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0260A - 방수검사장치 - Google Patents

방수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0260A
KR20190110260A KR1020180031995A KR20180031995A KR20190110260A KR 20190110260 A KR20190110260 A KR 20190110260A KR 1020180031995 A KR1020180031995 A KR 1020180031995A KR 20180031995 A KR20180031995 A KR 20180031995A KR 20190110260 A KR20190110260 A KR 201901102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ig
inspection
inspection object
passage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19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6513B1 (ko
Inventor
최주영
김동언
김재훈
성대용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주)디엠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주)디엠씨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319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6513B1/ko
Priority to US16/982,427 priority patent/US11585720B2/en
Priority to CN201880091033.8A priority patent/CN111837022B/zh
Priority to PCT/KR2018/011827 priority patent/WO2019182214A1/ko
Publication of KR201901102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02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65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65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2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 G01M3/3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2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 G01M3/3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 G01M3/323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by monitoring the interior space of the containers
    • G01M3/3263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by monitoring the interior space of the containers using a differential pressure detec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1/00Work holder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in the subclass, e.g. magnetic work holders, vacuum work holders
    • B25B11/02Assembly ji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본 실시예의 방수검사장치는 검사대상물이 올려지는 하부 지그와; 검사대상물의 상면에 접촉되어 검사대상물을 압착하는 상부 지그와; 검사대상물의 외면에 접촉되는 복수개 검사모듈과; 에어 컴프레서를 포함하고, 복수개 검사모듈 각각은 검사대상물의 외면에 밀착되고 에어가 통과하는 챔버가 형성된 지그와, 챔버와 연통되는 통로가 형성된 밸브와, 밸브와 에어 컴프레서를 연결하여 통로로 에어를 안내하는 에어 공급라인과, 밸브에 연결되어 통로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방수검사장치{Device for checking leak}
본 발명은 방수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검사대상물의 방수성능을 검사할 수 있는 방수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 등의 전자기기는 제품 조립이 완료된 후 방수 검사가 실시될 수 있고, 방수 불량이 없는 제품이 출시될 수 있다.
이러한 방수 검사는 방수검사장치에 의해 행해질 수 있고, 방수검사장치는 에어를 이용할 경우 검사대상물의 누설 정도(방수 성능)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검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에어를 이용하여 검사대상물을 방수 검사하는 방수검사장치의 일예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598849 B1(2016년03월02일 공개)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방수검사장치는 고압의 에어가 유입되는 유입홀이 형성된 돌출부를 갖고, 반제품을 정위치에 고정시키는 지그블록을 갖는 바디와, 바디의 상부를 덮는 커버와, 반제품의 부품들에 대한 방수성을 검사할 수 있는 밀폐된 챔버 공간을 형성하는 밀폐수단과, 반제품 중 사출물의 외면에 밀착되는 흡착구와, 흡착구의 내부 공간에 구비되어 압력변화를 감지하는 압력센서를 포함하고, 압력센서의 압력변화에 의해 반제품의 방수 검사가 가능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598849 B1(2016년03월02일 공개)
본 발명은 검사대상물의 누설 위치 및 누설 정도 각각을 간단한 구조로 검사할 수 있는 방수검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수검사장치는 검사대상물이 올려지는 하부 지그와; 검사대상물의 상면에 접촉되어 검사대상물을 압착하는 상부 지그와; 검사대상물의 외면에 접촉되는 복수개 검사모듈과; 에어 컴프레서를 포함하고, 복수개 검사모듈 각각은 검사대상물의 외면에 밀착되고 에어가 통과하는 챔버가 형성된 지그와, 챔버와 연통되는 통로가 형성된 밸브와, 밸브와 에어 컴프레서를 연결하어 통로로 에어를 안내하는 에어 공급라인과, 밸브에 연결되어 통로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를 포함한다.
검사대상물은 복수개의 개구부가 형성된 메인 바디와, 개구부에 배치된 서브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지그는 개구부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지그 중 검사대상물을 향하는 면은 검사대상물 외부에서 메인 바디와 서브 바디 사이를 덮을 수 있다.
챔버는 통로와 연통되는 연통로와, 연통로와 연통되고 검사대상물과 접촉되는 면에 함몰 형성된 홈부를 포함할 수 있다.
홈부는 연통로 및 개구부 각각 보다 크게 형성되고 서브 바디와 비접촉될 수 있다.
지그는 검사대상물을 향하는 면에 메인 바디의 외면에 접촉되는 메인 바디 접촉단이 형성될 수 있다.
지그는 상부 지그의 외면에 접촉되는 상부 지그 접촉단과, 하부 지그의 외면에 접촉되는 하부 지그 접촉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지그와 밸브와 압력센서는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밸브는 지그를 향하는 지그 대향면과, 압력센서를 향하는 압력센서 대향면을 포함할 수 있다.
통로는 압력센서 대향면에서 지그 대향면까지 길게 형성되고 챔버와 연통되는 압력감지유로와, 압력감지유로의 일측에 연통되고 에어 공급라인과 연결된 에어 공급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압력 감지유로는 검사모듈의 길이 방향으로 긴 직선형 유로일 수 있다.
복수개의 검사모듈 각각의 압력센서와 연결되어 압력센서에서 감지된 압력의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개의 검사모듈 각각의 압력센서에서 감지된 압력에 따라, 누설량이 상대적으로 큰 검사 위치 및 검사 위치 각각의 누설 정도을 신뢰성 높게 검사할 수 있다.
또한, 복수개 검사모듈의 지그가 검사대상물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검사대상물과 지그의 사이로 에어를 공급하는 기능을 겸하여, 부품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밸브의 통로가 지그의 챔버로 에어를 안내하는 기능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압력 센서와 챔버를 연통시킬 수 있어, 부품수가 최소화될 수 있고, 구조가 간단한 이점이 있다.
또한, 압력센서가 지그의 외부에서 밸브의 통로를 통해 압력을 감지하므로, 압력센서의 서비스 작업이나 지그의 세척 작업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수검사장치에 의해 검사되는 검사대상물의 일예가 도시된 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수검사장치에 의해 검사대상물이 검사될 때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부 지그와, 상부 지그와, 지그가 도시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수검사장치의 내부가 도시된 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그가 도시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수검사장치의 제어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방수검사장치에 의해 검사되는 검사대상물의 다른 예가 도시된 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방수검사장치의 내부가 도시된 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수검사장치에 의해 검사되는 검사대상물의 일예가 도시된 도이다.
도 1에 도시된 검사대상물(H)은 개구부(1)가 복수개 형성된 메인 바디(2)와, 개구부(1)에 배치된 서브 바디(3)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검사 대사물(H)의 일예는 단말기 등의 전자기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일 수 있다.
개구부(1)와 서브 바디(3)는 1:1 대응될 수 있고, 검사대상물(H)은 하나의 서브 바디(3)가 하나의 개구부(1)에 삽입된 구조물일 수 있다.
서브 바디(3)는 개구부(1)를 막기 위해 메인 바디(2)에 장착되되, 광이나 전파가 투과할 수 있는 재질일 수 있다. 메인 바디(2)는 수지재질이거나 금속재질일 수 있고, 서브 바디(3)는 수지재질일 수 있다.
서브 바디(3)는 개구부(1)로 삽입되어 끼워질 수 있고, 서브 바디(3)는 그 측면이 메인 바디(2)에 밀착되게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개구부(1)를 막게 배치될 수 있다. 서브 바디(3)가 메인 바디(2)에 장착되었을 때, 서브 바디(3)와 메인 바디(2) 사이의 틈은 최소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의 방수검사장치에 의해 검사되는 검사대상물(H)이 단말기의 하우징일 경우, 검사대상물(H)의 방수성능을 위해, 서브 바디(3)와 메인 바디(2) 사이에는 틈이 존재하지 않거나 물이 침투될 수 없는 미세한 틈이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단말기의 하우징이 메인 바디(2)와 복수개 서브 바디(3)를 포함할 경우, 복수개 서브 바디(3) 각각과 메인 바디(2)의 사이 각각은 본 발명 일 실시 예의 방수검사장치에 의해 방수 테스트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 도시된 검사 대상물의 메인 바디(2)는 외둘레부(4)와, 외둘레부(4)에 연결된 판체부(5)를 포함할 수 있고, 외둘레부(4)에 개구부(1)의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외둘레부(4)는 네 개의 벽체(6)(7)(8)(9)을 갖는 프레임 형상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메인 바디(2)에 5개의 서브 바디(3)가 배치될 경우, 검사대상물(H)은 5개의 검사 영역(P1,P2,P3,P4,P5)를 갖을 수 있고, 본 실시예는 이러한 5개의 검사 영역(P1,P2,P3,P4,P5)를 함께 검사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수검사장치에 의해 검사대상물이 검사될 때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부 지그와, 상부 지그와, 지그가 도시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수검사장치의 내부가 도시된 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그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방수검사장치는 검사대상물(H)이 올려지는 하부 지그(20)와; 검사대상물(10)의 상면에 접촉되어 검사대상물(H)을 압착하는 상부 지그(30)와; 검사대상물(H)의 외면에 접촉되는 복수개 검사모듈(40)와, 에어 컴프레서(50)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 컴프레서(50)는 복수개 검사모듈(40) 모두에 동일한 압력이 형성되게 구동될 수 있다. 에어 컴프레서(50)는 복수개 검사모듈(40) 각각에 16 KPa 압력이 형성되게 에어를 공급할 수 있다.
하부 지그(20)는 검사대상물(H)을 지지하는 일종의 베이스일 수 있다.
상부 지그(30)는 검사대상물(H)의 상면을 덮는 커버일 수 있다. 상부 지그(30)는 하부 지그(20)의 상측에서 하부 지그(20)의 상면을 덮게 배치될 수 있다.
하부 지그(20)와 상부 지그(30)의 사이에는 검사대상물(H)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고, 하부 지그(20)와 상부 지그(30)가 검사대상물(H)에 접촉되었을 때, 하부 지그(20)와 상부 지그(30)의 사이에는 밀폐공간(22)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 검사모듈(40)은 검사대상물(H)의 검사 영역 개수와 동일한 개수가 구비될 수 있고, 예를 들어, 검사대상물(H)의 검사 영역이 5개일 경우, 방수검사장치는 5개의 검사모듈(40)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 검사모듈(40) 각각은 지그(60)와, 밸브(70)와, 에어 공급라인(80)과, 압력센서(90)를 포함할 수 있다.
지그(60)는 하부 지그(20)와 상부 지그(30) 중 적어도 하나에 장착될 수 있다.
검사대상물(H)이 하부 지그(20)에 안착되고, 상부 지그(30)가 검사대상물(H)에 접촉될 경우, 지그(60)의 일면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사대상물(H)의 외면(10)에 접촉될 수 있고, 검사대상물(H)은 지그(60)에 지지되어 그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지그(60)는 검사대상물(H)의 외면(10)에 밀착될 수 있다.
지그(60)는 개구부(2) 보다 크게 형성되고, 검사대상물(H)을 향하는 면(61)이 검사대상물(H) 외부에서 메인 바디(2)와 서브 바디(3) 사이를 덮을 수 있다.
지그(60)에는 에어 컴프레서(50)에서 공급된 에어가 통과하는 챔버(C)가 형성될 수 있다.
챔버(C)는 밸브(70)에 형성된 통로(P)와 연통되는 연통로(62)와, 연통로(52)와 연통되고 검사대상물(H)과 접촉되는 면(61)에 함몰 형성된 홈부(6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서브 바디(3)와 접촉되지 않은 상태에서 서브 바디(3)와 메인 바디(2) 사이의 누설을 감지할 수 있고, 이를 위해 홈부(63)는 연통로(62) 및 개구부(1) 각각 보다 크게 형성되고 서브 바디(3)와 비접촉될 수 있다.
지그(60)는 검사대상물(H)의 외둘레부(4) 외면에 접촉되어 외둘레부(4)에 배치된 서브 바디(3)와 외둘레부(4) 사이의 누설을 감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지그(60)는 검사대상물(H)의 판체부(5) 일면에 접촉되어 판체부(5)에 배치된 서브 바디(3)와 판체부(5) 사이의 누설을 감지하는 것도 가능하고, 이 경우, 지그(60)는 하부 지그(20)나 상부 지그(30)에 관통되게 장착될 수 있다.
지그(60)는 메인 바디(3)의 외면(10)에 접촉되는 메인 바디 접촉단(64, 65, 도 5 참조)이 형성될 수 있다. 메인 바디 접촉단(64,65)는 검사대상물(H)을 향하는 면(61)에 형성될 수 있다. 메인 바디 접촉단(64)(65)는 지그(60)에 한 쌍 구비될 수 있다. 한 쌍의 메인 바디 접촉단(64)(65)는 지그(60)에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검사대상물(H)의 외둘레부(4)에 개구부(1)가 형성되고, 외둘레부(4)에 서브 바디(3)가 배치된 경우, 지그(60)는 검사대상물(H)의 외둘레부(4)와 판체부(5) 중 외둘레부(4)에 접촉되게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메인 바디 접촉단(64)(65)는 홈부(63)의 옆에 위치될 수 있고, 홈부(63)는 한 쌍의 메인 바디 접촉단(64)(65) 사이에 함몰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지그(60)는 상부 지그(30)의 외면에 접촉되는 상부 지그 접촉단(66)과, 하부 지그(20)의 외면에 접촉되는 하부 지그 접촉단(6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지그 접촉단(66)는 지그(60) 중 검사대상물(T)을 향하는 면(61)의 상부에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하부 지그 접촉단(67)는 지그(60) 중 검사대상물(T)을 향하는 면(61)의 하부에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하부 지그 접촉단(67)는 상부 지그 접촉단(66)과 상하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밸브(70)는 챔버(C)와 연통되는 통로(P)가 형성될 수 있다.
지그(60)와 밸브(70)와 압력센서(80)는 일렬로 배치될 수 있고, 밸브(7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그(60)와 압력센서(8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밸브(70)는 지그(60)를 향하는 지그 대향면(71)과, 압력센서(80)를 향하는 압력센서 대향면(72)을 포함할 수 있다.
통로(P)는 압력센서 대향면(72)에서 지그 대향면(71)까지 길게 형성되어 챔버(C)와 연통되는 압력감지유로(73)와, 압력감지유로(73)의 일측에 연통되고 에어 공급라인(80)과 연결된 에어 공급유로(74)를 포함할 수 있다.
압력 감지유로(73)는 검사모듈(40)의 길이 방향으로 긴 직선형 유로일 수 있다.
에어 공급유로(74)는 압력 감지유로(73)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결된 유로일 수 있다.
밸브(70)는 후술하는 제어부(100)에 의해 제어되어 통로(P)를 개폐할 수 있는 개폐밸브일 수 있고, 일예로 솔레노이드 밸브(70A)를 포함할 수 있다. 밸브(70)는 통로(P)를 형성하는 밸브 바디와, 밸브 바디의 내부에 배치되어 통로(P)를 개폐하는 밸브체(75)와, 밸브체(75)를 회전시키거나 진퇴시키는 기구 특히, 솔레노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밸브(70)는 압력센서(90)에 연결되고 내부에 통로(P)가 형성된 솔레노이드 밸브(70A)와, 지그(60)와 솔레노이드 밸브(70A) 사이에 배치되고 내부에 통로(P)가 형성되며, 에어 공급라인(80)이 연결된 커넥터(70B)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 공급라인(80)은 밸브(70)와 에어 컴프레서(50)를 연결하여 에어를 통로(P)로 안내할 수 있다. 에어 공급라인(80)은 에어 공급유로(74)에 연결될 수 있고, 에어 공급라인(80)을 통해 공급된 에어는 에어 공급유로(74)를 통해 압력 감지유로(73)로 유입될 수 있고, 압력 감지유로(73) 및 챔버(C)에 채워질 수 있다.
압력 센서(90)는 밸브(70)에 연결되어 통로(P)의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압력 센서(90)는 압력 감지유로(73)의 압력을 감지할 수 있고, 그 감지결과는 후술하는 제어부(100)으로 전송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수검사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방수검사장치는 복수개의 검사모듈(40) 각각의 압력센서(90)와 연결되어 압력센서(90)에서 감지된 압력의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어부(1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방수검사장치의 검사 공정시, 밸브(70)를 개방할 수 있고, 검사 공정이 완료되면, 타 검사대상물의 검사를 위해 밸브(70)를 클로즈할 수 있다.
방수검사장치는 제어부(100)에 연결되어 복수개 압력센서(90)에서 감지된 압력의 데이터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1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는 편의를 위해, 하나의 압력센서(90)와, 하나의 밸브(70)가 도시되어 있지만, 압력센서(90)와 밸브(70)의 각각은 서브 바디(3)와 동일 개수 구비될 수 있고, 복수개 압력센서(90) 각각에서 감지된 압력의 데이터는 제어부(100)에 전송될 수 있다.
제어부(100)는 복수개 압력센서(90)에서 감지된 압력의 데이터를 수치나 그래프 등을 통해 디스플레이(110)에 표시할 수 있다.
작업자는 디스플레이(110)를 통해 표시되는 압력의 데이터 중 압력이 상대적으로 낮은 영역을 누설량이 많은 영역으로 인지할 수 있고, 데이터의 수치 등을 통해 그 누설량을 정량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다수의 서브 바디(3)를 갖는 검사대상물(H)의 복수 영역(P1)(P2)(P3)(P4)(P5)을 함께 방수 검사할 수 있고, 복수개 압력센서(90)에서 감지된 압력의 데이터들의 상대적인 차에 의해 누설 위치 및 누설량을 함께 검사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개구부 2: 메인 바디
3: 서브 바디 20: 하부 지그
30: 상부 지그 40: 검사모듈
60: 지그 70: 밸브
80: 에어 공급라인 90: 압력센서
H: 검사대상물

Claims (10)

  1. 검사대상물이 올려지는 하부 지그와;
    상기 검사대상물의 상면에 접촉되어 상기 검사대상물을 압착하는 상부 지그와;
    상기 검사대상물의 외면에 접촉되는 복수개 검사모듈과;
    에어 컴프레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 검사모듈 각각은
    상기 검사대상물의 외면에 밀착되고 에어가 통과하는 챔버가 형성된 지그와,
    상기 챔버와 연통되는 통로가 형성된 밸브와,
    상기 밸브와 에어 컴프레서를 연결하여 상기 통로로 에어를 안내하는 에어 공급라인과,
    상기 밸브에 연결되어 상기 통로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를 포함하는 방수검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대상물은 복수개의 개구부가 형성된 메인 바디와, 상기 개구부에 배치된 서브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지그는 상기 개구부 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검사대상물을 향하는 면이 상기 검사대상물 외부에서 상기 메인 바디와 서브 바디 사이를 덮는 방수검사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는
    상기 통로와 연통되는 연통로와,
    상기 연통로와 연통되고 상기 검사대상물과 접촉되는 면에 함몰 형성된 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홈부는 상기 연통로 및 개구부 각각 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서브 바디와 비접촉되는 방수검사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는 상기 검사대상물을 향하는 면에 상기 메인 바디의 외면에 접촉되는 메인 바디 접촉단이 형성된 방수검사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는 상기 상부 지그의 외면에 접촉되는 상부 지그 접촉단과, 상기 하부 지그의 외면에 접촉되는 하부 지그 접촉단을 더 포함하는 방수검사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와 밸브와 압력센서는 일렬로 배치된 방수검사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상기 지그를 향하는 지그 대향면과, 상기 압력센서를 향하는 압력센서 대향면을 포함하는 방수검사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는 상기 압력센서 대향면에서 상기 지그 대향면까지 길게 형성되고 상기 챔버와 연통되는 압력감지유로와,
    상기 압력감지유로의 일측에 연통되고 상기 에어 공급라인과 연결된 에어 공급유로를 포함하는 방수검사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감지유로는 상기 검사모듈의 길이 방향으로 긴 직선형 유로인 방수검사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검사모듈 각각의 압력센서와 연결되어 상기 압력센서에서 감지된 압력의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방수검사장치.
KR1020180031995A 2018-03-20 2018-03-20 방수검사장치 KR1020465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1995A KR102046513B1 (ko) 2018-03-20 2018-03-20 방수검사장치
US16/982,427 US11585720B2 (en) 2018-03-20 2018-10-08 Device for inspecting waterproofness
CN201880091033.8A CN111837022B (zh) 2018-03-20 2018-10-08 防水检查装置
PCT/KR2018/011827 WO2019182214A1 (ko) 2018-03-20 2018-10-08 방수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1995A KR102046513B1 (ko) 2018-03-20 2018-03-20 방수검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0260A true KR20190110260A (ko) 2019-09-30
KR102046513B1 KR102046513B1 (ko) 2019-11-19

Family

ID=67987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1995A KR102046513B1 (ko) 2018-03-20 2018-03-20 방수검사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585720B2 (ko)
KR (1) KR102046513B1 (ko)
CN (1) CN111837022B (ko)
WO (1) WO201918221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168693B (zh) * 2023-10-31 2024-01-23 苏州朗高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四穴位智能马桶即热模块气密性检测工装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24691A (ko) * 2013-04-17 2014-10-27 태원물산주식회사 차압식 누설 검사 장치 및 누설 검사 방법
KR20160011438A (ko) * 2014-07-22 2016-02-01 이강욱 전자 제품의 리크 테스트 장치 및 방법
KR101598849B1 (ko) 2014-06-23 2016-03-02 김동언 반제품 방수검사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7740U (ja) * 1991-09-17 1993-04-09 旭光学工業株式会社 防滴防水カメラの防滴防水検査装置
JP3204360B2 (ja) * 1995-02-17 2001-09-04 矢崎総業株式会社 防水コネクタの防水性検査方法及び防水性検査装置
CN202648895U (zh) 2012-01-30 2013-01-02 赛龙通信技术(深圳)有限公司 密封检测治具
CN103471790B (zh) * 2013-09-11 2016-04-20 浙江华龙巨水科技股份有限公司 高精度无水微量泄漏检测装置
KR101457075B1 (ko) * 2014-05-21 2014-10-31 한국고무 주식회사 방수성능 검사장치
KR20160003412A (ko) * 2014-07-01 2016-01-11 빛기술 주식회사 전자부품용 방수 테스트 장치
KR101564769B1 (ko) * 2014-07-01 2015-11-02 빛기술 주식회사 전자기기용 방수 테스트 장치
KR101566691B1 (ko) * 2015-06-01 2015-11-09 주식회사 디케이엘 누수 검사 장치
CN204855118U (zh) * 2015-07-28 2015-12-09 东莞劲胜精密组件股份有限公司 一种手机防水气密测试治具
CN205449404U (zh) * 2016-03-12 2016-08-10 台州恒鑫金属制品厂 三通球阀密封检测夹紧机构
CN206378255U (zh) * 2017-01-13 2017-08-04 上海小糸车灯有限公司 新型气密检测装置
CN209102306U (zh) * 2018-12-25 2019-07-12 深圳市航进自动化设备实业有限公司 一种手机外壳气密性智能检测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24691A (ko) * 2013-04-17 2014-10-27 태원물산주식회사 차압식 누설 검사 장치 및 누설 검사 방법
KR101598849B1 (ko) 2014-06-23 2016-03-02 김동언 반제품 방수검사 장치
KR20160011438A (ko) * 2014-07-22 2016-02-01 이강욱 전자 제품의 리크 테스트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837022B (zh) 2023-03-10
WO2019182214A1 (ko) 2019-09-26
CN111837022A (zh) 2020-10-27
KR102046513B1 (ko) 2019-11-19
US11585720B2 (en) 2023-02-21
US20210018395A1 (en) 2021-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4829B1 (ko) 진공 밸브의 외부 시일 구조
KR101659589B1 (ko) 전자 제품의 리크 테스트 장치 및 방법
EP3306292A1 (en) Sensor unit and airtightness inspection device
KR102046513B1 (ko) 방수검사장치
KR100973482B1 (ko) 초음파를 이용한 누설 검사 장치
KR101504596B1 (ko) 누설 테스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누설 테스트 방법
KR100832345B1 (ko) 진공용 공압 앵글밸브의 테스트 장치
KR100897410B1 (ko) 오일펌프 스틸 링에 부착되는 시일 링 검사장치
JP6146281B2 (ja) 気体漏れ検出装置
KR101566691B1 (ko) 누수 검사 장치
JPH07325006A (ja) 漏洩検査装置
KR101542512B1 (ko) 연료탱크 누설 검사장치
KR101609738B1 (ko) 라디에이터의 기밀 테스트 장치
KR101402994B1 (ko) 진공 리크 검사장치
CN203532847U (zh) 一种质谱检漏仪的组合阀体装置
JP4552351B2 (ja) ガスセンサの気密検査装置及び検査方法
JP3626014B2 (ja) プロセスガス供給ユニットにおけるガス漏れ検査装置及びガス漏れ検査方法
US11913856B2 (en) Differential pressure sensor and detection device comprising such a sensor
JP2000283879A (ja) 電子機器の防水検査装置
KR101786717B1 (ko) 리크 검사 지그 및 리크 검사 장치
KR20180137121A (ko) 방수 시험용 지그 장치
KR101809129B1 (ko) 튜브펌프 시스템의 튜브손상 감지방법 및 튜브펌프 시스템
KR20060042617A (ko) 용기의 리크감지장치
KR102394397B1 (ko) 케이블이 부속된 부품의 불량 검사 장치
KR102230127B1 (ko) 누설 측정기용 누설 검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