서 세정제용, 화장료용, 또는 물티슈용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자연으로부터 얻은 천연물로 이루어져 인체에 적용하여 피부 점막 자극과 같은 부작용 및 세포 독성 등의 위험부담이 없으며,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활성이 매우 우수하여 칸디다성 질염과 세균성 질염의 병변을 경감시키고 발생하는 원인인 지속적으로 예방함으로써 상기 질염의 예방, 치료에 우수한 효과를 발휘하며, 여러 제형의 화장품, 약품, 세정제, 물티슈 등에 적용할 때 그 제형으로의 가공의 편리성과 적용 시의 효과 유지가 되어 다양한 형태의 제품화가 가능하다. 따라서, 칸디다성 질염 및 세균성 질염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해 편리하게 여러 가지 제형으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질염의 예방 및 치료용 청결제로서 기능성 측면, 제품 사용화 측면 및 상품성 측면에서 탁월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프로폴리스 및 참다래 추출물을 활성 성분으로 포함하여 항균 및 항진균 효과를 나타내는 천연물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항균 및 항진균 효과를 나타내는 천연물 조성물은 연잎 추출물, 키토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항균 및 항진균 효과를 나타내는 천연물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참다래 추출물은 상기 프로폴리스 100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25중량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항균 및 항진균 효과를 나타내는 천연물 조성물에 있어서, 연잎 추출물, 키토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는 프로폴리스 100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35중량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항균 및 항진균 효과를 나타내는 천연물 조성물은 진균류인 칸디다알비칸스(Candida albicans)와 세균인 가드네렐라 바지날리스(Gardnerella Vaginalis)에 대하여 활성을 보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프로폴리스 및 참다래 추출물을 활성 성분으로 포함하는 천연물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은 연잎 추출물, 키토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천연물 조성물은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1 ~ 50중량%로 포함되어 있고, 상기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은 칸디다성 질염 및 세균성 질염의 예방용으로서 세정제용, 화장료용, 또는 물티슈용인 것일 수 있다.
상기 프로폴리스는 꿀벌이 자신의 생존과 번식을 위해 여러 식물에서 뽑아낸 수지와 같은 물질에 자신의 침과 효소 등을 섞어서 만든 물질로 러시안 페니실린·천연페니실린이라고도 한다.
이러한 프로폴리스에는 다음의 성분들이 함유되어 있다.
① 플라보노이드류 : 프로폴리스의 주성분인 플라보노이드류는 항균 작용, 항염증 작용, 항산화 작용 등 주된 약리 효과를 나타내는 성분으로 알려졌으며, 주요 구성 성분으로는 크라이신, 아피게닌, 아카세틴, 퀘르세틴, 갈랑긴, 피노셈브린, 켐페라이드, 피노반크신, 피노스트로빈, 루테올린, 아르테필린 C, 페룰린산, 벤조인산, 몰식자산(gallic acid), 계피산과 그 유도체들, 카페인산과 그 esters 등이 있다.
② 아미노산 : 프로폴리스는 미량의 아미노산을 함유하는데, 주로, 아스파틱산, 세린, 글루타민산, 프롤린, 글리신, 알라닌, 시스테인, 발린 등 10 여종 이상의 아미노산이 함유되어 있다.
③ 미네랄 및 중금속 : 프로폴리스에는 철, 아연, 망간 등 미량의 미네랄이 함유되어 있으며 인체에 유해한 중금속인 비소와 수은은 전혀 검출되지 않고 있으며, 납은 검출되지 않거나 1ppm 이하로 검출되어 식품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프로폴리스는 항균 작용, 항염증 작용, 항산화 작용, 면역 작용 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는 프로폴리스의 항균 작용 및 항염증 작용에 주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핵심 성분으로서 사용하나 프로폴리스만으로는 질염의 원인이 되는 진균류인 칸디다알비칸스(Candida albicans)에 대한 항진균활성과 일반세균인 가드네렐라 바지날리스(Gardnerella Vaginalis)이 부족하여 참다래 추출물과 병용하여 그 효과를 배가시켜 본 발명을 완성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의 프로폴리스는 어떠한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것이든 무방하며, 수용성인 프로폴리스, 알코올 등 유기 용매에 용해되는 프로폴리스는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이어서 본 발명에 사용되는 참다래 추출물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참다래(Kiwifruit; Actinidia Chinensis, Planch)는 본초강목에는 심한 갈증을 열 내리고 하여 열에 의한 소화기관의 장애를 치료하는 것으로 한방적 효능이 알려졌다. 참다래 추출물에 관한 의약적 효과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4-18118호에는 항알러지 및 항염증성 활성을 갖는 참다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996-37061호에는 간 기능 보호작용 및 암예방 효과를 나타내는 목화의 개화기 이전의 미성숙 다래로부터의 추출물의 생리학적 용도가 개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4-21716호에는 진통 및 소염 활성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참다래에는 단백질 분해 효소인 액티디닌(Actinidin)이 1kg당 2-3g이 존재하며 육류의 단백질을 분해하여 부드럽게 하는데 큰 효과가 있다 또한 참다래를 천연재료로 사용할 경우 비타민 C, E, K는 사과의 17배, 오렌지의 2배, 자몽의 3배나 높아 피부재생 및 미백효과와 피부 진정과 탄력 효과(배영희, 2000; 정명화, 2005; 김희선, 2005)가 알려졌으나, 다래 추출물이 프로폴리스와 병용 사용되어 항균 및 항진균 효과를 향상시키는 효과에 대해서는 전혀 추론할 수 있는 근거나 없었으나 본 발명자들에 의해 이 효과를 찾아내어 본 발명에 응용하게 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참다래 추출물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널리 알려진 것이라면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추출 용매 역시 물 내지 유기 용매 등 어떠한 것도 제한이 없으며 피부 자극성이 적은 물 추출을 사용하는 유용할 수 있다.
상술한 프로폴리스와 참다래 추출물은 혼합 비율은 본 발명자의 다양한 시험 결과 프로폴리스 100중량부에 대하여 참다래 추출물 5 내지 25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본 발명은 그 효과를 배가시키기 위하여 연잎 추출물, 키토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잎 추출물에 대하여 설명하면, 연(Nelumbo nucifera)은 수생식물 중 부엽 식물에 속하는 쌍떡잎식물로서 통상 꽃은 관상용과 차의 재료로 이용해 왔으며 잎과 뿌리는 식용하여 왔다 또한, 연잎은 주로 건조된 형태로 맛이 쓰고 성질은 유하며 예로부터 출혈성 위궤양이나 위염, 치질, 출혈, 설사, 두통과 어지럼증, 토혈, 산후 어혈치료, 야뇨증, 해독작용 등에 쓰여 민간치료제로도 이용되어 왔다. 이와 같은 연잎에서 분리된 생리활성 성분으로는 다양한 알칼로이드(alkaloid)류와, 방향족산(aromatic acid)류, 그리고 퀘세틴(quercetin), 루틴(rutin)을 포함한 여러 플라보노이드(flavonoid)류들이 포함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의 연잎 추출물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 널리 알려진 것이라면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 가능하며, 추출 용매 역시 특별한 제한이 없으나 피부 자극성이 적은 물 추출을 사용하는 유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키토산은 게, 가재 또는 새우 껍질에 들어 있는 키틴을 탈아세틸화하여 얻어낸 물질을 말한다. 1811년 프랑스의 자연사학자 브라코노가 버섯에 포함되어 있는 미지의 성분, 즉 키틴을 발견한 것이 시초이다 그 후 1859년 화학자 루게가 키틴을 아세틸화하여 새로운 물질을 얻어냈으며, 1894년에 과학자 후페 자이라가 이를 키토산이라 명명하였다.
그 특성은 노폐해진 세포를 활성화하여 노화를 억제하고 면역력을 강화해주며 질병을 예방해준다 또한 생체의 자연적인 치유 능력을 활성화하는 기능과 함께 생체 리듬을 조절해준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서 상기 키토산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널리 알려진 것이라면 특별한 제한이 없으나,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 등에 적용하기 적합하도록 저분자의 수용성 키토산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00~10,000 달톤인 저분자 수용성 키토산을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 연잎 추출물, 키토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는 프로폴리스 100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35중량부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항균 및 항진균 효과를 가지는 조성물은 그 사용에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질염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 등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은 세정제용, 약제용, 화장료용, 물티슈용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세정제용은 스프레이형, 액상형, 젤형, 분말, 고형의 비누, 폼 타입 등으로 제형화된 것일 수 있고, 상기 화장료용은 임의로 제형을 선택할 수 있되 종래의 일반적 화장료 제형인 로션, 화장수, 크림, 에센스, 에어로졸, 파우더, 오일 또는 미스트 등으로 제조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약제용은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로서 정제, 환지,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으로 제형화된 것일 수 있고, 비 경구투여를 위한 형태로서 크림, 연고, 로션, 드레싱용액, 분무제, 기타 도포제 등으로 제형화된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질염은 칸디다성 질염인 것으로서, 칸디다성 질염의 원인균이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인 것일 수 있으며, 또한 세균성 질염인 것으로서, 세균성 질염의 원인균인 가드네렐라 바지날리스(Gardnerella vaginalis)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한 천연물 조성물은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에 사용되는 경우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1.0 내지 50중량%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함량이 1.0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실질적인 항균 및 항진균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상기 5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제형에 맞는 제품의 제조에 어려움이 있다는 점에서 수치 한정의 의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화장료용 여성 청결제 조성물은 상기한 생약추출물 외에도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하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피부 외용제에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각종 성분, 예를 들면 수용성 성분, 분말성분, 유분, 계면활성제, 보습제, 점도 조절제, 방부제, 산화방지제, 향료, 색소 등을 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 화장료용 여성 청결제 조성물은 유분, 물, 계면활성제, 보습제, 점증제, 킬레이트제, 색소, 방부제, 및 향료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천연물 조성물 1.0 ~ 50중량%; 계면활성제 0.1 ~ 0.2중량%; 알카리금속벤조에이트 0.01 ~ 0.02중량%; 및, 잔량 정제수를 포함하는 질염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스프레이형 세정제 조성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천연물 조성물 0.1 내지 20중량%; 디메치콘코폴리올 5 ~ 15중량%; 사이클로메치콘 5 ~ 15중량%; 우레아 10 ~ 30중량%; 글리세린 10 ~ 30중량%; 트리에탄올아민 0.01 ~ 0.03중량%; 방부제 0.01~ 2중량%; 및, 잔량 정제수를 포함하는 질염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젤형 세정제 조성물로 제조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젤형은 비누 등의 세정제일 수 있으며, 젤형의 제형으로서의 세정제 조성물의 일체의 형태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천연물 조성물 1.0 ~ 50중량%; 소듐라우릴설페이트 1 ~ 3중량%; 우레아 0.5 ~ 15중량%; L-멘톨 0.2 ~ 0.7중량%; 폴리옥시에칠렌노닐페닐에텔 0.6 ~ 1중량%; 에탄올 10 ~ 20중량%; EDTA 0.02 ~ 0.08중량%; 방부제 0.01~2중량%; 및, 잔량 정제수를 포함하는 질염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액상형 세정제 조성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액상형은 액상비누 등의 세정제일 수 있으며, 액상형의 제형으로서의 세정제 조성물의 일체의 형태로 적용될 수 있다. 아울러, 액상형 제형을 부직포 또는 펄프에 도포하여 물티슈 형태로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천연물 조성물 1.0 ~ 50중량%; 왁스 10 내지 15중량%; 글린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5 내지 10중량%; 인산 알루미늄 01 내지 1중량%; 인산 제2철 0.1 내지 1중량%; 소르비톨 10 내지 30중량%; 전량 정제수를 포함하는 비누 등의 세정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더불어, 본 발명은 천연물 조성물로서 항균 및 항진균을 위한 약제학적 조성물, 항균 및 항진균 기능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항균 및 항진균 작용을 하는 피부 세정제, 항균 및 항진균 작용을 하는 소독제용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천연물 조성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약품, 화장품, 세정제, 소독제, 물티슈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천연물 조성물에 기호성 식품 성분을 첨가하여 통상적으로 알려진 방법에 의하여 각종 건강기능식품을 제조할 수 있고, 또한 일반적인 식품제형으로 제형화 될 수 있으며, 첨가성분은 제형에 따라 당업자가 적절하게 선택하여 배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 속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이하 '당업자'라고 한다)가 용이하게 실시 가능하도록 실시예를 포함하여 상세히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상술(詳述)한다.
<실시예: 천연물 조성물의 제조>
프로폴리스는 수용성으로 제조된 것을, 분자량이 5000달톤인 수용성 키토산을 시중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으며, 참다래 추출물과 연잎 추출물은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여 사용하였다.
참다래 추출물은 껍질을 제거한 후 믹서에서 분쇄한 참다래 과육을 증류수에 넣은 다음 100℃에서 30분간 열탕 추출한 다음 회전진공농축기로 농축하여 제조하여 사용하였다.
연잎 추출물은 건조하여 분쇄한 연잎을 사용한 것으로 제외하고는 참다래 추출물과 동일하게 제조하여 사용하였다.
후술하는 시험예에서는 아래의 표 1에서와 같은 비율로 제조된 조성물을 이용하였다.
프로폴리스 참다래 추출물 연잎추출물 키토산
함량 비율 중량부
비교예 1 100 0 0 0
비교예 2 0 100 0 0
조성물 1 100 15 0 0
조성물 2 100 15 15 0
조성물 3 100 15 0 15
조성물 4 100 15 15 15
<시험예 1: 디스크 확산법(Disc-diffusion method)에 의한 항진균활성 측정>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한 천연물 조성물의 항진균 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디스크 확산법을 이용하였다.
배양된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를 디스크 확산법 측정용 평판배지(Sabouraud Dextrose Agar Difco USA)에 100㎕씩 분주하여 도말한 후, 실시예에서 제조한 조성물을 멸균된 페이퍼 디스크에 5mg/disc의 농도로 시료를 점적한 후 배지 위에 올려놓았다 이에 대한 대조군으로 항진균제인 이트라코나졸 (Itraconazol)을 페이퍼디스크에 100㎍/disk의 농도로 시료를 점적한 후 배지 위에 올려놓았다 이 평판배지를 28℃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한 후 생육 저지환(Clean Zone)의 크기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냈다.
생육 저지환 크기(mm)
비교예 1 9
비교예 2 1
조성물 1 31
조성물 2 32
조성물 3 32
조성물 4 33
양성 대조군 32
상기 표 2의 결과를 보면 프로폴리스만을 사용한 비교예 1의 조성물에서는 항진균 효과가 나타났으나 양성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그 효과가 매우 미약하였으며, 참다래 추출물만을 사용한 비교예 2의 조성물은 항진균 효과를 거의 확인할 수 없었습니다.
그러나 이와 비교하여 프로폴리스와 참다래 추출물을 함께 사용한 조성물 1의 경우에는 양성 대조군과 거의 같은 정도의 항진균 활성을 보여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우수성을 명확하게 확인 수 있었다.
또한, 연잎 추출물, 키토산을 더 포함하는 조성물 2, 3 및 4의 경우에는 항진균 활성이 조금 더 상승한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2: 디스크 확산법(Disc-diffusion method)에 의한 항균활성 측정>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한 천연물 조성물의 항균 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디스크 확산법을 이용하였다.
배양된 가드네렐라 바지날리스(Gardnerella vaginalis)를 디스크 확산법 측정용 평판배지(Reinforced clostridial medium Difco USA)에 100㎕씩 분주하여 도말한 후, 실시예에서 제조한 조성물을 멸균된 페이퍼 디스크에 5mg/disc의 농도로 시료를 점적한 후 배지 위에 올려놓았다 이에 대한 대조군으로 항생제인 앰피실린(Ampicillin)을 페이퍼디스크에 10㎍/disk의 농도로 시료를 점적한 후 배지 위에 올려놓았다 이 평판배지를 37℃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한 후 생육 저지환(Clean Zone)의 크기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냈다.
생육 저지환 크기(mm)
비교예 1 15
비교예 2 4
조성물 1 29
조성물 2 32
조성물 3 32
조성물 4 33
양성 대조군 31
상기 표 3의 결과를 보면 프로폴리스만을 사용한 비교예 1의 조성물에서는 항균 효과가 나타났으나 양성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그 효과가 매우 미약하였으며, 참다래 추출물만을 사용한 비교예 2의 조성물은 항균 효과를 거의 확인할 수 없었습니다.
그러나 이와 비교하여 프로폴리스와 참다래 추출물을 함께 사용한 조성물 1의 경우에는 양성 대조군과 거의 같은 정도의 항균 활성을 보여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우수성을 명확하게 확인 수 있었다.
또한, 연잎 추출물, 키토산을 더 포함하는 조성물 2, 3 및 4의 경우에는 항진균 활성이 조금 더 상승한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3: 천연물 조성물의 세포 독성 실험>
섬유아세포(Human Diploid Fibroblast)를 세포를 96 wellplate에 5x 105cells/㎕의 농도로 희석하여 100㎕씩 접종한 후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 배지를 모두 제거하고, 무 혈청 배지를 넣은 well에 각각 90㎕씩 넣었다. 최종 농도가 각각 500㎍/㎕가 되도록 희석한 시료를 10㎕씩 각 well에 처리한 후 배양한다.
24시간 배양 후, Phosphate Buffered Saline(PBS)를 이용하여 5㎎/㎖의 농도로 녹여져 있는 MTT시약을 20㎕씩 넣어주고 4시간 배양하였다 MTT 시약과 시료가 포함된 배지를 모두 제거하고 각 well에 100㎕ acid isopropanol을 첨가하여 30분간 교반하고, ELISA reader를 이용하여 57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배양 후 36시간, 48시간 후에도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천연물 조성물 각각의 농도에서 섬유아세포의 cell viability를 측정한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이 결과로 보아, 본 발명의 조성물은 섬유아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이 없음을 확인할 수 있다.
생존율 (% of control)

24시간 후
조성물 1 100.5
조성물 2 100.4
조성물 3 100.3
조성물 4 100.3

36시간 후
조성물 1 98.2
조성물 2 98.2
조성물 3 98.1
조성물 4 98.1

48시간 후
조성물 1 98.1
조성물 2 98.1
조성물 3 98.1
조성물 4 98.1
<제형예 1: 질염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에어로졸 스프레이 제형의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 제조>
본 발명의 천연물 조성물을 포함하여 질염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을 에어로졸 스프레이 제형으로 제조하기 위해 아래의 성분에 의해 에어로졸 스프레이를 제조하였다.
<배합 성분 함량(중량%)>
천연물 조성물 20%
계면활성제 0.15%
알칼리금속벤조에이트 0.015%
정제수 잔량
<제형제 2: 질염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 제조 - 젤형의 제형 중 크림의 제조>
본 발명의 천연물 조성물을 포함하여 질염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을 제조하기위해 아래의 성분에 의해 크림을 제조하였다.
<배합 성분 함량(중량%)>
천연물 조성물 20%
디메치콘코폴리올 10%
사이클로메치콘 10%
우레아 20%
글리세린 200%
트리에탄올아민 0.02%
방부제 1%
정제수 잔량
<제형예 3: 질염 예방 또는 치료를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 제조 - 액상형 제형 중 물티슈의 제조>
본 발명의 천연물 조성물을 포함하여 질염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 아래의 성분에 의해 액상형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배합 성분 함량(중량%)>
천연물 조성물 20%
소듐라우릴설페이트 20%
우레아 10%
L-멘톨 0.5%
폴리옥시에칠렌노닐페닐에텔 0.8%
에탄올 15%
EDTA 0.05%
방부제 1%
정제수 잔량
상기와 같은 액상형 조성물을 제조하여 물티슈용 원단(부직포)에 도포하였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균등범위 내에서 이용 가능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7)

  1. 프로폴리스 및 참다래 추출물을 활성 성분으로 포함하여 항균 및 항진균 효과를 나타내는 천연물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연잎 추출물, 키토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및 항진균 효과를 나타내는 천연물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참다래 추출물을 상기 프로폴리스 100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25중량부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및 항진균 효과를 나타내는 천연물 조성물.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잎 추출물, 키토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상기 프로폴리스 100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35중량부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및 항진균 효과를 나타내는 천연물 조성물.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진균류인 칸디다알비칸스(Candida albicans)와 세균인 가드네렐라 바지날리스(Gardnerella Vaginalis)에 대하여 활성을 보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및 항진균 효과를 나타내는 천연물 조성물.
  6. 제 1항 또는 제 2항의 항균 및 항진균 효과를 나타내는 천연물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물 조성물은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1.0 ~ 50중량%로 포함되어 있고, 상기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은 칸디다성 질염 및 세균성 질염의 예방용으로서 세정제용, 화장료용, 또는 물티슈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
KR1020180047506A 2018-04-24 2018-04-24 프로폴리스와 참다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및 항진균 천연물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 KR201901236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7506A KR20190123611A (ko) 2018-04-24 2018-04-24 프로폴리스와 참다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및 항진균 천연물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7506A KR20190123611A (ko) 2018-04-24 2018-04-24 프로폴리스와 참다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및 항진균 천연물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3611A true KR20190123611A (ko) 2019-11-01

Family

ID=68535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7506A KR20190123611A (ko) 2018-04-24 2018-04-24 프로폴리스와 참다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및 항진균 천연물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23611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5458A (ko) 2003-03-31 2004-10-08 송태선 광픽업 장치
KR20090023172A (ko) 2007-08-31 2009-03-04 니혼 덴산 가부시키가이샤 척킹장치 및 이 척킹장치를 탑재한 브러시리스 모터 및 디스크 구동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5458A (ko) 2003-03-31 2004-10-08 송태선 광픽업 장치
KR20090023172A (ko) 2007-08-31 2009-03-04 니혼 덴산 가부시키가이샤 척킹장치 및 이 척킹장치를 탑재한 브러시리스 모터 및 디스크 구동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5709B1 (ko) 질염의 예방 또는 치료에 효과가 있는 항균제 조성물과 이를 포함하는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
KR101870780B1 (ko) 다마스크 장미꽃오일 및 프로폴리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
JP2018524400A (ja) 活性成分のためのペトロラタムベースの送達システム
WO2008140200A1 (en) External compositions for the skin
KR101864409B1 (ko) 한방 추출물 및 미생물 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살균 또는 항진균용 조성물
CN107007515A (zh) 一种女性私密护理液及其制备方法
KR101651530B1 (ko) 약초추출물을 이용한 여성청결제 제조방법
KR20160015718A (ko) 쇠비름 추출물 및 피톤치드를 함유하는 여성 청결제
CN109106806A (zh) 一种女性私密护理洗液及其制备方法
KR101253374B1 (ko) 여드름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50013994A (ko) 흑마늘박 발효물을 포함하는 두피 또는 모발 케어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6728630B (zh) 一种抗菌消炎组合物和私处护理产品
KR102148808B1 (ko) 천연 항균제를 포함하는 여성청결제 조성물
KR102133101B1 (ko) 백모화 및 쑥을 함유하는 여성청결제 조성물
KR101033921B1 (ko) 피부 염증 및 자극 완화 효과를 갖는 조성물
KR101924822B1 (ko) 렌틸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청결제 조성물
KR20120005260A (ko) 해당근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청결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17644B1 (ko) 호로파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청결제 조성물
KR101501538B1 (ko) 손바닥선인장 종자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90123611A (ko) 프로폴리스와 참다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및 항진균 천연물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
KR100645988B1 (ko)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 바디클렌저 조성물
KR102115668B1 (ko) 프로바이오틱스 발효물을 포함하는 항여드름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41976B1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진균 및 항균 조성물
KR20210020817A (ko) 망고스틴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드름 원인균에 대한 항균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여드름의 예방 또는 치료용 제제
KR102292487B1 (ko) 코파이바 수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위생 관리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