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0687A - 신규한 아스퍼질러스 나이거 a-t1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천연 항균물질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신규한 아스퍼질러스 나이거 a-t1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천연 항균물질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0687A
KR20190110687A KR1020180032438A KR20180032438A KR20190110687A KR 20190110687 A KR20190110687 A KR 20190110687A KR 1020180032438 A KR1020180032438 A KR 1020180032438A KR 20180032438 A KR20180032438 A KR 20180032438A KR 20190110687 A KR20190110687 A KR 201901106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strain
aspergillus niger
flavonoids
kcc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2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3662B1 (ko
Inventor
황교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랩
Priority to KR10201800324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3662B1/ko
Priority to CN201910193605.XA priority patent/CN110093279A/zh
Publication of KR201901106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06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36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36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Fungi; Culture media therefor
    • A01N63/04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11Aromat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3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 A23L3/345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in the form of liquids or solids
    • A23L3/3463Organic compounds; Microorganisms; Enzymes
    • A23L3/3481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23L3/3508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containing carboxyl group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Fungi;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5Fungal iso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7/00Preparation of oxyge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C12P7/40Preparation of oxyge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xyl group including Peroxycarboxylic acids
    • C12P7/42Hydroxy-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C12R1/685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645Fungi ; Processes using fungi
    • C12R2001/66Aspergillus
    • C12R2001/685Aspergillus nig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icrobi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Vi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규한 아스퍼질러서 나이거(Aspergillus niger) A-T1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천연 항균물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식물 유래 플라보노이드(Flavonoids)를 가수분해하여 항균성 페놀산(Phenolic acids) 화합물로 생물전환하는 효능을 갖는 신규한 아스퍼질러서 나이거(Aspergillus niger) A-T1 균주(기탁번호 KCCM 12147P)와, 상기 A-T1 균주를 이용하여 천연 항균물질, 바람직하기로는 페놀산 계열의 플로로글루시놀 카르복실산(Phloroglucinol carboxylic acid)과 프로토카테츄산(Protocatechuic acid) 및 갈산(Gallic acid)을 생성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신규한 아스퍼질러서 나이거 A-T1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천연 항균물질의 제조방법{Novel Aspergillus niger A-T1 strain and a production of natural antibiotics by using it}
본 발명은 신규한 아스퍼질러서 나이거(Aspergillus niger) A-T1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천연 항균물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식물 유래 플라보노이드(Flavonoids)를 가수분해하여 항균성 페놀산(Phenolic acids) 화합물로 생물전환하는 효능을 갖는 신규한 아스퍼질러서 나이거(Aspergillus niger) A-T1 균주(기탁번호 KCCM 12147P)와, 상기 A-T1 균주를 이용하여 천연 항균물질, 바람직하기로는 페놀산 계열의 플로로글루시놀 카르복실산(Phloroglucinol carboxylic acid)과 프로토카테츄산(Protocatechuic acid) 및 갈산(Gallic acid)을 생성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항생제가 인류의 질병을 치료하는데 미치는 영향은 지대하지만, 최근에는 인체내 항생제 잔류 및 내성 문제와 기존 항생제로는 치료가 되지 않는 난치병의 발생 등으로 인해 새로운 작용기전을 갖고 있는 천연 항균물질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천연 항균물질로는 전통적인 약용식물의 2차 대사물질로서, 사포닌, 탄닌, 알카로이드, 알케닐 페놀, 글리코알카로이드, 플라보노이드, 서스퀴터펜스 락톤(Susquiterpenes lactones), 터페노이드(Terpenoids), 포르볼 에스터(Phorbol esters) 등이 알려져 있다(Journal of Applied Pharmaceutical Science 01 (06); 2011, 16-20).
이중에서 플라보노이드(Flavonoids)는 녹차 등 약용식물에 다량 존재하며, 항균·항암·항바이러스·항알레르기 및 항염증 활성이 있고, 독성은 거의 없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상기 플라보노이드는 2개의 페닐기가 피란 고리 혹은 그와 유사한 구조의 탄소원자 3개를 매개로 결합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탄소원자 3개의 구조에 따라 플라본과 플라보놀, 카테킨 등으로 분류된다.
상기 카테킨(Catechins)은 플라보노이드 중에서 플라보-3-올(flavan-3-ol)에 속하며, 항세균, 항바이러스 및 항진균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Current Opinion in Biotechnology Sep. 2012, 23 : 174~181, www.sciencedirect.com). 상기 카테킨의 주요 화합물로는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EGCG, 59%)와, 에피갈로카테킨(EGC, 19%), 에피카테킨 갈레이트(ECG, 13.6%) 및 에피카테킨(EC, 6.4%)이 알려져 있다.
상기와 같은 플라보노이드 계열의 화합물, 특히 카테킨 화합물들은 다음 [화학식 1]과 같이, 생물학적 가수분해를 통해서 다양한 페놀산 화합물, 보다 구체적으로는 플로로글루시놀 카르복실산(Phloroglucinol carboxylic acid)과 프로토카테츄산(Protocatechuic acid) 및 갈산(Gallic acid)으로 분해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상기 플로로글루시놀 카르복실산은 ‘2,4,6-트리하이드록시 벤조산(2,4,6- trihydroxybenzoic acid)’라고도 하며, 강력한 항세균 효능이 알려져 있고, 특히 C. jejuni, E. coli, L. monocytogens, S. enterica 등을 강력하게 억제하는 효능이 있다고 보고되어 있다(Journal of Food Protection, Vol. 66, No. 10, 2003, pp 1811~1821).
상기 프로토카츄익산은 ‘3,4-디하이드록시 벤조산(3,4-dihydroxybenzoic acid)’이라고도 하며, 약리학적으로 항염증, 항산화, 항고혈증, 항세균, 항바이러스, 항암, 항노화, 항동맥증세, 항종양, 항천식, 항궤양, 항경련 등의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 중 항세균 작용의 기전은 세균막의 분해기능이고, 항바이러스 작용의 기전은 HepG2 세포주에서 B형 간염바이러스 DNA 합성을 억제하고 HBsAg 및 HBeAg의 배출을 억제한다고 알려져 있다(Acta Poloniae Pharmaceutica-Drug Research, Vol. 72 No. 4 pp-643~650, 2015).
마지막으로 상기 갈산은 ‘3,4,5-트리하이드록시 벤조산(3,4,5- trihydroxybenzoic acid)’이라고도 하며, 다양한 식물체에 식물화학물질(phytochemicals)로 존재하면서 인체에는 수렴 및 지혈에 사용될 뿐 아니라, 항신생종양과 정균활성이 있고, 항멜라닌, 항산화 및 항암활성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Molecules 2010, 15, 7985~8005). 또한 상기 갈산은 3~12 ppm의 농도에서 메치실린 저항성 포도상구균(MRSA)에 대하여 항균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Journal of American Science, 2012; 8(2), www.americanscience.org).
한편, 종래에도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068351호(2014년 06월 09일)에는,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를 에피카테킨 갈레이트로 전환시키는 생물전환능을 가진 로도토룰라 그라미니스(Rhodotorula graminis) JAG-12[기탁번호: KFCC11539P] 과 이를 이용한 녹차 추출물 발효물의 제조방법이 소개되어 있다. 상기 JAG-12 균주를 이용하면, 쓴맛이 저감되고 기호성이 증진된 발효녹차를 제조할 수 있고, 나아가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로부터 에피카테킨 갈레이트를 효율적으로 생산할 수 있다고 보고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96648호(2011년 8월 31일)에는 미생물 발효차의 발효균주로 추정되고 있는 여러가지 균주 중에서 우점종인 아스퍼질러서 나이거(Aspergillus niger) 균주의 배양액을 녹차에 접종하고 항온 항습기(30℃, 80%)에서 발효시킴으로써, 전통적으로 제조한 발효차와 비슷한 품질을 가지면서 발효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미생물 발효차의 제조방법이 소개되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068351호(2014년 06월 09일)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96648호(2011년 8월 31일)
Current Opinion in Biotechnology Sep. 2012, 23 : 174~181. Molecules 2010, 15, 7985~8005. Journal of Food Protection, Vol. 66, No. 10, 2003, pp 1811~1821. Journal of American Science, 2012 ; 8(2).
본 발명의 목적은 식물 유래 플라보노이드를 생물학적으로 가수분해하여 항균성 페놀산(Phenolic acids) 화합물로 생물전환 하는 신규한 미생물 균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미생물을 이용하여 식물 유래 플라보노이드로부터 천연 항균물질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식물 유래 플라보노이드(Flavonoids)를 가수분해하여 항균성 페놀산(Phenolic acids) 화합물로 생물전환 하는 효능을 갖는 신규한 아스퍼질러서 나이거(Aspergillus niger) A-T1 균주를 제공한다. 상기 아스퍼질러스 나이거 A-T1 균주는 2017년 11월 06일자로 (사)한국종균협회(KCCM)에 기탁번호 KCCM 12147P로 기탁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아스퍼질러서 나이거(Aspergillus niger) A-T1 균주(기탁번호 KCCM 12147P)를 이용하여 식물 유래 플라보노이드(Flavonoids)를 생물학적으로 가수분해하여 항균성 페놀산(Phenolic acids) 화합물을 수득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항균물질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아스퍼질러스 나이거(Aspergillus niger) A-T1 균주(기탁번호 KCCM 12147P)를 이용하여 생산된 천연 항균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축산용 첨가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아스퍼질러스 나이거 A-T1 균주를 이용하면, 식물 유래 플라보노이드로부터 천연 항균물질, 바람직하기로는 항균성 페놀산 화합물,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플로로글루시놀 카르복실산과 프로토카테츄산 및 갈산을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되는 페놀산 화합물들은 천연 항균물질로서 생체 및 환경에 대한 독성이 거의 없고, 유해 세균 및 바이러스의 성장을 억제하며, 항진균 및 항염증 효능이 우수하여 농약이나 동물사료, 화장품, 식품 또는 의약품 소재 등으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아스퍼질러스 나이거 A-T1 균주의 계통수(phylogenic tree)이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바탕으로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을 보다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들 실시예에 의해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꼭 필요한 구성이라 하더라도 종래기술에 소개되어 있거나, 통상의 기술자가 공지기술로부터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사항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아스퍼질러서 나이거 A-T1 균주는, 녹차(tea) 재배 지역의 부식토양에서 채취한 시료에서 분리하여 PDA 한천배지 상에서 배양한 것으로, 기저 균사(substrate mycelium)는 백색이고, 공중 균사(aerial mycelium)는 짙은 녹색을 거쳐 밝은 갈색으로 변화하는 색상을 갖는 형태학적인 특징이 있다.
상기 아스퍼질러서 나이거 A-T1 균주는 플라보노이드 함유배지에서 성장하면서 상기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을 생물학적으로 가수분해하여 페놀산 계열의 저분자 방향족 화합물로 생물전환 시키는 효능을 갖는다.
상기 페놀산 화합물은 구체적으로 플로로글루시놀 카르복실산, 프로토카테츄산, 갈산을 포함하며, 약리학적으로 강력한 항균, 항진균, 항바이러스 및 항염증 효능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아스퍼질러서 나이거 A-T1 균주를 활용하여 식물 유래 플라보노이드로부터 제조되는 항균성 페놀산 화합물은 각종 농수축산용 첨가제 조성물, 화장품 조성물, 식품 또는 의약품 조성물 등으로 다양하게 개발될 수 있다.
[ 실시예 ]
(1) 미생물 스크리닝
플라보노이드를 분해하는 미생물을 확보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제주도 소재 차 재배지역의 부식 토양을 시료로 채취하고, 이를 0.9% 멸균생리식염수에 단계적으로 희석하였다. 미생물 분리를 위한 배지는 YM(5.0g peptone, 3.0g yeast extract, 3.0g malt extract, 5.0g glucose, 15.0g agar, pH 6.5) 한천배지에 1.0% 플라보노이드(카테킨60% 함량)를 혼합하여 멸균한 후 분주한 한천배지를 사용하였다. 플라보노이드가 함유된 YM 한천배지에 상기 시료를 도말하고 30℃에서 5일간 정치 배양한 후 105 cfu/g 이상의 특징적인 미생물을 동일한 배지에 순수 분리하였다.
(2) 미생물 분리
플라보노이드 분해능력이 우수한 미생물을 선발하기 위하여 지시약이 함유된 플라보노이드 한천배지(20.0g catechins(60%), 15.0g agar, 0.01g bromo-phenol blue)를 제조하고, 여기에 앞서 분리한 순수 미생물을 접종하였다. 플라보노이드가 분해되면 페놀산의 산성성분에 의해서 지시약인 브로모페놀블루가 황색으로 강하게 변하는 현상을 활용하여 플라보노이드 분해능이 우수한 미생물을 선발하고, 그 중 곰팡이 1주를 분리하고, 이 균주를 ‘A-T1’으로 명명하였다.
(3) 18S rRNA 분석 및 동정
Wizard genomic DNA purification kit(Promega, USA)를 이용하여 상기 A-T1 균주의 chromosomal DNA를 분리하고, 18S rDNA sequencing에 사용하는 universal primer인 NS1(5'-GTAGTCATATGCTTGTCTC-3')와 NS8(5'-TCCGCAGGTTCACC TACGGA- 3') primer를 사용하여 PCR 증폭하였다. 이어서 Wizard SV Gel 및 PCR clean-up system(Promega, USA)을 이용하여 증폭된 PCR 산물을 정제하고, ABI PRISM3730XL DNA Analyzer를 이용하여 정제된 PCR 산물의 염기서열을 분석 하였다. 상기 A-T1 균주의 18S rDNA는 총 1,645bp 로서, 첨부 서열목록 1에 수록하였다.
BLASTN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염기서열 분석결과를 GENEBANK의 ribosomal DNA sequence와 비교하였다. Sequence의 상동성은 Clustal X 와 Mega 2 program을 이용하여 비교 분석한 결과, 상기 A-T1 균주는 첨부 도 1의 계통수(phylogenic tree)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스퍼질러서 나이거(Aspergillus niger)’로 동정되었다.
( ref: 1. Thompson, J.D., Higgins, D.G. and Gibson, T.J.(1994). CLUSTAL W: improving the sensitivity of progressive multiple sequence alignment through sequence weighting, position-specific gap penalies and weight matrix choice. Nucleic Acids Res. 22, 4673-4680.)
(4) A-T1 균주의 액체배양 및 고체배양
플라보노이드와 그 분해 대사물질을 분석하기 위해서 YM broth에 2% 플라보노이드(카테킨 60% 함유) 혼합물을 넣고, 상기 A-T1 균주를 접종한 다음, 30℃에서 200rpm으로 4일 동안 배양하여 액체배양물을 얻었다.
별도로 플라보노이드를 추출한 동백나무(Camellia) 추출박(카테킨 15% 함유)의 수분을 43%로 조정하고, 여기에 상기 A-T1 균주를 접종하여 25℃에서 4일간 배양한 후, 같은 양의 물을 가수하고 50℃에서 가열 건조하여 분말상태의 고체배양물을 얻었다.
(5) 페놀산의 함량 분석
가) 분석시료의 준비
상기 A-T1 균주의 액체 배양물은 상등액을 취하여 시료로 사용하고, 고체 배양물은 70% 주정으로 추출하고 감압농축 한 후 동량의 증류수에 용해한 시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배양시료액 또는 추출액에 3,4-디메틸벤조산이 함유된 증류수(5㎍/20㎕)를 사용하여 1㎖로 희석하였다. 희석된 시료를 1㎎의 메틸하이드록실아민 염산염을 넣어 알카리 조건에서 60℃, 30분간 반응하였다.
반응 혼합액을 염화나트륨이 포화된 10% 황산용액을 사용하여 pH 2 이하로 산성화 한 다음, 4㎖ 디에틸에테르와 2㎖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추출 시료에 15㎕의 TEA를 넣고, 40℃에서 질소가스를 사용하여 증발 농축한 다음, 여기에 20㎕ 톨루엔, 20㎕ MTBSTFA를 넣고 혼합액을 60℃에서 30분간 가열하여 GC-MS 분석 전에 MO/TBDMS 형태로 시료를 준비 하였다.
나) GC-MS 분석
분석기기는 Agilent 6890N 가스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고, 검출기로는 Agilent 5975B mass-selective detector(70eV, electron ionization source)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분석시료는 50~650㎛ 범위를 0.99 scans/s로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한 온도는 인젝터(injector) 260℃, 인터페이스(interface) 300℃, 이온소스(ion source) 230℃로 하였고, 분석 컬럼은 Ultra-2, cross-linked capillary column coated with 5% phenyl - 95% methyl polysiloxane boned phase(25m x 0.2㎜ I. D., 0.11㎜ film thickness Agilent Technologies, Santa Clara, CA, USA)을 사용하였다.
캐리어 가스로는 헬륨 가스를 사용하였고, 유량(flow rate)은 0.5㎖/min, 시료량은 1㎕를 사용 하였다. 오븐의 온도는 초기 2분은 100~250℃에서 5℃/min. 로 증가시키다가 종말단계는 5분간 20℃/min으로 300℃까지 프로그램하여 분석하였다.
다) 액체 배양시료에 대한 분석결과
페놀산의 종류 배양시간별 페놀산의 함량(ng/㎕)
0 hr 48 hr 72 hr 90 hr
Salicylic acid 1.4±<0.1 1.3±0.1 <0.1 N.D
4-Hydroxybenzoic acid 2.3±0.5 23.8±0.9 25.5±1.4 27.2±2.2
Vanillic acid 5.3±<0.1 6.2±0.2 5.5±0.3 3.5±0.2
Syringic acid 2.3±0.1 2.3±<0.1 2.5±0.2 2.5±0.1
Ρ-Coumaric acid 12.0±0.3 10.5±0.5 8.2±0.3 5.5±0.4
Protocatechuic acid 3.3±0.3 28.8±1.2 31.4±1.2 35.6±2.0
Phloroglucinol carboxylic acid 2.5±1.1 6.8±0.4 15.9±0.2 13.0±0.1
Ferulic acid 1.5±<0.1 2.0±<0.1 2.1±0.1 1.2±0.1
Gallic acid 13.3±0.9 24.1±2.8 23.8±2.8 23.3±5.1
Caffeic acid 1.0±<0.1 1.0±<0.1 1.0±<0.1 1.1±<0.1
합 계 44.9 106.8 115.9 112.9
상기 액체배양 시료에 대하여 배양 직후부터 90시간이 경과할 때까시 시간대 별로 각 페놀산의 함량을 분석한 결과, 상기 도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배양시간이 경과 할수록 특히 4-하이드록시벤조산(4-Hydroxybenzoic acid), 플로로글루시놀 카르복실산(Phloroglucinol carboxylic acid), 프로토카테츄산(Protocatechuic acid) 및 갈산(Gallic acid)의 함량이 유의성 있게 증가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라) 고체 배양시료에 대한 분석결과
페놀산의 종류 페놀산의 함량(ng/㎕)
배양 전 배양 후
4-Hydroxybenzoic acid 143.3±1.5 243.3±1.9
Vanillic acid 33.8±0.4 68.4±0.6
Syringic acid 22.5±0.2 39.0±0.1
Ρ-Coumaric acid 93.8±0.3 165.3±0.5
Protocatechuic acid 196.5±2.3 446.5±3.2
Phloroglucinol carboxylic acid 126.3±2.3 489.3±3.4
Ferulic acid 10.5±0.2 41.8±0.7
Gallic acid 234.8±2.9 607.1±4.8
Total phenolic acids 861.5 2,100.7
상기 고체 배양시료에 대하여 배양 이전과 배양 이후에 각각 50% 에탄올로 추출하여 상기 액체 배양시료와 동일한 방법으로 비교 분석한 결과, 상기 도 2와 같이 4-하이드록시벤조산(4-hydroxybenzoic acids)을 포함한 모든 종류의 페놀산(Phenolic acids) 화합물의 함량이 증가되었음을 확인하였다.
(6) 플라보노이드 대사물질에 대한 항균력 평가
플라보노이드와 그 대사물질의 항균력을 분석하기 위해서 YM broth에 2% 플라보노이드(카테킨 60% 함유) 혼합물을 넣고, 여기에 상기 A-T1 균주를 접종한 다음, 30℃, 100~200rpm의 조건에서 4일 동안 배양한 후 건조하여 분석시료를 준비 하였다.
별도로 LB 배양액 5㎖에 3종의 병원균, 즉 E. coli(KCCM 11234)와 Salmonella enterica(ATCC 53648), 그리고 Vibrio parahaemolyticus(KCCM 11965)를 미리 접종하고 37℃, 200rpm의 조건에서 17시간을 배양하였다. 상기 LB 배양액 각 5㎖에 미리 준비해둔 상기 분석시료를 농도별로 첨가하고, 37℃, 200rpm에서 16시간 배양한 다음, 각각 600㎚에서 흡광도(단위; OD600nm)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다음 < 표 3 >에 수록하였다. 대조군에는 상기 분석시료를 첨가하지 않았다.

시료 농도
(㎍/㎖)
흡광도(단위; OD600nm)
E. coli
(KCCM 11234)
Salmonella
enterica
(ATCC 53648)
Vibrio parahaemolyticus
(KCCM 11965)
대조군 1.85 3.22 3.76
50 1.51 1.14 1.33
100 0.09 0.12 0.08
150 0.07 0.08 0.06
200 0.06 0.09 0.06
상기 < 표 3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분석시료는 농도가 증가할수록 상기 병원균의 성장을 억제하는 효능이 유의성 있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아스퍼질러서 나이거 A-T1에 의해서 플라보노이드 로부터 생물전환된 하이드록시 벤조산 계열의 저분자 방향족 화합물들은 우수한 항균효과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110> Collab Co.,Ltd. <120> Novel Aspergillus niger A-T1 strain and a production of natural antibiotics by using it <130> IS18P005 <160> 1 <170> KoPatentIn 3.0 <210> 1 <211> 1645 <212> DNA <213> Aspergillus niger <400> 1 ttaaatcagt tatcgtttat ttgatagtac cttactacat ggatacctgt ggtaattcta 60 gagctaatac atgctgaaaa cctcgacttc ggaaggggtg tatttattag ataaaaaacc 120 aatgcccttc ggggctcctt ggtgaatcat aataacttaa cgaatcgcat ggccttgcgc 180 cggcgatggt tcattcaaat ttctgcccta tcaactttcg atggtaggat agtggcctac 240 catggtggca acgggtaacg gggaattagg gttcgattcc ggagagggag cctgagaaac 300 ggctaccaca tccaaggaag gcagcaggcg cgcaaattac ccaatcccga cacggggagg 360 tagtgacaat aaatactgat acggggctct tttgggtctc gtaattggaa tgagtacaat 420 ctaaatccct taacgaggaa caattggagg gcaagtctgg tgccagcagc cgcggtaatt 480 ccagctccaa tagcgtatat taaagttgtt gcagttaaaa agctcgtagt tgaaccttgg 540 gtctggctgg ccggtccgcc tcaccgcgag tactggtccg gctggacctt tccttctggg 600 gaatctcatg gccttcactg gctgtggggg gaaccaggac ttttactgtg aaaaaattag 660 agtgttcaaa gcaggccttt gctcgaatac attagcatgg aataatagaa taggacgtgc 720 ggttctattt tgttggtttc taggaccgcc gtaatgatta atagggatag tcgggggcgt 780 cagtattcag ctgtcagagg tgaaattctt ggatttgctg aagactaact actgcgaaag 840 cattcgccaa ggatgttttc attaatcagg gaacgaaagt taggggatcg aagacgatca 900 gataccgtcg tagtcttaac cataaactat gccgactagg gatcggacgg tgtttctatt 960 atgacccgtt cggcacctta cgagaaatca aagtttttgg gttctggggg gagtatggtc 1020 gcaaggctga aacttaaaga aattgacgga agggcaccac caggcgtgga gcctgcggct 1080 taatttgact caacacgggg aaactcacca ggtccagaca aaataaggat tgacagattg 1140 agagctcttt cttgatcttt tggatggtgg tgcatggccg ttcttagttg gtggagtgat 1200 ttgtctgctt aattgcgata acgaacgaga cctcggccct taaatagccc ggtccgcatt 1260 tgcgggccgc tggcttctta gggggactat cggctcaagc cgatggaagt gcgcggcaat 1320 aacaggtctg tgatgccctt agatgttctg ggccgcacgc gcgctacact gacagggcca 1380 gcgagtacat caccttggcc gagaggtctg ggtaatcttg ttaaaccctg tcgtgctggg 1440 gatagagcat tgcaattatt gctcttcaac gaggaatgcc tagtaggcac gagtcatcag 1500 ctcgtgccga ttacgtccct gccctttgta cacaccgccc gtcgctacta ccgattgaat 1560 ggctcggtga ggccttcgga ctggctcagg agggttggca acgacccccc agagccggaa 1620 agttggtcaa acccggtcat tagag 1645

Claims (4)

  1. 식물 유래 플라보노이드(Flavonoids)를 가수분해하여 항균성 페놀산(Phenolic acids) 화합물로 생물전환하는 효능을 갖는 신규한 아스퍼질러서 나이거(Aspergillus niger) A-T1 균주(기탁번호 KCCM 12147P).
  2. 아스퍼질러서 나이거(Aspergillus niger) A-T1 균주(기탁번호 KCCM 12147P)를 이용하여 식물 유래 플라보노이드(Flavonoids)를 생물학적으로 가수분해하여 항균성 페놀산(Phenolic acids) 화합물을 수득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항균물질의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성 페놀산 화합물은 플로로글루시놀 카르복실산(Phloroglucinol carboxylic acid), 프로토카테츄산(Protocatechuic acid) 및 갈산(Gallic acid)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항균물질의 제조방법.
  4. 아스퍼질러스 나이거(Aspergillus niger) A-T1 균주(기탁번호 KCCM 12147P)를 이용하여 생산된 천연 항균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축산용 첨가제 조성물.
KR1020180032438A 2018-03-21 2018-03-21 신규한 아스퍼질러스 나이거 a-t1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천연 항균물질의 제조방법 KR1020536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2438A KR102053662B1 (ko) 2018-03-21 2018-03-21 신규한 아스퍼질러스 나이거 a-t1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천연 항균물질의 제조방법
CN201910193605.XA CN110093279A (zh) 2018-03-21 2019-03-14 新黑曲霉a-t1菌株及用此的天然抗菌物质的制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2438A KR102053662B1 (ko) 2018-03-21 2018-03-21 신규한 아스퍼질러스 나이거 a-t1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천연 항균물질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0687A true KR20190110687A (ko) 2019-10-01
KR102053662B1 KR102053662B1 (ko) 2019-12-09

Family

ID=67442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2438A KR102053662B1 (ko) 2018-03-21 2018-03-21 신규한 아스퍼질러스 나이거 a-t1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천연 항균물질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53662B1 (ko)
CN (1) CN11009327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0379A (ko) * 2020-08-28 2022-03-11 주식회사 포스코 천연 항균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9822A (ko) * 2001-11-15 2003-05-22 삼조쎌텍 주식회사 콩배아를 이용한 메주의 개선된 제조방법, 그 방법에 의해제조된 메주 및 상기 메주를 이용하여 제조된 된장 및 간장
KR20110096648A (ko) 2010-02-23 2011-08-31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아스퍼질러스 니가를 이용한 미생물 발효차의 제조
KR20120110243A (ko) * 2011-03-29 2012-10-10 샘표식품 주식회사 대두박 및 함초를 이용한 메주의 제조방법 및 그 메주를 이용한 재래식 간장의 제조방법
KR20140068351A (ko) 2012-11-28 2014-06-09 주식회사 비케이바이오 카테킨 생물전환능을 가지는 로도토룰라 그라미니스 jag-12 및 이를 이용한 카테킨의 생물전환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89903B (zh) * 2013-05-07 2015-02-04 山西省农业科学院农业环境与资源研究所 一种有抑菌功能的黑曲霉h菌、活性腐解剂及其制备方法
CN104673845B (zh) * 2015-02-15 2016-07-20 华南农业大学 利用黑曲霉全细胞转化生产表没食子儿茶素和没食子酸的方法
CN105385747A (zh) * 2015-10-15 2016-03-09 南京师范大学 一种用八角金盘制备酚酸类化合物的方法
CN105695518A (zh) * 2016-04-21 2016-06-22 贵州大学 一种固定化菌体生物法转化单宁酸重复制备没食子酸的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9822A (ko) * 2001-11-15 2003-05-22 삼조쎌텍 주식회사 콩배아를 이용한 메주의 개선된 제조방법, 그 방법에 의해제조된 메주 및 상기 메주를 이용하여 제조된 된장 및 간장
KR20110096648A (ko) 2010-02-23 2011-08-31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아스퍼질러스 니가를 이용한 미생물 발효차의 제조
KR20120110243A (ko) * 2011-03-29 2012-10-10 샘표식품 주식회사 대두박 및 함초를 이용한 메주의 제조방법 및 그 메주를 이용한 재래식 간장의 제조방법
KR20140068351A (ko) 2012-11-28 2014-06-09 주식회사 비케이바이오 카테킨 생물전환능을 가지는 로도토룰라 그라미니스 jag-12 및 이를 이용한 카테킨의 생물전환방법

Non-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urrent Opinion in Biotechnology Sep. 2012, 23 : 174~181.
Journal of American Science, 2012 ; 8(2).
Journal of Food Protection, Vol. 66, No. 10, 2003, pp 1811~1821.
Molecules 2010, 15, 7985~8005.
Mycobiology,제36권,2호,121-133면(2008) 1부.*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0379A (ko) * 2020-08-28 2022-03-11 주식회사 포스코 천연 항균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3662B1 (ko) 2019-12-09
CN110093279A (zh) 2019-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sella et al. Antimicrobial and cytotoxic secondary metabolites from tropical leaf endophytes: Isolation of antibacterial agent pyrrocidine C from Lewia infectoria SNB-GTC2402
Kjer et al. Xanalteric acids I and II and related phenolic compounds from an endophytic Alternaria sp. isolated from the mangrove plant Sonneratia alba
Pessini et al. Antibacterial activity of extracts and neolignans from Piper regnellii (Miq.) C. DC. var. pallescens (C. DC.) Yunck
Tan et al. Antioxidative potential of a Streptomyces sp. MUM292 isolated from mangrove soil
You et al. Studies on a rhein-producing endophytic fungus isolated from Rheum palmatum L.
Asiri et al. Penicillivinacine, antimigratory diketopiperazine alkaloid from the marine-derived fungus Penicillium vinaceum
JP3007092B2 (ja) 抗生物質レウテリン
Jin et al.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human intestinal bacterium Eggerthella sp. CAT-1 capable of cleaving the C-ring of (+)-catechin and (−)-epicatechin, followed by p-dehydroxylation of the B-ring
Singh et al. Phytochemical analysis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an endophytic Fusarium proliferatum (ACQR8), isolated from a folk medicinal plant Cissus quadrangularis L.
Natarajan et al. Characterization of the fungicidal activity of Calothrix elenkinii using chemical methods and microscopy
Sajid et al. Identification, isolation and optimization of antifungal metabolites from the Streptomyces Malachitofuscus ctf9
Eom et al. Application of yeast Candida utilis to ferment Eisenia bicyclis for enhanced antibacterial effect
D'Almeida et al. Antimicrobial phenylpropanoids from the Argentinean highland plant Parastrephia lucida (Meyen) Cabrera
Engler et al. Production of antibiotics by Collybia nivalis, Omphalotus olearius, a Favolaschia and a Pterula species on natural substrates
Costa et al. Kinetic identification of phenolic compounds and potential production of caffeic acid by Ganoderma lipsiense in solid-state fermentation
Makuwa et al.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crude extracts of secondary metabolites from bacterial endophytes associated with Dicoma anomala
Das et al. Bioactive sesquiterpene, plasticizer, and phenols from the fungal endophytes of Polygonum chinense L.
KR102053662B1 (ko) 신규한 아스퍼질러스 나이거 a-t1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천연 항균물질의 제조방법
Sadrati et al. Antimicrobial activity of secondary metabolites produced by Aspergillus neobridgeri isolated from Pistacia lentiscus against multi-drug resistant bacteria.
Jiang et al. Diversity and chemical defense role of culturable non-actinobacterial bacteria isolated from the South China Sea gorgonians
Awaad et al. Amhezole, a novel fungal secondary metabolite from Aspergillus terreus for treatment of microbial mouth infection
KR102588346B1 (ko) 신규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균주 및 이의 용도
Jeong et al. Antimicrobial activity of catechol isolated from Diospyros kaki Thunb. roots and its derivatives toward intestinal bacteria
Neji et al. Production of biologically active hydroxytyrosol rich extract via catalytic conversion of tyrosol
Vijayakumar et al. Mycosynthesis of novel lactone in foliar endophytic fungus isolated from Bixa orellana 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