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3457A - 자동차 조향컬럼 - Google Patents

자동차 조향컬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3457A
KR20190123457A KR1020180047192A KR20180047192A KR20190123457A KR 20190123457 A KR20190123457 A KR 20190123457A KR 1020180047192 A KR1020180047192 A KR 1020180047192A KR 20180047192 A KR20180047192 A KR 20180047192A KR 20190123457 A KR20190123457 A KR 201901234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ring column
bending plate
hole
coupled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71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1566B1 (ko
Inventor
박상현
권현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1800471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1566B1/ko
Priority to US16/384,831 priority patent/US11186308B2/en
Priority to CN201910332622.7A priority patent/CN110395310B/zh
Publication of KR201901234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34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15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15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5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adjustable by axial displacement, e.g. telescop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1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with power actuated adjustment, e.g. with position memo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9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arrangements, e.g. by being yieldable or collapsible
    • B62D1/192Yieldable or collapsible colum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9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arrangements, e.g. by being yieldable or collapsible
    • B62D1/195Yieldable supports for the steering colum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1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F16H25/20Screw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들에 따른 자동차 조향컬럼은, 일측에 브라켓이 고정되는 어퍼컬럼, 내주면이 어퍼컬럼의 외주면에 지지되며 브라켓과 대응되는 측에 텔레스코픽 구동장치가 고정되는 로워컬럼, 텔레스코프 동작 시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텔레스코픽 구동장치에 결합되는 연결부재, 브라켓에 고정되고 고정된 부위와 이격되게 벤딩된 일단이 연결부재에 결합되는 벤딩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컬랩스 작동이 원활하게 일어나고 부품수와 조립 공정 및 비용을 줄이며, 충돌 성능을 향상시킨다.

Description

자동차 조향컬럼{Steering Column for Vehicle}
본 실시예들은 자동차 조향컬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충돌 시 컬랩스 슬라이딩되는 부품과 고정되는 부품이 서로 방해받지 않고 매끄럽게 컬랩스 작동되도록 하고, 부품수 감소와 조립 공정 및 비용을 절감하고, 자동차의 충돌시 발생하는 조향컬럼의 충격 하중을 자동차의 종류 및 운행 상태 등에 따른 충돌 특성에 맞추어 조절함으로써 충돌 성능을 향상시키는 자동차 조향컬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조향컬럼에는 텔레스코프(Telescope) 및 틸트(Tilt) 기능이 포함되는데, 이러한 기능을 통해 운전자는 자신의 신장이나 체형에 맞게 조향휠의 돌출 정도 및 기울임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원활한 조향 조작을 할 수 있다.
또한, 자동차 충격 시 운전자의 상체가 조향휠에 부딪혀 부상을 당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조향컬럼과 조향축이 축방향으로 수축하며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기구를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운전자의 상태, 자동차의 종류 및 운행 상태 등에 따라서 운전자가 조향휠에 가하는 충격은 다를 수밖에 없으며, 운전자의 안전 벨트의 착용 여부 및 에어백의 작동 여부 등 여러 상황에 따라 조향휠에 가하는 충격량은 다를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 대처하기 위해서 1차 충격 에너지를 흡수하기 위한 캡슐과 2차 충격 에너지를 흡수하기 위한 테어링 플레이트를 구비한 조향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이와 같은 방식은 제품 제작이 복잡하고 부품수가 많아 작업 공정이 늘어나며 변형이 수직으로 일어나 주변 부품과의 간섭에 의한 하중의 좌우 편차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실시예들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자동차의 충돌 시 컬랩스 슬라이딩되는 부품과 고정되는 부품이 서로 방해받지 않고 매끄럽게 컬랩스 작동되도록 하고, 부품수 감소와 조립 공정 및 비용을 절감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들은 자동차의 충돌 시 발생하는 조향컬럼의 충격 하중을 자동차의 종류 및 운행 상태 등에 따른 충돌 특성에 맞추어 조절함으로써 충돌 성능을 향상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들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일측에 브라켓이 고정되는 어퍼컬럼, 내주면이 어퍼컬럼의 외주면에 지지되며 브라켓과 대응되는 측에 텔레스코픽 구동장치가 고정되는 로워컬럼, 텔레스코프 동작 시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텔레스코프 구동장치에 결합되는 연결부재, 브라켓에 고정되고 고정된 부위와 이격되게 벤딩된 일단이 연결부재에 결합되는 벤딩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자동차 조향컬럼이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자동차의 충돌 시 컬랩스 슬라이딩되는 부품과 고정되는 부품이 서로 방해받지 않고 매끄럽게 컬랩스 작동될 수 있으며, 부품수 감소와 조립 공정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자동차의 충돌 시 발생하는 조향컬럼의 충격 하중을 자동차의 종류 및 운행 상태 등에 따른 충돌 특성에 맞추어 조절함으로써 충돌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들에 의한 자동차 조향컬럼의 결합상태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들에 의한 자동차 조향컬럼 중 일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결합된 상태의 양측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5와 도 6은 본 실시예들에 의한 자동차 조향컬럼 중 일부가 컬랩스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실시예들에 의한 자동차 조향컬럼 중 일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8과 도 9는 본 실시예들에 의한 자동차 조향컬럼 중 일부가 컬랩스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0과 도 11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자동차 조향컬럼 중 일부에 대한 사시도와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실시예들에 따른 자동차 조향컬럼 중 일부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실시예들에 의한 자동차 조향컬럼의 텔레스코프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 본 실시예들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실시예들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실시예들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실시예들에 의한 자동차 조향컬럼의 결합상태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들에 의한 자동차 조향컬럼 중 일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결합된 상태의 양측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5와 도 6은 본 실시예들에 의한 자동차 조향컬럼 중 일부가 컬랩스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실시예들에 의한 자동차 조향컬럼 중 일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8과 도 9는 본 실시예들에 의한 자동차 조향컬럼 중 일부가 컬랩스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0과 도 11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자동차 조향컬럼 중 일부에 대한 사시도와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실시예들에 따른 자동차 조향컬럼 중 일부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실시예들에 의한 자동차 조향컬럼의 텔레스코프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본 실시예들에 따른 자동차 조향장치(100)는, 일측에 브라켓(110)이 고정되는 어퍼컬럼(101), 내주면이 어퍼컬럼(101)의 외주면에 지지되며 브라켓(110)과 대응되는 측에 텔레스코픽 구동장치(130)가 고정되는 로워컬럼(103), 텔레스코프 동작 시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텔레스코픽 구동장치(130)에 결합되는 연결부재(120), 브라켓(110)에 고정되고 고정된 부위와 이격되게 벤딩된 일단이 연결부재(120)에 결합되는 벤딩플레이트(111)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들에 의한 자동차 조향컬럼(100)은 로워컬럼(103)에 삽입 결합된 어퍼컬럼(101)이 축방향으로 텔레스코프 운동이 가능한 자동차 조향컬럼(100)으로, 자동차의 충돌 시 어퍼컬럼(101)이 로워컬럼(103)쪽으로 컬랩스되면서 충돌에너지를 흡수하는 구조를 구비하고 있다.
어퍼컬럼(101)은 운전자의 조향휠 조작 시 조향력을 전달하는 조향축(107)을 감싸며 조향축(107)의 외측에 구비되고, 자동차의 충돌 시 로워컬럼(103)쪽으로 슬라이딩되는 컬랩스 작동이 될 수 있도록 로워컬럼(103)의 내주면에 삽입된다.
어퍼컬럼(101)이 내측에 삽입되는 로워컬럼(103)은 마운팅 브라켓(105)에 의해 자동차의 차체에 고정된다.
어퍼컬럼(101)의 일측에는 브라켓(110)이 고정되고 로워컬럼(103)의 브라켓(110)과 대응되는 측에는 연결부재(120)가 결합되는 텔레스코픽 구동장치(130)가 고정됨으로써, 컬랩스 시 어퍼컬럼(101)과 브라켓(110)은 로워컬럼(103)의 안쪽으로 축방향의 슬라이딩 운동을 하게 되고 연결부재(120), 텔레스코픽 구동장치(130) 및 로워컬럼(103)은 자동차의 차체에 대해 고정된다.
이 때, 금속 재질로 형성되어 소성변형 가능한 벤딩플레이트(111)의 일측은 브라켓(110)에 고정되고 벤딩된 타측은 연결부재(120)에 결합됨으로써, 컬랩스 시 일측은 축방향으로 이동되고 타측이 자동차의 차체에 대해 고정되어 벤딩부(301)가 소성변형되면서 충돌에너지를 흡수하게 된다.
벤딩플레이트(111)에는 용접압입 등의 방법으로 브라켓(110)에 고정되는 고정부(501)가 구비될 수 있다.
연결부재(120)는 텔레스코픽 구동장치(130)에 의해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텔레스코프 동작 시 연결부재(120)가 축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벤딩플레이트(111)에 지지되는 브라켓(110)과 브라켓(110)이 고정되는 어퍼컬럼(101)이 축방향으로 텔레스코프 동작을 하게 된다.
이 때, 벤딩플레이트(111)는 연결부재(120), 브라켓(110) 및 어퍼컬럼(101)과 함께 축방향으로 텔레스코프 동작을 한다.
연결부재(120)에는 텔레스코픽 구동장치(130)에 결합되도록 결합공(410)이 축방향으로 형성되고, 벤딩플레이트(111)에 결합되도록 제 1 조립홀(311) 및 제 2 조립홀(312)이 형성된다.
즉, 텔레스코픽 구동장치(130)의 스크류(231)와 제 1 지지부재(232)가 결합공(410)을 관통하며 연결부재(120)에 지지되고, 제 1 지지부재(232)가 제 1 조립홀(311)과 제 1 결합홀(221)을 지지하고 제 2 지지부재(233)가 제 2 조립홀(312)과 제 2 결합홀(222)을 지지하여 연결부재(120)와 벤딩플레이트(111)가 결합된다.
한편, 브라켓(110)은 어퍼컬럼(101)에 결합되는 하면부(421)에 폭방향 양측에서 어퍼컬럼(101) 반대측으로 수직하게 지지벽(422)이 형성될 수 있는데, 지지벽(422)은 벤딩플레이트(111)가 축방향 이외의 방향으로 소성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로워컬럼(103) 내주면의 브라켓(110)에 대응되는 측에는 확장부(112)가 구비되어, 브라켓(110)이 어퍼컬럼(101)과 함께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할 수 있게 하고 지지벽(422)의 외측 양측이 확장부(112)에 지지됨으로써 어퍼컬럼(101)의 슬라이딩 운동이 매끄럽게 일어나게 하여 충돌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벤딩플레이트(111)는 고정부(501)로부터 벤딩된 일단에 제 1 조립홀(311)과 대응되는 제 1 결합홀(211)이 형성되고 벤딩된 타단에 제 2 결합홀(212)이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재(120)에 형성되는 제 1 조립홀(311)은, 벤딩플레이트(111)의 일단에 형성된 제 1 결합홀(221)과 제 1 결합부재(241)에 의해 지지된다.
또한, 연결부재(120)에는 축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250)가 구비되고 연장부(250)에 형성되는 제 2 조립홀(312)은, 벤딩플레이트(111)의 타단에 제 2 조립홀(312)과 대응되도록 형성된 제 2 결합홀(222)과 제 2 결합부재(242)에 의해 지지된다.
한편, 지지벽(422)의 하면부(421) 반대측 단부에는 지지부(423)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지지부(423)는 하면부(421)와 평행하고 서로 이격된 채 마주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120)에는 지지부(423) 사이에 삽입되어 양측이 지지되도록 축방향으로 돌기부(321)가 형성될 수 있으며, 돌기부(321)는 연장부(250)에도 구비될 수 있다.
즉, 컬랩스 시 자동차의 차체에 대해 고정되는 연결부재(120)의 돌기부(321)에 의해 브라켓(110)이 폭방향으로 지지됨으로써 어퍼컬럼(101)의 슬라이딩 운동이 매끄럽게 일어나게 하여 충돌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제 1 결합부재(241)에는 제 1 조립홀(311)을 관통하여 제 1 결합홀(221)에 삽입 또는 이탈되는 돌출부(313)가 구비되어 연결부재(120)에 지지되며, 제 2 결합부재(242)는 제 2 조립홀(312)과 제 2 결합홀(222)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즉, 제 2 결합부재(242)는 벤딩플레이트(111)와 연결부재(120)에 고정되며, 제 1 결합부재(241)는 연결부재(120)에 지지된 채 선택적으로 벤딩플레이트(111)를 축방향으로 지지할 수 있다.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컬랩스 시 제 1 결합부재(241)가 선택적으로 제 1 결합홀(221)을 지지함에 따라 소성변형이 일어나는 벤딩부(301)의 갯수가 달라질 수 있다.
제 1 결합부재(241)는 차량의 전자제어장치(ECU)에 의해 제어되어 돌출부(313)가 선택적으로 제 1 결합홀(221)을 지지하는데, 이러한 제 1 결합부재(241)로는 솔레노이드 또는 인플레이터 등의 구성을 사용할 수 있다. 제 2 결합부재(242)는 제 2 조립홀(312)과 제 2 결합홀(222)에 형성되는 나사선에 결합하도록 볼트 등의 구성을 사용할 수 있다.
즉, 차량의 충돌 특성에 따라 벤딩플레이트(111)가 흡수하는 충격을 조절함으로써 충돌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연결부재(120)에는 삽입공(331)이 형성되고 제 1 결합부재(241)에는 삽입공(332)에 삽입되어 지지되는 삽입부가 형성되어, 제 1 결합부재(241)는 연결부재(120)에 지지된다.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벤딩플레이트(111)는 제 1 벤딩플레이트(701)와 제 2 벤딩플레이트(702)로 이루어지며, 제 1 벤딩플레이트(701)에는 벤딩된 일단에 제 1 결합홀(221)이 형성되고, 제 2 벤딩플레이트(702)에는 벤딩된 타단에 제 2 결합홀(222)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 1 벤딩플레이트(701)는 제 1 결합부재(241)에 결합되고 제 2 벤딩플레이트(702)는 제 2 결합부재(242)에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제 2 조립홀(312)이 형성되는 연장부(250)의 길이를 조절하여 제 2 벤딩플레이트(702)가 연결부재(120)에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도 8과 도 9을 참조하면, 컬랩스 시 제 1 결합부재(241)가 선택적으로 제 1 결합홀(221)을 지지함에 따라 소성변형이 일어나는 벤딩부(301)의 갯수가 달라지게 된다.
한편, 도 3,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되어 있듯이, 벤딩플레이트(111)의 벤딩부(301)에는 곡면을 따라 홀(301a) 또는 오목홈(301b)이 형성되거나, 벤딩플레이트(111)의 두께가 벤딩이 시작되는 부위부터 벤딩부(301)의 중앙으로 갈수록 얇아지도록 형성하여 벤딩부(301)의 강성이 벤딩플레이트(111)의 다른 부분보다 작도록 할 수 있다.
즉, 충돌 시 가장 먼저 소성변형이 일어나는 벤딩부(301)의 강성을 낮춤으로써, 충돌 초기에 컬랩스 운동이 보다 잘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텔레스코픽 구동장치(130)는 모터(230), 모터(230)에 의해 회전되는 스크류(231), 스크류(231)에 나사결합되어 결합공(410)에 삽입되며 연결부재(120)의 일측에 지지되는 제 1 지지부재(232) 및 제 1 지지부재(232)에 결합되어 연결부재(120)의 타측에 지지되는 제 2 지지부재(233)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연결부재(120)의 일측과 타측을 지지하는 제 1 지지부재(232) 및 제 2 지지부재(233)가 스크류(231)의 회전에 의해 축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텔레스코프 동작을 하게 된다.
제 1 지지부재(232)에는 연결부재(120)의 일측을 지지하도록 걸림부(232b)가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걸림부(232b)는 제 1 지지부재(232)의 단부에 경방향으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
또한, 스크류(231)의 회전에 의해 축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제 1 지지부재(232)가 원주방향으로 고정되어야 하므로, 제 1 지지부재(232)에는 회전방지부(232a)가 형성되고 결합공(410)에는 회전방지부(232a)와 결합되는 형상으로 회전방지턱(411)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2을 참조하면, 이러한 회전방지부(232a)는 원기둥 모양으로 형성된 제 1 지지부재(232)의 외주면에 축방향으로 형성되고, 회전방지턱(411)은 원형으로 형성된 결합공(410)의 내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 1 지지부재(232)는 결합공(410)을 관통하여 연결부재(120)의 타측으로 돌출되고, 제 2 지지부재(233)는 연결부재(120)의 타측면에 지지되며 제 1 지지부재(232)의 돌출된 부위에 결합될 수 있다. 제 2 지지부재(233)는 제 1 지지부재(232)의 외주면에 나사결합할 수 있다.
즉, 제 2 지지부재(233)는 회전방지턱(411)에 의해 회전되지 않는 제 1 지지부재(232)에 결합되어 연결부재(120)의 타측에 지지됨으로써, 스크류(231)가 회전할 때 축방향으로 이동하며 텔레스코프 동작을 하게 된다.
이러한 스크류(231)의 제 2 지지부재(233)측 단부에는 스토퍼(234)가 결합되어 텔레스크프 동작의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와 형상을 갖는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자동차의 충돌 시 컬랩스 슬라이딩되는 부품과 고정되는 부품이 서로 방해받지 않고 매끄럽게 컬랩스 작동될 수 있으며, 부품수 감소와 조립 공정 및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자동차의 충돌 시 발생하는 조향컬럼의 충격 하중을 자동차의 종류 및 운행 상태 등에 따른 충돌 특성에 맞추어 조절함으로써 충돌 성능이 좋아지는 효과가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실시예들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실시예들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실시예들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실시예들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들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들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들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들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들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들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1: 어퍼컬럼 103: 로워컬럼
110: 브라켓 111: 벤딩플레이트
120: 연결부재 130: 텔레스코픽 구동장치
221: 제 1 결합홀 222: 제 2 결합홀
230: 모터 231: 스크류
232: 제 1 지지부재 233: 제 2 지지부재
241: 제 1 결합부재 242: 제 2 결합부재
250: 연장부 301: 벤딩부
311: 제 1 조립홀 312: 제 2 조립홀
313: 돌출부 321: 돌기부
701: 제 1 벤딩플레이트 702: 제 2 벤딩플레이트

Claims (20)

  1. 일측에 브라켓이 고정되는 어퍼컬럼;
    내주면이 상기 어퍼컬럼의 외주면에 지지되며 상기 브라켓과 대응되는 측에 텔레스코픽 구동장치가 고정되는 로워컬럼;
    텔레스코프 동작 시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텔레스코픽 구동장치에 결합되는 연결부재;
    상기 브라켓에 고정되고 고정된 부위와 이격되게 벤딩된 일단이 상기 연결부재에 결합되는 벤딩플레이트;
    를 포함하는 자동차 조향컬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에는 상기 텔레스코픽 구동장치가 결합되는 결합공이 구비되고, 상기 벤딩플레이트가 결합되는 제 1 조립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향컬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어퍼컬럼에 결합되는 하면부의 폭방향 양측에 지지벽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향컬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로워컬럼은, 상기 브라켓과 대응되는 측에 상기 브라켓이 축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지지벽의 외측 양측을 지지하는 확장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향컬럼.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벤딩플레이트는 상기 브라켓에 고정된 부위로부터 벤딩된 일단에 상기 제 1 조립홀과 대응되는 제 1 결합홀이 형성되고 벤딩된 타단에 제 2 결합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향컬럼.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조립홀과 제 1 결합홀에 제 1 결합부재가 삽입되어 상기 연결부재와 벤딩플레이트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향컬럼.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에는 축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에는 상기 제 2 결합홀과 대응되는 제 2 조립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향컬럼.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조립홀과 제 2 결합홀에 제 2 결합부재가 삽입되어 상기 연결부재와 벤딩플레이트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향컬럼.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벽의 상기 하면부 반대측 단부에는 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에는 상기 지지부 사이에 삽입되어 양측이 지지되는 돌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향컬럼.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결합부재에는 상기 제 1 조립홀을 관통하여 상기 제 1 결합홀에 삽입 또는 이탈되는 돌출부가 구비되어 상기 연결부재에 지지되며, 상기 제 2 결합부재는 상기 제 2 조립홀과 제 2 결합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향컬럼.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에는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결합부재에는 상기 삽입공에 삽입되어 지지되는 삽입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향컬럼.
  12.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벤딩플레이트는 제 1 벤딩플레이트와 제 2 벤딩플레이트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벤딩플레이트에는 벤딩된 일단에 상기 제 1 결합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벤딩플레이트에는 벤딩된 타단에 상기 제 2 결합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향컬럼.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조립홀과 제 1 결합홀에 제 1 결합부재가 삽입되어 상기 연결부재와 제 1 벤딩플레이트가 결합되고, 상기 제 2 조립홀과 제 2 결합홀에 제 2 결합부재가 삽입되어 상기 연결부재와 제 2 벤딩플레이트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향컬럼.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벤딩플레이트의 벤딩부에는 곡면을 따라 홀 또는 오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향컬럼.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벤딩플레이트는 벤딩부의 중앙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향컬럼.
  1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텔레스코픽 구동장치는,
    모터;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스크류;
    상기 스크류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결합공에 삽입되며 상기 연결부재의 일측에 지지되는 제 1 지지부재; 및
    상기 제 1 지지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연결부재의 타측에 지지되는 제 2 지지부재;
    를 포함하는 자동차 조향컬럼.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지부재에는 상기 연결부재의 일측에 축방향으로 지지되는 걸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향컬럼.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지부재에는 회전방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결합공에는 상기 회전방지부가 지지되는 회전방지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향컬럼.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지부재는 상기 결합공을 관통하여 상기 연결부재의 타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 2 지지부재는 상기 연결부재의 타측면에 지지되며 상기 제 1 지지부재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향컬럼.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는 단부에 스토퍼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향컬럼.
KR1020180047192A 2018-04-24 2018-04-24 자동차 조향컬럼 KR1025415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7192A KR102541566B1 (ko) 2018-04-24 2018-04-24 자동차 조향컬럼
US16/384,831 US11186308B2 (en) 2018-04-24 2019-04-15 Steering column assembly for vehicle
CN201910332622.7A CN110395310B (zh) 2018-04-24 2019-04-24 用于车辆的转向柱组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7192A KR102541566B1 (ko) 2018-04-24 2018-04-24 자동차 조향컬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3457A true KR20190123457A (ko) 2019-11-01
KR102541566B1 KR102541566B1 (ko) 2023-06-09

Family

ID=68237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7192A KR102541566B1 (ko) 2018-04-24 2018-04-24 자동차 조향컬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186308B2 (ko)
KR (1) KR102541566B1 (ko)
CN (1) CN110395310B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2125B1 (ko) * 2020-04-21 2021-07-28 이래에이엠에스 주식회사 충격 흡수 구조를 구비하는 스티어링 칼럼 어셈블리
KR20220001565A (ko) * 2020-06-30 2022-01-06 남양넥스모 주식회사 레일 스토어블 전동 컬럼
US20230055548A1 (en) * 2020-02-25 2023-02-23 Mando Corporation Steering column for vehicle
WO2024071738A1 (ko) * 2022-09-26 2024-04-04 남양넥스모 주식회사 스토어블 전동 컬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89975B2 (ja) * 2018-07-31 2022-06-23 株式会社山田製作所 ステアリング装置
JP7089973B2 (ja) * 2018-07-31 2022-06-23 株式会社山田製作所 ステアリング装置
JP7089974B2 (ja) * 2018-07-31 2022-06-23 株式会社山田製作所 ステアリング装置
US11358626B2 (en) * 2019-11-06 2022-06-14 Steering Solutions Ip Holding Corporatio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a telescopic jacket for a steering column
US11167785B1 (en) * 2020-05-06 2021-11-09 Steering Solutions Ip Holding Corporation Steering column rearward retention feature
DE102020206955B3 (de) 2020-06-03 2021-03-11 Thyssenkrupp Ag Lenksäule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21130291A1 (de) * 2020-11-23 2022-05-25 Steering Solutions Ip Holding Corporation Axial einstellbare lenksäulenanordnung
DE102021212039A1 (de) * 2021-10-26 2023-04-27 Thyssenkrupp Ag Lenksäule für ein Kraftfahrzeug
EP4279357A1 (de) * 2022-05-20 2023-11-22 thyssenkrupp Presta Aktiengesellschaft Lenksystem für ein kraftfahrzeug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509467A (ja) * 2012-03-09 2015-03-30 エヌエスケイ アメリカ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内部圧潰可能なステアリングコラム組立体
KR20160106236A (ko) * 2015-03-02 2016-09-12 주식회사 만도 자동차의 조향컬럼
JP2016175486A (ja) * 2015-03-19 2016-10-06 株式会社山田製作所 ステアリング装置
KR20170115701A (ko) * 2016-04-08 2017-10-18 남양공업주식회사 차량의 충격 흡수식 스티어링 장치
KR20180022289A (ko) * 2016-08-24 2018-03-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스티어링 컬럼의 텔레스코픽 래치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55321B2 (en) * 2006-02-23 2008-11-25 Delphi Technologies, Inc. Collapsible steering column assembly
KR101065895B1 (ko) * 2007-03-30 2011-09-19 주식회사 만도 충격 흡수장치를 구비한 자동차의 조향컬럼
DE102008034807B3 (de) * 2008-07-24 2009-10-01 Thyssenkrupp Presta Ag Lenksäule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11083190A1 (de) * 2011-09-15 2013-03-21 Zf Lenksysteme Nacam Gmbh Kraftfahrzeuglenksäule mit Energieabsorber
US9616914B2 (en) * 2014-02-20 2017-04-11 Steering Solutions Ip Holding Corporation Telescope and adaptive energy absorption system
JP2016055689A (ja) * 2014-09-08 2016-04-21 富士機工株式会社 電動式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DE102015204476B3 (de) * 2015-03-12 2016-05-25 Thyssenkrupp Ag Lenksäule für ein Kraftfahrzeug
KR102274121B1 (ko) * 2017-04-03 2021-07-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전동식 스티어링 컬럼 장치
DE102017213912A1 (de) * 2017-08-10 2019-02-14 Thyssenkrupp Ag Verstellbare Lenksäule für ein Kraftfahrzeug mit Energieabsorptionsvorrichtung
DE102017218894A1 (de) * 2017-10-23 2019-04-25 Thyssenkrupp Ag Lenksäule für ein Kraftfahrzeug
JP2019127176A (ja) * 2018-01-25 2019-08-01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ステアリング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509467A (ja) * 2012-03-09 2015-03-30 エヌエスケイ アメリカ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内部圧潰可能なステアリングコラム組立体
KR20160106236A (ko) * 2015-03-02 2016-09-12 주식회사 만도 자동차의 조향컬럼
JP2016175486A (ja) * 2015-03-19 2016-10-06 株式会社山田製作所 ステアリング装置
KR20170115701A (ko) * 2016-04-08 2017-10-18 남양공업주식회사 차량의 충격 흡수식 스티어링 장치
KR20180022289A (ko) * 2016-08-24 2018-03-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스티어링 컬럼의 텔레스코픽 래치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055548A1 (en) * 2020-02-25 2023-02-23 Mando Corporation Steering column for vehicle
US11753063B2 (en) * 2020-02-25 2023-09-12 Hl Mando Corporation Steering column for vehicle
KR102282125B1 (ko) * 2020-04-21 2021-07-28 이래에이엠에스 주식회사 충격 흡수 구조를 구비하는 스티어링 칼럼 어셈블리
KR20220001565A (ko) * 2020-06-30 2022-01-06 남양넥스모 주식회사 레일 스토어블 전동 컬럼
WO2024071738A1 (ko) * 2022-09-26 2024-04-04 남양넥스모 주식회사 스토어블 전동 컬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395310A (zh) 2019-11-01
KR102541566B1 (ko) 2023-06-09
US11186308B2 (en) 2021-11-30
US20190322307A1 (en) 2019-10-24
CN110395310B (zh) 2023-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23457A (ko) 자동차 조향컬럼
KR101065895B1 (ko) 충격 흡수장치를 구비한 자동차의 조향컬럼
CN108357560B (zh) 转向管柱
KR20110096805A (ko) 자동차의 조향 컬럼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조향장치
EP1627796B1 (en) Telescopic structure and steering column device for motor vehicle
CN108407881B (zh) 转向装置
KR102494624B1 (ko) 자동차 조향컬럼
KR101981194B1 (ko) 자동차 조향컬럼
US10604171B2 (en) Steering column
KR101307648B1 (ko) 자동차의 조향컬럼
KR101138160B1 (ko) 충격 흡수식 조향장치
JP6799782B2 (ja) ステアリング装置
KR102339161B1 (ko) 자동차의 조향컬럼
KR101181124B1 (ko) 자동차의 충격 흡수식 조향컬럼
US11891109B2 (en) Steering column of vehicle
KR100795009B1 (ko) 충격 흡수 부재를 구비한 자동차의 조향장치
KR20210112808A (ko) 자동차의 조향컬럼
US20240043059A1 (en) Steering column for vehicle
KR101602862B1 (ko) 자동차용 조향 컬럼
CN114364594B (zh) 汽车驾驶杆
KR101204520B1 (ko) 충돌에너지 흡수가 가능한 자동차의 조향 컬럼
KR20190012672A (ko) 자동차의 조향 컬럼
KR100848499B1 (ko) 조향 컬럼의 충격 흡수 장치
KR20120124547A (ko) 자동차의 조향컬럼
KR101230093B1 (ko) 자동차의 충격 흡수식 조향컬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