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9141A - 버스 좌석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버스 좌석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9141A
KR20160049141A KR1020140145283A KR20140145283A KR20160049141A KR 20160049141 A KR20160049141 A KR 20160049141A KR 1020140145283 A KR1020140145283 A KR 1020140145283A KR 20140145283 A KR20140145283 A KR 20140145283A KR 20160049141 A KR20160049141 A KR 201600491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information
seat
terminal device
reserv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5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설재남
Original Assignee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452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49141A/ko
Publication of KR201600491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91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4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Abstract

본 발명은 버스 좌석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각 버스에 설치되어, 현재 위치 및 잔여 좌석 정보를 포함하는 현재상태정보를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버스 단말장치, 각 버스들의 현재상태정보를 저장하고,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노선버스 운행정보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노선버스의 현재상태정보를 근거로 운행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좌석 예약 정보가 수신된 경우, 좌석 예약을 처리하는 서비스 서버, 교통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입력된 노선버스 운행정보 요청 신호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여 해당 노선버스의 운행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노선버스의 운행정보에서 입력된 좌석 예약 정보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버스 좌석 관리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BUS SEATS}
본 발명은 버스 좌석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 단말장치에 설치된 교통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노선버스의 운행정보를 확인하고, 노선버스의 좌석을 예약할 수 있는 버스 좌석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버스의 좌석을 예약할 수 있는 버스 좌석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스 정류장에는 해당 정류장을 운행하는 버스들에 대한 운행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BIS(Bus Information System)의 디지털안내판이 설치되고 있으며, 디지털안내판은 BIS로부터 해당 버스들의 운행 노선과 도착 예정 시간 등이 안내되고 있다.
따라서 버스를 이용하는 승객들은 해당 버스 정류장의 디지털안내판에서 해당 목적지를 운행하는 버스들에 대한 현재 위치 등을 포함하는 노선 정보와 도착 예정 시간 정보 등과 같은 간단한 운행 정보만을 확인한 후 해당 버스를 기다리게 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대도시와 그 주변의 위성도시를 연계하기 위하여 장거리를 운행하는 형태의 버스 노선을 가지는 광역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승객들은 해당 정류장에서 탑승한 버스에 빈 좌석이 없는 경우 목적지까지 꽤 긴 시간 동안을 버스 내부에서 서서 가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선행기술1: 한국등록특허 제848,398호: 차량 출입관리 시스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 단말장치를 이용하여 노선버스의 운행정보를 확인하고, 노선버스의 좌석을 예약할 수 있는 버스 좌석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각 버스에 설치되어, 현재 위치 및 잔여 좌석 정보를 포함하는 현재상태정보를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버스 단말장치, 각 버스들의 현재상태정보를 저장하고,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노선버스 운행정보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노선버스의 현재상태정보를 근거로 운행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좌석 예약 정보가 수신된 경우, 좌석 예약을 처리하는 서비스 서버, 교통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입력된 노선버스 운행정보 요청 신호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여 해당 노선버스의 운행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노선버스의 운행정보에서 입력된 좌석 예약 정보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장치를 포함하는 버스 좌석 관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버스 단말장치는 각 좌석에 설치된 센서로부터 착석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착석 정보를 근거로 잔여 좌석 수 또는 잔여 좌석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상기 노선버스 운행정보 요청 신호는 노선번호, 출발지, 정류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는 노선버스 운행정보 요청신호 수신 시, 해당 노선버스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고, 상기 파악된 현재 위치를 근거로 정류장별 도착예정시간을 산출하며, 상기 노선버스의 현재 위치, 정류장별 도착예정시간, 잔여 좌석 수, 잔여 좌석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운행정보를 생성 및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좌석 예약 정보는 버스 식별정보, 승차할 정류장, 승차 시간, 좌석, 사용자 식별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는 좌석 예약 정보 수신 시, 좌석 예약을 처리하고, 사용자 식별정보, 버스 식별정보, 승차할 정류장, 승차 시간, 좌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예약 완료 정보를 사용자 단말장치 또는 버스 단말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서버는 좌석 예약된 노선버스가 승차 예약 정류장을 통과할 때까지 상기 노선버스의 위치 정보 및 승차 예약 정류장 도착예정시간을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서버는 좌석 예약된 노선버스의 승차 예약 정류장 통과 후, 버스 단말장치 또는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예약 완료 정보에 따른 승차 정보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정류장 통과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버스 단말장치는 서비스 서버로부터 예약 완료 정보를 수신하고, 예약 좌석에 예약 표시를 하도록 제어하며, 예약 완료 정보에 따른 승차 정보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각 버스에 설치된 버스 단말장치가 현재 위치 및 잔여 좌석 정보를 포함하는 현재상태정보를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는 각 버스들의 현재상태정보를 저장하고,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노선버스 운행정보 요청신호 수신 시, 해당 노선버스의 현재상태정보를 근거로 운행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는 상기 노선버스의 운행정보에서 입력된 좌석 예약 정보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좌석 예약 정보에 따른 좌석 예약을 처리하고, 예약 완료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버스 좌석 관리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버스 좌석 관리 방법은, 상기 서비스 서버는 좌석 예약된 노선버스의 승차 예약 정류장 통과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는, 좌석 예약된 노선버스가 승차 예약 정류장을 통과할 때까지 상기 노선버스의 위치 정보 및 승차 예약 정류장 도착예정시간을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버스 좌석 관리 방법은, 상기 서비스 서버는 좌석 예약된 노선버스가 승차 예약 정류장을 통과한 후, 버스 단말장치 또는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예약 완료 정보에 따른 승차 정보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정류장 통과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장치에 설치된 교통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노선버스의 운행정보를 확인하고, 노선버스의 좌석을 예약할 수 있으므로, 버스를 이용하는 승객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버스의 도착 예정 시간 이외에 착석 가능한 잔여 좌석 정보를 탑승 이전에 확인할 수 있으므로, 승객으로 하여금 선택적으로 광역버스를 이용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스 좌석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스에 설치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스 좌석 관리 방법을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버스 좌석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설명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된 도면에 표현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쉽게 설명하기 위해 도식화된 도면으로 실제로 구현되는 형태와 상이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표현되는 각 구성부는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예일 뿐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구현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구성부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부는 순전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구성만으로 구현될 수도 있지만, 동일 기능을 수행하는 다양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하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둘 이상의 구성부들이 함께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는 표현은, '개방형'의 표현으로서 해당 구성요소들이 존재하는 것을 단순히 지칭할 뿐이며, 추가적인 구성요소들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스 좌석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스에 설치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버스 좌석 관리 시스템은 버스(10)에 설치된 버스 단말장치(100), 서비스 서버(200), 사용자 단말장치(300)를 포함한다.
버스 단말장치(100)는 버스(10)의 각 좌석에 설치된 센서(20)로부터 착석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착석 정보를 근거로 잔여 좌석 정보를 파악하며, 잔여 좌석 정보 및 현재 위치를 포함하는 현재상태정보를 서비스 서버(200)로 전송한다.
버스 내부에 설치되는 장치에 대해 도 2를 참조하면, 버스 내부에는 좌석이나 그 부근에 설치되어 좌석에 착석한 승객의 유무를 판단하는 센서(20), 센서(20)로부터의 착석 정보를 근거로 잔여 좌석 정보를 파악하는 버스 단말장치(100)가 구비되어 있다.
센서(20)는 버스 승객 좌석에 구비되어 승객의 착석 여부를 감지하고, 승객의 착석이 감지된 경우 착석 정보를 생성하여 버스 단말장치(100)로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착석 정보는 센서 식별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20)는 버스(10)의 내부 좌석들의 엉덩이 받침 부위나 등받이 부위에 구비되어 승객들의 무게 등을 감지하는 무게센서 등을 포함하고, 무게센서들로부터 잔여 좌석수를 계산한다. 여기서, 무게센서는 좌석의 승객 착석 유무를 판단하기 위하여 좌석에 내설되어 승객으로부터 가해지는 무게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시켜 주는 작용을 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좌석의 내부 하단에 완충스프링과 함께 단자가 설치되는 지지판과, 지지판의 상단에 승객의 무게에 의해 작용되는 작용단자가 설치되는 작용판과, 작용판과 지지판 사이에 탄발스프링이 가이드와 함께 설치되어 단자와 작용단자가 이격되는 기계적 구조를 가지도록 하여도 좋으며, 좌석에 옷이나 가방 또는 적은 무게의 소화물이 좌석에 승객이 착석한 것으로 인지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정무게 이상일 경우 작용되도록 하는 계수를 가지는 것이 좋다.
또한, 센서(20)는 승객이 좌석에 착석한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모든 센서 즉, 적외선센서, 압력센서, 열감지센서 등이 적용될 수도 있으며, 복수개의 센서들을 통하여 보다 정확한 잔여 좌석수 예를 들면, 승객의 짐이나 가방 등이 좌석에 놓인 경우 등은 감지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버스 단말장치(100)는 센서(20)로부터 착석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착석 정보를 근거로 잔여 좌석 정보를 파악한다. 착석 정보는 센서 식별정보 등을 포함하므로, 버스 단말장치(100)는 센서 식별정보를 근거로 해당 노선버스에서 좌석의 위치를 파악하고, 잔여 좌석 수를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버스 단말장치(100)는 통신부(110), 저장부(120), 위치 측정부(130),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통신부(110)는 버스 단말장치(100)와 센서(20) 또는 버스 단말장치(100)와 서비스 서버(200)를 통신망을 통해 상호 연결시키는 통신 수단으로서, 예를 들어 이동통신, 위성통신 등의 무선 통신모듈, 인터넷 등의 유선 통신모듈, 와이파이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20)는 버스 단말장치(100)의 동작과 관련된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구성이다. 예를 들어, 저장부(120)는 착석 정보, 잔여 좌석 정보, 좌석 예약 정보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부(120)는 다양한 종류의 메모리 소자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위치 측정부(130)는 버스의 현재 위치를 측정하고, 측정된 현재 위치를 제어부로 전송한다. 이때, 위치 측정부(130)는 GPS 방식, 기지국 방식 등의 다양한 방식을 이용하여 버스 단말장치(100)의 현재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통신부(110)를 통해 센서 식별정보 등을 포함하는 착석 정보가 수신되면, 센서 식별정보를 근거로 해당 좌석의 위치를 파악하고, 잔여 좌석 수를 파악한다. 그런 후, 제어부(140)는 위치 측정부(130)에서 측정된 현재 위치와 잔여 좌석 정보를 포함하는 현재상태정보를 통신부(110)를 통해 서비스 서버(200)로 전송한다. 여기서, 현재상태정보는 현재위치, 잔여좌석정보, 버스 단말장치 식별정보, 버스 식별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서비스 서버(200)로부터 사용자 식별정보, 승차할 정류장, 승차 시간, 좌석 등을 포함하는 예약 완료 정보가 수신되면, 예약 좌석에 예약 표시를 하도록 제어하며, 예약 완료 정보에 따른 승차 정보를 서비스 서버(200)로 전송한다.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좌석의 일측에는 LCD 또는 LED 등으로 이루어지는 예약좌석표시수단(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예약 완료 정보가 수신되면, 예약된 좌석의 예약좌석표시수단을 통해 예약된 좌석임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버스(10)에는 잔여 좌석, 예약 좌석 등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수단(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예약 완료 정보를 전송받은 경우, 디스플레이수단을 통하여 정류장에 따른 예약 탑승자수, 빈 좌석수(예약 탑승자수를 제외한 좌석수) 및 사용자가 자신이 예약한 버스임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예약 식별 표지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예약 식별 표지는 노선 버스 번호 뒤에 특정 기호(알파벳 등)를 부가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예약자)가 예약 완료에 따른 단문 메세지로 전송받은 예약 식별 표지와 일치하는지 확인하여 예약한 노선 버스를 정확하게 구분할 수 있다. 따라서 노선 버스 운전사는 디스플레이수단을 통하여 표시되는 예약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정류장에서 승차하려는 예약 사용자 수 및 정차할 필요가 없는 정류장을 알 수 있다. 즉 노선 버스 운전자는 예약 정보를 활용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노선 버스를 운행할 수 있다.
또한, 버스(10)에는 사용자 단말장치(300)를 인식하는 리더기(미도시)를 더 구비하여, 사용자(예약자)가 예약한 노선버스에 승차시 리더기를 통해 사용자 단말장치(300)를 스캔하면, 버스 단말장치(100)의 제어부(140)는 사용자 단말장치 식별정보가 예약된 사용자의 단말장치인지를 확인하고, 승차 정보를 서비스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승차 정보는 버스 식별정보, 좌석, 사용자 식별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200)는 버스 단말장치(100)로부터 각 버스들의 현재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사용자 단말장치(300)로부터 노선버스 운행정보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노선버스의 현재상태정보를 근거로 운행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장치(300)로 전송한다. 노선버스 운행정보 요청 신호는 노선번호, 출발지, 정류장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운행정보는 노선버스의 현재 위치, 정류장별 도착예정시간, 잔여 좌석 수, 잔여 좌석 위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장치(300)로부터 좌석 예약 정보가 수신된 경우, 좌석 예약을 처리하고, 예약 완료 정보를 사용자 단말장치(300) 또는 버스 단말장치(100)로 전송한다. 좌석 예약 정보는 버스 식별정보, 사용자 식별정보, 승차할 정류장, 승차 시간, 좌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200)는 다양한 통신 규격을 통해 다른 전자 장치들과 통신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연산을 수행할 수 있는 전자 장치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서버(200)는 서버(Server) 장치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서버 장치의 형태 이외에도 다양한 전자 장치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서버(200)는 단일의 전자 장치의 형태로 구현되거나, 둘 이상의 전자 장치가 결합 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서비스 서버(2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3을 참조하기로 한다.
사용자 단말장치(300)는 교통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입력된 노선버스 운행정보 요청 신호를 서비스 서버(200)로 전송하고, 서비스 서버(200)로부터 해당 노선버스의 운행정보를 수신한다. 즉, 사용자가 단말장치(300)에 설치된 교통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 후, 노선번호, 출발지, 목적지, 정류장 등을 포함하는 노선버스 운행 정보 요청 정보를 입력하면, 사용자 단말장치(300)는 노선버스 운행 요청 신호를 서비스 서버(200)로 전송한다.
사용자 단말장치(300)는 노선버스의 운행정보에서 좌석 예약 정보가 입력된 경우, 입력된 좌석 예약 정보를 서비스 서버(200)로 전송한다. 즉, 사용자가 단말장치(300)에 표시된 노스버스의 운행정보를 보고, 노선버스 번호, 승차할 정류장, 승차 시간, 좌석 등을 입력(또는 선택)한 후, 예약 명령을 입력하면, 사용자 단말장치(300)는 노선버스 번호, 승차할 정류장, 승차시간, 좌석, 사용자 식별정보 등을 포함하는 좌석 예약 정보를 서비스 서버(200)로 전송한다.
사용자 단말장치(300)는 교통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승차 정보가 입력되면, 그 승차 정보를 서비스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좌석 예약한 사용자는 예약한 노선버스를 탑승한 후, 교통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승차 정보를 입력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장치(300)는 입력된 승차정보를 서비스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장치(300)는 서비스 서버(200)와 통신이 가능한 클라이언트 단말, 예를 들어 스마트폰(smart phone), 노트패드, 랩톱(laptop) 컴퓨터, 태플릿(tablet) 컴퓨터 등의 단말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통신망을 통한 통신이 가능하다면 어느 특정한 단말에 국한될 필요는 없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서비스 서버(200)는 데이터베이스(210), 통신부(220), 수집부(230), 운행정보 서비스부(240), 예약 처리부(250), 제어부(260)를 포함한다.
데이터베이스(210)에는 각 버스의 운행상태정보, 예약 정보 등이 저장되어 있다. 각 버스의 현재 위치, 잔여 좌석 수, 잔여 좌석 위치 등을 포함하는 운행상태정보는 버스 단말장치로부터 운행상태정보가 제공될 때마다 업데이트된다. 또한, 버스 식별정보, 승차할 정류장, 승차 시간, 좌석, 사용자 식별정보(사용자 단말장치 식별정보, 사용자 ID/비밀번호 등) 등을 포함하는 예약정보는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좌석 예약 정보가 제공될 때마다 업데이트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신부(220)는 서비스 서버(200)와 버스 단말장치 또는 서비스 서버(200)와 사용자 단말장치를 통신망을 통해 상호 연결시키는 통신 수단으로서, 예를 들어 이동통신, 위성통신 등의 무선 통신모듈, 인터넷 등의 유선 통신모듈, 와이파이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수집부(230)는 통신부(220)를 통해 버스 단말장치로부터 각 버스들의 현재상태정보를 수신하고, 데이터베이스(210)에 저장된 해당 버스의 현재상태정보를 수신된 현재 상태정보로 업데이트한다.
운행정보 서비스부(240)는 통신부(220)를 통해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노선버스 운행정보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노선버스의 현재상태정보를 근거로 운행정보를 생성 및 사용자 단말장치로 전송한다. 여기서, 운행정보 요청 신호는 노선버스 번호, 출발지, 도착지, 정류장, 승차 시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운행정보 서비스부(240)는 운행정보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데이터베이스(210)를 검색하여 노선버스 번호에 해당하는 노선버스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고, 파악된 현재 위치를 근거로 해당 정류장들에 대한 버스의 통과시간, 즉, 해당 정류장에 대한 버스의 도착 예정 시간을 산출한다. 그런 후, 운행정보 서비스부(240)는 데이터베이스(210)로부터 해당 노선버스의 현재 위치, 잔여 좌석 수, 잔여 좌석 위치 등을 획득한다. 운행정보 서비스부(240)는 해당 노선버스의 현재 위치, 정류장별 도착예정시간, 잔여 좌석 수, 잔여 좌석 위치 등을 포함하는 운행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운행정보를 통신부(220)를 통해 사용자 단말장치로 전송한다.
예약 처리부(250)는 통신부(220)를 통해 버스 식별정보, 승차할 정류장, 승차 시간, 좌석, 사용자 식별정보 등을 포함하는 좌석 예약 정보가 수신되면, 좌석 예약을 처리하고, 사용자 식별정보, 버스 식별정보, 승차할 정류장, 승차 시간, 좌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예약 완료 정보를 사용자 단말장치 또는 버스 단말장치로 전송한다. 즉, 예약 처리부(250)는 좌석 예약 정보가 수신되면, 버스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노선버스의 해당 좌석, 승차할 정류장 등을 사용자 식별정보와 매핑하여 예약 처리하고, 예약 완료 정보를 사용자 단말장치 또는 버스 단말장치로 전송한다. 이때, 예약 처리부(250)는 예약 정보를 데이터베이스(210)에 등록한다.
예약 처리부(250)는 좌석 예약된 노선버스가 승차 예약 정류장을 통과할 때까지 노선버스의 위치 정보 및 승차 예약 정류장 도착예정시간을 예약자의 사용자 단말장치로 전송한다. 이때, 예약 처리부(250)는 푸시 메시지 형태로 전송할 수 있다.
예약 처리부(250)는 좌석 예약된 노선버스의 승차 예약 정류장 통과 후, 버스 단말장치 또는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예약 완료 정보에 따른 승차 정보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사용자 단말장치로 정류장 통과 메시지를 전송한다. 즉, 예약 처리부(250)는 좌석 예약된 노선버스가 예약 정류장을 통과한 후, 예약자의 승차정보가 수신되었는지를 확인한다. 그 확인결과 예약자의 승차정보가 수신되지 않았으면, 예약 처리부(250)는 예약자의 단말장치로 예약한 노선버스가 예약 정류장을 통과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한다.
제어부(260)는 데이터베이스(110), 데이터베이스(210), 통신부(220), 수집부(230), 운행정보 서비스부(240), 예약 처리부(250)를 포함하는 서비스 서버(200)의 다양한 구성부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제어부(260)는 적어도 하나의 연산 장치를 포함할 수 있는데, 여기서 상기 연산 장치는 범용적인 중앙연산장치(CPU), 특정 목적에 적합하게 구현된 프로그래머블 디바이스 소자(CPLD, FPGA), 주문형 반도체 연산장치(ASIC) 또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칩일 수 있다.
서비스 서버(200)가 포함할 수 있는 이러한 구성부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하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둘 이상의 구성부들이 동시에 구현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스 좌석 관리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버스 단말장치는 각 버스에 설치된 센서로부터 착석 정보가 수신되면(S402), 착석 정보를 근거로 잔여 좌석 정보를 파악하고(S404), 파악된 잔여 좌석 정보 및 현재 위치를 포함하는 현재상태정보를 서비스 서버로 전송한다(S406).
그러면, 서비스 서버는 각 버스들의 현재상태정보를 저장한다(S408).
추후, 운행정보를 원하는 사용자가 단말장치에 설치된 교통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S410), 실행된 교통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노선버스 운행정보 요청 정보를 입력하면(S412), 사용자 단말장치는 노선버스 운행정보 요청 신호를 서비스 서버로 전송한다(S414).
서비스 서버는 해당 노선버스의 현재상태정보를 근거로 운행정보를 생성하고(S416), 생성된 노선버스 운행정보를 사용자 단말장치로 전송한다(S418).
사용자 단말장치는 노선버스의 운행정보에서 좌석 예약 정보가 입력되면(S420), 입력된 좌석 예약 정보를 서비스 서버로 전송한다(S422). 즉, 사용자는 단말장치에 표시된 노스버스의 운행정보를 보고, 노선버스 번호, 승차할 정류장, 승차 시간, 좌석 등을 입력(또는 선택)한 후, 예약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 단말장치는 노선버스 번호, 승차할 정류장, 승차시간, 좌석, 사용자 식별정보 등을 포함하는 좌석 예약 정보를 서비스 서버로 전송한다.
서비스 서버는 좌석 예약 정보에 따른 좌석 예약을 처리하고(S424), 예약 완료 정보를 사용자 단말장치로 전송한다(S426). 이때, 서비스 서버는 예약 완료 정보를 버스 단말장치로 전송할 수도 있다.
한편, 버스 좌석 관리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당해 분야의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버스 좌석 관리 방법에 관한 프로그램은 전자장치가 읽을 수 있는 정보저장매체(Readable Media)에 저장되고, 전자장치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버스 단말장치 110, 220 : 통신부
120 : 저장부 130 : 위치 측정부
140, 260 : 제어부 200 : 서비스 서버
210 : 데이터베이스 230 : 수집부
240 : 운행정보 서비스부 250 : 예약 처리부
300 : 사용자 단말장치

Claims (10)

  1. 각 버스에 설치되어, 현재 위치 및 잔여 좌석 정보를 포함하는 현재상태정보를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버스 단말장치;
    각 버스들의 현재상태정보를 저장하고,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노선버스 운행정보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노선버스의 현재상태정보를 근거로 운행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좌석 예약 정보가 수신된 경우, 좌석 예약을 처리하는 서비스 서버; 및
    교통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입력된 노선버스 운행정보 요청 신호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여 해당 노선버스의 운행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노선버스의 운행정보에서 입력된 좌석 예약 정보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장치;
    를 포함하는 버스 좌석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 단말장치는 각 좌석에 설치된 센서로부터 착석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착석 정보를 근거로 잔여 좌석 수 또는 잔여 좌석 위치를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좌석 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선버스 운행정보 요청 신호는 노선번호, 출발지, 정류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는 노선버스 운행정보 요청신호 수신 시, 해당 노선버스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고, 상기 파악된 현재 위치를 근거로 정류장별 도착예정시간을 산출하며, 상기 노선버스의 현재 위치, 정류장별 도착예정시간, 잔여 좌석 수, 잔여 좌석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운행정보를 생성 및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좌석 관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석 예약 정보는 버스 식별정보, 승차할 정류장, 승차 시간, 좌석, 사용자 식별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는 좌석 예약 정보 수신 시, 좌석 예약을 처리하고, 사용자 식별정보, 버스 식별정보, 승차할 정류장, 승차 시간, 좌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예약 완료 정보를 사용자 단말장치 또는 버스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좌석 관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좌석 예약된 노선버스가 승차 예약 정류장을 통과할 때까지 상기 노선버스의 위치 정보 및 승차 예약 정류장 도착예정시간을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좌석 관리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좌석 예약된 노선버스의 승차 예약 정류장 통과 후, 버스 단말장치 또는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예약 완료 정보에 따른 승차 정보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정류장 통과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좌석 관리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 단말장치는 서비스 서버로부터 예약 완료 정보를 수신하고, 예약 좌석에 예약 표시를 하도록 제어하며, 예약 완료 정보에 따른 승차 정보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좌석 관리 시스템.
  8. 각 버스에 설치된 버스 단말장치가 현재 위치 및 잔여 좌석 정보를 포함하는 현재상태정보를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는 각 버스들의 현재상태정보를 저장하고,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노선버스 운행정보 요청신호 수신 시, 해당 노선버스의 현재상태정보를 근거로 운행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는 상기 노선버스의 운행정보에서 입력된 좌석 예약 정보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좌석 예약 정보에 따른 좌석 예약을 처리하고, 예약 완료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버스 좌석 관리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좌석 예약된 노선버스의 승차 예약 정류장 통과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서버는, 좌석 예약된 노선버스가 승차 예약 정류장을 통과할 때까지 상기 노선버스의 위치 정보 및 승차 예약 정류장 도착예정시간을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버스 좌석 관리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좌석 예약된 노선버스가 승차 예약 정류장을 통과한 후, 버스 단말장치 또는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예약 완료 정보에 따른 승차 정보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정류장 통과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버스 좌석 관리 방법.

KR1020140145283A 2014-10-24 2014-10-24 버스 좌석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491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5283A KR20160049141A (ko) 2014-10-24 2014-10-24 버스 좌석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5283A KR20160049141A (ko) 2014-10-24 2014-10-24 버스 좌석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9141A true KR20160049141A (ko) 2016-05-09

Family

ID=56020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5283A KR20160049141A (ko) 2014-10-24 2014-10-24 버스 좌석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49141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4768A (ko) * 2017-12-01 2019-06-11 윤영섭 대중교통수단의 예약 좌석 알림 시스템
KR20190108871A (ko) * 2018-03-15 2019-09-25 이성자 버스 승객 맞춤형 정보 제공 시스템
EP3579158A4 (en) * 2017-02-02 2020-03-04 Nissan Motor Co., Ltd. DRIVING SHARING MANAGEMENT METHOD, DRIVING SHARING MANAGEMENT DEVICE, AND VEHICLE
KR102373473B1 (ko) * 2020-09-04 2022-03-10 정선윤 특정 관계자의 이동을 위한 지역 내 순환 버스의 실시간 공유 좌석 예약서비스
KR20220052068A (ko) * 2020-10-20 2022-04-27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버스 예약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버스 예약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79158A4 (en) * 2017-02-02 2020-03-04 Nissan Motor Co., Ltd. DRIVING SHARING MANAGEMENT METHOD, DRIVING SHARING MANAGEMENT DEVICE, AND VEHICLE
US11227238B2 (en) 2017-02-02 2022-01-18 Nissan Motor Co., Ltd. Ride-sharing management method, ride-sharing management device, and vehicle
KR20190064768A (ko) * 2017-12-01 2019-06-11 윤영섭 대중교통수단의 예약 좌석 알림 시스템
KR20190108871A (ko) * 2018-03-15 2019-09-25 이성자 버스 승객 맞춤형 정보 제공 시스템
KR102373473B1 (ko) * 2020-09-04 2022-03-10 정선윤 특정 관계자의 이동을 위한 지역 내 순환 버스의 실시간 공유 좌석 예약서비스
KR20220052068A (ko) * 2020-10-20 2022-04-27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버스 예약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버스 예약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30681A1 (en) Transportation boarding system using geotagging and mobile devices
KR101159230B1 (ko) 버스 승차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049141A (ko) 버스 좌석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20170323545A1 (en) Remote initiation of interaction by a computing entity
US11829927B2 (en) Remote initiation of interaction by a computing entity
KR101785114B1 (ko) M버스를 중심으로 노선버스 좌석 예약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예약방법
Jose et al. Intelligent vehicle monitoring using global positioning system and cloud computing
US10190887B2 (en) Mobile electronic device, information provision method, information provision code, and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US11017666B2 (en) Vehicle control system, vehicle control method, and program
KR101603873B1 (ko) 모바일 단말에 대한 공항 내 이동 경로 안내 방법 및 서버 및 모바일 단말
JP2017151846A (ja) 配送状況通知サーバ、配送状況通知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338006B1 (ja) 人集結分析装置、移動先予定作成装置、人集結分析システム、車両、および、人集結分析プログラム
JP2013210870A (ja) 動線情報計測システムおよび方法、並びに情報処理装置
JP2016115030A (ja) 車載ユニット
JP2014052288A (ja) 情報配信装置、情報配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183832B1 (ko) 대기승객 알림 서비스 방법
JP2011048582A (ja) 情報収集装置
JP2010231549A (ja) 乗客表示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携帯情報端末
JP2016080665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JP2011163904A (ja) 案内システム
US20220215309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terminal apparatus
KR20130035824A (ko) Cpa 방식을 이용한 온/오프라인 통합 홍보/마케팅 시스템
JP6061585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録媒体および情報提供装置、情報提供方法、情報提供プログラム、情報提供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録媒体
KR102474310B1 (ko) 전철 하차역 정보 알림 방법
JP6656797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プログラム、端末装置、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