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5316B1 - 이소플라본 니오좀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이소플라본 니오좀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5316B1
KR101815316B1 KR1020150191458A KR20150191458A KR101815316B1 KR 101815316 B1 KR101815316 B1 KR 101815316B1 KR 1020150191458 A KR1020150191458 A KR 1020150191458A KR 20150191458 A KR20150191458 A KR 20150191458A KR 101815316 B1 KR101815316 B1 KR 1018153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soflavone
nsv
cosmetic composition
niozyme
soybe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914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0178A (ko
Inventor
김호연
김태석
여익현
남승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풀무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풀무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풀무원
Priority to KR10201501914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5316B1/ko
Publication of KR201700801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01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53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53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4Liposomes; Ves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6-membered ring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e.g. couma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5Phosphorus compounds
    • A61K8/553Phospholipids, e.g. lecith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이소플라본 니오좀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리피드 베이스(lipid base)를 제조하고, 보조 계면활성제 및 오일류를 추가하여 유화제를 제조한 뒤, 유화제를 가열하여 리피드 베이스에 혼합한 다음, 이소플라본 파우더에 글리세린과 부틸렌글리콜을 혼합하여 이소플라본 솔루션을 제조하여 유화시킨 뒤 고압 미세 분쇄 유화기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니오좀(non-ionic surfactant vesicle, NSV; niosome)을 제조하는 방법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니오좀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본 발명의 방법은 피부 미백 및 피부 노화에 더 효과적인 이소플라본 니오좀을 함유하는 화장품을 제조하는 데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이소플라본 니오좀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Methods of isoflavone niosome and cosmetic compositions comprising thereof}
본 발명은‘이소플라본 니오좀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리피드 베이스(lipid base)를 제조하고, 보조 계면활성제 및 오일류를 추가하여 유화제를 제조한 뒤, 가열하여 리피드 베이스에 혼합한 다음, 이소플라본 파우더에 글리세린과 부틸렌글리콜을 혼합하여 이소플라본 솔루션을 제조하여 유화시킨 뒤 고압 미세 분쇄 유화기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니오좀(non-ionic surfactant vesicle, NSV; niosome)을 제조하는 방법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니오좀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콩 대두(Soybean)는 이소플라본(isoflavone) 및 이소플라반(isoflavan)과 같은 폴리페놀류(polyphenol derivative)를 함유하고 있다. 이 중에서 이소플라본은 글루코사이드(glucoside)를 가진 글루코시딕 이소플라본(glucosidic isoflavone)과 글루코오스 단위가 가수 분해되어 제거된 비글루코시딕 이소플라본(non-glucosidic isoflavone)으로 나누어진다. 이중에서 콩 대두에 존재하는 글루코시딕 이소플라본의 대표적인 성분이 제니스틴(genistin)이며, 비글루코시딕 이소프라본의 대표적인 성분이 제니스테인(genistein)이다. 제니스틴과 제니스테인을 비교하면 제니스틴은 수용성으로 피부 침투가 용이하지 않으며 생체 활성화 전환(bio-active transformation)이 용이하지 않은 반면, 제니스테인은 반응성이 커서 생체 활성화 전환이 가능하다. 이 전환된 구조는 피토에스트로겐(phytoestrogen)으로 명명되며, 인체에 존재하는 에스트로겐과 유사한 화학적 구조를 갖는다(도 1 참조). 에스트로겐과 유사한 구조이며, 지용성인 제니스테인은 피부 지질막을 용이하게 침투하여 세포 증식활성(cell proliferation)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세포 증식활성으로 인하여 피부 미백 및 피부 주름 개선 효과를 나타낸다. 미백 효과는 티로시나아제(tyrosinase)의 N-글리코실화(N-glycosylation)를 억제하여 미백 효과를 나타내며, MMP(matris metalloprotein)의 발현을 억제하여 피부 주름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대인들은 자외선, 스트레스 등의 여러 가지 내외적인 요인에 의해 각종 피부 트러블 유발로 기미, 주근깨, 피부 색소 침착 및 피부 노화 등의 현상이 발생한다(Voegeli, R. 1996. Elastase and typtase determination onhuman skin surface. Cosmetic &Toiletries. 111, 51-58.). 따라서 화장료의 가장 큰 목표는 이런 노화증세를 개선하는데 있고, 이를 위한 다양한 화장료가 개발되어지고 있다. 최근에는 천연으로부터 얻어지는 성분들을 화장품에 이용하는 사례가 급증하고 있어, 천연 식물성분들에 대한 다양한 피부 생리활성을 검색하여 피부미용효과가 우수한 물질들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생약 성분들은 그 자체가 불안정할 뿐만 아니라 화장료에 적용시 화장료의 안정성에 큰 문제점을 갖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약 분야, 화장품 및 식품 분야 등에서 생리 활성 성분이 파괴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방법으로 리포좀의 한 종류인 니오좀을 이용하고 있다.
니오좀(niosome, Nonionic Surfactant Vesicle, NSV)은 안정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Polyoxyethylene alkyl ether),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스터(Polyoxyethylene alkyl ester) 등을 사용한다. 최근 계면활성제의 발전으로 다양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이용되고 있다. 니오좀과 리포좀이 구조적인 면은 유사하나 차이가 있고, 입자의 안정화는 막을 유지시켜주는 콜레스테롤 성분에 의해 좌우된다. 비이온 계면활성제로 구성된 니오좀은 비이온 계면활성제 자체만으로는 지질과 같은 역할을 기대할 수 없으며, 천연지질성분과 유사하도록 글리세린 골격에 인산염 유도체를 접목시켜 양친매성 성질을 갖게 만든 물질을 이용한다.
따라서, 이소플라본의 비배당체의 많은 양을 포함하고, 더 안정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니오좀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한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이를 이용한 이소플라본의 비배당체의 함량이 높고, 피부 미백 및 피부 주름 개선 효과가 좋은 화장품에 대한 개발이 필요하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콩 대두에서 추출한 이소플라본의 비배당체 함량을 높일 수 있도록 니오좀을 제조하는 방법을 연구하고, 이소플라본의 비배당체 함량을 높여서 제조한 니오좀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a) 리피드 베이스(lipid base)를 제조하는 단계;
(b) 보조 계면활성제 및 오일류를 추가하여 유화제를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에서 제조한 용액을 가열하여 상기 (a)의 리피드 베이스에 혼합하는 단계;
(d) 이소플라본 파우더에 글리세린과 부틸렌글리콜을 혼합하여 이소플라본 솔루션을 제조하는 단계;
(e) 상기 (c) 단계에서 제조한 용액에 상기 (d) 용액을 첨가하여 유화시키는 단계; 및
(f) 상기 (e) 단계에서 제조한 용액을 고압 미세 분쇄 유화기로 리포좀(liposome)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니오좀(non-ionic surfactant vesicle, NSV; niosome)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니오좀(NSV)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리피드 베이스(lipid base)를 제조하는 단계;
(b) 보조 계면활성제 및 오일류를 추가하여 유화제를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에서 제조한 용액을 가열하여 상기 (a)의 리피드 베이스에 혼합하는 단계;
(d) 이소플라본 파우더에 글리세린과 부틸렌글리콜을 혼합하여 이소플라본 솔루션을 제조하는 단계;
(e) 상기 (c) 단계에서 제조한 용액에 상기 (d) 용액을 첨가하여 유화시키는 단계; 및
(f) 상기 (e) 단계에서 제조한 용액을 고압 미세 분쇄 유화기로 리포좀(liposome)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니오좀(non-ionic surfactant vesicle, NSV; niosome)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니오좀(NSV)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a) 리피드 베이스(lipid base)를 제조하는 단계;
(b) 보조 계면활성제 및 오일류를 추가하여 유화제를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에서 제조한 용액을 가열하여 상기 (a)의 리피드 베이스에 혼합하는 단계;
(d) 이소플라본 파우더에 글리세린과 부틸렌글리콜을 혼합하여 이소플라본 솔루션을 제조하는 단계;
(e) 상기 (c) 단계에서 제조한 용액에 상기 (d) 용액을 첨가하여 유화시키는 단계; 및
(f) 상기 (e) 단계에서 제조한 용액을 고압 미세 분쇄 유화기로 리포좀(liposome)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니오좀(non-ionic surfactant vesicle, NSV; niosome)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각 단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a) 단계는 리피드 베이스(lipid base)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리피드 베이스’는 폴리글리세린-6 스테아레이트(polyglycerin-6 stearate), 폴리글리세린-6 베헤네이트(polyglycerin-6 behenate), 레이프시드 스테롤(rapeseed sterol), PEG-5 레이프시드 스테롤(PEG-5 rapeseed sterol), 콜레스테롤(cholesterol) 또는 베타-시토스테롤(beta-sitosterol),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리피드 베이스는 평균 6개의 글리세린을 축약 중합한 폴리글리세린에 지방산을 에스테르 결합한 모델인 폴리글리세린-6 계면활성제를 포함하고 있으며, 많은 종류의 구조식을 가진 에스테르의 혼합물을 포함하고 있다. 이는 친수기로서 사용하는 폴리글리세린의 평균 중합도, 친유기로서 사용하는 지방산의 종류, 결합하는 지방산의 수(에스테르화 정도)를 고려하여 본 발명의 니오좀의 구조를 만들기 위한 지질 성분으로서 사용하였다.
상기 (b) 단계는 보조 계면활성제 및 오일류를 추가하여 유화제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계면활성제’는 계면활성제는 물에 녹기 쉬운 친수성 부분과 기름에 녹기 쉬운 소수성 부분을 가지고 있는 화합물로, 하나의 분자내에 친수성과 친유성을 가진 화학적 구조를 지니고 있다. 이런 성질 때문에 비누나 세제 등으로 많이 활용되어 왔고, 이 외에도 식품과, 화장품의 유화제, 보습제로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계면활성제는 약간의 화학구조를 변형시킨 것만으로도 특성이 크게 달라지며, 물에서 해리되었을 때 친수성 부분의 전하에 따라 음이온성, 양이온성, 양쪽성, 비이온성, 특수계면활성제로 분류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유화제로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였다.
본 발명의 ‘유화제’는 서로 혼합하지 않는 2가지 액체가 안정적으로 혼합 될 수 있도록 추가하는 물질을 의미한다. 보통 분자 내에 친수기와 친유기의 양쪽을 함유하고 따라서 물과 기름의 경게면에 흡착층을 만들기 쉬운 표면 활성 물질이다. 본 발명에서는 리피드 베이스와 보습제를 안정적으로 혼합하는 데 사용하였다.
본 발명의 ‘유화제’는 1.2 헥산디올(1,2 hexanediol), 하이드로제네이티드 레시틴(Hydrogenated Lecithin), 포타슘 세칠 포스페이트(potassium cetyl phosphate), 중쇄트리글리세라이드(middle chain triglyceride, MCT) 또는 마카다미아 넛 오일(macadamia nut oil),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c) 단계는 (b) 단계에서 제조한 용액을 가열하여 (a) 단계에서 제조한 리피드 베이스에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가열’은 물질에 열을 가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서는 유화제를 80℃ 내지 100℃의 온도로 용액을 가열할 수 있다.
상기 (d) 단계는 이소플라본 파우더에 글리세린과 부틸렌글리콜을 혼합하여 이소플라본 솔루션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이소플라본(isoflavone)’은 대두에 많이 들어 있는 콩단백질의 하나이다. 에스트로겐과 유사한 구조이며, 지용성인 제니스테인 이소플라본은 피부 지질막을 용이하게 침투하여 세포 증식활성(cell proliferation)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세포 증식활성으로 인하여 피부미백 및 피부 주름 개선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글리세린(glycerin)’은 ‘글리세롤(glycerol)'이라고도 부르는 무색무취의 액체로 점성이 매우 강하다. 지방산과 같이 유지성분이며 3개의 수산기를 가진 3가 알코올이다. 합성 원료로 사용되는 것 외에 윤활제 또는 연고 같은 약품, 화장품의 반건제 정미제 등의 넓은 범위로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 ‘부틸렌글리콜(Butylene Glycol)’은 점성이 있는 무색의 투명한 액체로 카카오의 뿌리, 스위트콘 등에서 발견된다. 부틸렌글리콜은 2개의 수산기를 가지고 있는 폴리올류이다. 주로 유기 용매로 사용되며, 화장품에서 향기, 점도 감소제, 보습제, 마스킹 성분 등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글리세린과 부틸렌글리콜은 보습능력이 강해 니오좀내의 수분 함량을 높게 하기 위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니오좀을 포함하는 화장료의 피부 보습력을 높게 할 수 있다.
상기 (e) 단계는 (c) 단계에서 제조한 용액에 (d) 단계에서 제조한 용액을 첨가하여 유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유화’는 어떤 액체 속에 이것과 녹아서 섞이지 않는 다른 액체가 작은 입자로 분산되어 에멀젼을 생성하는 현상을 말한다. 유화를 시키는 데는 응축법과 분산법이 있는데, 보통은 거의 분산법에 의한다. 즉 기계적 교반, 진동, 분사 혹은 그것들을 적당히 조합한 조작을 이용하면 한쪽의 액체가 먼저 얇은 막 모양과 가는 실 모양으로 변형되고, 이것이 계면 장력의 영향에 의해 자연히 미세한 물방울로 분열되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상기 (f) 단계는 상기 (e) 단계에서 제조한 용액을 고압 미세 분쇄 유화기로 리포좀(liposome)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고압 미세 분쇄 유화기’는 액체 중에 다른 액체 입자를 기계적으로 미세하게 분산시켜서 균일한 에멀션을 얻는 장치이다. 다양한 형식의 장치들이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고압 펌프를 이용한 장치를 사용하였다. 혼합액에 고압을 가하고, 스프링을 이용한 밸브 등을 통하여 매우 좁은 간극에서 고속도로 분출시켜 강한 속도 기울기에 기인한 층밀리기와 혼합 작용에 의해 유화시키는 방식의 기기를 사용하였다.
본 발명에서 ‘리포좀(liposome)'은 인공지질막의 일종으로 리포좀은 크게 다막리포좀(Multilamella vesicle, MLV)과 단막리포좀(Unilamella vesicle, ULV)로 구분되고, 상기 ULV는 대단막리포좀(Large Unilamella vesicle, LUV)과 소단막리포좀(Small Uni lame lla vesicle, SLV)으로 나눌 수 있다. 상기 MLV, LUV, SLV는 각각 그 크기가 400-3,500nm, 100-1,000nm, 20-50nm이고 리포좀 안에 내포시킬 수 있는 량은 5-15%, 36-65%, 0.5-1.0%이다. 생리활성 물질을 내포시킬 수 있는 양은 LUV가 가장 많으나 불안정하고, SLV는 가장 안정하나 내포시킬 수 있는 양이 적다. 또한, 사람의 피부 구조는 다막(Multilamella)의 구조를 갖고 있어 MLV가 피부 친화력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서 ‘니오좀(niosome)'은 리포좀의 한 종류로, 안정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기반으로 하는 소낭이다. 주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와 콜레스테롤 혼합물을 첨가하여 형성한다. 니오좀은 리포좀과 유사한 이중층 구조를 가지고 있으나, 차이가 있으며 입자의 안정화는 막을 유지시켜주는 콜레스테롤 성분에 의하여 좌우된다.
본 발명에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nonionic surfactant)’는 수용액 중에서 이온으로 해리하지 않고 분자 전체로서 계면활성을 나타내는 물질을 의미한다. 또한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에테르와 다가 알코올을 친수기로 하는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해당된다. 상온에서는 보통 물에 용해하고 온도가 높아지면 용해도가 감소하여 탁해지며, 유화제, 분산제 또는 세정제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본 발명의 리피드 베이스는 니오좀(NSV)의 5중량% 내지 2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니오좀을 제조할 때 리피드 베이스를 20중량%보다 많이 함유하면 고체 왁스와 같이 굳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5중량%보다 적게 함유하면 충분한 양의 니오좀의 생성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5중량% 내지 20중량%의 리피드 베이스를 함유하여 니오좀을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니오좀(NSV)은 소이빈 이소플라본 비배당체 함량이 소이빈 이소플라본 총 중량 대비 15중량% 내지 5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이소플라본 비배당체’는 제니스테인, 다이드제인, 글리시테인이며, 이는 글루코오스가 가수분해되어 전환된 것으로 체내에서 흡수가 잘 되는 성분이다.
본 발명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니오좀(NSV)은 입자 크기가 50nm 내지 1000n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니오좀(NSV)은 제타 전위가 -40mV 내지 -70mV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타 전위(zeta potential)’는 액체 속의 콜로이드 입자의 표면 전기적 특성으로, 값이 클수록 입자 사이의 전기적 반발력이 큰 것을 의미한다. 값이 크면 입자들이 서로 반발하여 응집현상이 없고, 값이 적으면 입자 사이의 반발력이 적어 응집하게 되므로, 값이 적을수록 용액이 안정적인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니오좀(NSV)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니오좀(NSV)의 함량이 전체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0.1중량% 내지 2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혼합 조성물 이외에도 피부과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매질 또는 기제를 함유함으로써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국소적용 또는 전신적용할 수 있는 보조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적합한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으로는 예를 들면 용액, 겔, 고체 또는 반죽 무수 생성물, 수상에 유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현탁액, 마이크로에멀젼, 마이크로캡슐, 미세과립구 또는 이온형(리포좀), 비이온형의 소낭 분산제의 형태, 크림, 스킨, 로션, 파우더, 연고, 스프레이 또는 콘실 스틱(conceal stick)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포말(foam)의 형태 또는 압축된 추진제를 더 함유한 에어로졸 조성물의 형태로도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혼합 조성물에 추가로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 봉쇄제 및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의 성분들은 피부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제품으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스킨, 로션, 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에센스, 아이크림, 아이에센스, 바디로션, 바디크림, 바디에센스, 샴푸 및 린스 등의 제형을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일반 에멀전, 스킨, 로션, 에센스 등의 제으로 이루어진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비배당체 이소플라본이 MMP-1의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섬유아세포에 이소플라본 제니스테인을 처리하여 ELISA 리더기를 이용하여 4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 결과, 이소플라본 제니스테인을 처리하여 배양한 세포의 상층액에서 O.D값이 더 높게 나온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표 1 및 도 2 참조).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서 비배당체 이소플라본이 멜라닌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멜라닌 세포에 이소플라본 제니스테인을 처리하여 배양한 뒤 수득하여 얻은 상층액으로 흡광도를 측정한 결과, 이소플라본 제니스테인을 처리한 경우에 멜라닌 농도가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표 2 및 도 3 참조).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서 이소플라본 비배당체를 고농도로 함유하여 안정화시킨 니오좀을 제조하기 위하여 콩 대두에서 추출한 이소플라본을 농축시켜 파우더 타입으로 제조하여 함량을 분석한 결과, 이소플라본의 비배당체 함량이 배당체의 함량보다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표 3 참조).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서 이소플라본을 함유하는 니오좀을 제조하기 위하여 3단계로 나누어서 제조하였다. 폴리글리세린-6 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린-6 베헤네이트, 콜레스테롤 등을 함유하는 리피드 베이스를 제조하였다. 1.2 헥산디올,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중쇄트리글리세라이드 등을 함유하는 유화제를 제조하였다. 이소플라본 파우더에 글리세린과 부틸렌글리콜을 혼합하여 보습제를 제조하였다. 이후, 유화제를 고온에서 리피드 베이스에 혼합한 다음 온도를 낮춘 뒤 보습제를 첨가하여 고압 미세 분쇄 유화기에 통과 시킨 뒤 기포를 제거하여 니오좀을 제조하였다(표 4 참조).
기존에 알려진 니오좀을 제조하는 방법은 함유할 물질 외의 다른 물질들을 일괄적으로 혼합하여 함유할 물질을 추가하였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리피드 베이스, 유화제, 보습제를 제조한 다음, 3가지 물질을 혼합하여 니오좀을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한 리피드 베이스의 니오좀은 리피드 성분만 1차로 균질화시켜 분쇄한 후 이소플라본등의 기능성분과 함께 2차로 고압 분쇄하기 때문에, 기존의 방법으로 제조한 니오좀보다 더 안정적이어서 화장품을 제조할 때 용이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서는 파우더에서의 이소플라본 비배당체의 성분을 분석하고 니오좀에서의 이소플라본의 성분을 분석한 결과, 파우더에서는 다이드제인과 제니스테인의 함량이 약 35.5중량%인 것으로 나타났고(표 5 참조), 니오좀에서 다이드제인과 제니스테인의 함량이 약 2.01중량%인 것으로 나타났다(표 6 참조).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서는 이소플라본 니오좀의 안정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입자크기와 제타 전위를 분석한 결과, 5중량%의 이소플라본을 함유한 니오좀(도 4A)은 입자크기가 100nm 내지 500nm에서 분포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10중량%의 이소플라본을 함유한 니오좀(도 4B)은 입자크기가 200nm 내지 400nm와 1000nm 내지 1500nm에 분포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도 4 참조), 제타 전위 수치가 -53mV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5 참조).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서는 이소플라본 니오좀을 슬라이드 글라스에 도포하여 편광 현미경을 이용하여 액정모양을 측정한 결과 5중량%의 이소플라본 파우더를 함유한 니오좀(도 6A)과 비교하여 10중량%의 이소플라본 파우더를 함유한 니오좀(도 6B)에서 더 많은 액정을 관찰할 수 있었다(도 6참조).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서는 이소플라본 니오좀을 포함하는 에멀전, 스킨, 로션, 에센스 등을 제조하였고, 화장료의 경피 흡수 효과를 측정한 결과, 일반 에멀전의 평균 경피 흡수량보다 이소플라본 니오좀(NSV)을 함유하는 화장료의 평균 경피 흡수량이 약 8배가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표 8 참조).
따라서, 본 발명은 콩 대두에서 추출한 이소플라본을 함유하는 니오좀을 제조하는 방법과 제조한 니오좀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피부 미백 및 피부 노화에 더 효과적인 이소플라본 니오좀을 함유하는 화장품을 제공한다.
도 1은 이소플라본 제니스테인과 에스트로겐의 생체 활성화 구조를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콩대두에서 추출한 비배당체 이소플라본의 MMP-1(Matrix metalloproteinase-1) 활성 저해 효과를 나타낸 것으로, 비배당체인 이소플라본 제니스테인을 처리한 섬유아세포와 처리하지 않은 세포를 배양한 상층액에서 ELISA 법으로 측정한 MMP-1의 O.D값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콩대두에서 추출한 비배당체 이소플라본의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를 나타낸 것으로, 비배당체인 이소플라본 제니스테인을 처리한 멜라닌 세포와 처리하지 않은 세포의 멜라닌 함량(μg/well)을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소이빈 이소플라본 니오좀의 입자의 크기를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5중량%의 이소플라본을 함유한 니오좀의 입자 크기가 100nm 내지 500nm에 분포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고(A), 10중량%의 이소플라본을 함유한 니오좀의 입자 크기가 200nm 내지 400nm와 1000nm 내지 1500nm에 분포하는 것(B)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소이빈 이소플라본 니오좀의 계면 안정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제타 전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소이빈 이소플라본 니오좀을 편광 현미경으로 액정모양을 관찰한 것을 나타낸 것으로, 5중량%의 이소플라본 파우더를 함유하는 니오좀(A)과 10중량%의 이소플라본 파우더를 함유하는 니오좀(B)을 관찰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비배당체 이소플라본의 약리 활성 실험
<1-1> 비배당체 이소플라본의 MMP-1 생성 억제 효과
비배당체 이소플라본이 MMP-1(Matrix metaloprotease-1)의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섬유아세포에 이소플라본 제니스테인(isoflaveon genistein)을 처리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섬유아세포를 25웰 플레이트에 5×104cell/well의 농도로 넣은 다음 10% FBS(fetal bovine serum)을 첨가한 DMEM 배지로 37℃, 5% CO2 배양기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FBS를 포함하지 않고, 비배당체에 해당하는 이소플라본 제니스테인(genistein)을 10-7M의 농도로 첨가한 DMEM배지와 대조군으로서 제니스테인을 처리하지 않은 DMEM 배지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한 뒤 각각의 상층액을 수득하였다. 그 후 수득한 상층액을 이용하여 96 웰 플레이트를 코팅하고 4℃에서 12시간 동안 정치한 후, TPBS (Tween 20 in Phosphate buffered saline)로 3회 세척하고, 3% BSA(Bovine Serum Albumin)를 넣고 2시간 blocking하였다. 그 다음 ELISA 리더기(Imark)를 이용하여 4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표 1 및 도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이소플라본 제니스테인을 처리하여 배양한 세포의 상층액에서는 OD 값의 평균이 0.39이고, 대조군의 OD값은 0.21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이소플라본 제니스테인이 섬유아세포에서 MMP-1의 생성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섬유아세포에서 MMP-1의 함량 측정
MMP-1 Yield (O.D/mg protein) non-treated Isoflavone genistein-treated (10-7M)
Avg 0.39 0.21
SD (n=8) 0.04 0.035
<1-2> 비배당체 이소플라본의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
비배당체 이소플라본이 멜라닌(melanin)의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마우스 멜라노마 셀(melanoma cell)인 B16F10을 이용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마우스 멜라노마 셀(melanoma cell)인 B16F10 세포를 10% FBS를 포함하는 DMEM 배지로 37℃, 5% CO2 배양기에서 하루동안 배양한 다음, FBS를 포함하지 않고, 이소플라본 제니스테인(genistein)을 10-7M의 농도로 첨가한 DMEM배지와 대조군으로서 제니스테인을 처리하지 않은 DMEM 배지에서 2일간 배양하였다. 그 후 배양액에 포함되어 있는 멜라닌과 B16F10 세포에서 형성된 멜라닌을 각각 분석하였다. 배양액을 수득하여 13,500rpm으로 10분간 원심분리하였으며, 상층액을 ELISA 분석법으로 ELISA 리더기(Imark)를 이용하여 41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B16F10 세포를 trypsin-EDTA를 처리한 뒤 수득하였고, 80℃에서 0.3ml의 10% DMSO와 1N NaOH 용액을 첨가하였다. 그 다음 13,500rpm으로 10분간 원심 분리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흠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표 2 및 도 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제니스테인을 처리하지 않은 경우의 멜라닌 농도의 평균은 121.7μg/well이었고, 제시스테인을 처리한 경우의 멜라닌 농도의 평균은 105.7μg/well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이소플라본 제니스테인이 멜라노마 세포에서의 멜라닌 합성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멜라노마 세포에서 멜라닌의 함량 측정
멜라닌(melanin content)
(μg/well)
Non-treated Isoflavone genistein-treated
AVG 121.7 105.7
SD (n=3) 3.2 2.1
<실시예 2>
소이빈 이소플라본 니오좀(soy bean isoflavone niosome) 제조
<2-1> 고농도 비 배당체를 함유한 소이빈 이소플라본 파우더 제조
비 배당체 소이빈 이소플라본(soy bean isoflavone)을 제조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고농도 비 배당체의 소이빈 이소플라본 파우더를 제조하였다.
검정콩 또는 노란콩에 약 0.01중량%로 존재하는 비배당체 이소플라본을 에탄올로 추출하여 고순도로 정제하였다. 구체적으로는 1차로 에탄올을 이용하여 배당체를 추출한 뒤 농축 및 흡착 공정을 거쳐 비배당체 함량을 증가시켰다. 그 다음 2차로 다시 농축 및 결정화 단계를 거친 후 건조 공정을 통해 최종 파우더 타입으로 제조하였다. 제조한 파우더를 HPLC(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법으로 비 배당체 함량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표 3에 보이는 바와 같이 전체 이소플라본(isoflavone)의 함량이 콩에서 추출한 단백질 중량 대비 40.44중량%인 것으로 나타났고, 배당체의 함량은 총 0.62중량%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비배당체인 Daidzein의 함량이 22.5중량%, Glycitein의 함량이 0.02중량%, Genistein의 함량이 17.30중량%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파우더의 대부분이 이소플라본과 비배당체를 함유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소이빈 이소플라본 파우더의 성분
Isoflavones Total isoflavones 40.44% HPLC
Daidzin 0.40% HPLC
Clycitin 0.02% HPLC
Genistin 0.20% HPLC
Daidzein 22.50% HPLC
Glycitein 0.02% HPLC
Genistein 17.30% HPLC
<2-2> 지질을 기반으로 하는 이소플라본 니오좀의 제조
비 배당체 소이빈 이소플라본(soy bean isoflavone)을 함유하는 니오좀(Nonionic Surfactant Liposome, Niosome)을 제조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지질을 기반으로 하여 이소플라본 니오좀을 제조하였다.
표 4의 A에 해당하는 리피드 베이스(lipid base)를 제조한다. 구체적으로는 폴리글리세린-6 스테아레이트(polyglycerin-6 stearate)와 폴리글리세린-6 베헤네이트(polyglycerin-6 behenate), 레이프시드 스테롤(rapeseed sterol), PEG-5 레이프시드 스테롤(PEG-5 rapeseed sterol), 콜레스테롤(cholesterol), 베타-시토스테롤(beta-sitosterol)을 100℃에서 녹이면서 균일하게 용해시켜 리피드 베이스를 제조한다. 또한 표 4의 B에 해당하는 용액을 제조한다. 구체적으로는 정제수, 1.2 헥산디올(1,2 hexanediol),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Hydrogenated Lecithin), 포타슘 세칠 포스페이트(potassium cetyl phosphate), 중쇄트리글리세라이드(middle chain triglyceride, MCT), 마카다미아 넛 오일(macadamia nut oil)을 혼합하여 B 용액을 제조한다. 80℃ 이상으로 가열하여 용해한 리피드 베이스(A)에 넣은 다음 100℃에서 1시간 동안 습도를 높여준 후 40℃로 냉각시켰다. 또한 표 4의 C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2-1>에서 제조한 이소플라본 파우더에 글리세린(glycerin), 부틸렌글리콜(butylene glycol)을 혼합하였다. 그 다음 B용액을 포함하는 리피드 베이스에 C용액을 첨가하였고, 유화시킨 다음 고압 미세 분쇄 유화기(microfluidizer)를 이용하여 1,000바(bar)에서 연속으로 5회를 통과 시켰다. 이후 냉각시키고, 기포를 제거하여 나노좀(nanosome) 형태의 니오좀(niosome)을 제조하였다. 동일한 방식으로 리피드 베이스를 다르게 하여 니오좀을 제조하였고,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포타슘 세칠 포스페이트의 함량을 다르게 한 대조군을 제조하여 니오좀의 입자크기 및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표 4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하이드로제네이티드 레시틴과 포타슘 세칠 포스페이트를 모두 함유하는 니오좀 1 및 니오좀 2는 안정된 형태를 유지하였으나, 포타슘세칠포스페이트 및 하이드로제네이티드 레시틴이 함유되지 않은 대조군 1 및 리피드베이스 함량이 20중량%로 첨가된 대조군 2의 경우에는 안정하지 못하고 분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리피드 베이스의 함량이 많을수록 입자 크기가 큰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리피드 베이스를 적용한 비배당체 이소플라본 니오좀(isoflavone niosome)
구분 성분/원료 니오좀 1
(중량%)
니오좀 2
(중량%)
대조군 1
(중량%)
대조군 2
(중량%)
A Lipid base 5.00 10.00 5.00 20.00
B 정제수 q.s(잔량) q.s q.s q.s
1.2 헥산디올 2.00 2.00 2.00 2.00
하이드로제네이티드 레시틴 2.00 2.00 - 2.00
포타슘 세칠 포스페이트 0.40 0.40 - 0.40
중쇄트리글리세라이드 5.00 5.00 5.00 5.00
마카다미아넛오일 10.0 10.0 10.0 10.0
C 글리세린 10.00 10.00 10.0 10.0
부틸렌글리콜 5.00 5.00 5.00 5.00
소이빈이소플라본 5.0 5.0 5.0 5.0
Disodium EDTA 0.01 0.01 0.01 0.01
입자 크기
(nm)
453.5 4543.5 490.3 8493.8
안정도 (40도/
1개월)
안정 안정 불안정 불안정
<2-2> 콩대두 파우더 및 소이빈 이소플라본 니오좀의 비배당체 함량 분석
상기 실시예 <2-1> 및 <2-2>에서 제조한 콩대두 파우더와 소이빈 이소플라본 니오좀에서 비배당체의 함량을 분석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HPLC(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를 실시하였다.
C18(4.6*250mm, 5μm) 칼럼을 이용하였고, 이동상 A는 물:메탄올:초산=88:10:2로 제조하였다. 또한 이동상 B는 메탄올:초산=98:2로 제조하였고, 유속은 1.0ml/min로 설정하였고, UV흡광광도 검출기를 260nm 범위의 조건으로 설정하였다. 이소플라본의 함량을 HPLC를 이용하여 정량하였다. 또한 식품 위생시험법에 근거한 HPLC 분석법을 실시하여 니오좀에서의 이소플라본 함량을 정량하였다.
그 결과, 표 5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콩대두 파우더에서 전체 첨가량에 대비하여 비배당체인 다이드제인(Daidzein)의 함량이 177.92mg/g이었고, 제니스테인(Genistein)의 함량이 178.95mg/g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콩대두 파우더에서 다이드제인과 제니스테인의 함량이 약 35.5중량%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표 6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소이빈 이소플라본 니오좀에서 비배당체인 다이드제인의 함량이 14.53mg/g이었고, 제니스테인의 함량이 5.49mg/g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니오좀에서의 비배당체인 다이드제인과 제니스테인의 함량이 약 2.01중량%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콩대두 파우더에서의 소이빈 이소플라본의 성분 분석
시험항목 결과
Daidzein 177.92
Genistein 178.95
Glycitein 불검출
Daidzin 3.48
Genistin 4.76
Glycitin 불검출
니오좀에서의 소이빈 이소플라본의 성분 분석
시험항목 결과
대두이소플라본(비배당체) 20.17
Daidzein 14.53
Genistein 5.49
Glycitein 불검출
Daidzin 0.11
Genistin 0.11
Glycitin 0.03
<실시예 3>
소이빈 이소플라본 니오좀의 입자 분석
<3-1>소이빈 이소플라본 니오좀의 입자 크기 및 제타 전위 분석
상기 실시예 <2-2>에서 제조한 소이빈 이소플라본 니오좀의 입자 크기를 분석하고, 계면의 안정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시에 <2-2>에서 제조한 이소플라본 니오좀을 정제수와 1:10의 비율로 희석하였다. 희석한 시료에서 Malvern사의 Zeta sizer S90으로 입자 크기를 3회 측정하였고, 희석한 시료를 이용하여 제타 전위를 3회 측정하였다. 또한 니오좀의 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75%의 습도와 40℃의 고온 조건에서 1일, 2일, 1주일, 1개월의 기간으로 모니터링 하였다.
그 결과, 도 4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소이빈 이소플라본 니오좀의 입자 크기다양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는 5중량%의 이소플라본을 포함하는 니오좀(A)의 입자 크기는 100nm에서 500nm까지 분포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10중량%의 이소플라본을 포함하는 니오좀(B)의 입자크기는 200nm 내지 400nm와 1000nm 내지 1500nm에서 분포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이소플라본 함량이 높을 수록 니오좀의 입자크기가 커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도 5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제타 전위 수치가 -53mV로 나타났고, 비주얼 안정성에 있어서도 상이 분리되지 않는 안정한 상태를 확인할 수 있었다.
<3-2> 소이빈 이소플라본 니오좀 입자의 액정 모양
상기 실시예 <2-2>에서 제조한 소이빈 이소플라본 니오좀의 액정 모양을 확인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시예 <2-2>에서 제조한 5중량%의 이소플라본 파우더를 함유한 니오좀과 10중량%의 이소플라본 파우더를 함유한 니오좀을 슬라이드 글라스에 얇게 도포하였다. 그 다음 Carl Zeiss 편광 현미경을 이용하여 비교 관찰하였다.
그 결과, 도 6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5중량% 이소플라본 파우더를 함유한 니오좀(도 6A)의 경우와 비교하여 10중량% 이소플라본 파우더를 함유한 니오좀(도 6B)에서 더 많은 액정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소이빈 이소플라본 니오좀의 입자 크기는 최대 약 5μm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4>
소이빈 이소플라본 니오좀의 이소플라본 포집율
상기 실시예 <2-2>에서 제조한 소이빈 이소플라본 니오좀에 이소플라본이 포집되어 있는 비율을 확인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시예 <2-2>에서 제조한 소이빈 이소플라본 니오좀을 정제수를 이용하여 1:20으로 희석시킨다. 희석시킨 시료를 0.45크기의 마이크로 필터를 가지고 있는 1.5ml 용량의 Nanosep MF Centrifugal device(Pall)에 첨가하여 20℃에서 10,000rpm으로 20분 동안 원심 분리 하였다. 그 다음 멤브레인 필터링이 된 하부의 시료를 이용하여 HPLC 시험법으로 정량 분석하였다.
그 결과, 표 7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5중량%의 이소플라본 파우더를 포함하는 니오좀 (니오좀 1)에서 비배당체의 포집율이 99.5%인 것으로 나타난 반면, 배당체의 포집율은 0.0%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비이온 계면활성제 소포(non-ionic surfactant vesicle, NSV)인 니오좀의 비배당체 포집율이 월등히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NSV 니오좀의 이소플라본 포집율
NSV 포집율 분석(%) 배당체 비배당체 합계
니오좀 0.0 99.5 99.50
<실시예 5>
소이빈 이소플라본 니오좀을 이용한 화장료
<5-1> 소이빈 이소플라본 니오좀을 이용한 화장료 제조
실시예 <2-2>에서 제조한 소이빈 이소플라본 니오좀을 포함하는 화장품이 피부 흡수를 촉진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화장료를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소이빈 이소플라본 니오좀을 이용하여 일반 에멀젼을 제조하였다. 하기 <제제예>에 기재되어 있는 성분을 용기에 넣은 다음 80℃에서 용해시킨 뒤 균일하게 혼합될 수 있도록 호모 믹서(homomixer)를 이용하여 5분 동안 유화시켰다. 그 후 냉각시킨 뒤 기포를 제거하여 일반 에멀전, 스킨, 로션, 에센스를 각각 제조하였다.
<제제예> 소이빈 이소플라본 니오좀을 이용한 화장료 제조
1. 일반 에멀전의 제조
정제수 qs
Montanove L 3.50%
Glyceryl stearate 1.00%
Cetyl alcohol 3.00%
Stearic acid 0.50%
Silicone 200 4.50%
Carbomer 0.30%
이소플라본 니오좀(Isoflavone Niosome) 0.10% ~ 20%
2. 스킨의 제조
이소플라본 니오좀 1.00- 20.00%
정제수 qs
글리세린 7.00%
히아루론산 1.00%
폴리글루탐산 1.00%
3. 로션의 제조
정제수 qs
Montanove L 3.00%
Glyceryl stearate 1.00%
Cetyl alcohol 1.50%
Stearic acid 0.50%
Silicone 200 1.50%
Carbomer 0.30%
해바라기오일 5.00%
카프릭/카프릴릭 트리글리세라이드 5.00%
이소플라본 니오좀 1.00% ~ 20%
4. 에센스의 제조
카보머 0.40%
히아루론산 1.00%
폴리글루탐산 5.00%
소듐 이디티에이 0.05%
해바라기오일 1.00%
카프릭/카프릴릭 트리글리세라이드 3.00%
피이지-1500 1.00%
글리세린 7.00%
정제수 qs
이소플라본 니오좀 1.00% ~ 20%
<5-2> 소이빈 이소플라본 니오좀을 함유하는 화장료의 경피 흡수 촉진 효과
상기 실시예 <5-1>에서 제조한 소이빈 이소플라본 니오좀을 함유하는 화장료의 경피 흡수 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실험을 실시하였다.
암컷 마우스의 등 쪽 피부를 채취하여 피하 지방과 조직들을 제거한 다음 프란츠 셀(Franz cell, D-primier V6A)의 도너(donor)와 리셉터(receptor) 사이에 피부를 끼운 다음 피부 위 표면에 화장료를 1ml씩 투여하였다. Receptor에는 pH 7.4의 완충액을 넣고 온도를 37℃로 유지하면서 300rpm으로 계속 교반 시켰다. 로션 베이스의 화장료를 피부 표면에 투여한 후 분획 수집기를 사용하여 일정시간 간격으로 채취하였다.
그 결과, 표 8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일반 에먼전의 평균 경피 흡수량은 0.2μg인 반면에 소이빈 이소플라본 니오좀을 포함하는 화장료의 평균 경피 흡수량은 1.7μg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이소플라본 니오좀의 제형은 일반 에멀전 제형과 비교하여 경피 흡수량을 약 8배가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소이빈 이소플라본 니오좀을 함유하는 화장료의 경피 흡수량
경피 흡수량 (μg) 일반 에멀전 NSV
AVG 0.2 1.7
분석 - 8배 증가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콩 대두에서 추출한 이소플라본을 함유하는 니오좀을 제조하는 방법과 이소플라본 니오좀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피부 미백 및 피부 노화에 더 효과적인 이소플라본 니오좀을 함유하는 화장품을 제조하는 데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Claims (10)

  1. (a) 폴리글리세린-6 스테아레이트(polyglycerin-6 stearate), 폴리글리세린-6 베헤네이트(polyglycerin-6 behenate), 레이프시드 스테롤(rapeseed sterol), PEG-5 레이프시드 스테롤(PEG-5 rapeseed sterol), 콜레스테롤(cholesterol) 및 베타-시토스테롤(beta-sitosterol)을 포함하는 리피드 베이스(lipid base)를 제조하는 단계;
    (b) 1.2 헥산디올(1,2 hexanediol), 하이드로제네이티드 레시틴(Hydrogenated Lecithin), 포타슘 세칠 포스페이트(potassium cetyl phosphate), 중쇄트리글리세라이드(middle chain triglyceride, MCT) 및 마카다미아 넛 오일(macadamia nut oil)을 포함하는 유화제를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에서 제조한 용액을 가열하여 상기 (a)의 리피드 베이스에 혼합하는 단계;
    (d) 이소플라본 파우더에 글리세린과 부틸렌글리콜을 혼합하여 이소플라본 솔루션을 제조하는 단계;
    (e) 상기 (c) 단계에서 제조한 용액에 상기 (d) 용액을 첨가하여 유화시키는 단계; 및
    (f) 상기 (e) 단계에서 제조한 용액을 고압 미세 분쇄 유화기로 리포좀(liposome)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니오좀(non-ionic surfactant vesicle, NSV; niosome)을 제조하는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피드 베이스는 니오좀(NSV)의 5중량% 내지 2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니오좀(NSV)은 소이빈 이소플라본 비배당체 함량이 소이빈 이소플라본 총 중량 대비 15중량% 내지 5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니오좀(NSV)은 입자 크기가 50nm 내지 1000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니오좀(NSV)은 제타 전위가 -40mV 내지 -70mV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1항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니오좀(NSV)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니오좀(NSV)의 함량이 전체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0.1중량% 내지 2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에센스, 아이크림, 아이에센스, 바디로션, 바디크림, 바디에센스, 샴푸 및 린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50191458A 2015-12-31 2015-12-31 이소플라본 니오좀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153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91458A KR101815316B1 (ko) 2015-12-31 2015-12-31 이소플라본 니오좀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91458A KR101815316B1 (ko) 2015-12-31 2015-12-31 이소플라본 니오좀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0178A KR20170080178A (ko) 2017-07-10
KR101815316B1 true KR101815316B1 (ko) 2018-01-04

Family

ID=59355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91458A KR101815316B1 (ko) 2015-12-31 2015-12-31 이소플라본 니오좀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531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1818A (ko) 2018-03-23 2019-10-02 주식회사 오스테온 이소플라본의 생체흡수율이 증진된 조성물
WO2021241786A1 (ko) * 2020-05-26 2021-12-02 주식회사 에이치엔에이파마켐 양이온성 고분자 접합체 및 리포좀을 포함하는 3중층 리포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20094630A (ko) 2020-12-29 2022-07-06 다윈그룹(주) Egf를 안정화한 니오좀 조성물 및 상기 니오좀을 제조하는 방법
KR102534424B1 (ko) * 2022-05-13 2023-05-18 심현철 베타시토스테롤(β-sitosterol)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및 상처 치료용 TCL-10 약학적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1475B1 (ko) * 2018-11-19 2020-11-2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난용성 성분 안정화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1818A (ko) 2018-03-23 2019-10-02 주식회사 오스테온 이소플라본의 생체흡수율이 증진된 조성물
KR20210025033A (ko) 2018-03-23 2021-03-08 주식회사 오스테온 이소플라본의 생체흡수율이 증진된 조성물
WO2021241786A1 (ko) * 2020-05-26 2021-12-02 주식회사 에이치엔에이파마켐 양이온성 고분자 접합체 및 리포좀을 포함하는 3중층 리포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10146469A (ko) * 2020-05-26 2021-12-06 (주) 에이치엔에이파마켐 양이온성 고분자 접합체 및 리포좀을 포함하는 3중층 리포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415735B1 (ko) 2020-05-26 2022-07-04 (주) 에이치엔에이파마켐 양이온성 고분자 접합체 및 리포좀을 포함하는 3중층 리포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20094630A (ko) 2020-12-29 2022-07-06 다윈그룹(주) Egf를 안정화한 니오좀 조성물 및 상기 니오좀을 제조하는 방법
KR102534424B1 (ko) * 2022-05-13 2023-05-18 심현철 베타시토스테롤(β-sitosterol)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및 상처 치료용 TCL-10 약학적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0178A (ko) 2017-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5316B1 (ko) 이소플라본 니오좀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4099173B2 (ja) コンブチャ(kombucha)を含む化粧品または皮膚用薬組成物
KR101339096B1 (ko) 과색소침착 피부용 피부 미백 조성물
KR101821207B1 (ko) 올레아놀릭산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70081192A (ko) 오리자놀, 미강유 및 인지질이 내포된 리포좀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18751B1 (ko) 탈분화 식물 프로토플라스트 내에 활성 물질이 인입된 구조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42311B1 (ko) 텐저레틴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JP4142640B2 (ja) 皮膚のための新規なポリオール−グリコシド組成物
KR20220015274A (ko) 고 농도의 병풀정량추출물을 포함하고 자가조립 방식으로 교질 입자를 형성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428341B1 (ko) 비누풀, 유카, 퀼라야 추출물이 함유된 천연계면활성제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01039849A (ja) 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
EP1635776B1 (de) Lipid-transferprotein - systeme und deren kosmetische dermatologische anwendung
KR102015173B1 (ko) 저자극성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040043192A (ko) 표피세포에 있어서의 라미닌 5 생산능을 증강시킬 수 있는물질 및 이들의 사용
KR20160000747A (ko) 다당체를 포함하는 유화제,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06712B1 (ko) 녹용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62039B1 (ko) 미세침 분말 및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천연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465976B1 (ko) 나노유화기술에 의해 진세노사이드 f1을 함유하는 미세 유화 입자 및 이를 사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30114502A (ko) 산수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90009054A (ko) 나노베지클 비타톡스를 함유하여 항산화 효과 및 눈가 주름개선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20150010778A (ko) 섬유아세포 붕괴의 방지
KR101854444B1 (ko) 아티초크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튼살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2001278783A (ja) 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
KR102247589B1 (ko) 모루셀라 추출물 및 께묵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620820B1 (ko) 진세노사이드 Rh2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외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