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6384A - 손가락 보조 장치 - Google Patents

손가락 보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6384A
KR20190106384A KR1020180027817A KR20180027817A KR20190106384A KR 20190106384 A KR20190106384 A KR 20190106384A KR 1020180027817 A KR1020180027817 A KR 1020180027817A KR 20180027817 A KR20180027817 A KR 20180027817A KR 20190106384 A KR20190106384 A KR 201901063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user
angle
tool
fi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78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13474B1 (ko
Inventor
전진형
정창근
신중한
Original Assignee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278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3474B1/ko
Publication of KR201901063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63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34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34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4/00Methods or devices enabl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operate an apparatus or a device not forming part of the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04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assisting handicapped or disabled persons to wri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가락 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를 감싸는 몸체 부재; 및 상기 몸체 부재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측에 제1 도구가 결합되며, 상기 제1 도구의 각도가 상기 몸체 부재에 대해 가변될 수 있게 하는 각도 조절 유닛;을 포함하는 손가락 보조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손가락 보조 장치{FINGER AID APPARATUS}
본 발명은 손가락 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도구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손가락 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가 필기를 할 때에는 필기구를 손으로 잡고 쓰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때 글자를 쓰는 힘은 대부분 손가락에 의해 발생된다. 따라서, 손가락 인대가 늘어난 환자나 손가락이 없는 사용자는 손을 이용하여 글을 쓰기가 어려울 수 있다.
그리고, 종래의 손가락 보조 장치는 하나의 제품에 한 가지 기능만 있어서 원하는 기능을 사용할 때마다 제품을 따로 구매해야함으로써, 경제적 부담감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다른 기능을 원할 때마다 다른 장치를 다시 착용해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신체에 맞게 별도의 의수를 주문 제작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나, 이는 많은 비용이 소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배경 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53073호(2011.07.26. 등록일자, 발명의 명칭: 줄 간격 교정용 필기보조장치)에 게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필기구나 숟가락과 같은 다양한 도구를 사용하여 원하는 기능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하는 손가락 보조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손가락 보조 장치는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를 감싸는 몸체 부재; 및 상기 몸체 부재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측에 제1 도구가 결합되며, 상기 제1 도구의 각도가 상기 몸체 부재에 대해 가변될 수 있게 하는 각도 조절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도 조절 유닛은, 상기 몸체 부재에 결합되는 블록 부재; 상기 블록 부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부재; 및 상기 회전 부재의 일측에 결합되며, 필기구가 탈착되는 홀더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도 조절 유닛은, 길이를 갖도록 이루어지고, 일단이 상기 블록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각도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블록 부재에서 상기 파지 부재와 마주하는 부분에는 상기 각도 고정 부재가 안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각도 고정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도 조절 유닛과 상기 몸체 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결합되고, 사용자가 대상물을 누를 수 있도록 일부분이 외부로 돌출될 수 있는 타이핑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타이핑 유닛은, 수납 부재; 및 길이를 갖도록 이루어지고, 일측이 상기 수납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 부재의 일측에는 제2 도구가 결합될 수 있는 결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도 조절 유닛은, 상기 홀더 부재의 일측면을 관통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제1 도구를 가압하는 체결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 부재는, 사용자의 손등과 손바닥을 감싸는 베이스부; 및 사용자의 손목의 적어도 일부분을 감싸고, 상기 베이스부와 연결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 부재는, 어느 하나의 손가락이 삽입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부의 일부분에 형성된 삽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손가락 보조 장치에 의하면 사용자가 각도 조절 유닛으로 필기구의 각도를 조절하여 필기를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손가락을 다쳐서 손가락을 사용할 수 없는 환자나 손가락이 없는 사용자도 손가락 보조 장치를 사용하여 정상적으로 필기를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손가락 사용이 용이하지 않은 장애인의 삶을 개선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키보드를 타이핑하기 어려운 사용자가 돌출 부재를 사용하여 키보드를 편리하게 타이핑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보조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손가락 보조 장치에서 각도 조절 유닛의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사용자가 손가락 보조 장치를 사용하여 필기구를 사용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회전 부재의 결합홈에 제1 도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타이핑 유닛에서 돌출 부재가 수납 부재에 대해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손가락 보조 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보조 장치(100)는 몸체 부재(110) 및 각도 조절 유닛(120)을 포함한다.
몸체 부재(110)는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를 감쌀 수 있다. 이를 위한 몸체 부재(110)는 일례로 베이스부(111) 및 지지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부(111)는 사용자의 손등과 손바닥을 감쌀 수 있다. 후술할 각도 조절 유닛(120)은 베이스부(111)에서 사용자의 손바닥과 대응되는 부분에 결합될 수 있다.
지지부(112)는 사용자의 손목의 적어도 일부분을 감싸고, 베이스부(111)와 연결될 수 있다. 지지부(112)와 베이스부(111)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112)와 베이스부(111)는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부(112)와 베이스부(111)의 소재는 일례로 플라스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몸체 부재(110)는 지지부(112)에 의하여 사용자의 손에 더욱 안정적으로 감싼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몸체 부재(110)는 3D 프린터로 사용자의 신체에 맞게 제작될 수 있다. 3D 프린터는 금형으로 대상물을 제조하는 것보다 제조 비용이 낮고, 제조 시간이 빠른 장점이 있다. 따라서, 3D 프린터로 전술한 몸체 부재(110)를 제조하면, 사용자가 우수한 착용감을 느낄 수 있고, 금형을 사용하여 대상물을 제조하는 경우보다 제조 비용을 현저하게 낮출 수 있다.
한편, 몸체 부재(110)는 삽입부(1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삽입부(113)는 사용자의 손가락 중에서 어느 하나의 손가락이 삽입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삽입부(113)는 베이스부(111)의 일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삽입부(113)의 형상은 일례로 파이프 형상일 수 있다.
사용자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보조 장치(100)를 착용하는 경우, 사용자의 검지가 삽입부(113)에 삽입될 수 있다. 다만, 반드시 사용자의 검지가 삽입부(113)에 삽입되는 것으로 한정하지는 않는다.
각도 조절 유닛(120)은 몸체 부재(1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측에 제1 도구(10)가 결합될 수 있다. 각도 조절 유닛(120)은 제1 도구(10)의 각도가 몸체 부재(110)에 대해 가변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제1 도구(10)는 일례로 필기구일 수 있다.
각도 조절 유닛(120)이 파손되어 수리가 필요한 경우, 사용자는 교체가 필요한 각도 조절 유닛(120)을 몸체 부재(110)로부터 분리하여 새로운 각도 조절 유닛(120)을 몸체 부재(110)에 부착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기능을 포함하는 각도 조절 유닛(120)들이 마련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필요한 작업에 따라 다양한 각도 조절 유닛(120)들 중 어느 하나의 각도 조절 유닛(120)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몸체 부재(110)와 각도 조절 유닛(120)의 탈착 방법은 특정 방법으로 한정하지는 않으며, 두 개의 부재를 탈착시킬 수 있는 방법이면 어느 방법이든 무방할 수 있다.
한편, 각도 조절 유닛(120)은 일례로, 블록 부재(121), 회전 부재(122) 및 홀더 부재(123)를 포함할 수 있다.
블록 부재(121)는 몸체 부재(110)에 결합될 수 있다. 블록 부재(121)의 형상은 일례로 사각 기둥 형상일 수 있다. 블록 부재(121)는 몸체 부재(110)에 탈착 결합될 수 있다. 블록 부재(121)와 몸체 부재(110)의 결합 방법은 일례로, 미도시하였으나 몸체 부재(110)의 일측에 레일(미도시)을 형성하고, 블록 부재(121)에는 레일에 체결되는 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단, 블록 부재(121)와 몸체 부재(110)의 결합 방법을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회전 부재(122)는 블록 부재(12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회전 부재(122)는 블록 부재(121)와 유사한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회전 부재(122)의 일단이 블록 부재(121)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회전 부재(122)가 블록 부재(121)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으므로, 제1 도구(10)가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위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회전 부재(122)가 블록 부재(121)에 대해 회전된 상태에서 기준값 이하의 외력이 회전 부재(122)가 작용하는 경우, 회전 부재(122)가 외력에 의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회전 부재(122)와 블록 부재(121) 사이에 마찰력이 유지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찰 패드(미도시)가 회전 부재(122)와 블록 부재(121)가 서로 접촉되는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마찰 패드는 고무와 같이 일반적인 소재보다 상대적으로 마찰력이 높은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회전 부재(122)와 마찰 부재 사이에 마찰력이 유지하기 위하여 마찰 패드를 사용하는 것으로 한정하지는 않는다.
홀더 부재(123)는 회전 부재(122)의 일측에 결합되며, 제1 도구(10)가 탈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홀더 부재(123)의 일측에는 탈착 돌기(123a)가 형성되고, 회전 부재(122)의 일측에는 탈착홈(122a)이 형성될 수 있다. 탈착 돌기(123a)는 탈착홈(122a)에 삽입 가능한 형상일 수 있다.
사용자가 제1 도구(10)의 사용이 필요한 경우에는 홀더 부재(123)를 회전 부재(122)에 결합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사용자가 제1 도구(10)의 사용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홀더 부재(123)를 회전 부재(122)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다만, 사용자가 제1 도구(10)의 사용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라 할지라도, 사용자가 홀더 부재(123)를 회전 부재(122)로부터 분리하지 않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연필, 볼펜, 샤프, 만년필 등의 다양한 제1 도구(10)가 홀더 부재(123)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도구(10)가 연필, 볼펜, 샤프, 만년필인 것으로 한정하지는 않는다. 제1 도구(10)가 결합될 수 있는 홀더 부재(123)의 형상은 일례로 파이프 형상일 수 있다. 사용자는 파이프 형상의 홀더 부재(123)의 내부에 제1 도구(10)를 결합할 수 있다. 여기서, 고무나 실리콘 등의 마찰력이 높은 소재로 이루어진 패드(미도시)가 홀더 부재(123)의 내부에 설치되어 제1 도구(10)가 홀더 부재(123)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게 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각도 조절 유닛(120)은 체결 부재(1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체결 부재(126)는 홀더 부재(123)의 일측면을 관통하도록 결합되어 제1 도구(10)를 가압할 수 있다. 체결 부재(126)는 일례로 홀더 부재(123)에 나사결합되는 볼트(126)일 수 있다.
이러한 볼트(126)의 일측에는 평기어 형상의 손잡이가 위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손잡이를 잡고 볼트(126)를 회전시켜서 제1 도구(10)가 홀더 부재(123)에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제1 도구(10)의 앞부분에 가해진 압력에 의하여 제1 도구(10)가 홀더 부재(123)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보조 장치(100)는 전술한 각도 조절 유닛(120)에 의하여 사용자가 가장 편하게 필기할 수 있는 각도로 사용자의 손에 대하여 제1 도구(10)를 위치시킬 수 있다.
한편, 각도 조절 유닛(120)은 각도 고정 부재(1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각도 고정 부재(125)는 길이를 갖도록 이루어지고, 일단이 회전 부재(12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도 고정 부재(125)는 일단이 회전 부재(122)에 힌지 결합된 스틱 형상의 부재일 수 있다.
그리고, 블록 부재(121)에서 회전 부재(122)와 마주하는 부분에는 각도 고정 부재(125)가 안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각도 고정홈(121a)이 형성될 수 있다. 각도 고정홈(121a)은 블록 부재(121)의 내측면에 형성되며, 블록 부재(1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마다 형성될 수 있다. 각도 고정 부재(125)의 자유단이 각도 고정홈(121a)에 안착될 수 있다.
각도 고정 부재(125)에서 자유롭게 이동되는 단부(자유단)의 형상은 각도 고정홈(121a)에 안착 가능한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각도 고정홈(121a)의 형상을 삼각형으로 하고, 각도 고정 부재(125)의 자유단의 형상은 각도 고정홈(121a)에 안착 가능한 삼각형 또는 이와 유사한 다각형일 수 있다.
사용자는 본인이 사용하기에 편리하도록 각도 고정 부재(125)를 복수의 각도 고정홈(121a)중에서 어느 하나의 각도 고정홈(121a)에 안착되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회전 부재(122)가 블록 부재(121)에 대해 소정의 각도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회전 부재(122)와 블록 부재(121) 사이를 각도 고정 부재(125)가 지지하고 있으므로, 외력에 의해 회전 부재(122)의 회전각이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전술한 회전 부재(122)의 일측에는 제2 도구(20)가 결합될 수 있는 결합홈(124, 도 1 참조)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홈(124, 도 1 참조)은 회전 부재(122)의 측면에 회전 부재(12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의 폭으로 인입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제2 도구(20)는 결합홈(124, 도 1 참조)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회전 부재(122)는 탄성 변형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제2 도구(20)가 결합홈(124, 도 1 참조)에 반드시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으로 한정하지는 않는다.
사용자가 결합홈(124, 도 1 참조)에 숟가락(20)과 같은 다양한 제2 도구(20)를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제1 도구(10)로 필기할 때뿐만 아니라 다양한 작업을 실시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보조 장치(100)를 활용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필기를 하다가 음식을 섭취하려고 하는 경우, 사용자가 몸체 부재(110)를 그대로 착용한 상태에서 제1 도구(10)를 제거하고 결합홈(124, 도 1 참조)에 숟가락과 같은 제2 도구(20)를 결합하여 신속하게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도구(20)가 숟가락(20)인 것으로 한정하지는 않는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보조 장치(100)는 타이핑 유닛(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타이핑 유닛(130)은 각도 조절 유닛(120)과 몸체 부재(1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결합되고, 사용자가 대상물을 누를 수 있도록 일부분이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이를 위한, 타이핑 유닛(130)은 일례로, 수납 부재(131) 및 적어도 하나의 돌출 부재(132)를 포함할 수 있다.
수납 부재(131)는 돌출 부재(132)를 수용할 수 있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수납 부재(131)는 각도 조절 유닛(120)에만 결합된 것도 가능하고, 몸체 부재(110)에만 결합된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수납 부재(131)는 각도 조절 유닛(120)과 몸체 부재(110) 모두에 결합될 수도 있다.
돌출 부재(132)는 길이를 갖도록 이루어지고, 일측이 수납 부재(13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출 부재(132)가 수납 부재(131)로부터 외부를 향하여 대략 90도 회전되면, 돌출 부재(132)가 사용자의 손바닥에 대해 수직으로 위치될 수 있다.
돌출 부재(132)는 하나 또는 복수일 수 있다. 돌출 부재(132)가 두 개인 경우, 두 개의 돌출 부재(132)는 서로 이격되게 위치될 수 있다. 키보드 타이핑을 하기 어려운 사용자가 전술한 타이핑 유닛(130)을 사용하여 키보드를 편리하게 타이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손가락이 없는 사용자가 돌출 부재(132)를 사용하여 키보드를 타이핑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타이핑 유닛(130)을 사용하여 책을 넘기는 등의 작업을 실시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도 3으로 되돌아가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보조 장치(100)는 사용자가 각도 조절 유닛(120)으로 제1 도구(10)의 각도를 조절하여 필기를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손가락을 다쳐서 손가락을 사용할 수 없는 환자나 손가락이 없는 사용자도 손가락 보조 장치(100)를 사용하여 정상적으로 필기를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손가락 사용이 용이하지 않은 장애인의 삶을 개선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지금까지 참조한 도면과 기재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손가락 보조 장치 110: 몸체 부재
111: 베이스부 112: 지지부
120: 각도 조절 유닛 121: 블록 부재
121a: 각도 고정홈 122: 회전 부재
122a: 탈착홈 123: 홀더 부재
123a: 탈착 돌기 124: 결합홈
125: 각도 고정 부재 126: 체결 부재
130: 타이핑 유닛 131: 수납 부재
132: 돌출 부재

Claims (9)

  1.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를 감싸는 몸체 부재; 및
    상기 몸체 부재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측에 제1 도구가 결합되며, 상기 제1 도구의 각도가 상기 몸체 부재에 대해 가변될 수 있게 하는 각도 조절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보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조절 유닛은,
    상기 몸체 부재에 결합되는 블록 부재;
    상기 블록 부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부재; 및
    상기 회전 부재의 일측에 결합되며, 필기구가 탈착되는 홀더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보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조절 유닛은,
    길이를 갖도록 이루어지고, 일단이 상기 블록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각도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블록 부재에서 상기 파지 부재와 마주하는 부분에는 상기 각도 고정 부재가 안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각도 고정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보조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조절 유닛과 상기 몸체 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결합되고, 사용자가 대상물을 누를 수 있도록 일부분이 외부로 돌출될 수 있는 타이핑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보조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핑 유닛은,
    수납 부재; 및
    길이를 갖도록 이루어지고, 일측이 상기 수납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보조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부재의 일측에는 제2 도구가 결합될 수 있는 결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보조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조절 유닛은,
    상기 홀더 부재의 일측면을 관통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제1 도구를 가압하는 체결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보조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부재는,
    사용자의 손등과 손바닥을 감싸는 베이스부; 및
    사용자의 손목의 적어도 일부분을 감싸고, 상기 베이스부와 연결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보조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부재는,
    어느 하나의 손가락이 삽입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부의 일부분에 형성된 삽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보조 장치.
KR1020180027817A 2018-03-09 2018-03-09 손가락 보조 장치 KR1021134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7817A KR102113474B1 (ko) 2018-03-09 2018-03-09 손가락 보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7817A KR102113474B1 (ko) 2018-03-09 2018-03-09 손가락 보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6384A true KR20190106384A (ko) 2019-09-18
KR102113474B1 KR102113474B1 (ko) 2020-05-22

Family

ID=68071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7817A KR102113474B1 (ko) 2018-03-09 2018-03-09 손가락 보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347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4254A (ko) * 2020-03-10 2021-09-23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손에 착용 가능한 잡기 보조용 전동집게
KR20220101785A (ko) * 2021-01-12 2022-07-19 김기택 장애인용 필기 및 타이핑 보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1490A (ko) 2022-02-11 2023-08-18 신성대학교 산학협력단 손가락 보조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44766A (en) * 1988-03-14 1990-07-31 Williams Brian R Gripping device
US6079758A (en) * 1996-09-06 2000-06-27 Romero; Ramiro R. Tool holding apparatus for persons with limited use of hands
US20070228092A1 (en) * 2004-12-08 2007-10-04 Michael Hammermeister Aid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JP2011031502A (ja) * 2009-08-01 2011-02-17 Juhachishi Hatsumei:Kk 筆記具指保持具及び指装着用筆記具
KR20110095002A (ko) * 2010-02-18 2011-08-24 김덕수 유증기를 회수하는 주유 노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44766A (en) * 1988-03-14 1990-07-31 Williams Brian R Gripping device
US6079758A (en) * 1996-09-06 2000-06-27 Romero; Ramiro R. Tool holding apparatus for persons with limited use of hands
US20070228092A1 (en) * 2004-12-08 2007-10-04 Michael Hammermeister Aid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JP2011031502A (ja) * 2009-08-01 2011-02-17 Juhachishi Hatsumei:Kk 筆記具指保持具及び指装着用筆記具
KR20110095002A (ko) * 2010-02-18 2011-08-24 김덕수 유증기를 회수하는 주유 노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4254A (ko) * 2020-03-10 2021-09-23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손에 착용 가능한 잡기 보조용 전동집게
KR20220101785A (ko) * 2021-01-12 2022-07-19 김기택 장애인용 필기 및 타이핑 보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3474B1 (ko) 2020-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76043B1 (en) Fingertip writing instrument
KR20190106384A (ko) 손가락 보조 장치
US4167347A (en) Writing instrument removable finger grip
US5405206A (en) Finger-mounted writing apparatus
US20070196158A1 (en) Ergonomic device
US5785443A (en) Ergonomic snap-fit cartridge pen
US6343885B1 (en) Writing instrument with hand grip
US20130192028A1 (en) Gripping device and method of use thereof
US20140025099A1 (en) Adjustable Ergonomic Grip
US9505259B2 (en) Grip for hand-held tools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JP3987711B2 (ja) 筆記用具
EP1539503A1 (en) Grip for hand held instruments
US7484903B2 (en) Stylus holder
US20070228092A1 (en) Aid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US11241141B2 (en) Finger engagement assembly for securing and manipulating a handheld dental tool in a user's hand
US20040248063A1 (en) Dental tool with deformable grip
KR200422101Y1 (ko) 손가락 필기도구
KR20120002781U (ko) 손가락 장착형 필기구
KR20200134779A (ko) 필기구의 보조구
JP2007050683A (ja) 筆記用具並びに箸の持ち方補助具
JP4894755B2 (ja) 保持補助具を備えた筆記具の軸筒
US1182246A (en) Penholder.
JP2607456Y2 (ja) 筆記具における把持部構造
JPH0717183A (ja) 筆記具における把持部構造
KR200450035Y1 (ko) 필기구 홀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