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0941A - 고온 에어 프라이어 유형의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고온 에어 프라이어 유형의 조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0941A
KR20190110941A KR1020190032106A KR20190032106A KR20190110941A KR 20190110941 A KR20190110941 A KR 20190110941A KR 1020190032106 A KR1020190032106 A KR 1020190032106A KR 20190032106 A KR20190032106 A KR 20190032106A KR 20190110941 A KR20190110941 A KR 201901109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ket
container
assembly
branches
hot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21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기욤 프리에토
제레미 코르뉘
Original Assignee
세브 에스.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브 에스.아. filed Critical 세브 에스.아.
Publication of KR201901109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09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95Frying baskets or other food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47J36/04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the materials being non-metallic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16Inse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23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 A47J37/0629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with electric heating elements
    • A47J37/0641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with electric heating element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air fry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23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 A47J37/0664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54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blowers providing forced air circ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63Small-size, portable barbecu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76Constructional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62Bowl 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rying-Pans Or Fryers (AREA)
  • Commercial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온 공기 송풍 시스템, 용기(2) 및 바스켓(1)을 포함하는 고온 에어 프라이어에 관한 것이다. 바스켓은 족부(19)를 구비한 핸들링 손잡이(18)를 포함하고, 용기는 상위 플랜지(3) 및 핸들링 손잡이의 수용 구역(10)을 포함한다. 족부는 바스켓이 용기 내에 위치될 때 상위 플랜지에 의해 지지되고 핸들링 손잡이는 수용 구역 내에 수용된다. 바스켓은 그것의 외벽 상에 적어도 하나의 제1 조립용 부품(30)을 포함하고 용기는 그것의 내벽 상에 적어도 하나의 제2 조립용 부품을 포함한다. 조립용 부품들은 바스켓이 용기 내에 위치되는 동안 핸들링 손잡이(18)가 그것의 수용 구역(10) 내에서 위치 설정될 때까지 그리고 바스켓의 바닥부를 용기의 바닥부와 이격하여 유지할 수 있게 하고 바스켓(1)을 조리 실행 위치로 위치시키도록 바스켓을 용기 내에 측방향으로 고정시킬 수 있게 하는 용기 내의 센터링된 바스켓의 지지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서로 연동하여 바스켓의 측방향 가이딩을 보장한다.

Description

고온 에어 프라이어 유형의 조리기기{COOKING APPARATUS OF THE HOT AIR FRYER TYPE}
본 발명은 고온 에어 프라이어 유형의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고 특히 고온 에어 프라이어의 용기 내의 바스켓 지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고온 에어 프라이어 유형의 조리기기는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다. 그러한 기기는, 예를 들어 감자튀김 또는 생선 등의, 식물성 또는 동물성일 수 있는 음식물의 가열조리 중에 지방질의 상당량을 제거하거나, 나아가 완전히 제거할 수 있게 한다. 실제로, 용기 내에서 순환되는 고온 공기 덕분에 소량의 기름으로, 또는 기름 없이 조리가 실행되며, 이로써 더욱 건강식이며 외부는 바삭하고 내부는 부드러운 음식물을 섭취할 수 있다. 조리용 기름이 저감 또는 제거됨으로써 기기들은 냄새 및 유분을 적게 방출하며, 나아가 그것의 세척은 단순화된다.
고온 에어 프라이어 유형의 조리기기는 일반적으로 조리할 음식물이 그 내부에 배치되는 바스켓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탈부착 가능한 용기를 포함한다. 일단 바스켓이 용기 내에 위치되면, 조립체는 상기 기기 내에 내장된 고온 공기 송풍 시스템을 이용하여 고온 공기가 그 내부로 공급되는 챔버 내에 삽입된다. 공급된 고온 공기는 챔버 내에서, 그리고 음식물이 들어있는 바스켓을 내장하는 용기 내에서 순환하고, 그 결과 음식물의 가열조리가 보장된다.
음식물의 균일한 가열조리를 보장하기 위하여, 바스켓의 바닥부는 용기의 바닥부와 이격되어 유지되어야 하고 고온 공기의 순환은 용기 내에서 적절해야 한다.
독일 실용신안 공개문헌 DE202017103259U에 공지된 고온 에어 프라이어에서는, 용기의 바닥부는 양각 형태를 가지며 바스켓은, 그것의 상위 전방부에는 용기의 상위 플랜지와 맞닿게 되는 제1 족부를 구비한 핸들링 손잡이를 포함하고, 그것의 하위 후방부에는 용기의 양각된 바닥부의 2개의 돌출부 상에 국지적으로 맞닿게 되는 2개의 제2 족부를 포함한다. 실시예는 용기 내부와 바스켓 주위로 고온 공기의 배분을 유리하게 하고 용기 내에 놓인 바스켓의 안정성을 보장하지만, 다수의 단점을 갖는다. 실제로, 바스켓을 용기 내에 위치시킬 때, 사용자는 제2 족부들이 용기 바닥부의 양각부와 맞닿도록 적절하게 위치시키면서 바스켓의 핸들링 손잡이가 용기의 플랜지 상에 삽입되도록 주의해야 하는데, 용기 상의 핸들링 손잡이의 삽입 구역 내에 존재하는 간극들로 인하여 용기 바닥부의 2개의 양각부 상에서 2개의 제2 족부가 바르지 않게 위치될 수 있다. 나아가, 용기 바닥부 상의 제2 족부들의 마찰로 인하여 상기 바닥부가 훼손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고온 에어 프라이어 유형의 조리기기로서, 용기 내 바스켓의 정확하고, 직관적이며 안정적인 위치설정을, 상기 용기 바닥부의 훼손 위험없이 보장하면서도, 바스켓 내에 배치된 모든 음식물을 적절히 가열조리 하기 위하여 용기 내에 고온 공기를 균일하게 배분할 수 있게 하는 조리기기를 구현한다.
그러한 목적으로, 본 발명은 고온 공기 송풍 시스템, 용기 및 바스켓을 포함하는 고온 에어 프라이어 유형의 조리기기와 관련된다. 조리기기는 또한 그러한 기기에서 통상적으로 보이는 다른 특성들, 즉 용기 내부에 수용된 바스켓과 함께 용기를 수용할 수 있게 하는 챔버를 포함한다. 고온 공기 송풍 시스템은 챔버 및 용기 내로 고온 공기를 공급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바스켓은 족부를 구비한 핸들링 손잡이가 배치된 전방 측을 포함하고 용기는 상위 플랜지 및 핸들링 손잡이의 수용 구역이 배치된 전방 측을 포함한다. 족부는 상위 플랜지에 의해 지지되고 핸들링 손잡이는 바스켓의 용기 내 위치설정시 수용 구역 내에 수용된다.
전방 측은, 일단 용기와 바스켓이 상기 기기의 챔버 내에 삽입되면 조리기기의 정면부에 배치되는 핸들링 손잡이에 의해 정의되며, 그 삽입은 상기 핸들링 손잡이 상에 전방에서 후방으로 작용함으로써 실행되며 인출은 역으로 실행된다.
괄목할 정도로, 본 발명에 따르면, 바스켓은 그것의 외벽 상에 적어도 하나의 제1 조립용 부품을 포함하고 용기는 그것의 내벽 상에 적어도 하나의 제2 조립용 부품을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제1 조립용 부품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조립용 부품은, 바스켓의 용기 내 위치설정시 핸들링 손잡이가 그것의 수용 구역 내에서 위치 설정될 때까지 서로 연동하며 바스켓의 측방향 가이딩을 보장하도록 구성되고, 용기 내에서 센터링된 바스켓의 지지 위치는 바스켓의 바닥부를 용기의 바닥부와 이격하여 유지할 수 있게 하고 바스켓을 조리 실행 위치로 위치설정 하도록 바스켓을 용기 내에서 측방향으로 고정시킬 수 있게 한다.
조리기기의 제1 설계에 따르면, 단독 제1 조립용 부품 및 단독 제2 조립용 부품이 구현된다. 바스켓은 그것의 외면 상에 하나의 제1 조립용 부품을 구비한 후방 측을 포함하고 용기는 그것의 내면 상에 하나의 제2 조립용 부품을 구비한 후방 측을 포함한다. 제1 조립용 부품 및 제2 조립용 부품은 바스켓이 용기 내에 위치될 때 바스켓의 바닥부를 용기의 바닥부와 이격하여 유지할 수 있게 하고 바스켓을 용기 내에 측방향으로 고정시킬 수 있게 하는 용기 내 센터링된 바스켓의 지지 위치 도달시까지 서로 연동하며 바스켓의 측방향 가이딩을 보장하도록 구성된다.
조리기기의 제2 설계에 따르면, 2개의 제1 조립용 부품 및 2개의 제2 조립용 부품이 구현된다. 바스켓은 각각 그것의 외면 상에 제1 조립용 부품을 구비한 2개의 측방향 측을 포함하고 용기는 각각 그것의 내면 상에 제2 조립용 부품을 구비한 2개의 측방향 측을 포함한다. 2개의 제1 조립용 부품 및 2개의 제2 조립용 부품은 바스켓이 용기 내에 위치될 때 바스켓의 바닥부를 용기의 바닥부와 이격하여 유지할 수 있게 하고 바스켓을 용기 내에 측방향으로 고정시킬 수 있게 하는 용기 내 센터링된 바스켓의 지지 위치 도달시까지 서로 연동하며 바스켓의 측방향 가이딩을 보장하도록 구성된다.
제1 조립용 부품 및 제2 조립용 부품의 개수가 다양하고 그 위치들은 예를 들어 바스켓의 외벽 형태 및 용기의 내벽 형태에 따르는 조리기기의 다른 변형예들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가이딩 및 센터링은 핸들링 손잡이를 수용 구역 내에 위치시키는 동안, 바스켓이 용기 내에서 고정되는 지지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바스켓을 직관적으로 용기 내에 위치시키는 것을 보장한다. 그 고정 상태는 바스켓과 용기 사이의 일정한 간격을, 특히 그것들의 전체 둘레에서 유지할 수 있게 하고, 이는 바스켓 윤곽 전체에서 균일한 고온 기류를 보장한다. 적어도 하나의 제1 조립용 부품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조립용 부품의 각각 외벽 및 내벽 상의 위치는 용기 내에서 바스켓을 상기 용기의 바닥부와 맞닿지 않고 유지할 수 있게 하고, 따라서 바스켓을 핸들링하는 동안 용기 바닥부 상의 모든 흠집을 예방할 수 있다.
조리기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제1 조립용 부품은 하나의 정점을 형성할 때까지 서로 접근하면서 상향 연장되는 2개의 가이딩용 브랜치를 포함한다. 그 외에, 각각의 제2 조립용 부품은 바스켓의 용기 내 위치설정시 2개의 브랜치 사이에 수용되게 되는 돌출 요소를 포함한다. 다시 말하자면, 2개의 브랜치는 다소 역전된 V형을 형성하고, 역전된 V형부는 2개의 브랜치 사이로 돌출 요소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고, 이어서 역전된 V형부가 좁혀짐으로써 바스켓을 용기 내에서 센터링하기 위하여, 브랜치들이 고정되고 돌출 요소와 맞닿게 될 때까지 브랜치들이 돌출 요소에 대향하여 바스켓을 가이딩할 수 있게 한다.
전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역 설계를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실제로, 바스켓 상의 제1 조립용 부품은 돌출 요소를 포함할 수 있고 용기 상의 제2 조립용 부품은, 본 경우에는 상향이 아닌 하향 연장되고 소형 보울을 형성할 때까지 서로 접근하는 2개의 브랜치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돌출 요소는 바스켓의 용기 내 위치설정시 소형 보울 내에 직면하게 될 때까지 2개의 브랜치 사이에 수용되게 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그리고 전술한 제1 설계에 따른 조리기기의 구현을 위하여, 가이딩 브랜치들의 하위 단부들은 상기 브랜치들에 대하여 직각으로 배치된 2개의 전향기에 의하여 기기의 전방을 향하여, 즉 핸들링 손잡이의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전향기들은 바스켓의 바닥부 하부에서 연장된다. 전향기들은 조리과정 동안 용기 내에서 고온 공기의 순환을 유도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고온 공기는 음식물의 최적의 가열조리를 위하여 용기 및 바스켓 내에서 제어되며 순환한다. 2개의 전향기는 용기의 전방을 향하여 배향된 첨단부를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브랜치들 및 전향기들은 하나의 동일한 부품으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브랜치들 및 전향기들은 플라스틱 재질이다. 전향기들은, 바스켓이 상기 용기 내에 수용될 때, 즉 2개의 브랜치간의 정점이 돌출 요소 상에 고정될 때 용기 바닥부 상의 모든 흡집 위험을 예방하도록, 용기의 바닥 부와 이격되어 유지되도록 구성된다.
제1 설계 또는 제2 설계에 따라 구현된 조리기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나아가 설계의 다른 모든 변형예에 따라, 각각의 돌출 요소는 용기의 내벽 상의 돌기부로 형성된다. 변형으로서, 각각의 돌출 요소는 용기의 내벽 상에 부착된 부품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이 목적하는 조리기기에 따르면, 잠금 시스템이 핸들링 손잡이와 수용 구역 사이에 배치되어 바스켓과 용기 간의 조립이 유지되도록 한다. 잠금 시스템은 바스켓을 용기로부터 분리하도록 제어 버튼에 의해 작동 해제될 수 있다. 그 특성들은 이미 프라이어 유형의 조리기기들에서 공지되어 있다.
고온 에어 프라이어 유형의 조리기기의 비한정적 실시예에 대한 이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특성과 장점들을 입증한다. 이러한 상세한 설명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도 1은 용기 내에 수용된 바스켓을 도시하며, 바스켓과 용기는 서로 조립되어 있다.
도 2는 도 1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3은 용기의 단독 상부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2개의 다른 각도에서 도시하는, 바스켓의 단독 사시도이며, 도 5에는 바스켓의 바닥부는 도시되지 않는다.
도 6은 제1 조립용 부품과 전향기들이 단일 부품으로 된 바람직한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은 고온 에어 프라이어 유형의 조리기기의 전체 조립체를 도시하지 않고, 다만 용기 및 바스켓에 관한 본 발명이 목적하는 특성들만을 도시한다. 그러한 조리기기의 다른 특성들(고온 공기 송풍 시스템, 용기 및 바스켓이 그 내부에 삽입되는 챔버...)은 이미 공지되어있으므로,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상술하지 않는다. 당업자는 이미 시판된 기존의 고온 에어 프라이어들을 참조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용기(2) 내에 위치되고 용기와 조립된 바스켓(1)을 도시한다. 도 1 내지 도 3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용기(2)는 상위 플랜지(3), 바닥부(4), 전방 측(5), 후방 측(6), 2개의 측방향 측(7, 8) 및 전방 측(5) 상에 배치된 정면부(9)를 포함한다. 수용 구역(10)이 정면부(9) 상에 마련된다. 상위 플랜지(3)는 수용 구역(10)과 대향하여 배치된 소형 홈(11)을 포함한다. 수용 구역(10)은 하위 부분(10a)에 개방부(12)를 포함한다. 도 1, 도 2, 도 4, 및 도 5가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바스켓(1)은 전방 측(13), 후방 측(14), 2개의 측방향 측(15, 16), 바닥부(17) 및 만곡 형태를 갖는 족부(19)를 이용하여 전방 측(13)에 고정된 핸들링 손잡이(18)를 포함한다. 핸들링 손잡이(18)는 수용 구역(10)에 적용된 규모를 갖는 본체(20) 및 파지용 핸들(21)을 포함한다. 제어 버튼(22)이 용기(2)에 대한 바스켓(1)의 잠금을 해제하기 위하여 걸쇠(24) 상에 작용하는 트랜스미션 메커니즘(23)을 작동하기 위하여 핸들(21)의 상위 부분에 배치된다. 바스켓(1)이 용기(2) 내에 위치될 때, 족부(19)는 소형 홈(11) 내에 위치하고, 본체(20)는 수용 구역(10) 내에 위치하며 걸쇠(24)가 개방부(12) 내로 투입되고 개방부(12)의 후방 에지(25) 하부에 맞물려서, 용기(2) 상에서 바스켓(1)의 잠금을 보장한다. 버튼(22)이 작동함으로써, 바스켓(1)의 잠금을 해제하고 용기(2)로부터 바스켓을 인출하기 위하여, 개방부(12)의 후방 에지(25)로부터 걸쇠(24)를 릴리스할 수 있다. 2개의 핑거부(26, 27)는 본체(20)의 측방향 측(20a, 20b) 상에 배치되고 수용 구역(10)의 측방향 측(10b, 10c) 상에 배치된 가이딩 홈(28, 29) 내에 위치하며, 핑거부들(26, 27)이 홈(28, 29) 내에 수용될 때, 바스켓(1)은 용기(2)에 대하여 전방에서 후방으로 평행이동하여 고정되고 바스켓(1)의 전방 측(13)은 용기(2)의 전방 측(5)에 대하여 측방향 평행이동으로 고정된다.
따라서, 트랜스미션 메커니즘(23), 걸쇠(24) 및 후방 에지(25)는 핸들링 손잡이(18)와 수용 구역(10) 사이에 배치된 잠금 시스템을 형성하여, 바스켓(1)과 용기(2)를 조리 실행 위치에서 조립된 상태로 유지하게 하고, 상기 잠금 시스템은 바스켓과 용기를 분리하도록 제어 버튼(22)에 의해 작동 해제된다.
도 4 내지 도 6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바스켓(1)은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재질, 예를 들어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PS)로 구현되는 제1 조립용 부품(30)을 포함한다. 부품(30)은 후방 측(14)의 외면(31) 및 바닥부(17)의 하위 면(32) 상에 3개의 조립지점(33, 34, 35)을 이용하여 부착되고, 상기 조립은 바닥부의 윤곽부(17a) 및 후방 측(14) 상에 나사식으로 실시된다. 부품(30)은, 하위 단부들(36a, 37a)은 벌어지고 상위 단부들(36b, 37b)은 정점(38)에서 조인되는 2개의 가이딩 브랜치(36, 37)를 포함한다. 2개의 브랜치(36, 37)는 후방 측(14)의 외면(31)에 대향하여 배치된다. 부품(30)은 또한 브랜치들(36, 37)에 대하여 직각으로 바닥부(17)의 하위 면(32) 하부에 배치된 2개의 전향기(39, 40)도 포함한다. 전향기들(39, 40)의 후방 단부들(39a, 40a)은 브랜치들(36, 37)의 하위 단부들(36a, 37a)을 연장하며, 전향기들(39, 40)의 전방 단부들(39b, 40b)은 하나의 첨단부(41)를 형성하도록 조인한다. 브랜치들(36, 37)은 바스켓(1)의 중앙 면에 대하여 서로 대칭적으로 배치되며, 정점(38)은 중앙 면 내에 위치한다. 마찬가지로, 전향기들(39. 40)은 바스켓(1)의 중앙 면에 대하여 서로 대칭적으로 배치된다.
도 3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용기(2)의 후방 측(6) 내면(42)은 상기 후방 측(6) 상에 돌기부를 구현함으로써 실시되는 돌출 요소(43)를 포함하는 제2 조립용 부품을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 돌출 요소(43)를 구현하기 위하여 내면(42) 상에 나사식으로 스터드(도시되지 않음)를 부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돌출 요소(43)는 용기(2)의 중앙 면 내에 배치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스켓(1)을 용기(2) 내에 위치시킬 때, 브랜치들(36, 37)의 하위 단부(36a, 37a)는 돌출 요소(43)의 각 측에 위치하고, 브랜치들(36, 37)의 벌어지는 형태는 바스켓(1)을 용기(2) 내에 삽입하는 동안 돌출 요소(43)가 상기 하위 단부들(36a, 37a) 사이에 삽입되는 것을 용이하게 하고, 브랜치들(36, 37) 사이의 간극이 좁아짐으로써, 상기 정점(38)이 상기 돌출 요소(43)에 대향하여 직면할 때까지 돌출 요소(43)에 대하여 정점(38)을 센터링할 수 있게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직면한 위치에서, 바스켓(1)의 바닥부(17)는 용기(2)의 바닥부(4)와 이격되어 조리 실행 위치로 놓인다. 마찬가지로, 전향기들(39, 40)은 용기(2)의 바닥부(4)와 접촉하지 않는다. 그 외에, 돌출 요소(43)는 브랜치들(36, 37)의 상위 단부들(36b, 37b) 사이에 고정되고, 이로써 용기(2)의 후방 측(6)에 대한 바스켓(1)의 후방 측(14)의 측방향 평면이동을 블로킹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일단 핸들링 손잡이(18)의 본체(20)가 수용 구역 내에 삽입되면, 상기 본체(20)의 핑거부들(26, 27)은 상기 수용 구역 상에서 홈들(28, 29) 내에서 전방에서 후방으로 고정되고, 이로써 바스켓(1)과 용기(2) 사이의 전방에서 후방으로(및 역방향으로)의 모든 평행이동을 블로킹하고, 따라서 정점(38)이 돌출 요소(43)에 대향하여 직면하여 유지되도록 보장한다. 다시 말하자면, 돌출 요소(43)는 2개의 브랜치들(36, 37)로부터 릴리스될 수 없다. 용기(2)의 전방 측(5) 및 후방 측(6)에 대한 바스켓(1)의 전방 측(13) 및 후방 측(14)의 측방향 평행이동이 고정되고 용기(2)에 대한 바스켓(1)의 전방에서 후방으로(및 역방향으로)의 평행이동이 고정됨으로써, 용기(2)에 대하여 센터링된 바스켓(1)이 유지될 수 있게 하고, 따라서 바스켓(1) 둘레와 용기(2) 둘레 사이의 일정한 공간(44)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용기(2) 내 바스켓(1)의 정확한 위치설정은 바스켓(1)의 용기(2) 내 삽입을 가이딩하는 브랜치들(36, 37) 및 돌출 요소(43) 덕분에 직관적으로 실행된다. 바스켓(1) 둘레와 용기(2) 둘레 사이의 일정한 공간(44)은 바스켓(1) 둘레에서 용기(2) 내 고온 공기의 균일한 배분을 보장한다. 바스켓(1)의 바닥부(17)를 용기(2)의 바닥부(4)와 이격하여 유지하는 것 또한 바스켓(1) 하부에서 고온 공기의 순환이 균일하도록 보장한다. 바스켓(1) 하부의 전향기들(39. 40)의 존재는 고온 기류의 배향을 가능하게 하고 용기(2) 및 바스켓(1) 내에서 기류가 적절하게 순환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른 특성들이 고려될 수 있다.
도 1, 도 2, 도 4 및 도 5가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바스켓(1)의 바닥부(17)는 세척을 용이하게 하고, 나아가 조리할 음식물의 유형에 따라 바닥부(17)를 교환하기 위하여 탈부착 가능하다. 그러한 이유로 바닥부(17)는 윤곽부(17a) 상으로 놓이고 탄성 박판(45, 46) 덕분에 제 위치에 유지된다.
핸들링 손잡이(18)는 바스켓(1)의 세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바스켓(1)으로부터 탈부착 가능하다. 그러한 이유로, 도 2 및 도 5가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핸들링 손잡이(18)의 본체(20)는 그것의 측방향 측(20a, 20b)에, 빗장(49)을 본체(20) 상에서 이동시키고 족부(19) 상에 배치된 자물쇠 판(50)으로부터 빗장을 인출하여, 본체(20)에 대하여 족부(19)를 잠금 해제하고 족부(19)에 대하여 핸들링 손잡이(18)의 하부를 향하여 릴리스할 수 있도록 작동될 수 있는 2개의 트리거(47, 48)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설계의 변형예들이 고려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스켓(1)의 후방 측(14) 외면(31) 상에, 돌출 요소(43)와 유사한 돌출 요소를 배치할 수 있고, 용기(2)의 후방 측(6) 내면(42) 상에는 브랜치들(36, 37)과 유사한 구성이지만 방향이 역전되어, 정점(38)이 하부에 있고 바스켓(1)이 용기(2) 내에 위치될 때 바스켓(1)의 돌출 요소가 수용되게 되는 소형 보울을 형성하는 2개의 브랜치를 배치할 수 있다. 그 경우, 전향기들(39, 40)은 도 4에 도시된 위치와 유사한 위치에서, 하나의 독립적 부품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돌출 요소(43)와 유사하고 용기(2)의 내면(51) 상에 배치되는 다수의 돌출 요소들을 고려할 수도 있고, 2개의 브랜치(36, 37)와 유사하고 바스켓(1)의 외벽(52) 상에 배치되고 돌출 요소들과 연결되는 브랜치들을 그 다수만큼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의 돌출 요소들이 용기(2)의 측방향 측(7, 8)의 내면(53, 54) 상에 배치되고, 2개의 브랜치의 2개의 세트는 바스켓(1)의 측방향 측(15, 16)의 외면(55, 56) 상에 배치된다. 그 경우, 전향기(39, 40)는 도 4에 도시된 위치와 유사한 위치에서, 하나의 독립적 부품을 이용하여 구현될 것이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돌출 요소들과 브랜치들의 내벽(51) 및 외벽(52) 상의 위치를 역전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2)

  1. 고온 공기 송풍 시스템, 용기(2) 및 바스켓(1)을 포함하는 고온 에어 프라이어 유형의 조리기기이며, 바스켓(1)은 족부(19)를 구비한 핸들링 손잡이(18)가 상부에 배치된 전방 측(13)을 포함하고, 용기는 상위 플랜지(3) 및 핸들링 손잡이의 수용 구역(10)이 상부에 배치된 전방 측(5)을 포함하고, 바스켓의 용기 내 위치설정시 족부는 상위 플랜지에 의해 지지되고 핸들링 손잡이는 수용 구역 내에 수용되는 조리기기에 있어서,
    바스켓(1)은 적어도 하나의 제1 조립용 부품(30)을 구비한 외벽(52)을 포함하고, 용기(2)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조립용 부품을 구비한 내벽(51)을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제1 조립용 부품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조립용 부품은, 바스켓(1)의 용기(2) 내 위치설정시에, 핸들링 손잡이(18)의 수용 구역 내 위치설정이 이루어질 때까지 서로 연동하고 바스켓의 측방향 가이딩을 보장하도록 구성되고, 바스켓이 용기 내에서 센터링된 지지 위치는 바스켓의 바닥부(17)가 용기의 바닥부(4)와 이격되어 유지될 수 있게 하고 조리 실행 위치로 바스켓(1)을 위치설정 하도록 용기 내에서 바스켓이 측방향으로 고정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바스켓(1)은 그것의 외면(31) 상에 하나의 제1 조립용 부품(30)을 구비한 후방 측(14)을 포함하고, 용기(2)는 그것의 내면(42) 상에 하나의 제2 조립용 부품을 구비한 후방 측(6)을 포함하고, 제1 조립용 부품 및 제2 조립용 부품은, 바스켓이 용기 내에 위치되는 동안, 바스켓의 바닥부(17)가 용기의 바닥부(4)와 이격되어 유지될 수 있게 하고 용기 내에서 바스켓이 측방향으로 고정될 수 있게 하는 용기 내의 바스켓의 센터링된 지지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서로 연동하여 바스켓의 측방향 가이딩을 보장하도록 구성되는, 조리기기.
  3. 제1항에 있어서, 바스켓(1)은 각각 그것의 외면(55, 56) 상에 제1 조립용 부품을 구비한 2개의 측방향 측(15, 16)을 포함하고, 용기(2)는 각각 그것의 내면(53, 54) 상에 제2 조립용 부품을 구비한 2개의 측방향 측(7, 8)을 포함하고, 2개의 제1 조립용 부품 및 2개의 제2 조립용 부품은, 바스켓이 용기 내에 위치되는 동안, 바스켓의 바닥부(17)가 용기의 바닥부(4)와 이격되어 유지될 수 있게 하고 용기 내에서 바스켓이 측방향으로 고정될 수 있게 하는 용기 내의 바스켓의 센터링된 지지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서로 연동하여 바스켓의 측방향 가이딩을 보장하도록 구성되는, 조리기기.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각각의 제1 조립용 부품은 하나의 정점(38)을 형성할 때까지 서로 접근하며 상향 연장되는 2개의 가이딩 브랜치(36, 37)를 포함하고, 각각의 제2 조립용 부품은 바스켓(1)의 용기(2) 내 위치설정시에 2개의 브랜치 사이에 수용되게 되는 돌출 요소(43)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5. 제2항의 종속항인 제4항에 있어서, 가이딩 브랜치들(36, 37)의 하위 단부들(36a, 37a)은 상기 브랜치들에 대하여 직각으로 배치되고 바스켓(1)의 바닥부(17)로 연장되는 2개의 전향기(39, 40)에 의해 기기의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고, 상기 전향기들은 용기(2) 내의 고온 공기의 순환을 유도할 수 있게 하는, 조리기기.
  6. 제5항에 있어서, 2개의 전향기(39, 40)는 용기(2)의 전방을 향하여 배향되는 첨단부(41)를 형성하는, 조리기기.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브랜치들(36, 37) 및 전향기들(39, 40)은 하나의 동일한 부품(30)으로 형성되는, 조리기기.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브랜치들(36, 37) 및 전향기들(39, 40)은 플라스틱 재질로 된, 조리기기.
  9.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향기들(39, 40)은 바스켓(1)이 용기(2) 상에 수용될 때, 상기 용기(2)의 바닥부(4)와 이격되어 유지되도록 구성되는, 조리기기.
  10. 제4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돌출 요소(43)는 용기(2)의 내벽(51) 상에 돌기부를 형성하는, 조리기기.
  11. 제4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돌출 요소(43)는 용기(2)의 내벽(51) 상에 부착된 부품으로 형성되는, 조리기기.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잠금 시스템(23, 24, 25)이 핸들링 손잡이(18)와 수용 구역(10) 사이에 배치되어, 바스켓(1)과 용기(2)를 조립 상태로 유지하게 하고, 상기 잠금 시스템은 바스켓을 용기에서 분리하도록 제어 버튼(22)에 의하여 작동 해제되는, 조리기기.
KR1020190032106A 2018-03-21 2019-03-21 고온 에어 프라이어 유형의 조리기기 KR2019011094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852456A FR3079121B1 (fr) 2018-03-21 2018-03-21 Appareil de cuisson du type friteuse a air chaud
FR1852456 2018-03-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0941A true KR20190110941A (ko) 2019-10-01

Family

ID=62597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2106A KR20190110941A (ko) 2018-03-21 2019-03-21 고온 에어 프라이어 유형의 조리기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160421B2 (ko)
EP (1) EP3542686A1 (ko)
KR (1) KR20190110941A (ko)
CN (1) CN110292315A (ko)
BR (1) BR102019005518B1 (ko)
CA (1) CA3037236A1 (ko)
FR (1) FR307912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4654B1 (ko) 2020-01-23 2021-05-21 김설진 식품건조가 가능한 에어프라이어용 조리용기
KR200495376Y1 (ko) * 2020-12-31 2022-05-10 (주)사이이 에어프라이어 튀김 바스켓용 커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65028A1 (en) 2017-08-09 2021-08-18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FR3079120B1 (fr) * 2018-03-21 2021-03-05 Seb Sa Appareil de cuisson du type friteuse a air chaud avec une capacite de cuisson evolutive
USD926512S1 (en) * 2019-01-15 2021-08-03 National Presto Industries Electric deep fryer
US11051654B2 (en) 2019-02-25 2021-07-06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WO2020176477A1 (en) 2019-02-25 2020-09-03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system with guard
CN112584727A (zh) 2019-07-15 2021-03-30 沙克忍者运营有限责任公司 烹饪装置及其部件
US11678765B2 (en) 2020-03-30 2023-06-20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US11882961B1 (en) 2023-01-18 2024-01-30 Sharkninja Operating Llc Cover plate for cooking devices
USD984196S1 (en) * 2023-02-08 2023-04-25 Suzhou Wanjiade Technology Co., Ltd. Air fryer liner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68112A (en) * 1955-05-13 1959-01-13 George H Bushway Cooking machine
FR2848088B1 (fr) * 2002-12-06 2005-01-07 Seb Sa Appareil electrique de cuisson comportant une cuve associee a un dispositif de versement
FR2848404B1 (fr) * 2002-12-13 2005-01-28 Seb Sa Friteuse electrique avec un boitier exterieur
WO2007145516A2 (en) * 2006-06-11 2007-12-21 Princess Household Appliances B.V. Device for accelerated draining of food which has just been deep-fried
US20170231430A1 (en) * 2016-02-12 2017-08-17 Nuwave, Llc Air Fryer
CA3032436A1 (en) * 2016-08-02 2018-02-08 Spectrum Brands, Inc. Air frying systems and methods
DE202017103259U1 (de) 2017-05-31 2017-06-28 Koninklijke Philips N.V. Heißluftfritteusenkorb zum Einsetzen in eine Heißluftfritteus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4654B1 (ko) 2020-01-23 2021-05-21 김설진 식품건조가 가능한 에어프라이어용 조리용기
KR200495376Y1 (ko) * 2020-12-31 2022-05-10 (주)사이이 에어프라이어 튀김 바스켓용 커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292315A (zh) 2019-10-01
EP3542686A1 (fr) 2019-09-25
US11160421B2 (en) 2021-11-02
US20190290072A1 (en) 2019-09-26
BR102019005518A2 (pt) 2019-10-01
BR102019005518B1 (pt) 2023-12-12
CA3037236A1 (fr) 2019-09-21
FR3079121A1 (fr) 2019-09-27
FR3079121B1 (fr) 2022-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10941A (ko) 고온 에어 프라이어 유형의 조리기기
US7250587B2 (en) Method for simultaneously toasting bread and steaming
US20190000267A1 (en) Combination electric toaster oven and airfryer
US2002010075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intaining cooked food in a ready-to-serve condition using a freestanding cover for food trays
CN110720845A (zh) 热空气炸锅类型的烹饪器具
KR101399364B1 (ko) 락수단이 구비된 조리용 냄비
KR101528452B1 (ko) 탈착식 손잡이
KR102263362B1 (ko) 전골 및 구이용 팬이 마련된 가정용 불판
JP5358677B2 (ja) 加熱調理器
JP6021849B2 (ja) 加熱調理器
CN112438620A (zh) 具有多种工作配置的热空气烹饪设备
US2092878A (en) Stirring spoon
US4996404A (en) Cooking apparatus for roasting food
US20160183729A1 (en) Cookware system for preparing food
CN108095572A (zh) 一种可升降电烤炉
CN217309950U (zh) 一种用于空气炸锅的底座组件和空气炸锅
US20180146810A1 (en) Cooking machine
KR101202930B1 (ko) 조리용기의 탈,부착 손잡이
JP2000130770A (ja) 調理皿および加熱調理装置
KR102340273B1 (ko) 조리용기 손잡이
KR101514383B1 (ko) 음식 조리장치
JP2013075004A (ja) 電子レンジ用の加熱調理補助具
EP4056040A1 (en) Baking tray
RU2242157C1 (ru) Микроволновая печь с тостером для хлеба
KR100273347B1 (ko) 가열실 분리형 전자렌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