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4978B1 - 왕겨 분쇄 및 저장시스템 - Google Patents

왕겨 분쇄 및 저장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4978B1
KR100244978B1 KR1019970059523A KR19970059523A KR100244978B1 KR 100244978 B1 KR100244978 B1 KR 100244978B1 KR 1019970059523 A KR1019970059523 A KR 1019970059523A KR 19970059523 A KR19970059523 A KR 19970059523A KR 100244978 B1 KR100244978 B1 KR 1002449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ff
unit
rice
crushing
inlet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95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3244A (ko
Inventor
강광선
Original Assignee
권오상
구상플랜트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오상, 구상플랜트주식회사 filed Critical 권오상
Priority to KR10199700595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4978B1/ko
Publication of KR199900132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32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49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49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ertilizer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Disintegrating Or Mi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미와 분리된 왕겨를 직접 포집 및 집진시켜 저장하거나, 현미와 분리된 왕겨를 발효보조 용도에 적당한 입도로 분쇄시킨 후 포집 및 집진시켜 저장하고, 저장된 통왕겨 및 왕겨 입자를 선택적으로 트럭적재와 정량포장이 가능하도록 하여 축분을 이용하여 유기질 비료를 생산하는 대규모의 공동되비제조장에서 축분에 혼합시켜 발효에 적당한 수분조절제로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르서 톱밥의 사용을 억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분쇄된 왕겨를 소(牛)와 같은 가축에 공급하게 되면 소화기능이 양호하고 포만감을 제공할 수 있는 양질의 무기질 조사료로서 활용 가치가 충분한 경제적인 이점이 있고, 분쇄되지 않고 포집 및 집진되어 저장된 왕겨는 선택적으로 대량적재 및 정량 포장하여 단열재 및 금속의 녹을 제거하는 등 다양한 용도로 이용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지는 왕겨 분쇄 및 저장시스템.

Description

왕겨 분쇄 및 저장시스템
본 발명은 정미 과정에서 현미와 분리된 왕겨를 분쇄하여 저장하는 왕겨 분쇄 및 저장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곡종합처리장에서 기계장치로 벼를 찧어 현미와 왕겨를 분리시킨 후 현미는 도정공정을 통하여 포장한 후 소비자에게 공급되고, 도정공정에서 분말 상태로 벗겨진 미강(米糠)은 현미유 등 식용으로 사용되며, 최초에 현미와 분리된 왕겨는 건조 후 축사의 바닥에 깔아 축분의 수분을 흡수하여 발효보조 기능을 수행하는 수분조절제로 사용되고 있고, 또한 일부 지역에서는 철판의 녹을 제거하는 녹제거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축분에 혼합하여 유기물비료의 발효보조 기능을 하도록 수분조절제로 사용된 왕겨는 수분 흡수력이 약하여 발효보조 기능을 원할히 수행하지 못하는 등 사용상 비효율적인 면이 있어 많은 량을 활용하지 못하고 대부분의 왕겨를 소각하여 폐기 되는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현미와 분리된 왕겨는 섬유질이 풍부하여 특히 소(牛)의 무기질 보조사료로 적당함에도 불구하고 입자가 크고 거칠어 소화에 장애가 있어 사용하지 못하그 있는 실정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축분을 이용한 유기질 비료의 수분조절제로 왕겨가 적합하지 않음에 따라 종래에는 수분조절제로서 목재를 분말 상태로 가공한 톱밥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톱밥은 축분에 함유된 수분을 발효에 적당하도록 흡수하여 발효보조 기능의 효과는 얻을 수 있으나 톱밥을 국내에서 대량으로 공급받기 의해서는 산림을 훼손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고, 수입에 의존할 경우에는 운송 과정에서 염분이 침투된 목재를 사용하여 톱밥을 공급받게 됨으로서 이를 축분에 혼합하여 유지질 비료로서 사용하게 되면 염분이 토질을 황폐화 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결함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미곡처리장에서 현미와 분리된 왕겨를 분쇄 및 보관하여 축분을 이용한 유기질 비료의 수분조절제와 무기질 보조사료로 활용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왕겨를 분쇄하지 않고 저장하여 타 용도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왕겨 분쇄 및 저장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현미와 분리된 왕겨를 이송시키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로부터 이송된 왕겨를 선택적으로 분쇄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선택부와, 상기 선택부로부터 안내된 왕겨를 수분조절 및 발효보조 용도에 적당한 입도로 분쇄시키는 분쇄부와, 상기 분쇄부를 통해 분쇄된 왕겨의 입자를 중력침강식으로 포집시키는 입자포집부와, 상기 입자포집부를 통해 포집되지 않은 분진을 흡입하여 입자는 퇴적시키고, 청정공기만 외부로 배출하는 집진부와, 상기 입자포집부에서 포집되어 배출되는 왕겨입자와 집진부에서 퇴적되어 배출되는 왕겨입자를 일정량 수용하고 선택적으로 트럭적재와 정량포장이 가능한 저장부로 구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된 왕겨 분쇄 및 저장시스템의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 분쇄선택부의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이송부 20 : 선택부
21 : 원료유입관 22 : 공기유입관
23 : 조절밸브 24 : 소음기
25 : 안내관 26 : 제1개폐밸브
27 : 제2개폐밸브 30 : 분쇄부
40 : 입자포집부 50 : 집진부
60 : 저장부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 일 실시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된 왕겨 분쇄 및 저장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왕겨 분쇄 및 저장시스템은, 왕겨를 이송시키는 이송부(10)가 구성되고, 상기 이송부(10)로부터 이송된 왕겨를 분쇄부(30)와 입자포집부(40)에 선택적으로 안내하는 선택부(20)가 구성되며, 상기 선택부(20)로부터 안내된 왕겨를 분쇄시키는 분쇄부(30)가 구성되고, 상기 분쇄부(30)를 통해 분쇄된 왕겨의 입자를 포집시키는 입자포집부(40)가 구성되며, 상기 입자포집부(40)를 통해 포집되지 않은 분진을 집진시키는 집진부(50)가 구성되고, 상기 입자포집부(40)와 집진부(50)에서 퇴적되어 배출된 왕겨입자를 일정량 수용하고 트럭에 적재와 정량포장이 가능한 저장부(60)로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이송부(10)는, 현미와 분리된 왕겨를 선택부(20)로 안내할 수 있도록 모터(11)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스크류 컨베이어(12)가 구된다.
상기 선택부(20)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료유입관(21)의 측방에 에어를 공급받는 공기유입관(22)이 연결되고, 이 공기유입관(22)에는 공기의 유입량을 조절하도록 조절밸브(23)가 구비되며, 공기유입관(22)의 외곽에는 소음기(24)가 설치된다. 또한 원료유입관(21)의 하부에는 유입되는 원료와 공기를 분쇄부(30) 및 입자포집부(40)에 선택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일측 통로에 제1개폐밸브(26)를 장착하고 타측 통로에 제2개폐밸브(27)를 장착한 안내관(25)이 구비된다.
상기 분쇄부(30)는, 베이스(31)의 일측에 모터(32)가 장착되고, 이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회전커터(미도시)와, 이 회전커터의 외곽에 고정시킨 고정커터(미도시)가 외체(33)로 감싸여진 분쇄수단이 구성되고, 이 외체(33)의 상부 일측에 상기 선택부(20)의 안내관(25) 내측이 연결되며, 외체(33)의 하부에는 분쇄된 왕겨 입자를 배출하는 배출관(34)이 구비된다.
상기 입자포집부(40)는, 상광하협 형상으로 된 호퍼(41)의 일측에 상기 선택부(20)의 안내관(25) 타측의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분쇄되지 않은 왕겨 또는 분쇄부(30)에서 분쇄되어 배출관(34)을 통해 배출되는 왕겨 입자가 유입되는 유입관(42)이 구비되고, 호퍼(41)의 하부에는 중력침강식에 의해 포집된 왕겨를 거장부(60)로 배출시키는 로터리밸브(43)가 구성된다.
이 로터리밸브(43)는 여러개의 베인을 가진 로터를 원통안에서 회전시켜 중력에 의해 낙하되어 공급되는 분립체를 아래로 배출, 공급하며 공기를 차단하여 하부에서 상부로 역류되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호퍼(41)의 상부 중앙에는 상승한 분진을 집진부(50)로 배출하는 배출관(44)이 구비된다.
상기 집진부(50)는, 상광하협 형상으로 된 호퍼(51)의 일측에 상기 입자포집부(40)의 배출관(44)에 연결되어 분진을 유입시키는 유입구(52)가 구비되고, 그 상부에는 호퍼(51)의 내부로 고압의 공기를 강제로 공급할 수 있도록 콤프레샤(C)가 연결되며, 그 타측에는 집진된 청정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터보팬(F)이 연결되고, 호퍼(51)의 하부에는 퇴적된 분진을 아래로 배출하는 로터리밸브(53)가 구성된다.
상기 저장부(60)는, 상광하협 형상으로 된 호퍼(61)의 상부에 입자포집부(40) 하부의 로터리밸브(43)와 집진부(50) 하부의 로터리밸브(53)와 각각 연결되어 입자포집부(40)에 의해 원심분리되어 포집된 왕겨와 집진부(50)에 의해 퇴적된 왕겨 분립체를 저장하도록 구성되며, 이러한 호퍼(61) 내측 상부에는 왕겨의 저장량을 제어하는 레벨감지센서(62)가 장착된다. 또한 호퍼(61)의 하부 중앙에는 저장된 왕겨를 트럭과 같이 많은 량을 운반하는 운반수단에 직접 적재시킬 수 있도록 한쌍의 공압 실린더(63) 작동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배출구(64)가 구성되며, 호퍼(61)의 하부 일측에는 저장된 왕겨를 정량 추출하여 포대에 포장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스크류컨베이어(65)가 구성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왕겨 분쇄 및 저장시스템의 작동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시스템 콘트롤부에 전원을 인가시키게 되면 집전부(50)의 상부에 연결된 콤프레샤(C)와 솔레노이드밸브(S)가 작동된다.
이어서 입자포집부(40)의 로터리밸브(43)와 집진부(50)의 로터리밸브(53)에 전원을 인가시키고, 터보팬(F)을 작동시킨 후 이송부(10)와 분쇄부(30), 그리고 저장부(60)의 레벨감지센서(62)에 순차적으로 전원을 인가시킨다.
그리고 현미와 분리된 왕겨를 분쇄하고저 할 경우에는 선택부(20)의 안내관(25) 일측의 제1개폐밸브(26)를 개방시키고, 안내관(25) 타측의 제2개폐밸브(27)는 폐쇄시킨다.
이와 같이 시스템에 전원이 인가되면 모터(11)의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이송부(10)의 스크류컨베이어(12)를 따라 현미와 분리된 왕겨가 이송되어 선택부(20)의 원료유입관(21)을 통해 안내관(25)을 경유하여 일측에 연결된 분쇄부(30)의 외체(33) 내부로 유입되고, 유입된 왕겨는 모터(32)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커터(미모시)와 고정커터(미도시)의 사이에서 발효보조 용도에 가장 알맞은 입도로 분쇄되어 외체(33) 하부 일측의 배출관(34)을 통하여 입자포집부(40)로 배출되고, 입자포집부(40)로 유입된 왕겨 입자는 중력에 의해 입자를 침강시키는 중력침강식으로 포집되어 로터리밸브(43)를 경유해 저장부(60)의 호퍼(61)로 배출되는 한편 분진은 터보팬(F)의 흡인력에 의해 집진부(50)의 호퍼(51)로 유입된다.
이렇게 집진부(50)로 유입된 분진은 호퍼(51)의 내부에 구성된 거름통(미도시)의 표면에 부착·퇴적되어 펄스제트 방식의 세정기구에 의해 일정 시간마다 털어내어 로터리밸브(53)를 통해 저장부(60)의 호퍼(61)로 배출되고, 청정공기는 터보팬(F)에 의해 흡인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이러한 입자포집공정 및 집진공정이 종료되어 저장부(60)의 호퍼(61)로 배출된 왕겨 입자가 정량 공급되면 레벨감지센서(62)가 이를 감지하여 시스템의 가동을 중단시킨다.
상기와 같은 일련의 과정을 통하여 이송→분쇄→포집→집진공정이 종료되어 저장부(60)에 일정량 저장된 왕겨 입자를 트럭과 같은 운반수단에 직접 적재하여 한 번에 많은 량을 운송하고저 할 경우에는 저장부(60) 호퍼(61)의 하부에 구성된 공압실린더(63)를 작동시켜 배출구(64)를 개방시킴으로써 많은 량의 왕겨 입자가 배출되도록 한다.
또한 일정량 저장된 왕겨 입자를 소단위로 포장하여 보관 후 공급할 경우에 저장부(60) 호퍼(61)의 하부 일측에 구성된 스크류 컨베이어(65)를 작동시켜 일정량의 왕겨 입자를 포대에 배출시킨다.
한편 현미와 분리된 왕겨를 분쇄되지 않은 통왕겨를 사용하고저 할 경우에는 선택부(20)의 제1개폐밸브(26)는 폐쇄시키고 제2개폐밸브(27)는 개방시켜 이송부(10)를 통해 안내된 왕겨를 분쇄부(30)로 통과시키지 않고 입자포집부(40)로 직접유입시켜 상기 분쇄된 왕겨의 처리와 동일한 과정을 통하여 통왕겨를 포집 및 집진시킨 후 저장하여 배출구(64) 또는 스크류컨베이어(65)를 통해 선택적으로 배출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현미와 분리된 통왕겨를 직접 포집 및 집진시켜 저장하거나, 현미와 분리된 왕겨를 발효보조 용도에 적당한 입도로 분쇄시킨 후 포집 및 집진시켜 저장하고, 이와 같이 저장된 통왕겨 및 왕겨 입자를 선택적으로 트럭적재와 정량포장이 가능하도록 하여 축분을 이용하여 유기질 비료를 생산하는 대규모의 공동퇴비제조장에서 축분에 혼합시켜 발효에 적당한 수분조절제로서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톱밥의 사용을 억제할 수 있으며, 분쇄된 왕겨를 소(牛)와 같은 가축에 공급하게 되면 소화기능이 양호하고 포만감을 제공할 수 있는 양질의 무기질 조사료로서 활용 가치가 충분하고, 재배 버섯의 배지로 사용하였던 암면 대용으로 왕겨 입자를 사용할 수 있어 경제적인 이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분쇄되지 않고 포집 및 집진되어 저장된 왕겨는 선택적으로 트럭 적재 및 정량 포장하여 단열재 및 금속의 녹을 제거하는 등 다양한 용도로 이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왕겨 이외에 각종 비료 또는 사료용으로 사용되는 각종 식물 및 곡물을 분쇄 후 저장하는 시스템으로도 적합하다.

Claims (1)

  1. 현미와 분리된 왕겨를 스크류 컨베이어 방식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부(10)와, 상기 이송부(10)로 이송된 왕겨를 선택적으로 분쇄할 수 있도록 안내하도록 원료유입관(21)의 측방에 에어를 공급받는 공기유입관(22)이 연결되고, 이 공기유입관(22)에 공기의 유입량을 조절하도록 조절밸브(23)가 구비되며, 공기유입관(22)의 외곽에는 소음기(24)가 구비되고, 원료유입관(21)인 하부에 유입되는 원료와 공기를 분쇄부(30) 및 입자포집부(40)에 선택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일측 통로에 제1개폐밸브(26)를 장착하고 타측 통로에 제2개폐밸브(27)를 장착한 안내관(25)이 구비된 선택부(20)와, 상기 선택부(20)로부터 안내된 왕겨를 수분조절 및 발효보조 용도에 적당한 입도로 분쇄시킨 분쇄부(30)를 통과하여 포집된 왕겨인 입자를 중력침강식으로 포집시키는 입자포집부(40)와, 상기 입자포집부(40)에서 포집되어 배출되는 왕겨와 집진부(50)에서 퇴적되어 배출되는 왕겨를 일정량 저장하고, 저장된 왕겨를 선택적으로 트럭에 적재할 수 있고 정량을 포장할 수 있도록 배출하는 저장부(6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겨 분쇄 및 저장시스템.
KR1019970059523A 1997-11-12 1997-11-12 왕겨 분쇄 및 저장시스템 KR1002449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9523A KR100244978B1 (ko) 1997-11-12 1997-11-12 왕겨 분쇄 및 저장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9523A KR100244978B1 (ko) 1997-11-12 1997-11-12 왕겨 분쇄 및 저장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3244A KR19990013244A (ko) 1999-02-25
KR100244978B1 true KR100244978B1 (ko) 2000-02-15

Family

ID=19524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9523A KR100244978B1 (ko) 1997-11-12 1997-11-12 왕겨 분쇄 및 저장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497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3195A (ko) * 2001-12-18 2002-03-28 서용교 왕겨팽연화장치
KR20040089321A (ko) * 2003-04-11 2004-10-21 (주)새론휠러 왕겨를 이용한 미세 분말 제조방법
KR100660139B1 (ko) * 2004-11-11 2006-12-20 주식회사 토비이앤지 왕겨의 펠렛화 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부터 얻은 펠렛
KR101252069B1 (ko) * 2011-05-06 2013-04-12 해표산업 주식회사 농업부산물 파쇄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349U (ja) * 1991-07-16 1993-02-02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予備粉砕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349U (ja) * 1991-07-16 1993-02-02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予備粉砕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3244A (ko) 1999-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6231125A (ja) 貝殻粉末の製造システム
CN105241696B (zh) 煤炭制样系统
KR100646165B1 (ko)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한 비료 및 사료 제조장치
KR100244978B1 (ko) 왕겨 분쇄 및 저장시스템
JP2637894B2 (ja) 穀物粉の製造プラント
CN208321045U (zh) 一种新型饲料粉碎机
CN108620199A (zh) 饲料粉碎装置
JP5966498B2 (ja) 籾摺設備
JP4536347B2 (ja) 生薬凍結粉砕方法及び生薬凍結粉砕装置
US7261208B2 (en) Method and installation for drying sludge
JP3639794B2 (ja) 繊維質を含有する窯業系建築材料の粒状化方法および粒状化装置
KR100539210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US4464984A (en) Plant for the preparation of fodder
KR100557471B1 (ko)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한 숯 제조방법 및 장치
CN210846624U (zh) 一种饲料生产用粉碎装置
JP2003200066A (ja) 穀物調製装置
JP2860142B2 (ja) カントリーエレベータ等の集塵装置
KR20060122359A (ko) 음식물 건조장치 및 건조방법
RU83946U1 (ru) Дробилка для фуражного зерна
JP2006082042A (ja) 有機廃棄物乾燥システム
CN213568457U (zh) 一种用于玄武岩石料矿粉的气力输送系统
CN208458418U (zh) 一种饲料搅拌干燥装置
JP3747446B2 (ja) カントリーエレベータ等の粗選機
CN116274278A (zh) 一种环保型园林粉碎箱以及粉碎方法
SU1521367A1 (ru) Измельчитель грубых корм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