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0641Y1 - 다방향 개폐 서랍장 - Google Patents
다방향 개폐 서랍장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70641Y1 KR200470641Y1 KR2020130007541U KR20130007541U KR200470641Y1 KR 200470641 Y1 KR200470641 Y1 KR 200470641Y1 KR 2020130007541 U KR2020130007541 U KR 2020130007541U KR 20130007541 U KR20130007541 U KR 20130007541U KR 200470641 Y1 KR200470641 Y1 KR 200470641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rawer
- support
- elastic member
- closing
- path por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9/00—Revolving cabinets or racks; Cabinets or racks with revolving par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7/00—Chests; Dressing-tables; Medicine cabinets or the like;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47B67/04—Chests of drawers;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90—Constructional details of drawers
- A47B88/969—Drawers having means for organising or sorting the content
Landscapes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다방향 개폐 서랍장이 개시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방향 개폐 서랍장은, 외측에 탄성부재가 형성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를 중심으로 하여 수평방향으로 회전하거나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서랍부로써, 내측에 상기 지지대가 관통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관통경로부와 물건을 수납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서랍칸을 구비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상기 서랍부 및 상기 지지대를 관통하는 중앙홀이 있고, 상기 지지대에 고정되며, 상기 서랍부의 아랫면에 형성되어 상기 서랍부를 받쳐주는 고정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다방향 개폐 서랍장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물건을 수납하고 회전이 가능하여 여러 방향으로 서랍칸을 개폐할 수 있는 다방향 개폐 서랍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서랍장이란, 앞으로 열거나 닫을 수 있게 만들어져 여러 가지 물건을 수납하는 상자로서, 일반적으로 자잘한 물건들을 수납하는 공간으로 사용된다.
종래의 서랍장은 서랍장의 일 방향으로만 서랍을 빼거나 끼울 수 있는 단순한 구조를 이루고 있다. 이로 인해, 실내에서 두 벽이 만나는 구석에 서랍장을 배치하는 경우, 사용자가 서랍장의 측면에 있을 때에는 서랍장 앞쪽으로 이동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방향 개폐 서랍장은, 물건을 수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회전이 가능하여 여러 방향으로 서랍칸을 개폐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다방향 개폐 서랍장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방향 개폐 서랍장은, 지지대, 서랍부 및 고정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지지대는 외측에 탄성부재가 형성된다.
서랍부는 상기 지지대를 중심으로 하여 수평방향으로 회전하거나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서랍부로써, 내측에 상기 지지대가 관통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관통경로부와 물건을 수납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서랍칸을 구비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고정판은 상기 지지대를 관통하는 중앙홀이 있고, 상기 지지대에 고정되며, 상기 서랍부의 아랫면에 형성되어 상기 서랍부를 받쳐준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방향 개폐 서랍장의 탄성부재는, 반원모양으로서 상기 지지대의 외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서랍부가 이동할 때 상기 관통경로부의 양측 벽면이 상기 탄성부재를 압박하며 이동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방향 개폐 서랍장은, 서랍부를 회전시켜서 여닫을 수 있으므로, 미용실과 같이 서랍장을 공용으로 사용하는 곳에서 사용자의 위치에 맞추어 서랍부를 개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방향 개폐 서랍장은, 서랍부의 아랫면에 고정판이 형성되어, 서랍부를 여닫을 때 서랍부가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방향 개폐 서랍장은, 서랍칸에 액세서리나 화장품과 같이 작고 가벼운 물건을 수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방향 개폐 서랍장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3a는 도 2의 A-A'선을 따르는 평면 구조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서랍부가 움직이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C-C'선의 단면을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3a는 도 2의 A-A'선을 따르는 평면 구조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서랍부가 움직이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C-C'선의 단면을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고안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고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방향 개폐 서랍장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3a는 도 2의 A-A'선을 따르는 평면 구조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서랍부가 움직이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방향 개폐 서랍장(100)은, 지지대(102), 서랍부(104) 및 고정판(106)을 포함한다.
지지대(102)는 외측에 탄성부재(120)가 형성된다.
서랍부(104)는 지지대(102)를 중심으로 하여 수평방향으로 회전하거나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서랍부(104)로써, 내측에 지지대(102)가 관통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관통경로부(112)와 물건을 수납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서랍칸(114)을 구비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방향 개폐 서랍장(100)은, 서랍칸(114)에 액세서리나 화장품과 같이 작고 가벼운 물건을 수납할 수 있다. 당업자라면, 서랍부(104)의 형태가 일 실시예의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이해할 것이다.
고정판(106)은 지지대(102)를 관통하는 중앙홀이 있고, 지지대(102)에 고정되며, 서랍부(104)의 아랫면에 형성되어 서랍부(104)를 받쳐준다. 당업자라면, 고정판(106)의 형태가 일 실시예의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이해할 것이다.
도 4는 도 1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C-C'선의 단면을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탄성부재(120)는, 반원모양으로서 지지대(102)의 외측면에 형성되어, 서랍부(104)가 이동할 때 관통경로부(112)의 양측 벽면이 탄성부재(120)를 압박하며 이동한다.
탄성부재(120)는, 서랍부(104)가 이동할 때 관통경로부(112)의 양측 벽면에 각각 하나씩 맞닿아 압축되고, 하나의 서랍부(104) 높이 내에서 관통경로부(112)와 동일한 수의 층으로 배치되며, 각 층에 형성된 탄성부재(120)는 윗층과 아랫층의 위치가 서로 엇갈려 있다.
탄성부재(120)는 판스프링을 사용할 수 있으며, 당업자라면, 탄성부재(120)의 형태가 일 실시예의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이해할 것이다.
관통경로부(112)는, 지지대(102)의 탄성부재(120)와 인접하는 모서리가 유선형으로 형성되고, 서랍부(104)를 이동하거나 회전시킬 때 서랍부(104)가 탄성부재(120)를 누르며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당업자라면, 관통경로부(112)의 형태 및 개수가 일 실시예의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이해할 것이다.
관통경로부(112)는, 걸림홈(130)을 포함한다.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홈(130)은, 관통경로부(112)의 양측 벽면의 끝단에 형성되고, 서랍부(104)가 관통경로부(112)를 따라 이동할 때 탄성부재(120)가 걸리면 서랍부(104)의 이동을 멈추게 하여 서랍부(104)를 관통경로부(112)의 범위 내에서만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걸림홈(130)은 관통경로부(112) 중 측면 부분의 끝단이자 서랍칸(114)의 외측면에 돌출형성될 수 있으며, 당업자라면, 걸림홈(130)의 형태가 일 실시예의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이해할 것이다.
고정판(106)은, 서랍부(104)의 면적보다 작게 형성되고, 서랍부(104)의 아랫면과 닿는 부분에 매끄럽고 단단한 재질을 사용하여 서랍부(104)의 무게를 지지하고 서랍부(104)의 이동 및 회전을 용이하게 하며, 서랍부(104)와 서랍부(104)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여 서랍부(104)를 움직였을 때 서랍부(104)끼리 긁히는 것을 방지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방향 개폐 서랍장(100)은, 서랍부(104)의 아랫면에 고정판(106)이 형성되어, 서랍부(104)를 여닫을 때 서랍부(104)가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방향 개폐 서랍장(100)은, 뚜껑(150)을 더 포함한다.
뚜껑(150)은 지지대(102)의 상단에 형성되고, 서랍부(104)의 윗면을 덮음으로써 서랍부(104)에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방향 개폐 서랍장(100)은, 손잡이(110)을 더 포함한다.
손잡이(110)는 서랍부(104)의 외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다.
서랍칸(114)은 개수가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손잡이(110)부터 반대편의 손잡이(110)까지를 하나의 관통경로부(112)라고 본다. 이번 실시예에서는 2개의 관통경로부(112)를 가지고 설명한다.
우선, 사용자는 서랍부(104)를 회전시켜서 사용자 본인이 원하는 서랍칸(114)의 위치를 사용자 본인의 위치와 일치시킨다. 이 때, 서랍부(104)는 지지대(102)를 중심으로 수평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서랍부(104)를 여러 방향으로 돌릴 수 있다.
서랍부(104)를 회전시킨 사용자는 손잡이(110)를 잡고 서랍부(104)를 잡아당기는데, 이 때 서랍부(104)는 관통경로부(112)의 경로를 따라 수평방향으로 움직인다. 서랍부(104)가 수평방향으로 움직일 때 사용자가 잡고 있는 손잡이(110)의 맞은편 손잡이(110)가 지지대(102)에 거의 다다르면, 맞은편 손잡이(110)의 주변이자 관통경로부(112)의 양측 벽면의 끝단에 형성된 걸림홈(130)에 탄성부재(120)가 걸리게 된다.
걸림홈(130)에 탄성부재(120)가 걸리면, 서랍부(104)는 더 이상 움직이지 않고 멈추게 된다. 따라서, 걸림홈(130)은 서랍부(104)의 이동경로를 제한하여 서랍부(104)가 관통경로부(112)의 범위 내에서만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서랍부(104)는 그냥 두거나 작은 힘을 주어도 움직이지 않고 지지대(102)를 기준으로 중앙에 위치해 있는데, 이는 지지대(102)에 형성된 탄성부재(120)가 유선형의 관통경로부(112) 모서리에 걸리기 때문이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랍부(104)에 큰 힘을 주게 되면 서랍부(104)가 움직이게 되는데, 이 때 유선형의 관통경로부(112) 모서리가 탄성부재(120)의 측면과 맞닿으면서 지나가며, 관통경로부(112)의 양측 벽면이 탄성부재(120)의 측면을 누르면서 서랍부(104)가 이동하게 된다.
탄성부재(120)는 관통경로부(112)의 개수만큼 층이 형성되는데, 일 실시예에서는 관통경로부(112)가 2개 형성되어 있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120)는 서랍부(104)의 높이를 기준으로 2개의 층으로 나누어져 형성된다.
또한, 탄성부재(120)는 윗층과 아랫층의 위치가 서로 엇갈려 있는데, 일 실시예에서는 관통경로부(112)가 2개 형성되어 있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120)는 90°방향으로 엇갈려서 형성된다.
따라서, 관통경로부(112)가 3개일 경우, 탄성부재(120)의 층은 3개로 나누어지고 윗층과 아랫층에 형성된 탄성부재(120)의 각도가 60°가 되며, 관통경로부(112)의 개수가 많아질수록 탄성부재(120)의 층이 많아질 뿐만 아니라 각 층의 탄성부재(120) 각도가 작아진다.
종래의 서랍장은 서랍장의 일 방향으로만 서랍을 빼거나 끼울 수 있는 단순한 구조를 이루고 있다. 이로 인해, 실내에서 두 벽이 만나는 구석에 서랍장을 배치하는 경우, 사용자가 서랍장의 측면에 있을 때에는 서랍장 앞쪽으로 이동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방향 개폐 서랍장(100)은, 서랍부(104)를 회전시킬 수 있어서 사용자가 자신의 위치에 맞추어 서랍부(104)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서랍장의 측면에 있을 때에는 서랍장 앞쪽으로 이동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해결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방향 개폐 서랍장(100)은, 서랍부(104)를 회전시켜서 여닫을 수 있으므로, 미용실과 같이 서랍장을 공용으로 사용하는 곳에서 사용자의 위치에 맞추어 서랍부(104)를 개폐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다방향 개폐 서랍장 102: 지지대
104: 서랍부 106: 고정판
112: 관통경로부 114: 서랍칸
120: 탄성부재
104: 서랍부 106: 고정판
112: 관통경로부 114: 서랍칸
120: 탄성부재
Claims (8)
- 외측에 탄성부재가 형성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를 중심으로 하여 수평방향으로 회전하거나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서랍부로써, 내측에 상기 지지대가 관통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관통경로부와 물건을 수납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서랍칸을 구비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상기 서랍부; 및
상기 지지대를 관통하는 중앙홀이 있고, 상기 지지대에 고정되며, 상기 서랍부의 아랫면에 형성되어 상기 서랍부를 받쳐주는 고정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개폐 서랍장.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반원모양으로서 상기 지지대의 외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서랍부가 이동할 때 상기 관통경로부의 양측 벽면이 상기 탄성부재를 압박하며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개폐 서랍장.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서랍부가 이동할 때 상기 관통경로부의 양측 벽면에 각각 하나씩 맞닿아 압축되고, 상기 하나의 서랍부 높이 내에서 상기 관통경로부와 동일한 수의 층으로 배치되며, 각 층에 형성된 상기 탄성부재는 윗층과 아랫층의 위치가 서로 엇갈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개폐 서랍장.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경로부는,
상기 지지대의 탄성부재와 인접하는 모서리가 유선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서랍부를 이동하거나 회전시킬 때 상기 서랍부가 상기 탄성부재를 누르며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개폐 서랍장.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경로부는,
상기 관통경로부의 양측 벽면의 끝단에 형성되고, 상기 서랍부가 상기 관통경로부를 따라 이동할 때 상기 탄성부재가 걸리면 상기 서랍부의 이동을 멈추게 하여 상기 서랍부를 상기 관통경로부의 범위 내에서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걸림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개폐 서랍장.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은,
상기 서랍부의 면적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서랍부의 아랫면과 닿는 부분에 매끄럽고 단단한 재질을 사용하여 상기 서랍부의 무게를 지지하고 상기 서랍부의 이동 및 회전을 용이하게 하며, 상기 서랍부와 상기 서랍부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서랍부를 움직였을 때 상기 서랍부끼리 긁히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개폐 서랍장.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의 상단에 형성되고, 상기 서랍부의 윗면을 덮음으로써 상기 서랍부에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뚜껑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개폐 서랍장.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랍부의 외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개폐 서랍장.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30007541U KR200470641Y1 (ko) | 2013-09-09 | 2013-09-09 | 다방향 개폐 서랍장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30007541U KR200470641Y1 (ko) | 2013-09-09 | 2013-09-09 | 다방향 개폐 서랍장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70641Y1 true KR200470641Y1 (ko) | 2014-01-07 |
Family
ID=51409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30007541U KR200470641Y1 (ko) | 2013-09-09 | 2013-09-09 | 다방향 개폐 서랍장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70641Y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34586Y1 (ko) | 2006-09-26 | 2006-12-22 | 김종희 | 다면 방향 서랍장 |
KR20100081708A (ko) * | 2009-01-07 | 2010-07-15 | 김준수 | 4방향 개폐 서랍장 |
KR20120000102U (ko) * | 2010-06-28 | 2012-01-04 | 박기태 | 이중 수납부가 구비된 테이블 |
-
2013
- 2013-09-09 KR KR2020130007541U patent/KR200470641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34586Y1 (ko) | 2006-09-26 | 2006-12-22 | 김종희 | 다면 방향 서랍장 |
KR20100081708A (ko) * | 2009-01-07 | 2010-07-15 | 김준수 | 4방향 개폐 서랍장 |
KR20120000102U (ko) * | 2010-06-28 | 2012-01-04 | 박기태 | 이중 수납부가 구비된 테이블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WO2015024740A1 (en) | Built-in kitchen appliance | |
USD613522S1 (en) | Three piece storage table set | |
US10351312B2 (en) | Storage container | |
CN110573044A (zh) | 柜子 | |
USD889062S1 (en) | Mobile cart | |
KR200470641Y1 (ko) | 다방향 개폐 서랍장 | |
KR20150047080A (ko) | 수납용기 | |
KR102089282B1 (ko) | 듀얼 화장품 용기 | |
KR101483496B1 (ko) | 화장품 보관대 | |
KR100960079B1 (ko) | 수납함 | |
KR102027500B1 (ko) | 화장품 용기 | |
KR102089043B1 (ko) | 자석을 이용한 미닫이식 도어구조체 | |
US20120181907A1 (en) | Storage carousel | |
KR20160001798U (ko) | 가구와 일체감을 갖게 하는 가구용 개폐 핸들 | |
KR20140040573A (ko) | 수납실이 형성된 책상 | |
KR102414414B1 (ko) | 다방향 서랍 | |
TWM486999U (zh) | 櫥櫃之把手 | |
KR200474158Y1 (ko) | 책상기능을 가지는 이동가구 | |
KR200472754Y1 (ko) | 다용도 서랍장 | |
KR102582319B1 (ko) | 천장 수납부를 구비한 수납장 | |
KR20130102174A (ko) | 룸식 독서실 책상 | |
TWM513856U (zh) | 整理箱結構 | |
TWM465071U (zh) | 壁櫃 | |
KR20110114456A (ko) | 리세스형 가전제품을 위한 개방 장치 | |
KR101663751B1 (ko) | 힌지와 간섭 없이 선반을 거치할 수 있는 수납장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126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117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