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8871A - 버스 승객 맞춤형 정보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버스 승객 맞춤형 정보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8871A
KR20190108871A KR1020180030482A KR20180030482A KR20190108871A KR 20190108871 A KR20190108871 A KR 20190108871A KR 1020180030482 A KR1020180030482 A KR 1020180030482A KR 20180030482 A KR20180030482 A KR 20180030482A KR 20190108871 A KR20190108871 A KR 201901088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enger
bus
information
identifier
traff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04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6384B1 (ko
Inventor
이성자
Original Assignee
이성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자 filed Critical 이성자
Priority to KR10201800304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6384B1/ko
Publication of KR201901088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88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63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63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5Vehicular advertis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스 정보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버스 하차 정보를 각 승객별로 제공할 수 있게 되어 버스 하차 지점을 놓치는 경우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승객의 위치 정보 또는 하차하는 지역의 맞춤형 광고 콘텐츠를 하차하는 승객에게 적절한 시간에 전달할 수 있게 됨으로써 광고 또는 홍보 효과가 높아지게 되며 광고 노출 빈도 또한 기존 방식에 비해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으며, 교통사고 등으로 교통 상황이 정체될 경우 대체 교통 수단을 버스 승객에게 제공해줌으로써 버스 승객이 다른 교통 수단을 이용하여 목적지에 늦지않게 도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버스 승객 맞춤형 정보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버스 승객 맞춤형 정보 제공 시스템{Bus information system focused on bus passenger}
본 발명은 버스 정보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버스 하차 정보를 각 승객별로 제공할 수 있게 되어 버스 하차 지점을 놓치는 경우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승객의 위치 정보 또는 하차하는 지역의 맞춤형 광고 콘텐츠를 하차하는 승객에게 적절한 시간에 전달할 수 있게 됨으로써 광고 또는 홍보 효과가 높아지게 되며 광고 노출 빈도 또한 기존 방식에 비해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으며, 교통사고 등으로 교통 상황이 정체될 경우 대체 교통 수단을 버스 승객에게 제공해줌으로써 버스 승객이 다른 교통 수단을 이용하여 목적지에 늦지않게 도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버스 승객 맞춤형 정보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기기의 확산에 따라 와이파이 이용 환경은 장소에 관계없이 필요한 사회적 인프라가 되고 있다.
공공 와이파이의 확산에 따라 버스에 와이파이가 설치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으나 단순히 무선 네트워크 서비스만 제공하고 있으며 버스정보안내시스템(BIS;Bus Information System)은 음성 또는 버스에 설치된 모니터에 하차 정류장에 대한 문자 중심의 안내를 하고 있다. 버스가 붐비거나 승객이 많을 경우 또는 안내 방송을 하지 못한 경우 하차 정류장을 지나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버스에 설치된 무선 네트워크 자원과 승객이 소지한 모바일 기기를 활용하여 승객에게 좀 더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할 필요가 있으나 현재는 별다른 대안이 없고 단순히 와이파이 접속 서비스 위주로 제공된다.
버스 와이파이가 할 수 있는 유일한 광고 방법은 버스 승객이 와이파이에 접속할 때 랜딩 페이지 방식에 의해 버스의 현재 위치에 상관없이 버스 승객 모두에게 똑같은 내용의 1회성 광고를 제공하고 있지만, 버스 승객별 또는 버스 정류장 위치별로 차별화된 유용한 맞춤형 광고 또는 정보가 제공되지 않는 실정이다.
이러한 광고는 사전에 미리 제작(광고제작기간 약 1주일 정도 소요)되어 저장된 정보를 전달하기 때문에 시간적으로 시의적절하지 않을 수 있고 시급히 실시간으로 광고 또는 홍보로 알려야 하는 경우 적용할 수 없게 된다.
결국 와이파이 서비스 제공 주체 또는 광고 스폰서는 특정인이 어느 버스 정류장에서 어느 버스에 탑승했는지, 그 승객이 버스 노선상 현재 위치가 어디인지 알 수 없기 때문에 일방적인 1회성 광고(홍보)만 가능하게 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와이파이가 설치된 모든 버스에서 와이파이 접속시 동일한 광고가 표출될 수 있다.
이것은 광고 콘텐츠 종류가 매우 적어지게 되고 결국 광고 스폰서를 유치할 수 있는 기회가 현저하게 줄어드는 요인이 된다.
이와 같이 기존의 버스정보안내시스템(BIS)은 승객과 버스운영 주체에게 일정한 가치를 제공하고 있으나, 버스 내.외부와의 무선 통신 환경이 매우 열악하여 버스 승객에게 다양한 교통상황 정보와 버스 승객별 맞춤형 교통정보를 제공할 수 없으며 최근의 고객 성향과 모바일 기기 이용환경에는 크게 한계가 있는 솔루션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새롭게 변화하는 환경에 부응하고 승객에게 보다 새로운 차원의 기술을 적용한 버스정보 안내 서비스 제공이 필요하다.
한국공개특허 10-1999-0010212호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버스 하차 정보를 각 승객별로 제공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승객이 하차하는 지역의 맞춤형 광고 콘텐츠를 하차하는 승객별로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교통 상황이 정체될 경우 대체 교통 수단을 버스 승객에게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버스 승객 맞춤형 정보 제공 시스템은 버스에 탑승한 승객이 소지하는 승객 단말기와, 버스 내에 마련되어 있으며 버스의 현재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GPS 모듈과, 버스 내에 마련되어 있으며 이동통신망에 접속하여 무선 인터넷 환경인 와이파이망을 승객 단말기에 제공하는 통신 라우터와, 통신 라우터로부터 통신 라우터 식별자, 현재 위치 정보, 통신 라우터에 접속하는 승객 단말기 식별자와 목적지 정류장 식별자를 수신하여 버스 위치가 목적지 정류장에 도래하면 승객 하차 안내 메시지를 통신 라우터를 통하여 승객 단말기로 전송하는 콘텐츠 제공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버스 승객 맞춤형 정보 제공 시스템은 콘텐츠 제공 서버의 요청에 따라 버스 노선의 교통 상황 정보를 콘텐츠 제공 서버로 제공하는 교통상황 제공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서버는 승객 식별 정보 중 승객 로그인 정보 또는 승객 단말기 식별자에 기초하여 승객을 인증하며 인증한 승객에 통신 라우터의 접속 권한을 부여하는 인증부와, 통신 라우터 식별자에 매핑되어 있는 버스 식별자를 검색하여 승객이 탑승한 버스를 판단하며, 목적지 정류장 식별자, 현재 위치 정보 그리고 버스 노선도 정보에 기초하여 버스가 목적지 정류장에 근접하여 도달하였는지 판단하여 하차 안내 메시지를 생성하며 상기 하차 안내 메시지를 상기 승객 단말기로 제공하는 메시지 제공부와, 승객 개인 정보, 현재 위치 정보 및 목적지 정류장 식별자에 기초하여 승객 맞춤형 콘텐츠를 콘텐츠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며 검색한 승객 맞춤형 콘텐츠를 승객 단말기로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서버는 현재 위치 정보, 버스 식별자 정보에 기초하여 버스 노선의 교통상황 정보를 교통상황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하며 교통상황 정보를 승객 단말기로 제공하는 교통상황 안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교통상황 안내부는 승객이 탑승한 버스의 노선 정보, 목적지 정류장 식별자, 현재 위치 정보, 버스 식별자 및 버스 노선의 교통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승객의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 정류장까지의 예상 소요 시간을 승객별로 구분하여 계산하며 계산한 예상 소요 시간을 승객 단말기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상황 안내부는 예상 소요 시간이 교통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류장별 사이의 평균 소요 시간보다 설정된 임계치 이상 더 소요되는지 판단하며, 예상 소요 시간이 상기 평균 소요 시간보다 설정된 임계치 이상 더 소요되는 경우 정체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여 승객 단말기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상황 안내부는 교통상황 제공 서버로부터 버스 노선에서 정체 지연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정체 지연 정보를 구비하는 정체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여 승객 단말기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교통상황 안내부는 승객 단말기로부터 정체 알림 메시지에 응답하여 대중교통 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승객의 현재 위치와 목적지 정보에 기초하여 승객이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까지 이동하는데 이용 가능한 대체 교통수단을 교통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며, 검색한 대체 교통수단별 교통상황 정보를 교통상황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까지 대체 교통수단을 이용하여 소요되는 예상 소요 시간을 계산하여 대체 교통수단별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대체 교통 수단 정보는 다른 노선의 버스로 환승할 때의 버스 환승 안내, 택시를 이용할 때의 택시 탑승 위치와 소요 시간, 및 기차를 이용할 때의 기차역 위치와 기차 시간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교통상황 안내부는 목적지까지 가장 짧게 이동시간이 소요되는 대체 교통수단을 추천 교통 수단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버스 하차 정보를 각 승객별로 제공할 수 있게 되어, 버스 하차 지점을 놓치는 경우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승객이 하차하는 지역의 맞춤형 광고 콘텐츠를 하차하는 승객에게 적절한 시간에 전달할 수 있게 됨으로써, 광고 또는 홍보 효과가 높아지게 되며 광고 노출 빈도 또한 기존 방식에 비해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교통 사고 등으로 교통 상황이 정체될 경우 대체 교통 수단을 버스 승객에게 제공해줌으로써, 버스 승객이 다른 교통 수단을 이용하여 목적지에 늦지않게 도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버스내에 설치된 GPS 모듈, 통신 라우터, 및 단말기를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스 승객 맞춤형 정보 제공 시스템.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객 단말기의 구성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객 단말기의 버스 정보 안내 화면창 예시 그림.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기능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목적지 정류장의 입력 방식을 선택하는 예시 그림.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버스 노선 안내도 상의 버스 정류장 아이콘 클릭을 통한 목적지 정류장의 선택 예시 그림.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목적지 주소를 직접 입력받는 예시 그림.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지도에서 지점 선택을 통한 목적지 정류장의 선택 예시 그림.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목적지 정류장 도달 시에 맞춤형 광고 콘텐츠가 표시되는 예시 그림.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맞춤형 광고 콘텐츠가 제공되는 예시 그림.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버스 승객 맞춤형 정보 제공 시스템은, 3G, LTE, 및 5G와 같은 이동통신 네트워크, GPS 모듈, 통신 라우터, 콘텐츠 제공 서버, 교통상황 제공 서버 및 버스 승객이 소지한 스마트폰 등의 버스 승객 단말기를 활용하여 버스 승객에게 도착 예정 버스 정류장 정보를 제공하거나, 광고 또는 홍보 콘텐츠를 제공하거나, 승객이 승차한 버스의 노선에서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교통상황 정보와 이용 가능한 다른 대중교통정보를 제공한다.
버스 승객은 버스에 배치되어 있는 통신 라우터를 이용하여 고품질의 무선 통신을 이용하면서 승객에 개인화된 맞춤형 홍보 또는 광고 콘텐츠를 동시에 제공받을 수 있으며, 홍보 또는 광고 콘텐츠를 제공하는 광고주는 승객의 목적지 또는 버스 노선에 따라 나이나 성별로 구분한 타켓 승객에게 맞춤형으로 홍보 또는 광고 콘텐츠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버스에 탑승한 버스 승객 정보에 기반한 맞춤형 광고(홍보)를 제공하여 광고 효과를 높여줌으로써 새로운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수 있으며, 노약자 등의 승객에게 하차할 버스 정류장 정보를 미리 안내해줌으로써 정차 위치를 지나쳐서 하차하는 일이 없도록 하고 운전자에게 운전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동시에 승객이 탑승하고 있는 버스의 노선에서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교통상황 정보를 승객에게 제공하여 승객은 목적지까지 버스의 정체 여부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승객의 선택에 따라 현재 위치에서 이용 가능한 다른 대중교통을 통해 목적지까지 이동하도록 도와줄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버스 내에는, 통신 라우터(100)와 GPS 모듈(150)이 마련되어 있는데, 여기서 통신 라우터(100)는 버스에 탑승한 승객이 소지한 승객 단말기(200)를 통해 추후 설명하는 콘텐츠 제공 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LTE 라우터 또는 WiFi 라우터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GPS 모듈(150)은 GPS위성으로부터 버스의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콘텐츠 제공 서버는 버스에 탑승한 승객의 승객 단말기(200)로부터 통신 라우터(100)를 통해 승객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통신 라우터(100)로부터 통신 라우터 식별자와 버스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데, 버스 위치가 목적지 정류장에 도래하면 하차 안내 메시지를 통신 라우터(100)를 통하여 승객 단말기(200)로 전송한다. 여기서 승객 식별 정보는 승객의 탑승하는 목적지 정류장 식별자, 승객 로그인 정보, 승객이 소지하는 승객 단말기의 식별자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버스는 시내버스, 광역버스, 시외버스, 고속버스 및 마을버스가 해당되며, 이밖에 관광버스 뿐만 아니라 열차 등의 다양한 형태의 이동형 운송수단이 모두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버스 승객 맞춤형 정보 제공 시스템에 대하여 상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버스 승객 맞춤형 정보 제공 시스템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신 라우터(100), GPS 모듈(150), 승객 단말기(200), 콘텐츠 제공 서버(300) 및 교통상황 제공 서버(40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라우터(100)는 버스 내에 마련되어 있으며 네트워크(110)에 접속하여 무선 인터넷 환경인 와이파이망을 승객 단말기(200)에 제공하는 라우터이다. 한편, GPS 모듈(150)는 버스 내에 마련되어 있는데 GPS 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한 위치 정보를 버스 위치 정보로 사용한다.
여기서 네트워크(110)는 승객 단말기(200)와 콘텐츠 제공 서버(300) 사이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거나 콘텐츠 제공 서버(300)와 교통상황 제공 서버(400) 사이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이동통신망을 포함한 다양한 종류의 네트워크가 사용될 수 있다.
승객 단말기(200)는, 버스에 탑승하는 승객이 사용하는 모바일 단말기로서, 도면에서는 스마트폰(smart phone)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스마트폰만 아니라 태블릿 PC(tablet PC), 슬레이트 PC(slate PC),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이 해당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단말기는 상술한 종류에 한정되지 않고, 외부 장치와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를 모두 포함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버스에 탑승한 승객이 소지하는 승객 단말기(200)가 통신 라우터(100)에 인증 접속하는 경우, 통신 라우터(100)는 GPS 모듈(150)에서 제공받은 버스의 위치 정보, 통신 라우터 식별자 및 승객 단말기(200) 식별자를 네트워크(110)를 통해 콘텐츠 제공 서버(300)로 송신한다. 각 버스에 배치되는 통신 라우터(100)에는 고유의 식별자, 예를 들어 MAC 값이 할당되어 있으며 콘텐츠 제공 서버(300)에는 통신 라우터 식별자와 버스 식별자가 매핑 등록되어 있어, 콘텐츠 제공 서버(300)는 통신 라우터 식별자와 함께 수신한 버스 위치 정보, 버스 식별자 그리고 통신 라우터(200)에 접속한 승객 단말기 식별자에 기초하여 승객이 탑승한 버스 번호, 승객이 탑승한 버스의 현재 위치를 확인하게 된다.
승객 단말기(200)는 통신 라우터(100)에 접속하여 네트워크(110)를 통해 승객 식별 정보를 콘텐츠 제공 서버(300)로 전송하는데, 콘텐츠 제공 서버(300)는 수신한 승객 식별 정보 중 승객 로그인 정보에 기초하여 승객을 인증하며, 승객 식별 정보 중 목적지 정류장 식별자에 기초하여 버스가 목적지 정류장 근처에 도달하는 경우 하차 안내 메시지를 승객 단말기(200)로 송신한다. 콘텐츠 제공 서버(300)는 인증한 승객의 개인 정보, 현재 위치 정보 또는 목적지 정류장 식별자에 기초하여 사용자 정보에 매핑되는 콘텐츠를 검색하고 검색한 승객 맞춤형 콘텐츠를 승객 단말기(200)로 송신한다.
바람직하게, 콘텐츠 제공 서버(300)에는 승객 개인 정보가 승객 단말기 식별자 또는 승객 로그인 정보에 매핑되어 저장되어 있는데, 콘텐츠 제공 서버(300)는 등록 저장되어 있는 다수의 광고 또는 홍보 콘텐츠의 색인어를 승객의 개인 정보 또는 현재 위치 정보, 목적지 정류장 식별자와 비교하여 승객에 개인화된 맞춤형 광고 또는 홍보 콘텐츠를 검색하며, 검색한 광고 또는 홍보 콘텐츠를 위치 정보의 변화에 따라 위치 정보에 상응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콘텐츠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110)를 통해 교통상황 제공 서버(400)로부터 교통상황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데, 콘텐츠 제공 서버(300)는 수신한 교통상황 정보, 버스 식별자에 따른 버스 노선 정보 및 현재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승객이 탑승한 버스의 노선에서 교통사고, 보수 등의 이유로 정체가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하며 승객이 탑승한 버스의 노선에서 정체가 발생하는 경우 정체 이유를 승객 단말기로 송신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콘텐츠 제공 서버(300)는 승객 단말기(200)로부터 대중교통 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승객의 현재 위치 정보, 승객의 목적지, 정체가 발생한 도로와 위치 그리고 대중교통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승객이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까지 교통사고, 도로 보수 등으로 발생한 교통 체증을 피하여 이용할 수 있는 다른 대중교통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한 대중교통 정보를 승객 단말기(2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승객 단말기(20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말기 통신부(210), 단말기 저장체(220), 단말기 표시부(230), 단말기 입력부(240) 및 단말기 제어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 통신부(210)는, 무선 신호를 처리하는 모듈로서, 무선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미도시)와, 수신되는 무선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미도시) 등을 포함한다.
단말기 저장체(220)는, 본 발명의 버스정보안내 앱, 화면 그래픽 인터페이스(GUI) 정보, 버스노선도, 승객 단말기 식별자, 승객 로그인 정보,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한 광고 또는 홍보 콘텐츠 등이 저장된 저장체이다. 이러한 저장체는, 플래시메모리(Flash Memory), CF카드(Compact Flash Card), SD카드(Secure Digital Card) 등 정보의 입출력이 가능한 모듈로서 장치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고, 별도의 장치에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다.
단말기 표시부(230)는, 버스정보안내 앱에 의해 실행되는 버스 정보 안내 화면창을 표시한다. 버스 정보 안내 화면창은, 버스가 정차하는 버스 정류장 아이콘이 표시된 버스 노선 안내도에 버스의 현재 위치를 실시간으로 표시된다.
단말기 입력부(240)는, 승객이 하차하고자 하는 목적지 정류장 식별자를 입력받는다. 이러한 단말기 입력부(240)와 단말기 표시부(230)는 터치스크린패널의 단일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패널은, 입력과 표시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 화면을 제공하여 단말기의 전면에 마련되어 작업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창으로서, 버스 승객과의 소통을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단말기 제어부(250)는, 승객 단말기(200)의 각 기능 모듈을 제어하는 MCU(Main Control Unit)로 구현되어, 본 발명의 버스정보안내 앱(APP;application)이 설치된 모듈이다. 이러한 버스정보안내 앱은, 승객이 하차하고자 하는 목적지 정류장을 선택받아 통신 라우터(100)를 통해 콘텐츠 제공 서버(300)로 전송하며, 버스가 정차하는 버스 정류장 아이콘이 표시된 버스 노선 안내도에 버스의 현재 위치를 실시간으로 표시되는 버스 정보 안내 화면창을 제공한다. 또한 하차 안내 메시지를 콘텐츠 제공 서버(300)로부터 수신하여 출력하거나 대중교통 정보를 콘텐츠 제공 서버(300)로부터 수신하여 출력한다.
따라서 승객이 하차하고자 하는 버스 정류장에 버스가 가까이 가면, 승객 하차를 유도하는 승객 하차 안내 메시지(음성, 화면 등의 다양한 형태)가 출력되어, 승객은 자신이 하차할 정류장이라는 것을 알게되어 하차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콘텐츠 제공 서버(300)는, 버스가 정차하는 버스 정류장 아이콘이 표시된 버스 노선 안내도에 버스의 현재 위치를 실시간으로 표시하여 승객 단말기(200)로 제공한다. 따라서 승객 단말기(20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버스 노선 안내도가 포함된 버스 정보 안내 화면창을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스마트폰(smart phone) 등으로 구현되는 승객 단말기(200)는, 수백여 종의 다양한 앱(어플리케이션;응용프로그램)을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설치하고 추가 또는 삭제할 수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앱을 직접 제작할 수도 있으며,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자신에게 알맞은 인터페이스를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구글마켓, 애플스토어 등에서 버스정보안내 앱을 다운로드받아 스마트폰에 설치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 5를 참고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통신부(310)는 통신 라우터를 통해 승객 로그인 정보 또는 승객 단말기 식별자 정보를 수신하는데, 인증부(320)는 승객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승객 로그인 정보 또는 승객 단말기 식별자와 사용자 데이터베이스(330)에 등록된 회원 정보를 조회 비교하여 승객을 인증 로그인한다. 여기서 사용자 데이터베이스(330)에는 해당 콘텐츠 제공 서버에 회원 가입한 승객의 로그인 정보, 승객 단말기 식별자 정보, 승객의 개인 정보(예를 들어, 이름, 성별, 나이, 주소 등) 등이 저장되어 있다.
한편, 메시지 제공부(340)는 승객 단말기를 인증하는 경우 통신부(310)를 통해 승객 단말기가 접속되어 있는 통신 라우터의 식별자, 현재 위치 정보와 함께 승객의 목적지 정류장 식별자를 수신하는데, 메시지 제공부(340)는 버스 데이터베이스(345)에서 통신 라우터 식별자에 매핑 저장되어 있는 버스 식별자를 검색하여 승객이 탑승한 버스를 식별한다.
메시지 제공부(340)는 수신한 현재 위치 정보, 승객의 목적지 정류장 식별자 및 버스 식별자에 기초하여 버스가 정차하는 버스 정류장 아이콘이 표시된 버스 노선 안내도에 버스의 현재 위치를 실시간으로 표시한 현재 위치 안내 메시지를 생성하여 통신부(310)를 통해 승객 단말기로 제공한다. 또한, 메시지 제공부(340)는 현재 위치 정보 및 승객의 목적지 정류장 식별자에 기초하여 승객이 탑승한 버스가 버스 노선상에서 목적지 정류장에 인접하는 경우 하차 안내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한 하차 안내 메시지를 승객 단말기로 송신한다.
콘텐츠 제공부(350)는 승객이 인증되는 경우 승객의 개인 정보, 현재 위치 정보, 승객의 목적지 정류장 식별자에 기초하여 승객의 개인 정보에 일치하는 색인어를 가지는 광고 또는 홍보 콘텐츠를 콘텐츠 데이터베이스(360)에서 검색하거나 현재 위치 정보에 일치하는 색인어를 가지는 광고 또는 홍보 콘텐츠를 콘텐츠 데이터베이스(360)에서 검색하거나 승객의 목적지 정류장에 일치하는 색인어를 가지는 광고 또는 홍보 콘텐츠를 콘텐츠 데이터베이스(360)에서 검색하거나, 개인 정보, 현재 위치 정보 또는 목적지 정류장 식별자의 조합에 일치하는 색인어를 가지는 광고 또는 홍보 콘텐츠를 콘텐츠 데이터베이스(360)에서 검색한다. 콘텐츠 제공부(350)는 검색한 광고 또는 홍보 콘텐츠를 통신부(310)를 통해 승객 단말기로 송신 제어한다.
교통상황 안내부(370)는 승객 단말기로부터 목적지 정류장 식별자를 수신하는 경우, 교통정보 데이터베이스(380)에 등록된 해당 버스의 노선도와 교통상황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한 해당 노선상의 교통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승객 단말기로 목적지 정류장까지의 예상 도착 시각 또는 예상 소요 시간에 대한 정보를 송신한다.
한편, 교통상황 안내부(370)는 교통상황 제공 서버로부터 해당 버스의 노선도와 해당 노선도에서의 교통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노선에서 사고, 도로 보수 등의 이유로 정체가 발생하는지 판단하며, 정체가 발생한 경우 정체 이유에 대한 정보를 구비하는 정체 안내 메시지를 승객 단말기로 송신한다. 바람직하게, 교통상황 데이터베이스(380)에는 해당 버스의 노선도에서 정류장별 정류장 사이의 평균 소요 시간이 저장되어 있는데, 교통상황 안내부(370)는 예상 소요 시간이 평균 소요 시간보다 설정한 임계치 이상 초과하는 경우 승객 단말기로 정체 안내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교통상황 안내부(370)는 정체 안내 메시지에 응답하여 승객 단말기로부터 대체교통 안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현재 위치 정보, 목적지 정류장 식별자, 승객의 목적지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승객의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까지 이동하는데 이용할 수 있는 다른 대중교통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한 다른 대중교통과 다른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경우 목적지까지의 예상 소요 시간에 대한 정보를 승객 단말기로 송신한다.
본 발명에 따라 콘텐츠 제공 서버에서 승객이 하차하고자 하는 목적지 정류장을 각 승객으로부터 선택받는 방식은 다음과 같이 세 가지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첫 번째 방식은, 승객이 하차할 버스 정류장 아이콘을 선택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목적지 입력 버튼(10)의 선택이 있게 되면, 목적지를 선택하는 방식을 고를 수 있는 목적지 선택창(20)이 표시된다. 승객이 목적지 선택창(20)에서 아이콘 선택 방식을 선택하게 되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차하고자 하는 버스 정류장 아이콘을 선택하여 목적지 정류장으로 결정할 수 있다. 목적지 정류장으로 선택된 버스 정류장 아이콘을 다른 버스 정류장 아이콘의 형태와 다른 형태로 표시하도록 한다.
또한 승객이 하차하고자 하는 목적지 정류장을 각 승객으로부터 선택받는 두 번째 방식은, 목적지 주소를 입력받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도 6의 목적지 선택창(20)에서 목적지 주소 입력 방식을 선택하게 되면, 승객이 도착하고자 하는 목적지 주소를 승객으로부터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받는다. 승객으로부터 입력받은 목적지 주소에서 가장 가까운 버스 정류장을 목적지 정류장으로 결정한다. 만약, 목적지 주소 근처까지 해당 버스 노선이 도달하지 않아 버스 환승해야 할 경우에는, 목적지 주소에 도착할 수 있는 버스 환승 정류장을 목적지 정류장으로 결정한다.
또한 승객이 하차하고자 하는 목적지 정류장을 각 승객으로부터 선택받는 세 번째 방식은 지도상에서 목적지를 입력받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도 6의 목적지 선택창(20)에서 목적지 지도 입력 방식을 선택하게 되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버스 정보 안내 화면창에 지도를 표시하며, 지도상에서 어느 한 지점을 승객으로부터 선택받는다. 그러면, 선택된 지점에서 가장 가까운 버스 정류장을 목적지 정류장으로 결정한다. 만약, 선택된 지도상의 지점 근처까지 해당 버스 노선이 도달하지 않아 버스 환승해야 할 경우에는, 지도상에서 선택된 지점에 도착할 수 있는 버스 환승 정류장을 목적지 정류장으로 결정한다.
결국,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버스 정류장 아이콘 선택, 목적지 주소 입력, 지도상에서 목적지 지점 선택이라는 세 가지 방식 중에서 승객이 가장 편한 방식으로서 승객이 하차하고자 하는 목적지 정류장을 선택받을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버스 승객 맞춤형 정보 제공 시스템은, 승객이 하차할 버스 정류장을 안내하는 하차 안내 메시지 이외에도, 승객이 하차할 버스 정류장과 관련되는 맞춤형 광고 콘텐츠를 함께 제공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즉, 버스가 목적지 정류장에 도달하게 되면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차 안내 메시지 이외에도 해당 버스 정류장과 관련된 맞춤형 광고 콘텐츠를 광고창(30)에 함께 표시한다.
여기서 맞춤형 광고 콘텐츠는, 버스 정류장과 관련된 지역정보, 이벤트 안내, 공연 안내, 상품 안내, 매장 안내, 쿠폰 정보 등이 모두 해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승객이 A 버스 정류장에 하차할 경우 해당 지역(A 버스 정류장 인근)에 위치한 병원이나 상가에 대한 광고 또는 정보(공연, 이벤트 등)를 맞춤형으로 제공하게 되고, 따라서 승객은 해당 지역에서 의미있는 정보를 획득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광고나 정보(홍보)는 사전에 제작된 것일 수 있으나, 실시간으로 승객이 소지한 스마트폰과 같은 승객 단말기(200)에 업데이트된 정보가 전달될 수 있기 때문에 광고 스폰서나 승객에게 좀 더 의미있는 정보를 적절한 시간에 전달할 수 있게 되어 광고 또는 홍보 효과가 높아지게 된다. 또한 광고 노출 빈도 또한 기존 방식에 비해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게 된다.
이하 맞춤형 광고 콘텐츠의 제공 예시를 상술하기로 한다.
승객은 버스에 탑승하여 무선 인터넷을 이용하기 위하여 통신 라우터(100)을 통해 콘텐츠 제공 서버(300)에 접속하고자 하는 경우, 승객 단말기(200)를 통해 목적지 정류장 식별자, 승객 로그인 정보 또는 승객 단말기 식별자를 콘텐츠 제공 서버(300)로 송신한다.
콘텐츠 제공 서버(300)는 승객 로그인 정보 또는 승객 단말기 식별자에 매핑되어 있는 승객 정보, 예를 들어 승객 연령, 승객 성별에 따라 승객에 제공할 콘텐츠를 콘텐츠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한다. 바람직하게, 콘텐츠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콘텐츠는 광고주가 설정한 연령, 성별, 위치 등의 색인어가 할당되어 있다.
콘텐츠 제공 서버(300)는 검색한 콘텐츠를 설정된 시간 동안 승객 단말기로 연속하여 또는 주기적으로 제공하는데, 바람직하게 승객에 제공할 콘텐츠는 승객 정보뿐만 아니라 승객의 현재 위치와 색인어가 일치하는 콘텐츠를 검색할 수 있다. 상황에 따라 승객 단말기(200)에 미리 다운로드 되어 저장된 광고(홍보) 콘텐츠를 활용하여 표출할 수 있다.
따라서 승객이 현재 위치에서 이용 가능한 상점을 광고하기 위한 콘텐츠를 승객에게 제공하거나 승객의 목적지 정류장 근처에서 이용 가능한 상점을 광고하기 위한 콘텐츠를 도 10과 같이 승객에게 맞춤형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콘텐츠 제공 서버(300)는 정류장별 위치로 연령대에 따라 다르게 할당된 연령대 광고 콘텐츠가 저장된 연령대 광고 콘텐츠 DB(미도시)와, 정류장별 위치로 성별에 따라 다르게 할당된 성별 광고 콘텐츠가 저장된 성별 광고 콘텐츠 DB(미도시), 정류장별 위치로 성별과 연령대를 조합한 광고 콘텐츠가 저장된 조합형 광고 콘텐츠 DB를 포함한다. 따라서 콘텐츠 제공 서버(300)는 광고 콘텐츠 중에서 승객의 개인 정보 또는 위치 정보에 일치하는 연령대 광고 콘텐츠, 성별 광고 콘텐츠, 조합형 광고 콘텐츠를 추출하여 승객 하차 안내 메시지와 함께 승객 단말기(200)로 전송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A 버스 정류장에서 제1 승객(20대/남성)과 제2 승객(40대/여성)이 하차하려고 하는 경우, 제1 승객이 소지한 제1승객 단말기(200a)에게는 A 정류장 근처의 당구장, 술집 등의 맞춤형 20대/남성 맞춤형 광고가 제공되며, 반면에 제2승객이 소지한 제 2승객 단말기(200b)에게는 A 정류장 근처의 화장품 매장, 숙녀복 판매 매장 등의 40대/여성 맞춤형 광고가 제공된다.
한편, 교통 사고, 도로 보수 등의 이유로 교통 정체가 발생하는 경우 버스가 막히게 되어, 목적지에 늦게 도착하게 된다. 그런데 버스에 탑승한 승객은 교통 정체 이류를 알 수 없어 버스에서 하염없이 기다리게 되는데,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콘텐츠 제공 서버(300)는 교통상황 정보와 함께 정체 이유를 제공하며, 아울러 대체 교통수단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콘텐츠 제공 서버(300)는, 교통 상황 정보를 반영하여 각 승객의 목적지 정류장에 도달할 때까지의 승객별 예상 도착 시간을 산출하여 승객 단말기(200)로 제공하며, 아울러, 버스 노선상에서 발생되는 교통 사고 정보와 교통 정체 정보를 승객 단말기(200)로 제공한다. 따라서 승객 단말기(200)는, 버스 정보 안내 화면창에 목적지에 도달할 때까지의 예상 도착 시간, 교통상황 정보, 교통정체 원인을 표시할 수 있다.
아울러, 콘텐츠 제공 서버(300)는, 버스 노선상에서의 교통 정체 정보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상 정체되는 경우, 승객이 타고 있는 버스 대신에 다른 교통 수단을 이용하도록 하는 대체 교통 수단 정보를 승객 단말기(200)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버스 노선상에서의 교통 정체로 인하여 승객의 목적지 정류장까지 평소의 소요 시간보다 임계치로 설정한 30분 이상 더 소요될 것으로 예측되는 경우, 버스 대신에 다른 교통 수단을 이용하도록 하는 대체 교통 수단 정보를 제공한다.
여기서 대체 교통 수단 정보는, 다른 노선의 버스로 환승할 때의 버스 환승 안내, 택시를 이용할 때의 택시 탑승 위치와 소요 시간, 기차를 이용할 때의 기차역 위치와 기차 시간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나아가, 목적지까지 가장 짧게 이동시간이 소요되는 대체 교통 수단을 추천 교통 수단으로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버스 승객은, 대체 교통 수단 정보를 확인하고 다른 교통 수단을 이용할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대체 교통 수단 정보의 제공은, 면접자, 수험생, 비지니스맨과 같이 중요한 시간 일정이 잡힌 승객들에게 매우 유용한 수단이 될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으로,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한 것이다.
100: 통신 라우터
110: 네트워크
150: GPS 모듈
200: 승객 단말기
300; 콘텐츠 제공 서버
400: 교통상황 제공 서버

Claims (9)

  1. 버스에 탑승한 승객이 소지하는 승객 단말기;
    버스 내에 마련되어 있으며, 버스의 현재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GPS 모듈;
    버스 내에 마련되어 있으며, 이동통신망에 접속하여 무선 인터넷 환경인 와이파이망을 상기 승객 단말기에 제공하는 통신 라우터;
    상기 통신 라우터로부터 통신 라우터 식별자, 현재 위치 정보, 상기 통신 라우터에 접속하는 승객 단말기 식별자와 목적지 정류장 식별자를 수신하여, 상기 버스 위치가 상기 목적지 정류장에 도래하면 승객 하차 안내 메시지를 상기 통신 라우터를 통하여 승객 단말기로 전송하는 콘텐츠 제공 서버
    를 포함하는 버스 승객 맞춤형 정보 제공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 승객 맞춤형 정보 제공 시스템은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의 요청에 따라 버스 노선의 교통 상황 정보를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로 제공하는 교통상황 제공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승객 맞춤형 정보 제공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는
    상기 승객 식별 정보 중 승객 로그인 정보 또는 승객 단말기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승객을 인증하며, 인증한 승객에 상기 통신 라우터의 접속 권한을 부여하는 인증부;
    상기 통신 라우터 식별자에 매핑되어 있는 버스 식별자를 검색하여 승객이 탑승한 버스를 판단하며, 목적지 정류장 식별자, 현재 위치 정보 그리고 버스 노선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버스가 목적지 정류장에 근접하여 도달하였는지 판단하여 하차 안내 메시지를 생성하며, 상기 하차 안내 메시지를 상기 승객 단말기로 제공하는 메시지 제공부;
    승객 개인 정보, 현재 위치 정보 및 목적지 정류장 식별자에 기초하여 승객 맞춤형 콘텐츠를 콘텐츠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며, 검색한 승객 맞춤형 콘텐츠를 상기 승객 단말기로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승객 맞춤형 정보 제공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는
    상기 현재 위치 정보, 버스 식별자 정보에 기초하여 버스 노선의 교통상황 정보를 상기 교통상황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하며, 상기 교통상황 정보를 상기 승객 단말기로 제공하는 교통상황 안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승객 맞춤형 정보 제공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교통상황 안내부는
    승객이 탑승한 버스의 노선 정보, 목적지 정류장 식별자, 현재 위치 정보, 버스 식별자 및 버스 노선의 교통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승객의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 정류장까지의 예상 소요 시간을 승객별로 구분하여 계산하며, 계산한 예상 소요 시간을 승객 단말기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승객 맞춤형 정보 제공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교통상황 안내부는
    상기 예상 소요 시간이 교통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류장별 사이의 평균 소요 시간보다 설정된 임계치 이상 더 소요되는지 판단하며, 상기 예상 소요 시간이 상기 평균 소요 시간보다 설정된 임계치 이상 더 소요되는 경우 정체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승객 단말기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승객 맞춤형 정보 제공 시스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교통상황 안내부는
    상기 교통상황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버스 노선에서 정체 지연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정체 지연 정보를 구비하는 상기 정체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승객 단말기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승객 맞춤형 정보 제공 시스템.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교통상황 안내부는
    상기 승객 단말기로부터 정체 알림 메시지에 응답하여 대중교통 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승객의 현재 위치와 목적지 정보에 기초하여 승객이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까지 이동하는데 이용 가능한 대체 교통수단을 교통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며,
    검색한 대체 교통수단별 교통상황 정보를 상기 교통상황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까지 대체 교통수단을 이용하여 소요되는 예상 소요 시간을 계산하여 대체 교통수단별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승객 맞춤형 정보 제공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대체 교통 수단 정보는 다른 노선의 버스로 환승할 때의 버스 환승 안내, 택시를 이용할 때의 택시 탑승 위치와 소요 시간, 및 기차를 이용할 때의 기차역 위치와 기차 시간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교통상황 안내부는 목적지까지 가장 짧게 이동시간이 소요되는 대체 교통수단을 추천 교통 수단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승객 맞춤형 정보 제공 시스템.
KR1020180030482A 2018-03-15 2018-03-15 버스 승객 맞춤형 정보 제공 시스템 KR1020463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0482A KR102046384B1 (ko) 2018-03-15 2018-03-15 버스 승객 맞춤형 정보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0482A KR102046384B1 (ko) 2018-03-15 2018-03-15 버스 승객 맞춤형 정보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8871A true KR20190108871A (ko) 2019-09-25
KR102046384B1 KR102046384B1 (ko) 2019-11-19

Family

ID=68068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0482A KR102046384B1 (ko) 2018-03-15 2018-03-15 버스 승객 맞춤형 정보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6384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4774A (ko) * 2020-01-22 2021-07-30 주식회사 블루윈네트웍스 대중 교통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10113711A (ko) * 2020-03-09 2021-09-17 주식회사 피엘앤씨테크놀로지 교통카드 사용정보 기반 경로산출 및 광고콘텐츠 제공 시스템
KR20210113807A (ko) * 2020-03-09 2021-09-17 (주)텐씨씨 버스 승객 정보에 기반한 맞춤형 제품 샘플 마케팅 중개를 위한 o2o 서비스 플랫폼
KR20210113710A (ko) * 2020-03-09 2021-09-17 주식회사 피엘앤씨테크놀로지 교통카드 사용정보를 반영한 경로산출 제공 시스템
KR102308774B1 (ko) * 2020-04-23 2021-10-06 (주)이모션 버스 정류장 안내 시스템 및 방법
GB2598726A (en) * 2020-09-07 2022-03-16 Spoken Ink Ltd A method of transport network communication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7617B1 (ko) * 2019-11-26 2022-01-07 최수영 교통 수단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KR102428079B1 (ko) * 2020-06-15 2022-08-04 주식회사 스쿨버스 통학차량 탑승자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0212A (ko) 1997-07-15 1999-02-05 윤종용 버스 안내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43682B1 (ko) * 2011-11-23 2013-03-25 (주)한우리 개인 맞춤형 대중교통 정보처리 시스템 및 방법
JP2014203124A (ja) * 2013-04-01 2014-10-2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バス運行管理システム、装置、および方法
KR101614805B1 (ko) * 2015-04-22 2016-04-22 주식회사 한국와이파이 버스 와이파이 제공 시스템
KR20160049141A (ko) * 2014-10-24 2016-05-09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버스 좌석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0212A (ko) 1997-07-15 1999-02-05 윤종용 버스 안내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43682B1 (ko) * 2011-11-23 2013-03-25 (주)한우리 개인 맞춤형 대중교통 정보처리 시스템 및 방법
JP2014203124A (ja) * 2013-04-01 2014-10-2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バス運行管理システム、装置、および方法
KR20160049141A (ko) * 2014-10-24 2016-05-09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버스 좌석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614805B1 (ko) * 2015-04-22 2016-04-22 주식회사 한국와이파이 버스 와이파이 제공 시스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4774A (ko) * 2020-01-22 2021-07-30 주식회사 블루윈네트웍스 대중 교통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10113711A (ko) * 2020-03-09 2021-09-17 주식회사 피엘앤씨테크놀로지 교통카드 사용정보 기반 경로산출 및 광고콘텐츠 제공 시스템
KR20210113807A (ko) * 2020-03-09 2021-09-17 (주)텐씨씨 버스 승객 정보에 기반한 맞춤형 제품 샘플 마케팅 중개를 위한 o2o 서비스 플랫폼
KR20210113710A (ko) * 2020-03-09 2021-09-17 주식회사 피엘앤씨테크놀로지 교통카드 사용정보를 반영한 경로산출 제공 시스템
KR102308774B1 (ko) * 2020-04-23 2021-10-06 (주)이모션 버스 정류장 안내 시스템 및 방법
GB2598726A (en) * 2020-09-07 2022-03-16 Spoken Ink Ltd A method of transport network communications
GB2598726B (en) * 2020-09-07 2023-05-17 Spoken Ink Ltd A method of transport network communic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6384B1 (ko) 2019-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6384B1 (ko) 버스 승객 맞춤형 정보 제공 시스템
US20210282068A1 (en) Wireless beacon devices for use in managing transportation service terminals
RU2595551C1 (ru) Навигатор для общественного транспорта
US8560400B1 (en) Context-based service delivery
KR20180118999A (ko) 대중교통 정보를 이용한 실시간 길안내 시스템
KR102026913B1 (ko) 주문형 교통 서비스를 위한 정류장 선택 방법 및 시스템
US20180224288A1 (en) Action option presentation apparatus
JP2017146808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611747B2 (ja) バス検索システム
JP2012059005A (ja) 情報提供システム、中継装置および端末装置
KR101349007B1 (ko) 통합 지역 광고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JP2009286365A (ja) 情報提供装置、情報提供方法、情報提供プログラム及び情報提供システム
KR20150133953A (ko) 택시 합승을 위한 중개 시스템
KR102078177B1 (ko) 경로선택방법을 이용한 통합경로정보제공방법
KR20050095205A (ko) 차량내 센서 네트워크를 활용한 개인 맞춤형 광고 서비스방법 및 시스템
JP6254568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200077865A (ko) 대중교통정보 기반 맞춤형 광고제공을 위한 사용자 디바이스, 관리서버, 시스템
JP2007219811A (ja) 携帯通信装置、情報提供装置および情報提供システム並びに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20050216412A1 (en) Identifying partial user-entered data
KR102200458B1 (ko) 그룹 주행 시의 멤버 위치 표시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KR102148775B1 (ko) 그룹 주행 시의 멤버 위치 표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7567911B2 (en) Transmitting graphical representations
JP7171350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200124433A (ko)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제공 시스템
US20110227758A1 (en) Interactive Mobile Service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