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1321Y1 - 장롱의 측판 보강구조 - Google Patents

장롱의 측판 보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1321Y1
KR200291321Y1 KR2020020019946U KR20020019946U KR200291321Y1 KR 200291321 Y1 KR200291321 Y1 KR 200291321Y1 KR 2020020019946 U KR2020020019946 U KR 2020020019946U KR 20020019946 U KR20020019946 U KR 20020019946U KR 200291321 Y1 KR200291321 Y1 KR 2002913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inet
side plate
rear end
reinforcemen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99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병권
Original Assignee
한병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병권 filed Critical 한병권
Priority to KR20200200199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132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13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1321Y1/ko

Links

Landscapes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장롱의 측판 보강구조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주거용 실내 공간의 내부에 설치되는 장롱에 있어서, 외부로 부터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변형되는 장롱을 좀더 견고히 지지할 수 있도록 측판의 전·후단에 보강목을 형성하여 장롱의 변형을 최소화 하기 위한 장롱의 측판 보강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장롱의 측판 보강구조{REIN FOR CEMENT STRVCTVRE OF CABINET}
본 고안은 장롱의 측판 보강구조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주거용 실내 공간의 내부에 설치되는 장롱에 있어, 외부로 부터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변형되는 장롱을 좀더 견고히 지지할 수 있도록 측판의 전·후단에 보강목을 형성하여 장롱의 변형을 최소화 하기 위한 장롱의 측판 보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롱이라함은 생활용품(이불,양말,옷)등을 수납하기위한 것으로, 양 측판 및 후단판과 상·하부판이 결합되어 내부에 공간을 갖도록 형성되며, 그 선단에는 손잡이를 갖는 한쌍의 문짝이 측판에 의해 결합되고, 하단부에는 서랍장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러한 종래의 장롱는 첨부 도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측판(200b)과 내측판(200c) 사이에 격판(200d)을 부착하여 하나의 측판(20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측판(200)의 후단부 내측에는 요홈부(200a)를 형성하여 후단판(900)을 양 측판(200)의 요홈부(200a)에 삽입형성되며, 손잡이를 갖는 한쌍의 문짝(600)은 경첩(600a)에 의해 측판(200)의 선단부 일측에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종래의 장롱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하중을 양 측판에 의해서만 지지됨으로 지지력이 떨어져 오랜시간이 지나면 측판이 변형되어 장롱의 형상을 유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장롱의 무게를 줄이기위해 얇은 측판과 측판사이에 이격 공간을 갖도록 격판을 형성하여 하나의 측판으로 형성하였으나, 이는 번거로운 제작공정 때문에 생산성을 저하시켜 대량생산을 하지 못하여 경제적으로 많은 손실을 얻게 되었으며, 이로 인해 생산자나 소비자로 하여금 제품에 대한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를안고 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 주거용 실내 공간의 내부에 배치되는 장롱의 구조로부터 야기되는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소하고 이를 개선하기위해 안출 된 것으로, 그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주 목적은 외부로 부터 장롱에 가해지는 하중을 장롱의 자체에서 흡수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보강목을 측판의 전 후방에 각각 형성함으로써, 오랜시간이 지나도 장롱의 형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장롱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두께가 얇고 단일목으로 이루어진 측판부재를 형성함으로서, 종래에 야기되었던 번거로운 공정문제를 해결하여 생산성을 향상시켜 대량생산을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생활용품(이불,옷,양말)등을 수납 및 보관하기 위하여 전방에는 각각 손잡이를 갖는 독립된 문짝과 그 하단에는 서랍장이 설치되며, 그 후단에는 측판및 후단판과 상부판및 하부판이 각각 결합되어 내부에 수납공간을 갖는 통상의 장롱에 있어서;
상기 측판은 후단의 일측에 요홈부가 형성되고 얇은 단일목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양 측판의 선단부에는 지지력 보강을 위한 선단 보강목이 결합되어지고, 그 후단에는 후단판이 상기 측판의 요홈부에 의해 삽입 고정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측판과 후단판이 결합된 양 모서리부에는 지지력 보강을 위한 후단 보강목이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선단보강목의 측면으로는 테두리 부재가 부착형성되며, 테두리 부재 전면에는 마감재가 요홈부에 밀착 고정되어 이루어진다.
도 1은 종래의 장롱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장롱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장롱를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결합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장롱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장롱 2:측판
2a:후단 보강목 3:서랍장
4:테두리 부재 4a:마감재 요홈부
4b:마감재 5:선단 보강목
5a:측판 요홈부 6:문짝
7:상부판 8:하부판
9:후단판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 도면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생활용품(이불,옷,양말)등을 수납 및 보관하기 위하여 전방에는 각각 손잡이를 갖는 독립된 문짝(6)과 그 하단에는 서랍장(3)이 설치되며, 그 후단에는 측판(2)및 후단판(9)과 상부판(7)및 하부판(8)이 각각 결합되어 내부에 수납공간을 갖는 통상의 장롱에 있어서;
상기 측판(2)은 후단의 일측에 요홈부(2a)가 형성되고 얇은 단일목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양 측판(2)의 선단부에는 지지력 보강을 위한 선단 보강목(5)이 결합되어지고, 그 후단에는 후단판(9)이 상기 측판의 요홈부(2a)에 의해 삽입 고정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측판(2)과 후단판(9)이 결합된 양 모서리부에는 지지력 보강을 위한 후단 보강목(2b)이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선단보강목(5)의 측면으로는 테두리 부재(4b)가 부착형성되며, 테두리 부재 전면에는 마감재(4a)가 요홈부(4a)에 밀착 고정되어 이루어진다.
도 5는 본 고안 따른 사용상태도로서 장롱을 여러개 배치시킬시 양 측단의 테두리부재를 제거 함으로써 효율적으로 배치 사용하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것이다.
이와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장롱을 실내에 벽면에 배치하게 되면 벽면을 통해 하중을 받게된다. 그러나 상기 본 고안은 장롱은 측판의 선단부에 지지력 보강을 위해 보강목이 형성되어 쉽게 변형되지 않으며, 후단부 또한 측판과 후단판의 모서리부에 후단 보강목을 구성함으로써 2중으로 보강력을 증가 시킴으로 외부로 부터 받는 하중에 의해 변형되지 않고 오랜기간동안 장롱의 형상을 유지시켜 주는 것이다.
또한 측판은 단일목으로 구성되어 있어 종래의 번거로운 공정문제를 해소 하고, 대량생산을 높이는 것이다.
이와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측판의 선·후단부에 보강목을 형성함으로써, 실내에 배치되는 장롱을 오랜기간을 사용하여도 하중에 의한 변형을 방지할 뿐만아니라, 보강목 측면에 형성되는 테두리 부재로 하여금 장롱의 설치후 남는 잉여공간을 효과적으로 제거 및 은폐 시킴으로서 집안의 작은 물품들이 장롱의 상부 또는 벽면 사이에 위치 또는 방치되는 것을 방지하고, 그에따라 실내를 항상 청결하고 미려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되었으며, 테두리 부재에 삽입되는 마감재로 하여금 장롱의 미려함을 더욱더 살릴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의 장롱 측판은 경량하를 유지하기 위하여 번거로운 공정을 거쳐 생산성을 저하 시키는 문제가 있는바, 본 고안의 측판은 얇게 하면서 선·후단면에 보강목을 형성함으로써 하중으로부터 야기되는 변형을 막을 수 있을 뿐만아니라 측판및 보강목의 제작이 간단하여 대량생산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생활용품(이불,옷,양말)등을 수납 및 보관하기 위하여 전방에는 각각 독립된 문짝(6)과 그 하단에는 서랍장(3)이 설치되며, 그 후단에는 측판(2) 및 후단판(9)과 상부판(7)및 하부판(8)이 결합되어 내부에 공간을 갖는 통상의 장롱에 있어서;
    상기 측판(2)은 단일목으로 이루어지되, 측판(2)의 선단부에는 지지력 보강을 위한 선단 보강목(5)이 결합되어진것을 특징으로하는 장롱의 측판 보강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측판(2)의 후단에는 측판(2)과 후단판(9)이 견고히 고정되어 이루어지도록 모서리부에 후단 보강목(2b)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장롱의 보강구조.
KR2020020019946U 2002-07-03 2002-07-03 장롱의 측판 보강구조 KR2002913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9946U KR200291321Y1 (ko) 2002-07-03 2002-07-03 장롱의 측판 보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9946U KR200291321Y1 (ko) 2002-07-03 2002-07-03 장롱의 측판 보강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1321Y1 true KR200291321Y1 (ko) 2002-10-09

Family

ID=73077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9946U KR200291321Y1 (ko) 2002-07-03 2002-07-03 장롱의 측판 보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132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954Y1 (ko) * 2007-09-10 2009-12-11 주식회사 베크 장롱
KR200448429Y1 (ko) 2007-09-10 2010-04-09 주식회사 베크 가구용 측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954Y1 (ko) * 2007-09-10 2009-12-11 주식회사 베크 장롱
KR200448429Y1 (ko) 2007-09-10 2010-04-09 주식회사 베크 가구용 측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4387Y1 (ko) 다기능 통기성 물건 보관함
KR200291321Y1 (ko) 장롱의 측판 보강구조
KR102045274B1 (ko) 조립식 수납장
KR20120045345A (ko) 천장 매립형 수납장
KR101615710B1 (ko) 여닫이 붙박이장 구조물
KR101563581B1 (ko) 도어용 회전 지지장치 및 수납기능을 갖는 다용도실 또는 드레스 룸용 도어장치
KR20090041676A (ko) 저장고용 아웃케이스
CN215190322U (zh) 一种配有防水钥匙的感应储物柜
KR200171728Y1 (ko) 높이 조절 장롱
KR20090002563U (ko) 가구용 측판
KR20200001622U (ko) 가구 결합형 옷장
KR100365372B1 (ko) 조립식 가구
CN207444757U (zh) 多功能雨伞沥水架
CN215382305U (zh) 一种集成式智能风干柜
KR20190102547A (ko) 자석을 이용한 미닫이식 도어구조체
KR20190111507A (ko) 조립식 수납 박스
CN213838346U (zh) 一种衣柜玻璃铝框门
CN209825725U (zh) 多功能衣柜
CN207863779U (zh) 一种防盗门的小门装置
CN218898812U (zh) 一种组合衣柜
KR950007412Y1 (ko) 조립신발장
KR200288618Y1 (ko) 보관함이 설치된 장롱
KR20220000344U (ko) 투명창 장치
KR200188098Y1 (ko) 장신구의 부착이 용이한 장롱 문짝의 구조
JPH0332268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