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4905A - 전지 팩 - Google Patents

전지 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4905A
KR20190114905A KR1020190037187A KR20190037187A KR20190114905A KR 20190114905 A KR20190114905 A KR 20190114905A KR 1020190037187 A KR1020190037187 A KR 1020190037187A KR 20190037187 A KR20190037187 A KR 20190037187A KR 20190114905 A KR20190114905 A KR 201901149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battery
blower
disposed
battery pac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7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4771B1 (ko
Inventor
가즈마 아사쿠라
시게유키 이노우에
히로타카 와타나베
야스유키 다케이
유스케 구루마
Original Assignee
도요타 지도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 지도샤(주) filed Critical 도요타 지도샤(주)
Publication of KR201901149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49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47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47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1/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 B60K11/06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with air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4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ombined with, or convertible into, other devices or objects, e.g. bumpers combined with road brushes, bumpers convertible into be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Types of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3Cooling or keeping col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2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1M10/625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10/6556Solid parts with flow channel passages or pipes for heat exchan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10/6556Solid parts with flow channel passages or pipes for heat exchange
    • H01M10/6557Solid parts with flow channel passages or pipes for heat exchange arranged between the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6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eat-exchange fluid
    • H01M10/6561G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6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eat-exchange fluid
    • H01M10/6561Gases
    • H01M10/6563Gases with forced flow, e.g. by blow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6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eat-exchange fluid
    • H01M10/6561Gases
    • H01M10/6566Means within the gas flow to guide the flow around one or more cells, e.g. manifolds, baffles or other barri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8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by thermal insulation or shi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6Heat-exchange relationships between the cells and other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or fuel cells
    • H01M10/663Heat-exchange relationships between the cells and other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or fuel cells the system being an air-conditioner or an engi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6Heat-exchange relationships between the cells and other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or fuel cells
    • H01M10/667Heat-exchange relationships between the cells and other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or fuel cells the system being an electronic component, e.g. a CPU, an inverter or a capaci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09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9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aircraft or vehicles, e.g. cars or tr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 B60K2001/0405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characterised by their position
    • B60K2001/0438Arrangement under the flo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전지 팩은, 조전지와, 조전지를 향하여 냉각풍을 송출하기 위한 제 1 덕트 및 제 2 덕트와, 수용 케이스를 구비한다. 제 1 덕트 및 제 2 덕트는, 전지 팩이 차량에 탑재된 탑재 상태에 있어서 차량의 전후 방향과 평행으로 되는 제 1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고, 또한, 탑재 상태에 있어서 차량의 폭 방향과 평행으로 되는 제 2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제 2 방향의 일방측에 있어서의 조전지의 외측에, 제 1 덕트가 배치되어 있고, 제 2 방향의 타방측에 있어서의 조전지의 외측에, 제 2 덕트가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전지 팩{BATTERY PACK}
본 개시는 전지 팩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에 탑재되는 전지 팩에 관한 것이다.
전기 자동차나 하이브리드 자동차에 있어서는,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지 팩이 탑재되어 있다. 전지 팩은, 복수의 단(單)전지를 직렬로 접속한 조(組)전지와, 당해 조전지를 내부에 수용하는 케이스를 주로 하여 구비한다. 복수의 단전지는, 충방전에 의해서 발열하기 때문에, 고온이 되면 조전지의 출력 특성이 저하되어 버린다. 이 때문에, 전지 팩에 있어서는 복수의 단전지의 냉각이 행해진다.
복수의 단전지를 냉각 가능하게 구성된 이차전지가 개시된 문헌으로서, 예를 들면, 일본 공개특허 특개2011-116321호 공보를 들 수 있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전지 팩은, 짧은 쪽 방향 및 긴 쪽 방향을 갖는 긴 형 형상을 갖고, 짧은 쪽 방향에 있어서의 전지 팩의 중앙부에, 긴 쪽 방향을 따라서 송풍 경로가 마련되어 있다. 송풍 경로의 하방(下方)에 조전지가 설치되어 있고, 긴 쪽 방향에 있어서의 일단(一端)측으로부터 타단(他端)측을 향하여 송풍된 냉각풍이, 하방측으로 이동하여 긴 쪽 방향에 있어서의 타단측으로부터 일단측을 향하여 이동할 때에, 조전지가 냉각된다.
최근, 전기 자동차의 보급이 촉진되고 있다. 전기 자동차에 탑재되는 전지 팩에 있어서는, 고출력이 요구되는 바, 적재하는 단전지의 수가 증가한다. 이 때문에, 조전지의 사이즈가 커지고, 전지 팩의 사이즈도 커진다. 또, 충방전에 의한 발열량의 총합도 증가한다.
일본 공개특허 특개2011-116321호에 개시된 구성에 있어서는, 단전지의 수가 증가한 경우에, 냉각 성능이 충분하다고는 할 수 없다. 또, 전지 팩의 사이즈가 커진 경우에는, 차량의 측면과 전지 팩의 측면이 근접한다. 이 때문에, 아무런 방법 없이 차량에 전지 팩을 탑재한 경우에는, 차량이 측돌(側突)되었을 때에, 충격이 조전지에 입력되기 쉬워진다.
본 개시는, 상기와 같은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본 개시의 목적은, 냉각 성능을 확보하면서, 측돌된 경우에 조전지에의 충격의 입력을 억제할 수 있는 전지 팩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개시의 전지 팩은, 차량에 탑재되는 것으로서, 하나 이상의 조전지와, 상기 하나 이상의 조전지를 향하여 냉각풍을 송출하기 위한 제 1 덕트 및 제 2 덕트와, 상기 하나 이상의 조전지, 상기 제 1 덕트 및 상기 제 2 덕트를 수용하는 수용 케이스를 구비한다. 상기 제 1 덕트 및 상기 제 2 덕트는, 상기 전지 팩이 차량에 탑재된 탑재 상태에 있어서 차량의 전후 방향과 평행으로 되는 제 1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고, 또한, 상기 탑재 상태에 있어서 차량의 폭 방향과 평행으로 되는 제 2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 2 방향의 일방(一方)측에 있어서의 상기 하나 이상의 조전지의 외측에, 상기 제 1 덕트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 2 방향의 타방(他方)측에 있어서의 상기 하나 이상의 조전지의 외측에, 상기 제 2 덕트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전지 팩을 차량에 탑재한 탑재 상태에 있어서, 차량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조전지의 일방측에 제 1 덕트가 배치되고, 차량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조전지의 타방측에 제 2 덕트가 배치된다. 이 때문에, 당해 전지 팩을 탑재한 차량이, 차량의 폭 방향으로부터 측돌된 경우에는, 제 1 덕트 및 제 2 덕트의 일방이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조전지에 입력되는 충격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 덕트 및 제 2 덕트를 이용하여 수용 케이스 내의 조전지를 냉각하게 되기 때문에, 조전지를 향하여 송출되는 냉각풍의 풍량을 많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단전지의 수가 증가하여 조전지의 사이즈가 커진 경우이더라도, 조전지의 냉각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본 개시의 전지 팩에 있어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조전지는, 복수의 조전지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상기 복수의 조전지가 상기 제 1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나란히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서로 이웃하는 상기 조전지의 사이에 마련된 간극이, 상기 제 1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나란히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덕트는, 상기 제 1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제 1 주(主) 덕트와, 상기 제 1 주 덕트로부터 분기되는 하나 이상의 제 1 부(副) 덕트를 갖고 있어도 되고, 상기 제 2 덕트는, 상기 제 1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제 2 주 덕트와, 상기 제 2 주 덕트로부터 분기되는 하나 이상의 제 2 부 덕트를 갖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상기 제 1 부 덕트는, 상기 제 2 주 덕트를 향하여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 2 부 덕트는, 상기 제 1 주 덕트를 향하여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간극에는, 상기 제 1 부 덕트 또는 상기 제 2 부 덕트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 1 부 덕트가 배치된 상기 간극과, 상기 제 2 부 덕트가 배치된 상기 간극이 상기 제 1 방향을 따라서 번갈아 나란히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제 1 부 덕트 및 제 2 부 덕트를 이용하여 복수의 조전지를 향하여 냉각풍을 송출하는 경우에, 상기 제 1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나란히 배치된 조전지 사이의 간극에 있어서, 제 1 부 덕트가 배치된 간극과, 상기 제 2 부 덕트가 배치된 간극이 상기 제 1 방향(차량 전후 방향)을 따라서 번갈아 나란히 배치된다.
이와 같이, 제 1 부 덕트와 제 2 부 덕트가 제 1 방향으로 번갈아 나란히 배치됨으로써, 복수의 제 1 부 덕트가 제 1 방향의 일방측에 치우쳐서 배치되고, 또한, 복수의 제 2 부 덕트가 제 1 방향의 타방측에 치우쳐서 배치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제 1 덕트 및 제 2 덕트에서의 압손(壓損)을 대략 동일하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송풍기를 이용하여 제 1 덕트 및 제 2 덕트에 송풍할 때에, 복수의 제 1 부 덕트 및 복수의 제 2 부 덕트가 치우쳐서 배치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송풍기에 걸리는 부하를 분산할 수 있다. 그 결과, 에너지 절약화를 도모하면서, 복수의 조전지를 냉각할 수 있다.
상기 본 개시의 전지 팩은, 상기 복수의 조전지를 전기적으로 직렬로 접속하는 접속 부재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상기 제 1 부 덕트의 선단(先端)과 상기 제 2 주 덕트 사이에는 제 1 공극이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 2 부 덕트의 선단과 상기 제 1 주 덕트 사이에는 제 2 공극이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접속 부재는, 상기 제 1 공극을 통과하여, 상기 제 1 부 덕트가 배치된 상기 간극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웃하는 상기 조전지를 접속하는 제 1 접속부와, 상기 제 2 공극을 통과하여, 상기 제 2 부 덕트가 배치된 상기 간극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웃하는 상기 조전지를 접속하는 제 2 접속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복수의 조전지를 전기적으로 직렬로 접속하는 경우에, 제 1 부 덕트의 선단과 제 2 주 덕트와의 사이에 마련된 제 1 공극에 제 1 접속부를 통과시켜, 제 1 부 덕트를 사이에 끼워넣도록 이웃하는 조전지를 접속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부 덕트의 선단과 제 1 주 덕트 사이에 마련된 제 2 공극에 제 2 접속부를 통과시켜, 제 2 부 덕트를 사이에 끼워넣도록 이웃하는 조전지를 접속할 수 있다. 그 결과, 제 1 부 덕트 및 제 2 부 덕트에 간섭시키지 않고, 복수의 조전지를 용이하게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음과 함께, 수용 케이스 내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본 개시의 전지 팩에 있어서는, 상기 제 1 부 덕트는, 상기 제 2 주 덕트를 향함에 따라서 유로 면적이 작아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 2 부 덕트는, 상기 제 1 주 덕트를 향함에 따라서 유로 면적이 작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선단측으로 향함에 따라서 제 1 부 덕트 및 제 2 부 덕트의 유로 면적이 작아지기 때문에, 선단측으로 향함에 따라서 제 1 부 덕트 및 제 2 부 덕트 내를 흐르는 냉각풍의 압력을 높일 수 있다. 이 때문에, 제 1 부 덕트 및 제 2 부 덕트의 선단측에서 냉각풍이 약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제 2 방향에 있어서 냉각풍을 대략 균일하게 송출할 수 있고, 조전지를 제 2 방향에 있어서 대략 균일하게 냉각할 수 있다.
상기 본 개시의 전지 팩에 있어서는, 상기 복수의 조전지는, 상기 제 1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나란히 배치된 복수의 제 1 조전지와, 상기 복수의 제 1 조전지보다 상방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제 2 조전지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상기 전지 팩은, 상하 방향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1 조전지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하나 이상의 제 2 조전지와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제 2 조전지가 고정되는 고정판과, 서로 이웃하는 상기 제 1 조전지 사이의 간극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판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부를 더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상기 복수의 지지부는, 상기 제 1 부 덕트가 배치된 상기 제 1 조전지 사이의 간극에 배치되는 제 1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제 1 지지부는, 상하 방향을 따라서 상승하는 상승부와, 상기 상승부의 상단(上端)측으로부터 상기 제 1 방향의 일방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정점부와, 상기 상승부의 하단(下端)측으로부터 상기 제 1 방향의 타방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저부(底部)를 갖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상기 정점부는, 상기 고정판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상승부는, 상기 제 1 부 덕트보다 상기 제 1 방향의 상기 일방측에서 상기 제 1 부 덕트에 이웃하는 상기 제 1 조전지와, 상기 제 1 부 덕트와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저부는, 상기 제 1 부 덕트의 하방측에서 상기 수용 케이스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복수의 조전지가 상하 방향으로 2단으로 배치되고, 상방측에 위치하는 제 2 조전지를 고정하는 고정판을, 제 1 조전지 사이의 간극에 배치된 복수의 지지부에 의해서 지지하는 구성에 있어서는, 서로 이웃하는 제 1 조전지의 사이의 간극에, 제 1 부 덕트 또는 제 2 부 덕트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지지부의 설치 공간이 좁아진다.
이 경우에, 복수의 지지부 중, 제 1 부 덕트가 배치된 제 1 조전지 사이의 간극에 배치되는 제 1 지지부를, 정점부와 상승부와 저부를 포함하도록 Z자 형상으로 구성한다. 이 때, 고정판에 정점부를 고정하고, 제 1 부 덕트보다 제 1 방향의 일방측에서 제 1 부 덕트에 이웃하는 제 1 조전지와, 제 1 부 덕트와의 사이에 상승부를 배치하고, 제 1 부 덕트의 하방측에서 저부를 수용 케이스에 고정함으로써, 좁은 공간에 있어서도 고정판을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본 개시의 전지 팩에 있어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조전지는, 복수의 조전지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복수의 조전지는, 하나 이상의 제 1 조전지와, 상기 하나 이상의 제 1 조전지보다 상방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제 2 조전지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상기 제 1 덕트는, 상기 제 1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제 1 주 덕트와, 상기 제 1 주 덕트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 1 주 덕트로부터 분기되는 제 1 분기 덕트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 2 덕트는, 상기 제 1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제 2 주 덕트와, 상기 제 2 주 덕트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 2 주 덕트로부터 분기되는 제 2 분기 덕트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경우에는, 상기 제 2 방향의 상기 일방측에 있어서의 상기 하나 이상의 제 1 조전지의 외측에, 상기 제 1 주 덕트가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 2 방향의 상기 타방측에 있어서의 상기 하나 이상의 제 1 조전지의 외측에, 상기 제 2 주 덕트가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2 방향의 상기 일방측에 있어서의 상기 하나 이상의 제 2 조전지의 외측에, 상기 제 1 분기 덕트가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 2 방향의 상기 타방측에 있어서의 상기 하나 이상의 제 2 조전지의 외측에, 상기 제 2 분기 덕트가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복수의 조전지가 상하 방향으로 2단으로 배치되는 경우에, 하단(下段)측에 있어서는, 차량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제 1 조전지의 일방측에 제 1 주 덕트가 배치되고, 차량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제 1 조전지의 타방측에 제 2 주 덕트가 배치된다. 또, 상단(上段)측에 있어서는, 차량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제 2 조전지의 일방측에 제 1 분기 덕트가 배치되고, 차량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제 2 조전지의 타방측에 제 2 분기 덕트가 배치된다.
이 때문에, 전지 팩을 탑재한 차량이, 차량의 폭 방향으로부터 측돌된 경우에는, 제 1 주 덕트 및 제 2 주 덕트의 일방이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제 1 조전지에 입력되는 충격을 경감시킬 수 있다. 제 2 조전지측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제 1 분기 덕트 및 제 2 분기 덕트의 일방이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제 2 조전지에 입력되는 충격을 경감시킬 수 있다.
상기 본 개시의 전지 팩은, 상기 하나 이상의 조전지로부터의 배선이 접속되는 전자 기기와, 상기 제 1 덕트에 상기 냉각풍을 송풍하는 제 1 송풍기와, 상기 제 2 덕트에 상기 냉각풍을 송풍하는 제 2 송풍기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상기 제 1 송풍기 및 상기 제 2 송풍기는, 상기 수용 케이스 내에 있어서 상기 제 2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어도 되고, 상기 전자 기기는, 상기 제 1 송풍기와 상기 제 2 송풍기 사이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차량이 측돌된 경우에는, 제 1 송풍기 및 제 2 송풍기가 충돌에 의한 충격을 흡수한다. 이에 의해, 전자 기기에 입력되는 충격을 경감할 수 있다. 그 결과, 전자 기기의 파손을 억제하고, 전자 기기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조전지의 오동작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제 1 송풍기에 의해서 제 1 덕트에 냉각풍을 송풍하고, 제 2 송풍기에 의해서 제 2 덕트에 냉각풍을 송풍할 수 있기 때문에, 제 1 덕트 및 제 2 덕트에 송풍하는 냉각풍의 풍량을 크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수용 케이스 내를 순환하는 냉각풍의 풍량을 크게 하여, 냉각 성능을 높일 수 있다.
상기 본 개시의 전지 팩에 있어서는, 상기 전자 기기는, 상기 제 1 송풍기와 상기 제 2 송풍기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제 1 송풍기 및 제 2 송풍기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부분이 포함되도록 전자 기기를 배치함으로써, 제 1 방향의 일방측(탑재 상태에 있어서의 차량 후방측)으로부터 제 1 방향의 타방측(탑재 상태에 있어서의 차량 전방측)을 향하여 흐르는 냉각풍을, 전자 기기에 의해서 제 1 송풍기 및 제 2 송풍기를 향하여 정류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정류된 냉각풍을 제 1 송풍기 및 제 2 송풍기에 의해서 효과적으로 흡입할 수 있어, 전지 팩 내의 냉각풍을 효과적으로 순환시킬 수 있다.
상기 본 개시의 전지 팩에 있어서는, 상기 전자 기기는, 상기 수용 케이스의 저부로부터 상방으로 떨어져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수용 케이스 내는, 대략 밀폐되어 있고 외기와의 온도차에 의해서 결로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결로에 의해 발생한 결로수는, 중력에 의해서 이동하기 때문에 수용 케이스의 저부에 괴기 쉽다.
상기 구성과 같이, 수용 케이스의 저부로부터 상방으로 떨어져서 전자 기기를 배치함으로써, 결로수가 전자 기기에 부착되는 것이 억제된다. 그 결과, 결로수에 의한 전자 기기의 단락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발명의 상기 및 그 외의 목적, 특징, 국면 및 이점은, 첨부의 도면과 관련하여 이해되는 이 발명에 관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실시 형태에 관련된 전지 팩을 탑재한 차량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실시 형태에 관련된 전지 팩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실시 형태에 관련된 전지 팩에 있어서, 어퍼 케이스를 떼어낸 상태에 있어서의 전지 팩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내는 IV-IV선을 따른 전지 팩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실시 형태에 관련된 전지 팩에 있어서, 제 2 조전지를 지지하는 지지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내는 화살표 VI선에서 본 전지 팩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실시 형태에 관련된 전지 팩을 냉각하기 위한 냉각 사이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제 1 덕트 및 제 2 덕트로부터 송출되는 냉각풍의 전체적인 흐름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는 제 1 부 덕트 및 제 2 부 덕트로부터 송출되는 냉각풍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제 1 송풍기 및 제 2 송풍기 근방에 있어서의 냉각풍의 흐름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하에,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동일 또는 공통되는 부분에 대하여 도면 중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또,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 형태에 있어서, 개수, 양 등을 언급하는 경우, 특별히 기재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본 개시의 범위는 반드시 그 개수, 양 등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 형태)
도 1은 실시 형태에 관련된 전지 팩을 탑재한 차량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전지 팩(10)을 탑재한 차량(1)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량(1)은 전기 자동차이며, 차량 구동용의 원동기로서 전동기를 구비하고 있다. 차량(1)은 프론트 시트(2), 리어 시트(3), 플로어 패널(4) 및 전지 팩(10)을 구비하고 있다. 전지 팩(10)은 상단부(11) 및 하단부(12)를 포함한다.
리어 시트(3)의 하방에 위치하는 플로어 패널(4)에는, 전지 팩(10)의 상단부(11)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 구멍이 마련되어 있다.
전지 팩(10)이 차량에 탑재된 탑재 상태에 있어서는, 상단부(11)는, 상기 삽입 구멍으로부터 차량 실내에 삽입되고, 리어 시트(3)의 바로 아래에 위치한다. 또, 상기 탑재 상태에 있어서는, 하단부(12)는 플로어 패널(4)의 하방에 위치한다.
도 2는 실시 형태에 관련된 전지 팩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실시 형태에 관련된 전지 팩에 있어서, 어퍼 케이스를 떼어낸 상태에 있어서의 전지 팩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내는 IV-IV선을 따른 전지 팩의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전지 팩(1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지 팩(10)은 수용 케이스(20), 복수의 조전지(30), 제 1 덕트(41), 제 2 덕트(42), 제 1 송풍기(61), 제 2 송풍기(62), 전자 기기(70, 71, 72), 및 접속 부재(90)를 구비한다.
수용 케이스(20)는 긴 형상을 갖는다. 수용 케이스(20)는 제 1 방향(DR1 방향)을 따라서 연장된다. 당해 제 1 방향은, 전지 팩(10)이 탑재된 탑재 상태에 있어서, 차량의 전후 방향과 평행으로 된다. 제 1 방향에 직교하는 제 2 방향(DR2 방향)은, 상기 탑재 상태에 있어서, 차량의 폭 방향과 평행으로 된다.
수용 케이스(20)는 제 1 덕트(41), 제 2 덕트(42), 제 1 송풍기(61), 제 2 송풍기(62), 전자 기기(70, 71, 72) 및 접속 부재(90)를 내부에 수용한다. 수용 케이스(20)는 어퍼 케이스(21) 및 로어 케이스(22)를 포함한다.
어퍼 케이스(21)는, 하방을 향하여 개구하는 대략 상자형 형상을 갖는다. 어퍼 케이스(21)는 천장부(211), 주벽(周壁)부(212) 및 플랜지부(213)를 갖는다. 천장부(211)는, 제 1 방향으로 일방측에 상방을 향하여 융기하는 융기부(214)를 갖는다. 당해 융기부(214)의 내측에 후술하는 복수의 제 2 조전지(32)가 수용된다. 주벽부(212)는, 천장부(211)의 주연(周緣)으로부터 연장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플랜지부(213)는, 주벽부(212)의 하단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접어구부러지도록 마련되어 있다.
로어 케이스(22)는, 상방을 향하여 개구하는 대략 박형(箔型) 형상을 갖는다. 로어 케이스(22)는 저부(221), 주벽부(222) 및 플랜지부(223)를 갖는다. 저부(221)는, 천장부(211)에 대향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주벽부(222)는, 저부(221)의 주연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플랜지부(223)는, 주벽부(222)의 상단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접어구부러지도록 마련되어 있다.
플랜지부(213)의 하면과 플랜지부(223)의 상면이 합쳐진 상태에서, 복수의 체결 부재에 의해서 플랜지부(213) 및 플랜지부(223)가 체결된다. 이에 의해, 어퍼 케이스(21) 및 로어 케이스(22)가 결합된다.
복수의 조전지(30)는, 복수의 제 1 조전지(31)와 복수의 제 2 조전지(32)를 포함한다. 복수의 제 1 조전지(31)는, 제 1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8개의 제 1 조전지(31)가 제 1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제 1 조전지(31)는, 제 2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 복수의 단전지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제 1 조전지(31)는, 24개 내지 30개 정도의 단전지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복수의 제 2 조전지(32)는, 제 1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3개의 제 2 조전지(32)가, 제 1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제 2 조전지(32)는, 복수의 제 1 조전지(31)보다 상방에 위치한다. 복수의 제 2 조전지(32)는, 제 1 방향에 있어서의 일방측(상기 탑재 상태에 있어서의 차량의 후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 2 조전지(32)는, 제 2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 복수의 단전지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제 2 조전지(32)를 구성하는 복수의 단전지의 개수는, 제 1 조전지(31)를 구성하는 복수의 단전지의 개수보다 적어도 된다. 예를 들면, 제 2 조전지(32)는, 21개 내지 27개 정도의 단전지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제 1 조전지(31) 및 제 2 조전지(32)에 구비되는 단전지는, 예를 들면, 니켈수소 전지, 또는 리튬 이온 전지 등의 이차전지이다. 단전지는 예를 들면, 각형 형상을 갖는다. 이차전지는, 액상의 전해질을 이용하는 것이어도 되고, 고체 상태의 전해질을 이용하는 것이어도 된다.
제 1 덕트(41) 및 제 2 덕트(42)는, 복수의 조전지(30)에 냉각풍을 송출하기 위한 덕트이다. 제 1 덕트(41) 및 제 2 덕트(42)는, 제 1 방향을 따라서 연장된다. 제 1 덕트(41) 및 제 2 덕트(42)는, 제 2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제 1 덕트(41)와 제 2 덕트(42) 사이에, 복수의 조전지(30)가 배치되어 있다. 즉, 제 2 방향의 일방측에 있어서의 복수의 조전지(30)의 외측에, 제 1 덕트(41)가 배치되어 있고, 제 2 방향의 타방측에 있어서의 복수의 조전지(30)의 외측에, 제 2 덕트(42)가 배치되어 있다.
제 1 덕트(41) 및 제 2 덕트(42)는 예를 들면, 단열 부재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단열 부재로서는 예를 들면, 단열성을 갖는 수지 부재나, 발포 성형된 수지 부재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제 1 덕트(41) 및 제 2 덕트(42)를 발포 성형한 경우에는,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어, 복수의 조전지(30)로의 충격을 억제할 수 있다.
제 1 덕트(41) 및 제 2 덕트(42)에 단열성을 갖게 함으로써, 냉각풍이 흐르는 제 1 덕트(41) 및 제 2 덕트(42)의 온도와, 당해 제 1 덕트(41) 및 제 2 덕트(42)의 주변 분위기의 온도와의 차를 경감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 1 덕트(41) 및 제 2 덕트(42)의 외표면의 결로의 발생을 억제하고, 당해 결로수가 복수의 조전지(30)에 부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 1 덕트(41)는 제 1 주 덕트(411), 복수의 제 1 부 덕트(412), 및 제 1 분기 덕트(413)를 갖는다. 제 1 주 덕트(411)는 제 1 방향을 따라서 연장된다. 제 1 분기 덕트(413)는, 제 1 방향에 있어서의 일방측에 있어서 제 1 주 덕트(411)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제 1 주 덕트(411)로부터 분기된다.
복수의 제 1 부 덕트(412)는 제 1 주 덕트(411)로부터 분기된다. 복수의 제 1 부 덕트(412)는 제 2 주 덕트(421)를 향하여 연장된다. 제 1 부 덕트(412)의 선단과 제 2 주 덕트(421)와의 사이에는 제 1 공극(S1)이 마련되어 있다.
제 1 부 덕트(412)는, 선단측(제 2 주 덕트(421))측으로 향함에 따라서 유로 면적이 작아지도록 마련되어 있다. 제 1 부 덕트(412)는, 선단측으로 향함에 따라서 끝이 가늘어진다. 복수의 제 1 부 덕트(412)는, 제 1 방향을 따라서 나란히 배치된다.
또한, 제 1 부 덕트(412)는, 제 1 분기 덕트(413)에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제 1 분기 덕트(413)에 마련된 제 1 부 덕트(412)는, 제 2 분기 덕트(423)를 향하여 연장된다. 제 1 부 덕트(412)와 제 2 분기 덕트(423)의 사이에는 제 1 공극이 마련되어 있다.
제 2 덕트(42)는 제 2 주 덕트(421), 복수의 제 2 부 덕트(422) 및 제 2 분기 덕트(423)를 갖는다. 제 2 주 덕트(421)는 제 1 방향을 따라서 연장된다. 제 2 분기 덕트(423)는, 제 1 방향에 있어서의 일방측에 있어서, 제 2 주 덕트(421)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제 2 주 덕트(421)로부터 분기된다.
복수의 제 2 부 덕트(422)는 제 2 주 덕트(421)로부터 분기된다. 복수의 제 2 부 덕트(422)는 제 1 주 덕트(411)를 향하여 연장된다. 제 2 부 덕트(422)와 제 1 주 덕트(411) 사이에는 제 2 공극(S2)이 마련되어 있다.
제 2 부 덕트(422)는, 선단측(제 1 주 덕트(411)측)으로 향함에 따라서 유로 면적이 작아지도록 마련되어 있다. 제 2 부 덕트(422)는, 선단측으로 향함에 따라서 끝이 가늘어진다. 복수의 제 2 부 덕트(422)는, 제 1 방향을 따라서 나란히 배치된다.
또한, 제 2 부 덕트(422)는, 제 2 분기 덕트(423)에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제 2 분기 덕트(423)에 마련된 제 2 부 덕트(422)는, 제 1 분기 덕트(413)를 향하여 연장된다.
제 1 주 덕트(411)와 제 2 주 덕트(421) 사이에 복수의 제 1 조전지(31)가 배치되어 있다. 즉, 제 2 방향의 일방측에 있어서의 복수의 제 1 조전지(31)의 외측에 제 1 주 덕트(411)가 배치되어 있고, 제 2 방향의 타방측에 있어서의 복수의 제 1 조전지(31)의 외측에 제 2 주 덕트(421)가 배치되어 있다.
제 1 분기 덕트(413)와 제 2 분기 덕트(423) 사이에, 복수의 제 2 조전지(32)가 배치되어 있다. 즉, 제 2 방향의 일방측에 있어서의 복수의 제 2 조전지(32)의 외측에 제 1 분기 덕트(413)가 배치되어 있고, 제 2 방향의 타방측에 있어서의 복수의 제 2 조전지(32)의 외측에 제 2 분기 덕트(423)가 배치되어 있다.
서로 이웃하는 조전지(30) 사이의 간극에는, 제 1 부 덕트(412) 또는 제 2 부 덕트(422)가 배치된다. 구체적으로는, 서로 이웃하는 조전지(30)의 사이에 마련된 간극이, 제 1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나란히 배치되어 있고, 제 1 부 덕트(412)가 배치된 상기 간극과, 제 2 부 덕트(422)가 배치된 상기 간극이 제 1 방향을 따라서 번갈아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접속 부재(90)는, 복수의 조전지(30)를 전기적으로 직렬로 접속한다. 접속 부재(90)는, 제 1 접속부(91) 및 제 2 접속부(92)를 갖는다. 제 1 접속부(91)는, 상방으로부터 보았을 경우에 상기 제 1 공극(S1)을 통과하여, 제 1 부 덕트(412)가 배치된 간극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웃하는 조전지(30)를 접속한다. 제 2 접속부(92)는, 상방으로부터 보았을 경우에 상기 제 2 공극(S2)을 통과하여, 제 2 부 덕트(422)가 배치된 간극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웃하는 조전지(30)를 접속한다.
이와 같이, 제 1 공극(S1)을 통과하도록 제 1 접속부(91)를 배색(配索)하고, 제 2 공극(S2)을 통과하도록 제 2 접속부(92)를 배색함으로써, 제 1 부 덕트(412) 및 제 2 부 덕트(422)와의 간섭을 회피하면서, 복수의 조전지(30)를 용이하게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또, 수용 케이스(20) 내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제 1 송풍기(61)는 제 1 덕트(41)에 냉각풍을 송풍한다. 제 2 송풍기(62)는 제 2 덕트(42)에 냉각풍을 송풍한다. 제 1 송풍기(61) 및 제 2 송풍기(62)는, 제 2 방향을 따라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제 1 송풍기(61) 및 제 2 송풍기(62)는, 복수의 조전지(30)보다 제 1 방향의 타방측(탑재 상태에 있어서의 차량 전방측)에 위치한다. 제 1 송풍기(61) 및 제 2 송풍기(62)로서는, 예를 들면, 팬 및 블로어를 채용할 수 있다.
전자 기기(71) 및 전자 기기(72)는, 제 2 조전지(32)의 상방에 각각 배치된다. 전자 기기(71) 및 전자 기기(72)는, 제 2 방향에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전자 기기(71)는, 복수의 조전지(30)의 상태의 감시 등을 행한다. 전자 기기(71)는 예를 들면, 전지 ECU이다. 전자 기기(72)는, 전자 기기(71)에 의해서 얻어진 전지정보에 기초하여, 조전지(30)의 충방전 제어를 행한다. 전자 기기(72)는 예를 들면, BMS(Battery Management System)이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자 기기(70)에는 복수의 조전지(30)로부터의 배선(95)이 접속된다. 전자 기기(70)는 예를 들면, 정션 박스이다. 전자 기기(70)는, 제 1 송풍기(61)와 제 2 송풍기(62)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전자 기기(70)는, 로어 케이스(22)의 저부(221)로부터 상방으로 떨어져서 배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자 기기(70)는, 제 1 송풍기(61) 및 제 2 송풍기(62)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한다.
전자 기기(70)는, 차량 전후 방향에 있어서 수용 케이스(20)의 앞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차량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전자 기기(70)의 전단(前端)측은, 로어 케이스(22)의 플랜지부(223)에 겹치도록 배치된다. 전자 기기(70)의 전단측과 겹치는 부분의 플랜지부(223)에는, 개구부가 마련되어 있다. 당해 개구부를 통하여, 하니스 와이어(W)가 수용 케이스(20)의 외부로 인출되어 있다. 이에 의해, 차량(1)의 전방측에 배치된 인버터 유닛(도시하지 않음) 등과 전자 기기(70)를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다.
도 5는 실시 형태에 관련된 전지 팩에 있어서, 제 2 조전지를 지지하는 지지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내는 화살표 VI선에서 본 전지 팩의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제 2 조전지(32)를 지지하는 지지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 형태에 관련된 전지 팩(10)은, 제 2 조전지(32)를 지지하는 지지 구조(80)를 구비한다. 지지 구조(80)는 수용 케이스(20) 내에 수용되어 있다. 지지 구조(80)는 고정판(81), 복수의 지지부(82)를 포함한다.
고정판(81)은, 제 1 방향에 있어서의 일방측에 있어서 복수의 제 1 조전지(31)(구체적으로는 3개의 제 1 조전지(31))와 복수의 제 2 조전지(32)(구체적으로는 3개의 제 2 조전지(32))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고정판(81)은, 제 1 방향 및 제 2 방향에 대략 평행한 대략 평판 형상을 갖는다. 고정판(81)에는 복수의 제 2 조전지(32)가 고정된다.
복수의 지지부(82)는 행렬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지지부(82)는, 서로 이웃하는 제 1 조전지(31) 사이의 간극에 배치된 상태에서, 고정판(81)을 지지한다.
복수의 지지부(82)는, 복수의 제 1 지지부(83) 및 복수의 제 2 지지부(84)를 포함한다. 복수의 제 1 지지부(83)는, 제 1 부 덕트(412)가 배치된 제 1 조전지(31) 사이의 간극에 배치된다. 복수의 제 1 지지부(83)는, 제 2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나란히 배치된다. 복수의 제 2 지지부(84)는, 제 2 부 덕트(422)가 배치된 제 1 조전지(31) 사이의 간극에 배치된다. 복수의 제 2 지지부(84)는, 제 2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나란히 배치된다.
지지부(82)는 대략 Z 형상을 갖는다. 지지부(82)는 상승부(821), 정점부(822) 및 저부(823)를 갖는다. 상승부(821)는, 상하 방향을 따라서 상승하는 부분이다. 정점부(822)는, 상승부(821)의 상단측으로부터 제 1 방향의 일방측을 향하여 연장된다. 정점부(822)는 체결 도구 등에 의해서 고정판(81)에 고정된다. 저부(823)는, 상승부(821)의 하단측으로부터 제 1 방향의 타방측을 향하여 연장된다. 저부(823)는 체결 도구 등에 의해서 로어 케이스(22)에 고정된다.
제 1 지지부(83)에 있어서, 상승부(821)는, 제 1 부 덕트(412)보다 제 1 방향의 일방측에서 제 1 부 덕트(412)에 이웃하는 제 1 조전지(31)와 제 1 부 덕트(412)와의 사이에 배치된다. 즉, 전지 팩이 차량에 탑재된 탑재 상태에 있어서, 상승부(821)는, 제 1 부 덕트(412)의 차량 후방측에 있어서 제 1 부 덕트(412)와 제 1 조전지(31)와의 사이에 배치된다.
마찬가지로, 제 2 지지부(84)에 있어서, 상승부(821)는, 제 2 부 덕트(422)보다 제 1 방향의 일방측에서 제 2 부 덕트(422)에 이웃하는 제 1 조전지(31)와 제 2 부 덕트(422)와의 사이에 배치된다. 즉, 상기 탑재 상태에 있어서, 상승부(821)는 제 2 부 덕트(422)의 차량 후방측에 있어서 제 2 부 덕트(422)와 제 1 조전지(31)와의 사이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상승부(821)는, 제 1 부 덕트(412) 또는 제 2 부 덕트(422)의 후방측에 배치된다. 이에 의해, 제 1 부 덕트(412) 및 제 2 부 덕트(422)가 차량 전방측을 향하여 냉각풍을 송출할 때에, 상승부(821)에 의해서 냉각풍이 방해받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 1 지지부(83)에 있어서, 저부(823)는, 제 1 부 덕트(412)의 하방측에서 수용 케이스(20)의 저부(221)에 고정된다. 제 2 지지부(84)에 있어서, 저부(823)는, 제 2 부 덕트(422)의 하방측에서 수용 케이스(20)의 저부(221)에 고정된다.
서로 이웃하는 제 1 조전지(31) 사이의 간극에는, 제 1 부 덕트(412) 또는 제 2 부 덕트(422)가 배치된다. 이 때문에, 제 1 부 덕트(412) 또는 제 2 부 덕트(422)와 제 1 조전지(31)와의 사이의 공간은 좁아진다.
이 때문에, 제 1 지지부(83)에 있어서, 상승부(821)가 제 1 부 덕트(412)와 그 후방측에 위치하는 제 1 조전지(31)와의 사이에 배치된 상태에서, 저부(823)를 제 1 부 덕트(412)의 하방측에서 수용 케이스(20)에 고정하면서, 정점부(822)를 고정판(81)에 고정함으로써, 좁은 공간에 있어서도 고정판(81)을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지지부(84)에 있어서도 좁은 공간에 있어서도 고정판(81)을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제 1 부 덕트(412)는, 선단측(제 2 주 덕트측)을 향하여 끝이 가늘어지는 형상을 갖기 때문에, 제 2 주 덕트(421)측을 향함에 따라서 제 1 부 덕트(412)와 그 후방(제 1 방향의 일방측)에 위치하는 제 1 조전지(31)와의 거리는 커진다. 이 때문에, 제 2 방향으로 늘어서는 복수의 제 1 지지부(83)에 있어서, 제 2 주 덕트(421)측을 향함에 따라서, 제 1 방향을 따른 두께를 두껍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제 2 주 덕트(421)측에 위치하는 제 1 지지부(83)의 강성을, 제 1 주 덕트(411)측에 위치하는 제 1 지지부(83)의 강성보다 크게 할 수 있다.
복수의 제 2 지지부(84)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제 1 주 덕트(411)측으로 향함에 따라서, 제 1 방향을 따른 두께를 두껍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제 1 주 덕트(411)측에 위치하는 제 2 지지부(84)의 강성을, 제 2 주 덕트(421)측에 위치하는 제 2 지지부(84)의 강성보다 크게 할 수 있다.
설치 개소에 따라서 지지부(82)의 강성을 변경하는 것에 의해서도 고정판(81)을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다.
도 7은 실시 형태에 관련된 전지 팩을 냉각하기 위한 냉각 사이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여, 전지 팩(10)의 냉각 사이클(53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지 팩(10)의 냉각 사이클(530)은, 차량 실내의 온도 조정을 행하는 공조 장치(500)에 있어서의 냉각 사이클(520)을 이용한 것이다.
공조 장치(500)는 차량(1)에 탑재되어 있다. 공조 장치(500)는, HVAC(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유닛(501), 가열 사이클(510), 및 냉각 사이클(520)을 포함한다. HVAC 유닛(501)은, 차량 실내의 공조에 이용하는 공기가 흐르도록 구성되어 있다.
가열 사이클(510)은 순환로(511), 가열 히터(512), 히터 코어(513) 및 워터 펌프(515)를 포함한다. 가열 히터(512), 히터 코어(513) 및 워터 펌프(515)는, 이 순서로 순환로(511)에 접속되어 있다.
순환로(511) 내에는 열매(熱媒)가 순환한다. 열매로서는 예를 들면, 냉각수 등의 부동액이 이용된다. 워터 펌프(515)는, 도 7 중 화살표 AR1 방향으로 열매를 순환시킨다. 워터 펌프(515)는 전도 모터에 의해서 구동된다.
가열 히터(512)는, 순환로(511)를 흐르는 열매를 가열한다. 가열 히터(512)로서는 예를 들면, 전기 히터, 시즈히터(sheath heater),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히터 등이 이용된다.
히터 코어(513)는 HVAC 유닛(501) 내에 배치되어 있다. 히터 코어(513)는, HVAC 유닛(501)을 흐르는 공기를 가열한다. 가열된 공기가 차량 실내를 향하여 송출됨으로써, 차량 실내의 난방이 행해진다.
냉각 사이클(520)은 순환로(521), 이베퍼레이터(522), 전동 컴프레서(523), 콘덴서(524) 및 전자 밸브(525)를 포함한다. 이베퍼레이터(522), 전동 컴프레서(523), 콘덴서(524) 및 전자 밸브(525)는, 이 순서로 순환로(521)에 접속되어 있다.
순환로(521)에는 냉매가 순환한다. 냉매로서는 HFC계 냉매 또는 HFO계 냉매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전동 컴프레서(523)는, 도 7 중 화살표 AR2 방향으로 냉매를 순환시킨다. 전동 컴프레서(523)는, 전도 모터에 의해서 구동되고, 냉매를 압축하여 토출한다.
콘덴서(524)는, 압축되어 고온, 고압으로 된 냉매를 냉각하고, 당해 냉매를 액화한다. 콘덴서(524)에 의해서 액화된 냉매의 이동 경로는, 전자 밸브(525) 및 후술하는 전자 밸브(539)에 의해서 전환된다. 전자 밸브(525)가 개방이고, 전자 밸브(539)가 폐쇄인 상태에 있어서는, 콘덴서(524)에 의해서 액화된 냉매는, 이베퍼레이터(522)를 향하여 이동한다.
전자 밸브(525)를 통과한 냉매는, 이베퍼레이터(522)에 도달하기 전에 팽창 밸브 또는 캐필러리 튜브(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감압되어 안개 상태로 된다. 안개 상태로 된 냉매는, 이베퍼레이터(522)에 의해서 기화된다. 이 때, 냉매가 주위로부터 열을 빼앗음으로써, 이베퍼레이터(522)를 통과하는 HVAC 유닛(501) 내의 공기가 냉각된다. 냉각된 공기가 차량 실내를 향하여 송출됨으로써, 차량 실내의 냉방이 행해진다. 또한, 기화된 냉매는 전동 컴프레서(523)에 보내어진다.
냉각 사이클(530)은 냉각 사이클(520)에 접속되어 있다. 냉각 사이클(530)은 경로(531), 제 1 팽창 밸브(533), 제 2 팽창 밸브(534), 제 1 이베퍼레이터(535), 제 2 이베퍼레이터(536) 및 전자 밸브(539)를 포함한다.
경로(531)는 일단(531a) 및 타단(531b)을 갖고, 전지 팩(10) 내를 통과하도록 배색된다.
경로(531)의 일단(531a)은, 전자 밸브(525)의 상류측에 위치하는 부분의 순환로(521)에 접속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경로(531)의 일단(531a)은, 콘덴서(524)와 전자 밸브(525)를 접속하는 부분의 순환로(521)에 접속되어 있다.
경로(531)의 타단(531b)은, 이베퍼레이터(522)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부분의 순환로(521)에 접속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경로(531)의 타단(531b)은, 이베퍼레이터(522)와 전동 컴프레서(523)를 접속하는 부분의 순환로(521)에 접속되어 있다.
경로(531)는, 전지 팩(10) 내에서 제 1 경로(531c) 및 제 2 경로(531d)로 분기된 후에, 하나로 합류한다. 제 1 경로(531c) 및 제 2 경로(531d)의 분기점과, 경로(531)의 일단(531a)과의 사이에 전자 밸브(539)가 마련되어 있다.
제 1 경로(531c)에는 제 1 팽창 밸브(533), 및 제 1 이베퍼레이터(535)가 마련되어 있다. 제 1 이베퍼레이터(535)는 제 1 덕트(41) 내에 배치된다. 제 2 경로(531d)에는 제 2 팽창 밸브(534) 및 제 2 이베퍼레이터(536)가 마련되어 있다. 제 2 이베퍼레이터(536)는 제 2 덕트(42) 내에 배치된다.
전자 밸브(539)가 개방이고, 전자 밸브(525)가 폐쇄인 상태에 있어서는, 냉각 사이클(520)에 있어서의 콘덴서(524)에 의해서 액화된 냉매가, 경로(531) 내를 이동한다. 또한, 전자 밸브(539) 및 전자 밸브(525)가 개방인 상태로 하고, 경로(531) 내 및 순환로(521) 내의 쌍방에 냉매를 이동시켜도 된다.
제 1 경로(531c)에 있어서, 제 1 팽창 밸브(533)는, 콘덴서(524)에 의해서 액화된 냉매를 감압하고, 안개 상태로 한다. 안개 상태로 된 냉매는, 제 1 이베퍼레이터(535)에 의해서 기화된다. 이 때, 냉매가 주위로부터 열을 빼앗음으로써, 제 1 덕트(41) 내의 공기가 냉각된다. 냉각된 공기는, 제 1 송풍기(61)에 의해서 제 1 덕트(41) 내를 통과하여, 복수의 조전지(30)에 송출된다.
제 2 경로(531d)에 있어서, 제 2 팽창 밸브(534)는, 콘덴서(524)에 의해서 액화된 냉매를 감압하고, 안개 상태로 한다. 안개 상태로 된 냉매는, 제 2 이베퍼레이터(536)에 의해서 기화된다. 이 때, 냉매가 주위로부터 열을 빼앗음으로써, 제 2 덕트(42) 내의 공기가 냉각된다. 냉각된 공기는, 제 2 송풍기(62)에 의해서 제 2 덕트(42) 내를 통과하고, 복수의 조전지(30)에 송출된다.
또한, 제 1 이베퍼레이터(535) 및 제 2 이베퍼레이터(536)에 의해서 기화한 제 1 경로(531c) 내의 냉매 및 제 2 경로(531d) 내의 냉매는, 전동 컴프레서(523)에 보내어진다.
도 8은 제 1 덕트 및 제 2 덕트로부터 송출되는 냉각풍의 전체적인 흐름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여, 제 1 덕트(41) 및 제 2 덕트(42)로부터 송출되는 냉각풍의 전체적인 흐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방향을 따라서 늘어서는 복수의 조전지(30) 사이의 간극에 번갈아 배치된 제 1 부 덕트(412) 및 제 2 부 덕트(422)로부터 냉각풍이 조전지(30)를 향하여 송출된다. 조전지(30)를 냉각한 냉각풍은, 제 1 송풍기(61) 및 제 2 송풍기(62)에 의해서 흡기되고, 제 1 이베퍼레이터(535) 및 제 2 이베퍼레이터(536)에 의해서 냉각된 후에, 다시 제 1 덕트(41) 및 제 2 덕트(42)를 통과하여 조전지(30)를 향하여 송출된다.
제 1 주 덕트(411)에 마련된 제 1 부 덕트(412) 및 제 2 주 덕트(421)에 마련된 제 2 부 덕트(422)로부터 송출된 냉각풍에 의해서 복수의 제 1 조전지(31)가 냉각된다.
제 1 분기 덕트(413)에 마련된 제 1 부 덕트(412) 및 제 2 분기 덕트(423)에 마련된 제 2 부 덕트(422)로부터 송출된 냉각풍에 의해서 복수의 제 2 조전지(32)가 냉각된다. 제 2 조전지(32)를 냉각한 냉각풍은, 전자 기기(71), 전자 기기(72)를 냉각한 후에, 제 1 조전지(31)를 냉각한 냉각풍에 합류한다. 합류한 냉각풍은 전자 기기(70)를 냉각한다.
이와 같이 조전지(30)를 냉각한 후의 냉각풍을 이용하여 전자 기기(70, 71, 72)를 냉각할 수 있기 때문에, 복수의 조전지(30)의 냉각과 전자 기기(70, 71, 72)와의 냉각을 양립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전자 기기(70)는 정션 박스이며, 그 발열량은 커진다. 이 때문에, 합류한 냉각풍을 이용하여 발열량이 큰 전자 기기(70)를 냉각할 수 있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전자 기기(70)를 냉각할 수 있다.
도 9는 제 1 부 덕트 및 제 2 부 덕트로부터 송출되는 냉각풍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여, 제 1 부 덕트(412) 및 제 2 부 덕트(422)로부터 송출되는 냉각풍에 대하여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제 1 부 덕트(412) 및 제 2 부 덕트(422)로부터 냉각풍을 송풍하는 경우에는, 제 1 부 덕트(412) 및 제 2 부 덕트(422)의 근원측부터 순서대로 냉각풍이 송출되기 때문에, 제 1 부 덕트(412)의 선단측에 있어서는, 제 1 부 덕트(412)의 근원측보다 풍압이 작아지기 쉽다. 이 때문에, 제 1 부 덕트(412)의 선단측으로부터 조전지를 향하여 송출되는 냉각풍은 근원측과 비교하여 약해지기 쉽다.
이에 의해, 제 1 부 덕트(412)만을 마련하고, 제 1 부 덕트(412)가 배치된 간극이 연속하여 제 1 방향을 따라서 늘어서는 구성으로 한 경우에는, 제 2 주 덕트(421)측(제 2 방향에 있어서의 타방측)에 있어서, 냉각 성능이 저하되어 버리는 것이 우려된다. 마찬가지로, 제 2 부 덕트(422)만을 마련하고, 제 2 부 덕트(422)가 배치된 간극이 연속하여 제 1 방향을 따라서 늘어서는 구성으로 한 경우에는, 제 1 주 덕트(411)측(제 2 방향에 있어서의 일방측)에 있어서 냉각 성능이 저하되어 버리는 것이 우려된다.
여기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부 덕트(412)가 배치된 간극과, 제 2 부 덕트(422)가 배치된 간극이 제 1 방향을 따라서 번갈아 나란히 배치되는 경우에는, 제 1 부 덕트(412)의 선단측의 후방에, 제 2 부 덕트(422)의 근원측이 배치된다. 마찬가지로, 제 2 부 덕트(422)의 선단측의 후방에는, 제 1 부 덕트(412)의 근원측이 배치된다. 이 때문에, 냉각풍이 약해지기 쉬운 개소의 후방에, 냉각풍이 강해지기 쉬운 개소가 배치되게 되고, 전체적으로 냉각 효과를 대략 균일하게 할 수 있다.
또, 제 1 부 덕트(412)와 제 2 부 덕트(422)가 제 1 방향으로 번갈아 나란히 배치됨으로써, 복수의 제 1 부 덕트(412)가 제 1 방향의 일방측에 치우쳐서 배치되고, 또한, 복수의 제 2 부 덕트(422)가 제 1 방향의 타방측에 치우쳐서 배치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제 1 덕트(41) 및 제 2 덕트(42)에서의 압손을 대략 동일하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송풍기를 이용하여 제 1 덕트(41) 및 제 2 덕트(42)에 송풍할 때에, 복수의 제 1 부 덕트(412) 및 복수의 제 2 부 덕트(422)가 치우쳐서 배치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제 1 송풍기(61) 및 제 2 송풍기(62)에 걸리는 부하를 분산할 수 있다. 그 결과, 에너지 절약화를 도모하면서, 복수의 조전지를 냉각할 수도 있다.
또한, 제 1 부 덕트(412) 및 제 2 부 덕트(422)는, 선단으로 향함에 따라서 유로 면적이 작아지도록 마련되어 있다. 이 때문에, 선단측으로 향함에 따라서 제 1 부 덕트(412) 및 제 2 부 덕트(422) 내를 흐르는 냉각풍의 압력을 높일 수 있다.
이에 의해, 제 2 방향에 있어서 냉각풍을 대략 균일하게 조전지(30)를 향하여 송출할 수 있고, 조전지(30)를 대략 균일하게 냉각할 수 있다. 그 결과, 제 2 방향에 있어서의 조전지(30)의 온도 구배를 억제하고, 조전지(30)의 전지 특성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0은 제 1 송풍기 및 제 2 송풍기 주변에 있어서의 냉각풍의 흐름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여, 제 1 송풍기(61) 및 제 2 송풍기(62) 주변에 있어서의 냉각풍의 흐름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1 덕트(41) 및 제 2 덕트(42)로부터 송출된 냉각풍은, 제 1 송풍기(61) 및 제 2 송풍기(62)에 의해서 전지 팩(10) 내의 공기와 함께 흡기되고, 제 1 덕트(41) 및 제 2 덕트(42)에 도입된다.
여기서, 전자 기기(70)는, 제 1 송풍기(61) 및 제 2 송풍기(62)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부분이 포함되도록 제 1 송풍기(61) 및 제 2 송풍기(62)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 1 방향의 일방측(탑재 상태에 있어서의 차량 후방측)으로부터 제 1 방향의 타방측(탑재 상태에 있어서의 차량 전방측)을 향하여 제 2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를 흐르는 냉각풍을, 도면 중 화살표 AR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자 기기(70)에 의해서 제 1 송풍기(61) 및 제 2 송풍기(62)를 향하여 정류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정류된 냉각풍을 제 1 송풍기(61) 및 제 2 송풍기(62)에 의해서 효과적으로 흡입할 수 있어, 효과적으로 전지 팩(10) 내의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전지 팩(10) 내는 대략 밀폐되어 있고 외기와의 온도차에 의해서 결로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특히, 제 1 송풍기(61) 및 제 2 송풍기(62)의 근방에는, 제 1 이베퍼레이터(535)(도 7 참조) 및 제 2 이베퍼레이터(536)(도 7 참조)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결로가 생기기 쉽다. 또, 결로에 의해 발생한 결로수는, 중력에 의해서 이동하기 때문에 로어 케이스(22)의 저부(221)에 괴기 쉽다.
여기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전자 기기(70)는, 로어 케이스(22)의 저부(221)로부터 상방으로 떨어져서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기 결로수가 전자 기기(70)에 부착되는 것이 억제된다. 그 결과, 결로수에 의한 전자 기기(70)의 단락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 형태에 관련된 전지 팩(10)에 있어서는, 제 1 덕트(41) 및 제 2 덕트(42)를 이용하여 수용 케이스(20) 내의 조전지(30)를 냉각하게 되기 때문에, 조전지(30)를 향하여 송출되는 냉각풍의 풍량을 많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단전지의 수가 증가하여 조전지의 사이즈가 커진 경우이더라도, 조전지의 냉각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또, 차량(1)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조전지(30)의 일방측에 제 1 덕트(41)가 배치되고, 차량(1)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조전지(30)의 타방측에 제 2 덕트(42)가 배치되기 때문에, 당해 전지 팩(10)을 탑재한 차량(1)이, 차량(1)의 폭 방향으로부터 측돌된 경우에는, 제 1 덕트(41) 및 제 2 덕트(42)의 일방이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조전지(30)에 입력되는 충격을 경감시킬 수 있다.
보다 특정적으로는, 복수의 조전지(30)가 상하 방향으로 2단으로 배치되는 경우에, 하단측에 있어서는, 차량(1)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제 1 조전지(31)의 일방측에 제 1 주 덕트(411)가 배치되고, 차량(1)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제 1 조전지(31)의 타방측에 제 2 주 덕트(421)가 배치된다. 또, 상단측에 있어서는, 차량(1)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제 2 조전지(32)의 일방측에 제 1 분기 덕트(413)가 배치되고, 차량(1)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제 2 조전지(32)의 타방측에 제 2 분기 덕트(423)가 배치된다.
이 때문에, 차량(1)이 측돌된 경우에는, 제 1 주 덕트(411) 및 제 2 주 덕트(421)의 일방이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제 1 조전지(31)에 입력되는 충격을 경감시킬 수 있다. 제 2 조전지(32)측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제 1 분기 덕트(413) 및 제 2 분기 덕트(423)의 일방이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제 2 조전지(32)에 입력되는 충격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전자 기기(70)는, 제 2 방향에 있어서 제 1 송풍기(61) 및 제 2 송풍기(62)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차량이 측돌된 경우에는, 제 1 송풍기(61) 또는 제 2 송풍기(62)가 충돌에 의한 충격을 흡수한다. 이에 의해, 전자 기기(70)에 입력되는 충격을 경감할 수 있다. 그 결과, 전자 기기(70)의 파손을 억제하고, 전자 기기(70)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조전지(30)의 오동작을 억제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복수의 조전지(30)가 상하로 2단으로 늘어서고, 하단측에 8개의 조전지(30)가 배치되고, 상단측에 3개의 조전지(30)가 배치되는 경우를 예시하여 설명하였지만, 제 2 방향에 있어서의 조전지(30)의 양 외측에 제 1 덕트(41) 및 제 2 덕트(42)가 배치되는 한, 조전지(30)의 개수는 특별히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단에 배치되는 제 2 조전지(32)가 단수이고, 하단에 배치되는 제 1 조전지(31)가 단수여도 된다. 또, 복수의 조전지(30)는, 1단으로 제 1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도 된다. 단수의 조전지(30)가 1단으로 배치되어도 된다. 또한, 조전지(30)의 개수가 변동되는 경우에는, 조전지(30)의 개수에 따라서, 제 1 부 덕트(412) 및 제 2 부 덕트(422)의 개수를 증감한다. 이 때문에, 제 1 부 덕트(412) 및 제 2 부 덕트(422)의 수는 복수여도 되고 단수여도 된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 1 송풍기(61)에 의해서 제 1 덕트(41)에 냉각풍을 송풍하고, 제 2 송풍기(62)에 의해서 제 2 덕트(42)에 냉각풍을 송풍하는 경우를 예시하여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하나의 송풍기에 의해서 제 1 덕트(41) 및 제 2 덕트(42)에 냉각풍을 송풍해도 된다. 제 1 송풍기(61) 및 제 2 송풍기(62)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제 1 덕트(41) 및 제 2 덕트(42)에 송풍하는 냉각풍의 풍량을 크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수용 케이스(20) 내를 순환하는 냉각풍의 풍량을 크게 하고, 냉각 성능을 높일 수 있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 1 부 덕트(412) 및 제 2 부 덕트(422)가 선단을 향함에 따라서 유로 면적이 작아지는 경우를 예시하여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근원부로부터 선단까지 유로 면적이 일정해도 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금회 개시된 실시 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로서 제한적인 것은 아니라고 생각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청구 범위에 의해서 나타나고, 청구 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Claims (9)

  1. 차량에 탑재되는 전지 팩으로서,
    하나 이상의 조전지와,
    상기 하나 이상의 조전지를 향하여 냉각풍을 송출하기 위한 제 1 덕트 및 제 2 덕트와,
    상기 하나 이상의 조전지, 상기 제 1 덕트 및 상기 제 2 덕트를 수용하는 수용 케이스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덕트 및 상기 제 2 덕트는, 상기 전지 팩이 차량에 탑재된 탑재 상태에 있어서 차량의 전후 방향과 평행으로 되는 제 1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고, 또한, 상기 탑재 상태에 있어서 차량의 폭 방향과 평행으로 되는 제 2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 2 방향의 일방측에 있어서의 상기 하나 이상의 조전지의 외측에, 상기 제 1 덕트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 2 방향의 타방측에 있어서의 상기 하나 이상의 조전지의 외측에, 상기 제 2 덕트가 배치되어 있는, 전지 팩.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조전지는, 복수의 조전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조전지가 상기 제 1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나란히 배치되고,
    서로 이웃하는 상기 조전지의 사이에 마련된 간극이, 상기 제 1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나란히 배치되고,
    상기 제 1 덕트는, 상기 제 1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제 1 주 덕트와, 상기 제 1 주 덕트로부터 분기되는 하나 이상의 제 1 부 덕트를 갖고,
    상기 제 2 덕트는, 상기 제 1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제 2 주 덕트와, 상기 제 2 주 덕트로부터 분기되는 하나 이상의 제 2 부 덕트를 갖고,
    상기 제 1 부 덕트는, 상기 제 2 주 덕트를 향하여 연장되고,
    상기 제 2 부 덕트는, 상기 제 1 주 덕트를 향하여 연장되고,
    상기 간극에는 상기 제 1 부 덕트 또는 상기 제 2 부 덕트가 배치되고,
    상기 제 1 부 덕트가 배치된 상기 간극과, 상기 제 2 부 덕트가 배치된 상기 간극이 상기 제 1 방향을 따라서 번갈아 나란히 배치되어 있는, 전지 팩.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조전지를 전기적으로 직렬로 접속하는 접속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부 덕트의 선단과 상기 제 2 주 덕트와의 사이에는 제 1 공극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제 2 부 덕트의 선단과 상기 제 1 주 덕트와의 사이에는 제 2 공극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접속 부재는, 상기 제 1 공극을 통과하여, 상기 제 1 부 덕트가 배치된 상기 간극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웃하는 상기 조전지를 접속하는 제 1 접속부와, 상기 제 2 공극을 통과하여, 상기 제 2 부 덕트가 배치된 상기 간극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웃하는 상기 조전지를 접속하는 제 2 접속부를 포함하는, 전지 팩.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 덕트는, 상기 제 2 주 덕트로 향함에 따라서 유로 면적이 작아지고,
    상기 제 2 부 덕트는, 상기 제 1 주 덕트로 향함에 따라서 유로 면적이 작아지는, 전지 팩.
  5.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조전지는, 상기 제 1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나란히 배치된 복수의 제 1 조전지와, 상기 복수의 제 1 조전지보다 상방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제 2 조전지를 포함하며,
    상하 방향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1 조전지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하나 이상의 제 2 조전지와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제 2 조전지가 고정되는 고정판과,
    서로 이웃하는 상기 제 1 조전지 사이의 간극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판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지지부는, 상기 제 1 부 덕트가 배치된 상기 제 1 조전지 사이의 간극에 배치되는 제 1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지지부는, 상하 방향을 따라서 상승하는 상승부와, 상기 상승부의 상단측으로부터 상기 제 1 방향의 일방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정점부와, 상기 상승부의 하단측으로부터 상기 제 1 방향의 타방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저부를 갖고,
    상기 정점부는 상기 고정판에 고정되고,
    상기 상승부는, 상기 제 1 부 덕트보다 상기 제 1 방향의 상기 일방측에서 상기 제 1 부 덕트에 이웃하는 상기 제 1 조전지와, 상기 제 1 부 덕트와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저부(823)는, 상기 제 1 부 덕트의 하방측에서 상기 수용 케이스에 고정되는, 전지 팩.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조전지는, 복수의 조전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조전지는, 하나 이상의 제 1 조전지와, 상기 하나 이상의 제 1 조전지보다 상방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제 2 조전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덕트는, 상기 제 1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제 1 주 덕트와, 상기 제 1 주 덕트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 1 주 덕트로부터 분기되는 제 1 분기 덕트를 갖고,
    상기 제 2 덕트는, 상기 제 1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제 2 주 덕트와, 상기 제 2 주 덕트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 2 주 덕트로부터 분기되는 제 2 분기 덕트를 갖고,
    상기 제 2 방향의 상기 일방측에 있어서의 상기 하나 이상의 제 1 조전지의 외측에, 상기 제 1 주 덕트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 2 방향의 상기 타방측에 있어서의 상기 하나 이상의 제 1 조전지의 외측에, 상기 제 2 주 덕트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 2 방향의 상기 일방측에 있어서의 상기 하나 이상의 제 2 조전지의 외측에, 상기 제 1 분기 덕트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 2 방향의 상기 타방측에 있어서의 상기 하나 이상의 제 2 조전지의 외측에, 상기 제 2 분기 덕트가 배치되어 있는, 전지 팩.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조전지로부터의 배선이 접속되는 전자 기기와,
    상기 제 1 덕트에 상기 냉각풍을 송풍하는 제 1 송풍기와,
    상기 제 2 덕트에 상기 냉각풍을 송풍하는 제 2 송풍기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송풍기 및 상기 제 2 송풍기는, 상기 수용 케이스 내에 있어서 상기 제 2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고,
    상기 전자 기기는, 상기 제 1 송풍기와 상기 제 2 송풍기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전지 팩.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70)는, 상기 제 1 송풍기(61)와 상기 제 2 송풍기(62)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전지 팩.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70)는, 상기 수용 케이스(20)의 저부로부터 상방으로 떨어져서 배치되는, 전지 팩.
KR1020190037187A 2018-03-30 2019-03-29 전지 팩 KR1022647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066563A JP7091775B2 (ja) 2018-03-30 2018-03-30 電池パック
JPJP-P-2018-066563 2018-03-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4905A true KR20190114905A (ko) 2019-10-10
KR102264771B1 KR102264771B1 (ko) 2021-06-14

Family

ID=65685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7187A KR102264771B1 (ko) 2018-03-30 2019-03-29 전지 팩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239508B2 (ko)
EP (1) EP3547438B1 (ko)
JP (1) JP7091775B2 (ko)
KR (1) KR102264771B1 (ko)
CN (1) CN110323513B (ko)
BR (1) BR102019005591A2 (ko)
RU (1) RU2708148C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32422B2 (ja) * 2019-05-30 2023-03-03 マツダ株式会社 電動車両の下部車体構造
JP7272166B2 (ja) * 2019-08-08 2023-05-12 スズキ株式会社 車両用バッテリパック
JP7375623B2 (ja) * 2020-03-11 2023-11-08 スズキ株式会社 バッテリパック
RU200879U1 (ru) * 2020-08-11 2020-11-17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Трион" Комбинированное аккумулято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CN112259854A (zh) * 2020-09-27 2021-01-22 中国第一汽车股份有限公司 动力电池总成及汽车
JP7372228B2 (ja) * 2020-11-25 2023-10-3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電池パック搭載車両
JP7390339B2 (ja) * 2021-07-21 2023-12-0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バッテリユニット
JP2023028290A (ja) * 2021-08-19 2023-03-0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池パック
JP7488289B2 (ja) 2022-01-17 2024-05-21 プライムプラネットエナジー&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部材の接合構造ならびに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電池パック
CN116487796B (zh) * 2023-04-07 2023-10-17 南方电网调峰调频(广东)储能科技有限公司 一种全浸没式储能设备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31322A (ja) * 2001-02-01 2002-08-16 Sanyo Electric Co Ltd 組電池
JP2007185997A (ja) * 2006-01-11 2007-07-26 Denso Corp 車両用電池冷却装置
KR20120076752A (ko) * 2010-12-30 2012-07-10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유입구와 유출구가 수직구조인 배터리 팩
DE102011001371A1 (de) * 2011-03-17 2012-09-20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 mit einer Batterie
US20130244068A1 (en) * 2012-03-16 2013-09-19 Honda Motor Co., Ltd. Battery unit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75261B2 (ja) * 1999-11-24 2005-07-27 新神戸電機株式会社 電気自動車用電池
JP4242665B2 (ja) * 2002-05-13 2009-03-2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組電池の冷却装置及び二次電池
JP4374925B2 (ja) 2003-06-26 2009-12-0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バッテリパックの冷却構造
WO2006073071A1 (ja) * 2005-01-04 2006-07-13 Nec Corporation フィルム外装電気デバイス用ケースおよびフィルム外装電気デバイス集合体
WO2008086212A1 (en) * 2007-01-05 2008-07-17 Johnson Controls-Saft Advanced Power Solutions Llc Battery module
JP2008269985A (ja) * 2007-04-20 2008-11-06 Toyota Motor Corp 蓄電装置
JP5321836B2 (ja) 2009-12-07 2013-10-23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電池パックの冷却構造
JP5198522B2 (ja) 2010-08-31 2013-05-1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蓄電装置および車両
JP5321554B2 (ja) 2010-08-31 2013-10-2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蓄電装置および車両
CN103201895B (zh) * 2010-11-16 2015-09-02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电池的冷却构造
JP5182444B2 (ja) * 2011-07-28 2013-04-17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電池用温調機構
JP2013067335A (ja) * 2011-09-26 2013-04-18 Fuji Heavy Ind Ltd 車載バッテリの冷却構造
JP2013118153A (ja) * 2011-12-05 2013-06-13 Toyota Industries Corp 電池モジュール
EP2916383B1 (en) * 2012-11-05 2016-10-19 Nissan Motor Company, Limited Battery temperature regulation device
JP6279493B2 (ja) * 2013-02-08 2018-02-14 三洋電機株式会社 電池システム
DE102014201165A1 (de) * 2014-01-23 2015-08-06 Robert Bosch Gmbh Batterie-Pack mit Luftkühlung
WO2016030932A1 (ja) * 2014-08-29 2016-03-03 日産自動車株式会社 電池冷却構造、及びカバー板
JP6531268B2 (ja) * 2015-05-21 2019-06-19 株式会社エンビジョンAescジャパン 車両用バッテリパック
JP6384423B2 (ja) * 2015-08-07 2018-09-05 株式会社デンソー 電池パック
DE102016208053B4 (de) 2016-05-10 2023-12-21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Fahrzeug mit einem Hochvoltspeicher
KR102235655B1 (ko) * 2016-06-17 2021-04-01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이차 전지 팩
JP6623965B2 (ja) * 2016-07-29 2019-12-2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載電池パックの冷却装置
JP6490260B2 (ja) 2018-02-06 2019-03-27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内機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31322A (ja) * 2001-02-01 2002-08-16 Sanyo Electric Co Ltd 組電池
JP2007185997A (ja) * 2006-01-11 2007-07-26 Denso Corp 車両用電池冷却装置
KR20120076752A (ko) * 2010-12-30 2012-07-10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유입구와 유출구가 수직구조인 배터리 팩
DE102011001371A1 (de) * 2011-03-17 2012-09-20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 mit einer Batterie
US20130244068A1 (en) * 2012-03-16 2013-09-19 Honda Motor Co., Ltd. Battery un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091775B2 (ja) 2022-06-28
RU2708148C1 (ru) 2019-12-04
US20190305390A1 (en) 2019-10-03
CN110323513B (zh) 2022-08-16
EP3547438B1 (en) 2021-04-21
BR102019005591A2 (pt) 2019-10-15
EP3547438A1 (en) 2019-10-02
JP2019179595A (ja) 2019-10-17
CN110323513A (zh) 2019-10-11
KR102264771B1 (ko) 2021-06-14
US11239508B2 (en) 2022-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4771B1 (ko) 전지 팩
US10978756B2 (en) Battery pack
CN101267961B (zh) 用于车辆的电池组的冷却系统
US9780413B2 (en) Battery cooling system
US8584780B2 (en) Device for cooling the batteries of an especially electric vehicle and vehicle comprising such a device
US20170214008A9 (en) Battery Pack Base Plate Heat Exchanger
KR101417411B1 (ko) 차량의 배터리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차량
US11001122B2 (en) Vehicle power unit temperature regulation system
CN102544621B (zh) 车辆用蓄电池的冷却结构
KR101356200B1 (ko) 전기자동차 배터리 케이스 및 배터리 유닛
US10511037B2 (en) Apparatus for removing moisture of stack enclosure
KR101995582B1 (ko) 전기자동차 배터리 냉각용 열교환기
JP6690588B2 (ja) 燃料電池車両
US20230327233A1 (en) Battery module cooling structure
KR101902684B1 (ko) 차량용 배터리모듈 열교환기
JP2022103534A (ja) バッテリパックの冷却構造
KR101858692B1 (ko) 전기자동차
JP2017165222A (ja) 車両、バッテリユニット、及び車両のバッテリ搭載方法
JP6879815B2 (ja) 車載用バッテリー
JP7091938B2 (ja) 蓄電装置
JP2022103535A (ja) バッテリパックの冷却構造
JP2022103536A (ja) バッテリパックの冷却構造
US20180065443A1 (en) Front end airflow for cooling systems
KR20120045817A (ko) 이온풍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차량용 냉각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