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9299A - 서버의 제어 방법, 서버, 및 서버의 제어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서버의 제어 방법, 서버, 및 서버의 제어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9299A
KR20190099299A KR1020197021812A KR20197021812A KR20190099299A KR 20190099299 A KR20190099299 A KR 20190099299A KR 1020197021812 A KR1020197021812 A KR 1020197021812A KR 20197021812 A KR20197021812 A KR 20197021812A KR 20190099299 A KR20190099299 A KR 201900992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
category
language
notation
belon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1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또시 오히사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구루나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구루나비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구루나비
Publication of KR201900992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92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40Processing or translation of natural language
    • G06F40/58Use of machine translation, e.g. for multi-lingual retrieval, for server-side translation for client devices or for real-time trans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40Processing or translation of natural language
    • G06F17/2809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2Hotels or restaura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Machine Translation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Abstract

복수의 카테고리마다, 각 카테고리에 속하는 복수 용어의 제1 언어로의 표기와 제2 언어로의 표기를 관련짓는 제1 마스터와, 기간 카테고리에 속하는 복수의 용어와, 각 용어를 포함하는 명칭을 제2 언어로 표기하는 경우의 용어의 나열순을 규정하는 템플릿을 관련짓는 제2 마스터를 기억하는 기억부, 및 단말과 접속 가능한 서버를, 용어를 제1 언어에 의하여 단말의 유저에게 선택시키기 위한 선택 데이터를 단말에 송신하고, 선택된 용어를 단말로부터 수신하며, 선택된 기간 카테고리에 속하는 용어에 관련지어진 템플릿을 특정하고, 특정된 템플릿에서 규정된 나열순으로 선택된 용어의 제2 언어로의 표기를 나열함으로써, 선택된 용어를 포함하는 명칭의 제2 언어로의 표기를 생성하며, 생성한 명칭의 제2 언어로의 표기를 단말에 송신하도록 제어한다.

Description

서버의 제어 방법, 서버, 및 서버의 제어 프로그램
본 개시는, 기억부 및 유저 단말과 접속 가능한 서버의 제어 방법, 서버, 및 서버의 제어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네트워크상에서 음식점 정보를 수집하는 외국인 여행자를 대상으로, 음식점이 자기 점포에 있어서의 메뉴를 외국어로 제공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이로 인하여, 외국어로의 메뉴 명칭을 용이하게 생성 가능하게 하는 메뉴 생성 시스템이 이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장르·식자재·조미료를 선택함으로써 메뉴를 지정하고, 지정된 장르·식자재·조미료에 대응하는 외국어 명칭을 조합함으로써, 외국어로 표기된 메뉴 속성을 제공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또, 특허문헌 2에는, 소정 요리에 대하여 식자재, 조리 방법, 양념과 같은 요소의 입력을 접수하여, 기초 언어의 문법에 근거하여 기초 언어의 메뉴를 작성하고, 요소 단위로 기초 언어로부터 타언어의 표현 형태로 변환하며, 타언어의 문법에 근거하여 타언어의 메뉴를 작성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7-182355호 특허문헌 2: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5-194857호
고객의 기호의 다양화에 대응하여 요리 메뉴는 나날이 변화하고 있으며, 새로운 메뉴에 대응하는 외국어 명칭을 제공하는 것은, 외국인 여행자 대상의 서비스를 충실하게 하기 위하여 중요하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메뉴 생성 시스템에 의하면, 조리 방법·식자재·조미료에 대응하는 설명을 외국어로 표기하고 그 메뉴의 속성을 표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러나, 각 속성의 표시 순서가 고정되면, 일반적인 표시 순서와 다른 경우가 있어, 외국인에게 위화감을 줄 가능성이 있다.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하면, 식자재, 조리 방법, 양념과 같은 요소에 대하여, 각 언어의 문법에 근거하여, 각 언어의 메뉴가 작성된다. 그러나 특허문헌 2에는, 문법에 근거하여 어떠한 순서로 각 요소를 나열하는지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개시되어 있지 않아, 외국인에게 통하지 않는 메뉴가 작성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개시는 적절한 어순으로 외국어의 명칭을 생성하는 것이 가능한 서버의 제어 방법, 서버, 및 서버의 제어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에 관한 서버의 제어 방법은, 기억부 및 단말과 접속 가능한 서버의 제어 방법이며, 기억부에는, 복수의 카테고리마다, 각 카테고리에 속하는 복수 용어 각각의 제1 언어로의 표기와 제2 언어로의 표기를 관련짓는 제1 마스터와, 복수의 카테고리 중 기간(基幹) 카테고리에 속하는 복수의 용어와, 각 용어를 포함하는 명칭을 제2 언어로 표기하는 경우의 명칭에 포함되는 각 카테고리에 각각 속하는 용어의 나열순을 규정하는 템플릿을 관련짓는 제2 마스터가 기억되고, 서버가, 기간 카테고리에 속하는 용어 및 기간 카테고리 이외의 카테고리에 속하는 용어를 제1 언어에 의하여 단말의 유저에게 선택시키기 위한 선택 데이터를 단말에 송신하며, 선택된 기간 카테고리에 속하는 용어 및 기간 카테고리 이외의 카테고리에 속하는 용어를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제2 마스터에 있어서, 선택된 기간 카테고리에 속하는 용어에 관련지어진 템플릿을 특정하며, 특정된 템플릿에서 규정된 나열순으로, 제1 마스터로부터 취득되는 선택된 용어의 제2 언어로의 표기를 나열함으로써, 선택된 용어를 포함하는 명칭의 제2 언어로의 표기를 생성하고, 생성한 명칭의 제2 언어로의 표기를 단말에 송신한다.
또, 본 개시에 관한 서버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제1 마스터는, 각 카테고리에 속하는 복수 용어 각각의 제1 언어로의 표기에 제3 언어로의 표기를 더 관련짓고 있고, 제2 마스터는, 기간 카테고리에 속하는 복수의 각 용어와 제3 언어에 있어서의 템플릿을 더 관련짓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개시에 관한 서버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유저의 지시에 따라, 생성한 명칭의 제2 언어로의 표기를, 어느 하나의 카테고리에 속하는 용어로서 제1 마스터에 새롭게 기억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개시에 관한 서버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기억부에는, 복수의 카테고리 중 기간 카테고리 이외의 카테고리에 속하는 각 용어와, 각 용어를 포함하는 부분 명칭을 제2 언어로 표기하는 경우의 부분 명칭에 포함되는 각 카테고리에 각각 속하는 용어의 나열순을 규정하는 서브 템플릿을 관련짓는 제3 마스터가 더 기억되고, 서버가, 특정에 있어서, 제3 마스터에 있어서, 선택된 기간 카테고리 이외의 카테고리에 속하는 용어에 관련지어진 서브 템플릿을 특정하며, 특정된 서브 템플릿에서 규정된 나열순으로 선택된 용어 중 서브 템플릿에서 규정된 용어의 제2 언어로의 표기를 나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개시에 관한 서버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제2 마스터에 있어서, 특정의 용어에는, 상위 용어가 관련지어져 있고, 특정에 있어서, 선택된 용어에 템플릿이 관련지어져 있지 않을 때, 선택된 용어에 관련지어진 상위 용어에 관련지어진 템플릿을, 선택된 용어에 관련지어진 템플릿으로서 특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개시에 관한 서버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제1 마스터 또는 제2 마스터에 있어서, 용어마다, 각 용어와 함께 선택 가능한, 다른 카테고리에 속하는 용어가 관련지어져 있고, 서버는, 선택 데이터에 있어서, 선택된 용어와 함께 선택 가능한 용어 이외의 용어의 선택을 금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개시에 관한 서버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기간 카테고리는 조리 방법이고, 기간 카테고리 이외의 카테고리는 식자재 또는 조미료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개시에 관한 서버는, 기억부 및 단말과 접속 가능한 서버이며, 기억부에는, 복수의 카테고리마다, 각 카테고리에 속하는 복수 용어 각각의 제1 언어로의 표기와 제2 언어로의 표기를 관련짓는 제1 마스터와, 복수의 카테고리 중 기간 카테고리에 속하는 복수의 용어와, 각 용어를 포함하는 명칭을 제2 언어로 표기하는 경우의 명칭에 포함되는 각 카테고리에 각각 속하는 용어의 나열순을 규정하는 템플릿을 관련짓는 제2 마스터가 기억되고, 기간 카테고리에 속하는 용어 및 기간 카테고리 이외의 카테고리에 속하는 용어를 제1 언어에 의하여 단말의 유저에게 선택시키기 위한 선택 데이터를 단말에 송신하는 선택 데이터 송신부와, 선택된 기간 카테고리에 속하는 용어 및 기간 카테고리 이외의 카테고리에 속하는 용어를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와, 제2 마스터에 있어서, 선택된 기간 카테고리에 속하는 용어에 관련지어진 템플릿을 특정하는 템플릿 특정부와, 특정된 템플릿에서 규정된 나열순으로, 제1 마스터로부터 취득되는 선택된 용어의 제2 언어로의 표기를 나열함으로써, 선택된 용어를 포함하는 명칭의 제2 언어로의 표기를 생성하는 표기 생성부와, 생성된 명칭의 제2 언어로의 표기를 단말에 송신하는 표기 송신부를 구비한다.
본 개시에 관한 서버의 제어 프로그램은, 기억부 및 단말과 접속 가능한 서버의 제어 프로그램이며, 기억부에는, 복수의 카테고리마다, 각 카테고리에 속하는 복수 용어 각각의 제1 언어로의 표기와 제2 언어로의 표기를 관련짓는 제1 마스터와, 복수의 카테고리 중 기간 카테고리에 속하는 복수의 각 용어와, 각 용어를 포함하는 명칭을 제2 언어로 표기하는 경우의 명칭에 포함되는 각 카테고리에 각각 속하는 용어의 나열순을 규정하는 템플릿을 관련짓는 제2 마스터가 기억되고, 서버에, 기간 카테고리에 속하는 용어 및 기간 카테고리 이외의 카테고리에 속하는 용어를 제1 언어에 의하여 단말의 유저에게 선택시키기 위한 선택 데이터를 상기 단말에 송신하며, 선택된 기간 카테고리에 속하는 용어 및 기간 카테고리 이외의 카테고리에 속하는 용어를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제2 마스터에 있어서, 선택된 기간 카테고리에 속하는 용어에 관련지어진 템플릿을 특정하며, 특정된 템플릿에서 규정된 나열순으로, 제1 마스터로부터 취득되는 선택된 용어의 제2 언어로의 표기를 나열함으로써, 선택된 용어를 포함하는 명칭의 제2 언어로의 표기를 생성하고, 생성한 명칭의 제2 언어로의 표기를 단말에 송신시킨다.
본 개시에 관한 서버의 제어 방법, 서버, 및 서버의 제어 프로그램에 의하면, 적절한 어순으로 외국어의 명칭을 생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정보 제공 시스템(1)의 동작의 개요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는 정보 제공 시스템(1)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은 서버(2)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는 스토리지 장치(3)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5는 조리 방법에 대응하는 제1 마스터의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6은 식자재에 대응하는 제1 마스터의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7은 식자재 수식어에 대응하는 제1 마스터의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8은 조리 방법에 대응하는 제2 마스터의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9는 식자재에 대응하는 제3 마스터의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0은 단말(4)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1은 용어 입력 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2에 있어서 (a)는 조리 방법에 대응하는 용어 선택 리스트의 예를 나타내는 도이며, (b)는 식자재에 대응하는 용어 선택 리스트의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3에 있어서 (a)는 식자재 수식어 입력 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이며, (b)는 산지에 대응하는 식자재 수식어 선택 리스트의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4는 용어 선택 후의 용어 입력 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5는 생성 용어 표시 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6은 정보 제공 시스템(1)의 동작 시퀀스도이다.
도 17은 제2 언어 표기 생성 처리의 플로차트이다.
도 18은 수식어 추가 처리의 플로차트이다.
도 19은 제2 언어 표기 등록 처리의 플로차트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서버의 제어 방법, 서버 및 서버의 제어 프로그램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본 개시는 도면 또는 이하에 기재되는 실시형태에는 한정되지 않는 것을 이해하기 바란다.
본 개시에 관한 서버를 포함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은, 음식점의 오너 또는 종업원 등의 음식점 관계자에 의하여 선택된 용어를 포함하는 명칭에 대응하는 외국어 메뉴를 생성한다.
도 1은, 정보 제공 시스템의 동작의 개요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정보 제공 시스템(1)은, 조리 방법 및 식자재에 대응하는 제1 마스터를 기억한다. 본 개시에 있어서, 마스터란, 정보 제공 시스템(1)에 있어서의 처리에 사용되는 데이터를 집약하고 관리하는, 데이터군, 표 또는 데이터 베이스이다. 마스터에 있어서의 데이터의 관리는, RDBMS(Relational Data Base Management System)에 의하여 행해져도 되고, 단일 파일에 의하여 행해져도 된다.
조리 방법에 대응하는 제1 마스터는, 조리 방법의 카테고리에 속하는 용어의 각국어로의 표기를 관련지어 기억하고 있다. 식자재에 대응하는 제1 마스터는, 식자재의 카테고리에 속하는 용어의 각국어로의 표기를 관련지어 기억하고 있다.
정보 제공 시스템(1)은, 조리 방법에 대응하는 제2 마스터를 기억한다. 제2 마스터는, 조리 방법의 카테고리에 속하는 용어와 템플릿을 관련지어 기억하고 있다. 템플릿이란, 조리 방법의 카테고리에 속하는 용어를 포함하는 메뉴를 표기하는 경우의 용어의 나열순을 규정하는 정보이다.
도 1의 예에서는, 용어 "꼬치 구이(일본어:
Figure pct00001
)"에 관련지어져 있는 템플릿 "grilled [식자재] skewer"는, 카테고리 "조리 방법"에 속하는 용어 "꼬치 구이"가 카테고리 "식자재"에 속하는 용어와 함께 선택되었을 때에, 카테고리 "식자재"에 속하는 용어의 영어에 의한 표기가 "[식자재]"의 위치에 배치되어야 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1의 예에 있어서의 카테고리 "조리 방법"과 같이, 제2 마스터에 있어서 템플릿과 관련지어져 있는 카테고리를 "기간 카테고리"라고 한다.
정보 제공 시스템(1)은, 유저가 사용하는 단말로부터, 선택 데이터에 의하여, 번역의 대상이 되는 메뉴에 포함되는 용어의 지정을 접수한다. 선택 데이터란, 유저에게 메뉴에 포함되는 용어를 제1 언어로 선택시키는 화면을, 유저가 사용하는 단말에 표시시키기 위한 데이터이다. 유저는, 선택 데이터에 의하여 표시되는 용어 입력 화면을 이용하여, 번역 대상이 되는 메뉴에 포함되는 용어를 선택한다. 도 1의 예에서는, 일본어의 용어 "꼬치 구이"와 "와규(일본어:
Figure pct00002
)"가 용어로서 선택되어 있다.
정보 제공 시스템(1)은, 선택된 용어 중 기간 카테고리에 속하는 용어에 근거하여 제2 마스터로부터 템플릿을 특정한다. 그리고, 정보 제공 시스템(1)은, 특정한 템플릿에서 규정된 나열순으로, 선택된 용어의, 제2 언어로의 표기를 나열함으로써, 제2 언어 메뉴를 생성하여, 유저에게 제공한다. 도 1의 예에서는, 영어 메뉴로서 "grilled Wagyu beef skewer"가 생성되어 있다.
이로써, 정보 제공 시스템(1)은, 적절한 어순으로 외국어의 명칭을 생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하에서는, 제1 언어가 일본어, 제2 언어가 영어, 제3 언어가 중국어(간체자)인 예를 설명하지만, 제1 언어, 제2 언어, 및 제3 언어는 다른 언어여도 된다.
도 2는, 정보 제공 시스템(1)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정보 제공 시스템(1)에 있어서, 서버(2)는, 스토리지 장치(3)와 접속되고, 단말(4)과 네트워크(5)를 통하여 접속된다.
네트워크(5)는, 서버(2)와 단말(4)을 통신 가능하게 접속한다. 네트워크(5)는, 예를 들면 TCP/IP(Transport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에 의한 통신이 행해지는 인터넷이며, 네트워크(5)에 의하여 통신하는 기기는, 유선 또는 무선에 의하여 접속된다. 무선에 의한 접속은, 예를 들면 IEEE(The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ac 등의 무선 LAN(Local Area Network) 접속이어도 되고, 또, 4G(4th Generation) 회선 등의 무선 WAN(Wide Area Network) 접속이어도 된다.
도 3은, 서버(2)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서버(2)는, 스토리지 장치(3) 및 단말(4)과 접속하여, 명칭의 제2 언어로의 표기를 생성한다. 이로 인하여, 서버(2)는, 서버 통신부(21)와, 서버 기억부(22)와, 서버 처리부(23)를 구비한다.
서버 통신부(21)는, 서버(2)를 네트워크(5)에 접속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 회로를 갖는다. 서버 통신부(21)는, 단말(4)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서버 처리부(23)에 공급한다. 또, 서버 통신부(21)는, 서버 처리부(23)로부터 공급된 데이터를 단말(4) 등에 송신한다.
서버 기억부(22)는, 예를 들면 반도체 메모리, 자기 디스크 장치 및 광디스크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다. 서버 기억부(22)는, 서버 처리부(23)에 의한 처리에 이용되는 드라이버 프로그램, 오퍼레이팅 시스템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데이터 등을 기억한다. 예를 들면, 서버 기억부(22)는, 드라이버 프로그램으로서, 서버 통신부(21)를 제어하는 통신 디바이스 드라이버 프로그램 등을 기억한다. 각종 프로그램은, 예를 들면 CD-ROM(Compact Disc Read-Only Memory), DVD-ROM(DVD Read-Only Memory) 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가반형 기록 매체로부터, 공지의 셋업 프로그램 등을 이용하여 서버 기억부(22)에 인스톨되어도 된다.
서버 처리부(23)는, 1 이상 프로세서 및 그 주변 회로를 구비한다. 서버 처리부(23)는, 서버(2)의 전체적인 동작을 통괄적으로 제어하는 것이며, 예를 들면 CPU(Central Processing Unit)이다. 서버 처리부(23)는, 서버(2)의 각종 처리가 서버 기억부(22)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 등에 근거하여 적절한 수단으로 실행되도록, 서버 통신부(21) 등의 동작을 제어한다. 서버 처리부(23)는, 서버 기억부(22)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오퍼레이팅 시스템 프로그램, 드라이버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에 근거하여 처리를 실행한다. 또, 서버 처리부(23)는, 복수의 프로그램(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을 병렬로 실행할 수 있다.
서버 처리부(23)는, 선택 데이터 송신부(231)와, 수신부(232)와, 템플릿 특정부(233)와, 표기 생성부(234)와, 표기 송신부(235)와, 표기 기억부(236)를 갖는다. 서버 처리부(23)가 갖는 이들 각부는, 서버 처리부(23)가 갖는 프로세서상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에 의하여 실현되는 기능 모듈이다. 혹은, 서버 처리부(23)가 갖는 이들 각부는, 독립적인 집적 회로, 마이크로 프로세서, 또는 펌웨어로서 서버(2)에 실장되어도 된다.
도 4는, 스토리지 장치(3)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스토리지 장치(3)는, 본 개시에 있어서의 기억부의 일례이다. 스토리지 장치(3)는, 입력된 데이터를 기억하고, 기억한 데이터를 요구에 따라 출력한다. 이로 인하여, 스토리지 장치(3)는, 스토리지 통신부(31)와, 스토리지 기억부(32)와, 스토리지 처리부(33)를 구비한다.
스토리지 통신부(31)는, 스토리지 장치(3)를 서버(2)에 접속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 회로를 갖는다. 스토리지 통신부(31)는, 서버(2)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스토리지 처리부(33)에 공급한다. 또, 스토리지 통신부(31)는, 스토리지 처리부(33)로부터 공급된 데이터를 서버(2)에 송신한다.
스토리지 기억부(32)는, 예를 들면 반도체 메모리, 자기 디스크 장치 및 광디스크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다. 스토리지 기억부(32)는, 서버(2)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등을 기억한다.
스토리지 처리부(33)는, 1 이상의 프로세서 및 그 주변 회로를 구비한다. 스토리지 처리부(33)는, 스토리지 장치(3)의 전체적인 동작을 통괄적으로 제어하는 것이며, 예를 들면 CPU(Central Processing Unit)이다. 스토리지 처리부(33)는, 스토리지 통신부(31) 및 스토리지 기억부(32)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스토리지 장치(3)는, 스토리지 통신부(31) 및 스토리지 처리부(33)를 갖고있지 않아도 된다. 이 경우, 스토리지 장치(3)의 스토리지 기억부(32)가 서버(2)에 직접 접속되어, 스토리지 기억부(32)는 서버(2)의 서버 처리부(23)에 의하여 제어된다.
스토리지 장치(3)는, 명칭에 포함되는 복수의 용어를, 각각의 용어에 공통되는 속성인 카테고리마다, 도 5~도 9에 예시하는 제1 마스터~제3 마스터에 기억하고, 서버(2)에 제공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처리의 대상이 되는 명칭은 요리의 메뉴명이며, 카테고리는 "조리 방법" "식자재" "산지" "부위" "랭크"이다. 요리의 메뉴명에 포함되는 용어의 카테고리는, 상기 이외에 "조미료" "토핑" "양념" "형상" 등이 포함되어도 된다. 또, 명칭은 요리의 메뉴명에 한정되지 않고, 요리의 메뉴명 이외의 명칭을 처리의 대상으로 하는 경우, 그 명칭에 포함되는 용어의 카테고리는 본 실시형태의 예와는 다르다.
도 5는, 조리 방법에 대응하는 제1 마스터의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조리 방법에 대응하는 제1 마스터에는, 조리 방법에 속하는 용어 각각의 제1 언어, 제2 언어 및 제3 언어로의 표기가, 식별자에 관련지어 기억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조리 방법에 대응하는 제1 마스터에는, 카테고리 "조리 방법"에 속하는 일본어의 용어 "직화 구이(일본어:
Figure pct00003
)" "숯불 구이(일본어:
Figure pct00004
)" "꼬치 구이" "덮밥(일본어:
Figure pct00005
)"과, 이들에 대응하는 영어 및 중국어(간체자)의 표기가, 각각의 식별자에 관련지어 기억되어 있다.
도 6은, 식자재에 대응하는 제1 마스터의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식자재에 대응하는 제1 마스터에는, 식자재에 속하는 용어 각각의 제1 언어, 제2 언어 및 제3 언어로의 표기와, 상위 ID가, 식별자에 관련지어 기억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식자재에 대응하는 제1 마스터에는, 카테고리 "식자재"에 속하는 일본어의 용어 "고기(일본어:
Figure pct00006
)" "쇠고기(일본어:
Figure pct00007
)" "와규" "어패류(일본어:
Figure pct00008
)" "생선(일본어:
Figure pct00009
)" "참치(일본어:
Figure pct00010
)"와, 이들에 대응하는 영어 및 중국어(간체자)의 표기가, 각각의 식별자에 관련지어 기억되어 있다.
상위 ID는, 관련지어져 있는 용어의 상위 개념을 나타내는 용어인 상위 용어에 상당하는 용어의 ID이다. 식자재 "와규"의 상위 ID "IDM001"은, ID "IDM001"에 관련지어진 "쇠고기"가 "와규"의 상위 용어인 것을 나타낸다.
도 7은, 식자재 수식어에 대응하는 제1 마스터의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식자재 수식어에 대응하는 제1 마스터에는, 식자재를 수식하는 용어 각각의 제1 언어, 제2 언어 및 제3 언어로의 표기와, 카테고리와, 적용 범위가, 식별자에 관련지어 기억되어 있다. 카테고리는, 식자재 수식어에 대응하는 제1 마스터에 기억되는 각 용어가 속하는 카테고리를 나타내고 있다. 적용 범위는, 각 용어와 함께 선택 가능한 다른 카테고리에 속하는 용어의 ID를 나타내고 있다.
식자재 수식어에 대응하는 제1 마스터에는, 카테고리 "산지"에 속하는 식자재 수식어로서, 일본어의 용어 "홋카이도산(일본어:
Figure pct00011
)" "오키나와산(일본어:
Figure pct00012
)"과, 이들에 대응하는 영어 및 중국어(간체자)의 표기와, 속성 "산지"와, 적용 범위가, 각각의 식별자에 관련지어 기억되어 있다. 용어 "홋카이도산"의 적용 범위 "IDL001, IDL002,…"는, 용어 "홋카이도산"이 용어 "고기", "어패류" 등과 함께 선택 가능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 식자재 수식어에 대응하는 제1 마스터에는, 카테고리 "부위"에 속하는 식자재 수식어로서, 일본어의 용어 "설로인(일본어:
Figure pct00013
)" "텐더로인(일본어:
Figure pct00014
)" "볼살(일본어:
Figure pct00015
)"과, 이들에 대응하는 영어 및 중국어(간체자)의 표기와, 속성 "부위"와, 적용 범위가, 각각의 식별자에 관련지어 기억되어 있다.
또, 식자재 수식어에 대응하는 제1 마스터에는, 카테고리 "랭크"에 속하는 식자재 수식어로서, 일본어의 용어 "A5 랭크(일본어:
Figure pct00016
)"와, 이들에 대응하는 영어 및 중국어(간체자)의 표기와, 속성 "랭크"와, 적용 범위가, 식별자에 관련지어 기억되어 있다.
식자재 수식어에 대응하는 제1 마스터에는, 복수의 카테고리 "산지"와 "부위"와 "랭크"에 대하여, 각각의 카테고리에 속하는 용어가 기억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카테고리에 대하여, 각각의 카테고리에 속하는 용어가, 단일의 제1 마스터에 기억되어도 된다.
도 8은, 조리 방법에 대응하는 제2 마스터의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조리 방법에 대응하는 제2 마스터에는, 상위 ID와, 조리 방법에 속하는 용어와, 제2 언어인 영어용 및 제3 언어인 중국어(간체자)용 템플릿이, 식별자에 관련지어 기억되어 있다. 이와 같이 템플릿과 관련지어 기억되는 카테고리인 "조리 방법"은, 기간 카테고리이다. 템플릿은, 각 용어를 포함하는 명칭을 영어 및 중국어(간체자)로 표기하는 경우의, 그 명칭에 포함되는 각 카테고리에 각각 속하는 각 용어의 나열순을 규정한다.
도 8에 있어서, 조리 방법"숯불 구이"의 상위 ID"J001"은, ID "J001"에 관련지어진 "직화 구이"가 "숯불 구이"의 상위 용어인 것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제2 마스터에 있어서, 특정의 용어에는 상위 용어가 관련지어져 있다.
도 9는, 식자재에 대응하는 제3 마스터의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식자재에 대응하는 제3 마스터에는, 식자재에 속하는 용어와, 제2 언어인 영어로의 표기와, 영어용 서브 템플릿과, 중국어(간체자)용 서브 템플릿이, 식별자에 관련지어 기억되어 있다. 영어용 서브 템플릿은, 각 용어를 포함하는 부분 명칭을 영어로 표기하는 경우의, 그 부분 명칭에 포함되는 각 카테고리에 각각 속하는 각 용어의 나열순을 규정한다. 서브 템플릿은, 기간 카테고리 이외의 카테고리에 속하는 용어에 관련지어 진다. 도 9에서는 기재를 생략하고 있지만, 중국어(간체자)용 서브 템플릿에 있어서도, 영어용 서브 템플릿과 동일하게, 각 용어를 포함하는 부분 명칭을 중국어(간체자)로 표기하는 경우의, 그 부분 명칭에 포함되는 각 카테고리에 각각 속하는 각 용어의 나열순이 규정된다.
본 실시형태의 스토리지 장치(3)는, 정보 제공 시스템(1) 전체에서 공통으로 사용하는 각각 단일의 제1 마스터~제3 마스터를 기억하고 있다. 스토리지 장치(3)는, 단말(4)마다, 또는 단말(4)의 유저마다, 사용하는 제1 마스터~제3 마스터를 기억하도록 해도 된다. 또, 스토리지 장치(3)는, 제1 마스터~제3 마스터 중 일부의 정보를, 정보 제공 시스템(1) 전체에서 공통으로 기억하고, 제1 마스터~제3 마스터 중 다른 정보를, 단말(4)마다, 또는 단말(4)의 유저마다 기억해도 된다.
도 10은, 단말(4)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단말(4)은, 네트워크(5)를 통하여 서버(2)에 접속하여, 서버(2)와 통신을 행한다. 단말(4)은, 유저의 입력 조작에 따라, 명칭에 포함되는 용어의 선택 등의 입력을 접수한다. 이로 인하여, 단말(4)은, 단말 통신부(41)와, 단말 기억부(42)와, 단말 조작부(43)와, 단말 표시부(44)와, 단말 처리부(45)를 구비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단말(4)로서, 퍼스널 컴퓨터(Personal Computer, PC)를 상정하지만, 실시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단말(4)은, 예를 들면 다기능 휴대 전화(이른바 "스마트폰"), 휴대 전화(이른바 "피처폰"), 휴대 정보 단말(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휴대 게임기, 휴대 음악 플레이어, 태블릿 단말, 태블릿 PC, 노트 PC 등의 정보 처리 장치여도 된다. 또, 단말(4)은, 음식점에 설치되어 음식점의 관계자 등이 조작하는 메뉴 단말 등이어도 된다.
단말 통신부(41)는, 통신 인터페이스 회로를 구비하고, 단말(4)을 네트워크(5)에 접속한다. 단말 통신부(41)는, 단말 처리부(45)로부터 공급된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버(2) 등에 송신한다. 또, 단말 통신부(41)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버(2) 등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단말 처리부(45)에 공급한다.
단말 기억부(42)는, 예를 들면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구비한다. 단말 기억부(42)는, 단말 처리부(45)에서의 처리에 이용되는 오퍼레이팅 시스템 프로그램, 드라이버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데이터 등을 기억한다. 예를 들면, 단말 기억부(42)는, 드라이버 프로그램으로서, 단말 조작부(43)를 제어하는 입력 디바이스 드라이버 프로그램이나, 단말 표시부(44)를 제어하는 출력 디바이스 드라이버 프로그램 등을 기억한다. 또, 단말 기억부(42)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으로서, 유저가 단말 조작부(43)에 대하여 명칭에 포함되는 용어의 선택을 행하기 위한 용어 입력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화면 표시 프로그램 등을 기억한다. 또, 단말 기억부(42)는, 소정의 처리에 관한 일시적인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해도 된다.
단말 조작부(43)는, 단말(4)의 조작이 가능하면 어떠한 디바이스여도 되고, 예를 들면 터치 패널이나 키 버튼 등이다. 유저는, 단말 조작부(43)를 이용하여, 문자나 숫자, 기호 등을 입력할 수 있다. 단말 조작부(43)는, 유저에 의하여 조작되면, 그 조작에 대응하는 신호를 발생한다. 그리고, 발생한 신호는, 유저의 지시로서 단말 처리부(45)에 공급된다.
단말 표시부(44)는, 영상이나 화상 등의 표시가 가능하면 어떠한 디바이스여도 되고,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나 유기 EL(Electro-Luminescence) 디스플레이 등이다. 단말 표시부(44)는, 단말 처리부(45)로부터 공급된 영상 데이터에 따른 영상이나, 화상 데이터에 따른 화상 등을 표시한다.
단말 처리부(45)는, 1 이상의 프로세서 및 그 주변 회로를 구비한다. 단말 처리부(45)는, 단말(4)의 전체적인 동작을 통괄적으로 제어하는 것이며, 예를 들면 CPU이다. 단말 처리부(45)는, 단말(4)의 각종 처리가 단말 기억부(42)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이나 단말 조작부(43)에 대한 조작 등에 근거하여 적절한 수단으로 실행되도록, 단말 통신부(41)나 단말 표시부(44) 등의 동작을 제어한다. 단말 처리부(45)는, 단말 기억부(42)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오퍼레이팅 시스템 프로그램, 드라이버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에 근거하여 처리를 실행한다. 또, 단말 처리부(45)는, 복수의 프로그램(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을 병렬로 실행할 수 있다.
단말 처리부(45)는, 적어도 열람 실행부(451), 단말 송신부(452) 등을 구비한다. 이들 각부는, 단말 처리부(45)가 구비하는 프로세서로 실행되는 프로그램에 의하여 실현되는 기능 모듈이다. 혹은, 이들 각부는, 펌웨어로서 단말(4)에 실장되어도 된다.
본 개시의 정보 제공 시스템(1)은, 상술한 하드웨어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복수의 용어를 조합한 명칭의 번역을 적절한 어순으로 서버에 의하여 제공하므로, 서버의 처리 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효율적인 정보 처리가 가능해진다.
도 11~도 15를 참조하여, 서버(2)에 접속된 단말(4)의 표시 기능에 의하여 단말 표시부(44)에 표시되는 각 표시 화면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 11은, 용어 입력 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단말(4)은, 서버(2)가 송신하는 선택 데이터에 근거하여, 도 11에 나타내는 용어 입력 화면(1100)을 단말 표시부(44)에 표시한다. 선택 데이터란, 기간 카테고리에 속하는 용어 및 기간 카테고리 이외의 카테고리에 속하는 용어를 제1 언어에 의하여 단말의 유저에게 선택시키기 위한 데이터이다. 단말(4)의 유저는, 용어 입력 화면(1100)을 참조하여, 번역 대상이 되는 요리의 명칭에 포함되는 용어를 카테고리마다 선택한다.
용어 입력 화면(1100)에는, 조리 방법 입력 박스(1101), 식자재 입력 박스(1102), 조리 방법 리스트 표시 링크(1103), 식자재 리스트 표시 링크(1104), 조리 방법 수식어 추가 화면 표시 링크(1105), 식자재 수식어 추가 화면 표시 링크(1106), 카테고리 추가 링크(1107) 및 입력 내용 결정 버튼(1108)이 포함된다.
조리 방법 입력 박스(1101)는, 요리의 명칭에 포함되는 용어 중 카테고리 "조리 방법"에 속하는 용어를 입력하기 위한 영역이다.
식자재 입력 박스(1102)는, 대상이 되는 용어의 카테고리가 "식자재"인 점을 제외하고, 조리 방법 입력 박스(1101)와 동일하다.
조리 방법 리스트 표시 링크(1103)는, 카테고리"조리 방법"에 속하는 용어의 리스트를 표시시키기 위한 링크이며, 하이퍼텍스트에 있어서의 하이퍼링크의 형식으로 표시된다. 단말(4)의 유저가, 조리 방법 리스트 표시 링크(1103) 상에 마우스 포인터를 위치시키고 마우스 버튼을 클릭하거나, 터치 패널 상에서 조리 방법 리스트 표시 링크(1103)의 표시되는 영역을 탭하는 등의, 단말(4)의 구성에 따른 소정의 조작을 행함으로써, 단말(4)의 단말 표시부(44)에 조리 방법 리스트가 표시된다.
조리 방법 리스트 표시 링크(1103)는, 표시 영역에 대한 유저의 소정의 조작을 접수하여 조리 방법 리스트를 표시시킬 수 있으면, 어떠한 것이어도 되고, 예를 들면 버튼 형식으로 표시되어 있어도 된다. 마찬가지로, 본 명세서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버튼"으로서 설명하는 요소는, 버튼 이외의 형태, 예를 들면 하이퍼링크로 실현되어도 된다.
식자재 리스트 표시 링크(1104)는, 대상이 되는 용어의 카테고리가 "식자재"인 점을 제외하고, 조리 방법 리스트 표시 링크(1103)와 동일하다.
조리 방법 수식어 추가 화면 표시 링크(1105)는, 조리 방법으로서 선택되어 있는 용어에 대하여 수식어를 추가하는 화면을 표시시키기 위한 링크이다. 조리 방법 수식어 추가 화면 표시 링크(1105)의 표시 영역에 대하여 단말(4)의 유저가 소정의 조작을 행하면, 단말 표시부(44)에 조리 방법의 수식어를 추가하는 화면이 표시된다.
식자재 수식어 추가 화면 표시 링크(1106)는, 대상이 되는 용어의 카테고리가 "식자재"인 점을 제외하고, 조리 방법 수식어 추가 화면 표시 링크(1105)와 동일하다.
카테고리 추가 링크(1107)는, 용어 입력 화면(1100)에 표시되어 있는 입력 박스, 리스트 표시 링크 및 수식어 추가 화면 표시 링크에 대응하는 카테고리 이외의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입력 박스, 리스트 표시 링크 및 수식어 추가 화면 표시 링크를 용어 입력 화면(1100)에 추가로 표시시키기 위한 링크이다.
용어 입력 화면(1100)에서는, 카테고리 "조리 방법"및 "식자재"에 대응하는 입력 박스, 리스트 표시 링크 및 수식어 추가 화면 표시 링크가 표시되어 있다. "조리 방법"및 "식자재"이외의 카테고리, 예를 들면 "조미료"에 속하는 용어가 번역 대상이 되는 요리의 명칭에 포함되는 경우에, 단말(4)의 유저가 카테고리 추가 링크(1107)에 대하여 소정의 조작을 행하면, 단말(4)은, 용어 입력 화면(1100)에 "조미료"에 대응하는 입력 박스, 리스트 표시 링크 및 수식어 추가 화면 표시 링크를 추가로 표시시킨다.
카테고리 추가 링크(1107)에 대한 조작에 의하여 표시되는 입력 박스, 리스트 표시 링크 및 수식어 추가 화면 표시 링크는, 대상이 되는 카테고리가 다른 점을 제외하고, 조리 방법 입력 박스(1101), 조리 방법 리스트 표시 링크(1103) 및 조리 방법 수식어 추가 화면 표시 링크(1105)와 동일하다.
입력 내용 결정 버튼(1108)은, 용어 입력 화면(1100)에 포함되는 입력 박스에 입력된 용어로 용어의 선택을 결정하는 버튼이다. 입력 내용 결정 버튼(1108)에 대하여 단말(4)의 유저가 소정의 조작을 행하면, 입력 박스에 입력된 용어가, 선택된 용어로서 서버(2)에 송신된다.
도 12(a)는 조리 방법에 대응하는 용어 선택 리스트의 예를 나타내는 도이며, 도 12(b)는 식자재에 대응하는 용어 선택 리스트의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1에 나타내는 용어 입력 화면(1100)의 조리 방법 리스트 표시 링크(1103)에 대하여 단말(4)의 유저가 소정의 조작을 행하면, 서버(2)로부터 단말(4)에 송신되는 데이터에 근거하여, 단말 표시부(44)에 조리 방법 리스트(1201)가 표시된다. 조리 방법 리스트(1201)는, 카테고리 "조리 방법"에 속하는 용어 "직화 구이" "숯불 구이" "꼬치 구이" "덮밥" 등이 표시되며, 용어"꼬치 구이"가 선택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단말(4)의 유저가, 마우스 포인터를 "꼬치 구이"에 위치시키고 마우스 버튼을 더블 클릭하거나, 터치 패널 상의 "꼬치 구이"가 표시되는 영역을 탭하는 등의, 단말(4)의 구성에 따른 소정의 조작을 행함으로써, 리스트에 있어서 "꼬치 구이"를 선택하는 것이 결정되고, 용어 입력 화면(1100)에 반영된다.
이와 같이, 서버(2)로부터 단말(4)에 송신되는 데이터에 근거하여 표시되는 조리 방법 리스트(1201)에 의하여, 단말(4)의 유저는, 카테고리 "조리 방법"에 속하는 용어를 일본어에 의하여 선택할 수 있다.
유저에게 조리 방법을 선택시키는 조리 방법 리스트(1201)를 표시하기 위한 선택 데이터는, 용어 입력 화면(1100)을 표시하기 위한 데이터와 함께 서버(2)로부터 단말(4)에 송신된다. 또, 이 데이터는, 조리 방법 리스트 표시 링크(1103)에 대한 단말(4)의 유저에 의한 소정의 조작에 의하여 단말(4)로부터 서버(2)에 대하여 송신되는 신호에 따라 서버(2)로부터 단말(4)에 송신되어도 된다.
유저에게 조리 방법을 선택시키기 위한 선택 데이터에 근거하는 표시는, 조리 방법 리스트(120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택 대상이 되는 용어를 일람 표시하는 리스트 형식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유저의 조작에 따라 리스트를 전개하는 드롭다운 리스트 형식이어도 된다.
도 11에 나타내는 용어 입력 화면(1100)의 식자재 리스트 표시 링크(1104)에 대하여 단말(4)의 유저가 소정의 조작을 행하면, 식자재 리스트(1202)가 표시된다. 식자재 리스트(1202)는, 카테고리 "식자재"에 속하는 용어 "고기" "쇠고기" "와규" "어패류" "생선" "참치"가 표시되며, "와규"가 선택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식자재 리스트(1202)를 표시하기 위한 데이터의 송신, 식자재 리스트(1202)의 표시 형식, 식자재 리스트(1202)에 있어서의 용어의 선택의 결정, 용어 입력 화면(1100)에 대한 반영에 대해서는, 조리 방법 리스트(1201)와 동일하다.
도 13(a)는 식자재 수식어 입력 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이며, 도 13(b)는 산지에 대응하는 식자재 수식어 선택 리스트의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1에 나타내는 용어 입력 화면(1100)의 식자재 수식어 추가 화면 표시 링크(1106)에 대하여 단말(4)의 유저가 소정의 조작을 행하면, 단말(4)의 단말 표시부(44)에 식자재 수식어 추가 화면(1300)이 표시된다. 식자재 수식어 추가 화면(1300)은, 산지 입력 박스(1301)와, 부위 입력 박스(1302)와, 형상 입력 박스(1303)와, 랭크 입력 박스(1304)와, 산지 리스트 표시 링크(1305)와, 부위 리스트 표시 링크(1306)와, 형상 리스트 표시 링크(1307)와, 랭크 리스트 표시 링크(1308)와, 식자재 수식어 결정 버튼(1309)을 포함한다.
산지, 부위, 형상, 랭크에 각각 대응하는 입력 박스(1301~1304)는, 각각의 카테고리에 속하는 식자재 수식어를 입력하기 위한 영역이다.
산지, 부위, 형상, 랭크에 각각 대응하는 리스트 표시 링크(1305~1308)는, 각각의 카테고리에 속하는 식자재 수식어의 리스트를 표시시키기 위한 링크이다. 리스트 표시 링크(1305~1308)에 대하여 단말(4)의 유저가 소정의 조작을 행하면, 링크에 대응하는 리스트가 표시된다.
도 13(a)에 나타내는 식자재 수식어 추가 화면(1300)의 산지 리스트 표시 링크(1305)에 대하여 단말(4)의 유저가 소정의 조작을 행하면, 단말(4)의 단말 표시부(44)에 산지 리스트(1310)가 표시된다. 도 13(b)에 나타내는 산지 리스트(1310)는, 카테고리 "산지"에 속하는 용어 "홋카이도산" "오키나와산" 등 중, "홋카이도산"이 선택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때 표시되는 리스트에는, 수식 대상이 되는 용어를 적용 범위에 포함하는 수식어만이 표시되도록 하여, 그 용어와 함께 선택할 수 없는 수식어의 선택이 금지되어도 된다. 이와 같이 리스트를 표시하면, 부적절한 용어가 선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이와 같은 리스트에 의하면, 선택할 수 없는 수식어는 표시되지 않고, 선택할 수 있는 수식어만이 표시되기 때문에, 유저는 보다 용이하게 용어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1에 나타내는 용어 입력 화면(1100)의 식자재 입력 박스(1102)에 입력된 용어 "참치"에 수식어를 추가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식자재 입력 박스(1102)에 용어 "참치"가 입력된 상태에서 식자재 수식어 추가 화면 표시 링크(1106)에 대하여 단말(4)의 유저가 소정의 조작을 행하면, 단말(4)의 단말 표시부(44)에 용어 "참치"에 대응하는 식자재 수식어 입력 화면이 표시된다. 식자재 수식어 입력 화면의 부위 리스트 표시 링크에 단말(4)의 유저가 소정의 조작을 행하여 표시되는 부위 리스트에는, 용어 "참치"가 적용 범위에 포함되는 부위만이 표시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7에 나타내는 제1 마스터의 예에서는, 부위 "설로인"의 적용 범위는 "IDM001"이며, "참치"또는 상위 용어인 "생선" "어패류"의 ID를 포함하지 않는다. 부위 "텐더로인"도 동일하다. 한편, 부위 "볼살"의 적용 범위는 "IDM001, IDM008"이며, "참치"의 상위 용어인 "생선"의 ID "IDM008"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부위 리스트에는 "설로인" "텐더로인"은 포함되지 않고, "볼살"은 포함된다.
도 13(a)의 식자재 수식어 결정 버튼(1309)은, 입력 박스(1301~1304)에 입력된 식자재 수식어의 선택을 결정하는 버튼이다. 식자재 수식어 결정 버튼(1309)에 대하여 단말(4)의 유저가 소정의 조작을 행하면, 입력 박스(1301~1304)에 입력된 식자재 수식어가 선택된 용어로서 확정된다. 확정된 용어는, 단말(4)로부터 서버(2)에 송신되어도 되고, 단말(4)의 단말 기억부(42)에 기억되어도 된다.
도 14는, 용어 선택 후의 용어 입력 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3(a)에 나타내는 식자재 수식어 추가 화면(1300)의 식자재 수식어 결정 버튼(1309)에 의하여 식자재 수식어의 선택이 결정되면, 단말 표시부(44)에 용어 입력 화면(1100´)이 표시된다. 용어 선택 후의 용어 입력 화면(1100´)은, 조리 방법 입력 박스(1101´) 및 식자재 입력 박스(1102´)에 선택된 용어가 표시되어 있는 점에 있어서 도 11에 나타내는 용어 입력 화면(1100)과 달리, 그 외의 요소는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용어 입력 화면(1100´)에 있어서, 조리 방법 입력 박스(1101´)에는, 도 12(a)에 나타내는 조리 방법 리스트(1201)에서 선택된 용어 "꼬치 구이"가 입력되어 있다. 또, 식자재 입력 박스(1102´)에는, 도 12(b)에 나타내는 식자재 리스트(1202)에서 선택된 용어 "와규"와, 도 13(a)에 나타내는 식자재 수식어 추가 화면(1300)에서 선택된 용어 "홋카이도산" "설로인" "A5 랭크"가 입력되어 있다.
용어 입력 화면(1100´)에 있어서, 입력 내용 결정 버튼(1108)에 대하여 단말(4)의 유저가 소정의 조작을 행하면, 입력 박스에 입력된 용어 "꼬치 구이" "와규" "홋카이도산" "설로인" 및 "A5 랭크"가, 선택된 용어로서 서버(2)에 송신된다.
도 15는, 생성 용어 표시 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4에 나타내는 용어 입력 화면(1100´)의 입력 내용 결정 버튼(1108)에 의하여 선택된 용어가 서버(2)에 송신되고, 서버(2)가 생성한 영어 표기를 단말(4)이 수신하면, 단말 표시부(44)에 생성 용어 표시 화면(1500)이 표시된다. 생성 용어 표시 화면(1500)에는, 선택 조리 방법 표시란(1501)과, 선택 식자재 표시란(1502)과, 언어 선택 드롭다운 리스트(1503)와, 생성 용어 표시란(1504)과, 요리 등록 버튼(1505)과, 카테고리 선택 드롭다운 리스트(1506)와, 선택 카테고리 등록 버튼(1507)과, 수정 버튼(1508)이 포함된다.
선택 조리 방법 표시란(1501)은, 도 14에 있어서 요리의 명칭에 포함되는 용어로서 선택된, 카테고리 "조리 방법"에 속하는 용어의 일본어에 의한 표기를 표시하는 영역이다. 선택 조리 방법 표시란(1501)에는, 도 14에 있어서의 조리 방법 입력 박스(1101´)의 표시 내용에 대응하는 내용이 표시된다. 도 15의 예에 있어서, 선택 조리 방법 표시란(1501)에는, "꼬치 구이"가 표시되어 있다.
선택 식자재 표시란(1502)은, 요리의 명칭에 포함되는 용어로서 선택된, 카테고리 "식자재"에 속하는 용어의 일본어에 의한 표기를 표시하는 영역이다. 선택 식자재 표시란(1502)에는, 도 14에 있어서의 식자재 입력 박스(1102´)의 표시 내용에 대응하는 내용이 표시된다. 도 15의 예에 있어서, 선택 식자재 표시란(1502)에는, "와규"및 식자재 수식어로서 선택된 "홋카이도산" "설로인" "A5 랭크"가 표시되어 있다.
도 11에서 나타낸 카테고리 추가 링크(1107)에 의하여 카테고리를 추가한 경우, 추가된 카테고리에 속하고, 선택된 용어의 표시란이, 선택 조리 방법 표시란(1501) 및 선택 식자재 표시란(1502)과 동일하게, 생성 용어 표시 화면(1500)에 표시된다.
언어 선택 드롭다운 리스트(1503)는, 선택 조리 방법 표시란(1501) 및 선택 식자재 표시란(1502)에 표시되는 선택된 용어에 대하여, 어느 외국어에 있어서의 표기를 표시하는지를 선택하는 리스트이다.
언어 선택 드롭다운 리스트(1503)의 우측에 있는 "▼"가 표시된 영역에 대한 유저의 소정의 조작에 따라, 언어 선택 드롭다운 리스트(1503) 중 좌측의 영역에, 용어의 표기 언어로서 선택 가능한 언어, 예를 들면 "영어" "중국어(간체자)" 등이 리스트 표시된다. 도 15의 예에서는, 표기 언어로서 영어가 선택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영어 표기를 생성하는 예를 설명하고 있지만, 언어 선택 드롭다운 리스트(1503)에 의하여 표기 언어를 변경함으로써, 영어 이외의 언어로의 표기를 생성할 수 있다. 또, 언어 선택 드롭다운 리스트(1503)에 의하여 유저가 표기 언어를 명시적으로 선택하고 있지 않을 때에 이용되는 디폴트 언어를 미리 설정해 두어도 된다. 디폴트 언어는, 서버(2)의 서버 기억부(22) 또는 단말(4)의 단말 기억부(42)에 기억된다.
생성 용어 표시란(1504)은, 서버(2)에 의하여 생성된 명칭의 영어로의 표기를 표시하는 영역이다. 도 15의 예에서는 "grilled Hokkaido grade A5 Wagyu beef sirloin skewer"가 표시되어 있다.
요리 등록 버튼(1505)은, 생성 용어 표시란(1504)에 표시된 표기를 요리의 명칭으로서 등록시키는 버튼이다. 요리 등록 버튼(1505)에 대하여 단말(4)의 유저가 소정의 조작을 행하면, 생성 용어 표시란(1504)에 표시된 표기가 요리의 명칭의 영어 표기로서 등록된다. 등록된 영어 표기는, 서버(2)의 서버 기억부(22) 또는 단말(4)의 단말 기억부(42)에 기억된다. 이때, 표시 언어로서 선택된 영어 이외의 표기도 기억되어도 된다.
카테고리 선택 드롭다운 리스트(1506)는, 생성 용어 표시란(1504)에 표시된 표기를 등록하는 카테고리를 선택하는 리스트이다. 선택 카테고리 등록 버튼(1507)은, 생성 용어 표시란(1504)에 표시된 표기를, 카테고리 선택 드롭다운 리스트(1506)에 의하여 선택된 카테고리의 용어로서 등록시키는 버튼이다.
카테고리 선택 드롭다운 리스트(1506)의 우측에 있는 "▼"가 표시된 영역에 대한 유저의 소정의 조작에 따라, 카테고리 선택 드롭다운 리스트(1506) 중 좌측의 영역에, 생성 용어 표시란(1504)에 표시된 표기의 기억처 카테고리로서 선택 가능한 카테고리, 예를 들면 "식자재" "조미료" "토핑" 등이 리스트 표시된다. 도 15에 있어서 카테고리 선택 드롭다운 리스트(1506)는, 유저가 원하는 카테고리로서 카테고리 "식자재"를 선택하여, 리스트 표시로부터 단일 항목 표시로 되돌아온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선택 카테고리 등록 버튼(1507)은, 카테고리 선택 드롭다운 리스트(1506)에서 선택된 카테고리에, 생성 용어 표시란(1504)에 표시된 표기를 등록시키는 버튼이다. 선택 카테고리 등록 버튼(1507)에 대한 유저의 소정의 조작에 따라, 생성 용어 표시란(1504)에 표시된 표기가, 카테고리 선택 드롭다운 리스트(1506)에서 선택되어 있는 카테고리에 등록된다.
이와 같이, 생성된 표기를 소정의 카테고리에 속하는 용어로서 새롭게 기억하도록 하면, 그 용어를 별도의 명칭에 포함되는 용어로서 선택할 수 있으므로, 정보 제공 시스템(1)은, 보다 복잡한 명칭에 대응하는 제2 언어로의 표기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수정 버튼(1508)은, 생성 용어 표시란(1504)에 표시된 표기를 수정하기 위한 버튼이다. 수정 버튼(1508)에 대하여 단말(4)의 유저가 소정의 조작을 행하면, 생성 용어 표시란(1504)에 표시된 표기의 수정이 가능해진다.
도 16은, 정보 제공 시스템(1)의 동작 시퀀스도이다.
정보 제공 시스템(1)은, 미리 서버 기억부(22) 및 단말 기억부(42)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근거하여, 주로 서버 처리부(23) 및 단말 처리부(45)에 의하여, 서버(2) 및 단말(4)의 각 요소와 협동하여, 이 동작 시퀀스를 실행한다.
먼저, 단말(4)의 단말 송신부(452)는, 유저에 의한 단말 조작부(43)의 조작에 따라, 번역 대상의 명칭에 포함되는 용어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데이터의 요구를, 단말 통신부(41)를 통하여 서버(2)에 송신한다(스텝 S101).
다음으로, 서버(2)의 수신부(232)가 단말(4)로부터 서버 통신부(21)를 통하여 선택 데이터의 요구를 수신하면, 선택 데이터 송신부(231)는, 스토리지 장치(3)에 기억된 제1 마스터를 참조하여, 용어 입력 화면(1100)을 표시시키기 위한 선택 데이터를 작성한다(스텝 S102).
선택 데이터 송신부(231)는, 조리 방법에 대응하는 제1 마스터에 기억된 각 용어의 제1 언어로의 표기를 독출하고, 독출한 각 용어의 제1 언어로의 표기를 선택 가능하게 배치한 조리 방법 리스트(1201)를 표시시키는 선택 데이터를 작성한다. 또, 선택 데이터 송신부(231)는, 식자재에 대응하는 제1 마스터에 기억된 각 용어의 제1 용어로의 표기를 독출하고, 독출한 각 용어의 제1 언어로의 표기를 선택 가능하게 배치한 식자재 리스트(1202)를 표시시키는 선택 데이터를 작성한다. 그리고, 조리 방법 리스트(1201)를 표시시키는 선택 데이터와 식자재 리스트(1202)를 표시시키는 선택 데이터를 포함하는, 용어 입력 화면(1100)을 표시시키기 위한 데이터를 작성한다.
스텝 S102에 있어서, 선택 데이터 송신부(231)는, 선택된 용어와 함께 선택 가능한 용어 이외의 용어의 선택을 금지하도록 선택 데이터를 작성하여, 송신해도 된다. 선택 데이터 송신부(231)는, 제1 마스터에 있어서 각 용어에 관련지어진 적용 범위에 근거하여 선택 데이터를 작성함으로써, 선택된 용어와 함께 선택 가능한 용어 이외의 용어의 선택을 금지할 수 있다. 선택 데이터 송신부(231)는, 예를 들면 단말(4)에 표시되는 용어 리스트에 소정의 용어가 표시되지 않도록 선택 데이터를 작성함으로써, 소정의 용어의 선택을 금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서버(2)의 선택 데이터 송신부(231)는, 선택 데이터를 단말(4)에 서버 통신부(21)를 통하여 송신한다(스텝 S103).
다음으로, 단말(4)의 열람 실행부(451)는, 서버(2)로부터 단말 통신부(41)를 통하여 선택 데이터를 수신하면, 수신된 선택 데이터에 근거하여 용어 입력 화면(1100)을 단말 표시부(44)에 표시한다(스텝 S104).
다음으로, 단말(4)의 열람 실행부(451)는, 단말 표시부(44)에 표시된 용어 입력 화면(1100)에 대하여 유저가 단말 조작부(43)를 조작하여 선택한 용어를, 단말 통신부(41)를 통하여 서버(2)에 송신한다(스텝 S105). 다른 선택한 용어를 수식하는 수식어가 선택한 용어에 포함되는 경우, 열람 실행부(451)는, 수식어와 수식어로 수식되는 용어를 결합시켜 서버(2)에 송신한다. 서버(2)의 수신부(232)는, 선택된 기간 카테고리에 속하는 용어 및 기간 카테고리 이외에 속하는 용어를 단말(4)로부터 수신한다.
다음으로, 서버(2)의 표기 생성부(234)는, 선택된 용어를 포함하는 명칭의 제2 언어로의 표기(이하, " 제2 언어 표기"라고 함)를 생성한다(스텝 S106). 생성된 제2 언어 표기는, 서버 기억부(22)의 일시 기억 영역에 기억된다. 서버(2)에 있어서의 제2 언어 표기의 생성 처리의 상세는 후술한다.
다음으로, 표기 송신부(235)는, 제2 언어 표기를 포함하는, 생성 용어 표시 화면(1500)을 표시시키기 위한 데이터를 단말(4)에 서버 통신부(21)를 통하여 송신한다(스텝 S107).
다음으로, 단말(4)의 열람 실행부(451)는, 서버(2)로부터 단말 통신부(41)를 통하여 제2 언어 표기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수신하면, 수신한 데이터에 근거하여 생성 용어 표시 화면(1500)을 단말 표시부(44)에 표시한다(스텝 S108).
다음으로, 열람 실행부(451)는, 단말 표시부(44)에 표시된 생성 용어 표시 화면(1500)에 대한 유저의 단말 조작부(43)에 대한 조작에 근거하여, 제2 언어 표기의 제1 마스터에 대한 등록을 요구하는 등록 요구를, 단말 통신부(41)를 통하여 서버(2)에 송신한다(스텝 S109). 스텝 S109에 있어서, 열람 실행부(451)는, 제2 언어 표기의 등록처가 되는 제1 마스터를 지정한다. 도 15의 예에서는, 선택 카테고리 등록 버튼(1507)에 대한 조작에 근거하여, 카테고리 선택 드롭다운 리스트(1506)에서 선택된 카테고리 "식자재"에 대응하는 제1 마스터가, 제2 언어 표기의 등록처로서 지정된다. 서버(2)는, 명시적으로 등록처가 지정되어 있지 않은 등록 요구에 대해서는, 미리 정해진 제1 마스터에 제2 언어 표기를 등록하도록 해도 된다.
서버(2)는, 서버 통신부(21)를 통하여 등록 요구를 수신하면, 단말(4)의 유저의 지시에 따라, 서버 기억부(22)의 일시 기억 영역에 기억되어 있는 제2 언어 표기를, 등록 요구로 지정된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제1 마스터에, 그 카테고리에 속하는 용어로서 새롭게 기억한다(스텝 S110). 서버(2)에 있어서의 제2 언어 표기의 등록 처리의 상세는 후술한다.
이상에 의하여, 정보 제공 시스템(1)의 동작 시퀀스가 종료된다.
도 17은, 제2 언어 표기 생성 처리의 플로차트이다.
도 17에 나타내는 플로차트는, 도 16에 나타내는 스텝 S106에 있어서 실행된다.
먼저, 템플릿 특정부(233)는, 서버 통신부(21)를 통하여 수신한, 메뉴의 명칭에 포함되는 용어로서 선택된 용어로부터 기간 카테고리에 속하는 용어를 특정한다(스텝 S201). 어느 카테고리가 기간 카테고리인지는, 미리 서버 기억부(22)에 기억된다. 또한, 템플릿 특정부(233)는, 선택된 각각의 용어로 제2 마스터를 검색하여, 제2 마스터에 기억되어 있는 용어를 기간 카테고리에 속하는 용어로서 특정해도 된다.
다음으로, 템플릿 특정부(233)는, 선택된 용어 중 기간 카테고리에 속하는 용어(이하, "선택 기간 용어"라고 함)를, 제2 마스터로부터 검색한다(스텝 S202). 도 14에 있어서의 용어 입력 화면(1100´)에 나타내는 용어가 선택되어 있는 경우, 템플릿 특정부(233)는, 기간 카테고리인 "조리 방법"에 속하는 용어 "꼬치 구이"를, 제2 마스터로부터 검색한다.
다음으로, 템플릿 특정부(233)는, 제2 마스터에 있어서, 선택 기간 용어에 템플릿이 관련지어져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203). 도 14에 있어서의 용어 입력 화면(1100´)에 나타내는 용어가 선택되어 있는 경우, 템플릿 특정부(233)는, 제2 마스터에 있어서 용어 "꼬치 구이"에 템플릿이 관련지어져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제2 마스터에 있어서, 선택 기간 용어에 템플릿이 관련지어져 있는 경우(스텝 S203-Y), 템플릿 특정부(233)는, 선택된 용어 중 기간 카테고리에 속하는 용어에 관련지어져 있는 템플릿을 특정한다(스텝 S205). 이때, 템플릿 특정부(233)는, 제2 마스터에 있어서 용어에 관련지어져 있는 모든 언어용 템플릿을 특정한다. 또한, 템플릿 특정부(233)는, 상술한 디폴트 언어의 템플릿만을 특정해도 된다. 도 14에 있어서의 용어 입력 화면(1100´)에 나타내는 용어가 선택되어 있는 경우, 템플릿 특정부(233)는, 제2 마스터에 있어서 용어 "꼬치 구이"에 관련지어진 템플릿 "grilled [식자재] skewer"를 특정한다.
제2 마스터에 있어서, 선택 기간 용어에 템플릿이 관련지어져 있지 않은 경우(스텝 S203-N), 템플릿 특정부(233)는, 제2 마스터에 있어서, 선택된 용어에 관련지어진 상위 용어(이하, "선택 상위 용어"라고 함)에 템플릿이 관련지어져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204).
제2 마스터에 있어서, 선택 상위 용어에 템플릿이 관련지어져 있는 경우(스텝 S204-Y), 템플릿 특정부(233)는, 선택 상위 용어에 관련지어져 있는 템플릿을, 선택된 용어에 관련지어진 템플릿으로서 특정한다(스텝 S205).
용어 "숯불 구이"가, 선택된 용어 중 기간 카테고리에 속하는 용어일 때, 도 8에 나타내는 제2 마스터에서는, 용어 "숯불 구이"에는 템플릿이 관련지어져 있지 않다. 한편, 용어 "숯불 구이"에는 상위 ID "J001"이 관련지어져 있으며, ID "J001"에 대응하는 용어 "직화 구이"는 용어 "숯불 구이"의 상위 용어이다. 용어 "직화 구이"에는 템플릿이 관련지어져 있으므로, 선택된 용어 "숯불 구이"에 대응하는 템플릿으로서, 상위 용어 "직화 구이"에 관련지어진 템플릿"[영어 표기] [식자재]"가 특정된다.
이와 같이 동작하면, 어순이 공통되는 하위 용어에 대하여 템플릿을 작성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서버 관리자의 작업이 감소됨과 함께, 제2 마스터의 기억에 필요한 스토리지 장치(3)의 기억 용량을 삭감할 수 있다.
제2 마스터에 있어서, 선택 상위 용어에 템플릿이 관련지어져 있지 않은 경우(스텝 S204-N), 제2 언어 표기 생성 처리는 종료된다. 이 경우, 템플릿 특정부(233)는, 이상(異常) 종료를 나타내는 에러 코드를 단말(4)에 통지해도 된다.
다음으로, 표기 생성부(234)는, 선택된 용어에 대한 수식어의 추가가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206). 표기 생성부(234)는, 선택된 용어에 대한 수식어의 추가가 있는지 여부를, 단말(4)로부터 수식어와 수식어로 수식되는 용어가 결합되어 송신되었는지 여부에 의하여 판정한다.
또, 표기 생성부(234)는, 선택된 용어에 대한 수식어의 추가가 있는지 여부를, 선택된 용어에 수식어에 대응하는 카테고리의 용어가 포함되는지 여부에 의하여 판정해도 된다. 어느 카테고리가 수식어에 대응하는 카테고리인지는, 미리 서버 기억부(22)에 기억되어 있어도 된다.
선택된 용어에 대한 수식어의 추가가 있는 경우(스텝 S206-Y), 표기 생성부(234)는, 수식어 추가 처리를 실행한다(스텝 S207). 수식어 추가 처리의 상세는 후술한다.
선택된 용어에 대한 수식어의 추가가 없는 경우(스텝 S206-N), 또는 수식어 추가 처리(스텝 S207) 가 종료된 경우, 표기 생성부(234)는, 특정된 템플릿에서 규정된 나열순으로 선택된 용어의 제2 언어 표기를 나열하여, 메뉴의 제2 언어 표기를 생성한다(스텝 S208). 표기 생성부(234)는, 선택된 용어를 선택된 용어가 속하는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제1 마스터로부터 검색하고, 검색된 용어에 관련지어진 제2 언어 표기를 독출함으로써, 선택된 용어의 제2 언어 표기를 취득한다.
도 1에 있어서, 메뉴 "와규의 꼬치 구이"에 포함되는 용어 "와규" "꼬치 구이"가 선택되고, 수식어의 추가가 없는 경우, 표기 생성부(234)는, 영어 템플릿으로서 특정된 "grilled [식자재] skewer"로 규정된 나열순으로, 선택된 용어의 영어 표기를 나열한다. 즉, 표기 생성부(234)는, 제1 마스터로부터 취득한 카테고리 "식자재"에 속하는 용어 "와규"의 영어 표기 "Wagyu beef"를 영어 템플릿의 "[식자재]"의 위치에 배치하고, "와규의 꼬치 구이"의 영어 표기 "grilled Wagyu beef skewer"를 생성한다.
또, 메뉴 "쇠고기의 숯불 구이"에 포함되는 용어 "쇠고기" "숯불 구이"가 선택되고, 수식어의 추가가 없는 경우, 표기 생성부(234)는, 영어 템플릿으로서 특정된 "[영어 표기] [식자재]"로 규정된 나열순으로, 선택된 용어의 영어 표기를 나열한다. "[영어 표기] [식자재]"에 있어서 "[영어 표기]"는, 조리 방법으로서 선택된 용어의 영어 표기를 나타낸다. 따라서, 용어 "쇠고기" "숯불 구이"의 영어 표기는, 제1 마스터를 참조하여 취득되는 "쇠고기"의 영어 표기 "beef"와 "숯불 구이"의 영어 표기 "char-broiled"를 템플릿에서 규정된 나열순으로 나열한"char-broiled beef"가 된다.
이상에 의하여, 제2 언어 표기 작성 처리는 종료된다.
도 18은, 수식어 추가 처리의 플로차트이다.
도 18에 나타내는 플로차트는, 도 17에 나타내는 스텝 S207에 있어서 실행된다.
먼저, 표기 생성부(234)는, 수식어의 추가된 용어(이하, "피수식 선택 용어"라고 함)를 제3 마스터로부터 검색한다(스텝 S301). 도 14에 있어서의 용어 입력 화면(1100´)에 나타내는 용어가 선택되어 있는 경우, 표기 생성부(234)는, 수식어 "홋카이도산" "설로인" "A5 랭크"가 추가된 용어 "와규"를 제3 마스터로부터 검색한다.
다음으로, 표기 생성부(234)는, 제3 마스터에 있어서, 피수식 선택 용어에 서브 템플릿이 관련지어져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302). 도 14에 있어서의 용어 입력 화면(1100´)에 나타내는 용어가 선택되어 있을 때, 표기 생성부(234)는, 제3 마스터에 있어서 피수식 선택 용어 "와규"에 서브 템플릿이 관련지어져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제3 마스터에 있어서, 피수식 선택 용어에 서브 템플릿이 관련지어져 있는 경우(스텝 S302-Y), 표기 생성부(234)는, 피수식 선택 용어에 관련지어져 있는 서브 템플릿을 특정한다(스텝 S304). 이때, 표기 생성부(234)는, 제3 마스터에 있어서 피수식 선택 용어에 관련지어져 있는 모든 언어용 서브 템플릿을 특정한다. 또한, 표기 생성부(234)는, 상술한 디폴트 언어의 서브 템플릿만을 특정해도 된다. 도 14에 있어서의 용어 입력 화면(1100´)에 나타내는 용어가 선택되어 있는 경우, 표기 생성부(234)는, 제3 마스터에 있어서 피수식 선택 용어 "와규"에 관련지어진 서브 템플릿 "[형상] [산지] [랭크] Wagyu beef [부위]"를 특정한다.
제3 마스터에 있어서, 피수식 선택 용어에 서브 템플릿이 관련지어져 있지 않은 경우(스텝 S302-N), 표기 생성부(234)는, 제3 마스터에 있어서, 피수식 선택 용어의 상위 용어에 서브 템플릿이 관련지어져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303).
제3 마스터에 있어서, 피수식 선택 용어의 상위 용어에 서브 템플릿이 관련지어져 있는 경우(스텝 S303-Y), 표기 생성부(234)는, 피수식 선택 용어의 상위 용어에 관련지어져 있는 서브 템플릿을 특정한다(스텝 S304).
제3 마스터에 있어서, 피수식 선택 용어의 상위 용어에 서브 템플릿이 관련지어져 있지 않은 경우(스텝 S303-N), 수식어 추가 처리는 종료된다. 이때, 표기 생성부(234)는, 이상 종료를 나타내는 에러 코드를 단말(4)에 통지해도 된다.
스텝 S304에 계속해서, 표기 생성부(234)는, 특정된 서브 템플릿에서 규정된 나열순으로 선택된 용어의 제2 언어 표기를 나열하여, 피수식 선택 용어의 제2 언어 표기를 생성한다(스텝 S305). 표기 생성부(234)는, 선택된 용어를, 선택된 용어가 속하는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제1 마스터로부터 검색하고, 검색된 용어에 관련지어진 제2 언어 표기를 독출함으로써, 선택된 용어의 제2 언어 표기를 취득한다.
도 14에 있어서의 용어 입력 화면(1100´)에 나타내는 용어가 선택되어 있는 경우, 표기 생성부(234)는, 용어 "홋카이도산" "설로인" "A5 랭크"의 추가된 용어 "와규"에 대하여, 영어 서브 템플릿으로서 특정된 "[형상] [산지] [랭크] Wagyu beef [부위]"로 규정된 나열순으로, 선택된 용어의 영어 표기를 나열한다. 즉, 표기 생성부(234)는, 제1 마스터로부터 취득한 "산지"카테고리의 용어 "홋카이도산", "부위"카테고리의 용어 "설로인", "랭크"카테고리의 용어 "A5 랭크"각각의 영어 표기 "Hokkaido" "sirloin" "grade A5"를, 영어 템플릿의 각각의 카테고리의 위치에 배치하여, 영어 표기 "Hokkaido grade A5 Wagyu beef sirloin"을 생성한다.
이상에 의하여, 정보 제공 시스템(1)에 의한 수식어 추가 처리는 종료된다.
도 19는, 제2 언어 표기 등록 처리의 플로차트이다.
도 19에 나타내는 플로차트는, 도 16에 나타내는 스텝 S110에 있어서 실행된다.
먼저, 표기 기억부(236)는, 단말(4)로부터 요리로서의 등록이 요구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401). 구체적으로는, 표기 기억부(236)는, 스텝 S109에 있어서 단말(4)이 송신하는 등록 요구에서 지정되는 제1 마스터가 카테고리 "요리"에 대응하는 제1 마스터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요리로서의 등록이 요구되었다고 판정된 경우(스텝 S401-Y), 표기 기억부(236)는, 스텝 S106에서 생성된 제2 언어 표기를 요리로서 등록한다(스텝 S402). 표기 기억부(236)는, 카테고리 "요리"에 대응하는 제1 마스터에 있어서의 새로운 항목으로서, 생성된 영어 표기를 기억한다. 표기 기억부(236)는, 등록되는 제1 마스터에 있어서 고유의 ID를 생성하고, 생성된 영어 표기에 관련지어 기억한다. 또한, 표기 기억부(236)는, 영어 이외의 언어에 의한 표기도 합하여 기억해도 된다.
요리로서의 등록이 요구되고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스텝 S401-N), 표기 기억부(236)는, 단말(4)로부터 카테고리를 지정한 등록이 요구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403). 구체적으로는, 표기 기억부(236)는, 스텝 S109에 있어서 단말(4)이 송신하는 등록 요구에서, "요리"이외의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제1 마스터가 지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카테고리를 지정한 등록이 요구되었다고 판정된 경우(스텝 S403-Y), 표기 기억부(236)는, 스텝 S106에서 생성된 제2 언어 표기를, 지정된 카테고리의 용어로서 등록한다(스텝 S404). 표기 기억부(236)는, 등록되는 제1 마스터에 있어서 고유의 ID를 생성하고, 생성된 영어 표기에 관련지어 기억한다. 또한, 표기 기억부(236)는, 영어 이외의 언어에 의한 표기도 합하여 기억해도 된다.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테고리 선택 드롭다운 리스트(1506)에서 카테고리 "식자재"가 선택되어 있는 경우, 표기 기억부(236)는, 카테고리 "요리"에 대응하는 제1 마스터에 있어서의 새로운 항목으로서, 생성된 영어 표기를 기억한다.
스텝 S402에서의 요리로서의 등록, 또는 스텝 S404에서의 지정 카테고리의 용어로서의 등록에 있어서, 표기 기억부(236)는, 정보 제공 시스템(1)에서 공통으로 사용되는 제1 마스터에 대하여 생성된 제2 언어 표기를 등록한다.
제1 마스터~제3 마스터가 단말(4)마다, 또는 단말(4)의 유저마다 스토리지 장치(3)에 기억되어 있는 경우, 표기 기억부(236)는, 단말(4)마다, 또는 단말(4)의 유저마다 사용하는 제1 마스터에 대하여 생성된 제2 언어 표기를 등록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정보 제공 시스템(1)을 이용하는 다른 음식점에서 제1 마스터를 참조하여 표시되는 용어 리스트에 영향을 주지 않고, 단말(4)이 설치되어 있는 음식점의 독자적인 메뉴에 대응하는 제2 언어 표기를 등록할 수 있다.
카테고리를 지정한 등록이 요구되고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스텝 S403-N), 제2 언어 표기 등록 처리는 종료된다. 이때, 표기 기억부(236)는, 이상 종료를 나타내는 에러 코드를 단말(4)에 통지해도 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정보 제공 시스템(1)은, 기간 카테고리에 속하는 용어에 관련지어진 템플릿에서 규정된 나열순으로 외국어로의 표기를 나열하여 외국어로의 표기를 생성하기 때문에, 적절한 어순으로 외국어의 메뉴 명칭을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생성되는 외국어 메뉴 명칭은, 기간 카테고리에 속하는 용어마다 용어의 나열순이 규정되어 있기 때문에, 자연스러운 어순이 된다.
또, 이와 같은 정보 제공 시스템(1)은, 모든 용어의 조합에 대하여 나열순을 규정하는 것이 아니라, 기간 카테고리에 속하는 용어에 대하여 카테고리의 나열순을 규정하면 되므로, 서비스 제공을 위한 데이터 작성이 간단해진다.
또한, 정보 제공 시스템(1)은, 상술한 실시형태의 일부를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스텝 S108에 있어서 단말(4)에서 표시된 영어 표기는, 단말(4)에서 기억할 수도 있으므로, 서버(2)는, 표기 기억부(236)를 갖지 않아도 된다. 이 경우, 영어 표기의 등록 요구(스텝 S109) 및 영어 표기의 등록(스텝 S110)은 실행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단말(4)이 서버(2)에 접속되어 있지 않을 때라도, 생성된 영어 표기를 표시할 수 있다.
또, 정보 제공 시스템(1)의 스토리지 장치(3)에 기억되는 제1 마스터~제3 마스터에는, 제1 언어로서의 일본어 표기, 제2 언어로서의 영어 표기 및 제3 언어로서의 중국어(간체자) 표기가 관련지어져 있지만, 언어의 조합은 상기에 한정되지 않고, 보다 많은 언어의 표기가 관련지어져 있어도 된다. 또한, 제1 언어와 제2 언어만이 관련지어져 있으면, 제1 언어의 명칭에 대응하는 제2 언어로의 표기를 생성함으로써, 본 개시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또, 정보 제공 시스템(1)에 있어서, 기간 카테고리는 조리 방법이고, 기간 카테고리 이외의 카테고리는 식자재 또는 조미료인 실시형태를 설명했다. 이와 같은 정보 제공 시스템(1)은, 요리 메뉴의 외국어 표기의 취득을 희망하는 음식점에 대하여 메뉴의 번역을 제공하는 데에 적합하다.
그러나, 조리 방법 등의 카테고리 이외의 카테고리에 속하는 용어에 본 실시형태를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당업자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경, 치환 및 수정을 이에 더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이해하기 바란다.
1 정보 제공 시스템
2 서버
231 선택 데이터 송신부
232 수신부
233 템플릿 특정부
234 표기 생성부
235 표기 송신부
3 스토리지 장치
4 단말
5 네트워크

Claims (9)

  1. 기억부 및 단말과 접속 가능한 서버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기억부에는,
    복수의 카테고리마다, 각 카테고리에 속하는 복수 용어 각각의 제1 언어로의 표기와 제2 언어로의 표기를 관련짓는 제1 마스터와,
    상기 복수의 카테고리 중 기간 카테고리에 속하는 복수의 용어와, 각 용어를 포함하는 명칭을 제2 언어로 표기하는 경우의 상기 명칭에 포함되는 각 카테고리에 각각 속하는 용어의 나열순을 규정하는 템플릿을 관련짓는 제2 마스터가 기억되고,
    상기 서버가,
    명칭에 포함되는 상기 기간 카테고리에 속하는 용어 및 상기 기간 카테고리 이외의 카테고리에 속하는 용어를, 상기 제1 언어에 의하여 상기 단말의 유저에게 선택시키기 위한 선택 데이터를 상기 단말에 송신하며,
    선택된 상기 기간 카테고리에 속하는 용어 및 상기 기간 카테고리 이외의 카테고리에 속하는 용어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2 마스터에 있어서, 선택된 상기 기간 카테고리에 속하는 용어에 관련지어진 상기 템플릿을 특정하며,
    특정된 상기 템플릿에서 규정된 나열순으로, 상기 제1 마스터로부터 취득되는 상기 선택된 용어의 제2 언어로의 표기를 나열함으로써, 상기 명칭의 제2 언어로의 표기를 생성하고,
    생성한 상기 명칭의 제2 언어로의 표기를 상기 단말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의 제어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마스터는, 각 카테고리에 속하는 복수 용어 각각의 제1 언어로의 표기에 제3 언어로의 표기를 더 관련짓고 있고,
    상기 제2 마스터는, 상기 기간 카테고리에 속하는 복수의 각 용어와 제3 언어에 있어서의 상기 템플릿을 더 관련짓고 있는, 제어 방법.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유저의 지시에 따라, 상기 생성한 명칭의 제2 언어로의 표기를, 어느 하나의 카테고리에 속하는 용어로서 상기 제1 마스터에 새롭게 기억시키는, 제어 방법.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부에는, 상기 복수의 카테고리 중 상기 기간 카테고리 이외의 카테고리에 속하는 각 용어와, 각 용어를 포함하는 부분 명칭을 제2 언어로 표기하는 경우의 상기 부분 명칭에 포함되는 각 카테고리에 각각 속하는 용어의 나열순을 규정하는 서브 템플릿을 관련짓는 제3 마스터가 더 기억되고,
    상기 서버가,
    상기 특정에 있어서, 상기 제3 마스터에 있어서, 선택된 상기 기간 카테고리 이외의 카테고리에 속하는 용어에 관련지어진 상기 서브 템플릿을 특정하며,
    특정된 상기 서브 템플릿에서 규정된 나열순으로 상기 선택된 용어 중 상기 서브 템플릿에서 규정된 용어의 제2 언어로의 표기를 나열하는, 제어 방법.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마스터에 있어서, 특정의 상기 용어에는, 상위 용어가 관련지어져 있고,상기 특정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용어에 상기 템플릿이 관련지어져 있지 않을 때, 상기 선택된 용어에 관련지어진 상기 상위 용어에 관련지어진 상기 템플릿을, 상기 선택된 용어에 관련지어진 상기 템플릿으로서 특정하는, 제어 방법.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마스터 또는 상기 제2 마스터에 있어서, 상기 용어마다, 각 용어와 함께 선택 가능한, 다른 카테고리에 속하는 용어가 관련지어져 있고,
    상기 서버는, 상기 선택 데이터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용어와 함께 선택 가능한 용어 이외의 용어의 선택을 금지하는, 제어 방법.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간 카테고리는 조리 방법이고, 상기 기간 카테고리 이외의 카테고리는 식자재 또는 조미료인, 제어 방법.
  8. 기억부 및 단말과 접속 가능한 서버로서,
    상기 기억부에는,
    복수의 카테고리마다, 각 카테고리에 속하는 복수 용어 각각의 제1 언어로의 표기와 제2 언어로의 표기를 관련짓는 제1 마스터와,
    상기 복수의 카테고리 중 기간 카테고리에 속하는 복수의 용어와, 각 용어를 포함하는 명칭을 제2 언어로 표기하는 경우의 상기 명칭에 포함되는 각 카테고리에 각각 속하는 용어의 나열순을 규정하는 템플릿을 관련짓는 제2 마스터가 기억되고,
    상기 기간 카테고리에 속하는 용어 및 상기 기간 카테고리 이외의 카테고리에 속하는 용어를 상기 제1 언어에 의하여 상기 단말의 유저에게 선택시키기 위한 선택 데이터를 상기 단말에 송신하는 선택 데이터 송신부와,
    선택된 상기 기간 카테고리에 속하는 용어 및 상기 기간 카테고리 이외의 카테고리에 속하는 용어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제2 마스터에 있어서, 선택된 상기 기간 카테고리에 속하는 용어에 관련지어진 상기 템플릿을 특정하는 템플릿 특정부와,
    특정된 상기 템플릿에서 규정된 나열순으로, 상기 제1 마스터로부터 취득되는 상기 선택된 용어의 제2 언어로의 표기를 나열함으로써, 상기 선택된 용어를 포함하는 명칭의 제2 언어로의 표기를 생성하는 표기 생성부와,
    생성된 상기 명칭의 제2 언어로의 표기를 상기 단말에 송신하는 표기 송신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9. 기록 매체에 저장된 서버의 제어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서버는 기억부 및 단말과 접속 가능하고,
    상기 기억부에는,
    복수의 카테고리마다, 각 카테고리에 속하는 복수 용어 각각의 제1 언어로의 표기와 제2 언어로의 표기를 관련짓는 제1 마스터와,
    상기 복수의 카테고리 중 기간 카테고리에 속하는 복수의 각 용어와, 각 용어를 포함하는 명칭을 제2 언어로 표기하는 경우의 상기 명칭에 포함되는 각 카테고리에 각각 속하는 용어의 나열순을 규정하는 템플릿을 관련짓는 제2 마스터가 기억되고,
    상기 서버에,
    상기 기간 카테고리에 속하는 용어 및 상기 기간 카테고리 이외의 카테고리에 속하는 용어를 상기 제1 언어에 의하여 상기 단말의 유저에게 선택시키기 위한 선택 데이터를 상기 단말에 송신하며,
    선택된 상기 기간 카테고리에 속하는 용어 및 상기 기간 카테고리 이외의 카테고리에 속하는 용어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2 마스터에 있어서, 선택된 상기 기간 카테고리에 속하는 용어에 관련지어진 상기 템플릿을 특정하며,
    특정된 상기 템플릿에서 규정된 나열순으로, 상기 제1 마스터로부터 취득되는 상기 선택된 용어의 제2 언어로의 표기를 나열함으로써, 상기 선택된 용어를 포함하는 명칭의 제2 언어로의 표기를 생성하고,
    생성한 상기 명칭의 제2 언어로의 표기를 상기 단말에 송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에 저장된 서버의 제어 프로그램.
KR1020197021812A 2018-01-19 2018-01-19 서버의 제어 방법, 서버, 및 서버의 제어 프로그램 KR2019009929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8/001656 WO2019142334A1 (ja) 2018-01-19 2018-01-19 サーバの制御方法、サーバ、およびサーバの制御プログラ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9299A true KR20190099299A (ko) 2019-08-26

Family

ID=67144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1812A KR20190099299A (ko) 2018-01-19 2018-01-19 서버의 제어 방법, 서버, 및 서버의 제어 프로그램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10224489A1 (ko)
EP (1) EP3742311A1 (ko)
JP (1) JP6537756B1 (ko)
KR (1) KR20190099299A (ko)
CN (1) CN110291521A (ko)
SG (1) SG11201906995UA (ko)
TW (1) TWI683227B (ko)
WO (1) WO2019142334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94857A (ja) 2014-03-31 2015-11-05 株式会社Creative Fantasy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7182355A (ja) 2016-03-29 2017-10-05 株式会社ぐるなび メニュー生成システム、メニュー生成方法及びメニュー生成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9748B1 (ko) * 2005-10-31 2007-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Xml 문서를 이용한 디바이스 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
US8407040B2 (en) * 2008-02-29 2013-03-26 Sharp Kabushiki Kaisha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method and program
JP5952479B1 (ja) * 2014-09-30 2016-07-13 株式会社ぐるなび メニュー生成システム
CN105069001A (zh) * 2015-06-22 2015-11-18 张云鹏 计算机辅助翻译方法
JP5981616B1 (ja) * 2015-07-28 2016-08-31 株式会社富士通ビー・エス・シー 料理内容提供方法、情報処理装置および料理内容提供プログラム
JP6704278B2 (ja) * 2016-03-29 2020-06-03 株式会社ぐるなび メニュー情報提供システム、メニュー情報提供制御プログラム及びその方法
JP6790413B2 (ja) * 2016-03-29 2020-11-25 株式会社ぐるなび メニュー生成システム、メニュー生成方法及びメニュー生成プログラム
JP6261639B2 (ja) * 2016-03-29 2018-01-17 株式会社ぐるなび メニュー生成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94857A (ja) 2014-03-31 2015-11-05 株式会社Creative Fantasy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7182355A (ja) 2016-03-29 2017-10-05 株式会社ぐるなび メニュー生成システム、メニュー生成方法及びメニュー生成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G11201906995UA (en) 2019-09-27
US20210224489A1 (en) 2021-07-22
TW201933139A (zh) 2019-08-16
TWI683227B (zh) 2020-01-21
JPWO2019142334A1 (ja) 2020-01-23
CN110291521A (zh) 2019-09-27
WO2019142334A1 (ja) 2019-07-25
EP3742311A1 (en) 2020-11-25
JP6537756B1 (ja) 2019-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253422A1 (en) Providing Search Results based on Execution of Applications
JP2017182353A (ja) メニュー生成システム、メニュー生成方法及びメニュー生成プログラム
JP6635843B2 (ja) メニュー生成システム、メニュー生成方法及びメニュー生成プログラム
WO2017168241A1 (en) Menu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menu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menu information providing program
JP6261639B2 (ja) メニュー生成システム
JP6537756B1 (ja) サーバの制御方法、サーバ、およびサーバの制御プログラム
JP6219001B2 (ja) サーバ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WO2019030942A1 (ja) 制御方法、サーバ及び制御プログラム
KR20200042510A (ko) 메뉴 생성 시스템, 메뉴 생성 방법, 및 메뉴 생성 프로그램을 저장한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
JP6866615B2 (ja) メニュー生成システム、メニュー生成方法及びメニュー生成プログラム
JP6798387B2 (ja) 多言語変換システム、多言語変換方法及び多言語変換プログラム
JP7040291B2 (ja) サーバの制御方法、サーバ、およびサーバの制御プログラム
JP2019169097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7188109A (ja) 制御方法、サーバ及び制御プログラム
WO2018172883A1 (e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information providing program
JP6203464B1 (ja) 制御方法、サーバ及び制御プログラム
JP2020135354A (ja) サーバの制御方法、サーバ、およびサーバの制御プログラム
JP2020035492A (ja) メニュー情報提供システム、メニュー情報提供制御プログラム及びその方法
JP4204609B2 (ja) ウェブテキスト抽出結果生成システム、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18165907A (ja) 用語変換システム、用語変換方法及び用語変換プログラム
JP2012083887A (ja) 変換制御装置、情報処理装置、文字変換方法、プログラム及び文字変換用のデータ構造
JP2007058289A (ja) サーバコンピュータ及び情報リンク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