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4892A - 배수밸브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배수밸브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4892A
KR20190104892A KR1020190022375A KR20190022375A KR20190104892A KR 20190104892 A KR20190104892 A KR 20190104892A KR 1020190022375 A KR1020190022375 A KR 1020190022375A KR 20190022375 A KR20190022375 A KR 20190022375A KR 20190104892 A KR20190104892 A KR 201901048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housing
main body
position limiting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2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04864B1 (ko
Inventor
잉커 진
도쿠유키 아카하네
Original Assignee
니덱 산쿄 일렉트로닉스(동관) 코포레이션
니혼 덴산 산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덱 산쿄 일렉트로닉스(동관) 코포레이션, 니혼 덴산 산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덱 산쿄 일렉트로닉스(동관)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901048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48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48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48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02K5/225Terminal boxes or connec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02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 H01R4/023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between cables or wires and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02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 H01R4/027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comprising means for positioning or holding the parts to be soldered or welde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47Electrical details of casings, e.g. terminals, passages for cables or wi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Abstract

구동장치로서 재료비를 절감하는데 도움이 되고, 제조가 편리하다. 본 발명의 구동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구비된 본체부에 설치되는 구동원; 및 상기 구동원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원단자를 포함하며, 그 중, 상기 구동장치는 도선을 더 구비하고, 상기 도선의 일단은 상기 전원단자와 납땜으로 연결되며, 상기 도선의 타단은 외부 전원과 접속되고, 상기 하우징은 위치제한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위치제한부는 상기 본체부와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단독으로 또는 상기 본체부와 함께 상기 도선을 협지한다.

Description

배수밸브 구동장치{DRAIN VALVE DRIVING DEVICE}
본 발명은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구동장치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X); 상기 하우징(1X)에 구비된 본체부(10X)에 수납되는 구동원(미도시); 상기 하우징(1X)의 상기 본체부로부터 돌출되는 단자시트부(123X)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원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원단자(미도시); 및 탈착 가능한 방식으로 상기 단자시트부(123X)와 연결되고, 또한 상기 전원단자와 대응되는 금속단자 및 상기 금속단자로부터 인출되어 외부 전원과 접속되는 도선(3X)을 구비하는 커넥터(5X)를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 구동장치는 커넥터를 이용하여 외부 전원과 접속되며, 또한 커넥터는 비교적 값이 비싼 금속단자를 구비하므로, 구동장치의 재료비가 비교적 높다.
(특허문헌 1) CN 104264423 B
본 발명은 바로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완성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재료비를 절감하는데 도움이 되며 제조가 간편한 구동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구동장치를 제공하며, 이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구비된 본체부에 설치되는 구동원; 및 상기 구동원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원단자를 포함하며, 그 중, 상기 구동장치는 도선을 더 구비하고, 상기 도선의 일단이 상기 전원단자와 납땜으로 연결되며, 상기 도선의 타단은 외부 전원과 접속되고, 상기 하우징은 위치제한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위치제한부는 본체부와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단독으로 또는 상기 본체부와 함께 상기 도선을 협지한다.
여기서, 소위 “도선을 협지한다”는 조립상태에서 도선을 협지하는 2개의 협지부분의 간격이 도선의 직경과 같은 상황(즉 조립상태에서 2개의 협지부분이 도선의 반경방향에서 서로 마주보는 양측으로부터 도선과 접촉되는 상황)에 한정되지 않고, 도선을 협지하는 2개의 협지부분의 간격이 도선의 직경보다 약간 큰 경우(즉 2개의 협지부분의 간격이 도선 직경의 1.5배 이하이거나, 2개의 협지부분 중 적어도 하나가 도선과 접촉되지 않는 경우)도 포함된다.
본 발명의 구동장치에 따르면, 외부 전원과 접속되는 도선을 직접 전원단자와 납땜 연결하기 때문에, 금속단자를 구비한 커넥터를 생략할 수 있으므로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또한, 하우징에 본체부와 일체형으로 위치제한부가 형성되기 때문에, 외부 전원과 접속되는 도선을 직접 전원단자와 납땜 연결 시, 위치제한부를 이용하여(또는 위치제한부와 본체부를 이용하여) 도선을 협지함으로써, 도선의 일단이 흔들려 납땜 작업을 수행하기가 쉽지 않은 상황을 방지하는데 도움이 된다.
본 발명의 구동장치에서, 바람직하게 상기 위치제한부는 개구를 구비하고, 상기 개구는 상기 도선이 상기 도선의 반경방향을 따라 상기 위치제한부에 감입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구동장치에 따르면, 반드시 도선을 상기 도선의 연장방향(도선의 반경방향과 수직인 방향)을 따라 위치제한부에 삽입해야 하는 경우에 비해, 도선을 위치제한부에 삽입하기 용이하며, 따라서, 제조효율 향상에 도움이 된다.
본 발명의 구동장치에서, 상기 전원단자와 상기 도선의 연결부는 상기 도선의 상기 위치제한부에 의해 협지되거나 또는 상기 위치제한부와 상기 본체부에 의해 협지되는 부분의 연장방향을 비켜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동장치에 따르면, 전원단자와 도선의 연결부가 도선의 위치제한부에 의해 협지되거나 상기 위치제한부와 본체부에 의해 협지되는 부분(피협지부분)의 연장방향에 위치하는 경우에 비해, 구동장치의 상기 연장방향으로의 크기가 증가하지 않으면서도 연결부와 피협지부분 사이의 거리를 증가시키는데 도움이 되므로, 위치제한부가 수지로 제작되더라도, 납땜 시의 열로 인해 위치제한부가 융화하는 것을 쉽게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구조의 구동장치에서, 이하 구조를 더 채용할 수 있다. 상기 위치제한부는 상기 본체부와 서로 대칭되는 대치부를 구비하고, 상기 도선은 상기 대치부와 상기 본체부 사이를 관통하며, 상기 대치부와 상기 본체부 사이에서 상기 전원단자와 상기 도선의 연결부를 향해, 상기 본체부에서 먼 방향으로 구부러진다.
상기 구조의 구동장치에 따르면, 도선을 대치부와 본체부 사이에서 전원단자와 도선의 연결부를 향해 본체부에서 먼 방향으로 구부러지도록 함으로써, 구동장치의 상기 연장방향으로의 크기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도 연결부와 피협지부분 사이의 거리를 증가시키는데 도움이 되며, 또한 대치부를 이용하여 도선이 상기 구부러짐으로 인해 위치제한부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납땜 작업이 더욱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동장치에서, 바람직하게 상기 구동장치는 2개의 상기 전원단자와 2개의 상기 도선을 포함하고, 2개의 상기 전원단자는 각각 단자 본체 및 상기 단자 본체에 대해 구부러지는 연결 플레이트를 구비하며, 상기 단자 본체의 일부분은 상기 본체부의 내측으로 삽입되고, 상기 연결 플레이트에 상기 도선의 코어선이 관통하기 위한 관통공이 개설되며, 하나의 상기 도선의 일단 부위의 코어선이 상기 전원단자의 하나의 연결 플레이트의 관통공으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은 다른 상기 도선의 일단 부위의 코어선이 상기 전원단자의 타 연결 플레이트의 관통공으로부터 돌출되는 방향과 동일하다.
본 발명의 구동장치에 따르면, 하나의 도선의 일단이 전원단자의 하나의 연결 플레이트의 관통공으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이 다른 도선의 일단이 전원단자의 타 연결 플레이트의 관통공으로부터 돌출되는 방향과 동일하기 때문에, 한 방향에서 2개의 전원단자와 2개의 도선을 납땜 연결하기 편리하여, 제조효율 향상에 도움이 된다.
본 발명의 구동장치에서, 바람직하게 상기 하우징은 단자시트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단자시트부는 상기 본체부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전원단자를 지지한다.
본 발명의 구동장치에 따르면, 단자시트부를 이용하여 전원단자를 지지함으로써, 납땜 작업 시 전원단자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따라서 제조효율 향상에 도움이 된다.
상기 구조의 구동장치에서, 이하 구조를 채용할 수도 있다: 상기 하우징은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하우징이 상기 제2 하우징과 결합하여 상기 구동원을 수납하는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제1 하우징에 상기 위치제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하우징에 상기 단자시트부가 형성된다.
상기 구조의 구동장치에서, 이하 구조를 채용할 수도 있다: 상기 구동장치는 단자커버를 더 구비하고, 상기 단자커버는 상기 하우징과 함께 전원단자가 수납되는 공간을 둘러싸는 방식으로 상기 단자시트부에 탈착 가능하게 조립된다.
상기 구조의 구동장치에 따르면, 전원단자가 습기로 인해 녹이 스는 것을 방지하는데 도움이 되며, 또한 전원단자와 도선의 연결부에 대한 검수가 용이하다.
상기 구조의 구동장치에서, 이하 구조를 채용할 수도 있다: 상기 단자시트부와 상기 단자커버 중의 일측에 체결고정부가 형성되며, 상기 단자시트부와 상기 단자커버 중의 타측에 상기 체결고정부에 끼워져 고정되는 피체결고정부가 형성된다.
상기 구조의 구동장치에 따르면, 편리하게 단자커버를 단자시트부에 탈착할 수 있다.
상기 구조의 구동장치에서, 이하 구조를 채용할 수도 있다: 상기 위치제한부와 상기 본체부 중의 적어도 일측은 체결부를 구성하고, 상기 단자커버는 상기 체결부와 끼움 결합되는 피체결부를 구비한다.
상기 구조의 구동장치에 따르면, 체결부와 피체결부의 끼움 결합을 통해, 단자커버가 단자시트부로부터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더욱 도움이 된다.
상기 구조의 구동장치에서, 이하 구조를 채용할 수도 있다: 상기 위치제한부는 체결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체결 플레이트는 상기 본체부와 함께 상기 체결부를 구성하며, 상기 단자커버는 상기 피체결부인 삽입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삽입 플레이트가 상기 체결 플레이트와 상기 본체부 사이에 삽입된다.
상기 구조의 구동장치에 따르면, 체결부와 피체결부는 구조가 단순하고, 형성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단자커버를 단자시트부에 조립 시, 삽입 플레이트는 체결 플레이트, 본체부와의 결합을 통해 단자커버의 조립을 안내함으로써, 제조효율 향상에 도움이 된다.
상기 구조의 구동장치에서, 이하 구조를 채용할 수도 있다: 상기 단자커버에 체결홈이 형성되어, 상기 도선이 상기 체결홈을 관통하여 상기 전원단자 수납 공간으로부터 외부로 인출된다.
상기 구조의 구동장치에 따르면, 체결홈을 이용하여 도선의 이동을 추가적으로 제한할 수 있으며, 도선의 이동으로 인해 도선과 전원단자의 연결이 불안정해지는 상황을 방지하는데 도움이 된다.
본 발명의 구동장치에서, 바람직하게 상기 전원단자는 단자 본체 및 연결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단자 본체의 일부분이 상기 본체부의 내측으로 삽입되며, 상기 연결 플레이트는 상기 단자 본체에 대해 구부러지는 방식으로 상기 단자 본체와 연결되고, 또한 상기 도선의 코어선이 관통하기 위한 관통공을 구비하며, 상기 단자시트부는 바닥판부와 돌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바닥판부는 상기 단자 본체의 상기 본체부로부터 돌출되는 부분과 평행하고, 상기 돌기부는 상기 바닥판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단자 본체와 접촉된다.
본 발명의 구동장치에 따르면, 돌기부를 이용하여 전원단자를 지지함으로써, 납땜 작업 시 전원단자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는데 도움이 되고, 또한 직접 바닥판부를 이용하여 전원단자를 지지하는 경우에 비해, 바닥판부의 존재로 인해 납땜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없는 상황을 방지하는데 도움이 된다.
본 발명의 구동장치에서, 바람직하게 상기 구동장치는 밸브코어와 동력전달 어셈블리를 더 구비하고, 상기 구동원은 모터이며, 상기 모터의 구동력은 상기 동력전달 어셈블리를 거쳐 상기 밸브코어로 전달된다.
본 발명의 구동장치에서, 바람직하게 상기 위치제한부는 단독으로 상기 도선의 반경방향 양측으로부터 상기 도선과 접촉되거나, 또는 상기 본체부와 함께 상기 도선의 반경방향 양측으로부터 상기 도선과 접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동장치에 따르면, 외부 전원과 접속되는 도선을 직접 전원단자와 납땜 연결 시, 위치제한부(또는 위치제한부와 본체부)를 도선의 반경방향 양측으로부터 도선과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도선의 일단이 흔들림으로 인해 납땜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없는 상황을 방지하는데 더욱 도움이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 전원과 접속되는 도선을 직접 전원단자와 납땜 연결하기 때문에, 금속단자를 구비한 커넥터를 생략할 수 있으므로,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고; 또한, 하우징에 본체부와 일체형으로 위치제한부가 형성되기 때문에, 외부 전원과 접속되는 도선을 직접 전원단자와 납땜 연결 시, 위치제한부를 이용하여 도선을 협지함으로써, 도선의 일단이 흔들림으로 인해 납땜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없는 상황을 방지하는데 도움이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방식의 구동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입체도로서, 그 중 단자커버의 도시를 생략하였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방식의 구동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국부 입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방식의 구동장치의 전원단자와 도선의 연결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변형예의 구동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국부 입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변형예의 구동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국부 입체도이다.
도 6은 종래의 구동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국부 입체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방식의 구동장치에 대해 설명하며, 그 중,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방식의 구동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입체도로서, 그 중 단자커버의 도시를 생략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방식의 구동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국부 입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방식의 구동장치의 전원단자와 도선의 연결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입체도이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서로 교차하는 3개 방향을 각각 X 방향, Y 방향 및 Z 방향으로 하여 설명하며, 또한 X 방향의 일측을 X1 방향으로 설정하고, X 방향의 타측을 X2 방향으로 설정하며, Y 방향의 일측을 Y1 방향으로 설정하고, Y 방향의 타측을 Y2 방향으로 설정하며, Z 방향의 일측을 Z1 방향으로 설정하고, Z 방향의 타측을 Z2 방향으로 설정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장치는: 하우징(1); 하우징(1)에 구비된 본체부(10)에 설치되는 구동원(미도시); 및 구동원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원단자(2)를 구비한다. 또한 구동장치는 도선(3)을 더 구비하며, 상기 도선(3)의 일단은 전원단자(2)와 납땜 연결되고, 상기 도선(3)의 타단은 외부 전원(미도시)과 접속된다. 또한, 하우징(1)은 위치제한부(113)를 더 구비하며, 상기 위치제한부(113)는 본체부(10)와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본체부(10)와 함께 도선(3)을 협지한다.
여기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은 제1 하우징(11)과 제2 하우징(12)을 포함하고, 그 중 제1 하우징(11)은 제2 하우징(12)과 결합하여 상기 구동원을 수납하는 공간을 형성하며, 제1 하우징(11)에 위치제한부(113)가 형성되고, 상기 제2 하우징(12)에 단자시트부(123)가 형성되며, 상기 단자시트부(123)는 본체부(10)로부터 돌출되어, 전원단자(2)를 지지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하우징(1)은 수지로 제작되며, 제1 하우징(11)과 제2 하우징(12)은 Z 방향을 따라 조립되고, 나사(미도시)를 통해 함께 연결되며, 그 중 제1 하우징(11)은 Z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상부벽(111)과 상부벽(111)의 가장자리로부터 제2 하우징(12) 측으로 세워지는 측벽(112)을 구비하고, 제2 하우징(12)은 Z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바닥벽(121)과 바닥벽(121)의 가장자리로부터 제1 하우징(11) 측으로 세워지는 측벽(122)을 구비한다. 또한 제1 하우징(11)에서, 상부벽(111)은 나사가 삽입되기 위한 통공부(1111)를 구비하고, 측벽(112)은 제1 측벽(1121), 제2 측벽 및 제1 측벽(1121)과 제2 측벽을 연결하는 연결벽을 포함하며, 제1 측벽(1121)은 X 방향과 수직이면서 X1 방향측에 위치하고, 제2 측벽은 제1 측벽(1221)과 평행하면서 X2 방향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측벽(1121)에 위치제한부(113)가 형성된다. 제2 하우징(12)에서, 측벽(122)은 제1 측벽(1221), 제2 측벽 및 제1 측벽(1221)과 제2 측벽을 연결하는 연결벽을 포함하며, 제1 측벽(1221)은 X 방향과 수직이면서 X1 방향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측벽(1221)에 단자시트부(123)가 형성되며, 제2 측벽은 제1 측벽(1221)과 평행하면서 X2 방향측에 위치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시트부(123)는 바닥판부(1231), 측벽(1232) 및 돌기부(1233)를 포함하며, 그 중, 바닥판부(1231)는 Z 방향과 수직이고, 측벽(1232)은 바닥판부(1231)의 가장자리(구체적으로는 바닥판부(1231)의 X1 방향측의 가장자리 및 Y1 방향측과 Y2 방향측의 가장자리)로부터 제1 하우징(11) 측으로 돌출되며, 돌기부(1233)는 바닥판부(1231)의 중앙으로부터 제1 하우징(11) 측으로 돌출되어 전원단자(2)와 접촉된다. 또한 제2 하우징(12)에 고정시트(124)가 더 형성되며, 상기 고정시트(124)는 기타 장치와 연결되는데 사용된다.
또한, 구동장치는 밸브코어(8), 밸브코어(8)와 연결되는 선재(7)를 내부에 더 포함하여 상기 구동원의 구동력을 밸브코어(8)로 전달하는 동력전달 어셈블리를 더 구비하며, 상기 구동원은 고정자와 회전자를 구비한 모터이고, 전원단자(2)는 모터의 보빈 브래킷에 삽입되고 상기 보빈 브래킷에 권취된 코일선과 연결되며, 상기 모터의 구동력은 동력전달 어셈블리를 거쳐 밸브코어(8)로 전달된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단자(2)는 제1 전원단자(2A) 및 제2 전원단자(2B)를 포함하고, 제1 전원단자(2A)와 제2 전원단자(2B)는 동일한 구조를 구비하며, 또한 도선(3)은 제1 전원단자(2A)와 연결되는 제1 도선(3A) 및 제2 전원단자(2B)와 연결되는 제2 도선(3B)을 포함하며, 제1 도선(3A)과 제2 도선(3B)은 동일한 구조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단자(2)는 단자 본체(21) 및 연결 플레이트(22)를 구비하며, 그 중, 단자 본체(21)의 일부분은 본체부(10)의 내측에 삽입되고, 연결 플레이트(22)는 단자 본체(21)에 대해 구부러지는 방식으로 단자 본체(21)와 연결되며, 또한 도선(3)의 코어선이 관통하기 위한 관통공(221)이 개설된다. 또한, 제1 도선(3A)의 일단이 제1 전원단자(2A)의 연결 플레이트의 관통공으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은 제2 도선(3B)의 일단이 제2 전원단자(2B)의 연결편의 관통공으로부터 돌출되는 방향과 동일하며, 여기서는 모두 X1 방향이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제한부(113)는 제1 위치제한부(113A) 및 제2 위치제한부(113B)를 포함하며, 제1 위치제한부(113A)와 제2 위치제한부(113B)는 서로 대칭되는 구조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제한부(113)는 Y 방향(즉 도선(3)이 위치제한부(113)에 의해 협지되는 부분의 반경방향)에서 서로 대칭인 방식으로 본체부(10)로부터 세워지는 수직부(1131A, 1131B) 및 수직부(1131A, 1131B)의 본체부(10)에서 먼 단부를 함께 연결하는 대치부(1132)를 포함하며, 수직부(1131A, 1131B), 대치부(1132)는 본체부(10)와 함께 도선(3)의 원주방향에서 도선(3)을 둘러싸는 방식으로 도선(3)을 협지한다(도시된 예에서, 수직부(1131A, 1131B)는 Y 방향의 양측으로부터 동시에 도선(3)과 접촉된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단자(2)와 도선(3)의 연결부(CP)는 도선(3)의 위치제한부(113)와 본체부(10)에 의해 협지되는 부분의 연장방향(여기서는 Z 방향)을 비켜간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1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선(3)은 대치부(1132)와 본체부(10) 사이를 관통하여, 대치부(1132)와 본체부(10) 사이에서 전원단자(2)와 도선(3)의 연결부(CP)를 향하여, 본체부(10)에서 먼 방향(여기서는 X1 방향)으로 구부러진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장치는 단자커버(4)를 더 구비하며, 상기 단자커버(4)는 하우징(1)과 함께 전원단자가 수납되는 공간을 둘러싸는 방식으로 단자시트부(123)에 탈착 가능하게 조립된다. 또한, 단자시트부(123)와 단자커버(4) 중의 일측에 체결고정부가 형성되고, 단자시트부(123)와 단자커버(4) 중의 타측에 체결고정부에 끼워져 고정되는 피체결고정부가 형성된다. 또한, 위치제한부(113)와 본체부(10) 중의 적어도 일측은 체결부를 구성하며, 단자커버(4)는 체결부와 끼움 결합되는 피체결부를 구비한다. 또한, 단자커버(4)에 체결홈(411)이 형성되며, 도선(3)이 체결홈(411)을 관통하여 전원단자 수납 공간으로부터 외부로 인출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커버(4)는 상판부(41)와 측벽(42)을 구비하며, 그 중, 상판부(41)는 Z 방향과 수직을 이루고, 측벽(42)은 상판부(41)의 가장자리(구체적으로는 상판부(41)의 X1 방향측의 가장자리 및 Y1 방향과 Y2 방향의 가장자리)로부터 단자시트부(123) 측으로 돌출된다. 또한, 체결홈(411)은 상판부(41)에 형성되며, 제1 체결홈(411A)과 제2 체결홈(411B)을 포함하고, 제1 체결홈(411A)과 제2 체결홈(411B)은 동일한 구조를 구비하며, 제1 도선(3A)은 제1 체결홈(411A)을 관통하여 전원단자 수납 공간으로부터 외부로 인출되고, 제2 도선(3B)은 제2 체결홈(411B)을 관통하여 전원단자 수납공간으로부터 외부로 인출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시트부(123)의 측벽(1232)에서, Y 방향상의 양측에 위치한 측벽에 Y 방향상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체결고정부인 후크(HK)가 형성되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커버(4)의 측벽(42)에서, Y 방향상의 양측에 위치한 측벽에 피체결고정부로서 후크(HK)가 삽입되는 체결고리(LP)가 형성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제한부(113)는 체결 플레이트(1133)를 구비하며 (여기서는 체결 플레이트(1133)가 본체부(10)와 대칭되는 방식으로 수직부(1131A, 1131B) 중의 하나로부터 세워지나, 단 이에 한정되지 않음), 상기 체결 플레이트(1133)는 본체부(10)와 함께 체결부를 구성하고, 단자커버(4)는 피체결부인 삽입 플레이트(미도시)를 구비하여, 상기 삽입 플레이트가 체결 플레이트(1133)와 본체부(10) 사이에 삽입된다.
이하 도선(3)과 전원단자(2)의 연결방법의 일례를 설명한다.
전원단자(2)와 도선(3)을 연결 시, 먼저 제1 하우징(11)과 제2 하우징(12)의 조립을 완료한다(예를 들어 먼저 제2 하우징(12)에 구동원, 밸브코어(8) 및 동력전달 어셈블리를 조립하고, 단자시트부(123)의 돌기부(1233)를 이용하여 전원단자(2)를 지지한 후, 제1 하우징(11)을 제2 하우징(12)에 덮고, 나사를 이용하여 제1 하우징(11)을 제2 하우징(12)과 함께 연결한다).
이후, 도선(3)의 일단을 Z1 방향으로부터 Z2 방향을 향해 위치제한부(113)(여기서는 위치제한부(113)와 본체부(10)로 둘러싸인 통공 형상의 공간)에 관통시키고, 도선(3)의 일단을 X1 방향으로 구부려, 도선(3)의 일단 부위의 코어선을 전원단자(2)의 연결 플레이트(22)의 관통공(221)에 관통시킨다.
이후, 도선(3)과 연결플레이트(22)를 납땜한다.
본 실시방식의 구동장치에 따르면, 외부 전원과 접속되는 도선(3)을 직접 전원단자(2)와 납땜 연결하기 때문에, 금속단자를 구비한 커넥터를 생략할 수 있으므로, 재료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또한 하우징(1)에서 본체부(10)와 일체형으로 위치제한부(113)가 형성되기 때문에, 외부전원과 접속되는 도선(3)을 직접 전원단자(2)와 납땜 연결 시, 위치제한부(113)를 이용하여 도선(3)을 협지함으로써, 도선(3)의 일단이 흔들림으로 인해 납땜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없는 상황을 방지하는데 도움이 된다.
또한, 본 실시방식의 구동장치에 따르면, 전원단자(2)와 도선(3)의 연결부(CP)가 도선(3)의 위치제한부(113)와 본체부(10)에 의해 협지되는 부분의 연장방향에서 비켜가기 때문에, 전원단자와 도선의 연결부 부위가 도선의 위치제한부에 의해 협지되거나 또는 상기 위치제한부와 본체부에 의해 협지되는 부분(피협지부분)의 연장방향에 위치한 경우에 비해, 구동장치의 상기 연장방향으로의 크기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도 연결부와 피협지부분 사이의 거리를 증가시키는데 도움이 되므로, 위치제한부(113)를 수지로 제작하더라도, 납땜 시의 열로 인해 위치제한부가 융화되는 것을 쉽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방식의 구동장치에 따르면, 위치제한부(113)는 본체부(10)와 서로 대칭인 대치부(1132)를 구비하고, 도선(3)이 대치부(1132)와 본체부(10) 사이에서 전원단자(2)와 도선(3)의 연결부(CP)를 향해, 본체부(10)에서 먼 방향으로 구부러지므로, 구동장치의 상기 연장방향으로의 크기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도, 연결부(CP)와 피협지부분 사이의 거리를 증가시키는데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대치부(1132)를 이용하여 도선(3)이 상기 구부러짐으로 인해 위치제한부(113)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납땜 작업을 더욱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방식의 구동장치에 따르면, 제1 도선(3A)의 일단이 제1 전원단자(2A)의 연결 플레이트의 관통공으로부터 돌출되는 방향과 제2 도선(3B)의 일단이 제2 전원단자(2B)의 연결 플레이트의 관통공으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이 동일하므로, 한 방향(예를 들어 도 1 중의 X1 방향)으로부터 제1 전원단자(2A), 제2 전원단자(2B)와 제1 도선(3A), 제2 도선(3B)의 납땜 연결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어 제조효율 향상에 도움이 된다.
또한, 본 실시방식의 구동장치에 따르면, 하우징(1)은 단자시트부(123)를 더 구비하여, 단자시트부(123)를 이용하여 전원단자(2)를 지지할 수 있으므로, 납땜 작업 시 전원단자(2)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따라서 제조효율 향상에 도움이 된다.
또한, 본 실시방식의 구동장치에 따르면, 단자커버(4)를 더 구비하고, 상기 단자커버(4)는 하우징(1)과 함께 전원단자 수납 공간을 둘러싸는 방식으로 단자시트부(123)에 탈착 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으므로, 전원단자(2)가 습기로 인해 녹이 발생하는 등을 방지하는데 도움이 되고, 또한 전원단자(2)와 도선(3)의 연결부(CP)에 대해 검수를 실시하기에도 용이하다.
또한, 본 실시방식의 구동장치에 따르면, 단자시트부(123)와 단자커버(4) 중의 일측에 체결고정부가 형성되고, 단자시트부(123)와 단자커버(4) 중의 타측에 체결고정부와 끼움 고정되는 피체결고정부가 형성되므로, 단자커버(4)를 단자시트부(123)에 간편하게 탈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방식의 구동장치에 따르면, 위치제한부(113)와 본체부(10) 중의 적어도 일측은 체결부로 구성되고, 단자커버(4)는 체결부와 끼움 결합되는 피체결부를 구비하므로, 체결부와 피체결부의 끼움 결합을 통해, 단자커버(4)가 단자시트부(123)로부터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더욱 도움이 된다.
또한, 본 실시방식의 구동장치에 따르면, 위치제한부(113)는 체결 플레이트(1133)를 구비하고, 상기 체결 플레이트(1133)는 본체부(10)와 함께 체결부를 구성하며, 단자커버(4)는 피체결부로서 삽입 플레이트를 구비하여, 상기 삽입 플레이트가 체결 플레이트(1133)와 본체부(10) 사이에 삽입되므로, 체결부와 피체결부는 구조가 단순하고, 형성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단자커버(4)를 단자시트부(123)에 조립 시, 삽입플레이트와 체결플레이트(1133), 본체부(10)의 결합을 통해 단자커버(4)의 조립을 안내할 수 있어 제조효율 향상에 도움이 된다.
또한, 본 실시방식의 구동장치에 따르면, 단자커버(4)에 체결홈(411)이 형성되고, 도선(3)이 체결홈(411)을 관통하여 전원단자 수납공간으로부터 외부로 인출되므로, 체결홈(411)을 이용하여 도선(3)의 이동을 추가적으로 제한할 수 있어, 도선(3)의 이동으로 인해 도선(3)과 전원단자(2)의 연결이 불안정해지는 현상을 방지하는데 도움이 된다.
또한, 본 실시방식의 구동장치에 따르면, 단자시트부(123)는 돌기부(1233)를 포함하고, 돌기부(1233)는 바닥판부(1231)의 중앙으로부터 제1 하우징(11)의 일 측으로 돌출되어 전원단자(2)와 접촉되기 때문에, 돌기부(1233)를 이용하여 전원단자(2)를 지지할 수 있어, 납땜 작업 시 전원단자(2)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는데 도움이 되며, 또한 직접 바닥판부(1231)를 이용하여 전원단자(2)를 지지하는 경우에 비해, 바닥판부의 존재로 인해 납땜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없는 상황을 방지하는데 도움이 된다.
이상으로 첨부도면을 결합하여 본 발명에 대해 예시적인 설명을 하였으나, 본 발명의 구현은 상기 실시방식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방식에서, 위치제한부(113)의 수직부(1131A, 1131B)는 Y 방향의 양측으로부터 동시에 도선(3)과 접촉되나(즉 위치제한부(113)의 수직부(1131A, 1131B) 사이의 간격이 도선(3)의 직경과 동일함), 이에 한정되지 않고, 위치제한부(113)의 수직부(1131A, 1131B) 사이의 간격은 도선(3)의 직경보다 약간 클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방식에서, 위치제한부(113)와 본체부(10)로 도선(3)이 관통하는 통공 형상의 공간을 둘러싸나, 단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제한부에 도선이 상기 도선의 반경방향을 따라 위치제한부에 감입되도록 개구(OP1, OP2) 를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반드시 도선을 상기 도선의 연장방향(도선의 반경방향과 수직인 방향)을 따라 위치제한부에 삽입해야 하는 경우에 비해, 도선을 위치제한부에 삽입하기 용이하므로, 제조효율 향상에 도움이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경우,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OP1, OP2)를 도선이 위치제한부에 삽입되는 방향에서 위치제한부에서 멀어짐에 따라 폭이 커지도록 형성할 수도 있으며, 이를 통해, 도선을 위치제한부에 삽입하기가 더욱 용이해진다.
또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에 상기 본체부(10)로부터 돌출되는 돌기부(AB1, AB2)를 더 설치할 수 있고, 상기 돌기부(AB1, AB2)는 도선의 반경방향에서 상기 대치부와 반대되는 측에 위치하여 상기 대치부와 동시에 도선과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방식에서, 상기 위치제한부(113)는 본체부(10)와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본체부(10)와 함께 도선(3)을 협지하나, 단 이에 한정되지 않고, 위치제한부만 도선을 협지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위치제한부 자체를 환상(環狀)으로 형성하거나, 또는 위치제한부 자체를 X1 방향(또는 Y1 방향, Y2 방향 또는 기타 방향)을 향해 개구된 C자 형상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방식에서, 하우징(1)은 수지로 제작되나, 단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하우징은 기타 재료로 제작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방식에서, 구동원은 모터이나, 단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1: 하우징
2: 전원단자
2A: 제1 전원단자
2B: 제2 전원단자
3: 도선
3A: 제1 도선
3B: 제2 도선
4: 단자커버
7: 선재(線材)
8: 밸브코어
10: 본체부
11: 제1 하우징
12: 제2 하우징
21: 단자 본체
22: 연결 플레이트
41: 상판부
42: 측벽
111: 상부벽
112: 측벽
121: 바닥벽
113: 위치제한부
113A: 제1 위치제한부
113B: 제2 위치제한부
122: 측벽
123: 단자시트부
124: 고정시트
411: 체결홈
1111: 통공부
1121: 제1 측벽
1221: 제1 측벽
1131A, 1131B: 수직부
1132: 대치부
1133: 체결 플레이트
1231: 바닥판부
1232: 측벽
1233: 돌기부
CP: 연결부
HK: 후크
LP: 체결고리
OP1: 개구
OP2: 개구

Claims (15)

  1.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구비된 본체부에 설치되는 구동원; 및
    상기 구동원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원단자를 포함하는 구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는 도선을 더 구비하고, 상기 도선의 일단이 상기 전원단자와 납땜으로 연결되며, 상기 도선의 타단은 외부 전원과 접속되며,
    상기 하우징은 위치제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위치제한부는 상기 본체부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단독으로 또는 상기 본체부와 함께 상기 도선을 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제한부는 개구를 구비하고, 상기 개구는 상기 도선이 상기 도선의 반경방향을 따라 상기 위치제한부에 감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단자와 상기 도선의 연결부는 상기 도선의 상기 위치제한부에 의해 협지되거나 또는 상기 위치제한부와 상기 본체부에 의해 협지되는 부분의 연장방향을 비켜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제한부는 상기 본체부와 서로 대칭되는 대치부를 구비하고,
    상기 도선은 상기 대치부와 상기 본체부 사이를 관통하고, 상기 대치부와 상기 본체부 사이에서 상기 전원단자와 상기 도선의 연결부를 향해, 상기 본체부에서 먼 방향으로 구부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는 2개의 상기 전원단자 및 2개의 상기 도선을 포함하며,
    2개의 상기 전원단자는 각각 단자 본체 및 상기 단자 본체에 대해 구부러지는 연결 플레이트를 구비하며, 상기 단자 본체의 일부분은 상기 본체부의 내측에 삽입되고, 상기 연결 플레이트에 상기 도선의 코어선이 관통되기 위한 관통공이 개설되며,
    하나의 상기 도선의 일단 부위의 코어선이 하나의 상기 전원단자의 연결 플레이트의 관통공으로부터 돌출되는 방향과 다른 하나의 상기 도선의 일단 부위의 코어선이 상기 전원단자의 타 연결 플레이트의 관통공으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이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단자시트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단자시트부는 상기 본체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전원단자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제2 하우징과 결합하여 상기 구동원을 수납하는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제1 하우징에 상기 위치제한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 하우징에 상기 단자시트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는 단자커버를 더 구비하고, 상기 단자커버는 상기 하우징과 함께 전원단자 수납 공간을 둘러싸는 방식으로 상기 단자시트부에 탈착 가능하게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시트부와 상기 단자커버 중의 일측에 체결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단자시트부와 상기 단자커버 중의 타측에 상기 체결고정부에 끼워져 고정되는 피체결고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제한부와 상기 본체부 중의 적어도 일측은 체결부를 구성하며,
    상기 단자커버는 상기 체결부와 끼움 결합되는 피체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제한부는 체결 플레이트를 구비하여, 상기 체결 플레이트는 상기 본체부와 함께 상기 체결부를 구성하며,
    상기 단자커버는 상기 피체결부인 삽입 플레이트를 구비하여, 상기 삽입 플레이트가 상기 체결 플레이트와 상기 본체부 사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커버에 체결홈이 형성되며,
    상기 도선은 상기 체결홈을 관통하여 상기 전원단자 수납 공간으로부터 외부로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장치.
  13.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단자는 단자 본체 및 연결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단자 본체의 일부분은 상기 본체부의 내측으로 삽입되며,
    상기 연결 플레이트는 상기 단자 본체에 대해 구부러지는 방식으로 상기 단자 본체와 연결되고, 또한 상기 도선의 코어선이 관통하기 위한 관통공이 개설되며,
    상기 단자시트부는 바닥판부와 돌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바닥판부는 상기 단자본체의 상기 본체부로부터 돌출되는 부분과 평행하며, 상기 돌기부는 상기 바닥판부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단자 본체와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는 밸브코어와 동력전달 어셈블리를 더 구비하고,
    상기 구동원은 모터이며, 상기 모터의 구동력이 상기 동력전달 어셈블리를 거쳐 상기 밸브코어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제한부는 단독으로 상기 도선의 반경방향 양측으로부터 상기 도선과 접촉되거나, 또는 상기 본체부와 함께 상기 도선의 반경방향 양측으로부터 상기 도선과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장치.
KR1020190022375A 2018-03-02 2019-02-26 배수밸브 구동장치 KR1021048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10174098.0 2018-03-02
CN201810174098.0A CN110224234B (zh) 2018-03-02 2018-03-02 驱动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4892A true KR20190104892A (ko) 2019-09-11
KR102104864B1 KR102104864B1 (ko) 2020-04-28

Family

ID=67822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2375A KR102104864B1 (ko) 2018-03-02 2019-02-26 배수밸브 구동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04864B1 (ko)
CN (1) CN110224234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68004A (zh) * 2019-12-12 2020-03-06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电机端子及空调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77694A (ja) * 1993-12-17 1995-07-14 Mabuchi Motor Co Ltd 小型モータ及びこの小型モータの端子装置の接続方法
JP2004141567A (ja) * 2002-10-28 2004-05-20 Nakagawa Electric Ind Co Ltd 洗濯機用電動モータ内蔵ケース
KR20100127710A (ko) * 2009-05-26 2010-12-06 쯔지앙 산화 컴퍼니 리미티드 전자기 코일 수단
CN104264423A (zh) 2014-08-15 2015-01-07 常州乐士雷利电机有限公司 排水控制装置以及应用其的洗衣机
JP2017108476A (ja) * 2015-12-07 2017-06-15 三菱電機株式会社 回転電機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32002B2 (ja) * 2010-09-07 2013-01-30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5704025B2 (ja) * 2011-09-08 2015-04-22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ジョイントコネクタ
CN203367140U (zh) * 2011-12-28 2013-12-25 通用设备和制造公司 目标支架和外壳
JP2015069772A (ja) * 2013-09-27 2015-04-13 オムロン株式会社 リード線の接続構造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CN104979660B (zh) * 2014-04-02 2017-06-20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线缆连接器
JP5907300B1 (ja) * 2015-04-30 2016-04-26 第一精工株式会社 導電端子
CN107732482B (zh) * 2016-08-12 2022-03-29 东莞莫仕连接器有限公司 具有分线元件的线缆连接器组件
CN207994083U (zh) * 2018-03-02 2018-10-19 日本电产三协电子(东莞)有限公司 驱动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77694A (ja) * 1993-12-17 1995-07-14 Mabuchi Motor Co Ltd 小型モータ及びこの小型モータの端子装置の接続方法
JP2004141567A (ja) * 2002-10-28 2004-05-20 Nakagawa Electric Ind Co Ltd 洗濯機用電動モータ内蔵ケース
KR20100127710A (ko) * 2009-05-26 2010-12-06 쯔지앙 산화 컴퍼니 리미티드 전자기 코일 수단
CN104264423A (zh) 2014-08-15 2015-01-07 常州乐士雷利电机有限公司 排水控制装置以及应用其的洗衣机
JP2017108476A (ja) * 2015-12-07 2017-06-15 三菱電機株式会社 回転電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68004A (zh) * 2019-12-12 2020-03-06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电机端子及空调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224234A (zh) 2019-09-10
KR102104864B1 (ko) 2020-04-28
CN110224234B (zh) 2024-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73406A (en) Electrical cord adapter
EP1005109B1 (en) Electronic control unit with electrical connector
US9136744B2 (en) Electric motor with reduced axial footprint
KR20130095306A (ko) 전자부품의 접속구조 및 접속 유닛
EP3082231B1 (en) Motor
KR20190104892A (ko) 배수밸브 구동장치
JP2004537152A (ja) 密閉圧縮機のモータの電気コネクタおよびその製造プロセス
US20210226501A1 (en) Motor
US6517389B2 (en) Terminal cover
JP2018048657A (ja) 液圧制御装置およびブレーキ制御装置
JP3214104U (ja) 電子装置のパッケージモジュール
JP6087443B2 (ja) 固定子、電動機及び空気調和機
CN110380305B (zh) 驱动装置
CN210225165U (zh) 电动机
CN112688477B (zh) 定子组件及使用该定子组件的电机
JP2006066287A (ja) 電気器具の端子装置
CN208028355U (zh) 驱动装置
CN207994083U (zh) 驱动装置
CN211239556U (zh) 电动机
US11081869B2 (en) Electrical junction box
CN211266649U (zh) 电动机
CN110011464B (zh) 用于电机的电刷架-构件以及电机
CN220422248U (zh) 压线装置、电控盒及空调器
JPH0429538A (ja) モータの固定子
JP2020054137A (ja) モ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