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9501A - 식품 신선도 유지를 위한 항균성 하이드로겔 - Google Patents

식품 신선도 유지를 위한 항균성 하이드로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9501A
KR20190119501A KR1020180131091A KR20180131091A KR20190119501A KR 20190119501 A KR20190119501 A KR 20190119501A KR 1020180131091 A KR1020180131091 A KR 1020180131091A KR 20180131091 A KR20180131091 A KR 20180131091A KR 20190119501 A KR20190119501 A KR 201901195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ogel
antimicrobial
food
glycerol
ag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10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6485B1 (ko
Inventor
윤요한
오혜민
김세정
김혜지
안수민
Original Assignee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1901195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95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64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64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liquids as carriers, diluents or solvents
    • A01N25/04Dispersions, emulsions, suspoemulsions, suspension concentrates or ge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4/00General methods for preserving meat, sausages, fish or fish products
    • A23B4/14Preserving with chemicals not covered by groups A23B4/02 or A23B4/12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3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 A23L3/345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in the form of liquids or solids
    • A23L3/3463Organic compounds; Microorganisms; Enzymes
    • A23L3/3562Sugars; Derivatives thereof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Toxicology (AREA)
  • Dentist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Food Preservation Except Freezing, Refrigeration, And Dr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 다당류를 활용하여 인체에 무해하고, 팽윤성이 뛰어나 식품에서 배출되는 액체를 다량 흡수할 수 있으면서도 항균성이 우수해 미생물의 생육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는 식품의 신선도 유지할 수 있는 항균성 하이드로겔 및 이를 이용한 식품 보관 용도에 관한 것으로, 육류 또는 수산물 등과 같은 식품에 적용함으로써 식중독 및 부패를 유발하는 미생물의 생육을 효과적으로 저해시킬 수 있어 식품을 냉장과 냉동 뿐 아니라 상온 등의 다양한 온도에서 신선도 유지가 가능하고 육류 또는 수산물을 손질하기 전 잠시 부착했다가 탈착하여 세균을 단시간에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식품 신선도 유지를 위한 항균성 하이드로겔 {Antimicrobial hydrogel for preserving freshness of food}
본 발명은 식품 신선도 유지를 위한 항균성 하이드로겔 및 이를 이용한 식품 보관 용도에 관한 것으로, 육류 또는 수산물 등과 같은 식품에 적용함으로써 식중독 및 부패를 유발하는 미생물의 생육을 효과적으로 저해시킬 수 있어 식품을 냉장과 냉동 뿐 아니라 상온 등의 다양한 온도에서 신선도 유지가 가능하고 육류 또는 수산물을 손질하기 전 잠시 부착했다가 탈착하여 세균을 단시간에 저감시킬 수 있는 항균성 하이드로겔 및 이를 이용한 식품 보관 용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육류, 수산물, 채소류, 과일류 등과 같은 식품은 조직이 파괴되면 조직 내부 및 외부의 유액이 외부로 유출되어 식품의 신선도가 저하되고 식품의 보수력 또한 저하되며 식품이 자가분해되는 현상이 발생하거나, 세균이 증식하고 식품 표면에 변색이 발생하는 현상 등이 더욱 가속화된다.
기존에는, 식품의 신선도를 장기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서, 식품 포장 시 식품과 식품을 포장하기 위한 용기 사이에 수분 흡수 패드 등과 같은 식품표면 적용 제품을 배치하고 제품의 상면에 식품을 배열하도록 하여, 저장중인 식품과 유출된 액체를 분리시키고 식품으로부터 배출되는 액체를 보다 신속하게 흡수 및 저장하게 하여 식품의 신선도를 장시간 유지시키도록 하고 있으며, 상기 식품 표면 적용 제품은 종이, 스펀지 또는 합성 고분자 등과 같은 흡습성 소재를 활용하여 제조한 것을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종이 또는 스펀지 등의 소재로 제조한 제품은 겉보기에는 식품과 식품으로부터 유출된 액체를 서로 완전히 분리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지만 실제로는 이들이 서로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식품의 신선도를 장기간 유지하기 힘들다는 문제가 있고, 또한, 흡습성 고분자를 활용하는 제품의 경우에는 항균성이 다소 떨어지고, 식품을 장시간 보관 시 식중독을 유발하는 미생물이 생육하게 되며, 인체에 유해한 물질들이 외부로 배출되는 등의 문제가 있어 이를 보완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3-0086976호 (공개일 : 2003.11.12) 한국등록특허 제10-1678402호 (공개일 : 2016.12.06)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038120호 (공개일 : 2016.04.07) 한국등록특허 제10-1012289호 (공개일 : 2011.02.10)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천연 다당류를 활용하여 인체에 무해하고, 팽윤성이 뛰어나 식품에서 배출되는 액체를 다량 흡수할 수 있으면서도 항균성이 우수해 미생물의 생육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는 하이드로겔을 제조하는 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하이드로겔을 수분 흡수재로 포함하여 식품을 장기간 보관할 수 있는 식품 표면 적용 제품에 대한 기술 내용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식품의 신선도 유지를 위한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하이드로겔 조성물은 알긴산(alginate), 아가(agar), 글리세롤(glycerol), 및 염화칼슘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a) 알긴산, 아가 및 글리세롤을 혼합하여 제조한 혼합물에 염화칼슘 수용액을 혼합하여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b) 상기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성형한 후 건조하여 하이드로겔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하이드로겔 조성물은 전체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0 중량부의 알긴산(alginate), 0.1 내지 2 중량부의 아가(agar), 30 내지 50 중량부의 글리세롤(glycerol), 및 0.05 내지 0.5 중량부의 염화칼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겔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단계 (b)에서는, 30 내지 50 ℃의 온도로 24 내지 72시간 동안 건조하여 상기 하이드로겔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단계 (b)에서는, 상기 하이드로겔을 제조한 후, 제조한 하이드로겔을 0.001 내지 1.5 중량%의 항균물질을 포함하는 수용액에 침지시켜 상기 하이드로겔을 팽윤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항균물질은 천연 식물 추출물, 항균성 고분자, 금속 산화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신선도 유지를 위한 하이드로겔 조성물이 포함된 식품에 적용을 위한 패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식품에 적용을 위한 패드는, 식품과 함께 포장용기 내에 내장시키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하이드로겔 조성물이 식품과 직접 부착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시로, 상기 패드는 밀착포 또는 흡습포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하이드로겔이 적용된 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신선도 유지를 위한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포함함에 따라, 식품에서 유출되는 수분을 다량 흡수하여 식품과 액체가 서로 분리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어 장시간 동안 식품을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하이드로겔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알긴산, 아가 등 과 같은 천연 다당류와 항균물질을 혼합하여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제조하고, 조성물을 성형하여 건조하는 간단한 방법을 통해 항균성이 우수하면서도, 흡습성과 팽윤성이 우수한 하이드로겔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식품 표면 적용 제품은 인체에 유해한 성분을 배출하지 않아 안전성이 우수하면서도, 항균성이 우수하여 식품 표면에 세균이 번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식품 포장 시 식품과 식품을 포장하기 위한 용기 사이에 배치되는 흡수 패드 등으로 용이하게 활용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하이드로겔은 육류 또는 수산물을 손질하기 전에 잠시 부착했다가 탈착하여 세균을 단시간에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방법으로 제조한 하이드로겔을 촬영한 실제 이미지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방법으로 제조한 하이드로겔을 포함하는 (a) 밀착포 및 (b) 흡습포를 촬영한 실제 이미지이다.
도 3은 육류를 하이드로겔 없이 호기상태에서 보관한 경우 항균 효과를 나타낸 결과이다.
도 4는 육류를 하이드로겔 없이 진공상태에서 보관한 경우 항균 효과를 나타낸 결과이다.
도 5는 육류를 자몽종자추출물 함유 하이드로겔 부착하여 호기상태에서 보관한 경우 항균 효과를 나타낸 결과이다.
도 6은 육류를 자몽종자추출물 함유 하이드로겔 부착하여 진공상태에서 보관한 경우 항균 효과를 나타낸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일 관점에서, 본 발명은 식품의 신선도 유지를 위한 하이드로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식품의 신선도 유지, 특히, 육류, 어류와 같은 수산물 등의 식재료의 냉장과 냉동 뿐만 아니라 실온상태 보관에서도 미생물 생육을 억제함으로써 더 오래 식품의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는 하이드로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적용가능한 식품의 종류에는 제한됨이 없이, 육류, 수산물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로겔 조성물은 식품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부착되-carrageenan), 카복시 메틸 셀룰로오스(CMC)와 같은 천연 폴리머; 잔탄(xanthan), 콜라겐(collagen), 키토산, 글루코만난, 아가과 같은 천연 코폴리머; Al3+, Ca2+, Na+, heat, pH, 염화칼슘(CalCl2), 염화칼륨(KCl), 글리세롤과 같은 가교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로, 알긴산(alginate), 아가(agar), 글리세롤(glycerol), 염화칼슘을 포함할 수 있으며, 잔량의 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하이드로겔 조성물은 식품의 신선도 유지를 위해, 우수한 항균활성, 스웰링(swelling) 능력, 우수한 유연성, 등의 효과를 가지고 있다.
특히, 이러한 효과를 나타내기 위해서, 사용하는 폴리머; 코폴리머; 가교제의 적절한 조합 또한 중요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항균을 나타내는 균 범위는 일 실시예에 따라, 대표적으로, L. monocytogenes, B. cereus, E. coli 등이나, 이들 균 범위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예컨대, Salmonella spp., Enteritidis, Pseudomonas spp., Clostridium spp. 등 식품의 신선도 저하에 따라 생장 또는 증식 되는 다양한 박테리아에 대한 항균 활성을 나타낸다.
일 관점에서, 본 발명은 (a) 알긴산(alginate), 아가(agar) 및 글리세롤(glycerol)을 혼합하여 제조한 혼합물에 염화칼슘(CaCl2) 수용액을 혼합하여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b) 상기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성형한 후 건조하여 하이드로겔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하이드로겔 조성물은 전체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0중량부의 알긴산, 0.1 내지 2 중량부의 아가, 30 내지 50 중량부의 글리세롤, 0.05 내지 0.5 중량부의 염화칼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성 하이드로겔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에 나머지 중량부는 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계 (a)는, 알긴산, 아가, 글리세롤, 염화칼슘, 및 선택적으로 물을 혼합하여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하이드로겔 조성물에 포함되는 알긴산은 갈조류와 해조류의 세포벽을 구성하는 천연 다당류이고 D-만누론산(D-mannuronic acid)과 L-글루쿠론산(L-glucuronic acid)이 1,4-글리코시드 결합(1,4-glycosidic linkage)을 통해 결합된 공중합체(copolymer)로서, 인체에 무해하고, 소화기관에 대해서 매우 안정적이며, 금속이온과의 반응성에 의한 중금속을 흡착하고, 유해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알긴산은 후술할 단계에서 제조되는 하이드로겔의 강도, 흡습성, 팽윤성 등의 물성을 조절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알긴산의 포함함량이 높을수록 하이드로겔의 강도는 증가하지만, 흡습성과 팽윤성은 감소되는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알긴산은 하이드로겔 조성물의 총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1 내지 10 중량부의 비율로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알긴산의 포함함량이 1 중량부 미만일 경우 하이드로겔의 강도를 충분히 확보하기 힘들고, 1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흡습성과 팽윤성이 크게 감소하여 하이드로겔 고유의 특성을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이드로겔 조성물은 상기 알긴산은 5 중량부의 비율로 포함하여 식품 포장용으로 활용되기 위한 충분한 강도 및 팽윤성을 갖는 하이드로겔을 제조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아가는 수용성 천연 고분자로서 한천이라고도 하며, 아가의 포함함량을 조절하여 후술할 하이드로겔의 기공 크기(pore size), 기계적 강도(mechanical stiffness), 함수율 및 팽윤성 등의 물리적, 구조적 성질을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아가를 혼합하여 제조한 하이드로겔의 경우 친수성 표면 성질을 형성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다량의 수분을 함유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한 하이드로겔을 식품 표면 적용 제품에 구비되는 수분 흡수재로 활용할 수 있는 특성을 부여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아가는 상기 하이드로겔 조성물의 전체 100 중량부 기준으로 0.1 내지 2 중량부의 비율로 혼합될 수 있으며, 상기 아가의 함량이 0.1 중량부 미만일 경우 후술할 하이드로겔의 강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2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수분 흡수시 팽윤성과 흡습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아가는 1 중량부의 함량으로 혼합하여 하이드로겔 제조를 위해 활용할 수 있다.
상기 글리세롤은 다가 알코올로서 하이드로겔 조성물에 첨가되어 후술할 하이드로겔에 흡수된 수분이 건조되는 것을 방지하고, 하이드로겔에 첨가되는 항균물질 등의 유효성분의 유실을 방지하며, 하이드로겔에 신장률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하이드로겔 조성물의 전체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글리세롤을 30 내지 50 중량부의 비율로 혼합할 수 있으며, 상기 글리세롤의 포함함량이 30 중량부 미만일 경우 하이드로겔에서 수분이 쉽게 유실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5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하이드로겔의 강도가 저하되고 하이드로겔에 끈적임이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이드로겔 조성물의 총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글리세롤을 40 중량부의 비율로 혼합할 수 있다.
상기 염화칼슘은 수용액 내에서 칼슘 이온을 형성하여 양이온 교환을 유도하며, 이와 같은 염화칼슘이 가교제로 작용하여 양이온 교환으로 인해 알긴산의 가교 결합을 유도하여 강도를 상승시켜 수용성 겔을 형성시키는 역할을 하며, 이로 인해, 하이드로겔에 성형성과 안정성을 부여하게 된다.
상기 염화칼슘은 알긴산에 의한 하이드로겔의 겔 형성능을 상승시켜 적합한 흡습성과 팽윤성을 갖는 하이드로겔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적정량을 첨가하는 것이 좋고, 바람직하게는 하이드로겔 조성물은 상기 염화칼슘을 0.05 내지 0.5 중량부의 비율로 혼합할 수 있으며, 0.05 중량부를 초과하는 비율로 혼합할 경우 하이드로겔의 강도발현이 발생되지 않는 문제가 있고, 0.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국부적인 겔화가 발생하거나 상분리에 의해 하이드로겔에 불균일이 발생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이드로겔 조성물은 상기 염화칼슘을 0.2 중량부의 비율로 혼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염화칼슘은 알긴산 아가, 글리세롤을 혼합한 후 균일하게 혼합되도록 지속적으로 교반되는 조건에서 염화칼슘을 물과 혼합한 염화칼슘 수용액을 혼합하도록 하고, 염화칼슘 수용액의 첨가속도를 조절하여 균일한 특성을 갖는 하이드로겔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단계에서는, 상기 알긴산, 아가 및 글리세롤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고, 제조한 혼합물에 염화칼슘 수용액을 혼합하도록 하여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으며, 상기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교반봉 등의 수단을 이용해 지속적으로 교반하여 염화칼슘이 균일하게 혼합되도록 하고, 하이드로겔 조성물에 겔화가 서서히 진행되는 시점에서는 후술할 단계에서 성형하도록 하여 하이드로겔을 제조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단계 (b)는, 상기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성형한 후 건조하여 하이드로겔을 제조하는 단계로서, 상기 하이드로겔은 물을 분산 매체로 하고, 삼차원 망상 구조를 갖는 친수성 고분자 물질로서 다량의 수분을 흡수할 수 있으며, 유연성이 있어 식품과의 밀착성이 뛰어나고 부드러운 질감을 제공한다.
본 단계에서는, 전술한 단계에서 제조한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교반하여 염화칼슘에 의한 알긴산의 가교를 유도하고, 하이드로겔 조성물이 서서히 굳어 겔화되는 시점에서 상기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평판 플레이트 등과 같은 성형틀 또는 몰드에 공급하여 성형하고 성형체를 자연 건조, 열풍건조, 진공건조 등의 방법으로 건조하여 하이드로겔을 제조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건조를 수행하면, 하이드로겔에 포함된 물이 증발하게 되면서 알긴산과 아가가 완전히 겔화되어 하이드로겔을 형성하게 되며, 이와 같은 하이드로겔의 건조는 최종적으로 제조되는 하이드로겔의 물성을 좌우하는 주요 인자 중에 하나이다.
구체적으로, 제조한 하이드로겔은 건조도가 높을수록 강도가 크고 흡습성, 팽윤성과 함수율이 낮으며 단단하고 질긴 하이드로겔이 형성되고, 하이드로겔의 건조도가 낮을수록 강도가 낮고 함수율이 높으며 유연하고 부드러운 하이드로겔을 제조할 수 있게 되므로, 하이드로겔의 종류 및 정도에 부합하는 물성을 보유한 하이드로겔을 제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단계에서는, 상기 하이드로겔의 제조를 위해, 상기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성형한 후 30 내지 50℃의 온도로 24 내지 72시간 동안 건조하도록 하여 하이드로겔을 제조할 수 있으며, 상기 하이드로겔을 24시간 미만 건조할 경우 하이드로겔에 수분함량이 높아 팽윤성과 흡습성이 다소 떨어진다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72시간을 초과하여 건조할 경우 하이드로겔의 흡습율이 감소하고 딱딱해지며, 유연성이 감소하는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성형한 후, 42oC의 온도로 48시간 동안 건조하도록 하여 하이드로겔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로겔은 평균 두께가 0.5 내지 10 mm일 수 있으며, 하이드로겔의 평균 두께가 0.5 mm 미만일 경우 하이드로겔의 두께가 너무 얇아 기계적 강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10 mm를 초과하면 하이드로겔이 수분을 흡수하여 팽윤 될 시, 흡수율이 감소함과 동시에 두께가 너무 두꺼워 식품 포장용으로 적합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을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이드로겔은 1 내지 3 mm의 평균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로겔은 전형적으로, 패치, 필름 등과 같은 시트 형태로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선택된 성형틀에 따른 어떠한 크기 및 모양도 가능하다.
나아가, 본 단계에서는,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한 하이드로겔에 항균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제조한 하이드로겔을 항균물질을 포함하는 수용액에 침지시켜 상기 하이드로겔을 팽윤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한 하이드로겔은 수분함량이 낮은 상태로서, 물을 흡습하여 팽윤 할 수 있는 성질을 나타내며, 이와 같은 팽윤성을 이용해 하이드로겔의 조직 내부로 항균물질을 흡수시켜 항균성이 향상된 하이드로겔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항균물질은 키토산 등과 같은 항균성 고분자, 이산화티탄 등과 같은 금속 산화물, 자몽종자추출물 또는 감귤추출물 등과 같은 천연 식물 추출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항균물질은 자몽종자추출물, 감귤추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과 같은 천연 항균물질을 사용하여 하이드로겔에 각종 미생물의 생육을 효과적으로 저해하는 항균물질이 충분히 흡수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특히, 상기 자몽종자추출물(grapefruit seed extract)은 아스코르빈산을 다량 포함하며,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인 나린진과 시트랄 등의 항균물질을 함하고, 금속이온의 환원제로 작용 수소라디칼을 생성하여 세포막에 분포된 효소 성을 저해하여 세포막 기능을 약화시켜 미생물의 세포 호흡을 저해하여 미생물의 생육을 억제하는 항균 활성을 나타낼 수 있다. 아울러, 강한 방취력을 보유하고 있어 악취와 부패취를 없애는 데에도 도움을 준다.
상기 자몽 종자 추출물은 종자를 물 또는 에탄올로 추출하여 수득한 추출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외의 다양한 방법을 추출한 추출물을 활용할 수도 있고, 상기와 같은 자몽종자추출물은 천연 식품 첨가물로서 안전성을 인정받았기 때문에 하이드로겔에 첨가되는 항균물질로 활용할 수 있다.
상기 감귤추출물은 리모넨, 비타민, 플라보노이드, 에센셜 오일 등과 같은 성분을 다량 포함하여 항균 활성을 나타내며, 감귤의 과피, 과육 폐감귤박을 물 또는 에탄올로 추출하여 얻어지는 통상적인 다양한 형태의 추출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감귤추출물 또한 천연 식품 첨가물로서 안전성을 인정받았기 때문에 하이드로겔의 항균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첨가될 수 있다.
본 단계에서는, 상기 하이드로겔을 제조한 후, 상기와 같은 자몽종자추출물 또는 감귤추출물을 상기 하이드로겔 조성물의 총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0.001 내지 1.5 중량부의 비율로 포함하는 수용액에 제조한 하이드로겔을 침지시키고, 상기 하이드로겔이 수용을 흡수하도록 하여 항균활성이 우수한 하이드로겔을 제조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자몽종자추출물 또는 감귤추출물을 포함하는 수용액에 침지시켜 제조한 하이드로겔은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Listeria monocytogenes) 또는 바실러스 세레우스(Bacillus cereus) 등과 같은 유해 미생물
의 생육을 저해하는 항균활성이 우수하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5 중량부의 함량으로 자몽종자추출물 또는 감귤추출물을 포함하는 수용액에 침지시켜 항균활성이 우수한 하이드로겔을 제조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하이드로겔은 L. monocytogenes 또는 B. cereus 등과 같은 유해 미생물 균주의 생육을 완전히 저해하는 우수한 항균활성을 갖는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이드로겔을 상기 항균물질을 포함하는 수용액에 30분 내지 4시간 동안 침지시키도록 하여 항균성이 우수한 하이드로겔을 제조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제조한 하이드로겔을 1 내지 2시간 동안 침지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하이드로겔을 항균물질을 포함하는 수용액에 침지시켜 하이드로겔에 항균물질을 흡수시킨 후, 항균물질을 흡수한 하이드로겔을 5 내지 1440분 동안 건조하도록 하여 항균활성이 우수한 하이드로겔을 제조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한 하이드로겔을 식품에서 유출되는 수분을 흡수할 수 있는 수분 흡수재로 즉시 활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건조는 5 내지 120분 동안 수행할 수 있으며, 건조 시간이 120분을 초과할 경우 하이드로겔의 형태가 흐트러지거나 항균성이 오히려 저감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5분미만일 경우 수분함량이 너무 높아 흡습성이 낮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이드로겔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알긴산, 아가, 글리세롤, 천연 항균물질 등과 같은 인체에 안전한 물질을 성형하여 건조하는 간단한 방법을 통해 항균성이 우수하면서도, 흡습성이 뛰어난 하이드로겔을 제조할 수 있다.
일 관점에서, 본 발명은 상기 하이드로겔 (조성물)이 포함된, 식품에 직,간접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기재(substrate)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재는 패드의 형태를 띨 수 있으며, 상기 하이드로겔의 상면 및 하면에 배치되는 상부 필름 및 하부 필름이 구비되어 식품에서 유출되는 수분을 흡수할 수 있는 흡수 패드 등과 같은 통상적인 식품 표면 적용 제품이 갖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상부 필름은 유체투과성 필름을 사용하여 식품에서 유출되는 수분을 쉽게 흡수하도록 하고, 하부 필름은 유체불투과성 필름을 사용하여 식품 포장 용기로의 수분 배출을 방지하여 장시간 식품의 신선도를 유지하게 구성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받지 않고, 밀착포, 흡습포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형태를 갖는 식품 표면 적용 제품은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한 하이드로겔을 흡수재로 포함함에 따라, 흡습성, 팽윤성 등의 특성이 우수하여 식품에서 유출되는 수분을 다량 흡수할 수 있어 식품과 액체가 서로 분리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식품의 신선도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품 표면 적용 제품은 인체에 유해한 성분을 배출하지 않아 안전성이 우수하면서도, 항균성이 우수하여 식품 표면에 세균이 번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식품 포장 시 식품과 식품을 포장하기 위한 용기 사이에 배치되는 흡수 패드로 용이하게 활용될 수 있다. 식품으로써 육류, 생선류 등의 포장을 위한 식품 포장용 흡수 패드로 용이하게 활용될 수 있으며, 육류, 생선류 포장을 위한 포장재, 포장 용기에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이드로겔은 일종의 팩과 같은 형태로, 포장팩 내부에 항균 패치 (즉, 흡습포 내부에 하이드로겔을 충전하는 형태)를 항균 용액과 함께 넣어 포장하고, 포장을 뜯어 꺼내기 전까지 항균 용액을 흡수하고 있는 형태, 또는 하이드로겔 패치와 항균 물질(용액)을 따로 포장하여 제공하는 형태일 수 있다.
일 관점에서, 본 발명은 상기 하이드로겔이 적용된 식품에 관한 것으로, 상기와 같은 식품은 육류, 생선류 등 제한없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들어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실시예> 하이드로겔 제조
5 중량%의 알긴산(alginate)과 1 중량%의 아가(agar)를 넣은 삼각플라스크에 40 중량% 글리세롤(glycerol)을 넣고 교반(stir)하여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0.2 중량%의 CaCl2를 물과 혼합하여 제조한 염화칼슘 수용액을 상기 혼합물과 혼합하고 다시 교반하여 혼합하였다. 겔이 형성되면 square dish에 혼합물을 0.2 cm 두께로 고루 펴 42oC의 인큐베이터에서 48시간 동안 건조시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형태를 갖는 하이드로겔(alginate 5% + agar 1% + CaCl2 0.2% +glycerol 40%)을 제조하였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조한 하이드로겔은 무취의 투명한 겔로, 칼슘 양이온과 결합하여 단단한 겔을 형성하였으며, swelling 능력이 우수하고, 항균물질을 swelling 하면 겔이 약하게 용해되면서 크기가 커지며 건조 시 수축하는 성질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비교예> 일반 하이드로겔의 제조
1 중량% κ-카라기난(κ-carrageenan), 1 중량%의 잔탄검(xanthan)과 40 중량%의 글리세롤(glycerol)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을 이용해 일반 하이드로겔(κ-carrageenan 1% + xanthan 1% + glycerol 40%)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항균물질의 최소저해농도( MIC ) 분석
대수생장기까지 배양한 그람양성 세균 2종[L. monocytogenes (엘. 모노사이토제네스), B. cereus (비. 세레우스)]의 O.D600을 0.1이 되도록 한 후, 96-well plate의 모든 칸에 20 μL씩 접종하였다. 이를 위해, 각각의 well에 배지 90 μL, 항균물질 90 μL, 세균 20 μL가 포함될 수 있도록 각각 공급하였다. 양성대조군에는 항균물질을 제외한 배지 180 μL와 균 20 μL를 넣었고, 음성대조군으로는 배지 90 μL에 항균물질 90 μL를 첨가하여 항균물질의 최소저해농도 분석 실험을 수행하였다.
접종한 균의 배양 조건을 적용하여 96-well plate는 30oC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고, 배양 후에 L. monocytogenesB. cereus를 Palcam 배지와 MYP 배지에 각각 획선도말하여 30oC의 인큐베이터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여 균의 최소저해농도를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의 표 1과 표 2에 나타내었다.
단, 표 1은 L. monocytogenes에 대한 자몽종자추출물과 감귤추출물의 최소저해농도 확인한 결과이고, 표 2는 B. cereus에 대한 자몽종자추출물과 감귤추출물의 최소저해농도 확인한 결과이다.
세균농도 자몽종자추출물 감귤추출물
7 log CFU/mL 0.002% 0.002%
3 log CFU/mL 0.001% 0.001%
세균농도 자몽종자추출물 감귤추출물
7 log CFU/mL 0.004% 0.004%
3 log CFU/mL 0.001% 0.001%
표 1 및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몽종자추출물과 감귤추출물은 0.001 내지 0.002%의 낮은 농도로도 고농도의 L. monocytogenes를 제어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B. cereus보다 L. monocytogenes가 항균물질에 의해 더 쉽게 저해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자몽종자추출물과 감귤추출물은 고농도(7 log CFU/ml)의 B. cereus를 제어하기 위하여 0.004% 농도로 L. monocytogenes 제어보다 2배 더 높은 농도의 항균물질을 필요로 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하이드로겔에 항균물질 탑재 후 항균효과 분석
(1) 노출 시간에 따른 저해효과 확인
1 cm × 1 cm 크기로 자른 실시예 1에서 제작한 하이드로겔을 1 mL의 항균물질(자몽종자 추출물 0.1%, 감귤 추출물 0.1%)을 담은 24-well plate에서 30분, 2시간, 4시간 동안 하이드로겔을 침지하여 팽창(swelling)시켰다.
대수 생장기까지 배양한 L. monocytogenes의 O.D600을 0.1이 되도록 한 후, 멸균 면봉을 이용하여 TSAYE에 균액을 도말하고, 그 위에 항균물질의 swelling 시간을 다르게 한 항균 하이드로겔을 각각 올려 30oC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클리어 존(clear zone)의 크기를 측정하였으며, 하기의 표 3에 실시예의 하이드로겔과 비교예의 일반 하이드로겔의 swelling 시간별 항균활성(자몽종자 추출물, 감귤 추출물 0.1%)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하이드로
겔 조성
clear zone 크기 (mm)
자몽종자추출물 0.1% 감귤 추출물 0.1%
30분 60분 120분 240분 30분 60분 120분 240분
5% alginate+1% agar+ 0.2% CaCl2+ 40% glycerol

3.6±0.9


4.0±0.9


4.6±1.1


3.9±0.8


2.3±0.4


2.3±0.4


3.2±0.8


2.7±1.0
1%Κ-carragenan + 1% xanthan + 40% glycerol

1.1±0.5


1.1±0.5


2.1±0.8


1.2±0.7


1.3±0.5


1.4±0.4


2.2±1.0


2.1±0.2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120분 스웰링(swelling) 하였을 경우에 가장 항균효과가 높게 확인되었고 그 이상을 흡수시킬 경우 오히려 항균물질의 흡수력이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스웰링(swelling) 시간은 1 내지 2시간이 항균물질을 잘 흡수하기 위한 조건으로 판단되었으며, 이 후, 2시간의 swelling 시간을 거쳐 항균 하이드로 겔 패치를 제작하고자 하였다.
(2) 건조시간에 따른 저해효과
1 cm × 1 cm의 크기로 자른 하이드로겔을 2시간 동안 swelling시킨 후, 상온에서 5분, 1시간, 2시간, 24시간 동안 건조하였다.
대수생장기까지 배양한 L. monocytogenes의 O.D600을 0.1이 되도록 한 후, 멸균면봉을 이용하여 TSAYE에 균액을 도말하고, 그 위에 항균물질 건조 시간을 다르게 한 항균 하이드로겔을 각각 올려 30oC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clear zone의 크기를 측정하였으며, 건조시간에 따른 하이드로겔의 항균활성(자몽종자추출물, 감귤추출물 0.1%)을 확인한 결과를 하기의 표 4에 나타내었다.
하이드로
겔 조성
clear zone 크기 (mm)
자몽종자추출물 0.1% 감귤추출물 0.1%
5분 30분 60분 120분 5분 30분 60분 120분
5% alginate+1% agar+ 0.2% CaCl2+ 40% glycerol

4.6±1.1


3.0±0.0


2.8±0.5


2.8±1.0


3.0±0.5


3.0±0.7


2.5±1.0


1.3±0.3
1%Κ-carragenan + 1% xanthan + 40% glycerol

2.1±0.8


1.4±0.6


0.7±0.3


0.1±0.0


1.7±0.5


1.0±0.0


0.4±0.1


0.2±0.2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의 하이드로겔(alginate 5% + agar 1% + CaCl2 0.2% + 40% glycerol)은 2시간 건조시간 이후에도 항균활성을 그대로 유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비교예의 하이드로겔(κ-carrageenan 1% + xanthan 1% + 40% glycerol)이 2시간 건조한 후 항균활성이 급격히 저해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고, 실시예의 하이드로겔은 항균활성이 장시간 유지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3) 항균물질 농도별 저해효과
제조한 겔을 1 cm × 1 cm 의 크기로 잘라 24-well plate에서 각각의 농도 별 항균물질(자몽종자추출물 0.1%, 0.3%, 0.5%, 0.7%, 감귤추출물 0.1%, 0.3%, 0.5%, 0.7%)에 2시간 동안 swelling 후, 상온에서 30분 동안 건조하여 항균물질의 종류와 농도에 따른 항균활성을 확인하였다.
대수생장기까지 배양한 그람양성 세균 2종(L. monocytogenes, B. cereus)의 O.D600을 0.1이 되도록 한 후, 멸균면봉을 이용하여 L. monocytogenes는 TSAYE, B. cereus는 TSA에 도말하였고, 그 위에 1 cm × 1 cm의 크기로 제조한 항균 하이드로겔을 각각 올려 상기 세균들의 생장온도인 30oC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clear zone의 크기를 측정하였다.
먼저, 자몽종자추출물 농도에 따른 L. monocytogenesB. cereus에 대한 하이드로겔의 항균활성을 확인한 결과를 하기의 표 5에 나타내었다(단, 하기의 표 5에서 * 표기는 항균효과 없음을 나타내는 것임).
하이드로
겔 조성
clear zone 크기 (반지름 cm±SD)
L. monocytogenes B. cereus
자몽종자추출물
0.1% 0.3% 0.5% 0.7% 0.1% 0.3% 0.5% 0.7%
5% alginate+1% agar+ 0.2% CaCl2+ 40% glycerol

0.12±0.13


0.23±0.16


0.33±0.28


0.50±0.00


0.12±0.08


0.18±0.08


0.27±0.08


0.25±0.07
1%Κ-carragenan + 1% xanthan + 40% glycerol

0.05±0.05


0.10±0.11


0.14±0.17


0.30±0.00


0.02±0.04


0.03±0.06


0.03±0.06


-*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몽종자추출물을 흡수시킨 실시예의 하이드로겔과 비교예의 하이드로겔은 각각 0.1 내지 0.7%의 농도에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며, 항균물질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항균활성 또한 증가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고, 실시예의 하이드로겔이 L. monocytogenesB. cereus에 대한 항균 활성이 비교예의 하이드로겔에 비해 더욱 우수하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B. cereus에 대한 항균활성은 0.5%의 자몽종자추출물을 swelling 시킨 하이드로겔에서 가장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낸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감귤추출물 농도에 따른 L. monocytogenesB. cereus에 대한 하이드로겔의 항균활성을 확인한 결과를 하기의 표 6에 나타내었다(단, 하기의 표 6에서 * 표기는 항균효과 없음을 나타내는 것임).
하이드로
겔 조성
clear zone 크기 (반지름 cm±SD)
L. monocytogenes B. cereus
감귤추출물
0.1% 0.3% 0.5% 0.7% 0.1% 0.3% 0.5% 0.7%
5% alginate+1% agar+ 0.2% CaCl2+ 40% glycerol

0.15±0.10


0.24±0.18


0.34±0.18


0.50±0.00


0.07±0.10


0.16±0.13


0.29±0.16


0.33±0.04
1%Κ-carragenan + 1% xanthan + 40% glycerol

0.07±0.05


0.17±0.17


0.20±0.17


0.30±0.00


0.03±0.06


-*


0.03±0.08


-*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감귤추출물을 흡수한 실시예의 하이드로겔은 0.1 내지 0.7%의 농도에서 항균효과를 보였으며, 항균물질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항균활성 또한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비교예의 하이드로겔 보다는 실시예의 하이드로겔이 나타내는 항균효과가 더욱 우수하였다.
B. cereus에 대한 항균효과는 L. monocytogenes에 비하여 낮은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0.5% 이상의 농도로 항균물질을 swelling하였을 때 항균활성이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험예 3: 항균 하이드로겔의 정량적 저해효과
(1) 제조한 하이드로겔의 세균 생장 저해능 확인
대수생장기까지 배양한 그람양성 세균 2종의 O.D600을 0.1이 되도록 한 후, 멸균면봉을 이용하여 L. monocytogenes는 TSAYE, B. cereus는 TSA에 도말하였고, 그 위에 2.5 cm × 2.5 cm 크기로 제조한 항균 하이드로겔을 올려 30oC 온도의 인큐베이터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에 하이드로겔 및 하이드로겔이 접촉된 배지 부분을 잘라 BPW 10 mL을 넣어 Palcam과 MYP 배지에 각각 도말하여 항균물질을 적용하지 않은 하이드로겔 패치의 세균 수와 정량적으로 비교하였으며, 제조한 하이드로겔의 세균 생장 저해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L. monocytogenesB. cereus에 대한 하이드로겔의 정량적 항균효과 분석결과를 하기의 표 7에 나타내었다(단, 하기의 표 7에서 * 표기는 균이 제어되어 자라지 않음을 타내는 것임).
하이드로
겔 조성
Mean (Log CFU/g)±SD
L. monocytogenes B. cereus
Control 자몽종자추출물
0.5%
감귤
추출물
0.5%
Control 자몽종자추출물
0.5%
감귤
추출물
0.5%
5% alginate+1% agar+ 0.2% CaCl2+ 40% glycerol

5.3±0.6


-*


-


0.4±0.8


-


-
1%Κ-carragenan + 1% xanthan + 40% glycerol

7.5±1.4


6.5±1.8


5.7±1.8


4.1±0.8


5.3±2.4


3.8±2.5
표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이드로겔을 균을 접종한 배지에 함께 배양하였을 때, 균의 생장을 저해하는 능력을 정량적으로 확인한 결과, 항균물질을 흡수한 실시예의 하이드로겔은 균의 생장을 완전히 저해시킨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항균물질을 함유하지 않은 하이드로겔 또한 B . cereus를 저해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는, 항균효과가 있는 천연 polymer를 선정하는 과정에서 선택된 alginate가 기초적인 항균활성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유도되는 효과인 것으로 사료되며, alginate를 포함하는 겔이 swelling 과정에서 항균물질을 잘 흡수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2) 제조한 하이드로겔의 세균 저감효과 확인 실험
대수생장기까지 배양한 그람양성 세균 2종의 O.D600을 0.1이 되도록 한 후, 멸균면봉으로 L. monocytogenes는 TSAYE, B. cereus는 TSA에 도말하여 30 oC 온도의 인큐베이터에서 24 h 배양하였고, 균이 자란 배지(8-9 log CFU/g)에 항균 하이드로겔을 올려 4oC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한 다음, 하이드로겔 및 하이드로겔이 접촉된 배지 부분을 잘라 BPW 10 mL을 넣고 Palcam과 MYP 배지에 각각 도말하여 항균물질을 적용하지 않은 하이드로겔 패치의 세균 수와 정량적으로 비교하였으며, L. monocytogenesB. cereus에 대한 하이드로겔의 정량적 항균효과(저감화 효과)를 확인한 결과를 하기의 표 10에 나타내었다.
하이드로
겔 조성
Mean (Log CFU/g)±SD
L. monocytogenes B. cereus
Control 자몽종자추출물
0.5%
감귤
추출물
0.5%
Control 자몽종자추출물
0.5%
감귤
추출물
0.5%
5% alginate+1% agar+ 0.2% CaCl2+ 40% glycerol

8.9±0.1


4.9±2.0


7.3±0.6


9.3±0.2


1.9±2.2


2.3±1.6
1%Κ-carragenan + 1% xanthan + 40% glycerol

8.8±0.4


8.5±0.1


8.6±0.2


8.8±0.3


8.3±0.4


8.2±0.4
표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이미 균이 존재하는 부위에 항균 하이드로겔을 접촉시켰을 때 균을 저감할 수 있는 능력을 정량적으로 확인해본 결과, 실시예의 하이드로겔은 L. monocytogenesB. cereus의 생육을 저감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특히, 실시예의 하이드로겔은 일반 하이드로겔에 비하여 감귤추출물 0.5%를 첨가했을 때, L. monocytogenes는 2.5 log CFU/g, B. cereus는 7 log CFU/g까지 저감하는 효과를 나타냈고, 자몽종자추출물을 0.5% 첨가했을 때에도 L. monocytogenes는 4 log CFU/g, B. cereus는 7 log CFU/g까지 저감하는 효과를 나타낸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4: 항균 하이드로겔의 유연성 및 경도 특성 확인
2 cm × 2 cm 크기로 잘라 1 mL의 항균물질(자몽종자 추출물 0.1%, 감귤추출물 0.1%)을 담은 24-well plate에서 2시간 동안 하이드로겔을 침지하여 항균물질이 겔에 흡수되도록 팽창(swelling)시켰다. 이렇게 항균물질을 흡수한 항균 하이드로겔은 30분 건조하여 Texture analyzer (Stable Micro Systems LTD., Surrey, UK)를 사용하여 하이드로겔의 물리적 특성(경도 및 유연성)을 측정하였고, Exponent Lite Express software (Stable Micro System LTD)를 통하여 경도와 유연성을 계산하여 수치화 하였다. 측정한 결과, 대조군 겔에 비하여 항균 하이드로겔의 경도는 감소하였고, 유연성은 증가하였다.
하이드로겔
조성
경도
유연성
대조군(control) 2시간 흡수 대조군(control) 2시간 흡수
5% alginate+ 1% agar+ 0.2% CaCl2+ 40% glycerol
10.9±4.7

5.8±0.2

-0.7±0.4

-0.5±0.2
1% Κ-carragenan + 1% xanthan + 40% glycerol
12.9±4.3

8.7±3.1

-0.3±0.0

-0.2±0.1
실험예 5: 항균 하이드로겔 패치 제작
제조한 하이드로겔을 10 × 10 × 0.2 cm3 크기로 잘라 square dish에 넣은 후, 0.5%로 희석한 항균물질(자몽종자추출물, 귤추출물)을 겔이 잠길 정도(50 mL)로 첨가해주고, 2시간 동안 상온에서 swelling하여 하이드로겔에 항균물질을 흡수시킨 후 square dish 뚜껑에 swelling 된 겔을 꺼내 상온에서 30분 동안 건조시켰다.
17.5 × 13.5 cm2 사이즈의 밀착포를 구매하여 밀착포의 습포제 부분에 swelling과 건조 단계를 거쳐 제조한 항균 하이드로겔을 부착하였으며, 10 ×15 cm2사이즈의 흡습포를 구매하여 흡습포 내부에서 swelling과 건조 단계를 거쳐 제조한 항균 하이드로겔을 충진하여 항균 하이드로겔 패치를 제조하였으며, 밀착포를 사용하여 파스 형태로 제조한 하이드로겔 패치와, 흡습포를 사용하여 패드 형태로 제조한 하이드로겔 패치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밀착포를 사용하여 파스 형태로 제작한 결과, 시중에 판매되는 파스와 비슷한 형태를 갖추었고 축산물에 직접적으로 접촉하여 항균효과를 내는데 큰 어려움이 없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흡습포를 사용하여 패드 형태로 제작한 결과, 항균물질이 축산물에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아 축산물의 색, 형태 등의 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흡습포 표면에 미세한 구멍들이 존재하여 항균물질이 축산물에 적용되면서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효과에는 큰 문제가 없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실험예 6: 육류를 대상으로 한 항균 효과 실험
(1) 부착시간에 따른 항균 효과
상기한 바와 같이 제조한 항균 하이드로겔 패치를 (자몽 추출물 1%, 감귤 추출물 1% 함유 경우) 육회를 대상으로 항균 효과를 확인해보았다. 구체적으로, 육회 표면(3 cm × 3 cm)에 상기 제조한 항균 하이드로겔 (10 × 10 × 0.2 cm3)를 부착하고, 항균 효과를 확인하였다. L. monocytogenesEscherichia coli 에 대한 항균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항균 하이드로겔을 부착하지 않은 경우(대조군), 항균 물질을 함유하지 않은 하이드로겔 (5% alginate + 1% agar + 0.2% CaCl2 + 40% glycerol) 의 경우(항균물질 함유하지 않은 겔), 자몽종자 추출물 1% 함유 경우, 감귤 추출물 1% 함유하여 제작한 항균 하이드로겔의 경우를 비교하였다. 4℃에서 보관하였으며, 아래 결과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항균 하이드로겔 패치 부착 시간에 따른 균 제어 효과는 L. monocytogenes 제어효과가 가장 빠른 속도로 나타났고, 대장균(E. coli)의 경우는 부착 자몽종자 추출물을 흡수한 항균 하이드로겔의 경우 1분 후에도 1 log CFU/cm2 이상 감소하였으나 20분 후 부터 제어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1) L. monocytogenes
mean(Log CFU/cm2)±SD
시간/gel 종류 대조군 (겔 없음) 하이드로겔(항균물질없음) 항균하이드로겔(자몽 추출물 1%) 항균하이드로겔(감귤 추출물 1%)
0 분 3.3±0.1
1 분 3.3±0.2 3.1±0.1 0.9±0.2 0.9±0.2
20 분 3.6±0.5 2.4±0.0 1.1±0.4 0.8±0.0
40 분 3.4±0.1 1.7±0.4 1.4±0.9 1.1±0.4
60 분 3.2±0.0 2.0±0.4 1.2±0.6 1.2±0.6
(2) Escherichia coli (대장균)
mean(Log CFU/cm2)±SD
시간/gel 종류 대조군 (겔 없음) 하이드로겔(항균물질없음) 항균하이드로겔(자몽 추출물 1%) 항균하이드로겔(감귤 추출물 1%)
0 분 2.6±0.2
1 분 2.2±0.0 2.3±0.3 1.5±0.8 2.1±0.6
20 분 2.5±0.3 2.5±0.3 1.3±0.0 1.2±0.2
40 분 2.8±0.2 2.6±0.0 <0.3 1.0±0.0
60 분 2.3±0.3 2.2±0.3 <0.3 1.0±0.0
(2) 보관 온도에 따른 하이드로겔 항균 효과 확인
대수성장기까지 배양한 L. monocytogenes의 O.D600을 0.1이 되도록 한 후, 100 μL를 고기(육회용 꾸리살, 3 cm × 3 cm) 표면에 L. monocytogenes를 접종하고 균액을 고르게 펴 바르며 10 분 정도 안정화 시켜주었다. 균을 접종한 고기 표면에 2.5cm × 2.5cm 크기로 제조한 항균 하이드로겔을 올려 상온(25℃) 또는 냉장(4℃) 온도에서 0, 1, 20, 40, 60 분 동안 보관한 후, 하이드로겔을 제거하여 멸균 면봉으로 2.5 cm × 2.5 cm 면적을 스왑하였다. 스왑한 면봉을 10 mL의 BPW에 희석하여 L. monocytogenes 선택 배지인 Palcam에 각각 도말하였고, 항균물질을 적용하지 않은 일반 하이드로겔 패치와 0.5% 자몽, 감귤 추출물을 흡수한 항균 하이드로겔 패치의 항균효과를 확인한 결과를 하기의 표 12에 나타내었다.
< L. monocytogenes 접종 및 하이드로겔 부착 후 상온보관(25℃)하여 시간별 확인 >
mean(Log CFU/cm2)±SD
시간/gel 종류 대조군 (겔 없음) 하이드로겔(항균물질없음) 항균하이드로겔(자몽 추출물 0.5% ) 항균하이드로겔(감귤 추출물 0.5%)
0 분 3.8±0.5
1 분 3.9±0.2 4.1±0.5 0.8±0.7 1.3±1.0
20 분 3.8±0.1 4.0±0.3 1.2±0.6 0.8±0.7
40 분 3.6±0.1 4.0±0.3 1.1±0.1 0.8±0.8
60 분 3.4±0.6 3.7±0.4 0.7±0.5 0.6±0.2
< L. monocytogenes 접종 및 하이드로겔 부착 후 냉장보관(4℃)하여 시간별 확인 >
mean(Log CFU/cm2)±SD
시간 대조군 (겔 없음) 하이드로겔(항균물질없음) 항균하이드로겔(자몽 추출물 0.5%) 항균하이드로겔(감귤 추출물 0.5%)
0 분 4.0±0.1
1 분 3.8±0.1 4.1±0.1 1.3±0.1 2.2±0.4
20 분 3.7±0.1 4.0±0.3 0.7±0.6 1.1±0.7
40 분 3.9±0.2 3.8±0.4 0.7±1.0 1.2±0.7
60 분 3.8±0.3 3.9±0.1 1.0±0.4 0.8±0.6
(3) 육류 색도 변화 확인
아울러, 육류의 색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일반적으로, 색차지수(△E)는 5-6점 정도에서 색의 차이를 인지할 수 있으며, 3-4점에서는 훈련된 사람만이 색의 차이를 인지할 수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Yun et al., 2015). 육류에 하이드로겔 패치를 부착하고 1시간까지의 색차 지수를 확인하여 본 결과, 하이드로겔 부착 20-40분까지는 색차지수의 변화가 인지하기 어려운 정도였다(표 13).
△E (색차지수,
Figure pat00001
)
시간 대조군 (겔 없음) 하이드로겔(항균물질없음) 항균하이드로겔(자몽 추출물 1%) 항균하이드로겔(감귤 추출물 1%)
0 분 1.0±0.3
20 분 0.7±0.1 4.1±0.6 2.0±1.1 2.3±0.3
40 분 2.7±0.9 4.1±1.6 3.7±1.4 4.7±1.1
60 분 4.8±1.1 4.8±1.9 5.1±1.0 3.5±0.7
(4) 분무법과 하이드로겔 패치와 항균 효과 비교
또한, 항균물질을 분무하는 방법과 하이드로겔을 부착하는 방법에 따른 항균효과를 살펴보았다. 자몽 추출물 1% 함유 용액(멸균증류수에 자몽추출물 1% 함유)을 분무한 경우와 앞서 제작된 자몽 추출물 함유 하이드로겔을 부착한 경우를 비교해 본 결과, 분무하는 방법에 비하여 하이드로겔로 적용 시에 항균 효과 및 유지 기간이 더 긴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mean(Log CFU/cm2)±SD
시간/gel 종류 대조군 (겔 없음) 하이드로겔(항균물질없음) 자몽 추출물
(분무)
자몽 추출물
하이드로겔
0 분 3.7±0.3
1 분 2.9±0.1 2.8±0.3 2.7±0.4 1.7±0.1
20 분 3.0±0.2 3.5±0.1 2.5±0.7 1.4±0.6
40 분 2.8±0.1 3.0±0.3 3.5±0.0 <1.0
60 분 2.9±0.3 2.8±0.0 2.2±0.0 <1.0
(4) 진공 포장과 호기 상태에서의 항균 효과 비교
또한, 진공 포장과 호기 상태에서 항균 효과를 비교한 결과를 살펴보면, 호기 상태에서 보관할 때 보다 진공 포장하여 보관하였을 때 균이 쉽게 제어될 수 있었고(도 3 및 도 4), 특히 자몽 추출물을 함유한 하이드로겔을 부착 후 진공포장하였을 때에는 L. monocytogenes가 완전히 제어되어 유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5 및 도 6).
(5) 관능 평가
또한, 육류(육회용 꾸리살, 2 cm × 2 cm)를 대상으로 실시예에서 제조한 항균 하이드로겔(10 × 10 × 0.2 cm3 ) 20분 동안 부착하고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외관, 향, 이취, 풍미, 연도, 다즙성 항목을 바탕으로 종합적 기호도를 판단하였으며, 각 실험군에 대하여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아 항균 하이드로겔 부착 시 육류의 관능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고, 향과 연도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종합적 기호도가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외관 풍미 연도 다즙성 종합적
기호도
대조군
(겔 없음)
5.1 5.3 4.8 5.5 4.7 5.1
하이드로겔(항균물질없음) 6.4 5.0 4.5 6.3 5.8 5.6
자몽 하이드로겔 6.4 5.8 5.0 7.1 5.9 6.0
감귤 하이드로겔 5.3 5.9 5.4 6.0 4.9 5.5
실험예 7: 수산물을 대상으로 한 항균 효과 실험
광어 1.0±0.5 g에 Vibrio parahaemolyticus를 접종하여 항균효과를 확인하였다.
V. parahaemolyticus (ATCC17802, ATCC27519, ATCC33844, ATCC43996)를 TCBS (thiosulfate citrate bile salt sucrose agar)에 배양하여 집락을 확인하였고, 3%의 NaCl을 첨가한 LB 액체배지에서 배양하여 O.D600을 0.1이 되도록 한 후, 균 배양액 100 μL를 광어회(sliced raw flatfich) 1.0±0.5 g 표면에 접종 하고 10분 정도 안정화 시켜주었다. 균을 접종한 광어회 표면에 2 cm × 2 cm 크기로 제조한 항균 하이드로겔을 올려 냉장(4oC) 온도에서 0, 1, 20, 40, 60 분 동안 보관한 후, 하이드로겔을 제거하여 멸균 면봉으로 2 cm × 2 cm 면적을 스왑하였다. 스왑한 면봉을 10 mL의 BPW에 희석하여 V. parahaemolyticus선택 배지인 TCBS (thiosulfate citrate bile salt sucrose agar)에 각각 도말하였고, 항균물질을 적용하지 않은 일반 하이드로겔 패치와 1% 자몽, 감귤 추출물을 각각 흡수한 항균 하이드로겔 패치의 항균효과를 확인한 결과를 하기의 표 16에 나타내었다. 항균 하이드로겔을 부착하고 1분 후부터 V. parahaemolyticus에 대한 항균효과를 나타내었으며, 겔을 부착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하여 2 log CFU/cm2 이상 감소하는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mean(Log CFU/cm2)±SD
시간/gel 종류 대조군 (겔 없음) 하이드로겔(항균물질없음) 항균하이드로겔(자몽 추출물 1%) 항균하이드로겔(감귤 추출물 1%)
0 분 2.7±0.0
1 분 3.0±0.0 2.5±0.0 1.3±0.5 1.1±0.5
20 분 3.3±0.0 2.6±0.1 1.3±0.1 1.2±0.5
40 분 3.3±0.0 2.6±0.0 1.1±0.3 1.3±0.2
60 분 2.9±0.3 2.5±0.0 1.2±0.6 0.5±0.5

Claims (9)

  1. 식품의 신선도 유지를 위한 항균성 하이드로겔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성 하이드로겔 조성물은 항균 물질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물질은 천연 식물 추출물, 항균성 고분자 및 금속 산화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성 하이드로겔 조성물은 알긴산(alginate), 아가(agar), 글리세롤(glycerol), 염화칼슘, 및 항균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 1항에 따른 항균성 하이드로겔 조성물이 포함된 식품에 적용을 위한 기재.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는 식품 표면 또는 식품을 보관하는 용기에 접착되는 패드 또는 필름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기재.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는 밀착포 또는 흡습포의 형태인 것으로 특징으로 하는 기재.
  8. 제 1항에 따른 항균성 하이드로겔 조성물이 적용된 식품 또는 식품 포장재.
  9.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제 1항에 따른 항균성 하이드로겔 조성물의 제조방법:
    (a) 알긴산(alginate), 아가(agar) 및 글리세롤(glycerol)을 혼합하여 제조한 혼합물에 염화칼슘(CaCl2) 수용액을 혼합하여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b) 상기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성형한 후 건조하여 하이드로겔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하이드로겔 조성물은 전체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0 중량부의 알긴산, 0.1 내지 2 중량부의 아가, 30 내지 50 중량부의 글리세롤, 및 0.05 내지 0.5 중량부의 염화칼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80131091A 2018-04-12 2018-10-30 식품 신선도 유지를 위한 항균성 하이드로겔 KR1021664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42707 2018-04-12
KR1020180042707 2018-04-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9501A true KR20190119501A (ko) 2019-10-22
KR102166485B1 KR102166485B1 (ko) 2020-10-15

Family

ID=68162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1091A KR102166485B1 (ko) 2018-04-12 2018-10-30 식품 신선도 유지를 위한 항균성 하이드로겔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66485B1 (ko)
WO (1) WO2019198896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40285A (zh) * 2021-02-02 2021-06-11 浙江工商大学 一种便于清洗的水凝胶及应用
KR20210136622A (ko) * 2020-05-08 2021-11-17 강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바이오폴리머를 포함하는 항균성 선도유지제
CN114369258A (zh) * 2021-12-22 2022-04-19 浙江大学台州研究院 一种水凝胶复合材料、制备方法及应用
KR20220107670A (ko) * 2021-01-26 2022-08-02 정유진 친환경 생분해 물질을 이용한 식품 포장 방법, 식품 포장재 및 상기 식품 포장 방법을 위한 자동 식품 포장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90451A (zh) * 2020-07-14 2020-11-27 福建海文铭海洋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冻鲍鱼防裂的方法
CN113185730A (zh) * 2021-03-31 2021-07-30 上海久升吸塑有限公司 一种食品保鲜盒及其制备方法
KR102616643B1 (ko) 2021-11-15 2023-12-21 주식회사 천지건업 육류, 생선류 또는 채소류의 핏물 또는 물기 흡수 및 신선도 유지를 위한 항균흡수포 및 그 제조방법
CN114946935B (zh) * 2022-03-25 2024-02-06 浙江大学 一种基于水凝胶体系的1-mcp缓释保鲜剂及制备方法和应用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8620A (ko) * 1996-09-27 2000-07-25 훽스트 악티엔게젤샤프트 활성 물질의 방출성이 큰 항진균성 겔
KR20030086976A (ko) 2003-10-27 2003-11-12 주식회사 디엠씨 식품액체 흡수용 흡수패드
KR100509176B1 (ko) * 2003-04-25 2005-08-22 롯데쇼핑주식회사 소회향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제 조성물
WO2010096145A1 (en) * 2009-02-20 2010-08-26 Nestec S.A. Gel food compositions
KR101012289B1 (ko) 2010-08-07 2011-02-10 성 준 유 시트리스 하이드로겔 페이스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10515A (ko) * 2011-06-23 2013-01-29 충청대학 산학협력단 황금추출물을 함유한 혼합천연항균제의 항균활성을 갖는 가식성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38120A (ko) 2014-09-29 2016-04-07 테고사이언스 (주) 알지네이트 하이드로젤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78402B1 (ko) 2014-11-20 2016-12-06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창상치료용 알긴산 하이드로젤 및 그 제조방법
JP6301896B2 (ja) * 2009-03-04 2018-03-28 タフツ ユニバーシティー/トラスティーズ オブ タフツ カレッジ 抗生物質送達のための絹フィブロイン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04756B2 (ja) * 1999-04-07 2009-07-29 東洋製罐株式会社 アルギン酸塩皮膜を有する容器の製造方法
KR100533220B1 (ko) * 2003-04-07 2005-12-02 황미영 식품의 신선도유지 및 부패방지제의 제조방법
US20080102122A1 (en) * 2006-10-31 2008-05-01 Shivkumar Mahadevan Antimicrobial polymeric articles, processes to prepare them and methods of their use
EP1938690B1 (de) * 2006-12-22 2013-10-23 Preentec AG Sterilisierung und Konservierung von Fluiden
KR101678656B1 (ko) * 2014-11-11 2016-11-22 (주)뷰티화장품 기능성이 강화된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의 제조방법
KR101813208B1 (ko) * 2016-04-05 2017-12-28 주식회사 지클로 식품의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한 항균성 포장재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8620A (ko) * 1996-09-27 2000-07-25 훽스트 악티엔게젤샤프트 활성 물질의 방출성이 큰 항진균성 겔
KR100509176B1 (ko) * 2003-04-25 2005-08-22 롯데쇼핑주식회사 소회향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제 조성물
KR20030086976A (ko) 2003-10-27 2003-11-12 주식회사 디엠씨 식품액체 흡수용 흡수패드
WO2010096145A1 (en) * 2009-02-20 2010-08-26 Nestec S.A. Gel food compositions
JP6301896B2 (ja) * 2009-03-04 2018-03-28 タフツ ユニバーシティー/トラスティーズ オブ タフツ カレッジ 抗生物質送達のための絹フィブロインシステム
KR101012289B1 (ko) 2010-08-07 2011-02-10 성 준 유 시트리스 하이드로겔 페이스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10515A (ko) * 2011-06-23 2013-01-29 충청대학 산학협력단 황금추출물을 함유한 혼합천연항균제의 항균활성을 갖는 가식성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38120A (ko) 2014-09-29 2016-04-07 테고사이언스 (주) 알지네이트 하이드로젤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78402B1 (ko) 2014-11-20 2016-12-06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창상치료용 알긴산 하이드로젤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6622A (ko) * 2020-05-08 2021-11-17 강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바이오폴리머를 포함하는 항균성 선도유지제
KR20220107670A (ko) * 2021-01-26 2022-08-02 정유진 친환경 생분해 물질을 이용한 식품 포장 방법, 식품 포장재 및 상기 식품 포장 방법을 위한 자동 식품 포장 장치
CN112940285A (zh) * 2021-02-02 2021-06-11 浙江工商大学 一种便于清洗的水凝胶及应用
CN112940285B (zh) * 2021-02-02 2024-01-16 浙江工商大学 一种便于清洗的水凝胶及应用
CN114369258A (zh) * 2021-12-22 2022-04-19 浙江大学台州研究院 一种水凝胶复合材料、制备方法及应用
CN114369258B (zh) * 2021-12-22 2023-07-25 浙江大学台州研究院 一种水凝胶复合材料、制备方法及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6485B1 (ko) 2020-10-15
WO2019198896A1 (ko) 2019-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6485B1 (ko) 식품 신선도 유지를 위한 항균성 하이드로겔
Boyacı et al. Development of flexible antimicrobial zein coatings with essential oils for the inhibition of critical pathogens on the surface of whole fruits: Test of coatings on inoculated melons
CN1972602B (zh) 溶菌酶-脱乙酰壳多糖膜
CN103319735B (zh) 一种魔芋葡甘聚糖抗菌保鲜膜
CA2656397A1 (en) Antimicrobial coatings
CN101536709A (zh) 一种壳聚糖复合涂膜保鲜剂及其制备方法
JP2017500054A (ja) フルーツ片保存用の食用コーティングとその製造および塗布方法
Caillet et al. Combined effects of antimicrobial coating, modified atmosphere packaging, and gamma irradiation on Listeria innocua present in ready-to-use carrots (Daucus carota)
Martínez-Abad et al. Antimicrobial beeswax coated polylactide films with silver control release capacity
CN103570958B (zh) 一种可食性壳聚糖-胶原蛋白抗菌膜及其制备方法
Wang et al. Preservation effect of meat product by natural antioxidant tea polyphenol
Iseppi et al. Anti-listerial activity of coatings entrapping living bacteria
Kim et al. Antibacterial κ-carrageenan/konjac glucomannan-based edible hydrogel film containing Salmonella phage PBSE191 and its application in chicken meat
CN103315058A (zh) 一株肠膜明串珠菌菌株的应用
Duran et al. The use of chitosan as a coating material
Badawy et al. Current applications in food preservation based on marine biopolymers
KR20190003188A (ko) 염수를 이용한 절임배추 포장방법
Wang et al. The effects of calcium propionate and cinnamaldehyde on the mechanical, physical and antimicrobial properties of composite films based on potato starch
Elsabee Chitosan-based edible films
CN102321277A (zh) 离子交联壳聚糖有机酸盐与阴离子化壳聚糖电解质复合膜及其制备方法
CN107980897A (zh) 一种常温可食涂膜果蔬保鲜剂及其使用方法
CN117050586B (zh) 一种用于采后果实防腐保鲜的涂层剂、制备方法和应用
CN115433394B (zh) 一种即食海参及其制备方法
CN114747614B (zh) 一种果蔬生物安全保鲜纸及其制备方法
Abdullah et al. Development of cinnamaldehyde loaded-alginate based film for food packag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