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6592A - 음식물 가열 포트 - Google Patents

음식물 가열 포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6592A
KR20190106592A KR1020180028298A KR20180028298A KR20190106592A KR 20190106592 A KR20190106592 A KR 20190106592A KR 1020180028298 A KR1020180028298 A KR 1020180028298A KR 20180028298 A KR20180028298 A KR 20180028298A KR 20190106592 A KR20190106592 A KR 201901065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ipe
nozzle
control device
inner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82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7887B1 (ko
Inventor
김경진
최동학
Original Assignee
(주)쿠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쿠첸 filed Critical (주)쿠첸
Priority to KR10201800282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7887B1/ko
Publication of KR201901065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65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78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78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24Warm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42Devices to prevent deposition of scale, i.e. fur, or the lik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관의 세척 알림 기능을 갖는 음식물 가열 포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관을 구성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 내에 탑재되며, 음식물이 수용되는 내통부; 상기 내통부와 연결되며 소정의 관로를 갖는 배관부; 상기 배관부와 연결되는 노즐부; 제어 장치; 및 상기 제어 장치에 의해서 작동하며 상기 배관부의 세척 시기를 알리는 알람 기능을 갖는 알람부;를 포함하는 음식물 가열 포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음식물 가열 포트{POT}
본 발명은 배관의 세척 알림 기능을 갖는 음식물 가열 포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관을 구성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 내에 탑재되며, 음식물이 수용되는 내통부; 상기 내통부와 연결되며 소정의 관로를 갖는 배관부; 상기 배관부와 연결되는 노즐부; 제어 장치; 및 상기 제어 장치에 의해서 작동하며 상기 배관부의 세척 시기를 알리는 알람 기능을 갖는 알람부;를 포함하는 음식물 가열 포트에 관한 것이다.
음식물 가열 포트는 사용자에게 가열된 음용수 등을 제공하기 위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장치는 사람이 섭취하는 음용수 등을 제공하는 데 사용되므로, 위생이 가장 큰 관건이 된다.
음식물 가열 포트는 물 등을 저장하는 내통부와, 내통부에 저장된 물 등이 유동하도록 내부에 설치된 배관부를 갖는다. 내통부는 음식물이 저장되는 부분이며, 배관부는 저장된 음식물이 배출되는 부분이므로, 내통부 및 배관부의 위생 상태는 음식물 가열 포트의 위생에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에 따른 음식물 가열 포트는, 내부의 세척을 수행할 경우, 단순히 내통부 내에 물을 채운 후, 헹구어 내는 것에 그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이 경우, 배관부의 세척은 수행할 수 없다. 만일 배관부의 세척을 수행하고자 할 경우, 배관부를 분리시켜서 세척을 수행하거나, 또는 세척액을 내통부에 채운 후 계속적으로 배출시키는 식의 방법을 선택하는 수밖에 없었다. 이처럼 세척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외부에서는 배관부의 위생 상태가 확인되지 않기 때문에, 세척을 간과하는 경우가 많다.
도 1 은 음식물 가열 포트와 유사한, 정수기의 내부 배관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정수기 또한 음식물 가열 포트와 같이 배관부의 세척이 어려움에 따라서,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관부 내에 각종 오염물이 잔여한 상태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배관부 내에 오염물이 잔여한 상태가 오래 지속되면, 세균 및 각종 스케일(관석)이 발생하여 섭취자의 건강에 치명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특히, 음식물 가열 포트의 경우, 가열된 분유, 우유 등의 음식물이 내통부 내에 투입되어 가열되고, 배출되는 과정에서, 배관부에 상기 음식물 찌꺼기가 끼어 잔여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음식물 찌꺼기는 사용 과정에서 부패하여 건강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특히, 섭취자가 유아인 경우, 이러한 오염물 섭취시 설사, 신장 이상 등의 각종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배관부의 위생 상태를 정확히 알리고 세척을 보다 간편하게 수행하도록 하여 사용 편의성 및 위생 증진에 기여할 수 있는 음식물 가열 포트가 필요하다.
공개특허 10-2008-0097600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배관의 세척 알림 기능을 갖는 음식물 가열 포트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외관을 구성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 내에 탑재되며, 음식물이 수용되는 내통부; 상기 내통부와 연결되며 소정의 관로를 갖는 배관부; 상기 배관부와 연결되는 노즐부; 제어 장치; 및 상기 제어 장치에 의해서 작동하며 상기 배관부의 세척 시기를 알리는 알람 기능을 갖는 알람부;를 포함하는 음식물 가열 포트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가열 포트는, 외관을 구성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 내에 탑재되며, 음식물이 수용되는 내통부; 상기 내통부와 연결되며 소정의 관로를 갖는 배관부; 상기 배관부와 연결되는 노즐부; 제어 장치; 및 상기 제어 장치에 의해서 작동하며 상기 배관부의 세척 시기를 알리는 알람 기능을 갖는 알람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노즐부 또는 상기 배관부를 통해 출수된 출수량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 장치에 전달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센서부에 의해서 감지된 출수량에 따라서 상기 알람부를 작동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노즐부 또는 상기 배관부를 통해 출수된 누적 출수 용량이 소정의 제1 기준량 이상이면 상기 알람부를 작동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 장치는, 소정의 기준 시간 동안 상기 노즐부 또는 상기 배관부를 통해 출수된 출수 용량이 소정의 제2 기준량 이하이면 상기 알람부를 작동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노즐부 또는 상기 배관부를 통해 출수된 누적 출수 용량이 소정의 제1 기준량 이상이거나, 또는 소정의 기준 시간 동안 상기 노즐부 또는 상기 배관부를 통해 출수된 출수 용량이 소정의 제2 기준량 이하이면 상기 알람부를 작동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관부와 상기 노즐부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 장치에 의해서 작동하는 밸브부; 및 상기 노즐부와 상기 내통부 사이를 연결하는 순환 유로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밸브부는, 상기 배관부와 상기 노즐부 사이를 연결시키거나, 또는 상기 배관부와 상기 순환 유로부 사이를 연결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가열 포트는, 배관부의 세척 시기를 알리는 알람부를 가짐으로써, 배관부의 세척 필요 여부가 사용자에게 알려질 수 있으므로, 위생 상태 유지에 유리하다.
또한, 소정의 센서부를 가지며, 상기 센서부는 누적 출수 용량, 또는 소정의 시간 동안의 출수 용량을 제어 장치에 전달하고, 제어 장치는 상기 누적 출수 용량, 및 소정의 시간 동안의 출수 용량에 따라서 알람부를 작동시킴으로써, 배관부의 상태를 보다 명확히 판단하여 알람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소정의 밸브부를 가지며, 밸브부에 의해서 순환 세척이 가능하여 배관부를 간편하게 세척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가열 포트가 유아용 음식물 가열 포트에 사용되는 경우, 내통부 및 배관부에 잔여하여 끼인 음식물 등을 효과적으로 세척하여 제거할 수 있으므로, 유아의 건강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도 1 은 티비 프로그램 화면을 캡쳐한 것으로서, 정수기 등 물 공급 장치의 내부 배관이 오염된 상태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가열 포트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가열 포트의 세척 알림 알고리즘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가열 포트의 밸브부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가열 포트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가열 포트는, 외관을 구성하는 바디부(100), 상기 바디부(100) 내에 탑재되며, 음식물이 수용되는 내통부(200), 일 단이 상기 내통부(200)와 연결되며 내통부(200) 내의 음식물이 배출되는 배관부(300), 상기 배관부(300)의 타단과 연결되는 노즐부(400),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 장치(500), 및 알람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부(100)는 음식물 가열 포트의 외관을 구성하며, 내충격성 및 내열성이 우수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바디부(100)는 내통부(200)가 수납될 수 있는 메인 바디(110), 및 상기 메인 바디(110)를 개폐할 수 있는 캡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 바디(110)에는 내통부(200)가 내부에 탑재될 수 있는 탑재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메인 바디(110) 내부에는 배관부(300), 밸브부(800), 노즐부(400), 제어 장치(500), 및 알람부(600)가 각각 내장될 수 있다. 또한, 메인 바디(110)의 일 측 상부에는 노즐부(400)가 위치할 수 있는 노즐 바디가 마련되며, 상기 노즐 바디의 하부에는 물컵 등을 올려놓을 수 있는 지지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캡부(120)는 상기 메인 바디(110)의 탑재 공간 내의 내통부(200)를 덮어 개폐 가능하게 마련된다. 바람직하게는, 캡부(120)는 상기 메인 바디(110)에 대해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 연결될 수 있다.
내통부(200)는 상기 메인 바디(110) 내에 탑재된다. 내통부(200)는 내부에 음식물이 수용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구되고 소정의 용적을 갖는 공간을 갖는다. 내통부(200)는 소정의 가열 장치에서 발생한 열이 전달되어 내부의 음식물을 가열하기에 적합하도록 열 전달율이 우수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세균 번식이 방지되기에 적합한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내통부(200)의 바닥면에는 후술하는 배관부(300)와 연결되는 소정의 제1 관통공(210)이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내통부(200)의 상부 일 측부분에는 후술하는 순환 유로부(900)와 연결되는 제2 관통공(220)이 형성될 수 있다.
배관부(300)는 상기 내통부(200)와 연결되며, 내통부(200) 내의 음식물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구성되는 부재이다. 상기 배관부(300)의 일 단은 상기 내통부(200)의 하부에 형성된 제1 관통공(210)과 연결되어 있다. 또한, 배관부(300)의 적어도 일 부분은 내통부(200)의 측부를 따라서 상방향으로 연장된다. 배관부(300)의 타단은 노즐부(4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배관부(300)와 노즐부(400) 사이에는 밸브부(800)가 구비될 수 있다.
노즐부(400)는 배관부(300)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밸브부(800)가 구비될 경우, 배관부(300)와 노즐부(400) 사이에 밸브부(800)가 배치될 수 있다. 노즐부(400)는 상기 노즐 바디에 위치할 수 있으며, 하방향으로 노출되어 배관부(300)를 따라서 전달된 유체 등이 상기 노즐부(400)를 통해 하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다.
제어 장치(500)는 소정의 제어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는 장치이다. 제어 장치(500)는 소정의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출력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게 구성되는 소정의 CPU 일 수 있다. 제어 장치(500)는 알람부(600)를 작동시키는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아니하였으나, 소정의 가열 장치 및 펌핑 장치 등이 구비되며, 상기 제어 장치(500)는 가열 장치 및 펌프 장치를 작동시키는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어 장치(500)는 입력 신호에 따라서 가열 장치, 펌프 장치 등을 제어하여, 내통부(200) 내의 음식물을 가열시키거나 내통부(200) 내의 음식물 및 유체 등이 배출, 순환되도록 출력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알람부(600)는 소정의 알람을 제공하는 장치이다. 알람부(600)는 제어 장치(500)에서 수신된 신호에 따라서 사용자에게 배관부(300)의 세척이 필요함을 알릴 수 있다. 상기 알람 신호는 예컨대 소정의 음성 신호일 수 있고, 또는 소정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서 시각적으로 표시되는 시각적 신호일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알람부(600)는 소정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갖거나, 또는 음성 출력 장치를 가질 수 있다.
센서부(700)는 상기 노즐부(400) 또는 상기 배관부(300)를 통해 출수된 출수량을 감지할 수 있는 소정의 센서이다. 센서부(700)는 소정의 유량계일 수 있다. 센서부(700)에서 감지된 출수량은 제어 장치(500)로 전달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어 장치(500), 알람부(600), 센서부(700)가 각각 별개로 설명되었으나, 상기 제어 장치(500), 알람부(600), 센서부(700)는 반드시 별개의 독립된 장치인 것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하나의 장치 안에 상기 제어 장치(500), 알람부(600), 센서부(700)가 일체로 구비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제어 장치(500), 알람부(600), 센서부(700)가 설치되는 위치 또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가열 포트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가열 포트는, 센서부(700)가 출수량을 감지하여 제어 장치(500)에 전달한다. 제어 장치(500)는 센서부(700)에서 감지된 출수량을 토대로 알람부(600)의 작동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일 예에 의하면, 상기 노즐부(400) 또는 상기 배관부(300)를 통해 출수된 출수량의 누적량을 토대로 하여 제어 장치(500)가 알람부(60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예컨대, 누적 출수량이 기준량(예컨대 1000 리터)에 도달하면, 제어 장치(500)가 알람부(600)를 작동시켜서, 배관부(300)의 세척이 필요하다는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다른 예에 의하면, 소정의 시간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노즐부(400) 또는 상기 배관부(300)를 통해 출수된 출수량이 소정의 기준 시간(예컨대 24 시간) 동안 기준량(예컨대 10 리터) 이하일 경우, 배관부(300)의 세척이 필요하다는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위와 같은 실시 형태는 도 3 에 도시된 블록도와 같이 하나의 알고리즘에서 일체로 작동할 수 있다. 즉, 먼저, 전원이 ON 되면, 센서부(700)로 기능하는 유량계에서 감지된 누적 출수량을 토대로 누적 출수량이 제1 기준량(X l)에 도달하였는지 판단한다. 이때, 누적 출수량이 제1 기준량에 도달한 경우, 알람부(600)를 작동시켜 세척 알림 기능을 수행한다. 만일, 누적 출수량이 기준량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 소정의 기준 시간(예컨대 24 시간)을 기준으로 하여 기준 시간 동안 출수된 출수량이 소정의 제2 기준량(Y ml) 이하일 경우, 마찬가지로 세척 알림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위와 같은 기준량 및 기준 시간은 사용자에 의해서 가변적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가열 포트는 밸브부(800), 및 순환 유로부(9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가열 포트의 밸브부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밸브부(800)는 배관부(300)와 노즐부(40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밸브부(800)는 유로를 변경할 수 있는 소정의 가변 밸브로 구성된다. 밸브부(800)는 유입구(812)와, 제1 유출구(814), 및 제2 유출구(816)를 가져서, 1 개의 유입구(812)와, 2 개의 유출구를 갖는다. 이때, 유입구(812)는 상기 배관부(300)에 연결되고, 제1 유출구(814)는 노즐부(400)에 연결되며, 제2 유출구(816)는 후술하는 순환 유로부(900)와 연결될 수 있다. 밸브부(800)의 작동에 따라서, 유입구(812)를 통해 유입된 유체는 제1 유출구(814) 또는 제2 유출구(816)로 선택적으로 유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밸브부(800)는 상기 내통부(200)의 제2 관통공(220)과 인접한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예로, 밸브부(800)는 노즐 바디 내에 위치하여 후술하는 노즐부(500)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밸브부(800)는 제2 관통공(220)의 위치와 동일하거나 비슷한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밸브부(800)는 예컨대 솔레노이드 밸브일 수 있으며, 이에 반드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순환 유로부(900)는 일 단이 상기 밸브부(800)의 제2 유출구(416)와 연결되며, 타 단이 상기 내통부(200)의 제2 관통공(220)과 연결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밸브부(800)는 내통부(200)의 제2 관통공(220)과 인접한 위치에 위치할 수 있으며,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순환 유로부(900)는 배관부(300)에 비해 비교적 짧은 거리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밸브부(800)가 제2 관통공(220)과 동일하거나 비슷한 높이 상에 위치하여, 순환 유로부(900)는 수평하게 연장되며 짧은 거리를 갖는 직선형 배관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여기서는 편의상 순환 유로부(900)라고 지칭하였으나, 반드시 소정의 길이를 갖는 유로가 형성되는 경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밸브부(800)의 제2 유출구(416)가 직접적으로 내통부(200)의 제2 관통공(220)과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실시 형태에 의한 음식물 가열 포트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가열 포트의 제어 장치(500)는 토출 모드, 및 순환 세척 모드를 가질 수 있다.
토출 모드에서는 일반적인 음식물 가열 포트의 동작과 같이, 내통부(200) 내의 음식물이 노즐부(400)를 통해 토출되는 작동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제어 장치(500)는 밸브부(800)를 작동시켜서 밸브부(800)가 배관부(300)와 노즐부(400) 사이를 개방하며, 순환 유로부(900)로 유체가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한다. 즉, 밸브부(800)의 유입구(412)로 유입된 유체가 제1 유출구(414)를 통해 배출되도록 한다.
한편, 순환 세척 모드를 선택하면, 제어 장치(500)는 밸브부(800)를 작동시켜서 노즐부(400)로 유체가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며, 배관부(300)와 순환 유로부(900) 사이를 개방시킨다. 즉, 밸브부(800)의 유입구(412)로 유입된 유체가 제2 유출구(416)를 통해 배출되도록 한다. 따라서, 순환 세척 모드에서는 내통부(200) 내의 유체는 내통부(200)에서 배관부(300), 밸브부(800) 및 순환 유로부(900)를 거쳐 다시 내통부(200)로 유동하게 된다. 따라서, 내통부(200) 내의 유체가 폐곡선을 그리며 순환하게 된다. 이에 따라서, 유체가 내통부(200)와 배관부(300)를 계속적으로 순환하므로, 세척이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순환 세척 모드에 의한 세척 순서의 일 예를 설명하면 아래와 같을 수 있다. 이하는 일 예를 설명한 것으로 반드시 한정되는 사항은 아니다.
먼저, 구연산과 같은 세척제를 내통부(200) 내에 넣고, 물을 채워 넣는다. 바람직하게는, 채워지는 물의 양은 내통부(200)에 채워질 수 있는 최대량(MAX Line : 2.0L) 만큼일 수 있다.
이어서, 캡부(120)를 닫고 순환 세척 모드를 실시한다. 순환 세척 모드의 실시는 예컨대 소정의 세척 실시 버튼(자동 취소/자동 청소 버튼)을 누르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순환 세척 모드에서는, 제어 장치(500)가 밸브부(800)를 작동시켜서 순환 유로부(900)와 배관부(300)가 서로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순환 세척 모드가 실시되면 디스플레이 장치에 세척 ON 이라는 표시가 출력될 수 있다. 순환 세척 모드가 실시되면 우선, 가열 장치가 작동하여 내통부(200)에 채워진 물이 가열되어 세척제가 용해되며, 이어서 펌핑 장치가 작동하여 상기 세척제가 용해된 용액의 순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순환 부재가 포트 본체부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내통부(200) 내의 유체는 내통부(200)에서 배관부(300)를 거쳐 순환 유로부(900)를 통과하여 다시 내통부(200)로 순환하게 되며, 따라서 배관부(300)와 내통부(200)의 세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구체적인 작동 형태는, 펌핑 장치가 30 초 동안 작동한 후, 30초 동안 정지하는 것을 1 사이클로 하여, 이와 같은 사이클이 수회 반복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순환 세척을 1 회 수행할 경우, 상기와 같은 사이클이 15 회(15분간) 반복될 수 있다.
이어서, 위와 같은 순환 세척이 완료되면, 세척 OFF 라는 표시가 출력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순환 세척 완료 후, 상기 세척액을 버린 후, 재차 물을 넣고 가열한 후, 다시 물을 버리는 형태로 세척을 보다 확실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배관부(300)는 음식물 등이 유동하는 통로로서, 내통부(200)와 함께 음식물 가열 포트의 위생에 중요한 부분임에도 불구하고, 세척이 간과되는 경우가 많았다. 즉, 종래 기술에 따른 음식물 가열 포트는 내통부(200)의 세척만이 가능한 정도이며, 배관부(300)의 세척에 대한 안배는 없는 경우가 많다.
반면에,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가열 포트는 배관부(300)의 세척 필요 여부가 사용자에게 표시됨에 따라서, 배관부(300)의 위생 상태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센서부(700)에서 출수량을 감지하여 누적 출수량에 따라서 세척 필요 신호를 발생시킴으로써, 배관부(300)의 상태를 보다 객관적으로 판단하고, 세척 신호를 보낼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소정의 기준 시간 동안 배관부(300) 또는 노즐부(400)에서 출수된 출수량을 토대로 세척 필요 신호를 발생시킴으로써, 음식물 가열 포트가 장기간 사용되지 않아서 배관부(300)내에 잔수가 오래 남아 있는 경우에도 세척이 필요함을 알릴 수 있다. 즉, 음식물 가열 포트가 소정 시간 동안 사용되지 않는 경우에는, 배관부(300)에 잔여한 음식물 등이 부패하거나 또는 배관부(300) 내에 응고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며, 따라서 위생상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와 같이 소정 시간 동안 사용되지 아니하여 기준 시간 동안 출수량이 기준량에 미치지 않는 경우에도 세척이 필요하다는 신호를 발생시켜서 사용자의 위생에 더욱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가열 포트는, 밸브부(800) 및 순환 유로부(900)를 구비하며, 밸브부(800)의 작동에 따라서 내통부(200) 내의 유체가 노즐부(40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거나, 또는 순환 유로부(900)를 통해 내통부(200) 내로 재 공급되어 순환 가능하게 구성됨에 따라서, 세척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가열 포트는, 간단하게 순환 세척 모드에서 순환 세척을 실시할 수 있으므로, 내통부(200) 및 배관부의 세척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순환 세척 모드에서는 세척액의 순환 및 정지를 반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세척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순환 유로부(900)와, 순환 유로부(900)에 연결되는 제2 관통공(220)은 내통부(200)의 상부 부분에 위치하며, 제1 관통공(210)은 내통부(200)의 바닥 부분에 위치하여, 순환 세척 모드에서 내통부(200) 전체에 대한 세척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순환 유로부(900)는 배관부(300)에 비해 짧은 길이를 가짐에 따라서, 비교적 청결한 위생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가열 포트가 유아용 음식물 가열 포트에 사용되는 경우, 내통부(200) 및 배관부(300)에 잔여하여 끼인 음식물 등을 효과적으로 세척하여 제거할 수 있으므로, 유아의 건강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바디부
110: 메인 바디
120: 캡부
200: 내통부
210: 제1 관통공
220: 제2 관통공
300: 배관부
400: 노즐부
500: 제어 장치
600: 알람부
700: 센서부
800: 밸브부
812: 유입구
814: 제1 유출구
816: 제2 유출구
900: 순환 유로부

Claims (6)

  1. 음식물 가열 포트에 있어서,
    외관을 구성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 내에 탑재되며, 음식물이 수용되는 내통부;
    상기 내통부와 연결되며 소정의 관로를 갖는 배관부;
    상기 배관부와 연결되는 노즐부;
    제어 장치; 및
    상기 제어 장치에 의해서 작동하며 상기 배관부의 세척 시기를 알리는 알람 기능을 갖는 알람부;를 포함하는 음식물 가열 포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 또는 상기 배관부를 통해 출수된 출수량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 장치에 전달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센서부에 의해서 감지된 출수량에 따라서 상기 알람부를 작동시키는 음식물 가열 포트.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노즐부 또는 상기 배관부를 통해 출수된 누적 출수 용량이 소정의 제1 기준량 이상이면 상기 알람부를 작동시키는 음식물 가열 포트.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소정의 기준 시간 동안 상기 노즐부 또는 상기 배관부를 통해 출수된 출수 용량이 소정의 제2 기준량 이하이면 상기 알람부를 작동시키는 음식물 가열 포트.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노즐부 또는 상기 배관부를 통해 출수된 누적 출수 용량이 소정의 제1 기준량 이상이거나,
    또는 소정의 기준 시간 동안 상기 노즐부 또는 상기 배관부를 통해 출수된 출수 용량이 소정의 제2 기준량 이하이면 상기 알람부를 작동시키는 음식물 가열 포트.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관부와 상기 노즐부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 장치에 의해서 작동하는 밸브부; 및
    상기 노즐부와 상기 내통부 사이를 연결하는 순환 유로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밸브부는,
    상기 배관부와 상기 노즐부 사이를 연결시키거나, 또는 상기 배관부와 상기 순환 유로부 사이를 연결시키는 음식물 가열 포트.
KR1020180028298A 2018-03-09 2018-03-09 음식물 가열 포트 KR1021878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8298A KR102187887B1 (ko) 2018-03-09 2018-03-09 음식물 가열 포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8298A KR102187887B1 (ko) 2018-03-09 2018-03-09 음식물 가열 포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6592A true KR20190106592A (ko) 2019-09-18
KR102187887B1 KR102187887B1 (ko) 2020-12-08

Family

ID=68070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8298A KR102187887B1 (ko) 2018-03-09 2018-03-09 음식물 가열 포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788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08107A (ja) * 1995-10-24 1997-04-28 Sanyo Electric Co Ltd 液体供給装置
JP2004045437A (ja) * 2003-10-20 2004-02-12 Tiger Vacuum Bottle Co Ltd 流量センサ付電気ポット
JP2007044234A (ja) * 2005-08-10 2007-02-22 Mitsubishi Electric Corp 炊飯器
JP2008067958A (ja) * 2006-09-15 2008-03-27 Mitsubishi Electric Corp 誘導加熱調理器
KR20080097600A (ko) 2007-05-02 2008-11-06 (주)마이크로컨텍솔루션 반도체 테스트를 위한 반도체 소켓의 반도체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08107A (ja) * 1995-10-24 1997-04-28 Sanyo Electric Co Ltd 液体供給装置
JP2004045437A (ja) * 2003-10-20 2004-02-12 Tiger Vacuum Bottle Co Ltd 流量センサ付電気ポット
JP2007044234A (ja) * 2005-08-10 2007-02-22 Mitsubishi Electric Corp 炊飯器
JP2008067958A (ja) * 2006-09-15 2008-03-27 Mitsubishi Electric Corp 誘導加熱調理器
KR20080097600A (ko) 2007-05-02 2008-11-06 (주)마이크로컨텍솔루션 반도체 테스트를 위한 반도체 소켓의 반도체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7887B1 (ko) 2020-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K2363051T3 (en) Coffee machine and method for the cleaning thereof.
US8763516B2 (en) Device for feeding milk
US6732387B1 (en) Automated pedicure system
MXPA06012558A (es) Aparato y metodo para proveer flujo de canales de endoscopio.
CN215914461U (zh) 清洁机器人基站和清洁机器人系统
CN210871092U (zh) 一种胶囊咖啡机
US8366834B2 (en) Endoscope cleaning/disinfecting apparatus
JP4831758B2 (ja) 食器洗い機
KR20190106592A (ko) 음식물 가열 포트
WO2015132998A1 (ja) 内視鏡洗浄消毒装置を用いた洗浄消毒方法
JP5289782B2 (ja) 内視鏡洗滌消毒装置
JP2002085350A (ja) 内視鏡洗浄消毒装置
KR102187888B1 (ko) 음식물 가열 포트
CN213624831U (zh) 具有超声波预洗功能的洗涤设备
CN210056931U (zh) 带有清洗装置的吸奶器
KR102187886B1 (ko) 음식물 가열 포트
KR200287260Y1 (ko) 손 소독장치
CN110236406B (zh) 食物加热壶
JP2534751B2 (ja) 内視鏡洗浄消毒装置
KR20140087347A (ko) 변좌 세척기능이 구비된 비데 및 그 제어방법
JP7376589B2 (ja) 飲料供給システムの洗浄装置及び飲料供給システムの洗浄方法
JP2004016638A (ja) 内視鏡洗滌装置
JPH10309254A (ja) 内視鏡洗滌消毒装置
KR20090030021A (ko) 초미세기포 발생기능을 가지는 씽크대
JPH09253028A (ja) 内視鏡洗滌消毒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