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7843A - 도정 효율이 개선된 쌀 도정장치 - Google Patents

도정 효율이 개선된 쌀 도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7843A
KR20190107843A KR1020180029070A KR20180029070A KR20190107843A KR 20190107843 A KR20190107843 A KR 20190107843A KR 1020180029070 A KR1020180029070 A KR 1020180029070A KR 20180029070 A KR20180029070 A KR 20180029070A KR 20190107843 A KR20190107843 A KR 201901078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milling
bracket
abrasive stone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9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63573B1 (ko
Inventor
김성윤
조성남
Original Assignee
김성윤
조성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윤, 조성남 filed Critical 김성윤
Priority to KR10201800290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3573B1/ko
Publication of KR201901078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78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35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35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3/00Hulling; Husking; Decorticating; Polishing; Removing the awns; Degerm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7/00Auxiliary devices
    • B02B7/02Feeding or discharging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도정 효율이 개선된 쌀 도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쌀의 도정이 이루어지는 공간의 크기를 변화시켜 내부 압력을 조절하면서 쌀의 이동 속도를 적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도정망 내부에 돌출 구조를 형성하여 쌀의 이동과 혼합이 균일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도정 효율이 개선된 쌀 도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현미를 도정하여 쌀눈쌀을 생산하는 공정에서 쌀의 품질이 손상되지 않도록 하면서 미강이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하고, 쌀의 생산속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도정 효율이 개선된 쌀 도정장치{RICE MILLING DEVICE WITH IMPROVED EFFICIENCY}
본 발명은 도정 효율이 개선된 쌀 도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쌀의 도정이 이루어지는 공간의 크기를 변화시켜 내부 압력을 조절하면서 쌀의 이동 속도를 적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도정망 내부에 돌출 구조를 형성하여 쌀의 이동과 혼합이 균일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도정 효율이 개선된 쌀 도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미를 백미로 도정하면 밥맛에 나쁜 영향을 주는 쌀겨가 제거되는 이점이 있지만 영양가 높은 쌀눈도 함께 제거되는 손실을 감수해야 한다.
쌀눈쌀은 도정과정에서 쌀겨를 제거하면서도 쌀눈은 80% 이상 남아있게 함으로써 밥맛 좋고 영양가 높은 쌀로 되게 한 것이다.
종래에 보편화된 쌀눈쌀 도정장치는 생산되는 쌀눈쌀의 일부가 9~8분도로 도정되어 품질이 균일하지 못하고, 또한 생산되는 쌀눈쌀의 대부분에서 쌀눈을 덮고있는 호분층이 완전히 제거하지 못하게 되어 보관 중에 잔류 호분층이 공기접촉을 통하여 산패되기 쉽다는 단점도 있다.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회전하는 로울러를 사용하여 도정을 하는 기술이 개시되고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쌀 도정장치를 나타내는 부분 절개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쌀 도정장치를 나타내는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종래기술의 도정장치는 정미부틀(30)의 상부측에는 공기 흡입구(32)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 흡입구(32)에는 공기 흡입팬(36)이 형성되고, 하단측에는 내측에 공기 배출팬(38)을 갖는 공기 배출구(3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정미부틀(30)의 내측에는 원통형의 도정망(50)이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도정망(50)의 길이방향 내측 중앙에는 축 중심에서 회전력을 얻을 수 있는 모터(62)를 갖는 봉형태의 연마 로울러(6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마 로울러(60)의 외주면측에는 금강석의 연마면이 형성되어 있다.
정미부틀(30)의 내측에 일정 간격을 두고 일체로 고정된 도정망(50)의 외측면에는 공기 흡입구(32)를 통해 외부의 공기를 유입하도록 공기 흡입팬(36)이 형성된다.
상기 정미부틀(30)의 상부측에 공기 흡입구(32)의 내경측에 형성된 공기 흡입팬(36)에 의해 유입된 공기를 도정망(50)의 외주면측에서 연마 로울러(30)의 축 중심으로 불어 넣어주도록 다수의 공기 토출구(42a,42b,42c,,,)를 갖는 공기 블로어부(40)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도정장치를 이용해 쌀을 도정할 시, 도정될 쌀을 쌀 투입구(35)를 통해 연속적으로 정미부틀(30)의 도정망(50) 내측으로 주입시킨다.
도정장치에 투입된 쌀은 연마 로울러(60)의 마찰력에 의해 표면의 미강(쌀겨)이 탈락되면서 도정망(50)의 하부로 떨어진다. 도정망(50)에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어서 미강이 도정망(50)의 외부로 배출되면서 도정 작업이 이루어진다.
그런데 이러한 장치에서는 도정에 투입되는 쌀이 어느 한쪽으로 순차적으로 이동하지 않고 연마 로울러(60)와의 마찰이나 충격에 따라 무작위적으로 이동한다. 이로 인해 어느 한쪽에 위치한 배출구나 미강 배출통로로 규칙적으로 이동하지 못하고 한쪽에 뭉쳐지는 현상이 생긴다.
이로 인해 균일한 혼합 및 도정이 이루어지지 않아서 쌀의 품질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KR 10-0629614 B1 KR 10-1670491 B1 KR 10-2013-0056399 A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도정장치의 몸체 내부에서 도정과정 중 쌀눈이 도정 충격을 받지 않도록 몸체 내부에 안정된 적정압력, 적정 이송속도를 유지토록 하고, 도정과정 중에 열이 발생하지 않고 균일한 박리현상을 확보함으로써 쌀눈을 남긴 채 호분층까지 깨끗하게 벗겨낼 수 있도록 하는 도정 효율이 개선된 쌀 도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도정망의 내부벽에 돌기 기둥을 부착하여 몸체 내에서 연마석의 회전에 따라 현미를 유효하게 교반되게 함으로써 현미가 연마석에 닿지 않고 헛도는 현상이 없이 골고루 박리될 수 있게 하여 쌀이 얼룩지는 현상을 방지하는 도정 효율이 개선된 쌀 도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도정장치의 내부에서 쌀이 이동하는 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쌀눈쌀의 시간당 생산량을 비교적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다양한 시장규모에 대응하여 소량생산 또는 대량생산이 가능하도록 하여 생산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도정 효율이 개선된 쌀 도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쌀의 표면을 연삭하여 쌀눈쌀을 생산하는 쌀 도정장치로서, 내부에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몸체(102)와; 연마수단의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회전모터(104)와; 상기 몸체(102)의 내부에서 상기 회전모터(104)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106)과; 상기 몸체(102)의 일측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쌀이 투입되는 통로가 되는 투입호퍼(108)와; 상기 몸체(102)의 일측 하단에 설치되어 도정이 완료된 쌀이 배출되는 통로가 되는 쌀 배출구(136)와; 상기 회전축(106)에 설치되어 회전하며, 원통형의 외부 표면에 나선형 홈이 형성되어 상기 쌀을 배출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스크루(118)와; 상기 회전축(106)에 설치되어 회전하며, 표면에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금강석 입자가 부착되어 상기 쌀의 표면을 1차적으로 연마시키는 제1연마석(122)과; 상기 회전축(106)에서 상기 제1연마석(122)의 다음에 설치되어 회전하며, 표면에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금강석 입자가 부착되어 상기 쌀의 표면을 2차적으로 연마시키는 제2연마석(124)과; 상기 제1스크루(118), 상기 제1연마석(122), 상기 제2연마석(124)의 외부를 감싸는 원통망(126a)에 타공(126b)이 형성되며, 상기 원통망(126a)의 내부 벽면에 길이 방향으로 막대기둥(126c)이 돌출 형성되는 도정망(126)과; 상기 몸체(102)의 상단의 공기흡입구(110)에 설치되어 외부 공기를 상기 몸체(102)의 내부로 불어넣는 흡입팬(112)과; 상기 몸체(102)의 하단의 공기배출구(114)에 설치되어 내부 공기를 상기 몸체(102)의 외부로 불어내는 배출팬(116);을 포함한다.
상기 제1연마석(122)과 상기 제2연마석(124)의 사이에 설치되며, 내부에 원판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쌀의 이동통로의 크기를 변화시키는 압력조절판(128);을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압력조절판(128)의 외측에 돌출 형성되는 제1브라켓(130)과; 상기 몸체(102)의 외측에 돌출 형성되는 제2브라켓(132)과; 상기 제1브라켓(130) 및 상기 제2브라켓(132)을 관통하여 나사결합되는 조절볼트(134);를 추가로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현미를 도정하여 쌀눈쌀을 생산하는 공정에서 쌀의 품질이 손상되지 않도록 하면서 미강이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하고, 쌀의 생산속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쌀 도정장치를 나타내는 부분 절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쌀 도정장치를 나타내는 일부 절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정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도정장치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도정장치 내부에서 쌀이 이동하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도정망의 구조를 나타낸 부분 절개 사시도.
도 7은 도정망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도정망 내부에서 쌀의 움직임을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몸체의 내부에서 공기와 미강의 흐름을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압력조절판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압력조절판의 위치에 따른 이동 속도의 변화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정 효율이 개선된 쌀 도정장치"(이하, '도정장치'라 함)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정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도정장치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도정장치 내부에서 쌀이 이동하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도정장치(100)는 일반적인 구조의 장치와 유사하게 쌀(현미)을 투입하여 도정이 이루어지는 부분과, 도정을 위한 수단을 구동(회전)시키는 부분과, 쌀이나 미강을 배출시키는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몸체(102)는 쌀이 투입되어 도정과정이 진행되는 수단으로서,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연마장치가 설치된다. 통상적으로 몸체(102)는 내부 공간이 원통형으로서 지면과 평행하거나 일정한 각도만큼 기울어진 상태로 배치된다. 원통의 중심축과 일치하도록 배치된 회전축(106)을 중심으로 연마수단이 회전하면서 몸체(102) 내부에 투입된 쌀의 표면을 깎아낸다. 쌀로부터 분리된 미강(쌀겨 등)은 아래쪽의 배출통로를 통해 빠져나가며, 도정이 완료된 쌀은 몸체(102)의 진행방향 말단부에 형성된 쌀 배출구(136)를 통해 배출된다.
몸체(102)의 일측에는 회전모터(104)가 설치되며, 회전모터(104)의 회전력은 회전축(106)을 통해 몸체(102) 내부의 연마수단에 전달된다. 회전모터(104)는 몸체(102)의 내부에 설치할 수도 있으며, 회전축(106)에 연결되는 부분에는 감속기나 변속기어 등이 설치될 수 있다.
몸체(102)의 일측 상단에는 투입호퍼(108)가 설치된다. 투입호퍼(108)는 몸체(102)의 내부 공간과 연통하는 부분으로서, 외부에서 쌀을 몸체(102)의 내부로 투입하는 입구가 된다. 투입호퍼(108)에는 쌀을 일정한 속도로 밀어넣는 스크루나 컨베이어 등이 설치될 수도 있다.
몸체(102)의 상단에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공기흡입구(110)가 설치되며, 각각의 공기흡입구(110)에는 흡입팬(112)이 하나씩 설치된다. 흡입팬(112)은 외부에서 몸체(102)의 내부로 공기를 불어넣는 수단으로서, 공기흡입구(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흡입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설치되는 복수의 흡입팬(112)에 대해서는 개별적으로 온/오프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몸체(102)의 하단에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공기배출구(114)가 설치되며, 각각의 공기배출구(114)에는 배출팬(116)이 하나씩 설치된다. 배출팬(116)은 몸체(102)의 내부에 있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공기의 흡입과 배출은 미강이나 먼지 등의 이물질을 원활하게 배출시키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므로, 공기흡입구(110)의 바로 아래에 공기배출구(114)가 일대일로 배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기흡입구(110)와 공기배출구(114)에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셔터나 차단판이 설치될 수 있다.
몸체(102)의 가운데에는 중심축을 따라 회전축(106)이 배치되는데, 회전축(106)에는 위치에 따라서 스크루와 연마석이 설치된다. 스크루는 도정 대상이 되는 쌀을 이동시키는 수단이며, 연마석은 쌀의 표면에서 미강을 제거하는 수단이다.
본 발명의 도면(도 3과 4)에서는 좌측 끝부분(투입호퍼가 위치한 곳)에서부터 우측 끝부분(쌀 배출구가 위치한 곳)으로 진행하면서 제1스크루(118), 제1연마석(122), 제2연마석(124), 제2스크루(120)가 위치하는 것으로 설정한다. 제1스크루(118)와 제1연마석(122), 제2연마석(124), 제2스크루(120)는 중심에 회전축(106)이 연결되므로, 회전축(106)의 회전에 따라 모두 함께 회전하게 된다.
제1스크루(118) 및 제2스크루(120)는 원통형의 표면에 나선형 홈이 형성된 것으로서, 회전에 의해 쌀이 배출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밀어낸다. 스크루에도 연마수단이 장착될 수도 있지만, 통상적으로는 스크루를 이동수단으로만 사용하게 된다.
제1연마석(122) 및 제2연마석(124)은 표면의 마찰에 의해 쌀의 껍질을 벗겨내는 역할을 한다. 연마석에는 통상적으로 금강석 입자를 부착시켜 사용하는데, 금강석 입자의 크기에 따라 연마 정도가 달라진다. 본 발명에서는 상대적으로 큰 금강석 입자를 부착한 것을 제1연마석(122)으로 사용하여 1차적으로 거칠게 도정을 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대적으로 작은 금강석 입자를 부착한 것을 제2연마석(124)으로 사용하여 약하게 2차적으로 도정하면서 잔여 껍질을 박리시킬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제1스크루(118)와 제2스크루(120), 제1연마석(122), 제2연마석(124)은 타공망으로 된 도정망(126)의 내부에 배치된다. 도정망(126)은 이러한 연마수단을 감싸는 구조로 되어 있어서 쌀이 연마수단과 도정망(126)의 내부 공간 사이에서 움직이면서 도정 작업이 진행된다.
제1스크루(118)는 투입호퍼(108)를 통해 들어온 도정 전의 쌀(현미)을 진행방향으로 밀어주면서 압력을 가해준다. 쌀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쌀과 연마수단의 마찰력이 증대되고, 일정한 속도와 양으로 이동하면서 균질한 가공이 가능해진다.
제2스크루(120)는 도정이 완료된 쌀을 끝 부분으로 이동시켜 쌀 배출구(136)를 통해 배출되도록 한다.
제1스크루(118)는 연마 작용이 없는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투입된 쌀을 앞으로 밀어주는 힘에 의해 쌀에 압력이 가해지고, 이로 인해 마찰력이 생기면서 일정 정도의 박리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
제1연마석(122)은 강한 마찰력과 연삭력으로 쌀의 미강을 거칠게 연삭하면서 도정 작업을 한다. 이 과정에서 쌀눈에 충격을 주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제1연마석(122)을 통과하면서 70~80% 정도의 박리가 진행된다.
제2연마석(124)은 보다 약한 마찰력과 연삭력으로 쌀에 남아있는 잔여 껍질을 박리시킨다. 이 과정에서 쌀눈이 탈락되지 않도록 적절한 압력과 속도를 설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제2연마석(124)을 거치면서 약 95% 정도의 박리가 진행된다.
마지막으로 제2스크루(120)를 지나면서 약한 마찰력에 의해 최종 잔류 미강층이 제거되어 균질하고 깨끗한 쌀눈쌀이 생산된다.
스크루와 연마석에 의해 깎여나온 미강이나 먼지 등의 이물질은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이동한다. 몸체(102)의 상단에 설치된 흡입팬(112)과 하단에 설치된 배출팬(116)에 의해 몸체(102)의 내부에는 위에서 아래로 향하는 공기의 흐름이 생기는데, 이러한 공기의 흐름과 중력으로 인해 미강은 아래쪽으로 내려가면서 공기배출구(114)를 통해 나오게 된다. 부분적으로는 몸체(102) 또는 도정망(126)의 내부에 미강이 남아있을 수 있는데, 주기적으로 내부를 청소하여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도면에 표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압력조절판(128)을 경계로 하여 몇 개의 공간이 구분되는데, 각각의 공간에 연마석 또는 스크루가 하나씩 설치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도면에 도시된 것보다 더 많은 연마석이나 스크루가 연속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도 6은 도정망의 구조를 나타낸 부분 절개 사시도이며, 도 7은 도정망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도정망 내부에서 쌀의 움직임을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몸체의 내부에서 공기와 미강의 흐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연마수단(스크루, 연마석)은 타공된 도정망(126)의 내부에 배치된다. 도정망(126)은 도 6과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의 타공망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돌출된 구조로 만들어진다.
원통망(126a)에는 다수의 타공(126b)이 형성된다. 타공(126b)은 쌀의 크기 보다는 작고, 미강이나 먼지 등의 이물질 보다는 크게 만들어준다. 이로 인해 내부의 공기 흐름이 생기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쌀에서 분리된 미강이나 먼지 등이 공기의 흐름에 따라 타공(126b)을 통해 도정망(126)의 바깥으로 빠져나갈 수 있다.
원통망(126a)의 내부 벽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막대기둥(126c)이 돌출 형성된다. 막대기둥(126c)은 내부에서 연삭되는 쌀이 부딪히면서 경로가 바뀌고 회전하도록 한다.(도 8 참조) 막대기둥(126c)과의 충돌로 인해 쌀은 회전하면서 전체 표면이 골고루 연삭되면서 쌀의 표면에 얼룩이 생기는 현상이 제거된다. 또한 쌀이 회전 과정에서 일정한 압력을 받게 되므로, 도정 효율이 높아지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막대기둥(126c)의 크기는 다양하게 달라질 수 있지만, 도정대상이 되는 쌀의 크기를 감안하여 도정망(126) 내부 벽면으로부터 높이가 1~1.5㎜, 폭은 5~ 15㎜ 정도가 되게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정망(126)이나 막대기둥(126c)은 동일하게 금속 재질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10은 압력조절판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1은 압력조절판의 위치에 따른 이동 속도의 변화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서는 몸체(102) 내부에서 이동하는 쌀의 마찰력이나 압력, 속도를 변화시키기 위해 압력조절판(128)을 사용한다.
압력조절판(128)은 몸체(102)의 내부에서 일정하게 형성되는 쌀 저장공간의 경계선 부근에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연마석(122)과 제2연마석(124)의 사이, 제2연마석(124)과 제2스크루(120)의 사이, 제2스크루(120)와 쌀 배출구(136)의 사이에 설치한다. 연마석이나 스크루의 수가 더 증가하면, 압력조절판(128)의 수도 이에 비례해서 증가할 것이다.
압력조절판(128)은 외부로 드러나는 원통형의 내부에 돌출된 원판이 형성된다. 원판의 내부에는 쌀의 이동을 위한 통로가 형성된다. 몸체(102) 내부에 설치되는 연마수단이나 회전축(106)의 형상을 고려하면 원판에 원형의 통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압력조절판(128)의 외측에는 제1브라켓(130)이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1브라켓(130)에는 조절볼트(134)가 끼워지며, 조절볼트(134)의 회전에 따라 제1브라켓(130)이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제1브라켓(130)이 돌출된 부분의 길이방향 측면 몸체(102)의 표면에는 제2브라켓(132)이 돌출되게 형성된다. 조절볼트(134)는 제1브라켓(130)과 제2브라켓(132)을 동시에 관통하도록 나사 결합된다. 압력조절판(128)의 좌우 이동을 위해서 조절볼트(134)는 제1브라켓(130) 또는 제2브라켓(132) 중의 어느 하나와 나사결합되며, 나머지 하나에는 위치가 변화하지 않도록 결합된다.
이 상태에서 조절볼트(134)를 회전시키면 나사결합된 브라켓이 회전방향에 따라서 좌우로 이동하게 된다.
압력조절판(128)이 좌우로 이동하면 내부의 원판이 연마석 사이의 공간에서 위치하는 곳이 달라지게 된다. 압력조절판(128)이 쌀의 진행 방향으로 앞쪽(투입구에 가까운 쪽)에 있는 연마석()에 가까이 접근하면(도 11의 실선), 이 부분의 쌀의 이동통로(①)가 좁아지는 효과가 생긴다. 이로 인해 연마되면서 이동하는 쌀의 압력이 커지고, 마찰력과 연삭력이 커진다.
반대로 압력조절판(128)이 연마석으로부터 멀어지면(도 11의 점선) 이동통로가 넓어지면서 압력이 떨어지는 효과가 생긴다.
이와 같이 압력조절판(128)의 위치를 조절하면서 쌀에 가해지는 압력을 변화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쌀의 연삭 정도와 이동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도정장치 102 : 몸체
104 : 회전모터 106 : 회전축
108 : 투입호퍼 110 : 공기흡입구
112 : 흡입팬 114 : 공기배출구
116 : 배출팬 118 : 제1스크루
120 : 제2스크루 122 : 제1연마석
124 : 제2연마석 126 : 도정망
128 : 압력조절판 130 : 제1브라켓
132 : 제2브라켓 134 : 조절볼트
136 : 쌀 배출구

Claims (3)

  1. 쌀의 표면을 연삭하여 쌀눈쌀을 생산하는 쌀 도정장치로서,
    내부에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몸체(102)와;
    연마수단의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회전모터(104)와;
    상기 몸체(102)의 내부에서 상기 회전모터(104)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106)과;
    상기 몸체(102)의 일측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쌀이 투입되는 통로가 되는 투입호퍼(108)와;
    상기 몸체(102)의 일측 하단에 설치되어 도정이 완료된 쌀이 배출되는 통로가 되는 쌀 배출구(136)와;
    상기 회전축(106)에 설치되어 회전하며, 원통형의 외부 표면에 나선형 홈이 형성되어 상기 쌀을 배출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스크루(118)와;
    상기 회전축(106)에 설치되어 회전하며, 표면에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금강석 입자가 부착되어 상기 쌀의 표면을 1차적으로 연마시키는 제1연마석(122)과;
    상기 회전축(106)에서 상기 제1연마석(122)의 다음에 설치되어 회전하며, 표면에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금강석 입자가 부착되어 상기 쌀의 표면을 2차적으로 연마시키는 제2연마석(124)과;
    상기 제1스크루(118), 상기 제1연마석(122), 상기 제2연마석(124)의 외부를 감싸는 원통망(126a)에 타공(126b)이 형성되며, 상기 원통망(126a)의 내부 벽면에 길이 방향으로 막대기둥(126c)이 돌출 형성되는 도정망(126)과;
    상기 몸체(102)의 상단의 공기흡입구(110)에 설치되어 외부 공기를 상기 몸체(102)의 내부로 불어넣는 흡입팬(112)과;
    상기 몸체(102)의 하단의 공기배출구(114)에 설치되어 내부 공기를 상기 몸체(102)의 외부로 불어내는 배출팬(116);을 포함하는, 도정 효율이 개선된 쌀 도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마석(122)과 상기 제2연마석(124)의 사이에 설치되며, 내부에 원판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쌀의 이동통로의 크기를 변화시키는 압력조절판(128);을 추가로 포함하는, 도정 효율이 개선된 쌀 도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조절판(128)의 외측에 돌출 형성되는 제1브라켓(130)과;
    상기 몸체(102)의 외측에 돌출 형성되는 제2브라켓(132)과;
    상기 제1브라켓(130) 및 상기 제2브라켓(132)을 관통하여 나사결합되는 조절볼트(134);를 추가로 포함하는, 도정 효율이 개선된 쌀 도정장치.
KR1020180029070A 2018-03-13 2018-03-13 도정 효율이 개선된 쌀 도정장치 KR1020635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9070A KR102063573B1 (ko) 2018-03-13 2018-03-13 도정 효율이 개선된 쌀 도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9070A KR102063573B1 (ko) 2018-03-13 2018-03-13 도정 효율이 개선된 쌀 도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7843A true KR20190107843A (ko) 2019-09-23
KR102063573B1 KR102063573B1 (ko) 2020-01-15

Family

ID=68069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9070A KR102063573B1 (ko) 2018-03-13 2018-03-13 도정 효율이 개선된 쌀 도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357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2603A (ko) * 2019-12-09 2021-06-17 한국식품연구원 연속식 배아미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
WO2023090258A1 (ja) * 2021-11-18 2023-05-25 株式会社サタケ 無洗米製造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22061A (en) * 1976-08-06 1978-03-01 Nomura Sangyo Kk Grain pearling method
JP2001259446A (ja) * 2000-03-16 2001-09-25 Shizuoka Seiki Co Ltd 研削・摩擦型精米機
KR100629614B1 (ko) 2005-06-01 2006-10-02 에스피바이오텍(주) 쌀 도정장치
JP2007260597A (ja) * 2006-03-29 2007-10-11 Iseki & Co Ltd 竪型精米装置
KR20130056399A (ko) 2011-11-22 2013-05-30 장홍일 2단 도정방식의 쌀 도정기
KR101670491B1 (ko) 2015-07-17 2016-10-28 현대기계공업(주) 쌀눈쌀 도정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22061A (en) * 1976-08-06 1978-03-01 Nomura Sangyo Kk Grain pearling method
JP2001259446A (ja) * 2000-03-16 2001-09-25 Shizuoka Seiki Co Ltd 研削・摩擦型精米機
KR100629614B1 (ko) 2005-06-01 2006-10-02 에스피바이오텍(주) 쌀 도정장치
JP2007260597A (ja) * 2006-03-29 2007-10-11 Iseki & Co Ltd 竪型精米装置
KR20130056399A (ko) 2011-11-22 2013-05-30 장홍일 2단 도정방식의 쌀 도정기
KR101670491B1 (ko) 2015-07-17 2016-10-28 현대기계공업(주) 쌀눈쌀 도정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2603A (ko) * 2019-12-09 2021-06-17 한국식품연구원 연속식 배아미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
WO2023090258A1 (ja) * 2021-11-18 2023-05-25 株式会社サタケ 無洗米製造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3573B1 (ko) 2020-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3573B1 (ko) 도정 효율이 개선된 쌀 도정장치
CA1310940C (en) Process of and system for flouring wheat
CN110237885B (zh) 一种农业机械用碾米机
JP6090064B2 (ja) 研削式竪型精穀機
JP4540128B2 (ja) 砕砂製造装置
AU2007306166A1 (en) Abrasion apparatus with an abrading belt and product chambers
WO2005056190A1 (ja) 無洗米製造方法及びその装置
CN113457764B (zh) 一种可进行分类调节的大米颗粒分选装置
DE1507453B1 (de) Maschine zum Profilieren von Getreidekoernern,insbesondere Reis
KR100629614B1 (ko) 쌀 도정장치
JP4849520B2 (ja) 表面処理粒状物の製造装置、方法および表面処理粒状物
JP2009061368A (ja) 米を無洗米化できる精米装置
JP7083217B2 (ja) 研米用脱脂糠再生装置及び研米装置
KR101932391B1 (ko) 커피 원두 분쇄장치
RU2617500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ервичной обработки глинистого сырья
CN113546724A (zh) 一种高性能涂料研磨装置及工艺
US2599892A (en) Apparatus for removing the outer layers from hard kerneled grains
RU2503163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шлифования семян свеклы
JP2567547B2 (ja) はだ砂粒子を製造する装置およびはだ砂粒子でボディを被覆する方法
KR20210074504A (ko) 배아미 쌀눈쌀 도정장치
CN207839093U (zh) 一种中药材粉碎机
KR20210054283A (ko) 쌀 도정기
DE573162C (de) Schleudermuehle, wie Schlag-, Hammer-, Stiftmuehle o. dgl.
JP7097868B2 (ja) 米仕上装置、研米槽、研米装置、清浄米の製造方法
DE2834133A1 (de) Schael- und abreinigungsmaschine fuer getrei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