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1818A - 이소플라본의 생체흡수율이 증진된 조성물 - Google Patents

이소플라본의 생체흡수율이 증진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1818A
KR20190111818A KR1020190032651A KR20190032651A KR20190111818A KR 20190111818 A KR20190111818 A KR 20190111818A KR 1020190032651 A KR1020190032651 A KR 1020190032651A KR 20190032651 A KR20190032651 A KR 20190032651A KR 20190111818 A KR20190111818 A KR 201901118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composition
isoflavones
lecithin
isoflav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2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백
김승수
권순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스테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스테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스테온
Publication of KR201901118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18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15Fatty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Fats or oi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7Phen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6-membered ring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e.g. couma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2Glycosides, e.g. ru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물성 천연 여성호르몬인 이소플라본의 소화흡수 및 피부투과와 같은 생체흡수율을 증진시킬 수 있는 조성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상기 조성물이 포함된 패키징 물품에 관한 것으로, 이소플라본, 레시틴, 친수성 계면활성제 및 유지를 포함하는 이소플라본의 생체흡수율이 증진된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이소플라본의 생체흡수율이 증진된 조성물{A composition having improved bioavailability of isoflavone}
본 명세서는 식물성 생리활성물질, 특히 이소플라본의 소화흡수 및 피부투과와 같은 생체흡수율을 증진시킬 수 있는 식물성 생리활성물질, 특히 이소플라본이 포함된 조성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상기 조성물이 포함된 패키징 물품에 관한 것이다
노인인구의 증가에 의하여 골다공증 환자도 급증하고 있다. 골다공증 환자는 남성에 비해 여성이 압도적으로 많고 25-30%의 노년층 여성은 골절이 발생하는 등의 심각한 증상을 나타낸다. 이 골다공증은 폐경기 여성에서 주로 발생하고 여성 호르몬인 에스트로겐 (estrogen)의 급격한 저하에 의하여 발생하는데 처음에는 골소실이 많지 않고 증상이 전혀 나타나지 않다가 갑자기 골절에 이르므로 예방이 매우 어려운 질병으로 알려져 있다.
에스트로겐은 친핵 수용체인 estrogen receptor alpha (ERa)와 estrogen receptor beta (ERb)에 결합하고 이들 수용체들이 뼈를 비롯한 대부분 생체조직에서 발현하게 된다. 즉 뼈에서는 에스트로겐 수용체와 결합하여 뼈의 재형성 (bone remodeling)에 관여하여 골아세포의 증식을 활성화하고 파골세포를 사멸시키는 미세분위기를 만들어 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런데 폐경기가 되면 에스트로겐의 분비가 급격히 감소하여 골생성 능력이 저하함으로써 골조직에서 칼슘, deoxypyridinoline (DPD; 콜라겐 가교제) 등이 소실되어 Bone Mineral Density (BMD, 골밀도)가 저하하게 된다. 이에 따라 골다공증 예방을 위해 Women’s Health Initiative (WHI)에서 폐경기 여성에게 에스트로겐을 이용한 호르몬 치료(HRT)에 대해 임상시험을 행하였으나 유방암, 자궁암, 흑색종 등의 발병이 증가되는 심각한 부작용으로 인하여 5년간 시행 후 중단하였다.
이에 따라 에스트로겐을 대체하기 위하여 raloxifene과 같은 selective estrogen receptor modulators (SERMs)가 개발되어 사용하고 있으나 심혈관 질환, 홍조 등의 부작용이 있어 사용을 기피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에스트로겐 대체물질로 이소플라본 (isoflavone)이 여성 호르몬 저하로 발생하는 질병이나 증상을 예방하는 건강기능식품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소플라본은 콩이 주원료인데 콩 속의 이소플라본은 daidzin과 genistin이 주성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콩을 섭취하면 daidzin과 genistin이 그대로 흡수되지 않고 대장 속에서 장내미생물에 의해 glucose 부분이 가수분해된 daidzein (DZ) 및 genistein (GN)으로 변한 후 수동적 확산에 의해 체내로 흡수된다. 그런데 흡수된 DZ 및 GN의 많은 부분은 다음의 예에서와 같이 장세포나 간의 1st-pass 대사단계에서 glucuronization and/or sulfation이 일어나 비활성화 되어 효능을 잃어 버린다:
Figure pat00001
체내에 흡수된 이소플라본 (DZ, GN 등)은 화학구조상 estrogen과 유사하여 상대적으로 활성도는 낮으나 여성 호르몬의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이소플라본은 에스트로겐 수용체와 결합하여 발현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데 DZ 및 GN의 활성은 에스트로겐 대비 1 및 7%로 상대적으로 높지는 않다.
에스트로겐 대체제로서 이소플라본의 BMD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지금까지 많은 임상연구가 행해지고 있다. 그 결과, 대체적으로 일본, 중국, 홍콩 등에서는 BMD에 효과적인 결과가 나타난 반면, 미국, 네덜란드 등과 같이 서양에서는 효과가 없거나 미약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와 같은 결과로 인하여 동서양을 막론하고 보다 보편적이고 우수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흡수성이 우수한 이소플라본 제제의 개발이 필요하다.
한국등록특허 10-1195114호 한국등록특허 10-1815316호 유럽특허 EP 1833498 B1
Korean J. Medicinal Crop Sci., 21, 401-414, 2013 Food safety commission, novel foods expert committee, Japan, 2006 CrystEngComm, 19, 7146-7153, 2017 Biosci. Biotechnol. Biochem., 71(12), 2927-2933, 2007 Comprehensive evaluation of the role of soy and isoflavone supplementation in humans and animals over the past two decades. Wiley. 2018 The Journal of Clinical Endocrinology & Metabolism. 2001;86(11):5217-5221 Am J Clin Nutr. 2009;90:234-42 J Korean Med Sci. 2009;24:867-73 Acta Pharmacologica Sinica. 2005; 26(9): 1145-1152 Nature Rev. Drug Disc. 2007; 6: 231-248 Biomed. Pharmacother. 2004; 58: 173-182
이에 본 발명자들은 식물유래 생리활성물질, 특히 이소플라본의 소화기관 및 피부를 통한 생체흡수를 원활하게 하는 식물유래 생리활성물질인 이소플라본을 함유한 조성물을 연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물에 잘 녹지 않아 체내 흡수가 어려운 약제를 난용성 약제라고 하는데 보통 물용해도가 100 mg/L 이하이거나 적정복용량이 250 ml의 물에 불완전 용해되는 약제를 말한다. 이소플라본인 DZ와 GN의 물용해도가 각각 약 2mg/L 및 약 1 mg/L로써 물에 극히 잘 녹지 않는 난용성 물질이다. Rat를 이용한 동물실험에 의하면 DZ의 6.1%만이 체내 흡수가 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는데 이는 낮은 물용해도가 주원인으로 추정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소플라본의 체내 흡수 및 생체이용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신규한 조성물 제제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하의 설명으로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수단 및 그 조합으로 실현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식물성 생리활성물질; 및 유지;를 포함하며, 상기 식물성 생리활성물질은 지용성이고, 상기 식물성 생리활성물질은 가수분해된 형태의 식물성 생리활성물질이거나 비배당체 형태의 식물성 생리활성물질인, 이소플라본의 생체흡수율이 증진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서, 상기 식물성 생리활성물질은 사포닌, 진세노사이드, 폴리페놀, 이소플라본, 퀘르세틴, 캠프페리트린, 안토시아닌, 베타카로텐, 쿼쿠민 및 리코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이소플라본의 생체흡수율이 증진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서, 상기 비배당체 형태의 식물성 생리활성물질은 사포닌 비배당체, 이소플라본 비배당체 및 폴리페놀 비배당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이소플라본의 생체흡수율이 증진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서, 상기 유지는 레시틴, 올레익산, 생선유래 오메가-3, 생선오일, 아마씨유, 대마씨유, 들기름, 참기름, 달맞이기름, 리놀레산, 버터, 대두유, 포도씨유, 팜유, 올리브유, 아몬드유, 맥아유, 피마자유, 아보카도유, 월견초유, 로즈힐유, 상어간유 및 밀크오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이소플라본의 생체흡수율이 증진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서, 상기 조성물은 건강기능 식품 조성물 또는 화장료 조성물인, 이소플라본의 생체흡수율이 증진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기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이소플라본의 생체흡수율이 증진된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a) 식물원료 소재를 제공하는 단계;
(b) 제공된 식물원료 소재에서 지용성 유기용매를 사용하여 식물성 생리활성물질을 추출하는 단계; 및
(c) 추출된 식물성 생리활성물질을 유지와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유지는 레시틴, 올레익산, 생선유래 오메가-3, 생선오일, 아마씨유, 대마씨유, 들기름, 참기름, 달맞이기름, 리놀레산, 버터, 대두유, 포도씨유, 팜유, 올리브유, 아몬드유, 맥아유, 피마자유, 아보카도유, 월견초유, 로즈힐유, 상어간유 및 밀크오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이소플라본의 생체흡수율이 증진된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식물원료 소재는 베리류, 인삼, 도라지, 콩, 호프, 아로니아, 케이퍼, 양파, 강황, 토마토, 당근, 케일, 시금치, 녹차, 및 솔잎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a) 단계는 식물 원료를 분말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소플라본의 생체흡수율이 증진된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있어서, 상기 제조 방법은 (a)단계와 (b) 단계 사이에, 제공된 식물원료 소재를 가수분해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수분해는 생물학적 가수분해, 화학적 가수분해 및 열분해법 중 어느 하나 이상인, 이소플라본의 생체흡수율이 증진된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있어서, 상기 생물학적 가수분해는 미생물, 효소, 또는 미생물 및 효소를 이용한 가수분해이며, 상기 화학적 가수분해는 산 또는 알카리를 이용한 가수분해인, 이소플라본의 생체흡수율이 증진된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상기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이소플라본의 생체흡수율이 증진된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a) 비배당체 형태의 식물성 생리활성물질을 제공하는 단계; 및
(b) 상기 비배당체 형태의 식물성 생리활성물질을 유지와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유지는 레시틴, 올레익산, 생선유래 오메가-3, 생선오일, 아마씨유, 대마씨유, 들기름, 참기름, 달맞이기름, 리놀레산, 버터, 대두유, 포도씨유, 팜유, 올리브유, 아몬드유, 맥아유, 피마자유, 아보카도유, 월견초유, 로즈힐유, 상어간유 및 밀크오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이소플라본의 생체흡수율이 증진된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상기 비배당체 형태의 식물성 생리활성물질은 사포닌 비배당체, 이소플라본 비배당체 및 폴리페놀 비배당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이소플라본의 생체흡수율이 증진된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다른 측면은 이소플라본의 생체흡수율이 증진된 조성물이 포함된 패키징 물품에 있어서, 상기 패키징 물품은 상기 식물성 생리활성물질이 포함된 제 1 유닛; 및 유지가 포함된 제 2 유닛;을 포함하며, 제 1 유닛과 제 2 유닛은 그립에 의해 분리되어 있되, 그립을 제거하는 경우 제 1 유닛에 포함된 식물성 생리활성물질과 제 2 유닛에 포함된 유지가 혼합되는, 이소플라본의 생체흡수율이 증진된 조성물이 포함된 패키징 물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다른 측면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닛에 포함된 식물성 생리활성물질은 건조된 분말 형태이며, 상기 제 2 유닛의 유지는 가용화 수용액에 포함된 유지인, 이소플라본의 생체흡수율이 증진된 조성물이 포함된 패키징 물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다른 측면은 이소플라본의 생체흡수율이 증진된 조성물이 포함된 패키징 물품에 있어서, 연양갱이나 젤리와 같은 겔 형태로서 섭취를 용이하게 하는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지용성/식물성 생리활성물질을 포함하고 있는 유지성분을 5-15 wt%의 젤라틴이나 agar 수용액에 분산시킨 후, 저온에서 겔화하여 겔 형태의 생리활성물질 전달체를 제공한다. 이때 히스티딘, 라이신, 아르기닌 등의 양이온성 아미노산의 소량 혼입에 의하여 pH를 염기화하여 유화액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측면은, 이소플라본; 레시틴; 친수성 계면활성제; 및 유지;를 포함하는 이소플라본의 생체흡수율이 증진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측면에서, 상기 이소플라본은 다이드제인(daidzein), 제니스테인(genistein) 및 이퀄(equol)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이소플라본의 생체흡수율이 증진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측면에서, 상기 레시틴은 콩유래 레시틴 및 계란유래 레시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이소플라본의 생체흡수율이 증진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측면에서, 상기 친수성 계면활성제는 사포닌(saponin), 트윈 20(Tween 20), 트윈 40(Tween 40), 트윈 60(Tween 60), 트윈 80(Tween 80), 수크로오즈 모노라우레이트(sucorose monolaurate)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polyoxyethylene sorbitan monostearate)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이소플라본의 생체흡수율이 증진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측면에서, 상기 유지는 올레익산, 생선유래 오메가-3, 생선오일, 아마씨유, 대마씨유, 들기름, 참기름, 달맞이기름, 리놀레산, 버터, 대두유, 포도씨유, 팜유, 올리브유, 아몬드유, 맥아유, 피마자유, 아보카도유, 월견초유, 로즈힐유 및 상어간유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이소플라본의 생체흡수율이 증진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측면에서, 상기 이소플라본, 레시틴, 친수성 계면활성제 및 유지는 1: 6 내지 10: 0.05 내지 0.15: 0.5 내지 5 의 중량비로 포함되는, 이소플라본의 생체흡수율이 증진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측면에서, 상기 이소플라본 100 중량부에 대하여, 레시틴은 600 내지 1000 중량부, 친수성 계면활성제는 5 내지 15 중량부, 유지는 50 내지 500 중량부로 포함되는, 이소플라본의 생체흡수율이 증진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측면에서, 상기 이소플라본, 레시틴, 친수성 계면활성제 및 유지는 1: 6 내지 10: 0.05 내지 0.15: 0.5 내지 5 의 중량비로 포함되며, 상기 이소플라본은 다이드제인 또는 제니스테인이고, 상기 레시틴은 콩유래 레시틴 또는 계란유래 레시틴이며, 상기 친수성 계면활성제는 사포닌이며, 상기 유지는 올레익산이며, 이소플라본의 생체흡수율이 증진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측면에서, 상기 조성물은 건강기능 식품 조성물 또는 화장료 조성물인, 이소플라본의 생체흡수율이 증진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측면에서, 상기 조성물은 건강기능 식품 조성물이며, 상기 식품은 영양제, 초콜렛, 두유, 우유, 겔화된 식품 중 어느 하나 이상인, 이소플라본의 생체흡수율이 증진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을 건강기능식품으로 활용하면 생체흡수율을 높일 수 있고 또한, 동식물의 유효 성분을 일회 복용으로 동시에 흡수할 수 있어, 복용 편의성을 제공하고, 보다 넓고 효과적인 생리학적 건강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을 화장품에 도입하면 항산화, 항노화, 주름살 개선 등의 기능성 화장품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은 이소플라본의 생체흡수율을 기존 이소플라본 제제에 비하여 현저히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하의 설명에서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실험예 4에 따른 이소플라본 페이스트의 이소플라본 농도 및 절대점도이다.
도 2는 실험예 5에 따른 바이오이소플라본 페이스트 (실시예 1) 및 바이오이소플라본 분말 (비교군)의 약리학적 실험결과이다.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성분, 반응 조건, 성분의 함량을 표현하는 모든 숫자, 값 및/또는 표현은, 이러한 숫자들이 본질적으로 다른 것들 중에서 이러한 값을 얻는 데 발생하는 측정의 다양한 불확실성이 반영된 근사치들이므로, 모든 경우 "약"이라는 용어에 의해 수식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기재에서 수치범위가 개시되는 경우, 이러한 범위는 연속적이며, 달리 지적되지 않는 한 이러한 범 위의 최소값으로부터 최대값이 포함된 상기 최대값까지의 모든 값을 포함한다. 더 나아가, 이러한 범위가 정수를 지칭하는 경우, 달리 지적되지 않는 한 최소값으로부터 최대값이 포함된 상기 최대값까지를 포함하는 모든 정수가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범위가 변수에 대해 기재되는 경우, 상기 변수는 상기 범위의 기재된 종료점들을 포함하는 기재된 범위 내의 모든 값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면, "5 내지 10"의 범위는 5, 6, 7, 8, 9, 및 10의 값들뿐만 아니라 6 내지 10, 7 내지 10, 6 내지 9, 7 내지 9 등의 임의의 하위 범위를 포함하고, 5.5, 6.5, 7.5, 5.5 내지 8.5 및 6.5 내지 9 등과 같은 기재된 범위의 범주에 타당한 정수들 사이의 임의의 값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또한 예를 들면, "10% 내지 30%"의 범위는 10%, 11%, 12%, 13% 등의 값들과 30%까지를 포함하는 모든 정수들뿐만 아니라 10% 내지 15%, 12% 내지 18%, 20% 내지 30% 등의 임의의 하위 범위를 포함하고, 10.5%, 15.5%, 25.5% 등과 같이 기재된 범위의 범주 내의 타당한 정수들 사이의 임의의 값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약분야에서는 50-60%의 약제가 물에 잘 녹지 않는 난용성 약제이므로 미세분말화, 고체 분산체, cyclodextrin (CD) 포접, 나노현탁, 지방전달체 등과 같은 다양한 난용성 약제의 가용화 기술이 발전되어 있다.
이들 가용화 기술 중 CD 포접을 이용한 이소플라본의 가용화 기술이 개발되었다 (한국특허 10-1195114). 이 방법은 소화기관 내에서 CD 포접이 해리되어 침전이 일어날 수 있고 1st-pass 대사에서 많은 부분이 비활성화 되어 효능을 잃을 수 있다. 또한 이소플라본 배당체의 CD 포접체는 에스트로겐으로서의 효능이 높지 않다.
지방전달체에는 리포좀, 에멀젼, 현탁액, 지방나노입자, 자가유화 전달시스템 등과 같이 다양한 방법이 있다. 이소플라본의 지방전달체로는 고체 상태의 지방나노입자인 니오좀을 화장료를 위해 개발한 바 있다 (한국/10-1815316). 이는 제조과정에 생체 비친화적인 용매들이 사용되고 이소플라본에 대해 비용매 (non-solvent)인 지질들이 사용되어 이소플라본이 고체 상태로 존재하게 되어 소화기관에서의 흡수를 향상시키는 작용은 하지 않는다. EP 1 833498 B1에서는 오메가 3와 계면활성제로서 소량의 인지질을 이용하여 이소플라본이 포함된 에멀전을 제조하였다. 이때 오메가 3는 악취가 심하고 이소플라본에 대한 용해도가 높지 않아 경구용 지방전달체로는 효율적이지 못한 단점이 있다.
지방은 소장에서 담즙산염, 지방분해효소 등에 의하여 에멀전화 되어 소화흡수 되는데 경구용 지방전달체는 이 특성을 활용한다. 즉 지방에 약제가 용해 되어 있으면 소장에서 에멀전화된 지방입자에 혼입되어 흡수되거나 소장 내에서 약재가 물속으로 녹아 흡수되어진다. 이 경구용 지방전달체는 1) 용해도 향상; 2) 소화관 내에서의 침전방지; 3) 막투과도 향상; 4) 유출 (efflux) 억제; 5) 1st-pass 대사에 관여하는 CYPs 효소의 감소; 6) 림프관 흡수 등의 작용을 하여 약물의 체내흡수를 적극적으로 향상시키는 작용을 한다. 지방전달체의 상기와 같은 기능은 이소플라본을 보다 능동적으로 소화 흡수시킬 수 있는 역할을 할 수 있으므로 이소플라본에 접목시키게 되었다.
이를 위하여 이소플라본을 지방에 녹여야 하므로 레시틴, 비타민 E, 올레익산, 생선유래 오메가-3, 생선오일, 아마씨유, 대마씨유, 들기름, 참기름, 달맞이기름, 리놀레산, 대두유, 포도씨유, 팜유, 올리브유, 아몬드유, 맥아유, 피마자유, 아보카도유, 월견초유, 로즈힐유, 상어간유 등에 이소플라본을 용해시키는 실험을 한 결과, 이소플라본은 지용성 물질로 알려져 있으나 대부분의 지방에는 잘 녹지 않았다. 즉 이소플라본은 친수성인 수산기를 가지고 있어 상대적으로 소수성이며 HLB (hydrophilic-lipophilic balance; 친수친유기평형)가 0에 가까운 지방에는 잘 녹지 않고 인지질인 레시틴에 상대적으로 가장 잘 용해되었다. 이는 레시틴의 HLB는 대략 4-8로써 상대적으로 친수성이기 때문에 친수성 기능기를 가진 이소플라본이 상대적으로 더 잘 녹는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레시틴은 단독으로는 물속에서 유화가 잘 되지 않으므로 복용시 소화기관 내에서 분산 및 유화가 원활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보다 친수성인 식용 계면활성제를 혼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레시틴은 단독으로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의 점도 (Brookfield 점도 = 8,000-10,000 cP)가 매우 높아 분말상과의 혼합 제형을 만들기 어려운 점이 있어 점도가 낮은 다른 유지와의 복합화가 보다 바람직하다. 유지에는 다양한 특성의 종류가 있으므로 기능성 강화를 위해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이소플라본의 소화기관을 통한 생체흡수를 원활하게 하는 지방전달체를 연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지방은 소장에서 담즙산염, 지방분해효소 등에 의하여 작은 입자인 마이셀 (micelle)로 에멀젼화된 뒤 창세포 (enterocyte)를 통하여 체내로 흡수된다. 약물전달에 사용되는 지방수송체 (Lipid carrier)는 지방의 상기와 같은 소화흡수기전을 이용하는 것으로서 약제를 지방에 녹여 두면 소장에서 지방의 에멀전화에 의하여 약제도 같이 미세입자화되어 마이셀 속에서 그대로 소화흡수 되거나 물속으로 확산된 후 창세포막을 통하여 체내로 흡수된다.
이소플라본의 지방전달체를 제조하기 위하여 다양한 지방에 대하여 용해도 시험을 한 결과, HLB가 4-8의 레시틴에 상대적으로 잘 녹는 특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 범위의 HLB 값을 갖는 식품용 합성 계면활성제에는 glycerol monostearate, sorbitan monooleate, sorbitan monostearate, sorbitan monopalmitate 등이 있으나 이들 합성제품은 유기합성과정에서 독성물질이 혼입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반면 레시틴은 계란이나 콩 등에서 추출하므로 독성물질과 거의 접촉하지 않아 상대적으로 안전하다. 또한 레시틴은 콜레스테롤이나 중성지방을 저하시키는 기능이 있으므로 건강기능성 측면에서 시너지효과가 있는 장점이 있다. 이소플라본 용해를 위해 레시틴의 조성비는 60-9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소플라본을 위한 지방용매로 레시틴만 사용할 수도 있으나 소화기관 내에서의 에멀전화를 더욱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레시틴에 비해 HLB가 높은 식품용 친수성 계면활성제를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다. 스스로 유화가 되는 지방전달체를 자가유화형 전달체라고 하고, 사용할 수 있는 친수성 계면활성제에는 saponin, Tween 계열, 과당류 계면활성제 (sucorose monolaurate 등), polyoxyethylene sorbitan monostearate 등이 있다. 사포닌은 식물유래이므로 독성이 거의 없고 레시틴과의 혼합성이 우수한 특징을 가지고 있어 바람직하다.
친수성 계면활성제는 HLB가 10 이상인 계면활성제가 바람직하고 조성비는 0-10 %가 적당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8 %, 더욱 바람직하게는 0-5%가 적당하다.
레시틴은 단독으로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의 점도가 매우 높아 분말상과 혼합 제형을 만들기 어려운 점이 있어 점도가 낮은 다른 유지와의 복합화가 보다 바람직하다. 유지에는 다양한 특성의 종류가 있으므로 기능성 강화를 위해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유지에는 올레익산, 생선유래 오메가-3, 생선오일, 아마씨유, 대마씨유, 들기름, 참기름, 달맞이기름, 리놀레산, 대두유, 포도씨유, 팜유, 올리브유, 아몬드유, 맥아유, 피마자유, 아보카도유, 월견초유, 로즈힐유, 상어간유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유지의 첨가는 이소플라본/레시틴 복합체에서 이소플라본의 용해도를 저하시키는 작용을 하므로 이의 사용량은 전체 조성 대비 40%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건강기능식품으로 이소플라본의 원료가 되는 물질은 일반적으로 대두와 같은 콩을 미생물로 발효하고 그 발효물을 건조하여 제조한다. 따라서 원료물질에는 비배당체인 DZ 및 GN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단백질, 틴수화물 등과의 혼합물질로서 일반적으로 DZ 및 GN은 100-300 mg/g의 농도로 존재한다.
대한민국 식약처의 이소플라본 1일 권장섭취량은 24-27 mg/d이므로 레시틴, 계면활성제, 유지의 합한 양은 이소플라본 1일 권장섭취량을 감안하여 결정하여야 한다. 또한 필수지방산의 1일 권장 섭취량은 2-4 g으로 제한하므로 이를 감안하여 유지 및 이소플라본의 농도를 결정하여야 한다.
이소플라본에는 DZ가 미생물 발효에 의해 생성되는 equol도 있는데, 이를 포함하고 있는 에쿠올-풍부 대두 발효 분말도 본 특허의 이소플라본 원료로 사용할 수 있다. 에쿠올을 생성할 수 있는 미생물에는 Adlercreutzia equolifaciens, Bifidobacterium, Veillonella sp 등이 있다. 에쿠올-풍부 대두 발효 분말을 포함한 레시틴 전달체 속의 에쿠올 양은 5-30 mg/g의 농도로 하는 것이 적당하다.
상기의 발효분말 외에도 에쿠올, DZ, GN 등과 같은 이소플라본을 발효물로부터 분리정제하거나 유기합성한 화합물 등의 고농도 이소플라본도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전체 이소플라본의 일일 섭취량은 각국의 식약처 권장량을 따른다.
본 이소플라본이 포함된 조성물은 콜로이드밀, 호모믹서, 비드밀 등과 같이 미세입자를 혼합 및 분쇄할 수 있는 혼합기기를 사용하여 혼합한다.
본 발명의 이소플라본 레시틴 전달체는 페이스트상이므로 젤라틴, 카라기난, 녹말 등으로 구성된 연질캡슐로 제형화하여 건강기능식품으로 사용하는 것이 편리하다. 연질캡슐의 제조방법은 이미 공지의 기술이므로 본 발명에서는 추가적인 설명을 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이소플라본 레시틴 전달체는 물에 용이하게 유화될 수 있으므로 두유나 우유 등에 복합화하여 사용할 수 있다. 두유나 우유는 뼈 건강에 좋은 칼슘, 비타민 D뿐만 아니라 다양한 영양소를 가지고 있다. 여기에 이소플라본이 강화되면 보다 우수한 건강식품이 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
우리나라를 비롯한 동아시아 지역에는 인삼이나 홍삼을 면역기능 강화를 위한 건강기능식품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들 인삼제품에는 계면활성제 역할을 하는 사포닌을 다량 포함하고 있어 본 발명의 이소플라본/레시틴 복합체의 유화를 보다 원활하게 하는 특성이 있다. 따라서 이소플라본/레시틴 복합체를 인삼제품에 혼입하면 이소플라본의 기능에 면역강화기능이 강화되어 보다 광범위하고 우수한 건강기능식품을 제조할 수 있다.
이 이소플라본/레시틴 복합체는 초콜렛과도 잘 혼합이 되는 특성이 있다. 또한 물에 잘 유화되는 특성이 있으므로 젤라틴이나 한천 등에 혼합하여 건강기능성 식품을 제조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측면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식물성 생리활성물질; 및 유지;를 포함하며, 상기 식물성 생리활성물질은 지용성이고, 상기 식물성 생리활성물질은 가수분해된 형태의 식물성 생리활성물질이거나 비배당체 형태의 식물성 생리활성물질인, 이소플라본의 생체흡수율이 증진된 조성물 제공한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식물성 생리활성물질 포함 식물소재와 유지는 1 : 1 내지 10의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1 : 2 내지 8의 중량비, 1 : 3 내지 7의 중량비, 또는 1 : 4 내지 6의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1 : 5의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서, 상기 식물성 생리활성물질은 사포닌, 진세노사이드, 폴리페놀, 이소플라본, 퀘르세틴, 캠프페리트린, 안토시아닌, 베타카로텐, 쿼쿠민 및 리코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이소플라본의 생체흡수율이 증진된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 구현예에서, 식물 원료는 안토시아닌을 위해 아로니아 등의 베리류, 사포닌 및 진세노사이드 등을 위해 인삼, 도라지, 콩 등, 이소플라본을 위해 쥐눈이콩과 같은 콩류 및 호프, 퀘르세틴을 위해 케이퍼, 양파 등, 쿼커민을 위해 강황, 리코펜을 위해 토마토, 베타카로텐을 위해 당근 등, 폴리페놀을 위해 녹차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서, 상기 비배당체 형태의 식물성 생리활성물질은 사포닌 비배당체, 이소플라본 비배당체 및 폴리페놀 비배당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이소플라본의 생체흡수율이 증진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서, 상기 유지는 레시틴, 올레익산, 생선유래 오메가-3, 생선오일, 아마씨유, 대마씨유, 들기름, 참기름, 달맞이기름, 리놀레산, 버터, 대두유, 포도씨유, 팜유, 올리브유, 아몬드유, 맥아유, 피마자유, 아보카도유, 월견초유, 로즈힐유, 상어간유 및 밀크오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이소플라본의 생체흡수율이 증진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서, 상기 조성물은 건강기능 식품 조성물 또는 화장료 조성물인, 이소플라본의 생체흡수율이 증진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기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이소플라본의 생체흡수율이 증진된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a) 식물원료 소재를 제공하는 단계;
(b) 제공된 식물원료 소재에서 지용성 유기용매를 사용하여 식물성 생리활성물질을 추출하는 단계; 및
(c) 추출된 식물성 생리활성물질을 유지와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유지는 레시틴, 올레익산, 생선유래 오메가-3, 생선오일, 아마씨유, 대마씨유, 들기름, 참기름, 달맞이기름, 리놀레산, 버터, 대두유, 포도씨유, 팜유, 올리브유, 아몬드유, 맥아유, 피마자유, 아보카도유, 월견초유, 로즈힐유, 상어간유 및 밀크오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이소플라본의 생체흡수율이 증진된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식물원료 소재는 베리류, 인삼, 도라지, 콩, 호프, 아로니아, 케이퍼, 양파, 강황, 토마토, 당근, 케일, 시금치, 녹차, 및 솔잎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a) 단계는 식물 원료를 분말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소플라본의 생체흡수율이 증진된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일 구현예에서, 식물 원료를 제공하는 단계는 식물 원료를 세척하는 단계, 식물 원료를 건조 또는 동결 건조하는 단계, 및 식물 원료를 분쇄하여 분말화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식물 원료를 세척하는 단계에서 잔류 농약 등의 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잔류 농약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분말화는 다음 단계인 가수분해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있어서, 상기 제조 방법은 (a)단계와 (b) 단계 사이에, 제공된 식물원료 소재를 가수분해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수분해는 생물학적 가수분해, 화학적 가수분해 및 열분해법 중 어느 하나 이상인, 이소플라본의 생체흡수율이 증진된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있어서, 상기 생물학적 가수분해는 미생물, 효소, 또는 미생물 및 효소를 이용한 가수분해이며, 상기 화학적 가수분해는 산 또는 알카리를 이용한 가수분해인, 이소플라본의 생체흡수율이 증진된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일 구현예에서, 가수분해는 미생물, 효소, 산 또는 알카리를 이용한 화학적 방법, 고열고압에서의 열분해법이 사용될 수 있다. 그 방법은 식물소재의 종류, 추출된 생리활성물질의 용도 등에 의하여 결정하여야 한다. 즉 특정한 물질이 요구 되어지면 효소로 가수분해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화학적 가수분해법 및 열분해법이 경제적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미생물에 의한 가수분해는 바실러스균, 유산균, 아스퍼질러스균, 락토바실러스균 등과 같이 탄수화물, 특히 셀룰로스를 분해할 수 있는 미생물은 모두 가능하고 적정한 배양조건을 따르면 된다. 효소 분해법을 사용할 때는 glucoamylase, amylase, glucosidase, cellulase 등과 같은 당화효소 또는 이들의 복합효소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콩과 같이 단백질이 많은 식물원료에는 protease와 같은 단백분해효소를 복합적으로 사용한다. 효소의 최대 분해능을 나타내는 온도, pH 등은 종류에 따라 다르므로 판매업자의 조언을 참조하여 최적조건을 탐색하면 된다.
일 구현예에서, 산 또는 알카리를 이용한 화학적 가수분해법은 경제적인 장점이 있으나 선택적 분해는 되지 않는다. 강산 및 강염기가 촉매로 사용되고 가수분해 후에는 중화하게 된다. 100 oC 이상에서의 열분해법도 사용가능하나 벤조피렌 등의 생성이 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일 구현예에서, 가수분해 단계가 끝난 소재는 충분히 건조한 다음, 유지에 혼합하여 일정시간 추출단계를 거쳐 지용성 생리활성물질이 추출되도록 하여 지용성 생리활성물질 함유 유지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또는 핵산과 같은 지용성 유기용매를 사용하여 지용성 생리활성물질을 추출한 후, 유기용매를 제거하고 순수 지용성 생리활성물질을 얻은 다음, 유지와 혼합하여 지용성 생리활성물질이 포함된 유지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사용되는 유지는 독성이 없으면 동식물, 광물 등과 같이 유래에는 상관이 없다. 즉 건강기능식품의 제조에는 레시틴, 올레익산, 생선유래 오메가-3, 생선오일, 아마씨유, 대마씨유, 들기름, 참기름, 달맞이기름, 리놀레산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식품원료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버터, 대두유, 포도씨유 등이 사용될 수 있고 화장품을 위해서는 팜유, 올리브유, 아몬드유, 맥아유, 피마자유, 아보카도유, 월견초유, 로즈힐유, 상어간유 및 밀크오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상기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이소플라본의 생체흡수율이 증진된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a) 비배당체 형태의 식물성 생리활성물질을 제공하는 단계; 및
(b) 상기 비배당체 형태의 식물성 생리활성물질을 유지와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유지는 레시틴, 올레익산, 생선유래 오메가-3, 생선오일, 아마씨유, 대마씨유, 들기름, 참기름, 달맞이기름, 리놀레산, 버터, 대두유, 포도씨유, 팜유, 올리브유, 아몬드유, 맥아유, 피마자유, 아보카도유, 월견초유, 로즈힐유, 상어간유 및 밀크오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이소플라본의 생체흡수율이 증진된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상기 비배당체 형태의 식물성 생리활성물질은 사포닌 비배당체, 이소플라본 비배당체 및 폴리페놀 비배당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이소플라본의 생체흡수율이 증진된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다른 측면은 이소플라본의 생체흡수율이 증진된 조성물이 포함된 패키징 물품에 있어서, 상기 패키징 물품은 상기 식물성 생리활성물질이 포함된 제 1 유닛; 및 유지가 포함된 제 2 유닛;을 포함하며, 제 1 유닛과 제 2 유닛은 그립에 의해 분리되어 있되, 그립을 제거하는 경우 제 1 유닛에 포함된 식물성 생리활성물질과 제 2 유닛에 포함된 유지가 혼합되는, 이소플라본의 생체흡수율이 증진된 조성물이 포함된 패키징 물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다른 측면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닛에 포함된 식물성 생리활성물질은 건조된 분말 형태이며, 상기 제 2 유닛의 유지는 가용화 수용액에 포함된 유지인, 이소플라본의 생체흡수율이 증진된 조성물이 포함된 패키징 물품을 제공한다.
기능성 식품소재는 물이나 기름 속에서 변질이 빨리 일어날 수 있는 물질이 있는데 이들의 보존기간을 연장할 수 있는 방법은 경제성 향상에 매우 유용하다. 또한 오메가-3 및 6, 어유, 아마씨유 등은 맛이나 향이 좋지 않아 선호하지 않는 사람들이 많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도 2와 같이 기능성 식품소재를 건조된 상태에서 보관하고 다른 쪽에는 유지 및 식품소재를 가용화하거나 분산할 수 있는 가용화 수용액을 포장한다. 이 가용화 수용액에는 식용유지, 식용 계면활성제, 수용성 천연 고분자물질, 아미노산, 물 등을 포함한다. 분말과 수용액 사이에는 그립으로 분리되어 있고 섭취하기 전 이 그립을 제거하고 주물러 주면 서로 가용화 또는 혼합될 수 있는 포장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다른 측면은, 겔형태의 이소플라본의 생체흡수율이 증진된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 생리활성물질이 포함된 유지 조성물을 염기성 아미노산과 겔생성 물질을 포함하는 수용액에 분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겔형태의 이소플라본의 생체흡수율이 증진된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다른 측면에 있어서, 상기 겔생성 물질은 젤라틴, 한천(agar) 및 알지네이트(alginate)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겔형태의 이소플라본의 생체흡수율이 증진된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다른 측면에 있어서, 상기 염기성 아미노산은 히스티딘, 라이신 및 아르기닌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겔형태의 이소플라본의 생체흡수율이 증진된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다른 측면은 이소플라본의 생체흡수율이 증진된 조성물이 포함된 패키징 물품에 있어서, 연양갱이나 젤리와 같은 겔 형태로서 섭취를 용이하게 하는 생리활성물질 전달체를 제공한다. 즉 지용성/식물성 생리활성물질을 포함하고 있는 유지성분을 5-15 wt%의 젤라틴이나 agar 수용액 또는 이들의 혼합액에 분산시켜 유화시킨 후, 저온에서 겔화하여 겔 형태의 생리활성물질 전달체를 제공한다. 이때 아르기닌, 히스티딘, 라이신 등의 양이온성 아미노산의 혼입에 의하여 pH를 염기화하여 유화액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겔 형태의 전달체는 소비자의 기호에 맞는 맛을 도입하기 쉬워 일반 과자류 식품과 같이 섭취하면서 건강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레시틴 대비 0.5 - 2 wt%이면 유화액의 겉보기 안정성을 충분히 나타내므로 양이온성 아미노산의 혼입량은 필요에 따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측면은, 이소플라본; 레시틴; 친수성 계면활성제; 및 유지;를 포함하는 이소플라본의 생체흡수율이 증진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측면에서, 상기 이소플라본은 다이드제인(daidzein), 제니스테인(genistein) 및 이퀄(equol)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이소플라본의 생체흡수율이 증진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측면에서, 상기 레시틴은 콩유래 레시틴 및 계란유래 레시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이소플라본의 생체흡수율이 증진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측면에서, 상기 친수성 계면활성제는 사포닌(saponin), 트윈 20(Tween 20), 트윈 40(Tween 40), 트윈 60(Tween 60), 트윈 80(Tween 80), 수크로오즈 모노라우레이트(sucorose monolaurate)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polyoxyethylene sorbitan monostearate)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이소플라본의 생체흡수율이 증진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측면에서, 상기 유지는 올레익산, 생선유래 오메가-3, 생선오일, 아마씨유, 대마씨유, 들기름, 참기름, 달맞이기름, 리놀레산, 버터, 대두유, 포도씨유, 팜유, 올리브유, 아몬드유, 맥아유, 피마자유, 아보카도유, 월견초유, 로즈힐유 및 상어간유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이소플라본의 생체흡수율이 증진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측면에서, 상기 이소플라본, 레시틴, 친수성 계면활성제 및 유지는 1: 6 내지 10 : 0.05 내지 0.15 : 0.5 내지 5 의 중량비로 포함되는, 이소플라본의 생체흡수율이 증진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측면에서, 상기 이소플라본 100 중량부에 대하여, 레시틴은 600 내지 1000 중량부, 친수성 계면활성제는 5 내지 15 중량부, 유지는 50 내지 500 중량부로 포함되는, 이소플라본의 생체흡수율이 증진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측면에서, 상기 이소플라본, 레시틴, 친수성 계면활성제 및 유지는 1: 6 내지 10 : 0.05 내지 0.15 : 0.5 내지 5 의 중량비로 포함되며, 상기 이소플라본은 다이드제인 또는 제니스테인이고, 상기 레시틴은 콩유래 레시틴 또는 계란유래 레시틴이며, 상기 친수성 계면활성제는 사포닌이며, 상기 유지는 올레익산이며, 이소플라본의 생체흡수율이 증진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측면에서, 상기 조성물은 건강기능 식품 조성물 또는 화장료 조성물인, 이소플라본의 생체흡수율이 증진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측면에서, 상기 조성물은 건강기능 식품 조성물이며, 상기 식품은 영양제, 초콜렛, 두유, 우유, 겔화된 식품 중 어느 하나 이상인, 이소플라본의 생체흡수율이 증진된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이소플라본으로 건강기능식품의 원료로 사용되고 있는 바이오이소플라본 (대두이소플라본 187.5 mg/g 이상 함유, SK Bioland 제) 분말 100 g에 콩 레시틴 (soy lecithin, ADM 제) 800 g과 계란 레시틴 (egg lecithin, Kewpie 제) 50 g을 넣고 식품혼합기로 서서히 혼합하며 올레익산 100 g과 사포닌 (Junsei 제) 10 g을 넣고 완전 혼합한 다음 콜로이드밀을 사용하여 혼합 및 분쇄를 행하여 이소플라본 페이스트를 완성한다. 이 이소플라본 페이스트를 80 oC의 진공탈포기에 넣고 24시간 정치한 다음, 기포를 제거하고 실험실용 연질캡슐 제조기로 연질캡슐을 제조한다.
실시예 2
이소플라본 건강기능식품의 원료로 사용되고 있는 바이오이소플라본 (SK Bioland 제) 분말 100 g에 콩 레시틴 (ADM 제) 800 g과 계란 레시틴 (Kewpie 제) 50 g을 넣고 식품혼합기로 서서히 혼합하며 올레익산 200 g과 사포닌 (Junsei 제) 10 g을 넣고 완전 혼합한 다음 콜로이드밀을 사용하여 혼합 및 분쇄를 행하여 이소플라본 페이스트를 완성한다. 이 이소플라본 페이스트를 80 oC의 진공탈포기에 넣고 24시간 정치한 다음, 기포를 제거하고 실험실용 연질캡슐 제조기로 연질캡슐을 제조한다.
실시예 3
이소플라본 건강기능식품의 원료로 사용되고 있는 바이오이소플라본 (SK Bioland 제) 분말 100 g에 콩 레시틴 (ADM 제) 700 g을 넣고 식품혼합기로 서서히 혼합하며 리놀레산 300 g과 Tween 80 10 g을 넣고 완전 혼합한 다음 콜로이드밀을 사용하여 혼합 및 분쇄를 행하여 이소플라본 페이스트를 완성한다. 이 이소플라본 페이스트를 80 oC의 진공탈포기에 넣고 24시간 정치한 다음, 기포를 제거하고 실험실용 연질캡슐 제조기로 연질캡슐을 제조한다.
실시예 4
이소플라본 건강기능식품의 원료로 사용되고 있는 바이오이소플라본 (SK Bioland 제) 분말 100 g에 계란 레시틴 (Kewpie 제) 700 g을 넣고 식품혼합기로 서서히 혼합하며 달맞이기름 300 g과 Tween 60 10 g을 넣고 완전 혼합한 다음 콜로이드밀을 사용하여 혼합 및 분쇄를 행하여 이소플라본 페이스트를 완성한다. 이 이소플라본 페이스트를 80 oC의 진공탈포기에 넣고 24시간 정치한 다음, 기포를 제거하고 실험실용 연질캡슐 제조기로 연질캡슐을 제조한다.
실시예 5
바이오이소플라본 (SK Bioland 제) 200 g과 에쿠올-풍부 대두 발효물 100 g을 볼밀로 충분히 분쇄하여 미세입자를 제조하여 콩 레시틴 (soy lecithin) 1500 g, 올리브유 100 g 및 Tween 60 50 g을 넣고 식품용 혼합기로 서서히 혼합한 다음, 콜로이드밀을 사용하여 혼합 및 분쇄를 행하여 이소플라본 페이스트를 완성한다. 이 이소플라본 페이스트를 80 oC의 진공탈포기에 넣고 24시간 정치한 다음, 기포를 제거하고 실험실용 연질캡슐 제조기로 연질캡슐을 제조한다.
실시예 6
에쿠올 0.5 g, DZ 1 g, GN 1 g을 계란 레시틴 (egg lecithin) 100 g, 월견초유 10 g 및 Tween 60 1 g을 혼합한 다음, 이소플라본 페이스트를 완성한다. 이 이소플라본 페이스트를 80 oC의 진공탈포기에 넣고 24시간 정치한 다음, 기포를 제거하고 실험실용 연질캡슐 제조기로 연질캡슐을 제조한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6의 성분 함량을 정리하면 하기 표 1과 같다.
(단위 g) 실시예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이소플라본 바이오 이소플라본 100 100 100 100 200
에쿠올-풍부 대두 발효물 100
에쿠올 0.5
DZ 1
GN 1
레시틴 콩레시틴 800 800 700 1500
계란레시틴 50 50 700 100
유지 올레익산 100 200
리놀레산 300
달맞이기름 300
올리브유 100
월견초유 10
친수성 계면활성제 사포닌 10 10
Tween 80 10
Tween 60 10 50 1
[제조예]
제조예 1 : 이소플라본 강화 발효홍삼 농축액
실시예 1의 이소플라본 페이스트 20 g을 발효홍삼 농축액 (SK Bioland) 100 g에 넣고 잘 교반하여 유화시킨다. 이 유화액을 식품용 플라스틱 용기에 넣어 이스플라본 강화 발효홍삼 농축액을 제조한다. 이 발효홍삼 농축액은 면역기능이 약한 노인용 기능식품으로 적합하다.
제조예 2 : 이소플라본 강화 두유
물 1 L를 교반기에 넣고 천천히 교반하며 생콩가루 130 g을 넣고 가열하여 10 분간 끓인 다음, 실시예 2의 이소플라본 페이스트 50 g을 넣고 충분히 교반한 후, 가열을 멈추고 밀폐용기에 담아 상온에서 냉각시켜 이소플라본 강화 두유를 제조한다.
제조예 3 : 이소플라본 강화 초코렛
코코아 분말 100 g과 코코아 버터 20 g을 유리용기에 넣고 70 도에서 서서히 녹여 혼합한 다음, 무지방 우유 90 g, 설탕 20 g을 넣고 충분히 혼합하여 용해시킨다. 다음 실시예 1의 이소플라본 페이스트 20 g을 넣고 50 도에서 2 시간 서서히 교반한다. 이 초코렛 원액을 적당한 몰드에 부어 경화시켜 이소플라본 강화 초코렛을 제조한다.
제조예 4 : 이소플라본 강화 겔형 건강식품
젤라틴 25 g, 한천 (agar) 10 g, 설탕 10 g을 물 500 ml에 넣고 90 oC에서 녹여 젤라틴/한천 수용액을 제조한다. 이 용액에 실시예 2의 이소플라본 페이스트 100 g을 넣은 다음, 호모믹서를 사용하여 충분히 분산시킨다. 생성된 이소플라본 강화 젤라틴/한천 수용액을 저온에서 경화시켜 겔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실험예 1
이소플라본의 유지에 대한 용해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레시틴, 비타민 E, 올레익산, 생선유래 오메가-3, 아마씨유, 대마씨유, 들기름, 참기름, 달맞이기름, 리놀레산, 대두유, 포도씨유, 팜유, 올리브유, 아몬드유, 맥아유, 피마자유, 아보카도유, 월견초유, 로즈힐유, 상어간유 등의 지질 각 10 g이 담긴 유리용기에 바이오이소플라본 (SK Bioland 제) 2 g을 넣고 상온에서 24 시간 교반하였다. 이 혼합지질을 고속으로 원심분리하여 입자들을 침전시킨 다음, 상층액 0.5 ml을 취하여 유리병에 넣고 5 ml의 xylene으로 희석하였다.
DZ 및 GN의 0.1 % xylene 표준용액과 상기 이소플라본이 용해된 지질 혼합액의 GC/MS 분석을 행하여, 유지 속 DZ 및 GN을 정량분석을 하였다.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용해도 실험을 행한 유지 속의 DZ 및 GN의 농도를 조사한 결과, 레시틴에서의 농도가 다른 지질에 비해 상대적으로 의미있게 높게 나왔다. 따라서 용해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유지 이소플라본 농도 (%) 유지 이소플라본 농도 (%)
DZ GN DZ GN
레시틴 1.33 0.36 참기름 0.13 0.02
비타민 E 0.08 0.01 달맞이기름 0.06 0.01
올레익산 0.08 0.01 리놀레산 0.06 0.01
오메가-3 0.06 0.01 대두유 0.07 0.01
아마씨유 0.07 0.01 포도씨유 0.06 0.01
대마씨유 0.06 0.01 팜유 0.05 0.01
들기름 0.10 0.02 피마자유 0.08 0.01
올리브유 0.09 0.01 아보카도유 0.06 0.01
아몬드유 0.06 0.01 월견초유 0.07 0.01
맥아유 0.07 0.01 상어간유 0.06 0.01
로즈힐유 0.10 0.02
표 2는 상온에서 용해 실험한 유지 내의 DZ 및 GN의 농도이다.
실험예 2
고온에서의 이소플라본의 유지에 대한 용해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레시틴, 비타민 E, 올레익산, 생선유래 오메가-3, 아마씨유, 대마씨유, 들기름, 참기름, 달맞이기름, 리놀레산, 대두유, 포도씨유, 팜유, 올리브유, 아몬드유, 맥아유, 피마자유, 아보카도유, 월견초유, 로즈힐유, 상어간유 등의 지질 각 10 g이 담긴 유리용기에 바이오이소플라본 (SK Bioland 제) 2 g을 넣고 80 도 반응기에서 24 시간 용해하였다. 이 혼합지질을 고속으로 원심분리하여 입자들을 침전시킨 다음, 상층액 0.5 ml을 취하여 유리병에 넣고 5 ml의 xylene으로 희석하였다.
DZ 및 GN의 0.1 % xylene 표준용액과 상기 이소플라본이 용해된 지질 혼합액의 GC/MS 분석을 행하여 지질 속 DZ 및 GN을 정량분석을 하였다.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레시틴의 용해도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유지 이소플라본 농도 (%) 유지 이소플라본 농도 (%)
DZ GN DZ GN
레시틴 3.15 0.60 참기름 1.24 0.21
비타민 E 1.23 0.20 달맞이기름 1.14 0.23
올레익산 0.86 0.18 리놀레산 1.06 0.18
오메가-3 0.92 0.15 대두유 0.90 0.14
아마씨유 1.15 0.22 포도씨유 0.86 0.12
대마씨유 1.13 0.15 팜유 0.75 0.11
들기름 1.20 0.21 피마자유 1.23 0.28
올리브유 1.11 0.15 아보카도유 0.97 0.12
아몬드유 0.86 0.13 월견초유 1.12 0.21
맥아유 1.32 0.23 상어간유 0.96 0.14
로즈힐유 1.41 0.25
표 3은 80 oC에서 용해 실험한 유지 내의 DZ 및 GN의 농도이다.
실험예 3
이소플라본의 사포닌 및 Tween 계열 계면활성제에 대한 용해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Tween 20, 40, 60 및 80 등의 식품용 계면활성제가 각 10 g이 담긴 유리용기에 바이오이소플라본 (SK Bioland 제) 2 g을 넣고 상온에서 24 시간 교반하며 용해하였다. 이 혼합 계면활성제를 고속으로 원심분리하여 입자들을 침전시킨 다음, 상층액 0.5 ml을 취하여 유리병에 넣고 5 ml의 xylene으로 희석하였다.
DZ 및 GN의 0.1 % xylene 표준용액과 상기 이소플라본이 용해된 계면활성제 혼합액의 GC/MS 분석을 행하여 지질 속 DZ 및 GN을 정량분석을 하였다. 표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표 2의 대부분 지질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Surfactants HLB 농도 (%)
DZ GN
Tween 20 16.7 0.19 0.01
Tween 40 15.6 0.23 0.08
Tween 60 14.9 0.36 0.01
Tween 80 15.0 0.65 0.03
Saponin (Junsei) 13.1 0.75 0.10
표 4은 상온에서 용해도 실험을 행한 사포닌 및 Tween 계열 계면활성제의 DZ 및 GN의 농도이다.
실험예 4
유지가 이소플라본 페이스트의 점도 및 이소플라본 용해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표 5의 비교예 조성물과 실시예 1 및 2를 서로 비교하였다. 용해도 조사방법은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였고 절대점도는 Brookfield 점도계 (spindle s64 (LV4), 회전수 50 rpm)로 측정하였다.
조성물 비교예 실시예 1 실시예 2
Bioisoflavone 100 100 100
Soy lecithin 800 800 800
Egg lecithin 50 50 50
Oleic acid 0 100 200
Saponin 10 10 10
도 1에서와 같이 올레익산의 함량의 증가에 따라 시료 내 용해된 이소플라본 농도가 감소되어 용해도가 다소 감소한 것으로 보이나 크게 영향은 미치지 않는 것으로 사료된다. 반면 절대점도는 올레익산 첨가에 의하여 급격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이소플라본 페이스트의 연질캡슐 제조 시, 올레익산과 같은 유지의 혼합은 매우 유용하다.
실험예 5
이소플라본 페이스트의 생체흡수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이소플라본 분말과 이소플라본 페이스트를 약동학적으로 비교하였다. 이때 실험군은 실시예 1의 이소플라본 페이스트를 정제수에 30% 농도로 분산하였고 비교군은 이소플라본 분말을 동일한 농도가 되게 정제수에 분산하여 사용하였다.
실험동물은 10주령 Sprague-Dawley 암컷 랫드를 사용하였고 각 시료 당 이소플라본 투여량은 10 mg/kg이었고 이소플라본 혈중농도 측정은 투여 후 1, 2, 6 시간으로 하였다.
도 2의 약동학적 실험결과로 볼 때, 이소플라본 페이스트 (실시예 1) 현탁액의 플라즈마내 이소플라본 농도가 상대적으로 높아 생체흡수율이 이소플라본 분말 현탁액 (비교군)에 비해 이소플라본 (DZ, GN의 합)의 체내 흡수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으로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0)

  1. 이소플라본; 레시틴; 친수성 계면활성제; 및 유지;를 포함하는 이소플라본의 생체흡수율이 증진된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소플라본은 다이드제인(daidzein), 제니스테인(genistein) 및 이퀄(equol)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이소플라본의 생체흡수율이 증진된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시틴은 콩유래 레시틴 및 계란유래 레시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이소플라본의 생체흡수율이 증진된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계면활성제는 사포닌(saponin), 트윈 20(Tween 20), 트윈 40(Tween 40), 트윈 60(Tween 60), 트윈 80(Tween 80), 수크로오즈 모노라우레이트(sucorose monolaurate)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polyoxyethylene sorbitan monostearate)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이소플라본의 생체흡수율이 증진된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는 올레익산, 생선유래 오메가-3, 생선오일, 아마씨유, 대마씨유, 들기름, 참기름, 달맞이기름, 리놀레산, 버터, 대두유, 포도씨유, 팜유, 올리브유, 아몬드유, 맥아유, 피마자유, 아보카도유, 월견초유, 로즈힐유 및 상어간유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이소플라본의 생체흡수율이 증진된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소플라본, 레시틴, 친수성 계면활성제 및 유지는 1: 6 내지 10 : 0.05 내지 0.15 : 0.5 내지 5 의 중량비로 포함되는, 이소플라본의 생체흡수율이 증진된 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소플라본 100 중량부에 대하여, 레시틴은 600 내지 1000 중량부, 친수성 계면활성제는 5 내지 15 중량부, 유지는 50 내지 500 중량부로 포함되는, 이소플라본의 생체흡수율이 증진된 조성물.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이소플라본은 다이드제인 또는 제니스테인이고,
    상기 레시틴은 콩유래 레시틴 또는 계란유래 레시틴이며,
    상기 친수성 계면활성제는 사포닌이며,
    상기 유지는 올레익산인, 이소플라본의 생체흡수율이 증진된 조성물.
  9.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건강기능 식품 조성물 또는 화장료 조성물인, 이소플라본의 생체흡수율이 증진된 조성물.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건강기능 식품 조성물이며,
    상기 식품은 영양제, 초콜렛, 두유, 우유, 겔화된 식품 중 어느 하나 이상인, 이소플라본의 생체흡수율이 증진된 조성물.
KR1020190032651A 2018-03-23 2019-03-22 이소플라본의 생체흡수율이 증진된 조성물 KR2019011181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3735 2018-03-23
KR20180033735 2018-03-23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1516A Division KR102237404B1 (ko) 2018-03-23 2021-02-18 이소플라본의 생체흡수율이 증진된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1818A true KR20190111818A (ko) 2019-10-02

Family

ID=6842278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2651A KR20190111818A (ko) 2018-03-23 2019-03-22 이소플라본의 생체흡수율이 증진된 조성물
KR1020210021516A KR102237404B1 (ko) 2018-03-23 2021-02-18 이소플라본의 생체흡수율이 증진된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1516A KR102237404B1 (ko) 2018-03-23 2021-02-18 이소플라본의 생체흡수율이 증진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190111818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833498B1 (en) 2004-11-29 2010-01-27 Unilever PLC Oral composition for enhancing skin properties
KR101195114B1 (ko) 2003-05-20 2012-10-25 (주)하야시바라 생물화학연구소 수 가용성 이소플라본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및 그 용도
KR101815316B1 (ko) 2015-12-31 2018-01-04 주식회사 풀무원 이소플라본 니오좀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09663B1 (en) 1999-08-17 2001-10-30 Lipocine Inc. Triglyceride-free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enhanced absorption of hydrophilic therapeutic agents
CN1853728A (zh) * 2005-04-19 2006-11-01 上海天博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改善药物或营养物口服吸收的方法、配方及其应用
KR101272976B1 (ko) * 2006-09-19 2013-06-10 (주)아모레퍼시픽 경구용 피복 조성물
KR20150030971A (ko) * 2013-09-13 2015-03-23 한국콜마주식회사 난용성 의약품의 수용액상 에멀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52455B1 (ko) 2015-04-23 2016-09-12 다당앤(주) 장기 안정성을 갖는 고함량의 수 가용성 이소플라본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5114B1 (ko) 2003-05-20 2012-10-25 (주)하야시바라 생물화학연구소 수 가용성 이소플라본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및 그 용도
EP1833498B1 (en) 2004-11-29 2010-01-27 Unilever PLC Oral composition for enhancing skin properties
KR101815316B1 (ko) 2015-12-31 2018-01-04 주식회사 풀무원 이소플라본 니오좀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cta Pharmacologica Sinica. 2005; 26(9): 1145-1152
Am J Clin Nutr. 2009;90:234-42
Biomed. Pharmacother. 2004; 58: 173-182
Biosci. Biotechnol. Biochem., 71(12), 2927-2933, 2007
Comprehensive evaluation of the role of soy and isoflavone supplementation in humans and animals over the past two decades. Wiley. 2018
CrystEngComm, 19, 7146-7153, 2017
Food safety commission, novel foods expert committee, Japan, 2006
J Korean Med Sci. 2009;24:867-73
Korean J. Medicinal Crop Sci., 21, 401-414, 2013
Nature Rev. Drug Disc. 2007; 6: 231-248
The Journal of Clinical Endocrinology & Metabolism. 2001;86(11):5217-522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7404B1 (ko) 2021-04-12
KR20210025033A (ko) 2021-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omunian et al. The use of food by-products as a novel for functional foods: Their use as ingredients and for the encapsulation process
US6190680B1 (en) Oily composition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Pan et al. Xanthan gum-assisted fabrication of stable emulsion-based oleogel structured with gelatin and proanthocyanidins
KR100458624B1 (ko) 나노파티클 분산 입자를 가지는 음료용 식물 스테롤의분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음료
CN100374044C (zh) 含有生物活性亲脂化合物的初级组合物
CN107404927A (zh) 多重补充品组合物
Acevedo-Fani et al. Digestive dynamics of yoghurt structure impacting the release and bioaccessibility of the flavonoid rutin
CN105613789A (zh) 一种高脂高膳食纤维复合动植物粉末油脂、其制备方法及应用
JP7290011B2 (ja) ルテオリン含有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Liu et al. Construction of curcumin-fortified juices using their self-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as natural delivery systems: grape, tomato, and orange juices
JPH11188256A (ja) 油性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0157168A (ja) 油性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237404B1 (ko) 이소플라본의 생체흡수율이 증진된 조성물
JP7332081B2 (ja) ルテイン含有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7138151A (ja) ソフトカプセル剤及びその製造方法
JP6211220B1 (ja) カプセル用アントシアニン含有組成物及びカプセル剤
JP2000024487A (ja) 油性組成物を含有した乳化組成物
JP5886457B1 (ja) カプセル用アントシアニン含有組成物及びカプセル剤
EP2402007A1 (en) Coenzyme q10-containing composition for oral ingestion
Younas et al. A narrative review on extraction techniques of phytosterols and their applications in food industry
Nor et al. Evolutions in virgin coconut oil: Liquid to powder
JP2017014125A (ja) ソフトカプセル用アントシアニン含有組成物及びソフトカプセル剤
KR101111390B1 (ko) 토코페롤, 비타민c와 레시틴이 첨가된 기능성 커피믹서 및 그 제조방법
JP2000026884A (ja) 油性組成物を含有した粉末組成物
AU2021100182A4 (en) A preparation method for micro capsule powder of eucommia ulmoides seed oil and its appl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