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9872A - 자동차용 led 램프 조립체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led 램프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9872A
KR20190119872A KR1020180043365A KR20180043365A KR20190119872A KR 20190119872 A KR20190119872 A KR 20190119872A KR 1020180043365 A KR1020180043365 A KR 1020180043365A KR 20180043365 A KR20180043365 A KR 20180043365A KR 20190119872 A KR20190119872 A KR 201901198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emitting module
back plate
frame
led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33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6321B1 (ko
Inventor
임광조
Original Assignee
엘이디라이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이디라이텍(주) filed Critical 엘이디라이텍(주)
Priority to KR10201800433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6321B1/ko
Publication of KR201901198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98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63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63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696Mounting of devices using LE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 Led Device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LED 램프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전면과 측면 사이의 모서리 부분에 설치되는 헤드램프나 리어램프의 형상에 대응하는 곡률을 갖도록 램프를 배열 및 일정한 방향으로 광을 조사할 수 있는 자동차용 LED 램프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LED 램프 조립체는 차체에 고정되는 백플레이트에 발광모듈을 조립시 백플레이트의 지정된 위치에 LED가 위치하도록 장착되게 함으로써 백플레이트가 LED에 간섭되면서 LED에 손상 또는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며, 발광모듈에서 방출된 빛이 백플레이트와의 사이의 공간이나 틈으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LED 램프 조립체{LED lamp assembly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LED 램프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전면과 측면 사이의 모서리 부분에 설치되는 헤드램프나 리어램프의 형상에 대응하는 곡률을 갖도록 램프를 배열 및 일정한 방향으로 광을 조사할 수 있는 자동차용 LED 램프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전방 및 후방에는 야간에 운전자의 시인성 확보를 위한 전조등과, 외부에서 차량의 주행상태, 주행 방향을 인식할 수 있도록 표시해주는 정지등과 방향 지시등이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램프유닛은 차량의 안전운행과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에 주행하는 차량과 인접한 차량의 운전자가 발광 상태를 명확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최근에는 차량이 심미성을 높이고 공기의 저항을 줄일 수 있도록 차체의 전면과 측면 또는 후면과 측면을 연결하는 연결 부분이 곡면을 이루도록 제작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램프유닛 역시 곡면을 이루는 차체에 설치될 수 있도록 차체의 곡면 형상에 대응하도록 제작되어야 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4-0001148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6-0106456호
본 발명은 차체에 고정되는 백플레이트에 발광모듈을 조립시 백플레이트의 지정된 위치에 LED가 위치하도록 장착되게 함으로써 백플레이트가 LED에 간섭되면서 LED에 손상 또는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며, 발광모듈에서 방출된 빛이 백플레이트와의 사이의 공간이나 틈으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용 LED 램프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LED 램프 조립체는 일 측에서 타 측으로 순차적으로 높이 차를 갖도록 다단으로 형성된 복수의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판을 포함하고 상기 바닥판에 각각 관통홀이 형성된 바닥프레임과, 상기 바닥프레임의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바닥프레임과의 사이에 공간부를 형성하는 측벽프레임을 포함하며, 차체에 설치되는 백플레이트와; 상기 바닥프레임을 따라 상기 바닥프레임에 밀착되게 설치될 수 있도록 바닥프레임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피시비와, 상기 백플레이트의 공간부 측으로 빛을 방출하도록 상기 바닥프레임을 향하는 상기 피시비의 일 면에 상기 바닥프레임의 관통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실장되고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는 LED를 포함하는 발광모듈과; 상기 바닥프레임을 향하는 상기 발광모듈의 일 면과 대향되는 상기 발광모듈의 타 면에 설치되어 상기 발광모듈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방열판과; 상기 발광모듈에서 방출되는 빛을 상기 백플레이트 외부로 안내하도록 상기 백플레이트의 공간부에 설치되고, 상기 바닥판을 향하는 일 측에는 제1개구부가 형성되고, 타 측에는 제2개구부가 형성된 렌즈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닥판에는 상기 발광모듈의 설치 위치를 지정하기 위한 복수의 장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피시비에는 상기 장착돌기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장착돌기가 삽입되는 장착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닥판은 상기 렌즈부를 상기 백플레이트의 공간부에 설치시 상기 LED에 간섭 및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LED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관통홀은 상기 발광모듈이 설치된 외주면 측으로부터 상기 공간부 측의 내주면 측으로 갈수록 확장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백플레이트에 대해 상기 렌즈부의 삽입 위치를 정렬하기 위한 정렬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정렬부는 상기 백플레이트의 측벽프레임와 대향되는 상기 렌즈부의 일 측에 상기 렌즈부의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렌즈부의 외측으로 소정 길이 돌출되게 형성된 삽입안내돌기와, 상기 렌즈부의 삽입안내돌기에 대응되는 상기 측벽프레임의 내주면에 상기 측벽프레임의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측벽프레임의 내측으로 소정 깊이 인입되게 형성되어 상기 삽입안내돌가 삽입되는 삽입안내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LED 램프 조립체는 차체에 고정되는 백플레이트에 발광모듈을 조립시 백플레이트의 지정된 위치에 LED가 위치하도록 장착되게 함으로써 백플레이트가 LED에 간섭되면서 LED에 손상 또는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며, 발광모듈에서 방출된 빛이 백플레이트와의 사이의 공간이나 틈으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LED 램프 조립체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LED 램프 조립체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LED 램프 조립체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LED 램프 조립체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LED 램프 조립체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용 LED 램프 조립체의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용 LED 램프 조립체(1)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에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LED 램프 조립체(1)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LED 램프 조립체(1)는 자동차의 차체에 장착되거나 자체에 설치된 장착브라켓에 장착되는 백플레이트(100)와, 백플레이트(100)에 설치되는 발광모듈(200)과, 발광모듈(200)에 설치되는 방열판(300)과, 백플레이트(100) 내부에 설치되는 렌즈부(400)를 구비한다.
백플레이트(100)는 내부에 공간부(101)가 형성되고, 바닥프레임(110)과, 측벽프레임(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닥프레임(110)은 일 측에서 타 측으로 순차적으로 높이 차를 갖도록 다단으로 형성되고 서로 이격되개 배치되는 복수의 바닥판(111)과, 서로 인접하는 일 측의 바닥판(111)과 타 측의 바닥판(111)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판(11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닥프레임(110)은 일체로 형성되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바닥판(111)과 연결판(115)으로 구분한다.
바닥판(111)들은 대각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본 실시 예에서는 3개의 바닥판(111)을 구비하는 것을 적용하였으나, 그 이상이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바닥판(111)은 후술하는 렌즈부(400)를 백플레이트(100)의 공간부(101)에 설치시 후술하는 발광모듈(200)의 LED(220)에 간섭 및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LED(220)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된다.
연결판(115)은 상측에 위치하는 바닥판(111)의 단부와 하측에 위치하는 바닥판(111)의 단부를 연결하며, 바닥판(111)과 직교하도록 형성된다. 도시된 바와 다르게 연결판(115)은 바닥판(111)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바닥판(111)의 중앙에는 후술하는 발광모듈(200)의 LED(220)가 일정 깊이 삽입될 수 있도록 바닥판(111)을 관통하는 관통홀(112)이 형성된다. 관통홀(112)은 발광모듈(200)에서 방출된 빛의 경로에 간섭되지 않도록 발광모듈(200)이 설치된 외주면 측으로부터 공간부(101) 측의 내주면 측으로 갈수록 확장되게 형성된다. 또한, 바닥판(111)에는 발광모듈(200)의 설치 위치를 지정하기 위한 복수의 장착돌기(113)가 바닥판(111)으로부터 멀어지게 소정 길이 돌출 형성된다.
측벽프레임(130)은 바닥프레임(110)의 가장자리로부터 바닥프레임(110)과 직교 또는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바닥프레임(110)과의 사이에 후술하는 렌즈부(400)를 삽입 및 장착할 수 있는 공간부(101)를 형성한다.
그리고, 측벽프레임(130)에는 렌즈부(400)를 차체 또는 차체에 설치된 장착브라켓에 고정하기 위해 렌즈부(400)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 연장브라켓(413)이 통과할 수 있도록 통과구멍(132)이 형성된다. 통과구멍(132)은 백플레이트(100)에 삽입 렌즈부(400)의 연장브라켓(413)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형성된다.
발광모듈(200)은 피시비(210)와, LED(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피시비(210)는 바닥프레임(110)을 따라 바닥프레임(110)에 밀착되게 설치될 수 있도록 바닥프레임(110)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피시비(210)는 구부리거나 절곡시킬 수 있도록 FPCB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피시비(210)에는 바닥판(111)에 형성된 장착돌기(113)와 대응되는 위치에 장착돌기(113)가 삽입되는 장착홀(211) 및 피시비(210)를 바닥판(111)에 고정피스와 같은 고정부재를 통해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홀(212)이 형성된다.
LED(220)는 백플레이트(100)의 공간부(101) 측으로 빛을 방출하도록 바닥프레임(110)을 향하는 피시비(210)의 일 면에 바닥프레임(110)의 관통홀(112)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실장된다. 그리고, LED(220)는 피시비(210)를 바닥프레임(110)에 설치디 관통홀(112)에 일정 깊이 삽입되게 설치된다.
방열판(300)은 발광모듈(200)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도록 바닥프레임(110)을 향하는 발광모듈(200)의 일 면과 대향되는 발광모듈(200)의 타 면에 설치된다. 그리고, 방열판(300)에는 피시비(210)의 장착홀(211) 및 고정홀(212)에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제1체결구멍(301) 및 제2체결구멍(302)이 형성된다.
렌즈부(400)는 발광모듈(200)에서 방출되는 빛을 백플레이트(100) 외부로 안내하도록 백플레이트(100)의 공간부(101)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백플레이트(100)의 공간부(101)에 각각 삽입되는 복수의 단위렌즈(4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단위렌즈(410)들은 연결리브(420)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렌즈부(400)는 백플레이트(100)의 형상과 대응되게 일 측에서 타 측으로 갈수록 단위렌즈(410)들이 높이 차를 갖도록 단위렌즈(410)가 다단으로 배치된다.
단위렌즈(410)는 각각 바닥판(111)을 향하는 일 측에는 발광모듈(200)에서 방출된 빛이 렌즈부(400) 내측으로 진입될 수 있도록 개방된 제1개구부(411)가 형성되고, 타 측에는 렌즈부(400) 내측으로 진입된 빛을 외부로 방출시킬 수 있도록 개방된 제2개구부(412)가 형성된다.
그리고, 단위렌즈(410)의 일 측에는 백플레이트(100)의 측벽프레임(130)에 구비된 통과구멍(132)을 통과하여 렌즈부(400)를 차체 또는 차체에 구비된 장착브라켓에 고정시키기 위한 연장브라켓(413)이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LED 램프 조립체(1)는 백플레이트(100)에 대해 렌즈부(400)의 삽입 위치를 정렬하기 위한 정렬부;를 더 구비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정렬부는 삽입안내돌기(415)와, 삽입안내홈(13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삽입안내돌기(415)은 백플레이트(100)의 측벽프레임(130)와 대향되는 단위렌즈(410)의 일 측에 단위렌즈(410)의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외측으로 소정 길이 돌출되게 형성된다.
삽입안내홈(135)은 단위렌즈(410)의 삽입안내돌기(135)에 대응되는 측벽프레임(130)의 내주면에 삽입안내돌기(415)가 삽입 및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측벽프레임(130)의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측벽프레임(130)의 내측으로 소정 깊이 인입되게 형성된다.
본 실시 예에서 정렬부는 백플레이트(100)에 삽입안내홈(135)이 형성되고, 렌즈부(400)에 삽입안내돌기(415)가 형성된 구조를 적용하였으나, 이와 다르게 렌즈부(400)에 삽입안내홈을 형성하고, 백플레이트(100)에 삽입안내돌기를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LED 램프 조립체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백플레이트
101 : 공간부
110 : 바닥프레임
111 : 바닥판
112 : 관통홀
115 : 연결판
130 : 측벽프레임
132 : 통과구멍
135 : 삽입안내돌기
200 : 발광모듈
210 : 피시비
211 : 장착홀
212 : 고정홀
220 : LED
300 : 방열판
301 : 제1체결구멍
302 : 제2체결구멍
400 : 렌즈부
410 : 단위렌즈
411 : 제1개구부
412 : 제2개구부
415 : 삽입안내홈
420 : 연결리브

Claims (5)

  1. 일 측에서 타 측으로 순차적으로 높이 차를 갖도록 다단으로 형성된 복수의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판을 포함하고 상기 바닥판에 각각 관통홀이 형성된 바닥프레임과, 상기 바닥프레임의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바닥프레임과의 사이에 공간부를 형성하는 측벽프레임을 포함하며, 차체에 설치되는 백플레이트와;
    상기 바닥프레임을 따라 상기 바닥프레임에 밀착되게 설치될 수 있도록 바닥프레임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피시비와, 상기 백플레이트의 공간부 측으로 빛을 방출하도록 상기 바닥프레임을 향하는 상기 피시비의 일 면에 상기 바닥프레임의 관통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실장되고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는 LED를 포함하는 발광모듈과;
    상기 바닥프레임을 향하는 상기 발광모듈의 일 면과 대향되는 상기 발광모듈의 타 면에 설치되어 상기 발광모듈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방열판과;
    상기 발광모듈에서 방출되는 빛을 상기 백플레이트 외부로 안내하도록 상기 백플레이트의 공간부에 설치되고, 상기 바닥판을 향하는 일 측에는 제1개구부가 형성되고, 타 측에는 제2개구부가 형성된 렌즈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LED 램프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에는 상기 발광모듈의 설치 위치를 지정하기 위한 복수의 장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피시비에는 상기 장착돌기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장착돌기가 삽입되는 장착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LED 램프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은 상기 렌즈부를 상기 백플레이트의 공간부에 설치시 상기 LED에 간섭 및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LED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LED 램프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은 상기 발광모듈이 설치된 외주면 측으로부터 상기 공간부 측의 내주면 측으로 갈수록 확장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LED 램프 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백플레이트에 대해 상기 렌즈부의 삽입 위치를 정렬하기 위한 정렬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정렬부는 상기 백플레이트의 측벽프레임와 대향되는 상기 렌즈부의 일 측에 상기 렌즈부의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렌즈부의 외측으로 소정 길이 돌출되게 형성된 삽입안내돌기와, 상기 렌즈부의 삽입안내돌기에 대응되는 상기 측벽프레임의 내주면에 상기 측벽프레임의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측벽프레임의 내측으로 소정 깊이 인입되게 형성되어 상기 삽입안내돌가 삽입되는 삽입안내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LED 램프 조립체.
KR1020180043365A 2018-04-13 2018-04-13 자동차용 led 램프 조립체 KR1020363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3365A KR102036321B1 (ko) 2018-04-13 2018-04-13 자동차용 led 램프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3365A KR102036321B1 (ko) 2018-04-13 2018-04-13 자동차용 led 램프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9872A true KR20190119872A (ko) 2019-10-23
KR102036321B1 KR102036321B1 (ko) 2019-10-24

Family

ID=68423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3365A KR102036321B1 (ko) 2018-04-13 2018-04-13 자동차용 led 램프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632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1148A (ko) 2002-06-27 2004-01-07 지엠대우오토앤테크놀로지주식회사 자동차용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포그램프 장착구조
KR20060106456A (ko) 2005-04-08 2006-10-12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취부 구조
JP2008270011A (ja) * 2007-04-23 2008-11-06 Stanley Electric Co Ltd 車両用灯具
KR20170033947A (ko) * 2015-09-17 2017-03-28 삼성전자주식회사 광원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1148A (ko) 2002-06-27 2004-01-07 지엠대우오토앤테크놀로지주식회사 자동차용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포그램프 장착구조
KR20060106456A (ko) 2005-04-08 2006-10-12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취부 구조
JP2008270011A (ja) * 2007-04-23 2008-11-06 Stanley Electric Co Ltd 車両用灯具
KR20170033947A (ko) * 2015-09-17 2017-03-28 삼성전자주식회사 광원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6321B1 (ko) 2019-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09881B2 (ja) サイドターンシグナルランプ
KR101125961B1 (ko) 차량용 등기구
US9945524B2 (en) Light source unit and lighting fixture
EP2353937A1 (en) Vehicle lamp
JP2016524285A (ja) 車両ヘッドライト用照明装置
WO2020147679A1 (en) Optical assembly, vehicle lamp and vehicle
KR101581662B1 (ko) 조명장치
KR102036321B1 (ko) 자동차용 led 램프 조립체
JP2017134895A (ja) 車両用灯具の導光レンズ取付構造
US20170130926A1 (en) Lighting Device for Vehicles
JP5472815B2 (ja) 照明器具
JP2016015306A (ja) 照明装置
JP7131949B2 (ja) 車両用灯具
JP7281761B2 (ja) 照明器具
JP5879523B2 (ja) 発光装置及び照明器具
KR101983722B1 (ko) 차량 실내 조명용 도어트림 라이트가이드 조립구조
JP6602083B2 (ja) 照明装置
JP2015173057A (ja) 音響機器及びその線状照明具用ブラケット
KR102089771B1 (ko) 자동차용 램프조립체
JP6532785B2 (ja) 車両用灯具
JP2013178991A (ja) 発光装置及び照明器具
JP5927534B2 (ja) 発光装置および照明器具
KR102663434B1 (ko) 차량용 램프의 광원 어셈블리
JP7005833B2 (ja) 車両用灯具の取付け構造
WO2021157495A1 (ja) 灯具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