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1825A - 전자 장치 및 그의 녹화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및 그의 녹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1825A
KR20190101825A KR1020180022241A KR20180022241A KR20190101825A KR 20190101825 A KR20190101825 A KR 20190101825A KR 1020180022241 A KR1020180022241 A KR 1020180022241A KR 20180022241 A KR20180022241 A KR 20180022241A KR 20190101825 A KR20190101825 A KR 201901018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ion detection
processor
detection area
electronic device
re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2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5340B1 (ko
Inventor
최나리
강화영
김지연
서경열
신새벽
오영학
이재한
최준호
황호익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222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5340B1/ko
Priority to PCT/KR2019/002108 priority patent/WO2019164286A1/ko
Priority to US16/966,995 priority patent/US11696013B2/en
Priority to EP19757274.6A priority patent/EP3742720A4/en
Priority to CN201980014191.8A priority patent/CN111742543A/zh
Publication of KR201901018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18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53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53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N5/2320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8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 H04N5/782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tape
    • H04N5/783Adaptations for reproducing at a rate different from the recording r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2Control of parameters via user interfac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9/00High-speed photograph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1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e or setting capture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 H04N23/675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comprising setting of focusing reg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1Motion detection
    • H04N23/6811Motion detection based on the image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80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 H04N5/2321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1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during image pickup, e.g. digital cameras, camcorders, video cameras having integrated special effects cap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전자 장치 및 그의 녹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전자 장치는 터치스크린; 영상을 획득하는 이미지 센서; 상기 터치스크린 및 상기 이미지 센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메모리를 포함하되, 상기 메모리는 실행되었을 때,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터치스크린의 화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움직임 감지 영역으로 지정하고, 상기 움직임 감지 영역에서 움직임이 감지되는지 확인하고, 및 상기 움직임 감지 영역에서의 움직임 감지에 대응하여 상기 이미지 센서를 제어하여 초저속 녹화를 수행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그 밖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전자 장치 및 그의 녹화 방법{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RECORDING THEREOF}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전자 장치 및 그의 녹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장치들(예: 이동 단말기, 스마트 폰, 착용형(wearable) 장치 등)은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폰은 기본적인 음성 통신 기능에 추가적으로, 근거리 무선 통신(예: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또는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등) 기능, 이동 통신(3G(generation), 4G, 5G 등) 기능, 음악 또는 동영상 재생 기능, 사진 또는 동영상 촬영 기능, 또는 네비게이션 기능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일반적으로 30 fps(frame per second)의 속도로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최근의 전자 장치들은 고성능의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고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일반 촬영의 수 배 내지 수십 배의 속도로 촬영이 가능한 이미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전자 장치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고속 촬영을 수행하는 수동 방식을 제공하고 있다. 이로 인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사용자는 빠르게(또는 순간적으로) 이동하는 대상(또는 피사체) 또는 원하는 순간(예: 별똥별이 떨어지는 순간)을 고속 촬영하기 어려울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초고속 촬영 버튼(또는 촬영 메뉴, 촬영 아이콘 등)을 누르기 전에 대상이 사라지거나, 촬영을 원하는 순간이 지나갈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초고속 촬영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는 전자 장치 및 그의 녹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화면의 지정된 영역에서 움직임 감지 시 초고속 촬영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는 전자 장치 및 그의 녹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움직임 감지를 위한 지정된 영역의 크기, 비율 및/또는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전자 장치 및 그의 녹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초고속 촬영 시 이미지 센서의 초점을 초고속 촬영 대상으로 변경할 수 있는 전자 장치 및 그의 녹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터치스크린; 영상을 획득하는 이미지 센서; 상기 터치스크린 및 상기 이미지 센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메모리를 포함하되, 상기 메모리는 실행되었을 때,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터치스크린의 화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움직임 감지 영역으로 지정하고, 상기 움직임 감지 영역에서 움직임이 감지되는지 확인하고, 및 상기 움직임 감지 영역에서의 움직임 감지에 대응하여 상기 이미지 센서를 제어하여 초저속 녹화를 수행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녹화 방법은, 예를 들면, 화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움직임 감지 영역으로 지정하는 동작; 상기 움직임 감지 영역에서 움직임이 감지되는지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움직임 감지 영역에서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것에 대응하여 이미지 센서를 제어하여 초저속 녹화를 수행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자동으로 초저속 녹화를 수행할 수 있어 초저속 녹화에 대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녹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3a, 도 3b 및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녹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오녹화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오녹화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움직임 감지 영역을 편집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8a 및 8b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움직임 감지 영역을 편집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녹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녹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녹화 시 초점 설정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2a 및 12b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녹화 시 초점 설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녹화 시 초점 이동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녹화 시 초점 이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움직임 감지 영역의 설정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움직임 감지 영역의 설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본 문서는 특정 실시예들이 도면에 예시되고 관련된 상세한 설명이 기재되어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특정한 형태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초저속 녹화"는 일반적인 촬영 속도(예: 30 fps(frame per second))보다 수십 배 빠른 속도(예: 960 fps)로 영상을 촬영하고, 빠른 속도로 촬영된 영상을 일반적인 속도로 재생하여 일반적인 속도보다 느리게 움직이는 슬로우 모션 효과를 제공하는 녹화 방법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960 fps로 0.2초 동안 촬영하고, 30 fps로 재생하는 경우 6.4 초 동안 재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0.2초 동안 촬영된 영상은 6.4 초 동안 촬영된 영상으로 매우 느리게 재생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100) 내의 전자 장치(101)의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100)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 1 네트워크(198)(예: 근거리 무선 통신)를 통하여 전자 장치(1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원거리 무선 통신)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서버(108)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력 장치(150), 음향 출력 장치(155), 표시 장치(160), 오디오 모듈(170), 센서 모듈(176), 인터페이스(177), 햅틱 모듈(179), 카메라 모듈(180), 전력 관리 모듈(188), 배터리(189), 통신 모듈(190), 가입자 식별 모듈(196), 및 안테나 모듈(1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1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햅틱 모듈(179), 안테나 모듈(197) 또는 가입자 식별 모듈(196))가 생략되거나 다른 구성 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면, 표시 장치(160)(예: 디스플레이)에 임베디드된 센서 모듈(176)(예: 지문 센서, 홍채 센서, 또는 조도 센서)의 경우와 같이, 일부의 구성요소들이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를 구동하여 프로세서(120)에 연결된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을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132)에 로드하여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메인 프로세서(1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메인 프로세서(1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된 보조 프로세서(1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와 별개로 또는 임베디드되어 운영될 수 있다.
이런 경우, 보조 프로세서(1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1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1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수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와 함께,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표시 장치(160),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 요소(예: 카메라 모듈(180) 또는 통신 모듈(190))의 일부 구성 요소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초저속 녹화(또는 초고속 촬영)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지정된 조건을 만족(예: 화면의 지정된 영역에서 움직임 감지 또는 특정 객체(예: 사람, 자동차 등)를 감지)하는 경우 초저속 촬영의 자동 수행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2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메모리(130)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 또는 센서모듈(1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휘발성 메모리(1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1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140)은 메모리(130)에 저장되는 소프트웨어로서, 예를 들면, 운영 체제(142), 미들 웨어(144) 또는 어플리케이션(14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또는 키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되는 스피커와 전화 수신 전용으로 사용되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일체 또는 별도로 형성될 수 있다.
표시 장치(160)는 전자 장치(101)의 사용자에게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60)는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터치에 대한 압력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는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 장치(160)는 터치스크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60)는 초고속 촬영을 위한 다양한 화면 및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오디오 모듈(170)은 소리와 전기 신호를 쌍방향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70)은, 입력 장치(150)를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장치(155), 또는 전자 장치(101)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6)은 전자 장치(101)의 내부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센서 모듈(176)은 초고속 촬영 시 전자 장치(101)이 움직임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하여 프로세서(120)로 전송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77)는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할 수 있는 지정된 프로토콜을 지원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177)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178)는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를 물리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는 커넥터,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1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햅틱 모듈(1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80)은 하나 이상의 렌즈, 이미지 센서,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플래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카메라 모듈(180)은 전자 장치(101)의 일측(예: 전면, 후면 또는 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80)은 제1촬영 속도(예: 30 fps)보다 수 배 내지 수십 배 빠른 고속 또는 초고속 촬영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카메라 모듈(180)은 제2촬영 속도(예: 960 fps)의 초고속 촬영을 지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80)은 초고속 촬영 시 촬영 대상으로 초점을 자동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88)은 전자 장치(1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하기 위한 모듈로서,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성될 수 있다.
배터리(189)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간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프로세서(1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90)은 무선 통신 모듈(1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1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그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제 1 네트워크(198)(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상술한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190)은 하나의 칩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각각 별도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모듈(192)은 가입자 식별 모듈(196)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101)를 구별 및 인증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1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90)(예: 무선 통신 모듈(192))은 통신 방식에 적합한 안테나를 통하여 신호를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일부 구성요소들은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 2 네트워크(199)에 연결된 서버(108)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와 외부의 전자 장치(1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2, 104) 각각은 전자 장치(1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다른 하나 또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에서 실행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요청에 의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그와 연관된 적어도 일부 기능을 외부 전자 장치에게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외부 전자 장치는 요청된 기능 또는 추가 기능을 실행하고, 그 결과를 전자 장치(1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수신된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요청된 기능이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터치스크린; 영상을 획득하는 이미지 센서; 상기 터치스크린 및 상기 이미지 센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메모리를 포함하되, 상기 메모리는 실행되었을 때,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터치스크린의 화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움직임 감지 영역으로 지정하고, 상기 움직임 감지 영역에서 움직임이 감지되는지 확인하고, 및 상기 움직임 감지 영역에서의 움직임 감지에 대응하여 상기 이미지 센서를 제어하여 초저속 녹화를 수행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메모리는 상기 움직임 감지 영역에서의 움직임 감지를 수행 중임을 사용자에게 통지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 또는 상기 초저속 녹화가 수행 중임을 사용자에게 통지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 중 적어도 하나를 더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메모리는 상기 움직임 감지 영역의 편집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움직임 감지 영역의 크기, 비율 또는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더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한 전자 장치의 움직임 감지에 대응하여, 상기 움직임 감지 영역에서의 움직임 감지를 중지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더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메모리는 상기 움직임 감지 영역의 지정에 대응하여 상기 움직임 감지 영역의 중심을 기반으로 상기 이미지 센서의 초점을 설정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더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메모리는 상기 움직임 감지 영역에서의 움직임 감지에 대응하여 상기 움직임 감지 영역의 중심으로 상기 이미지 센서의 초점을 이동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더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메모리는 상기 이미지 센서의 초점 이동을 위한 영역을 상기 움직임 감지 영역보다 크게 설정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을 더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메모리는 상기 초저속 녹화 대상의 이동 경로를 추적하고, 상기 추적 결과에 기반하여 이동 경로를 예상하며, 상기 예상된 이동 경로로 상기 움직임 감지 영역을 이동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더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메모리는 화면의 일측에 표시된 초저속 녹화 메뉴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초저속 녹화를 수행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을 더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메모리는 상기 움직임 감지 영역에서 움직임을 감지하는 도중 화면의 일측에서 터치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터치 발생 지점을 기반으로 상기 움직임 감지 영역 및 상기 이미지 센서의 초점을 이동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을 더 저장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녹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고, 도 3a, 도 3b 및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녹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201 동작에서, 화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움직임 감지 영역으로 지정할 수 있다.
상기 움직임 감지 영역은 자동 또는 수동으로 지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프로세서는 초저속 녹화 기능(311)을 활성화하는 경우, 도 3a의 식별 부호 310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저속 녹화 대기 화면(예: 프리뷰 화면)의 중앙을 중심으로 기 지정된(또는 설정된) 크기(예: 화면 크기의 1/3)의 영역을 움직임 감지 영역(301)으로 지정할 수 있다. 상기 대기 화면은 사용자가 움직임 감지 영역을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시각적 인디케이터(예: 사각형 박스) 및 다양한 메뉴(예: 설정 메뉴, 플래쉬(flash) 온/오프 메뉴, 녹화 메뉴, 갤러리 메뉴, 카메라 메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는 사용자의 제스처(예: 폐 루프를 그리는 사용자 제스처)에 기초하여 화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움직임 감지 영역으로 지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제스처에 대응하는 원 또는 다각형의 폐 루프를 포함할 수 있는 최소 크기의 사각형 영역을 움직임 감지 영역으로 지정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다양한 인터렉션(예: 터치, 드래그 등)을 이용하여 움직임 감지 영역의 크기, 위치, 비율 등을 편집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7, 8a 및 도 8b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203 동작에서, 움직임 감지를 대기 중(또는 초저속 녹화 대기 중)임을 사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프로세서는, 도 3a의 식별 부호 310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움직임 감지 영역이 지정(설정)된 후 녹화 명령이 입력(예: 녹화 메뉴(302)가 터치)되는 경우 움직임을 감지 중임을 통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로세서는 제1촬영 속도(예: 30 fps)로 영상을 녹화할 수 있다. 상기 통지는 시각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프로세서는, 도 3a의 식별 부호 320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움직임 감지 영역(301)을 나타내는 사각형 박스의 선을 굵게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프로세서는 선의 색상 또는 선 종류를 다르게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녹화 버튼의 색상, 투명도 등을 이용하여 움직임 감지 대기 중임을 시각적으로 통지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별도의 시각적 인디케이터(예: 아이콘)를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프로세서는, 도 4의 식별 부호 410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녹화 메뉴(302)를 대신하여 원형 띠 형태의 인디케이터(402)를 표시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움직임 감지 대기 중임을 촉각 또는 청각 중 적어도 하나로 통지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상술한 다양한 통지 방법들 중 적어도 2개를 조합하여 움직임 감지 대기 중임을 통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205 동작에서, 움직임 감지 영역에서 움직임이 감지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프로세서는 움직임 감지 영역의 이미지가 변화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프로세서는 움직임 감지 영역에서 움직이는 피사체가 감지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205 동작의 확인 결과,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후술하는 211 동작으로 진행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205 동작의 확인 결과,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207 동작에서, 초저속 녹화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프로세서는 이미지 센서(예: 카메라 모듈(180))를 이용하여 일반 촬영 속도(예: 30 fps)의 수 배 내지 수십 배의 촬영 속도(예: 960 fps)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상기 초저속 녹화는 이미지 센서의 성능을 고려하여 지정된 시간(예: 0.2 초)동안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209 동작에서, 초저속 녹화 중임을 사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초저속 녹화 중임을 시각적으로 통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프로세서는, 도 3b의 식별 부호 330 및 340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움직임 감지 영역(301)을 나타내는 사각형 박스의 내부에 작은 크기의 사각형 박스를 순차적으로 더 표시하여 애니메이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프로세서는, 도 4의 식별 부호 420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띠 형태의 인디케이터(402)를 시간 경과에 따라 지정된 색상으로 채울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식(예: 별도의 아이콘 표시, 녹화 버튼의 깜빡임 등)을 이용하여 초저속 녹화 중임을 시각적으로 통지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초저속 녹화 중임을 촉각 또는 청각 중 적어도 하나로 통지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상술한 방식들 중 적어도 2개를 조합하여 초저속 녹화 중임을 통지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초저속 녹화가 완료되면, 이를 시각적으로 통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로세서는 초저속 녹화를 다수 번 수행하는 멀티 모드인 경우 녹화 횟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초저속 녹화 횟수는, 도 3b의 식별 부호 350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인디케이터(예: 총 횟수에 대응)를 표시하고, 초저속 녹화 완료 시마다 인디케이터의 색상을 하나씩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211 동작에서, 녹화가 종료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프로세서는 녹화 종료 메뉴가 터치되는 경우 녹화가 종료된 것으로 판단(또는 인식)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프로세서는 설정된 초저속 녹화 횟수(예: 20회)의 마지막 초저속 녹화가 완료된 경우 녹화가 종료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초저속 녹화를 한번만 수행하는 싱글 모드인 경우 상기 211 동작을 생략하고, 초저속 녹화의 완료 시 녹화가 종료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211 동작의 확인 결과, 녹화 종료가 요청되지 않은 경우 프로세서는 상기 205 동작으로 진행하여 상술한 동작을 반복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211 동작의 확인 결과, 녹화 종료가 요청되는 경우 프로세서는 녹화된 영상을 저장하고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녹화 제어를 종료할 수 있다. 상기 녹화된 영상은 초저속 녹화를 시작하기 전 약 1초 정도의 일반 속도(30 fps)의 녹화 영상 및 초저속 녹화 완료 후 약 1초 정도의 일반 녹화 영상을 함께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도 2의 203 동작 및 209 동작은 생략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오녹화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오녹화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501 동작에서, 전자 장치의 움직임이 감지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프로세서는 센서 모듈(예: 도 1의 센서 모듈(176))로부터 전자 장치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센서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이 수신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501 동작은 상기 도 2의 203 동작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501 동작은 상기 201 동작 이후 수행될 수 있다.
상기 501 동작의 확인 결과 전자 장치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프로세서는 도 2의 205 동작으로 진행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501 동작의 확인 결과 전자 장치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프로세서는, 503 동작에서, 움직임 감지에 따른 자동 초저속 녹화를 중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프로세서는 움직임 감지 영역에서 움직임 감지를 중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로세서는 전자 장치의 움직임을 멈추라는 경고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프로세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를 움직이지 마세요"와 같은 경고 메시지(601)를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예: 도 1의 표시 장치(16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로세서는 단말기의 움직임으로 인하여 자동 초저속 녹화가 중지되었음을 사용자기 인지할 수 있도록 화면을 흐리게(예: 디밍(dimming))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움직임 감지 영역(602)을 나타내는 사각형 박스를 제거하거나, 선 색상, 선 종류 등을 다르게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는 전자 장치의 움직임에 따른 오 녹화를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한 실시예는 초저속 녹화의 대기 중 전자 장치가 움직이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가 움직임 감지 영역에서 움직임이 감지된 것으로 인식하여 초저속 녹화를 자동으로 수행하는 문제(오동작)를 해결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움직임 감지 영역을 편집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고, 도 8a 및 8b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움직임 감지 영역을 편집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8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701 동작에서, 움직임 감지 영역의 편집 요청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프로세서는, 도 8a의 식별 부호 810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정된 사용자 제스처(예: 움직임 감지 영역(801) 내부의 롱터치(802) 또는 움직임 감지 영역(801)의 라인을 터치(또는 탭)(803)) 감지 시 움직임 감지 영역(801)의 편집이 요청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설정 메뉴에 포함된 편집 메뉴의 선택 시 움직임 감지 영역(801)의 편집이 요청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상기 편집 요청에 대응하여 편집 상태(또는 편집 모드)로 진입한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도 8a의 식별 부호 820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각적 인디케이터(804)를 이용하여 움직임 감지 영역(801)의 편집이 가능한 상태임을 사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다. 이는 일 예일 뿐,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움직임 감지 영역(801)의 편집 상태임을 통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편집 모드로 진입하는 경우 편집 방법에 대한 도움말(또는 가이드 정보)(805)을 화면 일측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움직임 감지 영역(801)의 편집은 녹화 대기 화면(예: 녹화 버튼의 입력 전 화면(프리뷰 화면)) 또는 움직임 감지 대기 화면(예: 녹화 버튼 입력 후 움직임 감지 영역에서 움직임이 감지되는지 확인하는 화면)에서 요청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703 동작에서, 사용자 인터렉션에 대응하여 움직임 감지 영역의 크기, 비율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프로세서는, 도 8a의 식별 부호 820 및 830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움직임 감지 영역(801)의 좌측 상단 모서리를 터치한 후 우측하단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사용자 제스처(806)의 감지 시 움직임 감지 영역(801)의 크기를 축소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움직임 감지 영역(801)은, 도 8b의 식별 부호 831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 및 세로의 비율이 변경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움직임 감지 영역(801)은, 도 8b의 식별 부호 833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의 전체가 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화면 전체가 움직임 감지 영역으로 지정된 경우 프로세서는, 도 8b의 식별 부호 835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움직임 감지 영역(801)에 대한 시각적 표현(visual representation)(예: 사각형 박스)을 제공(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도 8b의 825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움직임 감지 영역(801)의 내부를 터치한 후 임의의 방향(예: 좌측하단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사용자 제스처(807)의 감지 시 움직임 감지 영역(801)의 위치를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705 동작에서, 편집이 완료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 입력이 지정된 시간(예: 3초) 이상 감지되지 않거나, 별도의 편집 종료를 요청하는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편집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705 동작의 확인 결과, 편집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703 동작으로 복귀하여 상술한 동작을 반복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705 동작의 확인 결과, 편집이 완료된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움직임 감지 영역의 편집을 종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편집이 완료된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도 8a의 식별 부호 840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집 상태임을 나타내는 시각적 인디케이터(804)를 제거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녹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녹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901 동작에서, 초저속 녹화(또는 초고속 촬영) 기능의 실행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초저속 녹화 기능의 실행에 대응하여, 프로세서는 녹화 대기 화면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예: 도 1의 표시 장치(16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녹화 대기 화면은, 도 10의 식별 부호 1010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움직임 감지 기능 버튼(또는 메뉴)(1001), 초저속 녹화 버튼(1002), 녹화 버튼(1003), 일시 정지 버튼(1004) 및 녹화 시간 정보(1005) 등을 일측에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903 동작에서, 녹화 요청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녹화 버튼(1003)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녹화 요청의 감지에 대응하여 상기 프로세서는, 905 동작에서, 제1촬영 속도(예: 30 fps)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도 10의 식별 부호 1020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촬영 속도의 영상을 녹화할 수 있다. 이때, 녹화 버튼(1003)은 녹화 종료 버튼(1006)으로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907 동작에서, 초저속 녹화가 요청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프로세서는 초저속 녹화 버튼(1002)이 터치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907 동작의 확인 결과 초저속 녹화가 요청되지 않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후술하는 911 동작으로 진행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907 동작의 확인 결과 초저속 녹화가 요청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909 동작에서, 제2촬영 속도(예: 960 fps)로 영상을 촬영하여 초저속 녹화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프로세서는, 도 10의 식별 부호 1020 및 1030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 녹화 도중 초저속 녹화 버튼(1002)이 터치되는 경우 초저속 녹화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로세서는 초저속 녹화 중임을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통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프로세서는 초저속 녹화 버튼(1002), 일시 정지 버튼(1004) 및 녹화 종료 버튼(1003)의 색상, 모양, 또는 투명도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프로세서는 녹화 중임을 알리는 텍스트 정보(1007)를 화면 일측에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초저속 녹화 버튼(1002)을 이용하여 수동으로 초저속 녹화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911 동작에서, 움직임 감지 기능의 활성화(온)가 요청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프로세서는, 도 10의 식별 부호 1040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움직임 감지 기능 버튼(1001)이 터치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911 동작의 확인 결과 움직임 감지 기능의 활성화가 요청되지 않은 경우 프로세서는 후술하는 915 동작으로 진행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911 동작의 확인 결과 움직임 감지 기능의 활성화가 요청되는 경우 프로세서는, 913 동작에서, 움직임 감지에 대응하여 자동으로 초저속 녹화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프로세서는, 도 10의 식별 부호 1040 및 1050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정된 움직임 감지 영역에서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초저속 녹화를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초저속 녹화 중임을 시각적으로 통지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자동으로 초저속 녹화 중임을 상기 1030의 도면의 사용자에 의한 초저속 녹화 수행에 대한 시각적 통지와 다른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1040의 도면과 같이, 초저속 녹화 버튼(1002) 주변을 따라 다수의 점을 순차적으로 표시하는 애니메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로세서는, 도 10의 식별 부호 1050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움직임 감지 기능이 온된 상태에서 움직임 감지 기능 버튼(1001)이 터치되는 경우 움직임 감지 기능을 오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915 동작에서, 녹화가 종료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프로세서는 녹화 종료 버튼(1005)이 터치되는 경우 녹화가 종료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프로세서는 설정된 초저속 녹화 횟수(예: 20회)의 마지막 초저속 녹화가 완료된 경우 녹화가 종료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915 동작의 확인 결과, 녹화 종료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프로세서는 상기 905 동작으로 진행하여 상술한 동작을 반복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915 동작의 확인 결과, 녹화 종료가 감지되는 경우 프로세서는 녹화된 영상을 저장하고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녹화 제어를 종료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녹화 시 초점 설정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고, 도 12a 및 12b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녹화 시 초점 설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1 내지 도 1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1101 동작에서, 초저속 녹화(또는 초고속 촬영)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1103 동작에서, 움직임 감지 영역을 지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프로세서는 자동 또는 수동(사용자 입력)으로 화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움직임 감지 영역으로 지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1105 동작에서, 움직임 감지 영역에 기초하여 이미지 센서(예: 도 1의 카메라 모듈(180))의 초점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프로세서는, 도 12a의 식별 부호 1210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움직임 감지 영역(1201)의 중심에 초점(1203)을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1107 동작에서, 움직임 감지 영역의 위치가 변경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프로세서는, 도 12a의 1210 및 1220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녹화 대기 화면에서 일측(예: 우측 상단)이 터치(1205)되는 경우 터치 지점에 기초하여 움직임 감지 영역(1201)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도 12b의 1230 및 1240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을 녹화하는 도중 화면의 일측(예: 우측 상단)이 터치(1207)되는 경우 터치 지점에 기초하여 움직임 감지 영역(1201)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상기 1107 동작의 확인 결과 움직임 감지 영역의 위치가 변경되지 않는 경우 프로세서는 후술하는 1111 동작으로 진행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1107 동작의 확인 결과 움직임 감지 영역의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 프로세서는, 1109 동작에서, 움직임 감지 영역의 위치 변경에 대응하여 이미지 센서의 초점을 이동(또는 재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프로세서는, 도 12a의 식별 부호 1220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녹화 대기 화면에서 움직임 감지 영역(1201)이 우측 상단으로 이동되는 경우 이동된 움직임 감지 영역(1201)의 중심으로 초점(1203)을 이동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도 12b의 식별 부호 1240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녹화 도중 움직임 감지 영역(1201)이 우측 상단으로 이동되는 경우 이동된 움직임 감지 영역(1201)의 중심으로 초점(1203)을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1111 동작에서, 녹화 기능의 종료가 요청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녹화 기능의 종료가 요청되지 않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1107 동작으로 복귀하여 상술한 동작을 반복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녹화 기능의 종료가 요청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녹화를 종료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녹화 시 초점 이동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녹화 시 초점 이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1301 동작에서, 초저속 녹화(또는 초고속 촬영)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1303 동작에서, 움직임 감지 영역을 지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프로세서는 자동 또는 수동(사용자 입력)으로 화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움직임 감지 영역으로 지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1305 동작에서, 사용자 요청에 따라 제1초점 및 제1촬영 속도(예: 30 fps)를 기반으로 영상을 녹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프로세서는, 도 14의 식별 부호 1410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움직임 감지 영역(1401)의 하단 부근에 제1초점(1403)이 설정된 상태에서 제1촬영 속도로 영상을 녹화할 수 있다. 상기 제1초점(1403)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거나, 오토 포커스 기능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1307 동작에서, 움직임 감지 영역에서 움직임이 감지(또는 이동하는 피사체가 감지)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1307 동작의 확인 결과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후술하는 1317 동작으로 진행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1307 동작의 확인 결과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1309 동작에서, 이미지 센서(예: 도 1의 카메라 모듈(180))의 초점을 움직임 감지 영역(1401)의 중심으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프로세서는, 도 14의 식별 부호 1420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움직임 감지 영역(1401)에서 피사체(예: 새)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초점(1403)을 움직임 감지 영역(1401)의 중심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동된 초점을 제2초점(1405)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초점 이동 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초점 이동 영역에서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초점을 움직임 감지 영역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초점 이동 영역은 움직임 감지 영역보다 지정된 크기만큼 크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지정된 크기는 초점 이동 시간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1311 동작에서, 제2초점 및 제2촬영 속도(예: 960 fps)를 기초로 영상을 녹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프로세서는, 도 14의 식별 부호 1420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점(1403)을 이동한 후 제2초점 및 제2촬영 속도(예: 960 fps)를 기초로 영상을 녹화할 수 있다. 상기 제2촬영 속도(예: 960 fps)의 영상 녹화는 지정된 시간(예: 0.2 초) 동안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1313 동작에서, 초점을 재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프로세서는, 도 14의 식별 부호 1430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촬영 속도의 영상 녹화가 완료되면, 제3초점(1407)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제3초점(1407)은 오토 포커스 기능에 의해 자동으로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1315 동작에서, 녹화 기능의 종료가 요청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녹화 기능의 종료가 요청되지 않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1307 동작으로 복귀하여 상술한 동작을 반복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녹화 기능의 종료가 요청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녹화 기능을 종료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움직임 감지 영역의 설정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움직임 감지 영역의 설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1501 동작에서, 초저속 녹화(또는 초고속 촬영) 기능의 실행을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1503 동작에서, 움직임 감지 영역을 지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프로세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자동 또는 수동(사용자 입력)으로 화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움직임 감지 영역으로 지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프로세서는, 도 16의 식별 부호 1610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움직임 감지 영역(1601)을 지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1505 동작에서, 움직임 감지 영역에서 움직임이 감지(또는 이동하는 피사체가 감지)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1505 동작의 확인 결과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1507 동작에서, 초저속 녹화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프로세서는, 도 16의 식별 부호 1620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움직임 감지 영역(1601)에서 피사체(예: 새)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초고속(예: 960 fps)으로 영상을 촬영하여 초저속 녹화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1509 동작에서, 지정된 초저속 녹화 횟수(예: 20회)에 도달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프로세서는 녹화가 완료되면 녹화 횟수를 카운트 업하고, 카운트된 녹화 횟수가 20회인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1509 동작의 확인 결과 지정된 녹화 횟수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1511 동작에서, 피사체의 움직임을 추적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1513 동작에서, 추적을 통해 예상(또는 예측)되는 피사체의 이동 경로로 움직임 감지 영역을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프로세서는, 도 16의 식별 부호 1630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사체의 이동 경로(1603)을 기초로, N초(예: 15초)(초저속 녹화가 다시 가능해지는 시간) 동안의 예상 이동 경로(1605)를 계산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예상 이동 경로(1605)를 기초로 움직임 감지 영역(1601)을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움직임 감지 영역(1601)을 이동한 후 상기 프로세서는 1505 동작으로 복귀하여 상술한 동작을 반복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1509 동작의 확인 결과 지정된 녹화 횟수에 도달한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녹화를 종료할 수 있다.
한편, 상기 1505 동작의 확인 결과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1515 동작에서, 녹화 종료가 요청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1515의 확인 결과 녹화 종료가 요청되지 않는 경우 프로세서는 1505 동작으로 복귀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1515의 확인 결과 녹화 종료가 요청되는 경우 프로세서는 녹화를 종료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는 피사체를 추적하며 지정된 횟수 동안 연속적으로 초저속 녹화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의 녹화 방법은 화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움직임 감지 영역으로 지정하는 동작; 상기 움직임 감지 영역에서 움직임이 감지되는지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움직임 감지 영역에서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것에 대응하여 이미지 센서를 제어하여 초저속 녹화를 수행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상기 움직임 감지 영역에서의 움직임 감지를 수행 중임을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동작; 또는 상기 초저속 녹화가 수행 중임을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상기 움직임 감지 영역의 편집 요청을 감지하는 동작; 상기 편집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움직임 감지 영역의 편집 모드로 진입하는 동작; 및 사용자의 인터렉션에 대응하여 상기 움직임 감지 영역의 크기, 비율 또는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해 상기 전자 장치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동작;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한 전자 장치의 움직임 감지에 대응하여, 상기 움직임 감지 영역에서의 움직임 감지를 중지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상기 움직임 감지 영역의 지정에 대응하여 상기 움직임 감지 영역의 중심을 기반으로 상기 이미지 센서의 초점을 설정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상기 움직임 감지 영역에서의 움직임 감지에 대응하여 상기 움직임 감지 영역의 중심으로 상기 이미지 센서의 초점을 이동하고, 상기 초저속 녹화를 수행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상기 초저속 녹화의 완료에 대응하여 상기 이미지 센서의 초점을 재설정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상기 초저속 녹화 대상의 이동 경로를 추적하는 동작; 상기 추적 결과에 기반하여 이동 경로를 예상하는 동작; 및 상기 예상된 이동 경로로 상기 움직임 감지 영역을 이동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초저속 녹화를 수행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상기 움직임 감지 영역이 아닌 영역에서 터치가 발행하는지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터치 발생에 대응하여 터치 지점을 기반으로 상기 움직임 감지 영역 및 상기 이미지 센서의 초점을 이동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 (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및/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또는 "A, B 및/또는 C 중 적어도 하나"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을, 순서 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성된 유닛을 포함하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machine-readable storage media)(예: 내장 메모리(136) 또는 외장 메모리(138))에 저장된 명령어를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로 구현될 수 있다. 기기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명령어를 호출하고, 호출된 명령어에 따라 동작이 가능한 장치로서,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명령이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에 의해 실행될 경우, 프로세서가 직접, 또는 상기 프로세서의 제어하에 다른 구성요소들을 이용하여 상기 명령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명령은 컴파일러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생성 또는 실행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신호(signal)를 포함하지 않으며 실재(tangible)한다는 것을 의미할 뿐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 또는 임시적으로 저장됨을 구분하지 않는다.
일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온라인으로 배포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구성 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 각각은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술한 해당 서브 구성 요소들 중 일부 서브 구성 요소가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서브 구성 요소가 다양한 실시예에 더 포함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일부 구성 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개체로 통합되어, 통합되기 이전의 각각의 해당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을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적어도 일부 동작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는 기술 내용의 설명 및 이해를 위해 제시된 것이며, 본 문서에서 기재된 기술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문서의 범위는, 본 문서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한 모든 변경 또는 다양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터치스크린;
    영상을 획득하는 이미지 센서;
    상기 터치스크린 및 상기 이미지 센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메모리를 포함하되,
    상기 메모리는 실행되었을 때,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터치스크린의 화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움직임 감지 영역으로 지정하고,
    상기 움직임 감지 영역에서 움직임이 감지되는지 확인하고, 및
    상기 움직임 감지 영역에서의 움직임 감지에 대응하여 상기 이미지 센서를 제어하여 초저속 녹화를 수행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전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움직임 감지 영역에서의 움직임 감지를 수행 중임을 사용자에게 통지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 또는 상기 초저속 녹화가 수행 중임을 사용자에게 통지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 중 적어도 하나를 더 저장하는 전자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움직임 감지 영역의 편집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움직임 감지 영역의 크기, 비율 또는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더 저장하는 전자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한 전자 장치의 움직임 감지에 대응하여, 상기 움직임 감지 영역에서의 움직임 감지를 중지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더 저장하는 전자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움직임 감지 영역의 지정에 대응하여 상기 움직임 감지 영역의 중심을 기반으로 상기 이미지 센서의 초점을 설정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더 저장하는 전자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움직임 감지 영역에서의 움직임 감지에 대응하여 상기 움직임 감지 영역의 중심으로 상기 이미지 센서의 초점을 이동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더 저장하는 전자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이미지 센서의 초점 이동을 위한 영역을 상기 움직임 감지 영역보다 크게 설정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을 더 저장하는 전자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초저속 녹화 대상의 이동 경로를 추적하고,
    상기 추적 결과에 기반하여 이동 경로를 예상하며,
    상기 예상된 이동 경로로 상기 움직임 감지 영역을 이동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더 저장하는 전자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화면의 일측에 표시된 초저속 녹화 메뉴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초저속 녹화를 수행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을 더 저장하는 전자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움직임 감지 영역에서 움직임을 감지하는 도중 화면의 일측에서 터치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터치 발생 지점을 기반으로 상기 움직임 감지 영역 및 상기 이미지 센서의 초점을 이동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을 더 저장하는 전자 장치.
  11. 전자 장치의 녹화 방법에 있어서,
    화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움직임 감지 영역으로 지정하는 동작;
    상기 움직임 감지 영역에서 움직임이 감지되는지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움직임 감지 영역에서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것에 대응하여 이미지 센서를 제어하여 초저속 녹화를 수행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 감지 영역에서의 움직임 감지를 수행 중임을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동작; 또는
    상기 초저속 녹화가 수행 중임을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 감지 영역의 편집 요청을 감지하는 동작;
    상기 편집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움직임 감지 영역의 편집 모드로 진입하는 동작; 및
    사용자의 인터렉션에 대응하여 상기 움직임 감지 영역의 크기, 비율 또는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해 상기 전자 장치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동작;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한 전자 장치의 움직임 감지에 대응하여, 상기 움직임 감지 영역에서의 움직임 감지를 중지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 감지 영역의 지정에 대응하여 상기 움직임 감지 영역의 중심을 기반으로 상기 이미지 센서의 초점을 설정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 감지 영역에서의 움직임 감지에 대응하여 상기 움직임 감지 영역의 중심으로 상기 이미지 센서의 초점을 이동하고, 상기 초저속 녹화를 수행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초저속 녹화의 완료에 대응하여 상기 이미지 센서의 초점을 재설정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초저속 녹화 대상의 이동 경로를 추적하는 동작;
    상기 추적 결과에 기반하여 이동 경로를 예상하는 동작; 및
    상기 예상된 이동 경로로 상기 움직임 감지 영역을 이동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19. 제 11 항에 있어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초저속 녹화를 수행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20.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 감지 영역이 아닌 영역에서 터치가 발행하는지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터치 발생에 대응하여 터치 지점을 기반으로 상기 움직임 감지 영역 및 상기 이미지 센서의 초점을 이동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KR1020180022241A 2018-02-23 2018-02-23 전자 장치 및 그의 녹화 방법 KR1026453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2241A KR102645340B1 (ko) 2018-02-23 2018-02-23 전자 장치 및 그의 녹화 방법
PCT/KR2019/002108 WO2019164286A1 (ko) 2018-02-23 2019-02-21 전자 장치 및 그의 녹화 방법
US16/966,995 US11696013B2 (en) 2018-02-23 2019-02-21 Electronic device and recording method thereof
EP19757274.6A EP3742720A4 (en) 2018-02-23 2019-02-21 ELECTRONIC DEVICE AND ASSOCIATED RECEPTION METHOD
CN201980014191.8A CN111742543A (zh) 2018-02-23 2019-02-21 电子设备及其记录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2241A KR102645340B1 (ko) 2018-02-23 2018-02-23 전자 장치 및 그의 녹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1825A true KR20190101825A (ko) 2019-09-02
KR102645340B1 KR102645340B1 (ko) 2024-03-08

Family

ID=67688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2241A KR102645340B1 (ko) 2018-02-23 2018-02-23 전자 장치 및 그의 녹화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696013B2 (ko)
EP (1) EP3742720A4 (ko)
KR (1) KR102645340B1 (ko)
CN (1) CN111742543A (ko)
WO (1) WO20191642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876465S1 (en) * 2018-02-23 2020-02-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transitional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24912S1 (en) * 2019-09-09 2021-07-13 Appl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1014536S1 (en) * 2021-08-30 2024-02-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transitional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45453S1 (en) * 2021-09-16 2022-03-08 Fintech Innovation Associates Llc Display screen portion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D1001153S1 (en) * 2021-09-16 2023-10-10 PocktBank Corporation Display screen portion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20222A1 (en) * 2008-07-24 2010-01-28 Jeremy Jones Image Capturing Device with Touch Screen for Adjusting Camera Settings
US20150256749A1 (en) * 2014-03-04 2015-09-10 Here Global B.V. Frame rate designation region
US20160173810A1 (en) * 2014-12-16 2016-06-16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capturing control apparatus, control method of the same, and storage medium
US20160182866A1 (en) * 2014-12-19 2016-06-23 Sony Corporation Selective high frame rate video capturing in imaging sensor subarea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86298B2 (en) 2004-03-01 2014-11-11 Microsoft Corporation Recall device
JP5188071B2 (ja) 2007-02-08 2013-04-24 キヤノン株式会社 焦点調節装置、撮像装置及び、焦点調節方法
US9183716B2 (en) 2007-03-20 2015-11-1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moving surveillance cameras
JP2009200713A (ja) * 2008-02-20 2009-09-03 Sony Corp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
KR20110093040A (ko) 2010-02-11 2011-08-18 엘지전자 주식회사 피사체 감시 장치 및 방법
JP5872981B2 (ja) * 2012-08-02 2016-03-01 オリンパス株式会社 撮影機器,動体の撮影方法,撮影プログラム
KR101408118B1 (ko) 2013-04-04 2014-06-17 주식회사 뷰웍스 고속영상 획득 및 조명제어 장치와 그 방법
JPWO2016016984A1 (ja) * 2014-07-31 2017-06-01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その被写体追尾方法
KR102155094B1 (ko) * 2014-08-28 2020-09-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29536A (ko) * 2014-09-05 2016-03-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JP6497987B2 (ja) * 2015-03-12 2019-04-1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記憶媒体
GB2541713A (en) * 2015-08-27 2017-03-01 Rowan Graham Processing of high frame rate video data
JP6590666B2 (ja) * 2015-11-30 2019-10-16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6701706B2 (ja) 2015-12-09 2020-05-27 株式会社ニコン 電子機器及びプログラム
US10991393B2 (en) 2016-01-07 2021-04-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managing a playback rate of a plurality of images
KR20170089251A (ko) 2016-01-26 2017-08-03 삼성전자주식회사 장치 및 그 장치에서 모션을 인식하여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JP6742173B2 (ja) * 2016-06-30 2020-08-19 キヤノン株式会社 焦点調節装置及び方法、及び撮像装置
KR102636272B1 (ko) 2016-07-26 2024-02-14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촬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시스템
US10173100B2 (en) 2016-09-17 2019-01-08 Navyaa Sinha Sport training equipment
JP7058945B2 (ja) * 2017-04-24 2022-04-25 キヤノン株式会社 像ブレ補正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撮像装置
JP6570575B2 (ja) * 2017-05-02 2019-09-04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7121470B2 (ja) * 2017-05-12 2022-08-1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7454322A (zh) * 2017-07-31 2017-12-08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拍照方法、装置、计算机可存储介质和移动终端
CN107396019B (zh) * 2017-08-11 2019-05-1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慢动作视频录制方法及移动终端
US10440276B2 (en) * 2017-11-02 2019-10-08 Adobe Inc. Generating image previews based on capture information
KR102488410B1 (ko) * 2017-11-07 2023-01-16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카메라들을 이용하여 영상을 촬영하는 전자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
US11044420B2 (en) * 2018-10-29 2021-06-22 Henry M. Pena Real time video special effects system and metho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20222A1 (en) * 2008-07-24 2010-01-28 Jeremy Jones Image Capturing Device with Touch Screen for Adjusting Camera Settings
US20150256749A1 (en) * 2014-03-04 2015-09-10 Here Global B.V. Frame rate designation region
US20160173810A1 (en) * 2014-12-16 2016-06-16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capturing control apparatus, control method of the same, and storage medium
US20160182866A1 (en) * 2014-12-19 2016-06-23 Sony Corporation Selective high frame rate video capturing in imaging sensor subare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42720A1 (en) 2020-11-25
US11696013B2 (en) 2023-07-04
KR102645340B1 (ko) 2024-03-08
WO2019164286A1 (ko) 2019-08-29
US20210029293A1 (en) 2021-01-28
EP3742720A4 (en) 2020-12-09
CN111742543A (zh) 2020-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45340B1 (ko) 전자 장치 및 그의 녹화 방법
CN111147878B (zh) 直播中的推流方法、装置及计算机存储介质
CN110708596A (zh) 生成视频的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KR102488410B1 (ko) 복수의 카메라들을 이용하여 영상을 촬영하는 전자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
KR102597518B1 (ko) 영상에 보케 효과를 적용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146858B1 (ko) 촬영 장치 및 촬영 장치의 비디오 생성방법
KR102657519B1 (ko) 음성을 기반으로 그래픽 데이터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90119186A (ko) 정보 처리 장치, 방법, 및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KR102661185B1 (ko) 전자 장치 및 그의 이미지 촬영 방법
CN111346376A (zh) 基于多媒体资源的互动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0958465A (zh) 视频流推送方法、装置及存储介质
US20210250516A1 (en) Lens cover-based image capture device operation
KR20190123869A (ko) 외부 장치의 자세 조정을 통해 복수의 카메라들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획득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580521B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음량 조절 방법
CN108509127B (zh) 启动录屏任务的方法、装置及计算机设备
CN112749590A (zh) 目标检测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1630833B (zh) 电子设备及其控制方法
KR20190107901A (ko) 전자 펜으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기초하여 다양한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전자 장치
CN110134902B (zh) 资料信息生成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04391742B (zh) 应用优化方法和装置
US11950030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recording medium
RU2679719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правления рабочим состоянием
CN105045510B (zh) 实现视频查看操作的方法及装置
KR102614026B1 (ko) 복수의 렌즈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478426B1 (ko) 동영상 콘텐트에 포함된 블랙 영역을 검출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