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7849A - 음식물 쓰레기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 쓰레기 이송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107849A KR20190107849A KR1020180029087A KR20180029087A KR20190107849A KR 20190107849 A KR20190107849 A KR 20190107849A KR 1020180029087 A KR1020180029087 A KR 1020180029087A KR 20180029087 A KR20180029087 A KR 20180029087A KR 20190107849 A KR20190107849 A KR 2019010784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ood
- chamber
- pipe
- food waste
- valv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5/00—Gathering or removal of refuse otherwise than by receptacles or vehicles
- B65F5/005—Gathering or removal of refuse otherwise than by receptacles or vehicles by pneumatic means, e.g. by suc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2—Crushing means
Landscapes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쓰레기 이송에 대한 것으로서, 이송관 내부에서 압축공기가 음식물 쓰레기를 이송시키는 기술이다. 구체적으로 파쇄용기(110) 내부에 제1파쇄기(120)을 수용하는 파쇄부(100);, 하측에 파쇄부에서 공급된 파쇄음식물을 수용하며, 상측에 압축공기를 수용하는 제1챔버(200);, 이송관(310)으로 형성되며, 제1챔버와 연통되며, 분쇄된 음식물을 이송하는 이송부(3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음식물쓰레기 이송에 관련된 기술이다.
특허발명 001은 한곳 또는 여러곳의 식당에서 발생하는 음식쓰레기, 즉 조리중에 발생하는 채소류, 생선류 및 육류등의 잔유물과 식후에 발생하는 잔반쓰레기를 해당 투입장치로부터 관로를 통해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중앙집중식으로 자동포집하여 저장하고 있다가 진공흡입차에 의하여 배출시킴으로써, 음식쓰레기의 취급편리성 증대, 처리 및 이송에 따른 인력절감 및 악취확산방지, 주위환경 청결유지, 음식쓰레기의 효율적인 분리수거, 시스템운용비절감 및 전체적으로 유효공간절감등의 효과를 도모할 수 있는 압축공기에 의한 중앙집중식 음식쓰레기 자동포집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허발명 002는 투입장치로 투입되는 음식쓰레기를 압축공기의 압력으로 이송관로에 밀어 넣어 중앙 포집기로 수집되게 하는 구성으로 된 음식쓰레기 자동수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이송관로와 같은 지름을 가지는 상부통과 몸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통에는 원통형의 뚜껑이 씌워짐과 아울러 그 하측부는 상측 슬라이드밸브를 개재하여 몸통으로 이어지고, 상기 몸통에는 전자밸브를 갖춘 압축공기관이 관 접속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몸통의 하측부는 하측 슬라이드밸브를 개재하여 상기 이송관로로 이어지며, 또한 상기 상부통의 외주면에는 근접 센서가 부착되어서 상기 뚜껑의 개폐여부를 감지할 수 있게 되어있는 투입장치와, 내부가 여과면에 의해 구획되어서 음식쓰레기에 함유된 물을 분리하여 배수관을 통해 배출하는 물 분리장치가 병설된 중앙 포집기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서 최저의 단가로 설비할 수 있고, 중앙 포집기로 수거되는 음식쓰레기를 수분없이 저장하여 놓을 수 있게 한 것이다.
특허발명 003은 주방에서 손가락으로 버튼을 누르는 간편한 조작으로 열릴 수 있는 음식물쓰레기 진공수거 시스템의 투입구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 투입구는 통상의 싱크대 상면으로 장착되고 내주면 한쪽으로 장착홈(16)이 형성되어 있는 상판베이스(2)와; 상기 상판베이스(2)의 상측으로 배치되는 뚜껑틀(6)과; 상기 상판베이스(2)의 하측으로 배치되고 외주에 흡기공(8)이 형성된 홉퍼(10)와; 상기 흡기공(8)으로 설치되어서 외부공기의 도입을 허용하는 체크밸브(40)와; 상기 홉퍼(10)의 외주로 부착되는 1조 1쌍의 흡음케이스(14)와; 상기 뚜껑틀(6)에 개폐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장착홈(16)에 끼워지는 힌지부(18)와 그 대칭방향의 계지홈(32)이 각각 외주면에 형성되는 뚜껑(4)과; 상기 힌지부(18)의 양측으로 연결 고정되는 1쌍의 복좌축(20)과; 상기 복좌축(20)을 축지지하는 하우징(26)과; 상기 하우징(26)의 내부에서 출력단이 상기 복좌축(20)으로 연결되고 반대쪽 고정단은 하우징(26)에 연결 고정되는 나선형스프링(28)과; 상기 상판베이스(2)의 외주 하측으로 배치되어서 상기 뚜껑(4)이 닫히면 계지홈(32)으로 끼워져 걸어주는 시정훅(30)과; 상기 뚜껑틀(6)의 상면으로 배치되어서 시정훅(30)을 연동 해제시키는 해제버튼(34)으로 구성된 것이다.
특허발명 004는 기계적 소음과 잔고장이 생기지 않고, 또한 밸브 하우징의 외부를 쉴드하는 케이싱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는 구조로 개량한 세대별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게이트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것은 밸브하우징(4)의 측방으로 설치되는 커플링(8)에 리테이너(26)가 동축으로 설치되고, 그 주변에는 블래킷(10)이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블래킷(10)에는 정역회전 가능한 워엄기어드모터(12)가 고정 설치되고, 상기 워엄기어드모터(12)의 변속박스(14)에는 커플링(8)의 대칭방향으로 연장되는 캠축(18)이 배열됨과 아울러, 역방향 리미트 스위치(20)와 정방향 리미트 스위치(22)가 대칭 배치된 마운팅플레이트(16)가 부착 고정되고, 상기 역방향 리미트 스위치(20)와 정방향 리미트 스위치(22) 사이에는 외주면이 대경면(24a)과 소경면(24b)으로 구분 형성된 캠(24)이 상기 캠축(18)에 일체로 고정되도록 배치되어서 상기 역방향 리미트 스위치(20)와 정방향 리미트 스위치(22)가 스위칭 온 오프되게하는 구성에 특징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음식물쓰레기 이송에 대한 것으로서, 이송관 내부에서 압축공기가 음식물 쓰레기를 이송시키는 기술이다.
본 발명은 음식물쓰레기 이송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파쇄용기(110) 내부에 제1파쇄기(120)를 수용하는 파쇄부(100);, 하측에 파쇄부에서 공급된 파쇄음식물을 수용하며, 상측에 압축공기를 수용하는 제1챔버(200);, 이송관(310)으로 형성되며, 제1챔버와 연통되며, 분쇄된 음식물을 이송하는 이송부(3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이송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앞에서 제시한 발명의 파쇄부, 제1챔버, 이송부에 있어서, 상기 이송관 타측과 연통되며, 이송된 파쇄음식물이 저장되는 저장용기(410);를 부가한 것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이송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앞에서 제시한 발명의 파쇄부, 제1챔버, 이송부, 저장용기에 있어서, 상기 저장용기 상부와 연통되며, 저장용기 내부 공기를 흡입하는 가스배출관(510)을 부가한다.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이송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앞에서 제시한 발명의 파쇄부, 제1챔버, 이송부에 있어서, 상기 이송관 중간에 형성되며, 절곡부(610)로 이루어진 증압부(600);를 부가한다.
본 발명에서 음식물쓰레기는 일정한 크기로 분쇄되어 이송되므로, 이송효율이 높다. 음식물쓰레기의 이송 중 주기적인 중간 충진압에 의해 이송에너지를 부가하므로 이송효율이 향상된다. 음식물 쓰레기 이송 중, 이송관은 진공흡입을 하므로 이송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음식물쓰레기 분쇄과정에서 일정한 크기로 분쇄크기를 선별할 수 있다. 음식물 쓰레기 투입과정에서 음식물 악취가 발생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하나의 펌프를 이용하여 저장용기의 음식물 쓰레기를 순환, 배출, 투입하므로 장비운영의 효과를 발휘한다. U자 형상의 곡관을 형성하므로 이송관 폐쇄율을 주기적으로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는 본 발명의 파쇄부, 제1챔버, 이송부의 배치도.
도 2 및 3은 본 발명의 제1챔버 밸브작동구조 및 압력공급구조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파쇄부 및 공기흡입개념도.
도 5 및 6은 본 발명의 저장용기 작동구조 및 작동종류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저장용기 내부 가스배출 개념도.
도 8 및 9는 본 발명의 이송부 연속이송방식 개념도.
도 9는 본 발명의 이송부 연속이송방식 개념도.
도 2 및 3은 본 발명의 제1챔버 밸브작동구조 및 압력공급구조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파쇄부 및 공기흡입개념도.
도 5 및 6은 본 발명의 저장용기 작동구조 및 작동종류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저장용기 내부 가스배출 개념도.
도 8 및 9는 본 발명의 이송부 연속이송방식 개념도.
도 9는 본 발명의 이송부 연속이송방식 개념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1] 본 발명의 음식물쓰레기 이송장치는 파쇄용기(110) 내부에 제1파쇄기(120)을 수용하는 파쇄부(100);, 하측에 파쇄부에서 공급된 파쇄음식물을 수용하며, 상측에 압축공기를 수용하는 제1챔버(200);, 이송관(310)으로 형성되며, 제1챔버와 연통되며, 분쇄된 음식물을 이송하는 이송부(3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이송장치에 대한 발명이다. 압축된 송출공기 및 진공상태의 흡입공기를 음식물 쓰레기 양측에 부여하여 이송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음식물쓰레기는 유체 및 고체혼합물 형태를 가지므로 이송효율이 높지않다. 또한 음식물의 크기가 불균일 하므로 일정한 크기로 파쇄해야 된다. 파쇄된 음식물은 제1챔버에 수용된 후, 압출공기에 의해 이송관에 분출되어 이송된다. 이송관은 파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공기압으로 이송시킨다.
[실시예 1-2] 본 발명의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제1챔버 상측에 형성되며, 파쇄부연통구(130)을 개폐하는 제1밸브(210);, 상기 제1챔버 하측에 형성되며, 이송관(310)을 개폐하는 제2밸브(220);를 포함한다.
[실시예 1-3] 본 발명의 실시예 1-2에 있어서, 상기 제1밸브 및 제2밸브 작동을 제어하는 제1제어기(230);를 포함한다.
제1챔버 내부에 수용된 파쇄음식믈에 공기압을 부여하기 위해, 제1챔버는 파쇄음식물 수용공간 및 공기압 수용공간으로 양분된다. 상기 공기압 수용공간에는 압축공기를 충전한다. 제1챔버는 상측 및 하측에 2개의 밸브(제1밸브, 제2밸브)를 형성한다. 제1밸브가 개방되며, 제2밸브가 폐쇄된 상태에서 음식물 쓰레가가 제1밸브로 투입된다.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된 후, 제1밸브가 폐쇄되고 내부에 압축공기가 충전한다. 제2밸브가 순간적으로 개방되며, 압축공기가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이송관으로 송출시킨다. 상기 제1,2밸브는 제1제어기에 의해 자동으로 제어되어야 한다.
[실시예 1-4] 본 발명의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제1챔버는 하부형상이 콘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1-5] 본 발명의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제1챔버 외부에 형성되는 단열층(201)을 포함한다.
[실시예 1-6] 본 발명의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제1챔버 외부에 형성되는 가열수단(202);, 상기 제1챔버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1온도측정센서(203);, 상기 제1온도측정센서의 신호를 계측하며, 상기 가열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2제어기(204);를 포함한다.
분쇄음식물이 쉽게 배출되려면, 제1챔버내부의 압력은 음식물 쓰레기에 집중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제1챔버 형상은 콘형상을 형성한다. 분쇄음식물이 겨울철에는 냉동된다. 음식물 쓰레기의 냉동방지를 위해, 제1챔버의 외부에는 단열재를 형성하여 온도저하를 방지한다. 또한, 냉각 방지를 위해, 제1챔버외부에는 가열수단을 장착한다. 가열수단은 제1온도센서의 신호에 따라 작동되며, 이는 제2제어기에 의해 실시간으로 제어된다. 상기 가열수단은 열선 및 텔티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즉, 외부에너지를 이용하여 열을 발산할 수 있는 대상으로 치환하여 적용 가능하다.
[실시예 1-7] 본 발명의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제1챔버 내부의 수용량을 측정하는 수위측정센서(241);를 포함한다.
[실시예 1-8] 본 발명의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제1챔버와 연통되며, 압축공기를 저장하는 제2챔버(242);를 포함한다.
[실시예 1-9] 본 발명의 실시예 1-8에 있어서, 상기 제2챔버와 연통되며,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콤프레서(243a) 또는 송풍기(243b)를 포함한다.
제1챔버 내부의 분쇄음식물이 지나치게 많을 경우, 이송효율이 저하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제1챔버 내부에는 수위측정센서를 장착한다. 상기 수위측정센서는 초음파 센서와 같은 비접촉 센서를 사용하거나, 볼탑과 같은 접촉센서를 활용할 수 있다. 상기 초음파센서 및 볼탑을 제외한 다른 센서도 수위를 측정할 수 있는 것이라면 치환 적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제1챔버 하부에는 로드셀을 장착하며, 로드셀의 중량측정으로 수위검출을 가름할 수 있다.
제1챔버에는 고압 공기를 순간적으로 발생시켜야 된다. 이를 위해, 외부의 제2챔버로부터 공기압을 공급받는다. 상기 제2챔버에는 고압의 압축공기가 충분히 준비된 상태를 유지하며, 필요시 제1챔버로 압축공기를 급속 이송시킨다. 또한, 이송공기는 연속적으로 작용하며, 일정시간 유지되어야 한다. 제2챔버에 공기압을 형성하기 위해 콤프레서 또는 송풍기 등을 형성하여 실시간으로 일정압력을 유지한다.
[실시예 1-10] 본 발명의 실시예 1-8 또는 실시예 1-9에 있어서, 상기 제2챔버가 제1챔버 및/또는 이송관를 연통하는 공기투입관(244);, 상기 공기투입관에 형성되는 제3밸브(245);를 포함한다.
[실시예 1-11] 본 발명의 실시예 1-1 내지 실시예 1-10에 있어서, 상기 수위측정센서, 상기 제1밸브 및 상기 제2밸브의 신호를 계측하며, 상기 제3밸브 작동을 제어하는 제3제어기(246);를 포함한다.
공기투입관은 제2챔버에 수용된 압축공기를 제1챔버 및/또는 이송관으로 이송시킨다. 상기 공기투입관에는 제3밸브를 장착한다. 제3밸브는 제3제어기에 의해 작동되며, 제3제어기는 분쇄음식물의 이송과정에 따라 제3밸브를 제어한다. 따라서, 제3제어기는 제1밸브 및 제2밸브의 작동신호를 입력받아 작동된다.
제3밸브는 제1챔버 연동을 제어하는 제3-1밸브 및 이송관 연동을 제어하는 제3-2밸브로 구분된다. 제1챔버의 음식물을 이송하기 위해서는 제3-1밸브가 개방되며, 제3-2밸브가 폐쇄된다. 제1챔버의 음식물이 배출된 이후에는 제2밸브 및 제3-1밸브가 폐쇄되며, 제3-2밸브가 개방되어 이송관으로 압축공기를 직접 분사시킨다.
다른 실시 예로서, 제2챔버는 복수로 형성되며, 각각의 제2챔버는 제3밸브를 개별적으로 형성한다. 각각의 제3밸브와 연통되는 공기투입관은 이송관에 연결되며, 각각의 제3밸브 개폐시점에 따라 음식물쓰레기는 이송관에서 순차적으로 이송된다.
[실시예 1-12] 본 발명의 실시예 1-1 내지 실시예 1-11에 있어서, 상기 제1챔버에 결합되어 압력을 측정하는 제1압력센서(251);, 상기 제3밸브의 개폐량을 제어하는 제4제어기(252)를 포함한다.
제2밸브 개방시, 분쇄된 음식물이 압축공기에 의해 이송관으로 분출된다. 그러나, 음식물 분출 후, 제1챔버의 체적이 증가되며, 압력은 낮아진다. 손실압력을 보충하기 위해, 제2챔버는 압축공기를 추가적으로 공급해야 한다. 공급된 추가압력은 제1챔버 내부에서 균일하게 유지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제1압력센서가 제1챔버에 장착되며, 제4제어기가 제1압력센서신호를 실시간으로 감지하며, 제3밸브 유량을 조절한다. 따라서, 제1챔버는 연속적으로 균일 송출압력을 유지할 수 있다.
[실시예 1-13] 본 발명의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이송관의 직경은 50mm 내지 200mm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제1챔버의 제2밸브는 이송관과 연통된다. 제1챔버로부터 유출된 음식물은 이송관을 통해 이동된다. 이송관 크기는 50 내지 200mm의 관을 사용한다. 상기 수치는 통상적으로 상용화된 완성 관의 크기이며, 이는 생산성 향상을 위함이다. 또한, 관 직경이 200mm이상 이면, 이송과정 중 지나치게 많은 공기압을 요구하게 되며, 이동과정 중 음식물들의 응집성이 떨어져 이송효율을 저하시킨다. 또한, 관 직경이 50mm 이하이면, 이송관 및 음식물 접촉면적이 증대되어 유동저항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이송관의 직경은 50 내지 200mm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임계적 의미를 내포한다.
이송관 내부는 마찰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해 코팅층을 형성한다. 상기 코팅층은 테프론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균등한 대상으로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이송관은 플라스틱으로 형성되거나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금속으로 형성될 경우, 부식방지를 위해, 스테인레스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1-14] 본 발명의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제1파쇄기는 한쌍의 파쇄롤러(121)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음식물이 제1챔버로 투입되기 전, 음식물은 일정한 크기로 분쇄되어야 한다. 음식물 분쇄는 제1파쇄기에서 이루어진다. 제1파쇄기는 음식물을 일정한 크기로 분쇄한다. 한쌍의 파쇄롤러는 음식물을 압착 및 절단한다. 파쇄롤러 회전시 롤러 사이로 음식물이 투입되며, 음식물은 파쇄롤러 사이의 절단날에 의해 일정한 크기로 분쇄된다. 앞에서 제시한 파쇄롤러는 롤러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마찰판타입, 콘크레셔타입, 조크레셔타입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 1-15] 본 발명의 실시예 1-14에 있어서, 상기 파쇄용기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파쇄롤러 상부에 형성되며, 롤러방향으로 경사면을 형성되며, 일정한 크기의 구멍이 복수로 형성된 제1걸름망(122);을 포함한다.
일정한 크기 이상의 음식물만 제1파쇄기에서 분쇄한다. 이를 위해, 제1파쇄기로 이동되는 음식물은 제1걸름망을 먼저 통과한다. 따라서, 제1걸름망은 파쇄롤러와 인접하게 설치되며, 음식물의 진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제1걸름망은 파쇄롤러와 인접하게 경사면을 형성된다.
[실시예 1-16] 본 발명의 실시예 1-15에 있어서, 상기 파쇄용기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파쇄롤러 하부에 형성되며, 경사되게 설치하며, 일정한 크기의 구멍이 복수로 형성된 제2걸름망(123);을 포함한다.
제1파쇄기를 통과한 음식물은 일정한 크기로 형성된다. 그러나, 음식물의 종류 및 작동조건에 따라 파쇄되지 않을 수 있다. 설정치 이상의 음식물은 이송관을 통과할 수 없으며, 통과되어도 높은 이송저항을 유발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제2걸름망을 추가로 설치한다. 제2걸름망은 일정한 크기의 메시망을 복수로 형성된다. 따라서, 메시망을 통과한 음식믈은 이송관 투입조건을 충족하며, 그렇지 않은 크기의 음식물은 다시 분쇄되어야 한다.
[실시예 1-17] 본 발명의 실시예 1-16에 있어서, 상기 제2걸름망 일측에 형성되는 제2파쇄기(124)를 포함한다.
제2걸름망을 통과하지 못한 음식물은 제2차파쇄기에 의해 재 분쇄된다. 제2걸름망에 걸러진 음식물은 제2파쇄기로 유도되며, 이를 위해, 제2걸름망은 경사되며, 진동으로 이송효과를 향상시킨다.
[실시예 1-18] 본 발명의 실시예 1-16에 있어서, 상기 제1파쇄기 및/또는 제2파쇄기와 축 결합되며, 상기 파쇄용기 외부에 형성되며, 축을 회전시키는 전동모터(125);를 포함한다.
[실시예 1-19] 본 발명의 실시예 1-18에 있어서, 상기 전동모터에 형성되며, 전력을 측정하는 전력측정센서(126a) 또는 토크센서(126b);, 상기 전동모터 회전방향을 제어하는 제5제어기(127)를 포함한다.
제1파쇄기 및 제2파쇄기는 전동모터로 구동된다. 파쇄기 사이에 음식물이 걸리는 경우, 음식물이 분쇄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파쇄롤러는 구동되지 않는다. 모터구동이 정지되는 것을 감지해야 하며 순간적인 역회전을 부여해야 한다. 즉, 모터구동상태 및 걸림상태를 판단하기 위해 전동모터는 전력측정센서 또는 토크센서를 장착한다.
[실시예 1-20] 본 발명의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파쇄용기 상부에 형성되는 개폐도어(112);, 상기 파쇄용기 내부와 연통되는 악취제거관(113);, 상기 악취제거관에 형성된 제1흡입펌프(114);, 상기 악취제거관에 형성되는 제1탈취필터(115)를 포함한다.
[실시예 1-21] 본 발명의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개폐도어에 장착되며, 개폐정보를 측정하는 개폐센서(116);, 상기 파쇄용기 외부에 장착되며, 사용자의 접근을 측정하는 근접센서(117);, 상기 개폐센서 신호를 수신하며, 제1흡입펌프작동을 제어하는 제6제어기(118);를 포함한다.
파쇄용기 내부로 음식물을 투입하는 과정에서, 개폐도어가 개방된다. 개폐도어 개방시, 음식물 악취가 개폐도어로 유출된다. 사용자의 음식물 냄새 인지를 방지하기 위해, 개폐도어의 작동을 감지하며, 개폐시 악취제거관은 내부공기를 외부로 신속히 배출해야 한다. 구체적으로 악취제거관에는 제1흡입펌프 또는 흡입팬을 장착하며, 상기 제1흡입펌프는 개폐센서 신호를 감지하여 작동한다. 흡입공기가 대기에 직접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탈취필터를 악취제거관에 장착하여 정화된 공기를 대기에 방출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사용자가 파쇄용기에 근접하는 것을 근접센서가 감지하며, 근접센서 신호에 의해 제1흡입펌프 또는 흡입팬은 급속히 작동한다. 사용자가 개폐도어를 개방하면 제1흡입펌프 또는 흡입팬은 저속으로 작동한다. 이는 사용자가 개폐도어 개방시 발생되는 위압감을 감소시킬 수 있다.
[실시예 2-1] 본 발명의 음식물쓰레기 이송장치는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이송관 타측과 연통되며, 이송된 파쇄음식물이 저장되는 저장용기(410);를 포함한다.
이송관 일측은 제1챔버에 결합되며, 타측은 저장용기에 결합된다. 따라서, 파쇄음식물은 최종적으로 저장용기에 수용된다. 상기 저장용기는 밀폐용기로 형성되며, 복수의 이송관이 집결되므로 대용량을 형성된다.
[실시예 2-2] 본 발명의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이송관에 형성되며, 음식물 쓰레기에 수용된 이물질을 분리하는 이물질분리기(420);을 포함한다.
저장용기에 포집된 파쇄음식물에는 비닐용기 등의 이물질이 포함된다. 상기 이물질을 배출시키기 위해 이송관에는 이물질 분리기를 형성한다. 즉, 음식물 쓰레기에 수용된 이물질이 분리된 후 저장용기로 음식물을 이송시킨다.
[실시예 2-3] 본 발명의 실시예 2-2에 있어서, 상기 이송관에 형성되며, 상기 저장용기 및 상기 이물질분리기 사이에 형성되는 이송펌프(450);, 상기 저장용기 하부 및 상기 이송관을 연통하는 순환관(430);, 상기 이송관에 분기되어 형성되는 배출관(440);, 상기 순환관 및 상기 이송관에 결합되는 제1저장밸브(461);, 상기 이송관 및 상기 배출관에 결합되는 제2저장밸브(462);를 포함한다.
음식물이 이송관으로 저장하는 경우, 음식물쓰레기는 이송관을 통해 저장용기로 공급되며, 이송펌프는 음식물쓰레기에 이송에너지를 부여한다.
저장용기의 음식물을 순환하는 경우, 저장용기의 음식물쓰레기는 순환관을 통해 이송관으로 재진입되어 저장용기로 다시 투입된다. 음식물 쓰레기가 저장용기에 장기간 수용되는 경우, 고형화되는 문제가 있다. 고형화를 방지하기 위해, 저장용기 하부에는 순환관 일측을 설치하며, 순환관 타측은 이송관에 연통시킨다.
음식물쓰레기를 배출하는 경우, 이송관을 통해 직접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저장용기로 투입되지 않고 배출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다른 실시예로서, 저장용기의 음식물쓰레기는 순환관 및 배출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순환관 및 이송관에는 제1저장밸브를 장착하며, 상기 이송관 및 배출관에는 제2저장밸브를 장착한다. 제1, 2저장밸브는 3웨이밸브로 형성한다. 즉 작동모드에 따라 제1, 2저장밸브는 관로의 순환을 변경한다. 상기 제1, 2저장밸브 및 이송펌프는 저장제어기(470)에 의해 제어된다. 따라서 저장제어기 및 제1, 2저장밸브의 작동은 하나의 이송펌프를 이용하여 다양한 모드로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송펌프는 이송관에 부압을 형성하여 이송관에서 이동중인 음식물쓰레기를 흡입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 2-4] 본 발명의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저장용기 외부에 형성되는 제2단열층(411);을 포함한다.
[실시예 2-5] 본 발명의 실시예 2-4에 있어서, 상기 저장용기 내부온도를 측정하는 제2온도센서 (412);, 상기 저장용기 외부 및/또는 내부에 형성되며, 저장용기를 냉각하는 냉각기(413);, 상기 제2온도센서 신호를 계측하며, 냉각기를 제어하는 제7제어기(414);를 포함한다.
저장용기에 수용된 음식물쓰레기의 부패방지를 위해, 저장용기는 일정한 저온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상기 저온상태는 약 섭씨 1도 내지 5도 범위를 유지하며, 바람직하게는 3도의 온도를 유지한다. 일정한 온도유지를 위해, 저장용기 내부에는 제2온도센서를 장착하며, 저장용기 외부 또는 내부에는 냉각기를 장착한다. 제7제어기가 제2온도센서 신호를 계측한 후, 냉각기를 작동시켜 실시간으로 온도를 유지한다. 상기 제2온도센서는 서머커플 및 이와 균등한 대상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냉각기는 통상의 냉각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저장용기와 외부와의 온도차이를 유지하기 위해 저장용기 외부에는 단열층을 형성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제2단열층은 저장용기와 직접 접촉된 상태로 설치되거나, 외부함체를 형성하여 저장용기와 분리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냉각기는 저장용기 내부 및/또는 외부에 냉각관을 형성하며, 상기 냉각관에 냉각수를 순환시켜 저장용기를 냉각시킬 수 있다.
[실시예 3-1] 본 발명의 음식물쓰레기 이송장치는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저장용기 상부와 연통되며, 저장용기 내부 공기를 흡입하는 가스배출관(510)을 포함한다.
[실시예 3-2] 본 발명의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가스배출관에 결합되며, 공기를 흡입하는 제2흡입팬(530)를 포함한다.
저장용기 내부에는 발효된 가스 및 투입공기를 수용한다. 이러한 가스 및 공기의 외부배출을 위해, 저장용기 상부에는 가스배출관을 장착하며, 상기 가스배출관에는 제2흡입팬을 장착한다. 즉, 저장용기에 수용된 가스 및 공기는 제2흡입팬의 동력으로 흡입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실시예 3-3] 본 발명의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가스배출관에 결합되며, 냄새를 제거하는 제2탈취필터(540)를 포함한다.
[실시예 3-4] 본 발명의 실시예 3-3에 있어서, 상기 제2탈취필터는 필터케이스(541)에 형성되며, 상기 필터케이스는 삽입체(542)에 결합되며, 상기 삽입체는 가스배출관 내외부에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가스배출관으로 흡입된 공기는 대기로 방출된다. 방출된 공기는 냄새를 포함하며, 이는 환경적 문제를 유발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가스배출관에는 제2탈취필터를 장착한다. 상기 제2탈취필터는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 중 악취를 제거한다. 제2탈취필터는 일정 수명을 가지므로 주기적인 교체가 요구된다. 교체효율 향상을 위해, 제2탈취필터는 케이스를 형성하며, 상기 케이스는 삽입체에 착탈되므로 교체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는 가스배출관 및 부압챔버 내외부 경계면에 형성한다.
[실시예 4-1] 본 발명의 음식물쓰레기 이송장치는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이송관 중간에 형성되며, 절곡부(610)로 이루어진 증압부(600);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이송장치.
이송관을 통과하는 음식물은 이송관 단면적과 동일 또는 작은 크기로 채워져야 한다. 이는 송출압력 및 흡입압력에 의해 음식물 이동을 원활하게 구현할 수 있다. 그러나 음식물 상태 특성상 일정단면을 연속적으로 유지하기 어렵다. 이는 중력에 의해 이송관 내부에서 단면적이 작아지기 때문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이송관은 중간에 절곡부를 형성하며, 상기 절곡부는 이송중인 음식물을 일시 포집하여 단면적을 이송관 크기에 맞게 조정하는 역할을 한다.
[실시예 4-2] 본 발명의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증압부는 이송관 중간에 복수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4-3] 본 발명의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 입구 및 출구는 동일 수평선에 위치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4-4] 본 발명의 실시예 4-2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는 U형상, S형상 또는 톱니형상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증압부는 이송관에 복수로 형성한다. 또한 균일한 간격 또는 불균일 간격으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쇄음식물은 유동과정 중 일정구간에서 정지되며 이는 절곡부에서 이루어진다. 상기 절곡부는 U형상 또는 S형상으로 형성된다.
[실시예 4-5] 본 발명의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에 형성되며, 압축공기가 분사되는 공압분사관(621);을 포함한다.
절곡부에서 일시적으로 정지된 이송음식물은 다시 이송력을 부여받기 위해 추가적인 공기압을 부여받는다. 상기 공기압은 공압분사관을 통해 발생된다.
[실시예 4-6] 본 발명의 실시예 4-5에 있어서, 상기 공압분사관에 연통된 증압챔버(622);를 포함한다.
[실시예 4-7] 본 발명의 실시예 4-6에 있어서, 상기 증압챔버를 복수로 연결하며, 압축공기를 발생시키는 증압압축기(623);를 포함한다.
공압분사관은 일정압력을 송출압력으로 유지시킨다. 이를 위해, 공압분사관은 증압챔버와 연통되며, 상기 증압챔버는 일정 압력으로 송출압을 유지한다. 송출압은 증압압축기로부터 공급받는다.
[실시예 4-8] 본 발명의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 일측에 형성되는 제1증압밸브(631); 및/또는 상기 절곡부 타측에 형성되는 제2증압밸브(632);를 포함한다.
[실시예 4-9] 본 발명의 실시예 4-5 또는 실시예 4-8에 있어서, 상기 제1증압밸브 및/또는 상기 제2증압밸브 및 상기 공압분사관의 작동을 제어하는 증압제어기(633)를 포함한다.
절곡부에 수용된 이송음식물의 이송효율 향상을 위해, 절곡부 일측 및/또는타측에는 제1증압밸브 및/또는 제2증압밸브를 장착한다. 제1증압밸브가 폐쇄된 상태에서 공압분사관으로부터 고압의 공기압이 투입된다. 따라서, 절곡부에 수용된 이송음식물이 이송된다. 음식물과 제1증압밸브 사이의 증대된 체적에 따라 공기압을 보충시킨다.
[실시예 4-10] 본 발명의 음식물 쓰레기 이송장치는 실시예 1-1에 있어서, 이송관;, 상기 이송관(310)에 설치되며, 복수로 형성되는 절곡부(711);, 상기 각각의 절곡부 일측에 형성되는 제1증압밸브(712);, 상기 절곡부 일측 및 제1증압밸브 사이에 형성되는 공압분사관(713);, 상기 공압분사관에 연통되며, 공압투입을 제어하는 송출제어밸브(721);, 상기 공압분사관들과 연통되는 메인송출챔버(731);를 포함한다.
[실시예 4-11] 본 발명의 음식물 쓰레기 이송장치는 실시예 4-10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들 사이에 형성되며, 복수로 형성되는 흡입관(714);, 상기 흡입관에 형성되며, 흡입공기의 유동을 제어하는 흡입제어밸브(722);, 상기 흡입관들과 연통되는 메인흡입챔버(732);, 상기 메인송출챔버 및 상기 메인흡입쳄버를 연통하는 메인연통관(733);, 상기 메인연통관에 형성되는 메인펌프(740);, 상기 송출제어밸브, 상기 흡입제어밸브, 상기 제1증압밸브, 상기 제2증압밸브, 상기 메인펌프를 제어하는 메인제어기(750);를 포함한다.
100 :파쇄부
110 : 파쇄용기
112 : 개폐도어 113 : 악취제거관
114 : 제1흡입펌프 115 : 제1탈취필터
116 : 개폐센서 117 : 근접센서
118 : 제6제어기 120 : 제1파쇄기
121 : 파쇄롤러 122 : 제1걸름망
123 : 제2걸름망 124 : 제2파쇄기
125 : 모터 126a : 전력측정센서
126b : 토크센서 127 : 제5제어기
130 :파쇄부연통구 200 : 제1챔버
201 :단열층 202 : 가열수단
203 : 제1온도측정센서 204 : 제2제어기
210 : 제1밸브 220 : 제2밸브
230 : 제1제어기 241 : 수위측정센서
242 : 제2챔버 243a : 콤프레서
243b : 송풍기 244 : 공기투입관
245 : 제3밸브 246 : 제3제어기
251 : 제1압력센서 252 : 제4제어기
300 :이송부 310 : 이송관
410 : 저장용기 411 : 제2단열층
412 : 제2온도센서 413 : 냉각기
414 : 제7제어기 420 : 이물질분리기
430 : 순환관 440 : 배출관
450 : 이송펌프 461 : 제1저장밸브
462 : 제2저장밸브 470 : 저장제어기
510 : 가스배출관 530 : 제2흡입팬
540 : 제2탈취필터 541 : 필터케이스
542 :삽입체 600 : 증압부
610 :절곡부 621 : 공압분사관
622 :증압챔버 623 : 증압압축기
631 : 제1증압밸브 632 : 제2증압밸브
633 :증압제어기
112 : 개폐도어 113 : 악취제거관
114 : 제1흡입펌프 115 : 제1탈취필터
116 : 개폐센서 117 : 근접센서
118 : 제6제어기 120 : 제1파쇄기
121 : 파쇄롤러 122 : 제1걸름망
123 : 제2걸름망 124 : 제2파쇄기
125 : 모터 126a : 전력측정센서
126b : 토크센서 127 : 제5제어기
130 :파쇄부연통구 200 : 제1챔버
201 :단열층 202 : 가열수단
203 : 제1온도측정센서 204 : 제2제어기
210 : 제1밸브 220 : 제2밸브
230 : 제1제어기 241 : 수위측정센서
242 : 제2챔버 243a : 콤프레서
243b : 송풍기 244 : 공기투입관
245 : 제3밸브 246 : 제3제어기
251 : 제1압력센서 252 : 제4제어기
300 :이송부 310 : 이송관
410 : 저장용기 411 : 제2단열층
412 : 제2온도센서 413 : 냉각기
414 : 제7제어기 420 : 이물질분리기
430 : 순환관 440 : 배출관
450 : 이송펌프 461 : 제1저장밸브
462 : 제2저장밸브 470 : 저장제어기
510 : 가스배출관 530 : 제2흡입팬
540 : 제2탈취필터 541 : 필터케이스
542 :삽입체 600 : 증압부
610 :절곡부 621 : 공압분사관
622 :증압챔버 623 : 증압압축기
631 : 제1증압밸브 632 : 제2증압밸브
633 :증압제어기
Claims (4)
- 음식물쓰레기 이송장치에 있어서,
파쇄용기(110) 내부에 제1파쇄기(120)을 수용하는 파쇄부(100);,
하측에 파쇄부에서 공급된 파쇄음식물을 수용하며, 상측에 압축공기를 수용하는 제1챔버(200);,
이송관(310)으로 형성되며, 제1챔버와 연통되며, 분쇄된 음식물을 이송하는 이송부(300);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이송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송관 타측과 연통되며, 이송된 파쇄음식물이 저장되는 저장용기(410);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이송장치.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저장용기 상부와 연통되며, 저장용기 내부 공기를 흡입하는 가스배출관(510)을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이송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송관 중간에 형성되며, 절곡부(610)로 이루어진 증압부(600);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이송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29087A KR102124811B1 (ko) | 2018-03-13 | 2018-03-13 | 음식물 쓰레기 이송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29087A KR102124811B1 (ko) | 2018-03-13 | 2018-03-13 | 음식물 쓰레기 이송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07849A true KR20190107849A (ko) | 2019-09-23 |
KR102124811B1 KR102124811B1 (ko) | 2020-07-07 |
Family
ID=68069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29087A KR102124811B1 (ko) | 2018-03-13 | 2018-03-13 | 음식물 쓰레기 이송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24811B1 (ko) |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32836B1 (ko) | 1997-12-22 | 1999-12-01 | 박민식 | 압축공기에 의한 중앙집중식 음식쓰레기 자동포집시스템 |
JP2006256789A (ja) * | 2005-03-17 | 2006-09-28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家屋内廃棄処理物の排出装置 |
KR100676897B1 (ko) | 2000-09-01 | 2007-01-31 | 오에이치시스템 주식회사 | 음식쓰레기 자동수거 시스템 |
KR100811836B1 (ko) * | 2007-04-12 | 2008-06-19 | 오에이치시스템 주식회사 | 공기 이송방식 세대별 음식물 쓰레기 자동 처리장치 |
JP2011078340A (ja) * | 2009-10-06 | 2011-04-21 | Jiro Sasaoka | バイオマス流体輸送装置 |
KR101181482B1 (ko) | 2011-01-14 | 2012-09-13 | 오에이치시스템 주식회사 | 음식물 쓰레기 진공수거 시스템의 투입구 |
US20150375935A1 (en) * | 2013-03-05 | 2015-12-31 | Maricap Oy | Method and apparatus in pneumatic materials handling and a waste container/separating device |
KR200480231Y1 (ko) | 2015-03-25 | 2016-04-27 | 오에이치시스템 주식회사 | 세대별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게이트밸브 |
-
2018
- 2018-03-13 KR KR1020180029087A patent/KR10212481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32836B1 (ko) | 1997-12-22 | 1999-12-01 | 박민식 | 압축공기에 의한 중앙집중식 음식쓰레기 자동포집시스템 |
KR100676897B1 (ko) | 2000-09-01 | 2007-01-31 | 오에이치시스템 주식회사 | 음식쓰레기 자동수거 시스템 |
JP2006256789A (ja) * | 2005-03-17 | 2006-09-28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家屋内廃棄処理物の排出装置 |
KR100811836B1 (ko) * | 2007-04-12 | 2008-06-19 | 오에이치시스템 주식회사 | 공기 이송방식 세대별 음식물 쓰레기 자동 처리장치 |
JP2011078340A (ja) * | 2009-10-06 | 2011-04-21 | Jiro Sasaoka | バイオマス流体輸送装置 |
KR101181482B1 (ko) | 2011-01-14 | 2012-09-13 | 오에이치시스템 주식회사 | 음식물 쓰레기 진공수거 시스템의 투입구 |
US20150375935A1 (en) * | 2013-03-05 | 2015-12-31 | Maricap Oy | Method and apparatus in pneumatic materials handling and a waste container/separating device |
KR200480231Y1 (ko) | 2015-03-25 | 2016-04-27 | 오에이치시스템 주식회사 | 세대별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게이트밸브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24811B1 (ko) | 2020-07-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789351B2 (ja) | 堆肥化可能廃棄物を処理する装置、システム、および方法 | |
JP2001259466A (ja) | 飲食廃棄物の自動処理および飼料製造装置 | |
US20130205613A1 (en) | Device for conversion of waste to sources of energy or fertilizer and a method thereof | |
KR100988036B1 (ko) | 폐스티로폼의 체적감소 처리장치 | |
AU2010200304A1 (en) | Waste treament system | |
US20230339000A1 (en) | Dewatering Apparatus | |
EP2986139B1 (en) | System for processing primary food product waste into secondary food product | |
US9211544B2 (en) | Organic shredder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an organic shredder | |
CN206794345U (zh) | 一种基于生物转化的餐厨垃圾处理器 | |
CN206936003U (zh) | 一种厨房垃圾处理系统 | |
KR20190107849A (ko) | 음식물 쓰레기 이송장치 | |
KR20000032455A (ko) |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장치 | |
KR101384646B1 (ko) | 정화 설비가 구비된 음식물 처리기 | |
US20170361330A1 (en) | Mobile Size Reduction Device | |
KR19980034982A (ko) | 압축/분쇄 및 건조방식에 의한 음식물쓰레기 처리설비 | |
JP4535635B2 (ja) | 食品廃棄物等の乾燥装置 | |
KR101435597B1 (ko) | 분쇄 및 건조 방식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 |
KR101689239B1 (ko) | 가압 건조식 음식물 처리기 및 이를 이용한 음식물 처리 방법 | |
KR20100133541A (ko) | 가정용 도정기 | |
KR100244978B1 (ko) | 왕겨 분쇄 및 저장시스템 | |
KR20150119713A (ko) |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전처리부 및 그 동작 방법 | |
CN117796542B (zh) | 杂粕饲料清洁生产装置及方法 | |
KR102711687B1 (ko) | 싱크대 하부용 유기성 폐기물 분리기 | |
TWM577231U (zh) | Completely environmentally friendly fast automatic composting machine | |
CN209699665U (zh) | 一种塑料垃圾处理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