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6285A - 소변기용 칸막이 - Google Patents

소변기용 칸막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6285A
KR20190106285A KR1020180027545A KR20180027545A KR20190106285A KR 20190106285 A KR20190106285 A KR 20190106285A KR 1020180027545 A KR1020180027545 A KR 1020180027545A KR 20180027545 A KR20180027545 A KR 20180027545A KR 20190106285 A KR20190106285 A KR 201901062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ng plate
partition
anchor bolt
plate
urin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75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8018B1 (ko
Inventor
윤도영
Original Assignee
윤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도영 filed Critical 윤도영
Priority to KR10201800275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8018B1/ko
Publication of KR201901062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62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80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80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82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edges are connected to the building; Means therefor; Special details of easily-removable partitions as far as related to the connection with other parts of the bui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소변기용 칸막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공중 화장실의 벽면에 구비된 소변기들 사이에 고정설치되는 칸막이에 있어서, 상기 벽면에 고정부가 일정깊이 삽입고정되고 머리부가 외부노출되는 복수개의 앵커볼트 ; 상기 머리부가 대응삽입되도록 관통형성된 제1연결공을 갖추고, 상기 앵커볼트의 머리부가 걸림배치되어 걸림력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제1연결공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연결공을 갖추어 상기 앵커볼트와 연결되는 연결판; 상기 앵커볼트와 마주하는 일측단에 상기 연결판이 대응삽입되어 결합되도록 일정깊이 함몰형성된 배치부를 갖추어 서로 인접하는 소변기들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연결판을 매개로 하여 앵커볼트와 조립되는 본체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소변기용 칸막이{PARTITION FOR URINAL}
본 발명은 칸막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공중 화장실의 벽면에 설치된 소변기들사이에 해당하는 벽면에 설치하고 파손시 보수유지하는 작업을 수공구의 필요없이 작업자가 간편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소변기용 칸막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중 화장실인 남자 화장실의 벽면에는 다수의 소변기들이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으며, 소변기 이용자인 용변자가 소변기를 이용할 때 심리적으로 다른 용변자를 의식하지 않아야 편안하고 상쾌한 소변을 볼 수 있는다.
그러나, 소변기와 이에 인접하는 다른 소변기 사이의 거리가 가깝고 시각적으로 개방되어 있어 다른 용변자가 좌측 또는 우측 소변기에서 소변을 동시에 볼 때 용변자의 소변보는 모습이 옆 사람에게 보여질 수 있기 때문에 프라이버시의 보호가 어렵고, 심리적으로 의식하거나 긴장하게 되어 편안한 소변을 보는데 지장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근래에 공중화장실법 시행령 개정에 따라 기존 및 신축 공중화장실에 설치되는 소변기들사이에는 칸막이를 의무적으로 설치되어야 하는 것이다.
(특허문헌 1) KR10-2016-0136683 A
특허문헌 1에는 벽면고정부가 벽면에 밀착되는 부착면이 구성되고, 부착면에 고정수단을 체결고정하기 위한 고정공이 구성되고, 칸막이받침부는 칸막이의 상부, 하부단을 받쳐주기 위한 수단으로, 상부 또는 하부단에 받쳐주는 받침부로 밀폐되고 받침부의 좌우로 칸막이의 좌우측면에 밀착하여 좌우 지지해주는 측면지지부가 구성되며, 측면지지부 간의 폭은 칸막이의 두께에 맞추어 구성되고 칸막이의 측면으로 고정수단을 체결하기 위한 고정공이 구성되어 소변기들사이에 설치되는 칸막이를 공중화장실의 벽면에 고정설치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칸막이 설치구조는 작업자가 벽면에 칸막이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고정설치하는 작업성이 불편하고, 파손된 칸막이의 보수유지를 위해서 벽면에 고정설치된 칸막이를 분리하고, 새로운 칸막이를 설치하는 작업이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작업자가 공중 화장실의 벽면에 설치하는 작업을 간편하고 신속하며 수행할 수 있으며, 파손시 교체작업을 수공구의 필요없이 수작업으로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화장실용 칸막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공중 화장실의 벽면에 구비된 소변기들 사이에 고정설치되는 칸막이에 있어서, 상기 벽면에 고정부가 일정깊이 삽입고정되고 머리부가 외부노출되는 복수개의 앵커볼트 ; 상기 머리부가 대응삽입되도록 관통형성된 제1연결공을 갖추고, 상기 앵커볼트의 머리부가 걸림배치되어 걸림력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제1연결공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연결공을 갖추어 상기 앵커볼트와 연결되는 연결판; 상기 앵커볼트와 마주하는 일측단에 상기 연결판이 대응삽입되어 결합되도록 일정깊이 함몰형성된 배치부를 갖추어 서로 인접하는 소변기들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연결판을 매개로 하여 앵커볼트와 조립되는 본체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소변기용 칸막이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앵커볼트는 상기 머리부의 외경보다 상대적으로 작고, 상기 제2연결공의 내주면에 외부면이 접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연결판은 상기 배치부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는 암나사부와 대응하는 제1체결공을 관통형성하고, 상기 제1체결공을 통하여 상기 암나사부와 체결되는 제1체결부재에 의해서 상기 연결판과 본체판을 결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연결판의 양단에는 상기 배치부의 양단에 관통형성된 관통공과 대응하는 제2체결공을 관통형성하고, 상기 제2체결공과 관통공을 통하여 체결되는 삽입되는 제2체결부재에 의해서 상기 연결판과 본체판을 결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본체판은 상기 배치부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높이 돌출형성되는 결합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판은 상기 결합리브와 대응하는 내부면에 상기 결합리브의 단부가 대응삽입되도록 함몰형성되는 리브결합홈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본체판은 상기 연결판의 폭크기 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두께를 갖는 박판체와, 상기 박판체의 외측테두리를 전체적으로 감싸면서 상기 배치부를 상기 앵커볼트와 마주하는 일측단에 함몰형성한 프레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공중 화장실의 벽면에 서로 인접하는 소변기들사이에 칸막이를 설치하고 파손된 칸막이를 새로운 것으로 교체하는 작업을 작업자가 수공구의 필요없이 보다 간편하게 신속하게 수행함으로써 칸막이를 설치하는데 소요되는 작업시간을 줄여 작업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소변기용 칸막이를 도시한 설치 상태도이다.
도 2a 와 도 2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소변기용 칸막이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소변기용 칸막이에서 연결판을 분리한 상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소변기용 칸막이에 구비되는 본체판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소변기용 칸막이에 구비되는 앵커볼트, 연결판 및 본체판간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소변기용 칸막이에 구비되는 연결판과 본체판간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구조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변기용 칸막이(10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중 화장실에 구비된 소변기의 개별적인 이용시 개인 프라이버시의 침해를 방지하도록 서로 인접하는 소변기(1)들사이에 설치되고, 벽면에 간편하고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앵커볼트(110), 연결판(120) 및 본체판(1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앵커볼트(110)는 도 2a 와 도 2b 에 도시한 바와 같이,상기 소변기가 설치되는 벽면에 매입된 앵커너트(115)와 결합되어 벽면에 일정깊이 삽입되는 고정부(111)를 갖추고, 머리부(112)가 외부로 노출되는 일정길이의 볼트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앵커볼트(110)는 서로 인접하는 소변기사이에 해당하는 벽면에 높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3개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적어도 2개 이상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연결판(120)은 도 2a 내지 도 3c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앵커볼트의 머리부(112)가 대응삽입되어 통과하도록 관통형성된 제1연결공(121)을 갖추고, 상기 제1연결공(121)으로부터 도면상 상부로 연장되고 상기 제1연결공의 내경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내경크기로 관통형성되는 제2연결공(122)을 관통형성하여 상기 앵커볼트(110)와 연결되고 상기 본체판(110)과 결합되는 일정두께의 판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연결공(121)과 제2연결공(122)은 서로 다른 내경크기를 갖추어 서로 연통되도록 상기 연결판에 관통형성되는 원형공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연결공(121)을 통과하는 앵커볼트의 머리부(112)는 상기 제2연결공(122)에 걸림배치되어 상기 연결판(120)에 대하여 걸림력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앵커볼트(110)는 상기 머리부(112)의 외경보다 상대적으로 작고, 상기 제2연결공(122)의 내주면에 외부면이 접하는 돌출부(112a)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판(120)은 상기 본체판(130)의 일측에 함몰형성되는 배치부(131)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높이 돌출형성되는 암나사부(133)와 대응하는 제1체결공(123)을 관통형성함으로써 상기 제1체결공(123)을 통하여 상기 본체판의 암나사부(133)와 체결되는 제1체결부재(113)에 의해서 상기 연결판과 본체판을 서로 일일체로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제1체결공(123)은 상기 앵커볼트(110)가 걸림배치되는 제1,2연결공(121,122)으로 이루어지는 연결부의 양측에 각각 한쌍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판(120)의 양단에는 상기 배치부(131)의 양단에 관통형성된 관통공(136)과 대응하는 제2체결공(126)을 각각 관통형성함으로써, 상기 제2체결공(126)과 관통공(136)을 통하여 체결되는 제2체결부재(116)에 의해서 상기 연결판과 본체판을 서로 일체로 결합할 수 있으며 상기 제1체결부재와 더불어 상기 연결판과 본체판간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체결공을 형성하는 상기 연결판(120)의 양단에는 상기 관통공(136)을 형성하는 상기 배치부와의 밀착력을 높일 수 있도록 상기 연결판의 양단으로부터 대략 직각으로 절곡되는 절곡부(12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판(130)은 도 2a 내지 도 3c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앵커볼트(110)와 마주하는 일측단에 상기 연결판(120)이 대응삽입되어 일체로 결합되도록 일정깊이 함몰형성된 배치부(131)를 포함하여 상기 연결판(120)을 매개로 하여 앵커볼트(110)와 조립됨으로써 서로 인접하는 소변기(1)들사이에 위치되는 대략 사각판상의 판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본체판(130)은 상기 배치부(131)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높이 돌출형성되는 결합리브(135)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리브(135)와 대응하는 연결판(120)의 내부면에는 상기 결합리브(135)의 단부가 대응삽입되도록 일정깊이 함몰형성되는 리브결합홈(125)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연결판(120)이 배치부(131)에 대응삽입됨과 동시에 상기 연결판의 일면인 내부면에 함몰형성된 리브결합홈(125)은 상기 본체판의 배치부에 돌출형성된 결합리브(135)와 일대일로 대응결합됨으로써 상기 제1체결부재에 의한 체결작업 이전에 상기 연결판과 본체판간의 가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암나사부(133)는 상기 결합리브(135)와 일체로 연결되어 제1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체결영역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으며, 상기 제1체결공(123)과 대응하는 리브결합홈(125)에는 상기 배치부(131)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높이 돌출형성되는 암나사부가 대응삽입되는 원형홈(125a)을 함몰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앵커볼트(110)의 머리부(112)와 대응하는 배치부(131)에는 도 3c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인접하는 한쌍의 암나사부(133)를 서로 연결하여 보강하는 연결리브(135a)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연결리브(135a)는 상기 연결판에 결합되는 앵커볼트의 머리부와의 간섭이 없도록 상기 리브결합홈(125)에 대응결합되는 결합리브(135)의 형성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를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앵커볼트(110)의 머리부(112)와 대응하는 배치부(131)에는 도 3c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인접하는 한쌍의 암나사부(133)를 서로 연결하여 보강하면서 서로 인접하는 결합리브를 연결하여 보강하는 연결면(135b)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연결면(135b)은 상기 연결판에 결합되는 앵커볼트의 머리부와의 간섭이 없도록 상기 리브결합홈(125)에 대응결합되는 결합리브(135)의 형성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를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앵커볼트와 연결판을 매개로 하여 연결되어 벽면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본체판(130)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판(120)의 폭크기 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두께를 갖는 박판체(132)를 포함하고, 상기 박판체(132)의 외측테두리를 전체적으로 감싸면서 상기 앵커볼트와 마주하는 일측단에 상기 연결판과 결합되는 배치부(131)를 함몰형성한 프레임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박판체(132)는 본체판의 전체적인 중량을 줄일 수 있도록 얇은 두께를 갖는 판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박판체(132)는 파형단면상의 골판체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평판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칸막이(100)를 화장실의 벽면에 설치하는 작업은, 먼저 상기 본체판(130)의 일측단에 함몰형성된 배치부(131)에 연결판(120)을 대응삽입함으로써 상기 배치부(131)의 결합리브(325)와 상기 연결판(120)의 리브결합홈(125)간의 일대일 대응결합에 의해서 상기 연결판(120)은 상기 본체판의 배치부(131)에 1차로 가조립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연결판의 제1체결공(123)과 상기 배치부의 암나사부(133)에 제1체결부재(113)가 체결되고, 상기 연결판의 제2체결공(126)과 상기 배치부의 관통공(136)에 제2체결부재(116)가 체결되면, 상기 연결판과 본체판은 공장이나 현장에서 서로 일체로 결합되어 조립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연결판의 제1연결공(121)을 하부로 하고,상기 제2연결공을 상부로 하여 수직하게 세워진 본체판을 상기 소변기가 설치된 벽면에 고정설치된 앵커너트(115)와 결합된 앵커볼트와 마주하도록 한 다음, 상기 앵커볼트의 머리부를 상기 제1연결공을 통하여 관통시킨다.
이어서, 상기 본체판을 자중방향으로 하강시키면 상기 앵커볼트의 머리부는 재1연결공으로부터 제2연결공측으로 상대이동되어 벽면으로부터 분리이탈이 되지 않도록 걸림배치됨과 동시에 서로 인접하는 소변기사이에 본체판을 수직하게 설치하여 가림막역활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반대로, 상기 칸막이의 파손시 이를 새로운 것으로 교체하는 작업은, 상기와는 반대로 상기 본체판(130)을 자중 반대방향인 상부로 들어올려 상기 제2연결공(122)에 걸림배치된 앵커볼트의 머리부(112)를 상기 제1연결공(121)에 대응되도록 위치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상기 본체판(130)을 벽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당기게 되면, 상기 앵커볼트의 머리부가 제1연결공으로부터 분리되어 본체판을 벽면으로부터 완전히 분리하여 제거할 수 있으며, 새로운 본체판을 앵커볼트의 머리부에 걸림설치하는 작업을 별도의 도구의 필요없이 수작업으로 간편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본체판의 하부단은 바닥면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본체판의 설치높이는 상기 소변기가 설치된 벽면에 고정설치되는 앵커볼트의 높이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판과 본체판은 칸막이를 경량화할 수 있도록 서로 동일한 수지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서로 다른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10 : 앵커볼트
111 : 고정부
112 : 머리부
112a : 돌출부
113 : 제1체결부재
116 : 제2체결부재
120 : 연결판
121 : 제1연결공
122 : 제2연결공
123 : 제1체결공
125 : 리브결합홈
126 : 제2체결공
130 : 본체판
131 : 배치부
132 : 박판체
133 : 암나사부
134 : 프레임부
135 : 결합리브
136 : 관통공

Claims (6)

  1. 공중 화장실의 벽면에 구비된 소변기들 사이에 고정설치되는 칸막이에 있어서,
    상기 벽면에 고정부가 일정깊이 삽입고정되고 머리부가 외부노출되는 복수개의 앵커볼트 ;
    상기 머리부가 대응삽입되도록 관통형성된 제1연결공을 갖추고, 상기 앵커볼트의 머리부가 걸림배치되어 걸림력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제1연결공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연결공을 갖추어 상기 앵커볼트와 연결되는 연결판;
    상기 앵커볼트와 마주하는 일측단에 상기 연결판이 대응삽입되어 결합되도록 일정깊이 함몰형성된 배치부를 갖추어 서로 인접하는 소변기들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연결판을 매개로 하여 앵커볼트와 조립되는 본체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소변기용 칸막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볼트는 상기 머리부의 외경보다 상대적으로 작고, 상기 제2연결공의 내주면에 외부면이 접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소변기용 칸막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판은 상기 배치부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는 암나사부와 대응하는 제1체결공을 관통형성하고, 상기 제1체결공을 통하여 상기 암나사부와 체결되는 제1체결부재에 의해서 상기 연결판과 본체판을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소변기용 칸막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판의 양단에는 상기 배치부의 양단에 관통형성된 관통공과 대응하는 제2체결공을 관통형성하고, 상기 제2체결공과 관통공을 통하여 체결되는 삽입되는 제2체결부재에 의해서 상기 연결판과 본체판을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소변기용 칸막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판은 상기 배치부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높이 돌출형성되는 결합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판은 상기 결합리브와 대응하는 내부면에 상기 결합리브의 단부가 대응삽입되도록 함몰형성되는 리브결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소변기용 칸막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판은 상기 연결판의 폭크기 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두께를 갖는 박판체와, 상기 박판체의 외측테두리를 전체적으로 감싸면서 상기 배치부를 상기 앵커볼트와 마주하는 일측단에 함몰형성한 프레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소변기용 칸막이.
KR1020180027545A 2018-03-08 2018-03-08 소변기용 칸막이 KR1021380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7545A KR102138018B1 (ko) 2018-03-08 2018-03-08 소변기용 칸막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7545A KR102138018B1 (ko) 2018-03-08 2018-03-08 소변기용 칸막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6285A true KR20190106285A (ko) 2019-09-18
KR102138018B1 KR102138018B1 (ko) 2020-07-27

Family

ID=68070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7545A KR102138018B1 (ko) 2018-03-08 2018-03-08 소변기용 칸막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80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0630A (ko) * 2020-11-23 2022-05-31 강봉길 칸막이 장착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2321A (ko) 2020-12-24 2022-07-01 방세연 소변기 가림막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9228Y1 (ko) * 2005-12-05 2006-02-22 주식회사 신일 패널용 체결어셈블리와 이를 이용하여 제작된 칸막이
JP2010203209A (ja) * 2009-03-06 2010-09-16 Best:Kk パネル連結金具
KR20110122358A (ko) * 2010-05-04 2011-11-10 뷰로맥스 주식회사 조립식 파티션
KR20140003104U (ko) * 2012-11-15 2014-05-27 시티네온 디스플레이스 (대만) 컴퍼니 리미티드 체결 어셈블리를 구비한 칸막이 구조
KR20160136683A (ko) * 2015-05-20 2016-11-30 우진내외장건설(주) 공중화장실 남자 소변기용 칸막이 고정 구조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9228Y1 (ko) * 2005-12-05 2006-02-22 주식회사 신일 패널용 체결어셈블리와 이를 이용하여 제작된 칸막이
JP2010203209A (ja) * 2009-03-06 2010-09-16 Best:Kk パネル連結金具
KR20110122358A (ko) * 2010-05-04 2011-11-10 뷰로맥스 주식회사 조립식 파티션
KR20140003104U (ko) * 2012-11-15 2014-05-27 시티네온 디스플레이스 (대만) 컴퍼니 리미티드 체결 어셈블리를 구비한 칸막이 구조
KR20160136683A (ko) * 2015-05-20 2016-11-30 우진내외장건설(주) 공중화장실 남자 소변기용 칸막이 고정 구조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0630A (ko) * 2020-11-23 2022-05-31 강봉길 칸막이 장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8018B1 (ko) 2020-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24673A (en) Electrical junction box mounting bracket device and method
US5664380A (en) Partition frame structure
WO1991012461A1 (en) Electrical junction box mounting bracket device and method
CA2661387C (en) Off-set carrier
KR20190106285A (ko) 소변기용 칸막이
US4558472A (en) Adjustable wall sleeve
KR100644429B1 (ko) 벽체 매입형 분배용 수전함
KR20110037651A (ko) 행거 고정구
JP2529301B2 (ja) 浴室ユニット
JP2002004374A (ja) 防水床パンの設置構造
JP3030606B2 (ja) 防水パンの支持装置と支持方法
JPH1161926A (ja) 浴室用防水パン
JP2019131986A (ja) ユニットルームの接続構造
JPH08441Y2 (ja) 浴室類の組立構造
JPH0782781A (ja) 前面板の取付構造
JP3353952B2 (ja) 落込み浴槽の支持構造
JP3654044B2 (ja) 木造建築物の部屋の構造
JP3035241B2 (ja) 天井支持構造
JP3263270B2 (ja) 浴槽のエプロン取り付け構造
JPH0413316Y2 (ko)
JPH0316941Y2 (ko)
JPH083527Y2 (ja) 床パネル及びルームユニットの配設構造
JPH08100473A (ja) 間仕切り壁パネル及び間仕切り壁構造
JPS5943614Y2 (ja) 防水形照明器具
CN111328358A (zh) 卫生设备装置、房间单元、卫生设备装置的施工方法以及房间单元的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