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1622U - 가구 결합형 옷장 - Google Patents

가구 결합형 옷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1622U
KR20200001622U KR2020190000175U KR20190000175U KR20200001622U KR 20200001622 U KR20200001622 U KR 20200001622U KR 2020190000175 U KR2020190000175 U KR 2020190000175U KR 20190000175 U KR20190000175 U KR 20190000175U KR 20200001622 U KR20200001622 U KR 2020000162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furniture
door
wardrobe
clos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01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2565Y1 (ko
Inventor
편상연
Original Assignee
편상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편상연 filed Critical 편상연
Priority to KR20201900001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2565Y1/ko
Publication of KR2020000162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162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25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256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3/00Combinations comprising two or more pieces of furniture of different kin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6/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having one or more surfaces adapted to be brought into position for use by extending or pivoting
    • A47B46/005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having one or more surfaces adapted to be brought into position for use by extending or pivoting by displacement in a vertical plane; by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1/00Wardrob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36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with a single vertical axis of rotation at one side of the opening, or swinging through the opening
    • E06B3/367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with a single vertical axis of rotation at one side of the opening, or swinging through the opening specially adapted for furni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binets, Racks, Or The Like Of Rigid Construction (AREA)

Abstract

가구 결합형 옷장은 전방으로 개방되는 전방 개방구와 전방의 일측 단부에서 중심 방향으로 일정 폭만큼 폐쇄하는 전방 폐쇄부를 전방에 구비하는 케이스와 케이스의 전방 폐쇄부를 제외한 전방 개방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를 구비한다.

Description

가구 결합형 옷장{Furniture-combinable Closet}
본 고안은 옷장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측방에 책장 등의 가구를 나란히 밀착 배치 내지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가구 결합형 옷장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가정에서는 옷을 수납하기 위해 옷장을 사용하고 있는데, 이러한 옷장은 상당한 부피를 가져 실내 공간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보통, 옷장은 전방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태의 케이스, 케이스에 결합하여 케이스의 개방 개방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 옷걸이를 걸 수 있도록 케이스의 내부 상측에 수평으로 결합하는 걸이봉 등을 구비하고 있다.
실용공개 제2012-0006793호(옷장)은 옷장 내부에 배치되는 걸이봉의 배치 방향을 옷장의 전후 방향으로 배치하여 옷의 전면이 옷장의 전면을 향하게 함으로써, 옷장의 전후 방향에 대한 깊이를 축소시키고, 이를 통해 원룸이나 작은 방의 실내 공간의 활용도를 높이고 있다.
또한, 실용공개 제2012-0006793호는 케이스 내부에 장착되는 걸이봉의 배치 방향을 전환할 수 있고, 이에 대응하여 옷장의 전후 방향 깊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옷장의 크기를 조절하고, 그 결과 공간 활용도를 더 높이고 있다.
그러나, 실용공개 제2012-0006793호의 제시에도 불구하고, 원룸이나 작은 방의 경우, 침대, 책상, 옷장, 책장 등을 배치하다 보면, 공간이 부족한 경우가 많다. 특히, 옷장은 도어를 전방으로 개폐해야 하므로 옷장 전방에는 책상이나 책장 등을 배치할 수 없고, 그 결과 방안에 가구를 배치할 때 옷장이 의외로 많은 공간을 차지하여 가구의 공간 배치를 어렵게 하는 경우가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옷장의 사용상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옷장의 전방에 책장 등의 가구를 배치하더라도 옷장 사용에 하등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함으로써, 좁은 방의 공간 활용도를 한층 높일 수 있는, 책장 등의 밀착 배치 내지 결합이 옷장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가구 결합형 옷장은 케이스, 도어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케이스는 전방으로 개방되는 전방 개방구와 전방의 일측 단부에서 중심 방향으로 일정 폭만큼 폐쇄하는 전방 폐쇄부를 전방에 구비할 수 있다.
도어는 케이스의 전방 폐쇄부를 제외한 전방 개방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본 고안의 가구 결합형 옷장에서, 케이스는 전방 폐쇄부의 후방에도 내부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본 고안의 가구 결합형 옷장에서, 전방 폐쇄부는 수평 폭을 가변할 수 있게 구성할 수 있다.
본 고안의 가구 결합형 옷장에서, 전방 폐쇄부는 전방 개방구 방향의 단부에 도어를 축회전시키는 경첩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가구 결합형 옷장에 의하면, 옷장을 사용하는데 하등 불편을 끼치지 않고도 옷장의 전방, 즉 전방 폐쇄부에 책장 등을 밀착 배치 내지 결합할 수 있어, 좁은 방에 책장 등의 가구를 같이 배치할 때 공간 활용도를 크게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가구 결합형 옷장에 의하면, 전방 폐쇄부의 후방에도 공간을 형성할 수 있어, 옷장의 내부 공간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가구 결합형 옷장의 도어 밀폐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가구 결합형 옷장의 도어 개방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가구 결합형 옷장에 책장을 밀착 배치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가구 결합형 옷장에 책장을 밀착 배치한 상태의 옷장의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가구 결합형 옷장의 도어 밀폐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가구 결합형 옷장은 케이스(110), 도어(120), 손잡이(130), 전방 폐쇄부(140) 등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케이스(110)는 측방, 후방, 상방 및 하방이 폐쇄되고, 전방이 개방되는 직육면체 등의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케이스(110)는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여 옷 등을 수납할 수 있다. 케이스(110)는 나무, 플라스틱, 알루미늄 등의 재질로 구성할 수 있다.
도어(120)는 케이스(110)의 전방 개방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도어(12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 개방구의 양측에 각각 축회전 결합하는 2 개의 도어, 즉 제1 도어(121)와 제2 도어(123)로 구성할 수 있다. 제1,2 도어(121,123)는 전방 개방구의 양측에서 각각 축회전하면서 중앙에서 대칭되게 벌어져 케이스(110)의 전방 개방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도어(120)는, 도 1과 달리, 전방 개방구의 일측에만 축회전 결합하는 1 개의 도어로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1 개의 도어는 전방 개방구의 일측에서 축회전하면서 전방 개방구의 타측에서 벌어져 케이스(110)의 전방 개방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도어(120)는 전체가 케이스(110) 전방의 일측 단부에서 타측으로 소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케이스(110)에 결합할 수 있다. 여기서, 소정 간격은 책장 등의 전후 폭 또는 그 이상일 수 있다.
손잡이(130)는 도어(120)의 전방에 결합하여 도어(120)를 개폐할 때 파지하는 것으로, 축회전하는 일측에서 먼 타측에 결합할 수 있다. 손잡이(130)는 도어(120)의 갯수, 즉 도 1과 같이 도어(120)가 2 개의 도어(121,123)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2 개의 손잡이(131,133)를 구비하고, 도어(120)가 1 개의 도어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1 개의 손잡이를 구비할 수 있다.
손잡이(130)는 양단이 도어(120)의 전면에 결합하고 중앙이 전방으로 돌출하는 형태일 수 있다. 손잡이(130)는 전체적으로 사각, 원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손잡이(130)는 나무, 플라스틱, 금속 등을 재질로 할 수 있는데, 도어(120)와 동일 재질로 할 수도 있으나, 반드시 동일 재질일 필요는 없다.
전방 폐쇄부(140)는 플레이트 형태로 구성하여 케이스(110)의 전방 개방구의 일부 폐쇄할 수 있다. 전방 폐쇄부(140)는 케이스(110)의 전방 개방구를 일측 단부에서 타측 단부로 소정 간격만큼 폐쇄할 수 있다. 여기서, 소정 간격은 옷장의 전방에 결합하는 책장 등의 전후 폭 내지 그 이상일 수 있다.
전방 폐쇄부(140)는 후방, 즉 케이스(110)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도록 구성하여 전방 폐쇄부(140)의 후방에도 옷 등을 수납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방 폐쇄부(140)는 타측 단부, 즉 전방 개방구 방향의 단부에 도어(120)의 일측을 축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경첩부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전방 폐쇄부(140)는 수평 방향의 폭을 가변되게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케이스(110)는 전방 개방구의 상단과 하단에 슬라이딩 부재를 구비하고 전방 폐쇄부(140)의 상단과 하단을 슬라이딩 부재에 결합하여, 전방 폐쇄부(140)가 케이스(110)의 전방 개방구를 수평폭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면서 전방 개방구의 수평폭을 변경할 수 있게 구성할 수 있다. 전방 폐쇄부(140)는 주름지게, 예를들어 자바라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케이스(110)는 측방에 전방 폐쇄부(140)를 내장하는 내장 공간을 형성할 수 있고, 이 경우 전방 폐쇄부(140)는, 슬라이딩할 때, 일부가 케이스(110)의 측방에 내장될 수 있다.
전방 폐쇄부(140)는, 슬라이딩 가능한 구조로 구성할 때, 케이스(110)의 상단 또는 하단에 전방 폐쇄부(140)를 케이스(110)에 고정하는 고정부재, 예를들어 고정홈을 갖는 지지부, 지지부 내에 결합하는 스프링, 스프링에 결합하여 외측으로 탄성 가압되는 돌기 등을 구비할 수 있고, 이에 대응하여 케이스(110)는 돌기를 내장하여 고정하는 함몰부 등을 길이 방향을 따라 여러 개를 형성할 수 있다.
전방 폐쇄부(140)는, 타측 단부, 즉 전방 개방구의 방향에 2 개의 도어(121,123)를 구비하는 경우, 제2 도어(123)의 측방과 결합하여 제2 도어(123)를 수평으로 이동되게 할 수 있다.
전방 폐쇄부(140)를 폭 가변 구조로 구성하는 경우, 도어(120)도 폭 가변이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도 1과 같이 2개의 도어(121,123)를 구비하는 경우, 적어도 제2 도어(123)를 폭 가변이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본 고안의 가구 결합형 옷장은 케이스(110) 내부에 수평으로 결합하는 걸이봉, 받침대 등을 더 구비할 수 있다. 걸이봉은 케이스(110) 내측에 좌우 방향으로 결합할 수 있다. 걸이봉은 케이스(110)에 분리 가능한 구조로 구성할 수 있다. 받침대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고 케이스(110) 내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가구 결합형 옷장의 도어 개방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가구 결합형 옷장에서, 전방 폐쇄부(140)는 일측이 케이스(110)의 일측 측방에 결합하고 타측은 일측 측방에서 중앙으로 연장하여 케이스(110)의 전방 개방구(O)의 일부를 폐쇄할 수 있다. 전방 폐쇄부(140)는 케이스(110)의 내부 공간(S)을 후방에도 형성할 수 있다.
도어(120)는, 도 2의 도시와 같이, 케이스(110)의 전방 일부, 즉 전방 폐쇄부(140)로 폐쇄되지 않은 영역에만 결합하여, 케이스(110)의 전방 개방구(O)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경첩부(125)는 전방 폐쇄부(140)의 타측 단부에 결합할 수 있다. 경첩부(125)는 전방 폐쇄부(140)의 타측 단부에 상하로 이격시켜 다수가 구비될 수 있다.
제2 도어(123)는 전방 폐쇄부(140)의 타측 단부에 경첩부(125)를 매개로 결합하여, 경첩부(125)를 중심으로 축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본 고안의 가구 결합형 옷장은 전방 폐쇄부(140)의 전방에 책장 등을 밀착 배치하더라도, 제2 도어(123)를 개폐하는데 책장 등이 장애물이 되지 않는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가구 결합형 옷장에 책장을 밀착 배치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가구 결합형 옷장에 책장을 밀착 배치한 상태의 옷장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가구 결합형 옷장은 최대 전방 폐쇄부(140)의 폭만큼 전후 폭을 갖는 책장(200)을 밀착 배치 내지 결합하여 함께 사용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가구 결합형 옷장의 전방, 즉 전방 폐쇄부(140)에 책장(200)을 밀착 배치하더라도, 도어(120)를 개폐하는데 문제가 전혀 발생하지 않으므로, 옷장의 원활한 사용과 책장의 효율적 공간 배치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다.
도 3,4에서, 본 고안의 가구 결합형 옷장에 책장(200)을 밀착 배치한 경우를 도시 및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가구 결합형 옷장은 전방 폐쇄부(140)의 폭을 넓게 구성하여 책상, 침대 등과 같은 폭이 넓은 가구도 밀착 배치하여 함께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전방 폐쇄부(140)의 폭을 가변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경우에는 가구의 크기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가구 결합형 옷장은 책장 등의 가구를 밀착 배치 내지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어, 좁은 공간의 공간 활용도를 크게 개선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을 실시예에 기초하여 설명하였으나, 위의 실시예는 본 고안을 예증하기 위한 것이다. 통상의 기술자라면, 위 실시예에 기초하여 형태를 변형하거나 수정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본 출원의 권리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결정되므로, 그러한 변형이나 수정이 아래의 청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110 : 케이스 120 : 도어
121 : 제1 도어 123 : 제2 도어
125 : 경첩부 130 : 손잡이
131 : 제1 손잡이 133 : 제2 손잡이
140 : 전방 폐쇄부 O : 전방 개방구
S : 내부 공간 200 : 책장

Claims (4)

  1. 전방으로 개방되는 전방 개방구와 전방의 일측 단부에서 중심 방향으로 일정 폭만큼 폐쇄하는 전방 폐쇄부를 전방에 구비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전방 폐쇄부를 제외한 전방 개방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는, 가구 결합형 옷장.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전방 폐쇄부의 후방에도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가구 결합형 옷장.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폐쇄부는
    수평 폭을 가변할 수 있는, 가구 결합형 옷장.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폐쇄부는
    전방 개방구 방향의 단부에 상기 도어를 축회전시키는 경첩부를 구비하는, 가구 결합형 옷장.
KR2020190000175U 2019-01-14 2019-01-14 가구 결합형 옷장 KR2004925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175U KR200492565Y1 (ko) 2019-01-14 2019-01-14 가구 결합형 옷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175U KR200492565Y1 (ko) 2019-01-14 2019-01-14 가구 결합형 옷장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622U true KR20200001622U (ko) 2020-07-22
KR200492565Y1 KR200492565Y1 (ko) 2020-11-05

Family

ID=71833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0175U KR200492565Y1 (ko) 2019-01-14 2019-01-14 가구 결합형 옷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256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4167B1 (ko) 2021-02-01 2022-12-02 박주환 블록 조립식 가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8740U (ja) * 1991-12-04 1993-06-29 大建工業株式会社 収納棚
JP2003125856A (ja) * 2001-10-25 2003-05-07 Yamaha Livingtec Corp 横幅調整可能のベースキャビネットおよびこれを用いたシステムキッチン
KR20120131323A (ko) * 2011-05-25 2012-12-05 주식회사 넵스 코너용 물품 수납장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8740U (ja) * 1991-12-04 1993-06-29 大建工業株式会社 収納棚
JP2003125856A (ja) * 2001-10-25 2003-05-07 Yamaha Livingtec Corp 横幅調整可能のベースキャビネットおよびこれを用いたシステムキッチン
KR20120131323A (ko) * 2011-05-25 2012-12-05 주식회사 넵스 코너용 물품 수납장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2565Y1 (ko) 2020-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62042C (en) Cabinets and mirrors selectively mounted on hinges supporting room doors on door frames, hinges for such mountings, and methods for so mounting
CA110065S (en) Cabinet
KR20200001622U (ko) 가구 결합형 옷장
EP3151702A1 (en) Cabinets and mirrors selectively mounted on hinges supporting roomdoors on door frames, hinges for such mountings, and methods for so mounting
US3602569A (en) Concealed folding table
US2723894A (en) Kitchen sink cabinet
KR101615710B1 (ko) 여닫이 붙박이장 구조물
JP3205182U (ja) クローゼットの構造
JP4836711B2 (ja) 収納家具
KR200171728Y1 (ko) 높이 조절 장롱
TWM520315U (zh) 可收納化妝鏡之櫥櫃結構
KR200438806Y1 (ko) 책장의 수납공간 조절이 가능한 시스템 책꽂이가 설치된독서실용 책상
US20100109495A1 (en) Storage Furniture for Decorative Bedding
US2430974A (en) Door pull and stop
CN210672612U (zh) 一种便于收纳的衣物柜
KR20030071738A (ko) 수납식 침대
KR101965657B1 (ko) 등판 경사 조절이 가능한 침대
CN210809885U (zh) 一种新型衣柜
US1006547A (en) Kitchen-cabinet.
KR20150072131A (ko) 옷걸이 기능이 구비된 가구용 손잡이
JP2018100513A (ja) 収納キャビネット及びシステムキッチン
CN207544662U (zh) 具有变形功能的家居柜
CN204500063U (zh) 一种下翻床低柜
KR200248879Y1 (ko) 수납장
JPS5924799Y2 (ja) 家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