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8468A - 경사 이송 컨베이어에 의한 분배 시스템. - Google Patents

경사 이송 컨베이어에 의한 분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8468A
KR20190118468A KR1020180041847A KR20180041847A KR20190118468A KR 20190118468 A KR20190118468 A KR 20190118468A KR 1020180041847 A KR1020180041847 A KR 1020180041847A KR 20180041847 A KR20180041847 A KR 20180041847A KR 20190118468 A KR20190118468 A KR 201901184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tablets
conveyor
dispensing
trans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18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희열
박장성
Original Assignee
(주)제이에스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이에스아이 filed Critical (주)제이에스아이
Priority to KR10201800418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18468A/ko
Publication of KR201901184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84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30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 B65B35/44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by endless belts or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00Packaging individual articles in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jars
    • B65B5/10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 B65B5/101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by gravity
    • B65B5/103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by gravity for packaging pills or tab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30Belts or like endless load-carriers
    • B65G15/58Belts or like endless load-carriers with means for holding or retaining the loads in fixed position, e.g. magne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02Belt- or chain-engaging elements
    • B65G23/04Drums, rollers, or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3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 B65G47/44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7Tablets, capsules, pill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128Belt conveyors
    • B65G2812/02138Common features for belt conveyors
    • B65G2812/02148Driving means for the belts

Abstract

본 발명은 정제, 알약, 캡슐 또는 이와 유사한 제품의 이송 및 분배를 위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호퍼(300)에 투입된 정제들이 앞/뒤쪽의 구동용 롤러에 의하여 구동되는 벨트 유형의 이송수단을 구비한 컨베이어(100)와,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이동경로의 상부부분에 정제들을 공급받기위한 분배 유니트(200)와, 상기 분배 유니트에 공급된 정제를 공급받는 저장용기(400)를 포함하고, 상기 벨트 유형 이송수단은 출구 높이가 낮은 정제기 및 인쇄기에서 생산되는 정제를 입구높이가 높은 분배 유니트(200)에 이송하도록 경사형 컨베이어(100)로 구동롤러(102)와 텐션롤러(104)가 외팔보 형태로 제작되어 벨트의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구동롤러(102)는 그 표면에 우레탄 및 고무로 코팅하여 벨트의 미끄럼을 방지하면서 구동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컨베이어(100)의 구동롤러(102)와 텐션롤러(104)에 링 상으로 벨트(106)가 감겨지며 상기 벨트의 상면에 원호 부분을 따라 직립된 아다치(1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연속적인 이송 및 분배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이의 이송이 안전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경사 이송 컨베이어에 의한 분배 시스템.{A distribution system}
본 발명은 정제, 알약, 캡슐 또는 이와 유사한 제품들을 이송 컨베이어의 배송장치로부터 다음 장치인 분배 유니트로 이송하고 분배 유니트에 이송된 정제, 알약, 캡슐 또는 이와 유사한 제품(이후 상세한 설명 및 청구항에서 정제로 표기함)을 정돈된 저장용기로 분배하기 위한 정제 이송 및 분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제된 제품 또는 이와 유사한 제품들을 이송하여 저장용기로 분배하는 방법은 호퍼에 투입된 정제들이 앞/뒤쪽의 구동용 롤러에 구동되는 아다치벨트에 의하여 한 개 또는 그 이상의 정제 등을 이송하도록 구성된 컨베이어와, 컨베이어 벨트의 이동경로의 상부부분에 정제들을 공급받기위한 분배 유니트와, 분배 유니트에 공급된 정제를 공급받는 저장용기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이송 및 분배장치는 높은 이송 속도를 얻을 수 있지만, 이러한 기계들의 생산성은 물론 정제의 이송시 정제의 파손이 없는 장치를 공급하여 줄 것을 요구하는 요청들이 소비자들로부터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다.
상기한 컨베이어 벨트는 호퍼로부터 공급되는 정제들을 전달받아 이송하기 위한 벨트 표면에 원호 부분을 따라 직립된 아다치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롤러를 따라 무한 회전하면서 투입된 정제들을 하부 부분에서 상부 부분까지 원활한 이송이 가능하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 아다치는 호퍼로부터 전달받은 정제들이 경사면을 따라 이송될 때 이송되는 정제들이 아다치 벨트의 좌우틈새로 끼는 일이 비일비재하여 정제의 손실이 큰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가 발생하는 주된 요인은 일반적인 아다치 벨트의 경우 벨트 표면에 아다치를 직립하여 경사면에 정제가 이송이 가능하도록 하였으나 벨트에 형성되는 아다치가 일자로 구성되어 경사면을 따라 회전하면서 아다치에 투입된 정제들이 벨트와 컨베이어의 틈새로 쉽게 빠지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이었다.
또한 컨베이어를 타고 이송되는 정제는 컨베이어 벨트의 이동경로의 상부부분에 설치된 분배 유니트에 투입하여 이를 저장용기로 분배하는 구성으로 이는 정제의 분배는 가능하나, 단일의 분배 유니트로 구성되어 하나의 저장용기를 가득 채우고, 다른 저장용기를 교체하는 순간 분배 유니트에 정제가 계속 투입되므로 이를 감안하여 속도가 반감되는 현상 또는 작업을 일시 중지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이송 및 분배 유니트로 얻을 수 있는 것보다 더 높은 생산성을 얻을 수 있는 새로운 유형의 이송 및 분배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송되는 정제의 파손을 최대한 줄일 수 있어 제품(정제)의 균일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송 및 분배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목적은 유지 보수가 용이하고, 정제 유형 제품 및 유사한 유형의 제품에 적용될 수 있는 이송 및 분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정제 이송 및 분배시스템은 컨베이어 벨트 유형의 이송 수단은 호퍼에서 투입되는 정제들이 투입되는 이송 영역에 벨트와 동일한 방향으로 평행하게 특수하게 제작된 아다치가 제공되며 그 높이는 이송되는 정제들의 크기에 대응하는 크기를 갖고 이송되는 정제들을 중앙으로 집중하여 모아 이송할 수 있도록 한 복수개의 라운드 아다치를 갖는 벨트 유형 이송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컨베이어 벨트의 이동경로의 상부부분에 이송되는 정제들을 공급받기위한 분배 유니트는 정제를 전달받기 위한 투입 페럴과, 투입 페럴에 공급된 정제를 위치한 저장 용기에 공급하기 위한 분배슈트 및 각각의 저장용기에 정제를 공급하기 위한 배출 페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분배 슈트는 투입 페럴의 출구 부분을 축으로 하여 일정 각도로 회전되도록 구성하여 투입되는 정제를 분배 슈트에 계속하여 투입 가능하도록 하면서 저장용기에 정해진 수량 또는 레벨에 의하여 다음 저장용기로의 이송하도록 하여 연속적인 공급이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분배 슈트는 분배기 헤드의 독립적인 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분배기 헤드만 따로 이송 컨베이어와 일체형으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정제 이송 및 분배시스템은 이송 영역과 배출 영역이 상호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정제의 연속적인 이송 및 분배가 가능한 장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이송 영역은 특수하게 제작된 라운드 아다치 벨트로 낮은곳에서 높은곳으로 정제의 신속한 이송가능함은 물론 이송시 정제를 라운드 아다치의 중앙에 모아 경사면을 따라 이송하므로 정제의 파손이 전혀 없이 이송 가능한 효과를 가진다.
그리고 본 발명의 분배 유니트는 투입된 정제를 효과적으로 공급받아 저장용기로의 이송이 가능하고 각 저장용기로의 분배시 분배슈트가 회전하는 경우에도 정제의 공급이 가능하여 연속적인 작업이 가능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전체적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송 컨베이어의 상세도.
도 3은 본 발명에 벨트에 설치된 라운드 아다치를 나타낸 상세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분배 유니트의 입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분배 유니트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분배 유니트의 작동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도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또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전체적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송 컨베이어의 상세도, 도 3은 본 발명에 벨트에 설치된 라운드 아다치를 나타낸 상세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분배 유니트의 입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분배 유니트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분배 유니트의 작동상태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경사 이송 컨베이어에 의한 분배 시스템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경사 이송 컨베이어에 의한 분배 시스템은 호퍼(300)에 투입된 정제들이 앞/뒤쪽의 구동용 롤러에 의하여 구동되는 벨트 유형의 이송수단을 구비한 컨베이어(100)와,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이동경로의 상부부분에 정제들을 공급받기위한 분배 유니트(200)와, 상기 분배 유니트에 공급된 정제를 공급받는 저장용기(40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벨트 유형 이송수단은 출구 높이가 낮은 정제기 및 인쇄기에서 생산되는 정제를 입구높이가 높은 분배 유니트(200)에 이송하도록 경사형 컨베이어(100)로 구동롤러(102)와 텐션롤러(104)가 외팔보 형태로 제작되어 벨트의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구동롤러(102)는 그 표면에 우레탄 및 고무로 코팅하여 벨트의 구동시 미끄럼을 방지하면서 구동하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컨베이어(100)는 컨베이어를 지지하는 전후의 기둥 위치 변경에 따른 경사각도와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어진다.
컨베이어(100)의 구동롤러(102)와 텐션롤러(104)에 링 상으로 벨트(106)가 감겨지며 상기 벨트의 상면에 원호 부분을 따라 직립된 라운드 아다치(110)를 구비한다.
상기한 라운드 아다치(110)는 벨트의 진행방향과 평행하게 돌출되며 바깥쪽에서 안쪽 중심으로 라운드 형태로 굴곡지도록 구성된다.
라운드 아다치의 그 높이와 폭은 벨트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갖고 높이는 이송되는 정제를 수용가능한 형태로 진행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돌출하여 형성된다.
상기한 컨베이어는 벨트의 장력을 오토 텐셔너에 의한 수동이 아닌 자동으로 조절가능하도록 구성하고 롤러의 표면은 미끄럼을 방지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효과적인 구동이 가능한 것이다.
상기한 컨베이어 벨트의 이동경로의 상부부분에 이송되는 정제들을 공급받기위한 분배 유니트(200)는 이송 컨베이어의 상부에 형성된 배출구(112)와 결속되어 정제를 전달받기 위한 투입 페럴(202)과, 투입 페럴(202)에 공급된 정제를 위치한 저장 용기(400)에 공급하기 위한 분배슈트(206) 및 각각의 저장용기에 정제를 공급하기 위한 배출 페럴(20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투입 페럴(202)의 입구부분과 배출구(112)의 배출부분은 원형으로 구성하여 결속이 빠르고 손쉽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한 분배 슈트(206)는 투입 페럴(202)의 출구 부분을 축으로 하여 일정 각도로 회전되도록 구성하여 투입되는 정제가 분배 슈트(206)에 계속하여 투입 가능하도록 하면서 저장용기(400)에 정해진 수량 또는 레벨에 의하여 다음 저장용기로 이송하도록 하여 연속적인 공급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분배 유니트에 설치되며 분배 슈트에 의하여 정제를 공급받아 배출하는 배출페럴(204)은 분배 유니티의 헤드쪽에 4개 이상의 배출 페럴(204)로 구성되며 상기 배출 페럴은 가이드 파이프에 의하여 각각의 저장용기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분배 유니트는 독립적인 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었으며 분배기 유니트만 따로 이송 컨베이어와 일체형으로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상기한 컨베이어와 분배 유니트는 조작 판넬(PLC)을 통하여 이송 컨베이어 및 분배 유니트를 제어하여 제약 및 식품 산업 부분의 정제 또는 캡슐을 알맞은 높이와 기울기에 다양한 용기의 수를 토대로 유용하게 제어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경사 이송 컨베이어에 의한 분배 시스템은 제약 및 식품 산업 부분의 정제 또는 캡슐을 신속하고 손상이 없이 이송할 수 있으며 유사한 물품의 이송용도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컨베이어 102: 구동롤러
110: 아다치 200: 분배 유니트

Claims (4)

  1. 호퍼(300)에 투입된 정제들이 앞/뒤쪽의 구동용 롤러에 의하여 구동되는 벨트 유형의 이송수단을 구비한 컨베이어(100)와,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이동경로의 상부부분에 정제들을 공급받기위한 분배 유니트(200)와, 상기 분배 유니트에 공급된 정제를 공급받는 저장용기(400)를 포함하고, 상기 벨트 유형 이송수단은 출구 높이가 낮은 정제기 및 인쇄기에서 생산되는 정제를 입구높이가 높은 분배 유니트(200)에 이송하도록 경사형 컨베이어(100)로 구동롤러(102)와 텐션롤러(104)가 외팔보 형태로 제작되어 벨트의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구동롤러(102)는 그 표면에 우레탄 및 고무로 코팅하여 벨트의 미끄럼을 방지하면서 구동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컨베이어(100)의 구동롤러(102)와 텐션롤러(104)에 링 상으로 벨트(106)가 감겨지며 상기 벨트의 상면에 원호 부분을 따라 직립된 아다치(1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 이송 컨베이어에 의한 분배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벨트(106)의 상면에 원호 부분을 따라 진행방향과 평행하게 직립된 아다치(110)는 바깥쪽에서 안쪽 중심으로 라운드 형태로 굴곡지도록 라운드 아다치(110)로 구성되어 이송되는 정제물을 중심에 모아서 이송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 이송 컨베이어에 의한 분배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컨베이어 벨트의 이동경로의 상부부분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정제들을 공급받기위한 분배 유니트(200)는 이송 컨베이어의 상부에 형성된 배출구(112)와 결속되어 정제를 전달받기 위한 투입 페럴(202)과, 투입 페럴(202)에 공급된 정제를 위치한 저장 용기(400)에 공급하기 위한 분배슈트(206) 및 각각의 저장용기에 정제를 공급하기 위한 배출 페럴(204)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 이송 컨베이어에 의한 분배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분배 슈트(206)는 투입 페럴(202)의 출구 부분을 축으로 하여 일정 각도로 회전되도록 구성하여 투입되는 정제를 복수개의 배출 페럴로 공급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 이송 컨베이어에 의한 분배 시스템.
KR1020180041847A 2018-04-10 2018-04-10 경사 이송 컨베이어에 의한 분배 시스템. KR201901184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1847A KR20190118468A (ko) 2018-04-10 2018-04-10 경사 이송 컨베이어에 의한 분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1847A KR20190118468A (ko) 2018-04-10 2018-04-10 경사 이송 컨베이어에 의한 분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8468A true KR20190118468A (ko) 2019-10-18

Family

ID=68462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1847A KR20190118468A (ko) 2018-04-10 2018-04-10 경사 이송 컨베이어에 의한 분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1846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15401A1 (en) * 2020-11-24 2022-06-02 Fmh Conveyors Llc Raised belt transfer uni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15401A1 (en) * 2020-11-24 2022-06-02 Fmh Conveyors Llc Raised belt transfer unit
US11891251B2 (en) 2020-11-24 2024-02-06 Fmh Conveyors Llc Raised belt transfer uni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1502283A (ja) マルチレーン式無圧整列分配装置
CN205837772U (zh) 换向交接传动带
KR102141868B1 (ko) 정제 또는 캡슐용 분배기 유니트
KR20190118468A (ko) 경사 이송 컨베이어에 의한 분배 시스템.
KR20170019238A (ko) 물품 자동분류시스템용 초고속 자동 정렬기
US20200239237A1 (en) Feeding device for feeding products onto a conveyor belt
AU201720038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oeuvring products
JP5346196B2 (ja) ディスペンサーキャップ供給装置
KR102491843B1 (ko) 포장용기의 등 간격 분리이동을 위한 포장용기의 자동 분리장치
KR20190118466A (ko) 정제 또는 캡슐용 분배 유니트.
JP2009057088A (ja) 餃子のトレー詰めのための起立姿勢保持装置
US3976085A (en) Automatic cigarette feed machine
US2789678A (en) Conveyor system
KR20040051563A (ko) 분배 공급 장치 및 분배 공급 방법
KR101298705B1 (ko) 트리퍼용 분배장치
US6513645B2 (en) Method and device for feeding elongated articles on a wrapping machine
JP3684320B2 (ja) 物品集積繰出装置および物品集積方法,物品繰出方法
KR102347280B1 (ko) 수직 체인컨베이어를 이용한 부품 간헐이송시스템
CN220975462U (zh) 一种皮带机上料装置
JP7309564B2 (ja) 味付け装置及び半製品の供給方法
JPS58203817A (ja) 被移送物の分列・集列方法
US3485359A (en) Package conveyor and accumulator
JPH07196137A (ja) 棒状物品の定数整列装置
JP2000247433A (ja) 物品の搬送装置
JPH0412922A (ja) 物品の投入方法及びそ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