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9142A - 주 보어홀로부터 분기되는 횡방향 오목부들을 디버링하기 위한 디버링 공구 - Google Patents

주 보어홀로부터 분기되는 횡방향 오목부들을 디버링하기 위한 디버링 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9142A
KR20190099142A KR1020190018130A KR20190018130A KR20190099142A KR 20190099142 A KR20190099142 A KR 20190099142A KR 1020190018130 A KR1020190018130 A KR 1020190018130A KR 20190018130 A KR20190018130 A KR 20190018130A KR 20190099142 A KR20190099142 A KR 201900991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burring
knife
cutting
edges
t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8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9788B1 (ko
Inventor
해리 스튜더
Original Assignee
허윌레 베르크쩌윅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윌레 베르크쩌윅 아게 filed Critical 허윌레 베르크쩌윅 아게
Publication of KR201900991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91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97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97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51/00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51/10Bits for countersinking
    • B23B51/105Deburring or countersinking of radial h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51/00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51/10Bits for countersinking
    • B23B51/101Deburr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3/00Milling particular work; Special milling operations; Machines therefor
    • B23C3/12Trimming or finishing edges, e.g. deburring welded cor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5/00Milling-cutters
    • B23C5/02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ut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5/00Milling-cutters
    • B23C5/16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other than shape
    • B23C5/20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other than shape with removable cutte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 B23C5/22Securing arrangements fo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 B23C5/24Securing arrangements fo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79/00Methods, machines, or devices not covered elsewhere, for working metal by removal of material
    • B23D79/02Machines or devices for scraping
    • B23D79/04Machines or devices for scraping with rotating cutting-tool, e.g. for smoothing linings of b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20/00Details of turning, boring or drilling processes
    • B23B2220/08Debur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51/00Details of 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2251/14Configuration of the cutting part, i.e. the main cutting e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10/00Details of milling cutters
    • B23C2210/04Angles
    • B23C2210/0407Cutting ang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10/00Details of milling cutters
    • B23C2210/08Side or top views of the cutting edge
    • B23C2210/084Curved cutting e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10/00Details of milling cutters
    • B23C2210/12Cross section of the cutting e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20/00Details of milling processes
    • B23C2220/20Debur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45/00Details of adjusting inserts or bits in the milling cutter

Abstract

주 보어홀(2)로부터 분기되는 횡방향 오목부들(3, 3a-i)의 에지들을 디버링하기 위한 디버링 공구(7)로서,
디버링 공구(7)는, 주 보어홀 내로 전방 이송 방향으로 전개 및 수축 가능한, 공구 축선(11)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동되는 샤프트(8, 9)로 구성되며, 그리고 샤프트의 하부 단부 상에, 적어도 하나의 나이프 윈도우(26)가 배열되고,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장착 나이프(10, 10', 10'', 10''', 10'''')가 전환 가능하도록 공구 축선(11)에 대략 수직으로 배열되며, 그의 전방 단부에서, 횡방향 오목부(3, 3a-i)의 에지를 만나며 이 에지를 디버링하는 적어도 하나의 절삭날(10a, 10b)을 가지며,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장착 나이프(10, 10', 10'', 10''', 10'''')는 좌우 통로들(12, 13)에 대해 균등하게 절삭하도록 작동하는 회전 방향(12, 13)으로 반대에 있는 2 개의 절삭날들(10a, 10)로 구성되며,
하나의 절삭날(10a)은 전진 운동(38a) 및 후진 운동 양자 모두에서 우측 통로(12)를 절삭하도록 구성되며, 다른 절삭날(10b)은 전진 운동(38a) 및 후진 운동 양자 모두에서 좌측 통로(13)를 절삭하도록 구성되며,
자신의 절삭날들을 갖는 2 개의 커터들(10a, 10b)이, 비스듬히 그리고 공구 축선(11)에 대해 그리고 이에 따라 주 보어 구멍(2)의 종축(2a)에 대해 0°내지 90°,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5°내지 45°의 각도로 아치 형상을 갖게 배치된다.

Description

주 보어홀로부터 분기되는 횡방향 오목부들을 디버링하기 위한 디버링 공구 {DEBURRING TOOL FOR DEBURRING TRANSVERSE RECESSES THAT BRANCH FROM A MAIN BOREHOLE}
본 발명은 특허 청구범위 제1 항의 전제부에 따른 주 보어홀(main borehole)에서 횡방향 오목부들을 디버링하기 위한 디버링 공구(deburring tool)에 관한 것이다.
WO 20161135283 A1의 목적으로, 이러한 디버링 공구가 알려져 있으며, 이는 절삭날의 제1 절삭 세그먼트(first cutting segment) 및 절삭날의 제2 절삭 세그먼트가 존재하고, 이들은 절삭날의 특정 단부 영역 상에 배열되며, 제1 절삭 세그먼트는 제1 쐐기각(first wedge angle)을 갖고, 제2 절삭 세그먼트는 제2 쐐기각을 가지며, 2 개의 쐐기각들은 서로 공간적으로 오프셋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알려진 디버링 공구의 단점은 주 보어홀과 교차하는 횡방향 오목부들의 오목부 에지들의 디버링이 충분히 성공적이지 않다는 것인데, 왜냐하면 절삭날들이 주 보어홀의 종축에 대해 비스듬히 설정되지 않으므로, 이에 따라 주 보어홀과 교차하여 그 안으로 진행하는 오목부 에지들의 영역에서 페어링(paring) 단계를 적용하지 않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드릴링 또는 밀링 공구에 의해 배출된 버어들(burrs)에 대한 페어링 절삭 제거 단계는 발생하지 않고, 오히려 불리한 것으로 인식되는, 디버링될 횡방향 오목부의 에지들에 채터 마크들(chatter marks)을 발생시키는 충격 운동만이 발생한다.
알려진 디버링 공구는 또한 디버링을 수행하기 위해 우측 및 좌측 통로들에서 작동될 수도 있다.
따라서, 오목부의 제1 에지는 공구의 우측 통로에서 디버링되어야 하고, 동일한 오목부의 반대에 있는 에지는 공구의 좌측 통로에서 디버링되어야 하며, 이는 노동 비용 증가를 포함한다는 단점이 있다.
DE 25 25 872 B2에서는, 보어홀들의 개구 에지의 절삭 제거 가공을 위한 다른 디버링 공구가 알려져 있으며, 여기서 샤프트 상의 반경 방향 홈에 의해 유지되는 이동 가능한 절삭 본체 배열체와 함께 회전 구동 샤프트가 존재하고, 적어도 2 개의 쐐기 형상의 커터들(wedge-shaped cutters)이 서로 반대에 배치되며, 여기서 별도의 커터 본체들 상에 배열된 커터들은 샤프트의 나이프 윈도우(knife window)에서 반경 방향으로 스프링-로딩 방식으로 안내된다.
이러한 디버링 공구는 주 보어홀에서 보어홀들의 디버링을 위해서만 적합하고, 주 보어홀에 대해 횡방향으로 진행하는 횡방향 오목부들의 원주 방향 에지들의 디버링을 위해서는 적합하지 않다.
공보들 DE 2525872 B2, DE 2559145 A1 및 DE 2649208 C3에 언급된 발명들은 본 발명에 고유한 이에 대한 목적 및 해결책에 대한 표시를 제공하지 않는다.
이러한 모든 보호 권리들에서, 절삭 기하학은 주 보어홀에 인접하는 횡방향 오목부들의 디버링에 적합하지 않다:
a) 커터들은 하나의 회전 방향(원칙적으로 우측 방향)에서만 작용하며, 횡방향 오목부 에지들이 원주 방향 방식으로(circumferential fashion) 디버링되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다.
여기에 표시된 모든 블레이드들은 좌측 통로에서 절삭으로서 특징되지 않는 클리어런스 각도(clearance angle)를 나타낸다.
b) 본 발명과는 대조적으로, 절삭날들은 전체적으로 볼록하고 아치 형상으로 구성되지 않으며, 이는 나이프를 횡방향 오목부 외부로 동시에 가압하여 페어링 절삭을 방지한다.
DE 2525872 B2 및 DE 2559145 A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삭날들의 형상은 디버링이 주 보어홀에서 외측으로 발생하는 경우, 횡방향 오목부들의 디버링에 사용될 때 나이프가 파손되는 것을 불가피하게 초래한다.
DE 2649208 C3은 관통 진행 보어홀의 에지들의 디버링을 언급한다; 그러나, 이런 형태의 나이프는 마찬가지로 위에서 언급한 단점들을 나타낸다. 또한, 이 공보에서, 나이프들은 직경 방향으로 반대에 있는 방식으로 작용하고, 로커(rocker)를 통해 운동학적으로 결합된다. 이것은 횡방향 오목부의 반대에 있는 주 보어홀 벽 상의 나이프가 글라이딩 표면(gliding surface)에 인접하게 되고, 이러한 기계적 커플링을 통해, 다른 나이프가 횡방향 오목부 내로 관통하는 것을 방해하게 추가의 단점에 이르게 한다. 가장 좋은 경우에 이러한 종류의 관통 디버링은 주 보어홀 벽의 높이에서 버어가 분리되도록 하며, 버어의 일부는 횡방향 오목부 내로 실제로 가압되며, 디버링은 불완전하다.
따라서, WO 2016/135283 A1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초기에 언급된 유형의 디버링 공구를 추가로 개발하여, 주 보어홀과 교차하는 횡방향 오목부의 오목부 에지들에서의 디버링 품질이 더 좋아지고, 디버링이 더 신속하게 하는 것이다.
설정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청구범위 제1 항의 기술적 교시를 특징으로 한다.
종래의 디버링 공구들의 단점들은 신규한 절삭 형상에 의해 제거된다.
이로부터, WO 2016/135283 A1에 따른 종래 기술과 대조되는, 주 보어홀로부터 진행하는 횡방향 오목부들의 디버링이 발생할 수 있다는 장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나이프가 좌우 통로들에 대해 균등하게 절삭하도록 작용하는, 회전 방향으로 반대에 있는 2 개의 절삭날들로 구성되며, 하나의 절삭날은 우측 통로를 위해 구성되고 다른 절삭날은 좌측 통로를 위해 구성되며, 그리고 자신의 절삭날들을 갖는 2 개의 커터들이 비스듬히 설정되고 그리고 공구 축선에 대해 그리고 이에 따라 주 보어홀의 종축에 대해 0° 내지 90°,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5° 내지 45°의 각도로 자신의 절삭날들을 갖는 아치 형상을 갖는다.
주어진 기술적 가르침에 의해, 비스듬한 아치 형상의 절삭날들로 인해 ― 수직 절삭 표면들이 존재하는 종래 기술과는 대조적으로 ― 이제 서로 반대에 있는 본 발명에 고유한 절삭날들은 횡방향 오목부의 오목부 에지들을 따라 페어링 절삭을 수행한다. WO 2016/135283 A1에서와 같이, 절삭날들이 전체적으로 커브형이고 연속적으로 구성되며, 세그먼트들로 분할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연속적"이라는 용어는 특정 절삭날이 일정하게 볼록한 상태로 연장되고 절삭 나이프의 전체 절삭 표면에 걸쳐 ― 바람직하게는 그것의 측벽에 걸쳐 ― 아치 형상이며 세그먼트화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아치 형상의 (볼록한) 구성으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횡방향 오목부의 원주 에지 상의 금속 버어들을 샤프트의 특정 각도 회전을 갖는 특정 위치에서 노킹 오프(knock off)하기 위해 대략 중앙 정점 또는 정점 구역이 형성된다. 전체적으로 연속적으로 구성되는 아치 형상의 볼록한 절삭날들은 나이프가 횡방향 오목부의 에지들 상에서 연속적으로 이를 따라 진행하고, 샤프트의 짧은 각도 회전 운동으로 인해 횡방향 오목부의 특정 원주 영역에 존재하는 버어들을 페어링 절삭에 의해 제거할 수 있게 한다.
공구 샤프트는 회전하도록 구동되고, 주 보어홀의 중심 축선에서 축 방향으로 중심으로, 또는 또한 편심으로 이동하며, 바람직한 전진 속도는 분당 600 mm이다.
주 보어홀 내로 공구 샤프트의 편심 삽입(주 보어홀의 중앙 중간 축선 외부에서 그리고 주 보어홀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오프셋됨), 및 이에 상응하는 디버링 공정이 마찬가지로 가능하다. 사실, 주 보어홀의 원주 상의 횡방향 오목부의 반경 방향으로 제한된 세그먼트 영역에만 도달하고 디버링할 수 있으며, 이는 특정 적용 분야들에서 바람직할 수 있다.
그러나, 보다 간단한 설명을 위해, 하기 명세서에서는 주 보어홀 내로 중심에 삽입된 디버링 공구로부터 진행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샤프트는 연속적으로 회전하고, 1 r.p.m 내지 1000 r.p.m 범위의 회전 속도로 회전한다.
이러한 디버링 공구들은 바람직하게는 주 보어홀들의 직경들이 4 mm 내지 30 mm 범위인 주 보어홀의 내부 벽들 상의 횡방향 오목부들의 디버링에 사용된다. 이러한 디버링 공구의 축 방향 길이는 50 mm 내지 350 mm의 범위이다.
하나의 나이프 또는 복수의 나이프들은 주 보어홀의 보어 직경에 걸쳐 0.25 mm 내지 0.50 mm 및 나이프 윈도우 외부 직경을 넘어 반경 방향으로 돌출하며, 이러한 양만큼 주 보어홀 내로 삽입되면, 스프링-로딩되고 디버링 공구의 특정 나이프 윈도우 내로 다시 가압되고, 그 후, 주 보어홀의 내부 벽의 횡방향 오목부에 도달할 때, 나이프 윈도우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가압되어, 이에 따라 횡방향 오목부의 원주 방향 에지들을 디버링한다. 따라서, 0.25 내지 0.5 mm의 크기 데이터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나이프들의 반경 방향 작동 스트로크이다.
주 보어홀의 원주 영역 상의 특정 위치에서 제1 디버링이 발생하는 제1 각도 회전 운동을 수행한 후, 공구 샤프트는 샤프트의 제2 짧은 각도 회전 운동에 의해 동시 축 방향 전방 시프트와 함께 더 이동하고, 따라서 디버링 나이프들은 횡방향 오목부의 에지로부터 리프트되고, 주 보어홀 벽의 원주 상의 다른 위치에서 샤프트가 횡방향 오목부 내로 더 회전 운동함으로써 이동하여, 횡방향 오목부의 에지 상의 이 추가적인 위치에서 제2 디버링 동작에서 거기에 존재하는 버어들을 제거한다.
종래 기술에 따라, 디버링 공구의 절삭날이 세그먼트화된 경우, 횡방향 오목부로부터 절삭 나이프를 제거하는데 있어서 제한된 성공이 있게 되는데, 왜냐하면 세그먼트들이 가능하게는 횡방향 오목부의 이미 디버링된 오목부 에지들을 다시 재형성하고 회피되어야 하는, 금속 재료로부터 새로운 금속 버어들을 노킹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WO 20161135283 A1에 따른 제1 및 제2 쐐기각의 배열에 관해서는 도시되지 않으며, 마찬가지로 그들 사이에 놓이는 클리어런스 각도도 도시되지 않는데, 왜냐하면 이상적인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제어 표면은 공구 축선에 대해 90°로 배향되어야 하므로, 절삭날들은 아치 전체에 걸쳐 동시에, 우측 및 좌측 통로들에 대해 연속적으로 절삭 동작들을 수행하기 때문이다.
주 보어홀로부터 진행하는 디버링 방법은, 종래 기술에서 알려진 바와 같이, 나이프 상의 클리어런스 각도를 제거하는데, 왜냐하면 절삭날의 위치 결정 및 디버링 윤곽으로부터의 클리어런스 각도는 절삭 각도(25)에 상응하여 발생하기 때문이다.
종래 기술에서와 같은, 제3 절삭 세그먼트도 또한 제거된다. 이러한 제3 절삭 세그먼트의 존재는, 주 보어홀을 기반으로 하는 본 발명에 고유한 디버링 공정에 의해, 아크 커터의 일정한 운동 시퀀스를 방해할 것이고, 따라서 나이프를 절삭으로부터 제거하고 디버링 품질을 손상시킬 것이다.
또한 디버링은 주 보어홀로부터 주 보어홀과 교차하는 횡방향 오목부들의 영역에서 발생하며, 반대로 ― 종래 기술의 경우와 같이 ― 가공되지 않은 주 보어홀의 방향으로 횡방향 오목부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진행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여기에 종래 기술과의 차이가 있는데, 왜냐하면 종래 기술은 횡방향 오목부들의 오목부 에지들을 디버링하는 반면, 본 발명은 거기에서 절삭되는 횡방향 오목부의 오목부 에지들의 방향으로 주 보어홀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디버링 작용을 수행하기 때문이다.
언급된 공보가 또한 반경 방향으로 부착된 횡방향 오목부의 방향으로 주 보어홀로부터 외측으로 디버링하는 것을 설명하는 것은 사실이지만, 그러나 이는 세그먼트화된 절삭 요소로만 만들어지므로, 이는 주 보어홀과 교차하는 오목부 에지들이 손상될 위험이 있다.
나이프의 절삭날은 연속적이고 일정하게 구성되며, 서로로부터 공간적으로 변위되는 2 개의 절삭날들로 세분되지 않는 것이 유리하다.
서로로부터 공간적으로 변위되는 종래 기술의 절삭날들은 좌측 통로에서의 제1 디버링 및 우측 통로에서의 제2 디버링을 전제로 하며, 이는 본 발명이 회피하는 바로 그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직경 방향으로 반대에 있는 2 개의 절삭날들은 우측 및 좌측 통로 모두에서 동시에 절삭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은 다수의 실시예 경로로 도시된 도면을 사용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된다. 동일한 도면 및 설명에 기초하여, 본 발명에 필수적인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장점이 유도된다.
도 1은 버어들이 주 보어홀로부터 외측으로 제거될 수 있는 방법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2는 제2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3은 제3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4는 제4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디버링 공구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도 5의 디버링 공구를 통한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디버링 나이프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도 7을 90° 회전시켜, 절삭날을 위에서 내려다 본 도면을 도시한다.
도 9는 디버링 나이프를 90° 더 회전시킨 도면을 도시한다.
도 10은 쉐이빙 각도(shaving angle)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도 9에 대해 회전된 도면을 도시한다.
도 11은 추가의 특징을 갖는 절삭 나이프의 공간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2는 서로 평행한 2 개의 디버링 나이프들을 갖는 공구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3은 2 개의 개별 나이프들이 서로에 대해 연속적으로 놓이도록 배열된 도 12에서 변경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4는 횡방향 오목부의 오목부 에지들을 디버링할 때 디버링 나이프의 디버링 공정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5는 도 14의 원통형 보어홀 대신에, 이제 세장형 오목부가 디버링되는 도 14로부터 변경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6은 공작물의 횡방향 오목부의 도면으로서, 예를 들어 WO 2016/135283 A1에 따라 종래 기술의 주 보어홀에 배열된 나이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7은 공작물의 횡방향 오목부의 도면으로서, 본 발명에 따라 주 보어홀에 배열된 나이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임의의 형태 및 각도로 교차하거나 또는 관통하는 주 보어홀(2)을 따라 공작물(1)의 주 보어홀(2)에 의해 그들의 오목부 에지들(4)의 영역에서 임의의 오목부들(3)이 디버링된다.
디버링 공구(7)는 주 보어홀(2)을 통해 작동하는데, 즉 나이프(10)는 주 보어홀(2)로부터 오목부들(3) 내로 외측으로 진행하도록 작동한다.
이러한 디버링 작업의 주요 특징은 오목부 에지들(4)이 주 보어홀(2)의 실린더 상에 항상 배열되고 이와 교차하며, 이에 따라 주 보어홀(2)을 통해 작동하는 디버링 공구(7)에 항상 도달할 수 있다는 것이다.
자동차 및 기계 공학 분야들의 매우 많은 공작물들은 소위 주 보어홀들(2)을 가지며, 이 주 보어홀들에는 복수의 측방향의, 소위 보조 보어홀들(3) 또는 보조 오목부들이 관통한다. 이들은 예를 들어 밸브 하우징들, 구동 장치 및 출력 샤프트들 및 많은 다른 것들이 있다. 이러한 공구 컨셉의 장점은 주 보어홀(2)을 통해 작동한다는 것인데, 이 주 보어홀에 인접한 모든 오목부들(3)은 회전 구동된(rotationally driven) 디버링 공구(7)와 직렬로 디버링 공구의 전진 운동으로 디버링될 수 있다.
이러한 오목부들의 예들이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오목부들(3)은 오목부 축선(3a)이 주 보어홀 축선(2a)에 대해 90°의 각도(5)로 진행하고 주 보어홀(2)을 통해 관통하는 횡방향 오목부들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주 보어홀 축선(2a)에 대해 오프셋되어 진행하는 오목부들(3d)도 또한 있다. 주 보어홀 축선(2a)에 대해 오프셋되어 진행하는 오목부들(3d)도 또한 있다. 마찬가지로 오목부들(3c)은 주 보어홀(2)을 오프셋 방식으로 완전히 관통하여, 이에 따라 이들을 통해 외부로 연장된다.
오목부들의 가능한 형상들의 다른 예들이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추가의 오목부들(3c)은 세장형 홀들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오목부 축선들(3a)은 주 보어홀 축선(2a)에 대해 5 내지 90°의 각도로 놓여 있다. 마찬가지로, 세장형 홀 오목부들(3f)이 존재하고, 그 오목부 포지션(3b)은 주 보어홀 축선(2a)에 평행하기까지의 임의의 각도(6)로 진행한다.
오목부들의 가능한 형상들의 다른 예들이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오목부들(3g)은 횡방향 보어홀들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오목부 축선들(3a)은 주 보어홀 축선(2a)에 대해 임의의 각도(5)로 평행하게까지 진행하고, 주 보어홀(2)을 관통한다.
오목부들의 가능한 형상들의 다른 예들이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오목부들(3h)은 주 보어홀(2)을 90°로부터 평행하게까지의 각도로 관통하는 밀링된 홈들의 형태일 수 있다. 다른 오목부들(3i)은 직선 진행 종축들이 주 보어홀(2)에 평행하거나 또는 임의의 각도로 놓이는 슬롯 홈들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디버링 작업들 및 옵션들을 묘사한 후, 도 1 내지 도 4를 채용하여, 이하에서 디버링 공구의 주요 특징들이 간략하게 요약된 형태로 제시된다:
1. 우측 통로들(12) 및 좌측 통로들(13)에 대해 작용하는, 회전 방향으로 반대에 있는 2 개의 절삭날들(10a, 10b)을 갖는 나이프(10)는 공구 축선(11)에 대해 0° 내지 90°의 범위,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5° 내지 45° 범위의 각도(14)에 대해 비스듬히 설정된다.
2. 2 개의 절삭날들(10a, 10b)은 2 개의 반대에 있는 칩핑 함몰부들(15a, 15b) 및 아치 형상의 제한 제어 표면(16)으로 형성된다.
3. 제어 표면(16)의 배향(17)은 공구 축선(11)에 직교한다.
4. 제1 가능한 변형예: 우측 통로들(12) 및 좌측 통로들(13)에 대해 작용하는, 회전 방향으로 반대에 있는 2 개의 절삭날들(10a 및 10b)은 공구 축선(11)에 대해 0° 내지 5°의 슬랜트(slant)(14)로 설정된다.
5. 제2 가능한 변형예: 제어 표면의 배향(17)은 공구 축선(11)에 대해 70° 내지 90°로 정의된다.
6. 글라이딩 표면(21)이 제어 표면(16)의 정점에 부착되고, 주 보어홀(2)의 직경의 절반 이하의 반경(22)을 갖는다. 이것에 의해, 보어홀 벽이 정점에서 절삭날들에 의한 텍스처링으로부터 보호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7. 2 개의 반대에 있는 칩핑 함몰부들(15a, 15b) 사이의 거리는 바람직하게 0.2 mm 내지 1 mm이다.
8. 2 개의 반대에 있는 칩핑 함몰부들(15a, 15b)의 칩핑 각도(20)는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20°의 각도를 갖는다.
9. 제어 표면(16)의 아치 반경(19)은 절삭 각도(25)가 최대 45°가 되도록 치수가 정해지고, 이에 따라 특정 작용하는 절삭날(10a 또는 10b)은 나이프(10)를 오목부 에지(4)를 따라 반경 방향으로 방향(24)으로 나이프 윈도우(27) 내로 삽입시킨다.
10. 리바운드 포지션에 있는 나이프(10)의 정점은 제어 표면(16)의 아치 높이(18)의 양만큼 주 보어홀(2)의 직경에 걸쳐 최대 반경 방향으로 돌출한다.
11. 본 발명은 또한 주 보어홀(2)을 따른 임의의 형상의 오목부들(3)을 주 보어홀의 종방향 측면 통과(longitudinal-side passage)에 의해 우선 우측 통로(12)에서만, 두 번째로 좌측 통로(13)에서만 디버링하기 위한 방법을 청구한다.
12. 추가적으로 본 발명은 주 보어홀(2)을 따른 임의의 형상의 오목부들(3)을 주 보어홀의 종방향 측면 통과에 의해 초기에 좌측 통로(13)에서 그리고 그 후 우측 통로(12)에서 또는 그 반대로, 초기에 우측 통로(12)에서 그리고 그 후 이를 따라서 좌측 통로(13)에서 디버링하기 위한 방법을 청구한다.
13. 페어링을 위해 작용하는 절삭 동작(23)은 나이프(10)를 반경 방향으로 방향(24)으로 나이프 윈도우(27) 내로 시프트시키고 그의 오목부 에지들을 디버링한다.
14. 2 개의 반대에 있는 절삭날들(10a 및 10b)은 양 측면들로부터 버어를 제거하고, 오목부(3, 3a-i)의 중심으로부터 오목부 에지들(4)의 방향으로 진행한다.
15. 2 개의 반대에 있는 절삭날들(10a, 10b)은 양 측면들로부터 버어를 제거하고, 오목부 에지들(4)의 외부로부터 오목부 중심 방향으로 진행한다.
도 5는 디버링 공구의 제1 실시예의 사시도 실시예를 도시하며, 여기서 화살표 방향들(12, 13)로 원하는 대로 회전하도록 구동될 수 있는, 회전하도록 구동되는 샤프트(9) 상에는 베이스 본체(8)가 부착되고, 그 앞의 전방 단부 상에는 나이프 윈도우(도 6 참조)가 존재하고, 이는 공구 축선(11)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배향된다.
나이프 윈도우(26)의 영역에, 본 발명에 따른 나이프(10)가 배열되며, 이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이프 윈도우(26)로부터 화살표 방향(29)으로 스프링-로딩 방식으로 반경 방향으로 취출되고 그리고 삽입될 수 있다.
압축 스프링(28)의 힘에 대해 취출이 행해지며, 이 압축 스프링은 제어 볼트(27) 상에 축 방향으로 가압하며, 그 하부 단부는 나이프(10)의 상부 측면 상의 제어 오목부(30) 내로 맞물림하는 제어 표면으로서 구성된다.
스프링-로딩 제어 볼트(27)의 자유 전방 단부는 나이프(10) 내의 제어 오목부(30) 내로 결합하고,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된 절삭 상태에서 스프링-로딩 방식으로 이를 유지한다. 따라서, 나이프(10)는 그의 활성, 절삭 작동 세팅에서 도 5 및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디버링 공구(7)가 주 보어홀(2) 내로 삽입될 때, 주 보어홀의 보어홀 벽들은 나이프(10)를 초기에 반경 방향으로 내측으로 나이프 윈도우(26) 내로 가압하여, 이에 따라 그것은 수동적이며 더 이상 절삭하지 않는다.
회전 구동되는 디버링 공구(7)가 보어홀(2) 내로 더 축 방향으로 진행할 때에만, 그것은, 회전하면서, 횡방향 오목부(3, 3a-3i)의 영역에 도달하고, 거기에서 횡방향 오목부들의 오목부 에지들의 영역에서, 디버링 공구(7)의 이송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디버링한다.
할당된 압축 스프링(28) 및 이에 의해 로딩되는 제어 볼트(27)에 의한 디버링 나이프(7)의 스프링-로딩 시프팅 대신에, 보유 또는 프리텐셔닝 수단이 또한 나이프(10)에 대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나이프는 도 6에 도시된 초기 포지션에서 압축 유체 또는 엘라스토머 압축 스프링의 도움으로 유지될 수 있으며,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라스토머 압축 스프링 또는 압축 유체 또는 일부 다른 프리텐셔닝 매체의 힘에 대항하여 작업 세팅 내로 가져오게 된다.
어떠한 경우에도 나이프(1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의 절삭 작동 세팅에서 프리텐셔닝 수단에 의해 스프링-로딩 방식으로 유지되고, 주 보어홀(2, 2a)에 진입할 때, 스프링 력에 의해 뒤로 항복하고, 프리텐셔닝 수단의 힘 하에서 주 보어홀(2, 2a)의 벽에 인접하는 횡방향 오목부(3, 3a-3i) 내로 진입할 때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활성 절삭 작동 포지션으로 시프트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이는 제어 볼트(27)와의 압축 스프링(28)의 이용에 의존하지 않고, 오히려 다른 프리텐셔닝 수단도 또한 화살표 방향들(29)로의 나이프(10)의 횡방향 시프팅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원통형 압축 스프링(28)은 또한 다른 유형들의 스프링들로 대체될 수 있다. 대신에, 예를 들어 나선형 스프링들, 컵 스프링들 또는 임의의 유압식 또는 공압식 프리텐셔닝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디버링 나이프(10)는, 주 보어홀(2)을 통과할 때 그리고 횡방향 오목부(3) 내로 초기 시작 진입 시에, 오목부 에지(4)의 시작부에 결합하고, 나이프(10)의 절삭날들의 본 발명에 따른 비스듬한 세팅에 기인한 페어링 절삭을 수행하며, 이를 통해, 동시에 회전하는 디버링 공구(7)의 축 방향 전방 이송으로 인해, 특정 횡방향 오목부에서 오목부 에지들의 점차적인 연속 디버링이 이루어지는 것이 중요하다.
예를 들어 디버링 공구(7)가 주 보어홀(2) 내로 회전 방향(12)으로 우측 통로에서 삽입되면, 이 경우 나이프(10)는 오목부 에지(4)의 양 측면들에서 우측으로 화살표 방향(29)으로 나이프 윈도우(26)로부터 그의 작동 세팅으로 결합된다.
원칙적으로 스프링-로딩된 나이프는 주 보어홀(2)의 내부 직경에 결합되고, 그것이 횡방향 오목부(3)의 영역에 도착하는 즉시, 에지 상에서 그 곳에서 발견되는 버어를 노킹 오프한다. 그 후, 나이프(10)는 횡방향 오목부 내로 낙하하고, 그의 비스듬한 절삭 표면에 의해 그것이 횡방향 오목부의 반대에 있는 에지까지 런업할 때까지, 나이프 윈도우(26)로부터 더 멀리 반경 방향으로 이송되며, 그 후 예를 들어 스프링(28)과 같은 구동 매체의 스프링 힘에 대항하여 다시 나이프 윈도우(26) 내로 푸시 백되고, 이 푸시 백 운동 중에 그것은 또한 횡방향 오목부의 반대에 있는 측면 상에서 횡방향 오목부 상의 버어를 페어링한다.
이는 예를 들어 회전 방향(12)으로 디버링 공구의 우측 통로를 갖는 공정이다.
대조적으로, 디버링 공구(7)가 회전 방향(13)으로 좌측 통로로 구동되면, 반대 공정이 발생하는데, 즉 횡방향 오목부(3)의 오목부 에지 상의 버어의 일 측면을 노킹 오프하는 대신에, 이제 다른 측면이 노킹 오프되고, 횡방향 오목부(3)의 오목부 에지의 반대에 있는 측면이 이제 페어링 절삭에 의해 제거된다.
따라서, 나이프는 양 측면들에서 본 발명에 따라 절삭하고, 종래 기술에서와 같이, 일 측면에 클리어런스 각도를 갖지 않고, 다른 측면에 절삭 표면을 갖지 않는다.
클리어런스 각도의 배열에 의해, 단점은 디버링을 위해 제공되는 나이프가 클리어런스 각도를 가지로 횡방향 오목부 내로 진입하고, 거기에서 디버링을 수행하지 않고, 오히려 단순히 거기에서 발견된 버어를 제거하지 않고 횡방향 오목부 내로 푸시한다.
이러한 이유로, 본 발명에 의해서는 양면 절삭을 하는 나이프(10)가 존재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상기 설명은 나이프의 절삭 표면이 전체 아크에 걸쳐 연장되고, 자유 비-절삭 중간 표면이 회피되는 것을 강조한다. 따라서, 항상 진행하는 절삭날(10a)(우측 통로용) 및 절삭날(10b)(좌측 통로용)은 디버링 나이프(10)의 전체 표면 상에서 절삭한다.
도 7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제어 볼트(27)가 결합하여 화살표 방향(31)으로 전체 나이프(10)를 프리텐션하는 제어 오목부(30)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 그러한 본 발명에 고유한 나이프(10)를 도시한다.
이러한 프리텐셔닝으로 인해, 나이프(1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의 활성 작동 포지션에 유지되고, 절삭날들(10a 또는 10b) 중 하나가 횡방향 오목부(3, 3a-3i)의 오목부 에지(4)에 도달할 때, 나이프 윈도우(26)의 그의 비활성 세팅으로 스프링 로딩에 의해 푸시 백된다.
2 개의 절삭날들이 서로 평행하고 서로 상호 거리를 갖고, 공구 축선(11)에 대해 비스듬한 절삭 각도(14)에서 평행하게 배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횡방향 오목부(3, 3a-3i)의 에지들의 영역에 페어링 절삭이 있고, 여기서 우측 통로에서 절삭 나이프(10)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되는 절삭날(10a)은 페어링 절삭을 수행하고, 좌측 통로(13)에서, 절삭 나이프(10)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되는 반대에 있는 평행한 절삭날(10b)은 횡방향 오목부(3, 3a-3i)의 반대에 있는 에지들 상에 페어링 절삭을 수행한다.
절삭날들(10a, 10b)은 중단되지 않는 방식으로 연장되고, 비스듬하며, 항상 나이프(10)의 측면 에지에 걸쳐 진행하며, 분할되거나, 중단되거나 또는 불연속으로 구성되지 않는 것이 유리하다.
그러나, 기술적인 이유들로, 절삭날들(10a, 10b)은 나이프(10)의 전체 측면에 걸쳐 연장되는 것이 아니고, 오히려, 생산 기술의 이유로 인해, 이들은 에지-측면 포지션(33)에서 시작하여, 아치 형상으로 연장하고, 서로 평행하며, 나이프(10)의 전체 측면에 걸쳐 상호 거리를 두고, 반대에 있는 에지-측면 포지션(34)으로 진행하고, 이는 나이프 본체의 단부 직전에 끝나고 거기에서 더 정확하게 정의되지 않은 종결 에지(32)로 전이한다.
이 종결 에지는 기능이 없으며, 제조상의 이유들로만 존재한다.
도 7 내지 도 9에 따르면, 서로 평행하게 진행하는 2 개의 절삭날들(10a, 10b) 사이에는, 볼록한 비-절삭 절삭 표면(16)이 배열되어 있다.
따라서, 양 절삭날들(10a 및 10b)은 도 9에 따라 비드 또는 아치 진행을 갖는 제어 표면(16)의 일부이며, 여기서 제어 표면(16)의 먼 측면 및 가까운 측면에서, 2 개의 절삭날들(10a, 10b)은 도 10에 따라 서로 거울 대칭으로 배열된다.
따라서, 2 개의 절삭날들(10a, 10b)은 도 9에서 인식되는 바와 같이 아치 형상으로 돌출되는 볼록한 제어 표면(16)의 일부이고, 절삭날들(10a, 10b)의 그라운드 섹션은 제어 표면(16)의 종축 및 대칭축에 수직인데, 즉 이것은 원통형 그라운드 섹션으로도 또한 지칭되는 직선형 그라운드 섹션이다.
이는 절삭날들(10a, 10b)이 대략 나이프(10)의 전체 측면 에지에 걸쳐 연장되어 서로 평행하게 그리고 상호 거리를 두고 배열되기 때문에, 도 7 내지 도 9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종래 기술과는 대조적이다.
따라서, 절삭날들(10a 및 10b)은 도 9에서 포지션(33)으로부터 포지션(34)으로 연장되는 그들의 전체 유효 길이에 걸쳐 절삭한다.
나이프의 후방 측면(35) ― 도 9의 비활성 표면 참조 ― 에는 기능이 전혀 없다.
본 발명의 다른 구성에서, 후방 측면(35)은 도 9에 따른 절삭날들(10a 및 10b)의 동일한 같은 배열로 구성되어, 결과적으로 공구 축선(11)에 대해 완전히 대칭인 (이중) 나이프(10)이지만, 그러나 이 경우 도 9에서 나이프(10)의 본체의 우측에 도시된 제어 오목부(30)는 또한 좌측 전방 측면(36) 상에 배열될 수 있어, 회전 나이프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는 도 9와 같이 180° 회전한 후, 후방 측면(35) 상의 반대에 있는 절삭 배열로 절삭할 수 있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여기에 설명된 간단한 나이프(10)는 이중 나이프로 구성될 수도 있고, 이는 전방 측면 상의 절삭날들(10a, 10b)에 마모가 발생한 후, 180도 회전될 수 있으므로, 후방 측면 상에 부착된 추가의 절삭날들(10a, 10b)이 사용될 수 있다.
종래 기술에서는, 본 발명이 가능하게 하는 그러한 회전하는 나이프들을 구성하는 것은 불가능했다.
도 7 내지 도 9의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지 하나의 절삭 측면(37)을 제공할 수 있고, 보다 상세하게 도시되지 않은 실시예의 변형예에서, 이러한 절삭 측면(37)은 반대에 있는 후방 측면(35) 상의 공구 축선(11)에 대해 거울 대칭으로 배열될 수 있는 것이 가능하다.
페어링 절삭을 획득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절삭 각도(14)가 90° 미만인 것이 제공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범위는 5° 내지 45°일 수 있다.
대조적으로, 종래 기술에서는, 절삭 각도(14)는 0도였는데, 즉 그것은 공구 축선에 평행하게 연장되어, 이는 본 발명에 따라 회피되어야 하는, 본 명세서의 도입부에서 이전에 언급된 충돌 절삭을 초래한다.
이러한 충돌 절삭은 평행하게 진행하는 오목부 에지들을 갖는 바람직하지 않은 방식으로만 발생할 수 있고, 비스듬한 오목부 에지들(4) 및 보어홀들에 의해서는, 그러한 충돌 절삭은 없다.
본 발명에 따라, 어떠한 경우에도 5° 내지 45° 사이의 범위로 절삭 각도를 배열하기 때문에 주 보어홀(2)을 따라 화살표 방향(31)으로 디버링 공구(7)를 연속적으로 이송하면서 오목부 에지(4)를 따른 절삭날들(10a 및 10b)의 페어링 작용이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필수적인 것은 도 5에 따른 디버링 공구(7)가 전방 이송 방향(38a), 및 역방향(38b) 모두에서 절삭 작용을 수행한다는 것이다.
도 1에 따르면, 이송 방향(38a)에서, 디버링 공구(7)가 주 보어홀(2)에 진입할 때, 예를 들어 전방 이송이 화살표 방향(38a)으로 우측 통로(12)에서 수행되고, 이것은 전진 방향으로 먼저 만나게 되는 오목부 에지(4a)가 후속적으로 우측 통로(12)에까지 디버링되고, 또한 인접한 오목부 에지들(4b)이 디버링되고, 횡방향 오목부들(3)의 영역에 모두 배열되는 추가의 오목부 에지들이 디버링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디버링 공구(7)가 이 경우 주 보어홀(2)을 통해 진행하면, 그것은 좌측 통로(화살표 방향 13)로 스위칭되고, 나이프(10)는 주 보어홀(2) 밖으로 화살표 방향(38a)과 반대 방향으로, 즉 화살표 방향(38b)으로 후퇴한다.
도 1의 경우는 아니지만, 반대에 있는 측면 상의 주 보어홀 축선(2a)에 대해 횡방향 오목부들(3)이 여전히 좌측 통로(회전 방향(13))에 존재한다면, 디버링 공구(7)가 주 보어홀(2)로부터 좌측 통로에서 화살표 방향(38b)으로 후퇴된다면, 주 보어홀 축선(2a)의 우측 상에 놓인 횡방향 오목부들도 마찬가지로 디버링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러나, 디버링 공구(7)가 화살표 방향(38a) 이송 방향으로 우측 통로(12)로 진입할 때, 또한 그들의 오목부 에지들(4)을 갖는 주 보어홀(2)의 우측 및 좌측에 위치하는 횡방향 오목부들(3)은 디버링되고, 주 보어홀의 좌측에 놓이는 횡방향 오목부들(3)은 아니라는 것이 강조된다.
서로 다른 디버링 작용은, 나이프가 보어홀(2)을 통해 우측 통로(12)에서 전진 방향(38a)으로 또는 좌측 운동(13)에서 후진 방향(38b)으로 당겨지는지 여부에 따라, 주 보어홀에 인접하여 이와 교차하는 보어홀의 경우에만 발생한다.
어쨌든, 이러한 횡방향 오목부들(3, 3a-i)이 주 보어홀(2)에 좌측 또는 우측에서 인접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주 보어홀(2) 상에 인접하는 모든 횡방향 오목부들(3, 3a-i)에 디버링 작용이 발생한다.
나이프(10)가 화살표 방향(38a)으로 우측 통로(12)로 진입하고 화살표 방향(38b)으로 좌측 통로로 빠져나가는 공정은 모든 횡방향 오목부들의 디버링 공정의 품질을 단지 개선시키며, 따라서 본 발명이 제한되지 않는 하나의 유리한 형태일 뿐이다.
따라서, 오목부들(3, 3a-i)이 좌측 또는 우측 또는 상부 또는 하부의 주 보어홀(2)에 인접하는지 여부에 의존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우측 통로에서만 제1 작동 모드로 또는 좌측 통로에서만 제2 작동 모드로 디버링되는 전방으로 향하는 그리고 후방으로 향하는 오목부 에지들(4a, 4b)만을 처리한다. 2 개의 작동 모드들 중 하나만을 실행하는 경우, 오목부들(3, 3a-i)의 에지들은 고르지 않게 디버링되지만,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을 손상시키지 않는다.
그러나, 디버링 공구(7)가 우측 통로에서 내측으로 그리고 좌측 통로에서 외측으로 진행하는 제3 작동 모드가 사용되는 경우, 모든 오목부들(3, 3a-i)의 모든 오목부 에지들(4a, 4b)은 균일하게 디버링된다.
그러나, 제1 작동 모드에 있어서, 화살표 방향(38b)으로 후방으로 진행하고 좌측 통로(13)가 생략되면, 모든 횡방향 오목부들의 모든 오목부 에지들(4a, 4b)은 디버링되지만, 그러나 상이한 형상을 갖는다.
도 9로부터, 제어 표면(16)의 특정 아치 높이(18)가 존재하고, 아치 높이(18)는 큰 치수들로 변경될 수 있는 것이 또한 나타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일정하게 볼록한 커브들이 제어 표면(16)의 아치 반경(19) 및 바로 인접하는 절삭날들(10a 및 10b)에 존재하는 것이 중요한데, 왜냐하면 이러한 커브들의 아치 형상의 볼록하고 일정한 구성의 형성에 의해서만 균일한 페어링 디버링 작용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대조적으로, 그의 제어 표면(16)을 갖는 아치 반경(19)이 불연속인 표면들을 갖는다면, 디버링은 불연속적이고 충격이 발생할 것이다. 정점(39)에 관해서는, 이는 정점(39)의 좌측 및 우측에 균일하게 인접하는 완전히 대칭인 제어 표면(16)이다.
도 9에 따른 실시예에서, 제어 표면(16)의 정점(39) 및 그곳에서 발견되는 절삭날들(10a 및 10b)을 넘어서는 우측이 그들에 속하는 좌측 및 제어 표면(16)에 인접한 정점(39)에 인접하는 절삭날들(10a 및 10b)의 영역보다 짧은 추가적인 실시예가 제공된다.
따라서, 대칭 정점(39)에 관해서, 제어 표면(16) 및 절삭날들(10a 및 10b)이 동일하게 길고 대칭적으로 구성되는 것이 해법을 위해 필요하지는 않다.
이로부터, 절삭 반경(40)은 제어 표면(16) 및 이에 바로 평행하고 대칭인 인접한 절삭날들(10a 및 10b)의 일정한 아치 표면을 형성하는 것이 뒤따른다.
도시된 실시예는 그러나 본 발명이 제한되지 않는 특정 절삭 반경(40)을 갖는 부분 원형 절삭날들(10a 및 10b)이다.
절삭날들(10a 및 10b)은 예를 들어 또한 타원형 또는 포물선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아치(18)의 높이는 나이프(10)가 그의 절삭 부분, 즉 절삭날들(10a 및 10b)뿐만 아니라 그 사이에 놓인 비-절삭 제어 표면(16)도 함께 나이프 윈도우(26)로부터 활성으로 전개될 수 있으며, 나이프(10)의 측방향 비-절삭 부분들이 공작물의 부분들과 충돌하지 않는 것을 보장해야 한다.
도 10은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상황을 다른 도면으로 도시하며, 여기서 대략 아치형 절삭날들(10a 및 10b)이 사실상 공구 축선(11)의 다른 측면 상에서 거울 대칭으로 서로 반대에 놓이고 제어 표면(16)의 볼록한 아치 사이에 놓이는 것이 용이하게 인식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 표면(16)은 절삭 측면(37)에 걸쳐 반경 방향으로 돌출하고, 2 개의 절삭날들(10a 및 10b)은 제어 표면(16)의 중심점에 대해 거울 대칭이고 중심이 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은 공구 축선(11)에 대해 반대에 있는 2 개의 절삭날들(10a, 10b)의 거울 대칭 구성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다른 구성에서, 절삭날(10a)은 비교적 절삭날(10b)보다 공구 축선(11)에 대해 더 큰 거리를 갖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유사하게, 다른 구성에서, 절삭날(10a)은 비교적 절삭날(10b)과 상이한 절삭 반경을 갖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이들이 서로에 대한 거울 대칭을 갖는 것이 해법에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그러나, 제조상의 이유들로 2 개의 절삭날들(10a, 10b)이 중심 볼록한 제어 표면(16)에 대해 거울 대칭이 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에서, 정점 표면(41)은 제어 표면(16)의 직선 표면으로 도시된다. 이러한 정점 표면(41)은 편평한 커브 또는 편평한 표면이며, 이는 실제로는 또한 오목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나이프(10)의 제1 접촉 표면은 주 보어홀(2)에 있고 그 후 포지션(33 또는 34)에서 이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횡방향 오목부(3)에 있는 것이 유리하다.
마찬가지로 비-절삭 최종 에지(32)는 보어홀의 내주에 인접할 수 있지만, 그러나 이것은 어떠한 절삭 기능도 갖지 않는다. 그러나, 최종 에지(32)는, 화살표 방향(29)으로 나이프가 스프링-로딩 방식으로 나이프 윈도우(26) 내로 가압된다는 점에서, 제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 표면(16)의 정점(39)은 주 보어홀(2)의 내주에 접하지 않는데, 왜냐하면 이는 아치 형상의 보어홀이기 때문이다.
칩 슬로프(20)는 참조 부호(20)로 정의된다. 칩 슬로프(20)는 절삭날(10a 및 10b)의 방향으로의 칩 표면의 각도이다.
칩 슬로프(20)는, 그것에 의해 절삭 중에 생성된 재료의 칩-제거가 결정되기 때문에, 다양한 재료들을 절삭하는데 중요하다. 이는 또한 공구의 에지 수명을 결정한다.
측방향으로 칩 함몰부(15a, 15b)는 절삭날들(10a, 10b)에 인접하여, 절삭날들(10a, 10b)에 의해 제거된 칩들을 취출하여 제거한다. 따라서 이들은 칩 안내 스텝들이다.
제어 표면(16)이 예를 들어 공구 축선(11) 및 나이프 축선에 대해 90°의 각도(17)에 있는 것이 중요한데, 왜냐하면 이는 나이프(10)가 좌측 및 우측 통로에서 균일하게 절삭하는 것을 보장하기 때문이다.
이 상부 측면(41)이 슬라이딩 가이드를 위해 나이프 윈도우(26)의 안내 표면이기 때문에, 나이프(10)의 상부 측면(41) 상에 배열된 구성 요소들 또는 표면들이 없다. 이는 또한 하부 측면(42)이 디버링 공구(7)의 나이프 윈도우(26)에서 슬라이딩 가이드에 대한 안내 표면을 나타내므로, 나이프(10)의 하부 측면(42)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도 10과 비교하면, 도 11은 변경된 실시예를 도시하는데, 즉 제어 표면(16)이 완전히 관통하지만, 그러나 제어 표면(16)의 중심 영역에 추가의 글라이딩 표면(21)이 배열되는 방식을 도시한다.
결과적으로 이것은 횡방향 오목부(3)의 영역에서 특정 오목부 에지(4)의 영역에서 절삭 작용을 수행하는 이전에 정의된 정점(39)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 11에 따른 변경된 실시예에서, 정확하게 이 정점(39)에서, 비-절삭 글라이딩 표면(21)이 배열된다.
따라서, 글라이딩 표면(21)은 다르게는 일정한 연속 절삭날들(10a 및 10b)의 아치 형상을 차단하는데, 왜냐하면 이 정점(9)에서 절삭날들(10a 및 10b)의 아치 형상 및 제어 표면(16) 모두를 관통하는 비-절삭 글라이딩 표면(21)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점(39)에서, 반대에 있는 2 개의 절삭날들(10a 및 10b)은 절삭하지 않도록 구성되는데, 왜냐하면 본 발명에 고유한 글라이딩 표면(21)이 거기에 구성되기 때문이다.
이는 절삭날들(10a, 10b)의 2 개의 정점들(39a, 39b)(도 10 참조)에 의한 주 보어(2)의 손상이 발생할 수 없다는 장점을 갖는다.
따라서, 절삭날들(10a 및 10)의 중앙 비-절삭 영역이 정점에 위치하지만, 그러나 이는 단지 하나의 실시예이며, 다른 실시예에서는 서로 반대에 있는 2 개의 절삭날들(10a 및 10b)의 관통하여 진행하는 아치 형상의 절삭 영역이 제공된다.
도 11에는, 2 개의 비-절삭 정점들(39a, 39b)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실시예에 따르면, 이들은 다시 변위되어, 이들은 절삭날들(10a, 10b)의 절삭 영역의 외측에 있게 된다.
도 12 및 도 13은 이들 도면들에 도시된 다양한 절삭 나이프들(10, 10', 10")을 갖는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예들을 도시하며, 여기에 도시된 나이프(10)는 이전에 설명된 모든 실시예들에 따라 구성될 수 있다.
도 12는 나이프 윈도우(26)에서 제2 나이프(10")와 등을 맞대고 배열된 제1 나이프(10')를 도시한다. 따라서 이전에 언급된 모든 설명들 ― 나이프(10)와 관련된 ― 은 또한 서로 거울 대칭으로 배열된 2 개의 나이프들(10', 10")의 이중 배열에도 유효하다.
이 실시예에서, 2 개의 비스듬한 절삭날들(10a, 10b)은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고 2 개의 다른 나이프들로 분할된다.
따라서 이것은 정확히 평행하게 그리고 등을 맞대고 배열되는 동일하게 구성된 2 개의 나이프들(10', 10")의 탠덤 배열(tandem arrangement)이다.
2 개의 나이프들(10', 10")은 상이한 압축 스프링들(28)을 갖는 상이한 제어 볼트들(27)에 의해 영향을 받고, 따라서, 서로 별도로 서로 독립적으로, 상이한 압축 스프링들(28)의 하중 하에서, 나이프 윈도우(26) 외부로 그리고 나이프 윈도우(26) 내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서로 평행한 압축 스프링들(28)이 동일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탠덤 배열의 장점은 이중 페어링 디버링 절삭이 있기 때문에, 이는 더 긴 에지 수명 및 더 양호한 표면 품질을 생성한다는 것이다.
도 12에 따른 실시예에 대한 대안으로서, 도 13은 이전에 설명된 나이프들(10)이 모든 버전들로, 즉 따라서 또한 상호 간격(43)으로 축 방향으로 서로 위에 놓이는 나이프들(10' 및 10")의 탠덤 배열로 배열될 수 있는 것을 도시한다. 이것에 의해, 전방 나이프(10''')는 주 보어홀(2)에서 전방으로 이동하고 주 보어홀(2)에서 종결되는 횡방향 오목부들(3, 3a-i)의 일부를 이미 디버링했고, 후방 나이프(10'''')는 이제 횡방향 오목부들(3, 3a-i)의 영역에서 오목부 에지들(4)을 디버링하는 개선된 작업을 수행한다.
여기서는 또한 나이프들(10, 10', 10'', 10''', 10'''')이 디버링 공구(7)의 베이스 본체(8)에서 다양한 별도의 제어 볼트들 및 압축 스프링들(28)에 의해 스프링-로딩되도록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하나의 나이프(10''')는 커터들(10a, 10b)의 절삭날들이 좌측에 대해 경사지도록 구성되는 반면, 상부 나이프(10'''')는 커터들(10a, 10b)의 절삭날들이 우측에 대해 경사지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이는 오목부 에지들(4)이 디버링되는 페어링 절삭이 전방 통로에서 하부 나이프(10''')에 의해 전방 오목부 에지(4) 상에서, 그리고 후속 나이프(10'''')에 의해 마찬가지로 반대 방향으로 경사진 절삭날들(10a, 10b)에 의해 발생한다는 장점을 갖는다. 따라서, 디버링의 품질을 더욱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상부 나이프(10'''')에서, 절삭 각도(14)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의 값을 갖지 않고, 오히려 공구 축선(11) 아래의 음의 값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일 실시예에서, 도 14는 원통형 횡방향 오목부의 디버링을 도시한다. 아치 형상의 절삭날들(10a, 10b)은 먼저 디버링 공구(7)의 전방 이송에 의해 횡방향 오목부(3)의 시작부 내로 결합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도 14에 따르면, 나이프(10)는 접촉 라인을 따라 포지션들(44 및 45) 사이에서 화살표 방향(23)으로 점차적인 페어링 절삭들을 수행한다.
포지션들(44 및 45)의 접촉점들은, 화살표 방향(24)에서 절삭 나이프(10)가 우선 정점(39)에서 횡방향 오목부(3) 외부로 진행할 때까지, 서로를 향해, 특히 화살표 방향(23)으로 진행한다.
도 14는 이제 제어 표면의 아치 반경(19)과 디버링될 횡방향 오목부(3)의 오목부 에지(4) 사이에 특정 반경 방향 거리가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들 2 개의 커브들(19, 4)에 접하면, 절삭 각도(25)가 생성된다.
절삭 각도(25)는 너무 작지 않을 수 있다; 이는 따라서 0보다 큰 각도이어야 하는데, 그렇지 않다면 오목부 에지(4)를 따라 절삭날들(10a 및 10b)의 페어링 절삭이 없기 때문이다.
이는 또한 45°보다 클 필요는 없지만, 그러나 0보다 커야 하는데, 그렇지 않으면 절삭날들(10a 및 10b)의 편평한 스트로크가 오목부 에지(4) 상에 발생하기 때문이다.
도 14의 변경된 실시예가 도 15에 도시되며, 여기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조건들에 적용된다. 그러나, 간략화를 위해, 모든 참조 부호가 동일한 부분들에 그려지는 것은 아니다.
어쨌든 도 15는 원통형 횡방향 오목부(3) 대신에, 이제 밀링된 오목부(milled recess) 또는 세장형 홀(elongated hole)이 같은 방식으로 디버링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것은 그 종축이 주 보어홀(2) 및 주 보어홀 축선(2a)에 평행하고 따라서 또한 공구 축선(11)에도 평행한 세장형 홀이다.
전방 절삭날(10a)은 측면도로 도시되고, 이것은 후방에 있는 절삭날(10b)을 커버하고, 2 개의 절삭날들(10a 및 10b)은 제어 표면(16)에 의해 서로 공간적으로 분리되어 있다.
이러한 세장형 횡방향 오목부(3)에는 포지션(44)에 절삭날들(10a 및 10b)을 갖는 단지 하나 이상의 접촉점이 있고, 이로부터 교차각(25)이 생성된다. 따라서, 절삭날들(10a 및 10b)은 오목부 에지(4)에 대해 각도(14)로 비스듬히 진행하고, 따라서 절삭날들(10a 및 10b)은 오목부 에지(4)의 에지를 따라 페어링, 칩-제거 운동을 수행한다.
따라서, 포지션(44)은 종 방향으로, 즉 절삭 운동(23)의 화살표 방향으로 전방으로 진행한다.
따라서 도 15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그의 절삭날들(10a 및 10b)을 갖는 나이프(10)는 포지션(44)의 영역으로부터, 정점(39)까지 절삭하고 그 후 예를 들어 우측 통로(12)에서 회전을 계속하고, 그것은 오목부 에지(4)를 떠나며, 이송 방향(38a, 38b)으로 디버링 공구(7)가 전방 이송되면, 그것은 다시 오목부(3)로 진입하지만, 그러나 다른 위치에서, 예를 들어, 나이프의 다음 회전에서와 같이, 다시 정점(39')이 좌측으로 이동하여, 이에 따라 오목부 에지(4)를 순차적으로 그리고 연속적으로 디버링하는 한, 현재 진행 중인 정점이 세팅(39')에 있고 그 후 마찬가지로 디버링 작용이 오목부 에지(4)의 마진에서 발생한다.
따라서, 나이프(10)가 오목부 에지(4)의 마진을 떠나기 전에, 디버링 작용이 대략 포지션(44)으로부터 정점(39)으로 발생하고, 공구가 화살표 방향(12)으로 다시 회전되면서, 횡방향 오목부(3) 내로 진입하고, 예를 들어 포지션(39')에서, 또 다른 디버링 작용이 포지션(39')까지 발생한다. 디버링 공구(7)의 축 방향 전방 이송에 따라, 이것이 도 15의 화살표 방향(23)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속적으로 오목부 에지(4)의 표면은 화살표 방향(23)으로 디버링된다.
이미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우측 통로에서, 오목부 에지(4)의 양쪽 에지들(47, 48)은 또한 디버링되어, 후방 에지(48)에 대한 노킹 오프 작용과 비교하여 전방 에지(47)에서만 다른 페어링 디버링 작용이 발생한다. 그러나, 이것은 우측 통로에만 해당된다.
대조적으로 디버링 공구(7)가 좌측 통로(화살표 방향(13))로 진행되면, 페어링 작용을 갖는 전방 에지(47)를 사용하여 이전에 설명된 디버링 작용은 이제 반대에 있는 후방 측면(48)에서 발생하고, 전방 측면(47)에서는, 노킹 아웃 성질의 다른 디버링 작용이 발생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화살표 방향들(12 및 13)로의 디버링 공구(7)의 좌측 및 우측 통로에 의해, 임의의 횡방향 오목부(3)의 오목부 에지(4)의 양쪽 에지들(47 및 48) 상에, 디버링 작용이 동시에 발생하지만, 그러나 다른 방식으로 발생한다.
도 16은 예를 들어 WO 20161135283 A1에 따른 종래 기술에 따라 주 보어홀(2)에 배열된 나이프(110)와, 공작물(1)의 횡방향 오목부(3)의 도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나이프(110)는 주 보어홀(2) 내에서, 전방 이송 방향(38a) 및 또한 역방향(38b)으로 진행될 수 있는 디버링 공구(도시되지 않음)의 일부이다. 그 위에 배열된 디버링 공구 및 나이프(110)는 우측 통로(12) 및 좌측 통로(13)에서 진행될 수 있고, 나이프(110)는 주 보어홀(2)의 중간 종축을 중심으로 우측 통로(12) 및 좌측 통로(12)의 회전 방향으로 회전한다.
나이프(110)는 서로 인접하여 배열된 2 개의 절삭날들(110a, 110b)을 포함한다. 절삭날(110a)과 절삭날(110b) 사이의 클리어런스 각도(50a, 50b)로 인해, 나이프(110)의 전방 이송 방향(38a) 및 역방향(38b)으로, 나이프(110)의 우측 통로(12) 및 좌측 통로(13)에서 단지 하나의 절삭날(110a 또는 110b)만이 절삭된다.
나이프(110)가 전진 방향(38a)으로 이동되면, 이 경우 좌측 통로(13)에서 나이프(110)의 전방 절삭날(110b)만이 작용하고, 후방 절삭날(110a)은 클리어런스 각도(50a)로 인해 기능을 갖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절삭날(110b)은 도트들로 표시된 유효 영역(149a)만을 갖는다. 반대의 경우에, 예를 들어 나이프(110)가 우측 통로(12)에서 전진 방향(38a)으로 구동될 때, 절삭 작용이 발생하지 않는다.
대조적으로, 나이프(110)가 역방향(38b)으로, 즉 역방향 스트로크 운동으로, 우측 통로(12)에서 진행되면, 이 경우 역방향 절삭날(110a)은 도시된 유효 영역(149b)을 절삭하고 커버한다. 그러나, 나이프(110)가 좌측 통로(13)에서 역방향 스트로크(38b)로 진행되면, 다른 절삭날(110b)은 클리어런스 각도(50b)로 인해 기능을 갖지 않으며 절삭 작용이 발생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나이프(110)의 하나의 절삭날(110b)은 전진 방향(38a)으로 좌측 통로(13)에서만 절삭하고, 다른 절삭날(110a)은 역방향(38b)으로 우회 통로(12)에서만 절삭한다. 양쪽 절삭날들(110a, 110b)이 우측 통로(12) 및 또한 좌측 통로(13) 모두에서 전방 스트로크(38b)에서 절삭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도 17은 공작물(1)의 횡방향 오목부(3) 및 주 보어홀(2) 내에 배열된 본 발명에 따른 나이프(10)의 도면 상의 헤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절삭날들(10a, 10b)은 클리어런스 각도를 갖지 않고, 따라서 서로 인접하는 2 개의 절삭날들(10a, 10b)은 우측 통로(12) 및 좌측 통로(13)에서 전방 스트로크(38a)에서, 그리고 또한 우측 통로(12) 및 좌측 통로(13)에서 후방 스트로크(38b)에서 절삭 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절삭날(10b)은 전진 운동(38a) 및 후진 운동(38b) 모두에서 좌측 통로(13)에서 절삭한다. 절삭날(10a)은 나이프(10)의 전진 운동(38a) 및 후진 운동(38b) 모두에서 우측 통로(12)에서 절삭한다.
절삭날들(10a 및 10b)은 결과적으로 횡방향 오목부의 전체 에지를 커버하는 유효 영역(49a 및 49b)을 갖는다. 따라서 횡방향 오목부의 전체 에지가 디버링된다.
1 : 공작물
2 : 주 보어홀
2a : 주 보어홀 축선
3 : 횡방향 오목부
3a : 오목부 축선
3b : 오목부 포지션
3c : 오목부
3d : 오목부
3e : 오목부
3f : 오목부
3g : 오목부
3h : 오목부
3i : 오목부
4 : 오목부 에지
5 : 각도 오목부 축선 ― 주 보어홀 축선
6 : 각도 오목부 포지션 - 주 보어홀 축선
7 : 디버링 공구
8 : 베이스 본체
9 : 샤프트
10, 10', 10" : 나이프
10a : 우측 통로 절삭날
10b : 좌측 통로 절삭날
11 : 공구 축선
12 : 우측 통로 회전 방향
13 : 좌측 통로 회전 방향
14 : 절삭 각도
15a : 우측 통로 칩핑 함몰부
15b : 좌측 통로 칩핑 함몰부
16 : 제어 표면
17 : 제어 표면 배향
18 : 제어 표면의 아치 높이
19 : 제어 표면의 아치 반경
20 : 칩핑 함몰부 칩 슬로프
21 : 글라이딩 표면
22 : 반경, 글라이딩 표면
23 : 절삭 운동
24 : 방향
25 : 교차각
26 : 나이프 윈도우
27 : 제어 볼트
28 : 압축 스프링
29 : 화살표 방향
30 : 제어 오목부
31 : 화살표 방향
32 : 최종 에지
33 : 포지션
34 : 포지션
35 : 후방 측면
36 : 전방 측면
37 : 절삭 측면
38 : 전방 이송 방향 a, b
39 : 정점 39a, 39b
40 : 절삭 반경
41 : 상부 측면
42 : 하부 측면
43 : 거리
44 : 포지션
45 : 포지션
46 : 접촉 라인
47 : 4의 전방 에지
48 : 4의 후방 에지
49a : 유효 영역
49b : 유효 영역
50a : 클리어런스 각도
50b : 클리어런스 각도
110 : 나이프
110a : 절삭날
110b : 절삭날
149a : 유효 영역
149b : 유효 영역

Claims (14)

  1. 주 보어홀(main borehole)(2)로부터 분기되는 횡방향 오목부들(transverse recesses)(3, 3a-i)의 에지들을 디버링(deburring)하기 위한, 디버링 공구(7)로서,
    상기 디버링 공구는 상기 주 보어홀 내로 전방 이송 방향으로 전개 및 수축 가능한, 공구 축선(11)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동되는 샤프트(shaft)(8, 9)로 구성되며, 그리고 상기 샤프트의 하부 단부 상에 적어도 하나의 나이프 윈도우(knife window)(26)가 배열되며,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로딩 나이프(spring-loaded knife)(10, 10', 10'', 10''', 10'''')가 시프트 가능하도록 상기 공구 축선(11)에 대략 수직으로 배열되며, 그의 전방 단부에서, 상기 횡방향 오목부(3, 3a-i)의 상기 에지를 만나며 상기 에지를 디버링하는 적어도 하나의 절삭날(cutting edge)(10a, 10b)을 가지며,
    상기 나이프(10, 10', 10'', 10''', 10'''')는 좌우 통로들(12, 13)에 대해 균등하게 절삭하도록 작용하는, 회전 방향(12, 13)으로 반대에 있는 2 개의 절삭날들(10a, 10b)로 구성되며, 하나의 절삭날(10a)은 전진 운동(38a) 및 후진 운동 양자 모두에서 우측 통로(12)에 대해 절삭하도록 구성되며, 다른 절삭날(10b)은 전진 운동(38a) 및 후진 운동 양자 모두에서 상기 좌측 통로(13)에 대해 절삭하도록 구성되며, 그리고 자신의 절삭날들을 갖는 2 개의 커터들(cutters)(10a, 10b)이 비스듬히 그리고 상기 공구 축선(11)에 대해 그리고 이에 따라 상기 주 보어홀(2)의 종축(2a)에 대해 0° 내지 90°,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5° 내지 45°의 각도로 아치 형상(arch shape)을 갖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버링 공구.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절삭날(10a, 10b)은
    a) 일정하게 연속적이고 그리고
    b) 아치 형상이고 그리고
    c) 볼록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횡방향 오목부(3, 3a-i)의 상기 에지들의 페어링, 칩-제거 디버링(paring, chip-removing deburring)이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버링 공구.
  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2 개의 절삭날들(10a, 10b)은 2 개의 반대에 있는 칩 함몰부들(chip depressions)(15a; 15b) 및 아치 형상의 제한 제어 표면(limiting control surface)(16)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버링 공구.
  4. 제3 항에 있어서,
    글라이딩 표면(gliding surface)(21)이 상기 제어 표면(16)의 정점(vertex point)에 부착되고, 상기 주 보어홀(2)의 직경의 절반 이하의 반경(22)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버링 공구.
  5. 제2 항 또는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표면(16)의 아치 반경(19)은 교차각(intersection angle)(25)이 최대 45°가 되도록 치수가 정해지고, 이에 따라 상기 작용하는 절삭날(10a 또는 10b)은 상기 나이프 윈도우(26)의 방향(24)으로 반경 방향으로 상기 오목부 에지(4)를 따라 상기 나이프(10)를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버링 공구.
  6. 제1 항 내지 제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리바운디드(rebounded) (활성) 포지션에 있는 상기 나이프(10)의 상기 정점은, 상기 제어 표면(16)의 아치 높이(18)의 양만큼 상기 주 보어홀(2)의 상기 직경에 걸쳐 반경 방향으로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버링 공구.
  7. 제1 항 내지 제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나이프 윈도우(26)에는, 2 개의 동일한 나이프들(10', 10")이 시프트 가능하도록 등을 맞대고(back to back)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버링 공구.
  8. 제1 항 내지 제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버링 공구(7)의 상기 샤프트(9)에서, 복수의 나이프들(10''', 10'''')이 축 방향 거리(43)에서 측방향으로 시프트하도록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버링 공구.
  9. 주 보어홀(2)로부터 분기되는 횡방향 오목부들(3, 3a-i)의 에지들을 디버링하기 위해, 디버링 공구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디버링 공구는 상기 주 보어홀(2) 내로 전방 이송 방향으로 전개 및 수축 가능한, 공구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동되는 샤프트(8, 9)로 구성되며, 상기 샤프트의 하부 단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나이프 윈도우(26)가 배열되고,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나이프(10, 10', 10'', 10''', 10'''')가 상기 공구 축선(11)에 대략 수직으로, 시프트 가능하도록 배열되고, 그의 전방 단부 상에, 상기 횡방향 오목부(3, 3a-i)의 에지를 만나며 상기 에지를 디버링하는 적어도 하나의 절삭날(10a, 10b)을 가지며,
    상기 주 보어홀(2)의 종방향 측면 통과(longitudinal-side passage)에 의해 상기 주 보어홀(2)을 따른 임의로 형상화된 오목부들(30)을 디버링하는 것은 우측 통로(12)에서만 그리고/또는 좌측 통로(13)에서만 발생하거나, 또는 우선 좌측 통로(13)에서 그리고 그 후에 우측 통로(12)에서, 또는 그 반대로, 우선 우측 통로(12)에서 그리고 그 이후에 이를 따라서 좌측 통로(13)에서 디버링이 발생하고, 상기 나이프(10, 10', 10'', 10''', 10'''')는 2 개의 절삭날들(10a, 10b)에 의해 우측 통로에서 그리고 좌측 통로에서 동시에 디버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버링 공구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10. 제9 항에 있어서,
    페어링 작용 절삭 운동(23)이 상기 나이프(10)를 나이프 윈도우(26) 내로의 방향(24)으로 반경 방향으로 삽입하여, 이에 따라 그의 오목부 에지들을 디버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버링 공구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11. 제9 항 또는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나이프(10)의 상기 2 개의 반대에 있는 절삭날들(10a 및 10b)은 버어(burr)를 양 측면들로부터 제거하고, 상기 오목부(3, 3a-i)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오목부 에지들(4)의 방향으로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버링 공구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12. 제9 항 내지 제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나이프(10)의 상기 2 개의 반대에 있는 절삭날들(10a, 10b)은 상기 버어를 양 측면들로부터 제거하고, 상기 오목부 에지들(4) 외부로부터 상기 오목부 중심의 방향으로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버링 공구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13. 제9 항 내지 제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회전하는 동안 구동되는 상기 디버링 공구(7)의 상기 주 보어홀(2) 내로 축 방향 진행이 더 이루어지면, 회전하는 동안 횡방향 오목부(3, 3a-3i)의 영역 내로 들어가고, 거기에서 상기 횡방향 오목부들(3, 3a-i)의 상기 오목부 에지들을 상기 디버링 공구(7)의 상기 전방 이송 방향으로 점차적으로 디버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버링 공구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14. 제9 항 내지 제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나이프(10)는 그의 절삭 작동 세팅 시 프리텐셔닝 수단(pretensioning means)에 의해 스프링-로딩되며 그리고 상기 주 보어홀(2, 2a) 내로 진입할 때 스프링-로딩에 의해 뒤로 수축하고, 상기 프리텐셔닝 수단의 힘 하에 상기 주 보어홀(2, 2a)의 벽에 인접한 횡방향 오목부(3, 3a-3i) 내로 진입할 때 활성 절삭 작동 포지션으로 시프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버링 공구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KR1020190018130A 2018-02-16 2019-02-15 주 보어홀로부터 분기되는 횡방향 오목부들을 디버링하기 위한 디버링 공구 KR1021897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8157116.7A EP3527312B1 (de) 2018-02-16 2018-02-16 Entgratwerkzeug zur entgratung von querausnehmungen, die von einer hauptbohrung ausgehen
EP18157116.7 2018-02-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9142A true KR20190099142A (ko) 2019-08-26
KR102189788B1 KR102189788B1 (ko) 2020-12-14

Family

ID=61231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8130A KR102189788B1 (ko) 2018-02-16 2019-02-15 주 보어홀로부터 분기되는 횡방향 오목부들을 디버링하기 위한 디버링 공구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981237B2 (ko)
EP (1) EP3527312B1 (ko)
JP (1) JP6872573B2 (ko)
KR (1) KR102189788B1 (ko)
CN (1) CN110153505B (ko)
CA (1) CA3033782C (ko)
ES (1) ES2944591T3 (ko)
MX (1) MX201900189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17968B2 (en) 2020-06-17 2022-12-06 Hyundai Motor Company Deburring too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22790A (zh) * 2020-07-17 2020-10-27 大连理工大学 一种深长管相贯处去毛刺专用装置及其刀具
CN113441766B (zh) * 2021-07-12 2022-05-13 爱柯迪股份有限公司 影像壳体180度翻转机构及去毛刺设备
CN113714570B (zh) * 2021-09-26 2022-07-26 一汽解放汽车有限公司 一种双向反刮刀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92310U (ko) * 1987-12-14 1989-06-16
KR20140136495A (ko) * 2012-03-14 2014-11-28 허윌레 베르크쩌윅 아게 가공물의 비원형 리세스의 버 제거용 디버링 공구
WO2016135283A1 (de) * 2015-02-27 2016-09-01 Hans-Michael Beier Zerspanungswerkzeug und verfahren zur spanenden entfernung von grat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525872B2 (de) 1975-06-10 1979-01-11 Gebr. Heule Ag, Balgach, St. Gallen (Schweiz) Entgratwerkzeug zur spanabhebenden Bearbeitung des Öffnungsrandes von Bohrungen
DE2559145C3 (de) 1975-12-30 1979-04-05 Gebr. Heule Ag, Balgach, St. Gallen (Schweiz) Entgratwerkzeug
DE2649208C3 (de) 1976-10-28 1980-01-03 Heinrich Au Heule (Schweiz) Werkzeug zum beidseitigen Entgraten der Kanten von Durchgangsbohrungen
JPH0634886Y2 (ja) 1988-04-13 1994-09-14 日立精機株式会社 交差孔バリ取り装置
US5755538A (en) * 1996-03-25 1998-05-26 Heule; Ulf Deburring tool
DE10321670A1 (de) * 2002-05-17 2004-12-30 Gühring, Jörg, Dr. Werkzeu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Entgraten von Bohrungen
DE20320318U1 (de) * 2003-06-27 2004-11-11 Gühring, Jörg, Dr. Werkzeug zum Entgraten
JP2005074523A (ja) * 2003-08-29 2005-03-24 Yamashita Kikai Kk バリ取り用工具
IL166007A (en) * 2004-12-27 2009-02-11 Iscar Ltd Scraping tool and cutting tool for it
DE102006014135A1 (de) * 2006-03-28 2007-10-04 Heule, Ulf Entgratmesser für ein Entgratwerkzeug
JP4640403B2 (ja) 2007-11-20 2011-03-02 東海ゴム工業株式会社 潤滑剤付きゴムブッシュの製造方法
KR100929696B1 (ko) * 2007-11-22 2009-12-03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교차구멍의 버 제거용 디버링공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92310U (ko) * 1987-12-14 1989-06-16
KR20140136495A (ko) * 2012-03-14 2014-11-28 허윌레 베르크쩌윅 아게 가공물의 비원형 리세스의 버 제거용 디버링 공구
WO2016135283A1 (de) * 2015-02-27 2016-09-01 Hans-Michael Beier Zerspanungswerkzeug und verfahren zur spanenden entfernung von gra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17968B2 (en) 2020-06-17 2022-12-06 Hyundai Motor Company Deburring to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153505A (zh) 2019-08-23
ES2944591T3 (es) 2023-06-22
MX2019001890A (es) 2019-09-19
CA3033782C (en) 2021-03-16
CA3033782A1 (en) 2019-08-16
JP2019162713A (ja) 2019-09-26
EP3527312A1 (de) 2019-08-21
JP6872573B2 (ja) 2021-05-19
CN110153505B (zh) 2021-04-06
US20190255627A1 (en) 2019-08-22
EP3527312B1 (de) 2023-02-15
US10981237B2 (en) 2021-04-20
KR102189788B1 (ko) 2020-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9788B1 (ko) 주 보어홀로부터 분기되는 횡방향 오목부들을 디버링하기 위한 디버링 공구
CA2578787C (en) Helical flute end mill with multi-section cutting edge
KR100485987B1 (ko) 기계공구용드릴공구및상기드릴공구를제작하는방법
US4209275A (en) Twist drill
KR101855282B1 (ko) 가공물의 비원형 리세스의 버 제거용 디버링 공구
US5810519A (en) Helical cutting insert with offset cutting edges
RU2465103C2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детали из заготовки посредством фрезерного инструмента
JPH0215328B2 (ko)
US7273334B2 (en) Deburring cutter for deburring edges of drilled holes
KR970006958B1 (ko) 라디알 클리어런스를 가진 환 컷터(Annular Cutter having Radial Clearance)및 그 제조방법
CN102470455A (zh) 具有后退式断屑器模式的旋转切削刀具
KR20100103359A (ko) 드릴
KR101332729B1 (ko) 모듈식 드릴링 공구와 그의 제조 방법
JP6359419B2 (ja) ドリル
JP2003275928A (ja) 工具及びその製造方法
CN1184012A (zh) 具有可更换切割刀片的长钻头
CN104736281A (zh) 单唇钻
CN106925820A (zh) 切削工具及其制造方法
JP2001515798A (ja) 側フライス及びそれに適したリバーシブルチップ
JP2003053619A (ja) セレーション状にされたボールエンドミル差込み工具
US6666118B2 (en) Piston skirt turning tool and method
JP3786904B2 (ja) 総形回転切削工具
HU188782B (en) Ring milling cutter
JP2002321115A (ja) エンドミ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4269501B (zh) 在前刀面中具有两个纵向槽的钻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