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8325A - 발효 장치 - Google Patents

발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8325A
KR20190108325A KR1020180029694A KR20180029694A KR20190108325A KR 20190108325 A KR20190108325 A KR 20190108325A KR 1020180029694 A KR1020180029694 A KR 1020180029694A KR 20180029694 A KR20180029694 A KR 20180029694A KR 20190108325 A KR20190108325 A KR 201901083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ributor
fermentation
outlet
housing
addi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9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2147B1 (ko
Inventor
한지석
이녕환
정교상
이정성
Original Assignee
대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296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2147B1/ko
Publication of KR201901083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83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21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21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2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24Warming devices
    • A47J36/2483Warming devices with electrical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1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with dispensing devices
    • B01F15/0053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05Stirrers
    • B01F27/11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stirrers
    • B01F27/112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stirrers with arms, paddles, vanes or blades
    • B01F27/1125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stirrers with arms, paddles, vanes or blades with vanes or blades extending parallel or oblique to the stirrer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30Driving arrangements; Transmissions; Couplings; Brakes
    • B01F35/32Driving arrangements
    • B01F35/32005Type of drive
    • B01F35/3204Motor driven, i.e. by means of an electric or IC motor
    • B01F7/00291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 B65D2205/02Venting h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 Fertilizer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효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한 본 발명의 발효 장치에 따르면, 본체 하우징의 용기 거치 공간 내에 발효 용기를 삽입하여 상기 바닥 받침부 상측에 거치된 상태로, 첨가물 분배기를 통해 발효 첨가물을 투입해 가면서 가열부 및 교반부를 통한 발효물의 가열 및 교반 과정을 수행하며 발효물을 발효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손쉽게 발효식품을 제조할 수 있고, 또한, 발효 용기의 내부에 발효 첨가물을 설정 시간 및 설정 량에 따라 정량 분배하여 공급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발효 온도, 발효 시간 조절 및 교반 기능 자동 조절하여 첨가된 발효 첨가물의 기능이 촉진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증기 배출부를 통해 발효 과정에서 발생된 증기를 외부로 강제 배출시킴과 아울러 첨가물 분배기 자체적으로 분배기 배출구를 막아 분배기 배출구를 통해 역류하여 유입되는 증기 등에 의해 발효 첨가물이 변질되거나 발효 첨가물 입자들의 뭉침에 의해 분배기 배출구가 봉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발효 장치{Fermentation Device}
본 발명은 발효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손쉽게 발효식품을 제조할 수 있는 발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효식품은 젖산균이나 효모 등 미생물의 발효 작용을 이용하여 만드는 식품이다. 미생물의 종류, 식품의 재료에 따라 발효식품의 종류는 다양하고, 각기 독특한 특징과 풍미를 지닌다.
농산물 ·수산물 ·축산물 ·임산물 식품들이 재료로 쓰이는데 그 특유의 성분들이 미생물의 작용으로 분해되고 새로운 성분이 합성되어 영양가가 향상되고 기호성 ·저장성이 우수해진다. 주류, 빵류, 식초, 콩발효식품(간장 ·된장 ·고추장 등), 발효유제품(치즈 ·버터 ·요구르트 등), 소금절임류(김치·젓갈)가 모두 발효식품으로 오래 전부터 애용된다.
발효식품은 한 가지, 또는 둘 이상의 미생물을 사용하여 만든다. 이러한 발효식품을 제조하기 위해, 가정에서도 손쉽게 발효식품을 제조할 수 있도록 다양한 용기들이 이미 개발 되고 있다.
종래기술의 일례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7-0003031호는 필요시 발효용기에 장치된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캡을 개방하고 여기에 코크나 밸브나 파이프 등을 조립하거나 또는 교반용 주걱이나 온도계나 발효 첨가물어봉 등을 삽입할 수 있도록 용기의 상부를 구성하는 뚜껑의 중앙부와 용기 본체 측면 중앙부 및 하부에 나사산을 돌려 착탈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캡을 장치하고, 발효용기 안의 공기 흐름과 유량과 습도를 제어하기 위하여 용기의 상부를 구성하는 뚜껑에 용기 안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역류방지용 흡기밸브와 용기 안의 가스와 수분을 배출하는 역류방지용 배기밸브를 장치하며, 발효 시 바닥에서 올라오는 온도와 습기를 차단하기 위해 용기바닥 하부에 빈 공간을 형성하는 받침대를 부착한다.
하지만, 상기 종래기술은 액상의 발효조미료로 완성되기 위해, 발효 첨가물이 투입되고, 투입된 발효 첨가물의 기능이 촉진되도록 교반시키는 구조에 대해서는 기재되어 있지 않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7-0003031호(공개일자 2017년08월30일)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손쉽게 발효식품을 제조할 수 있는 발효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발효 용기의 내부에 발효 첨가물을 설정 시간 및 설정 량에 따라 정량 분배하여 공급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투여된 발효 첨가물의 기능이 촉진되도록 교반시키는 발효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분배기 배출구를 막아 분배기 배출구를 통해 역류하여 유입되는 증기 등에 의해 발효 첨가물이 변질되거나 발효 첨가물 입자들의 뭉침에 의해 분배기 배출구가 봉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발효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발효 온도. 발효 시간 조절, 교반 기능, 발효 첨가물 자동 투입 기능이 탑재된 발효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발효 장치는, 연결부를 통해 일체로 연결되는 바닥 받침부와 헤드부 사이에 용기 거치 공간을 가지는 본체 하우징; 상기 본체 하우징의 용기 거치 공간 내에 삽입되어 상기 바닥 받침부 상측에 거치되고, 내부에 발효물을 담아 저장하는 발효 용기; 상기 본체 하우징의 헤드부 내에 수납 설치되어 상기 발효 용기 내에 발효 첨가물을 투입하는 첨가물 분배기; 상기 발효 용기에 구비되어 상기 발효 용기 내에 수납된 상기 발효물을 가열하는 가열부; 및 상기 발효 용기의 바닥을 관통하며 회전 가능하게 축 고정되는 교반 날개를 통해 상기 발효물을 교반시키는 교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열부는 바닥 받침부의 상측에 구비된 용기 거치홈 내부 일측에 구비되는 무선 전원 공급 단자; 상기 무선 전원 공급 단자에 대응되게 상기 발효 용기 바닥에 형성되는 무선 전원 연결 단자; 및 상기 발효 용기 바닥에 매립 설치되며 상기 무선 전원 연결 단자를 통해 공급된 전원을 이용해 상기 발효물을 가열하는 전열판;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반 수단은 상기 본체 하우징의 바닥 받침부 내부에 수납 설치되는 교반 모터; 상기 바닥 받침부의 용기 거치홈 중심부에 노출된 상태로 상기 교반 모터의 구동축 단부에 결합되는 휠 베이스; 및 상기 발효 용기 거치시 상기 휠 베이스에 치형 결합되게 상기 발효 용기의 교반 날개의 회전축의 하단부에 고정되는 블레이드 휠;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효 용기로부터 발생된 증기를 배출하기 위한 증기 배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증기 배출부는 상기 바닥 받침부와 상기 헤드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의 상측을 통과해 형성되는 증기 배출 통로; 및 상기 증기 배출 통로 상에 구비되어 상기 증기를 외부로 강제 배출시키기 위한 배기팬;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 하우징의 상기 헤드부 하측에는 거치된 발효 용기와의 간격을 덮도록 높이 조절 가능하게 중간 커버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중간 커버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전면 일측에 상기 발효 용기 거치시 높이 조절을 위해 변형을 유도하기 위한 변형 유도홈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첨가물 분배기는 상기 내부를 관통하며 수납 공간이 형성되고, 하부에 분배기 배출구가 형성되는 분배기 하우징; 상기 분배기 하우징 상측에 체결되며 상기 분배기 배출구를 통해 분배 공급하기 위한 발효 첨가물을 담아 저장하는 저장 탱크; 상기 저장 탱크의 개방 하측에 결합되고, 상기 분배기 하우징의 분배기 배출구를 향해 탄성 변형이 가능하게 하부 배출관부가 연장 형성되는 탄성 호퍼; 상기 분배기 하우징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축 고정되고, 상기 탄성 호퍼의 하부 배출관부가 통과하도록 축 선상에 호퍼 관통공이 관통 형성되는 회전축 밸브; 및 상기 회전축 밸브를 구동시켜 상기 호퍼 관통공을 통과한 상기 하부 배출관부를 비틀어 상기 하부 배출관부의 내부 관로를 가압 변형시켜 상기 발효 첨가물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밸브 가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
여기서, 상기 회전축 밸브는 상기 호퍼 관통공이 형성된 하부 일측에 상기 탄성 호퍼의 하부 배출관부을 가압하기 위한 가압 돌기가 연장 형성되고, 상기 분배기 하우징의 내측에는 상기 회전축 밸브의 가압 돌기에 대응되게 상기 상기 탄성 호퍼의 하부 배출관부 받쳐 지지하는 고정 받침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배기 하우징의 내측에서 상기 회전축 밸브와 동일 축 상에서 연동 가능하게 축 결합되며 상기 분배기 하우징의 분배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출구 개폐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분배기 하우징은 하측 개방부에 체결 고정되어 상기 분배기 배출구를 형성하는 배출구 형성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배출구 형성판은 상기 출구 개폐판의 하부면과 마주하는 분배기 배출구 상부면이 동일 회전 곡률을 가지고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분배기 하우징은 상기 분배기 배출구 고정판 상측에 끼워져 체결 고정되는 내부 분배기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내부 분배기 하우징은 일측면 상에 상기 출구 개폐판이 상기 분배기 배출구를 개폐하도록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슬롯; 및 상기 개폐판이 상기 분배기 배출구를 폐쇄 상태를 유지하도록 잡아 고정하기 위한 개폐판 스톱퍼;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밸브 가동부는 상기 분배기 하우징의 외측에서 상기 회전축 밸브의 양측 단부를 연결하며 연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 레버; 상기 분배기 하우징의 일측에 구비된 원호형 랙 기어에 맞물리도록 상기 회동 레버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축 고정되며 설치되는 피니언 기어; 및 상기 회동 레버 내부에 수납 설치되며 상기 피니언 기어를 가동 제어하여 상기 회동 바를 상기 원호형 랙 기어를 따라 각 회전시키는 레버 가동 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밸브 가동부를 가동 제어하는 가동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동 제어부는 상기 회동 바의 축 고정부 일측에 연장 형성되는 접지 바; 및 상기 분배기 하우징의 일측에서 서로 간격을 두고 상기 접지 바에 대응되게 설치되며, 상기 회전 바의 회동 각도 범위를 감지하기 위한 복수의 위치 감지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 탱크는 상측 개방부를 개폐 가능하게 덮는 저장 탱크 덮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 호퍼는 탄성 변형 가능한 실리콘 또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발효 장치에 따르면, 본체 하우징의 용기 거치 공간 내에 발효 용기를 삽입하여 상기 바닥 받침부 상측에 거치된 상태로, 첨가물 분배기를 통해 발효 첨가물을 투입해 가면서 가열부 및 교반부를 통한 발효물의 가열 및 교반 과정을 수행하며 발효물을 발효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손쉽게 발효식품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발효 용기의 내부에 발효 첨가물을 설정 시간 및 설정 량에 따라 정량 분배하여 공급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발효 온도, 발효 시간 조절 및 교반 기능 자동 조절하여 첨가된 발효 첨가물의 기능이 촉진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증기 배출부를 통해 발효 과정에서 발생된 증기를 외부로 강제 배출시킴과 아울러 첨가물 분배기 자체적으로 분배기 배출구를 막아 분배기 배출구를 통해 역류하여 유입되는 증기 등에 의해 발효 첨가물이 변질되거나 발효 첨가물 입자들의 뭉침에 의해 분배기 배출구가 봉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발효 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효 장치를 도시한 사사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발효 장치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발효 장치에 대한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발효 용기에 대한 저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발효 용기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의 첨가물 분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첨가물 분배기의 분해 사사도이다.
도 8은 도 6의 첨가물 분배기의 Ⅷ-Ⅷ 선을 따라 잘라서 본 정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회전축 밸브, 출구 개폐판 및 밸브 가동부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부분 분리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Ⅹ-Ⅹ선을 따라 잘라서 본 측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8의 첨가물 분배기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2는 첨가물 분배기의 가동 제어부를 도시한 배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효 장치를 도시한 사사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발효 장치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발효 장치에 대한 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효 장치(1)는 본체 하우징(100), 발효 용기(200), 첨가물 분배기(300), 가열부(400), 교반부(500), 증기 배출부(600) 및 메인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본체 하우징(100)은 뼈대 역할을 하는 연결부(110)를 통해 일체로 연결되는 바닥 받침부(120)와 헤드부(130) 사이에 용기 거치 공간을 갖도록 형성된다.
발효 용기(200)는 내부에 발효물(3)을 담아 저장하며, 상기 본체 하우징(100)의 용기 거치 공간 내에 삽입되어 상기 바닥 받침부(120) 상측에 거치된 상태로, 첨가물 분배기(300)를 통해 발효 첨가물(5)을 투입해 가면서 가열부(400) 및 교반부(500)를 통한 발효물의 가열 및 교반 과정을 수행하며 발효물(3)을 발효시키도록 한다.
상기 바닥 받침부(120)의 상면 중심부에는 발효 용기(200)를 안정적으로 올려 거치시키기 위한 용기 거치홈(121)이 형성된다.
상기 헤드부(130)에는 발효 용기(200) 내부로 발효 첨가물(5)을 투입하기 위한 첨가물 분배기(300)를 수납 설치하기 위한 내부 수납 공간을 형성하고, 후술하는 첨가물 분배기(300)의 저장 탱크(320)를 덮는 저장 탱크 덮개(325)가 노출되게 헤드 커버(131) 상면 일측에 덮개 통공(134)이 형성되다.
그리고, 헤드 커버(131)의 상면 타일측에는 스위치 방식의 전원 버튼(132)이 외부로 노출되게 전원 버튼 통공(133)이 형성되며, 측벽면에는 메인 제어부를 통한 첨가물 분배기(300), 가열부(400), 교반부(500) 및 증기 배출부(600)를 운전 제어하도록 설정 값을 입력하거나 이들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LDE창(135)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본체 하우징(100)의 상기 헤드부(130) 하측에는 거치된 발효 용기(200)와의 높이 간격을 차폐시키도록 높이 조절 가능하게 형성되는 중간 커버(13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중간 커버(136)는 실리콘이나 고무와 같은 탄성 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이루질 수 있고, 상기 중간 커버(136)의 전면 일측에는 상기 발효 용기(200) 거치시 높이 조절을 위해 변형을 유도하기 위한 변형 유도홈(137)이 구비될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발효 용기에 대한 저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발효 용기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과 함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서 발효 용기(20)는 용기 연결부(230)를 통해 발효물(3)을 담기 위한 용기부(220)와, 상기 용기부(220) 하측에 가열부(400) 및 교반부(500)를 설치를 위한 용기 베이스(210)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예시한다.
용기부(220)는 발효물(5)을 담아 저장할 수 있게 내부 수용 공간을 가지며, 후술하는 가열부(400)에 의해 발효물(5)을 가열하도록 열전달이 용이하고 내열성이며, 교반부(500)에 의해 교반시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파손되지 않는 내구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져야 하고, 더욱이 내부에 수납된 발효물(5)의 발효 상태를 관찰할 수 있게 가시성을 가지는 강화 유리나 내열 유리 등의 투명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기 베이스(210)는 용기 연결부(230)에 의해 연결되어 용기부(220) 하부에 결합되어 바닥 받침부(120)의 용기 거치홈(121)에 안착되며 안전하게 거치될 수 있는 구조적 형상을 제공함과 아울러 가열부(400) 및 교반부(500)의 설치 및 가동을 위한 연결을 위해 이격된 내부 공간을 제공하도록 하다.
용기 베이스(210)의 하부 가장자리 일측부에는 가열부(400)의 무선 전원 연결 단자(420)를 형성하기 위한 전원 단자홈(211)이 형성되고, 하부 중심부에는 이를 수직 관통하며 설치되는 교반부(500)의 교반 날개(550) 회전축(530) 단부에 결합되는 블레이드 휠(5540)이 수납 설치되게 휠 체결홈(212)이 형성된다.
가열부(400)는 상기 발효 용기(200) 내에 수납된 상기 발효물(3)을 가열할 수 있도록 무선 전원 공급 단자(410), 무선 전원 연결 단자(420) 및 전열판(4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무선 전원 공급 단자(410)는 바닥 받침부(120)의 상측에 구비된 용기 거치홈(121) 내부 일측에 돌출되게 형성된다. 무선 전원 연결 단자(420)는 상기 무선 전원 공급 단자(410)에 대응되게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발효 용기(200) 바닥에 형성되는 전원 단자홈(211) 내에 수납 설치된다. 그리고, 전열판(430)은 상기 발효 용기(200) 바닥에 매립 설치되며 상기 무선 전원 연결 단자(420)를 통해 공급된 전원을 이용해 상기 발효물(3)을 가열할 수 있게 발효 용기(200)의 용기부(220) 하부면에 접하도록 용기 베이스와의 사이에 수납 설치된다.
따라서, 무선 전원 연결 단자(420)를 통해 무선 전원 공급 단자(410)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이용해 전열판(430)에서 발생된 열을 이용해 발효 용기 내에 담기 발효물을 가열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가열부(400)는 메인 제어부(미도시)를 통해 무선 전원 공급 단자(420)로부터 전열판(430)에 공급되는 전류 량과 전류 공급 시간을 제어하여 발효 용기(200) 내에서 발효물(3)을 가열하는 가열 열량과 가열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교반부(500)는 상기 발효물(3)을 교반시킬 수 있도록 교반 모터(510), 휠 베이스(520), 블레이드 휠(540), 회전축(530) 및 교반 날개(5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교반 모터(510)는 상기 본체 하우징(100)의 바닥 받침부(120) 내부에 수납 설치되어 교반 날개(550)를 통한 발효물(5) 교반시 필요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도록 한다.
휠 베이스(520)는 상기 바닥 받침부(120)의 용기 거치홈(121) 중심부에 노출된 상태로 상기 교반 모터(510)의 구동축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교반 모터(510)로부터 발생된 구동력을 용기 거치홈(121)에 거치된 발효 용기(200)쪽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블레이드 휠(540)은 상기 발효 용기(200) 거치시 상기 휠 베이스(520)에 치형 결합되게 상기 발효 용기(200) 바닥에 형성되는 전원 단자홈(211) 내에 수납 설치되도록 한다.
그리고, 교반 날개(550)는 블레이드 휠(540)에 결합된 상태로 발효 용기(200)의 바닥을 관통하는 회전축(530) 상측 단부에 결합되어, 교반 모터(510), 휠 베이스(520), 블레이드 휠(540) 및 회전축(530)을 통해 전달된 구동력을 이용해 발효 용기(200) 내에 담기 발효물(3)을 교반시키도록 한다.
여기서, 교반부(500)는 메인 제어부(미도시)를 통해 교반 모터(510)의 가동 시간과 회전 속도를 제어하여 발효 용기(200) 내에 설치된 교반 날개(550)를 통해 발효물(3)의 교반 시간과 교반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발효 장치(1)의 경우 발효 용기(200)의 바닥 부분에 일체로 형성된 무선 전원 연결 단자(420) 및 블레이드 휠(540)을 통해 본체 하우징(100)의 바닥 받침부(120) 용기 거치홈(121)에 형성된 무선 전원 공급 단자(410) 및 휠 베이스(520)에 결합되며 가열에 필요한 전원과 교반에 필요한 회전력을 무선 연결 방식으로 전달 받을 수 있도록 형성함으로써, 발효 용기(200)에 발효물(3)을 담고 비우거나 사용후 세척하는 과정들을 좀더 쉽게 처리할 수 있는 사용상의 이점을 갖는다.
증기 배출부(600)는 증기 배출 통로(610) 및 배기팬(62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증기 배출 통로(610)는 상기 헤드부(130)를 연결하는 연결부(110)의 상측을 통과하며 형성되어 발효 용기(200)를 통해 발효물을 가열시 발생된 증기가 상측에 체류하지 않고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통로를 형성하도록 한다.
그리고, 배기팬(620)은 상기 증기 배출 통로(610) 상에 구비되어 상기 증기를 외부로 강제 배출시키기 위한 배기 이송 압력을 제공하도록 한다.
이처럼, 증기 배출부(600)를 이용해 발효 용기(200) 내부의 발효물(3)을 가열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증기가 발효 용기(200) 상부를 차폐시키는 상기 중간 커버(136) 내에 체류하지 않고 외부로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헤드부(130) 하면에서 발생한 결로가 발효 용기(200) 내부로 재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함과 아울러 후술하는 첨가물 분배기(300)의 분배기 배출구(317)를 통해 증기가 탄성 호퍼나 저장 용기 내부로 역류하며 저장된 발효 첨가물(5)이 변질되거나 발효 첨가물(5) 입자가 뭉쳐 분배기 배출구(317)가 봉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증기 배출부(600)는 메인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배기팬()을 가동 제어하여 중간 커버 내에 수집된 증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운전 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첨가물 분배기(300)는 상기 본체 하우징(100)의 헤드부(130) 내에 수납 설치되어, 상기 발효 용기(200) 내에 담기 발효물(3)을 발효시키는데 필요한 설정된 시간 및 설정 량에 따라 발효 첨가물(5)을 분배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6은 도 2의 첨가물 분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첨가물 분배기의 분해 사사도이며, 도 8은 도 6의 첨가물 분배기의 Ⅷ-Ⅷ 선을 따라 잘라서 본 정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첨가물 분배기(300)는 분배기 하우징(310), 저장 탱크(320), 탄성 호퍼(330), 회전축 밸브(340), 밸브 가동부(350), 출구 개폐판(360) 및 가동 제어부(3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분배기 하우징(310)은 첨가물 분배기(300)를 단위 모듈 형태로 이루며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본체 하우징(100)의 헤드부(130) 내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분배기 하우징(310)은 저장 탱크(320), 탄성 호퍼(330), 회전축 밸브(340) 및 밸브 가동부(350)가 내부 설치될 수 있도록 내부를 관통하며 수납 공간이 형성되고, 하부에 발효 첨가물(5)를 공급하기 위한 분배기 배출구(317)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분배기 하우징(310)은 외부 분배기 하우징(311), 내부 분배기 하우징(314) 및 배출구 형성판(316)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예시한다.
여기서, 외부 분배기 하우징(311)은 본체 하우징(100)의 헤드부(130) 내에 서 단위 유닛 단위로 교체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게 체결 구조를 갖는다.
내부 분배기 하우징(314)은 외부 분배기 하우징(311) 내부에 끼워지며, 내부에 저장 탱크(320), 탄성 호퍼(330), 회전축 밸브(340), 밸브 가동부(350) 및 출구 개폐판(360)이 고정 설치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제공한다.
그리고, 배출구 형성판(316)은 외부 분배기 하우징(311)과 내부 분배기 하우징(314) 사이에 끼워져 체결 고정되며, 발효 첨가물(5)를 각 기기 내에 공급하기 위한 분배기 배출구(317)를 제외한 분배기 하우징(310)의 개방 하부를 막아 폐쇄하도록 한다.
저장 탱크(320)는 상기 내부 분배기 하우징(314)의 상측에 끼워져 체결되고, 상기 분배기 배출구(317)를 통해 분배 공급하기 위한 발효 첨가물을 담아 저장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저장 탱크(320)는 상측 개방부를 개폐 가능하게 덮는 저장 탱크 덮개(325)가 구비된다.
탄성 호퍼(330)는 상기 저장 탱크(320)의 하부 개방측에 결합되고, 상기 분배기 하우징(310)의 분배기 배출구(317)를 향해 하부 배출관부(331)가 연장 형성된다.
여기서, 탄성 호퍼(330)는 적어도 하부 배출관부(331)가 회전축 밸브에 의해 탄성 변형되며 저장된 가루, 분말 및 액상 형태의 발효 첨가물(5)가 공급되는 내부 관로의 내부 단면적을 가변시킬 수 있도록 유연성을 가지는 실리콘이나 고무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저장 탱크(320) 상부에 구비된 저장 탱크 덮개(325)를 열어 저장 탱크 배부에 유동식 식품 재료(5)를 채우고, 저장 탱크(320) 내부에 발효 첨가물(5)를 저장 탱크(320)의 하부에 연결되는 탄성 호퍼(330)의 하부 배출관부(331)를 통해 분배기 하우징(310)의 분배기 배출구(317)로 배출되도록 한다.
회전축 밸브(340)는 외부 분배기 하우징(311)과 내부 분배기 하우징(314)을 수평 관통하며 분배기 하우징(310) 외부에서 결합되는 밸브 가동부(350)에 회전 가능하게 축 고정되고, 상기 탄성 호퍼(330)의 하부 배출관부(331)가 통과하도록 축 선상에 호퍼 관통공(341)이 관통 형성된다.
여기서, 회전축 밸브(340)에는 상기 호퍼 관통공(341)이 형성된 하부 일측에 상기 탄성 호퍼(330)의 하부 배출관부(331)을 가압하기 위한 가압 돌기(342)가 원형 단면의 법선 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배기 하우징(310)의 내측에는 상기 회전축 밸브(340)의 가압 돌기(342)에 대응되게 가압시 상기 상기 탄성 호퍼(330)의 하부 배출관부(331)를 받쳐 지지할 수 있게 고정 받침대(318)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분배기 하우징(310)의 내측에서 상기 회전축 밸브(340)와 동일 축 상에서 연동 가능하게 축 결합되며 상기 분배기 하우징(310)의 분배기 배출구(317)를 개폐하기 위한 출구 개폐판(3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출구 형성판(316)은 상기 출구 개폐판(360)의 하부면과 마주하는 분배기 배출구 상부면이 출구 개폐판(360)의 하부면과 동일 회전 곡률을 가지고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출구 개폐판(360)에 의한 회전 동작에 의해 분배기 배출구(317)를 통해 발효물 가열시 발생하는 증기의 유입을 좀더 완전하게 차폐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내부 분배기 하우징(314)의 일측면에는 상기 출구 개폐판(360)이 상기 분배기 배출구(317)를 개폐하도록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슬롯(319) 및 상기 출구 개폐판(360)이 상기 분배기 배출구를 폐쇄 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하기 위한 개폐판 스톱퍼(31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밸브 가동부(350)는 상기 회전축 밸브(340)를 구동시켜 상기 호퍼 관통공(341)을 통과한 상기 탄성 호퍼(330)의 하부 배출관부(331)를 비틀어 상기 하부 배출관부(331)의 내부 관로를 가압하며 탄성 변형시켜 이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발효 첨가물(5)의 배출량을 조절하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회전축 밸브(340)와 연동하는 출구 개폐판(360)을 통해 상기 분배기 배출구(317)를 개폐시키도록 한다.
도 9는 도 7의 회전축 밸브, 출구 개폐판 및 밸브 가동부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부분 분리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Ⅹ-Ⅹ선을 따라 잘라서 본 측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서 밸브 가동부(350)는 회동 레버(351), 피니언 기어(352) 및 레버 가동 모터(35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예시한다.
회동 레버(351)는 상기 분배기 하우징(310)의 외측에서 상기 회전축 밸브(340)의 양측 단부를 연결하며 연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피니언 기어(352)는 상기 분배기 하우징(310)의 일측에 구비된 원호형 랙 기어(312)에 맞물리도록 상기 회동 레버(351)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축 고정되며 설치된다.
그리고, 레버 가동 모터(353)는 상기 회동 레버(351) 내부에 수납 설치되며 상기 피니언 기어(352)를 가동 제어하여 상기 회동 레버(351)를 상기 원호형 랙 기어(312)의 원호 방향을 따라 각회전시키도록 한다.
그리고, 가동 제어부(370)는 상기 밸브 가동부(350)의 레버 가동 모터(353)를 통해 회전축 밸브(340)를 가동 제어하여 상기 발효 첨가물(5)의 배출량을 제어하도록 한다.
도 11은 도 8의 첨가물 분배기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가동 제어부(370)를 통해 레버 가동 모터(353)를 가동 제어시키게 되면, 레버 가동 모터(353)에 의해 피니언 기어(352)가 외부 분배기 하우징(311)의 측벽면에 형성된 원호형 랙 기어(312)와 맞물려 구동하면서 회동 레버(351)를 원호형 랙 기어(312)의 원호를 따라 밀어 내리거나 밀어 올리도록 한다.
그 결과, 회동 레버(351)와 연동하는 회전축 밸브(340)가 회전하며 상기 호퍼 관통공(341)을 통과한 상기 탄성 호퍼(330)의 하부 배출관부(341)를 개방하거나 비틀어 가압하며 폐쇄하도록 함과 아울러 출구 개폐판(360)을 통해 분배기 하우징(310)의 분배기 배출구(317)를 개폐하도록 한다.
즉, 회전 레버(351)가 원호형 랙 기어(312)를 따라 하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이와 연동하며 회전축 밸브(340)가 회전하여 상기 호퍼 관통공(341)을 통과한 상기 탄성 호퍼(330)의 하부 배출관부(331)를 비틀어 가압하던 가압력을 해지하여 탄성 복원 되며 내부 관로를 개방되게 함과 아울러 출구 개폐판(360)에 의해 차폐되었던 분배기 하우징(310)의 분배기 배출구(317)를 개방하도록 하다.
따라서, 저장 탱크(320) 내에 저장된 발효 첨가물(5)가 상기 탄성 호퍼(330)의 하부 배출관부(331)를 통과해 분배기 하우징(310)의 분배기 배출구(317)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반대로, 회전 레버(351)가 원호형 랙 기어(312)를 따라 상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이와 연동하며 회전축 밸브(340)가 회전하여 상기 호퍼 관통공(341)을 통과한 상기 탄성 호퍼(330)의 하부 배출관부(331)를 비틀어 상기 하부 배출관부(331)의 내부 관로를 가압 변형시켜 폐쇄시키도록 한다.
이때, 회전축 밸브(340)의 가압 돌기(342)에 의해 상기 탄성 호퍼(330)의 하부 배출관부(331)을 좀더 견고하게 눌러 가압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고정 받침대(318)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탄성 호퍼(330)의 하부 배출관부(331)가 절곡되며 내부 관로가 폐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발효 첨가물(5)이 이를 통해 배출될 수 없도록 한다. 또한, 출구 개폐판(360)가 회전축 밸브(340)과 함께 연동하며 분배기 하우징(310)의 분배기 배출구(317)를 폐쇄하도록 한다.
이처럼, 밸브 가동부(350)를 통해 상기 탄성 호포(330)의 하부 배출관부(331)를 비틀어 상기 하부 배출관부(331)의 내부 관로를 가압 변형시켜 차단하도록 함과 아울러 출구 개폐판(360)을 상기 분배기 하우징(310)의 분배기 배출구(317)를 미리 차단하도록 함으로써, 발효물을 가열시 발생한 증기가 분배기 배출구(317)를 통해 역류하여 저장된 발효 첨가물이 변질되거나 발효 첨가물의 입자들이 서로 뭉쳐 상기 탄성 호포(330)의 하부 배출관부(331) 또는 분배기 배출구(317)가 봉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2는 첨가물 분배기의 가동 제어부를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가동 제어부(370)는 밸브 가동부(350)의 레버 가동 모터(353)를 가동 제어하기 위한 회로 구성부(미도시) 이외에 회동 레버(351)의 가동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접지 바(371) 및 한 쌍의 위치 감지 센서(372, 373)들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회로 구성부(미도시)는 개별 제어를 위해 첨가물 분배기(300) 내에 별도로 회로 구성되거나 발효 장치(1)의 메인 제어부(미도시)에 연결되어 이를 통해 설정된 사용 환경에 따라 따라 레버 가동 모터(353)를 가동 제어하여 발효 첨가물들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별도의 회로 구성부를 사용하지 않고 발효 장치(1)에 내에 구비된 메인 제어부를 통해 가동 제어하는 것을 예시한다.
또한, 접지 바(371)는 상기 회동 레버(351)의 축 고정부 일측에 연장 형성되고, 한 쌍의 위치 감지 센서(372, 373)는 각각 상기 분배기 하우징(310)의 일측에서 서로 간격을 두고 상기 접지 바(371)에 대응되게 설치되어 상기 회전 레버(351)의 회전 각도 범위를 제한하도록 한다.
즉, 회전 레버(351)가 밀어 올려져 회전축 밸브(340)에 의해 탄성 호퍼(330)의 하부 배출관부(331)를 막아 폐쇄함과 아울러 출구 개폐판(360)에 의해 분배기 하우징(310)의 분배기 배출구(317)가 닫힘 상태인 경우, 접지 바(371)가 하측 위치 감지 센서(373)에 접하여 전지 신호를 발생시켜 메인 제어부를 통해 레버 가동 모터(353)의 가동을 중지시켜 폐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반대로, 회전 레버(351)가 원호형 랙 기어(312)의 하측으로 이동하여 분배기 배출구(317)가 출구 개폐판(360)에 의해 개방됨과 아울러 회전축 밸브(340)에 의해 상기 탄성 호퍼(330)의 하부 배출관부(331)가 개방된 경우, 접지 바(371)가 상측 위치 감지 센서(372)에 접하여 전지 신호를 발생시켜 메인 제어부를 통해 레버 가동 모터(353)의 가동을 중지시켜 개방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물론, 한 쌍의 위치 감지 센서(372, 373)들에 의해 상기 회전 레버(351)의 회전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 레버(351)의 회전 각도의 변화를 통해 회전축 밸브(340)에 의한 탄성 호퍼(330)의 하부 배출관부(331)의 개방 정도 및 출구 개폐판(360)을 통한 분배기 하우징(310)의 분배기 배출구(317) 개방 정도를 조절하여 발효 첨가물의 투입량을 적절히 분배 조절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메인 제어부(미도시)는 LCD창(135)을 통해 입력한 정보값에 따라 전술한 첨가물 분배기(300), 가열부(400), 교반부(500) 및 증기 배출부(600)를 자동 방식이나 또는 수동 방식으로 운전 제어 가능하게 회로 구성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발효 장치(1)는 메인 제어부(미도시)를 통해 첨가물 분배기(300)의 레버 가동 모터(353)의 가동 시간 및 회전 방향을 제어하여 회동 레버(351)의 이동 방향 및 거리를 통해 발효 첨가물(5)의 투입량을 적절히 분배 공급할 있게 조절할 수 있고, 가열부(400)의 무선 전원 공급 단자(410)로부터 전열판(430)에 공급되는 전류량과 전류 공급 시간을 제어하여 발효 용기(200) 내에서 발효물(5)을 가열하는 가열 열량과 가열 시간을 조절할 수 있으며, 교반부(500)의 교반 모터(510) 가동 시간과 회전 속도를 제어하여 발효 용기(200) 내에 설치된 교반 날개(550)를 통해 발효물(3)의 교반 시간과 교반 속도를 제어할 수 있으며, 증기 배출부(600)의 배기팬(620)을 가동 제어하여 중간 커버(136) 내에 수집된 증기를 외부배출 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 발효 장치 3: 발효물
5: 발효 첨가물 100: 본체 하우징
110: 연결부 120: 바닥 받침부
121: 용기 거치홈 130: 헤드부
131: 헤드 커버 132: 전원 버튼
132: 전원 버튼 통공 134: 덮개 통공
135: LCD창 136: 중간 커버
137: 변형 유도홈 200: 발효 용기
210: 용기 베이스 211: 전원 단자홈
212: 휠 체결홈 220: 용기부
230: 용기 연결부 300: 첨가물 분배기
310: 분배기 하우징 311: 외부 분배기 하우징
312: 원호형 랙 기어 314: 내부 분배기 하우징
315: 개폐판 스톱퍼 316: 배출구 형성판
317: 분배기 배출구 318: 고정 받침대
319: 가이드 슬롯 320: 저장 탱크
330: 탄성 호퍼 331: 하부 배출관부
340: 회전축 밸브 341: 호퍼 관통공
342: 가압 돌기 350: 밸브 가동부
351: 회동 레버 352: 피니언 기어
353: 레버 가동 모터 360: 출구 개폐판
370: 가동 제어부 371: 접지 바
372, 373: 위치 감지 센서 400: 가열부
410: 무선 전원 공급 단자 420: 무선 전원 공급 단자
430: 전열판 500: 교반부
510: 교반 모터 520: 휠 베이스
530: 회전축 540: 블레이드 휠
550: 교반 날개 600: 증기 배출부
610: 증기 배출 통로 620: 배기팬

Claims (16)

  1. 연결부를 통해 일체로 연결되는 바닥 받침부와 헤드부 사이에 용기 거치 공간을 가지는 본체 하우징;
    상기 본체 하우징의 용기 거치 공간 내에 삽입되어 상기 바닥 받침부 상측에 거치되고, 내부에 발효물을 담아 저장하는 발효 용기;
    상기 본체 하우징의 헤드부 내에 수납 설치되어 상기 발효 용기 내에 발효 첨가물을 투입하는 첨가물 분배기;
    상기 발효 용기에 구비되어 상기 발효 용기 내에 수납된 상기 발효물을 가열하는 가열부; 및
    상기 발효 용기의 바닥을 관통하며 회전 가능하게 축 고정되는 교반 날개를 통해 상기 발효물을 교반시키는 교반부;를 포함하는 발효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가열부는,
    바닥 받침부의 상측에 구비된 용기 거치홈 내부 일측에 구비되는 무선 전원 공급 단자;
    상기 무선 전원 공급 단자에 대응되게 상기 발효 용기 바닥에 형성되는 무선 전원 연결 단자; 및
    상기 발효 용기 바닥에 매립 설치되며 상기 무선 전원 연결 단자를 통해 공급된 전원을 이용해 상기 발효물을 가열하는 전열판;를 포함하는 발효 장치.
  3. 제1항에서,
    상기 교반 수단은,
    상기 본체 하우징의 바닥 받침부 내부에 수납 설치되는 교반 모터;
    상기 바닥 받침부의 용기 거치홈 중심부에 노출된 상태로 상기 교반 모터의 구동축 단부에 결합되는 휠 베이스; 및
    상기 발효 용기 거치시 상기 휠 베이스에 치형 결합되게 상기 발효 용기의 교반 날개의 회전축의 하단부에 고정되는 블레이드 휠;를 포함하는 발효 장치
  4. 제1항에서,
    상기 발효 용기로부터 발생된 증기를 배출하기 위한 증기 배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증기 배출부는,
    상기 바닥 받침부와 상기 헤드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의 상측을 통과해 형성되는 증기 배출 통로; 및
    상기 증기 배출 통로 상에 구비되어 상기 증기를 외부로 강제 배출시키기 위한 배기팬;을 포함하는 발효 장치.
  5. 제1항에서,
    상기 본체 하우징의 상기 헤드부 하측에는 거치된 발효 용기와의 간격을 덮도록 높이 조절 가능하게 중간 커버가 구비되는 발효 장치
  6. 제5항에서,
    상기 중간 커버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전면 일측에 상기 발효 용기 거치시 높이 조절을 위해 변형을 유도하기 위한 변형 유도홈이 구비되는 발효 장치.
  7. 제1항에서,
    상기 첨가물 분배기는,
    상기 내부를 관통하며 수납 공간이 형성되고, 하부에 분배기 배출구가 형성되는 분배기 하우징;
    상기 분배기 하우징 상측에 체결되며 상기 분배기 배출구를 통해 분배 공급하기 위한 발효 첨가물을 담아 저장하는 저장 탱크;
    상기 저장 탱크의 개방 하측에 결합되고, 상기 분배기 하우징의 분배기 배출구를 향해 탄성 변형이 가능하게 하부 배출관부가 연장 형성되는 탄성 호퍼;
    상기 분배기 하우징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축 고정되고, 상기 탄성 호퍼의 하부 배출관부가 통과하도록 축 선상에 호퍼 관통공이 관통 형성되는 회전축 밸브; 및
    상기 회전축 밸브를 구동시켜 상기 호퍼 관통공을 통과한 상기 하부 배출관부를 비틀어 상기 하부 배출관부의 내부 관로를 가압 변형시켜 상기 발효 첨가물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밸브 가동부;를 포함하는 발효 장치.
  8. 제7항에서,
    상기 회전축 밸브는,
    상기 호퍼 관통공이 형성된 하부 일측에 상기 탄성 호퍼의 하부 배출관부을 가압하기 위한 가압 돌기가 연장 형성되는 발효 장치.
  9. 제8항에서,
    상기 분배기 하우징의 내측에는 상기 회전축 밸브의 가압 돌기에 대응되게 상기 상기 탄성 호퍼의 하부 배출관부 받쳐 지지하는 고정 받침대가 구비되는 발효 장치.
  10. 제7항에서,
    상기 분배기 하우징의 내측에서 상기 회전축 밸브와 동일 축 상에서 연동 가능하게 축 결합되며 상기 분배기 하우징의 분배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출구 개폐판;을 더 포함하는 첨가물 분배기.
  11. 제10항에서,
    상기 분배기 하우징은,
    하측 개방부에 체결 고정되어 상기 분배기 배출구를 형성하는 배출구 형성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배출구 형성판은,
    상기 출구 개폐판의 하부면과 마주하는 분배기 배출구 상부면이 동일 회전 곡률을 가지고 형성되는 첨가물 분배기.
  12. 제11항에서,
    상기 분배기 하우징은,
    상기 분배기 배출구 고정판 상측에 끼워져 체결 고정되는 내부 분배기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내부 분배기 하우징은,
    일측면 상에 상기 출구 개폐판이 상기 분배기 배출구를 개폐하도록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슬롯; 및
    상기 개폐판이 상기 분배기 배출구를 폐쇄 상태를 유지하도록 잡아 고정하기 위한 개폐판 스톱퍼;가 구비되는 첨가물 분배기.
  13. 제7항에서,
    상기 밸브 가동부는,
    상기 분배기 하우징의 외측에서 상기 회전축 밸브의 양측 단부를 연결하며 연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 레버;
    상기 분배기 하우징의 일측에 구비된 원호형 랙 기어에 맞물리도록 상기 회동 레버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축 고정되며 설치되는 피니언 기어; 및
    상기 회동 레버 내부에 수납 설치되며 상기 피니언 기어를 가동 제어하여 상기 회동 바를 상기 원호형 랙 기어를 따라 각 회전시키는 레버 가동 모터;를 포함하는 첨가물 분배기.
  14. 제7항에서,
    상기 밸브 가동부를 가동 제어하는 가동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동 제어부는,
    상기 회동 바의 축 고정부 일측에 연장 형성되는 접지 바; 및
    상기 분배기 하우징의 일측에서 서로 간격을 두고 상기 접지 바에 대응되게 설치되며, 상기 회전 바의 회동 각도 범위를 감지하기 위한 복수의 위치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첨가물 분배기.
  15. 제7항에서,
    상기 저장 탱크는 상측 개방부를 개폐 가능하게 덮는 저장 탱크 덮개를 더 포함하는 첨가물 분배기.
  16. 제7항에서,
    상기 탄성 호퍼는 탄성 변형 가능한 실리콘 또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지는 첨가물 분배기
KR1020180029694A 2018-03-14 2018-03-14 발효 장치 KR1021421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9694A KR102142147B1 (ko) 2018-03-14 2018-03-14 발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9694A KR102142147B1 (ko) 2018-03-14 2018-03-14 발효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8325A true KR20190108325A (ko) 2019-09-24
KR102142147B1 KR102142147B1 (ko) 2020-08-06

Family

ID=68068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9694A KR102142147B1 (ko) 2018-03-14 2018-03-14 발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214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627204A (zh) * 2022-10-28 2023-01-20 钱江将 一种酿酒发酵池温控系统及酿酒发酵池
CN117244444A (zh) * 2023-11-13 2023-12-19 鄂尔多斯市农牧技术推广中心 一种生物菌肥制作设备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1628B1 (ko) * 2009-04-27 2013-09-26 크라프트 푸즈 알앤디, 인크. 자동 커피 머신 및 튜브 밸브
KR20150106321A (ko) * 2014-03-11 2015-09-21 정우연 카트리지 추출용 음료 메이커
JP2016195819A (ja) * 2016-07-19 2016-11-24 東芝ホームテクノ株式会社 調理器
JP2017119070A (ja) * 2015-12-28 2017-07-06 山本電気株式会社 フードプロセッサ
KR20170003031U (ko) 2016-02-21 2017-08-30 김홍기 다기능성 숨쉬는 발효용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1628B1 (ko) * 2009-04-27 2013-09-26 크라프트 푸즈 알앤디, 인크. 자동 커피 머신 및 튜브 밸브
KR20150106321A (ko) * 2014-03-11 2015-09-21 정우연 카트리지 추출용 음료 메이커
JP2017119070A (ja) * 2015-12-28 2017-07-06 山本電気株式会社 フードプロセッサ
KR20170003031U (ko) 2016-02-21 2017-08-30 김홍기 다기능성 숨쉬는 발효용기
JP2016195819A (ja) * 2016-07-19 2016-11-24 東芝ホームテクノ株式会社 調理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627204A (zh) * 2022-10-28 2023-01-20 钱江将 一种酿酒发酵池温控系统及酿酒发酵池
CN117244444A (zh) * 2023-11-13 2023-12-19 鄂尔多斯市农牧技术推广中心 一种生物菌肥制作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2147B1 (ko) 2020-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64521B1 (en) Automated multi-dish cooking machine
CN102037285B (zh) 食品容器
KR20190108325A (ko) 발효 장치
US20100018606A1 (en) Formula dispensing unit
WO2018068546A1 (zh) 即热式智能冲奶机
US20110048247A1 (en) Automatic bread maker
CN104510370B (zh) 具有汽蒸功能的面包机
JP2015061576A (ja) 竪型二軸式の食材ミキサー
CN205585245U (zh) 一种冰激凌机
KR200491061Y1 (ko) 발효용기
CN208512447U (zh) 一种面粉加工用搅拌装置
CN214004028U (zh) 一种益生菌饮品包装用定量装置
CN209966065U (zh) 烹饪器具
CN210077351U (zh) 烹饪器具
CN215162487U (zh) 一种啤酒酿造专用酵母添加设备
CN210796272U (zh) 一种有机肥料发酵设备
CN208848309U (zh) 一种谷物售货机
CN209576469U (zh) 一种搅拌效果好的农药搅拌装置
CN219323056U (zh) 饲喂装置
CN207202771U (zh) 搅拌料理机
CN218741422U (zh) 一种液体原料混合设备
CN210488667U (zh) 储物装置
CN218848835U (zh) 辅食自动混配罐装贩卖机
CN110313832A (zh) 适用于原浆冲兑的饮料机
KR20190108326A (ko) 분배 공급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