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8650A - 가변 정익 및 압축기 - Google Patents

가변 정익 및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8650A
KR20190118650A KR1020197028329A KR20197028329A KR20190118650A KR 20190118650 A KR20190118650 A KR 20190118650A KR 1020197028329 A KR1020197028329 A KR 1020197028329A KR 20197028329 A KR20197028329 A KR 20197028329A KR 20190118650 A KR20190118650 A KR 201901186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vane
rotor
variable stator
guide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83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료스케 미토
히데타카 오쿠이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히타치 파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히타치 파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히타치 파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2170299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1758B1/ko
Publication of KR201901186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86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5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axial pumps
    • F04D29/54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 F04D29/56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adjustable
    • F04D29/563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adjustable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17/00Regulating or controlling by varying flow
    • F01D17/10Final actuators
    • F01D17/12Final actuators arranged in stator parts
    • F01D17/14Final actuators arranged in stator parts varying effective cross-sectional area of nozzles or guide conduits
    • F01D17/16Final actuators arranged in stator parts varying effective cross-sectional area of nozzles or guide conduits by means of nozzle vanes
    • F01D17/162Final actuators arranged in stator parts varying effective cross-sectional area of nozzles or guide conduits by means of nozzle vanes for axial flow, i.e. the vanes turning around axes which are essentially perpendicular to the rotor centre l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9/00Stators
    • F01D9/02Nozzles; Nozzle boxes; Stator blades; Guide conduits, e.g. individual nozzles
    • F01D9/04Nozzles; Nozzle boxes; Stator blades; Guide conduits, e.g. individual nozzles forming ring or sector
    • F01D9/042Nozzles; Nozzle boxes; Stator blades; Guide conduits, e.g. individual nozzles forming ring or sector fixing blades to st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9/00Axial-flow pumps
    • F04D19/002Axial flow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9/00Axial-flow pumps
    • F04D19/007Axial-flow pumps multistage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9/00Axial-flow pumps
    • F04D19/02Multi-stage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40/00Components
    • F05D2240/10Stators
    • F05D2240/12Fluid guiding means, e.g. va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40/00Components
    • F05D2240/10Stators
    • F05D2240/12Fluid guiding means, e.g. vanes
    • F05D2240/121Fluid guiding means, e.g. vanes related to the leading edge of a stator va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 Rotary Pumps (AREA)

Abstract

작동 유체가 유통하는 유로 내에 배치되고, 내측 케이싱과의 사이에 클리어런스를 형성하는 정익 본체(41)와, 작동 유체의 주류의 흐름 방향에 대한 정익 본체(41)의 각도를 가변시키도록 회전하는 회전축과, 정익 본체(41)와 회전축을 접속하는 접속부(48)를 구비하고, 접속부(48)는 클리어런스 중, 정익 본체(41)의 전연(41A)측으로 유입된 작동 유체의 누설 흐름의 흐름 방향이 주류의 흐름 방향(E)을 향하는 방향으로 안내하는 제 1 안내면(48a)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가변 정익 및 압축기
본 발명은 가변 정익 및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7년 3월 30일에 일본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 2017-066611 호에 근거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압축기에는, 케이싱 내에 수용된 로터 본체와, 로터 본체의 직경 방향 외측에 방사상으로 배열된 복수의 동익과, 로터 본체의 연장 방향에 대해서, 동익과 교대로 배치된 복수의 가변 정익을 구비한 것이 있다.
특허문헌 1에는 정익 본체와, 제 1 날개축과, 제 2 날개축을 구비한 가변 정익이 개시되어 있다. 정익 본체는 내측 케이싱과 외측 케이싱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날개축은 정익 본체의 일단과 접속되어 있다. 제 1 날개축은 내측 케이싱에 대해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 2 날개축은 정익 본체 타단과 접속되어 있다. 제 2 날개축은 외측 케이싱에 대해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된 가변 정익을 압축기에 적용하는 경우, 내측 케이싱의 외주면과 정익 본체의 일단면 사이, 및 외측 케이싱의 내주면과 정익 본체 타단면 사이에는, 클리어런스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가변 정익에는 정익 본체와 날개축 사이에, 원반 형상으로 되고, 또한 날개축보다 확경된 확경부를 마련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 2012-233424 호 공보
그런데, 정익 본체의 일단면과 내측 케이싱의 내주면 사이에 형성된 클리어런스 중, 정익 본체의 전연측에 위치하는 부분에서는, 작동 유체의 주류를 횡단하는 방향(정압면측으로부터 부압면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누설 흐름(제트류)이 발생한다.
이 누설 흐름과 작동 유체의 주류가 간섭하면, 소용돌이가 발생한다. 그리고, 이 소용돌이가 정익 본체의 부압면을 따라서 휘감아 올라감으로써, 압력 손실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었다.
또한, 상술한 원반 형상으로 된 확경부를 확경시켜서, 정익 본체의 일단면의 전연측을 덮음으로써, 클리어런스를 없애서, 상기 누출 손실을 억제하는 것도 생각된다.
그렇지만, 접속부의 외경을 크게 하면, 가변 정익의 배열 피치가 제한을 받기 때문에, 가변 정익의 배열 피치가 좁은 경우에는 적용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그래서, 본 발명은 가변 정익의 배열 피치가 좁은 경우에서도 압력 손실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가변 정익 및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가변 정익은 작동 유체가 유통하는 유로 내에 배치되고, 내측 케이싱과의 사이에 클리어런스를 형성하는 정익 본체와, 상기 작동 유체의 주류의 흐름 방향에 대한 상기 정익 본체의 각도를 가변시키도록 회전하는 회전축과, 상기 정익 본체와 상기 회전축을 접속하는 접속부를 구비하고, 상기 접속부는 상기 클리어런스 중, 상기 정익 본체의 전연측으로 유입된 상기 작동 유체의 누설 흐름의 흐름 방향이 상기 주류의 흐름 방향을 향하는 방향으로 안내하는 제 1 안내면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정익 본체의 전연측에 형성된 클리어런스를 통과하는 작동 유체의 누설 흐름의 흐름 방향을 주류의 흐름 방향을 향하는 방향으로 안내하는 제 1 안내면을 가짐으로써, 해당 클리어런스를 통과한 작동 유체의 누설 흐름과 작동 유체의 주류와의 간섭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의해, 작동 유체의 누설 흐름과 작동 유체의 주류와의 간섭에 기인하는 소용돌이의 발생이 억제되기 때문에, 압력 손실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접속부의 외경을 크게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가변 정익의 배열 피치가 좁은 경우에서도 압력 손실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가변 정익에 있어서, 상기 제 1 안내면은 상기 접속부 중, 상기 정익 본체의 전연측에서, 또한 상기 정익 본체의 부압면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배치해도 좋다.
이와 같이, 접속부 중, 정익 본체의 전연측에서, 또한 정익 본체의 부압면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제 1 안내면을 배치함으로써, 정익 본체의 전연측에 배치된 클리어런스에 유입하여, 접속부에 충돌한 작동 유체의 누설 흐름의 흐름 방향을 주류의 흐름 방향을 향하는 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가변 정익에 있어서, 상기 제 1 안내면은 상기 정익 본체의 부압면측으로 돌출하는 만곡면이어도 좋다.
이와 같이, 제 1 안내면을 정익 본체의 부압면측으로 돌출하는 만곡면으로 함으로써, 작동 유체의 누설 흐름이 제 1 안내면을 따라 흐르기 쉬워지기 때문에, 누설 흐름의 흐름 방향이 주류의 흐름 방향을 향하는 방향으로 용이하게 안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가변 정익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는 상기 제 1 안내면을 포함한 절결부를 가져도 좋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접속부를 확경할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가변 정익의 배열 피치가 좁은 경우에서도 압력 손실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가변 정익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는 상기 정익 본체와 상기 회전축을 접속하는 접속부 본체와, 상기 접속부 본체 중, 상기 정익 본체의 전연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마련되고, 상기 내측 케이싱과 대향하는 상기 정익 본체의 전연측의 단면에 접촉한 상태로 상기 접속부 본체로부터 돌출하는 동시에, 상기 제 1 안내면을 포함한 돌출부를 포함해도 좋다.
이러한 구성으로 된 돌출부를 가짐으로써, 작동 유체의 주류의 접속부 본체에의 충돌이 억제 가능하게 되는 동시에, 작동 유체의 누설 흐름의 흐름 방향을 주류의 흐름 방향을 향하는 방향으로 안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의해, 가변 정익의 배열 피치가 좁은 경우에서도 압력 손실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가변 정익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정익 본체의 정압면측에 배치된 제 2 안내면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 1 및 제 2 안내면은 상기 돌출부의 선단으로부터 해당 돌출부의 기단을 향함에 따라 제 1 안내면과 제 2 안내면의 거리가 커지도록 배치시켜도 좋다.
이러한 구성으로 된 제 1 및 제 2 안내면을 가짐으로써, 제 1 및 제 2 안내면에 의해, 접속부 본체에 작동 유체가 충돌하기 전에, 작동 유체의 주류를 2개의 흐름으로 나누고, 제 1 안내면을 이용하여, 정익 본체의 전연측을 통과하는 작동 유체의 누설 흐름의 흐름 방향을 주류의 흐름 방향을 향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가변 정익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선단부의 형상은 둥그스름한 형상이어도 좋다.
이와 같이, 돌출부의 선단부의 형상을 둥그스름한 형상으로 함으로써, 돌출부의 선단이 파손되기 어려워지는 동시에, 작동 유체를 돌출부의 기단측으로 부드럽게 안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가변 정익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정익 본체의 전연측의 단면의 전체를 덮도록 마련해도 좋다.
이와 같이, 정익 본체의 전연측의 단면의 전체를 덮도록 돌출부를 마련함으로써, 제 1 안내면 길이를 길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작동 유체가 정익 본체의 전연에 도달한 단계에서, 작동 유체의 누설 흐름의 방향을 주류의 흐름 방향을 향하는 방향으로 안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압력 손실을 더욱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가변 정익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회전축 본체와, 해당 회전축 본체와 상기 접속부를 접속하는 동시에, 해당 회전축 본체의 외경보다 확경된 확경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접속부는 상기 정익 본체로부터 상기 확경부를 향함에 따라 확폭 형상이어도 좋다.
이러한 구성으로 된 확경부를 가짐으로써, 접속부와 회전축 본체 사이의 접속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가변 정익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회전축 본체와, 해당 회전축 본체와 상기 접속부를 접속하는 동시에, 해당 회전축 본체의 외경보다 확경된 확경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정익 본체의 전연측의 단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마련되는 동시에, 상기 확경부의 측면으로 연장되어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이, 정익 본체의 전연측의 단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동시에, 확경부의 측면으로 연장되도록, 돌출부를 배치시킴으로써, 내측 케이싱의 외주면 부근의 작동 유체를 돌출부에 충돌시킬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압축기는 상기 가변 정익과, 로터 본체, 및 해당 로터 본체의 축선 방향 및 둘레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동익을 포함한 로터와, 상기 로터의 외측에 마련된 내측 케이싱과, 상기 내측 케이싱의 외측에 마련된 외측 케이싱과, 상기 회전축과 접속되고,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내측 케이싱은 상기 회전축을 수용하는 축 수용부를 갖는다.
이러한 구성으로 된 압축기에 의하면, 상술한 가변 정익을 가짐으로써, 가변 정익의 배열 피치가 좁은 경우에서도 압력 손실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압축기는 가변 정익과, 로터 본체, 및 해당 로터 본체의 축선 방향 및 둘레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동익을 포함한 로터와, 상기 로터의 외측에 마련된 내측 케이싱과, 상기 내측 케이싱의 외측에 마련된 외측 케이싱과, 상기 회전축과 접속되고,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내측 케이싱은 상기 회전축을 수용하는 축 수용부와, 상기 돌출부와 해당 내측 케이싱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는 면취부를 갖고 있으며, 상기 면취부의 면취면은 상기 축 수용부의 측면과 접속된다.
이와 같이, 돌출부와 내측 케이싱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는 동시에, 축 수용부의 측면과 접속된 면취면을 갖는 면취부를 마련함으로써, 작동 유체를 해당 간극으로 안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의해, 누설 흐름의 흐름 방향을 보다 확실히 주류의 흐름 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가변 정익은 상기 회전축이 마련된 측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상기 정익 본체와 접속되고, 상기 외측 케이싱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지지되는 다른 회전축을 포함해도 좋다.
이러한 구성으로 된 압축기에 상기 가변 정익을 적용한 경우도 압력 손실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변 정익의 배열 피치가 좁은 경우에서도 작동 유체의 누설 흐름에 기인하는 압력 손실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압축기의 주요부(흡입구측의 상반분)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되는 압축기 중, 영역 A로 둘러싸인 부분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되는 압축기 중, 영역 B로 둘러싸인 부분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되는 구조체의 C1-C2선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되는 구조체의 D1-D2선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접속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되는 접속부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압축기의 일부를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되는 구조체의 G1-G2선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되는 구조체의 H1-H2선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가변 정익의 주요부를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 압축기의 일부를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되는 가변 정익의 주요부를 확대한 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적용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압축기(1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에서는, 압축기(10)의 일례로서, 축류 압축기를 도시한다. 도 1에서는, 케이싱(13) 및 로터(11)만을 단면으로 도시한다. 도 1에 있어서, O1는 로터(11)의 축선(이하, 「축선(O1)」이라고 함)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에서는, 도 2에 도시되는 클리어런스(CL2), 및 도 3에 도시되는 클리어런스(CL1)를 도시하는 것이 곤란하기 때문에, 이러한 도시를 생략한다.
도 2 및 도 3에 있어서, O2는 회전축(43, 47)의 축선(이하,「축선(O2)」이라고 함)을 나타내고 있다.
압축기(10)는 로터(11)와, 케이싱(13)과, 복수의 가변 정익 메커니즘(15)과, 복수의 정익 군(靜翼群)(17)을 갖는다.
로터(11)는 로터 본체(21)와, 복수의 동익(23)과, 복수의 동익(23)으로 구성된 제 1 내지 제 6 동익 군(23A 내지 23F)를 갖는다.
로터 본체(21)는 기둥 형상의 부재이며,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로터 본체(21)는 복수의 로터 디스크(도시되지 않음)가 적층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로터 본체(21)는 베어링(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동익(23)은 복수의 로터 디스크마다 복수 마련되어 있다. 각 로터 디스크에 마련된 복수의 동익(23)은 로터 디스크의 외주면으로부터 방사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복수의 로터 디스크 중, 흡입구(28)측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 배치된 제 1 로터 디스크에는, 제 1 동익 군(23A)이 마련되어 있다. 제 1 동익 군(23A)은 제 1 로터 디스크의 둘레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동익(23)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 1 로터 디스크의 토출구측에 배치된 제 2 로터 디스크에는, 제 2 동익 군(23B)이 마련되어 있다. 제 2 로터 디스크의 토출구측에는, 흡입구(28)로부터 토출구를 향하는 방향에 대해서, 소정의 간격을 둔 상태로, 제 3 동익 군(23C), 제 4 동익 군(23D), 제 5 동익 군(23E), 제 6 동익 군(23F)이 순차 마련되어 있다.
또한, 도 1에서는, 지면의 사정상, 제 1 내지 제 6 동익 군(23A 내지 23F)만 도시하였지만, 제 6 동익 군(23F)의 토출구측에도 복수의 동익 군이 축선(O1)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케이싱(13)은 내측 케이싱(25)과, 외측 케이싱(26)을 갖는다.
내측 케이싱(25)은 로터(11)의 외측에 배치된 통 형상의 부재이다. 내측 케이싱(25)은 가변 정익 메커니즘(15)을 구성하는 가변 정익(35)의 회전축(43)이 수용되는 축 수용부(25A)를 갖는다. 축 수용부(25A)는 내측 케이싱(25)의 둘레 방향 및 축선(O1) 방향으로 복수 마련되어 있다. 내측 케이싱(25)은 회전축(43)이 회전 가능한 상태로, 가변 정익(35)의 일단측을 지지하고 있다.
외측 케이싱(26)은 내측 케이싱(25)의 외측에 배치된 통 형상의 부재이다. 외측 케이싱(26)은 가변 정익 메커니즘(15)을 구성하는 가변 정익(35)의 회전축(43)이 수용되는 축 수용부(26A)를 갖는다. 축 수용부(26A)는 외측 케이싱(26)의 둘레 방향 및 축선(O1) 방향으로 복수 마련되어 있다.
외측 케이싱(26)은 회전축(43)이 회전 가능한 상태로, 가변 정익(35)의 타단측을 지지하고 있다. 외측 케이싱(26)과 내측 케이싱(25) 사이에는, 통 형상의 유로(27)가 구획되고 있다.
케이싱(13)은 흡입구(28)와, 토출구(도시되지 않음)를 갖는다. 흡입구(28)는 축선(O1)의 일방의 측에 마련되어 있다. 흡입구(28)는 유로(27)와 연통하고 있다. 흡입구(28)는 케이싱(13) 내에 작동 유체(예를 들면, 외기)를 흡입한다.
토출구는 축선(O1)의 타방의 측에 마련되어 있다. 토출구는 유로(27)와 연통하고 있다. 토출구는 케이싱(13) 내에서 압축된 작동 유체를 케이싱(13)의 외부에 토출한다.
복수의 가변 정익 메커니즘(15)은 제 1 내지 제 4 동익 군(23A 내지 23D)의 흡입구(28)측에 각각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가변 정익 메커니즘(15)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에 있어서, 도 1에 도시되는 구조체와 동일한 구성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다.
가변 정익 메커니즘(15)은 서로 이격된 상태로 축선(O1) 방향으로 복수(도 1의 경우, 일례로서 4개) 마련되어 있다.
가변 정익 메커니즘(15)은 가동 고리(31)와, 복수의 링크 기구(33)와, 복수의 가변 정익(35)과, 회전 구동부(37)를 갖는다.
가동 고리(31)는 환형상으로 된 부재이다. 가동 고리(31)는 케이싱(13)을 둘러싸도록, 케이싱(13)의 외측에 마련되어 있다.
복수의 링크 기구(33)는 가동 고리(31)의 둘레 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링크 기구(33)는 일단이 가동 고리(31)에 고정되어 있다. 복수의 링크 기구(33)의 타단은 흡입구(28)측으로 돌출하고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가변 정익(35)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 및 도 5에 있어서, E는 작동 유체의 주류의 흐름 방향(이하, 「E 방향」이라 함), F는 제 1 안내면(48a)을 따라서 흐르는 작동 유체의 누설 흐름의 흐름 방향(이하, 「F 방향」이라 함)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도 4에서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는 구조체와 동일한 구성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다. 도 5에서는, 도 4에 도시되는 구조체와 동일한 구성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다.
가변 정익(35)은 정익 본체(41)와, 회전축(43, 47)과, 접속부(45, 48)를 갖는다.
정익 본체(41)는 날개 형상으로 된 부재이다. 정익 본체(41)는 내측 케이싱(25)과, 외측 케이싱(26)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정익 본체(41)는 정익 본체(41)는, 정압면(41a)과, 부압면(41b)과, 전연(41A)과, 후연(41B)과, 타단면(41c)과, 일단면(41d)을 갖는다.
전연(41A)은 정압면(41a)과 부압면(41b)을 연결하는 일단을 구성하고 있다. 후연(41B)은 정압면(41a)과 부압면(41b)을 연결하는 타단을 구성하고 있다. 정압면(41a) 및 부압면(41b)은 만곡한 면이다.
타단면(41c)은 외측 케이싱(26)의 내주면(26a)과 대향하는 정익 본체(41)의 전연(41A)측의 단면이다. 타단면(41c) 중, 접속부(45)가 마련되지 않은 부분과 내주면(26a) 사이에는, 클리어런스(CL1)가 형성되어 있다.
일단면(41d)은 내측 케이싱(25)의 외주면(25a)과 대향하는 정익 본체(41)의 전연(41A)측의 단면이다. 일단면(41d) 중, 접속부(48)가 마련되지 않은 부분과 외주면(25a) 사이에는, 클리어런스(CL2)가 형성되어 있다.
회전축(43)(다른 회전축)은 회전축 본체(52)와, 확경부(53)를 갖는다. 회전축 본체(52)는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기둥 형상의 부재이다. 회전축 본체(52)는 일단측이 축 수용부(26A)에 배치되어 있고, 타단측이 외측 케이싱(26)의 외측으로 돌출하고 있다. 회전축 본체(52)의 타단은 링크 기구(33)의 타단에 고정되어 있다.
회전축(43)은 회전 구동부(37)에 의해 가동 고리(31)가 둘레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게 되었을 때, 도 3에 나타내는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작동 유체의 주류의 흐름 방향(E)에 대한 정익 본체(41)의 각도를 가변시킨다.
확경부(53)는 회전축 본체(52)의 일단과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확경부(53)는 회전축 본체(52)의 외경보다 확경되어 있다. 확경부(53)는 회전축 본체(52)의 일단과 접속부(45)를 접속하고 있다.
이와 같이, 회전축 본체(52)의 일단과 접속부(45)를 접속하는 확경부(53)를 마련함으로써, 회전축 본체(52)와 접속부(45) 사이의 접속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접속부(45)는 정익 본체(41)의 타단과 확경부(53)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접속부(45)는 정익 본체(41)의 타단과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접속부(45)의 형상은 정익 본체(41)의 타단면(41c)으로부터 확경부(53)를 향함에 따라 확폭 형상으로 되어 있다.
회전축(47)은 회전축 본체(55)와, 확경부(56)를 갖는다. 회전축 본체(55)는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기둥 형상의 부재이다. 회전축 본체(55)는 전체가 축 수용부(25A)에 배치되어 있다.
확경부(56)는 회전축 본체(55)의 일단과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확경부(56)는 회전축 본체(55)의 외경보다 확경되어 있다. 확경부(56)는 회전축 본체(55)의 일단과 접속부(48)를 접속하고 있다.
이와 같이, 회전축 본체(55)의 일단과 접속부(48)를 접속하는 확경부(56)를 마련함으로써, 회전축 본체(55)와 접속부(48) 사이의 접속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접속부(48)는 정익 본체(41)의 타단과 확경부(53)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접속부(45)는 정익 본체(41)의 타단과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접속부(45)는 정익 본체(41)의 타단면(41c)으로부터 확경부(53)를 향함에 따라 확폭 형상으로 되어 있다.
접속부(48)는 절결부(48A)를 갖는다. 절결부(48A)는 제 1 안내면(48a)을 갖는다. 제 1 안내면(48a)은 정압면(41a)으로부터 부압면(41b)측을 향함에 따라서, 전연측으로부터 후연측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직경 방향에서 바라볼 때 제 1 안내면(48a)은 정익 본체(41)와 겹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직경 방향에서 바라볼 때, 제 1 안내면(48a)은 부압면(41b)으로부터 후퇴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 1 안내면(48a)은 클리어런스(CL2) 중, 정익 본체(41)의 전연(41A)측으로 유입된 작동 유체의 누설 흐름의 흐름 방향이 주류의 흐름 방향(E)을 향하는 방향(F)으로 안내한다.
제 1 안내면(48a)은 접속부(48) 중, 정익 본체(41)의 전연(41A)측에서, 또한 정익 본체(41)의 부압면(41b)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안내면(48a)은 접속부(48)의 높이 방향 전체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접속부(48)의 높이 방향」이란, 축선(O2)이 연장되는 방향을 말한다.
이와 같이, 접속부(48) 중, 정익 본체(41)의 전연(41A)측에서, 또한 정익 본체(41)의 부압면(41b)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제 1 안내면(48a)을 배치함으로써, 정익 본체(41)의 전연(41A)측에 배치된 클리어런스(CL2)에 유입하여, 접속부(48)에 충돌한 작동 유체의 누설 흐름의 흐름 방향을 주류의 흐름 방향(E)을 향하는 방향(F)으로 안내할 수 있다.
제 1 안내면(48a)은 예를 들면, 정익 본체(41)의 부압면(41b)측으로 돌출하는 만곡면으로 해도 좋다.
이와 같이, 제 1 안내면(48a)을 정익 본체(41)의 부압면(41b)측으로 돌출하는 만곡면으로 함으로써, 작동 유체의 누설 흐름이 제 1 안내면(48a)을 따라서 흐르기 쉬워지기 때문에, 누설 흐름의 흐름 방향이 주류의 흐름 방향을 향하는 방향으로 용이하게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제 1 안내면(48a)은 정익 본체(41)의 일단면(41d)에 대해서 직교하는 면이어도 좋고, 정익 본체(41)의 일단면(41d)에 대해서 교차하는 면이어도 좋다.
또한, 제 1 안내면(48a)의 형상은 누설 흐름의 흐름 방향이 주류의 흐름 방향을 향하는 방향으로 안내 가능한 형상이면 좋고, 만곡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1 안내면(48a)의 형상과는 다른 제 1 안내면을 갖는 접속부의 일례로서, 예를 들면, 도 6 및 도 7에 도시되는 제 1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접속부(50)를 예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접속부(5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에 있어서, 도 4에 도시되는 구조체와 동일한 구성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다. 도 6에서는, 정익 본체(48)를 단면으로 도시한다. 도 7에 있어서, VC는 가상 원(이하, 「가상 원」이라 함), r은 가상 원(VC)의 반경(이하, 「반경(r)」이라 함)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도 7에 있어서, 도 6에 도시되는 구조체와 동일한 구성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다.
접속부(50)는 확경부(56)와 정익 본체(41) 사이에 마련되어 있고, 제 1 안내면(50a)과, 제 1 안내면(50a)의 형성 위치보다 정압면(41a)측에 배치된 면(50b)을 갖는다.
제 1 안내면(50a)은 둥그스름한 라운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제 1 안내면(50a)의 형상은 예를 들면, 반경(r)의 가상 원(VC)의 일부와 일치하는 형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면(50b)의 형상에 대해서도 상술한 제 1 안내면(50a)과 동일한 형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6 및 도 7에서는, 제 1 안내면(50a)의 형상이 가상 원(VC)의 일부와 일치하는 형상인 경우를 예로 들어서 설명하였지만, 이와는 다른 형상으로 된 제 1 안내면을 이용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만곡이나 라운드 형상이 아니고, 평면에서 바라본 상태에서 직선으로 된 제 1 안내면(바꿔 말하면, 평면으로 된 제 1 안내면)을 이용해도 좋다.
이러한 형상으로 된 제 1 안내면을 이용한 경우도 누설 흐름의 흐름 방향을 주류의 흐름 방향을 향하는 방향으로 안내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제 1 안내면(48a)을 가짐으로써, 클리어런스(CL2)를 통과한 작동 유체의 누설 흐름과 작동 유체의 주류와의 간섭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의해, 작동 유체의 누설 흐름과 작동 유체의 주류와의 간섭에 기인하는 소용돌이의 발생이 억제되기 때문에, 압력 손실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절결부(48A)에 제 1 안내면(48a)을 마련함으로써, 접속부(48)의 외경을 크게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가변 정익(35)의 배열 피치가 좁은 경우에서도 압력 손실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제 1 안내면(50a)을 갖는 경우도, 제 1 안내면(48a)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구성으로 된 복수의 가변 정익(35)은, 각 가변 정익(35)의 회전축 본체(52)가 링크 기구(33)의 타단에 고정된 상태로, 가동 고리(31)로부터 로터(11)를 향하는 가동 고리(31)의 직경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회전 구동부(37)는 가동 고리(31)의 외측에 마련되어 있다. 회전 구동부(37)는 가동 고리(31)의 둘레 방향으로 가동 고리(31)를 회전시킨다.
상기 구성으로 된 가변 정익 메커니즘(15)은, 회전 구동부(37)에 의해 가동 고리(31)를 회전시켜서, 링크 기구(33)와 접속된 가변 정익(35) 전체가 회전됨으로써, 작동 유체의 주류의 흐름 방향에 대한 복수의 정익 본체(41)의 각도가 소망한 각도가 되도록 가변시킨다.
또한, 도 1에서는 일례로서, 축선(O1) 방향으로 4개의 가변 정익 메커니즘(15)을 마련한 경우를 예로 들어서 설명하였지만, 축선(O1) 방향으로 배치되는 가변 정익 메커니즘(15)의 수는, 1개 이상이면 좋고, 1개에 한정되지 않는다.
복수의 정익 군(17)은 복수의 가변 정익 메커니즘(15)이 배치된 영역의 토출구측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각 정익군(17)은 외측 케이싱(26)의 내면의 둘레 방향으로 고정된 복수의 정익(58)으로 구성되어 있다. 복수의 정익(58)은, 각각 정익 본체(59)를 갖는다. 정익(58)은 유로(27)에 배치되는 동시에, 축선(O1) 방향에 있어서 동익(23)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정익 군(17)을 구성하는 정익(58)은, 작동 유체의 주류의 흐름 방향에 대한 복수의 정익 본체(59)의 각도가 가변할 수 없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제 1 실시형태의 가변 정익(35)에 의하면, 접속부(48)에 마련된 절결부(48A)가 제 1 안내면(48a)을 가짐으로써, 클리어런스(CL2)를 통과한 작동 유체의 누설 흐름과 작동 유체의 주류와의 간섭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의해, 작동 유체의 누설 흐름과 작동 유체의 주류와의 간섭에 기인하는 소용돌이의 발생이 억제되기 때문에, 압력 손실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절결부(48A)에 제 1 안내면(48a)을 마련함으로써, 접속부(48)의 외경을 크게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가변 정익(35)의 배열 피치가 좁은 경우에서도 압력 손실을 저감할 수 있다.
제 1 실시형태의 압축기(10)에 의하면, 상기 구성으로 된 가변 정익(35)을 가짐으로써, 가변 정익(35)의 배열 피치가 좁은 경우에서도 압력 손실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일방의 접속부(48)에만 제 1 안내면(48a)을 포함한 절결부(48A)를 마련한 경우를 예로 들어서 설명하였지만, 타방의 접속부(45)에도 제 1 안내면(48a)을 포함하는 절결부(48A)을 마련해도 좋다.
이 경우, 클리어런스(CL1)를 통과한 작동 유체의 누설 흐름과 작동 유체의 주류와의 간섭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서, 작동 유체의 누설 흐름과 작동 유체의 주류와의 간섭에 기인하는 소용돌이의 발생이 억제되기 때문에, 압력 손실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정익 본체(41)에 대한 접속부(48)의 위치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되는 위치에 한정되지 않는다. 정익 본체(41)에 대한 접속부(48)의 위치는, 정익 본체(41)의 일단면(41d)과 내측 케이싱(25)의 외주면(25a) 사이에 클리어런스(CL2)가 형성되는 위치이면 좋다.
(제 2 실시형태)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제 2 실시형태의 압축기(65)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9 및 도 10에 있어서, E는 작동 유체의 주류의 흐름 방향(이하, 「E 방향」이라 함), I는 제 1 안내면(72a)을 따라 흐르는 작동 유체의 누설 흐름의 흐름 방향(이하, 「I 방향」이라 함), J는 제 2 안내면(72b)을 따라 흐르는 작동 유체의 누설 흐름의 흐름 방향(이하, 「J 방향」이라 함)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도 8 내지 도 10에 있어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되는 구조체와 동일한 구성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다.
제 2 실시형태의 압축기(65)는 제 1 실시형태의 압축기(10)를 구성하는 가변 정익(35) 대신에 가변 정익(66)을 갖는 것 이외는, 압축기(10)와 마찬가지로 구성되고 있다.
가변 정익(66)은 제 1 실시형태의 가변 정익(35)을 구성하는 접속부(48) 대신에 접속부(67)를 갖는 것 이외는, 가변 정익(35)과 마찬가지로 구성된다.
접속부(67)는 접속부 본체(71)와, 돌출부(72)를 갖는다. 접속부 본체(71)는 정익 본체(41)의 타단과 확경부(56)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접속부 본체(71)는 정익 본체(41)의 타단 및 확경부(56)와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접속부 본체(71)는 정익 본체(41)의 일단면(41d)으로부터 확경부(56)를 향함에 따라 확폭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돌출부(72)는 접속부 본체(71) 중, 정익 본체(41)의 전연(41A)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마련되어 있다. 돌출부(72)는 내측 케이싱(25)의 외주면(25a)과 대향하는 정익 본체(41)의 전연(41A)측의 일단면(41d)에 접촉한 상태로 접속부 본체(71)로부터 전연(41A)측으로 돌출하고 있다.
돌출부(72)는 제 1 안내면(72a)과, 제 2 안내면(72b)을 갖는다. 제 1 안내면(72a)은 정익 본체(41)의 정압면(41a)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안내면(72a)은 누설 흐름의 흐름 방향이 주류의 흐름 방향(E)을 향하는 방향으로 안내한다.
제 2 안내면(72b)은 정익 본체(41)의 부압면(41b)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 2 안내면(72b)은 누설 흐름의 흐름 방향을 J 방향으로 안내함으로써, 누설 흐름이 부압면(41b)측으로 흐르는 것을 억제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된 돌출부(72)를 가짐으로써, 작동 유체의 주류가 접속부 본체(71)에 충돌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동시에, 작동 유체의 누설 흐름의 흐름 방향을 주류의 흐름 방향(E)을 향하는 방향으로 안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의해, 가변 정익(66)의 배열 피치가 좁은 경우에서도 압력 손실을 저감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안내면(72a, 72b)은 예를 들면, 돌출부(72)의 선단부(72A)로부터 돌출부(72)의 기단(접속부 본체(71)측)을 향함에 따라 제 1 안내면(72a)과 제 2 안내면(72b)의 거리가 커지도록 배치시키면 좋다.
이와 같이, 돌출부(72)의 선단부(72A)로부터 돌출부(72)의 기단(접속부 본체(71)측)을 향함에 따라 제 1 안내면(72a)과 제 2 안내면(72b)의 거리가 크게 함으로써, 접속부 본체(71)에 작동 유체가 충돌하기 전에, 작동 유체의 주류를 2개의 흐름으로 나누고, 제 1 안내면(72a)을 이용하여, 정익 본체(41)의 전연(41A)측을 통과하는 작동 유체의 누설 흐름의 흐름 방향을 주류의 흐름 방향(E)을 향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또한, 돌출부(72)의 선단부(72A)의 형상은 예를 들면, 둥그스름한 형상으로 하면 좋다.
이와 같이, 돌출부(72)의 선단부(72A)의 형상을 둥그스름한 형상으로 함으로써, 돌출부의 선단부(72A)의 파손을 억제할 수 있는 동시에, 작동 유체를 돌출부(72)의 기단측으로 부드럽게 안내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의 가변 정익(66)에 의하면, 상술한 제 1 및 제 2 안내면(72a, 72b)을 포함한 돌출부(72)를 가짐으로써, 작동 유체의 주류가 접속부 본체(71)에 충돌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동시에, 작동 유체의 누설 흐름의 흐름 방향을 주류의 흐름 방향(E)을 향하는 방향으로 안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의해, 가변 정익(66)의 배열 피치가 좁은 경우에서도 압력 손실을 저감할 수 있다.
다음에, 도 11을 참조하여, 제 2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가변 정익(80)에 대해서 설명한다.
가변 정익(80)은 제 2 실시형태의 가변 정익(66)을 구성하는 접속부(67) 대신에, 접속부(81)를 갖는 것 이외는, 가변 정익(66)과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접속부(81)는 제 2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접속부(67)를 구성하는 돌출부(72) 대신에, 돌출부(83)를 갖는 것 이외는, 접속부(67)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돌출부(83)는 정익 본체(41)의 전연(41A)측의 일단면(도 2에 도시되는 일단면(41d))의 전체를 덮도록 마련되어 있다. 돌출부(83)는 제 1 안내면(83a)과, 제 2 안내면(83b)과, 바닥면(83c)을 갖는다. 바닥면(83c)은 제 1 안내면(83a)의 하단과 제 2 안내면(83b)의 하단을 접속하는 면이다.
제 2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가변 정익(80)에 의하면, 정익 본체(41)의 전연(41A)측의 단면의 전체를 덮는 돌출부(83)를 가짐으로써, 정익 본체(41)의 전연(41A)측의 단면의 일부에 돌출부를 마련한 경우와 비교하여, 제 1 안내면(83a)의 길이를 길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의해, 작동 유체가 정익 본체(41)의 전연(41A)에 도달한 단계에서, 작동 유체의 누설 흐름의 방향을 주류의 흐름 방향을 향하는 방향으로 안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압력 손실을 더욱 저감할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제 3 실시형태의 압축기(9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2에 있어서, 도 8 및 도 11에 도시되는 구조체와 동일한 구성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다. 도 13에 있어서,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되는 구조체와 동일한 구성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다.
제 3 실시형태의 압축기(90)는, 제 1 실시형태의 압축기(10)를 구성하는 가변 정익(35) 대신에, 가변 정익(91)을 갖는 동시에, 내측 케이싱(25)에 면취부(96)를 형성한 것 이외는, 압축기(10)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가변 정익(91)은 제 2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가변 정익(80)을 구성하는 접속부(81) 대신에, 접속부(93)를 갖는 것 이외는 가변 정익(80)과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접속부(93)는, 제 2 실시형태의 변형예에서 설명한 접속부(81)를 구성하는 돌출부(83) 대신에, 돌출부(94)를 갖는 것 이외는, 접속부(81)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돌출부(94)는 일단면(41d)(정익 본체(41)의 전연(41A)측의 단면)을 덮는 동시에, 일부가 확경부(56)의 측면(56a)으로 연장되어 배치되어 있다. 돌출부(94)는 정익 본체(41)의 전연(41A)까지 연장되어 배치되어 있다.
돌출부(94)는 일부가 확경부(56)의 측면(56a)으로 연장되어 배치되어 있는 점이, 돌출부(83)와 다른 점이며, 이외에 대해서는 돌출부(83)와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12에 나타내는 J1-J2선으로 접속부(93)를 절단했을 때의 형상은, 예를 들면, 도 7에 도시되는 접속부(50)와 동일한 형상이 되지만, 도 7의 접속부(50)보다 본 실시형태의 접속부(93)가 정익 전연(41A)측으로 신장된다. 즉, 접속부(93)는 확경부(56)를 정익 전연(41A)측으로 밀려나오게 한 점에서 상위하다.
면취부(96)는 내측 케이싱(25)의 외주부 중, 돌출부(94)와 대향하는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면취부(96)는 돌출부(94)와 내측 케이싱(25) 사이에 간극(K)을 형성하고 있다.
면취부(96)는 간극(K)의 일부를 구획하는 동시에, 돌출부(94)와 대향하는 면취면(96a)을 갖는다. 면취면(96a)은 외주면(25a)에 대해서 경사진 면이다.
면취면(96a)은 축 수용부(25A)의 측면(25Aa)(구체적으로는, 축 수용부(25A) 중, 확경부(56)가 수용되는 부분의 측면)과 접속되어 있다.
제 3 실시형태의 압축기(90)에 의하면, 상기 구성으로 된 돌출부(94)를 가짐으로써, 내측 케이싱(25)의 외주면(25a) 부근의 작동 유체를 돌출부(94)에 충돌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내측 케이싱(25)의 외주면(25a) 부근의 작동 유체가 접속부 본체(71)에 충돌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으로 된 면취부(96)를 가짐으로써, 작동 유체를 간극(K)으로 안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의해, 누설 흐름의 흐름 방향을 보다 확실히 주류의 흐름 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다.
또한, 도 12 및 도 13에서는, 일례로서, 정익 본체(41)의 전연(41A)까지 연장되도록 돌출부(94)를 배치시킨 경우를 예로 들어서 설명하였지만, 전연(41A)을 향하는 방향에 대한 돌출부(94)의 돌출량은,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되는 돌출량에 한정되지 않는다. 돌출부(94)의 돌출량은 예를 들면,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되는 돌출량의 1/2이어도 좋고, 1/4이어도 좋다. 돌출부(94)의 돌출량은 적절하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상술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특정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 내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의 범위 내에 있어서, 여러 변형·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일례로서, 정익 본체(41)의 양측에서 회전축(43, 47)으로 지지하는 가변 정익(35, 66)을 예로 들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일방의 측에서 정익 본체(41)를 회전축으로 지지하는 가변 정익에도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은 가변 정익 및 압축기에 적용 가능하다.
10, 65, 90 : 압축기 11 : 로터
13 : 케이싱 15 : 가변 정익 메커니즘
17 : 정익 군 21 : 로터 본체
23 : 동익 23A : 제 1 동익 군
23B : 제 2 동익 군 23C : 제 3 동익 군
23D : 제 4 동익 군 23E : 제 5 동익 군
23F : 제 6 동익 군 25 : 내측 케이싱
25a : 외주면 25A, 26A : 축 수용부
26a : 내주면 26 : 외측 케이싱
27 : 유로 28 : 흡입구
31 : 가동 고리 33 : 링크 기구
35, 66, 80, 91 : 가변 정익 37 : 회전 구동부
41, 59 : 정익 본체 41a : 정압면
41A : 전연 41b : 부압면
41B : 후연 41c : 타단면
41d : 일단면 43, 47 : 회전축
45, 48, 50, 67, 81, 93 : 접속부
48a, 50a, 72a, 83a : 제 1 안내면 48A : 절결부
50b : 면 52, 55 : 회전축 본체
53, 56 : 확경부 56a : 측면
58 : 정익 71 : 접속부 본체
72, 83, 94 : 돌출부 72A : 선단부
72b, 83b : 제 2 안내면 96 : 면취부
96a : 면취면 CL1, CL2 : 클리어런스
E, F, I, J : 방향 K : 간극
O1, O2 : 축선 VC : 가상 원
r : 반경

Claims (13)

  1. 작동 유체가 유통하는 유로 내에 배치되고, 내측 케이싱과의 사이에 클리어런스를 형성하는 정익 본체와,
    상기 작동 유체의 주류의 흐름 방향에 대한 상기 정익 본체의 각도를 가변시키도록 회전하는 회전축과,
    상기 정익 본체와 상기 회전축을 접속하는 접속부를 구비하고,
    상기 접속부는 상기 클리어런스 중, 상기 정익 본체의 전연측으로 유입된 상기 작동 유체의 누설 흐름의 흐름 방향이 상기 주류의 흐름 방향을 향하는 방향으로 안내하는 제 1 안내면을 포함하는
    가변 정익.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안내면은 상기 접속부 중, 상기 정익 본체의 전연측에서, 또한 상기 정익 본체의 부압면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배치하는
    가변 정익.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안내면은 상기 정익 본체의 부압면측으로 돌출하는 만곡면인
    가변 정익.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는 상기 제 1 안내면을 포함하는 절결부를 갖는
    가변 정익.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는,
    상기 정익 본체와 상기 회전축을 접속하는 접속부 본체와,
    상기 접속부 본체 중, 상기 정익 본체의 전연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마련되고, 상기 내측 케이싱과 대향하는 상기 정익 본체의 전연측의 단면에 접촉한 상태로 상기 접속부 본체로부터 돌출하는 동시에, 상기 제 1 안내면을 포함한 돌출부를 포함하는
    가변 정익.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정익 본체의 정압면측에 배치된 제 2 안내면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 1 및 제 2 안내면은 상기 돌출부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돌출부의 기단을 향함에 따라 제 1 안내면과 제 2 안내면의 거리가 커지도록 배치되는
    가변 정익.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선단부의 형상은 둥그스름한 형상인
    가변 정익.
  8.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정익 본체의 전연측의 단면의 전체를 덮도록 마련되어 있는
    가변 정익.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회전축 본체와, 상기 회전축 본체와 상기 접속부를 접속하는 동시에, 상기 회전축 본체의 외경보다 확경된 확경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접속부는 상기 정익 본체로부터 상기 확경부를 향함에 따라 확폭 형상인
    가변 정익.
  10.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회전축 본체와, 상기 회전축 본체와 상기 접속부를 접속하는 동시에, 상기 회전축 본체의 외경보다 확경된 확경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정익 본체의 전연측의 단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마련되는 동시에, 상기 확경부의 측면으로 연장되어 배치되어 있는
    가변 정익.
  11.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가변 정익과,
    로터 본체, 및 상기 로터 본체의 축선 방향 및 둘레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동익을 포함하는 로터와,
    상기 로터의 외측에 마련된 내측 케이싱과,
    상기 내측 케이싱의 외측에 마련된 외측 케이싱과,
    상기 회전축과 접속되고,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내측 케이싱은 상기 회전축을 수용하는 축 수용부를 갖는
    압축기.
  12. 제 10 항에 기재된 가변 정익과,
    로터 본체, 및 상기 로터 본체의 축선 방향 및 둘레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동익을 포함하는 로터와,
    상기 로터의 외측에 마련된 내측 케이싱과,
    상기 내측 케이싱의 외측에 마련된 외측 케이싱과,
    상기 회전축과 접속되고,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내측 케이싱은 상기 회전축을 수용하는 축 수용부와, 상기 돌출부와 상기 내측 케이싱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는 면취부를 갖고 있으며,
    상기 면취부의 면취면은 상기 축 수용부의 측면과 접속되어 있는
    압축기.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정익은 상기 회전축이 마련된 측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상기 정익 본체와 접속되고, 상기 외측 케이싱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지지되는 다른 회전축을 포함하는
    압축기.
KR1020197028329A 2017-03-30 2018-03-30 가변 정익 및 압축기 KR201901186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7029965A KR102351758B1 (ko) 2017-03-30 2018-03-30 가변 정익 및 압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066611 2017-03-30
JP2017066611 2017-03-30
PCT/JP2018/013732 WO2018181939A1 (ja) 2017-03-30 2018-03-30 可変静翼、及び圧縮機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9965A Division KR102351758B1 (ko) 2017-03-30 2018-03-30 가변 정익 및 압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8650A true KR20190118650A (ko) 2019-10-18

Family

ID=6367791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8329A KR20190118650A (ko) 2017-03-30 2018-03-30 가변 정익 및 압축기
KR1020217029965A KR102351758B1 (ko) 2017-03-30 2018-03-30 가변 정익 및 압축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9965A KR102351758B1 (ko) 2017-03-30 2018-03-30 가변 정익 및 압축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168704B2 (ko)
JP (1) JP6874121B2 (ko)
KR (2) KR20190118650A (ko)
CN (1) CN110520631B (ko)
DE (1) DE112018001703T5 (ko)
WO (1) WO201818193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9218911A1 (de) * 2019-12-04 2021-06-10 MTU Aero Engines AG Leitschaufelanordnung für eine strömungsmaschine
CN113803274B (zh) * 2021-11-19 2022-03-04 中国航发上海商用航空发动机制造有限责任公司 轴流压气机及涡扇发动机
CN114109522B (zh) * 2021-11-29 2022-12-02 清华大学 控制间隙损失的导叶结构和动力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33424A (ja) 2011-04-28 2012-11-29 Ihi Corp 軸流式圧縮機の可変静翼機構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556410B1 (fr) 1983-12-07 1986-09-12 Snecma Dispositif de centrage de l'anneau interieur d'un stator a ailettes a calage variable
US4834613A (en) * 1988-02-26 1989-05-30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Radially constrained variable vane shroud
US5752802A (en) * 1996-12-19 1998-05-19 Solar Turbines Incorporated Sealing apparatus for airfoils of gas turbine engines
FR2775731B1 (fr) * 1998-03-05 2000-04-07 Snecma Etage circulaire d'aubes aux extremites interieures unies par un anneau de liaison
JP2000345997A (ja) 1999-06-04 2000-12-12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軸流圧縮機の可変静翼機構
JP2002138997A (ja) 2000-10-31 2002-05-17 Mitsubishi Heavy Ind Ltd 可変静翼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圧縮機
US6682299B2 (en) 2001-11-15 2004-01-27 General Electric Company Variable stator vane support arrangement
US7125222B2 (en) 2004-04-14 2006-10-24 General Electric Company Gas turbine engine variable vane assembly
US7963742B2 (en) * 2006-10-31 2011-06-21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Variable compressor stator vane having extended fillet
US7806652B2 (en) * 2007-04-10 2010-10-05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Turbine engine variable stator vane
DE102008014743A1 (de) * 2008-03-18 2009-09-24 Rolls-Royce Deutschland Ltd & Co Kg Verdichterstator mit Teildeckband
US8123471B2 (en) * 2009-03-11 2012-02-28 General Electric Company Variable stator vane contoured button
FR2966530B1 (fr) * 2010-10-21 2012-11-02 Snecma Etage redresseur a calage variable pour un compresseur d'une turbomachine
US9334751B2 (en) * 2012-04-03 2016-05-10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Variable vane inner platform damping
FR3014964B1 (fr) * 2013-12-13 2018-09-28 Safran Aircraft Engines Redresseur a calage variable en materiaux composites
US9631504B2 (en) * 2014-04-02 2017-04-25 Solar Turbines Incorporated Variable guide vane extended variable fillet
US9784285B2 (en) * 2014-09-12 2017-10-10 Honeywell International Inc. Variable stator vane assemblies and variable stator vanes thereof having a locally swept leading edge and methods for minimizing endwall leakage therewith
US20160160874A1 (en) * 2014-12-04 2016-06-09 Solar Turbines Incorporated Airfoil for inlet guide vane (igv) of multistage compressor
JP6607752B2 (ja) 2015-09-28 2019-11-20 株式会社Kvk 水栓のカバー
US10208619B2 (en) * 2015-11-02 2019-02-19 Florida Turbine Technologies, Inc. Variable low turbine vane with aft rotation axi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33424A (ja) 2011-04-28 2012-11-29 Ihi Corp 軸流式圧縮機の可変静翼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9551A (ko) 2021-10-05
JPWO2018181939A1 (ja) 2020-02-06
CN110520631A (zh) 2019-11-29
KR102351758B1 (ko) 2022-01-14
US20210115946A1 (en) 2021-04-22
DE112018001703T5 (de) 2019-12-24
CN110520631B (zh) 2021-06-08
US11168704B2 (en) 2021-11-09
WO2018181939A1 (ja) 2018-10-04
JP6874121B2 (ja) 2021-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99405B1 (en) Rotary machine
WO2011007467A1 (ja) インペラおよび回転機械
US20080131268A1 (en) Turbomachine with variable guide/stator blades
KR20190118650A (ko) 가변 정익 및 압축기
US20170241427A1 (en) Seal mechanism and rotating machine
JP2018135847A (ja) 軸流回転機械
KR102390532B1 (ko) 가변 정익 및 압축기
WO2018155458A1 (ja) 遠心回転機械
JPWO2020031625A1 (ja) 回転機械及びシール部材
WO2017150554A1 (ja) 遠心回転機械
KR20210100725A (ko) 회전 기계
US11313232B2 (en) Turbine blade, turbine, and method for cooling turbine blade
JP2019157717A (ja) 動翼、回転機械
JP6930896B2 (ja) タービン及び動翼
JP6700893B2 (ja) 羽根車、回転機械
KR101619134B1 (ko) 나선-디스크형 유체기계
JP2005226568A (ja) 遠心式流体機械
JP2005155565A (ja) 遠心式流体機械
JP2020118105A (ja) 過給機用軸流タービン
JP2017172564A (ja) 回転機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