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8806Y1 - 책장의 수납공간 조절이 가능한 시스템 책꽂이가 설치된독서실용 책상 - Google Patents

책장의 수납공간 조절이 가능한 시스템 책꽂이가 설치된독서실용 책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8806Y1
KR200438806Y1 KR2020060030095U KR20060030095U KR200438806Y1 KR 200438806 Y1 KR200438806 Y1 KR 200438806Y1 KR 2020060030095 U KR2020060030095 U KR 2020060030095U KR 20060030095 U KR20060030095 U KR 20060030095U KR 200438806 Y1 KR200438806 Y1 KR 2004388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pace
bookcase
bookshelf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300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용진
Original Assignee
성용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용진 filed Critical 성용진
Priority to KR20200600300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880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88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880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9/00Reading-desks; Lecterns; Pulpits, i.e. free-standing
    • A47B19/10Reading-desks; Lecterns; Pulpits, i.e. free-standing characterised by association with auxiliary devices, e.g. paper clamps, line ind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 A47B57/06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helves
    • A47B57/2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helves consisting of tongues, pins or similar projecting means coacting with open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5/00Book-trough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book-storing, e.g. book-ends
    • A47B65/10Book-trough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book-storing, e.g. book-ends adjustable
    • A47B65/15Partitions, e.g. divid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7/00Writing-tables
    • A47B17/04Writing-tables with secret or fireproof compartments ; Trays or the like countersunk in the table top and obturable, e.g. by means of a roller or sliding shut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3/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books, documents, forms, or the like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독서실용 책상에 있어 상측에 위치한 책장 내부에 수납공간 조절이 가능한 공간조절용 책꽂이를 설치하여 책의 크기에 따라 세워서 적재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책장의 공간 활용을 최대화하고, 그 공간 활용으로 인해 주변 환경이 깨끗이 정리됨으로서 집중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책장의 수납공간 조절이 가능한 시스템 책꽂이가 설치된 독서실용 책상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수직으로 설치된 뒷판(3)의 좌우측에 측판(2a)(2b)이 수직으로 설치되며, 상기 좌우측판(2a)(2b)간의 상부에는 수평으로 설치되는 상판(4)과 하판(5)으로 형성된 책장(20)이 형성된 독서실용 책상에 있어서, 상기 책장(20) 내부에 위치한 좌측판(2a)과 체결나사(33)로서 결합하기 위한 체결공(32)이 형성된 고정패널(31)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패널(31) 내면 일측에는 내부가 비어있는 제1공간부(36)가 형성되며 상.하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호(弧)형상의 제1보강살(34)이 형성된 제1수평격판(35)이 설치되고, 상기 제1수평격판(35)에 형성된 제1공간부(36) 내부에는 상.하면에 상기 제1보강살(34)과 대응되는 위치에 호(弧)형상의 제2보강살(38)이 형성된 제2수평격판(37)이 설치되며 상기 제2수평격판(37)의 일측 끝단부에는 이동 수직격판(39)이 설치된 공간조절용 책꽂이(30)가 상기 책장(20)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제2수평격판(35)(37)의 외측에는, 일측이 개구되고 제2공간부(42)를 갖는 "ㄷ"자형의 몸체(41)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41)의 내측 상.하면에는 상기 제1, 제2보강살(34)(38) 외측에 유입되어 슬라이드 이동되는 안내홈(43)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41)의 상면 중앙부에는 서적의 종류에 따라 구분하는 수직 분리격판(44)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파티션(4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독서실, 책상, 책장, 수납공간, 공간조절, 수납조절, 책사이즈

Description

책장의 수납공간 조절이 가능한 시스템 책꽂이가 설치된 독서실용 책상{Table for studying room with system bookstand possible for regulating of receptible space}
도 1은 일반적인 독서실용 책상의 사시도.
도 2는 책장문이 제거된 상태에서 본 고안에 따른 책장의 수납공간 조절이 가능한 독서실용 책상의 사시도.
도 3a는 책장문이 설치된 상태에서 본 고안에 따른 책장의 수납공간 조절이 가능한 독서실용 책상의 측단면도.
도 3b는 책장문이 설치된 상태에서 본 고안에 따른 책장의 수납공간 조절이 가능한 독서실용 책상의 평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공간조절용 책꽂이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공간조절용 책꽂이의 사용상태를 예시한 책장부분의 확대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공간조절용 책꽂이에 파티션이 설치된 독서실용 책상의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공간조절용 책꽂이와 파티션의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파티션이 공간조절용 책꽂이에 다르게 설치된 상태를 예시한 독서실용 책상의 정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a, 2b : 측판 3 : 뒷판 4 : 상판
5 : 하판 6 : 문 7 ; 책상판
8 : 발판 9 : 중간판 10 : 독서실용 책상
20 : 책장 30 : 공간조절용 책꽂이 31 : 고정 수직격판
32 : 체결공 33 : 체결나사 34 : 제1보강살
35 : 제1수평격판 36 : 제1공간부 37 ; 제2수평격판
38 : 제2보강살 39 : 이동 수직격판 40 : 파티션
41 : 몸체 42 : 제2공간부 43 : 안내홈
44 : 수직 분리격판
본 고안은 책장의 수납공간 조절이 가능한 시스템 책꽂이가 설치된 독서실용 책상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독서실용 책상에 있어 상측에 위치한 책장 내부에 수납공간 조절이 가능한 공간조절용 책꽂이를 설치하여 책의 크기에 따라 세워서 적재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책장의 공간 활용을 최대화하고, 그 공간 활용으로 인해 주변 환경이 깨끗이 정리됨으로서 집중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책장의 수납공간 조절이 가능한 시스템 책꽂이가 설치된 독서실용 책상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독서실용 책상(10)은 도 1에서와 같이 수직으로 설치된 뒷판(3)의 좌우측에 측판(2a)(2b)이 수직으로 설치되며, 상기 좌우측판(2a)(2b)간의 상부에는 수평으로 설치되는 상판(4)과 하판(5)으로 형성된 공간 내부에 수평 분리격판(9)이 설치된 책장(20)을 힌지부에 의해 개폐 가능하도록 하는 문(6)이 설치되고, 상기 좌.우측판(2a)(2b)간의 중앙부에는 책상판(7)이 수평보다 5~10°하방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며, 하부에는 발판(8)이 수평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종래의 독서실용 책상은 상판(4)과 하판(5)으로 구성되는 공간에 수평 분리격판(9)이 설치되며 문(6)으로 개폐되는 책장(20)이 설치되어 있으나, 이러한 책장(20) 내부 공간은 책의 크기에 제한을 받아 이용자의 불편함을 초래하고 있다.
그 이유로서는, 참고서 등의 서적 크기가 다양하게 출판됨으로 인해 크기가 작은 서적은 세워서 보관이 가능하여 적절하게 공간 활용이 가능하지만, 크기가 큰 서적은 수평 분리격판(9)에 의해 나누어진 공간에 세워 보관할 수 없어 눕혀 적재함으로서 책장(20)의 내부 공간 활용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없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독서실용 책상 상측에 위치한 책장 내부에 책의 적재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설치된 수평 분리격판을 두개의 격판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구성하고, 이 두개의 수평 분리격판의 슬라이더 이 동에 의해 수평 분리격판 폭을 조절하여 책장 일측에 수평 분리격판이 없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크기가 큰 책은 수평 분리격판이 없는 수납공간부에 세워 적재 가능함에 따라 책장의 공간 활용을 극대화하고, 그 공간 활용으로 인해 주변 환경이 깨끗이 정리됨으로서 집중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수직으로 설치된 뒷판의 좌우측에 측판이 수직으로 설치되며, 상기 좌우측판간의 상부에는 수평으로 설치되는 상판과 하판으로 형성된 책장이 형성된 독서실용 책상에 있어서, 상기 책장 내부에 위치한 좌 측판과 체결나사로서 결합하기 위한 체결공이 형성된 고정패널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패널 내면 일측에는 내부가 비어있는 제1공간부가 형성되며 상.하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호(弧)형상의 제1보강살이 형성된 제1수평격판이 설치되고, 상기 제1수평격판에 형성된 제1공간부 내부에는 상.하면에 상기 제1보강살과 대응되는 위치에 호(弧)형상의 제2보강살이 형성된 제2수평격판이 설치되며 상기 제2수평격판의 일측 끝단부에는 이동 수직격판이 설치된 공간조절용 책꽂이가 상기 책장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제2수평격판의 외측에는, 일측이 개구되고 제2공간부를 갖는 "ㄷ"자형의 몸체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의 내측 상.하면에는 상기 제1, 제2보강살 외측에 유입되어 슬라이드 이동되는 안내홈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의 상면 중앙부에는 서적의 종류에 따라 구분하는 수직 분리격판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파티션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책장의 수납공간 조절이 가능한 시스템 책꽂이가 설치된 독서실용 책상을 첨부된 도 2 내지 도 5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책장문이 제거된 상태에서 본 고안에 따른 책장 수납공간 조절이 가능한 독서실용 책상의 사시도이고, 도 3a는 책장문이 설치된 상태에서 본 고안에 따른 책장 수납공간 조절이 가능한 독서실용 책상의 측단면도이며, 도 3b는 책장문이 설치된 상태에서 본 고안에 따른 책장 수납공간 조절이 가능한 독서실용 책상의 평단면도이다.
즉, 본 고안에 따른 독서실용 책상(10)은 수직으로 설치된 뒷판(3)의 좌우측에 측판(2a)(2b)이 수직으로 설치되며, 상기 좌우측판(2a)(2b)간의 상부에는 수평으로 설치되는 상판(4)과 하판(5)으로 형성된 공간 내부에 책장(20)을 힌지부에 의해 개폐 가능하도록 하는 문(6)이 설치되고, 상기 좌.우측판(2a)(2b)간의 중앙부에는 책상판(7)이 수평보다 5~10°하방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며, 하부에는 발판(8)이 수평으로 설치되고, 상기 책장(20) 내부에는 수평 분리격판(9)이 슬라이드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수평 분리격판(9)의 폭을 조절하여 책장 일측에 수평으로 분리되는 공간이 없도록 하는 공간조절용 책꽂이(30)가 설치되어 있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공간조절용 책꽂이(30)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공간조절용 책꽂이(30)의 사용상태를 예시한 책장부분의 확대단면도로서, 책장(20) 내부에 위치한 좌측판(2a)과 체결나사(33)로서 결합하기 위해 체결공(32)이 형성된 고정패널(31)이 구비되고, 이 고정패널(31) 내면 일측에는 내부가 비어있는 제1공간부(36)가 형성되며 상.하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호(弧)형상의 제1보강살(34)이 형성된 제1수평격판(35)이 설치되며, 상기 고정패널(31)과 제1수평격판(35)은 일체로 사출 성형하여 제작한다.
또한, 상기 제1수평격판(35)에 형성된 제1공간부(36) 내부에서 출몰되며 상.하면에는 상기 제1보강살(34)과 대응되는 위치에 호(弧)형상의 제2보강살(38)이 형성된 제2수평격판(37)이 구비되고, 이 제2수평격판(37)의 일측 끝단부에는 상기 제2수평격판(37)이 제1수평격판(35)의 제1공간부(36)내에서 출몰될 때 수평으로 분리되는 공간이 없도록 하는 이동 수직격판(39)이 설치되며, 상기 제2수평격판(37)과 이동 수직격판(39)은 일체로 사출 성형하여 제작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공간조절용 책꽂이(30)를 독서실용 책상(10)의 책장(20) 내부에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책장(20) 내부에 위치한 좌측판(2a)에 고정패널(31)을 접촉한 후, 체결공(32)을 통해 체결나사(33)로 결합하게 되면 상기 고정패널(31)은 좌측판(2a)에 견고하게 고정되며, 이에 따라 제1수평격판(35)은 하판(5)에 대해 수평선상에 위치하게 된다.
그 다음, 이동 수직격판(39)에 설치된 제2수평격판(37)을 상기 제1수평격판(35)에 형성된 제1공간부(36)에 유입하게 되면, 제1보강살(34)과 제2보강살(38)은 서로 가이드 역할을 하게 되어 슬라이드 유입됨으로써 설치를 완료하게 된다.
이와 같이 설치 완료된 본 고안에 따른 책장 수납공간 조절이 가능한 독서실용 책상은 책장(20) 내부에 설치된 공간조절용 책꽂이(30)의 제2수평격판(37)을 제1수평격판(35)으로부터 출몰시키는 거리에 비례하여 제1, 제2수평격판(35)(37)(종래'수평 분리격판(9)'에 해당함)이 존재하지 않는 공간부가 형성되며, 이 공간부에 큰 사이즈의 서적을 세워 적재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고정된 제1수평격판(35)의 제1공간부(36) 내에서 제2수평격판(37)을 슬라이드 형태로 용이하게 출몰 가능함으로써 높이가 높은 수납 공간부의 변위 조 절이 이루어짐에 따라 큰 사이즈의 서적 분량에 따라 적절히 대응할 수 있게 되어 책장(20)의 공간 활용을 극대화 할 수 있는 것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고안의 파티션에 관한 것을 나타낸 것으로서 공간조절용 책꽂이(30)의 제1수평격판(35) 또는 제2수평격판(37)에 착탈이 가능한 파티션(40)을 설치하여 서적의 종류에 따라 구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공간조절용 책꽂이(30)에 파티션(30)이 설치된 독서실용 책상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공간조절용 책꽂이(30)와 파티션(40)의 분해사시도로서, 상기 파티션(40)은 일측이 개구되고 제2공간부(42)를 갖는 "ㄷ"자형의 몸체(41)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41)의 내측 상.하면에 상기 제1, 제2수평격판(35)(37)에 형성된 제1, 제2보강살(34)(38) 외측에 유입되어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안내홈(43)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41)의 상면 중앙부에는 서적의 종류에 따라 구분하는 수직 분리격판(44)이 형성된 구조를 이루고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파티션(40)은 도 6 및 도 7에서와 같이 일측이 개구된 몸체(41)를 상기 제1, 제2수평격판(35)(37) 외측에 유입시키게 되면 몸체(41) 내측면에 형성된 안내홈(43)이 제1, 제2보강살(34)(38) 외측에 대응 유입되어 상기 파티션(40)이 제1, 제2보강살(34)(38)을 따라 수평면으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제1, 제2수평격판(35)(37) 상면에 적재된 서적의 종류 및 량에 따라 구분할 수 있는 것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파티션이 공간조절용 책꽂이에 다르게 설치된 상태를 예시한 독서실용 책상의 정단면도로서, 파티션(40)의 방향을 반대로 설치하여 제1, 제2수평격판(35)(37) 하면에 적재된 서적의 종류 및 량에 따라 구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독서실용 책상 상측에 위치한 책장 내부에 책의 적재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설치된 수평 분리격판을 두개의 격판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구성하고, 이 두개의 수평 분리격판의 슬라이더 이동에 의해 수평 분리격판 폭을 조절하여 책장 일측에 수평 분리격판이 없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크기가 큰 책은 수평 분리격판이 없는 수납공간부에 세워 적재 가능함에 따라 책장의 공간 활용을 극대화하고, 그 공간 활용으로 인해 주변 환경이 깨끗이 정리됨으로서 집중력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삭제
  2. 수직으로 설치된 뒷판(3)의 좌우측에 측판(2a)(2b)이 수직으로 설치되며, 상기 좌우측판(2a)(2b)간의 상부에는 수평으로 설치되는 상판(4)과 하판(5)으로 형성된 책장(20)이 형성된 독서실용 책상에 있어서,
    상기 책장(20) 내부에 위치한 좌측판(2a)과 체결나사(33)로서 결합하기 위한 체결공(32)이 형성된 고정패널(31)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패널(31) 내면 일측에는 내부가 비어있는 제1공간부(36)가 형성되며 상.하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호(弧)형상의 제1보강살(34)이 형성된 제1수평격판(35)이 설치되고, 상기 제1수평격판(35)에 형성된 제1공간부(36) 내부에는 상.하면에 상기 제1보강살(34)과 대응되는 위치에 호(弧)형상의 제2보강살(38)이 형성된 제2수평격판(37)이 설치되며 상기 제2수평격판(37)의 일측 끝단부에는 이동 수직격판(39)이 설치된 공간조절용 책꽂이(30)가 상기 책장(20)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제2수평격판(35)(37)의 외측에는, 일측이 개구되고 제2공간부(42)를 갖는 "ㄷ"자형의 몸체(41)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41)의 내측 상.하면에는 상기 제1, 제2보강살(34)(38) 외측에 유입되어 슬라이드 이동되는 안내홈(43)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41)의 상면 중앙부에는 서적의 종류에 따라 구분하는 수직 분리격판(44)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파티션(4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장의 수납공간 조절이 가능한 시스템 책꽂이가 설치된 독서실용 책상.
KR2020060030095U 2006-11-21 2006-11-21 책장의 수납공간 조절이 가능한 시스템 책꽂이가 설치된독서실용 책상 KR2004388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0095U KR200438806Y1 (ko) 2006-11-21 2006-11-21 책장의 수납공간 조절이 가능한 시스템 책꽂이가 설치된독서실용 책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0095U KR200438806Y1 (ko) 2006-11-21 2006-11-21 책장의 수납공간 조절이 가능한 시스템 책꽂이가 설치된독서실용 책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8806Y1 true KR200438806Y1 (ko) 2008-03-06

Family

ID=41626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30095U KR200438806Y1 (ko) 2006-11-21 2006-11-21 책장의 수납공간 조절이 가능한 시스템 책꽂이가 설치된독서실용 책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880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03608A (zh) * 2021-12-17 2022-04-29 浙江千百万智能设备有限公司 一种可调式书架
KR20230031613A (ko) * 2021-08-27 2023-03-07 오신재 책장용 책꽂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1613A (ko) * 2021-08-27 2023-03-07 오신재 책장용 책꽂이
KR102553680B1 (ko) 2021-08-27 2023-07-10 오신재 책장용 책꽂이
CN114403608A (zh) * 2021-12-17 2022-04-29 浙江千百万智能设备有限公司 一种可调式书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38806Y1 (ko) 책장의 수납공간 조절이 가능한 시스템 책꽂이가 설치된독서실용 책상
KR200407371Y1 (ko) 슬라이더를 갖는 책꽂이
US11503908B2 (en) Bracket for drawer slide
KR200451053Y1 (ko) 가변식 책장
KR200457813Y1 (ko) 가변식 선반이 구비된 서가
CN107166864B (zh) 一种冰箱抽屉结构
KR200492565Y1 (ko) 가구 결합형 옷장
EP1444921B1 (en) Multiple extractible trousers rack for closets and wardrobes
KR200285496Y1 (ko) 옷장
KR200438187Y1 (ko) 잡지 진열 및 보관 서가의 개폐구조
KR102582319B1 (ko) 천장 수납부를 구비한 수납장
KR200236345Y1 (ko) 다용도 조립식 가구
KR200462388Y1 (ko) 다목적 가변식 거실장 구조
KR102414414B1 (ko) 다방향 서랍
KR200492546Y1 (ko) 레일이 구비된 슬랫형 거치대
CN219845613U (zh) 便于照镜的梳妆台
CN211354417U (zh) 一种可折叠的多层置物架
CN211673242U (zh) 一种转角书桌柜
KR200461878Y1 (ko) 책상이 결합된 책장
KR200466937Y1 (ko) 코인 뱅크 테이블
KR102172503B1 (ko) 가변 슬라이딩 도어가 구비된 책장
JP2018183488A (ja) 組み合わせデスク
CN108551132B (zh) 一种线盖可收纳的桌面线盒
CN109838964B (zh) 储藏装置及设置有储藏装置的制冷器具
JP2018183489A (ja) 組み合わせデス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