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0196A - 절삭 인서트 및 숄더 밀링 공구 - Google Patents

절삭 인서트 및 숄더 밀링 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0196A
KR20190100196A KR1020197017699A KR20197017699A KR20190100196A KR 20190100196 A KR20190100196 A KR 20190100196A KR 1020197017699 A KR1020197017699 A KR 1020197017699A KR 20197017699 A KR20197017699 A KR 20197017699A KR 20190100196 A KR20190100196 A KR 201901001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edge
insert
cutting
midplane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76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9492B1 (ko
Inventor
토마스 에릭손
우드 외르겐 얀손
Original Assignee
산드빅 인터렉츄얼 프로퍼티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드빅 인터렉츄얼 프로퍼티 에이비 filed Critical 산드빅 인터렉츄얼 프로퍼티 에이비
Publication of KR201901001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01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94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94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5/00Milling-cutters
    • B23C5/02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utter
    • B23C5/06Face-milling cutters, i.e. having only or primarily a substantially flat cutting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5/00Milling-cutters
    • B23C5/16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other than shape
    • B23C5/20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other than shape with removable cutte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 B23C5/202Plate-like cutting inserts with special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5/00Milling-cutters
    • B23C5/16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other than shape
    • B23C5/20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other than shape with removable cutte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 B23C5/202Plate-like cutting inserts with special form
    • B23C5/205Plate-like cutting inserts with special form characterised by chip-breakers of special form
    • B23C5/207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5/00Milling-cutters
    • B23C5/16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other than shape
    • B23C5/20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other than shape with removable cutte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 B23C5/22Securing arrangements fo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 B23C5/2204Securing arrangements fo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with cutting inserts clamped against the walls of the recess in the cutter body by a clamping member acting upon the wall of a hole in the insert
    • B23C5/2208Securing arrangements fo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with cutting inserts clamped against the walls of the recess in the cutter body by a clamping member acting upon the wall of a hole in the insert for plate-like cutting inserts 
    • B23C5/2213Securing arrangements fo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with cutting inserts clamped against the walls of the recess in the cutter body by a clamping member acting upon the wall of a hole in the insert for plate-like cutting inserts  having a special shape
    • B23C5/2221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00/00Details of milling cutting inserts
    • B23C2200/04Overall shape
    • B23C2200/0477Triangular
    • B23C2200/0483Triangular round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00/00Details of milling cutting inserts
    • B23C2200/12Side or flank surfaces
    • B23C2200/125Side or flank surfaces discontinuo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00/00Details of milling cutting inserts
    • B23C2200/20Top or side views of the cutting edge
    • B23C2200/201Details of the nose radius and immediately surrounding are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00/00Details of milling cutting inserts
    • B23C2200/20Top or side views of the cutting edge
    • B23C2200/208Wiper, i.e. an auxiliary cutting edge to improve surface finis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00/00Details of milling cutting inserts
    • B23C2200/28Ang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00/00Details of milling cutting inserts
    • B23C2200/28Angles
    • B23C2200/284Negative clearance ang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00/00Details of milling cutting inserts
    • B23C2200/28Angles
    • B23C2200/293Variable clearance ang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10/00Details of milling cutters
    • B23C2210/16Fixation of inserts or cutting bits in the tool
    • B23C2210/168Seats for cutting inserts, supports for replacable cutting b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lling Processes (AREA)

Abstract

본원에, 절삭 인서트 (2) 및 숄더 밀링 공구가 개시된다. 절삭 인서트 (2) 는, 정중면 (4) 에 대한 거리가 모서리 절삭 에지 (26) 를 향한 방향으로 감소하도록 절삭 인서트 (2) 의 정중면 (4) 에 대해 경사져 있는 표면-와이핑 이차 절삭 에지 (28) 를 포함한다. 둘레면 (18) 은 주 절삭 에지 (24) 를 따라 연장되는 여유면 (50) 을 포함한다. 주 절삭 에지 (24) 를 따라 여유면 (50) 은 정중면 (4) 에 대해 예각으로 연장되어서, 여유면 (50) 은 음의 공칭 여유각을 형성하고, 둘레면 (18) 은 밀링 공구의 축선 방향 및/또는 반경 방향 지지면들에 접하도록 구성된 제 1 및 제 2 접합면들 (90) 을 포함하고, 접합면들 (90) 은 주 절삭 에지 (24) 및 표면-와이핑 이차 절삭 에지 (28) 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연장된다.

Description

절삭 인서트 및 숄더 밀링 공구
본 발명은 숄더 밀링 공구용 절삭 인서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숄더 밀링 공구에 관한 것이다.
하나 이상의 절삭 인서트들이 숄더 밀링 공구에 고정된다. 밀링 작동에서, 숄더 밀링 공구는 회전되어 가공물로 이송된다. 하나 이상의 절삭 인서트들 각각의 절삭 에지는 가공물에서 숄더를 밀링하기 위해 절삭 맞물림된다.
절삭 인서트들은 다양한 다른 형상들로 이용 가능하고, 그들 중 일부는 날교환 가능하고, 즉 그것들은 1 개보다 많은 사용 가능한 절삭 에지를 포함하고 상이한 날교환 위치들에서 숄더 밀링 공구에 고정될 수도 있다. 3 개의 90 도의 모서리들을 포함하는 일반적으로 육각형 형상을 가지는 절삭 인서트는 삼각형 형상의 절삭 인서트로 지칭된다.
WO 2015/174200 은 삼각형 형상의 절삭 인서트를 개시하는데, 상기 인서트는 각각 육각형 형상을 가지고 연속해서 배치된 제 1 표면 및 제 2 표면, 제 1 표면 및 제 2 표면으로 이어지는 측방향 표면들, 및 제 1 표면과 측방향 표면들이 교차하는 위치에서의 융기선에 의해, 그리고 제 2 표면과 측방향 표면들이 교차하는 위치에서의 융기선에 의해 각각 형성된 절삭 에지들을 포함한다. 착좌면들은 평행하게 배치되고 제 1 표면 및 제 2 표면의 인서트 중심측; 및 제 1 표면으로 이어지는 측방향 표면과 제 2 표면으로 이어지는 측방향 표면을 분리하기 위한 함몰부들에 각각 형성된다. 절삭 에지들은 제 1 절삭 에지 및 제 2 절삭 에지로 형성된다. 제 1 절삭 에지는 제 2 절삭 에지보다 길다. 제 1 절삭 에지의 단부는 착좌면보다 더 높은 위치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숄더 밀링 공구에서 안정적 지지를 위해 구성되는 숄더 밀링용 절삭 인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의 양태에 따르면, 상기 목적은 숄더 밀링 공구용 절삭 인서트에 의해 달성되고, 상기 절삭 인서트는 삼각형 형상 및 상기 절삭 인서트를 통하여 연장되는 정중면을 갖는다. 상기 절삭 인서트는 제 1 표면, 대향한 제 2 표면, 및 상기 제 1 표면과 상기 제 2 표면 사이에 연장되는 둘레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표면들은 상기 정중면의 대향 측들에서 연장된다. 상기 절삭 인서트는 상기 제 1 표면과 상기 둘레면 사이 교차점을 따라 연장되는 3 개의 날교환 가능한 절삭 에지들을 포함하고, 각각의 날교환 가능한 절삭 에지는, 상기 제 1 표면을 향한 도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삼각형 형상의 절삭 인서트의 모서리를 따라 연장된다. 각각의 날교환 가능한 절삭 에지는 주 절삭 에지, 모서리 절삭 에지, 및 표면-와이핑 이차 절삭 에지를 포함하고, 상기 주 절삭 에지는 상기 모서리 절삭 에지에 인접해 있고, 상기 모서리 절삭 에지는 상기 표면-와이핑 이차 절삭 에지에 인접해 있다. 상기 정중면에 대한 거리가 상기 모서리 절삭 에지를 향한 방향으로 감소하도록 상기 표면-와이핑 이차 절삭 에지가 상기 정중면에 대해 경사져 있다. 상기 둘레면은 상기 주 절삭 에지를 따라 연장되는 여유면을 포함하고, 상기 주 절삭 에지를 따라 상기 여유면은 상기 정중면에 대해 예각으로 연장되어서, 상기 여유면은 음의 공칭 여유각을 형성한다. 상기 둘레면은 상기 숄더 밀링 공구의 축선 방향 및/또는 반경 방향 지지면에 접하도록 구성된 제 1 접합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접합면은 상기 주 절삭 에지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연장된다. 상기 둘레면은 상기 숄더 밀링 공구의 축선 방향 및/또는 반경 방향 지지면에 접하도록 구성된 제 2 접합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접합면은 표면-와이핑 이차 에지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연장된다.
숄더 밀링 공구에서 절삭 인서트의 사용 중, 정중면에 대한 거리가 모서리 절삭 에지를 향한 방향으로 감소하도록 표면-와이핑 이차 절삭 에지가 정중면에 대해 경사져 있으므로, 표면-와이핑 이차 절삭 에지에서 절삭력들은 숄더 밀링 공구의 인서트 착좌부로 안쪽으로 그리고 숄더 밀링 공구의 회전 축선을 향하여 반경 방향으로 유도된 힘 성분을 포함한다. 더욱이, 주 절삭 에지를 따라 여유면은 음의 공칭 여유각을 가지고 둘레면은 주 절삭 에지에서 제 1 접합면을 포함하므로, 제 1 접합면이 숄더 밀링 공구의 측면 지지면에 접한 상태로 절삭 인서트가 숄더 밀링 공구에 배열될 때, 제 1 접합면은 여유면이 중립 또는 양의 공칭 여유각으로 배열될 때보다 절삭 인서트의 중심으로부터 더 먼 거리에 접하여서,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숄더 밀링 공구에 장착된 절삭 인서트에 더 큰 유지 모멘트를 제공한다. 따라서, 절삭 인서트는 숄더 밀링 공구의 인서트 착좌부에 안정적으로/단단히 지지된다.
더욱이, 여유면은 음의 공칭 여유를 형성하므로, 여유면에 중립 또는 양의 공칭 여유를 가지는 대응하는 절삭 인서트보다 절삭 인서트에서 상대적으로 더 큰 소위 내접원 또는 IC 에 형성되기 때문에 둘레면은 접합면에서 상대적으로 더 큰 접합 면적 (폭 및 길이) 을 형성할 수 있어서, 접합면은 절삭 인서트에서 상대적으로 더 작은 내접원 또는 IC 에 형성될 것이다. 보다 정확하게는, 주 절삭 에지를 따라 여유면은 음의 공칭 여유각을 형성하므로, 관련 절삭 에지의 인접한 표면-와이핑 이차 절삭 에지를 따라 제 2 접합면은 주 절삭 에지를 따르는 여유면에서 중립 또는 양의 공칭 여유각을 가지는 대응하는 절삭 인서트에서보다 더 크다. 즉, 인접한 표면-와이핑 이차 절삭 에지를 따라 제 2 접합면은 주 절삭 에지와 각각의 날교환 가능한 절삭 에지의 표면-와이핑 이차 절삭 에지 사이에 개재된 모서리 절삭 에지를 향한 연장부에서 정중면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 더 길다. 그러므로, 표면-와이핑 이차 절삭 에지에서 제 2 접합면의 일부가 숄더 밀링 공구의 측면 지지면에 접한 상태로 절삭 인서트가 숄더 밀링 공구에 배열될 때, 제 2 접합면의 일부는 개재된 모서리 절삭 에지를 향한 방향으로/그 아래에 증가된 연장부를 가지고 또한 여유면이 중립 또는 양의 공칭 여유각으로 배열될 때보다 절삭 인서트의 중심으로부터 더 먼 거리에 접하여서, - 예를 들어 숄더 밀링 공구에서 축선 방향으로 보다 바깥쪽에 반경 방향으로 가장 안쪽의 측면 지지면을 위치시킴으로써 - 숄더 밀링 공구에서 지지면들 사이에 더 큰 간격을 제공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숄더 밀링 공구에 장착된 절삭 인서트에 더 큰 유지 모멘트를 제공할 수 있다. 이것은 또한 숄더 밀링 공구의 인서트 착좌부에 절삭 인서트를 안정적으로/단단히 지지하는데 기여한다.
제 1 및 제 2 접합면들은 바람직하게 평평하게 됨으로써 상기 접합을 위해 구성된다. 이런 식으로 접합면들은 축선 방향/반경 방향 지지면들에 대해 신뢰성 있는 접합을 위해 잘 규정된 형상을 제공한다. 접합면들에서 평평한 형상은 또한 절삭 인서트의 제조시 접합면들의 연삭을 용이하게 하는데 적합하여, 숄더 밀링 공구에서 절삭 인서트의 로컬리제이션 (localization) 뿐만 아니라 지지부의 개선된 정밀도를 달성할 수 있다.
절삭 인서트는 숄더 밀링 공구의 착좌부에 고정된다. 숄더 밀링 공구는 가공물에 90° 숄더를 절삭하기 위해 구성된다. 일부 숄더 밀링 공구들은 또한 램핑 및 플런지 밀링을 위해, 즉 가공물에 숄더 밀링 공구의 축선 방향으로 이송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정중면은 제 1 및 제 2 표면들 사이에서 중심에 연장되는 가상 평면이고 둘레면과 교차한다. 주 절삭 에지는 숄더 밀링 공구의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고, 숄더 밀링 공구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고 숄더 밀링 공구의 축선 방향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가공물 표면을 표면-와이핑하기 위해 구성되는, 표면-와이핑 이차 절삭 에지에 대해, 가공물에 90° 숄더 또는 벽을 절삭하기 위해 구성된다. 숄더 밀링 공구용 절삭 인서트의 삼각형 형상은 제 1 표면과 둘레면 사이 교차점을 따라 연장되는 3 개의 날교환 가능한 절삭 에지들을 제공하고, 3 개의 절삭 에지들 각각은 인서트의 90 도 모서리를 따라 연장된다. 절삭 인서트는 바람직하게 제 2 표면과 둘레면 사이 교차점을 따라 연장되는 3 개의 추가 날교환 가능한 절삭 에지들을 갖는 양면 절삭 인서트이다. 환언하면, 양면 삼각형 형상은 유리하게도 숄더 밀링에 사용되도록 총 6 개의 날교환 가능한 절삭 에지들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둘레면은 상기 정중면에 위치된 원주방향 카운터싱크된 허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평평한) 접합면들은 상기 원주방향 카운터싱크된 허리부에 형성된다. 이런 식으로 (평평한) 접합면은 여유면들에 대해 카운터싱크되고 숄더 밀링 공구의 인서트 착좌부에 절삭 인서트의 안정적 지지를 제공하도록 정중면에 위치결정된다. 카운터싱크된 허리는 (평평한) 접합면들을 여유면들로부터 분리하고 (평평한) 접합면들을 밀링하는 동안 마모로부터 보호하여서 그것들을 절삭 인서트의 날교환에 대해 온전하게 유지한다.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표면-와이핑 이차 절삭 에지는 상기 정중면에 대해 1 ~ 6 도의 범위 내의 평균 각도로, 또는 상기 정중면에 대해 2 ~ 5 도의 범위 내의 평균 각도로, 또는 상기 정중면에 대해 3.5 도의 평균 각도로 연장된다. 정중면에 대해 전술한 범위들 내, 또는 3.5 도의 평균 각도는 밀링 중 숄더 밀링 공구의 인서트 착좌부로 적절한 내향 힘 성분을 제공한다.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제 1 표면은 상기 주 절삭 에지에 인접한 경사진 주 레이크 면으로 변환되는 평평한 중심면을 포함하고, 전체 주 절삭 에지 및 경사진 주 레이크 면은 상기 평평한 중심면보다 상기 정중면으로부터 더 멀리 연장된다. 전체 주 절삭 에지 및 주 레이크 표면은 평평한 중심면보다 상기 정중면으로부터 더 멀리 연장되므로, 절삭 칩들은 주 절삭 에지를 따라 쉽게 형성된다. 절삭 칩들은 주 절삭 에지 및 주 레이크 표면으로부터 평평한 중심면을 향하여 아래로 유도될 것이다. 주 절삭 에지로부터 평평한 중심면을 향하여 이동하는 컬링된 칩들을 형성할 때 중심면에 대해 카운터싱크된 칩 브레이커들은 요구되지 않고 또는 실질적인 방향 변화도 요구되지 않고, 따라서, 주 절삭 에지로부터 칩 유동이 형성될 것이고 제 1 표면을 따라 실질적으로 방해받지 않고 유동할 것이다.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 1 표면은 상기 표면-와이핑 이차 절삭 에지에 인접한 경사진 이차 레이크 면으로 변환되는 평평한 중심면을 포함하고, 전체 표면-와이핑 이차 절삭 에지 및 경사진 이차 레이크 면은 상기 평평한 중심면보다 상기 정중면으로부터 더 멀리 배열된다. 이런 식으로, 표면-와이핑 이차 절삭 에지로부터 칩들을 형성하기 위한 실질적인 방향 변화들이 회피되고 칩 브레이커가 요구되지 않는다.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절삭 인서트는, 3 개의 추가 날교환 가능한 절삭 에지들이 상기 제 2 표면과 상기 둘레면 사이 교차점을 따라 연장되는 양면 절삭 인서트이다. 제 1 및 제 2 표면들 각각은 숄더 밀링 공구의 바닥 지지면에 대해 접하기 위한 평평한 중심면을 포함함다. 이런 식으로, 6 회 날교환 가능한 절삭 인서트는 숄더 밀링 공구의 인서트 착좌부에서 바닥 지지면에 대해 안전한/안정적인 지지를 위해 이롭게도 크고 평평한 중심면을 구비할 수도 있다.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정중면에 대한 거리가 상기 모서리 절삭 에지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감소하도록 상기 주 절삭 에지는 상기 정중면에 대해 경사져 있다. 주 절삭 에지의 이러한 양의 경사로 인해, 숄더 밀링 공구에서 절삭 인서트의 사용 중, 주 절삭 에지는 먼저 모서리 절삭 에지에 가장 가까운 가공물과 맞물린 후 인서트가 숄더 밀링 공구에 음의 축선 방향 레이크 각으로 장착될 때에도, 주 절삭 에지의 나머지 부분들로 점진적으로 들어갈 것이다. 따라서, 절삭 칩들은 모서리 절삭 에지로부터 양의 경사를 갖는 주 절삭 에지를 따라 거기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주 절삭 에지에 의해 가공물로부터 절삭되어서 원활한 절삭 작용을 제공한다. 그것은 또한 숄더 밀링 공구에서 이로운 축선 방향 칩 유동/배출을 제공한다.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주 절삭 에지는 상기 정중면에 대해 6 ~ 14 도의 범위 내의 평균 각도로, 또는 상기 정중면에 대해 9 ~ 11 도의 범위 내의 평균 각도로, 또는 상기 정중면에 대해 9.5 도의 각도로 연장된다. 정중면에 대해 전술한 범위들 내, 또는 9.5 도의 평균 각도는 숄더 밀링 공구에서 원활한 절삭 작용 및 축선 방향 칩 유동/배출을 위해 모서리 절삭 에지로부터 주 절삭 에지를 따라 그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주 절삭 에지의 적합한 점진적 맞물림을 제공한다.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주 절삭 에지를 따라 상기 여유면은 상기 정중면에 대해 83 ~ 87 도의 범위 내 예각으로 연장된다. 이런 식으로, 3 ~ 7 도의 범위 내 음의 공칭 여유각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숄더 밀링 공구의 인서트 착좌부에 배열된 안정적으로 지지된 절삭 인서트를 구비한 숄더 밀링 공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양태에 따르면, 상기 목적은 절삭 인서트를 수용하기 위한 인서트 착좌부를 구비하는 공구 보디를 포함하는 숄더 밀링 공구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숄더 밀링 공구는 상기 인서트 착좌부에 배열된 본원에서 논의되는 양태들 및/또는 실시형태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절삭 인서트를 포함한다.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인서트 착좌부는 바닥 지지면, 제 1 측면 지지면, 제 2 측면 지지면, 및 제 3 측면 지지면을 구비한다. 상기 인서트 착좌부는 상기 절삭 인서트의 주 절삭 에지를 노출하기 위한 반경 방향 개구 및 상기 절삭 인서트의 표면-와이핑 이차 절삭 에지를 노출하기 위한 축선 방향 개구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측면 지지면, 상기 제 2 측면 지지면, 및 상기 제 3 측면 지지면은 상기 바닥 지지면에 횡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측면 지지면들은 상기 축선 방향 개구에 대향한 인서트 착좌부의 제 1 단부에서 비활성 날교환 가능한 절삭 에지의 제 1 및 제 2 접합면들을 지지하도록 배열되고, 상기 제 3 측면 지지면은 상기 축선 방향 개구에 가까운 인서트 착좌부의 제 2 단부에서 다른 비활성 날교환 가능한 절삭 에지의 제 2 접합면을 지지하도록 배열된다. 상기 절삭 인서트는 상기 제 2 표면이 상기 바닥 지지면에 접한 상태로 배열된다. 이런 식으로, 절삭 인서트는 인서트 착좌부의 4 개의 상이한 지지면들에 의해 인서트 착좌부에서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인서트 착좌부는 상기 인서트 착좌부에 배열된 상기 절삭 인서트의 정중면에 대해 음의 축선 방향 레이크 각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이로써, 상기 인서트 착좌부는 1 ~ 11 도의 범위 내의, 또는 4 ~ 8 도의 범위 내의, 또는 6 도의 음의 축선 방향 레이크 각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음의 축선 방향 레이크 각은 절삭 인서트의 적합한 축선 방향 틸팅을 제공한다.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인서트 착좌부는 상기 인서트 착좌부에 배열된 상기 절삭 인서트의 정중면에 대해 음의 반경 방향 레이크 각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인서트 착좌부는 8 ~ 20 도의 범위 내의, 또는 11 ~ 17 도의 범위 내의, 또는 14 도의 음의 반경 방향 레이크 각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이런 식으로, 표면-와이핑 이차 절삭 에지에 작용하는 절삭력들의 하나의 힘 성분은 절삭 인서트를 인서트 착좌부로 밀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특징들 및 장점들은 첨부된 청구항들 및 하기 상세한 설명을 검토할 때 명백해질 것이다.
특정한 특징들 및 장점들을 포함한, 본 발명의 다양한 양태들은 하기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들에서 논의된 예시적 실시형태들로부터 쉽게 이해될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d 는 실시형태에 따른 절삭 인서트의 다양한 도면들을 도시한다.
도 2a 및 도 2b 는 도 1a 내지 도 1d 의 절삭 인서트의 두 도면들을 도시한다.
도 3 은 도 1a 내지 도 1d 의 절삭 인서트의 상면도를 도시한다.
도 3a 내지 도 3c 는 도 3 의 Ⅲa-Ⅲa, Ⅲb-Ⅲb, 및 Ⅲc-Ⅲc 선들을 따라 절삭 인서트를 관통한 3 개의 부분 단면도들을 도시한다.
도 4a 및 도 4b 는 실시형태에 따른 숄더 밀링 공구를 도시한다.
도 5a 는 도 4a 및 도 4b 의 숄더 밀링 공구의 인서트 착좌부를 도시한다.
도 5b 는 도 5a 에 도시된 인서트 착좌부에 고정된 절삭 인서트를 도시한다.
도 5c 는 도 5a 에서 Ⅴc - Ⅴc 선을 따라 숄더 밀링 공구를 관통한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5d 는 도 5a 에서 Ⅴd - Ⅴd 선을 따라 숄더 밀링 공구를 관통한 단면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양태들은 이하 보다 충분히 설명될 것이다. 동일한 도면 부호들은 전체에 걸쳐 동일한 요소들을 지칭한다. 간결성 및/또는 명료성을 위해 잘 알려진 기능들 또는 구성들은 반드시 상세히 설명되지는 않을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d 는 실시형태에 따른 절삭 인서트 (2) 의 다양한 도면들을 도시한다. 절삭 인서트 (2) 는 숄더 밀링 공구에서 사용하기 위해 구성된다. 하지만, 절삭 인서트 (2) 는 또한 플런지 밀링에 사용될 수도 있다. 절삭 인서트 (2) 는 양면형이고 6 회 날교환 가능하며, 즉 절삭 인서트 (2) 는 전부 6 개의 동일한 절삭 에지들을 포함하여서, 절삭 인서트 (2) 는 가공물을 밀링하기 위해 한 번에 하나의 활성 절삭 에지를 제공하도록, 숄더 밀링 공구에서 6 개의 상이한 날교환 위치들에 장착될 수 있다. 절삭 인서트 (2) 는 절삭 인서트를 숄더 밀링 공구에 나사 장착하기 위한 관통홀 (3) 을 포함하고, 상기 관통홀 (3) 은 절삭 인서트 (2) 를 통하여 중심에 연장된다.
절삭 인서트 (2) 는 바람직하게 초경 합금 재료로 제조되지만, 그것은 예컨대 세라믹, 입방정 질화 붕소, 다결정성 다이아몬드, 및/또는 서멧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재료로 제조될 수도 있다. 절삭 인서트 (2) 는 또한 바람직하게 예컨대 질화 티타늄, 탄질화 티타늄, 및/또는 산화 알루미늄과 같은 표면 코팅들로 코팅된다.
절삭 인서트 (2) 는 삼각형 형상 및 절삭 인서트 (2) 를 통하여 연장되는 가상 정중면 (4) 을 갖는다. 정중면 (4) 은 관통홀 (3) 의 중심 축선 (5) 에 수직으로 연장된다. 도 1d 는 정중면 (4) 을 따라, 인서트 (2) 를 관통한 단면도를 보여준다. 정중면 (4) 을 향한 도면에서 볼 때, 삼각형 형상은 3 개의 대략 90 도의 각도를 이루는 모서리들 (6) 및 대략 90 도의 각도를 이루는 모서리들 (6) 사이의 3 개의 대략 150 도의 각도를 이루는 모서리들 (8) 을 갖는다. 대략 60 도의 각도 (10) 는 2 개의 상이한 대략 90 도의 각도를 이루는 모서리들 (6) 의 변들 (12) 사이에 형성된다.
절삭 인서트의 실제 각도들은 제조 공차들로 인해 달라질 수도 있다. 일부 표면들은 절삭 인서트 제조의 프레싱 및 소결 작동들에서 형성되고, 다른 표면은 소결 작동 후 연삭된다. 따라서, 표면, 에지들 및/또는 평면들 사이 각도들은 다른 제조 공차들을 가질 수도 있다.
본원에서 다양한 각도들은 대략 어떤 수의 각도들로 논의된다. 실제로, 실제 절삭 인서트에서 어떤 수의 각도들은 절삭 인서트의 특정 실시형태의 특히 최종적으로 선택된 레이아웃에 의존할 수도 있다. 대략적인 각도는, 예컨대 +/- 5 도 또는 +/- 3 도와 같이, 정해진 수에서 몇 도 달라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상이한 양태들 및/또는 실시형태들의 장점들은 이러한 각도 범위들 내에서 제공된다. 그러므로, 전술한 대략 90 도 각도의 모서리들은 85 ~ 95 도의 범위 내 모서리 각도들을 포함할 수도 있고, 대략 150 도 각도의 모서리들은 145 ~ 155 도의 범위 내 모서리 각도들을 포함할 수도 있고, 대략 60 도의 각도들은 55 ~ 65 도의 범위 내 각도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인서트 (2) 는 제 1 표면 (14), 제 1 표면 (14) 에 대향한 제 2 표면 (16), 및 상기 제 1 표면 (14) 과 상기 제 2 표면 (16) 사이에 연장되는 둘레면 (18) 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및 제 2 표면들 (14, 16) 은 상기 정중면 (4) 의 대향 측들에서 연장된다. 정중면 (4) 은 제 1 및 제 2 표면들 (14, 16) 사이에서 중심에 연장되고 둘레면 (16) 과 교차한다. 달리 말하면, 정중면 (4) 은 인서트 (2) 의 중간에 연장되고 인서트 (2) 의 절반은 정중면 (4) 의 각 측에 있다.
관통홀 (3) 은 제 1 표면 (14) 으로부터 제 2 표면 (16) 으로 인서트를 통하여 연장된다. 삼각형 형상으로서 제 1 및 제 2 표면들 (14, 16) 각각은 도 1d 를 참조하여 위에서 논의된 정중면 (4) 의 삼각형 형상에 실질적으로 대응한다. 정중면 (4) 과 제 1 및 제 2 표면 (14, 16) 의 모서리들은 실질적으로 정렬된다.
절삭 에지 (20) 는 제 1 표면 (14) 과 둘레면 (18) 사이 교차점을 따라 연장된다. 절삭 에지 (20) 는, 제 1 표면 (14) 향한 도면에서 볼 때 (도 1b 참조), 인서트 (2) 의 모서리 (22) 를 따라 연장된다. 모서리 (22) 는 대략 90 도의 모서리이고 도 1d 에 나타낸 정중면 (4) 의 대략 90 도의 모서리들 (6) 중 하나에 배열된다. 도 1b 의 도면에서 본 모서리 (22) 는, 예컨대 0.8 ㎜, 1.2 ㎜ 또는 1.6 ㎜ 의 반경과 같은, 가공물에 표준 모서리 반경을 형성하기 위한 절삭 인서트 모서리 반경을 가질 수도 있다. 절삭 에지 (20) 는 3 개의 부분들; 주 절삭 에지 (24), 모서리 절삭 에지 (26), 및 표면-와이핑 이차 절삭 에지 (28) 를 포함한다. 주 절삭 에지 (24) 는 모서리 절삭 에지 (26) 에 인접해 있고, 모서리 절삭 에지 (26) 는 표면-와이핑 이차 절삭 에지 (28) 에 인접해 있다.
숄더 밀링 공구에 배열될 때, 주 절삭 에지 (24) 는 숄더 밀링 공구의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고 숄더 밀링 공구의 반경 방향으로 가공물을 절삭하기 위해 배열된다. 표면-와이핑 이차 절삭 에지 (28) 는 숄더 밀링 공구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고 숄더 밀링 공구의 축선 방향으로 가공물을 절삭하기 위해 구성된다. 숄더 밀링 중 대략 90° 숄더가 가공물에 밀링된다. 플런지 밀링 중, 밀링 공구의 축선 방향으로 가공물의 절삭이 수행된다. 숄더 밀링 작동에서, 주 절삭 에지 (24) 는 가공물에 주요 절삭 (major cut) 을 수행하고, 표면-와이핑 이차 절삭 에지 (28) 는 단지 얕은 표면 평활화 절삭만 수행한다. 플런지 밀링 중 표면-와이핑 이차 절삭 에지 (28) 는 숄더 밀링 작동시보다 숄더 밀링 공구의 축선 방향으로 가공물에 더 깊은 절삭을 수행한다. 플런지 밀링 중, 주 절삭 에지 (24) 는 또한 가공물에 상당한 절삭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2a 및 도 2b 는 도 1a 내지 도 1d 의 절삭 인서트의 도면들을 도시한다. 특히, 절삭 에지 (20) 는 절삭 인서트 (2) 의 2 개의 상이한 측에서 정중면 (4) 을 따라 나타나 있다.
정중면 (4) 에 대한 거리가 모서리 절삭 에지 (26) 를 향한 방향으로 감소하도록 표면-와이핑 이차 절삭 에지 (28) 는 정중면 (4) 에 대해 경사져 있다. 그러므로, 도 2a 에 도시된 대로, 모서리 절삭 에지 (26) 가까이에서, 표면-와이핑 이차 절삭 에지 (28) 와 정중면 (4) 사이 제 1 거리 (D1) 는 표면-와이핑 이차 절삭 에지 (28) 와 모서리 절삭 에지 (26) 로부터 더 멀리 떨어진 정중면 (4) 사이 제 2 거리 (D2) 보다 짧다. 표면-와이핑 이차 절삭 에지 (28) 의 이러한 경사로 인해, 숄더 밀링 공구에서 절삭 인서트 (2) 의 사용 중, 표면-와이핑 절삭 에지 (28) 에서 절삭력들은 숄더 밀링 공구의 인서트 착좌부로 안쪽으로 그리고 숄더 밀링 공구의 회전 축선을 향하여 반경 방향으로 유도되는 힘 성분을 포함한다. 이러한 힘 성분은 인서트 착좌부에 절삭 인서트 (2) 를 안정적으로 위치결정하는데 기여하고, 또한 이하 도 5b 가 참조된다.
도시된 실시형태에 따르면, 도 2a 에 나타낸 것처럼, 표면-와이핑 이차 절삭 에지 (28) 는 정중면 (4) 에 대해 1 ~ 6 도의 범위 내 평균 각도 (a) 로, 또는 정중면 (4) 에 대해 2 ~ 4 도의 범위 내 평균 각도 (a) 로, 또는 정중면 (4) 에 대해 3.5 도의 평균 각도 (a) 로 연장된다. 전술한 범위들 내 또는 정중면 (4) 에 대한 대략 3.5 도의 평균 각도 (a) 는 절삭 인서트 (2) 의 사용 중 인서트 착좌부로 안쪽으로 유도된 힘 성분을 제공한다. 평균 각도 (a) 는 정중면 (4) 및 모서리 절삭 에지 (26) 와 표면-와이핑 이차 절삭 에지 (28) 사이 교차점 (36) 과 모서리 절삭 에지 (26) 에 대향한 표면-와이핑 이차 절삭 에지 (28) 의 단부 (38) 사이에 연장되는 선 사이 각도에 의해 규정될 수도 있다. 표면-와이핑 이차 절삭 에지 (28) 는 약간 만곡될 수도 있다.
오직 예로서만 언급된 대로, 표면-와이핑 이차 절삭 에지 (28) 는 대략 1.3 ㎜ 의 길이를 가질 수도 있고 대략 330 ㎜ 의 반경으로 만곡될 수도 있고, 도 2a 의 도면에 나타나 있다. 표면-와이핑 이차 절삭 에지 (28) 의 접선과 정중면 (4) 사이 각도는 모서리 절삭 에지 (26) 가까이에서 3.6 도이고 모서리 절삭 에지 (26) 로부터 가장 먼 곳에서 3.4 도일 수도 있어서, 대략 3.5 도의 평균 각도 (a) 를 유발한다.
도 3 은 도 1a 내지 도 1d 의 절삭 인서트 (2) 의 부분 상면도를 도시한다. 도 3a 내지 도 3c 는 도 3 의 Ⅲa - Ⅲa, Ⅲb - Ⅲb 및 Ⅲc - Ⅲc 선들을 따라 절삭 인서트 (2) 를 관통한 3 개의 부분 단면도들을 도시한다. 도 3a 를 참조하면, 둘레면 (18) 은 주 절삭 에지 (24) 를 따라 연장되는 제 1 여유면 (50) 을 포함한다. 주 절삭 에지 (24) 를 따라 제 1 여유면 (50) 은 정중면 (4) 에 예각 (c) 으로 연장되어서, 주 절삭 에지 (24) 를 따라 여유면 (50) 은 음의 공칭 여유각 (α) 을 형성한다. 이런 식으로, 절삭 인서트 (2) 는 양의 공칭 여유각을 가지는 절삭 인서트보다 정중면 (4) 에서 더 넓다. 일부 실시형태들에 따르면, 절삭 인서트 (2) 는 주 절삭 에지 (24) 에서보다 정중면 (4) 에서 더 넓을 수도 있다. 둘레면 (18) 은 표면-와이핑 이차 절삭 에지 (28) 를 따라 연장되는 제 2 여유면 (50') 을 포함한다. 표면-와이핑 이차 절삭 에지 (24) 를 따라 제 2 여유면 (50') 은 정중면 (4) 에 대해 중립각으로 연장되어서, 제 2 여유면 (50') 은 0 도의 공칭 여유각을 형성한다. 공칭 여유각은 정중면 (4) 의 법선에 대해, 이와 같은 절삭 인서트 (2) 에서 측정된 여유면 (50, 50') 의 여유각이다. 절삭 인서트 (2) 가 숄더 밀링 공구에 고정될 때 기능적 여유각이 형성된다 (도 4a 및 도 4b 참조). 기능적 여유각은 항상 양의 값이고 숄더 밀링 공구의 작동 중 절삭 인서트의 여유면과 머시닝된 가공물 표면 사이 여유각을 구성한다.
둘레면 (18) 은 제 1 평평한 접합면 (90) 및 제 2 평평한 접합면 (90') 을 포함한다. 제 1 및 제 2 평평한 접합면들 (90, 90') 각각은 숄더 밀링 공구의 축선 방향 및/또는 반경 방향 측면 지지면에 접하도록 구성되고, 이하 도 5a 내지 도 5d 가 참조된다. 제 1 평평한 접합면 (90) 은 주 절삭 에지 (24) 로부터 떨어져 배열되고, 주 절삭 에지 (24) 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연장된다. 제 2 평평한 접합면 (90') 은 표면-와이핑 이차 절삭 에지 (28) 로부터 떨어져 표면-와이핑 이차 절삭 에지 (28) 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배열된다.
숄더 밀링 공구의 인서트 착좌부의 측면 지지면들은 정중면 (4) 의 영역에서 둘레면 (18) 의 평평한 접합면들 (90, 90') 에 접함으로써 절삭 인서트 (2) 를 축선 방향 및 반경 방향으로 지지할 것이다. 정중면 (4) 에서 비교적 넓은 절삭 인서트 (2) 및 정중면 (4) 에서 둘레면 (18) 에 배열되는 제 1 및 제 2 평평한 접합면들 (90, 90') 은, 절삭 인서트 (2) 가 숄더 밀링 공구의 인서트 착좌부에서, 제 1 및 제 2 평평한 접합면들 (90, 90') 에 접하게, 절삭 인서트 (2) 의 중심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지지되도록 보장한다. 따라서, 절삭 인서트 (2) 를 인서트 착좌부에 고정할 때 절삭력들 및 클램핑력들로부터 기인하는, 제 1 및 제 2 평평한 접합면들 (90, 90') 각각에 적용되는, 힘 모멘트, 즉 토크는 비교적 클 수도 있다. 이것은 차례로 인서트 착좌부에서 절삭 인서트 (2) 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데 기여한다.
유사하게, 주 절삭 에지 (24) 를 따라 여유면 (50) 은 정중면 (4) 에 예각 (c) 으로 연장되어서, 주 절삭 에지 (24) 를 따라 여유면 (50) 은 음의 공칭 여유각 (α) 을 형성하므로, 인접한 표면-와이핑 이차 절삭 에지 (28) 를 따라 둘레면 (18) 의 제 2 평평한 접합면 (90') 은 주 절삭 에지 (24) 와 표면-와이핑 이차 절삭 에지 (28) 사이에 개재된 모서리 절삭 에지 (26) 를 향한 연장부에서 정중면 (4) 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 더 길게 만들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제 2 평평한 접합면 (90') 은 또한 숄더 밀링 공구의 인서트 착좌부에서, 절삭 인서트 (2) 의 중심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지지된다. 그러므로, 또한 절삭 인서트 (2) 를 인서트 착좌부에 고정할 때 절삭력들 및 클램핑력들로부터 기인하는, 표면-와이핑 이차 절삭 에지 (28) 에 인접한 제 2 평평한 접합면 (90') 에 적용되는, 힘 모멘트, 즉 토크는 클 수도 있다. 다시, 이것은 차례로 인서트 착좌부에서 절삭 인서트 (2) 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데 기여한다.
둘레면 (18) 은 정중면 (4) 에 위치된 원주 방향 허리부 (92) 를 포함하고, 제 1 및 제 2 평평한 접합면들 (90, 90') 은 원주 방향 허리부 (92) 에 형성된다 (도 2b 참조). 원주 방향 허리부 (92) 는, 주 절삭 에지에서 그 대신 중립 또는 양의 공칭 여유각이 존재하는 절삭 인서트에서보다, 주 절삭 에지 (24) 의 음의 공칭 여유각으로 인해 적어도 주 절삭 에지 (24) 의 영역에서 절삭 인서트 (2) 의 중심으로부터 더 멀리 이격되어 위치결정된다. 더욱이, 잘 보호된 제 1 및 제 2 평평한 접합면들 (90, 90') 을 갖는 인서트 (2) 의 안정적 지지는 숄더 밀링 공구의 인서트 착좌부에 제공된다. 도 2a 및 도 2b 에서 제 1 및 제 2 접합면들 (90, 90') 의 예는 해칭들로 표시된다. 제 1 및 제 2 접합면들 (90, 90') 은 허리부 (92) 의 일부를 형성하고 실제로, 제 1 및 제 2 접합면들 (90, 90') 은 허리부 (92) 의 나머지와 구별되지 않을 수도 있다. 허리부 (92) 는, 제 1 평평한 접합면 (90) 의 영역에서, 카운터싱크되거나 정중면 (4) 에서 인서트에 리세스를 형성한다. 도시된 실시형태들에서, 카운터싱크된 허리부 (92) 는 또한 제 2 평평한 접합면 (90') 의 영역에서 정중면 (4) 에서 인서트에 리세스를 형성한다. 환언하면, 주 절삭 에지 (28) 를 따르는 제 1 및 제 2 평평한 접합면들 (90, 90') 및 표면-와이핑 이차 절삭 에지 (28) 는 제 1 및 제 2 여유면들 (50, 50') 양자에 대해 카운터싱크된다.
카운터싱크된 허리부 (92) 는, 절삭 인서트 (2) 의 사용 중 여유면들을 온전하게 유지하고 절삭 인서트를 새로운 위치로 인덱싱할 때 안정적 지지를 위태롭게 할 수도 있는 접합면들의 유해한 마모를 방지하도록 여유면들 (50, 50') 에 대해 분리/리세스가공된 평평한 접합면들 (90, 90') 을 제공한다 (또한, 도 5b 내지 도 5d 참조).
도시된 실시형태에 따르면, 주 절삭 에지 (24) 를 따라 여유면 (50) 은 정중면 (4) 에 대해 83 ~ 87 도의 범위 내 예각 (c) 으로 연장된다. 이런 식으로, 3 ~ 7 도의 범위 내 음의 공칭 여유각 (α) 이 제공된다. 보다 정확하게, 실시형태에 따르면, 주 절삭 에지 (24) 를 따라 음의 공칭 여유각 (α) 은 5 도이고, 즉 예각 (c) 은 전체 주 절삭 에지 (24) 를 따라 대략 85 도이다.
도 1a, 도 1b, 및 도 3 을 참조하면, 제 1 표면 (14) 은 주 절삭 에지 (24) 에 인접한 경사진 주 레이크 면 (40') 으로 변환하는 평평한 중심면 (44) 을 포함하고, 전체 주 절삭 에지 (24) 및 경사진 주 레이크 면 (40') 은 평평한 중심면 (44) 보다 정중면 (4) 으로부터 더 멀리 연장된다. 전체 주 절삭 에지 (24) 및 주 레이크 표면 (40') 은 평평한 중심면 (44) 보다 정중면 (4) 으로부터 더 멀리 연장되므로, 절삭 칩들은 주 절삭 에지 (24) 를 따라 쉽게 형성된다. 절삭 칩들은 주 절삭 에지 (24) 및 주 레이크 표면 (40') 으로부터 평평한 중심면 (44) 을 향해 아래로 유도될 것이다. 주 절삭 에지 (24) 로부터 평평한 중심면 (44) 을 향하여 이동하는 컬링된 칩들을 형성할 때 중심면에 대해 카운터싱크된 칩 브레이커들은 요구되지 않고 또는 실질적인 방향 변화도 요구되지 않고, 따라서, 주 절삭 에지 (24) 로부터 칩 유동이 형성되고 제 1 표면 (14) 을 따라 실질적으로 방해받지 않고 유동할 것이다. 칩 브레이커는 제 1 표면 (14) 에서 요구되지 않으므로, 평평한 중심면 (44) 은 제 1 표면 (14) 의 더 큰 부분을 형성할 수도 있다. 제 1 표면 (14) 이 숄더 밀링 공구의 인서트 착좌부를 향한 상태로 양면 절삭 인서트 (2) 를 뒤집어 놓을 때 평평한 중심면 (44) 의 적어도 일부분이 접합면을 형성한다. 그러므로, 예컨대 도 5a 내지 도 5c 를 참조하여 아래에서 논의된 대로, 평평한 중심면 (44) 이 숄더 밀링 공구의 인서트 착좌부에서 지지면에 접할 때, 인서트 착좌부에서 절삭 인서트 (2) 의 보다 안정적인 지지가 제공될 수도 있다. 적합하게, 평평한 중심면 (44) 의 반경 방향으로 외측부는 숄더 밀링 공구의 인서트 착좌부에서 바닥 지지면에 접하는 접합면을 형성한다.
도 3 내지 도 3c 를 참조하면, 제 1 표면 (14) 은 표면-와이핑 이차 절삭 에지 (28) 에 인접한 경사진 이차 레이크 면 (40") 으로 변환되는 평평한 중심면 (44) 을 포함하고, 전체 표면-와이핑 이차 절삭 에지 (28) 및 경사진 이차 레이크 면 (40") 은 평평한 중심면 (44) 보다 정중면 (4) 으로부터 더 멀리 떨어져 배열된다. 이런 식으로, 표면-와이핑 이차 절삭 에지 (28) 로부터 칩들을 형성하기 위한 실질적인 방향 변화들이 회피되고 칩 브레이커가 요구되지 않으며, 경사진 주 레이크 면 (40') 및 주 절삭 에지 (24) 의 배열에 대응하는 방식으로, 평평한 중심면 (44) 은 제 1 표면 (14) 의 상대적으로 더 큰 부분을 형성할 수도 있다.
평평한 중심면 (44) 은 정중면 (4) 과 평행하게 연장될 수도 있고, 또는 평평한 중심면 (44) 은 관통홀 (3) 을 향하여 약간 기울어질 수도 있고, 즉 평평한 중심면 (44) 의 주변에서 안정적 지지/접합을 보장 (즉, 나사 홀 둘레에서 불안정한 지지를 방지) 하도록 일반적으로 약간 오목한 또는 원추형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인서트 (2) 의 제조 중, 평평한 중심면 (44) 은 상승된 절삭 에지들 (20 ~ 20") 로 인해 연삭 작동을 부여받지 못할 수 있고 제조 공차들로 인해 엄격하게 평평한 표면들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불가피하게 포함할 것이다. 이러한 제조 공차들은 전형적으로 평평한 중심면 (44) 의 임의의 일반적인 오목한/원추형의 형상 뿐만 아니라, 평평한 중심면의 1 ㎠ 의 면적 내에서 보이는 0.2 ㎜ 변화를 초과하지 않는 불균등함을 유발할 것이다. 이러한 불균등함은, 절삭 인서트를 소결하기 전 절삭 인서트를 프레싱하기 위한 프레싱 공구를 보상하지 않는다면, 또한 관통홀 (3) 둘레에 약간 볼록한 형상을 유발할 수도 있는, 프레싱 및 가압을 포함한 절삭 인서트 (2) 의 제조 프로세스로부터 나온다.
도 1a 내지 도 1d 를 참조하면, 절삭 인서트 (2) 는 제 2 표면 (16) 과 둘레면 (18) 사이 교차점을 따라 연장되는 3 개의 추가 날교환 가능한 절삭 에지들 (20''', 20'''', 20V) 을 구비한 양면 절삭 인서트이다. 제 1 및 제 2 표면들 (14, 16) 각각은 숄더 밀링 공구의 바닥 지지면에 접하기 위한 평평한 중심면 (44) 을 포함하는데, 또한 이하 도 5a 내지 도 5c 가 참조된다. 도 1a 및 도 1b 에서는 단지 제 1 표면 (14) 의 평평한 중심면 (44) 만 도시된다. 제 2 표면 (16) 은 대응하는 평평한 중심면을 포함한다.
도 2b 를 참조하면, 정중면 (4) 에 대한 거리가 모서리 절삭 에지 (26) 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감소하도록 주 절삭 에지 (24) 는 정중면 (4) 에 대해 경사져 있다. 그러므로, 도 2b 에 도시된 대로, 모서리 절삭 에지 (26) 가까이에서, 주 절삭 에지 (24) 와 정중면 (4) 사이 제 3 거리 (D3) 는 모서리 절삭 에지 (26) 로부터 더 멀리 이격된 정중면 (4) 과 주 절삭 에지 (24) 사이 제 4 거리 (D4) 보다 더 길다. 주 절삭 에지 (24) 의 이러한 양의 경사로 인해, 주 절삭 에지 (24) 는 먼저 모서리 절삭 에지 (26) 에 가장 가까운 가공물과 맞물린 후 인서트 (2) 가 숄더 밀링 공구에 음의 축선 방향 레이크 각으로 장착될 때에도, 주 절삭 에지 (24) 의 나머지 부분들과 점진적으로 들어갈 수 있다. 따라서, 절삭 칩들은 모서리 절삭 에지 (26) 로부터 양의 경사를 갖는 주 절삭 에지 (24) 를 따라 거기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주 절삭 에지 (24) 에 의해 가공물로부터 절삭되어서 원활한 절삭 작용 및 (즉, 숄더 밀링 공구의 중심 회전 축선을 따른 방향으로) 축선 방향 칩 유동/배출을 제공한다.
도시된 실시형태에 따르면, 주 절삭 에지 (24) 는 정중면 (4) 에 대해 6 ~ 14 도의 범위 내의 평균 각도 (b) 로, 또는 정중면 (4) 에 대해 9 ~ 11 도의 범위 내의 평균 각도 (b) 로, 또는 정중면 (4) 에 대해 9.5 도의 각도 (b) 로 연장된다. 정중면 (4) 에 대해 전술한 범위들 내, 또는 대략 9.5 도의 평균 각도 (b) 는 모서리 절삭 에지 (26) 로부터 주 절삭 에지 (24) 를 따라 거기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주 절삭 에지 (2) 의 적합한 점진적 맞물림을 제공한다. 평균 각도 (b) 는 정중면 (4) 및 모서리 절삭 에지 (26) 와 주 절삭 에지 (24) 사이 교차점 (46) 과 모서리 절삭 에지 (26) 에 대향한 주 절삭 에지 (24) 의 단부 (48) 사이에 연장되는 선 사이 각도에 의해 규정될 수도 있다. 오직 예로서만 언급된 대로, 주 절삭 에지 (24) 의 접선과 정중면 (4) 사이 각도는 모서리 절삭 에지 (26) 가까이에서 대략 8 도이고 모서리 절삭 에지 (26) 로부터 가장 멀리 이격된 단부 (48) 에서 대략 12 도일 수도 있고, 평균 각도 (b) 는 이 경우에 9.5 도일 수도 있다.
절삭 인서트 (2) 는 전부 상기 제 1 표면 (14) 과 상기 둘레면 (18) 사이 교차점을 따라 연장되는 본원에 논의된 상기 절삭 에지 (20) 와 동일한 종류의 3 개의 절삭 에지들 (20. 20', 20") 뿐만 아니라 상기 제 2 표면 (16) 과 상기 둘레면 (18) 사이 교차점을 따라 또한 연장되는 상기 절삭 에지 (20) 와 동일한 종류의 3 개의 절삭 에지들 (20''', 20'''', 20V) 을 포함한다 (도 1a 및 도 1c 참조). 이런 식으로, 절삭 인서트 (2) 는 숄더 밀링 공구에서 6 번 날교환 가능하여서, 전체 절삭 인서트가 마모될 때까지 6 개의 절삭 에지들 (20 ~ 20V) 각각은 한 번에 하나씩 사용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 는 실시형태에 따른 숄더 밀링 공구 (60) 를 도시한다. 숄더 밀링 공구 (60) 는 전술한 절삭 인서트 (2) 를 수용하기 위해 인서트 착좌부 (64) 를 구비한 공구 보디 (62) 를 포함한다. 따라서, 숄더 밀링 공구 (60) 는 인서트 착좌부 (64) 에 배열된 절삭 인서트 (2) 를 포함한다. 절삭 인서트 (2) 는 절삭 인서트 (2) 의 관통홀 (3) 을 통하여 연장되는 나사 (66) 에 의해 인서트 착좌부 (64) 에서 공구 보디 (62) 에 고정된다. 나사 (66) 는 인서트 착좌부 (64) 에서 암나사 (67) 와 맞물린다. 절삭 인서트 (2) 를 숄더 밀링 공구 (60) 에 고정하는 다른 수단이 사용될 수도 있다.
숄더 밀링 공구 (60) 는 전형적으로 1 개보다 많은 절삭 인서트 (2) 를 구비한다. 이 실시형태에서 공구 보디 (62) 는 숄더 밀링 공구 (60) 의 6 개의 인서트 착좌부들 (64) 에 배열된 6 개의 절삭 인서트들 (2) 을 포함한다. 숄더 밀링 공구 (60) 는 화살표 (70) 로 표시된 방향으로 중심 회전 축선 (68) 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고, 절삭 인서트 (2) 는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주 절삭 에지 및 숄더 밀링 공구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표면-와이핑 이차 에지로 가공물을 절삭하기 위해 장착된다. 숄더 밀링 공구 (60) 는 또한 램핑 또는 플런지 밀링, 즉 밀링 공구 (60) 의 축선 방향으로 밀링에 사용될 수 있다. 오직 예로서만 언급된 대로, 숄더 밀링 공구 (60) 는 32 ~ 250 ㎜ 의 범위 내 직경을 가질 수도 있다. 분명히, 인서트 착좌부들 및 절삭 인서트들 (2) 의 개수는 예를 들어 숄더 밀링 공구의 직경 또는 밀링 공구의 작동 조건 (예컨대 안정성 조건들, 이용 가능 전력 및 가공물 재료) 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다.
도시된 실시형태에 따르면, 인서트 착좌부 (64) 는 인서트 착좌부 (64) 에 배열된 절삭 인서트 (2) 의 정중면 (4) 에 대해 음의 축선 방향 레이크 각 (γp) 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이로써, 인서트 착좌부 (64) 는 1 ~ 11 도의 범위 내, 또는 4 ~ 8 도의 범위 내, 또는 6 도의 음의 축선 방향 레이크 각 (γp) 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음의 축선 방향 레이크 각 (γp) 은 절삭 인서트 (2) 의 정중면 (4) 과 회전 축선 (68) (숄더 밀링 공구의 축선 방향) 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선 (72) 사이에서 측정된다.
실시형태에 따르면, 인서트 착좌부 (64) 는 또한 인서트 착좌부 (64) 에 배열된 절삭 인서트 (2) 의 정중면 (4) 에 대해 음의 반경 방향 레이크 각 (γf) 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인서트 착좌부 (64) 는 8 ~ 20 도의 범위 내, 또는 11 ~ 17 도의 범위 내, 또는 14 도의 범위 내 음의 반경 방향 레이크 각 (γf) 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음의 반경 방향 레이크 각 (γf) 은 절삭 인서트 (2) 의 정중면 (4) 과 회전 축선 (68) 으로부터 반경 방향 연장선 (74) (숄더 밀링 공구 (60) 의 반경 방향) 사이에서 측정된다. 도 3a 를 참조하여 위에서 논의된, 주 절삭 에지 (24) 의 공칭 음의 여유각 (α) 과 조합하여, 주 절삭 에지의 기능적 양의 여유각은 반경 방향 레이크 각 (γf) 에 의해 형성된다. 예를 들어, 대략 5 도의 예시된 음의 여유각 (α) 및 대략 14 도의 음의 반경 방향 레이크 각 (γf) 은 9 도의 주 절삭 에지의 기능적 여유각을 제공한다.
표면-와이핑 이차 절삭 에지 (28) 는, 예컨대 도 2a 를 참조하여 위에서 논의된 대로, 정중면 (4) 에 대해 경사져 있다. 인서트 착좌부 (64) 에 배열된 절삭 인서트 (2) 의 정중면 (4) 에 대한 음의 반경 방향 레이크 각 (γf) 은 반경 방향 연장선 (74) 에 대해 표면-와이핑 이차 절삭 에지 (28) 의 더 큰 경사를 제공한다. 14 도의 예시된 음의 반경 방향 레이크 각 (γf) 과 함께 정중면 (4) 에 대한 예시된 3.5 도의 경사는 반경 방향 연장선 (74) 에 대해 표면-와이핑 이차 절삭 에지 (28) 의 17.5 도의 경사를 제공한다. 17.5 도의 경사는, 표면-와이핑 이차 절삭 에지 (28) 에 작용하는 절삭력들의 하나의 힘 성분이 절삭 인서트 (2) 를 인서트 착좌부로 미는 것을 수반하고, 또한 이하 도 5a 내지 도 5c 가 참조된다.
도 5a 는 도 4a 및 도 4b 의 숄더 밀링 공구 (60) 의 인서트 착좌부 (64) 를 도시한다. 도 5b 는 도 5a 에 도시된 인서트 착좌부 (64) 에 고정된 절삭 인서트 (2) 를 도시한다. 도 5c 는 도 5a 에서 Ⅴc - Ⅴc 선을 따라 숄더 밀링 공구 (60) 를 관통한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5d 는 도 5a 에서 Ⅴd - Ⅴd 선을 따라 숄더 밀링 공구 (60) 를 관통한 단면도를 도시한다. 인서트 착좌부 (64) 는 바닥 지지면 (76), 제 1 측면 지지면 (78), 제 2 측면 지지면 (80), 및 제 3 측면 지지면 (82) 을 구비한다. 인서트 착좌부 (64) 는 절삭 인서트 (2) 의 주 절삭 에지 (24) 를 노출하기 위한 반경 방향 개구 (84), 및 절삭 인서트 (2) 의 표면-와이핑 이차 절삭 에지 (28) 를 노출하기 위한 축선 방향 개구 (86) 를 포함한다. 제 1 측면 지지면 (78), 제 2 측면 지지면 (80), 및 제 3 측면 지지면 (82) 은 바닥 지지면 (76) 에 대해 90 도의 각도로 연장된다. 측면 지지면들 (78, 80, 82) 은 대안적으로 단지 절삭 인서트의 정중면 위에 지지를 제공하도록 바닥 지지면 (76) 에 대해 예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측면 지지면들 (78, 80) 은 축선 방향 개구 (86) 에 대향한 인서트 착좌부 (64) 의 제 1 단부 (94) 에서 서로에 대해 대략 90 도의 각도로 배열되고, 제 3 측면 지지면 (82) 은 축선 방향 개구 (86) 에 가까운 인서트 착좌부 (64) 의 제 2 단부 (96) 에 배열된다. 제 1 측면 지지면 (78) 은 반경 방향 개구 (84) 로 향하고, 제 2 측면 지지면 (80) 은 반경 방향 개구 (84) 로부터 이격되게 향하고, 제 3 측면 지지면 (82) 은 반경 방향 개구 (84) 로 향한다. 절삭 인서트 (2) 는, 제 2 표면 (16) 의 제 2 평평한 중심면 (44) 이 바닥 지지면 (76) 에 접하고, 둘레면 (18) 의 각각의 부분들이 제 1 측면 지지면 (78), 제 2 측면 지지면 (80), 및 제 3 측면 지지면 (82) 에 접한 상태로 배열되고, 또한 도 1a 가 참조된다. 이런 식으로, 절삭 인서트 (2) 는 인서트 착좌부 (64) 의 4 개의 상이한 지지면들 (76, 78, 80, 82) 에 의해 인서트 착좌부 (64) 에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숄더 밀링 공구 (60) 의 사용 중, 제 1 및 제 2 측면 지지면들 (78, 80) 은 절삭 인서트 (2) 를 위한 축선 방향 지지면들을 형성하고, 제 1 및 제 3 측면 지지면들 (78, 82) 은 절삭 인서트 (2) 를 위한 반경 방향 지지면들을 형성하고, 바닥 지지면 (76) 은 절삭 인서트 (2) 를 위한 접선 지지면을 형성한다. 제 1 및 제 2 측면 지지면들 (78, 82) 은 또한 도 4a 에 도시된다. 바닥 지지면 (76) 은 도 5 에서 해치면으로 도시된다.
절삭 인서트 (2) 는 숄더 밀링 공구 (60) 의 인서트 착좌부 (64) 에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첫째, 주 여유면 (50) 의 음의 공칭 여유각 (α) 으로 인해, 이것은 카운터싱크된 허리 또는 정중면 (4) 에서 비교적 넓은 절삭 인서트, 즉 도 3a 를 참조하여 위에서 논의된 대로 주 여유면 (50) 이 중립 또는 양의 공칭 여유각을 가질 때보다 원주방향 카운터싱크된 허리부 (92) 에서 더 넓은 절삭 인서트를 제공한다. 따라서, 제 1 측면 지지면 (78) 은 절삭 인서트 (2) 의 중심으로부터 비교적 많이 떨어져 제 1 접합면 (90) 에 대해 절삭 에지들 (20') 중 하나의 주 절삭 에지 (24) 에서 둘레면 (18) 에 접하고, 제 2 및 제 3 측면 지지면들 (80, 82) 은 2 개의 절삭 에지들 (20', 20") 의 각각의 표면-와이핑 이차 절삭 에지들 (28) 에서 제 2 접합면 (90') 에 접하고, 특히 제 3 측면 접합면 (82) 은 절삭 인서트 (3) 의 중심으로부터 비교적 많이 떨어져 제 2 접합면 (90') 에 접할 수도 있다. 도 5c 및 도 5d 의 단면도들은 각각 제 1 측면 지지면 (78) 과 제 1 접합면 (90) 사이 접합들, 및 제 3 측면 지지면 (82) 과 제 2 접합면들 (90') 사이 접합을 보여준다. 제 2 측면 지지면 (80) 은 실질적으로 도 5d 의 도면에 대응하는 방식으로 다른 제 2 접합면 (90') 에 접한다. 둘째, 절삭 에지 (20) 아래에 평평한 중심면 (44) 을 제공하고 칩 브레이커가 없기 때문에, 도 1a 내지 도 1c 및 도 3 내지 도 3c 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비교적 큰 평평한 접합면은 인서트 착좌부 (64) 의 바닥 지지면 (76) 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하는, 평평한 중심면 (44) 에 의해 형성된다. 셋째, 제 1, 제 2, 및 제 3 측면 지지면들 (78, 80, 82) 이 절삭 인서트 (2) 의 둘레면 (18) 을 지지하는 배열로 인해, 절삭 인서트 (2) 는 숄더 밀링 공구 (60) 의 인서트 착좌부 (64) 에서 반경 방향 위치 및 축선 방향 위치에 단단히 위치결정된다. 넷째, 표면-와이핑 이차 절삭 에지 (28) 의 경사는 표면-와이핑 이차 절삭 에지 (28) 에서 절삭력들의 성분이 절삭 인서트 (2) 를 인서트 착좌부 (64) 로 밀게 한다. 도 5b 에서 화살표 (98) 는 인서트 착좌부로 미는 힘 성분을 표시한다.
절삭 인서트 (2) 의 6 개의 절삭 에지들 (20) 중에서 단 하나만 가공물과 절삭 맞물림되도록 배열된다. 이러한 절삭 맞물림을 위해 배열된 절삭 에지 (20) 는 활성 절삭 에지로서 지칭될 수도 있다. 그러므로, 반경 방향 개구 (84) 는 활성 주 절삭 에지 (24) 를 노출하고 축선 방향 개구 (86) 는 활성 표면-와이핑 이차 절삭 에지 (28) 를 노출한다. 물론, 활성 모서리 절삭 에지 (26) 는 또한 가공물에 대한 절삭 작용을 위해 노출된다. 제 1 표면 (14) 에서 다른 2 개의 절삭 에지들 (20', 20") 은 비활성 위치들에 배열된다. 전술한 대로, 다른 2 개의 절삭 에지들 (20', 20") 에서 둘레면 (18) 의 부분들은 제 1, 제 2, 및 제 3 측면 지지면들 (78, 80, 82) 에 접한다. 구체적으로, 비활성 절삭 에지 (20') 의 주 절삭 에지에서 제 1 접합면 (90) 은 제 1 측면 지지면 (78) 에 접하고 (도 5c 참조), 비활성 절삭 에지 (20') 의 표면-와이핑 이차 절삭 에지에서 제 2 접합면 (90') 은 제 2 측면 지지면 (80) 에 접한다. 비활성 절삭 에지 (20") 의 표면-와이핑 이차 절삭 에지에서 제 2 접합면 (90') 은 제 3 측면 지지면 (82) 에 접한다 (도 5d 참조).
전술한 내용은 다양한 예시적 실시형태들의 예시이고 본 발명은 단지 첨부된 청구항들에 의해서만 규정되는 것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예시적 실시형태들이 수정될 수도 있고, 첨부된 청구항들에 의해 규정된 대로,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원에 설명된 것들과 다른 실시형태들을 형성하도록, 예시적 실시형태들의 상이한 특징들이 조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Claims (13)

  1. 숄더 밀링 공구 (60) 용 절삭 인서트 (2) 로서,
    상기 절삭 인서트 (2) 는 삼각형 형상 및 상기 절삭 인서트 (2) 를 통하여 연장되는 정중면 (4) 을 가지고, 상기 절삭 인서트 (2) 는 제 1 표면 (14), 대향한 제 2 표면 (16), 및 상기 제 1 표면 (14) 과 상기 제 2 표면 (16) 사이에 연장되는 둘레면 (18) 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표면 (14) 및 상기 제 2 표면 (16) 은 상기 정중면 (4) 의 대향 측들에서 연장되고,
    상기 절삭 인서트 (2) 는 상기 제 1 표면 (14) 과 상기 둘레면 (18) 사이 교차점을 따라 연장되는 3 개의 날교환 가능한 절삭 에지들 (20, 20', 20") 을 포함하고, 각각의 날교환 가능한 절삭 에지 (20) 는, 상기 제 1 표면 (14) 을 향한 도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삼각형 형상의 절삭 인서트 (2) 의 모서리 (22) 를 따라 연장되고,
    각각의 날교환 가능한 절삭 에지 (20, 20', 20") 는 주 절삭 에지 (24), 모서리 절삭 에지 (26), 및 표면-와이핑 이차 절삭 에지 (28) 를 포함하고, 상기 주 절삭 에지 (24) 는 상기 모서리 절삭 에지 (26) 에 인접해 있고, 상기 모서리 절삭 에지 (26) 는 상기 표면-와이핑 이차 절삭 에지 (28) 에 인접해 있고,
    상기 정중면 (4) 에 대한 거리가 상기 모서리 절삭 에지 (26) 를 향한 방향으로 감소하도록 상기 표면-와이핑 이차 절삭 에지 (28) 가 상기 정중면 (4) 에 대해 경사져 있고,
    상기 둘레면 (18) 은 상기 주 절삭 에지 (24) 를 따라 연장되는 여유면 (50) 을 포함하고, 상기 주 절삭 에지 (24) 를 따라 상기 여유면 (50) 은 상기 정중면 (4) 에 대해 예각 (c) 으로 연장되어서, 상기 여유면 (50) 은 음의 공칭 여유각 (α) 을 형성하고,
    상기 둘레면 (18) 은 상기 숄더 밀링 공구 (60) 의 축선 방향 및/또는 반경 방향 지지면 (78) 에 접하도록 구성된 제 1 접합면 (90) 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접합면 (90) 은 상기 주 절삭 에지 (24) 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연장되고,
    상기 둘레면 (18) 은 상기 숄더 밀링 공구 (60) 의 축선 방향 및/또는 반경 방향 지지면 (80, 82) 에 접하도록 구성된 제 2 접합면 (90') 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접합면 (90') 은 상기 표면-와이핑 이차 절삭 에지 (28) 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 인서트 (2).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둘레면 (18) 은 상기 정중면 (4) 에 위치된 원주방향 카운터싱크된 허리부 (92) 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접합면 (90) 및 상기 제 2 접합면 (90') 은 상기 원주방향 카운터싱크된 허리부 (92) 에 형성되는, 절삭 인서트 (2).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와이핑 이차 절삭 에지 (28) 는 상기 정중면 (4) 에 대해 1 ~ 6 도의 범위 내의 평균 각도 (a) 로, 또는 상기 정중면 (4) 에 대해 2 ~ 5 도의 범위 내의 평균 각도 (a) 로, 또는 상기 정중면 (4) 에 대해 3.5 도의 각도 (a) 로 연장되는, 절삭 인서트 (2).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표면 (14) 은 상기 주 절삭 에지 (24) 에 인접한 경사진 주 레이크 면 (40') 으로 변환되는 평평한 중심면 (44) 을 포함하고, 전체 주 절삭 에지 (24) 및 경사진 주 레이크 면 (40') 은 상기 평평한 중심면 (44) 보다 상기 정중면 (4) 으로부터 더 멀리 연장되는, 절삭 인서트 (2).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평평한 중심면 (44) 은 상기 표면-와이핑 이차 절삭 에지 (28) 에 인접한 경사진 이차 레이크 면 (40") 으로 변환되고, 전체 표면-와이핑 이차 절삭 에지 (28) 및 경사진 이차 레이크 면 (40") 은 상기 평평한 중심면 (44) 보다 상기 정중면 (4) 으로부터 더 멀리 배열되는, 절삭 인서트 (2).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 인서트 (2) 는, 3 개의 추가 날교환 가능한 절삭 에지들 (20"', 20"", 20v) 이 상기 제 2 표면 (16) 과 상기 둘레면 (18) 사이 교차점을 따라 연장되는 양면 절삭 인서트 (2) 이고, 상기 제 1 표면 (14) 및 상기 제 2 표면 (16) 각각은 숄더 밀링 공구 (60) 의 바닥 지지면 (76) 에 대해 접하기 위한 평평한 중심면 (44) 을 포함하는, 절삭 인서트 (2).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중면 (4) 에 대한 거리가 상기 모서리 절삭 에지 (26) 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감소하도록 상기 주 절삭 에지 (24) 는 상기 정중면 (4) 에 대해 경사져 있는, 절삭 인서트 (2).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주 절삭 에지 (24) 는 상기 정중면 (4) 에 대해 6 ~ 14 도의 범위 내의 평균 각도 (b) 로, 또는 상기 정중면 (4) 에 대해 9 ~ 11 도의 범위 내의 평균 각도 (b) 로, 또는 상기 정중면 (4) 에 대해 9.5 도의 각도 (b) 로 연장되는, 절삭 인서트 (2).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 절삭 에지 (24) 를 따라 상기 여유면 (50) 은 상기 정중면 (4) 에 대해 83 ~ 87 도의 범위 내 예각 (c) 으로 연장되는, 절삭 인서트 (2).
  10. 숄더 밀링 공구 (60) 로서,
    절삭 인서트 (2) 를 수용하기 위한 인서트 착좌부 (64) 를 구비하는 공구 보디 (62) 를 포함하고,
    상기 숄더 밀링 공구 (60) 는 상기 인서트 착좌부 (64) 에 배열된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절삭 인서트 (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숄더 밀링 공구 (60).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 착좌부 (64) 는 바닥 지지면 (76), 제 1 측면 지지면 (78), 제 2 측면 지지면 (80), 및 제 3 측면 지지면 (82) 을 구비하고,
    상기 인서트 착좌부 (64) 는 상기 절삭 인서트 (2) 의 상기 주 절삭 에지 (24) 를 노출하기 위한 반경 방향 개구 (84) 및 상기 절삭 인서트 (2) 의 상기 표면-와이핑 이차 절삭 에지 (28) 를 노출하기 위한 축선 방향 개구 (86) 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측면 지지면 (78), 상기 제 2 측면 지지면 (80), 및 상기 제 3 측면 지지면 (82) 은 상기 바닥 지지면 (76) 에 횡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1 지지면 (78) 및 상기 제 2 측면 지지면 (80) 은 상기 축선 방향 개구 (86) 에 대향한 인서트 착좌부 (64) 의 제 1 단부 (94) 에서 비활성 날교환 가능한 절삭 에지 (20') 의 상기 제 1 접합면 (90) 및 상기 제 2 접합면 (90') 을 지지하도록 배열되고, 상기 제 3 측면 지지면 (82) 은 상기 축선 방향 개구 (86) 에 가까운 인서트 착좌부 (64) 의 제 2 단부 (96) 에서 다른 비활성 날교환 가능한 절삭 에지 (20") 의 상기 제 2 접합면 (90') 을 지지하도록 배열되고,
    상기 절삭 인서트 (2) 는 상기 제 2 표면 (16) 이 상기 바닥 지지면 (76) 에 접한 상태로 배열되는, 숄더 밀링 공구 (60).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 착좌부 (64) 는 상기 인서트 착좌부 (64) 에 배열된 상기 절삭 인서트 (2) 의 정중면 (4) 에 대해 음의 축선 방향 레이크 각 (γp) 을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인서트 착좌부 (64) 는 1 ~ 11 도의 범위 내의, 또는 4 ~ 8 도의 범위 내의, 또는 6 도의 음의 축선 방향 레이크 각 (γp) 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숄더 밀링 공구 (60).
  13. 제 10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 착좌부 (64) 는 상기 인서트 착좌부 (64) 에 배열된 상기 절삭 인서트 (2) 의 상기 정중면 (4) 에 대해 음의 반경 방향 레이크 각 (γf) 을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인서트 착좌부 (64) 는 8 ~ 20 도의 범위 내의, 또는 11 ~ 17 도의 범위 내의, 또는 14 도의 음의 반경 방향 레이크 각 (γf) 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숄더 밀링 공구 (60).
KR1020197017699A 2016-12-22 2017-11-10 절삭 인서트 및 숄더 밀링 공구 KR1023794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6206364.8 2016-12-22
EP16206364.8A EP3338927B1 (en) 2016-12-22 2016-12-22 Cutting insert and shoulder milling tool
PCT/EP2017/078855 WO2018114132A1 (en) 2016-12-22 2017-11-10 Cutting insert and shoulder milling too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0196A true KR20190100196A (ko) 2019-08-28
KR102379492B1 KR102379492B1 (ko) 2022-03-25

Family

ID=57614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7699A KR102379492B1 (ko) 2016-12-22 2017-11-10 절삭 인서트 및 숄더 밀링 공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229960B2 (ko)
EP (1) EP3338927B1 (ko)
JP (1) JP7101679B2 (ko)
KR (1) KR102379492B1 (ko)
CN (1) CN110035857B (ko)
WO (1) WO201811413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58678A (zh) * 2018-08-23 2019-01-08 赣州澳克泰工具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直角铣削加工的刀片及包含该刀片的刀具
JP2022046272A (ja) * 2020-09-10 2022-03-23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ワイパーインサートおよび刃先交換式フライスカッタ
JP6972513B1 (ja) * 2021-02-10 2021-11-24 株式会社タンガロイ 切削インサート
JP2023077654A (ja) * 2021-11-25 2023-06-06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切削インサート及び切削工具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32912A1 (en) * 2007-03-21 2008-09-25 Taegutec India P Ltd. Cutting Insert for a Milling Cutter
KR20150083034A (ko) * 2014-01-08 2015-07-16 산드빅 인터렉츄얼 프로퍼티 에이비 금속 절삭 인서트 및 밀링 공구
WO2015198812A1 (ja) * 2014-06-24 2015-12-30 住友電工ハードメタル株式会社 切削工具及び工具本体
EP2998053A1 (en) * 2014-09-22 2016-03-23 Iscar Ltd. Rotary cutting tool and reversible cutting insert having variable-width minor relief surfaces therefor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93392A (en) * 1975-04-10 1978-06-06 The Valeron Corporation Milling cutter
SE502084C2 (sv) 1993-04-05 1995-08-07 Sandvik Ab Skärplatta med konkavt krökta spånbrytare
US6336776B1 (en) * 1999-12-16 2002-01-08 Valenite Inc. Milling cutter and insert therefor
SE518715C2 (sv) 2001-01-26 2002-11-12 Seco Tools Ab Skär samt skärverktyg för spånavskiljande bearbetning
US6802676B2 (en) * 2001-03-02 2004-10-12 Valenite Llc Milling insert
JP3951766B2 (ja) 2002-03-20 2007-08-01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およびスローアウェイ式切削工具
IL169491A (en) 2005-06-30 2009-06-15 Carol Smilovici Cutting insert
SE529068C2 (sv) * 2005-09-28 2007-04-24 Seco Tools Ab Frässkär och fräsverktyg
BRPI0807914A2 (pt) 2007-04-26 2014-06-24 Taegu Tec India P Ltd Inserto de corte indexável de dupla extremidade, e, fresa.
US8708616B2 (en) * 2012-07-06 2014-04-29 Iscar, Ltd. Rotary cutting tool and reversible cutting insert therefor
AT14072U1 (de) * 2014-02-04 2015-04-15 Ceratizit Luxembourg S R L Doppelseitiger Frässchneideinsatz und Fräswerkzeug
JP5888656B2 (ja) 2014-06-02 2016-03-22 住友電工ハードメタル株式会社 切削インサートとフライスカッタ
US9468983B2 (en) * 2014-09-22 2016-10-18 Iscar, Ltd. Rotary cutting tool and reversible cutting insert having variable-width minor relief surfaces theref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32912A1 (en) * 2007-03-21 2008-09-25 Taegutec India P Ltd. Cutting Insert for a Milling Cutter
KR20150083034A (ko) * 2014-01-08 2015-07-16 산드빅 인터렉츄얼 프로퍼티 에이비 금속 절삭 인서트 및 밀링 공구
WO2015198812A1 (ja) * 2014-06-24 2015-12-30 住友電工ハードメタル株式会社 切削工具及び工具本体
EP2998053A1 (en) * 2014-09-22 2016-03-23 Iscar Ltd. Rotary cutting tool and reversible cutting insert having variable-width minor relief surfaces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229960B2 (en) 2022-01-25
WO2018114132A1 (en) 2018-06-28
EP3338927A1 (en) 2018-06-27
EP3338927B1 (en) 2023-07-26
CN110035857A (zh) 2019-07-19
JP2020501927A (ja) 2020-01-23
JP7101679B2 (ja) 2022-07-15
US20210129238A1 (en) 2021-05-06
KR102379492B1 (ko) 2022-03-25
CN110035857B (zh) 2021-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98311B2 (ja) 転削インサート
KR101292441B1 (ko) 접선식 절삭 삽입체
CA2877602C (en) Rotary cutting tool and reversible cutting insert therefor
KR101547698B1 (ko) 밀링 인서트
EP2794160B2 (en) Cutting insert and cutting tool
CN110035856B (zh) 切削刀片和肩铣刀具
US8529168B2 (en) Cutting insert with a wiper edge
CN102029422B (zh) 用于去屑加工的铣削刀具的垫板及具有这种垫板的铣削刀具
WO2013051449A1 (ja) 切削インサートおよび刃先交換式切削工具
KR20190100196A (ko) 절삭 인서트 및 숄더 밀링 공구
WO2010147065A1 (ja) 切削用インサートおよび刃先交換式正面フライス
JP6361948B2 (ja) 切削インサートおよび切削工具
JP2014083667A (ja) 切削インサートおよび刃先交換式切削工具
JP2007260788A (ja) 切削インサート及び切削工具
KR102382898B1 (ko) 절삭 인서트 및 숄더 밀링 공구
KR20200090196A (ko) 단일면 4 방향 인덱서블 포지티브 커팅 인서트 및 인서트 밀
WO2015012232A1 (ja) 切削インサートおよび切削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