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7154B1 - 건축용 조립식 통신 단자함 - Google Patents

건축용 조립식 통신 단자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7154B1
KR102157154B1 KR1020200061190A KR20200061190A KR102157154B1 KR 102157154 B1 KR102157154 B1 KR 102157154B1 KR 1020200061190 A KR1020200061190 A KR 1020200061190A KR 20200061190 A KR20200061190 A KR 20200061190A KR 102157154 B1 KR102157154 B1 KR 1021571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pace
worker
communication terminal
terminal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11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태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흥종합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흥종합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흥종합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2000611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71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71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71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4User authentication involving the use of external additional devices, e.g. dongles or smart cards
    • G06F21/35User authentication involving the use of external additional devices, e.g. dongles or smart cards communicating wireless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2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0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electromagnets
    • E05B2047/0007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electromagnets with two or more electromagnets
    • E05Y2900/606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99/00Subject-matt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eth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용 조립식 통신 단자함에 관한 것으로서, 건물 외부에 설치된 외부 통신 단자함의 개폐시 사전에 작업자에 대한 인증절차를 수행함으로써, 통신망의 보안을 유지하면서 배선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건축용 조립식 통신 단자함은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작업자의 단말장치로 부터 전달된 개폐명령에 응답하여 작업자를 인증하고 도어가 자동으로 개폐됨으로써, 인증되지 않은 작업자에 의한 배선의 변경 또는 통신망의 훼손을 막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건축용 조립식 통신 단자함은 함체와 일체로 구현되고 오픈시 함체 내부로 인입되는 도어를 포함함으로써, 작업자의 작업 공간을 확보하면서 도어의 분실 또는 훼손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건축용 조립식 통신 단자함{PREFAB COMMUNICATION TERMINAL BOX FOR CONSTRUCTION}
본 발명은 건축용 조립식 통신 단자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건축용 조립식 통신 단자함에 관한 것이다.
통신 단자함은 통신사로부터 연결된 통신선을 가입자의 통신수단과 연결하기 위한 단자 및 배선들을 저장하는 함체로서, 건물 외벽이나 전신주 등에 설치되어 공용으로 배선되는 국선과 건물 내부에 가입자용으로 배선된 내선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외부 통신 단자함과, 상기 내선을 세대 내의 장치들로 연결하기 위한 세대 통신 단자함이 있다.
이중 외부 통신 단자함은 건물 외부에 노출되어 있음으로써, 인증된 작업자가 아닌 제3자가 악의적인 목적으로 통신 단자함을 오픈하여 내부의 배선을 변경하거나 훼손할 경우 통신망이 비정상적으로 동작하거나 통신망이 끊어지는 등으로 인한 피해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이로 인해, 종래에는 통신 단자함에 잠금장치를 설치하고, 건물의 관리자 등이 이를 관리하도록 함으로써, 인증된 작업자만이 통신 단자함을 오픈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런데, 이 경우 작업자가 작업을 하고자 할 시점에 건물의 관리자와 연락이 안되거나, 잠금장치의 오류 등이 발생할 경우 작업이 원활하지 못한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06645호(2007.04.13.공고, 명칭: 건출물 통합단자함 구조)
따라서 본 발명은 건물 외부에 설치된 외부 통신 단자함의 개폐시 사전에 작업자에 대한 인증절차를 수행함으로써, 통신망의 보안을 유지하면서 배선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건축용 조립식 통신 단자함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작업자의 단말장치로 부터 전달된 개폐명령에 응답하여 작업자를 인증하고 도어가 자동으로 개폐됨으로써, 인증되지 않은 작업자에 의한 배선의 변경 또는 통신망의 훼손을 막을 수 있는 건축용 조립식 통신 단자함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함체와 일체로 구현되고 오픈시 함체 내부로 인입되는 도어를 포함함으로써, 작업자의 작업 공간을 확보하면서 도어의 분실 또는 훼손을 방지할 수 있는 건축용 조립식 통신 단자함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건축용 조립식 통신 단자함은 일면이 개방되고, 상기 개방면과 수직을 이루는 하나의 수직면의 내벽 및 외벽 사이에 제1 공간(A)을 구비하고, 상기 개방면과 평행을 이루는 평행면의 내벽 및 외벽 사이에 제2 공간(B)을 구비하는 함체; 개폐조작에 의거하여 상기 개방면을 개방 또는 폐쇄하되, 폐쇄시 상기 함체에 접촉하는 면에 자성에 반응하는 소정 물질이 부착되고, 플렉서블한 재질로 형성되어 개방시 상기 제1 공간(A) 및 상기 제2 공간(B)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인입되는 도어; 상기 제1 공간(A)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개방면으로부터 인입되는 상기 도어를 상기 제1 공간(A) 내부로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롤러; 상기 제1 공간(A)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 가이드롤러를 경유하여 상기 제2 공간(B)으로 슬라이딩되는 상기 도어를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롤러; 상기 제2 공간(B)의 내부면을 따라 폴딩되며, 폴딩된 모서리에 자성에 반응하는 소정 물질이 부착된 폴딩부재; 상기 도어가 상기 함체의 일면을 폐쇄할 때, 상기 도어의 일측과 접촉하는 함체측에 구비된 제1 전자석; 상기 제2 공간(B)의 내부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 부착된 제2 전자석; 및 작업자를 인증하기 위한 인증정보를 저장하고, 작업자의 단말장치로부터 작업자 식별정보가 포함된 도어 개방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인증정보 및 상기 작업자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작업자 인증을 수행한 후 상기 작업자 인증이 성공한 경우에 상기 도어를 개방하는 도어개폐 제어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도어개폐 제어모듈은 상기 도어 폐쇄시 상기 제1 및 제2 전자석에 전류를 공급하여 상기 도어를 잠금 상태로 제어하고, 상기 도어 개방시 상기 제1 및 제2 전자석에 전류를 차단하여 상기 도어를 열림 상태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도어개폐 제어모듈은 상기 작업자의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개방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인증정보를 저장하는 인증정보 저장부; 상기 개방 요청신호에 포함된 작업자 식별정보 및 상기 인증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인증정보에 의거하여 작업자 인증을 수행하는 작업자 인증부; 및 상기 도어 폐쇄시 상기 제1 및 제2 전자석에 전류를 공급하고, 상기 작업자 인증에 성공한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전자석에 전류를 차단하는 전류 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축용 조립식 통신 단자함은 건물 외부에 설치된 외부 통신 단자함의 개폐시 사전에 작업자에 대한 인증절차를 수행함으로써, 통신망의 보안을 유지하면서 배선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건축용 조립식 통신 단자함은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작업자의 단말장치로 부터 전달된 개폐명령에 응답하여 작업자를 인증하고 도어가 자동으로 개폐됨으로써, 인증되지 않은 작업자에 의한 배선의 변경 또는 통신망의 훼손을 막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건축용 조립식 통신 단자함은 함체와 일체로 구현되고 오픈시 함체 내부로 인입되는 도어를 포함함으로써, 작업자의 작업 공간을 확보하면서 도어의 분실 또는 훼손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건축용 조립식 통신 단자함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건축용 조립식 통신 단자함의 도어를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건축용 조립식 통신 단자함의 개폐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건축용 조립식 통신 단자함의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건축용 조립식 통신 단자함에 포함된 폴딩 부재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도어 개폐 제어모듈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건축용 조립식 통신 단자함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건축용 조립식 통신 단자함의 측단면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또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여도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부분의 설명은 생략하였다.
명세서 및 청구범위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건축용 조립식 통신 단자함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건축용 조립식 통신 단자함(100)은 일면이 개방된 함체(110)와, 개폐조작에 의거하여 상기 개방면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도어(120)와, 도어(120)의 개폐를 제어하는 도어개폐 제어모듈(200)을 포함한다.
도어(120)는 사용자의 개폐조작에 의거하여 함체(110)의 개방면을 개방 또는 폐쇄하며, 사용자의 개폐조작을 돕기 위해 손잡이(12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도어(120)가 함체(110)의 개방면을 폐쇄하고 있는 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어(120)는 플렉서블(flexible)한 재질로 형성되어 개방시 함체(110)의 내벽과 외벽 사이에 형성된 소정 공간으로 슬라이딩되어 인입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건축용 조립식 통신 단자함(100)의 도어를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로서, 도어(120)가 인입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함체(110)의 개방면(도면 기준 상부면) 측에는 개폐 동작을 위해 이동하는 도어(120)를 가이드하기 위한 레일(111) 및 인입구(112)가 형성된다.
레일(111)은 상기 개방면의 개폐를 위한 도어(120)의 이동을 가이드하고, 인입구(112)는 도어(120)를 함체(110)의 내벽과 외벽 사이에 형성된 소정 공간으로 인입시킨다. 이 때, 함체(110)의 내벽과 외벽 사이에 형성된 소정 공간으로 인입되는 도어(120)의 구조는 상기 건축용 조립식 통신 단자함(100)의 측단면을 도시하는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도 3은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건축용 조립식 통신 단자함의 개폐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로서, 도 3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건축용 조립식 통신 단자함의 개방면이 폐쇄되었을 때 도어(120)와 함체(110)가 접촉하는 면(122, 113)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건축용 조립식 통신 단자함(100)의 도어(120)는 도 3에 표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개방면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방면이 폐쇄된 경우, 도어(120)와 함체(110)에는 각각 서로 만나는 접촉면이 발생하는데, 도어(120)의 접촉면에는 자성에 반응하는 소정 물질(즉, 금속성 물질)(예컨대, 초박형 철판 등)(121)이 부착되고, 함체(110)의 접촉면에는 제1 전자석(113)이 부착되어, 제1 전자석(113)에 전류가 흐를 경우 도어(120)의 잠금장치로 동작한다.
즉,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방면이 폐쇄된 상태에서, 제1 전자석(113)에 전류를 흘리게 되면 제1 전자석(113)에 자성이 생기고, 상기 금속성 물질(121)은 그에 반응하여 제1 전자석(113)에 붙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건축용 조립식 통신 단자함의 측단면도로서, 도 4의 (a)는 상기 개방면이 폐쇄된 경우 도어(120)의 동작 상태를 예시하고, 도 4의 (b)는 상기 개방면이 개방된 경우 도어(120)의 동작 상태를 예시한다.
도 4의 (a) 및 도 4의 (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건축용 조립식 통신 단자함의 함체(110)는 개방면과 수직을 이루는 하나의 수직면의 내벽 및 외벽 사이에 제1 공간(A)을 구비하고, 상기 개방면과 평행을 이루는 평행면의 내벽 및 외벽 사이에 제2 공간(B)을 구비하여, 상기 개방면의 개방시 도어(120)가 제1 공간(A) 및 제2 공간(B)으로 인입되도록 한다.
이 때, 제1 공간(A)에는 제1 및 제2 가이드 롤러(140, 150)가 설치되며, 제1 가이드 롤러(140)는 제1 공간(A)의 상부측(도면 기준)에 설치되어, 상기 개방면으로부터 인입되는 도어(120)를 제1 공간(A) 내부로 가이드하고, 제2 가이드 롤러(150)는 제1 가이드 롤러(140)를 경유하여 제2 공간(B)으로 슬라이딩되는 도어(120)를 가이드한다.
또한, 제2 공간(B)의 내부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는 제2 전자석(114)이 부착될 수 있고, 제2 공간(B)에는 제2 공간(B)의 내부면을 따라 폴딩되는 폴딩부재(16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건축용 조립식 통신 단자함에 포함된 폴딩 부재(160)에 대한 확대도로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폴딩부재(160)는 폴딩된 모서리에 자성에 반응하는 물질(즉, 금속성 물질)(예컨대, 초박형 철판 등)(161)이 부착된다.
따라서, 제2 전자석(114)에 전류가 흐를 경우 상기 금속성 물질(161)이 제2 전자석(114)과 반응하여 도어(120)의 잠금장치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개방면이 폐쇄된 상태에서 제2 전자석(114)에 전류를 흘리게 되면, 제2 전자석(114)에 자성이 생기고, 상기 금속성 물질(161)은 그에 반응하여 제2 전자석(114)에 붙게 된다.
이는 도 3을 참조한 설명에서 언급한 제1 전자석(113)과 금속성 물질(121)의 동작과 연동하여 도어(120)의 잠금장치를 더욱 강화시킬 수 있다. 즉, 제1 전자석(113) 및 제2 전자석(114)에 전류를 동시에 흘리게 되면, 도어(120)에 부착된 금속성 물질(121)과, 폴딩 부재(160)에 부착된 금속성 물질(161)이 각각 제1 전자석(113) 및 제2 전자석(114)에 반응하여 도어(120)를 고정시킨다.
이를 위해, 도 1에 예시된 도어개폐 제어모듈(200)이 제1 및 제2 전자석(113 및 114)에 전류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즉, 도어개폐 제어모듈(200)은 도어(120) 폐쇄시 제1 및 제2 전자석(113 및 114)에 전류를 공급하여 상기 도어를 잠금 상태로 제어하고, 도어(120) 개방시 제1 및 제2 전자석(113 및 114)에 전류를 차단하여 도어(120)를 열림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특히, 도어 개폐 제어모듈(200)은 보안유지를 위해, 작업자를 인증하기 위한 인증정보(예컨대, 전화번호, 작업자 단말장치의 고유 번호 또는 작업자의 단말장치와 공유하는 암호키 등)를 저장하고, 작업자의 단말장치로부터 작업자 식별정보가 포함된 도어 개방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인증정보 및 상기 작업자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작업자 인증을 수행한 후 상기 작업자 인증이 성공한 경우에만 도어(120)를 개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도어 개폐 제어모듈(200)의 구성 예가 도 6에 예시되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도어 개폐 제어모듈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로서, 도 6을 참조하면, 도어 개폐 제어모듈(200)은 인증정보저장부(210)와, 통신 인터페이스부(I/F)(220)와, 작업자 인증부(230)와, 전류 공급부(240)를 포함한다.
인증정보저장부(210)는 작업자를 인증하기 위한 인증정보을 저장한다. 이 때, 상기 인증정보는 작업자의 단말장치를 인증하기 위해 상기 작업자의 단말장치와 공유하는 암호키 또는 작업자 식별정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부(I/F)(220)는 작업자의 단말장치와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작업자의 단말장치로부터 도어개방 요청신호를 수신한다. 이 때, 상기 도어개방 요청신호는 상기 암호키 또는 작업자 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I/F(220)는 작업자의 단말장치와 근거리 통신망(예컨대, ZigBee, 블루투스 등)을 통해 통신을 하며, 작업자의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인증정보를 포함한 도어 개방 요청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작업자 인증부(23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I/F)(220)를 통해 수신한 도어 개방 요청신호에 응답하여 대응된 작업자를 인증하되, 상기 도어 개방 요청 신호에 포함된 인증정보를 이용하여 작업자 인증을 수행한다.
전류 공급부(240)는 도어 폐쇄시(즉, 평상시)에는 도 3에 예시된 제1 전자석(113) 및 도 4에 예시된 제2 전자석(114)에 전류를 공급하여 도어(120)를 잠금상태로 유지시킨다. 즉, 전류 공급부(240)는 도 3에 예시된 제1 전자석(113) 및 도 4에 예시된 제2 전자석(114)에 전류를 공급하여, 도어(120)에 부착된 금속성 물질(121)과, 폴딩 부재(160)에 부착된 금속성 물질(161)이 각각 제1 전자석(113) 및 제2 전자석(114)에 반응하여 도어(120)를 고정시키도록 함으로써, 도어(120)를 잠금상태로 유지시킨다.
그리고, 전류 공급부(240)는, 작업자 인증부(230)로부터 도어개방 요청신호를 전송한 작업자의 인증결과가 전달되면, 그에 응답하여, 제1 전자석(113) 및 제2 전자석(114)에 전류를 차단함으로써, 도어(120)를 열림상태로 유지시킨다. 즉, 상기 도어개방 요청신호를 전송한 작업자가 허가된 작업자인 경우, 전류 공급부(240)는 제1 전자석(113) 및 제2 전자석(114)에 전류를 차단함으로써, 도어(120)를 열림상태로 유지시킨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통신 단자함(100)은 하나의 도어(120)가 한 방향으로 이동하여 함체(110)의 상부 개방면(도면 기준)을 개폐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기 제1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개방면의 중심으로부터 양방향으로 이동하여 함체의 개방면을 개폐하는 2개의 도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제2 실시 예가 도 7 및 도 8에 예시되어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건축용 조립식 통신 단자함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건축용 조립식 통신 단자함의 측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건축용 조립식 통신 단자함(300)은 함체(310)와, 제1 및 제2 도어(320a, 320b)와, 도어개폐 제어모듈(200)을 포함하고, 화살표 방향으로 제1 및 제2 도어(320a, 320b)가 이동하여 함체(310)의 상부 개방면(도면 기준)을 개폐한다.
이를 위해, 함체(310)는 일면이 개방되고, 상기 개방면과 수직을 이루고 서로 마주보는 두개의 수직면의 내벽 및 외벽 사이에 제3 공간(C) 및 제4 공간(C′)을 구비하고, 상기 개방면과 평행을 이루는 평행면의 내벽 및 외벽 사이에 제5 공간(D)을 구비한다.
또한, 제1 및 제2 도어(320a, 320b)는 플렉서블한 재질로 형성되며, 개폐조작에 의거하여 상기 개방면을 개방 또는 폐쇄한다. 이를 위해, 제1 및 제2 도어(320a, 320b)는 플렉서블한 재질로 형성되어, 개폐 조작에 의해, 제3 공간(C) 또는 제4 공간(C′)으로 인입된다. 즉, 개방시 제1 도어(320a)는 제3 공간(C) 및 제5 공간(D)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인입되고, 제2 도어(320b)는 상기 제4 공간(C′) 및 상기 제5 공간(D)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인입된다.
이 때, 제3 공간(C)의 상부측(도면 기준)에는 제3 가이드롤러(340a)가 설치되고, 제3 공간(C)의 상부측(도면 기준)에는 제4 가이드롤러(350a)가 설치되며, 제3 가이드롤러(340a)는 상기 개방면으로부터 인입되는 제1 도어(320a)를 가이드하고, 제4 가이드롤러(350a)는 제3 가이드롤러(340a)를 경유하여 제5 공간(D)으로 슬라이딩되는 제1 도어(320a)를 가이드한다.
한편, 제4 공간(C′)의 상부측(도면 기준)에는 제5 가이드롤러(340b)가 설치되고, 제4 공간(C′)의 상부측(도면 기준)에는 제6 가이드롤러(350b)가 설치되며, 제5 가이드롤러(340b)는 상기 개방면으로부터 인입되는 제2 도어(320b)를 가이드하고, 제6 가이드롤러(350b)는 제5 가이드롤러(340b)를 경유하여 제5 공간(D)으로 슬라이딩되는 제2 도어(320b)를 가이드한다.
도 8의 예에서, 제5 공간(D)은 두 개의 공간(D, D')으로 분리된 예를 도시하고 있지만, 이는 도면의 예에서와 같이 분리될 수도 있고, 하나의 공간으로 통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도어의 개폐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로서, 폴딩부재(360a, 360b)와, 제3 내지 제5 전자석(330a, 330b, 314)과, 도어개폐 제어모듈(200)을 포함할 수 있다.
폴딩부재(360a, 360b)는 제5 공간(D)의 내부면을 따라 폴딩되며, 폴딩된 모서리에 자성에 반응하는 소정 물질(즉, 금속성 물질)(예컨대, 초박형 철판 등)이 부착되고, 추후에 설명될 제5 전자석(314)과 반응하여 제1 및 제2 도어(320a, 320b)의 잠금장치로 동작한다. 즉, 제5 전자석(314)에 전류가 흐를 경우, 상기 금속성 물질이 제5 전자석(314)에 부착되어 제1 및 제2 도어(320a, 320b)의 이동을 방해한다.
제3 및 제4 전자석(330a, 330b)은 제1 및 제2 도어(320a, 320b)가 함체(310)의 일면을 폐쇄할 때, 서로 접촉하는 면에 부착되며, 제3 및 제4 전자석(330a, 330b)에 전류가 흐를 경우, 상호 반응하여 제1 및 제2 도어(320a, 320b)의 이동을 방해하고, 이로 인해 제1 및 제2 도어(320a, 320b)의 잠금장치로 동작한다.
제5 전자석(314)은 제5 공간(D)의 내부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 설치되어 폴딩부재(360a, 360b)와 연동하여 제1 및 제2 도어(320a, 320b)의 잠금장치로 동작한다.
도어개폐 제어모듈(200)은 제3 내지 제5 전자석(330a, 330b, 314)에 전류 공급을 제어함으로써, 제1 및 제2 도어(320a, 320b)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즉, 도어개폐 제어모듈(200)은,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으며, 작업자를 인증하기 위한 인증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작업자의 단말장치로부터 도어개방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인증정보에 기초하여 작업자 인증을 수행한 후 상기 인증결과에 의거하여 제3 내지 제5 전자석(330a, 330b, 314)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 도어(320a, 320b)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즉, 도어개폐 제어모듈(200)은 함체(310)의 일면을 폐쇄할 때 제3 내지 제5 전자석(330a, 330b, 314)에 전류를 공급하여 제1 및 제2 도어(320a, 320b)를 잠금 상태로 제어하고, 상기 작업자 인증에 성공한 경우 제3 내지 제5 전자석(330a, 330b, 314)에 전류를 차단하여 제1 및 제2 도어(320a, 320b)를 열림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이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

Claims (4)

  1. 건축용 조립식 통신 단자함에 있어서,
    일면이 개방되고, 상기 개방면과 수직을 이루는 하나의 수직면의 내벽 및 외벽 사이에 제1 공간(A)을 구비하고, 상기 개방면과 평행을 이루는 평행면의 내벽 및 외벽 사이에 제2 공간(B)을 구비하는 함체;
    개폐조작에 의거하여 상기 개방면을 개방 또는 폐쇄하되, 폐쇄시 상기 함체에 접촉하는 면에 자성에 반응하는 소정 물질이 부착되고, 플렉서블한 재질로 형성되어 개방시 상기 제1 공간(A) 및 상기 제2 공간(B)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인입되는 도어;
    상기 제1 공간(A)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개방면으로부터 인입되는 상기 도어를 상기 제1 공간(A) 내부로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롤러;
    상기 제1 공간(A)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 가이드롤러를 경유하여 상기 제2 공간(B)으로 슬라이딩되는 상기 도어를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롤러;
    상기 제2 공간(B)의 내부면을 따라 폴딩되며, 폴딩된 모서리에 자성에 반응하는 소정 물질이 부착된 폴딩부재;
    상기 도어가 상기 함체의 일면을 폐쇄할 때, 상기 도어의 일측과 접촉하는 함체측에 구비된 제1 전자석;
    상기 제2 공간(B)의 내부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 부착된 제2 전자석; 및
    작업자를 인증하기 위한 인증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작업자의 단말장치로부터 도어개방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인증정보에 기초하여 작업자 인증을 수행한 후 상기 제1 및 제2 전자석을 제어하여 도어의 개폐를 제어하는 도어개폐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조립식 통신 단자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개폐 제어모듈은
    상기 인증정보를 저장하는 인증정보 저장부;
    작업자의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도어 개방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도어 개방 요청신호에 응답하여 대응된 작업자를 인증하되, 상기 도어 개방 요청 신호에 포함된 인증정보를 이용하여 작업자 인증을 수행하는 작업자 인증부; 및
    상기 작업자 인증부의 인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및 제2 전자석에 전류 공급을 제어하는 전류 공급부를 포함하되,
    상기 전류 공급부는
    상기 도어 폐쇄시 상기 제1 및 제2 전자석에 전류를 공급하여 상기 도어를 잠금 상태로 제어하고, 상기 작업자 인증에 성공한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전자석에 전류를 차단하여 상기 도어를 열림 상태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조립식 통신 단자함.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정보 저장부는
    암호화 알고리즘에 의거하여 작업자의 단말장치를 인증하기 위해 상기 작업자의 단말장치와 공유하는 암호키 또는 작업자 식별정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인증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작업자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암호키 또는 작업자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도어 개방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조립식 통신 단자함.
  4. 건축용 조립식 통신 단자함에 있어서,
    일면이 개방되고, 상기 개방면과 수직을 이루고 서로 마주보는 두개의 수직면의 내벽 및 외벽 사이에 제3 공간(C) 및 제4 공간(C′)을 구비하고, 상기 개방면과 평행을 이루는 평행면의 내벽 및 외벽 사이에 제5 공간(D)을 구비하는 함체;
    개폐조작에 의거하여 상기 개방면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제1 및 제2 도어;
    상기 제3 공간(C)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개방면으로부터 인입되는 상기 제1 도어를 가이드하는 제3 가이드롤러;
    상기 제3 공간(C)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3 가이드롤러를 경유하여 상기 제5 공간(D)으로 슬라이딩되는 상기 제1 도어를 가이드하는 제4 가이드롤러;
    상기 제4 공간(C′)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개방면으로부터 인입되는 상기 제2 도어를 가이드하는 제5 가이드롤러;
    상기 제4 공간(C′)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5 가이드롤러를 경유하여 상기 제5 공간(D)으로 슬라이딩되는 상기 제2 도어를 가이드하는 제6 가이드롤러;
    상기 제5 공간(D)의 내부면을 따라 폴딩되며, 폴딩된 모서리에 자성에 반응하는 소정 물질이 부착된 폴딩부재;
    상기 제1 및 제2 도어가 상기 함체의 일면을 폐쇄할 때, 서로 접촉하는 면에 부착된 제3 및 제4 전자석;
    상기 제5 공간(D)의 내부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 구비된 제5 전자석; 및
    작업자를 인증하기 위한 인증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작업자의 단말장치로부터 도어개방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인증정보에 기초하여 작업자 인증을 수행한 후 상기 제3 내지 제5 전자석을 제어하여 상기 제1 및 제2 도어의 개폐를 제어하는 도어개폐 제어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도어는
    플렉서블한 재질로 형성되어, 개방시 상기 제1 도어는 상기 제3 공간(C) 및 상기 제5 공간(D)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인입되고, 상기 제2 도어는 상기 제4 공간(C′) 및 상기 제5 공간(D)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인입되며,
    상기 도어개폐 제어모듈은
    상기 함체의 일면을 폐쇄할 때 상기 제3 내지 제5 전자석에 전류를 공급하여 상기 제1 및 제2 도어를 잠금 상태로 제어하고, 상기 작업자 인증에 성공한 경우 상기 제3 내지 제5 전자석에 전류를 차단하여 상기 제1 및 제2 도어를 열림 상태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조립식 통신 단자함.
KR1020200061190A 2020-05-21 2020-05-21 건축용 조립식 통신 단자함 KR1021571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1190A KR102157154B1 (ko) 2020-05-21 2020-05-21 건축용 조립식 통신 단자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1190A KR102157154B1 (ko) 2020-05-21 2020-05-21 건축용 조립식 통신 단자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7154B1 true KR102157154B1 (ko) 2020-09-17

Family

ID=72707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1190A KR102157154B1 (ko) 2020-05-21 2020-05-21 건축용 조립식 통신 단자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71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2680B1 (ko) * 2023-09-26 2024-02-05 주식회사 엔에스지 생체인증을 이용한 통합배선반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94568B2 (ja) * 1989-10-30 1997-12-24 株式会社岡村製作所 物品収納棚
KR100706645B1 (ko) 2006-11-13 2007-04-13 주식회사 천일건축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 통합단자함 구조
KR100930687B1 (ko) * 2009-06-30 2009-12-09 삼영알미늄(주) 학생용 셔터식 사물함
CN108643760A (zh) * 2018-05-04 2018-10-12 广州维纳斯家居股份有限公司 一种智能保险柜及其智能开锁方法
KR20190102547A (ko) * 2018-02-26 2019-09-04 서주은 자석을 이용한 미닫이식 도어구조체
KR102025673B1 (ko) * 2018-12-31 2019-11-04 장준옥 노상 전기시설물 제어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94568B2 (ja) * 1989-10-30 1997-12-24 株式会社岡村製作所 物品収納棚
KR100706645B1 (ko) 2006-11-13 2007-04-13 주식회사 천일건축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 통합단자함 구조
KR100930687B1 (ko) * 2009-06-30 2009-12-09 삼영알미늄(주) 학생용 셔터식 사물함
KR20190102547A (ko) * 2018-02-26 2019-09-04 서주은 자석을 이용한 미닫이식 도어구조체
CN108643760A (zh) * 2018-05-04 2018-10-12 广州维纳斯家居股份有限公司 一种智能保险柜及其智能开锁方法
KR102025673B1 (ko) * 2018-12-31 2019-11-04 장준옥 노상 전기시설물 제어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2680B1 (ko) * 2023-09-26 2024-02-05 주식회사 엔에스지 생체인증을 이용한 통합배선반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7154B1 (ko) 건축용 조립식 통신 단자함
US20090302995A1 (en) Multi digital door
KR101634734B1 (ko) 스마트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
KR100979970B1 (ko) 전자식 잠금장치의 비상신호 출력방법과 비상신호의 출력이가능한 금고
KR20060088613A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출입구 개폐 시스템 및 방법
KR101933671B1 (ko) 디지털 도어락의 전원 공급 시스템
JP2012087462A (ja) 入場管理システム
JP6123197B2 (ja) 入退室管理システム
TW201741944A (zh) 中央管制門禁系統
JPH09154167A (ja) コードレス電話システム
KR20150114618A (ko) 이동통신망의 m2m기반에서 nfc기능이 있는 스마트폰에 의한 현관카메라 및 도어락 제어 방법과 이를 위한 장치
KR101265659B1 (ko) 인증어댑터를 가지는 출입통제시스템
KR20200082241A (ko) 시설물의 출입구 개폐시스템 및 개폐방법
JP7071007B2 (ja) 電話交換装置、入室管理システム、入室管理方法、及び入室管理プログラム
KR102151623B1 (ko) 입출구 개폐 장치
KR20030042479A (ko)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원격도어개폐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JP6432459B2 (ja) 救出システムおよび救出方法
WO2021166152A1 (ja) 入退管理システム
CN209168210U (zh) 基于无线传输的户外人脸识别智能门禁系统
KR20130126357A (ko) 도어락 시스템
JP2010255396A (ja) 仮設扉
CN211266995U (zh) 一种楼宇对讲系统
KR20180055159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도어락 장치
JPH0730677A (ja) 無線電話機を使ったドア錠制御システム
KR101633390B1 (ko) 보안성이 향상된 3중 락킹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