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4372A - 완충기 - Google Patents

완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4372A
KR20190104372A KR1020197022816A KR20197022816A KR20190104372A KR 20190104372 A KR20190104372 A KR 20190104372A KR 1020197022816 A KR1020197022816 A KR 1020197022816A KR 20197022816 A KR20197022816 A KR 20197022816A KR 20190104372 A KR20190104372 A KR 201901043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k
passage
valve
piston
damping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28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6116B1 (ko
Inventor
미키오 야마시타
Original Assignee
히다치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치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다치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043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43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61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61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4Special valve constructions; Shape or construction of throttling passages
    • F16F9/348Throttling passages in the form of annular discs or other plate-like elements which may or may not have a spring action, operating in opposite directions or singly, e.g. annular discs positioned on top of the valve or piston body
    • F16F9/3485Throttling passages in the form of annular discs or other plate-like elements which may or may not have a spring action, operating in opposite directions or singly, e.g. annular discs positioned on top of the valve or piston body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supporting elements intended to guide or limit the movement of the annular disc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4Special valve constructions; Shape or construction of throttling passages
    • F16F9/348Throttling passages in the form of annular discs or other plate-like elements which may or may not have a spring action, operating in opposite directions or singly, e.g. annular discs positioned on top of the valve or piston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pring, damper or actuator
    • B60G2202/20Type of damper
    • B60G2202/24Fluid dam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40Constructional features of dampers and/or springs
    • B60G2206/41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06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both gas and liquid
    • F16F9/062Bi-tubular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작동 유체가 봉입된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에 연결된 피스톤 로드와, 상기 피스톤의 미끄럼 이동에 의해서 생기는 작동 유체의 흐름을 규제하며, 통형의 케이스 부재의 개구부를 폐쇄하도록 마련된 디스크 밸브와, 상기 디스크 밸브의 적어도 일면 측에 마련되는 환형의 시일 부재와, 상기 디스크 밸브 및 상기 시일 부재에 의해서 구획되는 실을 구비하는 완충기이다. 상기 디스크 밸브에는 오목부와 볼록부가 교대로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완충기
본 발명은 완충기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7년 3월 10일에 일본에 출원된 일본 특원 2017-046272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완충기에는, 주파수에 감응하여 감쇠력이 가변으로 되는 것이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공개 2011-202800호 공보
완충기에 있어서 생산성 향상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완충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작동 유체가 봉입된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에 연결된 피스톤 로드와, 상기 피스톤의 미끄럼 이동에 의해서 생기는 작동 유체의 흐름을 규제하며, 통형의 케이스 부재의 개구부를 폐쇄하도록 마련된 디스크 밸브와, 상기 디스크 밸브의 적어도 일면 측에 마련되는 환형의 시일 부재와, 상기 디스크 밸브 및 상기 시일 부재에 의해서 구획되는 실(室)을 구비하는 완충기이다. 상기 디스크 밸브에는 오목부와 볼록부가 교대로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축부를 내측으로 관통시켜 케이스 부재 내에 배치되며, 내주 측 또는 외주 측이 지지되고, 지지하지 않는 측에 상기 케이스 부재와의 사이 또는 상기 축부와의 사이를 시일하는 환형의 탄성 부재가 마련된 휘어짐이 가능한 환형의 디스크를 갖고 있다. 상기 디스크와 상기 케이스 부재 또는 상기 축부 사이에, 환형의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간극을 통해 상기 디스크의 양면에 고착되어 마련되어 있다. 상기 디스크의 한쪽의 면 측에 시일부가, 다른 쪽의 면 측에 스토퍼부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디스크의 상기 다른 쪽의 면에는 둘레 방향으로 부분적으로 탄성 부재가 고착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축부를 내측으로 관통시켜 케이스 부재 내에 배치되며, 내주 측 또는 외주 측이 지지되고, 지지하지 않는 측에 상기 케이스 부재와의 사이 또는 상기 축부와의 사이를 시일하는 환형의 탄성 부재가 마련된 휘어짐이 가능한 환형의 디스크를 갖는다. 상기 디스크와 상기 케이스 부재 또는 상기 축부와의 사이에, 환형의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간극을 통해 상기 디스크의 양면에 고착되어 마련되어 있다. 상기 디스크의 한쪽의 면 측에 시일부가, 다른 쪽의 면 측에 스토퍼부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디스크의 상기 간극 측에는 복수의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완충기에 의하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의 완충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형태의 완충기의 피스톤 주변을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형태의 완충기의 피스톤, 감쇠력 발생 기구 및 감쇠력 가변 기구 주변을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형태의 완충기의 감쇠력 발생 기구 주변을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제1 실시형태의 완충기의 구획 디스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제1 실시형태의 완충기의 구획 디스크를 도시하는 도 5의 X1-X1 단면도이다.
도 7은 제2 실시형태의 완충기의 구획 디스크를 도시하는 평단면도이다.
도 8은 제2 실시형태의 완충기의 구획 디스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a는 제2 실시형태의 완충기의 구획 디스크를 도시하는 도 7, 도 8의 X2-X2 단면도이다.
도 9b는 제2 실시형태의 완충기의 구획 디스크를 도시하는 도 7, 도 8의 Y2-Y2 단면도이다.
도 10은 제3 실시형태의 완충기의 구획 디스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제3 실시형태의 완충기의 구획 디스크의 디스크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2a는 제3 실시형태의 완충기의 구획 디스크를 도시하는 도 10의 X3-X3 단면도이다.
도 12b는 제3 실시형태의 완충기의 구획 디스크를 도시하는 도 10의 Y3-Y3 단면도이다.
도 13은 제4 실시형태의 완충기의 구획 디스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제4 실시형태의 완충기의 구획 디스크의 디스크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5는 제5 실시형태의 완충기의 피스톤, 감쇠력 발생 기구 및 감쇠력 가변 기구 주변을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16은 제5 실시형태의 완충기의 구획 디스크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17은 제6 실시형태의 완충기의 구획 디스크의 디스크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8은 제6 실시형태의 완충기의 구획 디스크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9는 제6 실시형태의 완충기의 구획 디스크를 도시하는 도 18의 X4-X4 단면도이다.
도 20은 제6 실시형태의 완충기의 구획 디스크를 도시하는 도 18의 Y4-Y4 단면도이다.
도 21은 제7 실시형태의 완충기의 감쇠력 발생 기구 주변을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22는 제7 실시형태의 완충기의 감쇠력 발생 기구 주변을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23은 제8 실시형태의 완충기의 감쇠력 발생 기구 주변을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24는 제8 실시형태의 완충기의 감쇠력 발생 기구 주변을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25는 제9 실시형태의 완충기의 구획 디스크의 디스크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6은 제10 실시형태의 완충기의 구획 디스크의 디스크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7은 제11 실시형태의 완충기의 구획 디스크의 디스크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제1 실시형태」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형태를 도 1∼도 6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도면에 있어서의 상측을 「상」이라고 하고, 도면에 있어서의 하측을 「하」라고 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제1 실시형태의 완충기(1)는 소위 복통형(複筒型)의 유압완충기이다. 완충기(1)는, 작동 유체로서의 오일액(도시 생략)이 봉입된 실린더(2)를 구비하고 있다. 실린더(2)는, 원통형의 내통(3)과, 바닥을 지닌 원통형의 외통(4)과, 커버(5)를 갖고 있다. 외통(4)은, 내통(3)보다도 대직경이며 내통(3)을 덮도록 내통(3)과 동심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커버(5)는 외통(4)의 상부 개구 측을 덮고 있다. 실린더(2)는 내통(3)과 외통(4)의 사이에 리저버실(6)이 형성되어 있다.
외통(4)은 원통형의 몸통 부재(11)와 바닥 부재(12)로 이루어져 있다. 바닥 부재(12)는, 몸통 부재(11)의 하부 측에 감합 고정되어 몸통 부재(11)의 하부를 폐색한다. 바닥 부재(12)에는, 몸통 부재(11)와는 반대의 외측에 마운팅 아이(13)가 고정되어 있다.
커버(5)는 통형부(15)와 내측 플랜지부(16)를 갖고 있다. 내측 플랜지부(16)는, 통형부(15)의 상단 측에서 직경 방향 안쪽으로 연장되어 나와 있다. 커버(5)는, 몸통 부재(11)의 상단 개구부를 내측 플랜지부(16)로 덮고, 몸통 부재(11)의 외주면을 통형부(15)로 덮도록 몸통 부재(11)에 씌워져 있다. 커버(5)는, 이 상태에서, 통형부(15)의 일부가 직경 방향 안쪽으로 코킹되어 몸통 부재(11)에 고정되어 있다.
완충기(1)는 피스톤(18)을 구비하고 있다. 피스톤(18)은 실린더(2)의 내통(3) 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이 피스톤(18)은 내통(3)에 끼워져 있다. 이 피스톤(18)은, 내통(3) 안을, 한쪽의 상실(19)(실린더실, 한쪽의 실린더실)과 다른 쪽의 하실(20)(실린더실)의 2개의 실로 구획하고 있다. 내통(3) 내의 상실(19) 및 하실(20) 내에는 작동 유체로서의 오일액이 봉입되어 있다. 내통(3)과 외통(4) 사이의 리저버실(6) 내에는 작동 유체로서의 오일액과 가스가 봉입되어 있다.
완충기(1)는 피스톤 로드(21)를 구비하고 있다. 피스톤 로드(21)는, 축 방향의 일단 측이 실린더(2)의 내통(3) 내에 배치되어 있고, 이 일단 측이 피스톤(18)에 연결되어 있다. 피스톤 로드(21)는, 축 방향의 타단 측이 실린더(2)의 외부로 연장되어 나와 있다. 피스톤(18) 및 피스톤 로드(21)는 일체로 이동한다. 완충기(1)의 신장 행정은, 피스톤 로드(21)가 실린더(2)로부터 돌출하는 양을 늘리는 행정이다. 이 신장 행정에 있어서, 피스톤(18)은 상실(19)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완충기(1)의 축소 행정은, 피스톤 로드(21)가 실린더(2)로부터 돌출하는 양을 줄이는 행정이다. 이 축소 행정에 있어서, 피스톤(18)은 하실(20)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내통(3) 및 외통(4)의 상단 개구 측에는 로드 가이드(22)가 감합되어 있다. 외통(4)에는, 로드 가이드(22)보다도 실린더(2)의 외부 측인 상측에 시일 부재(23)가 장착되어 있다. 로드 가이드(22)와 시일 부재(23)의 사이에는 마찰 부재(24)가 마련되어 있다. 로드 가이드(22), 시일 부재(23) 및 마찰 부재(24)는 모두 환형을 이루고 있다. 피스톤 로드(21)는, 이들 로드 가이드(22), 마찰 부재(24) 및 시일 부재(23) 각각의 내측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삽입 관통되어 있다. 피스톤 로드(21)는, 로드 가이드(22), 마찰 부재(24) 및 시일 부재(23)에 삽입 관통되어, 실린더(2)의 내부에서 외부로 연장되어 나와 있다.
로드 가이드(22)는, 피스톤 로드(21)를, 그 직경 방향 이동을 규제하면서 축 방향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로드 가이드(22)는 이 피스톤 로드(21)의 이동을 안내한다. 시일 부재(23)는 그 외주부에서 외통(4)에 밀착한다. 시일 부재(23)는, 그 내주부에서, 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피스톤 로드(21)의 외주부에 미끄럼 접촉한다. 시일 부재(23)는, 내통(3) 내의 오일액과 외통(4) 내의 리저버실(6)의 고압 가스 및 오일액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 마찰 부재(24)는 그 내주부에서 피스톤 로드(21)의 외주부에 미끄럼 접촉한다. 마찰 부재(24)는 피스톤 로드(21)에 마찰 저항을 발생시킨다. 여기서, 마찰 부재(24)는 시일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 아니다.
로드 가이드(22)는, 그 외주부가, 하부보다도 상부가 대직경으로 되는 단차형을 이루고 있다. 로드 가이드(22)는, 소직경의 하부에 있어서 내통(3)의 상단의 내주부에 감합한다. 로드 가이드(22)는, 대직경의 상부에 있어서 외통(4)의 상부의 내주부에 감합한다. 외통(4)의 바닥 부재(12) 상에는 베이스 밸브(25)가 마련되어 있다. 베이스 밸브(25)는 하실(20)과 리저버실(6)을 규정한다. 이 베이스 밸브(25)에 내통(3)의 하단의 내주부가 감합되어 있다. 외통(4)의 상단부는, 도시하지 않는 일부가 직경 방향 안쪽으로 코킹되어 있다. 외통(4)의 이 코킹 부분과 로드 가이드(22)가 시일 부재(23)를 협지(挾持)하고 있다.
피스톤 로드(21)는 메인 축부(27)와 마운팅 축부(28)(축부)를 갖고 있다. 마운팅 축부(28)는 메인 축부(27)보다 소직경이다. 마운팅 축부(28)는 실린더(2) 내에 배치되어 있다. 마운팅 축부(28)에는 피스톤(18) 등이 부착되어 있다. 메인 축부(27)의 마운팅 축부(28) 측의 단부는 축단부(軸段部)(29)로 되어 있다. 축단부(29)는 축 직교 방향으로 넓어져 있다. 마운팅 축부(28)의 외주부에는, 축 방향의 중간 위치에 통로 홈(30)이 형성되어 있다. 통로 홈(30)은 마운팅 축부(28)의 외주부를 절결하여 형성되어 있다. 통로 홈(30)은 마운팅 축부(28)의 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마운팅 축부(28)의 외주부에는 수나사(31)가 형성되어 있다. 수나사(31)는, 마운팅 축부(28)의 축 방향의 메인 축부(27)와는 반대쪽의 선단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통로 홈(30)은, 피스톤 로드(21)의 중심 축선에 직교하는 면에서의 단면 형상이, 장방형, 정방형, D자형의 어느 것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피스톤 로드(21)에는, 모두 원환형의 스토퍼 부재(32) 및 완충체(33)가 마련되어 있다. 스토퍼 부재(32) 및 완충체(33)는, 메인 축부(27)의 피스톤(18)과 로드 가이드(22) 사이 부분에 마련되어 있다. 스토퍼 부재(32)는 내주 측에 피스톤 로드(21)를 삽입 관통시키고 있다. 스토퍼 부재(32)는, 메인 축부(27)의 직경 방향 안쪽으로 움푹 들어가는 고정 홈(34)에, 코킹되어 고정되어 있다. 완충체(33)도 내측에 피스톤 로드(21)를 삽입 관통시키고 있다. 완충체(33)는 스토퍼 부재(32)와 로드 가이드(22)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완충기(1)는, 예컨대 피스톤 로드(21)의 실린더(2)로부터의 돌출 부분이 상부에 배치되어 차체에 의해 지지된다. 완충기(1)는, 예컨대 실린더(2) 측의 마운팅 아이(13)가 하부에 배치되어 차륜 측에 연결된다. 완충기(1)는, 이와는 반대로 실린더(2) 측이 차체에 의해 지지되어, 피스톤 로드(21)가 차륜 측에 연결되도록 하여도 좋다. 완충기(1)는, 차륜이 주행함에 따라 진동하면 이 진동에 따라 실린더(2)와 피스톤 로드(21)의 위치가 상대적으로 변화된다. 이 변화는 피스톤(18) 및 피스톤 로드(21)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형성된 유로의 유체 저항에 의해 억제된다. 이하에 상세히 설명하는 것과 같이, 피스톤(18) 및 피스톤 로드(21)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형성된 유로의 유체 저항은, 진동의 속도나 진폭에 따라 다르도록 만들어져 있다. 이와 같이 진동을 억제함으로써 차량의 승차감이 개선된다. 상기 실린더(2)와 피스톤 로드(21)의 사이에는, 차륜이 발생하는 진동이 작용한다. 이 밖에, 실린더(2)와 피스톤 로드(21)의 사이에는, 차량이 주행함에 따라 차체에 발생하는 관성력이나 원심력도 작용한다. 예컨대 핸들 조작에 의해서 주행 방향이 변화됨으로써 차체에 원심력이 발생한다. 이 원심력에 기초한 힘이 상기 실린더(2)와 피스톤 로드(21)의 사이에 작용한다. 이하에 설명하는 것과 같이, 완충기(1)는 차량이 주행함에 따라 차체에 발생하는 힘에 기초한 진동에 대하여 양호한 특성을 갖고 있다. 완충기(1)는 차량 주행에 있어서의 높은 안정성을 가져온다.
도 2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피스톤(18)은, 금속제의 피스톤 본체(35)와, 합성수지제의 미끄럼 이동 부재(36)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피스톤 본체(35)는 피스톤 로드(21)에 지지된다. 미끄럼 이동 부재(36)는 원환형이며, 피스톤 본체(35)의 외주면에 일체로 장착되어 있다. 피스톤(18)은, 미끄럼 이동 부재(36)가 내통(3) 안을 미끄럼 이동한다.
피스톤 본체(35)에는, 복수의 통로 구멍(37)과 복수의 통로 구멍(39)이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통로 구멍(37)은, 도 2에서는 단면으로 한 관계상 한 곳만 도시되어 있다. 복수의 통로 구멍(39)도, 도 2에서는 단면으로 한 관계상 한 곳만 도시되어 있다. 복수의 통로 구멍(37)은 상실(19)과 하실(20)을 연통시킨다. 복수의 통로 구멍(39)도 상실(19)과 하실(20)을 연통시킨다. 복수의 통로 구멍(37)은, 둘레 방향에 있어서, 각각 사이에 한 곳의 통로 구멍(39)을 사이에 두고서 등피치로 형성되어 있다. 그 결과, 복수의 통로 구멍(37)은, 통로 구멍(37, 39) 전부 중 반수(半數)를 구성한다. 복수의 통로 구멍(37)은, 피스톤(18)의 축 방향 일측인 제1 측(도 2의 상측)이 피스톤(18)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개구되어 있다. 복수의 통로 구멍(37)은, 피스톤(18)의 축 방향 타측인 제2 측(도 2의 하측)이 피스톤(18)의 직경 방향 내측으로 개구되어 있다.
이들 통로 구멍(37)에 감쇠력 발생 기구(41)가 마련되어 있다. 감쇠력 발생 기구(41)는, 이들 통로 구멍(37) 내의 통로부를 개폐하여 감쇠력을 발생시킨다. 감쇠력 발생 기구(41)는, 피스톤(18)의 축 방향의 일단 측인 축선 방향의 하실(20) 측에 배치되어 있다. 감쇠력 발생 기구(41)는 피스톤 로드(21)에 부착되어 있다. 감쇠력 발생 기구(41)는 하실(20) 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통로 구멍(37) 각각의 내측에 형성된 통로부는, 피스톤(18)의 상실(19) 측으로의 이동, 즉 신장 행정에 있어서 한쪽의 상실(19)에서 다른 쪽의 하실(20)로 향하여 오일액이 흘러나오는 통로가 된다. 오일액은 작동 유체이다. 이들 통로 구멍(37) 내의 통로부에 대하여 감쇠력 발생 기구(41)가 마련되어 있다. 감쇠력 발생 기구(41)는, 신장 측의 통로 구멍(37) 내의 통로부의 오일액의 유동을 억제하여 감쇠력을 발생시킨다. 감쇠력 발생 기구(41)는 신장 측의 감쇠력 발생 기구로 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나머지 반수를 구성하는 통로 구멍(39)은, 둘레 방향에 있어서, 각각 사이에 한 곳의 통로 구멍(37)을 사이에 두고서 등피치로 형성되어 있다. 통로 구멍(39)은, 피스톤(18)의 축선 방향 타측인 제2 측(도 2의 하측)이 피스톤(18)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개구되어 있다. 통로 구멍(39)은, 피스톤(18)의 축선 방향 일측인 제1 측(도 2의 상측)이 피스톤(18)의 직경 방향 내측으로 개구되어 있다.
이들 통로 구멍(39)에 감쇠력 발생 기구(42)가 마련되어 있다. 감쇠력 발생 기구(42)는, 이들 통로 구멍(39) 내의 통로부를 개폐하여 감쇠력을 발생시킨다. 감쇠력 발생 기구(42)는, 피스톤(18)의 축 방향의 타단 측인 축선 방향의 상실(19) 측에 배치되어 있다. 감쇠력 발생 기구(42)는 피스톤 로드(21)에 부착되어 있다. 감쇠력 발생 기구(42)는 상실(19) 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통로 구멍(39) 각각의 내측에 형성된 통로부는, 피스톤(18)의 하실(20) 측으로의 이동, 즉 축소 행정에 있어서 하실(20)에서 상실(19)로 향하여 오일액이 흘러나오는 통로가 된다. 이들 통로 구멍(39) 내의 통로부에 대하여 감쇠력 발생 기구(42)가 마련되어 있다. 감쇠력 발생 기구(42)는, 축소 측의 통로 구멍(39) 내의 통로부의 오일액의 유동을 억제하여 감쇠력을 발생시킨다. 감쇠력 발생 기구(42)는 축소 측의 감쇠력 발생 기구로 되어 있다.
이상에 의해, 복수의 통로 구멍(37) 내의 통로부와 복수의 통로 구멍(39) 내의 통로부가, 피스톤(18)의 이동에 의해 상실(19)과 하실(20) 사이를 오일액이 흐르도록 연통하게 된다. 통로 구멍(37) 내의 통로부는, 피스톤 로드(21) 및 피스톤(18)이 신장 측(도 2의 상측)으로 이동할 때에 오일액이 통과한다. 통로 구멍(39) 내의 통로부는, 피스톤 로드(21) 및 피스톤(18)이 축소 측(도 2의 하측)으로 이동할 때에 오일액이 통과한다.
피스톤 본체(35)는 대략 원판 형상을 이루고 있다. 피스톤 본체(35)의 직경 방향 중앙에는, 축 방향으로 관통하여 감합 구멍(45)이 형성되어 있다. 감합 구멍(45)은 피스톤 로드(21)의 마운팅 축부(28)를 감합시킨다. 피스톤 본체(35)의 축 방향의 하실(20) 측의 단부는, 그 감합 구멍(45)과 통로 구멍(37) 사이 부분이 감쇠력 발생 기구(41)의 내주 측을 지지하고 있다. 피스톤 본체(35)의 축 방향의 상실(19) 측의 단부는, 그 감합 구멍(45)과 통로 구멍(39) 사이 부분이 감쇠력 발생 기구(42)의 내주 측을 지지하고 있다.
피스톤 본체(35)의 축 방향의 하실(20) 측의 단부에는, 원환형의 밸브 시트부(47)가 형성되어 있다. 밸브 시트부(47)는, 피스톤 본체(35)의 통로 구멍(37)의 하실(20) 측의 개구보다도, 피스톤 본체(35)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에 형성되어 있다. 밸브 시트부(47)는 감쇠력 발생 기구(41)의 일부이다. 또한, 피스톤 본체(35)의 축 방향의 상실(19) 측의 단부에는, 원환형의 밸브 시트부(49)가 형성되어 있다. 밸브 시트부(49)는, 피스톤 본체(35)의 통로 구멍(39)의 상실(19) 측의 개구보다도, 피스톤 본체(35)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에 형성되어 있다. 밸브 시트부(49)는 감쇠력 발생 기구(42)의 일부이다. 피스톤 본체(35)의 감합 구멍(45)은 소직경 구멍부(201)와 대직경 구멍부(202)를 갖고 있다. 소직경 구멍부(201)는, 감합 구멍(45)의 축 방향의 밸브 시트부(49) 측에 형성되어 있다. 소직경 구멍부(201)는 피스톤 로드(21)의 마운팅 축부(28)를 감합시킨다. 대직경 구멍부(202)는 소직경 구멍부(201)보다도 대직경이다. 대직경 구멍부(202)는, 감합 구멍(45)의 소직경 구멍부(201)보다도 축 방향의 밸브 시트부(47) 측에 형성되어 있다.
피스톤 본체(35)에 있어서, 밸브 시트부(47)의 감합 구멍(45)과는 반대쪽은, 밸브 시트부(47)보다도 축선 방향 높이가 낮은 단차형을 이루고 있다. 피스톤 본체(35)에 있어서, 이 단차형 부분에, 축소 측의 통로 구멍(39) 내의 통로부의 하실(20) 측의 개구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마찬가지로, 피스톤 본체(35)에 있어서, 밸브 시트부(49)의 감합 구멍(45)과는 반대쪽은, 밸브 시트부(49)보다도 축선 방향 높이가 낮은 단차형을 이루고 있다. 피스톤 본체(35)에 있어서, 이 단차형 부분에, 신장 측의 통로 구멍(37) 내의 통로부의 상실(19) 측의 개구가 배치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피스톤(18)에는, 축 방향의 피스톤(18) 측에서부터 순차, 한 장의 디스크(51)와, 한 장의 디스크(211)와, 한 장의 디스크(212)와, 한 장의 디스크(213)와, 한 장의 파일럿 밸브(52)와, 한 장의 디스크(53)와, 한 장의 디스크(54)와, 하나의 파일럿 케이스(55)(케이스 부재)와, 한 장의 디스크(56)와, 한 장의 디스크(57)와, 한 장의 디스크(58)와, 한 장의 디스크(59)와, 한 장의 디스크(60)와, 한 장의 디스크(61)와, 한 장의 디스크(62)가 겹쳐 있다. 디스크(51, 53, 54, 56∼62, 211, 212, 213) 및 파일럿 케이스(55)는 모두 금속제이다. 디스크(51, 53, 54, 56∼62, 211, 212, 213)는 모두 일정 두께의 구멍을 지닌 평판형을 이루고 있으며, 모두 내측에 피스톤 로드(21)의 마운팅 축부(28)를 감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파일럿 밸브(52) 및 파일럿 케이스(55)는 원환형을 이루고 있으며, 모두 내측에 피스톤 로드(21)의 마운팅 축부(28)를 감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디스크(213)는 대판(帶板)형이다. 디스크(213) 이외의 디스크(51, 53, 54, 56∼62, 211, 212)는 원판(圓板)형을 이루고 있다.
파일럿 케이스(55)는 바닥을 지닌 통형이다. 파일럿 케이스(55)는, 바닥을 지닌 원판형의 바닥부(71)와, 내측 원통형부(72)와, 외측 원통형부(73)를 갖고 있다. 내측 원통형부(72)는 바닥부(71)의 내주 측에 형성되어 있다. 내측 원통형부(72)는 바닥부(71)의 두께 방향을 따르는 원통형이다. 외측 원통형부(73)는 바닥부(71)의 외주 측에 형성되어 있다. 외측 원통형부(73)는 바닥부(71)의 두께 방향을 따르는 원통형이다. 바닥부(71)는, 내측 원통형부(72) 및 외측 원통형부(73)에 대하여 축 방향의 일측으로 틀어져 있다. 바닥부(71)에는 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74)이 형성되어 있다. 내측 원통형부(72)의 내주에는 소직경 구멍부(75)와 대직경 구멍부(76)가 형성되어 있다. 소직경 구멍부(75)는, 내측 원통형부(72)의 축 방향의 바닥부(71) 측에 형성되어 있다. 소직경 구멍부(75)는 피스톤 로드(21)의 마운팅 축부(28)를 감합시킨다. 대직경 구멍부(76)는, 내측 원통형부(72)의 축 방향의 바닥부(71)와는 반대쪽에 형성되어 있다. 대직경 구멍부(76)는 소직경 구멍부(75)보다도 대직경이다.
파일럿 케이스(55)의 내측 원통형부(72)의 축 방향의 바닥부(71)와는 반대쪽의 단부는 디스크(54)의 내주 측을 지지하고 있다. 내측 원통형부(72)의 축 방향의 바닥부(71) 측의 단부는 디스크(56)의 내주 측을 지지하고 있다. 파일럿 케이스(55)의 외측 원통형부(73)의 축 방향의 바닥부(71) 측의 단부는 원환형의 밸브 시트부(79)로 되어 있다. 파일럿 케이스(55)의 내측 원통형부(72)와 외측 원통형부(73)의 사이는 파일럿실(80)(실)로 되어 있다. 파일럿실(80)은 관통 구멍(74)을 포함하고 있다. 파일럿실(80)은, 디스크(85) 및 시일부(86)를 갖는 파일럿 밸브(52)에 의해서 하실(20)과 구획되어 있다. 파일럿실(80)은, 디스크(85)를 포함하는 파일럿 밸브(52)에 피스톤(18) 방향으로 압력을 작용시킨다. 파일럿실(80)은 파일럿 밸브(52)에 배압을 가하는 배압실(背壓室)이다.
도 4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디스크(51)는, 그 외경이 밸브 시트부(47)의 내경보다도 소직경으로 되어 있다. 디스크(51)에는 절결(87)이 형성되어 있다. 절결(87)은, 디스크(51)의 피스톤 로드(21)의 마운팅 축부(28)에 감합하는 내주연부에서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절결(87) 내의 통로부는, 피스톤(18)의 통로 구멍(37) 내의 통로부에 항상 연통되어 있다. 통로 구멍(37) 내의 통로부는, 이 절결(87) 내의 통로부를 통해, 피스톤(18)의 대직경 구멍부(202)와 마운팅 축부(28) 사이의 통로부와, 피스톤 로드(21)의 통로 홈(30) 내의 통로부에 항상 연통되어 있다.
디스크(211)는, 그 외경이 피스톤(18)의 밸브 시트부(47)의 외경보다도 대직경으로 되어 있다. 디스크(211)는 밸브 시트부(47)에 맞닿아 있다. 디스크(211)는, 밸브 시트부(47)에 대하여 떨어짐 및 맞닿음으로써, 통로 구멍(37) 내의 통로부의 개구를 개폐한다. 통로 구멍(37)은 피스톤(18)에 형성되어 있다. 디스크(211)에는, 외주 측에 절결(215)이 형성되어 있다. 절결(215)은 밸브 시트부(47)를 직경 방향으로 횡단하고 있다. 절결(215)의 내측이 고정 오리피스(216)로 되어 있다. 고정 오리피스(216)는 통로 구멍(37) 내의 통로부를 하실(20)에 항상 연통시킨다. 디스크(212)는 외주부가 원형이며, 그 외경이 디스크(211)의 외경과 같은 직경으로 되어 있다. 디스크(211, 212)는, 디스크(211)가 피스톤(18)의 밸브 시트부(47)에 맞닿는다. 디스크(211, 212)는, 디스크(211)가 밸브 시트부(47)에 대하여 떨어짐 및 맞닿음으로써 피스톤(18)에 형성된 통로 구멍(37) 내의 통로부의 개구를 개폐한다.
디스크(213)는 한 방향으로 긴 대판형을 이루고 있다. 디스크(213)는 그 최대 외경이 디스크(211, 212)의 외경보다도 소직경이다.
파일럿 밸브(52)는 금속제 디스크(85)(디스크 밸브)와 고무제 시일부(86)로 이루어져 있다. 시일부(86)는 환형이며, 디스크(85)의 일면 측에 마련되어 있다. 시일부(86)는 디스크(85)에 고착되어 있다. 디스크(85)는 일정 두께의 바닥을 지닌 원형 평판형이다. 디스크(85)는, 내측에 피스톤 로드(21)의 마운팅 축부(28)를 감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디스크(85)는, 통형의 파일럿 케이스(55)의 개구부를 폐쇄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디스크(85)는, 그 외경이 디스크(211, 212)의 외경보다도 약간 대직경으로 되어 있다. 시일부(86)는, 디스크(85)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피스톤(18)과는 반대의 외주 측에 고착되어 있다. 시일부(86)는 원환형을 이루고 있다. 바꿔 말하면, 파일럿 밸브(52)는, 그 외주부에 환형의 시일부(86)를 갖고 있다.
시일부(86)는, 파일럿 케이스(55)의 외측 원통형부(73)의 내주면에 전체 둘레에 걸쳐 미끄럼 이동 가능하며 또한 액밀하게 감합되어 있다. 시일부(86)는, 파일럿 밸브(52)와 외측 원통형부(73)의 간극을 항상 시일한다. 바꿔 말하면, 파일럿 밸브(52)는, 시일부(86)를 파일럿 케이스(55)의 외측 원통형부(73)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면서 또한 바싹(closely) 감합시키고 있다. 그 결과, 파일럿 밸브(52)와 파일럿 케이스(55)가 서로의 사이에 파일럿실(80)을 형성한다.
디스크(211)는, 상술한 것과 같이, 피스톤(18)의 밸브 시트부(47)에 착좌(着座)할 수 있다. 디스크(211∼213) 및 파일럿 밸브(52)가 감쇠 밸브(231)를 구성하고 있다. 감쇠 밸브(231)는, 피스톤(18)에 형성된 통로 구멍(37) 내의 통로부에 마련되어 있다. 감쇠 밸브(231)는, 피스톤(18)의 신장 측(도 4의 상측)으로의 미끄럼 이동에 의해서 생기는 오일액의 흐름을 억제하여 감쇠력을 발생시킨다. 파일럿실(80)은 파일럿 밸브(52)와 파일럿 케이스(55)의 사이에 있다. 파일럿실(80)은, 이 감쇠 밸브(231)에, 피스톤(18) 방향, 즉 디스크(211)를 밸브 시트부(47)에 착좌시키는 밸브 폐쇄 방향으로 내압을 작용시킨다. 따라서, 감쇠 밸브(231)는 파일럿실(80)을 갖는 파일럿 타입의 감쇠 밸브이다. 디스크(85)를 포함하는 감쇠 밸브(231)는, 파일럿실(80)의 압력에 의해서 밸브 개방이 제어된다. 이들 감쇠 밸브(231) 및 파일럿실(80)은 감쇠력 발생 기구(41)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바꿔 말하면, 감쇠력 발생 기구(41)는 감쇠 밸브(231) 및 파일럿실(80)을 구비하고 있다. 감쇠력 발생 기구(41)는 압력 제어형의 밸브 기구로 되어 있다.
디스크(53)는, 그 외경이 파일럿 케이스(55)의 내측 원통형부(72)의 디스크(53) 측의 단부의 외경과 대략 같은 직경으로 되어 있다. 디스크(54)는, 그 외경이 내측 원통형부(72)의 이것에 접촉하는 부분의 외경보다도 대직경으로 되어 있다. 디스크(54)에는 절결(91)이 형성되어 있다. 절결(91)은, 디스크(54)에 있어서 피스톤 로드(21)의 마운팅 축부(28)에 감합하는 내주연부에서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절결(91) 내의 통로부는 파일럿실(80)에 항상 연통되어 있다. 파일럿실(80)은, 이 절결(91) 내의 통로부를 통해, 파일럿 케이스(55)의 대직경 구멍부(76)와 마운팅 축부(28) 사이의 통로부와, 피스톤 로드(21)의 통로 홈(30) 내의 통로부에 항상 연통되어 있다.
디스크(51)의 절결(87) 내의 통로부와, 피스톤(18)의 대직경 구멍부(202)와 마운팅 축부(28) 사이의 통로부와, 피스톤 로드(21)의 통로 홈(30) 내의 통로부와, 디스크(54)의 절결(91) 내의 통로부와, 파일럿 케이스(55)의 대직경 구멍부(76)와 마운팅 축부(28) 사이의 통로부가, 배압실 유입 통로부(235)로 되어 있다. 배압실 유입 통로부(235)는, 피스톤(18)의 통로 구멍(37) 내의 통로부와 파일럿실(80)을 항상 연통시킨다. 배압실 유입 통로부(235)는, 통로 구멍(37) 내의 통로부에서 파일럿실(80)로 오일액을 도입한다.
감쇠 밸브(231)는, 그 디스크(211)가 피스톤(18)의 밸브 시트부(47)로부터 이좌(離座)하여 연다. 그러면, 감쇠 밸브(231)는, 통로 구멍(37) 내의 통로부로부터의 오일액을, 통로부(88)를 통해 하실(20)로 흘린다. 통로부(88)는, 피스톤(18)과 파일럿 케이스(55)의 외측 원통형부(73)의 사이에서 직경 방향으로 넓어지는 부분이다. 복수의 통로 구멍(37) 각각의 내측에 형성된 통로부와, 감쇠 밸브(231)와밸브 시트부(47) 사이와 피스톤(18)과 파일럿 케이스(55)의 외측 원통형부(73) 사이의 통로부(88)가, 통로(101)(제1 통로)를 구성하고 있다. 이 통로(101)에는, 피스톤(18)의 이동에 의해 작동 유체로서의 오일액이 흐른다. 통로(101)는, 피스톤(18)의 상실(19) 측으로의 이동, 즉 신장 행정에 있어서 한쪽의 상실(19)에서 다른 쪽의 하실(20)로 향하여 작동 유체로서의 오일액이 흘러나온다. 통로(101)는 신장 측의 통로가 된다. 도 3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신장 측의 감쇠력 발생 기구(41)는 밸브 시트부(47)와 감쇠 밸브(231)를 포함하고 있다. 감쇠력 발생 기구(41)는 통로(101)에 마련되어 있다. 감쇠력 발생 기구(41)는, 감쇠 밸브(231)에 의해서 통로(101)를 개폐하여 오일액의 유동을 억제한다. 이에 따라, 감쇠력 발생 기구(41)는 감쇠력을 발생시킨다. 그리고, 신장 측의 감쇠력 발생 기구(41)는, 배압실 유입 통로부(235)를 통해 오일액의 흐름의 일부를 파일럿실(80)에 도입한다. 감쇠력 발생 기구(41)는, 파일럿실(80)의 압력에 의해서 감쇠 밸브(231)의 밸브 개방을 제어한다. 파일럿 밸브(52)는, 디스크(85)가 파일럿실(80)의 압력을 디스크(211, 212)에 가한다. 이에 따라, 디스크(85)는, 피스톤(18)의 내통(3) 내에서의 미끄럼 이동에 의해서 생기는 통로(101)에서의 작동 유체의 흐름을 규제한다. 디스크(85)는 디스크 밸브이다.
디스크(56)는, 그 외경이 파일럿 케이스(55)의 밸브 시트부(79)의 내경보다도 소직경으로 되어 있다. 디스크(57)는, 그 외경이 밸브 시트부(79)의 외경보다도 약간 대직경으로 되어 있다. 디스크(57)는 밸브 시트부(79)에 착좌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디스크(57)에는 외주 측에 절결(93)이 형성되어 있다. 절결(93)은 밸브 시트부(79)를 직경 방향으로 횡단하고 있다.
디스크(58), 디스크(59) 및 디스크(60)는, 각각의 외경이 디스크(57)의 외경과 같은 직경으로 되어 있다. 디스크(61)는, 그 외경이 디스크(60)의 외경보다도 소직경으로 되어 있다. 디스크(62)는, 그 외경이 디스크(61)의 외경보다도 대직경이면서 또한 디스크(60)의 외경보다도 소직경으로 되어 있다.
디스크(57∼60)가, 밸브 시트부(79)에 이착좌(離着座)할 수 있는 디스크 밸브인 밸브 부재(99)를 구성하고 있다. 밸브 부재(99)는, 밸브 시트부(79)로부터 이좌함으로써, 파일럿실(80)과 하실(20)을 연통시킴과 더불어 이들 사이의 오일액의 흐름을 억제한다. 복수의 통로 구멍(37) 각각의 내측에 형성된 통로부와, 배압실 유입 통로부(235)와, 파일럿실(80)과, 밸브 부재(99)와 밸브 시트부(79)의 사이가, 통로(103)를 구성하고 있다. 통로(103)는, 통로(101)와 일부 병렬하여 상실(19)과 하실(20)을 연통시킨다.
밸브 부재(99)는, 파일럿실(80) 내의 압력이 소정 압력에 달했을 때에, 밸브 시트부(79)로부터 이좌한다. 밸브 부재(99)는, 밸브 시트부(79)와 함께 감쇠력 발생 기구(105)를 구성하고 있다. 감쇠력 발생 기구(105)는, 파일럿실(80) 내의 압력이 소정 압력에 달했을 때에 밸브를 개방하고, 통로(103)를 열어 감쇠력을 발생시킨다.
파일럿실(80)은 파일럿 밸브(52)와 파일럿 케이스(55)와 밸브 부재(99)로 둘러싸여 형성되어 있다. 디스크(57)의 절결(93)의 내측의 통로부는 고정 오리피스(100)를 구성하고 있다. 고정 오리피스(100)는, 디스크(57)가 밸브 시트부(79)에 맞닿은 상태에 있더라도 파일럿실(80)을 하실(20)에 연통시킨다. 디스크(62)는, 밸브 부재(99)의 밸브 개방 방향으로의 변형 시에 디스크(60)에 맞닿아 밸브 부재(99)의 변형을 억제한다.
도 2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피스톤(18)에는, 축 방향의 피스톤(18) 측에서부터 순차 한 장의 디스크(111)와, 한 장의 디스크(112)와, 여러 장의 디스크(113)와, 여러 장의 디스크(114)와, 한 장의 디스크(115)와, 한 장의 디스크(116)와, 한 장의 환형 부재(117)가 겹쳐 있다. 디스크(111∼116) 및 환형 부재(117)는 모두 금속제이다. 디스크(111∼116) 및 환형 부재(117)는, 모두 일정 두께의 바닥을 지닌 원형 평판형을 이루고 있다. 디스크(111∼116) 및 환형 부재(117)는, 모두 내측에 피스톤 로드(21)의 마운팅 축부(28)를 감합할 수 있다.
디스크(111)는, 그 외경이 피스톤(18)의 밸브 시트부(49)의 내경보다도 소직경으로 되어 있다. 디스크(112)는, 그 외경이 피스톤(18)의 밸브 시트부(49)의 외경보다도 약간 대직경으로 되어 있다. 디스크(112)는 밸브 시트부(49)에 착좌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디스크(112)에는 외주 측에 절결(121)이 형성되어 있다. 절결(121)은 밸브 시트부(49)를 직경 방향으로 횡단하고 있다.
여러 장의 디스크(113)는, 각각의 외경이 디스크(112)의 외경과 같은 직경으로 되어 있다. 여러 장의 디스크(114)는, 각각의 외경이 디스크(113)의 외경보다도 소직경으로 되어 있다. 디스크(115)는, 그 외경이 디스크(114)의 외경보다도 소직경으로 되어 있다. 디스크(116)는, 그 외경이 디스크(114)의 외경보다도 대직경이면서 또한 디스크(113)의 외경보다도 소직경으로 되어 있다. 환형 부재(117)는, 그 외경이 디스크(116)의 외경보다도 소직경의 외경으로 되어 있다. 환형 부재(117)는 디스크(111∼116)보다도 두껍고 고강성으로 되어 있다. 이 환형 부재(117)는 피스톤 로드(21)의 축단부(29)에 맞닿아 있다.
디스크(112∼114)가 디스크 밸브인 밸브 부재(122)를 구성하고 있다. 밸브 부재(122)는 밸브 시트부(49)에 이착좌 가능하다. 밸브 부재(122)는, 밸브 시트부(49)로부터 이좌함으로써 통로 구멍(39) 내의 통로부를 상실(19)에 개방할 수 있다. 밸브 부재(122)는, 통로 구멍(39) 내의 통로부를 통한 상실(19)과 하실(20) 사이의 오일액의 흐름을 억제한다. 밸브 부재(122)와 밸브 시트부(49)가 축소 측의 감쇠력 발생 기구(42)를 구성하고 있다. 디스크(112)의 절결(121)은 고정 오리피스(123)를 구성하고 있다. 고정 오리피스(123)는, 디스크(112)가 밸브 시트부(49)에 맞닿은 상태에 있더라도 상실(19)과 하실(20)을 연통시킨다. 디스크(116)는 밸브 부재(122)의 밸브 개방 방향으로의 규정 이상의 변형을 억제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3에 도시하는 신장 측의 밸브 부재(99), 축소 측의 밸브 부재(122)를, 모두 내주 클램프의 디스크 밸브인 예를 나타냈다. 밸브 부재(99, 122)는, 이것에 한하지 않고, 감쇠력을 발생하는 기구이면 된다. 밸브 부재(99, 122)는, 예컨대 디스크 밸브를 코일 스프링으로 압박하는 리프트 타입의 밸브로 하여도 좋고, 또한 포펫 밸브라도 좋다.
도 3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피스톤 로드(21)의 마운팅 축부(28)에는, 감쇠력 발생 기구(105)의 피스톤(18)과는 반대쪽에 감쇠력 가변 기구(43)가 부착되어 있다. 감쇠력 가변 기구(43)는, 피스톤(18)의 왕복동(往復動)의 주파수(이하, 피스톤 주파수라고 부른다)에 감응하여 감쇠력을 가변으로 한다. 감쇠력 가변 기구(43)는, 축 방향의 감쇠력 발생 기구(105) 측에서부터 순차 디스크(62)에 맞닿는 하나의 케이스 본체(131)와, 한 장의 디스크(132)와, 두 장의 디스크(133) 및 한 장의 구획 디스크(134)와, 여러 장의 디스크(135)와, 덮개 부재(139)를 갖고 있다. 케이스 본체(131), 디스크(132, 133, 135) 및 덮개 부재(139)는 금속제이다. 디스크(132, 133, 135) 및 덮개 부재(139)는, 모두 일정 두께의 바닥을 지닌 원형 평판형을 이루고 있다. 디스크(132, 133, 135) 및 덮개 부재(139)는, 모두 내측에 피스톤 로드(21)의 마운팅 축부(28)를 감합할 수 있다. 케이스 본체(131)는 원환형을 이루고 있으며, 내측에 피스톤 로드(21)의 마운팅 축부(28)를 감합할 수 있다. 케이스 본체(131)는, 덮개 부재(139)와 박스형의 케이스(140)를 구성하고 있다. 케이스(140)에는, 내부에 피스톤 로드(21)의 마운팅 축부(28)가 일부 배치되어 있다.
케이스 본체(131)는, 구멍을 지닌 원판형의 기초부(141)와, 내측 원통형부(142)와, 지지부(143)와, 외측 원통형부(166)를 갖고 있다. 내측 원통형부(142)는 기초부(141)의 내주 측에 형성되어 있다. 내측 원통형부(142)는 기초부(141)의 두께 방향을 따른 원통형이다. 지지부(143)는 기초부(141)의 내측 원통형부(142)보다도 외주 측에 형성되어 있다. 지지부(143)는 기초부(141)의 두께 방향을 따른 원통형이다. 외측 원통형부(166)는 기초부(141)의 지지부(143)보다도 외주 측에 형성되어 있다. 외측 원통형부(166)는 기초부(141)의 두께 방향을 따른 원통형이다. 내측 원통형부(142)는 기초부(141)로부터 축 방향 양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지지부(143)는 기초부(141)로부터 축 방향 한쪽으로만 돌출되어 있다. 외측 원통형부(166)는 기초부(141)로부터 지지부(143)와 같은 쪽으로만 돌출되어 있다. 내측 원통형부(142)의 내측에는 소직경 구멍부(145)와 대직경 구멍부(146)가 형성되어 있다. 소직경 구멍부(145)는, 내측 원통형부(142)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지지부(143)의 돌출 방향과는 반대쪽에 형성되어 있다. 소직경 구멍부(145)는 피스톤 로드(21)의 마운팅 축부(28)를 감합시킨다. 대직경 구멍부(146)는, 내측 원통형부(142)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지지부(143) 측에 형성되어 있다. 대직경 구멍부(146)는 소직경 구멍부(145)보다 대직경이다. 덮개 부재(139)는 케이스 본체(131)의 외측 원통형부(166)에 감합되어 있다. 이에 따라, 덮개 부재(139)는 케이스 본체(131)와 통형의 케이스(140)를 구성한다.
케이스(140)의 직경 방향 중앙을 축 방향으로 마운팅 축부(28)가 관통하고 있다. 마운팅 축부(28)는 일부가 케이스 본체(131) 내에 배치된다. 케이스(140) 내에, 디스크(132), 디스크(133), 구획 디스크(134) 및 디스크(135)가 배치되어 있다. 디스크(132), 디스크(133), 구획 디스크(134) 및 디스크(135)는 마운팅 축부(28)를 각각의 내측으로 관통시키고 있다.
케이스 본체(131)의 내측 원통형부(142)는, 그 축 방향의 소직경 구멍부(145) 측의 일단부에서 디스크(62)의 내주 측을 지지하고 있다. 내측 원통형부(142)는, 그 축 방향의 대직경 구멍부(146) 측의 타단부에서 디스크(132)의 내주 측을 지지하고 있다. 케이스 본체(131)의 지지부(143)는, 그 돌출 선단 측의 단부에서, 환형의 구획 디스크(134)의 외주 측을 지지하고 있다. 또한, 지지부(143)에는 둘레 방향으로 부분적으로 절결(203)이 형성되어 있다. 절결(203)에 의해서 케이스 본체(131)에 있어서의 지지부(143)의 직경 방향 내측과 직경 방향 외측이 항상 연통되어 있다.
디스크(132)는, 내측 원통형부(142)의 이것에 접촉하는 부분보다도 대직경이면서 또한 지지부(143)의 내경보다도 소직경의 외경으로 되어 있다. 디스크(132)에는 절결(151)이 형성되어 있다. 절결(151)은, 디스크(132)에 있어서의 피스톤 로드(21)의 마운팅 축부(28)에 감합하는 내주연부에서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절결(151)은, 내측 원통형부(142)의 디스크(132)에의 접촉 부분을 직경 방향으로 횡단하고 있다. 두 장의 디스크(133)는, 각각의 외경이 디스크(132)의 외경보다도 소직경으로 되어 있다.
구획 디스크(134)는, 금속 재료로 이루어지는 디스크(155)(디스크 밸브)와, 고무 재료로 이루어지는 탄성 부재(156)로 이루어져 있다. 디스크(155)는 일정 두께의 바닥을 지닌 원형 평판형이며, 휘어짐이 가능하다. 탄성 부재(156)는 디스크(155)의 외주 측에 고착되어 있다. 구획 디스크(134)는 전체적으로 원환형이며, 탄성 변형 가능, 즉 휘어짐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디스크(155)는, 통형의 케이스 본체(131)의 개구부를 폐쇄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환형의 디스크(155)는, 그 내측에 디스크(133)를 직경 방향으로 간극을 두고서 배치할 수 있는 내경으로 되어 있다. 디스크(155)는, 그 두께가 디스크(133) 두 장분의 두께보다도 얇게 되어 있다. 디스크(155)는, 그 외경이 케이스 본체(131)의 지지부(143)의 외경보다도 대직경이면서 또한 외측 원통형부(166)의 내경보다도 소직경으로 되어 있다. 디스크(155)도, 마운팅 축부(28)를 내측으로 관통시켜 케이스(140) 내에 배치되어 있다.
탄성 부재(156)는 디스크(155)의 외주 측에 원환형을 이루어 고착되어 있다. 탄성 부재(156)는, 디스크(155)와 대향하는 면의 전면이 디스크(155)에 고착되어 있다. 탄성 부재(156)는 시일부(158)와 스토퍼부(159)(탄성부)를 갖고 있다. 시일부(158)는 환형이며, 디스크(155)의 외주 측에 마련되어 있다. 시일부(158)는 디스크(155)의 축 방향의 일면 측에 마련되어 있다. 시일부(158)는 디스크(155)로부터 축 방향의 덮개 부재(139)와는 반대쪽으로 돌출한다. 스토퍼부(159)는 디스크(155)로부터 축 방향의 덮개 부재(139) 측으로 돌출한다. 바꿔 말하면, 탄성 부재(156)는, 디스크(155)의 축 방향(두께 방향)의 한쪽의 면(181)의 외주 측에 시일부(158)를 갖고 있다. 탄성 부재(156)는, 디스크(155)의 축 방향(두께 방향)의 다른 쪽의 면(182)의 외주 측에 스토퍼부(159)를 갖고 있다. 디스크(155)에는, 일면(181) 측에 시일부(158)가 마련되어 있고, 타면(182) 측에 스토퍼부(159)가 마련되어 있다.
시일부(158)는, 디스크(155)의 전체 둘레에 걸쳐 연속되는 원환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시일부(158)는, 전체 둘레에 걸쳐 디스크(155)의 면(181)에 고착되어 있다. 시일부(158)는, 전체 둘레에 걸쳐 케이스 본체(131)의 외측 원통형부(166)의 내주면에 맞닿는다. 시일부(158)는 케이스 본체(131)와의 사이를 시일한다. 시일부(158)는 외측 원통형부(166)와의 사이를 항상 폐색한다. 스토퍼부(159)는, 구획 디스크(134)의 덮개 부재(139) 측으로의 변형 시에 덮개 부재(139)에 맞닿는다. 그 결과, 구획 디스크(134)는 그 이상의 변형이 억제된다.
도 5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스토퍼부(159)는 면(182)의 외주 측에 마련되어 있다. 스토퍼부(159)는 디스크(155)의 둘레 방향으로 단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스토퍼부(159)는 복수(구체적으로는 3개)의 스토퍼 구성부(160)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스토퍼 구성부(160)는 원호형이며, 디스크(155)의 외주연부를 따른 형상으로 되어 있다. 스토퍼부(159)는, 이들 스토퍼 구성부(160)가 디스크(155)의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서 디스크(155)의 면(182)에 고착되어 있다. 그 결과, 디스크(155)의 스토퍼부(159)가 마련된 면(182)의 외주 측에는, 디스크(155)가 노출되는 디스크 노출부(161)가 마련되어 있다. 디스크 노출부(161)는, 디스크(155)의 둘레 방향으로 인접하는 스토퍼 구성부(160)와 스토퍼 구성부(160)의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디스크 노출부(161)도 복수(구체적으로는 3곳)가 디스크(155)의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서 마련되어 있다. 디스크 노출부(161)는 스토퍼부(159)를 직경 방향으로 횡단하고 있다. 이로써, 디스크(155)의 면(182)에는, 둘레 방향으로 부분적으로 탄성 부재(156)의 스토퍼부(159)가 고착되어 있다.
복수의 스토퍼 구성부(160)는 디스크(155)의 둘레 방향의 길이가 동등하다. 복수의 스토퍼 구성부(160)는 디스크(155)의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그 결과, 복수의 디스크 노출부(161)는 디스크(155)의 둘레 방향의 길이가 동등하다. 복수의 디스크 노출부(161)는 디스크(155)의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스토퍼 구성부(160)의 디스크(155)의 둘레 방향의 길이는, 디스크 노출부(161)의 디스크(155)의 둘레 방향의 길이보다도 길게 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디스크(155)와 케이스 본체(131)의 외측 원통형부(166)의 사이에는 환형의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탄성 부재(156)는, 시일부(158)와 스토퍼부(159)가 이 간극을 통해 디스크(155)의 양면에 고착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탄성 부재(156)는, 디스크(155)와 외측 원통형부(166)의 간극을 통해, 디스크(155)의 양면에 고착되어 마련되어 있다. 또 바꿔 말하면, 시일부(158)와 스토퍼부(159)가 디스크(155)와 외측 원통형부(166)의 간극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이로써, 탄성 부재(156)는, 도 6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원환형의 연결부(162)를 갖고 있다. 연결부(162)는, 디스크(155)의 외주면(183)을 덮어 시일부(158)와 복수의 스토퍼 구성부(160)를 연결하고 있다. 디스크(155)의 외주면(183)은 전체 둘레에 걸쳐 연속되는 원형으로 되어 있다. 연결부(162)는 직경 방향 두께가 일정하며, 전체 둘레에 걸쳐 외주면(183)에 고착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이 연결부(162)가 디스크(155)와 외측 원통형부(166)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도 6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탄성 부재(156)는, 시일부(158)와 스토퍼부(159)와 연결부(162)가 디스크(155)에 가류(加硫) 접착되어 있다. 이 가류 접착 시에 이용되는 금형은, 시일부 형성 캐비티와 연결부 형성 캐비티와 스토퍼 구성부 형성 캐비티를 갖고 있다. 시일부 형성 캐비티는, 시일부(158)를 형성하면서 이것을 디스크(155)의 면(181)에 고착시킨다. 연결부 형성 캐비티는, 연결부(162)를 형성하면서 이것을 디스크(155)의 외주면(183)에 고착시킨다. 스토퍼 구성부 형성 캐비티는, 복수의 스토퍼 구성부(160)를 형성하면서 이것을 디스크(155)의 면(182)에 고착시킨다. 그리고 금형은, 인접하는 스토퍼 구성부 형성 캐비티와 스토퍼 구성부 형성 캐비티 사이의 부분이 디스크 맞닿음부가 된다. 디스크 맞닿음부는, 디스크 노출부(161)를 형성하기 위해서 디스크(155)에 맞닿는다. 따라서 금형은, 디스크(155)에 탄성 부재(156)를 형성할 때에, 복수(구체적으로는 3곳)의 등간격으로 배치된 디스크 맞닿음부에 있어서 디스크(155)의 외주 측의 둘레 방향의 복수(구체적으로는 3곳)의 등간격 위치를 지지하게 된다.
고무 재료는, 용융 상태에서, 금형 내에 배치된 디스크(155)에 대하여, 도 6에 화살표 Z로 나타내는 것과 같이 흐르게 된다. 고무 재료는, 시일부(158)를 형성하는 시일부 형성 캐비티로부터, 연결부(162)를 형성하는 연결부 형성 캐비티를 통과하여, 스토퍼부(159)를 형성하는 스토퍼 구성부 형성 캐비티로 흐르도록 금형에 도입되게 된다. 이 때, 연결부 형성 캐비티에 의해 유로가 조여진다. 이 때문에, 디스크(155)에는, 시일부 형성 캐비티 측과 스토퍼 구성부 형성 캐비티 측에 차압(差壓)이 생긴다. 그러나 금형은, 디스크(155)의 저압 측인 스토퍼 구성부 형성 캐비티 측의 면을 복수의 디스크 맞닿음부로 지지하고 있다. 이 때문에, 상기와 같은 차압이 발생하더라도 디스크(155)는 변형이 억제된다.
도 3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시일부(158)는, 그 내경이 디스크(155) 측의 단부의 지지부(143)의 외경보다도 대직경으로 되어 있다. 즉, 시일부(158)는 그 최소 내경이 지지부(143)의 외경보다도 대직경으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구획 디스크(134)는, 그 디스크(155)가 케이스 본체(131)의 지지부(143)에 맞닿아 지지된다.
디스크(135)는, 그 외경이 구획 디스크(134)의 디스크(155)의 내경보다도 대직경으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구획 디스크(134)는, 디스크(155)의 내주 측이 디스크(132)와 디스크(135)의 사이에 배치되고, 디스크(135)에 맞닿아 지지된다. 구획 디스크(134)는, 디스크(155)의 외주 측이 축 방향 일측에서 지지부(143)에 지지되어 있다. 디스크(135)는 구획 디스크(134)를 착좌시키는 시트부이다.
구획 디스크(134)는, 디스크(155)의 내주 측이, 디스크(132)와 디스크(135)의 사이에서, 두 장의 디스크(133)의 축 방향 길이의 범위에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구획 디스크(134)는, 디스크(155)의 디스크(135)에 의한 지지와는 반대의 지지하지 않는 측인 외주 측에, 케이스(140)와의 사이를 시일하는 환형의 탄성 부재(156)가 마련되어 있다. 구획 디스크(134)는 탄성 부재(156)가 케이스(140)의 외측 원통형부(166)에 접촉한다. 이에 따라, 구획 디스크(134)는, 케이스(140)에 대하여 센터링된다. 구획 디스크(134)는, 그 내주 측이 양면 측에서 클램프되지 않고 편면 측만 디스크(135)에 지지되는 단순 지지 구조로 되어 있다. 디스크(155) 중 시일부(158) 및 스토퍼부(159)가 고착되는 부분에 대하여 직경 방향의 반대쪽은, 디스크(155)가 휠 때의 지지점이 된다.
여기서, 스토퍼부(159)는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서 배치된 복수의 스토퍼 구성부(160)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지지부(143)에 절결(203)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구획 디스크(134)가 스토퍼부(159)에 있어서 덮개 부재(139)에 맞닿더라도, 디스크(155)에 있어서 케이스 본체(131)의 지지부(143)에 맞닿더라도, 디스크(155)의 시일부(158)가 마련되는 측의 수압 면적과 디스크(155)의 스토퍼부(159)가 마련되는 측의 수압 면적은 같은 정도가 된다.
덮개 부재(139)는, 내측에 피스톤 로드(21)의 마운팅 축부(28)를 감합할 수 있는 구멍을 지닌 원판형이다. 덮개 부재(139)는, 케이스 본체(131)의 외측 원통형부(166) 내에 감합되어 있다. 덮개 부재(139)에는, 직경 방향의 중간부에 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167)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 구멍(167)은, 덮개 부재(139)에 있어서의 디스크(135)보다도 직경 방향 외측에 형성되어 있다. 관통 구멍(167)은, 구획 디스크(134)가 휘어짐으로써 덮개 부재(139)에 접촉하는 스토퍼부(159)의 접촉 부분보다도 직경 방향 내측에 형성되어 있다.
구획 디스크(134)의 시일부(158)는, 상술한 것과 같이, 케이스 본체(131)의 외측 원통형부(166)의 내주면에 전체 둘레에 걸쳐 접촉한다. 이에 따라, 시일부(158)는 구획 디스크(134)와 외측 원통형부(166)와의 간극을 시일한다. 즉, 구획 디스크(134)는 패킹 밸브이다. 시일부(158)는, 구획 디스크(134)가 케이스(140) 내에서 허용되는 범위에서 변위 및 변형하더라도, 구획 디스크(134)와 외측 원통형부(166)의 간극을 항상 시일한다. 구획 디스크(134)는, 그 시일부(158)가 외측 원통형부(166)에 전체 둘레에 걸쳐 접촉한다. 이에 따라, 구획 디스크(134)는 상기한 것과 같이 케이스(140)에 대하여 센터링된다.
구획 디스크(134)는, 케이스(140) 내부를, 가변실(171)(실, 케이스실)과, 가변실(172)(실, 케이스실)의 2개의 실로 구획한다. 바꿔 말하면, 가변실(171)과 가변실(172)은, 디스크(155) 및 시일부(158)를 갖는 구획 디스크(134)에 의해서 구획되어 있다. 또 바꿔 말하면, 2개의 가변실(171)과 가변실(172)은, 디스크(155) 및 시일부(158)에 의해서 규정되며, 케이스 본체(131) 내에 마련되어 있다. 가변실(171)은, 구획 디스크(134)와 케이스 본체(131)의 기초부(141) 측과의 사이에 있으며 용량 가변이다. 가변실(172)은, 구획 디스크(134)와 덮개 부재(139)의 사이에 있으며 용량 가변이다. 바꿔 말하면, 2개의 가변실(171, 172)은, 디스크(155) 및 탄성 부재(156)로 이루어지는 구획 디스크(134)에 의해 규정되며, 케이스(140) 내에 마련되어 있다. 가변실(171)은, 디스크(132)의 절결(151) 내의 통로부를 통해 케이스 본체(131)의 대직경 구멍부(146)와 마운팅 축부(28) 사이의 통로부에 연통한다. 가변실(172)은, 덮개 부재(139)의 관통 구멍(167) 내의 통로부를 통해 하실(20)에 연통한다.
피스톤 로드(21)의 통로 홈(30)은, 피스톤 로드(21)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피스톤(18)의 대직경 구멍부(202), 디스크(51)의 절결(87), 디스크(54)의 절결(91), 파일럿 케이스(55)의 대직경 구멍부(76), 케이스 본체(131)의 대직경 구멍부(146) 및 디스크(132)의 절결(151)에 대향한다. 따라서, 디스크(51)의 절결(87) 내의 통로부와, 피스톤(18)의 대직경 구멍부(202)와 마운팅 축부(28) 사이의 통로부와, 피스톤 로드(21)의 통로 홈(30) 내의 통로부와, 디스크(54)의 절결(91) 내의 통로부와, 신장 측의 감쇠력 발생 기구(41)의 파일럿 케이스(55)의 대직경 구멍부(76)와 마운팅 축부(28) 사이의 통로부와, 감쇠력 가변 기구(43)의 케이스 본체(131)의 대직경 구멍부(146)와 마운팅 축부(28) 사이의 통로부와, 디스크(132)의 절결(151) 내의 통로부를 통해, 피스톤(18)의 통로 구멍(37) 내의 통로부와 파일럿실(80)과 가변실(171)이 항상 연통되게 된다.
피스톤(18)의 통로 구멍(37) 내의 통로부와, 디스크(51)의 절결(87) 내의 통로부와, 피스톤(18)의 대직경 구멍부(202)와 마운팅 축부(28) 사이의 통로부와, 피스톤 로드(21)의 통로 홈(30) 내의 통로부와, 케이스 본체(131)의 대직경 구멍부(146)와 마운팅 축부(28) 사이의 통로부와, 디스크(132)의 절결(151) 내의 통로부와, 케이스(140) 내의 가변실(171, 172)과, 덮개 부재(139)의 관통 구멍(167) 내의 통로부가, 통로(107)(제2 통로)를 구성하고 있다. 통로(107)는, 상실(19)과 하실(20)을 연결하여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통형의 케이스 본체(131)에는, 통로(107)의 적어도 일부인 가변실(171, 172)이 내부에 형성되어 있다. 통로(107)는, 통로(101, 103)와는 일부 다른 루트로 상실(19)과 하실(20)을 연결하고 있다. 구획 디스크(134)는, 디스크(155)가 피스톤(18)의 내통(3) 내에서 미끄럼 이동함으로써 생기는 통로(107)에서의 작동 유체의 흐름을 규제한다. 디스크(155)는 디스크 밸브이다.
통로(107)는, 상실(19) 측의 통로 구멍(37) 내의 통로부가 통로(101)와 공통이다. 통로(107)는, 통로 구멍(37) 내의 통로부보다도 하실(20) 측이 통로(101)와 병렬로 마련되어 있다. 즉, 통로(107)에 있어서, 디스크(51)의 절결(87) 내의 통로부와, 피스톤(18)의 대직경 구멍부(202)와 마운팅 축부(28) 사이의 통로부와, 피스톤 로드(21)의 통로 홈(30) 내의 통로부와, 케이스 본체(131)의 대직경 구멍부(146)와 마운팅 축부(28) 사이의 통로부와, 디스크(132)의 절결(151) 내의 통로부와, 케이스(140) 내의 가변실(171, 172)과, 덮개 부재(139)의 관통 구멍(167) 내의 통로부가, 병렬 통로(109)로 되어 있다. 병렬 통로(109)는, 통로(101) 중의 밸브 시트부(47)와 감쇠 밸브(231)의 사이와 통로부(88)를 연결하는 통로에 병렬로 늘어선다.
감쇠력 가변 기구(43)의 케이스(140)는 병렬 통로(109)에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케이스(140)에는, 그 내부에, 병렬 통로(109)의 일부인 2개의 가변실(171, 172)이 구획 디스크(134)에 의해 구획되어 마련되어 있다.
구획 디스크(134)는, 내주 측이 디스크(132)와 디스크(135)의 사이에서 이동하고 외주 측이 지지부(143)와 덮개 부재(139)의 사이에서 이동하는 범위에서 변위 및 변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여기서, 지지부(143)와 디스크(135) 사이의 축 방향의 최단 거리는, 디스크(155)의 축 방향의 두께보다도 작게 되어 있다. 지지부(143)는, 구획 디스크(134)의 디스크(155)의 외주 측을 축 방향 일측에서 지지한다. 디스크(135)는, 디스크(155)의 내주 측을 축 방향 타측에서 지지한다. 따라서, 가변실(171, 172)이 동압(同壓)일 때, 디스크(155)는 약간 변형한 상태에서 지지부(143)와 디스크(135)에 자신의 탄성력으로 압접(壓接)한다.
구획 디스크(134)는, 그 디스크(155)의 내주 측이 전체 둘레에 걸쳐 디스크(135)에 접촉하는 상태에서는, 병렬 통로(109)의 가변실(171, 172) 사이의 오일액의 유통을 차단한다. 또한, 구획 디스크(134)는, 그 디스크(155)의 내주 측이 디스크(135)로부터 이격하는 상태에서는, 가변실(171)과 가변실(172), 즉 하실(20)과의 사이의 오일액의 유통을 허용한다. 따라서, 구획 디스크(134)의 디스크(155)의 내주 측과 시트부로서의 디스크(135)가, 체크 밸브(245)를 구성하고 있다. 체크 밸브(245)는, 병렬 통로(109)에 있어서, 가변실(171)에서 하실(20)로의 오일액의 흐름을 규제하는 한편, 하실(20)에서 가변실(171)로의 오일액의 흐름을 허용한다.
신장 행정에서는, 상실(19) 측의 압력이 하실(20)의 압력보다 높아진다. 체크 밸브(245)는, 이 신장 행정에서는, 피스톤(18)의 통로 구멍(37) 내의 통로부를 통해 상실(19)과 하실(20)을 연통할 수 있는 병렬 통로(109)를 차단한다. 축소 행정에서는, 상실(19) 측의 압력이 하실(20)의 압력보다 낮게 된다. 체크 밸브(245)는, 이 축소 행정에서는 병렬 통로(109)를 연통 상태로 한다.
체크 밸브(245)는 구획 디스크(134)가 그 밸브체이다. 체크 밸브(245)는, 구획 디스크(134) 전체가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프리 밸브이다. 또한, 구획 디스크(134)가, 가변실(171, 172)의 압력 상태에 관계없이, 그 디스크(155)의 내주의 전체 둘레를 항상 디스크(135)에 접촉시키도록 설정하거나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하여, 구획 디스크(134)가, 병렬 통로(109)의 가변실(171, 172) 사이의 유통을 항상 차단하도록 하여도 좋다. 즉, 구획 디스크(134)의 디스크(155)는, 통로(107)의 가변실(171) 및 가변실(172) 사이의 양방향의 작동 유체의 유통의 차단을 포함하는, 적어도 일방향으로의 작동 유체의 유통을 차단하면 된다.
피스톤 로드(21)에는, 마운팅 축부(28)를 각각의 내측에 삽입 관통시킨 상태에서, 환형 부재(117), 디스크(116), 디스크(115), 여러 장의 디스크(114), 여러 장의 디스크(113), 디스크(112), 디스크(111), 피스톤(18), 디스크(51), 디스크(211), 디스크(212), 디스크(213), 파일럿 밸브(52), 디스크(53), 디스크(54), 파일럿 케이스(55), 디스크(56), 디스크(57), 디스크(58), 디스크(59), 디스크(60), 디스크(61), 디스크(62), 케이스 본체(131), 디스크(132), 여러 장의 디스크(133)가, 이 순서로 축단부(29)에 겹쳐 있다. 이 때, 파일럿 케이스(55)는, 파일럿 밸브(52)의 시일부(86)를 외측 원통형부(73)에 감합시키고 있다.
또한, 디스크(133)를 내측에 삽입 관통시킨 상태에서, 구획 디스크(134)가 케이스 본체(131)의 지지부(143)에 겹쳐 있다. 이 때, 구획 디스크(134)의 탄성 부재(156)는 케이스 본체(131)의 외측 원통형부(166)에 감합되어 있다. 또한, 마운팅 축부(28)를 각각의 내측에 삽입 관통시킨 상태에서, 여러 장의 디스크(135)가 디스크(133) 및 구획 디스크(134)의 디스크(155)에 겹쳐 있다. 마운팅 축부(28)를 내측에 삽입 관통시킨 상태에서, 덮개 부재(139)가 디스크(135)에 겹쳐 있다. 이에 더하여, 여러 장의 디스크(248), 환형 부재(117)와 공통 부품인 환형 부재(175)가, 마운팅 축부(28)를 내측으로 삽입 관통시켜 덮개 부재(139)에 겹쳐 있다.
이와 같이 부품이 배치된 상태에서, 환형 부재(175)보다도 돌출하는 마운팅 축부(28)의 수나사(31)에 너트(176)가 나사 결합되어 있다. 이에 따라, 환형 부재(117), 디스크(116), 디스크(115), 여러 장의 디스크(114), 여러 장의 디스크(113), 디스크(112, 111), 피스톤(18), 디스크(51), 디스크(211), 디스크(212), 디스크(213), 파일럿 밸브(52), 디스크(53, 54), 파일럿 케이스(55), 디스크(56∼62), 케이스 본체(131), 디스크(132), 여러 장의 디스크(133), 여러 장의 디스크(135), 덮개 부재(139), 여러 장의 디스크(248) 및 환형 부재(175)는, 각각 내주측 또는 전부가 피스톤 로드(21)의 축단부(29)와 너트(176)에 협지(挾持)되어 축 방향으로 클램프되어 있다. 그 때, 구획 디스크(134)는, 내주 측이 축 방향으로 클램프되는 일은 없다. 너트(176)는 범용의 육각 너트이다.
이상에 의해, 축소 측의 감쇠력 발생 기구(42)와, 피스톤(18)과, 신장 측의 감쇠력 발생 기구(41)와, 신장 측의 감쇠력 발생 기구(105)와, 신장 측의 감쇠력 가변 기구(43)가, 각각의 내주 측에 피스톤 로드(21)가 삽입 관통된 상태에서, 피스톤 로드(21)에 너트(176)에 의해 체결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피스톤(18)과, 감쇠력 가변 기구(43)를 구성하는 케이스 본체(131), 디스크(132), 여러 장의 디스크(133), 여러 장의 디스크(135) 및 덮개 부재(139)가, 내주 측에 피스톤 로드(21)가 삽입 관통된 상태에서, 피스톤 로드(21)에 너트(176)에 의해 체결되어 있다. 또한, 감쇠력 가변 기구(43)를 미리 조립한 상태에서, 피스톤 로드(21)에 조립 부착할 수도 있다. 그 경우, 피스톤 로드(21) 대신에 더미의 로드를 삽입 관통시켜 놓고, 이 로드를 뽑으면서 피스톤 로드(21)의 마운팅 축부(28)를 감쇠력 가변 기구(43)의 내주 측에 삽입 관통시키게 된다. 감쇠력 가변 기구(43)를 미리 조립한 상태로 하는 경우, 케이스 본체(131)의 외측 원통형부(166)에 덮개 부재(139)를 압입하여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도 1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외통(4)의 바닥 부재(12)와 내통(3)의 사이에는, 상기한 베이스 밸브(25)가 마련되어 있다. 이 베이스 밸브(25)는, 베이스 밸브 부재(191)와 디스크(192)와 디스크(193)와 마운팅 핀(194)을 갖고 있다. 베이스 밸브 부재(191)는 하실(20)과 리저버실(6)을 구획한다. 디스크(192)는, 베이스 밸브 부재(191)의 하측, 즉 리저버실(6) 측에 마련된다. 디스크(193)는, 베이스 밸브 부재(191)의 상측, 즉 하실(20) 측에 마련된다. 마운팅 핀(194)은 베이스 밸브 부재(191)에 디스크(192) 및 디스크(193)를 부착한다.
베이스 밸브 부재(191)는 원환형을 이루고 있고, 직경 방향의 중앙에 마운팅 핀(194)이 삽입 관통된다. 베이스 밸브 부재(191)에는, 복수의 통로 구멍(195)과 복수의 통로 구멍(196)이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통로 구멍(195)은, 하실(20)과 리저버실(6)의 사이에서 오일액을 유통시킨다. 복수의 통로 구멍(196)은, 이들 통로 구멍(195)의 직경 방향의 외측에서, 하실(20)과 리저버실(6)의 사이에서 오일액을 유통시킨다. 리저버실(6) 측의 디스크(192)는, 하실(20)에서 통로 구멍(195)을 통한 리저버실(6)로의 오일액의 흐름을 허용한다. 한편, 디스크(192)는, 리저버실(6)에서 하실(20)로의 통로 구멍(195)을 통한 오일액의 흐름을 억제한다. 디스크(193)는, 리저버실(6)에서 통로 구멍(196)을 통한 하실(20)로의 오일액의 흐름을 허용한다. 한편 디스크(193)는, 하실(20)에서 리저버실(6)로의 통로 구멍(196)을 통한 오일액의 흐름을 억제한다.
디스크(192)는, 베이스 밸브 부재(191)에 의해서 축소 측의 감쇠 밸브(197)를 구성하고 있다. 감쇠 밸브(197)는, 완충기(1)의 축소 행정에 있어서 밸브를 개방하여 하실(20)로부터 리저버실(6)에 오일액을 흘림과 더불어 감쇠력을 발생한다. 디스크(193)는, 베이스 밸브 부재(191)에 의해서 석션 밸브(198)를 구성하고 있다. 석션 밸브(198)는, 완충기(1)의 신장 행정에 있어서 밸브를 개방하여 리저버실(6)로부터 하실(20) 내에 오일액을 흘린다. 여기서, 석션 밸브(198)는, 주로 피스톤 로드(21)가 실린더(2)로부터 신장되어 나옴으로 인해 생기는 액의 부족분을 보충하도록 리저버실(6)로부터 하실(20)에 실질적으로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일 없이 액을 흘리는 기능을 한다.
피스톤 로드(21)가 신장 측으로 이동하는 신장 행정에서, 감쇠력 가변 기구(43)가 없다고 가정한다. 그러면, 피스톤(18)의 이동 속도(이하, 피스톤 속도라고 부른다)가 늦을 때, 상실(19)로부터의 오일액은, 도 3에 도시하는 통로 구멍(37) 내의 통로부로부터, 감쇠력 발생 기구(41)의 고정 오리피스(216)와, 피스톤(18)과 파일럿 케이스(55)의 외측 원통형부(73) 사이의 통로부(88)를 포함하는 통로(101)를 통해 하실(20)에 흐른다. 이 때는, 오리피스 특성(감쇠력이 피스톤 속도의 2승에 거의 비례한다)의 감쇠력이 발생한다. 이 때문에, 피스톤 속도에 대한 감쇠력의 특성은, 피스톤 속도의 상승에 대하여 비교적 감쇠력의 상승률이 높아지는 특성으로 된다.
피스톤 속도가 빨라지면, 상실(19)로부터의 오일액은, 통로 구멍(37) 내의 통로부로부터, 메인 밸브인 감쇠력 발생 기구(41)의 감쇠 밸브(231)를 열면서, 감쇠 밸브(231)와 피스톤(18)의 밸브 시트부(47)의 간극과, 통로부(88)를 포함하는 통로(101)를 통해 하실(20)에 흐른다. 이 때는, 밸브 특성(감쇠력이 피스톤 속도에 거의 비례한다)의 감쇠력이 발생한다. 이 때문에, 피스톤 속도에 대한 감쇠력의 특성은, 피스톤 속도의 상승에 대하여 감쇠력의 상승률이 내려가는 특성으로 된다.
피스톤 속도가 더욱 빨라지면, 상실(19)로부터의 오일액은, 감쇠력 발생 기구(41)의 이격되는 감쇠 밸브(231)와 밸브 시트부(47)와 간극을 포함하는 통로(101)를 통한 하실(20)로의 흐름에 더하여, 배압실 유입 통로부(235)와, 파일럿실(80)로부터, 도 3에 도시하는 하드 밸브인 감쇠력 발생 기구(105)의 밸브 부재(99)를 열면서, 배압실 유입 통로부(235)와, 파일럿실(80)과, 밸브 부재(99)와 밸브 시트부(79)의 간극을 포함하는 통로(103)를 통해, 하실(20)로 흐르게 된다. 이에 따라, 감쇠력의 상승을 더욱 억제하게 된다. 이 때문에, 피스톤 속도에 대한 감쇠력의 특성은, 피스톤 속도의 상승에 대하여 감쇠력의 상승률이 더욱 내려가는 특성으로 된다.
피스톤 속도가 더욱 빨라지면, 파일럿 밸브(52)에 작용하는 힘(유압)의 관계는, 통로 구멍(37) 내의 통로부로부터 가해지는 열림 방향의 힘이, 파일럿실(80)로부터 더해지는 밸브 폐쇄 방향의 힘보다도 커진다. 따라서, 이 영역에서는, 피스톤 속도의 증가에 따라, 감쇠력 발생 기구(41)의 감쇠 밸브(231)가, 피스톤(18)의 밸브 시트부(47)로부터 상기한 것보다도 떨어져 열리게 된다. 그 결과, 통로 구멍(37) 내의 통로부와, 배압실 유입 통로부(235)와, 파일럿실(80)과, 감쇠력 발생 기구(105)의 밸브 부재(99) 및 밸브 시트부(79)의 간극을 포함하는 통로(103)를 통한 하실(20)로의 흐름에 더하여, 통로부(88)를 포함하는 통로(101)를 통해 하실(20)로 오일액을 흘린다. 이에 따라, 보다 많은 오일액을 하실(20)에 흘린다. 이 때문에, 감쇠력의 상승을 한층 더 억제하게 된다. 따라서, 피스톤 속도에 대한 감쇠력의 특성은, 피스톤 속도의 상승에 대하여 감쇠력의 상승률이 더욱 내려가는 특성으로 된다.
피스톤 로드(21)가 축소 측으로 이동하는 축소 행정에서는, 피스톤 속도가 늦을 때, 하실(20)로부터의 오일액은, 도 2에 도시하는 축소 측의 통로 구멍(39) 내의 통로부와, 감쇠력 발생 기구(42)의 밸브 부재(122)의 고정 오리피스(123)를 통해 상실(19)로 흐른다. 이 때는, 오리피스 특성(감쇠력이 피스톤 속도의 2승에 거의 비례한다)의 감쇠력이 발생하게 된다. 이 때문에, 피스톤 속도에 대한 감쇠력의 특성은, 피스톤 속도의 상승에 대하여 비교적 감쇠력의 상승률이 높아진다. 또한, 피스톤 속도가 빨라지면, 하실(20)로부터 축소 측의 통로 구멍(39) 내의 통로부에 도입된 오일액이, 기본적으로 감쇠력 발생 기구(42)의 밸브 부재(122)를 열면서 밸브 부재(122)와 밸브 시트부(49)의 사이를 지나 상실(19)로 흐르게 된다. 이 때는, 밸브 특성(감쇠력이 피스톤 속도에 거의 비례한다)의 감쇠력이 발생한다. 이 때문에, 피스톤 속도에 대한 감쇠력의 특성은, 피스톤 속도의 상승에 대하여 감쇠력의 상승률이 내려가는 특성으로 된다.
이상이 감쇠력 가변 기구(43)가 없다고 가정한 경우이지만, 제1 실시형태에서는, 감쇠력 가변 기구(43)가 피스톤 속도가 동일한 경우라도, 피스톤 주파수에 따라서 감쇠력을 가변으로 한다.
즉, 피스톤 주파수가 높을 때, 피스톤(18)의 진폭은 작다. 이와 같이 피스톤 주파수가 높을 때의 신장 행정에서는, 상실(19)의 압력이 높아지고, 도 3에 도시하는 통로(107)의 통로 구멍(37) 내의 통로부와, 디스크(51)의 절결(87) 내의 통로부와, 피스톤(18)의 대직경 구멍부(202)와 마운팅 축부(28) 사이의 통로부와, 피스톤 로드(21)의 통로 홈(30) 내의 통로부와, 케이스 본체(131)의 대직경 구멍부(146)와 마운팅 축부(28) 사이의 통로부와, 디스크(132)의 절결(151) 내의 통로부를 통해, 케이스(140) 내의 가변실(171)에 상실(19)로부터 오일액을 도입시킨다. 그러면, 이에 따라, 그때까지 지지부(143)와 디스크(135)에 디스크(155)에 있어서 맞닿아 있던 구획 디스크(134)가, 스토퍼부(159)를 덮개 부재(139)에 가까이 하도록 변형하여 가변실(171)의 용적을 확대한다. 이와 더불어, 구획 디스크(134)는, 통로(107)의 하실(20) 측의 부분인 가변실(172)로부터, 덮개 부재(139)의 관통 구멍(167) 내의 통로부를 통해 하실(20)에 오일액을 배출시킨다.
이와 같이 구획 디스크(134)가 변형함으로써, 가변실(171)에 상실(19)로부터 오일액을 도입하게 된다. 그 결과, 상실(19)로부터, 감쇠력 발생 기구(41)를 열면서, 통로(101)를 통해 하실(20)에 흐르는 오일액의 유량이 줄어들게 된다. 이에 더하여, 가변실(171)에 상실(19)로부터 오일액을 도입함으로써, 가변실(171)이 없는 경우와 비교하여 파일럿실(80)의 압력 상승이 억제된다. 따라서, 감쇠력 발생 기구(41)의 감쇠 밸브(231)가 밸브 개방되기 쉬워진다. 이들에 의해서 신장 측의 감쇠력이 소프트로 된다. 이 때, 하드 밸브인 감쇠력 발생 기구(105)는 밸브 개방되지 않는다. 여기서, 구획 디스크(134)의 내주 측은, 디스크(132)로부터 이격하여 디스크(135)에 편면 측에서만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내주 측이 디스크(132)에 가까워지도록 변형하기 쉽다. 따라서, 구획 디스크(134)는, 외주 측의 스토퍼부(159)가 덮개 부재(139)에 가까워지도록 용이하게 변형된다.
다른 한편, 피스톤 주파수가 낮을 때, 피스톤(18)의 진폭은 크다. 이와 같이 피스톤 주파수가 낮을 때의 신장 행정에서는, 구획 디스크(134)의 변형의 주파수도 따라서 낮아진다. 이 때문에, 신장 행정 초기에, 상기와 같이, 통로(107)를 통해 상실(19)로부터 가변실(171)에 오일액이 흐르지만, 그 후에는 구획 디스크(134)가 스토퍼부(159)에 의해 덮개 부재(139)에 맞닿아 정지한다. 그 결과, 상실(19)로부터 가변실(171)에 오일액이 흐르지 않게 된다. 가변실(171)에 상실(19)로부터 오일액이 흐르지 않게 되므로, 가변실(171)의 압력이 상승하여, 가변실(171)에 항상 연통하는 파일럿실(80)의 압력도 상승한다. 따라서, 파일럿실(80)이 감쇠력 발생 기구(41)의 감쇠 밸브(231)의 밸브 개방을 억제하는 상태가 된다. 즉, 감쇠력 발생 기구(41)는, 감쇠 밸브(231)가 개방되지 않고, 고정 오리피스(216)를 통해, 상실(19)로부터 하실(20)에 오일액을 흘리는 상태가 된다. 그 결과, 신장 측의 감쇠력이 하드로 된다.
또한 파일럿실(80)의 압력이 상승하면, 오일액은, 하드 밸브인 감쇠력 발생 기구(105)의 밸브 부재(99)를 열어, 밸브 부재(99)와 밸브 시트부(79)의 간극을 포함하는 통로(103)를 지나 하실(20)에 흐르게 된다. 또한 파일럿실(80)의 압력이 상승하면, 오일액은, 통로(103)를 지나는 흐름에 더하여, 감쇠력 발생 기구(41)의 감쇠 밸브(231)를 밸브 개방시켜 통로(101)로부터 하실(20)에 흐르게 된다. 이상에 의해, 피스톤 주파수가 낮을 때의 신장 측의 감쇠력이 하드로 된다.
여기서, 감쇠력 가변 기구(43)는, 축소 행정일 때는, 하실(20)의 압력이 높아지고, 가변실(172)의 압력 쪽이 가변실(171)의 압력보다도 높아진다. 그 결과, 체크 밸브(245)의 밸브체로서의 구획 디스크(134)의 디스크(155)가, 케이스 본체(131)의 지지부(143)를 지점으로 하여 변형하여, 체크 밸브(245)의 밸브 시트로서의 디스크(135)로부터 이좌한다. 이에 따라, 체크 밸브(245)가 관통 구멍(167) 내의 통로부를 포함하는 통로(107)를 열어, 하실(20)에서 상실(19)로 향하여 오일액을 흘린다. 그 때에, 디스크(155)는 디스크(135)로부터 떨어짐으로써 차압이 없어져, 그 이상의 이동이 억제된다.
상기한 특허문헌 1의 완충기에는, 주파수에 감응하여 감쇠력을 가변으로 하는 감쇠력 가변 기구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완충기에 있어서, 생산성의 향상이 요구되고 있다.
제1 실시형태의 완충기(1)는, 주파수에 감응하여 감쇠력을 가변으로 한다. 이 때문에, 완충기(1)는, 통로(107)의 일부를 케이스(140) 내에 형성하고, 케이스(140) 내에 가변실(171)과 가변실(172)을 구획 디스크(134)에 의해 규정하고 있다. 이 구획 디스크(134)는 디스크(155)와 탄성 부재(156)로 이루어져 있다. 탄성 부재(156)는, 디스크(155)의 한쪽의 면(181) 측에 시일부(158)가 고착되고, 디스크(155)의 다른 쪽의 면(182) 측에 스토퍼부(159)가 고착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디스크(155)의 양면(181, 182)에 탄성 부재(156)를 고착하는 구조이면, 구획 디스크(134)의 생산성이 좋지 않다고 하는 과제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디스크(155)를 금형의 캐비티 내에 배치하여 탄성 부재(156)의 용융 재료(고무 재료)를 캐비티 내에 주입하게 된다. 이 때, 용융 재료의 주입 속도가 빠르면, 주입 시에 생기는 차압으로 디스크(155)가 변형되어 버리고, 이 상태에서 탄성 부재(156)가 고화되어 버리면, 성형품으로서의 정밀도를 확보할 수 없을 가능성이 있다. 또한, 연결부(162)의 직경 방향의 폭을 넓히면, 주입 속도를 빨리 하더라도 디스크(155)에 생기는 차압을 작게 할 수 있어, 디스크(155)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그러나, 연결부(162)의 직경 방향의 폭을 넓히면, 시일부(158)의 강성이 내려가고, 완충기(1)의 내압성이 내려간다. 이 때문에, 용융 재료의 주입 속도를 빠르게 할 수 없어, 생산성 향상의 점에서 개선의 여지가 있다.
제1 실시형태의 완충기(1)는, 탄성 부재(156)가, 디스크(155)와 케이스(140) 사이에 형성된 환형의 간극을 통해, 디스크(155)의 양면에 고착되어 마련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디스크(155)의 한쪽의 면(181) 측에 고착되는 시일부(158)에 대하여, 다른 쪽의 면(182) 측에 고착되는, 시일 기능이 불필요한 스토퍼부(159)를 둘레 방향으로 부분적으로 고착하여 디스크 노출부(161)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디스크(155)의 다른 쪽의 면(182) 측의 디스크 노출부(161)가 되는 부분을 금형으로 누를 수 있다. 그 결과, 탄성 부재(156)를 형성하기 위한 용융 재료의 주입 시에 차압이 생기더라도 디스크(155)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이로써, 재료의 주입 속도를 빠르게 하더라도, 성형품으로서의 정밀도를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구획 디스크(134)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그 결과, 완충기(1)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이어서, 제2 실시형태를 주로 도 7, 도 8, 도 9a, 도 9b에 기초하여 제1 실시형태와 상이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제1 실시형태와 공통되는 부위에 관해서는 동일한 칭호, 동일한 부호로 나타낸다.
제2 실시형태에서는, 구획 디스크(134)만이 제1 실시형태와 일부 다르다. 즉, 제2 실시형태에서는 도 7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디스크(155)의 외주면(183)이 제1 실시형태와 같이 전체 둘레에 걸쳐 연속되는 원형으로 되어 있지는 않다. 디스크(155)는, 외주면(183)을 포함하는 외주연부(301)에, 외주면(183)보다도 직경 방향 안쪽으로 움푹 들어간 절결부(302)가 형성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디스크(155)에는, 케이스 본체(131)의 외측 원통형부(166)와의 간극 측인 외주연부(301)에, 복수의 절결부(302)가 형성되어 있다. 절결부(302)는 디스크(155)의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복수(구체적으로는 8곳)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절결부(302)는 디스크(155)를 축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제2 실시형태의 탄성 부재(156)의 연결부(162)는 주체부(305)와 돌출부(306)를 갖고 있다. 주체부(305)는 디스크(155)의 외주면(183)에 고착되어 있으며, 원환형이다. 돌출부(306)는 주체부(305)보다도 직경 방향 안쪽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절결부(302)에 고착되어 있다. 돌출부(306)는 절결부(302)와 동수(구체적으로는 8곳)이다. 돌출부(306)는 주체부(305)의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도 8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제2 실시형태의 탄성 부재(156)의 스토퍼부(159)는, 디스크(155)의 둘레 방향으로 전체 둘레에 걸쳐 연속되어 있으며, 원환형을 이루고 있다. 즉, 제2 실시형태의 구획 디스크(134)에는, 제1 실시형태의 디스크 노출부(161)는 형성되어 있지 않다. 구획 디스크(134)에는, 원환형의 스토퍼부(159)가 디스크(155)에 전체 둘레에 걸쳐 고착되어 있다. 제2 실시형태의 스토퍼부(159)에는, 축 방향의 디스크(155)와는 반대쪽에 오목 홈(308)이 형성되어 있다. 오목 홈(308)은 스토퍼부(159)를 직경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오목 홈(308)은, 스토퍼부(159)의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복수(구체적으로는 3곳)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제2 실시형태의 구획 디스크(134)를 제조하는 경우도, 탄성 부재(156)를 구성하는 고무 재료는, 용융 상태에서, 시일부 형성 캐비티로부터 연결부 형성 캐비티를 통과하여 스토퍼 구성부 형성 캐비티로 흐르도록 금형에 도입되게 된다. 이 때, 디스크(155)에는, 외주연부(301)에 복수의 절결부(302)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디스크(155)는, 이들 복수의 절결부(302)에 의해, 도 9a, 도 9b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유로 단면적이 부분적으로 커져 고무 재료가 흐르기 쉽게 된다. 그 결과, 디스크(155)의 시일부 형성 캐비티 측과 스토퍼 구성부 형성 캐비티 측 사이의 차압을 억제할 수 있다. 이로써, 디스크(155)의 외주 측을 금형으로 지지하지 않더라도 디스크(155)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이로써, 재료의 주입 속도를 빠르게 하더라도 성형품으로서의 정밀도를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구획 디스크(134)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완충기(1)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형태의 구획 디스크(134)는, 디스크(155)의 탄성 부재(156)가 마련되는 외주 측을 금형으로 지지하지 않아도 된다. 이 때문에, 구획 디스크(134)는, 전체 둘레에 걸쳐 연속되는 스토퍼부(159)를, 전체 둘레에 걸쳐 디스크(155)에 고착시켜 형성할 수 있다. 이로써, 스토퍼부(159)의 디스크(155)에의 고착 강도를 높일 수 있다.
「제3 실시형태」
이어서, 제3 실시형태를 주로 도 10, 도 11, 도 12a, 도 12b에 기초하여 제1 실시형태와 상이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제1 실시형태와 공통되는 부위에 관해서는 동일한 칭호, 동일한 부호로 나타낸다.
제3 실시형태에서는, 구획 디스크(134)의 디스크(155)만이 제1 실시형태와 일부 다르다. 즉, 제3 실시형태에서는 도 10, 도 11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디스크(155)의 면(182) 측에, 복수(구체적으로는 3곳)의 같은 형상의 오목부(321)와 복수(구체적으로는 3곳)의 같은 형상의 볼록부(322)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321)는 디스크(155)의 축 방향을 따라 봤을 때 대략 사각형상이며, 볼록부(322)도 디스크(155)의 축 방향을 따라 봤을 때 대략 사각형상이다. 디스크(155)의 면(182)은 평탄한 면이며, 스토퍼부(159)가 고착되는 면이다. 복수의 오목부(321)는, 디스크(155)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탄성 부재(156)가 마련되는 외주 측과는 반대의 내주 측에, 평탄한 면(182)에서 축 방향(두께 방향)으로 움푹 들어가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볼록부(322)는, 디스크(155)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탄성 부재(156)가 마련되는 외주 측과는 반대의 내주 측에, 면(182)에서 축 방향(두께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디스크(155)의 면(182) 측에 형성된 오목부(321) 및 볼록부(322)는, 디스크(155)의 스토퍼부(159)가 고착되는 위치보다도 직경 방향 내주 측에 위치한다. 디스크(155)의 면(182) 측에 형성된 오목부(321) 및 볼록부(322)는 스토퍼부(159)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디스크(155)의 면(182) 측에 형성된 오목부(321) 및 볼록부(322)는 디스크(155)의 중심에서 등거리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디스크(155)의 면(182) 측에 형성된 오목부(321) 및 볼록부(322)는 디스크(155)의 둘레 방향으로 교대로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디스크(155)의 면(182)에는, 케이스 본체(131)의 외측 원통형부(166)와의 간극 측인 외주 측과는 반대쪽에, 오목부(321)와 볼록부(322)가 둘레 방향으로 교대로 형성되어 있다. 디스크(155)의 면(182) 측에 형성된 오목부(321)는, 구획 디스크(134)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를 디스크 노출부(161)와 일치시키고 있다. 디스크(155)의 면(182) 측에 형성된 볼록부(322)는, 구획 디스크(134)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를 스토퍼 구성부(160)와 일치시키고 있다. 디스크(155)의 면(182) 측에 형성된 오목부(321) 및 볼록부(322)는, 디스크(155)의 둘레 방향으로 균등하게 배치되어 있다.
도 12a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면(181)은 평탄한 면이며, 시일부(158)가 고착되는 면이다. 스토퍼부(159)가 고착되는 면(182)에서 돌출되는 볼록부(322)의 이면 측은, 평탄한 면(181)에서 움푹 들어가는 오목부(321)로 되어 있다. 이 오목부(321)는, 도 12b에 도시하는 면(182)에서 움푹 들어가는 오목부(321)와 같은 형상으로 되어 있다. 면(182)에서 움푹 들어가는 오목부(321)의 이면 측은, 면(181)에서 돌출되는 볼록부(322)로 되어 있다. 이 볼록부(322)는, 도 12a에 도시하는 면(182)에서 돌출되는 볼록부(322)와 같은 형상으로 되어 있다. 디스크(155)의 면(181) 측에 형성된 오목부(321) 및 볼록부(322)는, 디스크(155)의 시일부(158)가 고착되는 위치보다도 직경 방향 내주 측에 위치한다. 디스크(155)의 면(181) 측에 형성된 오목부(321) 및 볼록부(322)는, 시일부(158)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디스크(155)의 면(181) 측에 형성된 오목부(321) 및 볼록부(322)도, 디스크(155)의 중심에서 등거리의 위치에, 디스크(155)의 둘레 방향으로 교대로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디스크(155)의 면(181) 측에는, 케이스 본체(131)의 외측 원통형부(166)와의 간극 측인 외주 측과는 반대쪽에, 오목부(321)와 볼록부(322)가 둘레 방향으로 교대로 형성되어 있다. 디스크(155)의 면(181) 측에 형성된 오목부(321)는, 구획 디스크(134)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를 스토퍼 구성부(160)와 일치시키고 있다. 디스크(155)의 면(181) 측에 형성된 볼록부(322)는, 구획 디스크(134)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를 디스크 노출부(161)와 일치시키고 있다. 디스크(155)의 면(181) 측에 형성된 오목부(321) 및 볼록부(322)는, 디스크(155)의 둘레 방향으로 균등하게 배치되어 있다.
도 10, 도 11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오목부(321) 및 볼록부(322)의 각각의 디스크(155)의 둘레 방향의 길이는, 둘레 방향에 인접하는 오목부(321)와 볼록부(322) 사이의, 면(181, 182)을 포함하는 평탄부(325)의 둘레 방향의 길이보다도 짧게 되어 있다. 모든 오목부(321) 및 볼록부(322)는, 탄성 부재(156)보다도 디스크(155)의 직경 방향 내측에 형성되어 있다. 모든 오목부(321) 및 볼록부(322)는, 디스크(155)에 있어서의 도 3에 도시하는 디스크(135)와 맞닿는 부분보다도 직경 방향 외측에 형성되어 있다. 디스크(155)는 표리(表裏)가 같은 형상이다. 디스크(155)는 표리 판별이 불필요하게 되어 있다. 디스크(155)는 오목부(321) 및 볼록부(322)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디스크(155)는, 이들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제1 실시형태와 비교하여 강성이 높아지고 있다.
여기서, 오목부(321)의 크기 및 깊이와 볼록부(322)의 크기 및 높이는, 탄성 부재(156)가 마련되기 전의 2장의 디스크(155)가, 한쪽의 디스크(155)의 면(182)의 오목부(321)를, 다른 쪽의 디스크(155)의 면(181)의 볼록부(322)와 위치를 맞추고, 한쪽의 디스크(155)의 면(182)의 볼록부(322)를, 다른 쪽의 디스크(155)의 면(181)의 오목부(321)와 위치를 맞춰 겹치더라도, 대향하는 면(181, 182)끼리 간극을 두도록, 바꿔 말하면 대향하는 면(181, 182)끼리 겹치지 않게 설정되어 있다.
디스크(155)의 내주 측은, 케이스 본체(131)의 외측 원통형부(166)와의 간극 측인 외주 측과는 반대쪽이다. 디스크(155)에는, 이 간극과는 반대쪽에, 오목부(321)와 볼록부(322)가 둘레 방향으로 교대로 형성되어 있다.
구획 디스크(134)는, 디스크(155)의 양면(181, 182)에 탄성 부재(156)를 가류 접착으로 고착시키는 구성이다. 이 구성의 경우, 금형에 배치하기 전에 디스크(155)의 양면(181, 182)에 접착제를 도포할 필요가 있다. 디스크(155)의 양면(181, 182)에 접착제를 도포하기 위해서는, 예컨대 한쪽의 면(181)에 도포하고, 디스크(155)를 뒤집어 다른 쪽의 면(182)에 도포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이 때문에, 생산성 향상의 점에서 개선의 여지가 있다.
제3 실시형태의 완충기(1)는, 디스크(155)에, 오목부(321) 및 볼록부(322)가 둘레 방향으로 교대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한쪽의 디스크(155)의 면(181) 또는 면(182)과, 다른 쪽의 디스크(155)의 면(181) 또는 면(182)은, 오목부(321) 및 볼록부(322)보다도 외주 측끼리 면 접촉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한쪽의 디스크(155)의 볼록부(322)를 넘어 내주 측까지 다른 쪽의 디스크(155)가 면 접촉하는 일은 없다. 이로써, 디스크(155)끼리의 면 접촉이 가능한 면적을 소정치 이하로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여러 장의 디스크(155)를 바스켓에 넣어 접착제의 액체에 적실 수 있는, 소위 담그기(dipping)로 접착제를 디스크(155)에 도포하더라도, 디스크(155)끼리의 달라붙음을 억제할 수 있다. 이로써, 담그기로 접착제를 디스크(155)에 도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때문에, 디스크(155)의 양면(181, 182)에 접착제를 양호하게 단시간에 도포할 수 있다. 따라서, 구획 디스크(134)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완충기(1)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디스크(155)에는 오목부(321) 및 볼록부(322)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디스크(155)의 강성이 높아진다. 이로써, 디스크(155)에 탄성 부재(156)를 형성할 때에, 디스크(155)의 외주 측을 금형으로 지지하지 않더라도 디스크(155)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3 실시형태에 제2 실시형태를 적용하여도 좋다. 즉, 제3 실시형태의 구획 디스크(134)의 디스크(155)의 외주연부(301)에 절결부(302)를 형성한다. 이에 더하여, 제3 실시형태의 구획 디스크(134)의 탄성 부재(156)의 연결부(162)에, 절결부(302)에 들어가는 돌출부(306)를 형성한다. 이와 함께, 스토퍼부(159)를 디스크(155)의 전체 둘레에 걸쳐 연속되게 형성한다. 이와 같이 하여도 좋다.
「제4 실시형태」
이어서, 제4 실시형태를 주로 도 13, 도 14에 기초하여 제3 실시형태와 상이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제3 실시형태와 공통되는 부위에 관해서는 동일한 칭호, 동일한 부호로 나타낸다.
제4 실시형태에서는 구획 디스크(134)만이 제3 실시형태와 일부 다르다. 즉, 제4 실시형태에서는 도 13, 도 14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오목부(321) 및 볼록부(322)가 디스크(155)의 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형을 이루고 있다. 제4 실시형태에서는, 오목부(321) 및 볼록부(322)는, 각각의 디스크(155)의 둘레 방향의 길이가, 둘레 방향에 인접하는 오목부(321)와 볼록부(322) 사이의 평탄부(325)의 둘레 방향의 길이보다도 길게 되어 있다. 제4 실시형태도, 탄성 부재(156)를 형성하기 전의 디스크(155)끼리의 달라붙음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구획 디스크(134)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5 실시형태」
이어서, 제5 실시형태를 주로 도 15, 도 16에 기초하여 제1 실시형태와 상이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제1 실시형태와 공통되는 부위에 관해서는 동일한 칭호, 동일한 부호로 나타낸다.
제5 실시형태에서는, 감쇠력 가변 기구(43)가 제1 실시형태와는 일부 다르다. 도 15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제5 실시형태의 감쇠력 가변 기구(43)는, 케이스 본체(131)가, 제1 실시형태의 외측 원통형부(166) 및 내측 원통형부(142)를 없앤 형상이다. 제5 실시형태의 케이스 본체(131)는, 기초부(141), 지지부(143), 소직경 구멍부(145), 대직경 구멍부(146) 및 절결(203)을 갖고 있다. 또한, 제5 실시형태의 감쇠력 가변 기구(43)는, 덮개 부재(139)가 평판형의 바닥부(401)와 원통형의 원통형부(402)를 갖는 형상이다. 바닥부(401)는 관통 구멍(167)을 갖는 평판형이다. 원통형부(402)는 바닥부(401)의 외주연부에서 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나와 있다. 케이스 본체(131)가 덮개 부재(139)의 원통형부(402)에 감합되고, 이로써, 케이스(140)를 형성하고 있다.
덮개 부재(139)의 원통형부(402)의 내주 측에는, 바닥부(401)와는 반대쪽에 대직경부(405)가 마련되어 있다. 덮개 부재(139)의 원통형부(402)의 내주 측에는, 바닥부(401) 측에, 대직경부(405)보다도 내경이 소직경인 소직경부(406)가 마련되어 있다. 덮개 부재(139)의 원통형부(402)의 내주 측에는, 이들 대직경부(405) 및 소직경부(406)의 사이에 축 직교 방향으로 넓어지는 단부(407)가 형성되어 있다.
제5 실시형태에서는 구획 디스크(134)도 제1 실시형태와는 일부 다르다. 제5 실시형태의 구획 디스크(134)는, 구멍을 지닌 원판형의 디스크(155)의 내주 측에 탄성 부재(156)가 고착되어 있다. 제5 실시형태의 구획 디스크(134)는, 그 디스크(155)의 외주 측이 덮개 부재(139)의 시트부로서의 단부(407)에 지지되어 있다. 제5 실시형태의 구획 디스크(134)는, 그 디스크(155)의 직경 방향 중간 위치가 케이스 본체(131)의 지지부(143)에 지지된다. 또한, 단부(407)와 지지부(143) 사이의 축 방향의 치수는 디스크(155)의 두께보다도 작게 되어 있다. 이에 따라, 구획 디스크(134)에 셋트 하중을 부여하고 있다.
제5 실시형태의 구획 디스크(134)는, 탄성 부재(156)가 디스크(155)의 내주 측에 고착되어 있다. 제5 실시형태의 구획 디스크(134)는, 디스크(155)의 한쪽의 면(181)의 내주 측에 원환형의 시일부(158)가 고착되어 있다. 제5 실시형태의 구획 디스크(134)는, 디스크(155)의 다른 쪽의 면(182)의 내주 측에 스토퍼부(159)가 고착되어 있다. 또한, 도 16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디스크(155)의 내주면(185)에 원환형의 연결부(162)가 고착되어 있다.
도 15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제5 실시형태의 구획 디스크(134)도, 그 디스크(155)가 마운팅 축부(28)를 내측으로 관통시키고 있다. 그 디스크(155)는 마운팅 축부(28)와의 사이에 간극을 갖고 있다. 그리고, 탄성 부재(156)는, 디스크(155)의 피스톤 로드(21)와의 간극 측인 지지하지 않는 측에 마련되어 있다. 탄성 부재(156)는 마운팅 축부(28)와의 사이를 시일부(158)로 시일한다. 탄성 부재(156)는, 시일부(158)와 스토퍼부(159)가, 디스크(155)와 마운팅 축부(28) 사이의 환형의 간극을 통해 디스크(155)의 양면에 고착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탄성 부재(156)는, 디스크(155)와 마운팅 축부(28)의 간극을 통해, 디스크(155)의 양면에 고착되어 마련되어 있다.
제5 실시형태의 구획 디스크(134)는, 스토퍼부(159)가 복수의 원호형의 스토퍼 구성부(160)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스토퍼 구성부(160)는 디스크(155)의 내주연부를 따른 형상이다. 제5 실시형태의 구획 디스크(134)는, 디스크(155)의 둘레 방향에서 인접하는 스토퍼 구성부(160)와 스토퍼 구성부(160)의 사이가, 디스크(155)가 노출되는 도 2에 도시하는 디스크 노출부(161)로 되어 있다.
제5 실시형태에서는, 구획 디스크(134)의 디스크(155)의 외주 측과 케이스(140)의 단부(407)가 체크 밸브(245)를 구성하고 있다. 체크 밸브(245)는, 통로(107)의 병렬 통로(109)에 있어서, 가변실(171)에서 하실(20)로의 오일액의 흐름을 규제하는 한편, 하실(20)에서 가변실(171)로의 오일액의 흐름을 허용한다.
제5 실시형태에서도, 디스크(155)에 탄성 부재(156)를 형성할 때, 디스크(155)의 면(182) 측의 디스크 노출부(161)가 되는 부분을 금형으로 누를 수 있다. 이 때문에, 디스크(155)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5 실시형태의 감쇠력 가변 기구(43)에 제2 실시형태를 적용하여도 좋다. 즉, 제5 실시형태의 구획 디스크(134)의 디스크(155)의 내주부에, 내주면(185)에서 직경 방향 바깥쪽으로 움푹 들어가는 절결부(302)를 형성한다. 이에 더하여, 제5 실시형태의 구획 디스크(134)의 탄성 부재(156)의 연결부(162)에, 직경 방향 바깥쪽으로 돌출하여 절결부(302)에 들어가는 돌출부(306)를 형성한다. 이와 함께, 스토퍼부(159)를 디스크(155)의 전체 둘레에 걸쳐 연속되게 형성한다. 이와 같이 하여도 좋다. 또한, 제5 실시형태의 감쇠력 가변 기구(43)에 제3, 제4 실시형태를 적용하여도 좋다. 즉, 제5 실시형태의 구획 디스크(134)의 디스크(155)의 외주 측에, 오목부(321)와 볼록부(322)를 둘레 방향으로 교대로 형성한다. 이와 같이 하여도 좋다.
「제6 실시형태」
이어서, 제6 실시형태를 주로 도 17∼도 20에 기초하여 제2 실시형태와 상이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제2 실시형태와 공통되는 부위에 관해서는 동일한 호칭, 동일한 부호로 나타낸다.
제6 실시형태에서는, 구획 디스크(134)의 디스크(155)가 제1 실시형태와 일부 다르다. 즉, 제6 실시형태에서는 도 17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디스크(155)의 면(182) 측에, 복수(구체적으로는 4곳)의 같은 형상의 오목부(321)와, 복수(구체적으로는 4곳)의 같은 형상의 볼록부(322)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321)는 디스크(155)의 축 방향을 따라 봤을 때 원형상이며, 볼록부(322)도 디스크(155)의 축 방향에 따라 봤을 때 원형상이다. 디스크(155)의 면(182)은 평탄한 면이며, 도 18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스토퍼부(159)가 고착되는 면이다. 디스크(155)의 면(182) 측에 형성된 복수의 오목부(321)는, 도 19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디스크(155)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탄성 부재(156)가 마련되는 외주 측에, 면(182)에서 축 방향(두께 방향)으로 움푹 들어가 형성되어 있다. 디스크(155)의 면(182) 측에 형성된 복수의 볼록부(322)는, 도 20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디스크(155)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탄성 부재(156)가 마련되는 외주 측에, 면(182)에서 축 방향(두께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디스크(155)의 면(182) 측에 형성된 오목부(321) 및 볼록부(322)는, 디스크(155)의 스토퍼부(159)가 고착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디스크(155)의 면(182) 측에 형성된 오목부(321) 및 볼록부(322)는, 모두 전체가 스토퍼부(159)와 겹쳐 있다. 디스크(155)의 면(182) 측에 형성된 오목부(321) 및 볼록부(322)는, 모두 전체가 스토퍼부(159) 내에 매설되어 있다. 도 17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디스크(155)의 면(182) 측에 형성된 오목부(321) 및 볼록부(322)는, 디스크(155)의 중심에서 등거리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디스크(155)의 면(182) 측에 형성된 오목부(321) 및 볼록부(322)는, 디스크(155)의 둘레 방향으로 교대로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디스크(155)의 면(182) 측에는, 케이스 본체(131)의 외측 원통형부(166)(도 3 참조)와의 간극 측인 외주 측에, 오목부(321)와 볼록부(322)가 둘레 방향으로 교대로 형성되어 있다. 디스크(155)의 면(182) 측에 형성된 오목부(321) 및 볼록부(322)는, 디스크(155)의 둘레 방향으로 균등하게 배치되어 있다.
도 20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면(181)은 평탄한 면이며, 시일부(158)가 고착되는 면이다. 스토퍼부(159)가 고착되는 면(182)에서 돌출되는 볼록부(322)의 이면 측은, 평탄한 면(181)에서 움푹 들어가는 오목부(321)로 되어 있다. 이 오목부(321)는, 도 19에 도시하는 면(182)에서 움푹 들어가는 오목부(321)와 같은 형상으로 되어 있다. 면(182)에서 움푹 들어가는 오목부(321)의 이면 측은, 면(181)에서 돌출되는 볼록부(322)로 되어 있다. 이 볼록부(322)는, 도 20에 도시하는 면(182)에서 돌출되는 볼록부(322)와 같은 형상으로 되어 있다. 디스크(155)의 면(181) 측에 형성된 오목부(321) 및 볼록부(322)는, 디스크(155)의 시일부(158)가 고착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디스크(155)의 면(181) 측에 형성된 오목부(321) 및 볼록부(322)는, 모두 전체가 시일부(158)와 겹쳐 있다. 디스크(155)의 면(181) 측에 형성된 오목부(321) 및 볼록부(322)는, 모두 전체가 시일부(158) 내에 매설되어 있다. 디스크(155)의 면(181) 측에 형성된 오목부(321) 및 볼록부(322)도, 디스크(155)의 중심에서 등거리의 위치에, 디스크(155)의 둘레 방향으로 교대로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디스크(155)의 면(181) 측에는, 케이스 본체(131)의 외측 원통형부(166)(도 3 참조)와의 간극 측인 외주 측에, 오목부(321)와 볼록부(322)가 둘레 방향으로 교대로 형성되어 있다. 디스크(155)의 면(181) 측에 형성된 오목부(321) 및 볼록부(322)는, 디스크(155)의 둘레 방향으로 균등하게 배치되어 있다.
도 17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오목부(321) 및 볼록부(322)의 각각의 직경은, 둘레 방향으로 인접하는 오목부(321)와 볼록부(322) 사이의, 면(181, 182)을 포함하는 평탄부(325)의 둘레 방향의 길이보다도 짧게 되어 있다. 도 18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모든 오목부(321) 및 볼록부(322)는, 탄성 부재(156)와 디스크(155)의 직경 방향의 위치를 서로 겹치고 있다. 모든 오목부(321) 및 볼록부(322)는, 디스크(155)에 있어서의 디스크(135)(도 3 참조)와 맞닿는 부분보다도 디스크(155)의 직경 방향 외측에 형성되어 있다. 모든 오목부(321) 및 볼록부(322)는 디스크(155)에 있어서의 지지부(143)(도 3 참조)와 맞닿는 부분보다도, 디스크(155)의 직경 방향 외측에 형성되어 있다. 디스크(155)는 표리 같은 형상이다. 디스크(155)는 표리 판별이 불필요하게 되어 있다. 디스크(155)에는 오목부(321) 및 볼록부(322)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디스크(155)는, 이들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제1 실시형태와 비교하여 외주 측의 강성이 높아지고 있다.
여기서, 오목부(321)의 크기 및 깊이와 볼록부(322)의 크기 및 높이는, 탄성 부재(156)가 마련되기 전의 2장의 디스크(155)가, 한쪽의 디스크(155)의 면(182)의 오목부(321)를, 다른 쪽의 디스크(155)의 면(181)의 볼록부(322)와 위치를 맞추고, 한쪽의 디스크(155)의 면(182)의 볼록부(322)를, 다른 쪽의 디스크(155)의 면(181)의 오목부(321)와 위치를 맞춰 겹치더라도, 대향하는 면(181, 182)끼리 간극을 두도록, 바꿔 말하면 대향하는 면(181, 182)끼리 겹치지 않게 설정되어 있다.
디스크(155)의 외주 측은, 케이스 본체(131)의 외측 원통형부(166)(도 3 참조)와의 간극 측이다. 디스크(155)에는, 이 간극 측에, 오목부(321)와 볼록부(322)가 둘레 방향으로 교대로 형성되어 있다.
제6 실시형태에서도, 구획 디스크(134)는, 디스크(155)의 양면(181, 182)에 탄성 부재(156)를 가류 접착으로 고착시키는 구성이다. 이 구성의 경우, 금형에 배치하기 전에 디스크(155)의 양면(181, 182)에 접착제를 도포할 필요가 있다. 디스크(155)의 양면(181, 182)에 접착제를 도포하기 위해서는, 예컨대 한쪽의 면(181)에 도포하고, 디스크(155)를 뒤집어 다른 쪽의 면(182)에 도포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이 때문에, 생산성 향상의 점에서 개선의 여지가 있다.
제6 실시형태는, 디스크(155)에 오목부(321) 및 볼록부(322)가 둘레 방향으로 교대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한쪽의 디스크(155)의 면(181) 또는 면(182)과 다른 쪽의 디스크(155)의 면(181) 또는 면(182)은, 오목부(321) 및 볼록부(322)보다도 외주 측끼리 면 접촉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한쪽의 디스크(155)의 볼록부(322)를 넘어서 내주 측까지 다른 쪽의 디스크(155)가 면 접촉하는 일은 없다. 더구나, 오목부(321) 및 볼록부(322)가 디스크(155)의 외주 측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디스크(155)끼리의 면 접촉이 가능한 면적을 제3 실시형태보다도 작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여러 장의 디스크(155)를 바스켓에 넣어 접착제의 액체에 적실 수 있는, 소위 담그기로 접착제를 디스크(155)에 도포하여도, 디스크(155)끼리의 달라붙음을 억제할 수 있다. 이로써, 담그기로 접착제를 디스크(155)에 도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때문에, 디스크(155)의 양면(181, 182)에 접착제를 양호하게 단시간에 도포할 수 있다. 따라서, 구획 디스크(134)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완충기(1)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디스크(155)에는 외주 측에 오목부(321) 및 볼록부(322)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디스크(155)의 외주 측의 강성이 높아진다. 이로써, 디스크(155)에 탄성 부재(156)를 형성할 때, 디스크(155)의 외주 측을 금형으로 지지하지 않더라도 디스크(155)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제6 실시형태에서는, 스토퍼부(159)의 내경과 시일부(158)의 내경이 거의 같게 되도록 했기 때문에, 스토퍼부(159)의 내측에서 지지하여, 외주 측의 지지를 필요로 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도 8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스토퍼부(159)는, 디스크(155)의 둘레 방향으로 전체 둘레에 걸쳐 연속해서 원환형으로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디스크(155)의 외주 측의 노출이 없어져, 스토퍼부(159)가 벗겨질 우려를 더욱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제6 실시형태에 제2 실시형태를 적용하여도 좋다. 즉, 제6 실시형태의 구획 디스크(134)의 디스크(155)의 외주연부(301)에 절결부(302)를 형성한다. 이에 더하여, 제6 실시형태의 구획 디스크(134)의 탄성 부재(156)의 연결부(162)에, 절결부(302)에 들어가는 돌출부(306)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하여도 좋다.
「제7 실시형태」
이어서, 제7 실시형태를 주로 도 21, 도 22에 기초하여 제1 실시형태와 상이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제1 실시형태와 공통되는 부위에 관해서는 동일한 호칭, 동일한 부호로 나타낸다.
제7 실시형태에서는, 파일럿 밸브(52)의 디스크(85)가 제1 실시형태와 일부 다르다. 즉, 제7 실시형태에서는 도 21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디스크(85)의 한쪽의 면(501) 측에 복수의 같은 형상의 오목부(502)가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오목부(502)는, 도 21에서는 단면으로 한 관계상 한 곳만 도시되어 있다. 제7 실시형태에서는, 도 22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디스크(85)의 한쪽의 면(501) 측에 복수의 같은 형상의 볼록부(503)가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볼록부(503)는, 도 22에서는 단면으로 한 관계상 한 곳만 도시되어 있다. 면(501)은 평탄한 면이며, 시일부(86)가 고착되는 면이다. 오목부(502)는 디스크(85)의 축 방향을 따라 봤을 때 원형상이고, 볼록부(503)도 디스크(85)의 축 방향을 따라 봤을 때 원형상이다. 디스크(85)의 면(501) 측에 형성된 복수의 오목부(502)는, 디스크(85)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시일부(86)가 형성되는 외주 측에, 평탄한 면(501)에서 축 방향(두께 방향)으로 움푹 들어가 형성되어 있다. 디스크(85)의 면(501) 측에 형성된 복수의 볼록부(503)는, 디스크(85)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시일부(86)가 형성되는 외주 측에, 면(501)에서 축 방향(두께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디스크(85)의 면(501) 측에 형성된 모든 오목부(502) 및 볼록부(503)는, 디스크(85)의 시일부(86)가 고착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디스크(85)의 면(501) 측에 형성된 오목부(502) 및 볼록부(503)는, 모두 전체가 시일부(86)와 겹쳐 있다. 디스크(85)의 면(501) 측에 형성된 오목부(502) 및 볼록부(503)는, 모두 전체가 시일부(86) 내에 매설되어 있다. 디스크(85)의 면(501) 측에 형성된 오목부(502) 및 볼록부(503)는, 디스크(85)의 중심에서 등거리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디스크(85)의 면(501) 측에 형성된 오목부(502) 및 볼록부(503)는, 디스크(85)의 둘레 방향으로 교대로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디스크(85)의 면(501)에는, 파일럿 케이스(55)의 외측 원통형부(73)와의 간극 측인 외주 측에, 오목부(502)와 볼록부(503)가 둘레 방향으로 교대로 형성되어 있다. 디스크(85)의 면(501) 측에 형성된 오목부(502) 및 볼록부(503)는, 디스크(85)의 둘레 방향으로 균등하게 배치되어 있다.
디스크(85)의 다른 쪽의 면(505)은 평탄한 면이며, 시일부(86)가 고착되는 면(501)과는 반대쪽의 면이다. 도 22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시일부(86)가 고착되는 면(501)에서 돌출되는 볼록부(503)의 이면 측은, 시일부(86)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면(505)에서 움푹 들어가는 오목부(502)로 되어 있다. 이 오목부(502)는, 도 21에 도시하는 면(501)에서 움푹 들어가는 오목부(502)와 같은 형상으로 되어 있다. 면(501)에서 움푹 들어가는 오목부(502)의 이면 측은, 면(505)에서 돌출되는 볼록부(503)로 되어 있다. 이 볼록부(503)는, 도 22에 도시하는 면(501)에서 돌출되는 볼록부(503)와 같은 형상으로 되어 있다. 디스크(85)의 면(505) 측에 형성된 오목부(502) 및 볼록부(503)도, 디스크(85)의 중심에서 등거리의 위치에, 디스크(85)의 둘레 방향으로 교대로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디스크(85)의 면(505)에는, 파일럿 케이스(55)의 외측 원통형부(73)와의 간극 측인 외주 측에, 오목부(502)와 볼록부(503)가 둘레 방향으로 교대로 형성되어 있다. 디스크(85)의 면(505) 측에 형성된 오목부(502) 및 볼록부(503)는, 디스크(85)의 둘레 방향으로 균등하게 배치되어 있다. 제7 실시형태의 파일럿 밸브(52)에 있어서, 모든 오목부(502) 및 볼록부(503)가 시일부(86)와 디스크(85)의 직경 방향의 위치를 서로 겹치고 있다.
제7 실시형태에서는, 제1 실시형태의 디스크(213)(도 4 참조) 대신에, 두 장의 디스크(511)가 마련되어 있다. 디스크(511)는 모두 금속제이다. 디스크(511)는 모두 일정 두께의 구멍을 지닌 원판형을 이루고 있다. 디스크(511)는, 모두 내측에 피스톤 로드(21)의 마운팅 축부(28)를 감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디스크(511)는, 그 외경이 디스크(211, 212)의 외경보다도 소직경으로 되어 있다. 디스크(511)의 외경은, 디스크(85)의 면(505) 측에 형성된 복수의 오목부(502)의 각각의 최대 외경부를 연결하는 내접원의 직경보다도 소직경으로 되어 있다. 복수의 오목부(502)의 각각의 최대 외경부는 면부(505)에 배치되어 있다. 디스크(511)의 외경은, 디스크(85)의 면(505) 측에 형성된 복수의 볼록부(503)의 각각의 최대 외경부를 연결하는 내접원의 직경보다도 소직경으로 되어 있다. 복수의 볼록부(503)의 각각의 최대 외경부는 면부(505)에 배치되어 있다. 모든 오목부(502) 및 볼록부(503)는, 전체적으로 디스크(85)에 있어서의 디스크(511)와 맞닿는 부분보다도 직경 방향 외측으로 떨어져 형성되어 있다. 디스크(511)는 모든 오목부(502) 및 볼록부(503)에 간섭하지 않는다. 두 장의 디스크(511)의 전체 두께는, 디스크(85)의 볼록부(503)의 면부(505)로부터의 높이보다도 두껍게 되어 있다.
제7 실시형태의 디스크(85)는 표리 같은 형상이다. 이 디스크(85)는 표리 판별이 불필요하게 되어 있다. 이 디스크(85)는 오목부(502) 및 볼록부(503)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디스크(85)는, 이들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제1 실시형태와 비교하여 외주 측의 강성이 높아지고 있다.
여기서, 오목부(502)의 크기 및 깊이와 볼록부(503)의 크기 및 높이는, 시일부(86)가 형성되기 전의 2장의 디스크(85)가, 한쪽의 디스크(85)의 면(501)의 오목부(502)를, 다른 쪽의 디스크(85)의 면(505)의 볼록부(503)와 위치를 맞추고, 한쪽의 디스크(85)의 면(501)의 볼록부(503)를, 다른 쪽의 디스크(85)의 면(505)의 오목부(502)와 위치를 맞춰 겹치더라도, 대향하는 면(501, 505)끼리 간극을 두도록, 바꿔 말하면 대향하는 면(501, 505)끼리 겹치지 않게 설정되어 있다.
디스크(85)의 외주 측은 파일럿 케이스(55)의 외측 원통형부(73)와의 간극 측이다. 디스크(85)에는, 이 간극 측에, 오목부(502)와 볼록부(503)가 둘레 방향으로 교대로 형성되어 있다.
제7 실시형태에 있어서, 파일럿 밸브(52)는, 디스크(85)의 면(501)에 탄성 부재로 이루어지는 시일부(86)를 가류 접착으로 고착시키는 구성이다. 이 구성의 경우, 금형에 배치하기 전에 디스크(155)의 면(501)에 접착제를 도포할 필요가 있다. 디스크(85)의 면(501)에 접착제를 도포하기 위해서는, 예컨대 수작업으로 도포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이 때문에, 생산성 향상의 점에서 개선의 여지가 있다.
제7 실시형태는, 디스크(85)에, 오목부(502) 및 볼록부(503)가 둘레 방향으로 교대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한쪽의 디스크(85)의 면(501) 또는 면(505)과 다른 쪽의 디스크(85)의 면(501) 또는 면(505)은, 오목부(502) 및 볼록부(503)보다도 외주 측끼리 면 접촉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한쪽의 디스크(85)의 볼록부(503)를 넘어서 내주 측까지 다른 쪽의 디스크(85)가 면 접촉하는 일은 없다. 더구나, 오목부(502) 및 볼록부(503)가 디스크(85)의 외주 측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디스크(85)끼리의 면 접촉이 가능한 면적을 소정치보다도 작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여러 장의 디스크(85)를 바스켓에 넣어 접착제의 액체에 적실 수 있는, 소위 담그기로 접착제를 디스크(85)에 도포하더라도, 디스크(85)끼리의 달라붙음을 억제할 수 있다. 이로써, 담그기로 접착제를 디스크(85)에 도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때문에, 디스크(85)의 면(501)에 접착제를 양호하게 단시간에 도포할 수 있다. 따라서, 파일럿 밸브(52)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완충기(1)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디스크(85)에는 외주 측에 오목부(502) 및 볼록부(503)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디스크(85)의 외주 측의 강성이 높아진다.
「제8 실시형태」
이어서, 제8 실시형태를 주로 도 23, 도 24에 기초하여 제7 실시형태와 상이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제7 실시형태와 공통되는 부위에 관해서는 동일한 호칭, 동일한 부호로 나타낸다.
제8 실시형태에서는 피스톤(18)의 피스톤 본체(35)가 제7 실시형태와 상이하다. 또한, 제8 실시형태에서는 제7 실시형태의 디스크(511)가 마련되어 있지 않다. 파일럿 밸브(52)는 제7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다.
제8 실시형태의 피스톤 본체(35)는, 원환형의 밸브 시트부(47)의 외경이, 파일럿 밸브(52)의 디스크(85)의 면(505) 측에 형성된 복수의 오목부(502) 각각의 최대 외경부를 연결하는 내접원의 직경보다도 소직경으로 되어 있다. 또한, 밸브 시트부(47)의 외경은, 디스크(85)의 면(505) 측에 형성된 복수의 볼록부(503) 각각의 최대 외경부를 연결하는 내접원의 직경보다도 소직경으로 되어 있다.
제8 실시형태의 디스크(211, 212)는, 외경이, 파일럿 밸브(52)의 디스크(85)의 면(505) 측에 형성된 복수의 오목부(502) 각각의 최대 외경부를 연결하는 내접원의 직경보다도 소직경으로 되어 있다. 또한, 디스크(211, 212)의 외경은, 디스크(85)의 면(505) 측에 형성된 복수의 볼록부(503) 각각의 최대 외경부를 연결하는 내접원의 직경보다도 소직경으로 되어 있다. 모든 오목부(502) 및 볼록부(503)는, 전체적으로 디스크(212)에 있어서의 디스크(85)와 맞닿은 부분보다도 직경 방향 외측으로 떨어져 형성되어 있다. 모든 오목부(502) 및 볼록부(503)는 디스크(211, 212) 및 피스톤 본체(35)에 간섭하지 않게 되어 있다.
제8 실시형태는, 밸브 시트부(47)의 외경이 제7 실시형태보다도 소직경으로 되어 있다. 이로써, 제8 실시형태의 감쇠 밸브(231)의 수압 면적은 제7 실시형태의 감쇠 밸브(231)보다도 작게 된다. 그 결과, 제8 실시형태의 감쇠 밸브(231)를 포함하는 감쇠력 발생 기구(41)가 밸브 개방되기 어려워진다. 이로써, 제8 실시형태의 감쇠력 발생 기구(41)는, 제7 실시형태의 감쇠력 발생 기구(41)보다도 피스톤 속도가 빨라지면 밸브 개방한다. 바꿔 말하면, 제7 실시형태의 감쇠력 발생 기구(41)는, 제8 실시형태의 감쇠력 발생 기구(41)보다도 피스톤 속도가 늦더라도 밸브 개방한다.
「제9 실시형태」
이어서, 제9 실시형태를 주로 도 25에 기초하여 제6 실시형태와 상이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제6 실시형태와 공통되는 부위에 관해서는 동일한 호칭, 동일한 부호로 나타낸다.
제9 실시형태에서는, 구획 디스크(134)의 디스크(155)가 제6 실시형태와 일부 다르다. 제9 실시형태도, 도 25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디스크(155)의 면(182) 측에, 복수(구체적으로는 4곳)의 같은 형상의 오목부(321)와 복수(구체적으로는 4곳)의 같은 형상의 볼록부(322)가 형성되어 있다. 디스크(155)의 면(182) 측에 형성된 오목부(321) 및 볼록부(322)도, 디스크(155)의 중심에서 등거리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디스크(155)의 면(182) 측에 형성된 오목부(321) 및 볼록부(322)는, 디스크(155)의 둘레 방향으로 교대로 부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디스크(155)의 면(182) 측에 형성된 오목부(321) 및 볼록부(322)는, 디스크(155)의 둘레 방향으로 불균등하게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디스크(155)의 면(182) 측에는, 4곳의 오목부(321)가 90도의 등피치로 배치되어 있다. 4곳의 오목부(321)를 디스크(155)의 둘레 방향으로 순차 제1 오목부(321), 제2 오목부(321), 제3 오목부(321), 제4 오목부(321)로 한다. 면(182)에 있어서, 4곳의 볼록부(322)를 디스크(155)의 둘레 방향으로 순차 제1 볼록부(322), 제2 볼록부(322), 제3 볼록부(322), 제4 볼록부(322)로 한다. 면(182)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오목부(321)와 볼록부(322)의 간격은, 제1 오목부(321)와 제1 볼록부(322)가 가장 가깝다.
디스크(155)의 면(182) 측에 있어서, 제1 오목부(321)의 중심과 디스크(155)의 중심과 제1 볼록부(322)의 중심이 이루는 각도가 가장 작은 15도이다. 그 결과, 제1 볼록부(322)의 중심과 디스크(155)의 중심과 제2 오목부(321)의 중심이 이루는 각도가 75도가 된다. 디스크(155)의 면(182) 측에 있어서, 제2 오목부(321)의 중심과 디스크(155)의 중심과 제2 볼록부(322)의 중심이 이루는 각도가 다음으로 작은 20도이다. 그 결과, 제2 볼록부(322)의 중심과 디스크(155)의 중심과 제3 오목부(321)의 중심이 이루는 각도가 70도가 된다. 디스크(155)의 면(182) 측에 있어서, 제4 오목부(321)의 중심과 디스크(155)의 중심과 제4 볼록부(322)의 중심이 이루는 각도가 다음으로 작은 25도이다. 그 결과, 제4 볼록부(322)의 중심과 디스크(155)의 중심과 제1 오목부(321)의 중심이 이루는 각도가 65도가 된다. 디스크(155)의 면(182) 측에 있어서, 제4 오목부(321)의 중심과 디스크(155)의 중심과 제3 볼록부(322)의 중심이 이루는 각도가 다음으로 작은 30도이다. 그 결과, 제3 볼록부(322)의 중심과 디스크(155)의 중심과 제3 오목부(321)의 중심이 이루는 각도가 60도가 된다.
도시는 생략하지만, 제9 실시형태에서도, 스토퍼부(159)가 고착되는 면(182)에서 돌출되는 볼록부(322)의 이면 측은, 평탄한 면(181)에서 움푹 들어가는 오목부(321)로 되어 있다. 이 오목부(321)는, 면(182)에서 움푹 들어가는 오목부(321)와 같은 형상으로 되어 있다. 면(182)에서 움푹 들어가는 오목부(321)의 이면 측은, 면(181)에서 돌출되는 볼록부(322)로 되어 있다. 이 볼록부(322)는, 면(182)에서 돌출되는 볼록부(322)와 같은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로써, 디스크(155)의 면(181) 측에 형성된 오목부(321) 및 볼록부(322)도, 디스크(155)의 둘레 방향으로 교대로 부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디스크(155)의 면(181) 측에 형성된 오목부(321) 및 볼록부(322)도, 디스크(155)의 둘레 방향으로 불균등하게 배치되어 있다.
제9 실시형태는, 구획 디스크(134)의 디스크(155)의 둘레 방향의 강성이 불균등하게 된다. 이로써, 구획 디스크(134)를 포함하는 체크 밸브(245)는, 밸브 개방량이 단숨에 확대되지 않고, 서서히 확대되게 된다.
제9 실시형태에서는, 제6 실시형태의 구획 디스크(134)의 디스크(155)에 대한 변경에 관해서 설명했다. 제7 실시형태의 파일럿 밸브(52)의 디스크(85)를 제9 실시형태와 같은 식으로 변경하여, 오목부(502) 및 볼록부(503)를 디스크(85)의 둘레 방향으로 불균등하게 배치하고 있어도 좋다.
「제10 실시형태」
이어서, 제10 실시형태를 주로 도 26에 기초하여 제9 실시형태와 상이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제9 실시형태와 공통되는 부위에 관해서는 동일한 호칭, 동일한 부호로 나타낸다.
제10 실시형태에서는, 구획 디스크(134)의 디스크(155)가 제9 실시형태와 일부 다르다. 제10 실시형태는, 디스크(155)의 면(182) 측에, 복수(구체적으로는 5곳)의 같은 형상의 오목부(321)와 복수(구체적으로는 5곳)의 같은 형상의 볼록부(322)가 형성되어 있다. 디스크(155)의 면(182) 측에 형성된 오목부(321) 및 볼록부(322)도 디스크(155)의 중심에서 등거리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디스크(155)의 면(182) 측에 형성된 오목부(321) 및 볼록부(322)는, 디스크(155)의 둘레 방향으로 교대로 부분적으로 부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디스크(155)의 면(182) 측에 형성된 오목부(321) 및 볼록부(322)는, 디스크(155)의 둘레 방향으로 교대로 부분적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디스크(155)의 면(182) 측에 형성된 오목부(321) 및 볼록부(322)는, 디스크(155)의 둘레 방향으로 부분적으로 불균등하게 배치되어 있다. 디스크(155)의 면(182) 측에 형성된 오목부(321) 및 볼록부(322)는, 디스크(155)의 둘레 방향으로 부분적으로 균등하게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디스크(155)의 면(182) 측에 있어서, 5곳의 오목부(321)를 디스크(155)의 둘레 방향으로 순차 제1 오목부(321), 제2 오목부(321), 제3 오목부(321), 제4 오목부(321), 제5 오목부(321)로 한다. 면(182) 측에 있어서, 5곳의 볼록부(322)를 디스크(155)의 둘레 방향으로 순차 제1 볼록부(322), 제2 볼록부(322), 제3 볼록부(322), 제4 볼록부(322), 제5 볼록부(322)로 한다. 제1 오목부(321)와 제1 볼록부(322)와 제2 오목부(321)와 제2 볼록부(322)와 제3 오목부(321)가, 가장 작은 22.5도 피치로 배치되어 있다. 디스크(155)의 면(182) 측에 있어서, 제3 오목부(321)의 중심과 디스크(155)의 중심과 제3 볼록부(322)의 중심이 이루는 각도가 30도이다. 디스크(155)의 면(182) 측에 있어서, 제3 볼록부(322)의 중심과 디스크(155)의 중심과 제4 오목부(321)의 중심이 이루는 각도가 45도이다. 디스크(155)의 면(182) 측에 있어서, 제4 오목부(321)의 중심과 디스크(155)의 중심과 제4 볼록부(322)의 중심이 이루는 각도가 60도이다. 디스크(155)의 면(182) 측에 있어서, 제4 볼록부(322)의 중심과 디스크(155)의 중심과 제5 오목부(321)의 중심이 이루는 각도가 60도이다. 디스크(155)의 면(182) 측에 있어서, 제5 오목부(321)의 중심과 디스크(155)의 중심과 제5 볼록부(322)의 중심이 이루는 각도가 45도이다. 디스크(155)의 면(182) 측에 있어서, 제5 볼록부(322)의 중심과 디스크(155)의 중심과 제1 오목부(321)의 중심이 이루는 각도가 30도이다. 그 결과, 디스크(155)의 면(182) 측에 있어서, 제2 오목부(321)와 제4 볼록부(322)가 180도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이들을 연결하는 선을 기준으로 선대칭으로 나머지 오목부(321) 및 볼록부(322)가 배치되어 있다.
도시는 생략하지만, 제10 실시형태에서도, 스토퍼부(159)가 고착되는 면(182)에서 돌출되는 볼록부(322)의 이면 측은, 평탄한 면(181)에서 움푹 들어가는 오목부(321)로 되어 있다. 이 오목부(321)는, 면(182)에서 움푹 들어가는 오목부(321)와 같은 형상으로 되어 있다. 면(182)에서 움푹 들어가는 오목부(321)의 이면 측은, 면(181)에서 돌출되는 볼록부(322)로 되어 있다. 이 볼록부(322)는, 면(182)에서 돌출되는 볼록부(322)와 같은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로써, 제10 실시형태에 서도, 디스크(155)의 면(181) 측에 형성된 오목부(321) 및 볼록부(322)도, 디스크(155)의 둘레 방향으로 교대로 부분적으로 부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디스크(155)의 면(181) 측에 형성된 오목부(321) 및 볼록부(322)는, 디스크(155)의 둘레 방향으로 교대로 부분적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디스크(155)의 면(181) 측에 형성된 오목부(321) 및 볼록부(322)는, 디스크(155)의 둘레 방향으로 부분적으로 불균등하게 배치되어 있다. 디스크(155)의 면(181) 측에 형성된 오목부(321) 및 볼록부(322)는, 디스크(155)의 둘레 방향으로 부분적으로 균등하게 배치되어 있다.
제10 실시형태도, 구획 디스크(134)의 디스크(155)의 둘레 방향의 강성이 부분적으로 불균등하게 된다. 이로써, 구획 디스크(134)를 포함하는 체크 밸브(245)는, 밸브 개방량이 단숨에 확대되지 않고, 서서히 확대되게 된다.
제10 실시형태에서는, 제9 실시형태의 구획 디스크(134)의 디스크(155)에 대한 변경에 관해서 설명했다. 제7 실시형태의 파일럿 밸브(52)의 디스크(85)를, 제10 실시형태와 같은 식으로 변경하여, 오목부(502) 및 볼록부(503)를 디스크(85)의 둘레 방향으로 부분적으로 불균등하게 배치하면서 부분적으로 균등하게 배치하여도 좋다.
「제11 실시형태」
이어서, 제11 실시형태를 주로 도 27에 기초하여 제9 실시형태와 상이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제9 실시형태와 공통되는 부위에 관해서는 동일한 호칭, 동일한 부호로 나타낸다.
제11 실시형태에서는, 구획 디스크(134)의 디스크(155)가 제9 실시형태와 일부 다르다. 제11 실시형태에 있어서, 디스크(155)의 면(182) 측에 형성된 오목부(321) 및 볼록부(322)는, 디스크(155)의 둘레 방향으로 교대로 부분적으로 부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디스크(155)의 면(182) 측에 형성된 오목부(321) 및 볼록부(322)는, 디스크(155)의 둘레 방향으로 교대로 부분적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디스크(155)의 면(182) 측에 형성된 오목부(321) 및 볼록부(322)는, 디스크(155)의 둘레 방향으로 부분적으로 불균등하게 배치되어 있다. 디스크(155)의 면(182) 측에 형성된 오목부(321) 및 볼록부(322)는, 디스크(155)의 둘레 방향으로 부분적으로 균등하게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디스크(155)의 면(182) 측에 있어서, 4곳의 오목부(321)를 디스크(155)의 둘레 방향으로 순차 제1 오목부(321), 제2 오목부(321), 제3 오목부(321), 제4 오목부(321)로 한다. 디스크(155)의 면(182) 측에 있어서, 4곳의 볼록부(322)를 디스크(155)의 둘레 방향으로 순차 제1 볼록부(322), 제2 볼록부(322), 제3 볼록부(322), 제4 볼록부(322)로 한다. 제1 오목부(321)와 제1 볼록부(322)와 제2 오목부(321)가 가장 작은 30도 피치로 배치되어 있다. 디스크(155)의 면(182) 측에 있어서, 제2 오목부(321)의 중심과 디스크(155)의 중심과 제2 볼록부(322)의 중심이 이루는 각도가 60도이다. 디스크(155)의 면(182) 측에 있어서, 제2 볼록부(322)의 중심과 디스크(155)의 중심과 제3 오목부(321)의 중심이 이루는 각도가 40도이다. 디스크(155)의 면(182) 측에 있어서, 제3 오목부(321)의 중심과 디스크(155)의 중심과 제3 볼록부(322)의 중심이 이루는 각도가 50도이다. 디스크(155)의 면(182) 측에 있어서, 제3 볼록부(322)의 중심과 디스크(155)의 중심과 제4 오목부(321)의 중심이 이루는 각도가 50도이다. 디스크(155)의 면(182) 측에 있어서, 제4 오목부(321)의 중심과 디스크(155)의 중심과 제4 볼록부(322)의 중심이 이루는 각도가 40도이다. 디스크(155)의 면(182) 측에 있어서, 제4 볼록부(322)의 중심과 디스크(155)의 중심과 제1 오목부(321)의 중심이 이루는 각도가 60도이다. 그 결과, 디스크(155)의 면(182) 측에 있어서, 제1 볼록부(322)와 제3 볼록부(322)가 180도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이들을 연결하는 선을 기준으로 선대칭으로 나머지 오목부(321) 및 볼록부(322)가 배치되어 있다.
도시는 생략하지만, 제11 실시형태에서도, 스토퍼부(159)가 고착되는 면(182)에서 돌출되는 볼록부(322)의 이면 측은, 평탄한 면(181)에서 움푹 들어가는 오목부(321)로 되어 있다. 이 오목부(321)는, 면(182)에서 움푹 들어가는 오목부(321)와 같은 형상으로 되어 있다. 면(182)에서 움푹 들어가는 오목부(321)의 이면 측은, 면(181)에서 돌출되는 볼록부(322)로 되어 있다. 이 볼록부(322)는, 면(182)에서 돌출되는 볼록부(322)와 같은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로써, 디스크(155)의 면(181) 측에 형성된 오목부(321) 및 볼록부(322)도 디스크(155)의 둘레 방향으로 교대로 부분적으로 부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디스크(155)의 면(181) 측에 형성된 오목부(321) 및 볼록부(322)는, 디스크(155)의 둘레 방향으로 교대로 부분적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디스크(155)의 면(181) 측에 형성된 오목부(321) 및 볼록부(322)는, 디스크(155)의 둘레 방향으로 부분적으로 불균등하게 배치되어 있다. 디스크(155)의 면(181) 측에 형성된 오목부(321) 및 볼록부(322)는, 디스크(155)의 둘레 방향으로 부분적으로 균등하게 배치되어 있다.
제11 실시형태도, 구획 디스크(134)의 디스크(155)의 둘레 방향의 강성이 부분적으로 불균등하게 된다. 이로써, 구획 디스크(134)를 포함하는 체크 밸브(245)는, 밸브 개방량이 단숨에 확대되지 않고, 서서히 확대되게 된다.
제11 실시형태에서는, 제9 실시형태의 구획 디스크(134)의 디스크(155)에 대한 변경에 관해서 설명했다. 제7 실시형태의 파일럿 밸브(52)의 디스크(85)를, 제11 실시형태와 같은 식으로 변경하여, 오목부(502) 및 볼록부(503)를 디스크(85)의 둘레 방향으로 부분적으로 불균등하게 배치하고 있어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는 복통식의 유압완충기에 본 발명을 이용한 예를 나타냈지만, 이것에 한하지 않는다. 외통을 없애고 실린더(2) 내의 하실(20)의 상실(19)과는 반대쪽에 미끄럼 이동 가능한 구획체로 가스실을 형성하는 모노튜브 타입의 유압완충기에 본 발명을 이용하여도 좋다. 디스크에 시일 부재를 마련한 구조의 패킹 밸브를 사용한 압력 제어 밸브를 포함하는 온갖 완충기에 본 발명을 이용할 수 있다. 물론, 상기한 축소 측의 감쇠력 발생 기구(42)에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베이스 밸브(25)에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실린더(2)의 외부에 실린더(2) 내부와 연통하는 오일 통로를 형성하여, 이 오일 통로에 감쇠력 발생 기구를 설치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유압완충기를 예로 나타냈지만, 유체로서 물이나 공기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이상에 설명한 실시형태의 제1 양태는, 작동 유체가 봉입된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에 연결된 피스톤 로드와, 상기 피스톤의 미끄럼 이동에 의해서 생기는 작동 유체의 흐름을 규제하여, 통형의 케이스 부재의 개구부를 폐쇄하도록 마련된 디스크 밸브와, 상기 디스크 밸브의 적어도 일면 측에 마련된 환형의 시일부와, 상기 디스크 밸브 및 상기 시일부에 의해서 구획되는 실을 구비하는 완충기이다. 상기 디스크 밸브에는, 오목부와 볼록부가 교대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생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제2 양태는, 제1 양태에 있어서, 상기 실은 상기 디스크 밸브에 밸브 폐쇄 방향의 압력을 작용시키는 파일럿실이다. 상기 디스크 밸브는 상기 파일럿실의 압력에 의해서 밸브 개방이 제어된다.
제3 양태는, 제1 양태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의 이동에 의해 작동 유체가 흐르는 제1 통로와, 상기 제1 통로와 병렬로 형성된 제2 통로와, 상기 제1 통로에 설치되어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감쇠력 발생 기구와, 내부에 상기 제2 통로의 적어도 일부가 형성되는 상기 케이스 부재와, 상기 케이스 부재 내에 배치되는 축부와, 상기 축부를 내측으로 관통시켜 상기 케이스 부재 내에 배치되며, 내주 측 또는 외주 측이 지지되고, 지지하지 않는 측의 일면 측에 상기 케이스 부재와의 사이 또는 상기 축부와의 사이를 시일하는 상기 시일부가 마련되고, 타면 측에 탄성부가 마련된 상기 디스크 밸브와, 상기 디스크 밸브 및 상기 시일부에 의해 구획되어 형성된 상기 케이스 부재 내의 2개의 케이스실을 갖는다. 상기 디스크 밸브는 상기 제2 통로의 적어도 한쪽으로의 작동 유체의 유통을 차단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제4 양태는, 제1 내지 제3의 어느 한 양태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 및 상기 볼록부는, 상기 디스크 밸브의 상기 시일부가 고착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제5 양태는, 제1 내지 제3의 어느 한 양태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 및 상기 볼록부는, 상기 디스크 밸브의 상기 시일부가 고착되는 위치보다도 직경 방향 내주 측에 위치한다.
제6 양태는, 제1 내지 제5의 어느 한 양태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 및 상기 볼록부는, 상기 디스크 밸브의 둘레 방향으로 균등하게 배치된다.
제7 양태는, 제1 내지 제5의 어느 한 양태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 및 상기 볼록부는, 상기 디스크 밸브의 둘레 방향으로 불균등하게 배치된다.
제8 양태는, 제3 양태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밸브의 상기 타면 측에는 둘레 방향으로 부분적으로 상기 탄성부가 고착되어 있다.
제9 양태는, 제3 양태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밸브와 상기 케이스 부재 또는 상기 축부 사이에는, 환형의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시일부와 상기 탄성부는 상기 간극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상기 디스크 밸브의 상기 간극 측에는 복수의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다.
제10 양태는, 제3 양태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밸브 중 상기 탄성부가 고착되는 부분에 대하여 직경 방향의 반대쪽은, 상기 디스크 밸브가 휠 때의 지지점이 된다.
제11 양태는, 작동 유체가 봉입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며, 상기 실린더 내부를 2개의 실린더실로 구획하는 피스톤과, 일단 측이 상기 피스톤에 연결됨과 더불어 타단 측이 상기 실린더의 외부로 연장되어 나오는 피스톤 로드와, 상기 피스톤의 이동에 의해 한쪽의 상기 실린더실로부터 작동 유체가 흘러나오는 제1 통로와, 상기 제1 통로와 병렬로 형성되는 제2 통로와, 상기 제1 통로에 설치되어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감쇠력 발생 기구와, 내부에 상기 제2 통로의 적어도 일부가 형성되는 통형의 케이스 부재와, 상기 케이스 부재 내에 배치되는 축부와, 상기 축부를 내측으로 관통시켜 상기 케이스 부재 내에 배치되며, 내주 측 또는 외주 측이 지지되고, 지지하지 않는 측에 상기 케이스 부재와의 사이 또는 상기 축부와의 사이를 시일하는 환형의 탄성 부재가 마련된 휘어짐이 가능한 환형의 디스크와, 상기 디스크 및 상기 탄성 부재에 의해 구획되어 형성된 상기 케이스 부재 내의 2개의 케이스실을 갖는다. 상기 디스크가 상기 제2 통로의 적어도 한쪽으로의 작동 유체의 유통을 차단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상기 디스크와 상기 케이스 부재 또는 상기 축부 사이에는, 환형의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간극을 통해 상기 디스크의 양면에 고착되어 마련되어 있다.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디스크의 한쪽의 면 측에 시일부가, 다른 쪽의 면 측에 스토퍼부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디스크의 상기 다른 쪽의 면에는 둘레 방향으로 부분적으로 탄성 부재가 고착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2 양태는, 작동 유체가 봉입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며, 상기 실린더 내부를 2개의 실린더실로 구획하는 피스톤과, 일단 측이 상기 피스톤에 연결됨과 더불어 타단 측이 상기 실린더의 외부로 연장되어 나오는 피스톤 로드와, 상기 피스톤의 이동에 의해 한쪽의 상기 실린더실로부터 작동 유체가 흘러나오는 제1 통로와, 상기 제1 통로와 병렬로 형성되는 제2 통로와, 상기 제1 통로에 설치되어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감쇠력 발생 기구와, 내부에 상기 제2 통로의 적어도 일부가 형성되는 통형의 케이스 부재와, 상기 케이스 부재 내에 배치되는 축부와, 상기 축부를 내측으로 관통시켜 상기 케이스 부재 내에 배치되며, 내주 측 또는 외주 측이 지지되고, 지지하지 않는 측에 상기 케이스 부재와의 사이 또는 상기 축부와의 사이를 시일하는 환형의 탄성 부재가 마련된 휘어짐이 가능한 환형의 디스크와, 상기 디스크 및 상기 탄성 부재에 의해 구획되어 형성된 상기 케이스 부재 내의 2개의 케이스실을 갖는다. 상기 디스크가 상기 제2 통로의 적어도 한쪽으로의 작동 유체의 유통을 차단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상기 디스크와 상기 케이스 부재 또는 상기 축부의 사이에는, 환형의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간극을 통해 상기 디스크의 양면에 고착되어 마련되어 있다.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디스크의 한쪽의 면 측에 시일부가, 다른 쪽의 면 측에 스토퍼부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디스크의 상기 간극 측에는 복수의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3 양태는, 제11 또는 제12의 양태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의 상기 간극과는 반대쪽에, 오목부와 볼록부가 둘레 방향으로 교대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생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한 완충기에 의하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1: 완충기 2: 실린더
18: 피스톤 19: 상실(한쪽의 실린더실, 실린더실)
20: 하실(실린더실) 21: 피스톤 로드
28: 마운팅 축부(축부) 41: 감쇠력 발생 기구
55: 파일럿 케이스(케이스 부재) 80: 파일럿실(실)
85: 디스크(디스크 밸브) 86: 시일부
101: 통로(제1 통로) 107: 통로(제2 통로)
131: 케이스 본체(케이스 부재) 155: 디스크(디스크 밸브)
156: 탄성 부재 158: 시일부
159: 스토퍼부(탄성부) 171: 가변실(실, 케이스실)
172: 가변실(실, 케이스실) 181: 한쪽의 면
182: 다른 쪽의 면 302: 절결부
321, 502: 오목부 322, 503: 볼록부

Claims (12)

  1. 작동 유체가 봉입된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에 연결된 피스톤 로드와,
    상기 피스톤의 미끄럼 이동에 의해서 생기는 작동 유체의 흐름을 규제하며, 통형의 케이스 부재의 개구부를 폐쇄하도록 마련된 디스크 밸브와,
    상기 디스크 밸브의 적어도 일면 측에 마련된 환형의 시일부와,
    상기 디스크 밸브 및 상기 시일부에 의해서 구획되는 실(室)을 구비하는 완충기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밸브에는 오목부와 볼록부가 교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은 상기 디스크 밸브에 밸브 폐쇄 방향의 압력을 작용시키는 파일럿실이며, 상기 디스크 밸브는 상기 파일럿실의 압력에 의해서 밸브 개방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의 이동에 의해 작동 유체가 흐르는 제1 통로와,
    상기 제1 통로와 병렬로 형성된 제2 통로와,
    상기 제1 통로에 설치되어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감쇠력 발생 기구와,
    내부에 상기 제2 통로의 적어도 일부가 형성되는 상기 케이스 부재와,
    상기 케이스 부재 내에 배치되는 축부와,
    상기 축부를 내측으로 관통시켜 상기 케이스 부재 내에 배치되며, 내주 측 또는 외주 측이 지지되고, 지지하지 않는 측의 일면 측에 상기 케이스 부재와의 사이 또는 상기 축부와의 사이를 시일하는 상기 시일부가 마련되고, 타면 측에 탄성부가 마련된 상기 디스크 밸브와,
    상기 디스크 밸브 및 상기 시일부에 의해 획정되어 형성된 상기 케이스 부재 내의 2개의 케이스실을 가지고,
    상기 디스크 밸브는 상기 제2 통로의 적어도 한쪽으로의 작동 유체의 유통을 차단하도록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 및 상기 볼록부는, 상기 디스크 밸브의 상기 시일부가 고착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기.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 및 상기 볼록부는, 상기 디스크 밸브의 상기 시일부가 고착되는 위치보다도 직경 방향 내주 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 및 상기 볼록부는, 상기 디스크 밸브의 둘레 방향으로 균등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기.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 및 상기 볼록부는, 상기 디스크 밸브의 둘레 방향으로 불균등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기.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밸브의 상기 타면 측에는 둘레 방향 부분적으로 상기 탄성부가 고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기.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밸브와 상기 케이스 부재 또는 상기 축부의 사이에는, 환형의 간극이 형성되고,
    상기 시일부와 상기 탄성부는 상기 간극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디스크 밸브의 상기 간극 측에는 복수의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기.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밸브 중 상기 탄성부가 고착되는 부분에 대하여 직경 방향의 반대쪽은, 상기 디스크 밸브가 휠 때의 지지점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기.
  11. 작동 유체가 봉입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며, 상기 실린더 내부를 2개의 실린더실로 구획하는 피스톤과,
    일단 측이 상기 피스톤에 연결되고, 타단 측이 상기 실린더의 외부로 연장되어 나오는 피스톤 로드와,
    상기 피스톤의 이동에 의해 한쪽의 상기 실린더실로부터 작동 유체가 흘러나오는 제1 통로와,
    상기 제1 통로와 병렬로 형성되는 제2 통로와,
    상기 제1 통로에 설치되어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감쇠력 발생 기구와,
    내부에 상기 제2 통로의 적어도 일부가 형성되는 통형의 케이스 부재와,
    상기 케이스 부재 내에 배치되는 축부와,
    상기 축부를 내측으로 관통시켜 상기 케이스 부재 내에 배치되며, 내주 측 또는 외주 측이 지지되고, 지지하지 않는 측에 상기 케이스 부재와의 사이 또는 상기 축부와의 사이를 시일하는 환형의 탄성 부재가 마련된 휘어짐이 가능한 환형의 디스크와,
    상기 디스크 및 상기 탄성 부재에 의해 획정되어 형성된 상기 케이스 부재 내의 2개의 케이스실을 가지고,
    상기 디스크가 상기 제2 통로의 적어도 한쪽으로의 작동 유체의 유통을 차단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디스크와 상기 케이스 부재 또는 상기 축부의 사이에는, 환형의 간극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간극을 통해 상기 디스크의 양면에 고착되어 마련되고, 상기 디스크의 한쪽의 면 측에 시일부가, 다른 쪽의 면 측에 스토퍼부가 마련되고,
    상기 디스크의 상기 다른 쪽의 면에는 둘레 방향으로 부분적으로 탄성 부재가 고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기.
  12. 작동 유체가 봉입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며, 상기 실린더 내부를 2개의 실린더실로 구획하는 피스톤과,
    일단 측이 상기 피스톤에 연결되고, 타단 측이 상기 실린더의 외부로 연장되어 나오는 피스톤 로드와,
    상기 피스톤의 이동에 의해 한쪽의 상기 실린더실로부터 작동 유체가 흘러나오는 제1 통로와,
    상기 제1 통로와 병렬로 형성되는 제2 통로와,
    상기 제1 통로에 설치되어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감쇠력 발생 기구와,
    내부에 상기 제2 통로의 적어도 일부가 형성되는 통형의 케이스 부재와,
    상기 케이스 부재 내에 배치되는 축부와,
    상기 축부를 내측으로 관통시켜 상기 케이스 부재 내에 배치되며, 내주 측 또는 외주 측이 지지되고, 지지하지 않는 측에 상기 케이스 부재와의 사이 또는 상기 축부와의 사이를 시일하는 환형의 탄성 부재가 마련된 휘어짐이 가능한 환형의 디스크와,
    상기 디스크 및 상기 탄성 부재에 의해 획정되어 형성된 상기 케이스 부재 내의 2개의 케이스실을 가지고,
    상기 디스크가 상기 제2 통로의 적어도 한쪽으로의 작동 유체의 유통을 차단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디스크와 상기 케이스 부재 또는 상기 축부 사이에는, 환형의 간극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간극을 통해 상기 디스크의 양면에 고착되어 마련되고, 상기 디스크의 한쪽의 면 측에 시일부가, 다른 쪽의 면 측에 스토퍼부가 마련되고,
    상기 디스크의 상기 간극 측에는 복수의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기.
KR1020197022816A 2017-03-10 2018-03-07 완충기 KR1022961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046272 2017-03-10
JPJP-P-2017-046272 2017-03-10
PCT/JP2018/008702 WO2018164167A1 (ja) 2017-03-10 2018-03-07 緩衝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4372A true KR20190104372A (ko) 2019-09-09
KR102296116B1 KR102296116B1 (ko) 2021-08-30

Family

ID=63448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2816A KR102296116B1 (ko) 2017-03-10 2018-03-07 완충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078982B2 (ko)
JP (1) JP6706714B2 (ko)
KR (1) KR102296116B1 (ko)
CN (1) CN110366647B (ko)
DE (1) DE112018001265B4 (ko)
WO (1) WO201816416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8009963A1 (de) * 2018-12-21 2020-06-25 Aventics Gmbh Dichtmembran und Rückschlagventil mit Dichtmembran für fluidtechnische Anwendungen
JP2020197239A (ja) * 2019-05-31 2020-12-10 デルタ工業株式会社 ダンパー及びシートサスペンション機構
JP7203703B2 (ja) * 2019-08-28 2023-01-13 日立Astemo株式会社 シリンダ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シリンダ装置
WO2021195554A1 (en) 2020-03-27 2021-09-30 DRiV Automotive Inc. Damper assembly
WO2023013511A1 (ja) * 2021-08-02 2023-02-09 日立Astemo株式会社 シリンダ装置及び制御弁装置
CN117450207B (zh) * 2023-11-13 2024-04-19 山东泰展机电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减震器底座阀门总成及具有其的减震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4446A (ko) * 2007-01-05 2008-07-09 주식회사 만도 변형 방지용 밸브디스크를 포함하는 쇽업소버
JP2011202800A (ja) 2010-03-02 2011-10-13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緩衝器
KR20150113885A (ko) * 2014-03-31 2015-10-08 히다치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
CN105793603A (zh) * 2013-11-29 2016-07-20 日立汽车系统株式会社 缓冲器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8500145A (nl) * 1985-01-21 1986-08-18 Koni Bv Hydraulische tweepijpsschokdemper.
JPH09133174A (ja) * 1995-11-09 1997-05-20 Nissan Motor Co Ltd ショックアブソーバ
JP4840557B2 (ja) * 2005-04-12 2011-12-21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減衰力調整式油圧緩衝器
CN201496467U (zh) * 2009-09-19 2010-06-02 宁波金恒汽车零部件有限公司 汽车减震器用阀座
JP5365804B2 (ja) * 2009-12-22 2013-12-11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緩衝器
US8746423B2 (en) 2010-03-02 2014-06-10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Shock absorber
DE102010050868B4 (de) * 2010-11-09 2013-09-26 Gkn Sinter Metals Holding Gmbh Herstellung mehrteiliger, gefügter Ventilbauteile in hydraulischen Anwendungen mit Fügedichtprofilen
JP5796995B2 (ja) * 2011-04-25 2015-10-21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緩衝器
CN202048131U (zh) * 2011-04-29 2011-11-23 芜湖艾科汽车技术有限公司 一种减振器复原阀
CN103770591B (zh) * 2012-10-18 2016-01-13 广州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车辆减振器的减振支架及车辆减振器
JP5993750B2 (ja) * 2013-01-31 2016-09-14 Kyb株式会社 緩衝器
CN103115105B (zh) * 2013-03-08 2014-09-03 山东理工大学 减振器复原阀叠加阀片的拆分设计方法
JP6188598B2 (ja) * 2014-01-31 2017-08-30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シリンダ装置
JP6351443B2 (ja) * 2014-08-29 2018-07-04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緩衝器
JP2016050613A (ja) * 2014-08-29 2016-04-11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緩衝器
JP6710914B2 (ja) 2015-08-28 2020-06-1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子デバイス、電子機器及び移動体
CN205573629U (zh) * 2016-03-31 2016-09-14 上汽通用五菱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提升刚度及减震的中间支承结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4446A (ko) * 2007-01-05 2008-07-09 주식회사 만도 변형 방지용 밸브디스크를 포함하는 쇽업소버
JP2011202800A (ja) 2010-03-02 2011-10-13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緩衝器
CN105793603A (zh) * 2013-11-29 2016-07-20 日立汽车系统株式会社 缓冲器
KR20160091340A (ko) * 2013-11-29 2016-08-02 히다치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완충기
KR20150113885A (ko) * 2014-03-31 2015-10-08 히다치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706714B2 (ja) 2020-06-10
CN110366647A (zh) 2019-10-22
JPWO2018164167A1 (ja) 2019-11-21
US20200271186A1 (en) 2020-08-27
WO2018164167A1 (ja) 2018-09-13
DE112018001265T5 (de) 2019-11-21
DE112018001265B4 (de) 2022-04-28
CN110366647B (zh) 2024-06-21
KR102296116B1 (ko) 2021-08-30
US11078982B2 (en) 2021-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04372A (ko) 완충기
US10995813B2 (en) Shock absorber
JP6838220B2 (ja) 緩衝器
KR102523320B1 (ko) 완충기
JP6942185B2 (ja) 緩衝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9206971A (ja) 緩衝器
JP2020034068A (ja) 流体圧緩衝器
US10837514B2 (en) Valve structure of shock absorber
JP7109293B2 (ja) 緩衝器
JP6800056B2 (ja) 緩衝器
US20230392666A1 (en) Sealing device and damper for hydraulic equipment
JP2009024726A (ja) 空圧緩衝器
JP7154166B2 (ja) 緩衝器
WO2023037713A1 (ja) 緩衝器
WO2024070710A1 (ja) ショックアブソーバおよびショックアブソーバの製造方法
JP2023106804A (ja) 緩衝器
KR20230027224A (ko) 완충기
JP2023005202A (ja) 緩衝器
KR20240027810A (ko) 완충기
WO2018123735A1 (ja) 緩衝器
JP6014459B2 (ja) シリン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