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0123A - 열과 또는 완숙참외를 이용한 장아찌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열과 또는 완숙참외를 이용한 장아찌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0123A
KR20190120123A KR1020190127662A KR20190127662A KR20190120123A KR 20190120123 A KR20190120123 A KR 20190120123A KR 1020190127662 A KR1020190127662 A KR 1020190127662A KR 20190127662 A KR20190127662 A KR 20190127662A KR 20190120123 A KR20190120123 A KR 201901201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lon
oriental
melons
liquid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76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3323B1 (ko
Inventor
권준하
Original Assignee
권준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준하 filed Critical 권준하
Priority to KR10201901276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3323B1/ko
Publication of KR201901201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01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33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33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2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by pickling, e.g. sauerkraut or pick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03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sisting of whole pieces or fragments without mashing the original pieces
    • A23L19/07Fruit waste products, e.g. from citrus peel or see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1Mechanical treat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과또는 완숙 되거나 파손되어 상품 가치를 상실한 버리는 참외만을 이용하여 참외의 특성도 살리면서 방부제 식용색소 등이 들어가지않고, 천궁, 당귀, 구기자, 감초,작약 등으로 건강에 좋은 열과또는 완숙참외를 이용한 참외 장아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열과또는 완숙참외를 이용한 참외 장아찌의 제조방법으로 먼저 열과또는 완숙참외 손상되어 파손되어 상품 가치를 상실한, 버리는 참외만을 수집하여 속 씨았을 제거하고, 껍질은 그대로 둔 상태에서 꼭지를 제거한 참외를 2토막으로 자르고난뒤,
물로 깨끗이 세척 한 후 아삭하고 쫄깃한 맛을 내게하기 위하여, 소금물을 만든후, 그 속에 세척된 참외를 넣고, 참외 위에 맥반석 돌을 올려서 24시간 동안 눌러준후, 참외에서 우러난 물과 혼합된 소금물을 버린후, 참외를 다른 용기에 옮겨 담은후 물엿을 투입하여 버무런다,물엿에 버물러진 참외를 용기에 넣고 다시 맥반석 으로 24시간 동안 압력을 가한후
이에 물에 식초과 설탕을 넣어 끓여 식힌 1액에, 구기자 , 천궁,당귀,감초을 투입하여 8시간 동안 끓인후 식혀서, 만들어진 2액을 혼합한후, 그속에 알콜 성분30도 소주을 넣어서 희석하면 당금액 이 만들어진다, 이렇게 만들어진 당금액속에 2차 가공된 고들고들한 참외를 투입하여 7일동안 15-20도의 온도에서 숙성하면 영양 많고 맛있고 고들고들한 참외 장아찌의 제조방법.

Description

열과 또는 완숙참외를 이용한 장아찌 및 그의 제조방법 {Pickled jelly using heat or ripened melo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열과 또는 완숙참외를 이용한 장아찌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 말
하면 본 발명의 열과 또는 완숙참외를 이용한 참외 장아찌의 제조방법으로 먼저 열과, 또는 완숙참외, 또는 손상이나 파손되어 상품 가치를 상실한, 버리는 참외만을 수집하여 일련의 가공단계를 거쳐, 천궁, 당귀, 구기자, 감초, 작약 등으로 건강에 좋은 열과 또는 완숙참외를 이용한 참외 장아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참외는 동양계의 참외와 서양계(유럽계)의 멜론으로 구분되는데 우리나라에서는 옛부터 참외가 많이 재배되어 왔다. 참외의 학명중 쿠쿠미스는 쿠쿠마(cucuma) 즉 라틴어의 냄비 또는 가운데가 비어 있는 식기류라는 뜻이 있는데 과실을 식기류로 사용했거나 또는 과실을 잘라 두 조각내면 그 모양이 식기류와 닮았기 때문이라고 한다. 또한 멜론(melo) 사과를 가리키는 것으로 과실의 모양으로부터 착상되었다. 줄기는 덩굴성이고 각 마디의 엽액에서는 측지가 발생하여 아들덩굴, 손자덩굴 등을 형성한다. 기부의 잎은 가장자리가 민듯하고 톱니가 없는 상태가 대부분이나 위로 올라갈수록 잎의 결각이 나타난다. 과실모양은 둥근 것, 타원형, 방추형, 계란형, 단지형, 원통형 등 여러 가지이다. 고온성 작물로서 건조하고 일조가 풍부해야 생육이 잘 되고 착과가 양호하여 품질이 우수해진다
참외는 독특한 향기와 시원한 맛이 우리 기호에 맞아 여름철에 크게 환영을 받으며 냉장고가 보급되기 전에는 차가운 우물에 재워든 참외로 갈증을 풀던 추억을 가진 사람도 많으리라 생각된다. 참외는 식후에 생식하는 경우가 많다.
과거에는 덜 익은 참외꼭지에 에라테린성분이 있어 음식을 잘 못 먹어 체했을때 최토제로 이용하였다. 참외는
완화작용을 하므로 변비에도 도움을 준다. 변비예방채소로는 당근, 양파, 염교 등이 있으며 그 외에도 엽채류와 근채류를 항상 먹으면 효과가 있다.
참외는풍담, 황달, 수종, 이뇨 등에도 유효하다.
참외는종자의 기름은 요통, 장의 종물(腫物)의 치료약으로도 유효하다.
참외는 과실에는 수분이 많아 약간의 이뇨작용이 있으며 피로회복에도 효과적이다.
참외는 참외에 진핵, 거담작용을 하는 성분이 있고 완하작용도 하므로 변비에도 도움을 준다.
영양성분 또한 단백질 탄수화물 비타민 A와 B가 풍부하여 건강에도 좋다
특히 참외는 여름과일의 으뜸으로 맛이 좋은 것으로 지금까지 널리 사랑받고 있다. 그러나
수확이 가까운 과일의 꽃받침이나 과일 표면에 방사상, 동심원상등으로 갈라지는 증상으로 열과가 발생하는 직접적인 원인은
과일 내부와 과일 표면의 생장속도 차이에 의해 경화된 과피가 갈라져 생기게 됩니다 과일이 비대성숙하면서 과피가 굳어져 성장의 여지가 적은 대신 비대후기토양수분이 많아 수분의 흡수가 많고 과일 내부가 급격한 팽창이 이루어질 때 열과가 됩니다. 어린 열매의 열과는 온도 관리가 문제인데 밤온도가 급격히 낮아지고 낮온도가 높을 때 발생한다. 특히 수확적기를 넘어서 과숙한 경우 이러한 현상이 많이 발생하게 된다. 열매의 비대초기에 급격한 토양수분의 변화가 없도록 하고 후기에는 다습할 때 지나친 관수를 피한다. 또한 시설하우스 주위 배수구를 깊게 파서 외부의 수분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여야 하고
건조할 경우에는 자주관수하여 적절한 토양수분을 유지하여
열매가 정상적으로 생육할 수 있게 하고 충분한 잎수를 확보하여 수분의 증산이 균형있게 이루어지도록 하지않아 발생한 열과는 상품성을 떨어뜨리고, 완숙 참외 역시 참외를 보관할 수 없어 그 상품성을 기대할 수 없다. 그런 사유 등으로 열과, 혹은 완숙참외, 또는 상품성이 없는 참외는 폐기처리 하는데 따른 비용이 증가하여 참외농가에 큰 문제점으로 있었다.
(문헌 1) 한국 특허등록 제 10-0933470호(2009년12월15일)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열과, 또는 완숙 참외, 또는 손상되어 파손되어 상품 가치를 상실한, 버리는 참외만을 수집하여 속 씨앗을 제거하고, 껍질은 그대로 둔 상태에서, 꼭지를 제거한 참외를 2토막으로 자르고 난뒤, 물로 깨끗이 세척 한 후 아삭하고 쫄깃한 맛을 내게 하기 위하여 만들어진 용액에 침지압을 작용시키는 특징이 있으며, 물엿을 이용하여 참외의 특성도 살리면서 맛을 더하는 특징을 가진다. 또한 천궁, 당귀, 구기자, 감초, 작약을 달인 용액에 침지하여 참외 고유의 맛을 살리면서도 참외에 맛과 향이 뛰어나며, 천연재료를 사용함으로서 건강에도 좋은 천궁, 당귀, 구기자, 감초, 작약액이 가미된 참외장아찌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열과 또는 완숙참외를 이용한 참외 장아찌의 제조방법으로 껍질은 그대로 둔 상태에서, 쓴 맛을 내는 꼭지를 제거한 참외를 2토막으로 자르고 난뒤, 속 씨앗을 제거하고, 물로 깨끗이 세척한 후, 물을 기준으로 한 중량비로서 10-15%의 소금물을 만든 후, 그 소금물을 기준으로 한 중량비 80%의 세척된 참외를 넣고, 넣은 참외 위에 참외의 무게를 기준으로 한 중량비 20% 하중의 맥반석 돌을 올려서 24시간 동안 눌러준 후, 참외에서 우러난 물과 혼합된 소금물을 버린 후, 참외를 다른 용기에 옮겨 담은후 참외를 기준으로 한 중량비로 물엿 10%를 투입하여 버무린다. 물엿에 버물러진 참외를 용기에 넣고 다시 참외의 무게를 기준으로 한 중량비로 20% 하중의 맥반석 돌을 올려서 24시간 동안 압력을 가한후
맥반석을 제거하면 고들고들한 참외가 나오며, 이 참외에 물을 기준으로 한 중량비로 식초10-15%와 설탕10-15%를 넣어 끓여 식힌 1액에, 물을 기준으로 한 중량비로 구기자4-5%, 천궁4-5%, 당귀4-5%, 작약2-4%, 감초3-5%를 투입하여 8시간 동안 끓인후 식혀서 만들어진 2액을 혼합한 후, 상기 1액과 2액의 혼합액 속에 상기 1액과 2액의 혼합액을 기준으로 한 중량비로 알콜성분 30도의 소주1-3%를 넣어서 희석하여 만들어진 당금액속에 상기 고들고들한 참외를 투입하여 7일동안 15-20℃의 온도에서 숙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양 많고 맛있고 고들고들한 참외 장아찌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장아찌가 일정한 맛을 유지할 수 있으며 상품성이 높은 한방액의 추출액이 가미된 영양 많고 맛있고 고들고들한 참외 장아찌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참외 장아찌는 참외꼭지를 제거하고, 오존살균과정을 거치고, 참외를 부분적
이 아닌 전체적으로 골고루 염장시킬 때 무거운 하중을 가하므로 참외 속의 수분을 40% 정도 제거하기 때문에 소금물 속에서 하중에 눌러준 후 소금물을 제거하는 1차 단계 후, 2차 단계로 물엿에 버무러서 용기에 넣은 후 다시 맥반석으로 눌러주면 고들고들한 참외의 상태가 되는 효과가 있다.
2단계를 거친 참외를, 물에 식초와 설탕을 넣어 끓여 식힌 1액에, 물에 구기자, 천궁, 당귀, 작약, 감초를 투입하여 8시간 동안 끓인 후 식혀서 만들어진 2액을 혼합하게 되면 한약재의 맛과 향이 더해지며, 그 속에 알콜 성분 30도의 소주1kg을 넣어서 희석하면 천연방부제의 효과를 가지는 당금액이 만들어진다, 이렇게 만들어진 당금액속에 상기 고들고들한 참외를 투입하여 7일동안 15-20℃의 온도에서 숙성하면, 천연재료를 사용함으로서 맛과 향이 뛰어나고 건강에도 좋기 때문에 제품 자체의 품질을 높일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참외 장아찌의 제조방법의 프로세스를 도시한 블록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참외 장아찌의 제조방법의 프로세스를 도시한 블록도로서, 본 발명에 의한 참외 장아찌의 제조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이하,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과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열과 또는 완숙참외를 이용한 참외 장아찌의 제조방법으로는 열과 또는 완숙참외, 또는 손상이나 파손되어 상품 가치를 상실한, 버리는 참외만을 수집하여 껍질은 그대로 둔 상태에서, 쓴 맛을 내는 꼭지를 제거한 참외를 2토막으로 자르고 난 뒤, 속 씨앗을 제거하고, 물로 깨끗이 세척한 후 아삭하고 쫄깃한 맛을 내게 하기 위하여, 소금물은 식염 및 마그네슘과 칼륨의 염화물이나 황화물같은 다른 염의 중요한 상업적 원료이다. 소금물은 방부제로 콘드비프(corned beef)와 같은 정육업과 야채절임 등에 사용된다. 냉동과 냉각장치에서 소금물은 어는점이 낮아서 열전달 매개체로 사용되거나 증기압이 낮아서 증기흡수제로 사용되는 소금물은 참외의 성질을 아삭하게 해주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참외를 침지하는 소금물을 만들기 위하여 물을 기준으로 한 중량비로서 10-15%의 소금을 물에 넣어 소금물을 만든 후, 그 소금물을 기준으로 한 중량비 80%의 세척된 참외를 넣고, 넣은 참외 위에 참외의 무게를 기준으로 한 중량비로 20% 하중의 맥반석 돌을 올려서 24시간 동안 압력을 가한 후 맥반석을 제거하면 고들고들한 참외가 나온다.
'맥반석'은 1cm3당 3만~15만개의 구멍으로 이루어져 있어 흡착성이 강하고,약 2만 5,000종의 무기염류를 함유하고 있다.중금속과 이온을 교환하는 작용을 하기 때문에 유해금속 제거제로도 사용하며,
이 암석은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맥반석, 미반석의 효능에 대해 정리해 놓은 서적을 보면,
동의보감에는 '신비의 약돌'이라고 소개가 되어 있다.
중국 고서에는
'보건(의료) 약석, 건강약석'이라고 되어 있다.
맥반석은 미량의 원소를 배출하는데,
맥반석은 58종 이상의 미량 원소를 함유하고 이들 미량 원소에 대한 배출성능이 좋아 물기가 있으면 마그네슘등 20여가지의 인체에 유해한 미량 원소 및 광물질을 방출하고,
맥반석 1cm3당 3만여개의 구멍 조직으로 유해물질을 흡수하는 효과가 탁월하며
여러 바이러스 및 세균, 미생물, 중금속의 흡수 또는 정화 효과가 뛰어나다.
*맥반석은 인체의 호흡기, 기관지에도 좋은 영향을 준다.
상기 넣은 참외 위에 참외의 무게를 기준으로 한 중량비로 20% 하중의 맥반석돌을 올려서 24시간 동안 눌러준후, 참외에서 우러난 물과 혼합된 소금물을 버린후, 참외를 다른 용기에 옮겨 담은 후 참외를 기준으로 한 중량비로 물엿10%를 투입하여 버무린다. 물엿은 자연생의 꿀을 청(淸)이라 하므로 인공적인 꿀이라는 뜻에서 조청이라 한다. 곡물의 전분질은 찌거나 삶으면 익어서 호화(糊化)되는데, 여기에 엿기름물을 섞고 따뜻하게 중탕을 하거나 묻어두면 밥알이 삭아서 당화되어 풀어지게 된다.
이것을 자루에 퍼담아 단물을 짜낸다. 자루에 남은 것은 엿밥이라 하고 단물은 엿물이라 한다. 큰 무쇠솥에 엿물을 붓고 불을 지펴 진하게 조린다. 엿물은 넘치기 쉬우므로 뚜껑을 덮지 않고 빈 바가지를 엿물에 띄워놓는다. 한번 넘치면 걷잡을 수 없이 넘쳐버리므로 극히 조심하여야 한다.
조청은 쌀밥으로도 만들고, 수수 가루나 옥수숫가루로 쑨 죽으로도 만든다. 쌀로 만든 것은 빛이 맑고, 수수로 만든 것은 붉은빛이 돌고 맑지 못하다. 잡곡은 어느 것이나 다 활용할 수 있으며 고구마로도 만들 수 있다. 각각 빛깔·광택·끈기가 다르나 단 것은 거의 같다.
조청이 묽다, 되다라는 말은 엿물의 농축도를 말하는 것이다. 이러한 물엿은 참외의 성질을 고들고들하게 해 주는 효과를 가지며 참외 장아찌의 영양성분을 높여준다. 물엿에 버물러진 참외를 용기에 넣고 다시 참외의 무게를 기준으로 한 중량비로 20% 하중의 맥반석 돌을 올려서 24시간 동안 압력을 가한 후 맥반석을 제거 하면 고들고들한 참외가 나온다.
이에 물을 기준으로 한 중량비로 식초10-15%와 설탕10-15%를 넣어 끓여 식힌 1액에, 물을 기준으로 한 중량비로 구기자4-5%, 천궁4-5%, 당귀4-5%, 작약2-4%, 감초3-5%를 투입하여 8시간 동안 끓인후 식혀서 만들어진 2액을 혼합한 후, 30도 이하의 소주는 참외를 부패하게 하고 30도 이상의 소주는 참외의 맛을 상하게 하므로 상기 1액과 2액의 혼합액 속에 상기 1액과 2액의 혼합액을 기준으로 한 중량비로 알콜성분 30도의 소주1-3%를 넣어서 희석하면 당금액이 만들어진다. 이렇게 만들어진 당금액속에 상기 고들고들한 참외를 투입하여 7일동안 15-20℃의 온도에서 숙성하면 구기자, 천궁, 당귀, 작약, 감초 액이 가미된 참외 장아찌의 제조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양 많고 맛있고 고들고들한 참외 장아찌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실험례 1) 관능검사
상기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참외 장아찌에 대한 관능 검사를 실시하였다. 관능적 품질은 잘 훈련된 10명의 패널 요원에 의하여 맛, 색, 향 및 조직에 대해서 평점하여 검증하였다. 하기 표에 나타난 관능검사 결과에 따르면 참외장아찌가 맛, 향에 있어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고 색, 및 조직에 있어서도 전부 우수한 결과를 나타냈다.



견고성

응집성

탄력성

부착성

씹힘성


참외장아찌

5.1

3.2

3.0

5.4

5.4

5.7

일반장아찌

5.8

5.3

6.5

6.2

7.3

7.6
(1점: 아주 강하다, 3점: 강하다, 5점: 보통이다, 7점: 약하다, 9점: 아주 약하다)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례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

  1. 열과 또는 완숙참외를 이용한 참외 장아찌의 제조방법으로 열과 또는 완숙참외, 또는 손상이나 파손되어 상품 가치를 상실한, 버리는 참외만을 수집하여 껍질은 그대로 둔 상태에서, 쓴 맛을 내는 꼭지를 제거한 참외를 2토막으로 자르고 난뒤, 속 씨앗을 제거하고, 물로 깨끗이 세척한 후, 물을 기준으로 한 중량비로서 10-15%의 소금물을 만든 후, 그 소금물을 기준으로 한 중량비 80%의 세척된 참외를 넣고, 넣은 참외 위에 참외의 무게를 기준으로 한 중량비 20% 하중의 맥반석 돌을 올려서 24시간 동안 눌러준 후, 참외에서 우러난 물과 혼합된 소금물을 버린 후, 참외를 다른 용기에 옮겨 담은후 참외를 기준으로 한 중량비로 물엿 10%를 투입하여 버무리며, 물엿에 버물러진 참외를 용기에 넣고 다시 참외의 무게를 기준으로 한 중량비로 20% 하중의 맥반석 돌을 올려서 24시간 동안 압력을 가한후 맥반석을 제거하면 고들고들한 참외가 나오며, 이 참외에 물을 기준으로 한 중량비로 식초10-15%와 설탕10-15%를 넣어 끓여 식힌 1액에, 물을 기준으로 한 중량비로 구기자4-5%, 천궁4-5%, 당귀4-5%, 작약2-4%, 감초3-5%를 투입하여 8시간 동안 끓인 후 식혀서 만들어진 2액을 혼합한 후, 상기 1액과 2액의 혼합액 속에 상기 1액과 2액의 혼합액을 기준으로 한 중량비로 알콜성분 30도의 소주 2-3%를 넣어서 희석하여 만들어진 당금액 속에 상기 고들고들한 참외를 투입하여 7일동안 15-20℃의 온도에서 숙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참외 장아찌의 제조방법.
KR1020190127662A 2019-10-15 2019-10-15 열과 또는 완숙된 참외를 이용한 장아찌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1233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7662A KR102123323B1 (ko) 2019-10-15 2019-10-15 열과 또는 완숙된 참외를 이용한 장아찌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7662A KR102123323B1 (ko) 2019-10-15 2019-10-15 열과 또는 완숙된 참외를 이용한 장아찌 및 그의 제조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7049A Division KR20190067050A (ko) 2017-12-06 2017-12-06 열과 또는 완숙참외를 이용한 장아찌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0123A true KR20190120123A (ko) 2019-10-23
KR102123323B1 KR102123323B1 (ko) 2020-06-16

Family

ID=68461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7662A KR102123323B1 (ko) 2019-10-15 2019-10-15 열과 또는 완숙된 참외를 이용한 장아찌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3323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0048B1 (ko) * 2003-03-17 2005-07-12 최규홍 울외를 이용한 피클의 제조방법
KR20090072590A (ko) * 2007-12-28 2009-07-02 주식회사 대성식품 참외피클 조미, 숙성용 조성물 및 참외피클의 제조방법
KR100933470B1 (ko) 2007-12-21 2009-12-23 순창군 침지 및 원심분리 탈염방법을 이용한 오이장아찌의제조방법
KR101001504B1 (ko) * 2010-06-16 2010-12-14 김재현 덜 익은 재료를 이용한 장아찌 제조방법
KR20110116870A (ko) * 2010-04-20 2011-10-26 박동섭 복분자 주박을 이용한 울외 장아찌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03549U (ko) * 2011-12-06 2013-06-14 권정자 음식물 절임용 누름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0048B1 (ko) * 2003-03-17 2005-07-12 최규홍 울외를 이용한 피클의 제조방법
KR100933470B1 (ko) 2007-12-21 2009-12-23 순창군 침지 및 원심분리 탈염방법을 이용한 오이장아찌의제조방법
KR20090072590A (ko) * 2007-12-28 2009-07-02 주식회사 대성식품 참외피클 조미, 숙성용 조성물 및 참외피클의 제조방법
KR20110116870A (ko) * 2010-04-20 2011-10-26 박동섭 복분자 주박을 이용한 울외 장아찌 및 그 제조방법
KR101001504B1 (ko) * 2010-06-16 2010-12-14 김재현 덜 익은 재료를 이용한 장아찌 제조방법
KR20130003549U (ko) * 2011-12-06 2013-06-14 권정자 음식물 절임용 누름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3323B1 (ko) 2020-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886514A (zh) 一种赶水风味萝卜干的制造方法
Biswas et al. Passion to profession: A review of passion fruit processing
KR20190142494A (ko) 해초와 키토산을 이용한 돌산 갓김치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갓김치
KR100923799B1 (ko) 강황을 함유하는 갓김치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갓김치
Morton The Tamarind (Tamarindus indica L.); its food, medicinal and industrial uses
CN104381565A (zh) 一种蜜酥蒜脯的加工工艺
KR20190120123A (ko) 열과 또는 완숙참외를 이용한 장아찌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90067050A (ko) 열과 또는 완숙참외를 이용한 장아찌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609468B1 (ko) 마 김치의 제조방법
KR100827372B1 (ko) 연근정과의 제조방법
JP4637945B2 (ja) 梅干しの製造方法
KR100453702B1 (ko) 청매실 또는 청살구를 이용한 과실김치의 제조방법 및 장기 저장방법
CN104757490A (zh) 一种酸渍辣苦瓜的制作工艺
KR20200025438A (ko) 새싹삼 장아찌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새싹삼 장아찌
KR20140060250A (ko) 복숭아 건과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복숭아 건과
KR101510685B1 (ko) 기호성을 갖는 산채류 및 그의 보존성 연장 방법
Juhnevica et al. Evaluation of sour cherry cultivars grown in Latvia for production of candied fruits.
KR101660337B1 (ko) 수박 절임식품의 제조 방법
KR101392530B1 (ko) 매실액이 함유된 명이양념절임 및 그 제조방법
KR100739836B1 (ko) 김밥용 미역줄기의 제조방법
CN102613375A (zh) 一种莲雾果脯及其制备方法
KR20050097267A (ko) 곰취 장아찌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78643A (ko) 곰취장아찌를 이용한 곰취배추김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42953A (ko) 참치가공 부산물을 이용한 곰탕 제조방법
KR100766828B1 (ko) 구절초를 이용한 건전복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건전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