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9430A - 폭발물 건조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폭발물 건조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9430A
KR20190109430A KR1020197022652A KR20197022652A KR20190109430A KR 20190109430 A KR20190109430 A KR 20190109430A KR 1020197022652 A KR1020197022652 A KR 1020197022652A KR 20197022652 A KR20197022652 A KR 20197022652A KR 20190109430 A KR20190109430 A KR 201901094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plosive
drying
chamber
explosives
mois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26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마스 울리히
Original Assignee
라인메탈 바페 뮤니션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인메탈 바페 뮤니션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라인메탈 바페 뮤니션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901094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94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3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development of heat within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e.g. by fermentation or other microbiological action
    • F26B3/3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development of heat within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e.g. by fermentation or other microbiological action by using electrical effects
    • F26B3/347Electromagnetic heating, e.g. induction heating or heating using microwave energy
    • CCHEMISTRY; METALLURGY
    • C06EXPLOSIVES; MATCHES
    • C06BEXPLOSIVES OR THERMIC COMPOSITIONS; MANUFACTURE THEREOF; USE OF SINGLE SUBSTANCES AS EXPLOSIVES
    • C06B21/00Apparatus or methods for working-up explosives, e.g. forming, cutting, drying
    • C06B21/0091Elimination of undesirable or temporary components of an intermediate or finished product, e.g. making porous or low density products, purifying, stabilising, drying; Deactivating; Reclaim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24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curing, setting or hardening
    • B28B11/241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curing, setting or hardening using microwave he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5/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 F26B15/1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with movement in a path composed of one or more straight lines, e.g. compound, the movement being in alternat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 F26B15/12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with movement in a path composed of one or more straight lines, e.g. compound, the movement being in alternat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the lines being all horizontal or slightly inclined
    • F26B15/18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with movement in a path composed of one or more straight lines, e.g. compound, the movement being in alternat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the lines being all horizontal or slightly inclined the objects or batches of materials being carried by endless bel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6/00Aspects relating to 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covered by group H05B6/00
    • H05B2206/04Heating using microwav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78Arrangements for continuous movement of materia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80Apparatus for specific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폭발물의 건조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폭발물은 수분을 포함하며, 마이크로파 방사선은 폭발물에 포함된 수분을 폭발물로부터 방출시킨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마그네트론을 갖는 건조 챔버가 제공된다. 상기 마그네트론은 건조시키려는 폭발물에 요구되는 마이크로파 방사선을 방출할 수 있고, 이에 의해 폭발물이 가열된다. 가열 시, 폭발물의 수분은 방출된다.

Description

폭발물 건조 방법 및 장치
본 발명은 폭발물(explosives) 건조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의미하는 폭발물은, 충분한 에너지 활성화 시, 특정한 강한 화학 반응을 겪으며, 이 때 열 에너지 및 가스가 발생하는 고체 및 액체 물질 및 물질의 혼합물이다. 특히, 폭발성 물질, 화공 장약(pyrotechnic charge), 액티브 장약(active charge), 이펙트 장약(effect charge), 및 폭약 및 화공품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물질, 원재료 및 보조 재료, 잔여 물질, 및/또는 재료가 폭발물에 포함된다.
앞서 언급된 폭발물은 일정 수준의 수분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수분은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폭발물로부터 제조된 제품의 품질은 결정적으로 폭발물 중에 존재하는 수분을 가능한 한 적게 하는 것에 달려있다. 폭발물의 저장 수명 및 기능은 이에 포함된 수분이 얼마나 적은가에 달려있다. 또한, 특정 폭발물, 예를 들어 적린에 기반한 스모크 장약(smoke charge)의 경우, 특정 수분 함량으로부터 포스핀 형성이 증가한다. 포스핀은 폭발물에 바람직하지 않고 또한 독성이 크기 때문에, 이는 피해야 한다.
폭발물에 존재하는 수분을 방출시키기 위해, 이러한 목적으로 폭발물을 퍼니스에 도입하며, 이러한 목적을 위한 매우 다양한 유형의 퍼니스 작동 모드가 공지되어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열 방사선, 대류에 의한 건조, 또는 진공 건조가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DE 32 38 648 C1은 이러한 폭발물의 한 가지 가능한 건조를 기술한다. 이 경우에, 화공 물질은 앞서 언급된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옵션 중 하나에 의해 이 과정을 통과하여, 수분이 화공 물질로부터 빠져나가도록 화공 물질을 가열한다.
이러한 건조에 필요한 시간은 폭발물의 가공에 있어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최종 건조 시간이 짧을수록 유리한데, 왜냐하면 같은 시간에 더 많은 물질을 가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폭발물의 건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며, 상기 건조 방법은 종래의 방법보다 더 빠르게 기능하고, 가능한 가장 낮은 에너지 소비량과 연관된다. 상기 방법 및/또는 공정은 더 낮은 에너지 소비량으로 인해 더 비용 효율적이게 된다.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 1의 방법의 특징에 의해, 그리고 청구항 4의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따라서, 첫째, 일정 수준의 수분을 포함하는 폭발물의 건조 방법이 제안된다. 폭발물을 건조 및/또는 가열하는 종래의 방법 중 하나를 적용하는 대신, 본 발명은 폭발물을 마이크로파 방사선에 노출시킴으로써, 폭발물과 수분이 가열되도록 하는 것을 제안한다. 이러한 가열에 의해, 예를 들어 증발에 의해 수분이 폭발물로부터 방출된다.
마이크로파는 종래의 퍼니스에 비해 에너지 소비가 적고, 충분히 높은 건조도가 달성될 때까지 폭발물이 마이크로파 방사선에 노출되는 시간이 종래의 퍼니스에 비해 비교적 짧기 때문에, 마이크로파는 이점이 있다고 입증되었다. 마이크로파에 의한 가열은 대류열 또는 복사열에서보다 더 빠르게 일어난다.
상기 방법 및 장치는 한 폭발물에만 국한되지 않고, 임의의 조성물이 폭발물로서 건조될 수 있다.
한 특정 실시양태에서, 건조시키려는 폭발물이 적용되는 지지 장치가 제공된다. 이 지지 장치는 다수의 방식으로 건조를 촉진시킨다. 건조 공정을 보조하는 지지 장치 자체가 가열될 수 있거나, 또는 지지 장치가 마이크로파 방사선에 대해 반사성이도록 만들어져서, 건조시키려는 폭발물에 작용하는 마이크로파 방사선이 먼저 폭발물을 통과하고, 지지 장치로부터 반사된 후, 건조시키려는 폭발물을 한 번 더 통과한다. 이로써 건조를 다시 한 번 가속화하는 것이 지지 장치의 설계에 의해 가능하다. 또한 지지 장치는 방사선 투과성으로 설계되어, 마이크로파가 다양한 방향으로부터, 또한 지지 장치의 아래에서부터 폭발물에 작용할 수 있다.
상기 방법에 따르면, 폭발물의 가열 시 수분이 방출되고/되거나 증발될 수 있도록 폭발물 위에 충분한 공간이 있어야 한다. 이 경우에, 수증기에 대해 예상되는 것처럼, 수분이 폭발물으로부터의 상응하는 방출 방향, 즉 위로 상승한다.
상기 방법 이외에도, 역시 수분이 적용된 폭발물을 건조시키고자 하는 폭발물 건조 장치 또한 본 발명에 의해 제안되는데, 상기 장치는 폭발물이 건조될 수 있는 건조 챔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장치는 폭발물이 저장될 수 있는, 상기 방법의 전술한 지지 장치와 유사한 지지 장치를 갖는다.
적어도 하나의 마그네트론이 건조 챔버에 부속되는데, 이것은 지지 장치의 방향으로, 따라서 건조시키려는 물질의 방향으로 마이크로파 방사선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다수의 마그네트론이 제공되고, 또한 지지 장치의 설치에 따라 건조 챔버의 상이한 작용 방향으로 부속될 수 있다. 따라서 마그네트론은, 마이크로파 방사선이 건조시키려는 폭발물에 여러 방향으로부터 작용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지지 장치가 반사성으로 설계되는 경우, 마그네트론에 의해 방출된 마이크로파 방사선이 주로 위에서 폭발물에 입사하도록 마그네트론이 건조 챔버의 위 또는 측면에만 배치된다는 것이 제안된다. 그러나, 지지 장치는 또한 마이크로파 방사선에 대해 투과성이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마그네트론은 건조시키려는 물질에 모든 방향으로부터, 특히 또한 아래로부터 작용할 수 있다. 그러면 아래로부터 방출된 마이크로파 방사선은 지지 장치를 통과하여 방사되어 건조시키려는 물질에 입사될 수 있다.
한 특정 실시양태에서, 건조 챔버 내부의 상태를 탐지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센서가 건조 챔버에 부속되는 것이 제안된다. 이 센서는 바람직하게는 습도를 측정하고/하거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그러면 이러한 측정 결과에 기반하여, 챔버 내부의 상태는 측정하기 쉬워지고, 또한 언제 충분히 높은 건조도가 일어나는지 결정하기 쉬워진다.
지지 장치는 장치의 특정 실시양태에서 건조시키려는 폭발물이 건조 챔버를 통해 안내될 수 있도록 수송 벨트로서 구현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수송 벨트는 수송 방향 및 수송 속도를 갖는다. 따라서 건조시키려는 폭발물이 수송 벨트에서 건조 챔버를 통해 안내되며, 물질이 건조 챔버로부터 빠져나올 때 물질이 충분히 높은 건조도를 가질 수 있도록 수송 벨트의 속도가 설정된다.
또한, 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건조 챔버의 업스트림인 제1 챔버가 제공된다. 따라서 수송 벨트는 폭발물을 먼저 제1 챔버를 통해 이동시키고 이어서 건조 챔버로 이동시킨다. 건조 챔버의 다운스트림인 제2 챔버 또한 제안되는데, 수송 벨트가 건조 챔버로부터 안내되어 나온 물질을 제2 챔버를 통해 안내한다. 이러한 실시양태에 의해, 각각 건조 전 폭발물을 제조하거나 또는 건조 후 폭발물을 후처리할 수 있다.
따라서 추가 마이크로파 방사선 또는 통상적인 가열에 의해 제1 챔버에서 폭발물을 예열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가열 엘리먼트가 제1 챔버에 제공된다. 또한 건조 챔버로부터 빠져나온 폭발물을 제2 챔버에서 냉각시켜서, 그 후 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제2 챔버의 물질을 냉각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라 냉각 엘리먼트를 제공한다. 이러한 냉각 엘리먼트는 단순한 팬 또는 제2 챔버 전체를 냉각시키는 공조 엘리먼트일 수 있다.
제1 및/또는 제2 챔버는 또한 건조시키려는 폭발물을 흡착시킬 수 있다. 이 경우에, 물질의 표면적은 마이크로파 건조를 최적화하고 폭발물이 점화될 위험을 최소화하도록 변화된다.
수송 벨트의 속도는 물질 또는 건조시키려는 물질의 양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변경에 의해 최적 건조 결과를 얻는 것이 항상 가능하다.
마그네트론의 파장 및/또는 전력을 설정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파장을 설정함으로써, 특정 폭발물에 대해 의도적으로 열의 최적 도입을 보장할 수 있는데, 왜냐하면 상이한 물질은 상이한 파장으로 인해 상이한 수준의 열 발생을 유도하기 때문이다. 전력을 설정함으로써, 예를 들어, 물질이 건조 챔버에서 수송 벨트를 통해 이동될 때, 이미 발생한 열에 따라 전력이 위아래로 조절되는 경우, 건조 프로파일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방출된 수분이 건조 챔버 내에 남아 수분이 추가로 방출되는 것을 막지 않게 하기 위해, 건조 챔버 내의 공기를 건조 챔버 밖으로 옮기는 팬이 건조 챔버에 부속되는 것이 추가 실시양태에서 제공된다. 수분이 모아져야 하는 경우, 이러한 팬은 또한 경우에 따라 수분 필터를 가질 수 있다.
단순함을 위해 각 챔버에 공기가 제공되는 것이 제안된다. 그러나, 예를 들어 열의 작용으로 인한 건조시키려는 폭발물 내에서의 가능한 반응을 억제하기 위해, 챔버, 특히 건조 챔버를 공기 이외의 가스로 채우는 것 또한 고려될 수 있다.
추가적 특징은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명백해진다.
도면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1은, 건조 과정에 의해 폭발물(4)로부터 방출되어야 하는 일정 수준의 수분(2)을 포함하는 건조시키려는 폭발물(4)을 도시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폭발물(4) 및 이에 포함된 수분(2)을 가열하는 마이크로파 방사선(1)이 폭발물(4)에 제공된다. 수분(2)은 가열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증발에 의해 폭발물(4)로부터 방출된다.
건조시키려는 폭발물(4)이 지지 장치(5) 상에 배치되고, 마이크로파 방사선(1)이 건조시키려는 폭발물(4)에 위로부터 적용된다. 건조를 가속화하기 위해, 지지 장치(5)는 이러한 목적을 위해 반사성으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마이크로파 방사선(1)이 우선 건조시키려는 폭발물(4)을 침투하고, 지지 장치(5)에 의해 반사되어, 다시 한 번 건조시키려는 폭발물(4)을 침투한다.
대안적으로, 지지 장치(5)를 방사선 투과성으로 만드는 것 또한 가능하며, 이로 인해 마이크로파 방사선(1)이 건조시키려는 폭발물(4)에 위에서 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아래에서부터도 입사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마이크로파 방사선(1)은 우선 지지 장치(5)를 침투하고 그 후 건조시키려는 폭발물(4)에 입사한다.
마이크로파 방사선(1)에 의해, 건조시키려는 폭발물(4)이 가열되고 이에 포함된 수분(2) 또한 가열된다. 이러한 가열은 수분(2)이 폭발물(4)로부터 방출되도록 일어난다. 이러한 방출은 바람직하게는 폭발물(4)로부터 위쪽으로, 구체적으로는 방출 방향(3)으로 일어난다.
폭발물(4)을 건조하기 위한 해당 장치가 도 2에 도시된다. 건조 챔버(13)가 도 2에 도시되며, 각각 건조 챔버(13)의 업스트림과 다운스트림인 제1 챔버(12) 및 제2 챔버(16) 또한 도시된다.
이 경우에 지지 장치(5)는, 폭발물(4)을 건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통해 수송 방향(10)으로 움직이는 수송 벨트(11)에 의해 구현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폭발물(4)은 우선 수송 벨트(11)에 의해 제1 챔버(12)를 통해 수송된다.
이 제1 챔버(12)는, 폭발물(4)이 건조 챔버(13)로 들어가기 전에, 건조시키려는 폭발물(4)을 준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예를 들어, 폭발물(4)은 추가 마그네트론 또는 대류열 엘리먼트에 의해 예열될 수 있다. 그러나, 건조시키려는 폭발물(4)의 표면을 제조하기 위해 제1 챔버에 흡착을 위한 수단을 제공하는 것 또한 가능한데, 이로 인해 폭발물(4)의 고체 표면 상에 물질이 풍부해짐으로써, 마이크로파 방사선(1)에 의한 더 나은 열 흡수를 얻거나 또는 마이크로파 방사선(1)에 의한 점화를 방지한다.
건조시키려는 폭발물(4)이 제1 챔버(12)를 통해 수송된 후, 수송 벨트(11)를 통해 건조 챔버(13)로 들어간다. 건조 챔버(13)는 건조시키려는 폭발물(4)에 마이크로파 방사선(1)을 적용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마그네트론(14)을 갖추고 있다.
건조시키려는 폭발물(4)은 마이크로파 방사선(1)에 의해 가열되고 폭발물(4)에 포함된 수분(2)은 가열로 인해 폭발물(4)로부터 방출된다.
폭발물(4)로부터의 수분(2)의 최적 방출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건조 챔버(13) 내부의 환경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건조 챔버(13)에 적어도 하나의 센서(15)를 장착시키는 것이 제안된다. 그러면 이 센서 또는 복수의 센서는 건조 챔버(13) 내부의 온도 또는 건조 챔버(13) 내부의 수분(2)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건조 챔버(13) 내부의 열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고온계를 센서(15)로서 사용하여 열 방사에 대한 온도 측정을 제한하는 것이 제안된다.
건조시키려는 폭발물(4)이 수송 벨트(11)에서 건조 챔버(13)를 통해 수송된 후, 제2 챔버(16)로 들어간다. 이 챔버는 건조시키려는 폭발물(4)을 후처리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예를 들어, 이 챔버는, 건조시키려는 폭발물(4)을 추가 공정을 가능하게 하는 온도로 냉각시키기 위해 냉각 엘리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추가 사용을 위해 건조시키려는 폭발물(4)의 표면을 다시 한 번 가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흡착제가 또한 제공될 수 있다.
수송 벨트(11)의 주행 속도는 건조 챔버(13)에서의 건조 과정 및 체류 시간을 건조시키려는 폭발물(4) 및/또는 폭발물(4)의 두께 각각에 맞추기 위해 가변적이다. 마그네트론(14)의 파장 또한 여기에서 건조시키려는 폭발물(4)에 대한 적합화를 확보하기 위해 가변적이다. 임의의 건조시키려는 폭발물(4)에 대한 최적의 적합화는 이러한 가변성에 의해 확보된다.
습한 공기를 건조 챔버(13) 밖으로 내보내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공기를 건조 챔버(13) 밖으로 안내하는 팬(도시되지 않음)이 제공된다. 수분(2)이 바깥으로 빠져나가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은 경우, 이 팬은 경우에 따라 수분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특징들에 제한되지 않고, 다른 디자인도 고려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마이크로파 방사선의 균질성을 점검하는 필드 모니터링이 건조 챔버에 제공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필드 모니터링에 상응하는 센서가 건조 챔버에 부속되어야 한다. 또한, 건조 챔버를 통한 경로를 통해 각각의 마그네트론의 전력을 변화시켜 건조 프로파일을 얻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건조시키려는 폭발물이 건조 챔버로 도입될 때, 우선 적은 에너지가 가해지고, 그 후 건조 챔버의 중간에 이르러 마그네트론에 의해 건조시키려는 폭발물에 최대 요구 에너지가 가해지며, 그 후 수송되어 빠져나갈 때 다시 더 적은 에너지가 가해진다. 이로써 건조 챔버(13)를 통한 수송 중 건조시키려는 폭발물의 가열이 최적화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연속적 건조 과정을 보장하도록 연속적인 균일한 필드가 사용될 수 있다.
수송 벨트 대신에, 충전 또는 계량 수송 시스템을 또한 사용하여 일괄 건조를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복수의 폭발물의 혼합물을 또한 한 건조 과정으로 건조시킬 수 있다.
1 마이크로파 방사선
2 수분
3 방출 방향
4 폭발물
5 지지 장치
10 수송 방향
11 수송 벨트
12 제1 챔버
13 건조 챔버
14 마그네트론
15 센서
16 제2 챔버

Claims (15)

  1. 수분(2)을 포함하는 폭발물(4)의 건조 방법으로서,
    폭발물(4)이 마이크로파 방사선(1)에 노출되어, 이로 인해 폭발물(4)과 수분(2)이 가열되고, 수분(2)이 가열에 의해 폭발물(4)로부터 방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발물(4)의 건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폭발물(4)이 마이크로파 방사선(1)을 반사시키는 지지 장치(5)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폭발물(4)의 건조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방출이 증발에 의해 일어나며, 수분(2)이 폭발물(4)로부터 방출 방향(3)으로 방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폭발물(4)의 건조 방법.
  4. 수분(2)을 포함하는 폭발물(4)의 건조 장치로서,
    폭발물(4)이 건조될 수 있는 건조 챔버(13)를 가지고,
    폭발물(4)이 저장될 수 있는 지지 장치(5)를 가지며,
    적어도 하나의 마그네트론(14)이 건조 챔버(13)에 부속되어, 이를 통해 폭발물(4)이 마이크로파 방사선(1)에 노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발물(4)의 건조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수분 및/또는 온도의 측정을 가능하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15)가 건조 챔버(13)에 부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폭발물(4)의 건조 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지지 장치(5)가 수송 방향(10)을 갖는 수송 벨트(11)로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폭발물(4)의 건조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수송 벨트(11)가 폭발물(4)을 먼저 제1 챔버(12)를 통해 안내하고 그 후 건조 챔버(13)를 통해 안내하도록, 제1 챔버(12)가 건조 챔버(13)의 업스트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폭발물(4)의 건조 장치.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수송 벨트(11)가 폭발물(4)을 건조 챔버(13) 다음에 제2 챔버(16)를 통해 안내하도록, 제2 챔버(16)가 건조 챔버(13)의 다운스트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폭발물(4)의 건조 장치.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제1 챔버(12)에서 대류열 엘리먼트에 의해 또는 추가 마그네트론(14)에 의해 폭발물(4)의 가열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폭발물(4)의 건조 장치.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제2 챔버(16)에서 냉각 엘리먼트에 의해 폭발물(4)의 냉각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폭발물(4)의 건조 장치.
  11. 제6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송 벨트(11)의 주행 속도가 가변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폭발물(4)의 건조 장치.
  12. 제4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마그네트론(14)의 파장이 가변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폭발물(4)의 건조 장치.
  13. 제4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건조 챔버(13)의 공기를 건조 챔버(13)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팬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폭발물(4)의 건조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팬이 적어도 하나의 수분 필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폭발물(4)의 건조 장치.
  15. 제7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흡착 수단이 제1 및/또는 제2 챔버(12, 16)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폭발물(4)의 건조 장치.
KR1020197022652A 2017-02-06 2018-01-25 폭발물 건조 방법 및 장치 KR2019010943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7102271.6A DE102017102271B4 (de) 2017-02-06 2017-02-06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Trocknung von Explosivstoff
DE102017102271.6 2017-02-06
PCT/EP2018/051857 WO2018141630A1 (de) 2017-02-06 2018-01-25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trocknung von explosivstof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9430A true KR20190109430A (ko) 2019-09-25

Family

ID=61132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2652A KR20190109430A (ko) 2017-02-06 2018-01-25 폭발물 건조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293692B2 (ko)
EP (1) EP3577095B1 (ko)
KR (1) KR20190109430A (ko)
AU (1) AU2018216777B2 (ko)
CA (1) CA3044956C (ko)
DE (1) DE102017102271B4 (ko)
PL (1) PL3577095T3 (ko)
WO (1) WO2018141630A1 (ko)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113889B (de) * 1959-04-06 1961-09-14 Hirtenberger Patronen Verfahren zum Trocknen und Sieben von gegen elektrostatische Aufladungen hochempfindlichen sowie reibungsempfindlichen Sprengstoffen
US3478900A (en) * 1966-11-28 1969-11-18 Cryodry Corp Apparatus for treating food products and the like with microwave energy
US4045639A (en) * 1973-01-16 1977-08-30 Food Processing Systems Corporation Continuous microwave and vacuum dryer
US4104804A (en) 1974-04-18 1978-08-08 Sargeant Ralph G Method for drying explosive materials
US4103431A (en) * 1975-04-28 1978-08-01 Levinson Melvin L Microwave drying
US4330946A (en) * 1980-09-23 1982-05-25 Ralph S. Tillitt High efficiency material drying
DE3238648C1 (de) 1982-10-19 1984-02-09 Dynamit Nobel Ag, 5210 Troisdorf Verfahren zum Mischen und Trocknen von fließfähigen festen Explosivstoffen
DE3509215A1 (de) 1985-03-14 1986-09-18 EL-A Verfahrenstechnik GmbH, 8000 München Vorrichtung zur kombinierten mechanisch-thermischen trennung von fest - fluessig - gemischen mittels elektromagnetischer hochfrequenz
DE3623511A1 (de) * 1986-07-11 1988-01-21 Max Wagner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trocknen von keramischen hohlkoerpern
US4758287A (en) * 1987-06-15 1988-07-19 Talley Industries, Inc. Porous propellant grain and method of making same
GB8820005D0 (en) 1988-08-23 1988-09-21 D & C Ltd Filtration apparatus with integral microwave drying
IL99226A (en) * 1990-08-24 1994-11-28 Hachima Hiroki Method and device for removing body secretions
IT1316197B1 (it) * 2000-06-14 2003-04-03 Turatti Srl Apparecchio per la asciugatura in continuo di verdure, in particolareverdure in foglie.
KR101194012B1 (ko) 2006-02-17 2012-10-24 이영희 건조장치
WO2007108076A1 (ja) 2006-03-17 2007-09-27 Ibiden Co., Ltd. 乾燥装置、セラミック成形体の乾燥方法及びハニカム構造体の製造方法
EP1992675A1 (de) * 2007-05-10 2008-11-19 BAUER Maschinen GmbH Brennstoffkomponente für einen Explosivstoff sowie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CN100557352C (zh) 2008-01-25 2009-11-04 中北大学 利用微波干燥炸药的方法
CN201382658Y (zh) * 2008-07-21 2010-01-13 天水华圆制药设备科技有限责任公司 防爆箱式真空微波干燥机
CN101358803B (zh) * 2008-07-21 2011-11-23 天水华圆制药设备科技有限责任公司 防爆箱式真空微波干燥机
CZ307332B6 (cs) 2009-11-12 2018-06-13 VĂšTS, a.s. Mikrovlnná sušárna plošných útvarů, zejména textilií a papíru
US20110179701A1 (en) * 2010-01-27 2011-07-28 G-Energy Technologies, Llc Torrefaction of ligno-cellulosic biomasses and mixtures
PL2920533T3 (pl) * 2012-11-16 2019-03-29 Nuwave Research Inc. Aparatura i sposób do odwadniania za pomocą promieniowania mikrofalowego
CN103923670B (zh) 2014-04-17 2016-04-20 杰瑞能源服务有限公司 油田废弃物的工业处理方法及其装置
US10578359B2 (en) * 2014-06-11 2020-03-03 Enwave Corporation Microwave vacuum-drying of organic materials
CN106277728A (zh) * 2015-05-15 2017-01-04 戴长虹 钢化真空玻璃的连续式工业化生产炉
CN205482180U (zh) * 2016-01-20 2016-08-17 上海京海(安徽)化工有限公司 一种循环吸附式防爆干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41630A1 (de) 2018-08-09
EP3577095B1 (de) 2022-05-25
DE102017102271B4 (de) 2021-08-12
AU2018216777A1 (en) 2019-06-27
DE102017102271A1 (de) 2018-08-09
PL3577095T3 (pl) 2022-08-16
CA3044956C (en) 2023-01-24
AU2018216777B2 (en) 2020-12-10
EP3577095A1 (de) 2019-12-11
CA3044956A1 (en) 2018-08-09
US20200141643A1 (en) 2020-05-07
US11293692B2 (en) 2022-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10328B1 (en) Rapid thermal processing chamber for processing multiple wafers
US2349300A (en) Explosive
JPH1089846A (ja) 乾燥及び/又は結晶化装置
KR101156481B1 (ko) 슬러지 건조용 컨베이어
US20090302031A1 (en) Microwave Heater
WO2014103786A1 (ja) 電池用電極塗膜の乾燥方法及び乾燥炉
US9982941B2 (en) Drying apparatus
ES2197254T3 (es) Dispositivo de secado con carcasa rotativa.
EP3438588B1 (en) Low-temperature drying apparatus
KR20190109430A (ko) 폭발물 건조 방법 및 장치
SU1001870A3 (ru) Вакуумна сушилка
JP6233955B2 (ja) 乾燥装置
JP2002162162A (ja) 乾燥装置
JP2009233563A (ja) 汚泥乾燥機の運転制御方法
CN104006638B (zh) 适用于在线分析的微波固定床热风联合干燥实验装置
RU2066027C1 (ru) Способ сушки пиломатериалов
RU2382964C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свч-сушки оцилиндрованных бревен и бруса
US245980A (en) Apparatus for heating and drying
SU1758914A1 (ru) Комбинированна СВЧ-печь
JPH0618178A (ja) 連続式焼成炉
JP3641014B2 (ja) 遠赤外加熱方法および装置
RU2722540C2 (ru) Способ сушки препрег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варианты)
Garner et al. The initiation of flame in mixtures of carbon monoxide and oxygen
ES2677257T3 (es) Procedimiento para la cocción de placas de impresión revestidas
SU767476A1 (ru) Рециркул ционна зерносушилк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