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2547A - 자석을 이용한 미닫이식 도어구조체 - Google Patents

자석을 이용한 미닫이식 도어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2547A
KR20190102547A KR1020180023054A KR20180023054A KR20190102547A KR 20190102547 A KR20190102547 A KR 20190102547A KR 1020180023054 A KR1020180023054 A KR 1020180023054A KR 20180023054 A KR20180023054 A KR 20180023054A KR 20190102547 A KR20190102547 A KR 201901025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magnet
main body
screen member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30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9043B1 (ko
Inventor
서주은
Original Assignee
서주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주은 filed Critical 서주은
Priority to KR10201800230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9043B1/ko
Publication of KR201901025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25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90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90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5Roller shutters with closing members formed of slat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16Devices holding the wing by magnetic or electromagnetic attra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7Parts or details of roller shutters, e.g. suspension devices, shutter boxes, wicket doors, ventilation open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2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furniture, e.g. cabine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5Roller shutters with closing members formed of slats or the like
    • E06B2009/1505Slat 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5Roller shutters with closing members formed of slats or the like
    • E06B2009/1533Slat connections
    • E06B2009/155Slats connected by separate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석을 이용한 미닫이식 도어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납을 위한 수납공간을 갖는 수납장 또는 보관함 등의 가구에 구비된 도어를 미닫이 방식과 자바라 방식을 적용하여 사용상의 편리함을 도모할 수 있는 자석을 이용한 미닫이식 도어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석을 이용한 미닫이식 도어구조체는 가정이나 사무실, 식당 등에 구비된 가구에 미닫이 방식과 자바라 방식을 적용한 도어를 설치하여, 협소한 장소에도 도어의 개폐가 용이하고, 자석을 이용하여 도어를 본체를 따라 이동시킬 수 있어 도어를 개폐 동작이 안정적인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자석을 이용한 미닫이식 도어구조체{Sliding door type door structure using magnets}
본 발명은 자석을 이용한 미닫이식 도어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납을 위한 수납공간을 갖는 수납장 또는 보관함 등의 가구에 구비된 도어를 미닫이 방식과 자바라 방식을 적용하여 사용상의 편리함을 도모할 수 있는 자석을 이용한 미닫이식 도어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 물건들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장이나 보관함 등의 가구는 대부분이 서랍식이나 손잡이를 잡고 힌지를 중심으로 개폐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종래의 가구는 가구의 전방 측에 일정한 공간이 확보되어야 도어를 개폐할 수 있으므로 공간이 협소한 장소에는 설치 및 사용이 불가능하며, 이로 인해 공간 활용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481499 대한민국 등록실용 20-038928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가정이나 사무실, 식당 등에 구비된 가구에 미닫이 방식과 자바라 방식을 적용한 도어를 설치하여, 협소한 장소에도 도어의 개폐가 용이한 자석을 이용한 미닫이식 도어구조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석을 이용한 미닫이식 도어구조체는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전면에는 상기 공간부를 개폐하기 위한 개구부가 형성된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것으로서, 상기 개구부를 미닫이식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전면과 상기 본체의 내부 측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공간부를 향하는 내측에 자석 또는 자성체가 부착된 도어부와; 상기 도어부의 이동시 상기 도어부를 상기 본체의 전면과 측면을 따라 이동시키도록 상기 도어부의 이동을 안내하며 상기 도어부의 자석 또는 자성체와 대응되는 위치에 자성체 또는 자석이 부착된 가이드부;를 구비한다.
상기 도어부는 상기 개구부의 상하 폭에 대응되는 길이를 갖고, 상기 개구부의 전면과 상기 본체의 내부 측면을 경유하도록 소정길이 연장되며 휘거나 접을 수 있도록 플렉시블하게 형성되며, 상단 또는 하단 또는 상하 길이 중심 부분에는 수평방향으로 제1도어자석 또는 제1도어자성체가 부착된 스크린부재와, 상기 스크린부재의 일 측 단부에 결합되고, 일 측에 제2도어자석 또는 제2도어자성체가 부착된 록킹바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본체의 전면 측 모서리 부분에 상하방향으로 설치되는 지지봉과, 상기 본체의 후면 측 모서리 부분에 상하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본체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권취롤러와, 상기 권취롤러에 결합되어 상기 권취롤러를 일 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려는 토크를 제공하는 스프링부재와, 상기 스크린부재의 타 단에 일 단이 연결되고 타 단은 상기 권취롤러에 권취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스크린부재의 상단 또는 하단 또는 상하 길이 중심에 대응되는 상기 본체 내부에 상기 스크린부재와 인접하도록 설치되고, 일 측에는 상기 제1도어자석 또는 제1도어자성체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1안내자성체 또는 제1안내자석이 부착된 이동지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스크린부재는 상기 개구부의 상하 폭에 대응되는 길이를 갖고, 양측 단부에는 내측으로 인입된 제1인입홈과 제2인입홈이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복수의 수직바와, 상기 수직바들을 서로 연결하도록 상기 제1인입홈에 삽입되는 제1삽입돌기와, 상기 제2인입홈에 삽입되는 제2삽입돌기 및 상기 제1삽입돌기와 제2삽입돌기를 연결하며 플렉시블한 소재로 형성된 연결리브를 포함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스크린부재는 상기 개구부의 상하 폭에 대응되는 길이를 갖고 전후 방향으로 제1두께를 갖는 제1스트립부와, 상기 제1두께보다 얇은 두께를 갖고 플렉시블한 제2스트립부가 좌우방향으로 반복되게 형성된다.
상기 지지봉에 설치되어 상기 스크린부재를 이동시킬 때 상기 스크린부재에 접촉되어 회전되는 베어링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베이링부재의 외주면에는 상기 스크린부재의 제1도어자석 또는 제1도어자성체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2안내자석 또는 제2안내자성체가 부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자석을 이용한 미닫이식 도어구조체는 가정이나 사무실, 식당 등에 구비된 가구에 미닫이 방식과 자바라 방식을 적용한 도어를 설치하여, 협소한 장소에도 도어의 개폐가 용이하고, 자석을 이용하여 도어를 본체를 따라 이동시킬 수 있어 도어를 개폐 동작이 안정적인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석을 이용한 미닫이식 도어구조체가 가구에 적용된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자석을 이용한 미닫이식 도어구조체가 가구에 적용된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의 일부를 발췌한 도면.
도 4는 도 2의 일부를 발췌한 도면.
도 5는 도 2의 일부를 발췌한 도면.
도 6은 스크린부재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석을 이용한 미닫이식 도어구조체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에는 본 발명에 따른 자석을 이용한 미닫이식 도어구조체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석을 이용한 미닫이식 도어구조체는 내부에 공간부(10a)가 형성되고, 전면에는 상기 공간부(10a)를 개폐하기 위한 개구부(10b)가 형성된 본체(10)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10)의 개구부(10b)를 개폐하는 것으로서, 도어부(100)와, 가이드부를 구비한다.
도어부(100)는 내부에 공간부(10a)가 형성되고, 전면에는 공간부(10a)와 연통되는 개구부(10b)가 형성된 본체(10)에 설치된다. 본체(10)는 상판(11)과, 하판(12)과, 측판(13) 및 후판(1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 예에서 본체(10)는 옷이나 신발을 수납하는 옷장이나 신발장과 같은 가구를 적용하였으나 이와 다르게 내부에 공간부(10a)를 갖고 일 측에 개구부(10b)가 형성된 구조물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어부(100)는 본체(10)의 개구부(10b)를 본체(10)의 양측에서 미닫이식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제1도어부(110)와 제2도어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시된 예에서 제1도어부(110)와 제2도어부(120)는 본체(10)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설치되며, 동일한 구성 및 구조를 갖는다.
제1도어부(110) 및 제2도어부(120)는 각각 본체(10)의 전면과 본체(10)의 내부 측판(15)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공간부(10a)를 향하는 내측에 자석 또는 자성체가 부착된다.
제1도어부(110) 및 제2도어부(120)는 각각 스크린부재(130)와, 록킹바(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스크린부재(130)는 개구부(10b)의 상하 폭에 대응되는 길이를 갖고, 개구부(10b)의 전면과 본체(10)의 내부 측판(15)을 경유하도록 소정길이 연장되며 휘거나 접을 수 있도록 플렉시블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스크린부재(130)는 상단 또는 하단 또는 상하 길이 중심 부분에 수평방향으로 제1도어자석(141) 또는 제1도어자성체가 부착된다. 본 실시 예에서 스크린부재(130)에는 제1도어자석(141)이 구비된 것을 적용하였다. 그리고, 스크린부재(130)는 목재나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스크린부재(1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부(10b)의 상하 폭에 대응되는 길이를 갖고, 양측 단부에는 내측으로 인입된 제1인입홈(131)과 제2인입홈(132)이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복수의 수직바(133)와, 수직바(133)들을 서로 연결하도록 제1인입홈(131)에 삽입되는 제1삽입돌기(135)와, 제2인입홈(132)에 삽입되는 제2삽입돌기(136) 및 제1삽입돌기(135)와 제2삽입돌기(136)를 연결하며 플렉시블한 소재로 형성된 연결리브를 포함하는 연결부재(137)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스크린부재(130)는 수직바(133)들이 플렉시블한 소재의 연결부재(137)에 의해 서로 연결된 구조를 가져 일 측의 수직바(133)에 대해 타 측의 수직바(133)를 꺾거나 구부릴 수 있게 된다.
한편, 스크린부재(130a)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부(10b)의 상하 폭에 대응되는 길이를 갖고 전후 방향으로 제1두께를 갖는 제1스트립부(138)와, 제1두께보다 얇은 두께를 갖고 플렉시블한 제2스트립부(139)가 좌우방향으로 반복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제1스트립부(138)가 플렉시블한 제2스트립부(139)에 의해 연결된 구조를 가져 일 측의 제1스트립부(138)에 대해 타 측의 제1스트립부(138)를 꺾거나 구부릴 수 있게 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스크린부재는 천을 이용하여 시트 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다.
록킹바(150)는 스크린부재(130)의 일 측 단부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얇은 막대(stick, rod, bar) 형으로 형성되고, 일 측에는 제2도어자석(151) 또는 제2도어자성체(152)가 구비된다. 본 실시 예에서 제1도어부(110)의 록킹바(150)에는 제2도어자석(151)이 구비되고, 이와 대응되는 제2도어부(120)의 록킹바(150)에는 제2도어자석(151)에서 발생하는 자기력에 의해 제2도어자석(151)에 붙을 수 있도록 제2도어자성체(152)가 구비된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만 이와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또한, 제1도어부(110)의 록킹바(150)와 제2도어부(120)의 록킹바(150) 각각에 제2도어자석(151)이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록킹바의 외측에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155)가 구비된다.
제1도어부(110)와 제2도어부(120)에 각각 구비되는 제2도어자석(151) 또는 제2도어자성체(152)는 제1도어부(110)와 제2도어부(120)를 서로 접근시켜 본체(10)의 개구부(10b)를 폐쇄할 때, 록킹바(150)들을 자기력에 의해 서로 밀착되도록 하여 개구부(10b)를 폐쇄된 상태로 유지시킨다.
가이드부는 도어부(100)의 이동시 도어부(100)를 상기 본체(10)의 전면과 측판(15)을 따라 이동시키도록 도어부(100)의 이동을 안내하며 도어부(100)의 자석 또는 자성체와 대응되는 위치에 자성체 또는 자석이 부착된다.
가이드부는 지지봉(210)과, 권취롤러(220)와, 스프링부재(230)와, 연결로프(240)와, 이동지지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지지봉(210)은 본체(10)의 전면 측 모서리 부분에 상하방향으로 설치된다.
권취롤러(220)는 본체(10)의 후판 측 모서리 부분에 상하방향으로 설치되고, 본체(1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스프링부재(230)는 권취롤러(220)의 상단 또는 하단의 회전축(221)에 결합되어 권취롤러(220)를 일 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려는 토크를 제공한다. 스프링부재(230)는 권취롤러(220)를 일 측 방향으로 지속적으로 회전시키는 토크를 제공하여 권취롤러(220)에 권취된 연결로프(240)를 통해 스크린부재(130)의 단부를 본체(10)의 후판 측으로 잡아당기며, 개구부가 개방될 시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로프(240)뿐만 아니라 스크린부재(130)의 단부 측 일부를 권취롤러(220)에 권취되도록 토크를 제공한다. 그리고, 스프링부재(230)에 의해 권취롤러(220)에 제공되는 토크는 록킹바(150)에 구비된 자석 또는 자성체 상호간의 결합력보다 작게 설정함으로써 개구부를 폐쇄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로프(240)는 본체(10)의 개구부(10b)와 먼 측에 위치하는 스크린부재(130)의 타 단에 일 단이 연결되고 타 단은 권취롤러(220)에 권취되게 권취롤러(220)에 연결된다.
이동지지부(250)에는 스크린부재(130)의 상단 또는 하단 또는 상하 길이 중심에 대응되는 본체(10) 내부에 스크린부재(130)와 인접하도록 설치되고, 일 측에는 스크린부재(130)의 제1도어자석(141) 또는 제1도어자성체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1안내자성체(251) 또는 제1안내자석이 부착된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는 이동지지부(250)로서 스크린부재(130)의 상하 길이 중심과 대응되는 위치에 본체(10)의 공간부(10a)를 상하로 구획 및 물건을 놓을 수 있도록 본체(10)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며 네 모서리 부분에 지주(251)가 설치된 선반을 적용하였으나, 이와 다르게 본체(10)의 상판(13) 또는 하판(14)으로부터 각각 하방 또는 상방으로 돌출되고 스크린부재(130)의 이동경로와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바 형태로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동지지부(250)에 구비된 제1안내자성체(251) 또는 제1안내자석은 도어부(100)의 이동시 도어부(100)에 구비된 제1도어자석(141) 또는 제1도어자성체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 스크린부재(130)가 이동지지부(250)에 밀착 및 접촉된 상태로 이동될 수 있도록 지지한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가이드부는 권취롤러(220), 연결로프(240), 스프링부재(230) 모두를 생략할 수도 있고, 이와 다르게 스프링부재(230)만 생략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권취롤러(220)를 본체(10)에 대해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시키고, 연결로프(240)를 탄성을 갖는 고무 또는 신축성을 갖는 밴드로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결로프(240)를 신축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하면 연결로프(240)가 스크린부재(130)의 단부를 본체(10)의 후판 측으로 지속적으로 잡아당김으로써 사용자가 제1도어부(210)와 제2도어부(220)의 록킹바가 서로 붙어 있는 상태에서 약간만 벌리면 자동으로 개구부를 개방시킬 수 있다.
한편, 지지봉(210)에는 스크린부재(130)를 이동시킬 때, 스크린부재(130)에 접촉되어 회전되는 베어링부재(211)가 더 구비된다.
베어링부재(211)의 내륜(212)은 지지봉(210)에 고정되고, 외륜(213)은 내륜(212)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베어링부재(211)의 외륜(213)은 스크린부재(130)와 접하도록 배치되어 스크린부재(130)의 이동을 안내한다. 그리고, 스크린부재(130)와 마주하는 베어링부재(211)의 외륜(213)에는 스크린부재(130)의 제1도어자석(141) 또는 제1도어자성체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2안내자석 또는 제2안내자성체(215)가 부착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자석을 이용한 미닫이식 도어구조체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본체
10a : 공간부
10b : 개구부
11 : 상판
12 : 하판
13 : 측판
14 : 후판
100 : 도어부
110 : 제1도어부
120 : 제2도어부
130 : 스크린부재
131 : 제1인입홈
132 : 제2인입홈
133 : 수직바
135 : 제1삽입돌기
136 : 제2삽입돌기
137 : 연결부재
138 : 제1스트립부
139 : 제2스트립부
141 : 제1도어자석
150 : 록킹바
151 : 제2도어자석
152 : 제2도어자성체
210 : 지지봉
211 : 베어링부재
212 : 내륜
213 : 외륜
215 : 제2안내자성체
220 : 권취롤러
230 : 스프링부재
240 : 연결로프
250 : 이동지지부
251 : 제1안내자성체

Claims (5)

  1.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전면에는 상기 공간부를 개폐하기 위한 개구부가 형성된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를 미닫이식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전면과 상기 본체의 내부 측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공간부를 향하는 내측에 자석 또는 자성체가 부착된 도어부와;
    상기 도어부의 이동시 상기 도어부를 상기 본체의 전면과 측면을 따라 이동시키도록 상기 도어부의 이동을 안내하며 상기 도어부의 자석 또는 자성체와 대응되는 위치에 자성체 또는 자석이 부착된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을 이용한 미닫이식 도어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부는
    상기 개구부의 상하 폭에 대응되는 길이를 갖고, 상기 개구부의 전면과 상기 본체의 내부 측면을 경유하도록 소정길이 연장되며 휘거나 접을 수 있도록 플렉시블하게 형성되며, 상단 또는 하단 또는 상하 길이 중심 부분에는 수평방향으로 제1도어자석 또는 제1도어자성체가 부착된 스크린부재와,
    상기 스크린부재의 일 측 단부에 결합되고, 일 측에 제2도어자석 또는 제2도어자성체가 부착된 록킹바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본체의 전면 측 모서리 부분에 상하방향으로 설치되는 지지봉과,
    상기 본체의 후면 측 모서리 부분에 상하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본체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권취롤러와,
    상기 권취롤러에 결합되어 상기 권취롤러를 일 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려는 토크를 제공하는 스프링부재와,
    상기 스크린부재의 타 단에 일 단이 연결되고 타 단은 상기 권취롤러에 권취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스크린부재의 상단 또는 하단 또는 상하 길이 중심에 대응되는 상기 본체 내부에 상기 스크린부재와 인접하도록 설치되고, 일 측에는 상기 제1도어자석 또는 제1도어자성체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1안내자성체 또는 제1안내자석이 부착된 이동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을 이용한 미닫이식 도어구조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부재는
    상기 개구부의 상하 폭에 대응되는 길이를 갖고, 양측 단부에는 내측으로 인입된 제1인입홈과 제2인입홈이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복수의 수직바와,
    상기 수직바들을 서로 연결하도록 상기 제1인입홈에 삽입되는 제1삽입돌기와, 상기 제2인입홈에 삽입되는 제2삽입돌기 및 상기 제1삽입돌기와 제2삽입돌기를 연결하며 플렉시블한 소재로 형성된 연결리브를 포함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을 이용한 미닫이식 도어구조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부재는
    상기 개구부의 상하 폭에 대응되는 길이를 갖고 전후 방향으로 제1두께를 갖는 제1스트립부와, 상기 제1두께보다 얇은 두께를 갖고 플렉시블한 제2스트립부가 좌우방향으로 반복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을 이용한 미닫이식 도어구조체.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에 설치되어 상기 스크린부재를 이동시킬 때 상기 스크린부재에 접촉되어 회전되는 베어링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베이링부재의 외주면에는 상기 스크린부재의 제1도어자석 또는 제1도어자성체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2안내자석 또는 제2안내자성체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을 이용한 미닫이식 도어구조체.
KR1020180023054A 2018-02-26 2018-02-26 자석을 이용한 미닫이식 도어구조체 KR1020890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3054A KR102089043B1 (ko) 2018-02-26 2018-02-26 자석을 이용한 미닫이식 도어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3054A KR102089043B1 (ko) 2018-02-26 2018-02-26 자석을 이용한 미닫이식 도어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2547A true KR20190102547A (ko) 2019-09-04
KR102089043B1 KR102089043B1 (ko) 2020-04-23

Family

ID=67950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3054A KR102089043B1 (ko) 2018-02-26 2018-02-26 자석을 이용한 미닫이식 도어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90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7154B1 (ko) * 2020-05-21 2020-09-17 주식회사 대흥종합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조립식 통신 단자함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86287A (ja) * 1985-10-11 1987-04-20 株式会社イトーキクレビオ シヤツタ−装置
JPS62196881U (ko) * 1986-06-04 1987-12-15
JPH1091001A (ja) * 1996-09-10 1998-04-10 Hitachi Metals Ltd マグネットロール
JP2005146778A (ja) * 2003-11-19 2005-06-09 Isel Co Ltd 折畳み扉のパネル継手構造
KR200389282Y1 (ko) 2005-04-21 2005-07-07 오원석 가구용 도어 개폐장치
KR20100044330A (ko) * 2008-10-22 2010-04-30 강희전 야외용 대기실
KR101099445B1 (ko) * 2011-05-17 2011-12-27 이승용 슬라이딩 방화 차단도어
KR200481499Y1 (ko) 2015-02-23 2016-10-10 오세진 가구 도어의 개폐 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86287A (ja) * 1985-10-11 1987-04-20 株式会社イトーキクレビオ シヤツタ−装置
JPS62196881U (ko) * 1986-06-04 1987-12-15
JPH1091001A (ja) * 1996-09-10 1998-04-10 Hitachi Metals Ltd マグネットロール
JP2005146778A (ja) * 2003-11-19 2005-06-09 Isel Co Ltd 折畳み扉のパネル継手構造
KR200389282Y1 (ko) 2005-04-21 2005-07-07 오원석 가구용 도어 개폐장치
KR20100044330A (ko) * 2008-10-22 2010-04-30 강희전 야외용 대기실
KR101099445B1 (ko) * 2011-05-17 2011-12-27 이승용 슬라이딩 방화 차단도어
KR200481499Y1 (ko) 2015-02-23 2016-10-10 오세진 가구 도어의 개폐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7154B1 (ko) * 2020-05-21 2020-09-17 주식회사 대흥종합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조립식 통신 단자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9043B1 (ko) 2020-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40336B1 (en) Built-in kitchen appliance
US7614263B2 (en) Drum washing machine having foldable door
US20180356148A1 (en) Airtight box
KR200410168Y1 (ko) 욕실 수납장의 미닫이 도어 개폐구조
KR20190102547A (ko) 자석을 이용한 미닫이식 도어구조체
KR20140037362A (ko) 접이식 수납장을 가진 서랍장
ES2314147T3 (es) Lavadora con un distribuidor de detergente.
US2070924A (en) Wardrobe, cabinet and the like
KR200492419Y1 (ko) 수납장치
JPH11146995A (ja) 棚並びに伸縮容器及び収納庫付き洗濯機
KR102470209B1 (ko) 드로워 가이드 및 드로워 가이드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KR200492565Y1 (ko) 가구 결합형 옷장
KR102053182B1 (ko) 침대 수납서랍의 선택적 인출을 위한 스마트 인출 구조
KR101733866B1 (ko) Tv장이 내설된 수납가구
KR101800510B1 (ko) 수납장
KR200291321Y1 (ko) 장롱의 측판 보강구조
KR200172798Y1 (ko) 슬라이딩 도어 수납함
KR102496008B1 (ko) 미닫이용 도어의 슬라이딩 장치
KR200470641Y1 (ko) 다방향 개폐 서랍장
KR200168321Y1 (ko) 보조테이블이 설치된 수납장
KR200337575Y1 (ko) 보조 테이블이 갖추어진 수납장
KR200402178Y1 (ko) 가구용 자바라식 셔터
KR102582319B1 (ko) 천장 수납부를 구비한 수납장
JPS61254776A (ja) 収納装置
KR102172503B1 (ko) 가변 슬라이딩 도어가 구비된 책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