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3030A - 보리순을 포함하는 제과 또는 제빵 조성물 - Google Patents
보리순을 포함하는 제과 또는 제빵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93030A KR20190093030A KR1020180012462A KR20180012462A KR20190093030A KR 20190093030 A KR20190093030 A KR 20190093030A KR 1020180012462 A KR1020180012462 A KR 1020180012462A KR 20180012462 A KR20180012462 A KR 20180012462A KR 20190093030 A KR20190093030 A KR 2019009303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rley
- barley sprout
- mixing
- confectionery
- bread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5000009508 confectionery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5000007340 Hordeum vulgare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8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LFQSCWFLJHTTHZ-UHFFFAOYSA-N Ethanol Chemical compound CCO LFQSCWFLJHTTHZ-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0000003078 antioxidant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125000004432 carbon atom Chemical group C*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41000209219 Hordeum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9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10000002969 egg yolk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5000000346 sugar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5000008429 bread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4
- 102000002322 Egg Proteins Human gen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108010000912 Egg Proteins Protein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3963 antioxidant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5000013345 egg yolk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5000013312 flour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6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5000012970 cake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8162 cooking oi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40065115 grapefruit extract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5000014103 egg whit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10000000969 egg white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5000014510 cooky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2046 mixed solv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QCVGEOXPDFCNHA-UHFFFAOYSA-N 5,5-dimethyl-2,4-dioxo-1,3-oxazolidine-3-carboxamide Chemical compound CC1(C)OC(=O)N(C(N)=O)C1=O QCVGEOXPDFCNHA-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15895 biscuit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12495 cracker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12489 doughnut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4898 knea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12459 muffin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14594 pastrie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13550 pizz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40000005979 Hordeum vulgare Species 0.000 description 79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6
- RTZKZFJDLAIYFH-UHFFFAOYSA-N Diethyl ether Chemical compound CCOCC RTZKZFJDLAIYF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7
- HEMHJVSKTPXQMS-UHFFFAOYSA-M Sodium hydroxide Chemical compound [OH-].[Na+] HEMHJVSKTPXQMS-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6
- 238000005303 weig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39000000523 samp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3
- ATNHDLDRLWWWCB-AENOIHSZSA-M chlorophyll a Chemical compound C1([C@@H](C(=O)OC)C(=O)C2=C3C)=C2N2C3=CC(C(CC)=C3C)=[N+]4C3=CC3=C(C=C)C(C)=C5N3[Mg-2]42[N+]2=C1[C@@H](CCC(=O)OC\C=C(/C)CCC[C@H](C)CCC[C@H](C)CCCC(C)C)[C@H](C)C2=C5 ATNHDLDRLWWWCB-AENOIHSZSA-M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0469 ethanolic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CSCPPACGZOOCGX-UHFFFAOYSA-N Acetone Chemical compound CC(C)=O CSCPPACGZOOCG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9
- 238000002835 absorb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9000012153 distille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29930002875 chlorophyll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8
- 235000019804 chlorophyll Nutrition 0.000 description 8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0654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5000019784 crude fat Nutrition 0.000 description 7
- 239000000796 flavor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5000019634 flavors Nutrition 0.000 description 7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7
- 238000011088 calibration curve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29930003935 flavonoid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6
- 150000002215 flavono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6
- 235000017173 flavonoids Nutrition 0.000 description 6
- LNTHITQWFMADLM-UHFFFAOYSA-N gall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1=CC(O)=C(O)C(O)=C1 LNTHITQWFMADL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422 pain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5000019750 Crude prote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1 for examp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CIWBSHSKHKDKBQ-JLAZNSOCSA-N Ascorbic acid Chemical compound OC[C@H](O)[C@H]1OC(=O)C(O)=C1O CIWBSHSKHKDKBQ-JLAZNSOCSA-N 0.000 description 4
- LRHPLDYGYMQRHN-UHFFFAOYSA-N N-Butanol Chemical compound CCCCO LRHPLDYGYMQRH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40000007594 Oryza sativa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QAOWNCQODCNURD-UHFFFAOYSA-N Sulfuric acid Chemical compound OS(O)(=O)=O QAOWNCQODCNUR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OUUQCZGPVNCOIJ-UHFFFAOYSA-M Superoxide Chemical compound [O-][O] OUUQCZGPVNCOIJ-UHFFFAOYSA-M 0.000 description 4
- 102000019197 Superoxide Dismutase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4
- 108010012715 Superoxide dismutase Protein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419 depend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3601 eggs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JVTAAEKCZFNVCJ-UHFFFAOYSA-N lactic acid Chemical compound CC(O)C(O)=O JVTAAEKCZFNVC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102000004169 proteins and gen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4
- 108090000623 proteins and genes Proteins 0.000 description 4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0000035943 smell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102000004190 Enzym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3
- 108090000790 Enzymes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XEKOWRVHYACXOJ-UHFFFAOYSA-N Ethyl acetate Chemical compound CCOC(C)=O XEKOWRVHYACXO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OKKJLVBELUTLKV-UHFFFAOYSA-N Methanol Chemical compound OC OKKJLVBELUTLK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292 Radical scaveng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44000300264 Spinacia oleracea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09337 Spinacia olerac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5000006708 antioxida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OHDRQQURAXLVGJ-HLVWOLMTSA-N azane;(2e)-3-ethyl-2-[(e)-(3-ethyl-6-sulfo-1,3-benzothiazol-2-ylidene)hydrazinylidene]-1,3-benzothiazole-6-sulfonic acid Chemical compound [NH4+].[NH4+].S/1C2=CC(S([O-])(=O)=O)=CC=C2N(CC)C\1=N/N=C1/SC2=CC(S([O-])(=O)=O)=CC=C2N1CC OHDRQQURAXLVGJ-HLVWOLMTSA-N 0.000 description 3
- 229940069780 barley extract Drug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4113 dietary fatty acid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MTHSVFCYNBDYFN-UHFFFAOYSA-N diethylene glycol Chemical compound OCCOCCO MTHSVFCYNBDYF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29940088598 enzyme Drugs 0.000 description 3
- 229930195729 fatty acid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194 fatty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40074391 gall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3
- 235000004515 gall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VLKZOEOYAKHREP-UHFFFAOYSA-N n-Hexane Chemical compound CCCCCC VLKZOEOYAKHRE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5000016709 nutrition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150000002989 pheno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PUPZLCDOIYMWBV-UHFFFAOYSA-N (+/-)-1,3-Butanediol Chemical compound CC(O)CCO PUPZLCDOIYMWB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IJGRMHOSHXDMSA-UHFFFAOYSA-N Atomic nitrogen Chemical compound N#N IJGRMHOSHXDMS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JMGZEFIQIZZSBH-UHFFFAOYSA-N Bioquercetin Natural products CC1OC(OCC(O)C2OC(OC3=C(Oc4cc(O)cc(O)c4C3=O)c5ccc(O)c(O)c5)C(O)C2O)C(O)C(O)C1O JMGZEFIQIZZSB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HEDRZPFGACZZDS-UHFFFAOYSA-N Chloroform Chemical compound ClC(Cl)Cl HEDRZPFGACZZD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1299819 Hordeum vulgare subsp. spontaneum Species 0.000 description 2
- MHAJPDPJQMAIIY-UHFFFAOYSA-N Hydrogen peroxide Chemical compound OO MHAJPDPJQMAII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KFZMGEQAYNKOFK-UHFFFAOYSA-N Isopropanol Chemical compound CC(C)O KFZMGEQAYNKOF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131 Pulp (pap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72 buff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30002868 chlorophyll a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2
- 229930002869 chlorophyll b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2
- NSMUHPMZFPKNMZ-VBYMZDBQSA-M chlorophyll b Chemical compound C1([C@@H](C(=O)OC)C(=O)C2=C3C)=C2N2C3=CC(C(CC)=C3C=O)=[N+]4C3=CC3=C(C=C)C(C)=C5N3[Mg-2]42[N+]2=C1[C@@H](CCC(=O)OC\C=C(/C)CCC[C@H](C)CCC[C@H](C)CCCC(C)C)[C@H](C)C2=C5 NSMUHPMZFPKNMZ-VBYMZDBQSA-M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040 colo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995 emulsify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IVTMALDHFAHOGL-UHFFFAOYSA-N eriodictyol 7-O-rutinoside Natural products OC1C(O)C(O)C(C)OC1OCC1C(O)C(O)C(O)C(OC=2C=C3C(C(C(O)=C(O3)C=3C=C(O)C(O)=CC=3)=O)=C(O)C=2)O1 IVTMALDHFAHOG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925 fa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197 fa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FUZZWVXGSFPDMH-UHFFFAOYSA-N hexanoic acid Chemical compound CCCCCC(O)=O FUZZWVXGSFPDM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310 lact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4655 lact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36 milk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267 mil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080 milk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ISWSIDIOOBJBQZ-UHFFFAOYSA-N phenol group Chemical group C1(=CC=CC=C1)O ISWSIDIOOBJBQ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824 polypheno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BDERNNFJNOPAEC-UHFFFAOYSA-N propan-1-ol Chemical compound CCCO BDERNNFJNOPAE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WQGWDDDVZFFDIG-UHFFFAOYSA-N pyrogallol Chemical compound OC1=CC=CC(O)=C1O WQGWDDDVZFFDI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002 quant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FDRQPMVGJOQVTL-UHFFFAOYSA-N quercetin rutinoside Natural products OC1C(O)C(O)C(CO)OC1OCC1C(O)C(O)C(O)C(OC=2C(C3=C(O)C=C(O)C=C3OC=2C=2C=C(O)C(O)=CC=2)=O)O1 FDRQPMVGJOQVT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IKGXIBQEEMLURG-BKUODXTLSA-N rutin Chemical compound O[C@H]1[C@H](O)[C@@H](O)[C@H](C)O[C@@H]1OC[C@H]1[C@H](O)[C@@H](O)[C@H](O)[C@@H](OC=2C(C3=C(O)C=C(O)C=C3OC=2C=2C=C(O)C(O)=CC=2)=O)O1 IKGXIBQEEMLURG-BKUODXTLSA-N 0.000 description 2
- ALABRVAAKCSLSC-UHFFFAOYSA-N rutin Natural products CC1OC(OCC2OC(O)C(O)C(O)C2O)C(O)C(O)C1OC3=C(Oc4cc(O)cc(O)c4C3=O)c5ccc(O)c(O)c5 ALABRVAAKCSLS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5000005493 rut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29960004555 rutoside Drug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488 sample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953 sens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6228 superna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961 swel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29930003231 vitamin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43 vitam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782 vitam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40088594 vitamin Drugs 0.000 description 2
- 229940058015 1,3-butylene glycol Drugs 0.000 description 1
- TUSDEZXZIZRFGC-UHFFFAOYSA-N 1-O-galloyl-3,6-(R)-HHDP-beta-D-glucose Natural products OC1C(O2)COC(=O)C3=CC(O)=C(O)C(O)=C3C3=C(O)C(O)=C(O)C=C3C(=O)OC1C(O)C2OC(=O)C1=CC(O)=C(O)C(O)=C1 TUSDEZXZIZRFG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IIZPXYDJLKNOIY-JXPKJXOSSA-N 1-palmitoyl-2-arachidonoyl-sn-glycero-3-phosphocholine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O)OC[C@H](COP([O-])(=O)OCC[N+](C)(C)C)OC(=O)CCC\C=C/C\C=C/C\C=C/C\C=C/CCCCC IIZPXYDJLKNOIY-JXPKJXOSSA-N 0.000 description 1
- QKNYBSVHEMOAJP-UHFFFAOYSA-N 2-amino-2-(hydroxymethyl)propane-1,3-diol;hydron;chloride Chemical compound Cl.OCC(N)(CO)CO QKNYBSVHEMOAJ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MIDXCONKKJTLDX-UHFFFAOYSA-N 3,5-dimethylcyclopentane-1,2-dione Chemical compound CC1CC(C)C(=O)C1=O MIDXCONKKJTLD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ATRRKUHOCOJYRX-UHFFFAOYSA-N Ammonium bicarbonate Chemical compound [NH4+].OC([O-])=O ATRRKUHOCOJYR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013 Ammonium bicarbon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02000013142 Amylas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65511 Amylas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8010011485 Aspartam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DKPFZGUDAPQIHT-UHFFFAOYSA-N Butyl acetate Natural products CCCCOC(C)=O DKPFZGUDAPQIH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OYPRJOBELJOOCE-UHFFFAOYSA-N Calcium Chemical compound [Ca] OYPRJOBELJOOC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261 Corn starch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ZZZCUOFIHGPKAK-UHFFFAOYSA-N D-erythro-ascorbic acid Natural products OCC1OC(=O)C(O)=C1O ZZZCUOFIHGPKA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08010082495 Dietary Plant Protein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KCXVZYZYPLLWCC-UHFFFAOYSA-N EDTA Chemical compound OC(=O)CN(CC(O)=O)CCN(CC(O)=O)CC(O)=O KCXVZYZYPLLWC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278 EU approved seasonin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263 FEMA 3042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PEDCQBHIVMGVHV-UHFFFAOYSA-N Glycerol Natural products OCC(O)CO PEDCQBHIVMGVH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21578 Iron(III) chlor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96 Kjeldah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44000294411 Mirabilis expans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429 Mirabilis expans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8000008589 Obesit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LRBQNJMCXXYXIU-PPKXGCFTSA-N Penta-digallate-beta-D-glucose Natural products OC1=C(O)C(O)=CC(C(=O)OC=2C(=C(O)C=C(C=2)C(=O)OC[C@@H]2[C@H]([C@H](OC(=O)C=3C=C(OC(=O)C=4C=C(O)C(O)=C(O)C=4)C(O)=C(O)C=3)[C@@H](OC(=O)C=3C=C(OC(=O)C=4C=C(O)C(O)=C(O)C=4)C(O)=C(O)C=3)[C@H](OC(=O)C=3C=C(OC(=O)C=4C=C(O)C(O)=C(O)C=4)C(O)=C(O)C=3)O2)OC(=O)C=2C=C(OC(=O)C=3C=C(O)C(O)=C(O)C=3)C(O)=C(O)C=2)O)=C1 LRBQNJMCXXYXIU-PPKXGCFTSA-N 0.000 description 1
- 102000035195 Peptidas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91005804 Peptidas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3992 Peroxidas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ZLMJMSJWJFRBEC-UHFFFAOYSA-N Potassium Chemical compound [K] ZLMJMSJWJFRBE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65 Prote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4808 Saccharomyces cerevisi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PMZURENOXWZQFD-UHFFFAOYSA-L Sodium Sulfate Chemical compound [Na+].[Na+].[O-]S([O-])(=O)=O PMZURENOXWZQFD-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UIIMBOGNXHQVGW-DEQYMQKBSA-M Sodium bicarbonate-14C Chemical compound [Na+].O[14C]([O-])=O UIIMBOGNXHQVGW-DEQYMQKBSA-M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44 Soxhlet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44000228451 Stevia rebaudian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76 Sucra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30006000 Sucros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CZMRCDWAGMRECN-UGDNZRGBSA-N Sucrose Chemical compound O[C@H]1[C@H](O)[C@@H](CO)O[C@@]1(CO)O[C@@H]1[C@H](O)[C@@H](O)[C@H](O)[C@@H](CO)O1 CZMRCDWAGMRECN-UGDNZRGB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83 Tris buff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30003268 Vitamin C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ZTOJFFHGPLIVKC-CLFAGFIQSA-N abts Chemical compound S/1C2=CC(S(O)(=O)=O)=CC=C2N(CC)C\1=N\N=C1/SC2=CC(S(O)(=O)=O)=CC=C2N1CC ZTOJFFHGPLIVKC-CLFAGFIQ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96 add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538 ammonium bicarbon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099 ammonium carbon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418 amyla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40025131 amylases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323 ascorb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668 ascorb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5070 ascorb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05 aspartam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IAOZJIPTCAWIRG-QWRGUYRKSA-N aspartame Chemical compound OC(=O)C[C@H](N)C(=O)N[C@H](C(=O)OC)CC1=CC=CC=C1 IAOZJIPTCAWIRG-QWRGUYRK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357 aspartam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438 aspartam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980 bad eating hab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437 butane-1,3-di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75 calc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1 calc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736 carame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720 carbohydrat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633 carbohydrat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39 cerea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51 chee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153 chemical reaction re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WORJEOGGNQDSOE-UHFFFAOYSA-N chloroform;methanol Chemical compound OC.ClC(Cl)Cl WORJEOGGNQDSO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219 chocol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329 compou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11 coo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ARUVKPQLZAKDPS-UHFFFAOYSA-L copper(II) sulfate Chemical compound [Cu+2].[O-][S+2]([O-])([O-])[O-] ARUVKPQLZAKDPS-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366 copper(II) sulf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20 corn starc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354 decomposi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2601 diabetes mellitu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911 die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213 die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25 dietary fib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242 dietary patter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865 dilu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790 di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895 di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21 disti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79593 drug Drug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3 dry pain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686 eating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99 edible fru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87 foa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194 food seasoning ag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599 food sweeten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205 fragr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187 glycer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402 health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802 health proble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54 immer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27 in vivo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01 inhibi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764 inhibitory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500 inorganic miner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RBTARNINKXHZNM-UHFFFAOYSA-K iron trichloride Chemical compound Cl[Fe](Cl)Cl RBTARNINKXHZNM-UHFFFAOYSA-K 0.000 description 1
- 229960004592 isopropanol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87 lecith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45 lecith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40067606 lecithin Drugs 0.000 description 1
- XMGQYMWWDOXHJM-UHFFFAOYSA-N limonene Chemical compound CC(=C)C1CCC(C)=CC1 XMGQYMWWDOXH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07 miner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755 minera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536 miso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096 natural sweetener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7 nit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824 obesity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68 orange flav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647 oxi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254 oxi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590 oxid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08040007629 peroxidase activity protein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363 phosphate buff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223 polyglycerol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91 potass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00 potass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939 potassium sulf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OTYBMLCTZGSZBG-UHFFFAOYSA-L potassium sulfate Chemical compound [K+].[K+].[O-]S([O-])(=O)=O OTYBMLCTZGSZBG-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55 preservative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79877 pyrogallol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HELXLJCILKEWJH-NCGAPWICSA-N rebaudioside A Chemical compound O([C@H]1[C@H](O)[C@@H](CO)O[C@H]([C@@H]1O[C@H]1[C@@H]([C@@H](O)[C@H](O)[C@@H](CO)O1)O)O[C@]12C(=C)C[C@@]3(C1)CC[C@@H]1[C@@](C)(CCC[C@]1([C@@H]3CC2)C)C(=O)O[C@H]1[C@@H]([C@@H](O)[C@H](O)[C@@H](CO)O1)O)[C@@H]1O[C@H](CO)[C@@H](O)[C@H](O)[C@H]1O HELXLJCILKEWJH-NCGAPWIC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CVHZOJJKTDOEJC-UHFFFAOYSA-N saccharin Chemical compound C1=CC=C2C(=O)NS(=O)(=O)C2=C1 CVHZOJJKTDOEJ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204 sacchar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40081974 sacchar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01 saccharin and its Na,K and Ca sa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70 samp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183 skimmed milk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888 snack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34 so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488 sodium phosph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162 sodium phosph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938 sodium sulf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152 sodium sulph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555 soy sau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81 stabil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086 standard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408 sucralo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BAQAVOSOZGMPRM-QBMZZYIRSA-N sucralose Chemical compound O[C@@H]1[C@@H](O)[C@@H](Cl)[C@@H](CO)O[C@@H]1O[C@@]1(CCl)[C@@H](O)[C@H](O)[C@@H](CCl)O1 BAQAVOSOZGMPRM-QBMZZYIR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720 sucr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8163 sugar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65 sweeten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523 tann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LRBQNJMCXXYXIU-NRMVVENXSA-N tannic acid Chemical compound OC1=C(O)C(O)=CC(C(=O)OC=2C(=C(O)C=C(C=2)C(=O)OC[C@@H]2[C@H]([C@H](OC(=O)C=3C=C(OC(=O)C=4C=C(O)C(O)=C(O)C=4)C(O)=C(O)C=3)[C@@H](OC(=O)C=3C=C(OC(=O)C=4C=C(O)C(O)=C(O)C=4)C(O)=C(O)C=3)[C@@H](OC(=O)C=3C=C(OC(=O)C=4C=C(O)C(O)=C(O)C=4)C(O)=C(O)C=3)O2)OC(=O)C=2C=C(OC(=O)C=3C=C(O)C(O)=C(O)C=3)C(O)=C(O)C=2)O)=C1 LRBQNJMCXXYXIU-NRMVVENXSA-N 0.000 description 1
- 229940033123 tann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258 tannic acid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562 thicken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448 ti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 YNJBWRMUSHSURL-UHFFFAOYSA-N trichloroacet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Cl)(Cl)Cl YNJBWRMUSHSUR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RYFMWSXOAZQYPI-UHFFFAOYSA-K trisodium phosphate Chemical compound [Na+].[Na+].[Na+].[O-]P([O-])([O-])=O RYFMWSXOAZQYPI-UHFFFAOYSA-K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371 vanilla flav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418 vegetabl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54 vitamin C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18 vitamin 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642 wellbe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794 white brea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OF FLOUR OR DOUGH FOR BAKING,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 A21D2/00—Treatment of flour or dough by adding materials thereto before or during baking
- A21D2/08—Treatment of flour or dough by adding materials thereto before or during baking by adding organic substances
- A21D2/36—Vegetable material
- A21D2/38—Seed germs; Germinated cereals; Extracts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OF FLOUR OR DOUGH FOR BAKING,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 A21D13/00—Finished or partly finished bakery products
- A21D13/50—Solidified foamed products, e.g. meringue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34—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 A23G3/36—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23G3/48—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plants or parts thereof, e.g. fruits, seeds, extract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otan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리순을 포함하는 제과 또는 제빵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조성물은 과자 또는 빵에서 발생하는 특유의 계란 비린 냄새 및 느끼한 맛을 잡아주고, 항산화 효과 우수하므로, 다양한 제과 또는 제빵 과정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보리순을 포함하는 제과 또는 제빵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는 지방과 탄수화물에 편중된 나쁜 식습관으로 인하여 비만과 당뇨병 등 건강문제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사람들은 동물성 지방과 당분의 섭취를 줄이고 신선한 채소의 섭취를 늘리고 싶어하나, 식생활패턴과 식재료 구입비용 문제, 그리고 여유롭지 못한 조리환경과 식사환경 등으로 인해 이러한 식생활의 개선은 쉽지 않다. 또한, 바쁜 현대인들은 간편하고 빠르게 섭취할 수 있는 과자 또는 빵을 통하여 열량을 섭취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많은 연구소와 기업들이 식이섬유와 천연비타민을 많이 함유하고 있는 곡물과 채소, 과일 등을 주 원료로 간편하게 섭취할 수 있는 천연식품을 개발하고 있으나, 최근의 경향을 살펴보면 고기 등 다른 식품을 섭취하지 않고서도 단백질 섭취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식물성 고단백 식품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그러나 제과 또는 제빵에서는 단백질이 풍부한 계란을 사용하므로, 식물성 단백질보다는 식이섬유 및 기능성이 있는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보리순이 이러한 조건을 충족하는 식물성 재료이고, 제과 또는 제빵 과정에서 이를 이용할 수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보리순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제과 또는 제빵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리순을 포함하는 과자 또는 빵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보리순이 포함된 카스테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은 보리순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제과 또는 제빵 조성물을 제공한다.
보리순은 푸른 보리의 어린순을 지칭하는 것으로써, 보리순의 칼륨은 우유의 55배, 시금치의 18배 이상이고, 칼슘은 우유의 11배 이상이며, 철분이 시금치의 5배 이상, 비타민 C가 시금치의 3배 이상 함유되어 있으므로, 영양가가 풍부할 뿐만 아니라, 클로로필을 다량 함유하며, 항산화 효과가 우수하기 때문에, 제과 또는 제빵 조성물로써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과 또는 제빵용 조성물에는 필요에 따라, 영양가를 높이거나 향미/풍미를 부여하거나, 식감개선, 보존기간 연장, 착색 목적 등으로 일반적인 식품분야에서 사용되는 각종 첨가물을 더 함유시킬 수 있다. 영양가를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첨가물에는, 예를 들면, 각종 비타민류, 미네랄류 등이 포함된다. 향미/풍미를 부여하기 위한 목적으로 첨가되는 것으로는, 예를 들어, 향료, 천연감미제(소마린, 스테비아 등), 합성감미제(사카린, 수크라로스, 아스파탐 등), 간장, 된장, 화학조미료, 풍미물질(치즈, 초콜렛 등) 등이 포함된다. 착색을 목적으로하는 첨가물에는 예를 들면, 카라멜, 천연 착색료 등이 포함된다. 또한 상기 첨가물에는 식품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각종 유화제(슈크로오스, 지방산에스테르, 레시틴,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등), 안정제, 방부제 등도 포함된다. 또한 상기 첨가물에는 식염, 이스트, 효소, 팽창제, 점증제, 유화제, 달걀, 탈지분유, 옥수수전분, 바닐라향, 오렌지향 등을 첨가할 수 있다. 효소로서는, 예를 들면, 제과 제빵용으로 일반적으로 잘 알려져 있는 각종의 프로테아제, 아밀라아제, 셀라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팽창제로서는, 식품업계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예를 들어 탄산수소나트륨, 탄산수소암모늄 등과, 이들을 포함하는 것, 예를 들어 베이킹파우더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첨가제는 각각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고,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며, 이들 첨가물의 배합량은 통상적으로 과자나 빵에 배합되는 양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보리순은 보리순 분말을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 용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용매로 추출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보리순 추출물은 항산화 효과가 우수하고, 클로로필을 다수 함유하고 있으므로, 다양한 제과 또는 제빵 과정에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포함되는 보리순 추출물은 하기와 같이 수득될 수 있다. 보리순을 물로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한 후 그늘에서 건조하고 분쇄한다. 보리순은 재배한 것 또는 시판되는 것 등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분쇄된 보리순의 분말에 적당한 양의 용매를 첨가하여 완전히 침지되도록 한다. 보리순의 분말은 통상의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a)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예: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노말-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및 노말-부탄올 등), (b)상기 저급 알코올과 물과의 혼합용매, (c)아세톤, (d)에틸 아세테이트, (e)클로로포름, (f)1,3-부틸렌글리콜, (g) 헥산, (h)디에틸에테르, (i)부틸아세테이트 (j)클로로포름-메탄올 또는 (k)물을 이용하여 추출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물 또는 에탄올로 추출할 수 있다. 추출시 실온에서 함침하거나 가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알코올은 에탄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은 보리순을 포함하는 조성물로 제조되는 쿠키, 비스켓, 크랙커, 웨하스류, 머핀, 쉬폰케이크, 카스테라, 롤케이크, 도넛 및 페이스트리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과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은 보리순을 포함하는 조성물로 제조되는 식빵, 바게트빵, 호빵, 더치빵 및 피자도우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빵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은 계란 흰자거품을 낸 후, 설탕을 2 내지 3회 나누어 혼합하면서 60 내지 80%의 경도를 가질 때까지 믹싱하여 머랭을 생성하는 단계; 계란 노른자와 설탕을 혼합 및 믹싱하여 노른자거품을 내는 단계; 상기 노른자거품에 소금, 물, 식용유, 자몽추출물 및 원당을 혼합하고 믹싱하는 단계; 믹싱한 노른자거품에 쌀가루 및 보리순 분말을 체에 내려 추가로 혼합하여 보리순 노른자거품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보리순 노른자거품을 상기 머랭에 혼합하여 반죽하는 단계; 및 상기 반죽을 150 내지 170℃로 예열된 오븐에서 25 내지 35분간 굽는 단계를 포함하는 보리순이 포함된 카스테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계란 흰자를 거품을 낼 경우, 거품기를 사용하여 거품을 풍성하게 내는 것이 바람직하고, 거품이 풍성해졌을 때 설탕을 넣는 것이 거품의 형성에 유리하다. 설탕을 첨가한 후 생성되는 머랭 단단하기가 70% 정도일 때, 제조되는 과자 또는 빵이 부드럽고, 식감이 향상된다.
별도의 볼에 계란 노른자와 설탕을 넣고 거품기로 노른자거품을 내며, 이때 노른자거품이 아이보리색이 나타날 정도가 되어야 이후 첨가되는 재료가 잘 혼합될 수 있다.
노른자거품을 낸 후, 소금, 물, 식용유, 자몽추출물, 원당을 넣고 섞은 다음, 쌀가루 및 보리순 분말을 체에 내려 섞는다. 쌀가루 및 보리순 분말을 다른 재료와 나누어 혼합하여야 반죽에 각 재료가 균일하게 혼합될 수 있다.
이후, 머랭을 노른자거품에 거품에 혼합하는데, 한 번에 혼합하게 되면 머랭에 의한 식감이 반감될 수 있으므로, 거품이 죽지 않도록 여러번에 나누어 넣으며 실리콘주걱으로 서서히 섞어야 한다.
흰자거품이 보이지 않을 정도로 반죽이 되면, 반죽을 쉬폰틀에 담거나, 종이컵에 절반 정도가 되도록 나누어 담은 후 160℃로 예열된 오븐에서 30분간 익혀 보리순이 포함된 카스테라를 제조한다. 170℃ 이상의 온도에서 익힐 경우, 보리순의 항산화 효과가 반감될 수 있고, 클로로필의 변성이 나타날 수 있다. 한편, 150℃ 이하의 온도에서 익힐 경우, 카스테라 반죽이 충분히 부풀지 않을 수 있으며, 보리순의 독특한 향 및 색감이 반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보리순을 포함하는 제과 또는 제빵 조성물에 따르면, 과자 또는 빵에서 발생하는 특유의 계란 비린 냄새 및 느끼한 맛을 잡아주고, 항산화 효과 우수하므로, 다양한 제과 또는 제빵 과정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보리순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확인한 ABTS 라디칼 소거능 분석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BHT 검량선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보리순 추출물의 환원력 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갈릭산(gallic acid) 검량선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보리순 추출물에 포함된 총 페놀 함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루틴(rutin) 검량선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보리순 추출물에 포함된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보리순 추출물의 SOD 유사 활성 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은 보리순 건조 분말에 포함된 클로로필 a 및 클로로필 b의 함량을 확인한 그래프이다.
도 10은 보리순 분말을 사용하여 제조된 본 발명의 카스테라 사진이다.
도 2는 BHT 검량선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보리순 추출물의 환원력 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갈릭산(gallic acid) 검량선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보리순 추출물에 포함된 총 페놀 함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루틴(rutin) 검량선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보리순 추출물에 포함된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보리순 추출물의 SOD 유사 활성 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은 보리순 건조 분말에 포함된 클로로필 a 및 클로로필 b의 함량을 확인한 그래프이다.
도 10은 보리순 분말을 사용하여 제조된 본 발명의 카스테라 사진이다.
이하 하나 이상의 구체예를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하나 이상의 구체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1
. 보리순 추출물 제조
<1-1> 보리순 증류수 추출물 제조
보리순을 분쇄기를 이용하여 분말로 제조하였다. 보리순 분말 100g을 1.4kg의 증류수에 넣고, 3시간 동안 80℃에서 중탕으로 가열하여 교반한 뒤, 추출 용액을 여과시켰다. 이후, 여과된 추출 용액을 동결 건조하여, 보리순 증류수 추출물 건조 분말을 제조하였다.
<1-2> 보리순 에탄올 추출물 제조
보리순을 분쇄기를 이용하여 분말로 제조하였다. 보리순 분말 100g을 1.4kg의 30% 에탄올에 넣고, 3시간 동안 80℃에서 중탕으로 가열하여 교반한 뒤, 추출 용액을 여과시켰다. 이후, 여과된 추출 용액을 동결 건조하여, 보리순 에탄올 추출물 건조 분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보리순의 일반성분 분석
수분, 조단백, 조지방 및 조회분 함량은 AOAC(Lee SH and others 2005) 방법으로 정량하였다. 여기서 수분함량은 상압가열건조법, 조단백질함량은 micro Kjeldahl법, 조지방함량은 Soxhlet추출법, 조회분함량은 건식회화법에 의해 측정하였다(Mon HS 2016).
<2-1> 수분 함량 확인
깨끗한 칭량병의 무게를 측정하고 기록한 후, 칭량병을 105±1℃의 항온건조기에서 1~2시간 건조하여 데시케이터 안에서 30분간 냉각시켰다. 팝서의 1.2 조작을 되풀이하여 칭량병의 무게가 항량이 되도록 한 다음 무게를 기록하였다. 그 다음, 시료를 분쇄하여 항량이 된 칭량병에 보리순 분말 시료 3~5g을 105±1℃의 항온건조기 내에 시료가 있는 칭량병의 뚜껑을 약간 열어 넣고 3~5시간 건조 후, 데시케이터 안에서 30분간 식힌 다음 무게를 측정하였다. 그 후, 칭량접시를 1~2시간 건조하여 항량이 될 때까지 같은 조작을 반복하였고, 측정한 결과를 하기와 같이 계산하여 보리순 중의 수분 함량(%)을 확인하였다.
수분(%)=100×(W1-W2)/S
W0 : 항량이 된 칭량병의 무게(g)
W1 : 건조 전 항량된 칭량병과 시료의 무게(g)(W1=S+W0)
W2 : 건조 후 칭량병과 시료의 무게(g)
S : 시료무게
그 결과, 보리순에 포함된 수분의 함량은 9.2635% 임을 확인하였다.
<2-2>
조단백
함량 확인
유산지를 깔고 보리순 분말 시료 1g과 산화촉진제(CuSO4:K2SO4=1:4) 3g을 각각 유산지에 싼 후, 켈달플라스크에 넣었다. 시료가 든 켈달플라스크에 황산 20ml를 넣어 분해 장치에 420℃에서 분해시킨 후, 분해된 켈달플라스크에 증류수 105ml를 넣어 희석하였다. 희석시킨 용액 10ml와 30% NaOH 10ml를 증류 플라스크에 넣은 후, 삼각플라스크에 황산 20ml와 브런스위크시액 2~3방울을 떨어뜨리고, 켈달 증류기에 4분간 증류하였다. 증류된 삼각플라스크에 0.1N-NaOH를 사용하여 적정하고, 공시험과 본시험의 0.1N-NaOH용액 적정 소비량을 하기와 같이 계산하여 조단백질 함량을 측정하였다.
조단백(%)=100×(0.0014×(V0-V1)×D×F×N)/S
V0 : 공시험에서 소비된 0.1N-NaOH의 양(ml)
V1 : 본시험에서 소비된 0.1N-NaOH의 양(ml)
D : 희석배수
F : 0.1N-NaOH 표준용액의 역가
N : 단백질의 질소환산계수
S : 시료의 무게(g)
그 결과, 보리순에 포함된 조단백의 함량은 12.8387% 임을 확인하였다.
<2-3> 조회분 함량 확인
회화로의 온도를 맞추고 깨끗한 회화용기를 회화로에 넣고, 회화용기를 밧트로 옮기고 실온으로 방랭 처리 후 전자저울로 칭량하였다. 보리순 분말 시료 2g을 회화용기에 정밀히 달아 넣고, 300℃이하의 버너 또는 전기곤로에서 예비 회화시켰다. 회화용기를 회화로로 옮겨 온도를 550℃로 맞추고 회분이 얻어질 때까지 가열한 후, 도가니의 방랭 후 전자저울로 칭량하고 항량이 될 때까지 조작을 반복하였고, 조회분의 함량은 하기와 같이 계산하여 측정하였다.
조회분(%)=100×(W1-W0)/S
W1 : 회화후 회화용기와 회분의 무게(g)
W0 : 항량이 된 회화용기의 무게(g)
S : 시료의 채취량(g)
그 결과, 보리순에 포함된 조회분의 함량은 11.4623% 임을 확인하였다.
<2-4>
조지방
함량 확인
속슬렛 정량병(수기)를 105±1℃의 항온건조기에서 1~2시간 건조하고 데시케이터 안에서 30분간 식힌 다음 무게를 달아 항량이 되도록 반복한 후, 분쇄한 보리순 분말 시료 약 5 내지 10g을 원통여과지(원통거름종이) 속에 넣었다. 항량한 정량병에 에테르 70㎖를 넣고, 냉각관, 추출관(Soxhlet), 정량병을 연결하여 50~60℃로 조절해 둔 전기 항온 수조 위에서 15시간 동안 가열 및 추출하였다. 추출이 끝난 후 에테르를 회수한 다음, 전기 항온 수조 속에서 정량병 중의 에테르를 제거하였다. 에테르를 완전히 휘발시킨 다음, 정량병의 바깥을 깨끗이 닦고, 105±1℃의 항온건조기에서 1~2시간 건조한 후, 데시케이터 안에서 30분간 식힌 다음 무게를 달아 항량이 되도록 반복하여, 시료 중 조지방의 함량(%)을 하기와 같이 계산하였다.
조지방(%)=100×(W1-W0)/S
W0 : 조지방 추출 전 정량병의 무게(g)
W1 : 조지방 추출 후 정량병의 무게(g)
S : 시료 무게
그 결과, 보리순에 포함된 조지방의 함량은 3.6582% 임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보리순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확인
<3-1>
ABTS
라디칼
소거능
분석
보리순 추출물의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phonate(ABTS) 라디칼 소거활성은 Muller[1985]의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 <1-1> 및 <1-2> 에서 준비한 보리순 추출물을 각 농도별(0, 200, 400, 600, 800 및 1000ppm)로 희석한 시료 용액 0.2mL, 0.1M phosphate buffer(PH 5.0) 1mL 및 1mM 과산화수소 0.2 mL를 37℃에서 5분간 혼합한 다음, 1.25mM ABTs 3 mL 넣고, peroxidase(1U/mL) 0.3 mL를 혼합하여 37℃에서 10분간 교반한 후, 40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ABTs radical activity(%)=(A-B)/A×100
A : 시료 무 첨가군의 흡광도
B : 시료 첨가군의 흡광도
그 결과, 보리순 증류수 추출물 및 에탄올 추출물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항산화 활성이 증가함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에탄올 추출물의 활성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도 1).
<3-2> 환원력 분석
환원력이 강한 물질은 생성된 활성산소를 다시 환원시켜 항산화제로서의 기능을 하므로, Lai F 등(2010)의 방법을 변형하여 보리순 추출물의 환원력(reducing power)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 <1-1> 및 <1-2> 에서 준비한 보리순 추출물을 각 농도별(0, 200, 400, 600, 800 및 1000ppm)로 희석한 시료 용액 1㎖에 200mM의 sodium phosphate buffer(pH 6.6) 1.25mL 및 1% potassium ferricyanid 1.25mL를 첨가한 다음, water bath 에서 20분간 반응시켰다. 10% trichloroacetic acid 1.25mL를 가하고 10분간 4℃에서 반응시킨 후 반응시킨 용액 2.5 mL을 채취하여 증류수 5mL와 0.1% ferric chloride 1.25mL를 섞어서 반응시켜 70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환원력 성분 정량을 위한 검량선은 0 내지 1.0 mg/mL의 농도의 BHT을 이용하여 작성하였고(도 2), 모든 과정은 3회 반복 측정하였다.
그 결과, 보리순 증류수 추출물 및 에탄올 추출물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환원력이 증가함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에탄올 추출물의 환원력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도 3).
<3-3> 총 페놀 함량 분석
보리순 추출물에 포함된 주요성분 중 페놀성 화합물의 총 함량을 Gutfinger의 방법을 변형하여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 <1-1> 및 <1-2> 에서 준비한 보리순 추출물을 각 농도별(0, 200, 400, 600, 800 및 1000ppm)로 희석한 시료 0.1mL에 2%(w/v) Na2CO3을 2mL을 가하고 2분간 방치 후, 50% Folin-Ciocalteu 시약 0.2ml를 첨가한 후 실온에서 30분 정치한 다음 7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0 내지 1.0mg/mL의 농도의 갈릭산(gallic acid)을 이용하여 시료의 페놀성 화합물 정량을 위한 검량선을 작성하였으며(도 3), 모든 과정은 3회 반복 하였다.
그 결과, 보리순 증류수 추출물 및 에탄올 추출물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페놀성 화합물 함량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도 4).
<3-4>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분석
보리순 추출물에 포함된 주요성분 중 플라보노이드의 총 함량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 <1-1> 및 <1-2> 에서 준비한 보리순 추출물을 각 농도별(0, 200, 400, 600, 800 및 1000ppm)로 희석한 시료 0.1ml에 90% diethylene glycol 5ml를 가하여 혼합하였다. 그 후, 4N NaOH 용액 0.1ml을 넣고 혼합한 다음, 30℃에서 5분간 방치한 후, 42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0 내지 1.0mg/mL의 농도의 루틴(rutin)을 이용하여 시료의 플라보노이드 정량을 위한 검량선을 작성하였으며(도 3), 모든 과정은 3회 반복 하였다(Masaki H, Sakaki S, Atsumi T, Sakural H 1995)(도 5).
그 결과, 보리순 증류수 추출물 및 에탄올 추출물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증가함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에탄올 추출물의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도 6).
<3-5> SOD
유사활성
측정
생체 내 초과산화물(superoxide)을 정상 상태의 산소로 환원시켜 주는 역할을 하는 과산화물제거효소(superoxide dismutase; SOD)는 초과산화물이 일으키는 여러 질병이나 노화를 억제할 수 있는 효소로 알려져 있으며, SOD 유사활성물질은 생체 내에 존재하는 SOD와 유사한 역할을 하는 저분자 물질로서 초과산화물의 반응을 억제하고 초과산화물의 발생을 줄여, 산화적 장애를 방어하고 노화 억제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므로, Marklund의 방법을 변형한 방법을 이용하여 보리순 추출물의 SOD 유사 활성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 <1-1> 및 <1-2> 에서 준비한 보리순 추출물을 각 농도별(0, 200, 400, 600, 800 및 1000ppm)로 희석한 시료 0.2ml에 tris-HCl buffer (50mM tris [hydroxymethy] amin o-methane + 10mM EDTA, pH 8.5) 3mL와 0.2mM Pyrogallol 0.2ml을 가하여 25℃에서 10분간 방치하였다. 1N-HCl로 반응을 정지 시킨 후 420nm에서 UV-visible spectrophotometer (Shimadzu UV-1800, Kyoto, Japan)를 이용하여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모든 과정은 3회 반복 측정하였다(Kim YK, Lee MJ, Kim MJ, Hyun JN, Kim JG, Han OK, Seo JH, Park CS, Hwang JJ, Kang MH, park SJ 2006).
SOD-liked Activity(%) = 100-(A/B)×100
A : 시료 무 첨가군의 흡광도
B : 시료 첨가군의 흡광도
그 결과, 대조군으로 사용된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 및 탄닌산(tannic acid)의 활성은 각각 81.93% 및 13%로 나타났으며, 보리순 에탄올 추출물의 경우, 400ppm 이상의 농도에서 80% 이상의 활성을 나타내, SOD 유사활성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도 7).
실시예
4. 클로로필 함량 분석
보리순에 포함된 주요성분 중 클로로필의 총 함량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보리순 건조 분말 시료 3g에 85% acetone 100ml를 혼합하여 3000rpm에서 5분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취하고 남은 잔사를 다시 85% acetone으로 3회 반복하여 추출하였다. 그 후, 상등액만 모아 500ml로 정용하고 그 중 25ml를 취한 다음, ether 50ml 및 증류수 25ml와 혼합하여 60℃에서 1분간 진탕하였다. 진탕 후에 분리되는 ether층을 취하여, sodium sulfate 소량을 가하고 ether로 100ml로 정용한 후 분광광도계를 사용하여 660nm 및 642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총 클로로필 양 : 7.12×A660+16.8×A642
클로로필 a 양 : 9.93×A660-0.777×A642
클로로필 b 양 : 17.6×A642-2.18×A660
그 결과, 보리순 증류수 추출물의 총 클로로필 함량은 5.852756mg/g으로 나타나(도 8), 보리순 증류수 추출물은 식품의약품안전처고시 건강기능식품공전의 클로로필 함유 식물 항의 기준 및 규격에 적합한 원료임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5. 보리순을 이용한
카스테라의
제조
<5-1>
카스테라
제조
각 재료를 하기 표 1과 같이 계량하여 준비하였다.
재료 | 무게(g), (20*10*9cm 틀 1개 분량) | |||
보리순 5% | 보리순 10% | 보리순 15% | ||
계란 | 노른자 | 54 | 54 | 54 |
흰자 | 216 | 216 | 216 | |
소금 | 2 | 2 | 2 | |
설탕 | 설탕(A) | 28 | 28 | 28 |
설탕(B) | 29 | 29 | 29 | |
식용유 | 45 | 45 | 45 | |
원당 | 3 | 3 | 3 | |
자몽추출물 | 0.25 | 0.25 | 0.25 | |
물 | 60 | 60 | 60 | |
쌀가루 | 95 | 90 | 85 | |
보리순 | 5 | 10 | 15 | |
계 | 537.25 | 537.25 | 537.25 |
볼에 계란 흰자를 넣고 거품기로 흰자거품을 내어 거품이 풍성해지면 설탕(A)을 1/2씩 나누어 넣으면서 거품기로 충분한 거품이 형성되어 70% 정도의 경도를 가질 정도로 휘핑하여 머랭을 제조하였다. 다른 볼에 계란 노른자와 설탕(B)을 넣고 거품기로 아이보리색을 나타낼 때까지 노른자거품을 낸 후, 계란 노른자거품에 소금, 물, 식용유, 자몽추출물, 원당을 넣고 섞은 다음, 쌀가루 및 보리순 분말을 체에 내려 섞었다. 그 후, 머랭을 노른자거품에 거품이 죽지 않도록 나누어 넣으며 실리콘주걱으로 서서히 섞어, 흰자거품이 보이지 않을 정도로 반죽이 되면, 반죽을 쉬폰틀에 담거나, 종이컵에 절반 정도가 되도록 나누어 담은 후 160℃로 예열된 오븐에서 30분간 익혀 보리순 카스테라를 완성하였다(도 9).
<5-2> 관능평가
상기 실시예 <5-1>에서 제조한 카스테라의 관능검사 결과는 하기 표 2와 같다. 30대의 남녀 직장인 30명을 대상으로 5점 평점법에 의해 카스테라에 대한 미감 및 기호도를 테스트하였다: 1: 매우 나쁘다, 2: 나쁘다, 3: 보통이다, 4: 좋다, 5: 매우 좋다.
상기 실시예 <5-1>의 보리순 10% 카스테라(A) 및 시판되는 카스테라(B; 촉촉한 카스테라, 삼립)의 향, 색, 맛 및 전체적인 기호도를 평가하였다.
실시예 <5-1>의 카스테라(A) | 시판되는 카스테라(B) | |
향 | 4.62 | 3.42 |
색 | 4.32 | 3.88 |
맛 | 4.44 | 3.43 |
전체적인 기호도 | 4.69 | 3.67 |
상기 표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색 및 맛에 대한 기호도의 경우, 시판되는 카스테라에 비해 상기 실시예 <5-1>의 카스테라가 높은 기호도를 보였으며, 특히 향에 있어서 현저하게 높은 기호도를 나타냈다. 전체적인 기호도에서도 시판되는 카스테라에 비해 상기 실시예 <5-1>의 카스테라가 높은 기호도를 나타냈다.
이러한 기호도는 보리순이 카스테라 특유의 계란 비린 냄새 및 느끼한 맛을 잡아주며, 보리순의 녹색에 의한 웰빙 식품의 이미지를 주기 때문임을 확인하였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6)
- 보리순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제과 또는 제빵 조성물.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리순은 보리순 분말을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 용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용매로 추출한 것인 항산화용 제과 또는 제빵 조성물.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알코올은 에탄올인 것인 항산화용 제과 또는 제빵 조성물.
- 제 1항의 조성물로 제조되는 쿠키, 비스켓, 크랙커, 웨하스류, 머핀, 쉬폰케이크, 카스테라, 롤케이크, 도넛 및 페이스트리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과자.
- 제 1항의 조성물로 제조되는 식빵, 바게트빵, 호빵, 더치빵 및 피자도우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빵.
- 계란 흰자거품을 낸 후, 설탕을 2 내지 3회 나누어 혼합하면서 60 내지 80%의 경도를 가질 때까지 믹싱하여 머랭을 생성하는 단계;
계란 노른자와 설탕을 혼합 및 믹싱하여 노른자거품을 내는 단계;
상기 노른자거품에 소금, 물, 식용유, 자몽추출물 및 원당을 혼합하고 믹싱하는 단계;
믹싱한 노른자거품에 쌀가루 및 보리순 분말을 체에 내려 추가로 혼합하여 보리순 노른자거품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보리순 노른자거품을 상기 머랭에 혼합하여 반죽하는 단계; 및
상기 반죽을 150 내지 170℃로 예열된 오븐에서 25 내지 35분간 굽는 단계
를 포함하는 보리순이 포함된 카스테라의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12462A KR20190093030A (ko) | 2018-01-31 | 2018-01-31 | 보리순을 포함하는 제과 또는 제빵 조성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12462A KR20190093030A (ko) | 2018-01-31 | 2018-01-31 | 보리순을 포함하는 제과 또는 제빵 조성물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93030A true KR20190093030A (ko) | 2019-08-08 |
Family
ID=67613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12462A KR20190093030A (ko) | 2018-01-31 | 2018-01-31 | 보리순을 포함하는 제과 또는 제빵 조성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90093030A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92405B1 (ko) | 2012-04-02 | 2014-05-07 | 정성근 | 보리순을 이용한 국수의 제조 방법 |
-
2018
- 2018-01-31 KR KR1020180012462A patent/KR20190093030A/ko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92405B1 (ko) | 2012-04-02 | 2014-05-07 | 정성근 | 보리순을 이용한 국수의 제조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Pasukamonset et al. | Physicochemical, antioxidant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sponge cakes fortified with Clitoria ternatea extract | |
CN101262782A (zh) | 用于保健食品工业的包括豆渣的富含蛋白的预混粉料 | |
Mehta | Nutritional and toxicological aspects of the chemical changes of food components and nutrients during heating and cooking | |
KR100448841B1 (ko) | 발효 콩을 이용한 건강식품 | |
KR102053684B1 (ko) | 저장성이 향상된 약과의 제조방법 | |
Sunwar | Effect of flaxseed on the physiochemical and sensory quality of muffin as egg replacer | |
KR20190093030A (ko) | 보리순을 포함하는 제과 또는 제빵 조성물 | |
KR102112494B1 (ko) | 모링가를 이용한 과자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과자 | |
Büyük et al. | Investigation of antioxidant and sensory properties and in vitro bioaccessibility of low‐fat functional cookies substituted with wheat germ flour and coffee silverskin | |
EP1629723A1 (en) | A functional food and use thereof | |
Köksel et al. | Chemical reactions in the processing of soft wheat products | |
Lee |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Pan Bread with Garlic Peel Powder | |
KR102523295B1 (ko) | 즉시 섭취가 가능한 쿠키 크림 및 그 제조방법 | |
KR102632977B1 (ko) | 표고버섯을 함유한 면류식품 및 그 제조방법 | |
KR101954179B1 (ko) | 양파분말 및 홍마늘 페이스트가 함유된 만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만주 | |
KR102333232B1 (ko) | 쑥부쟁이 분말을 함유하는 쑥부쟁이 쌀머핀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한 쑥부쟁이 쌀머핀 | |
KR102486201B1 (ko) | 과일 숙성 진액을 이용한 빵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과일빵 | |
KR100473754B1 (ko) | 쑥을 이용한 호떡과 그 제조방법 | |
JPH02119740A (ja) | おから入りパン | |
KR102575907B1 (ko) | 도넛 제조방법 | |
KR102660450B1 (ko) | 비건 파운드케이크 및 이의 제조방법 | |
KR20190093031A (ko) | 잣 박을 포함하는 제과 또는 제빵 조성물 | |
RU2450524C2 (ru) | Состав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ржаной лепешки | |
KR102333233B1 (ko) | 쑥부쟁이 분말을 함유하는 쑥부쟁이 쌀쿠키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한 쑥부쟁이 쌀쿠키 | |
Shrestha | Preparation and Quality Evaluation of Chickpea Flour Incorporated Muffin and its Storage stabilit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