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0979A - 모바일 기기의 사진 촬영 및 인화 요청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모바일 기기의 사진 촬영 및 인화 요청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0979A
KR20190120979A KR1020180044400A KR20180044400A KR20190120979A KR 20190120979 A KR20190120979 A KR 20190120979A KR 1020180044400 A KR1020180044400 A KR 1020180044400A KR 20180044400 A KR20180044400 A KR 20180044400A KR 20190120979 A KR20190120979 A KR 201901209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graphing
mobile device
picture
module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44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8591B1 (ko
Inventor
노희원
심성재
안소희
이병률
김제성
Original Assignee
한국후지필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후지필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후지필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444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8591B1/ko
Priority to JP2018205026A priority patent/JP6706309B2/ja
Publication of KR201901209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09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85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85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52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132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in a digital photofinishing system, i.e. a system where digital photographic images undergo typical photofinishing processing, e.g. printing ordering
    • H04N1/00137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04N5/225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 Cameras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Photographic Or Optical Apparatus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사진 촬영 및 촬영된 사진에 대한 인화를 자동으로 요청할 수 있는 모바일 기기의 사진 촬영 및 인화 요청 시스템이 제공된다. 사진 촬영 및 인화 요청 시스템은 모바일 기기에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탑재되고, 모바일 기기의 카메라를 구동하여 촬영 가능 횟수가 설정된 디지털 필름에 대응되도록 사진을 촬영하여 자동으로 외부 인화시스템에 전송한다.

Description

모바일 기기의 사진 촬영 및 인화 요청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hoto shooting and photo print requesting of mobile device}
본 발명은 사진 촬영 및 인화 요청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모바일 기기에 어플리케이션(이하, 앱) 형태로 탑재되어 사진 촬영 및 촬영된 사진에 대한 인화를 자동으로 요청할 수 있는 모바일 기기의 사진 촬영 및 인화 요청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휴대폰,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 단말기들이 보편화되고 있다. 이들, 모바일 단말기들은 장착되어 있는 카메라를 통해 사진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고, 이를 화면에 표시하거나 내부의 메모리에 저장한다. 이와 함께, 모바일 단말기들에 의해 전송되는 촬영된 사진 등을 인화하는 온라인 사진 인화 서비스가 점차 증가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사진 인화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사용자가 상기 인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사용자 인증을 통해 가입을 한 후,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다수의 사진들 중에서 인화 서비스를 요청하기 위한 사진을 선택하여 상기 시스템에 업로드를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모바일 단말기의 메모리는 저장 공간의 한계로 인해 많은 수의 사진을 저장할 수 없다. 따라서, 촬영 사진에 대한 인화 서비스를 요청하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다수의 사진을 촬영하게 되면, 메모리에 기 저장되어 있던 사진들이 삭제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메모리에 저장된 이전 사진들에 대한 인화 서비스를 요청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사진 촬영 및 촬영된 사진에 대한 인화를 자동으로 요청할 수 있는 모바일 기기의 사진 촬영 및 인화 요청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진 촬영 및 인화 요청 시스템은, 모바일 기기에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탑재된다. 이러한 사진 촬영 및 인화 요청 시스템은, 각각마다 촬영 가능 횟수가 설정된 하나 이상의 디지털 필름 및 상기 디지털 필름에 대응되어 기 촬영 사진이 저장된 저장 모듈; 상기 하나 이상의 디지털 필름 중 선택된 디지털 필름의 촬영 가능 횟수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기기의 카메라를 구동하여 사진을 촬영하는 카메라 구동 모듈; 및 상기 카메라 구동 모듈에 의해 상기 선택된 디지털 필름의 촬영 가능 횟수만큼 촬영이 완료되면, 상기 선택된 디지털 필름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촬영 사진을 외부 인화시스템에 전송하여 인화를 요청하는 인화 요청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진 촬영 및 인화 요청 방법은, 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디지털 필름 중 선택된 디지털 필름의 촬영 가능 횟수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기기의 카메라를 구동하여 사진을 촬영하는 단계; 촬영 횟수와 상기 선택된 디지털 필름의 촬영 가능 횟수를 비교하는 단계; 및 비교 결과 상기 촬영 횟수가 상기 촬영 가능 횟수와 동일하면, 촬영 사진을 외부의 인화시스템으로 전송하여 인화를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사진 촬영 및 인화 요청 시스템은 모바일 기기에 앱 형태로 탑재되고, 모바일 기기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한 사진을 자동으로 인화 요청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사용자가 촬영 사진의 인화를 위해 다수의 촬영 사진들 중에서 선택하는 과정이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진 촬영 및 인화 요청 시스템은 디지털로 구현된 촬영 가능 횟수가 제한되어 있는 디지털 필름에 대응되도록 사진을 촬영하고, 촬영된 사진에 대해 자동으로 사진 인화를 요청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진 촬영 및 인화 요청 시스템은 모바일 기기에 앱 형태로 탑재되긴 하나, 그 동작에서 있어서 종래의 아날로그 필름을 이용하는 카메라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사진 촬영 및 인화 요청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제어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카메라 구동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저장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사진 촬영 및 인화 요청 시스템을 이용한 사진 촬영 및 인화 요청의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사진 촬영 및 인화 요청 시스템의 동작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 및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들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기술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사진 촬영 및 인화 요청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기, 예컨대 사용자가 소지하는 스마트 폰 등과 같은 모바일 기기(10)에 탑재될 수 있다.
사진 촬영 및 인화 요청 시스템(100)은 어플리케이션(이하, 앱) 형태로 모바일 기기(10)에 탑재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모바일 기기(10)는 통신망(40)을 통해 외부의 앱 스토어(30)에 접속될 수 있고, 앱 스토어(30)로부터 해당 앱을 전송받아 설치할 수 있다.
모바일 기기(10)는 사진 촬영 및 인화 요청 시스템(100)을 이용하여 사진을 촬영하고, 촬영된 사진을 자동으로 인화 요청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모바일 기기(10)는 통신망(40)을 통해 외부의 인화시스템(20)에 접속될 수 있고, 사진 촬영 및 인화 요청 시스템(100)을 이용하여 촬영 사진을 인화시스템(20)에 전송하여 사진 인화를 요청할 수 있다. 인화시스템(20)은 모바일 기기(10)로부터 전송된 촬영 사진을 인화하고, 이를 오프라인 배송으로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사진 촬영 및 인화 요청 시스템(100)은 통상의 사진 앱과 달리 제한된 촬영 횟수에 기초하여 사진을 촬영하고, 그에 따른 촬영 사진을 자동으로 인화시스템(2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사진 촬영 및 인화 요청 시스템(100)은 촬영 사진과 함께 인화된 사진을 오프라인으로 전달받을 주소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술한 본 실시예의 사진 촬영 및 인화 요청 시스템(100)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사진 촬영 및 인화 요청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사진 촬영 및 인화 요청 시스템(100)은 모바일 기기(10)에 탑재되고, 모바일 기기(10)의 다양한 구성요소들, 예컨대 프로세서(11), 카메라(12), 디스플레이(13), 지피에스(14) 및 메모리(15) 등을 이용하여 사진 촬영 및 인화 요청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사진 촬영 및 인화 요청 시스템(100)은 제어모듈(110), 카메라 구동모듈(120), 저장모듈(130), 인화요청모듈(140), 결제모듈(150) 및 표시모듈(160)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모듈(110)은 사진 촬영 및 인화 요청 시스템(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사용자 인증 및 권한을 관리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모듈(110)은 인증관리부(111), 권한관리부(113) 및 구동제어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인증관리부(111)는 사진 촬영 및 인화 요청 시스템(100)을 실행하는 사용자를 인증할 수 있다. 인증관리부(111)는 모바일 기기(10)에서 사진 촬영 및 인화 요청 시스템(100)이 최초 실행될 때 적어도 한번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권한관리부(113)는 사진 촬영 및 인화 요청 시스템(100)의 각 모듈의 동작 시 모바일 기기(10)의 프로세서(11)로부터 권한을 획득하여 관리할 수 있다. 권한관리부(113)에서 획득하는 권한은 모바일 기기(10)의 카메라(12)에 대한 제어 권한, 디스플레이(13)에 대한 제어 권한, 지피에스(14)에 대한 제어 권한 및 메모리(15)에 대한 제어 권한을 포함할 수 있다. 권한관리부(113)에 의해 후술될 카메라 구동모듈(120) 등의 각 모듈에서 모바일 기기(10)의 다수의 구성들을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된다.
구동제어부(115)는 사진 촬영 및 인화 요청 시스템(100)의 각 모듈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구동제어부(115)는 권한관리부(113)에 의해 획득된 권한에 기초하여 카메라 구동모듈(120), 저장모듈(130), 인화요청모듈(140), 결제모듈(150) 및 표시모듈(160) 각각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카메라 구동모듈(120)은 모바일 기기(10)의 카메라(12)를 이용하여 사진을 촬영하고, 저장모듈(130)은 촬영된 사진을 저장하며, 인화요청모듈(140)은 촬영된 사진을 인화 요청할 수 있다. 또한, 결제모듈(150)은 인화 요청에 따른 비용의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표시모듈(160)은 각 모듈에 해당되는 화면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카메라 구동모듈(120)은 모바일 기기(10)의 카메라(12)를 이용하여 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구동모듈(120)은 촬영제어부(121) 및 효과제어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촬영제어부(121)는 카메라(12)를 통해 사진 촬영이 실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제어부(121)는 모바일 기기(10)의 화면 상에 촬영버튼 형태로 표시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촬영제어부(121)는 촬영버튼이 터치됨에 따라 카메라(12)를 통해 보여지는 피사체에 대한 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
촬영제어부(121)는 후술될 저장모듈(130)에 저장되어 있는 디지털 필름에 대응되어 사진 촬영을 할 수 있다. 여기서, 디지털 필름은 기존의 아날로그 사진 필름을 디지털로 구현한 것으로, 각각이 촬영 가능 횟수가 제한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촬영제어부(121)는 디지털 필름의 촬영 가능 횟수에 기초하여 사진 촬영을 진행할 수 있다. 이때, 도 7a와 같이, 모바일 기기(10)의 화면에는 디지털 필름의 촬영 가능 횟수 및 촬영제어부(121)에 의한 누적 촬영 횟수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촬영제어부(121)의 누적 촬영 횟수가 대응되는 디지털 필름의 촬영 가능 횟수와 동일하면, 촬영제어부(121)는 사진 촬영의 종료를 위하여 촬영버튼의 터치가 불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추가로, 촬영제어부(121)는 모바일 기기(10)의 화면에 촬영의 종료를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할 수도 있다.
효과제어부(123)는 촬영제어부(121)에 의한 사진 촬영 시, 피사체에 대한 촬영 효과가 제공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효과제어부(123)는 모바일 기기(10)의 플래쉬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거나 다양한 필터를 제공하여 이미지 변환을 제어할 수 있다.
효과제어부(123)는 촬영제어부(121)에 의해 사진 촬영이 완료되기 전에 촬영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촬영제어부(121)는 효과제어부(123)에 의해 촬영 화면에 다양한 효과가 제공된 상태에서 사진 촬영을 수행할 수 있다.
저장모듈(130)은 카메라 구동모듈(120)에 의해 촬영된 사진 및 촬영 사진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디지털 필름의 저장을 제어할 수 있다. 저장모듈(130)은 모바일 기기(10)의 메모리(15)의 일부 영역에 하나 이상의 디지털 필름 및 이들 각각에 대응되는 촬영 사진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모듈(13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진저장부(131) 및 필름저장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사진저장부(131)에는 디지털 필름에 대응되도록 하나 이상의 촬영 사진이 저장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카메라 구동모듈(120)의 촬영제어부(121)는 하나 이상의 디지털 필름 중 선택된 디지털 필름에 대응되어 사진을 촬영한다. 따라서, 사진저장부(131)는 선택된 디지털 필름에 대응되도록 촬영제어부(121)에 의해 촬영된 사진을 저장할 수 있다. 사진저장부(131)에 저장되는 촬영 사진은 관련정보, 예컨대 촬영 일시 및 촬영 장소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촬영 일시에 대한 정보는 모바일 기기(10)의 프로세서(11)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고, 촬영 장소에 대한 정보는 모바일 기기(10)의 지피에스(14)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사진저장부(131)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촬영 사진을 썸네일(thumbnail) 이미지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썸네일 이미지는 흑백 또는 네거티브(negative) 이미지일 수 있다.
필름저장부(133)에는 보유 중인 하나 이상의 디지털 필름이 저장될 수 있다. 디지털 필름은 앱 스토어(30)에서 구매되고, 각 디지털 필름은 촬영 가능 횟수가 설정되어 있다. 필름저장부(133)에 저장된 디지털 필름은 최근 사진 촬영이 이루어진 필름에서 사진 촬영이 이루어지지 않은 순서로 정렬되어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필름저장부(133)에 저장된 디지털 필름은 각각이 종류별로 서로 다른 촬영 효과 또는 인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필름저장부(133)는 카메라 구동모듈(120)에 의해 촬영이 완료된 디지털 필름, 즉 촬영 가능 횟수가 종료된 디지털 필름을 저장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필름에는 기 촬영된 하나 이상의 사진들이 대응되어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촬영이 완료된 디지털 필름은 후술될 인화요청모듈(140)에 의해 인화 요청이 완료된 후 일정 시간 이후에 자동으로 삭제될 수 있다.
인화요청모듈(140)은 저장모듈(130)에 저장된 촬영 사진, 즉 카메라 구동모듈(120)에 의해 촬영된 사진에 대한 인화 요청을 할 수 있다. 인화요청모듈(140)은 통신망(40)을 통해 인화시스템(20)에 촬영사진을 전송하여 인화를 요청할 수 있다.
인화요청모듈(140)은 촬영이 완료되어 저장된 촬영 사진, 다시 말해 디지털 필름의 설정된 촬영 가능 횟수만큼 촬영된 사진들에 대해 자동으로 인화를 요청할 수 있다. 다만, 인화요청모듈(140)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디지털 필름의 설정된 촬영 가능 횟수만큼 촬영되지 않은 사진들에 대해서도 인화를 요청할 수도 있다.
또한, 인화요청모듈(140)은 촬영 사진과 함께 관련정보를 인화시스템(2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관련정보는 앞서 설명된 촬영 사진의 일시 및 장소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또한 인화된 사진을 전달받을 주소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주소정보는 사용자의 주소 또는 사용자가 인화된 사진을 전달할 장소에 대한 주소일 수 있다.
결제모듈(150)은 사진 촬영 및 인화 요청 시스템(100)의 실행 중 발생되는 비용에 대한 결제 진행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결제모듈(150)은 인화요청모듈(140)을 통한 사진 인화 요청 시 발생되는 인화비용의 결제를 진행할 수 있다. 또한, 결제모듈(150)은 신규 디지털 필름의 구매에 따라 발생되는 구매비용의 결제를 진행할 수 있다. 결제모듈(150)은 외부의 결제정보시스템(미도시)에 접속되어 해당 비용에 대한 결제를 진행할 수 있다.
표시모듈(160)은 사진 촬영 및 인화 요청 시스템(100)의 각 모듈의 동작에 따른 화면이 표시되도록 모바일 기기(10)의 디스플레이(13)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표시모듈(160)은 제어모듈(110)에 의한 사용자 인증 및 권한관리의 화면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어, 카메라 구동모듈(120)에 의한 사진촬영의 화면과 이에 대한 촬영효과의 화면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표시모듈(160)은 저장모듈(130)에 저장된 촬영 사진 및 디지털 필름의 화면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고, 인화요청모듈(140)에 의한 사진 인화요청의 화면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결제모듈(150)에 의한 비용 결제의 화면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모듈(160)은 카메라 구동모듈(120)에 의한 촬영 화면을 모바일 기기(10)의 디스플레이(13)를 통해 표시하되, 카메라(12)에 의한 현재 시점의 라이브뷰(live-view) 화면과 저장모듈(130)에 저장된 이전 시점의 프리뷰(pre-view) 화면이 함께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프리뷰 화면은 라이브뷰 화면의 이전 시점에 촬영되어 저장된 촬영 사진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프리뷰 화면은 라이브뷰 직전 시점에 촬영되어 저장된 촬영 사진일 수 있다. 이러한 프리뷰 화면은 필름 이미지, 다시 말해 네거티브(negative) 이미지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프리뷰 화면은 흑백 이미지로도 표시될 수 있다. 이때, 라이브뷰 화면은 포지티브(positive) 이미지, 예컨대 컬러 이미지로 표시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사진 촬영 및 인화 요청 시스템(100)은 모바일 기기(10)의 카메라(12)를 이용하여 사진을 촬영하고, 촬영된 사진에 대해 자동으로 사진 인화를 요청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사용자가 촬영 사진의 인화를 위해 다수의 촬영 사진들 중에서 선택하는 과정이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사진 촬영 및 인화 요청 시스템(100)은 디지털로 구현된 촬영 가능 횟수가 제한되어 있는 디지털 필름에 대응되도록 사진을 촬영하고, 촬영된 사진에 대해 자동으로 사진 인화를 요청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진 촬영 및 인화 요청 시스템(100)은 모바일 기기(10)에 앱 형태로 탑재되긴 하나, 그 동작에서 있어서 종래의 아날로그 필름을 이용하는 카메라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사진 촬영 및 인화 요청 시스템을 이용한 사진 촬영 및 인화 요청의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기존의 도 1 내지 도 5를 함께 참조하도록 한다.
우선, 사진 촬영 및 인화 요청 시스템(100)이 모바일 기기(10)에 탑재될 수 있다. 사진 촬영 및 인화 요청 시스템(100)은 앱 형태로 모바일 기기(10)에 탑재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한 앱은 통신망(40)을 통해 앱 스토어(30)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이때, 제어모듈(110)에 의해 사용자 인증이 이루어질 수 있다.
사진 촬영 및 인화 요청 시스템(100)이 실행되어 구동되면(S10), 제어모듈(110)은 모바일 기기(10)의 프로세서(11)로부터 각 구성요소들, 예컨대 카메라(12), 디스플레이(13), 지피에스(14) 및 메모리(15)의 동작제어를 위한 권한을 획득할 수 있다(S20).
권한이 획득되면, 카메라 구동모듈(120)은 저장모듈(130)에 저장되어 있는 다수의 디지털 필름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S30).
여기서, 저장모듈(130)의 다수의 디지털 필름은 종류별로 서로 다른 촬영 효과 또는 인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디지털 필름은 각각이 촬영 가능 횟수가 설정되어 제한된 상태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저장모듈(130)에 디지털 필름이 없는 경우에, 사진 촬영 및 인화 요청 시스템(100)은 앱 스토어(30)를 통해 신규 디지털 필름을 구매할 수 있다. 이때, 결제모듈(150)은 디지털 필름 구매에 따른 비용을 결제할 수 있다.
디지털 필름이 선택되면, 카메라 구동모듈(120)의 촬영제어부(121)는 선택된 디지털 필름에 설정된 촬영 가능 횟수에 기초하여 카메라(12)를 이용하여 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S40).
이때, 표시모듈(160)은 모바일 기기(10)의 디스플레이(13)를 통해 촬영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촬영 화면은 카메라(12)에 의한 두 개의 상태가 함께 표시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예컨대, 촬영 화면은 카메라(12)에 의한 현재 시점의 라이브뷰 화면과 카메라(12)에 의해 촬영된 이전 시점, 예컨대 라이브뷰 직전 시점에 촬영된 사진에 대한 프리뷰 화면이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라이브뷰 화면은 포지티브 이미지, 예컨대 컬러 이미지로 표시될 수 있다. 반면에 프리뷰 화면은 네거티브 이미지, 예컨대 필름 이미지로 표시되거나 또는 흑백 이미지로 표시될 수 있다.
촬영된 사진은 저장모듈(130)의 사진저장부(131)에 저장될 수 있다. 사진저장부(131)는 모바일 기기(10)의 메모리(15)의 일부 영역에 촬영 사진을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촬영 사진은 썸네일 이미지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촬영 사진은 네거티브 이미지 또는 흑백 이미지로 저장될 수 있다.
이어, 카메라(12)에 의해 사진이 촬영되면, 촬영제어부(121)는 누적 촬영 횟수와 디지털 필름의 설정된 횟수, 즉 촬영 가능 횟수를 비교할 수 있다(S50).
비교 결과, 누적 촬영 횟수가 촬영 가능 횟수보다 작으면, 촬영제어부(121)는 촬영 대기 상태로 되고, 모바일 기기(10)의 화면에는 촬영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그러나, 비교 결과, 누적 촬영 횟수가 촬영 가능 횟수와 동일하면, 촬영제어부(121)는 촬영 상태를 종료하고, 모바일 기기(10)의 화면에 촬영 종료의 안내가 표시될 수 있다.
계속해서, 촬영이 종료되면, 인화요청모듈(140)은 저장모듈(130)에 저장된 촬영사진을 외부의 인화시스템(20)에 전송하여 사진 인화를 요청할 수 있다(S60).
인화요청모듈(140)은 저장모듈(130)에서 선택된 디지털 필름에 대응되어 저장된 하나 이상의 촬영 사진을 인화시스템(2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인화요청모듈(140)은 촬영 사진과 함께 관련정보를 추가로 전송할 수 있다. 관련정보는 촬영 사진에 대한 촬영 일시 및 촬영 장소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관련정보는 인화된 사진을 전달받을 주소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인화시스템(20)은 전송된 촬영 사진을 인화하고, 인화된 사진을 주소정보에 기초하여 오프라인을 통해 사용자, 즉 고객에게 전달할 수 있다(S70). 이때, 인화시스템(20)은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화된 사진의 일부 영역에 촬영 일시 및 촬영 장소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사진 촬영 및 인화 요청 시스템(100)은 모바일 기기(10)의 카메라(12)를 이용하여 사진을 촬영하고, 촬영된 사진에 대해 자동으로 사진 인화를 요청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사용자가 촬영 사진의 인화를 위해 다수의 촬영 사진들 중에서 선택하는 과정이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사진 촬영 및 인화 요청 시스템(100)은 디지털로 구현된 촬영 가능 횟수가 제한되어 있는 디지털 필름에 대응되도록 사진을 촬영하고, 촬영된 사진에 대해 자동으로 사진 인화를 요청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진 촬영 및 인화 요청 시스템(100)은 모바일 기기(10)에 앱 형태로 탑재되긴 하나, 그 동작에서 있어서 종래의 아날로그 필름을 이용하는 카메라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10: 모바일 기기 20: 인화시스템
30: 앱 스토어 40: 통신망
100: 사진 촬영 및 인화 요청 시스템
110: 제어모듈 120: 카메라 구동모듈
130: 저장모듈 140: 인화요청모듈
150: 결제모듈 160: 표시모듈

Claims (15)

  1. 모바일 기기에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탑재된 사진 촬영 및 인화 요청 시스템에 있어서,
    각각마다 촬영 가능 횟수가 설정된 하나 이상의 디지털 필름 및 상기 디지털 필름에 대응되어 기 촬영 사진이 저장된 저장 모듈;
    상기 하나 이상의 디지털 필름 중 선택된 디지털 필름의 촬영 가능 횟수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기기의 카메라를 구동하여 사진을 촬영하는 카메라 구동 모듈; 및
    상기 카메라 구동 모듈에 의해 상기 선택된 디지털 필름의 촬영 가능 횟수만큼 촬영이 완료되면, 상기 선택된 디지털 필름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촬영 사진을 외부 인화시스템에 전송하여 인화를 요청하는 인화 요청 모듈을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의 사진 촬영 및 인화 요청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기기의 화면에 촬영 화면을 표시하되, 상기 카메라에 의한 라이브뷰 화면과 상기 카메라에 의한 기 촬영 사진의 프리뷰 화면이 함께 표시되도록 하는 표시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의 사진 촬영 및 인화 요청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모듈은 상기 카메라 구동 모듈에 의해 상기 라이브뷰 직전 시점의 촬영 사진에 대한 상기 프리뷰 화면이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의 사진 촬영 및 인화 요청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브뷰 화면은 포지티브 이미지로 표시되고, 상기 프리뷰 화면은 네거티브 이미지 또는 흑백 이미지 중 하나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의 사진 촬영 및 인화 요청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구동 모듈은,
    상기 카메라의 촬영 동작을 제어하는 촬영 제어부; 및
    상기 카메라에 촬영 효과를 제공하는 효과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의 사진 촬영 및 인화 요청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모듈은,
    각 종류마다 서로 다른 촬영 효과를 제공하는 상기 디지털 필름이 저장된 필름 저장부; 및
    상기 디지털 필름 각각에 대응되는 상기 촬영 사진이 썸네일 이미지로 저장된 사진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의 사진 촬영 및 인화 요청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사진은 촬영 일시 및 장소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의 사진 촬영 및 인화 요청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화 요청 모듈은,
    상기 촬영 사진과 함께 인화된 사진을 오프라인으로 제공받을 주소 정보를 상기 인화시스템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의 사진 촬영 및 인화 요청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필름의 구매 및 상기 촬영 사진의 인화에 대한 비용 결제를 제어하는 결제 모듈; 및
    초기 구동 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모바일 기기의 프로세서로부터 상기 카메라의 동작 제어 권한을 획득하며, 상기 저장 모듈, 상기 카메라 구동 모듈, 상기 사진 인화 모듈 및 상기 결제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의 사진 촬영 및 인화 요청 시스템.
  10. 모바일 기기에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탑재된 사진 촬영 및 인화 요청 시스템을 이용한 사진 촬영 및 인화 요청 방법에 있어서,
    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디지털 필름 중 선택된 디지털 필름의 촬영 가능 횟수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기기의 카메라를 구동하여 사진을 촬영하는 단계;
    촬영 횟수와 상기 선택된 디지털 필름의 촬영 가능 횟수를 비교하는 단계; 및
    비교 결과 상기 촬영 횟수가 상기 촬영 가능 횟수와 동일하면, 촬영 사진을 외부의 인화시스템으로 전송하여 인화를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의 사진 촬영 및 인화 요청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사진을 촬영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기기의 화면에 촬영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촬영 화면은, 상기 카메라에 의한 라이브뷰 화면과 상기 카메라에 의한 기 촬영 사진의 프리뷰 화면이 함께 표시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의 사진 촬영 및 인화 요청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뷰 화면은 상기 라이브뷰 직전 시점의 촬영 사진에 대한 화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의 사진 촬영 및 인화 요청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브뷰 화면은 포지티브 이미지로 표시되고, 상기 프리뷰 화면은 네거티브 이미지 또는 흑백 이미지 중 하나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의 사진 촬영 및 인화 요청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인화를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촬영 사진, 상기 촬영 사진에 대한 관련 정보 및 상기 촬영 사진에 대한 인화된 사진을 제공받을 주소 정보를 함께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의 사진 촬영 및 인화 요청 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기기의 카메라에 의해 사진이 촬영되면,
    상기 선택된 디지털 필름에 대응되도록 상기 촬영 사진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촬영 사진은 썸네일 이미지로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의 사진 촬영 및 인화 요청 방법.

KR1020180044400A 2018-04-17 2018-04-17 모바일 기기의 사진 촬영 및 인화 요청 시스템 및 방법 KR1021285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4400A KR102128591B1 (ko) 2018-04-17 2018-04-17 모바일 기기의 사진 촬영 및 인화 요청 시스템 및 방법
JP2018205026A JP6706309B2 (ja) 2018-04-17 2018-10-31 モバイル機器の写真撮影およびプリント要求システムならびに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4400A KR102128591B1 (ko) 2018-04-17 2018-04-17 모바일 기기의 사진 촬영 및 인화 요청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0979A true KR20190120979A (ko) 2019-10-25
KR102128591B1 KR102128591B1 (ko) 2020-07-01

Family

ID=68337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4400A KR102128591B1 (ko) 2018-04-17 2018-04-17 모바일 기기의 사진 촬영 및 인화 요청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6706309B2 (ko)
KR (1) KR10212859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65116A (ja) * 2000-11-29 2002-06-07 Fuji Photo Film Co Ltd ディジタル・カメラおよびその動作制御方法
KR20060095970A (ko) * 2003-10-31 2006-09-05 고쿠요 가부시키가이샤 가상 필름의 제공 방법, 서버 및 카메라 부착 휴대 단말
KR101448530B1 (ko) * 2007-09-18 2014-10-0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영상 처리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65116A (ja) * 2000-11-29 2002-06-07 Fuji Photo Film Co Ltd ディジタル・カメラおよびその動作制御方法
KR20060095970A (ko) * 2003-10-31 2006-09-05 고쿠요 가부시키가이샤 가상 필름의 제공 방법, 서버 및 카메라 부착 휴대 단말
KR101448530B1 (ko) * 2007-09-18 2014-10-0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영상 처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706309B2 (ja) 2020-06-03
KR102128591B1 (ko) 2020-07-01
JP2019186904A (ja) 2019-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58420B2 (ja) 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JP2019054536A (ja) 電子機器
WO2017067121A1 (zh) 一种拍摄方法、装置、系统及一种移动终端
JP6861342B2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装置とサーバとを含むシステム
JP6139829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CN105554372A (zh) 一种拍摄方法以及装置
JP2011024139A (ja) 撮像装置、撮像方法、プログラム、及び撮像システム
JP7033717B2 (ja) 撮像装置及び画像転送方法
JP2005318561A (ja) 画像出力システム、方法、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CN103873762A (zh) 拍摄装置及其控制方法
WO2017054475A1 (zh) 拍照的方法、装置及终端
JP5562101B2 (ja) 撮像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128591B1 (ko) 모바일 기기의 사진 촬영 및 인화 요청 시스템 및 방법
US10771732B2 (en) System, imag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JP5889690B2 (ja) 撮影システム及び撮影管理サーバ
KR100610895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제공되는 영상 촬영 장치를 이용하여영상을 촬영하는 방법
JP2017041778A (ja) 撮像装置、動画生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3304478A (ja) 電子カメラのレンタルサービスシステム
JP5804284B2 (ja) 撮像装置、撮像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287146B2 (ja) 写真撮影システム
JP4761312B2 (ja) 画像の転送制御方法および画像転送装置
JP5555103B2 (ja) 画像記録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6197394A (ja) 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撮像システム
JP2017188775A (ja) 撮像システムおよびその撮像処理方法
JP2017017444A (ja) 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ならびに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